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5705B1 - 휴대용 단말기의 사운드 출력 보강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기의 사운드 출력 보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5705B1
KR100595705B1 KR1020030089864A KR20030089864A KR100595705B1 KR 100595705 B1 KR100595705 B1 KR 100595705B1 KR 1020030089864 A KR1020030089864 A KR 1020030089864A KR 20030089864 A KR20030089864 A KR 20030089864A KR 100595705 B1 KR100595705 B1 KR 1005957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speaker
hole
output
ph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98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56808A (ko
Inventor
신동호
박완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898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5705B1/ko
Priority to JP2004354748A priority patent/JP4084797B2/ja
Priority to US11/009,880 priority patent/US20050130716A1/en
Priority to CN2004101000880A priority patent/CN1627773B/zh
Publication of KR200500568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68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57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57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3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e.g. telephone hand-sets
    • H04M1/035Improving the acoustic characteristics by means of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housing, e.g. ribs, walls, resonating chambers or cavi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etails Of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 Obtaining Desirable Characteristics In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사운드 출력 보강장치에 관한 것으로, 전면부에 음이 직접 출력되는 제1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1 통공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음이 위상 반전되어 출력되는 제2 통공이 형성되며, 전면부 내측에 스피커 결합부가 형성되는 폴더 케이스와; 상기 폴더 케이스의 스피커 결합부에 고정되는 스피커와; 상기 폴더 케이스의 전면부 내측으로 외부와 밀폐되도록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스피커에서 발생되는 음이 상기 제2 통공으로 위상 반전되어 출력되도록 유도하는 위상 반전용 에어덕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은 현재의 휴대폰용 스피커 유닛을 그대로 사용하면서도 단말기 내부에 위상 반전용 에어덕트(air duct)를 설치하여 스피커 유닛의 후방의 음을 전면의 두 통로로 나올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용적에 따른 저음재생의 한계를 배제할 수 있으며 재생 효율도 높일 수 있고, 또 전방의 음과 후방으로 출력되는 음을 모두 사용하여 저음 재생의 한계를 극복하고 출력 음압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의 사운드 출력 보강장치{APPARATUS TO REINFORCE THE OUT PUT OF SOUND FOR PORTABLE TERMINAL}
도 1 내지 도 3은 종래 휴대폰에 관한 것으로,
도 1은 종래 휴대폰를 폴더를 개방시켜 보인 사시도.
도 2는 스피커 설치 구조를 보인 평면도.
도 3은 단일 스피커 홀에서의 음출력 설명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단말기의 사운드 출력 보강장치를 보인 것으로,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단말기의 사운드 출력 보강장치를 보인 단면도.
도 5는 위상 반전용 에어덕트를 사용한 음출력 설명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폴더 케이스 101 : 제1 통공
102 : 제2 통공 103 : 스피커 결합부
200 : 스피커 300 : 위상 반전용 에어덕트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사운드 출력 보강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단말기 내부에 위상 반전용 에어덕트(air duct)를 설치하여 스피커 유닛의 후방의 음을 전면의 두 통로로 나올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용적에 따른 저음재생의 한계를 배제할 수 있으며 재생 효율도 높일 수 있고, 또 전방의 음과 후방으로 출력되는 음을 모두 사용하여 저음 재생의 한계를 극복하고 출력 음압을 높일 수 있도록 한 휴대용 단말기의 사운드 출력 보강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은 종래 휴대폰에 관한 것으로, 도 1에는 종래 휴대폰를 폴더를 개방시켜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2에는 폴더에서 어퍼 케이스를 분리하여 스피커 설치 구조를 보인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에는 단일 스피커 홀에서의 음출력 설명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휴대폰 본체(10)에 폴더(20)가 힌지부(30)에 의해 회전식으로 개폐되도록 되어 있고, 폴더(20)에 소리가 출력되는 송화부(4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송화부(40)는 폴더(20)에 형성된 리브(22)에 스피커(speaker)(41)가 결합되고, 폴더(20)의 상측부에 통공(21)이 형성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스피커(41) 를 1개만 사용한 시스템(system)의 휴대폰에서는 도 1및 도 3과 같이 폴더(20)의 통공(21) 1곳에서만 외부로 음이 출력된다. 이러한 시스템에서는 고음이나 저음의 구분 없이 스피커(41)와 접한 통공(21)에서 동시에 출력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휴대폰은 단말기의 내부 용적이 한정되어 있어서 음의 출력 효율이 떨어지며, 대형 스피커 유닛을 장착할 수가 없었으며, 이로 인하여 저음 재생에 한계가 있었고 스피커 유닛 후방의 음을 이용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 및 결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단말기 내부에 위상 반전용 에어덕트(air duct)를 설치하여 스피커 유닛의 후방의 음을 전면의 두 통로로 나올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용적에 따른 저음재생의 한계를 배제할 수 있으며 재생 효율도 높일 수 있고, 또 전방의 음과 후방으로 출력되는 음을 모두 사용하여 저음 재생의 한계를 극복하고 출력 음압을 높일 수 있게 되는 휴대용 단말기의 사운드 출력 보강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에 목적이 있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단말기의 사운드 출력 보강장치는 전면부에 음이 직접 출력되는 제1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1 통공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음이 위상 반전되어 출력되는 제2 통공이 형성되며, 전면부 내측에 스피커 결합부가 형성되는 폴더 케이스와; 상기 폴더 케이스의 스피커 결합부에 고정되는 스피커와; 상기 폴더 케이스의 전면부 내측으로 외부와 밀폐되도록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스피커에서 발생되는 음이 상기 제2 통공으로 위상 반전되어 출력되도록 유도하는 위상 반전용 에어덕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종래에는 스피커 후방으로 진행되는 출력이 단말기 내부에서 차폐되는 구조이나, 본 발명은 단말기 내부에 위상반전용 에어덕트(air duct)를 설치하여 후방음 이 전방으로 나올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므로 저음 재생의 한계를 극복하고 출력 음압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에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단말기의 사운드 출력 보강장치를 보인 것으로, 도 4에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단말기의 사운드 출력 보강장치를 보인 단면도가 도시되고, 도 5에는 위상 반전용 에어덕트를 사용한 음출력 설명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단말기의 사운드 출력 보강장치는 휴대용 단말기의 폴더 케이스(100)의 전면부에 음이 직접 출력되는 제1 통공(101)이 형성되고, 상기 제1 통공(101)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음이 위상 반전되어 출력되는 제2 통공(102)이 형성되어 있으며, 전면부 내측에 스피커 결합부(103)가 형성되어 이 스피커 결합부(103)에 스피커(200)가 고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 폴더 케이스(100)의 전면부 내측으로 상기 스피커(200)에서 발생되는 음이 상기 제2 통공(102)으로 위상 반전되어 출력되도록 유도하는 위상 반전용 에어덕트(300)가 외부와 밀폐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폴더 케이스(100)에 위상 반전용 에어덕트(air duct)(300)가 설치되고, 스피커(200)는 1개이며, 스피커(200)의 음이 출력되는 구멍은 도 4 및 도 5와 같이 제1,2 통공(101),(102) 2개가 존재한다.
그리고, 그림에서처럼 스피커(200) 바로 밑에 뚫려져 있는 제1 통공(101)을 통해서는 스피커(200)에서 나오는 모든 음이 나오게 된다. 반대로 스피커(200) 후 면으로 나오는 음은 위상 반전용 에어덕트(300)를 통해 돌아서 제2 통공(102)를 통해 나오게 된다.
이와 같이 제1,2 통공(101),(102)를 향해 음파가 진행하면서 낮은 주파수의 음(저음)은 계속 진행하나 높은 주파수의 음(고음)은 진행하면서 출력량이 초기에 비해 급속히 감소하며, 이는 저음에 비해 고음은 높은 주파수로 인해 회절에 약한 특성을 보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이유로 제2 통공(102)를 통해 나오는 음은 주로 저음영역대의 음파만이 나오게 된다.
여기서 위상 반전용 에어덕트(300)는 두 제1,2 통공(101),(102) 사이에서 음파가 새지 않도록 실링(sealing)을 빈틈 없이 견고하게 처리해야 하며, 이는 실링이 안 되었을 경우 음의 특성상 음압이 저하되어 효과가 반감될 수 있기 때문이다.
기존 스피커 시스템과 본 발명에 따라 위상 반전용 에어덕트(air duct)를 적용한 시스템과의 차이점을 도 3과 도 5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종래에는 폴더(20)에 형성된 하나의 통공(21)을 통하여 저음과 고음이 출력되나, 본 발명은 스피커(200)음이 발생되면 제1 통공(101)으로는 저음과 고음이 출력되고 제2 통공(102)으로는 위상 반전용 에어덕트(300)를 통해 저음이 출력된다. 따라서 위상 반전용 에어덕트(300)를 적용한 본 발명의 시스템에서 기존의 출력음에 저음을 보강해 주는 역할을 하게 됨을 보여주고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휴대폰에 있어서 좀 더 웅장한 효과를 볼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휴대용 단말기의 사운드 출력 보강장치는 현재의 휴대폰용 스피커 유닛을 그대로 사용하면서도 단말기 내부에 위상 반전용 에어덕트(air duct)를 설치하여 스피커 유닛의 후방의 음을 전면의 두 통로로 나올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용적에 따른 저음재생의 한계를 배제할 수 있으며 재생 효율도 높일 수 있고, 또 전방의 음과 후방으로 출력되는 음을 모두 사용하여 저음 재생의 한계를 극복하고 출력 음압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전면부에 음이 직접 출력되는 제1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1 통공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음이 위상 반전되어 출력되는 제2 통공이 형성되며, 전면부 내측에 스피커 결합부가 형성되는 폴더 케이스와;
    상기 폴더 케이스의 스피커 결합부에 고정되는 스피커와;
    상기 폴더 케이스의 전면부 내측으로 외부와 밀폐되도록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스피커에서 발생되는 음이 상기 제2 통공으로 위상 반전되어 출력되도록 유도하는 위상 반전용 에어덕트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사운드 출력 보강장치.
KR1020030089864A 2003-12-10 2003-12-10 휴대용 단말기의 사운드 출력 보강장치 KR1005957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9864A KR100595705B1 (ko) 2003-12-10 2003-12-10 휴대용 단말기의 사운드 출력 보강장치
JP2004354748A JP4084797B2 (ja) 2003-12-10 2004-12-07 携帯用端末機のサウンド出力装置
US11/009,880 US20050130716A1 (en) 2003-12-10 2004-12-10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sound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N2004101000880A CN1627773B (zh) 2003-12-10 2004-12-10 移动终端的声音输出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9864A KR100595705B1 (ko) 2003-12-10 2003-12-10 휴대용 단말기의 사운드 출력 보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6808A KR20050056808A (ko) 2005-06-16
KR100595705B1 true KR100595705B1 (ko) 2006-06-30

Family

ID=346513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9864A KR100595705B1 (ko) 2003-12-10 2003-12-10 휴대용 단말기의 사운드 출력 보강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50130716A1 (ko)
JP (1) JP4084797B2 (ko)
KR (1) KR100595705B1 (ko)
CN (1) CN162777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79260A (ja) * 2005-03-28 2006-10-12 Nec Saitama Ltd 携帯端末
JP2007150393A (ja) * 2005-11-24 2007-06-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話装置
KR101134799B1 (ko) * 2006-06-15 2012-04-13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KR20080010625A (ko) * 2006-07-27 2008-01-31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바일 기기
KR100897794B1 (ko) * 2006-10-25 2009-05-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피커 유닛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US8005517B2 (en) * 2006-10-25 2011-08-23 Lg Electronics Inc. Mobile communication device
KR100862294B1 (ko) * 2007-01-19 2008-10-13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에 장착되는 사운드 가이드
US9407984B2 (en) * 2011-02-24 2016-08-02 Htc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sound quality
US20150326700A9 (en) * 2011-04-28 2015-11-12 Robert B. Weaver, III Cover or device with a sound concentrator
US8971974B2 (en) * 2011-04-28 2015-03-03 Nflukz, Llc Cover for hand-held electronic device
TWI458358B (zh) * 2011-05-23 2014-10-21 Wistron Corp Electronic device speaker structure
KR101910839B1 (ko) * 2011-11-07 2018-10-24 삼성전자주식회사 음향출력부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US8976992B2 (en) 2012-05-16 2015-03-10 Google Inc. Speaker porting around backlit keyboard
TWI583207B (zh) * 2013-10-23 2017-05-11 宏碁股份有限公司 手持式電子裝置
KR102209513B1 (ko) * 2014-07-01 2021-0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근접조도센서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이동 단말기
US10149044B2 (en) * 2014-07-21 2018-12-04 Nokia Technologies Oy Vibration damping structure for audio device
CN105227719B (zh) * 2015-10-14 2018-04-03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
DE102016204029A1 (de) * 2016-03-11 2017-09-14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Top-Case mit integrierter Lautsprecheranordnung
CN105933803A (zh) * 2016-05-24 2016-09-07 青岛海信移动通信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
US10863268B1 (en) * 2019-09-13 2020-12-08 Facebook Technologies, Llc Display device with peripherally surrounding audio trench and acoustic port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53655A (en) * 1988-04-04 1990-09-04 Yamaha Corporation Acoustic apparatus
US5432860A (en) * 1990-02-09 1995-07-11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Speaker system
US6389145B2 (en) * 1998-07-24 2002-05-14 Agere Systems Guardian Corp. Methods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output of moving armature transducers
DK173789B1 (da) * 1998-10-05 2001-10-22 Kirk Acoustics As Elektroakustisk kommunikationsenhed
JP2001231088A (ja) * 2000-02-18 2001-08-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音声発生装置及び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627773A (zh) 2005-06-15
KR20050056808A (ko) 2005-06-16
JP2005176373A (ja) 2005-06-30
US20050130716A1 (en) 2005-06-16
CN1627773B (zh) 2010-09-15
JP4084797B2 (ja) 2008-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95705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사운드 출력 보강장치
US6758303B2 (en) Electronic device having a multi-mode acoustic system and method for radiating sound waves
US6064894A (en) Portable radio telephone having improved speaker and housing assembly for handsfree and private operation
US6389145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output of moving armature transducers
CN1166251C (zh) 便携式电子设备的集成扬声器组件
JP2002320291A (ja) スピーカ装置
JP2003169119A (ja) 携帯端末機用スピーカ
US11272303B2 (en) Mobile terminal with at least two transducers
JP4764340B2 (ja) 逆向きに取り付けられたマイクロ・スピーカ組立体とこれを含む移動体端末
US20040202343A1 (en) Speakerphone accessory assembly
US7187956B2 (en) Portable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icrophone device for the apparatus
JPH07203574A (ja) 送話口構造
WO2024093818A1 (zh) 电子设备
CN102138319A (zh) 具有宽通频带电声学链的无绳电话手持机
EE04412B1 (et) Madalas sagedusalas tõstetud sageduskarakteristikuga telefon
CN213368126U (zh) 音箱及电子设备
CN217183464U (zh) 扬声器模组以及电子设备
BR0011450A (pt) Fone de ouvido de comunicação sem ruìdo de impulso e de alta frequência
CN210053551U (zh) 内藏式倒相管音箱
WO2009104834A1 (en) Noise removal headphones
CN209964290U (zh) 扬声器箱
KR200285857Y1 (ko)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
JP2003158786A (ja) スピーカシステム
KR20060060410A (ko) 공명통을 일체로 갖는 스피커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휴대용 단말기
KR20020012931A (ko) 자동차용 저음 보강용 스피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4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