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96435A - 슬라이딩 도어의 홀드 오픈 로킹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슬라이딩 도어의 홀드 오픈 로킹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96435A
KR20070096435A KR1020060026872A KR20060026872A KR20070096435A KR 20070096435 A KR20070096435 A KR 20070096435A KR 1020060026872 A KR1020060026872 A KR 1020060026872A KR 20060026872 A KR20060026872 A KR 20060026872A KR 20070096435 A KR20070096435 A KR 200700964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sliding door
locking
door
latch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68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88095B1 (ko
Inventor
정종영
Original Assignee
대기오토모티브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기오토모티브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기오토모티브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268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8095B1/ko
Publication of KR200700964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64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80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80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30Spraying vehicl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82Undercarriages, frames, mountings, couplings, tanks
    • A01M7/0085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22Tank vehicles
    • B60P3/224Tank vehicles comprising auxiliary devices, e.g. for unloading or level indicating
    • B60P3/225Adaptations for pumps or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22Tank vehicles
    • B60P3/224Tank vehicles comprising auxiliary devices, e.g. for unloading or level indicating
    • B60P3/2265Arrangements for hoses, tubes, or r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슬라이딩 도어의 홀드 오픈 로킹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슬라이딩 도어를 오픈하기 위한 케이블이 심하게 절곡되거나 부식, 동결 등에 의해 손상이 생기더라도 슬라이딩 도어의 오픈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슬라이딩 도어의 홀드 오픈 로킹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경사진 곳에 차량을 주차하고 슬라이딩 도어를 오픈 하더라도 도어가 임의로 클로징되지 않고 오픈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슬라이딩 도어의 갑작스러운 클로징에 의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슬라이딩 도어, 홀드 오픈 로킹 어셈블리, 래치부재, 로킹레버, 돌기부, 오픈레버, 돌기수용부

Description

슬라이딩 도어의 홀드 오픈 로킹 어셈블리{HOLD OPEN LOCKING ASSEMBLY OF A SLIDING DOO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의 홀드 오픈 로킹 어셈블리를 장착한 자동차를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도 1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의 홀드 오픈 로킹 어셈블리의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의 클로징시 홀드 오픈 로킹 어셈블리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
도 4는 도 2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의 오픈시 홀드 오픈 로킹 어셈블리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래치 어셈블리의 케이블 연결 구조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자동차 2 : 슬라이딩 도어
3 : 차체 5 : 스트라이커
20 : 도어레버 30 : 케이블
50 : 홀드 오픈 로킹 어셈블리
500 : 플레이트 510 : 래치부재
514 : 걸림턱 520 : 로킹레버
524 : 돌기부 530 : 오픈레버
532 : 돌기수용부
본 발명은 슬라이딩 도어의 홀드 오픈 로킹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슬라이딩 도어를 오픈하기 위한 케이블이 심하게 절곡되거나 부식, 동결 등에 의해 문제가 발생해도 슬라이딩 도어의 오픈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슬라이딩 도어의 홀드 오픈 로킹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도어에는 도어의 작동에 필요한 래치 어셈블리가 장착되며, 상기 래치 어셈블리와 더불어서 도어 로크 액츄에이터 등이 설치된다. 상기 도어에 설치되는 래치 어셈블리는 도어의 개폐 작동에 필요한 각종 부속품들이 일체로 안착된 상태로 구성된다.
특히 슬라이딩 도어에 의해 개폐되는 차량의 경우에는 슬라이딩 도어의 오픈 상태에서 슬라이딩 도어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하여 슬라이딩 도어의 하단에 홀드 오픈 로킹 어셈블리가 장착되며, 도어의 하단부 쪽 차체에는 스트라이커가 형성된 레일이 설치된다.
슬라이딩 도어의 오픈 상태에서 레일상에 돌출 형성된 스트라이커에 홀드 오픈 로킹 어셈블리의 구성 요소인 래치가 로킹(Locking)되어 도어를 고정시킨다. 이 때 홀드 오픈 로킹 어셈블리의 다른 구성 요소인 로킹레버가 래치에 맞물려 래치의 위치를 고정하는데, 로킹레버는 오픈레버와 함께 래치 어셈블리에 연결됨으로써 도어를 작동하기 위한 케이블에 연동하여 작동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홀드 오픈 로킹 어셈블리는 래치 어셈블리에 연결된 케이블이 외압에 의해 심하게 절곡되거나 염분이나 수분의 유입 등에 의해 부식 또는 동결되어 케이블에 손상이 생기면 케이블에 연동하여 움직이는 오픈레버 및 로킹레버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으므로 로킹레버가 래치에 맞물리지 못하게 된다.
로킹레버가 제대로 작동하지 못하면 래치가 스트라이커에 로킹되지 못하므로 경사진 곳에 차량을 주차하는 등 차량의 슬라이딩 도어의 자중에 의해 힘이 가해지는 상황에서 슬라이딩 도어가 오픈 상태를 유지하지 못하게 되므로 안전사고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케이블이 심하게 절곡되거나 부식, 동결 등에 의해 문제가 발생해도 슬라이딩 도어의 오픈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슬라이딩 도어가 임의로 클로징되는 것을 방지하여 슬라이딩 도어의 클로징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슬라이딩 도어의 홀드 오픈 로킹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슬라이딩 도어를 오픈하기 위한 케이블이 연결된 도어레버를 갖는 래치 어셈블리와, 상기 슬라이딩 도어의 하부에 장착된 레일 상에 돌출 형성된 스트라이커와, 슬라이딩 도어가 오픈 또는 클 로징됨에 따라 상기 스트라이커에 로킹 또는 언로킹되기 위한 구성 요소가 장착된 플레이트가 구비된 홀드 오픈 로킹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되, 일측에는 상기 스트라이커에 로킹 또는 언로킹 되도록 내측으로 요입된 스트라이커 수용부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외측으로 요출된 작동면상에 일부 돌출된 걸림턱이 형성되는 래치부재; 상기 래치부재의 작동면에 접촉하여 회동하도록 상기 플레이트상에 설치되되, 일측에는 래치부재의 로킹 위치에서 상기 걸림턱 걸림 유지되는 걸림부가 형성되고, 상면에는 돌기부가 돌출 형성된 로킹레버; 및 상기 플레이트 상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되, 일측은 상기 도어레버에 고정된 케이블과 결합되고 일면에는 상기 도어레버의 오픈 동작시 상기 돌기부를 수용하여 일 방향으로 당김으로써 로킹레버를 회동시켜 상기 걸림부를 걸림턱으로부터 언로킹시켜 상기 슬라이딩 도어를 클로징 가능하도록 하는 돌기수용부가 구비된 오픈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돌기수용부는 장방형 또는 타원형으로 만들어지며, 상기 돌기부의 회동이 가능하도록 소정의 길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케이블(30)은 상기 도어레버(20)의 동작에 연동하여 작동하도록 일단부가 도어레버(20)의 내측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의 홀드 오픈 로킹 어셈블리에 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자동차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의 홀드 오픈 로킹 어셈블리를 장착한 자동차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의 홀드 오픈 로킹 어셈블리(50)는 자동차(1)의 차체(3)와, 차체(3)에 설치된 슬라이딩 도어(2)와, 슬라이딩 도어(2)의 하부에 설치되어 슬라이딩 도어(2)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레일(미도시)을 포함한다.
슬라이딩 도어(2)에는 도어를 오픈 시키기 위한 도어레버(20) 및 래치 어셈블리(40)와, 슬라이딩 도어(2)의 오픈시 도어를 고정하기 위한 홀드 오픈 로킹 어셈블리(50)와, 도어레버(20) 및 홀드 오픈 로킹 어셈블리(50)를 연결하는 케이블(30)이 장착된다.
레일상에는 스트라이커(5)가 돌출 형성되며, 홀드 오픈 로킹 어셈블리(50)의 구성 요소가 스트라이커(5)에 로킹됨으로써 슬라이딩 도어(2)가 오픈된 상태로 유지된다.
케이블(30)은 일단이 도어레버(20)에 고정되고, 타단이 후술할 오픈레버(530)에 고정된다. 케이블(30)에 관해서는 뒤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 2는 도 1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의 홀드 오픈 로킹 어셈블리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의 클로징시 홀드 오픈 로킹 어셈블리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의 오픈시 홀드 오픈 로킹 어셈블리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래치 어셈블리의 케이블 연결 구조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 도어(2)의 오픈시 슬라이딩 도어의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한 홀드 오픈 로킹 어셈블리(50)는 구성 요소가 장착된 상태로 슬 라이딩 도어(2)에 결합되는 플레이트(500)와, 플레이트(500)상에 결합되어 스트라이커(5)에 로킹(Locking) 또는 언로킹(Unlocking)되는 래치부재(510)와, 래치부재(510)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로킹레버(520)와, 로킹레버(520)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케이블(30)과 연동하여 작동하는 오픈레버(5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래치부재(510)는 일측이 내측으로 요입된 구조로 형성되며 플레이트(500)상에 통상적인 결합 수단(힌지축 등)에 의해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래치부재(510)의 일측에는 슬라이딩 도어(2)의 오픈 또는 클로징 상태에서 스트라이커(5)에 로킹 또는 언로킹되도록 내측 방향으로 요입된 스트라이커 수용부(512)가 형성되며, 타측에는 외측 방향으로 요출 되도록 곡면 형상의 작동면이 형성된다.
래치부재(510)의 작동면에는 후술할 로킹레버(520)에 형성된 걸림부(522)가 걸림 유지되도록 돌출 형성된 걸림턱(514)이 구비된다. 걸림턱(514)과 걸림부(522)의 걸림 구조에 의해 래치부재(510)가 스트라이커(5)에 로킹된 상태로 유지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 도어(2)가 오픈 방향(A)로 이동하여 스트라이커(5)에 접근하게 되면, 래치부재(510)에 구비된 스트라이커 수용부(512)는 스트라이커(5)의 외주면에 접촉하여 슬라이딩함으로써 스트라이커(5)에 걸림으로써 로킹 된다. 즉, 스트라이커 수용부(512)의 곡면을 따라 스트라이커(5)가 슬라이딩하여 스트라이커 수용부(512)에 수용된다. 래치부재(510)가 스트라이커(5)에 로킹된 상태에서 로킹레버(520)에 의해 위치가 고정되어 슬라이딩 도어(2)의 오픈 상태 가 유지된다.
반대로 슬라이딩 도어(2)가 클로징 방향(B)로 이동하면 래치부재(510)의 스트라이커 수용부(512)는 스트라이커(5)에 면 접촉한 상태로 슬라이딩 되고, 스트라이커(5)가 스트라이커 수용부(512)로부터 빠져 나오게 된다. 이에 따라 래치부재(510)는 스트라이커(5)와 이격되어 로킹 상태를 해제하게 된다(도 2 및 도 3 참고).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킹레버(520)는 래치부재(510)의 작동면에 접촉하여 회동하도록 플레이트(500)상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스프링(540)에 의해 플레이트(500)에 대해 소정 각도로 회동하도록 탄성적으로 지지된다.
로킹레버(520)의 일측에는 래치부재(510)의 작동면에 접촉하여 걸림턱(514)에 걸림 유지될 수 있도록 돌출 형성된 걸림부(522)가 구비되고, 로킹레버(520)의 상면에는 후술할 오픈레버(530)상에 마련된 돌기수용부(532)에 수용되는 돌기부(524)가 구비된다.
돌기부(524)는 슬라이딩 도어(2)의 클로징 상태에서 E에 위치하며, 오픈 상태에서 F에 위치하게 되며, 돌기수용부(532) 내에서 위치에 제한을 받지 않고 동작한다.
걸림부(522)는 래치부재(510)의 작동면에 접촉하여 회동하며, 래치부재(510)가 회전 방향 C를 따라 이동하면 래치부재(510)의 작동면에 접촉하여 회전 방향 C의 반대 방향으로 회동된다. 걸림턱(514)이 돌출되어 있으므로 걸림부(522)가 D 방향으로 밀리게 되지만, 걸림부(522)가 걸림턱(514)을 지나면 스프링(540)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돌아가 걸림턱(514)에 맞물리게 된다.
오픈레버(530)는 로킹레버(520)의 상부에 적층되어 상호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오픈레버(530)상에는 돌기부(524)의 위치에 대응하여 돌기수용부(532)가 관통 형성되며, 오픈레버(530)의 일단은 도어레버(20)에 고정된 케이블(30)에 연동하여 작동된다.
돌기수용부(532)는 장방형 또는 타원형 등의 형태를 가지며, 돌기부(524)의 이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소정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케이블(30)의 일단은 도어레버(20)에 고정되고 타단은 오픈레버(530)의 일측에 고정된다. 종래에는 케이블(30)의 일단부가 도어레버(20)에 고정되지 않고 도어레버(2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단부에 구 형상의 이탈방지부가 설치된 상태로 로킹레버(520) 및 오픈레버(530)의 동작에 따라 도어레버(20)의 내측홈 사이에서 동작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케이블(30)은 구 형상의 이탈방지부가 형성되는 대신 일단부가 도어레버(20)의 내측에 완전히 고정됨으로써, 도어레버(20)의 오픈 동작시 케이블(30)에 의해 D 방향으로 당겨졌던 오픈레버(530)가 도어레버(20)의 동작이 완료되면 다시 원래의 위치로 복귀될 수 있도록 하여 오픈레버(530)의 위치를 항상 일정하게 유지해줄 수 있다.
따라서 오픈레버(530)의 동작에 의해 일시적으로 D 방향으로 당겨졌던 로킹레버(520) 역시 원래의 위치로 복귀될 수 있어 항상 로킹레버(520)가 래치부재(510)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므로, 로킹레버(520)가 케이블(30)의 동 작에 영향을 받지 않고 작동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의 홀드 오픈 로킹 어셈블리에 있어서, 구성 요소간의 작동 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 도어(2)를 오픈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하여 슬라이딩 도어(2)를 오픈 방향(A)로 끝까지 이동시키면, 래치부재(510)의 스트라이커 수용부(512)에 스트라이커(5)가 수용되면서 래치부재(510)가 스트라이커(5)에 로킹 된다.
래치부재(510)의 회전에 따라 로킹레버(520)가 래치부재(510)의 작동면에 접촉된 상태로 슬라이딩하고, 래치부재(510)의 걸림턱(514)에 로킹레버(520)의 걸림부(522)가 걸림 유지되어 래치부재(510)의 위치를 고정시킨다.
이때 로킹레버(520)상에 형성된 돌기부(524)는 오픈레버(530)의 돌기수용부(532)에 수용되어 F점에 위치하게 된다. 돌기부(524)가 돌기수용부(532) 내에서 이동에 방해 받지 않는 위치에 있으므로 로킹레버(520)가 케이블(30)에 연결된 오픈레버(530)와 연동하여 작동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케이블(30)이 심하게 절곡되거나, 부식 동결 등에 의해 손상이 생기더라도 로킹레버(520)의 작동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즉, 케이블(30)의 동작에 영향을 받지 않는 로킹레버(520)가 래치부재(510)에 걸림 유지되어 래치부재(510)의 위치를 고정하므로 케이블(30)이 손상되어도 슬라이딩 도어(2)의 오픈 상태를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다.
종래의 차량의 경우 케이블(30)이 손상된 상태에서 차량이 경사진 곳에 주차 된 경우에 슬라이딩 도어(2)의 자중에 의해 래치부재(510)가 스트라이커(5)로부터 언로킹 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홀드 오픈 로킹 어셈블리(50)가 구비된 차량의 경우 케이블(30)의 동작에 영향을 받지 않고 작동되는 로킹레버(520)가 래치부재(510)에 걸림 유지되어 래치부재(510)가 스트라이커(5)에 로킹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래치부재(510)가 임의로 작동하지 않고 고정되어 슬라이딩 도어(2)가 임의로 클로징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슬라이딩 도어(2)가 갑작스럽게 클로징되어 생길 수 있는 안전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 도어(2)를 클로징하기 위해 도어레버(20)를 작동하면 도어레버(20)에 고정된 케이블(30)이 당겨지고, 케이블(30)에 연결된 오픈레버(530)가 D 방향으로 당겨지면서 돌기수용부(532)가 돌기부(524)를 D 방향으로 끌어당겨 돌기부(524)가 F의 위치에서 E 위치로 이동된다(도 2 및 도 3 참고).
돌기부(524)가 돌기수용부(532)에 수용된 상태로 D 방향으로 당겨지므로, 로킹레버(520) 자체가 D 방향으로 당겨져 래치부재(510)와의 걸림이 해제된다. 이에 의해 래치부재(510)가 스트라이커(5)로부터 언로킹되므로 슬라이딩 도어(2)를 클로징할 수 있게 된다.
도어레버(20)의 동작이 완료된 후에는 D 방향으로 당겨졌던 케이블(30)이 다시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면서 케이블(30)에 연동되어 D 방향으로 회동됐던 오픈레 버(530)가 다시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고, 오픈레버(530)에 의해 일시적으로 D 방향으로 후퇴됐던 로킹레버(520) 역시 원래의 위치로 복귀된다. 이에 의해 로킹레버(520)는 다시 래치부재(510)에 접촉된 상태로 위치하게 된다.
로킹레버(520)가 케이블(30) 및 오픈레버(530)에 의해 일시적으로 D 방향으로 이동하더라도 곧바로 원래의 위치로 돌아가게 되므로 케이블(30)의 동작에 상관없이 작동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케이블(30)에 손상이 생기더라도 슬라이딩 도어(2)의 오픈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경사진 곳 등에 차량을 주차하더라도 슬라이딩 도어(2)가 임의로 클로징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로킹레버에는 돌기부가 형성되고 오픈레버에는 돌기수용부가 구비된다고 하였으나, 그 반대로 로킹레버에 돌기수용부가 형성되고 오픈레버에 돌기부가 형성될 수도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돌기수용부는 오픈레버상에 관통 형성된다고 하였으나, 오픈레버상에 함몰 형성되는 등 돌기부가 이탈되지 않고 내부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수용할 수 있다면 그 형상에 제한 없이 변경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의 홀드 오픈 로킹 어셈블리는 케이블의 작동에 영향을 받지 않고 작동할 수 있는 로킹레버 가 구비되어 슬라이딩 도어의 위치를 고정하는 래치부재와 맞물림 결합됨으로써 케이블이 심하게 절곡되거나 부식 동결 등에 의해 손상이 생기더라도 도어의 오픈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경사진 곳에 차량을 주차하는 등 도어에 외력이 가해지는 상황에서 슬라이딩 도어를 오픈하더라도 슬라이딩 도어가 임의로 클로징되지 않고 오픈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따라 슬라이딩 도어의 갑작스러운 클로징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안전 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Claims (3)

  1. 슬라이딩 도어(2)를 오픈하기 위한 케이블(30)이 연결된 도어레버(20)를 갖는 래치 어셈블리(40)와, 상기 슬라이딩 도어(2)의 하부에 장착된 레일 상에 돌출 형성된 스트라이커(5)와, 슬라이딩 도어(2)가 오픈 또는 클로징됨에 따라 상기 스트라이커(5)에 로킹 또는 언로킹되기 위한 구성 요소가 장착된 플레이트(500)가 구비된 홀드 오픈 로킹 어셈블리(50)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500)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되, 일측에는 상기 스트라이커(5)에 로킹 또는 언로킹 되도록 내측으로 요입된 스트라이커 수용부(512)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외측으로 요출된 작동면상에 일부 돌출된 걸림턱(514)이 형성되는 래치부재(510);
    상기 래치부재(510)의 작동면에 접촉하여 회동하도록 상기 플레이트(500)상에 설치되되, 일측에는 래치부재(510)의 로킹 위치에서 상기 걸림턱(514) 걸림 유지되는 걸림부(522)가 형성되고, 상면에는 돌기부(524)가 돌출 형성된 로킹레버(520); 및
    상기 플레이트(500) 상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되, 일측은 상기 도어레버(20)에 고정된 케이블(30)과 결합되고 일면에는 상기 도어레버(20)의 오픈 동작시 상기 돌기부(524)를 수용하여 일방향으로 당김으로써 로킹레버(520)를 회동시켜 상기 걸림부(522)를 걸림턱(514)으로부터 언로킹시켜 상기 슬라이딩 도어(2)를 클로징 가능하도록 하는 돌기수용부(532)가 구비된 오픈레버(530)를 포함하는 것을 특 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도어의 홀드 오픈 로킹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수용부(532)는 장방형 또는 타원형으로 만들어지며, 상기 돌기부(524)의 회동이 가능하도록 소정의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도어의 홀드 오픈 로킹 어셈블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30)은 상기 도어레버(20)의 동작에 연동하여 작동하도록 일단부가 도어레버(20)의 내측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도어의 홀드오픈 로킹 어셈블리.
KR1020060026872A 2006-03-24 2006-03-24 슬라이딩 도어의 홀드 오픈 로킹 어셈블리 KR1007880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6872A KR100788095B1 (ko) 2006-03-24 2006-03-24 슬라이딩 도어의 홀드 오픈 로킹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6872A KR100788095B1 (ko) 2006-03-24 2006-03-24 슬라이딩 도어의 홀드 오픈 로킹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6435A true KR20070096435A (ko) 2007-10-02
KR100788095B1 KR100788095B1 (ko) 2007-12-21

Family

ID=388032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6872A KR100788095B1 (ko) 2006-03-24 2006-03-24 슬라이딩 도어의 홀드 오픈 로킹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809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7189B1 (ko) * 2010-07-23 2013-03-25 주식회사 리한도어 슬라이딩 도어용 리모트 컨트롤러
CN103089092A (zh) * 2011-10-31 2013-05-08 昆山麦格纳汽车系统有限公司 汽车滑移门用限位锁
US10138662B2 (en) 2016-10-10 2018-11-27 Hyundai Motor Company Locking apparatus for sliding door
US11473348B2 (en) * 2018-06-26 2022-10-18 Hyundai Motor Company Integrated door latch assembly of sliding doo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7069B1 (ko) 2010-03-31 2011-12-22 주식회사 리한도어 슬라이딩 도어 락 어셈블리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30436B2 (ja) 1997-03-28 2003-07-28 株式会社大井製作所 自動車用ドアロック装置
JP3283803B2 (ja) 1997-10-03 2002-05-20 日産車体株式会社 スライドドアの全開ロック装置
JP3924415B2 (ja) 2000-03-30 2007-06-06 シロキ工業株式会社 スライドドアのストッパ機構
KR100506922B1 (ko) 2003-10-17 2005-08-08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슬라이드 도어의 홀드 오픈 록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7189B1 (ko) * 2010-07-23 2013-03-25 주식회사 리한도어 슬라이딩 도어용 리모트 컨트롤러
CN103089092A (zh) * 2011-10-31 2013-05-08 昆山麦格纳汽车系统有限公司 汽车滑移门用限位锁
US10138662B2 (en) 2016-10-10 2018-11-27 Hyundai Motor Company Locking apparatus for sliding door
DE102017201283B4 (de) 2016-10-10 2024-01-25 Hyundai Motor Company Verriegelungsvorrichtung für eine schiebetür
US11473348B2 (en) * 2018-06-26 2022-10-18 Hyundai Motor Company Integrated door latch assembly of sliding do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88095B1 (ko) 2007-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88095B1 (ko) 슬라이딩 도어의 홀드 오픈 로킹 어셈블리
US9650816B2 (en) Vehicle sliding door locking system and latch assembly
JP2014505617A (ja) 座席の折り畳み式背もたれ用ロック装置
US7748245B2 (en) Rotary pawl latch
US10745948B2 (en) Vehicular closure latch assembly having double pawl latch mechanism
JP2014507581A (ja) 自動車用ロックおよび製造方法
JP3810280B2 (ja) 車両テールゲート用ラッチ装置
KR20190141182A (ko) 차량용 록
CN110234825B (zh) 车门闩锁装置
KR101566681B1 (ko) 차량용 후드래치
JP2017193911A (ja) 車両ドアラッチ装置
JP2010037781A (ja) ドアロック装置
US6742818B2 (en) Box lock with safety device
CN112996974B (zh) 汽车用门锁装置
KR100767969B1 (ko) 테일 게이트 또는 트렁크에 설치되는 래치구조
JP4127712B2 (ja) 扉用ロックハンドル装置
JP6182768B2 (ja) 車両用ドアラッチ装置
US11959312B2 (en) Vehicular latch bushing with cable interface
KR101786705B1 (ko) 차량의 대향 개폐형 도어구조
JP4061998B2 (ja) 車両用ドアの開放規制装置
KR0140681Y1 (ko) 자동차의 후드록 래치 구조
KR100836114B1 (ko)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의 홀드 오픈 룩 어셈블리
JP7007684B2 (ja) 車及び扉の開閉装置
KR100876189B1 (ko) 자동차용 도어 래치
CN113818760B (zh) 车辆用门闩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