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52806B1 - 도어잠금장치 - Google Patents

도어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2806B1
KR100452806B1 KR10-1998-0709765A KR19980709765A KR100452806B1 KR 100452806 B1 KR100452806 B1 KR 100452806B1 KR 19980709765 A KR19980709765 A KR 19980709765A KR 100452806 B1 KR100452806 B1 KR 1004528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te
locking
locked
operating
locked 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97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6197A (ko
Inventor
이찌오 이께다
히데아끼 후까야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안세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안세이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안세이
Priority to KR10-1998-07097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52806B1/ko
Publication of KR200000161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61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28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2806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02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actuators used
    • E05B81/04Electrical
    • E05B81/06Electrical using rotary mo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9/00Mounting or connecting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10Connections between movable lock parts
    • E05B79/20Connections between movable lock parts using flexible connections, e.g. Bowden cab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12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or purpose of the powered actuators
    • E05B81/16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or purpose of the powered actuators operating on locking elements for locking or unlocking a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10Handles
    • E05B85/12Inner door hand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7/00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 E05B77/02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for accident situations
    • E05B77/04Preventing unwanted lock actuation, e.g. unlatching, at the moment of collis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7/00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 E05B77/22Functions related to actuation of locks from the passenger compartment of the vehicle
    • E05B77/30Functions related to actuation of locks from the passenger compartment of the vehicle allowing opening by means of an inner door handle, even if the door is locked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36Locks for passenger or like do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92/00Closure fasteners
    • Y10S292/63Finger or hand gri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2/00Closure fasteners
    • Y10T292/08Bolts
    • Y10T292/1043Swinging
    • Y10T292/1044Multiple head
    • Y10T292/1045Operating means
    • Y10T292/1047Clos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2/00Closure fasteners
    • Y10T292/57Operators with knobs or handles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조작핸들로부터 연동용의 1 개의 케이블을 통하여 잠금장치본체의 조작을 행하는 잠금장치에 있어서, 조작핸들에 의한 잠금장치본체의 석방조작을 가벼운 힘으로 행할 수 있고, 또, 잠금상태에서 비잠금상태로 하는 조작을 확실히 행할 수 있다. 잠금, 비잠금 및 석방조작을 행하기 위한 조작부재와, 잠금상태와 비잠금상태의 전환을 행하기 위한 전환수단과는, 전환수단에 설치된 연동부재와, 조작부재에 설치된 안내부 및 해방부와도 연계한다. 이러한 연계관계는 조작부재가 비잠금위치와 잠금위치 사이에 움직일 수 있고, 안내부는 연동부재를 가압 동작하여 전환수단을 비잠금상태와 잠금상태로 전환한다. 또 조작부재가 비잠금위치와 석방위치 사이를 움직일 때에, 해방부에 연동부재가 위치하여, 조작부재에서 전환수단으로의 힘의 전달을 단절시킨다.

Description

도어잠금장치{DOOR LOCKING DEVICE}
본 발명은 자동차의 도어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 첫째, 도어의 폐쇄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상태 (폐쇄유지상태) 와, 둘째, 그 폐쇄상태를 잠금하는 상태 (잠금상태) 와, 셋째로, 상기 폐쇄상태의 유지를 해제한 상태 (석방상태) 의 3 개의 상태로 동작할 수 있는 도어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도어잠금장치로서는, 일반적으로 상기 3 개의 동작태양을 갖는 잠금장치본체 (B) 를 도 1 의 도어 (D) 에서의 개폐의 자유단측 (D1) 에 구비시키고 있다. 종래예에서는, 도어의 내측에는, 상기 폐쇄유지상태에서 잠금상태로의 조작을 하거나 그 반대의 조작을 행하기 위한 노브와, 상기 폐쇄유지상태에서 석방상태로의 조작을 행하기 위한 레버를 설치하고, 상기 잠금장치본체와 상기 노브 및 레버를, 노브의 움직임이나 레버의 움직임을 각각 잠금장치본체 (B) 에 전달하기 위한 별개의 로드로 연결된 것이 있다.
이와 같은 도어잠금장치에서는, 로드가 신축성이 없는 강체이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즉, 자동차의 차밖으로부터 봉형상물이 도어의 동체와 창유리 사이에 끼워져 상기 로드가 조작되고 잠금장치가 상기 석방상태로 되어 도어가 개방되어 차내의 물건이 도난당하는 문제점과, 자동차의 충돌시에 상기 로드가 기계적으로 구부러져 잠금장치 본체에 대해서는 마치 로드가 당겨지는 것같은 상태로 되고 상기 석방상태로 되어 도어가 열려 차내의 사람이 위험해질 가능성이 있는 문제점과, 자동차의 도어에서 상기 로드를 배치해야 하는 소정의 경로가 구부러져 있으면 도어로의 잠금장치의 부착시에 그 소정의 경로로의 로드의 배치작업이 어려워 부착의 작업성을 손상시키는 문제점과, 도어로의 잠금장치의 부착시에 잠금장치본체와 노브 및 레버의 위치관계에 치수의 정확성이 요구되어 부착을 신중하게 하지 않으면 안되어 시간이 걸리는 문제점 등, 적어도 4 개의 문제점이 있다.
상기 여러 가지의 문제점의 해결을 위해 다음과 같이 구성한 것이 있다. 즉, 잠금장치본체에 있어서는, 상기 폐쇄유지상태, 잠금상태, 석방상태의 태양의 전환조작을 행하기 위한 조작부재를 비잠금위치와 잠금위치와 석방위치의 3 위치간의 위치변경을 자유롭게 구비시킨다. 상기 본체에서, 스트라이커의 결합용의 래치부재를 걸기 위한 걸림부재와 상기의 조작부재와는, 조작부재가 석방위치에 있는 상태에서는 걸림부재에 의한 래치부재의 걸림이 해제되고, 조작부재가 그 이외의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는 걸림부재가 래치를 거는 관계로 연계시킨다. 또 도어잠금장치의 비잠금상태와 잠금상태의 전환을 행하는 잠금레버와 상기의 조작부재와는, 조작부재가 잠금위치에 있는 상태에서는 잠금레버가 잠금상태로 되고, 조작부재가 그 이외의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는 잠금레버가 비잠금상태가 되도록 연계시킨다. 한편 도어의 내측에는 상기 폐쇄유지상태, 잠금상태, 석방상태의 태양의 전환을 행하기 위한 조작핸들을 구비시킨다. 이 조작핸들과 상기 잠금장치본체의 조작부재를 가요성이 있는 케이블로 묶는다. 이와 같은 것이 제공되어 있다 (예를 들면 유럽특허출원 제 169644 호 명세서 참조).
상기 구성의 것에는, 잠금장치본체와 조작핸들과의 연계를 행하는 케이블은 가요성을 가지므로, 상기 차밖에서의 봉형상물에 의한 조작을 할 수 없기 때문에 도난에 대한 안정성이 우수하다. 또 자동차의 충돌시에 케이블이 구부러져도 잠금장치본체의 조작부재의 위치를 변경시키는 일이 없기 때문에, 상기 석방상태가 될 위험성은 없고, 차내에 있는 사람의 안전확보가 가능하다. 또한 도어에 대한 잠금장치의 부착에서는, 상기 케이블은 자유롭게 굴곡시켜 배치할 수 있으므로, 부착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고, 또 잠금장치본체와 조작부재의 위치관계는 정확하지 않아도 되므로 부착을 가볍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블은 상기와 같은 여러 가지의 이점을 갖는 반면 고가이지만, 그 필요수는 1 개로 충분하므로, 케이블에 관한 부품비용은 그다지 비싸지 않고, 또 케이블의 부착은 1 개만으로 되므로 작업공정수는 그만큼 적게 되며, 따라서 비교적 저렴한 비용으로 실현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상기 구성의 도어잠금장치에서는, 잠금장치본체에서의 상기 조작부재와 잠금레버의 연계의 구성은 도 27 에 도시된 바와 같다. 즉, 하우징 (160) 에 장착한 잠금레버 (161) 에는 2 개의 플랜지 (162, 163) 가 구비된다. 연계용의 케이블 (164) 의 이너와이어 (165) 에 의해 진퇴조작되도록 한 조작부재 (166) 는, 그 일부에 디스크 (167) 를 구비하고, 상기 디스크 (167) 는 상기 양 플랜지 (162, 163) 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플랜지 (162) 와 디스크 (167) 사이에는, 잠금레버 (161) 에 대하여 디스크 (167) 를 플랜지 (163) 의 측에 힘을 가하는 스프링 (168) 을 개재시키고 있다. 또한 조작부재 (166) 에서의 도면부호 169 는 걸림부재의 연계부이다.
상기 구성의 것에서는, 잠금레버 (161) 가 실선으로 도시한 비잠금의 상태 (상기 폐쇄유지상태) 에서, 잠금의 태양 (상기 잠금상태) 으로 하기 위해 와이어 (165) 를 도면 중 하방으로 누르면, 디스크 (167) 에 의해 플랜지 (163) 가 눌려져, 잠금레버 (161) 가 2 점쇄선으로 도시된 위치로 이동하여 잠금상태로 된다. 이 잠금상태에서 와이어 (165) 를 반대로 당기면, 디스크 (167) 에 의해 스프링 (168) 을 통하여 플랜지 (162) 가 눌려, 다시 비잠금의 상태로 된다. 비잠금의 상태로부터 석방상태를 위해 다시 와이어 (165) 를 당기면, 디스크 (167) 에 의해 스프링 (168) 이 압축될 뿐 잠금레버 (161) 는 변위하지 않고, 연계부 (169) 의 움직임에 의해 걸림부재의 걸림해제가 행해진다.
이와 같은 구성의 것은, 상기 석방조작의 경우, 조작핸들에는 상기 걸림부재의 걸림을 해제하기 위한 힘과 상기 스프링 (168) 을 압축하는 힘과 합계한 힘을 가하지 않으면 안되어, 조작핸들의 조작력이 무겁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조작력을 가볍게 하기 위해 스프링 (168) 의 힘을 약하게 하면, 시간의 경과에 따른 사용에 의해 녹이 생기거나 빙결에 의해 잠금레버 (161) 의 움직임이 무거워진 경우, 상기 잠금상태에서 비잠금의 조작을 하려고 조작핸들을 조작하여도, 잠금레버 (161) 가 상기 이점쇄선의 위치에 고정된 채로 스프링 (168) 이 오므라져, 잠금상태의 해제를 할 수 없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하나의 핸들로, 상기 잠금위치와 비잠금위치와, 석방위치의 3 개의 동작제어를 하는 것은 매우 편리하다. 그러나 가끔은, 자동차가 정차하기 직전의 서행상태로, 잠금위치에서 비잠금위치로 해둘 생각으로, 핸들을 조작했을 때, 잘못하여 석방위치에 이를때까지, 연속적으로 핸들을 들어올리는 일이 있다. 그렇게 하면 서행중에 자동차의 도어가 열릴 위험이 발생한다.
본건 출원의 도어잠금장치는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공하는 것으로, 그 목적은, 상기 폐쇄유지상태, 잠금상태, 석방상태의 3 태양으로 하기 위한 조작이 가능한 도어잠금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조작핸들과 잠금장치본체를 케이블로 연결할 수 있어, 상기 도난방지, 충돌시의 안전성, 도어로의 부착의 용이성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케이블을 이용하는 것이더라도 그 수는 1 개로 충분하여 비교적 저렴한 비용으로 실시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1 개의 케이블로 상기 3 태양의 조작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더라도, 종래제품과 같은 "스프링" 을 이용하지 않고, 비교적 가벼운 조작력으로 비잠금상태로부터의 석방조작을 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장시간 사용에 의한 녹부착이나 빙결 등에 의해, 상기 비잠금상태와 잠금상태의 전환을 행하는 부재가 움직이기 어려워지는 일이 있어도, 종래제품과 같은 "스프링" 을 사용하지 않고, 상기 조작핸들로부터의 조작에 의한 잠금상태에서 비잠금상태로의 전환을 확실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 다른 목적은 하나의 핸들로 잠금위치와, 비잠금위치와, 석방위치로의 3 조작을 할 수 있도록 한 경우, 상황에 따라서는 잠금위치에서 비잠금위치로의 조작과, 비잠금위치로부터 석방위치로의 조작을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다른 목적 및 이점은 도면 및 그에 관련된 이하의 설명에 의해 용이하게 명확해질 것이다.
발명의 개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원발명에서의 도어잠금장치는, 기틀 (1) 에는, 스트라이커 (39) 의 결합부 (36) 를 구비하는 회전운동이 자유로운 래치부재 (2) 와, 상기 래치부재 (2) 를 걸기 위한 걸림부재 (3) 와, 상기 걸림부재 (3) 를 비잠금상태와 잠금상태와 석방상태로 하기 위해, 조작구 (C) 에 대하여 케이블 (7) 로 연계되어 있어, 조작구에서의 하나의 조작용의 핸들 (13) 의 조작에 의해 비잠금위치와 잠금위치와 석방위치의 3 위치간의 위치변경을 자유롭게 한 조작부재 (4) 를 구비하고, 상기 조작부재 (4) 와 걸림부재 (3) 와는, 조작부재 (4) 가 석방위치에 있는 상태에서는 걸림부재 (3) 에 의한 래치부재 (2) 의 걸림이 해제되어, 조작부재 (4) 가 그 이외의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는 걸림부재 (3) 가 래치부재 (2) 를 걸도록 되어 있는 도어잠금장치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재 (4) 와 걸림부재 (3) 의 연계의 구성은, 걸림부재 (3) 의 일부에 대향하는 비잠금위치와, 걸림부재 (3) 의 잠금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잠금위치 사이를 왕복가능하게 하고 있는 전환수단 (6) 을 구비시킴과 동시에 그 전환수단 (6) 에는 조작부재 (4) 와 연동하기 위한 연동부재 (91) 를 구비시키고, 한편, 상기 조작부재 (4) 에는, 조작부재 (4) 가 비잠금위치와 잠금위치 사이를 움직이는 과정에서 상기 연동부재 (91) 를 밀어 움직여 전환수단 (6) 을 비잠금위치와 잠금위치로 위치변경시키기 위한 안내부 (63) 와, 조작부재 (4) 가 비잠금위치와 석방위치 사이를 움직이는 과정에서는 상기 연동부재 (91) 와의 연계를 끊도록 한 해방부 (64) 를 구비시킨 구성으로 한 것이다.
도 1 은 도어의 내측을 도시한 일부 파단사시도이다.
도 2 는 도어잠금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 은 도어내면의 조작구의 동작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 는 도어내면의 조작구의 동작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 는 도어내면의 조작구의 동작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 은 잠금장치본체의 원리적 구성을 도시한 도면으로, 상기 본체의 비잠금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 은 도 6 과 동일한 도면으로 잠금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 은 도 6 과 동일한 도면으로 석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 는 잠금장치본체의 정면도이다.
도 10 은 잠금장치본체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1 은 비잠금상태에서의 잠금장치본체의 각부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 는 잠금상태에서의 도 11 과 동일한 도면이다.
도 13 은 석방상태에서의 도 11 과 동일한 도면이다.
도 14 는 잠금상태에서 아웃사이드 오픈레버를 조작한 상태를 도시한 도 12 와 동일한 도면이다.
도 15 는 비잠금상태에서 아웃사이드 오픈레버를 조작한 상태를 도시한 도 11 과 동일한 도면이다.
도 16 은 조작구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7 은 조작구의 평면도이다.
도 18 은 도 17 의 조작구의 I - I 의 단면도이다.
도 19 는 도 17 의 조작구의 우측면도이다.
도 20 은 도 17 의 조작구의 좌측 일부파단도이다.
도 21 은 도 18 의 조작구의 Ⅱ-Ⅱ 의 단면도이다.
도 22 는 도 17 의 조작구의 I - I 의 단면도이다,
도 23 은 도 22 의 조작구의 Ⅲ - Ⅲ 의 단면도이다.
도 24 는 도 18 의 조작구의 Ⅳ - Ⅳ 의 단면도이다.
도 25 는 도 26 의 조작구의 V - V 의 단면도이다.
도 26 은 도 17 의 조작구의 I - I 의 단면도이다.
도 27 은 종래기술을 도시한 잠금레버와 조작부재와의 연계를 도시한 전환수단의 도면이다.
이하 본원발명의 실시형태를 도시한 도면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어잠금장치의 전체를 도시한 도 1, 도 2 에서, 도어잠금장치 (A) 는 자동차의 도어 (D) 의 자유단측 (D1) 에 구비되는 잠금장치본체 (B) 와 도어의 내면에 구비되는 조작구 (C) 를 구비한다. 그 외에는, 일반적으로 도어 (D) 의 외면에 구비되는 석방용의 조작구나, 키에 의한 잠금 및 비잠금용의 조작구를 구비한다. 또 7 은 조작구 (C) 로부터 잠금장치본체 (B) 의 조작을 가능하게 양자를 묶는 케이블, 8 은 도어내면의 석방용의 조작구로부터 잠금장치본체 (B) 의 조작을 가능하게 양자를 묶는 케이블, 9 는 키에 의한 잠금 및 비잠금용의 조작구로부터 잠금장치본체 (B) 의 조작을 가능하게 양자를 묶는 케이블을 각각 나타낸다. 이들의 케이블은, 밀고 당기는 조작력의 전달이 가능한 것으로, 예를 들면 주지한 바와 같이 플랙시블한 시스 (7a, 8a, 9a) 내에 플랙시블한 와이어 (7b, 8b, 9b) 를 진퇴 자유롭게 구비시킨 것이다.
먼저 상기 조작구 (C) 에 대하여 도 2 ∼ 도 5 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11 은 조작구 (C) 에서의 여러 가지의 부재를 부착하기 위한 베이스가 되는 프레임으로, 도 3 ∼ 도 5 에서의 상측의 면이 도어의 차내측을 향하도록 부착되는 것이다. 12 는 케이블 (7) 에서의 시스 (7a) 의 고정부로, 프레임 (11) 에 대하여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13 은 손에 의한 잠금, 비잠금 및 석방 등의 조작을 행하기 위한 조작핸들로, 축부 (14) 를 상기 프레임 (11) 에 장착하고 있다. 15 는 핸들의 조작력을 케이블 (7) 의 와이어 (7b) 에 전달하기 위한 암으로, 선단부에는 와이어의 걸림부 (16) 를 구비하고 있다. 17 은 와이어 (7b) 의 선단을 고정부 (16) 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구를 나타낸다.
상기 잠금장치본체 (B) 의 원리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 6 ∼ 도 8 에 대하여 설명한다. 1 은 잠금장치본체 (B) 에서의 베이스가 되는 기틀, 2 는 도어를 닫았을 때에 스트라이커를 걸어 도어의 개방을 저지하기 위한 래치부재로, 기틀 (1) 에 회전이 자유롭게 부착되어 있다. 2c 는 그 회전운동중심을 나타낸다. 이 래치부재 (2) 에 구비되어 있는 구성 중, 36 은 스트라이커 (39) 를 겹합시키기 위한 결합부, 37 은 하프래치클릭, 38 은 풀래치클릭을 각각 나타낸다. 3 은 래치부재 (2) 를 걸어 그 회전운동을 저지하기 위한 걸림부재로, 기틀 (1) 에 회전운동이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3c 는 그 회전운동중심을 나타낸다. 그 걸림부재 (3) 에 구비되어 있는 구성 중, 43 은 상기 하프래치클릭 (37) 이나 풀래치클릭 (38) 과 결합하기 위한 걸림클릭, 49 는 다음에 서술하는 조작부재 (4) 로부터 석방조작을 위한 움직임을 받기 위한 피동부, 51 은 후술의 전환수단 (6) 과의 연계를 위한 결합편을 각각 나타낸다.
4 는 잠금장치본체 (B) 를 비잠금상태, 잠금상태 및 석방상태로 하는 조작을 행하기 위한 조작부재로, 도 6 에 도시한 비잠금위치 (U) 와 잠금위치 (L) 와 석방위치 (R) 의 3 위치간의 위치전환을 자유롭게 기틀 (1) 에 장착하고 있다. 4c 는 그 회전운동중심을 나타낸다. 또한 상기 비잠금상태란, 자동차의 도어를 닫은 상태를 유지하는 상태에서, 도어를 닫은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자물쇠 기구 (상기 래치부재 (2) 와 걸림부재 (3) 로 이루어지는 기구) 의 자물쇠 잠금상태 (걸림부재 (3) 가 래치부재 (2) 를 거는 상태) 를 조작에 의해 해제할 수 있는 상태를 말한다. 또 잠금상태란 그 해제가 불가능한 상태를 말한다. 상기 석방상태란 상기 자물쇠 잠금상태를 해제한 상태를 말한다. 상기 조작부재 (4) 에 구비되는 구성 중, 56 은 상기 조작구 (C) 로부터의 조작력을 받기 위한 수입부와, 와이어 (7b) 의 고정구 (57) 의 장착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58 은 시스 (7a) 의 부착부를 나타낸다. 60 은 석방조작을 위해 상기 피동부 (49) 와 결합되도록 한 구동부를 나타낸다. 62 는 전환수단 (6) 과의 연계를 위한 연계부로, 안내부 (63) 와 이에 연결되는 상태로 형성된 해방부 (64) 로 이루어진다. 안내부 (63) 는 조작부재 (4) 가 비잠금위치 (U) 와 잠금위치 (L) 사이를 움직이는 과정에서 전환수단 (6) 을 비잠금상태와 잠금상태로 전환하기 위한 부분으로, 예를 들면 긴구멍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안내부 (63) 는 조작부재 (4) 가 비잠금위치 (U) 로부터 잠금위치 (L) 로 이동함으로써 전환수단 (6) 을 비잠금상태에서 잠금상태로 전환하기 위한 제 1 안내면 (63a) 과, 그 반대로 조작부재 (4) 가 잠금위치 (L) 로부터 비잠금위치 (U) 로 이동함으로써 전환수단 (6) 을 잠금상태에서 비잠금상태로 전환하기 위한 제 2 안내면 (63b) 을 구비한다. 해방부 (64) 는 조작부재 (4) 가 비잠금위치 (U) 와 석방위치 (R) 사이를 움직이는 과정에서는 전환수단 (6) 과의 연계를 끊도록 하기 위해 설치한 것으로, 조작부재 (4) 가 움직여도 조작부재 (4) 로부터 전환수단 (6) 에는 힘이 가해지지 않는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조작부재 (4) 의 회전운동중심 (4c) 를 중심으로 하는 원호형상의 긴구멍으로 형성되어 있다.
6 은 잠금장치본체 (B) 를 비잠금상태와 잠금상태로 전환하기 위한 전환수단으로, 예를 들면 일부 (6e) 가 장착되어 있는 레버로 구성되고, 기틀 (1) 에 예를 들면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부착된다. 6c 는 그 회전운동중심을 나타낸다. 상기 전환수단 (6) 에 구비되는 구성 중, 91 은 조작부재 (4) 와의 연계를 위한 연동부재로, 조작부재 (4) 에서의 연계부 (62) 의 홈캠 형상의 긴구멍 (63, 64) 에 위치시키도록 되어 있다. 117 은 걸림부재 (3) 에 의한 래치부재 (2) 의 걸림을 해제하기 위해 결합편 (51) 을 밀어 구동하는 연계부를 나타내고, 화살표 (6g) 방향으로 다른 물건으로 밀므로써, 전환수단 (6) 의 본체부재 (6h) 와는 따로 움직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전환수단 (6) 과 상기 조작부재 (4) 로 전환기구 (S) 를 구성하고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는, 자동차의 도어가 닫히고, 조작구 (C) 의 핸들 (13) 이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잠금위치에 있는 상태에서는, 잠금장치본체 (B) 는 도 6 의 상태에 있다. 즉 스트라이커 (39) 는 래치부재 (2) 의 결합부 (36) 에 결합되고, 걸림부재 (3) 의 걸림클릭 (43) 은 풀래치클릭 (38) 을 건다. 따라서 래치부재 (2) 의 회전운동 (회전운동중심 (2c) 을 중심으로 하는 시계방향의 회전운동) 이 저지되고, 스트라이커 (39) 는 도면에 도시한 상태로 고정되어 도어는 폐상태로 유지된다.
상기 핸들 (13) 을 도 3 의 상태에서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위치로 이동시키면, 와이어 (7b) 는 화살표 (121) 방향으로 눌려진다. 그러면 잠금장치본체 (B) 에서는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부재 (4) 가 잠금위치 (L) 로 이동한다. 이 이동과정에서 안내부 (63) 에서의 안내면 (63a) 이 연동부재 (91) 를 기계적으로 눌러, 전환수단 (6) 은 잠금상태,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계부 (117) 가 결합편 (51) 과 대향하는 위치에서 벗어나, 부재 (6f) 를 화살표 (6g) 방향으로 돌려도 연계편 (117) 에 의한 결합편 (51) 의 가압 구동이 불가능해지는 상태로 된다.
상기 핸들 (13) 을 도 4 의 상태로부터 다시 도 3 에 도시한 비잠금위치로 이동시키면, 와이어 (7b) 는 화살표 (122) 방향으로 당겨진다. 그러면 잠금장치본체 (B) 에서는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부재 (4) 가 비잠금위치로 이동한다. 이 이동과정에서 안내부 (63) 에서의 안내면 (63b) 이 연동부재 (91) 를 기계적으로 눌러, 전환수단 (6) 은 비잠금상태,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계부 (117) 가 결합편 (51) 과 대향하는 위치에 이르러 연계편 (117) 에 의한 결합편 (51) 의 가압 구동이 가능해지는 상태로 된다. 이와 같은 동작의 경우, 와이어 (7b) 로부터 조작부재 (4) 에 부여되는 비잠금의 조작을 위한 조작력은, 안내면 (63b) 과 연동부재 (91) 와의 강체 끼리의 결합을 통하여 직접적으로 전환수단 (6) 에 전달된다. 따라서, 전환수단 (6) 에 약간의 빙결 또는 녹이 생겨 그 움직임이 나빠져 있어도, 상기 조작력을 전환수단 (6) 에 강제적으로 전달하여 이를 강제적으로 작동시켜 확실하게 비잠금상태로 할 수 있다.
상기 핸들 (13) 을 도 3 의 상태로부터 도 5 에 도시된 석방위치로 이동시키면, 와이어 (7b) 는 화살표 (122) 방향으로 다시 당겨진다. 그러면 잠금장치본체 (B) 에서는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부재 (4) 가 석방위치 (R) 로 이동한다. 이 이동에 의해 구동부 (60) 는 걸림부재 (3) 의 피동부 (49) 를 화살표 (123) 방향으로 눌러, 걸림클릭 (43) 이 풀래치클릭 (38) 에서 이탈된다. 그러면 래치부재 (2) 는 화살표 (124) 방향의 회전운동이 가능해져, 스트라이커 (39) 가 화살표 (125) 로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부 (36) 에서 빠져 자동차의 도어가 열린다. 이 동작의 경우에서의 조작부재 (4) 와 전환수단 (6) 과의 관계는, 연계부 (62) 에서의 해방부 (64) 의 원호는 회전운동중심 (4c) 을 반경으로 하기 위해 연동부재 (91) 의 위치를 움직이는 일이 없는 관계로 되어 있으므로, 조작부재 (4) 를 회전운동시켜도 상기 조작부재 (4) 로부터 전환수단 (6) 에는 아무런 힘도 전달되지 않는다. 따라서, 석방의 조작을 위한 핸들 (13) 의 조작에 필요한 힘은, 케이블 (7) 이나 조작부재 (4) 를 통하여, 걸림부재 (3) 를 래치부재 (2) 에서 이탈시키는 것만의 비교적 작은 힘으로 충분하다.
다음에 상기 잠금장치본체 (B) 의 구체예의 상세를 도 2 및 도 9 내지 도 15 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 11 내지 도 13 은 잠금장치본체 (B) 의 각부를 전개상태로 도시한 것으로, M 으로 도시된 범위와 N 으로 도시된 범위와는, 상호 대략 90°의 각도로 서로 대향하는 상태로 배치되어 있는 부재를 도시한 것이다. 잠금장치본체 (B) 는, 기틀 (1) 과 그것에 장착한 래치부재 (2), 걸림부재 (3), 조작부재 (4), 아웃사이드 오픈레버 (5) 및 전환수단 (6) 을 포함한다. 이하 각각에 대하여 설명한다.
기틀 (1) 은 잠금장치본체 (B) 에서의 여러 가지의 부재를 부착하는 기초가 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기틀 (1) 은 자동차의 도어에의 장착상태에서 도어에서의 자유단측의 단면에 대체로 평행인 상태가 되는 평행부 (21) 와 이와 교차한 상태로 되는 교차부 (22) 로 이루어진다. 화살표 23 는 도어의 자유단측, 24 는 차내측을 각각 나타낸다. 상기 기틀 (1) 은 상기 기초로서 충분한 강도를 갖도록, 금속제의 베이스 (25) 와 합성수지제의 동체 (26) 와 금속제의 백플레이트 (27) 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은 도면에 도시한 것 이외의 고착수단에 의해 일체로 결합시키도록 되어 있다. 베이스 (25) 에 형성된 28 은 스트라이커를 진입시키기 위한 개구를 나타낸다. 동체 (26) 및 백플레이트 (27) 는 각각 평행부 (29, 31) 와 교차부 (30, 32) 를 구비한다.
래치부재 (2) 는 도어를 닫은 때에 스트라이커 (39) 를 걸어 도어의 개방을 저지하기 위한 것으로, 기틀 (1) 에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부착되도록 되어 있다. 즉 35 은 축부를 나타내고, 도면에 도시한 것 외의 축부재에 의해 베이스 (25) 및 동체 (26) 에 장착되도록 되어 있다. 36 은 스트라이커 (39) 를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부, 37 은 하프래치클릭, 38 은 풀래치클릭을 각각 나타낸다.
걸림부재 (3) 는 래치부재 (2) 를 걸어 그 회전운동을 저지하기 위한 것으로, 걸림 및 그 해제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기틀 (1) 에 회전운동이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이하에 상세히 설명한다. 41 은 상기 걸림부재 (3) 에서의 폴 (pole) 로, 축부 (42) 를 도면에 도시한 것 외의 축부재에 의해 베이스 (25) 및 동체 (26) 에 장착하도록 되어 있다. 43 은 상기 하프래치클릭 (37) 및 풀래치클릭 (38) 과 결합하기 위한 걸림클릭이다. 44 는 다음에 서술하는 전동부재와의 연계용의 완부 (腕部) 로, 연계용의 결합구멍 (45) 을 구비한다. 46 은 걸림부재 (3) 에서 조작부재 (4) 와의 연계를 위해 구비한 전동부재로, 축부 (47) 를 핀 (47a) 에 의해 폴 (41) 과 동심의 상태로 장착하도록 되어 있다. 48 은 전동부재 (46) 에서 조작부재 (4) 와의 연계를 위해 구비한 제 1 완부로, 석방조작을 위한 움직임을 받기 위한 피동부 (49) 를 구비한다. 50 은 전환수단 (6) 및 폴 (41) 과의 연계를 위한 제 2 완부로, 각각과의 연계를 위한 결합편 (51, 52) 을 구비한다. 결합편 (52) 은 상기 결합구멍 (45) 에 결합되어 폴 (41) 과 전동부재 (46) 가 일체로 회전운동하도록 되어 있다.
조작부재 (4) 는 잠금장치본체 (B) 가 비잠금상태, 잠금상태 및 석방상태가 되도록 조작하기 위한 부재로, 도 11 에 도시한 비잠금위치 (U) 와 잠금위치 (L) 과 석방위치 (R) 의 3 위치간의 위치변경을 자유롭게 하고 있다. 상기 조작부재 (4) 는, 상기 차내측의 조작구 (C) 의 조작에 의해 이들의 전환이 행해지는 것으로 인사이드 오픈레버로도 불린다. 54 는 상기 조작부재 (4) 에서의 축부를 나타내고, 핀 (54a) 에 의해 백플레이트 (27) 에 장착됨으로서, 조작부재 (4) 가 상기 (3) 위치로 위치변경하도록 되어 있다. 55 는 조작부재 (4) 에서의 제 1 완부로, 상기 조작구 (C) 로부터의 조작력을 받기 위한 것으로, 단부에는 조작력의 수입부 (56) 를 구비한다. 수입부 (56) 는 케이블 (7) 에서의 와이어 (7b) 의 연결부로 되어 있고, 와이어 (7b) 의 고정구 (57) 의 장착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또한 58 은 케이블 (7) 에서의 시스 (7a) 의 고정부로, 백플레이트 (27) 에 형성되어 있다, 59 는 제 2 완부로, 걸림부재 (3) 와의 연계를 위한 것으로, 선단부에는 석방조작을 위해 상기 피동부 (49) 와 결합되도록 한 구동부 (60) 를 구비하고 있다. 61 은 제 3 완부로, 전환수단 (6) 과의 연계를 위한 연계부 (62) 를 구비시키고 있다.
연계부 (62) 는 안내부 (63) 와 이에 연결되는 상태로 형성된 해방부 (64) 로 이루어진다. 안내부 (63) 는 조작부재 (4) 가 비잠금위치 (U) 와 잠금위치 (L) 사이를 움직이는 과정에서 상기 전환수단 (6) 을 비잠금상태와 잠금상태로 전환하기 위한 부분이다. 상기 안내부 (63) 는, 조작부재 (4) 가 비잠금위치 (U) 로부터 잠금위치 (L) 로 이동함으로써 전환수단 (6) 을 비잠금상태에서 잠금상태로 전환하기 위한 제 1 안내면 (63a) 과, 그 반대로 조작부재 (4) 가 잠금위치 (L) 에서 비잠금위치 (U) 로 이동함으로써 전환수단 (6) 을 잠금상태에서 비잠금상태로 전환하기 위한 제 2 안내면 (63b) 을 구비한다. 상기 안내부 (63) 는 예를 들면 긴구멍의 상태로 형성하고, 그 양측의 측면을 상기 안내면 (63a, 63b) 으로 하고 있는데, 안내부 (63) 를 긴홈의 상태로 형성하여 그 양측벽을 안내면으로 하여도 된다. 해방부 (64) 는 조작부재 (4) 가 비잠금위치 (U) 와 석방위치 (R) 사이를 움직이는 과정에서는 상기 전환수단 (6) 과의 연계를 끊기 위해 설치한 것으로, 조작부재 (4) 가 움직여도 조작부재 (4) 로부터 전환수단 (6) 에는 힘이 가해지지 않는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조작부재 (4) 의 회전운동중심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상의 긴구멍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65 는 조작부재 (4) 를 석방위치 (R) 로부터 비잠금위치 (U) 로 되돌려 그곳에 유지하기 위한 스프링이다. 그 일단 (65a) 은 백플레이트 (27) 에 형성된 스프링받침 (66) 에 결합시키고 있다. 타단 (65b) 은 제 1 완부 (55) 에 설치한 스프링받침부 (67) 와 백플레이트 (27) 에 설치한 스프링받침부 (68) 에 걸쳐 이들과 대치되는 상태로 구비시키고 있다. 그 결과, 조작부재 (4) 가 석방위치 (R) 에서 비잠금위치까지의 범위에 있는 상태에서는 타단 (65b) 이 스프링받침부 (67) 와 결합되어, 조작부재 (4) 에 비잠금위치 (U) 로 향한 부세력이 그리고, 조작부재 (4) 가 비잠금위치 (U)부터 잠금위치 (L) 까지의 범위에 있는 상태에서는 타단 (65b) 이 스프링받침부 (68) 와 결합하여, 조작부재 (4) 에는 부세력이 미치지 않도록 되어 있다. 69 는 상기 스프링받침부 (68) 의 형성을 위해 백플레이트 (27) 에 형성한 투공 (透孔) 을 나타낸다.
아웃사이드 오픈레버 (5) 는 도어 외면의 조작구로부터의 조작을 받음으로써 잠금장치본체 (B) 를 석방상태로 하기 위한 부재로, 도 11 에 도시한 정상적인 상태의 위치와 도 13 에 도시한 석방위치 사이의 위치변경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예를 들면 축부 (72) 를 베이스 (25) 에 장착하고 있다. 73 은 이 레버 (5) 에서의 제 1 완부로, 상기 조작구로부터의 조작력을 받기 위한 부분으로, 단부에는 조작력의 수입부 (74) 를 구비한다.
수입부 (74) 는 케이블 (8) 에서의 와이어 (8b) 의 연결부로 되어 있고, 와이어 (8b) 의 고정구 (75) 의 장착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또한 76 은 케이블 (8) 에서의 시스 (8a) 고정부로 백플레이트 (27) 에 형성되어 있다. 77 은 제 2 완부로, 전환수단 (6) 과의 연계를 위한 것이다. 78 은 상기 레버 (5) 를 정상적인 상태의 위치로 힘을 가하기 위한 스프링으로, 일단은 백플레이트 (27) 에 형성된 스프링 걸기 (79) 에, 타단은 상기 레버 (5) 에 형성된 스프링 걸기 (80) 에 각각 걸려 있다. 또한 81 은 레버 (5) 를 정상적인 상태의 위치에서 받아들이기 위한 스톱퍼를 나타낸다.
전환수단 (6) 은 잠금장치본체 (B) 를 비잠금상태와 잠금상태로 전환하기 위한 것으로, 인사이드 잠금레버 (84) 와 아웃사이드 잠금레버 (85) 와 콘트롤레버 (86) 로 구성한 예를 나타낸다.
인사이드 잠금레버 (84) 는 도어내면의 조작구 (C) 로부터의 조작에 의해 잠금장치본체 (B) 의 상기 전환을 행하기 위한 것으로, 도 11 에 도시한 비잠금상태와 도 12 에 도시한 잠금상태 사이의 위치변경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이와같은 위치변경을 위해 예를 들면 축부 (88) 를 핀 (88a) 으로 백플레이트 (27) 에 장착하고 있다. 89 는 상기 레버 (84) 에서 조작부재 (4) 와의 연계를 위한 제 1 완부로, 그 선단부가 연계부 (90) 로 되어 있고, 거기에는 연동부재로서 예시하는 핀 (91) 이 장착되어 있다. 상기 핀 (91) 은 조작부재 (4) 에서의 연계부 (62) 의 긴구멍 (63, 64) 에 위치시키도록 되어 있다. 92 는 아웃사이드 오픈레버 (85) 와의 연계를 위한 제 2 완부로, 연계부로서 예시하는 투공 (93) 이 돌출설치되어 있다. 94 는 제 3 완부로, 모터에 의한 조작에 의해 전환수단 (6) 을 잠금상태 및 비잠금상태로 전환하기 위해 설치한 것으로, 조작력의 받침부로 예시하는 긴구멍 (95) 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96 은 그 전환조작을 행하는 모터의 존재를 나타내고, 상기 모터 (96) 에 의해 회전구동되는 레버 (97) 에 핀 (98) 을 부착하여 이 핀 (98) 을 상기 긴구멍 (95) 에 결합시키도록 되어 있다. 이 구성에서는, 모터 (96) 로 레버 (97) 를 회전운동시킴으로써, 잠금레버 (84) 가 비잠금상태와 잠금상태로 전환된다.
아웃사이드 잠금레버 (85) 는 도어외면의 조작구로부터의 조작에 의해 잠금장치본체 (B) 의 상기 전환을 행하기 위한 것으로, 도 11 에 도시한 비잠금상태와 도 12 에 도시한 잠금상태 사이의 위치변경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이와 같은 위치변경을 위해 예를 들면 축부 (101) 를 핀 (101a) 으로 백플레이트 (27) 에 장착하고 있다. 102 는 상기 레버 (85) 에서 상기 도어외면의 조작구로부터의 조작력을 받기 위한 제 1 완부로, 그 선단부가 수입부 (103) 로 되어 있고, 거기에는 케이블 (9) 에서의 와이어 (9b) 의 선단에 부착한 연결구 (105) 를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부재 (104) 를 구비시키고 있다. 또한 106 은 케이블 (9) 에서의 시스 (9a) 의 고정부로, 백플레이트 (27) 에 형성되어 있다. 107 은 인사이드 잠금레버 (84) 및 콘트롤레버 (86) 와의 연계를 위한 제 2 완부로, 각각의 연계를 위한 연계편 예를 들면 돌편 (108, 109) 가 부착되어 있다. 돌편 (108) 은 투공 (93) 에 결합시킴으로써 인사이드 잠금레버 (84) 와의 연계를 행하도록 되어 있다. 110 은 전환수단 (6) 을 잠금상태 또는 비잠금상태로 전환한 상태를 각각 유지시키기 위한 스프링으로, 레버 (85) 와 백플레이트 (27) 사이에 개설되어 있다.
콘트롤 레버 (86) 는 잠금장치본체 (B) 의 잠금상태를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 인사이드 잠금레버 (84) 및 아웃사이드 잠금레버 (85) 가 잠금상태로 된 때에는, 아웃사이드 오픈레버 (5) 의 조작력이 걸림부재 (3) 에 전달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잠금장치본체 (B) 를 잠금상태로 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 레버 (86) 는 그 축부 (113) 를 핀 (113a) 으로 아웃사이드 오픈레버 (5) 의 제 2 완부 (77) 에 장착되어 있다. 114 는 제 1 완부로, 아웃사이드 잠금레버 (85) 와의 연계부로서 예시하는 긴구멍 (115) 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긴구멍 (115) 내에 연계편 (109) 을 위치시키고 있다. 상기 긴구멍 (115) 은, 아웃사이드 오픈레버 (5) 에 의한 석방조작시에 콘트롤레버 (86) 의 움직임의 방향을 안내하도록 도시한 바와 같은 형상의 긴구멍으로 형성되어 있다. 116 은 걸림부재 (3) 와의 연계를 위한 제 2 완부를 나타내고, 결합편 (51) 을 눌러 구동하기 위한 연계부 (117) 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구성의 것에서는, 자동차의 도어가 닫히고, 조작구 (C) 의 핸들 (13) 이 상기 비잠금위치에 있는 상태에서는, 잠금장치본체 (B) 는 도 1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잠금상태에 있다. 즉, 조작부재 (4) 는 비잠금위치 (U) 에 있고, 스트라이커 (39) 는 래치부재 (2) 의 결합부 (36) 에 결합되어, 걸림부재 (3) 의 걸림클릭 (43) 은 풀래치클릭 (38) 을 걸고, 따라서 래치부재 (2) 의 시계방향의 회전운동이 저지되어, 스트라이커 (39) 는 도면에 도시된 상태로 고정되어 도어는 폐상태로 유지되어 있다.
상기 핸들 (13) 을 상술한 바와 같이 잠금위치로 이동시키면, 잠금장치본체 (B) 는 도 1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상태로 된다. 즉 핸들 (13) 의 조작에 의해 와이어 (7b) 가 눌리면, 도 1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부재 (4) 가 잠금위치 (L) 로 이동한다. 이 이동과정에서 안내부 (63) 에서의 안내면 (63a) 이 연동부재 (91) 를 기계적으로 눌러, 인사이드 잠금레버 (84) 는 화살표 (131) 방향으로 회전운동하여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상태로 된다. 상기 레버 (84) 의 움직임은 연계부 (93) 및 연계편 (108) 을 통하여 아웃사이드 잠금레버 (85) 에 전달되어, 상기 레버 (85) 는 화살표 (132) 방향으로 회전운동하여 잠금상태로 된다. 다시 레버 (85) 를 통하여 콘트롤레버 (85) 에도 전달되어, 상기 레버 (86) 가 화살표 (133) 방향으로 회전운동하여 잠금상태, 즉 도 1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계부 (117) 가 결합편 (51) 과 대향하는 위치에서 벗어난 상태로 된다.
상기와 같이 잠금장치본체 (B) 가 잠금상태일 때에는, 도어외면의 조작구를 석방조작하여도, 잠금장치본체 (B) 에서는 걸림부재 (3) 에 의한 래치부재 (2) 의 걸림상태가 유지되어, 도어의 폐상태가 유지된다. 즉, 상기 도어외면의 조작구를 석방조작하면 케이블 (8) 의 와이어 (8b) 가 도 14 의 화살표 (135) 와 같이 당겨진다. 그러면 아웃사이드 오픈레버 (5) 는 화살표 (136) 방향으로 회전운동한다. 그리고 그 회전운동에 의해 콘트롤레버 (86) 가 움직이게 된다. 그러나 연계부 (117) 는 결합편 (51) 과 대향하고 있지 않으므로, 콘트롤레버 (86) 는 화살표 (137) 방향으로 움직일 뿐, 걸림부재 (3) 는 부동을 유지한다. 따라서 걸림부재 (3) 에 의한 래치부재 (2) 의 걸림상태가 유지된다. 또한 콘트롤레버 (86) 의 화살표 (137) 방향의 움직임은, 긴구멍 (115) 에 의해 안내된다. 도어외면의 조작구의 석방조작을 중단하면, 아웃사이드 오픈레버 (5) 는 스프링 (78) 에 의해 도 12 의 위치로 되돌아 간다.
상기 핸들 (13) 을 상술한 바와 같이 다시 비잠금위치로 이동시키면, 잠금장치본체 (B) 는 다시 비잠금상태로 된다. 즉 핸들 (13) 의 조작에 의해 와이어 (7b) 가 당겨지면, 도 1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부재 (4) 가 비잠금위치 (U) 로 이동한다. 이 이동과정에서 안내부 (63) 에서의 안내면 (63b) 이 연동부재 (91) 를 기계적으로 눌러, 인사이드 잠금레버 (84) 는 화살표 (140) 방향으로 회전운동하여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잠금상태로 된다. 상기 레버 (84) 의 움직임은 연계부 (93) 및 연계편 (108) 을 통하여 아웃사이드 잠금레버 (85) 에 전달되어, 상기 레버 (85) 는 화살표 (142) 방향으로 회전운동하여 비잠금상태로 된다. 또한 레버 (85) 를 통하여 콘트롤레버 (86) 에도 전달되어, 상기 레버 (86) 가 화살표 (143) 방향으로 회전운동하여 비잠금상태, 즉 도 1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계부 (117) 가 결합편 (51) 과 대향하는 상태로 된다.
상기 비잠금의 조작의 경우, 와이어 (7b) 로부터 조작부재 (4) 에 부여되는 비잠금의 조작을 위한 조작력은, 안내면 (63b) 과 연동부재 (91) 와의 강체 끼리의 결합을 통하여 전환수단 (6) 에 전달된다. 따라서, 전환수단 (6) 에서의 인사이드 잠금레버 (84), 아웃사이드 잠금레버 (85), 콘트롤레버 (86) 등의 부재에 빙결 또는 녹이 부착되어 이들의 움직임이 나빠져 있어도, 상기 조작력을 조작부재 (4) 로부터 상기 레버 (84) 에 강제적으로 가하여 이를 강제적으로 작동시켜, 다시 다른 레버 (85, 86) 도 순서대로 강제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어, 확실하게 비잠금상태로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잠금장치본체 (B) 가 비잠금상태일 때는, 도어외면의 조작구를 석방조작함으로써 잠금장치본체 (B) 가 석방상태로 되어, 걸림부재 (3) 에 의한 래치부재 (2) 의 걸림이 해제되어, 도어의 개방이 가능해진다. 즉, 상기 도어외면의 조작구를 석방조작하면 케이블 (8) 의 와이어 (8b) 가 도 15 의 화살표 (145) 와 같이 당겨진다. 그러면 아웃사이드 오픈레버 (5) 는 화살표 (146) 방향으로 회전운동한다. 그리고 그 회전운동에 의해 콘트롤레버 (86) 가 화살표 (147) 방향으로 움직이게 된다. 그 움직임에 의해 연계부 (117) 가 결합편 (51) 을 눌러, 걸림부재 (3) 는 화살표 (148) 방향으로 회전운동하여 걸림클릭 (43) 이 풀래치클릭 (38) 에서 이탈된다. 그러면 래치부재 (2) 는 화살표 (149) 방향의 회전운동이 가능해져, 스트라이커 (39) 가 화살표 (150) 로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부 (36) 에서 빠져 자동차의 도어의 개방이 가능해진다.
상기 핸들 (13) 을 상술한 바와 같이 석방위치로 이동시키면, 잠금장치본체 (B) 는 석방상태로 되어, 도어의 개방이 가능해진다. 즉, 핸들 (13) 의 조작에 의해 와이어 (7b) 가 다시 당겨지면, 도 1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부재 (4) 가 석방위치 (R) 로 이동한다. 이 이동에 의해 구동부 (60) 는 걸림부재 (3) 의 피동부 (49) 를 화살표 (153) 방향으로 눌러, 걸림클릭 (43) 이 풀래치클릭 (38) 에서 이탈된다. 그 결과, 상기와 같이 도어의 개방이 가능해진다. 이 동작의 경우에서 핸들 (13) 의 조작에 필요한 힘은, 상기 도 8 에 근거하여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로, 케이블 (7) 이나 조작부재 (4) 를 통하여 걸림부재 (3) 를 래치부재 (2) 에서 이탈시키는 것만의 비교적 작은 힘으로 충분하다.
다음으로 도 3, 4, 5 에 도시한 조작구 (C) 는, 기본적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었는데, 추가로 부가기능을 설명하기 위해 도 16 ∼ 도 26 에 기재한 조작구 (C1) 를 이용하여 이하 설명한다. 또한, 도 3, 4, 5 의 부재와 상호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 동일한 구성으로 생각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달아 양자의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또 도 18 과 도 22 와 도 26 은 도 3, 4, 5 도의 동작상태와 동일하게, 순서대로 핸들 (13) 이 각각 "비잠금위치", "잠금위치", "석방위치" 에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프레임 (11) 은, 도 1 과 같이 상부(표면)단부 (11a) 를 도어 (D) 의 내면과 대략 동일한 높이가 되도록 매입하는 것으로, 내측의 오목부 (11c) 에는 핸들 (13) 을 요동이 자유롭게 내장하고 있다. 오목부 (11c) 중, 좁은 폭의 심부 (11d) 는, 핸들 (13) 의 일단의 주부 (主部) (13a) 를 잠금위치에서는 잠기게 하여, 탑승자의 손가락 (F) 이 도 23 과 같이 주부 (13a) 의 안측으로 들어가지 않도록 주위를 벽으로 포위한 오목부이다.
따라서, 오목부 (11c) 에서 2 점쇄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심부 (11) 의 벽이 넓은 경우는, 좁은 폭의 심부 (11d) 를 형성하는 대신, 주부 (13a) 가 잠금위치에서 포위되도록, 그 양측에 손가락 (F) 의 삽입을 방지하기 위한 별도의 저지부재를 수립형상으로 배치하여 포위위치 (11d) 를 형성하여도 된다. 도 23 에서는, 부호 11e 로 나타내는 벽부재가 저지부재의 역할을 한다.
또 오목부 (11c) 중, 공간 (11f) 은, 핸들 (13) 이 도 18 의 비잠금위치에 있을 때, 도 24 와 같이, 주부 (13a) 의 안측에 손가락 (F) 을 넣기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주위에 벽이 가까워지지 않도록 형성한 개방공간이다. 오목부 (11c) 중, 공간 (11g) 은, 핸들 (13) 의 타단의 보조부 (13b) 를 도 26 과 같이, 석방위치에서 잠기게 하기 위한 공간이다. 보조부 (13b) 는 도 22 의 잠금위치에서는 오목부의 상방 (11k) 으로 부상되어 있는데, 주위에는 프레임 (11) 에서의 측벽 (11a) 이 존재하고 있다. 특히 필요하면, 보조부 (13b) 의 부상량에 대응시켜 측벽의 상부단부의 일부 (11b) 를 도 18 도, 도 22 와 같이, 팽출시켜 두거나, 보조부 (13b) 위에 손가락이 들어가는 정도의 투공을 갖는 카버를 장비해 두어도 된다.
이렇게 하면, 보조부 (13b) 는 도 22 의 잠금위치에서 탑승자의 신체가 이것에 씌워져도, 도 18 의 상태로 변화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핸들 (13) 의 지점 (14) 은 주부 (13a) 가 길고, 보조부 (13b) 가 짧아지도록 배분, 예를 들면, 2:1 로 하여, 주부 (13a) 에 큰 조작력을 발휘할 수 있어, 보조부 (13b) 의 압입은 소아가 할 수 없도록 무겁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어른의 지압력으로도 핸들 (13) 을 잠금위치에서 비잠금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이 한도로, 이것보다 심부로의 압입은 불가능하다.
또한 필요하면, 보조부 (13b) 를 도 18 의 위치에서 심부를 향하여 손가락으로 압입할 수 없도록 구성하면 된다. 즉, 공간 (11g) 의 하방측벽폭 (W) 을 도 20 에 2 점쇄선 (11m) 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손가락의 굵기보다도 좁게 한 형상으로 해두면 된다. 이 경우, 핸들의 타단 (13b) 의 폭도 도 17 의 2 점쇄선 (13g) 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폭을 비교적 좁게 하면 된다.
상기 구성에서는, 도 18, 도 22, 도 26 의 상호간의 동작에 의해, 도 3, 4, 5 도를 이용한 동작설명과 동일한 기능을 발휘한다. 또, 핸들 (13) 이 도 18 의 비잠금위치에 있을 때, 이것의 주부 (13a) 를 화살표방향, 즉 압입방향으로 누르면, 도 22 의 상태로 되어 주위는 포위되고, 이 주부 (13a) 를 손가락으로 잡는 것도 빼내는 것도 할 수 없게 된다. 그러나, 주부 (13a) 는 타단의 보조부 (13b) 가 부상되어 가압조작 가능한 부상위치 (11k) 에 있으므로, 이것을 도 22 의 상태로 화살표방향, 즉 오목부 (11g) 를 향하여 어른의 손가락으로 압입하는 방향으로 동작시키면 도 18 과 같이 복귀되어, 비잠금위치로 된다. 다음에 핸들 (13) 을 석방위치로 하기 위해서는, 핸들 (13) 은 개방위치 (11f) 에 있어, 주위가 개방되어 있으므로, 다시 주부 (13a) 의 방향을 손가락 (F) 으로 도 24 와 같이 걸어 끌어올린다. 그렇게 하면 도 26, 도 25 와 같이 석방위치로 된다. 이와 같이, 하나의 핸들 (13) 을 비잠금위치, 잠금위치, 석방위치의 3 위치로 움직여 잠금장치본체 (B) 를 상술한 바와 같이 대응폐쇄유지상태, 잠금상태, 석방상태로 조작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는 것이더라도, 핸들조작은, 비잠금위치에서 잠금위치로는 주부 (13a) 의 압입, 잠금위치에서 비잠금위치로는 보조부 (13b) 의 압입, 큰 힘이 필요한 비잠금위치에서 석방위치로는 주부 (13a) 의 끌어올림조작으로 3 태양 모두 계속해서 조작이 다르도록 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본원발명에 있어서는, 비잠금위치 (U) 와 로쿠위치 (L) 와 석방위치 (R) 와의 위치변경을 가능하게 한 조작부재 (4) 를 걸림부재 (3) 나 전환수단 (6) 으로 연계시키고 있으므로, 조작부재 (4) 를 조작하는 것만으로 상기의 폐쇄유지상태, 잠금상태, 석방상태의 3 태양의 조작을 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것은 예를 들면 상기 조작부재 (4) 를 1 개의 케이블로 조작핸들에 접속함으로써, 상기 도난방지, 충돌시의 안전성, 도어로의 부착의 용이성을 도모할 수 있고, 또 케이블을 이용하는 것에서도 그 수는 1 개로 충분하여 비교적 저렴한 비용으로 실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1 개의 케이블로 상기 3 태양의 조작을 가능하게 하는 것에서도, 비잠금상태에서 석방조작을 행하는 경우, 조작부재 (4) 를 비잠금위치 (U) 에서 석방위치 (R) 로 움직이면, 그 동작은 걸림부재 (3) 에는 전달되지만, 전환수단 (6) 에는 해방부 (64) 의 존재에 의해 전달되지 않도록 되어 있으므로, 조작부재 (4) 는 걸림부재 (3) 에 의한 래치부재 (2) 의 걸림을 해제하는 것만의 힘으로 움직이면 되어, 비교적 가벼운 조작력으로 비잠금상태로부터의 석방조작을 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조작부재 (4) 와 전환수단 (6) 과는, 조작부재 (4) 에 구비한 안내부 (63) 가 전환수단 (6) 에 구비한 연동부재 (91) 를 밀어 움직이게 함으로써, 조작부재 (4) 가 비잠금위치 (U) 와 잠금위치 (L) 사이를 움직이는 과정에서 전환수단 (6) 을 비잠금상태와 잠금상태로 전환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므로, 전환수단 (6) 이 빙결이나 녹이 부착되어 그 움직임이 둔해진 경우에도, 종래제품과 같은 "스프링" 을 이용하지 않고, 조작부재 (4) 의 조작으로 확실하게 전환수단 (6) 을 전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핸들 (13) 의 주부 (13a) 가 되는 측의 일단은, 비잠금위치 및 석방위치에서는 프레임 (11) 에서 탑승자가 손가락으로 조작할 수 있도록 주위가 개방되어 있는 개방위치 (11f) 에 위치하고, 잠금위치에 있어서는, 프레임 (11) 에서 탑승자가 손가락으로 조작하기 어렵도록 주위가 포위되어 있는 심부의 포위위치 (11d) 에 위치하도록 요동범위를 정하여, 핸들 (13) 의 타단 (13b) 은 잠금위치에서는 프레임의 표면단부 (11a) 가까이에 부상되어 있어, 탑승자의 손가락으로 압입하기 위한 가압조작이 가능한 위치 (11k) 에 위치하도록 설정되어 있으므로, 잠금위치에서 핸들의 주부 (13a) 의 측은 주위가 포위되는 특징이 있어, 이것을 조작하기 위해서는 타단의 보조부 (13b) 의 압입조작을 필요로 하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하나의 핸들로 3 태양의 제어를 하는 것이더라도, 잠금위치에서 비잠금위치 상태로의 이행과, 비잠금위치에서 석방위치상태로의 이행의 연속조작성을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어, 종래예와 같은 사고를 방지하는 데 도움이 된다.

Claims (4)

  1. (삭제)
  2. (정정) 기틀 (1) 에는, 스트라이커 (39) 와의 결합부 (36) 를 구비하는 회전운동이 자유로운 래치부재 (2) 와, 상기 래치부재 (2) 를 걸기 위한 걸림부재 (3) 와, 상기 걸림부재 (3) 를 비잠금상태와 잠금상태와 석방상태로 하기 위해, 조작구 (C) 에 대하여 케이블 (7) 로 연계되어 있어, 조작구에서의 하나의 조작용의 핸들 (13) 의 조작에 의해 비잠금위치와 잠금위치와 석방위치의 3 위치간의 위치변경을 자유롭게 한 조작부재 (4) 를 구비하고, 상기 조작부재 (4) 와 걸림부재 (3) 와는, 조작부재 (4) 가 석방위치에 있는 상태에서는 걸림부재 (3) 에 의한 래치부재 (2) 의 걸림이 해제되어, 조작부재 (4) 가 그 이외의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는 걸림부재 (3) 가 래치부재 (2) 를 걸도록 되어 있는 도어잠금장치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재 (4) 와 걸림부재 (3) 와의 연계의 구성은, 걸림부재 (3) 의 일부에 대향하는 비잠금위치와, 걸림부재 (3) 의 잠금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잠금위치 사이를 왕복가능하게 하고 있는 전환수단 (6) 을 구비시킴과 동시에 그 전환수단 (6) 에는 조작부재 (4) 와 연동시키기 위한 연동부재 (91) 를 구비시키고, 한편, 상기 조작부재 (4) 에는, 조작부재 (4) 가 비잠금위치와 잠금위치 사이를 움직이는 과정에서 상기 연동부재 (91) 를 밀어움직여 전환수단 (6) 을 비잠금위치와 잠금위치로 위치변경시키기 위한 안내부 (63) 와, 조작부재 (4) 가 비잠금위치와 석방위치 사이를 움직이는 과정에서는 상기 연동부재 (91) 와의 연계를 끊도록 한 해방부 (64) 를 구비시키고, 상기 조작부재 (4) 에 구비시킨 안내부 (63) 는, 양측에 안내면 (63a, 63b) 이 형성될 수 있도록 긴홈으로 구성하고, 그 긴홈의 방향은, 조작부재 (4) 의 회전운동중심을 반경으로 하는 원호에 대하여 교차하는 경사방향으로 형성하여, 조작부재 (4) 를 요동시킨 경우에, 전환수단 (6) 측에 구비시킨 연동부재 (91) 로서의 핀을, 상기 2 개의 안내면 (63a, 63b) 으로 서로 번갈아 눌러, 전환수단 (6) 을 비잠금위치와 잠금위치로 위치변경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잠금장치.
  3. 기틀 (1) 에는, 스트라이커 (39) 와의 결합부 (36) 를 구비하는 회전운동이 자유로운 래치부재 (2) 와, 상기 래치부재 (2) 를 걸기 위한 걸림부재 (3) 와, 상기 걸림부재 (3) 를 비잠금상태와 잠금상태와 석방상태로 하기 위해, 조작구 (C) 에 대하여 케이블 (7) 로 연계되어 있어, 조작구에서의 하나의 조작용의 핸들 (13) 의 조작에 의해 비잠금위치와 잠금위치와 석방위치의 3 위치간의 위치변경을 자유롭게 한 조작부재 (4) 를 구비하고, 상기 조작부재 (4) 와 걸림부재 (3) 와는, 조작부재 (4) 가 석방위치에 있는 상태에서는 걸림부재 (3) 에 의한 래치부재 (2) 의 걸림이 해제되어, 조작부재 (4) 가 그 이외의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는 걸림부재 (3) 가 래치부재 (2) 를 걸도록 되어 있는 도어잠금장치에 있어서,
    상기 조작구 (C) 는, 도어 (D) 에 장착하기 위한 프레임 (11) 과, 프레임 (11) 에서의 오목부 (11c) 에서 중간을 지지하는 상태로 요동이 자유롭게 장착된 핸들 (13) 을 구비하고, 핸들 (13) 의 주부 (13a) 가 되는 측의 일단은, 비잠금위치 및 석방위치에서는, 프레임 (11) 에서 탑승자가 손가락으로 조작할 수 있도록 주위가 개방되어 있는 개방위치 (11f) 에 위치하고, 잠금위치에서는, 프레임 (11) 에서 탑승자가 손가락으로 조작하기 어렵도록 주위가 포위되어 있는 심부의 포위위치 (11d) 에 위치하도록 요동범위를 정하여, 핸들 (13) 의 타단 (13b) 은 잠금위치에서는 프레임의 표면단부 (11a) 근처에 부상되어 있어, 탑승자의 손가락으로 압입하기 위한 가압조작이 가능한 위치 (11k) 에 위치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잠금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 (13) 의 타단 (13b) 의 상면의 주위는, 잠금위치에서 비잠금위치를 향하여 탑승자의 손가락으로 압입할 수 있도록 넓게 형성되어 있고, 비잠금위치에서 석방위치를 향하여 비교적 좁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잠금장치.
KR10-1998-0709765A 1996-12-27 1997-09-26 도어잠금장치 KR1004528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709765A KR100452806B1 (ko) 1996-12-27 1997-09-26 도어잠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6-359207 1996-12-27
KR10-1998-0709765A KR100452806B1 (ko) 1996-12-27 1997-09-26 도어잠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6197A KR20000016197A (ko) 2000-03-25
KR100452806B1 true KR100452806B1 (ko) 2005-02-28

Family

ID=436645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9765A KR100452806B1 (ko) 1996-12-27 1997-09-26 도어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5280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91493B2 (en) 2006-06-07 2009-09-22 Mitsui Mining & Smelting Co., Ltd. Door opening/closing device
KR100939187B1 (ko) * 2008-02-29 2010-01-28 평화정공 주식회사 도난 방지성과 편의성이 향상된 차량용 도어래치
US7931312B2 (en) 2004-11-26 2011-04-26 Mitsui Mining & Smelting Co., Ltd. Apparatus for opening and closing door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31312B2 (en) 2004-11-26 2011-04-26 Mitsui Mining & Smelting Co., Ltd. Apparatus for opening and closing door
US7591493B2 (en) 2006-06-07 2009-09-22 Mitsui Mining & Smelting Co., Ltd. Door opening/closing device
KR100939187B1 (ko) * 2008-02-29 2010-01-28 평화정공 주식회사 도난 방지성과 편의성이 향상된 차량용 도어래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6197A (ko) 2000-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58788A (en) Door locking device
US4617757A (en) Sliding door opening-closing mechanism
EP0942134B1 (en) Electric latch mechanism with an internal auxiliary mechanical release
KR101795252B1 (ko) 차량용 트렁크 래치 모듈
EP0775791B1 (en) Vehicle door lock actuator
US5718465A (en) Child-proof for vehicle sliding door latch device
JPH04306382A (ja) 自動車ドアロック
US20180112442A1 (en) Door lock apparatus
EP0902144B1 (en) Interior door handle assemblies
JP3338950B2 (ja) ドアロック装置
KR19990066954A (ko) 차량문 체결쇠 조립체
KR100452806B1 (ko) 도어잠금장치
KR100303367B1 (ko) 자동차용 도어래치 어셈블리
JP2529567Y2 (ja) ドアロックのケーブル連結構造
CN210622525U (zh) 门锁
US5474340A (en) Theft-resistant motor-vehicle door latch
JPH01247677A (ja) 車輌用ドアのロツク装置
JP3364566B2 (ja) 車両用スライド扉の中継機構
JP4169428B2 (ja) 車両における扉体の開閉操作装置
JP3183627B2 (ja) 車両用スライド扉の中継機構
KR100448080B1 (ko) 이중로킹장치를 구비한 도어로킹장치
EP0668424B1 (en) Door lock with a dead bolt and a latch bolt
JPS6140860Y2 (ko)
EP1138854A1 (en) Door lock apparatus for vehicles
US20020078724A1 (en) Tail gate locking apparatus for protecting childr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5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