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7189B1 - 슬라이딩 도어용 리모트 컨트롤러 - Google Patents
슬라이딩 도어용 리모트 컨트롤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47189B1 KR101247189B1 KR1020100071467A KR20100071467A KR101247189B1 KR 101247189 B1 KR101247189 B1 KR 101247189B1 KR 1020100071467 A KR1020100071467 A KR 1020100071467A KR 20100071467 A KR20100071467 A KR 20100071467A KR 101247189 B1 KR101247189 B1 KR 10124718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ever
- sliding door
- fastening hole
- remote controller
- ope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슬라이딩 도어용 리모트 컨트롤러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회전지지부가 형성된 플레이트와, 상기 회전지지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되어 인너핸들오픈로드에 의해 회전되는 인너레버와, 상기 인너레버에 체결되어 상기 인너레버가 회전시 상기 인너레버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제 1 인장스프링과, 상기 회전지지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되어 상기 인너레버와 연동하여 회전하는 메인레버와, 상기 회전지지부에 체결되어 상기 메인레버가 회전시 상기 메인레버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토션스프링과, 상기 회전지지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되어 상기 메인레버와 연동하여 회전하며, 일측이 도어닫힘유지수단과 연결되는 오픈레버와, 상기 회전지지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되어 상기 메인레버와 연동하여 회전하며, 일측이 홀드오픈로드와 체결되고, 타측이 도어열림유지수단과 연결되는 홀드오픈레버와, 상기 홀드오픈레버에 체결되어 상기 홀드오픈레버가 회전시 상기 홀드오픈레버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제 2 인장스프링을 포함하는 슬라이딩 도어용 리모트 컨트롤러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슬라이딩 도어용 리모트 컨트롤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수개의 레버들이 하나의 회전지지부에 체결되는 슬라이딩 도어용 리모트 컨트롤러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측면에 설치되는 슬라이딩 도어는 차체의 측면을 따라 차체의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면서 열리거나 닫히는 미닫이식 도어이다. 슬라이딩 도어는 좁은 공간에서도 도어의 개폐가 가능하며, 사용자의 출입이 용이하여 밴(Van)형 차량에 널리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슬라이딩 도어에는 차량의 내부에 배치되는 인너핸들 및 차량의 외부에 배치되는 아웃핸들이 장착된다. 또한, 슬라이딩 도어에는 도어닫힘유지수단의 일종인 사이드래치(Side latch) 및 도어열림유지수단의 일종인 로어래치(Lower latch)가 장착된다.
사이드래치와 같은 도어닫힘유지수단은 슬라이딩 도어가 닫힘상태일 때, 슬라이딩 도어를 차체에 고정시켜 슬라이딩 도어가 열리지 않도록 유지한다. 또한, 로어래치와 같은 도어열림유지수단은 슬라이딩 도어가 열림상태일 때, 슬라이딩 도어를 차체에 고정시켜 슬라이딩 도어가 열려 있는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와 같은 도어닫힘유지수단 및 도어열림유지수단은 인너핸들 및 아웃핸들의 조작에 의해 작동된다. 따라서 슬라이딩 도어에는 인너핸들 및 아웃핸들을 도어닫힘유지수단 및 도어열림유지수단과 연결하는 리모트 컨트롤러가 장착된다.
이때, 리모트 컨트롤러에는 슬라이딩 도어에 장착되는 다양한 장치들을 연결시키는 다수개의 로드 및 레버들이 체결된다. 또한, 리모트 컨트롤러에는 상기와 같은 다수개의 로드 및 레버들이 복잡한 링크구조를 이루고 있다.
따라서 리모트 컨트롤러의 제작에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었다. 또한, 로드나 레버와 같은 연결장치들이 곳곳에 흩어져 있어 리모트 컨트롤러의 오작동(誤作動)이 빈번하였으며, 정비 점검에도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본 발명은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이 용이한 슬라이딩 도어용 리모트 컨트롤러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오작동을 줄이고, 정비 점검이 용이한 슬라이딩 도어용 리모트 컨트롤러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회전지지부가 형성된 플레이트와, 상기 회전지지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되어 인너핸들오픈로드에 의해 회전되는 인너레버와, 상기 인너레버에 체결되어 상기 인너레버가 회전시 상기 인너레버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제 1 인장스프링과, 상기 회전지지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되어 상기 인너레버와 연동하여 회전하는 메인레버와, 상기 회전지지부에 체결되어 상기 메인레버가 회전시 상기 메인레버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토션스프링과, 상기 회전지지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되어 상기 메인레버와 연동하여 회전하며, 일측이 도어닫힘유지수단과 연결되는 오픈레버와, 상기 회전지지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되어 상기 메인레버와 연동하여 회전하며, 일측이 홀드오픈로드와 체결되고, 타측이 도어열림유지수단과 연결되는 홀드오픈레버와, 상기 홀드오픈레버에 체결되어 상기 홀드오픈레버가 회전시 상기 홀드오픈레버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제 2 인장스프링을 포함하는 슬라이딩 도어용 리모트 컨트롤러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용 리모트 컨트롤러는 다수개의 레버들이 하나의 회전지지부에 체결되어 구조가 간단하고, 제작이 용이하다.
또한, 간결한 구조로 다수개의 레버가 연동하므로 오작동이 적으며, 작동의 확실성을 담보할 수 있다.
또한, 다수개의 레버들이 회전지지부에 모여있어 정비 점검이 간편하고, 부품의 교체가 용이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용 리모트 컨트롤러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슬라이딩 도어용 리모트 컨트롤러의 일부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는 인너핸들을 조작하여 슬라이딩 도어를 열 때, 슬라이딩 도어용 리모트 컨트롤러의 작동을 보여주는 작동상태도이다.
도 4는 인너핸들을 조작하여 슬라이딩 도어를 닫을 때, 슬라이딩 도어용 리모트 컨트롤러의 작동을 보여주는 작동상태도이다.
도 5는 아웃핸들을 조작하여 슬라이딩 도어를 여닫을 때, 슬라이딩 도어용 리모트 컨트롤러의 작동을 보여주는 작동상태도이다.
도 6는 노브핸들을 조작하여 슬라이딩 도어를 잠금상태로 변환시, 슬라이딩 도어용 리모트 컨트롤러의 작동을 보여주는 작동상태도이다.
도 7는 슬라이딩 도어를 차일드락(Child lock) 상태로 변환시, 슬라이딩 도어용 리모트 컨트롤러의 작동을 보여주는 작동상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슬라이딩 도어용 리모트 컨트롤러의 일부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는 인너핸들을 조작하여 슬라이딩 도어를 열 때, 슬라이딩 도어용 리모트 컨트롤러의 작동을 보여주는 작동상태도이다.
도 4는 인너핸들을 조작하여 슬라이딩 도어를 닫을 때, 슬라이딩 도어용 리모트 컨트롤러의 작동을 보여주는 작동상태도이다.
도 5는 아웃핸들을 조작하여 슬라이딩 도어를 여닫을 때, 슬라이딩 도어용 리모트 컨트롤러의 작동을 보여주는 작동상태도이다.
도 6는 노브핸들을 조작하여 슬라이딩 도어를 잠금상태로 변환시, 슬라이딩 도어용 리모트 컨트롤러의 작동을 보여주는 작동상태도이다.
도 7는 슬라이딩 도어를 차일드락(Child lock) 상태로 변환시, 슬라이딩 도어용 리모트 컨트롤러의 작동을 보여주는 작동상태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용 리모트 컨트롤러(100)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슬라이딩 도어용 리모트 컨트롤러의 일부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슬라이딩 도어용 리모트 컨트롤러(100)는 회전지지부(111)가 형성된 플레이트(110)을 포함한다. 회전지지부(111)는 후술할 인너레버(120), 메인레버(130), 오픈레버(140) 및 홀드오픈레버(150)의 회전축이 된다.
회전지지부(111)에는 토션스프링(112)이 장착된다. 토션스프링(112)는 후술할 메인레버(130)에 복원력을 제공한다.
한편, 플레이트(110)의 일측에는 인너핸들(10)이 장착된다. 또한, 플레이트(110)의 타측에는 아웃핸들(20)이 장착된다. 인너핸들(10) 및 아웃핸들(20)에는 슬라이딩 도어(미도시)의 개폐시 사용자의 작동력이 가해진다.
슬라이딩 도어용 리모트 컨트롤러(100)는 회전지지부(111)에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되는 인너레버(120)를 포함한다. 인너레버(120)는 인너핸들오픈로드(30)에 의해 회전된다.
인너레버(120)의 일측에는 장공(長空) 형태의 제 1 체결홀(121)이 형성된다. 제 1 체결홀(121)은 인너레버(120)의 회전반경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제 1 체결홀(121)에는 인너핸들오픈로드(30)가 체결된다. 이때, 인너핸들오픈로드(30)는 일측이 제 1 체결홀(121)을 따라 소정정도 이동이 가능하도록 체결된다. 또한, 인너핸들오픈로드(30)의 타측은 인너핸들(10)과 연결된다.
한편, 인너레버(120)의 타측에는 제 2 돌기(122)가 형성된다. 제 2 돌기(122)는 인너레버(120)가 일측으로 회전시 후술할 차일드레버핀(152)에 작동력을 가한다.
또한, 인너레버(120)에는 제 1 인장스프링(123)이 체결된다. 제 1 인장스프링(123)은 인너레버(120)가 회전시 인너레버(120)에 복원력을 제공한다.
슬라이딩 도어용 리모트 컨트롤러(100)는 회전지지부(111)에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되는 메인레버(130)을 포함한다. 메인레버(130)는 인너레버(120)가 일측으로 회전시 연동하여 회전한다. 메인레버(130)와 인너레버(120)가 연동하여 회전하는 작동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메인레버(130)의 일측에는 장공 형태의 제 4 체결홀(131)이 형성된다. 이때, 제 4 체결홀(131)은 메인레버(130)의 회전반경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메인레버(130)의 타측에는 제 3 돌기(132)가 형성된다. 제 3 돌기(132)는 메인레버(130)가 일측으로 회전시 후술할 링크(162)에 작동력을 가한다.
또한, 메인레버(130)에는 홀드오픈레버(170) 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제 1 돌기(133)가 형성된다. 제 1 돌기(133)는 메인레버(130)가 일측으로 회전시 후술할 홀드오픈레버(170)에 작동력을 가한다. 또한, 제 1 돌기(133)는 메인레버(130)가 일측으로 회전시 토션스프링(112)에 의해 탄성력을 받는다.
한편, 슬라이딩 도어용 리모트 컨트롤러(100)는 제 4 체결홀(131)에 체결되는 차일드레버핀(152)을 포함한다. 이때, 차일드레버핀(152)은 제 4 체결홀(131)을 따라 소정정도 이동이 가능하도록 체결된다.
또한, 슬라이딩 도어용 리모트 컨트롤러(100)는 차일드레버핀(152)에 체결되는 차일드레버(150)를 포함한다. 차일드레버(150)는 차일드레버핀(152)을 제 4 체결홀을 따라 이동시킨다. 차일드레버(150)가 차일드레버핀(152)을 이동시키는 작동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차일드레버(150)는 플레이트(110)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된다. 또한, 차일드레버(150)의 일측에는 장공 형태의 제 5 체결홀(151)이 형성된다. 이때, 제 5 체결홀(151)은 메인레버(130)의 회전반경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제 5 체결홀(151)에는 차일드레버핀(152)이 체결된다. 이때, 차일드레버핀(152)는 제 5 체결홀(151)을 따라 소정정도 이동이 가능하도록 체결된다. 즉, 차일드레버핀(152)는 제 4 체결홀(131)을 따라 이동 가능할 뿐만 아니라, 제 5 체결홀(151)을 따라서도 이동이 가능하다.
한편, 차일드레버(150)의 타측은 차일드락설정장치(미도시)와 연결된다. 차일드레버(150)는 상기 차일드락설정장치의 조작에 따라 작동된다.
슬라이딩 도어용 리모트 컨트롤러(100)는 회전지지부(111)에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되는 오픈레버(140)를 포함한다. 오픈레버(140)는 메인레버(130)가 일측으로 회전시 연동하여 회전한다. 오픈레버(140)와 메인레버(130)가 연동하여 회전하는 작동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오픈레버(140)의 일측에는 장공 형태의 제 6 체결홀(141)이 체결된다. 이때, 제 6 체결홀(141)은 오픈레버(140)의 회전반경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오픈레버(140)의 타측에는 인너레버(120)에 형성된 제 2 돌기(122)와 접촉하는 제 4 돌기(142)가 형성된다.
한편, 오픈레버(140)는 도어닫힘유지수단(미도시)과 연결된다. 상기 도어닫힘유지수단은 슬라이딩 도어가 닫힘 상태에 있을 때, 슬라이딩 도어를 차체에 고정(이하, 록킹(Locking)으로 칭함)시키는 기능을 한다.
이때, 오픈레버(140)가 일측으로 회전하면, 상기 도어닫힘수단은 록킹 해제된다. 즉, 슬라이딩 도어는 차체에 고정되지 않으며, 차체의 측면을 따라 슬라이딩(Sliding) 가능한 상태가 된다.
상기 도어닫힘유지수단은 통상적으로 슬라이딩 도어에 사용되는 사이드래치(Side latch, 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상기 도어닫힘유지수단은 상기 사이드래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슬라이딩 도어를 차체에 고정시키는 다양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슬라이딩 도어용 리모트 컨트롤러(100)는 제 6 체결홀(141)에 체결되는 링크(162)을 포함한다. 이때, 링크(162)는 제 6 체결홀(141)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체결된다.
또한, 슬라이딩 도어용 리모트 컨트롤러(100)는 링크(162)와 체결되는 로크레버(160)을 포함한다. 로크레버(160)는 링크(162)를 제 6 체결홀(141)을 따라 이동시킨다. 로크레버(160)가 링크(162)를 이동시키는 작동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로크레버(160)는 플레이트(110)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된다. 또한, 로크레버(160)의 일측에는 장공 형태의 제 7 체결홀(161)이 형성된다. 이때, 제 7 체결홀(161)은 오픈레버(140)의 회전반경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제 7 체결홀(161)에는 링크(162)가 체결된다. 이때, 링크(162)는 제 7 체결홀(1651)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체결된다. 즉, 링크(162)는 제 6 체결홀(141)을 따라 이동 가능할 뿐만 아니라, 제 7 체결홀(161)을 따라서도 이동 가능하다.
한편, 로크레버(160)의 타측은 노브로드(40)와 체결된다. 노브로드(40)는 로크레버(160)를 회전시킨다. 또한, 노브로드(40)는 노브핸들(50)과 연결되어 노브핸들(50)의 조작에 따라 작동된다.
또한, 슬라이딩 도어용 리모트 컨트롤러(100)는 플레이트(110)의 일측에 장착되는 엑츄에이터(163)을 포함한다. 엑츄에이터(163)는 로크레버(160)에 체결되어 로크레버(160)를 회전시킨다. 이때, 엑츄에이터(163)는 도어잠금버튼(미도시)와 연결되어 상기 도어잠금버튼의 조작에 의해 작동된다.
한편, 슬라이딩 도어용 리모트 컨트롤러(100)는 회전지지부(111)에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되는 홀드오픈레버(170)를 포함한다. 홀드오픈레버(170)는 홀드오픈로드(60)에 의해 회전된다.
홀드오픈레버(170)의 일측에는 장공 형태의 제 2 체결홀(171)이 형성된다. 제 2 체결홀(171)은 홀드오픈레버(170)의 회전반경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제 2 체결홀(171)에는 홀드오픈로드(60)가 체결된다. 이때, 홀드오픈로드(60)는 제 2 체결홀(171)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체결된다. 또한, 홀드오픈로드(60)는 인너핸들(10)과 연결되어 인너핸들(10)의 조작에 따라 작동된다.
홀드오픈레버(170)의 타측은 도어열림유지수단(미도시)과 연결된다. 상기 도어열림유지수단은 슬라이딩 도어가 열림 상태일 때, 슬라이딩 도어를 차체에 록킹시키는 기능을 한다.
이때, 홀드오픈레버(170)가 일측으로 회전하면, 상기 도어열림유지수단이 록킹 해제된다. 즉, 슬라이딩 도어는 차체에 고정되지 않고, 차체의 측면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한 상태가 된다.
상기 도어열림유지수단은 통상적으로 슬라이딩 도어에 사용되는 로어래치(Lower latch, 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상기 도어열림유지수단은 상기 로어래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슬라이딩 도어를 차체에 고정시키는 다양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홀드오픈레버(170)에는 제 2 인장스프링(172)이 체결된다. 제 2 인장스프링(172)은 홀드오픈레버(170)가 회전시 홀드오픈레버(170)에 복원력을 제공한다.
한편, 홀드오픈레버(170)는 메인레버(130)가 일측으로 회전시 연동하여 회전한다. 즉, 홀드오픈레버(170)는 홀드오픈로드(60)에 의해 회전될 뿐만 아니라, 메인레버(130)에 의해서도 회전될 수 있다. 메인레버(130)와 홀드오픈레버(170)가 연동하여 회전하는 작동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한편, 슬라이딩 도어용 리모트 컨트롤러(100)는 서브레버(180) 및 서브로드(182)를 포함한다. 서브레버(180) 및 서브로드(182)는 메인레버(130)를 회전시킨다. 서브레버(180) 및 서브로드(182)가 메인레버(130)를 회전시키는 작동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서브레버(180)는 플레이트(110)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된다. 서브레버(180)의 일측에는 장공 형태의 제 3 체결홀(181)이 형성된다. 제 3 체결홀(181)은 서브로드(182)의 이동 방향(도 5 참고)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서브레버(180)는 아웃핸들(20)과 연결되어 아웃핸들(20)의 조작에 따라 작동된다.
서브로드(182)는 일단이 제 3 체결홀(181)에 체결된다. 이때, 서브로드(182)는 일단이 제 3 체결홀(181)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체결된다. 한편, 서브로드(182)의 타단은 메인레버(130)에 체결된다.
상기와 같이, 슬라이딩 도어용 리모트 컨트롤러(100)는 하나의 회전지지부(111)에 인너레버(120), 메인레버(130), 오픈레버(140) 및 홀드오픈레버(170)가 모두 체결된다.
따라서 슬라이딩 도어용 리모트 컨트롤러(100)는 구조가 간결하고, 제작이 용이하다. 또한, 슬라이딩 도어용 리모트 컨트롤러(100)는 다수개의 레버들이 하나의 회전지지부(111)에 모여 있어 정비점검이 간편하고, 부품의 교체가 용이하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슬라이딩 도어용 리모트 컨트롤러(100)의 작동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인너핸들(10)을 조작하여 슬라이딩 도어를 열 때, 슬라이딩 도어용 리모트 컨트롤러(100)의 작동을 보여주는 작동상태도이다.
도 3을 참고하면, 먼저 사용자가 인너핸들(10, 도 1 참고)을 일측으로 잡아당긴다. 인너핸들(10)에 작동력이 가해짐에 따라, 인너핸들(10)에 연결된 인너핸들오픈로드(30)가 도 3의 A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때, 인너레버(120)는 인너핸들오픈로드(30)에 의해 도 2의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인너레버(120)가 회전함에 따라, 제 2 돌기(122)는 차일드레버핀(152)을 도 2의 반시계 방향으로 민다.
따라서 차일드레버핀(152)과 체결된 메인레버(130) 또한 도 2의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즉, 메인레버(130)는 인너레버(120)가 회전함에 따라 연동하여 회전한다.
이때, 차일드레버핀(152)은 차일드레버(152)에 형성된 제 5 체결홀(151)을 따라 이동한다. 따라서 메인레버(130)가 회전하더라도 차일드레버(150)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또한, 메인레버(130)와 체결된 서브로드(182)는 서브레버(180)에 형성된 제 3 체결홀(181)을 따라 이동한다(도 1 참고). 따라서 메인레버(130)가 회전하더라도 서브레버(180)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한편, 메인레버(130)가 회전함에 따라, 제 3 돌기(132)는 링크(162)를 도 2의 반시계 방향으로 민다. 따라서 링크(162)와 체결된 오픈레버(140) 또한 도 2의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즉, 오픈레버(140)는 메인레버(130)가 회전함에 따라 연동하여 회전한다.
이때, 링크(162)는 로크레버(160)에 형성된 제 7 체결홀(161)을 따라 이동한다. 따라서 오픈레버(140)가 회전하더라도 로크레버(160)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한편, 오픈레버(140)가 도 2의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오픈레버(140)의 일측에 연결되어 있는 상기 도어닫힘유지수단이 록킹 해제된다.
또한, 메인레버(130)가 회전함에 따라, 제 1 돌기(133)는 홀드오픈레버(170)을 도 2의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즉, 홀드오픈레버(170)는 메인레버(130)가 회전함에 따라 연동하여 회전한다.
홀드오픈레버(170)가 도 2의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홀드오픈레버(170)의 일측에 연결되어 있는 상기 도어열림유지수단이 록킹 해제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도어닫힘유지수단 및 상기 도어열림유지수단이 모두 록킹 해제되면, 슬라이딩 도어는 차체의 측면을 따라 슬라이딩하여 오픈된다.
한편, 인너핸들(10)에 가해지던 상기 작동력이 제거되면, 제 1 인장스프링(123, 도 1 참고)은 인너레버(120)를 초기 위치로 복귀시킨다. 이때, 인너레버(120)에 형성된 제 2 돌기(122)는 제 4 돌기(142)를 밀어 오픈레버(140)를 초기 위치로 복귀시킨다. 토션스프링(112)은 메인레버(130)를 초기 위치로 복귀시킨다.
또한, 제 2 인장스프링(172, 도 1 참고)는 홀드오픈레버(170)를 초기 위치로 복귀시킨다. 홀드오픈레버(170)가 초기 위치로 복귀함에 따라, 상기 도어열림유지수단이 다시 록킹 된다. 즉, 슬라이딩 도어는 열림 상태로 차체에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작동력이 제거되어도 슬라이딩 도어는 열림 상태를 유지한다.
도 4는 인너핸들(10)을 조작하여 슬라이딩 도어를 닫을 때, 슬라이딩 도어용 리모트 컨트롤러(100)의 작동을 보여주는 작동상태도이다.
도 4를 참고하면, 사용자는 인너핸들(10, 도 1 참고)을 상기 도 3과 반대 방향으로 잡아당긴다. 인너핸들(10)에 작동력이 가해짐에 따라, 인너핸들오픈로드(30)가 도 4의 C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때, 인너핸들오픈로드(30)는 제 1 체결홀(121)을 따라 이동한다. 따라서 인너레버(120)는 회전하지 않는다. 또한, 인너레버(120)와 연동하여 회전하는 메인레버(130) 및 메인레버(130)와 연동하여 회전하는 오픈레버(140)도 회전하지 않는다.
한편, 인너핸들(10)에 상기 작동력이 가해짐에 따라, 홀드오픈로드(60)가 도 3의 D 방향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홀드오픈레버(170)는 홀드오픈로드(60)에 의해 도 4의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홀드오픈레버(170)가 도 4의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홀드오픈레버(170)와 연결되어 있는 상기 도어열림유지수단이 록킹 해제된다. 따라서 슬라이딩 도어는 차체의 측면을 따라 슬라이딩하여 닫힌다.
도 5는 아웃핸들(20)을 조작하여 슬라이딩 도어를 여닫을 때, 슬라이딩 도어용 리모트 컨트롤러(100)의 작동을 보여주는 작동상태도이다.
도 5를 참고하면, 먼저 사용자가 아웃핸들(20)을 일측으로 잡아당긴다. 아웃핸들(20)에 작동력이 가해짐에 따라, 아웃핸들(20)과 연결된 서브레버(180)가 도 5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때, 서브레버(180)는 서브로드(182)를 도 5의 E 방향으로 당긴다. 따라서 서브로드(182)는 도 5의 E 방향으로 이동한다. 서브로드(182)가 이동함에 따라, 서브로드(182)와 체결된 메인레버(130)는 도 5의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메인레버(130)가 회전함에 따라, 오픈레버(140)가 연동하여 도 5의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또한, 홀드오픈레버(170)가 연동하여 도 5의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에 대하여는 상기 도 3을 참고하여 설명한 바와 동일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오픈레버(140)가 도 5의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오픈레버(140)와 연결된 상기 도어닫힘유지수단이 록킹 해제된다. 또한, 홀드오픈레버(170)가 도 5의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홀드오픈레버(170)와 연결된 상기 도어열림유지수단이 록킹 해제된다.
상기 도어닫힘유지수단 및 상기 도어열림유지수단이 모두 록킹 해제되면, 슬라이딩 도어는 차체의 측면을 따라 슬라이딩하여 오픈된다.
한편, 아웃핸들(20)에 가해지던 상기 작동력이 제거되면, 메인레버(130)는 토션스프링(112)에 의해 초기 위치로 복귀한다. 메인레버(130)가 초기 위치로 복귀함에 따라, 서브로드(182) 및 서브레버(180)도 초기 위치로 복귀한다.
한편, 홀드오픈레버(170)는 제 2 인장스프링(172)에 의해 초기 위치로 복귀한다. 홀드오픈레버(170)가 초기 위치로 복귀함에 따라, 상기 도어열림유지수단이 다시 록킹 된다. 즉, 슬라이딩 도어는 열림 상태로 차체에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작동력이 제거되어도 슬라이딩 도어는 열림 상태를 유지한다.
한편, 아웃핸들(20)을 조작하여 슬라이딩 도어를 닫을 때에는 상기와 동일 유사한 작동이 일어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6은 노브핸들(50)을 조작하여 슬라이딩 도어를 잠금상태로 변환시, 슬라이딩 도어용 리모트 컨트롤러(100)의 작동을 보여주는 작동상태도이다.
도 6을 참고하면, 먼저 사용자가 노브핸들(50, 도 1 참고)을 일측으로 젖힌다. 노브핸들(50)이 일측으로 젖혀지면, 노브핸들(50)과 연결된 노브로드(40)가 도 6의 F 방향으로 이동한다.
노브로드(40)가 이동함에 따라, 로크레버(160)는 도 6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때, 로크레버(160)는 링크(162)를 도 6의 G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즉, 링크(162)는 제 6 체결홀(141)을 따라 회전지지부(11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상기와 같이 링크(162)가 이동하면, 메인레버(130)와 오픈레버(140) 간의 연동관계가 해제된다. 즉, 메인레버(130)가 회전하더라도 제 3 돌기(132)는 링크(162)에 작동력을 가하지 못한다.
따라서 메인레버(130)가 회전하더라도 오픈레버(140)가 회전하지 않는다. 또한, 오픈레버(140)가 회전하지 않으므로 상기 도어닫힘유지수단이 록킹 해제되지 않는다.
즉, 사용자가 인너핸들(10) 또는 아웃핸들(20)에 작동력을 가하여도 슬라이딩 도어는 오픈되지 않으며, 슬라이딩 도어는 잠금 상태로 변환된다.
한편, 사용자가 노브핸들(50)을 타측으로 젖히면, 상기와 반대 방향의 작동을 통해 로크레버(160)가 링크(162)를 다시 초기 위치로 복귀시킨다. 즉, 슬라이딩 도어의 잠금 상태가 해제된다.
이때, 로크레버(160)는 엑츄에이터(163)에 의해 작동될 수도 있다. 즉, 엑츄에이터(163)는 상기 도어잠금버튼의 조작에 의해 로크레버(160)를 도 6의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로크레버(160)가 도 6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슬라이딩 도어는 잠금 상태로 변환된다.
또한, 엑츄에이터(163)는 상기 도어잠금버튼의 조작에 의해 로크레버(160)를 도 6의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도 있다. 로크레버(160)가 도 6의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슬라이딩 도어는 잠금 상태가 해제된다.
도 7은 슬라이딩 도어를 차일드락(Child lock) 상태로 변환시, 슬라이딩 도어용 리모트 컨트롤러(100)의 작동을 보여주는 작동상태도이다.
도 7을 참고하면, 사용자는 먼저 상기 차일드락설정장치를 작동시킨다. 상기 차일드락설정장치가 작동되면, 차일드레버(150)는 도 7의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때, 차일드레버핀(152)은 차일드레버(150)에 의해 도 7의 H 방향으로 이동한다. 즉, 차일드레버핀(152)는 제 4 체결홀(131)을 따라 회전지지부(11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상기와 같이 차일드레버핀(152)이 이동하면, 인너레버(120)와 메인레버(130) 간의 연동관계가 해제된다. 즉, 인너레버(120)가 회전하더라도 제 2 돌기(122)는 차일드레버핀(152)에 작동력을 가하지 못한다.
따라서 인너레버(120)가 회전하더라도 메인레버(130)가 회전하지 않는다. 또한, 메인레버(130)가 회전하지 않으므로 오픈레버(140) 및 홀드오픈레버(170)이 회전하지 않는다. 오픈레버(140) 및 홀드오픈레버(170)가 회전하지 않으므로 상기 도어닫힘유지수단 및 상기 도어열림유지수단이 록킹 해제되지 않는다.
즉, 사용자가 인너핸들(10)을 조작하여 인너레버(120)가 회전하더라도 슬라이딩 도어는 오픈되지 않는다.
반면, 사용자가 아웃핸들(20)를 조작하는 경우에는 서브로드(182)에 의해 메인레버(130)가 회전한다(도 5 참고). 또한, 메인레버(130)가 회전함에 따라, 오픈레버(140) 및 홀드오픈레버(170)가 연동하여 회전한다.
즉, 사용자는 아웃핸들(20)을 조작하여 슬라이딩 도어를 오픈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슬라이딩 도어는 인너핸들(10)의 조작에 의해서는 오픈되지 않고, 아웃핸들(20)의 조작에 의하여만 오픈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즉, 슬라이딩 도어는 차일드락 상태로 변환된다.
한편, 사용자가 상기 차일드락설정장치를 작동 해제시키면, 차일드레버(150)는 다시 차일드레버핀(152)을 초기 위치로 복귀시킨다. 차일드레버핀(152)이 초기 위치로 복귀되면, 인너레버(120)와 메인레버(130) 간의 연동관계가 다시 복원된다. 따라서 슬라이딩 도어는 차일드락 상태가 해제된다.
상기와 같이, 슬라이딩 도어용 리모트 컨트롤러(100)는 인너레버(120), 메인레버(130), 오픈레버(140) 및 홀드오픈레버(170)를 하나의 회전지지부(111)에 체결하여 구조가 간결하면서도 다양한 기능을 구현한다.
또한, 슬라이딩 도어용 리모트 컨트롤러(100)는 인너레버(120), 메인레버(130), 오픈레버(140) 및 홀드오픈레버(170)가 연동하여 회전하도록 구성하여 링크구조가 간결하며, 부품수를 최소화할 수 있다.
덧붙여, 슬라이딩 도어용 리모트 컨트롤러(100)는 간결한 링크구조를 통해 오작동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정비점검이 용이하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슬라이딩 도어용 리모트 컨트롤러
110: 플레이트
120: 인너레버
130: 메인레버
140: 오픈레버
150: 차일드레버
160: 로크레버
170: 홀드오픈레버
110: 플레이트
120: 인너레버
130: 메인레버
140: 오픈레버
150: 차일드레버
160: 로크레버
170: 홀드오픈레버
Claims (24)
- 회전지지부가 형성된 플레이트와,
상기 회전지지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되어 인너핸들오픈로드에 의해 회전되는 인너레버와,
상기 인너레버에 체결되어 상기 인너레버가 회전시 상기 인너레버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제 1 인장스프링과,
상기 회전지지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되어 상기 인너레버와 연동하여 회전하는 메인레버와,
상기 회전지지부에 체결되어 상기 메인레버가 회전시 상기 메인레버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토션스프링과,
상기 회전지지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되어 상기 메인레버와 연동하여 회전하며, 일측이 도어닫힘유지수단과 연결되는 오픈레버와,
상기 회전지지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되어 상기 메인레버와 연동하여 회전하며, 일측이 홀드오픈로드와 체결되고, 타측이 도어열림유지수단과 연결되는 홀드오픈레버와,
상기 홀드오픈레버에 체결되어 상기 홀드오픈레버가 회전시 상기 홀드오픈레버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제 2 인장스프링을 포함하는 슬라이딩 도어용 리모트 컨트롤러.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너레버에는 일측에 장공(長空) 형태의 제 1 체결홀이 형성된 슬라이딩 도어용 리모트 컨트롤러.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인너핸들오픈로드는 일단이 상기 제 1 체결홀에 체결되어 상기 제 1 체결홀을 따라 이동 가능한 슬라이딩 도어용 리모트 컨트롤러. - 삭제
- 삭제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인레버에는 상기 홀드오픈레버에 작동력을 가하여 상기 홀드오픈레버를 회전시키는 제 1 돌기가 형성된 슬라이딩 도어용 리모트 컨트롤러.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홀드오픈레버에는 일측에 장공 형태의 제 2 체결홀이 형성된 슬라이딩 도어용 리모트 컨트롤러. -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홀드오픈로드는 일단이 상기 제 2 체결홀에 체결되어 상기 제 2 체결홀을 따라 이동 가능한 슬라이딩 도어용 리모트 컨트롤러.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되어 아웃핸들에 의해 회전되는 서브레버와,
일측이 상기 서브레버와 체결되고, 타측이 상기 메인레버에 체결되는 서브로드를 더 포함하는 슬라이딩 도어용 리모트 컨트롤러. -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서브레버에는 일측에 장공 형태의 제 3 체결홀이 형성된 슬라이딩 도어용 리모트 컨트롤러. -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서브로드는 상기 제 3 체결홀에 체결되어 상기 제 3 체결홀을 따라 이동 가능한 슬라이딩 도어용 리모트 컨트롤러.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인레버에는 일측에 장공 형태의 제 4 체결홀이 형성된 슬라이딩 도어용 리모트 컨트롤러. -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제 2 체결홀에 체결되어 상기 제 4 체결홀을 따라 이동 가능한 차일드레버핀과,
상기 차일드레버핀에 체결되어 상기 차일드레버핀을 상기 제 4 체결홀을 따라 이동시키는 차일드레버를 더 포함하는 슬라이딩 도어용 리모트 컨트롤러. -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인너레버에는 상기 차일드레버핀에 작용력을 가하여 상기 메인레버를 회전시키는 제 2 돌기가 형성된 슬라이딩 도어용 리모트 컨트롤러. -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차일드레버에는 일측에 장공 형태의 제 5 체결홀이 형성된 슬라이딩 도어용 리모트 컨트롤러. -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차일드레버핀은 상기 제 5 체결홀과 체결되어 상기 제 5 체결홀을 따라 이동 가능한 슬라이딩 도어용 리모트 컨트롤러.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오픈레버에는 일측에 장공 형태의 제 6 체결홀이 형성된 슬라이딩 도어용 리모트 컨트롤러. -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제 6 체결홀에 체결되어 상기 제 6 체결홀을 따라 이동 가능한 링크와,
상기 링크와 체결되어 노브로드의 작동에 의해 상기 링크를 상기 제 6 체결홀을 따라 이동시키는 로크레버를 더 포함하는 슬라이딩 도어용 리모트 컨트롤러. -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메인레버에는 상기 링크에 작용력을 가하여 상기 오픈레버를 회전시키는 제 3 돌기가 형성된 슬라이딩 도어용 리모트 컨트롤러. -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로크레버를 작동시키는 엑츄에이터를 더 포함하는 슬라이딩 도어용 리모트 컨트롤러. -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로크레버에는 일측에 장공 형태의 제 7 체결홀이 형성된 슬라이딩 도어용 리모트 컨트롤러. - 청구항 23에 있어서,
상기 링크는 상기 제 7 체결홀과 체결되어 상기 제 7 체결홀을 따라 이동 가능한 슬라이딩 도어용 리모트 컨트롤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71467A KR101247189B1 (ko) | 2010-07-23 | 2010-07-23 | 슬라이딩 도어용 리모트 컨트롤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71467A KR101247189B1 (ko) | 2010-07-23 | 2010-07-23 | 슬라이딩 도어용 리모트 컨트롤러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10015A KR20120010015A (ko) | 2012-02-02 |
KR101247189B1 true KR101247189B1 (ko) | 2013-03-25 |
Family
ID=458347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71467A KR101247189B1 (ko) | 2010-07-23 | 2010-07-23 | 슬라이딩 도어용 리모트 컨트롤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47189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91318B1 (ko) * | 2013-09-23 | 2015-02-06 | 기아자동차주식회사 | 슬라이딩 도어 리모트 컨트롤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00129B1 (ko) * | 2012-02-27 | 2013-08-26 | 안호경 | 도어록킹 콘트롤러 및 이를 구비하는 차량용 슬라이딩도어 자동 개폐장치 |
KR101382121B1 (ko) * | 2012-10-10 | 2014-04-09 | 대동도어 주식회사 | 슬라이딩 도어용 리모트 컨트롤러 모듈 |
KR101371257B1 (ko) * | 2013-02-04 | 2014-03-26 | 주식회사 리한도어 | 차량의 슬라이딩 도어용 잠금장치 |
KR101371255B1 (ko) * | 2013-02-04 | 2014-03-10 | 주식회사 리한도어 | 차량의 슬라이딩 도어용 잠금장치 |
KR101855775B1 (ko) | 2016-09-22 | 2018-05-09 |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 슬라이딩 도어 컨트롤러 유닛 |
CN114687622B (zh) * | 2020-12-31 | 2023-08-08 | 比亚迪股份有限公司 | 用于电动滑门的锁结构、电动滑门设备和汽车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186445A (ja) | 1998-12-22 | 2000-07-04 | Aisin Seiki Co Ltd |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装置 |
JP2007138535A (ja) | 2005-11-17 | 2007-06-07 | Aisin Seiki Co Ltd | 自動車用ドアロック装置 |
KR20070096435A (ko) * | 2006-03-24 | 2007-10-02 | 대기오토모티브 주식회사 | 슬라이딩 도어의 홀드 오픈 로킹 어셈블리 |
KR20070117460A (ko) * | 2006-06-07 | 2007-12-12 | 미쓰이 긴조꾸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 도어 개폐장치 |
-
2010
- 2010-07-23 KR KR1020100071467A patent/KR101247189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186445A (ja) | 1998-12-22 | 2000-07-04 | Aisin Seiki Co Ltd |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装置 |
JP2007138535A (ja) | 2005-11-17 | 2007-06-07 | Aisin Seiki Co Ltd | 自動車用ドアロック装置 |
KR20070096435A (ko) * | 2006-03-24 | 2007-10-02 | 대기오토모티브 주식회사 | 슬라이딩 도어의 홀드 오픈 로킹 어셈블리 |
KR20070117460A (ko) * | 2006-06-07 | 2007-12-12 | 미쓰이 긴조꾸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 도어 개폐장치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91318B1 (ko) * | 2013-09-23 | 2015-02-06 | 기아자동차주식회사 | 슬라이딩 도어 리모트 컨트롤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10015A (ko) | 2012-02-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247189B1 (ko) | 슬라이딩 도어용 리모트 컨트롤러 | |
US8616594B2 (en) | Device for operating a door latch in a vehicle | |
US8172283B2 (en) | Door latch device in a motor vehicle | |
US7399010B2 (en) | Power-actuated motor-vehicle door latch with quick unlock | |
EP2578779B1 (en) | Vehicle door lock device | |
US20100127511A1 (en) | Vehicle door latch having a power lock-unlock mechanism | |
JPWO2006054761A1 (ja) | 車両用ドアロック装置 | |
JP4952752B2 (ja) | 車両用ドアロック装置 | |
US9376843B2 (en) | Position holding device for rotating lever and vehicle door lock device provided with said position holding device for rotating lever | |
KR101467285B1 (ko) | 래치볼트의 고정구조체 | |
JP2003314120A (ja) | 開閉ロック装置 | |
KR101467284B1 (ko) | 래치볼트 고정레버의 작동장치 | |
JP5375588B2 (ja) | 車両用ドアロック装置 | |
KR101089821B1 (ko) | 도어 래치 어셈블리 | |
KR100561770B1 (ko) | 슬라이딩 도어의 록킹 컨트롤러 | |
JPH11141207A (ja) | ラッチ錠 | |
JP5023401B2 (ja) | 自動車用ドアラッチ装置 | |
KR101142260B1 (ko) | 도어 래치 어셈블리 | |
KR20080009840A (ko) | 차량의 도어 인사이드 핸들 조립체 | |
KR101240179B1 (ko) | 도어 래치 어셈블리 | |
JP4723687B1 (ja) | ドアロック装置 | |
JP4823871B2 (ja) | 電気錠 | |
KR101356995B1 (ko) | 도어 래치 시스템 | |
JP2004204662A (ja) | 扉錠のラッチ引き戻し装置 | |
JP5024573B2 (ja) | 自動車用ドアロック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317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320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307 Year of fee payment: 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