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17460A - 도어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도어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17460A
KR20070117460A KR1020070054255A KR20070054255A KR20070117460A KR 20070117460 A KR20070117460 A KR 20070117460A KR 1020070054255 A KR1020070054255 A KR 1020070054255A KR 20070054255 A KR20070054255 A KR 20070054255A KR 20070117460 A KR20070117460 A KR 200701174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lever
open
handle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42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86896B1 (ko
Inventor
히데아키 노자와
Original Assignee
미쓰이 긴조꾸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이 긴조꾸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이 긴조꾸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1174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74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68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68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7/00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 E05B77/22Functions related to actuation of locks from the passenger compartment of the vehicle
    • E05B77/24Functions related to actuation of locks from the passenger compartment of the vehicle preventing use of an inner door handle, sill button, lock knob or the like
    • E05B77/26Functions related to actuation of locks from the passenger compartment of the vehicle preventing use of an inner door handle, sill button, lock knob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child safety
    • E05B77/265Functions related to actuation of locks from the passenger compartment of the vehicle preventing use of an inner door handle, sill button, lock knob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child safety hand actuated, e.g. by a lever at the edge of the do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02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actuators used
    • E05B81/04Electrical
    • E05B81/06Electrical using rotary mo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12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or purpose of the powered actuators
    • E05B81/16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or purpose of the powered actuators operating on locking elements for locking or unlocking a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12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or purpose of the powered actuators
    • E05B81/20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or purpose of the powered actuators for assisting final closing or for initiating open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54Electrical circuits
    • E05B81/64Monitoring or sensing, e.g. by using switches or sens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36Locks for passenger or like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36Locks for passenger or like doors
    • E05B83/40Locks for passenger or like doors for sliding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8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sliding w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92/00Closure fasteners
    • Y10S292/23Vehicle door latch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2/00Closure fasteners
    • Y10T292/08Bolts
    • Y10T292/1043Swinging
    • Y10T292/1044Multiple head
    • Y10T292/1045Operating means
    • Y10T292/1047Clos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2/00Closure fasteners
    • Y10T292/08Bolts
    • Y10T292/1043Swinging
    • Y10T292/1075Operating means
    • Y10T292/1082Mo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2/00Closure fasteners
    • Y10T292/57Operators with knobs or hand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작업을 용이화할 수 있는 도어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도어 개폐장치에는 한쪽 방향으로 회전한 경우에 도어 폐쇄 래치 유닛을 해제동작시키는 한편, 다른쪽 방향으로 회전한 경우에 도어 개방 래치 유닛을 해제동작시키는 도어 조작레버(110)를 인사이드 핸들 레버축(102)에 의하여 베이스플레이트(101)에 설치하고, 또한 이 도어 조작레버에 걸어맞추는 형태로 인사이드 핸들에 조작 출력부(311)를 형성함으로써, 인사이드 핸들이 도어 개방조작, 또는 도어 폐쇄조작된 경우에 각각 조작 출력부를 도어 조작레버(110)에 맞닿게 함으로써 도어 조작레버(110)를 원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하고 있다. 또한 도어 개폐장치에는 도어 조작레버의 다른쪽 방향으로의 회전동작을 도어 개방 래치 유닛에 전달하기 위한 하측 오픈 레버(160)를 인사이드 핸들 레버축에 의하여 베이스플레이트에 설치하고 있다.

Description

도어 개폐장치{DOOR OPENING/CLOSING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인 도어 개폐장치를 적용한 슬라이드 도어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슬라이드 도어를 구비하는 4륜 자동차의 측면도,
도 3은 도 1에 나타낸 도어 개폐장치의 컨트롤 유닛을 차량 실내측에서 본 도,
도 4는 도 3에 나타낸 컨트롤 유닛의 상세 구성을 차량 실내측에서 본 도,
도 5는 도 3에 나타낸 컨트롤 유닛의 상세 구성을 차량 실외측에서 본 도,
도 6은 도 3에 나타낸 컨트롤 유닛에 적용하는 베이스플레이트를 차량 실내측에서 본 도,
도 7은 도 3에 나타낸 컨트롤 유닛에 적용하는 도어 조작레버를 차량 실내측에서 본 도,
도 8은 도 3에 나타낸 컨트롤 유닛에 적용하는 링크 레버를 차량 실내측에서 본 도,
도 9는 도 3에 나타낸 컨트롤 유닛에 적용하는 차일드 록 레버를 차량 실내측에서 본 도,
도 10은 도 3에 나타낸 컨트롤 유닛에 적용하는 오픈 레버를 차량 실내측에 서 본 도,
도 11은 도 3에 나타낸 컨트롤 유닛에 적용하는 오픈 서브 레버를 차량 실내측에서 본 도,
도 12는 도 3에 나타낸 컨트롤 유닛에 적용하는 하측 오픈 레버를 차량 실내측에서 본 도,
도 13은 도 3에 나타낸 컨트롤 유닛에 적용하는 오픈 핸들 레버를 차량 실내측에서 본 도,
도 14는 도 3에 나타낸 컨트롤 유닛에 적용하는 록킹 레버를 차량 실내측에서 본 도,
도 15는 도 1에 나타낸 도어 개폐장치에 적용하는 인사이드 핸들의 단면측면도,
도 16은 도 15에 나타낸 인사이드 핸들이 도어 개방 조작된 상태를 나타내는 횡단면도,
도 17은 도 15에 나타낸 인사이드 핸들이 도어 폐쇄 조작된 상태를 나타내는 횡단면도,
도 18은 도 3에 나타낸 컨트롤 유닛의 초기상태를 나타내는 개념도,
도 19는 도 3에 나타낸 컨트롤 유닛에서 인사이드 핸들을 도어 개방 조작한 상태를 나타내는 개념도,
도 20은 도 3에 나타낸 컨트롤 유닛에서 인사이드 핸들을 도어 폐쇄 조작한 상태를 나타내는 개념도,
도 21은 도 3에 나타낸 컨트롤 유닛에서 아웃사이드 핸들을 조작한 상태를 나타내는 개념도,
도 22는 도 3에 나타낸 컨트롤 유닛의 록상태를 나타내는 개념도,
도 23은 도 3에 나타낸 컨트롤 유닛이 록상태에 있는 경우에 인사이드 핸들을 도어 개방 조작한 상태를 나타내는 개념도,
도 24는 도 3에 나타낸 컨트롤 유닛이 록상태에 있는 경우에 아웃사이드 핸들을 조작한 상태를 나타내는 개념도,
도 25는 도 3에 나타낸 컨트롤 유닛의 차일드 록상태를 나타내는 개념도,
도 26은 도 3에 나타낸 컨트롤 유닛이 차일드 록상태에 있는 경우에 인사이드 핸들을 도어 개방 조작한 상태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 베이스플레이트
102 : 인사이드 핸들 레버축(회전축부재)
110 : 도어 조작레버 120 : 링크 레버
130 : 차일드 록 레버 140 : 오픈 레버
150 : 오픈 서브 레버 160 : 하측 오픈 레버(중간 레버)
170 : 오픈 핸들 레버 180 : 록킹 레버
190 : 록킹 엑츄에이터 300 : 핸들 베이스부재
310 : 조작 핸들부재 311 : 조작 출력부
320 : 조작 축부재 340 : 록 노브
CR : 도어 폐쇄 래치 유닛 D : 슬라이드 도어
DO : 승차구 IH : 인사이드 핸들
OH : 아웃사이드 핸들 OR : 도어 개방 래치 유닛
본 발명은 인사이드 핸들을 도어 개방 조작한 경우에 도어 폐쇄 유지수단을 해제 동작시킴으로써 차량 본체에 대한 도어의 개성 이동(opening movement)을 허용하는 한편, 인사이드 핸들을 도어 폐쇄 조작한 경우에 도어 개방 유지수단을 해제동작시킴으로써 차량 본체에 대한 도어의 폐성 이동(closing movement)을 허용하도록 한 도어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슬라이드 도어를 적용하는 차량에는, 통상 차량 본체와 슬라이드 도어의 사이에 도어 폐쇄 유지수단 및 도어 개방 유지수단이 설치되어 있다. 도어 폐쇄 유지수단은, 차량 본체에 대하여 슬라이드 도어를 도어 폐쇄상태로 유지하는 것이고, 한편 도어 개방 유지수단은, 차량 본체에 대하여 슬라이드 도어를 도어 개방상태로 유지하는 것이다.
이 종류의 차량에 적용하는 도어 개폐장치로서는, 인사이드 핸들의 도어 개방조작에 의하여 회전동작함으로써 도어 폐쇄 유지수단을 해제동작시키는 도어 개방조작 레버와, 인사이드 핸들의 도어 폐쇄조작에 의하여 회전동작함으로써 도어 개방 유지수단을 해제동작시키는 도어 폐쇄조작 레버를 구비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즉, 슬라이드 도어가 폐쇄상태에 있는 경우에 인사이드 핸들을 도어 개방조작하면, 도어 개방조작 레버의 회전동작에 의하여 도어 폐쇄 유지수단이 해제동작되기 때문에, 슬라이드 도어를 개성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슬라이드 도어가 개방상태에 있는 경우에 인사이드 핸들을 도어 폐쇄조작하면, 도어 폐쇄조작 레버의 회전동작에 의하여 도어 개방 유지수단이 해제동작되기 때문에, 슬라이드 도어를 폐성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예를 들면, 특허문헌1 참조).
[특허문헌 1]
일본국 특개2001-182402호 공보
상기한 도어 개폐장치에서는 인사이드 핸들과 도어 개방조작 레버 및 도어 폐쇄조작 레버를 일체의 유닛으로서 구성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차량에 대하여 설치하는 경우에 이들을 개별로 취급할 필요가 없어, 설치작업의 용이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러나 인사이드 핸들과 도어 개방조작 레버 및 도어 폐쇄조작 레버의 사이에, 각각 동력을 전달시키도록 링크 로드나 와이어 케이블을 설치하는 작업을 행하지 않으면 안되어 도어 개폐장치 자신의 조립작업은 매우 번잡하다.
본 발명은 상기 실정을 감안하여 조립작업을 용이화할 수 있는 도어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관한 도어 개폐장치 는, 인사이드 핸들을 도어 개방조작한 경우에 도어 폐쇄 유지수단을 해제동작시킴으로써 차량 본체에 대한 도어의 개성 이동(opening movement)을 허용하는 한편, 인사이드 핸들을 도어 폐쇄조작한 경우에 도어 개방 유지수단을 해제동작시킴으로써 차량 본체에 대한 도어의 폐성 이동(Closing movement)을 허용하도록 한 도어 개폐장치로서, 한쪽 방향으로 회전한 경우에 도어 폐쇄 유지수단을 해제동작시키는 한편, 다른쪽 방향으로 회전한 경우에 도어 개방 유지수단을 해제동작시키는 도어 조작레버를 회전축부재에 의하여 베이스플레이트에 설치하고, 또한 이 도어 조작레버에 걸어맞추는 형태로 인사이드 핸들에 조작 출력부를 형성함으로써, 인사이드 핸들이 도어 개방조작, 또는 도어 폐쇄조작된 경우에 각각 조작 출력부를 도어 조작레버에 맞닿게 함으로써 상기 도어 조작레버를 원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또한 도어 조작레버의 다른쪽 방향으로의 회전동작을 도어 개방 유지수단에 전달하기 위한 중간 레버를 상기 회전축부재에 의하여 베이스플레이트에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관한 도어 개폐장치의 적합한 실시형태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인 도어 개폐장치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예시하는 도어 개폐장치는, 인사이드 핸들(IH)이 조작된 경우, 또는 아웃사이드 핸들(OH)이 조작된 경우에 각각 컨트롤 유닛(100)이 적절하게 동작하고,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4륜 자동차의 차량 본체(B)와 슬라이드 도어(D) 사이에 설 치한 도어 폐쇄 래치 유닛(CR) 및/또는 도어 개방 래치유닛(OR)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도어 개폐장치의 적용대상이 되는 슬라이드 도어(D)는, 차량 본체(B)의 옆쪽을 따라 전후로 슬라이드함으로써 승차구(DO)를 개폐하는 것이다. 또한 이하에 서는 차량 본체(B)의 오른쪽에 설치되는 슬라이드 도어(D)(오른쪽 핸들차에서는 운전석의 뒤쪽측에 설치되는 도어)를 적용대상으로 한 도어 개폐장치에 대하여 차례로 설명을 행한다. 차량 본체(B)의 왼쪽에 설치되는 슬라이드 도어에 관해서는 이하를 대칭으로 구성하면 좋다.
도어 폐쇄 래치 유닛(CR)은, 차량 본체(B)에 대하여 슬라이드 도어(D)를 도어 폐쇄상태로 유지하는 도어 폐쇄 유지수단을 구성하는 것이고, 슬라이드 도어(D)의 뒷 가장자리부와 차량 본체(B)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음과 함께, 슬라이드 도어(D)의 앞 가장자리부와 차량 본체(B)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슬라이드 도어(D)의 뒷 가장자리부와 차량 본체(B)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도어 폐쇄 래치 유닛(CR)은, 클로저장치(CL)를 구비한 것을 적용하고 있다. 이 클로저장치(CL)는 도시 생략한 클러치기구를 내장한 엑츄에이터이고, 도어 폐쇄 래치 유닛(CR)이 하프 래치상태가 된 경우에, 클러치기구가 접속상태인 것을 조건으로, 이것을 풀 래치상태로 이행시키도록 기능한다. 하프 래치상태로부터 풀 래치상태로의 이행 도중에도 클러치기구가 접속상태에서 차단상태가 되면, 즉시 이행동작을 중단하도록구성되어 있다.
도어 개방 래치 유닛(OR)은, 차량 본체(B)에 대하여 슬라이드 도어(D)를 도 어 개방상태로 유지하는 도어 개방 유지수단을 구성하는 것이고, 슬라이드 도어(D)에 설치한 서포트 프레임(SF)과 차량 본체(B)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서포트 프레임(SF)이란, 슬라이드 도어(D)를 차량 본체(B)에 대하여 슬라이드 이동시킬 때의 가이드가 되는 부분이다. 이와 같은 서포트 프레임(SF)은, 도어 인너 패널(IP)의 앞쪽 하단부에서 차량 안쪽을 향하여 돌출 설치되어 있다.
도면에는 명시하고 있지 않으나, 이들 도어 폐쇄 래치 유닛(CR) 및 도어 개방 래치 유닛(OR)은, 어느 것이나 종전의 것과 동일한 구성을 가진 것으로, 예를 들면 차량 본체(B)에 설치한 스트라이커에 맞물리는 래치와, 이 래치의 이동을 제어하는 래칫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도 3 내지 도 14는 본 실시형태에서 적용하는 컨트롤 유닛(100)의 구성예를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예시하는 컨트롤 유닛(100)은, 슬라이드 도어(D)의 도어 인너 패널(IP)에서의 차량 실내측의 외표면 윗쪽부에 베이스플레이트(101)를 거쳐 설치되는 것으로, 베이스플레이트(101)에 회전축부재인 인사이드 핸들 레버축(102)을 구비하고, 또한 이 인사이드 핸들 레버축(102)에 도어 조작레버(110),하측 오픈 레버(중간 레버)(160), 및 링크 레버(120)를 구비하고 있음과 동시에, 베이스플레이트(101)에서 인사이드 핸들 레버축(102)의 주위가 되는 부위에 차일드 록 레버(130)를 구비하고 있다.
도어 조작레버(110)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이스플레이트(101)의 이면측(차량 바깥쪽)에서 인사이드 핸들 레버축(102)의 축심 주위로 회전하는 형태로 인사이드 핸들 레버 축(102)의 선단부에 설치한 것으로,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 이 원판형상을 하는 조작레버 기초부(111)의 주위에 링크 걸어맞춤부(112), 인사이드 핸들 걸어맞춤부(113) 및 제 1 스프링 걸어맞춤부(115)를 가지고 있다.
링크 걸어맞춤부(112)는 조작레버 기초부(111)의 차량 앞쪽측에 위치하는 부분으로부터 차량 앞쪽측을 향하여 연장된 부분이다.
인사이드 핸들 걸어맞춤부(113)는 조작레버 기초부(111)의 아래쪽측에 위치하는 부분에서 대략 아래쪽을 향하여 연장되고, 또한 연장 끝부를 차량 뒤쪽측을 향하여 폭 넓게 형성한 부분이다. 이 인사이드 핸들 걸어맞춤부(113)는, 링크 걸어맞춤부(112)보다 충분히 큰 길이로 구성한 것으로, 차량 앞쪽측에 위치하는 옆 가장자리부에 도어 개방 조작 검출부(116)를 가지고 있음과 동시에, 폭이 넓은 연장 끝부에 출력부 걸어맞춤구멍(117) 및 도어 폐쇄 조작 검출부(118)를 가지고 있다.
도어 개방 조작 검출부(116)는, 차량 앞쪽측을 향하여 아래쪽으로 경사 연장된 후, 차량 뒤쪽측을 향하여 아래쪽으로 경사 연장된 부분이다. 이 도어 개방조작 검출부(116)는 인사이드 핸들 걸어맞춤부(113)가 아래쪽으로 연장된 상태에 있는 경우에 베이스플레이트(101)에 설치한 제 1 도어 조작 검출센서(S1)로부터 격리하는 한편, 도 5에서 도어 조작레버(11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 경우에 제1 도어 조작 검출센서(S1)에 맞닿아 이것을 온 조작하는 것이다. 출력부 걸어맞춤구멍(117)은, 차량 앞쪽측에 위치하는 부위에 앞쪽측 맞닿음면(117a)을 가짐과 동시에, 차량 뒤쪽측에 위치하는 부위에 뒤쪽측 맞닿음면(117b)을 구성하는 형태로 인사이드 핸들 걸어맞춤부(113)의 연장 끝부에 형성되어 있다. 도 4에 나타내는 바 와 같이 인사이드 핸들 걸어맞춤부(113)에서 출력부 걸어맞춤구멍(117)을 형성한 부분은, 베이스플레이트(101)에 형성한 삽입 창구멍(101a)을 거쳐 표면측(차량 안쪽)에 노출되어 있다. 도어 폐쇄 조작 검출부(118)는, 인사이드 핸들 걸어맞춤부(113)의 선단에서 인사이드 핸들 레버축(102)의 지름 바깥방향을 향하여 돌출된 부분이다. 이 도어 폐쇄 조작 검출부(118)는, 인사이드 핸들 걸어맞춤부(113)가 아래쪽으로 연장된 상태에 있는 경우에 베이스플레이트(101)에 설치한 제2 도어 조작 검출센서(S2)로부터 격리되는 한편, 도 5에서 도어 조작레버(11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한 경우에 제 2 도어 조작 검출센서(S2)에 맞닿아 이것을 온 조작하는 것이다.
제 1 스프링 걸어맞춤부(115)는, 조작레버 기초부(111)의 윗쪽측에 위치하는 부분으로부터 윗쪽을 향하여 연장된 부분이다. 이 제 1 스프링 걸어맞춤부(115)에는 베이스플레이트(101)에 설치한 스프링 걸어맞춤 기초부(101b)와의 사이에 복귀 스피럴 스프링(103)이 걸어맞춰져 있다. 복귀 스피럴 스프링(103)은 도어 조작레버(110)를 그 인사이드 핸들 걸어맞춤부(113)가 아래쪽을 향하여 연장된 상태(常態) 위치에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
하측 오픈 레버(160)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이스플레이트(101)의 이면측에서 베이스플레이트(101)와 도어 조작레버(110)의 사이로서, 인사이드 핸들 레버축(102)의 축심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되는 형태로 인사이드 핸들 레버축(102)에 배치된 것이고,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판형상을 하는 하측 오픈 레버 기초부(161)의 주위에 도어 조작레버 접속부(162) 및 제 3 와이어 케이블 접속 부(163)를 가지고 있다.
도어 조작레버 접속부(162)는, 하측 오픈 레버 기초부(161)의 차량 앞쪽측에 위치하는 부분에서 윗쪽을 향하여 연장된 부분이고, 걸어맞춤 볼록부(162a)를 가지고 있다. 걸어맞춤 볼록부(162a)는 도어 조작레버 접속부(162)의 상단을 따른 가장자리부로부터 차량 바깥쪽을 향하여 굴곡 연장된 부분이고, 차량 뒤쪽측에 위치하는 부분이 도어 조작레버(110)의 제 1 스프링 걸어맞춤부(115)의 차량 앞쪽측에 위치하는 부분에 맞닿아 걸어맞춰져 있다. 이 도어 조작레버 접속부(162)의 차량 바깥쪽을 향하여 굴곡 연장시킨 부분의 선단부에는, 제 2 코일 스프링(164)이 접속되어 있다. 제 2 코일 스프링(164)은, 베이스플레이트(101)와의 사이에 개재시킨 것으로, 하측 오픈 레버(160)를 도 5에서 항시 반시계방향으로 가압하는 것이다.
제 3 와이어 케이블 접속부(163)는, 하측 오픈 레버 기초부(161)의 차량 뒤쪽측에 위치하는 부분으로부터 차량 뒤쪽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부분이다. 이 제 3 와이어 케이블 접속부(163)에는, 제 3 와이어 케이블(WC3)의 한쪽 끝이 연결되어 있다. 제 3 와이어 케이블( WC3)은, 그 다른쪽 끝부가 도어 개방 래치 유닛(OR)에 연계되어 있고, 인장 조작된 경우에 도어 개방 래치 유닛(OR)을 해제동작시키는 것이다.
링크 레버(120)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이스플레이트(101)의 이면측에서 베이스플레이트(101)와 하측 오픈 레버(160)의 사이로서, 인사이드 핸들 레버축(102)의 축심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되는 형태로 인사이드 핸들 레버축(102)에 설치한 것이고,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판형상을 이루는 링크 레버기초 부(121)의 주위에 핀 슬라이드부(122), 링크 슬라이드 접속부(123) 및 제 2 스프링 걸어맞춤부(124)를 가지고 있다.
핀 슬라이드부(122)는, 링크 레버 기초부(121)의 차량 앞쪽측에 위치하는 부분에서 차량 앞쪽측을 향하여 연장된 부분이고, 도어 조작레버(110)의 링크 걸어맞춤부(112)보다 큰 길이로 형성되어 있다. 이 핀 슬라이드부(122)에는 인사이드 핸들 레버축(102)의 축심에 대하여 지름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핀 슬라이드 홈(122a)이 설치되어 있다.
링크 슬라이드 접속부(123)는, 링크 레버 기초부(121)의 아래쪽측에 위치하는 부분에서 차량 뒤쪽측을 향하여 아래쪽으로 경사 연장된 후, 차량 앞쪽측을 향하여 굴곡 연장된 부분이고, 이 차량 앞쪽측을 향하여 연장된 부분에 슬라이드홈 구멍(123a)을 가지고 있다. 슬라이드 홈 구멍(123a)은, 인사이드 핸들 레버축(102)의 축심을 중심으로 한 원호형상으로 형성한 폭이 좁은 노치이다. 이 링크 슬라이드 접속부(123)에는 연결 핀(LF2)을 슬라이드 홈 구멍(123a)에 삽입시키는 형태로 연결 링크(L2)의 한쪽 끝부가 연결되어 있다.
제 2 스프링 걸어맞춤부(124)는, 핀 슬라이드부(122)가 도어 조작레버(110)의 링크 걸어맞춤부(112)를 따라 연장된 경우에 링크 레버 기초부(121)의 윗쪽측에 위치하는 부분에서 도어 조작레버(110)의 제 1 스프링 걸어맞춤부(115)를 따라 윗쪽으로 연장된 부분이다. 이 제 2 스프링 걸어맞춤부(124)에는, 도어 조작레버(110)의 제 1 스프링 걸어맞춤부(115)에 걸어 맞춘 복귀 스피럴 스프링(103)이 걸어맞춰져 있다. 링크 레버(120)에 대하여 복귀 스피럴 스프링(103)은 핀 슬라이 드부(122)를 도어 조작레버(110)의 링크 걸어맞춤부(112)를 따라 연장된 상태(常態)의 위치에 유지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차일드 록 레버(130)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이스플레이트(101)의 표면측에서 인사이드 핸들 레버축(102)보다 차량 앞쪽측이 되는 부위에 차일드 록 레버축(131)을 거쳐 회전 가능하게 배치한 것으로,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핀 작용부(132) 및 변환 조작부(133)를 가지고 있다.
핀 작용부(132)는, 차일드 록 레버축(131)에서 링크 레버(120)의 핀 슬라이드부(122)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부분이고, 핀 작용 홈(132a)을 가지고 있다. 핀 작용 홈(132a)은 핀 작용부(132)의 길이방향를 따라 연장된 것으로, 그 내부에 걸어맞춤 핀(134)을 가지고 있다. 걸어맞춤 핀(134)은, 핀 작용 홈(132a)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한 것으로, 차량 바깥쪽에 위치하는 끝부가 베이스플레이트(101)의 핀 삽입 개구(101c)를 거쳐 이면측으로 돌출하여, 상기한 링크 레버(120)의 핀 슬라이드 홈(122a)에 걸어맞춰져 있다.
변환 조작부(133)는, 차일드 록 레버(130)를 언록위치와 록위치로 변환 조작하기 위한 부분이고, 베이스플레이트(101)의 앞쪽 끝 가장자리로부터 돌출하는 형태로 차일드 록 레버축(131)에서 차량 앞쪽측을 향하여 연장된 부분이다. 이 차일드 록 레버(130)는, 언록위치에 점위한 경우, 링크 레버(120)의 핀 슬라이드부(122)에서 걸어맞춤 핀(134)을 도어 조작레버(110)에서의 링크 걸어맞춤부(112)의 회전 이동 영역에 점위시키는 한편, 록위치에 점위한 경우, 링크 레버(120)의 핀 슬라이드부(122)에서 걸어맞춤 핀(134)을 도어 조작레버(110)에서의 링크 걸어 맞춤부(112)의 회전 이동 영역 밖에 점위시키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또, 상기 컨트롤 유닛(100)은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이스플레이트(101)에서 인사이드 핸들 레버축(102)보다 차량 뒤쪽측이 되는 부위에 제 2 회전축부재인 레버축(104)을 가지고 있고, 그 레버축(104)보다 더욱 차량 뒤쪽측이 되는 부위에 제 3 회전축부재인 록킹 레버축(105)을 가지고 있다. 상기 레버축(104)에는 오픈 레버(140), 오픈 서브 레버(150) 및 오픈 핸들 레버(70)를 설치하고 있다. 이들 오픈 레버(140), 오픈 서브 레버(150) 및 오픈 핸들 레버(70)는 공통의 레버축(104)에 설치되어 있으나, 레버축(104)의 축심 주위로 개별로 회전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록킹 레버축(105)에는 록킹 레버(180)를 설치하고 있다.
오픈 레버(140)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이스플레이트(101)의 표면측에서 레버축(104)의 축심 주위로 회전하는 형태로 인사이드 핸들 레버축(102)에 설치한 것으로,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서브 레버 걸어맞춤부(141) 및 와이어 케이블 접속부(142)를 가지고 있다.
서브 레버 걸어맞춤부(141)는, 레버축(104)으로부터 윗쪽을 향하여 연장된 부분이고, 록핀 슬라이드 홈(141a)과 걸어맞춤 볼록부(141b)를 가지고 있다. 록핀 슬라이드 홈(141a)은, 레버축(104)의 축심에 대하여 지름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로 직선형상으로 형성된 홈이다. 걸어맞춤 볼록부(141b)는, 서브 레버 걸어맞춤부(141)의 차량 뒤쪽측을 따른 가장자리부로부터 베이스플레이트(101)를 향하여 굴곡 연장된 부분이고, 베이스플레이트(101)에 설치한 레버 관통구멍(101d)을 거쳐 베이스플레이트(101)의 이면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와이어 케이블 접속부(142)는, 레버축(104)에서 아래쪽을 향하여 약간 차량 뒤쪽측으로 경사 연장된 부분이다. 이 와이어 케이블 접속부(142)에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와이어 케이블(WC1)의 한쪽 끝부 및 제 2 와이어 케이블 (WC2)의 한쪽 끝부가 각각 연결되어 있다. 제 1 와이어 케이블(WC1)은, 그 다른쪽 끝부가 슬라이드 도어(D)의 뒷 가장자리부의 도어 폐쇄 래치 유닛(CR)에 연계되어 있어, 인장 조작된 경우에 그 도어 폐쇄 래치 유닛(CR)를 해제동작시키는 것임과 동시에, 그 도어 폐쇄 래치 유닛(CR)이 가지는 클로저장치(CL)의 클러치기구를 접속상태에서 차단상태로 변환하는 것이다. 제 2 와이어 케이블(WC2)은, 그 다른쪽 끝부가 슬라이드 도어(D)의 앞가장자리부의 도어 폐쇄 래치 유닛(CR)에 연계되어 있어, 인장 조작된 경우에 그 도어 폐쇄 래치유닛(CR)을 해제동작시키는 것이다.
오픈 서브 레버(150)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이스플레이트(101)의 이면측에서 레버축(104)의 축심 주위로 회전하는 형태로 인사이드 핸들 레버축(102)에 배치한 것이고,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오픈 레버 걸어맞춤부(151),제 2 링크 접속부(152) 및 록핀 걸어맞춤부(153)를 가지고 있다.
오픈 레버 걸어맞춤부(151)는, 레버축(104)에서 윗쪽을 향하여 약간 차량 뒤쪽측으로 경사 연장된 부분이고, 그 차량 앞쪽측의 측면을 거쳐 오픈 레버(140)의 걸어맞춤 볼록부(141b)에 맞닿아 걸어맞춰져 있다. 이 오픈 레버 걸어맞춤부(151)에는 코일 스프링 연결부(154)를 거쳐 제 1 코일 스프링(155)의 한쪽 끝부가 연결되어 있다. 제 1 코일 스프링(155)은, 베이스플레이트(101)의 사이에 개재시킨 것으로 오픈 서브 레버(150)를 도 5에서 항시 시계방향으로 가세하는 것이다.
제 2 링크 접속부(152)는, 레버축(104)에서 아래쪽을 향하여 약간 차량 뒤쪽측으로 경사 연장된 부분이다. 이 제 2 링크 접속부(152)에는 연결 링크(L2)의 다른쪽 끝부가 연결되어 있다.
록핀 걸어맞춤부(153)는, 오픈 레버 걸어맞춤부(151)가 걸어맞춤 볼록부(141b)를 거쳐 오픈 레버(140)의 서브 레버 걸어맞춤부(141)에 맞닿아 걸어맞춰진 경우에 오픈 레버 걸어맞춤부(151)의 사이에 록핀 슬라이드 홈(141a)에 합치하는 걸어맞춤 오목부(153a)를 확보한 상태에서 서브 레버 걸어맞춤부(141)를 따라 연장된 부분이다. 이 록핀 걸어맞춤부(153)는 오픈 레버(140)의 록핀 슬라이드 홈(141a)에 비하여 충분히 짧게 구성되어 있다. 또 록핀 걸어맞춤부(153)에는 핸들레버 걸어맞춤부(156)가 설치되어 있다. 핸들 레버 걸어맞춤부(156)는 록핀 걸어맞춤부(153)의 연장 끝부에서 차량 바깥쪽을 향하여 굴곡된 부분이다.
오픈 핸들레버(170)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이스플레이트(101)의 이면측에서 레버축(104)의 가장 차량 바깥쪽이 되는 부위에 설치한 것으로,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판형상을 하는 핸들레버 기초부(171)의 주위에 제 1 레버 걸어맞춤부(172), 제 2 레버 걸어맞춤부(173), 와이어 케이블 슬라이드 접속부 (174), 와이어 케이블 접속부(175) 및 제 3 도어 조작 검출부(176)를 가지고 있다.
제 1 레버 걸어맞춤부(172)는, 핸들레버 기초부(171)의 차량 앞쪽측에 위치하는 부위에서 차량 앞쪽측을 향하여 연장된 부분이고, 돌출핀(172a)를 가진 부분이다. 돌출핀(172a)은, 제 1 레버 걸어맞춤부(172)의 선단측에 위치하는 부위에, 오픈 핸들레버(70)의 이면측에서 차량 바깥쪽을 향하여 돌출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 돌출핀(172a)의 상단부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하측 오픈 레버(160)의 제 3 와이어 케이블 접속부(163)의 하단부에 맞닿아 있다.
제 2 레버 걸어맞춤부(173)는, 핸들레버 기초부(171)의 윗쪽측에 위치하는 부분에서 차량 앞쪽측을 향하여 윗쪽으로 경사 연장된 부분이고, 그 윗쪽측을 향한 측면을 거쳐 오픈 서브 레버(150)에서의 핸들레버 걸어맞춤부(156)의 차량 앞쪽측에 위치하는 끝면에 맞닿아 있다.
와이어 케이블 슬라이드 접속부(174)는, 핸들레버 기초부(171)의 차량 뒤쪽측에 위치하는 부분에서 차량 뒤쪽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부분이다. 이 와이어 케이블 슬라이드 접속부(174)에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4 와이어 케이블(WC4)의 한쪽 끝부가 와이어 접속홈 구멍(174a)을 거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형태로 연결되어 있다. 와이어 접속홈 구멍(174a)은, 레버축(104)의 축심을 중심으로 한 원호형상의 폭이 좁은 노치이다. 제 4 와이어 케이블(WC4)은, 그 다른쪽 끝부가 도시생략한 벨크랭크를 거쳐 도 1에 나타내는 아웃사이드 핸들(OH)에 연계되어 있다. 통상, 제 4 와이어 케이블(WC4)에는 장력이 발생하고 있지 않으나, 아웃사이드 핸들(OH)이 조작된 경우에는, 그 조작에 의하여 제 4 와이어 케이블(WC4)에 장력이 발생하고, 그 장력에 의하여 오픈 핸들 레버(70)를 도 5에서 반시계방향으로 요동시킨다.
와이어 케이블 접속부(175)는, 도 5 및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와이어 케이블 슬라이드 접속부(174)의 선단 상부로부터 레버축(104)의 지름 바깥방향으로 돌출한 부분이다. 이 와이어 케이블 접속부(175)에는 제 5 와이어 케이블 (WC5)의 한쪽 끝부가 와이어 접속구멍(175a)을 거쳐 연결되어 있다. 제 5 와이어 케이블(WC5)은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다른쪽 끝부가 릴리스 엑츄에이터(RA)의 출력 레버(179)에 연계되어 있고, 통상, 출력 레버(179)의 선단이 차량 앞쪽측에 점위한 상태에 있어 장력이 발생하지 않는다. 이 상태로부터 예를 들면 제 1 도어 조작 검출센서(S1, S2)의 온 상태를 타이거로 하여 릴리스 엑츄에이터 (RA)가 구동한 경우에는, 출력 레버(179)의 선단이 도 5에 있어서 아래쪽을 향하여 요동하고, 그 요동에 의하여 제 5 와이어 케이블(WC5)에 장력이 발생하여 오픈 핸들 레버(70)를 도 5에서 반시계방향으로 요동시킨다.
제 3 도어 조작 검출부(176)는, 와이어 케이블 슬라이드 접속부(174)의 선단 하부에서 레버축(104)의 지름 바깥방향으로 돌출한 부분이다. 이 제 3 도어 조작 검출부(176)는 와이어 케이블 슬라이드 접속부(174)가 핸들레버 기초부(171)에서 차량 뒤쪽측을 향하여 연장된 상태에 있는 경우에 베이스플레이트(101)에 설치한 제 3 도어 조작 검출센서(S3)로부터 격리하는 한편, 도 5에서 오픈 핸들 레버(7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 경우에 제 3 도어 조작 검출센서(S3)에 맞닿아 이것을 온 조작하는 것이다.
록킹 레버(180)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이스플레이트(101)의 표면측에 설치한 것으로,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록핀 유지부(181) 및 엑츄에이터 걸어맞춤부(182)를 가지고 있다.
록핀 유지부(181)는, 록킹 레버축(105)에서 차량 앞쪽측을 향하여 연장된 부 분이다. 이 록핀 유지부(181)에는 그 연장 끝부에 록부재(200)가 설치되어 있다. 록부재(200)는 기초 끝부를 거쳐 록핀 유지부(18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시킨 것으로, 그 선단부에 록핀(201)을 가지고 있다. 록핀(201)은, 록부재(200)의 선단부에서 베이스플레이트(101)를 향하여 돌출된 원주형상부재이고, 그 돌출 끝부가 오픈 레버(140)의 록핀 슬라이드 홈(141a)을 관통하고, 또한 베이스플레이트(101)에 설치한 레버 관통구멍(101d)을 관통하여 오픈 서브 레버(150)의 오픈 레버 걸어맞춤부(151)와 록핀 걸어맞춤부(153) 사이에 설치한 걸어맞춤 오목부(153a)에 걸어 맞추는 것이 가능하다.
엑츄에이터 걸어맞춤부(182)는 록킹 레버축(105)에서 차량 뒤쪽측을 향하여 연장되고, 그 선단부가 두 갈래로 분기된 것으로, 이 분기부분을 거쳐 록킹 엑츄에이터(190)에 연계되어 있다.
록킹 엑츄에이터(190)는, 도 3∼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이스플레이트(101)의 가장 차량 뒤쪽측이 되는 부위에 설치된 것으로, 차량 앞쪽측이 되는 부위에 록킹 출력 레버(191)를 구비하고 있다. 록킹 출력 레버(191)는, 베이스플레이트(101)의 표면을 따르는 형태로서, 출력 레버축(190a)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것이고, 그 선단부에 설치한 걸어맞춤돌기(192)를 엑츄에이터 걸어맞춤부(182)의 분기부분에 걸어 맞추게 하고 있다.
이 록킹 엑츄에이터(190)는, 출력 레버축(190a)을 중심으로 록킹 출력 레버(191)가 도 4에서 가장 시계방향으로 회전동작시킨 경우에 엑츄에이터 걸어맞춤부(182)를 거쳐 록핀 유지부(181)를 밑으로 이동시키고, 오픈 레버(140)의 록핀 슬 라이드 홈(141a)에서 록핀(201)을 록핀 걸어맞춤부(153)의 회전 이동 영역에 점위시킴으로써 컨트롤 유닛(100)을 언록상태로 하는 한편, 출력 레버축(190a)을 중심으로 록킹 출력 레버(191)가 도 4에서 가장 반시계방향으로 회동 동작시킨 경우에 엑츄에이터 걸어맞춤부(182)를 거쳐 록핀 유지부(181)를 위쪽으로 이동시키고, 오픈 레버(140)의 록핀 슬라이드 홈(141a)에서 록핀(201)을 록핀 걸어맞춤부(153)의 회전 이동 영역 밖에 점위시킴으로써 컨트롤 유닛(100)을 록상태로 하도록 기능한다.
한편, 상기 도어 개폐장치는 도 15∼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사이드 핸들(IH)을 구비하고 있다. 인사이드 핸들(IH)은, 핸들 베이스부재(300)와 조작 핸들부재(310)를 구비하여 구성한 것이다. 핸들 베이스부재(300)와 조작 핸들부재(310)는 핸들 베이스부재(300)의 길이방향을 따른 조작 축부재(320)를 거쳐 서로 연결되어 있고, 핸들 베이스부재(300)에 대하여 조작 축부재(320)의 축심 주위로 조작 핸들부재(310)를 경사이동 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조작 핸들부재(310)에는 조작 출력부(311)가 유일하게 설치되어 있다. 조작 출력부(311)는 조작 축부재(320)를 중심으로 한 경우에 조작 핸들부재(310)와는 상반되는 방향을 향하여 연장된 부분이고, 핸들 베이스부재(300)에 설치한 노치를 거쳐 그 이면측에 이르는 부위까지 돌출되어 있다. 조작 출력부(311)의 횡단면은 상기한 도어 조작레버(110)의 출력부 걸어맞춤구멍(117)에 삽입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이 인사이드 핸들(IH)은, 베이스플레이트(101)와의 사이에 설치한 도시 생략 한 위치결정수단에 의하여 상대적인 위치결정을 행한 경우, 예를 들면 한쪽에 설치한 위치결정핀을 다른쪽에 설치한 위치결정구멍에 삽입시킨 경우, 조작 축부재(320)가 상하방향을 따라 연장된 상태에서 조작 핸들부재(310)의 조작 출력부(311)가 베이스플레이트(101)의 삽입창구멍(101a)을 거쳐 도어 조작레버(110)의 출력부 걸어맞춤 구멍(117)에 삽입한 가조립의 상태가 된다. 이 가조립상태에서 도 3에 나타내는 핸들 베이스부재(300)에 설치한 설치나사 삽입구멍(300a) 및 도 4에 나타내는 베이스플레이트(101)에 설치한 나사 삽입구멍(101f)을 통하여 설치나사를 체결하면 도어 개폐장치를 슬라이드 도어(D)의 도어 인너 패널(IP)에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 경우 인사이드 핸들(1H)과 도어 조작레버(110) 사이를 연계시키는 작업은 전혀 불필요하여 설치작업을 용이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도 3에서의 부호 340은, 링크 로드(341)를 거쳐 록킹 출력 레버(191)에 연계한 록 노브이다. 이 록 노브(340)를 수동 조작한 경우에는 록킹 엑츄에이터(190)의 동작을 필요로 하지 않아 컨트롤 유닛(100)을 록상태와 언록상태로 변환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8 ~ 도 26은 컨트롤 유닛(100)이 동작한 경우의 각 구성요소의 상태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이하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서 컨트롤 유닛(100)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상기한 컨트롤 유닛(100)은 인사이드 핸들(1H)의 조작 핸들부재(310)가 차량 실내측에 노출되는 형태로 도어 인너 패널(IP)에 설치되고, 탑승자에 의하여 적절하게 조작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컨트롤 유닛(100)이 초기상태에 있는 경우, 조작 핸들부재(310)는 중립위치에 있고,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태 위치에 유지된 도어 조작레버(110)의 출력부 걸어맞춤구멍(17)에 조작 출력부(311)가 삽입된 상태로 되어 있다. 이 도 18에 나타내는 초기상태에서는 복귀 스피럴 스프링(103)의 탄성력에 의하여 링크 레버(120)의 핀 슬라이드부(122)가 도어 조작레버(110)의 링크 걸어맞춤부(112)를 따라 연장된 상태 위치에 유지되고, 또한 제 1 코일 스프링(155)의 탄성력에 의하여 오픈 서브 레버(150), 오픈 레버(140) 및 오픈 핸들레버(70)가 도면 중에서 가장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동작한 상태에 있고, 또한 제 2 코일 스프링(164)의 탄성력에 의하여 하측 오픈레버(160)가 도면 중에서 가장 시계방향으로 회전 동작한 상태에 있다. 또한 도 18에 나타내는 초기상태에서는 편의상 차일드 록 레버(130)가 언록위치에 있고, 또한 컨트롤 유닛(100)이 언록상태에 있다고 한다.
이 초기상태에서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사이드 핸들(IH)의 조작 핸들부재(310)를 차량 뒤쪽측을 향하여 경사이동 시키면[인사이드 핸들(IH)의 도어 개방조작], 조작 출력부(311)가 출력부 걸어맞춤구멍(117)의 앞쪽측 맞닿음면(117a)에 맞닿아 도어 조작레버(110)를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계방향으로 회전동작시킨다. 도어 조작레버(11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이 회전이 링크 걸어맞춤부(112) 및 걸어맞춤 핀(134)을 거쳐 링크 레버(120)에 전달되어 링크 레버(12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링크 레버(120)가 회전하면 연결 링크(L2)를 거쳐 오픈 서브 레버(15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또한 오픈 서브 레버(150)의 회전이 록핀 걸어맞춤부(153) 및 록핀(201)을 거쳐 오픈 레버(140)에 전달되고, 오픈 레버(14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기 때문에, 제 1 와이어 케이블(WC1) 및 제 2 와이어 케이블 (WC2)이 각각 인장 조작되게 된다.
제 1 와이어 케이블(WC1)이 인장 조작되면, 슬라이드 도어(D)의 뒷 가장자리부의 도어 폐쇄 래치유닛(CR)이 해제 동작되고, 제 2 와이어 케이블(WC2)이 인장조작되면, 슬라이드 도어(D)의 앞 가장자리부의 도어 폐쇄 래치 유닛(CR)이 해제동작되게 되기 때문에, 예를 들면 슬라이드 도어(D)가 도어 폐쇄상태에 있었던 경우에도 인사이드 핸들(IH)의 차량 뒤쪽측으로의 경사이동 조작에 의하여 이것을 도어 개방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 1 와이어 케이블(WC1)이 인장 조작되면 슬라이드 도어(D)의 뒷 가장자리부의 도어 폐쇄 래치 유닛(CR)이 가지는 클로저장치(CL)의 클러치기구가 차단상태가 되기 때문에, 예를 들면 클로저장치(CL)가 작동하고 있는 상태에서도 인사이드 핸들(IH)을 차량 뒤쪽측으로 경사이동 조작하면 하프 래치상태에서 풀 래치상태로의 이행동작을 중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어 조작레버(110)가 도 19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도어 개방조작 검출부(116)가 제 1 도어 조작 검출센서(S1)를 온 조작하게 되기 때문에, 이 제 1 도어 조작 검출센서(S1)의 검출결과에 의거하여 조작 핸들부재(310)의 차량뒤쪽측으로의 경사이동 조작을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다음에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초기상태에서 인사이드 핸들(IH)의 조작 핸들부재(310)를 차량 앞쪽측을 향하여 경사이동시키면[인사이드 핸들(IH)의 도어 폐쇄조작], 조작 출력부(311)가 출력부 걸어맞춤구멍(117)의 뒤쪽측 맞닿음 면(117b)에 맞닿고, 도어 조작레버(110)를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동작시킨다. 도어 조작레버(11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이 회전이 제 1 스프링 걸어맞춤부(115)를 거쳐 하측 오픈 레버(160)에 전달되고, 하측 오픈 레버(16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하측 오픈 레버(16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제 3 와이어 케이블( WC3)이 인장 조작되게 되어 도어 개방 래치 유닛(OR)이 해제동작되게 된다. 이 결과, 예를 들면 슬라이드 도어(D)가 도어 개방상태에 있었던 경우에도 인사이드 핸들(IH)을 차량 앞쪽측으로 경사이동 조작하면, 이것을 도어 폐쇄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도어 조작레버(11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도어 폐쇄 조작 검출부(118)가 제 2 도어 조작 검출센서(S2)를 온 조작하게 되기 때문에, 이 제 2 도어 조작 검출센서(S2)의 검출결과에 의거하여 조작 핸들부재(310)의 차량 앞쪽측으로의 경사이동 조작을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다음에 초기상태에서 아웃사이드 핸들(OH)을 조작하면 제 4 와이어 케이블 (WC4)에 장력이 발생하고, 그 장력에 의하여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오픈 핸들 레버(7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오픈 핸들 레버(70)의 회전은, 제 1 레버걸어맞춤부(172)의 돌출핀(172a)을 거쳐 하측 오픈 레버(160)에 전달되고, 하측 오픈 레버(16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됨과 동시에, 제 2 레버 걸어맞춤부(173)를 거쳐 오픈 서브 레버(150)에 전달되고, 오픈 서브 레버(15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하측 오픈 레버(16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제 3 와이어 케이블(WC3)이 인장 조작되게 되고, 도어 개방 래치유닛(OR)이 해제 동작되게 된다. 이 결과, 예를 들면 슬라이드 도어(D)가 도어 개방상태에 있었던 경우에도 아웃사이드 핸들(OH)을 조작하면 이것을 도어 폐쇄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오픈 서브 레버(15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록핀 걸어맞춤부(153) 및 록핀(201)을 거쳐 오픈 레버(140)에 전달되고, 오픈 레버(14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제 1 와이어 케이블(WC1) 및 제 2 와이어 케이블(WC2)이 각각 인장 조작되게 된다. 이 결과 예를 들면 슬라이드 도어(D)가 도어 폐쇄상태에 있었던 경우에도 아웃사이드 핸들(OH)의 조작에 의하여 이것을 도어 개방 이동시킬 수 있게 되고, 또 예를 들면 클로저장치(CL)가 작동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도 아웃사이드 핸들(OH)을 조작하면 하프 래치상태에서 풀 래치상태로의 이행동작을 중단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동작에서는 오픈 핸들 레버(70)가 회전함으로써 하측 오픈 레버(160)가 회전하는 경우, 맞닿아 있던 하측 오픈 레버(160)의 도어 조작 레버 접속부(162)와 도어 조작레버(110)의 제 1 스프링 걸어맞춤부(115)가 떨어지고, 하측 오픈 레버(160)의 반시계방향의 회전에 의해서는 도어 조작레버(110)가 동작하는 일은 없다. 또한 오픈 핸들 레버(70)가 회전함으로써 오픈 서브 레버(150)가 회전하는 경우, 연결 링크(L2)의 한쪽 끝부가 링크 레버(120)의 슬라이드홈 구멍(123a)을 적절하게 이동하기 때문에 오픈 서브 레버(150)의 시계방향의 회전에 의해서는 링크 레버(120)가 동작하는 일은 없다.
또한 오픈 핸들 레버(7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제 3 도어 조작 검출부(176)가 제 3 도어 조작 검출센서(S3)를 온 조작하게 되기 때문에, 이 제 3 도어 조작 검출센서(S3)의 검출결과에 의거하여 아웃사이드 핸들(OH)의 조작을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한 초기상태에서 컨트롤 유닛(100)을 록상태로 변환하면,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오픈 레버(140)의 록핀 슬라이드 홈(141a)에서 록핀(201)이 록핀 걸어맞춤부(153)의 회전 이동 영역 밖에 점위하게 된다. 따라서 이 록상태에서 인사이드 핸들(IH)을 차량 뒤쪽측을 향하여 경사이동시킨 경우, 도 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어 조작레버(110)의 시계방향의 회전은, 링크 레버(120) 및 연결 링크(L2)를 거쳐 오픈 서브 레버(150)에 전달되나, 이 오픈 서브 레버(150)의 회전이 오픈 레버(140)에 전달되는 일은 없다. 이 결과 도어 폐쇄 래치유닛(CR)이 해제동작되는 일은 없고, 예를 들면 슬라이드 도어(D)가 도어 폐쇄상태에 있는 경우에는 이것을 도어 개방 이동시킬 수 없다. 단, 록상태에 있어서도 도어 조작 레버(110)의 회전에 의하여 도어 개방 조작 검출부(116)가 제 1 도어 조작 검출센서(S1)를 온 조작하게 되기 때문에, 이 제 1 도어 조작 검출센서(S1)의 검출결과에 의거하여 인사이드 핸들(IH)의 차량 뒤쪽측으로의 경사이동 조작을 검출하는 것은 가능하다. 또한 예를 들면 슬라이드 도어(D)가 도어 개방상태에 있었던 경우에 있어서 록상태에서 인사이드 핸들(IH)을 차량 앞쪽측을 향하여 경사이동시키면 도어 조작 레버(110)의 반시계방향의 회전에 의하여 하측 오픈 레버(16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그것에 의하여 도어 개방 래치유닛(OR)의 해제동작이 가능하다. 바꾸어 말하면 예를 들면 슬라이드 도어(D)가 도어 개방상태에 있고, 또한 록상태였던 경우, 인사이드 핸들(IH)의 경사이동 조작에 의하여 슬라이드 도어(D)를 도어 폐쇄 이동시키는 것은 가능하다.
또, 도 22에 나타낸 록상태에서 아웃사이드 핸들(OH)을 조작한 경우에는 도 2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오픈 핸들 레버(70)의 회전에 따르는 오픈 서브 레버(150)의 회전이 오픈 레버(140)에 전달되는 일은 없다. 이 결과, 도어 폐쇄 래치 유닛(CR)이 해제동작되는 일은 없고, 예를 들면 슬라이드 도어(D)가 도어 폐쇄상태에 있는 경우에는, 이것을 도어 개방 이동시킬 수 없다. 단, 록상태에서도 오픈 핸들 레버(70)의 회전이 돌출핀(172a)을 거쳐 하측 오픈 레버(160)에 전달되고, 제 3 와이어 케이블(WC3)이 인장 조작되게 되기 때문에, 예를 들면 슬라이드 도어(D)가 도어 개방상태에 있었던 경우에는, 아웃사이드 핸들(OH)의 조작에 의하여 이것을 도어 폐쇄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 록상태에서도 오픈 핸들 레버(70)의 회전에 의하여 제 3 도어 조작 검출부(176)가 제 3 도어 조작 검출센서(S3)를 온 조작하게 되기 때문에, 이 제 3 도어 조작 검출센서(S3)의 검출결과에 의거하여 아웃사이드 핸들(OH)의 조작을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한 초기상태에서 차일드 록 레버(130)를 록위치로 변환하면, 도 2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링크 레버(120)의 핀 슬라이드부(122)에서 걸어맞춤 핀(134)이 도어 조작레버(110)에서의 링크 걸어맞춤부(112)의 회전 이동 영역 밖에 점위되게 된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 인사이드 핸들(IH)을 차량 뒤쪽측을 향하여 경사이동시켰다 하여도 도 2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어 조작레버(110)의 회전이 링크 레버(120)에 전달되는 일은 없고, 즉 링크 걸어맞춤부(112)가 걸어맞춤 핀(134)에 맞닿지 않기 때문에, 링크 레버(120)가 회전하는 일은 없고, 도어 폐쇄 래치 유닛(CR)이 해제동작되는 일도 없다. 또한 도어 조작레버(110)의 회전에 의하여 도어 개방 조작 검출부(116)가 제 1 도어 조작 검출센서(S1)를 온 조작하게 되기 때문에, 이 제 1 도어 조작 검출센서(S1)의 검출결과에 의거하여 인사이드 핸들(1H)의 차량 뒤쪽측으로의 경사이동 조작을 검출하는 것은 가능하다. 단, 이 상태에서도 컨트롤 유닛(100)이 언록상태에 있으면 아웃사이드 핸들(OH)의 조작에 의하여 하측 오픈 레버(160) 및 오픈 서브 레버(150)가 각각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기 때문에, 슬라이드 도어(D)를 개폐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도어 개폐장치에 의하면, 인사이드 핸들(IH)에 형성한 조작 출력부(311)를 도어 조작레버(110)에 직접 맞닿게 함으로써 이들 사이의 동력전달을 행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인사이드 핸들(IH)과 도어 조작 레버(110)의 사이를 연계시키는 작업이 불필요하게 되어 조립작업을 용이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하나의 도어 조작레버(110)에 의하여 도어 개방 래치유닛(OR) 및 도어 폐쇄 래치유닛(CR)을 선택적으로 해제동작시키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취급 부품점수의 삭감에 기인한 조립작업의 용이화를 도모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또한 중간 레버인 하측 오픈 레버(160)와 도어 조작레버(110)를 공통의 회전축부재인 인사이드 핸들 레버축(102)에 의하여 베이스플레이트(101)에 설치하였기 때문에 링크를 거쳐 도어 조작레버(110)의 회전을 도어 개방 래치 유닛(OR)에 전달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링크를 설치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취급 부품점수의 삭감에 기인한 조립작업의 용이화를 도모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인사이드 핸들에 형성한 조작 출력부를 도어 조작레버에 직접 맞닿음게 함으로써 이들 사이의 동력전달을 행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인사이드 핸들과 도어 조작레버의 사이를 연계시키는 작업이 불필요하게 되어 조립작업을 용이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하나의 도어 조작레버에 의하여 도어 개방 유지수단 및 도어 폐쇄 유지수단을 선택적으로 해제동작시키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취급 부품점수의 삭감에 기인한 조립작업의 용이화를 도모하는 것도 가능하게 되다. 또 도어 조작레버와 중간 레버를 회전축부재에 의하여 베이스플레이트에 설치하기 때문에 도어 조작레버의 다른쪽 방향으로의 회전동작을 링크를 거쳐 도어 개방 유지수단에 전달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도어 조작레버의 다른쪽 방향으로의 회전동작을 전달하는 링크를 설치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취급 부품점수의 삭감에 기인한 조립작업의 용이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Claims (1)

  1. 인사이드 핸들을 도어 개방 조작한 경우에 도어 폐쇄 유지수단을 해제동작시킴으로써 차량 본체에 대한 도어의 개성 이동(opening movement)을 허용하는 한편, 인사이드 핸들을 도어 폐쇄 조작한 경우에 도어 개방 유지수단을 해제동작시킴으로써 차량 본체에 대한 도어의 폐성 이동(closing movement)을 허용하도록 한 도어 개폐장치에 있어서,
    한쪽 방향으로 회전한 경우에 도어 폐쇄 유지수단을 해제동작시키는 한편, 다른쪽 방향으로 회전한 경우에 도어 개방 유지수단을 해제동작시키는 도어 조작레버를 회전축부재에 의하여 베이스플레이트에 설치하고, 또한 이 도어 조작레버에 걸어맞추는 형태로 인사이드 핸들에 조작 출력부를 형성함으로써,
    인사이드 핸들이 도어 개방조작, 또는 도어 폐쇄조작된 경우에 각각 조작 출력부를 도어 조작레버에 맞닿게 함으로써 상기 도어 조작레버를 원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또한 도어 조작레버의 다른쪽 방향으로의 회전동작을 도어 개방 유지수단에 전달하기 위한 중간 레버를 상기 회전축부재에 의하여 베이스플레이트에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개폐장치.
KR1020070054255A 2006-06-07 2007-06-04 도어 개폐장치 KR10088689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159078A JP4695549B2 (ja) 2006-06-07 2006-06-07 ドア開閉装置
JPJP-P-2006-00159078 2006-06-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7460A true KR20070117460A (ko) 2007-12-12
KR100886896B1 KR100886896B1 (ko) 2009-03-05

Family

ID=381987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4255A KR100886896B1 (ko) 2006-06-07 2007-06-04 도어 개폐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591493B2 (ko)
JP (1) JP4695549B2 (ko)
KR (1) KR100886896B1 (ko)
CN (1) CN101086192B (ko)
DE (1) DE102007025701B4 (ko)
GB (1) GB2438940B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4300B1 (ko) * 2010-09-29 2012-06-13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슬라이딩 도어의 록킹 컨트롤러
KR101247189B1 (ko) * 2010-07-23 2013-03-25 주식회사 리한도어 슬라이딩 도어용 리모트 컨트롤러
KR101371255B1 (ko) * 2013-02-04 2014-03-10 주식회사 리한도어 차량의 슬라이딩 도어용 잠금장치
KR101371257B1 (ko) * 2013-02-04 2014-03-26 주식회사 리한도어 차량의 슬라이딩 도어용 잠금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35856B2 (ja) * 2004-11-26 2010-09-01 三井金属鉱業株式会社 ドア開閉装置
JP4659602B2 (ja) * 2005-11-30 2011-03-30 三井金属アクト株式会社 車両用ドアラッチの操作装置
JP4695554B2 (ja) * 2006-06-30 2011-06-08 三井金属アクト株式会社 ドア開閉装置
JP4542166B2 (ja) * 2008-03-26 2010-09-08 三井金属鉱業株式会社 ドアロック装置
JP4802347B2 (ja) * 2009-07-16 2011-10-26 三井金属アクト株式会社 車両用ドアラッチの操作装置
US8132844B2 (en) * 2010-02-25 2012-03-13 Trimark Corporation Intuitive control system for power assisted vehicle doors
KR101244643B1 (ko) 2010-04-30 2013-03-18 주식회사 리한도어 엑추에이터 어셈블리
KR20120000913A (ko) * 2010-06-28 2012-01-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슬라이딩 도어의 록킹 컨트롤러 구조
JP5524781B2 (ja) * 2010-09-15 2014-06-18 シロキ工業株式会社 ドアクローザ装置
DE102011012656A1 (de) * 2011-02-28 2012-08-30 Kiekert Ag Kraftfahrzeugtürverschluss
CN103089092A (zh) * 2011-10-31 2013-05-08 昆山麦格纳汽车系统有限公司 汽车滑移门用限位锁
US10385593B2 (en) 2012-09-26 2019-08-20 Aisin Seiki Kabushiki Kaisha Remote control for vehicles
JP6017907B2 (ja) * 2012-09-26 2016-11-02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用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装置
CN103835612B (zh) * 2012-11-27 2016-08-17 三井金属爱科特株式会社 门开闭装置
KR101481352B1 (ko) * 2013-12-19 2015-01-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도어 아웃사이드핸들
CN203925043U (zh) * 2013-12-20 2014-11-05 江苏博万丰通用设备有限公司 中门锁外开机构
JP6299017B2 (ja) * 2014-04-03 2018-03-28 三井金属アクト株式会社 車両用ドアの操作装置
US9434337B2 (en) * 2014-04-18 2016-09-06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Vehicle door engagement detection
JP6483353B2 (ja) * 2014-05-29 2019-03-13 三井金属アクト株式会社 車両用ドア開閉装置
JP6318421B2 (ja) * 2014-07-10 2018-05-09 三井金属アクト株式会社 車両用ドア開閉装置
DE102015002451A1 (de) * 2015-02-25 2016-08-25 Kiekert Aktiengesellschaft Kraftfahrzeugtürverschluss
DE102015002452A1 (de) * 2015-02-25 2016-08-25 Kiekert Aktiengesellschaft Kraftfahrzeugschloss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73880B2 (ja) 1994-04-22 2000-08-07 株式会社大井製作所 スライドドアの閉扉装置
JP2983443B2 (ja) 1995-03-03 1999-11-29 株式会社大井製作所 自動車用ロック装置
KR100452806B1 (ko) 1996-12-27 2005-02-28 가부시끼가이샤 안세이 도어잠금장치
JPH10196179A (ja) 1996-12-27 1998-07-28 Ansei:Kk ドアロック装置
JP3364113B2 (ja) * 1997-05-19 2003-01-08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スライドドアのロック装置
US6135513A (en) * 1997-09-05 2000-10-24 Mitsui Kinzoku Kogyo Kabushiki Kaisha Operational apparatus for vehicle slide door
JP3586159B2 (ja) 1999-12-22 2004-11-10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用ドア開閉装置
JP3892649B2 (ja) * 2000-07-13 2007-03-14 株式会社大井製作所 スライドドアのロックコントロール装置
KR100373242B1 (ko) 2000-11-14 2003-02-25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슬라이딩 도어의 록킹콘트롤러
JP2004251106A (ja) 2003-01-30 2004-09-09 Aisin Seiki Co Ltd ドアロック装置
JP4150655B2 (ja) * 2003-11-06 2008-09-17 三井金属鉱業株式会社 ドア開閉装置
JP4072115B2 (ja) * 2003-11-11 2008-04-09 三井金属鉱業株式会社 ドア開閉装置
EP1635018A1 (en) * 2004-09-08 2006-03-15 ArvinMeritor Light Vehicle Systems (UK) Ltd Latch Release Mechanism
JP4535856B2 (ja) * 2004-11-26 2010-09-01 三井金属鉱業株式会社 ドア開閉装置
KR100828820B1 (ko) * 2005-12-10 2008-05-09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슬라이딩 도어의 홀드 오픈 로크구조
JP4536032B2 (ja) * 2006-05-12 2010-09-01 三井金属鉱業株式会社 ドア開閉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7189B1 (ko) * 2010-07-23 2013-03-25 주식회사 리한도어 슬라이딩 도어용 리모트 컨트롤러
KR101154300B1 (ko) * 2010-09-29 2012-06-13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슬라이딩 도어의 록킹 컨트롤러
KR101371255B1 (ko) * 2013-02-04 2014-03-10 주식회사 리한도어 차량의 슬라이딩 도어용 잠금장치
KR101371257B1 (ko) * 2013-02-04 2014-03-26 주식회사 리한도어 차량의 슬라이딩 도어용 잠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0708605D0 (en) 2007-06-13
US20070284892A1 (en) 2007-12-13
KR100886896B1 (ko) 2009-03-05
JP4695549B2 (ja) 2011-06-08
CN101086192B (zh) 2011-11-02
GB2438940A (en) 2007-12-12
JP2007327238A (ja) 2007-12-20
GB2438940B (en) 2010-07-07
US7591493B2 (en) 2009-09-22
DE102007025701B4 (de) 2019-07-25
DE102007025701A1 (de) 2007-12-20
CN101086192A (zh) 2007-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6896B1 (ko) 도어 개폐장치
JP4695554B2 (ja) ドア開閉装置
AU2006200582B2 (en) Door lock apparatus for a vehicle
US7931312B2 (en) Apparatus for opening and closing door
US5718465A (en) Child-proof for vehicle sliding door latch device
EP3115529B1 (en) Vehicle door look control
US7438331B2 (en) Apparatus for opening and closing door
JP4795188B2 (ja) ドアロック装置
US5947536A (en) Latch device for a tailgate of a vehicle
JP4150655B2 (ja) ドア開閉装置
JPWO2006054761A1 (ja) 車両用ドアロック装置
JP4661396B2 (ja) 車両用ドアクローザ装置
JP2005188130A (ja) ドアロック装置
JP4536032B2 (ja) ドア開閉装置
EP3431686A1 (en) Vehicle side door latch apparatus
JP4282525B2 (ja) ドアロック装置
JP4169428B2 (ja) 車両における扉体の開閉操作装置
JP4638514B2 (ja) 車両用ドアロック装置
JP4139993B2 (ja) ドア連結装置
JP2001271533A (ja) 車両用ドアロック装置
JP2003035060A (ja) 車両ドアロック装置
JPH0754527A (ja) 車両用ドアロック装置
JP2001271532A (ja) 車両用ドアロック装置
JP2007314950A (ja) ドアロッ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