KR20070119448A - 휴대 단말기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19448A
KR20070119448A KR1020060054086A KR20060054086A KR20070119448A KR 20070119448 A KR20070119448 A KR 20070119448A KR 1020060054086 A KR1020060054086 A KR 1020060054086A KR 20060054086 A KR20060054086 A KR 20060054086A KR 20070119448 A KR20070119448 A KR 200701194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receiver
sound emitting
passage
portab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40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34799B1 (ko
Inventor
신민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540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4799B1/ko
Priority to JP2007098254A priority patent/JP4546987B2/ja
Priority to US11/761,200 priority patent/US8060160B2/en
Priority to DE602007011689T priority patent/DE602007011689D1/de
Priority to AT07011722T priority patent/ATE494722T1/de
Priority to CN2007101270031A priority patent/CN101090408B/zh
Priority to EP07011722A priority patent/EP1868357B1/en
Publication of KR200701194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94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47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47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25Rotatable telephones, i.e. the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33Including a rotatable display body par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3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e.g. telephone hand-s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3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 H04R1/34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by using a single transducer with sound reflecting, diffracting, directing or guiding means
    • H04R1/345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by using a single transducer with sound reflecting, diffracting, directing or guiding means for 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3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e.g. telephone hand-sets
    • H04M1/035Improving the acoustic characteristics by means of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housing, e.g. ribs, walls, resonating chambers or cav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1Transducers incorporated or for use in hand-held devices, e.g. mobile phones, PDA's, 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5Transducers incorporated in visual displaying devices, e.g. televisions, computer displays, lapto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Details Of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 Stereophonic System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바디와, 상기 제1바디에 스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바디와, 상기 제2바디의 세로방향 일단에 형성되어 제2바디가 세로방향으로 위치된 경우 사운드를 방출하는 제1사운드 방출부와, 상기 제2바디의 가로방향 일단에 형성되어 제2바디가 가로방향으로 위치된 경우 사운드를 방출하는 제2사운드 방출부로 구성되어, 바디가 가로방향으로 스윙된 상태에서도 통화가 가능토록 하여 사용이 편리한 휴대 단말기를 제공한다.
휴대단말기, 키패드

Description

휴대 단말기 {PORTABLE TERMINAL}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2바디가 세로방향으로 위치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2바디가 가로방향으로 위치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1바디의 상부 케이스의 내면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1바디의 상부 케이스의 내면을 나타낸 일부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1바디의 상부 케이스의 일부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2레시버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밀폐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제어부를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레시버를 통해 방출되는 음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제1바디 20 : 제2바디
24 : 제1사운드 방출부 26 : 제2사운드 방출부
30 : 상부 케이스 32 : 제1사운드 방출홀
34 : 제2사운드 방출홀 36 : 제1레시버
38 : 제2레시버 40 : 가이드부
54 : 밀폐부재
본 발명은 스윙 타입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바디가 가로방향으로 스윙된 상태에서도 통화가 가능하게 하여 사용이 편리한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스윙 타입 휴대 단말기의 사시도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스윙 타입 휴대 단말기는 정보를 입력하는 키버튼 (106)이 구비된 제1바디(102)와, 상기 제1바디(102)에 스윙 가능하게 연결되고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108)를 구비한 제2바디(104)로 구성된다.
상기 제1바디(102)에는 통화시 사운드가 입력되는 마이크(112)가 장착되고, 제2바디(104)에는 통화시 사운드가 출력되는 레시버(110)가 세로방향 일단에 장착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제2바디(104)의 길이방향 상단에 하나의 레시버(110)가 장착되어 제2바디(104)가 가로방향으로 스 윙되면 레시버(110)가 가로방향 측면에 위치되기 때문에 제2바디(104)가 가로방향으로 스윙된 상태에서는 통화가 불가능하여 사용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특히, 제2바디(104)가 가로방향으로 스윙된 상태에서 통화 모드시 제2바디(104)를 다시 세로방향으로 스윙시킨 후 통화를 수행해야 되기 때문에 사용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바디의 가로방향 측면에 사운드 방출부를 마련하여 바디가 가로방향으로 스윙된 상태에서도 통화가 가능토록 하여 사용이 편리한 휴대 단말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는 제1바디와, 상기 제1바디에 스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바디와, 상기 제2바디의 세로방향 일단에 형성되어 제2바디가 세로방향으로 위치된 경우 사운드를 방출하는 제1사운드 방출부와, 상기 제2바디의 가로방향 일단에 형성되어 제2바디가 가로방향으로 위치된 경우 사운드를 방출하는 제2사운드 방출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사운드 방출부는 상기 제2바디의 세로방향 일측에 형성되는 제1사운드 방출홀과, 상기 제2바디의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제1사운드 방출홀을 통해 방출되는 사운드를 발생시키는 제1레시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사운드 방출부는 상기 제2바디의 세로방향 일측에 형성되는 제2사운 드 방출홀과, 상기 제2바디의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제2사운드 방출홀을 통해 방출되는 사운드를 발생시키는 제2레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사운드 방출부는 상기 제2레시버에서 발생되는 사운드를 제2사운드 방출홀로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사운드 가이드부는 제2바디의 케이스 내면에 형성되는 사운드 통로와, 상기 사운드 통로를 밀폐시켜 사운드 통로로 통과하는 음이 새는 것을 방지하는 밀폐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제2바디가 세로방향으로 위치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제2바디가 가로방향으로 스윙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정보를 입력하는 키들(12,14)이 구비한 제1바디(10)와, 상기 제1바디(10)에 가로방향으로 스윙 가능하게 연결되고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22)가 구비되는 제2바디(20)로 구성된다.
상기 제1바디(10)와 제2바디(20) 사이에는 스윙모듈(미도시)이 설치되어 제2바디(20)가 제1바디(10)에 대해 상대적으로 스윙되도록 지지한다.
상기 제1바디(10)에 설치되는 키들은 제2바디(20)의 스윙 위치에 상관없이 항상 외부로 노출되게 배치되는 제1키들(12)과, 상기 제2바디(20)가 가로방향으로 스윙된 상태일 때 외부로 노출되어 정보를 입력하는 제2키들(14)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바디(10)에는 통화모드시 사운드가 입력되는 마이크(16)가 설치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바디의 상부 케이스의 내면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2바디의 상부 케이스의 내면을 나타낸 일부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상부 케이스의 일부 단면도이다.
상기 제2바디(20)에는 제2바디(20)의 세로방향 일단에 설치되어 제2바디(20)가 세로방향으로 위치된 경우 사운드를 방출하는 제1사운드 방출부(24)와, 제2바디(20)의 가로방향 일단에 설치되어 제2바디(20)가 가로방향으로 위치된 경우 사운드를 방출하는 제2사운드 방출부(26)로 구성된다.
상기 제1사운드 방출부(24)는 제2바디(20)의 상부 케이스(30)의 세로방향 일단에 형성되어 사운드가 외부로 방출되는 제1사운드 방출홀(32)과, 상기 제2바디(20)의 내부에 장착되어 제1사운드 방출홀(32)을 통해 방출되는 사운드를 발생시키는 제1레시버(36)로 구성된다.
상기 제1레시버(36)는 상부 케이스(30)의 세로방향 중앙측에 형성된 장착부(41)에 장착된다.
상기 제2사운드 방출부(26)는 제2바디(20)의 가로방향 일단에 형성되어 사운드를 외부로 방출시키는 제2사운드 방출홀(34)과, 상기 제2바디(20)의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제2사운드 방출홀(34)을 통해 방출되는 사운드를 발생시키는 제2레시버(38)와, 상기 제2레시버(38)에서 발생되는 사운드를 제2사운드 방출홀(34)로 가이드하는 가이드부(40)로 구성된다.
상기 제2사운드 방출홀(34)은 제2바디(20)가 가로방향으로 스윙되면 제2바디(20)의 양쪽 측면 중 상측에 위치되는 측면에 형성된다.
상기 제2레시버(38)는 제2바디(20)의 네 모서리 중 어느 한 모서리 부위에 장착된다. 즉, 상기 제1레시버(36)가 제2바디(20)의 일단 중앙에 장착되고, 제2레시버(38)는 제1레시버(36)와 일정 간격을 두고 모서리 부위에 장착된다.
상기 제2바디(20)의 내면에는 상기 제2레시버(38)가 장착되는 제2레시버 장착부(42)가 형성되고, 상기 제2레시버 장착부(42)에는 제2레시버(38)에서 발생되는 음이 새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제2레시버(38)를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댐퍼부재(44)가 끼움 결합된다.
상기 댐퍼부재(44)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레탄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가이드부(40)와 연통되는 통로(46)가 마련된다.
상기 가이드부(40)는 제2바디(20)의 상부 케이스(30)의 내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그 일단은 제2레시버(38)가 장착되는 제2레시버 장착부(42)와 연결되고, 타단은 제2사운드 방출홀(34)과 연결된다.
이러한 가이드부(40)는 상기 제2바디(20)의 내면에 형성되어 디스플레이(22)를 지지하는 지지리브(50)와, 제2바디(20)의 상부 케이스(30)의 가장자리에서 연장되는 격벽(52) 사이의 공간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이드부(40)에는 가이드부(40)를 밀폐하여 가이드부(40)를 통과하는 음이 새는 것을 방지하는 밀폐부재(54)가 장착된다.
상기 밀폐부재(54)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부(40)에 끼움 결합되도록 일정 길이를 갖는 바 타입으로 형성되고 그 일면은 격벽(52)에 밀착되고, 그 타면은 지지리브(50)에 밀착되어 가이드부(40)를 밀폐시킨다. 이러한 밀폐부재(54)는 우레탄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작용을 다음에서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제어부를 나타낸 블럭도이다.
먼저, 제2바디(20)가 세로방향으로 위치된 상태에서 통화모드시 제2바디(20)의 현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 감지부(62)로부터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제어부(60)는 제1레시버(36)로 신호를 전달한다. 그러면, 상기 제1레시버(36)에서 소리가 발생되고, 제1레시버(36)에서 발생되는 소리는 제2바디(20)의 세로방향 일단에 형성된 제1사운드 방출홀(32)을 통해 외부로 방출된다.
그리고, 제2바디(20)가 스윙되어 가로방향으로 위치된 상태에서 통화모드시 위치 감지부(62)로부터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제어부(60)는 제2바디(20)가 가로방향으로 스윙된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여 제2레시버(38)로 신호를 전달한다.
그러면, 상기 제2레시버(38)에서 사운드가 발생되고, 상기 제2레시버(38)에서 발생된 사운드는 가이드부(40)를 통해 제2바디(20)의 가로방향 일단에 형성된 제2사운드 방출홀(34)을 통해 외부로 방출된다.
이와 같이, 제2바디(20)가 세로방향으로 위치된 경우에는 제2바디(20)의 세로방향 일단에 형성된 제1레시버 방출홀(32)을 통해 사운드가 방출되고, 제2바디(20)가 가로방향으로 위치된 경우에는 제2바디(20)의 가로방향 일단에 형성된 제 2레시버 방출홀(34)을 통해 사운드가 발생되기 때문에 제2바디(20)의 현재 위치에 상관없이 통화모드를 구현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사운드 방출홀을 통해 방출되는 음량과 제2사운드 방출홀을 통해 방출되는 음량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10의 그래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레시버(36)에서 발생된 사운드가 직접 제1사운드 방출홀(32)을 통해 방출되는 음량을 나타낸 그래프(P)와 제2레시버(38)에서 발생된 사운드가 가이드부(40)를 통과하여 제2사운드 방출홀(34)을 통해 방출되는 음량을 나타낸 그래프(Q)를 비교하면 제2사운드 방출홀(34)을 통해 방출되는 음량이 제1사운드 방출홀(32)을 통해 방출되는 음량의 80% 정도의 성능을 발휘한다. 즉, 가이드부(40)를 통과하면서 발생되는 손실이 비교적 크기 않기 때문에 제2사운드 방출홀(34)을 통해 방출되는 사운드를 충분히 통신모드에 사용이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제2바디의 세로방향 일단에 제1사운드 방출홀을 형성하고, 제2바디의 가로방향 일단에 제2사운드 방출홀을 형성하여, 제2바디가 세로방향으로 위치된 경우에는 제1레시버에서 발생된 사운드가 제1사운드 방출홀을 통해 외부로 방출되고 제2바디가 가로방향으로 위치된 경우에는 제2레시버에서 발생된 사운드가 제2사운드 방출홀을 통해 방출되도록 함으로써, 제2바디의 스윙 위치에 상관없이 통신모드를 구현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다.

Claims (13)

  1. 제1바디와;
    상기 제1바디에 스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바디와;
    상기 제2바디의 세로방향 일단에 형성되어 제2바디가 세로방향으로 위치된 경우 사운드를 방출하는 제1사운드 방출부와;
    상기 제2바디의 가로방향 일단에 형성되어 제2바디가 가로방향으로 위치된 경우 사운드를 방출하는 제2사운드 방출부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바디에는 정보를 입력하는 키패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바디에는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제1사운드 방출부는 상기 제2바디의 세로방향 일측에 형성되는 제1사운드 방출홀과, 상기 제2바디의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제1사운드 방출홀을 통해 방출되는 사운드를 발생시키는 제1레시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사운드 방출부는 상기 제2바디의 가로방향 일측에 형성되는 제2사운드 방출홀과;
    상기 제2바디의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제2사운드 방출홀을 통해 방출되는 사운드를 발생시키는 제2레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레시버는 제2바디의 모서리 부위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사운드 방출부는 상기 제2레시버에서 발생되는 사운드를 제2사운드 방출홀로 가이드하는 사운드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운드 가이드부는 제2바디의 케이스 내면에 형성되는 사운드 통로와, 상기 사운드 통로를 밀폐시켜 사운드 통로로 통과하는 음이 새는 것을 방지하는 밀폐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운드 통로는 상기 제2바디의 상부 케이스의 내면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운드 통로는 디스플레이를 지지하는 디스플레이 지지리브와, 제2바디의 상부 케이스의 가장자리에서 연장되는 격벽 사이의 공간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부재는 상기 사이드 통로에 끼움 결합되는 우레탄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바디의 일측 모서리에는 제2레시버가 장착되는 장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장착부에는 제2레시버에서 발생되는 음이 새는 것을 방지하는 밀폐부재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부재에는 상기 사운드 방출홀과 연통되는 통로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KR1020060054086A 2006-06-15 2006-06-15 휴대 단말기 KR1011347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4086A KR101134799B1 (ko) 2006-06-15 2006-06-15 휴대 단말기
JP2007098254A JP4546987B2 (ja) 2006-06-15 2007-04-04 携帯端末機及びそのスピーカ制御方法
US11/761,200 US8060160B2 (en) 2006-06-15 2007-06-11 Mobile terminal having speaker control and method of use
DE602007011689T DE602007011689D1 (de) 2006-06-15 2007-06-14 Mobiles Endgerät mit Lautsprechersteuerung und Verwendungsverfahren
AT07011722T ATE494722T1 (de) 2006-06-15 2007-06-14 Mobiles endgerät mit lautsprechersteuerung und verwendungsverfahren
CN2007101270031A CN101090408B (zh) 2006-06-15 2007-06-14 具有扬声器控制的移动终端及其使用方法
EP07011722A EP1868357B1 (en) 2006-06-15 2007-06-14 Mobile terminal having speaker control and method of us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4086A KR101134799B1 (ko) 2006-06-15 2006-06-15 휴대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9448A true KR20070119448A (ko) 2007-12-20
KR101134799B1 KR101134799B1 (ko) 2012-04-13

Family

ID=385214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4086A KR101134799B1 (ko) 2006-06-15 2006-06-15 휴대 단말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060160B2 (ko)
EP (1) EP1868357B1 (ko)
JP (1) JP4546987B2 (ko)
KR (1) KR101134799B1 (ko)
CN (1) CN101090408B (ko)
AT (1) ATE494722T1 (ko)
DE (1) DE602007011689D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88726A1 (ko) * 2016-11-09 2018-05-17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76818A (ja) * 2006-09-22 2008-04-03 Fujitsu Ltd 携帯端末装置
JP2009290346A (ja) * 2008-05-27 2009-12-10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パネルスピーカ装置
US20120027224A1 (en) * 2010-07-29 2012-02-02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Acoustic System for Slide-Type Mobile Device
US9313565B2 (en) 2010-07-29 2016-04-12 Nec Corporation Portable terminal device having sound emission hole which changes orientation based on rotation of casing about biaxial hinge
US9294840B1 (en) * 2010-12-17 2016-03-22 Logitech Europe S. A. Ease-of-use wireless speakers
US20120213397A1 (en) * 2011-02-22 2012-08-23 Crotts Randel L Portable Speaker Apparatus
US8938312B2 (en) 2011-04-18 2015-01-20 Sonos, Inc. Smart line-in processing
US9042556B2 (en) 2011-07-19 2015-05-26 Sonos, Inc Shaping sound responsive to speaker orientation
KR101910839B1 (ko) * 2011-11-07 2018-10-24 삼성전자주식회사 음향출력부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US8879761B2 (en) 2011-11-22 2014-11-04 Apple Inc. Orientation-based audio
CN104717351B (zh) * 2013-12-16 2019-03-15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终端音频通道处理方法、装置及终端
CN105357365A (zh) * 2015-09-28 2016-02-24 联想(北京)有限公司 信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
TWI583208B (zh) * 2015-10-15 2017-05-11 宏碁股份有限公司 揚聲器音箱及應用該揚聲器音箱之電子裝置
CN106686203A (zh) * 2016-07-11 2017-05-17 乐视控股(北京)有限公司 提高终端通话质量的方法与移动终端
JP6746420B2 (ja) * 2016-07-29 2020-08-26 キヤノン株式会社 ストロボユニット及び撮像装置
KR102386285B1 (ko) * 2017-09-08 2022-04-14 삼성전자주식회사 이어폰을 통한 어플리케이션별 오디오 출력 제어 방법 및 이를 구현한 전자 장치
WO2020014838A1 (zh) 2018-07-16 2020-01-23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壳体组件及电子设备
CN111294438B (zh) * 2020-01-22 2021-06-01 华为技术有限公司 实现立体声输出的方法及终端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21070B1 (en) * 1998-05-14 2001-11-20 Motorola, Inc.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a speaker assembly
GB2359177A (en) * 2000-02-08 2001-08-15 Nokia Corp Orientation sensitive display and selection mechanism
US6819946B2 (en) * 2002-10-04 2004-11-16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source of sound emitted from a mobile terminal
JP3961397B2 (ja) 2002-10-29 2007-08-22 京セラ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
JP2004336091A (ja) 2003-04-30 2004-11-25 Nec Corp 折り畳み式携帯通信装置
JP4230847B2 (ja) * 2003-07-11 2009-02-25 株式会社東芝 携帯端末装置
US8155718B2 (en) 2003-09-03 2012-04-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Sliding/hinge apparatus for sliding/rotating type mobile terminals
KR100595705B1 (ko) 2003-12-10 2006-06-30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사운드 출력 보강장치
KR100608731B1 (ko) 2003-12-22 2006-08-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위블 휴대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통화방법
JP4281110B2 (ja) * 2004-02-12 2009-06-17 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電話用音導構造
JP3984968B2 (ja) * 2004-03-30 2007-10-03 埼玉日本電気株式会社 電子通信機器
JP2006019925A (ja) * 2004-06-30 2006-01-19 Sharp Corp 携帯情報端末、その開閉操作方法、およびその表示方法
JP4417188B2 (ja) 2004-06-30 2010-02-1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携帯端末
KR100663542B1 (ko) * 2004-07-30 2007-01-0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장치용 슬라이딩 스윙 장치
JP2006067386A (ja) * 2004-08-27 2006-03-09 Ntt Docomo Inc 携帯端末装置
EP1796350A4 (en) * 2004-10-01 2008-01-23 Sharp Kk MOBILE INFORMATION TERMINAL
KR100689486B1 (ko) * 2004-10-18 2007-03-02 삼성전자주식회사 공명 공간을 이용하는 폴더형 휴대 단말기의 스피커 장치
US7809414B2 (en) * 2005-12-14 2010-10-05 Sharp Kabushiki Kaisha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opening/closing operation method, and display method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88726A1 (ko) * 2016-11-09 2018-05-17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US10701469B2 (en) 2016-11-09 2020-06-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US10979794B2 (en) 2016-11-09 2021-04-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US11818526B2 (en) 2016-11-09 2023-11-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34799B1 (ko) 2012-04-13
ATE494722T1 (de) 2011-01-15
US20070291961A1 (en) 2007-12-20
DE602007011689D1 (de) 2011-02-17
EP1868357A2 (en) 2007-12-19
CN101090408A (zh) 2007-12-19
CN101090408B (zh) 2012-05-30
EP1868357A3 (en) 2008-02-13
JP2007336517A (ja) 2007-12-27
US8060160B2 (en) 2011-11-15
EP1868357B1 (en) 2011-01-05
JP4546987B2 (ja) 2010-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4799B1 (ko) 휴대 단말기
USRE47284E1 (en) Refrigerator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KR102609995B1 (ko) 음성인식 기능을 갖는 가전제품
US20120211656A1 (en) Mobile device with proximity sensor
CN113873070B (zh) 电子设备
WO2007060730A1 (ja) 携帯端末
JP2005128019A (ja) レーザー水準器
JP3989804B2 (ja) スピーカー内蔵型コンピュータ、携帯型コンピュータおよび携帯型コンピュータの組み立て方法
CA2552665A1 (en) Handheld electronic device having offset sound openings
JP5644748B2 (ja) オーディオ装置
CA2768420C (en) Mobile device with proximity sensor
KR100680325B1 (ko) 보조 에어홀을 갖는 스피커 장치
KR200229560Y1 (ko) 에어백이 구비된 휴대폰
JP2009230175A (ja) キー入力装置
CN204810521U (zh) 电声器件
KR200448078Y1 (ko) 축압식 소화기용 압력지시계
JP2008028595A (ja) ブザー装置及びこれを具えた携帯型電子機器
US20230175881A1 (en) Airtight-level sensor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JP7289210B2 (ja) インターホン機器
JP4417188B2 (ja) 携帯端末
JP5533989B2 (ja) 遊技機
JP4850245B2 (ja) 電気機械音響変換器の実装構造
KR100568208B1 (ko) 휴대용 컴퓨터
JP2008264025A (ja) 遊技機
GB2370670A (en) Emergency signalling device incorporating an audible warn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