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0179B1 - 도어 래치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도어 래치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0179B1
KR101240179B1 KR1020100102757A KR20100102757A KR101240179B1 KR 101240179 B1 KR101240179 B1 KR 101240179B1 KR 1020100102757 A KR1020100102757 A KR 1020100102757A KR 20100102757 A KR20100102757 A KR 20100102757A KR 101240179 B1 KR101240179 B1 KR 1012401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latch
lever
door
housing
open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27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41344A (ko
Inventor
이정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리한도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리한도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리한도어
Priority to KR10201001027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0179B1/ko
Publication of KR201200413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13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01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0179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 래치 어셈블리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도어 래치 어셈블리는, 도어에 체결되는 제 1 도어래치와, 상기 제 1 도어래치와 소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도어에 체결되는 제 2 도어래치와, 상기 제 1 도어래치 및 상기 제 2 도어래치와 제 1 도어래치케이블 및 제 2 도어래치케이블로 체결되어 상기 제 1 도어래치 및 상기 제 2 도어래치에 작동력을 제공하는 리모트 컨트롤러 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도어 래치 어셈블리{Door latch assembly}
본 발명은 도어 래치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도어 래치 어셈블리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도어 래치 어셈블리는 차체에 형성되는 스트라이커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도어 래치를 포함한다. 또한, 도어 래치 어셈블리는 인사이드 핸들, 아웃사이드 핸들 및 인사이드 노브 등의 작동에 따라 연동하여 도어 래치를 작동시키는 리모트 컨트롤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도어 래치는 리모트 컨트롤러 장치의 작동에 의하여 다양하게 작동함으로써 도어의 개폐여부를 조절한다.
특히 사이드 도어를 구비하는 차량의 경우 사이드 도어의 일측에 배치되는 사이드 도어에는 하나의 도어 래치가 배치된다. 이때, 사이드 도어와 사이드 도어 사이에 배치되는 차량의 프레임에 형성되는 스트라이커와 도어 래치가 체결됨으로써 사이드 도어가 고정된다.
그러나 사이드 도어를 구비하는 차량의 경우 다양한 요구에 의하여 차량의 프레임이 생략되면서 사이드 도어를 폐쇄할 때, 사이드 도어를 견고하게 고정하는 것이 중요한 문제로 부각 되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사이드 도어에 부착된 두 개의 래치를 동시에 작동시킬 수 있는 도어 래치 어셈블리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도어에 체결되는 제 1 도어래치와, 상기 제 1 도어래치와 소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도어에 체결되는 제 2 도어래치와, 상기 제 1 도어래치 및 상기 제 2 도어래치와 제 1 도어래치케이블 및 제 2 도어래치케이블로 체결되어 상기 제 1 도어래치 및 상기 제 2 도어래치에 작동력을 제공하는 리모트 컨트롤러 장치를 포함하는 도어 래치 어셈블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도어래치는 상기 도어의 상측에 체결되고, 상기 제 2 도어래치는 상기 도어의 하측에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 장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일면에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되고, 상기 제 1 도어래치케이블 및 상기 제 2 도어래치케이블과 연동하여 작동하는 래치오픈레버와, 상기 하우징의 일면에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되고, 일단이 상기 래치오픈레버에 삽입되어 상기 래치오픈레버의 회전을 조절하는 락킹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 장치는 상기 하우징의 타면에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되고, 키로드와 연동하여 작동하는 키레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키레버는 상기 키로드의 일단이 삽입되어 체결되는 제 1 장공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키레버는 상기 키로드의 일단에 체결되는 부분이 상기 키로드 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키레버는 상기 락킹 장치의 일단이 삽입되어 체결되는 락킹 장치 체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 장치는 상기 하우징의 타면에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되고, 아웃사이드핸들 로드 및 인사이드핸들 케이블과 연동하여 작동하는 핸들오픈레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핸들오픈레버는 아웃사이드핸들 로드의 일단이 삽입되어 체결되는 제 2 장공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핸들오픈레버는 인사이드핸들 케이블의 일단이 삽입되어 체결되는 제 3 장공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핸들오픈레버는 상기 락킹 장치의 일단과 접촉하여 상기 락킹 장치의 일단을 이동시키고, 상기 락킹 장치의 일단에 연동하는 상기 래치오픈레버를 작동시키도록 형성되는 래치오픈레버 작동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 장치는 상기 하우징에 체결되어 상기 핸들오픈레버의 회전시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흡수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 장치는 상기 핸들오픈레버 및 상기 하우징에 체결되는 제 1 탄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락킹 장치는,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되는 락플레이트와, 상기 락플레이트의 일면에 체결되는 안티잼레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락킹 장치는 상기 안티잼레버 및 상기 래치오픈레버와 체결되는 링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래치오픈레버는 상기 링크가 삽입되어 체결되는 제 4 장공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락플레이트는 상기 안티잼레버와 접촉하는 부분이 상기 하우징 측으로 인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락킹 장치는, 상기 락플레이트와 상기 안티잼레버에 체결되는 제 2 탄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탄성부는 안티잼스프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락플레이트는 상기 하우징 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 1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 1 돌기가 삽입되어 이동가능한 제 5 장공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 장치는 상기 락플레이트를 회전시키도록 상기 락플레이트의 일단과 인사이드노브 케이블로 체결되는 인사이드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어 상기 락플레이트와 체결되어 상기 락플레이트를 회전시키는 엑추에이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락킹 장치는 상기 락플레이트와 상기 하우징 사이에 배치되는 제 3 탄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3 탄성부는 액션스프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사이드 도어에 부착된 두 개의 래치를 작동시킴으로써 구조가 단순해지고, 사이드 도어와 후방 도어 사이에 위치하는 프레임이 배제된 차량의 강성르 보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사이드 도어의 작동이 간편해짐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래치 어셈블리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리모트 컨트롤러 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리모트 컨트롤러 장치의 제 1 작동을 보여주는 작동상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리모트 컨트롤러 장치의 배면을 보여주는 작동상태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리모트 컨트롤러 장치의 제 2 작동을 보여주는 작동상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리모트 컨트롤러 장치의 배면을 보여주는 작동상태도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락킹 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래치 어셈블리(1000)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도어 래치 어셈블리(1000)은 도어(D)에 체결되는 제 1 도어래치(200)를 포함한다. 도어 래치 어셈블리(1000)은 제 1 도어래치(200)와 소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어 도어(D)에 체결되는 제 2 도어래치(300)를 포함한다.
이때, 제 1 도어래치(200)는 도어(D)의 상측에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제 2 도어래치(300)는 도어(D)의 하측에 체결될 수 있다.
도어 래치 어셈블리(1000)은 제 1 도어래치(200) 및 제 2 도어래치(300)에 작용력을 제공하는 리모트 컨트롤러 장치(100)를 포함한다. 이때, 리모트 컨트롤러 장치(100)는 제 1 도어래치(200)와 제 1 도어래치케이블(135)에 의하여 체결될 수 있다. 또한, 리모트 컨트롤러 장치(100)는 제 2 도어래치(300)와 제 2 도어래치케이블(136)에 의하여 체결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리모트 컨트롤러 장치(100)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리모트 컨트롤러 장치(100)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를 참고하면, 리모트 컨트롤러 장치(100)는 하우징(110)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10)은 도어(D)에 체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
리모트 컨트롤러 장치(100)는 하우징(110)의 타면에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되는 키레버(1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키레버(120)는 키로드(131)와 연동하여 작동하도록 키로드(131)와 체결될 수 있다.
키레버(120)는 키로드(131)의 일단이 삽입되어 체결되는 제 1 장공(12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 1 장공(121)은 키로드(131)가 이동할 때, 이동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키레버(120)는 키로드(131)의 일단에 체결되는 부분이 키로드(131) 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제 1 장공(121)이 형성되는 부분은 키로드(131) 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됨으로써 키레버(120)를 하우징(110)으로부터 소정간격 이격시킬 수 있다.
키레버(120)는 후술할 락킹 장치(160)의 일단이 삽입되어 체결되는 락킹 장치 체결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락킹 장치 체결부(122)는 키레버(120)의 회전반경의 외주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리모트 컨트롤러 장치(100)는 하우징(110)의 타면에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되는 핸들오픈레버(1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핸들오픈레버(140)는 아웃사이드핸들 로드(134) 및 인사이드핸들 케이블(132)과 연동하여 작동할 수 있다.
한편, 아웃사이드핸들 로드(134) 및 인사이드핸들 케이블(132)은 각각 아웃사이드핸들(미도시) 및 인사이드핸들(미도시)에 체결되어 상기 아웃사이드핸들 및 상기 인사이드핸들로부터 전달되는 작용력을 핸들오픈레버(140)에 전달할 수 있다.
핸들오픈레버(140)에는 아웃사이드핸들 로드(134)의 일단이 삽입되는 제 2 장공(141)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핸들오픈레버(140)에는 인사이드핸들 케이블(132)의 일단이 삽입되어 체결되는 제 3 장공(142)이 형성될 수 있다.
핸들오픈레버(140)는 락킹 장치(160)의 일단과 접촉하는 래치오픈레버 작동부(143)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래치오픈레버 작동부(143)는 후술할 링크(163)와 접촉하여 래치오픈레버(170)를 작동시킬 수 있다. 또한, 래치오픈레버 작동부(143)는 핸들오픈레버(140)의 회전에 따라 연동하여 래치오픈레버(170)를 작동시킬 수 있다.
한편, 리모트 컨트롤러 장치(100)는 하우징(110)에 체결되는 충격흡수부재(1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충격흡수부재(150)는 핸들오픈레버(140)의 회전시 핸들오픈레버(140)의 회전반경을 제한할 수 있다. 또한, 충격흡수부재(150)는 핸들오픈레버(140)가 회전시 하우징(110)에 충돌하여 발생하는 소음 및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리모트 컨트롤러 장치(100)는 핸들오픈레버(140) 및 하우징(110)에 체결되는 제 1 탄성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탄성부는 핸들오픈레버(140)에 복원력을 가하여 핸들오픈레버(140)의 회전 시 원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다.
리모트 컨트롤러 장치(100)는 하우징(110)의 일면에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되는 락킹 장치(160)를 포함할 수 있다. 락킹 장치(160)는 하우징(110)에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되는 락플레이트(16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락킹 장치(160)는 락플레이트의 일면에 체결되는 안티잼레버(16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락플레이트(161)는 안티잼레버(162)와 접촉하는 부분이 하우징(110) 측으로 인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락플레이트(161)의 인입되는 부분은 안티잼레버(162)의 외면과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락플레이트(161)는 하우징(110) 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 1 돌기(161a)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하우징(110)에는 제 1 돌기(161a)가 삽입되어 이동가능한 제 5 장공(110a)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 돌기(161a)는 락플레이트(161)의 작동에 의하여 제 5 장공(110a)을 이동할 수 있다.
한편, 락킹 장치(160)는 락플레이트(161)와 안티잼레버(162)에 체결되는 제 2 탄성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2 탄성부는 안티잼스프링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2 탄성부는 안티잼레버(162)에 복원력을 가하여 안티잼레버(162)를 원상태로 복귀시킬 수 있다.
또한, 락킹 장치(160)는 하우징(110)과 락플레이트(161)에 배치되는 제 3 탄성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3 탄성부는 액션스프링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3 스프링은 락플레이트(161)가 소정각도 미망인 경우 상기 도 3의 상측으로 락플레이트(161)에 힘을 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3 탄성부는 락플레이트(161)가 소정각도 이상 회전하는 경우 락플레이트(161)에 상기 도 3의 하측으로 힘을 가할 수 있다.
락킹 장치(160)는 안티잼레버(162)에 체결되는 링크(16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링크(163)는 후술할 래치오픈레버(170)에 일단이 삽입되어 체결될 수 있다.
또한, 리모트 컨트롤러 장치(100)는 하우징(110) 일면에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되는 래치오픈레버(17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래치오픈레버(170)는 제 1 도어래치케이블(135) 및 제 2 도어래치케이블(136)과 연동하도록 체결될 수 있다.
래치오픈레버(170)는 링크(163)가 삽입되어 체결되는 제 4 장공(170a)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링크(163)는 일부가 제 4 장공(170a)에 체결되어 링크(163)가 제 4 장공(170a)을 일부 유격하도록 운동할 수 있다.
한편, 리모트 컨트롤러 장치(100)는 락플레이트(161)의 일단과 인사이드노브 케이블(133)로 체결되는 인사이드노브(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사이드노브는 도어(D)의 내측에 배치되며, 사용자로부터 작용력이 입력되면 인사이드노브 케이블(133)을 통하여 락플레이트(161)로 작동력이 전달될 수 있다.
리모트 컨트롤러 장치(100)는 하우징(110)에 배치되어 락플레이트(161)와 체결되어 락플레이트(161)를 회전시키는 엑추에이터(18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엑추에이터(180)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기에너지에 의하여 작동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어 래치 어셈블리(1000)의 작동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리모트 컨트롤러 장치(100)의 제 1 작동을 보여주는 작동상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리모트 컨트롤러 장치(100)의 배면을 보여주는 작동상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고하면, 사용자가 도어(D)를 개방하는 경우 상기 인사이드핸들 또는 상기 아웃사이드핸들에 작용력을 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인사이드핸들에 작용력을 가하는 경우 상기 인사이드핸들은 회전하면서 인사이드핸들 케이블(132)을 잡아당긴다.
인사이드핸들 케이블(132)은 상기 도 4의 상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인사이드핸들 케이블(132)은 핸들오픈레버(140)를 제 3 장공(142)을 이동하면서 제 3 장공(142)의 내주면에 접촉하게 된다.
인사이드핸들 케이블(132)이 제 3 장공(142)의 내주면에 접촉하면, 핸들오픈레버(140)가 상기 도 4의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래치오픈레버 작동부(143)는 링크(163)에 힘을 가할 수 있다.
링크(163)는 상기 힘에 의하여 래치오픈레버(170)를 회전시킬 수 있다. 래치오픈레버(170)는 회전하면서 제 1 도어래치케이블(135) 및 제 2 도어래치케이블(136)에 힘을 가할 수 있다.
이때, 제 1 도어래치케이블(135) 상기 도 4의 상측으로 이동하고, 제 2 도어래치케이블(136)은 상기 도 4의 하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 1 도어래치케이블(135) 및 제 2 도어래치케이블(136)의 이동에 의하여 제 1 도어래치(200) 및 제 2 도어래치(300)는 간편하고 용이하게 각 스트라이커(미도시)와 분리될 수 있다.
한편, 상기의 과정이 완료된 후 사용자가 상기 인사이드핸들에 작용력을 제거하는 경우, 상기 제 1 탄성부에 의하여 핸들오픈레버(140)는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아웃사이드핸들을 잡아 당기는 경우, 아웃사이드핸들 로드(134)은 상기 도 4의 하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아웃사이드핸들 로드(134)는 제 1 장공(121)을 이동하여 제 1 장공(121)의 내주면에 접촉하게 된다.
아웃사이드핸들 로드(134)는 제 1 장공(121)의 내주면에 힘을 가하고, 상기 힘에 의하여 핸들오픈레버(140)는 상기 도 4의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때, 핸들오픈레버(140)의 회전에 따라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게 링크(163)에 힘을 가하고, 래치오픈레버(170)가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간편하게 제 1 도어래치(200) 및 제 2 도어래치(300)를 상기 각 스트라이커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상기 아웃사이드핸들 및 상기 인사이드핸들의 한번의 조작을 통하여 제 1 도어래치(200) 및 제 2 도어래치(300)를 용이하게 작동시킬 수 있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리모트 컨트롤러 장치(100)의 제 2 작동을 보여주는 작동상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리모트 컨트롤러 장치(100)의 배면을 보여주는 작동상태도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락킹 장치(160)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고하면, 리모트 컨트롤러 장치(100)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작동하여 도어(D)를 개방하거나 잠글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상기 인사이드노브를 조작하는 경우, 리모트 컨트롤러 장치(100)는 다양하게 작동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인사이드노브가 락킹 위치에 배치되는 경우, 인사이드노브 케이블(133)은 상기 도 6의 하측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인사이드노브 케이블(133)은 락플레이트(161)를 상기 도 6의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락플레이트(161)의 돌출되는 부분은 안티잼레버(162)의 외면과 접촉하여 안티잼레버(162)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때, 안티잼레버(162)의 일단에 체결되는 링크(163)는 제 4 장공(170a)을 이동하여 제 4 장공(170a)의 일단에 접촉할 수 있다.
링크(163)는 제 4 장공(170a)의 내면에 접촉하여 래치오픈레버(170)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인사이드노브를 락킹 위치에 배치하는 경우 제 1 도어래치(200) 및 제 2 도어래치(300)는 작동하지 않을 수 있다.
반면, 상기 인사이드노브가 언락킹 위치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반대로 작동할 수 있다. 따라서 래치오픈레버(170)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작동하여 제 1 도어래치(200) 및 제 2 도어래치(300)를 작동시킬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운전석에 배치되는 작동버튼(미도시)을 락킹 위치로 작동시키면, 엑추에이터(180)가 작동하여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락플레이트(161)를 회전시킬 수 있다. 따라서 링크(163)는 래치오픈레버(170)를 구속하여 상기와 같이 제 1 도어래치(200) 및 제 2 도어래치(300)의 작동을 방지시킬 수 있다.
반면, 상기 작동버튼이 언락킹 위치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반대로 작동하여 래치오픈레버(170)의 구속을 해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도어래치(200) 및 제 2 도어래치(300)는 작동이 가능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자동차의 키(미도시)를 락킹 위치로 회전시키는 경우, 키로드(131)는 상기 도 6의 하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키로드(131)는 키레버(120)에 형성되는 제 1 장공(121)의 내면에 접촉할 수 있다.
키로드(131)가 제 1 장공(121)의 내면에 접촉하는 경우, 키로드(131)는 하측으로 계속 이동하여 키레버(120)를 회전시킬 수 있다. 키레버(120)는 회전하면, 락킹 장치 체결부(122)는 할 수 있다. 이때, 락킹 장치 체결부(122)는 제 1 돌기(161a)에 작용력을 가하여 락플레이트(161)를 회전시킬 수 있다.
락플레이트(161)가 회전하는 경우,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링크(163)가 래치오픈레버(170)를 구속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간편하게 상기 자동차 키를 사용하여 제 1 도어래치(200) 및 제 2 도어래치(300)의 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
반면, 사용자가 상기 자동차 키를 언락킹 위치에 배치하는 경우, 키로드(131)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반대로 상기 도 6의 상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키레버(120) 및 락킹 장치(160)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반대로 작동하여 래치오픈레버(170)의 구속을 해제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용이하게 도어 래치 어셈블리(1000)를 조작할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락플레이트(161)가 락킹 위치에 배치되는 경우, 외부의 사용자가 상기 아웃사이드핸들을 당긴 상태에서 리모컨(미도시)을 통하여 락플레이트(161)가 언락킹 위치로 배치되도록 입력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이때, 락플레이트(161)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도 6의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아웃사이드핸들 로드(134)에 의하여 핸들오픈레버(140)가 회전하고, 래치오픈레버 작동부(143)가 링크(163)의 돌출되는 부분과 회전중심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링크(163)는 래치오픈레버 작동부(143)에 의하여 링크(163)는 구속될 수 있다. 따라서 링크(163)는 래치오픈레버 작동부(143)에 의하여 구속되므로 핸들오픈레버(140)는 회전하지 못하여 제 1 도어래치(200) 및 제 2 도어래치(300)는 작동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의 과정이 진행되는 동안, 사용자가 상기 아웃사이드핸들을 놓는 경우, 아웃사이드핸들 로드(134)는 상기 도 6의 상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아웃사이드핸들 로드(134)가 상측으로 이동하면, 상기 제 1 탄성부에 의하여 핸들오픈레버(140)는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이때, 래치오픈레버 작동부(143)도 회전하고, 링크(163)의 돌출되는 부분의 구속이 해제되어 안티잼레버(162)는 상기 도 6의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한편, 상기의 과정이 진행되는 동안, 안티잼레버(162)의 외면은 락플레이트(161)의 인입된 면을 방해받지 않고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아웃사이드핸들을 조작하면서 상기 리모컨으로 신호를 입력하는 경우, 락플레이트(161)와 안티잼레버(162)는 서로 접촉하는 면이 존재하지 않아 래치오픈레버(170)가 구속되는 안티잼(Anit-Jam)을 방지할 수 있다.
도어 래치 어셈블리(1000)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다양하게 조작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간편하고 신속하고 도어 래치 어셈블리(1000)를 조작할 수 있다. 또한, 도어 래치 어셈블리(1000)는 상기 인사이드핸들 또는 상기 아웃사이드핸들 등의 조작을 통하여 제 1 도어래치(200) 및 제 2 도어래치(300)를 작동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자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어 래치 어셈블리(1000)는 사이드 도어(D)와 후방 도어(미도시) 사이에 별도의 프레임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도 제 1 도어래치(200) 및 제 2 도어래치(300)를 통하여 사이드 도어(D)를 지지할 수 있으므로 차량의 강성을 보완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D : 도어
100 : 리모트 컨트롤러 장치
110 : 하우징
120 : 키레버
140 : 핸들오픈레버
150 : 충격흡수부재
160 : 락킹 장치
170 : 래치오픈레버
180 : 엑추에이터
200 : 제 1 도어래치
300 : 제 2 도어래치

Claims (24)

  1. 도어에 체결되는 제 1 도어래치와,
    상기 제 1 도어래치와 소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도어에 체결되는 제 2 도어래치와,
    상기 제 1 도어래치 및 상기 제 2 도어래치와 제 1 도어래치케이블 및 제 2 도어래치케이블로 체결되어 상기 제 1 도어래치 및 상기 제 2 도어래치에 작동력을 제공하는 리모트 컨트롤러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 장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일면에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되고, 상기 제 1 도어래치케이블 및 상기 제 2 도어래치케이블과 연동하여 작동하는 래치오픈레버와,
    상기 하우징의 일면에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되고, 일단이 상기 래치오픈레버에 삽입되어 상기 래치오픈레버의 회전을 조절하는 락킹 장치 및
    상기 하우징의 타면에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되고, 아웃사이드핸들 로드 및 인사이드핸들 케이블과 연동하여 작동하는 핸들오픈레버를 포함하는 도어 래치 어셈블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도어래치는 상기 도어의 상측에 체결되고, 상기 제 2 도어래치는 상기 도어의 하측에 체결되는 도어 래치 어셈블리.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 장치는 상기 하우징의 타면에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되고, 키로드와 연동하여 작동하는 키레버를 더 포함하는 도어 래치 어셈블리.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키레버는 상기 키로드의 일단이 삽입되어 체결되는 제 1 장공이 형성되는 도어 래치 어셈블리.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키레버는 상기 키로드의 일단에 체결되는 부분이 상기 키로드 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도어 래치 어셈블리.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키레버는 상기 락킹 장치의 일단이 삽입되어 체결되는 락킹 장치 체결부를 포함하는 도어 래치 어셈블리.
  8. 삭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핸들오픈레버는 아웃사이드핸들 로드의 일단이 삽입되어 체결되는 제 2 장공이 형성되는 도어 래치 어셈블리.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핸들오픈레버는 인사이드핸들 케이블의 일단이 삽입되어 체결되는 제 3 장공이 형성되는 도어 래치 어셈블리.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핸들오픈레버는 상기 락킹 장치의 일단과 접촉하여 상기 락킹 장치의 일단을 이동시키고, 상기 락킹 장치의 일단에 연동하는 상기 래치오픈레버를 작동시키도록 형성되는 래치오픈레버 작동부를 구비하는 도어 래치 어셈블리.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 장치는 상기 하우징에 체결되어 상기 핸들오픈레버의 회전시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흡수부재를 더 포함하는 도어 래치 어셈블리.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 장치는 상기 핸들오픈레버 및 상기 하우징에 체결되는 제 1 탄성부를 더 포함하는 도어 래치 어셈블리.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락킹 장치는,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되는 락플레이트와,
    상기 락플레이트의 일면에 체결되는 안티잼레버를 포함하는 도어 래치 어셈블리.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락킹 장치는 상기 안티잼레버 및 상기 래치오픈레버와 체결되는 링크를 더 포함하는 도어 래치 어셈블리.
  16.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래치오픈레버는 상기 링크가 삽입되어 체결되는 제 4 장공이 형성되는 도어 래치 어셈블리.
  17.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락플레이트는 상기 안티잼레버와 접촉하는 부분이 상기 하우징 측으로 인입되도록 형성되는 도어 래치 어셈블리.
  18.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락킹 장치는,
    상기 락플레이트와 상기 안티잼레버에 체결되는 제 2 탄성부를 더 포함하는 도어 래치 어셈블리.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제 2 탄성부는 안티잼스프링인 도어 래치 어셈블리.
  20.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락플레이트는 상기 하우징 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 1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 1 돌기가 삽입되어 이동가능한 제 5 장공을 포함하는 도어 래치 어셈블리.
  21.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 장치는 상기 락플레이트를 회전시키도록 상기 락플레이트의 일단과 인사이드노브 케이블로 체결되는 인사이드노브를 더 포함하는 도어 래치 어셈블리.
  22.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어 상기 락플레이트와 체결되어 상기 락플레이트를 회전시키는 엑추에이터를 더 포함하는 도어 래치 어셈블리.
  23.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락킹 장치는 상기 락플레이트와 상기 하우징 사이에 배치되는 제 3 탄성부를 더 포함하는 도어 래치 어셈블리.
  24. 청구항 23에 있어서,
    상기 제 3 탄성부는 액션스프링인 도어 래치 어셈블리.
KR1020100102757A 2010-10-21 2010-10-21 도어 래치 어셈블리 KR1012401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2757A KR101240179B1 (ko) 2010-10-21 2010-10-21 도어 래치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2757A KR101240179B1 (ko) 2010-10-21 2010-10-21 도어 래치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1344A KR20120041344A (ko) 2012-05-02
KR101240179B1 true KR101240179B1 (ko) 2013-03-07

Family

ID=462624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2757A KR101240179B1 (ko) 2010-10-21 2010-10-21 도어 래치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017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4949A (ko) * 2001-09-19 2003-03-28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제어래치를 삽입한 차량 테일게이트 록킹장치의 로크와래치의 결합구조
JP2007308942A (ja) * 2006-05-17 2007-11-29 Mitsui Mining & Smelting Co Ltd 車両用ドアラッチの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装置
JP2007321395A (ja) * 2006-05-31 2007-12-13 Mitsui Mining & Smelting Co Ltd 車両用ドアラッチの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4949A (ko) * 2001-09-19 2003-03-28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제어래치를 삽입한 차량 테일게이트 록킹장치의 로크와래치의 결합구조
JP2007308942A (ja) * 2006-05-17 2007-11-29 Mitsui Mining & Smelting Co Ltd 車両用ドアラッチの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装置
JP2007321395A (ja) * 2006-05-31 2007-12-13 Mitsui Mining & Smelting Co Ltd 車両用ドアラッチの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1344A (ko) 2012-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32873B1 (en) System to remotely unlatch a pickup box tailgate
JP5447860B2 (ja) 車両用ドアロック装置
US8684425B2 (en) Vehicle door latch apparatus
US20100127511A1 (en) Vehicle door latch having a power lock-unlock mechanism
JP6497046B2 (ja) 車両ドア作動装置
JP2007308941A (ja) 車両用ドアラッチの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装置
KR101247189B1 (ko) 슬라이딩 도어용 리모트 컨트롤러
JP6538409B2 (ja) 車両のハンドル装置
KR101806612B1 (ko) 차량용 잠금 방지 도어래치
JP2020056206A (ja) 車両ドアラッチ装置
JP5421083B2 (ja) ドアロック装置
KR101240179B1 (ko) 도어 래치 어셈블리
JP4700561B2 (ja) 車両用ドアラッチの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装置
JP6182768B2 (ja) 車両用ドアラッチ装置
US11499348B2 (en) Power child lock device
JP5022503B2 (ja) 車両用ドアラッチの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装置
KR20100134474A (ko) 글로브 박스의 록킹장치
JP5023401B2 (ja) 自動車用ドアラッチ装置
JP6450992B2 (ja) 車両スライドドアの中継機構
KR100947093B1 (ko) 차량용 도어 래치
KR100561766B1 (ko) 자동차용 도어의 록킹 장치
JP2012219530A (ja) 車両用ドアのラッチ解除装置
KR20110053533A (ko) 도어 래치 어셈블리
JP4810685B2 (ja) 車両用ドアラッチ装置
JP6089300B2 (ja) 車両用ドアラッ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