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4643B1 - 엑추에이터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엑추에이터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4643B1
KR101244643B1 KR1020100040383A KR20100040383A KR101244643B1 KR 101244643 B1 KR101244643 B1 KR 101244643B1 KR 1020100040383 A KR1020100040383 A KR 1020100040383A KR 20100040383 A KR20100040383 A KR 20100040383A KR 101244643 B1 KR101244643 B1 KR 1012446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lever
actuator
actuator assembly
coupling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03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20993A (ko
Inventor
최종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리한도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리한도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리한도어
Priority to KR10201000403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4643B1/ko
Publication of KR201101209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09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46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4643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엑추에이터와 고정프레임를 견고하게 고정시키고 조립이 간편한 엑추에이터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구동력을 생성하고 상기 구동력을 전달하도록 일측으로 돌출되는 작동부를 구비하는 엑추에이터와, 상기 작동부의 일단이 체결되는 링크레버와, 상기 링크레버의 타단에 체결되며, 상기 엑추에이와 체결되어 고정시키는 고정프레임을 포함하는 엑추에이터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엑추에이터 어셈블리{Actuator assembly}
본 발명은 엑추에이터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엑추에어터와 고정프레임를 고정시키도록 링크레버를 포함하는 엑추에이터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엑추에이터는 도어 래치를 작동하도록 구동력을 생성한다. 이때, 엑추에이터는 사용자로부터 리모컨을 통하여 입력신호가 입력되면, 입력신호에 따라 엑추에이터가 작동한다. 엑추에이터에는 엑추에이터하우징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작동부가 형성된다. 작동부는 엑추에이터의 작동에 의하여 회전한다.
한편, 작동부의 일측에는 링크레버가 체결된다. 이때, 링크레버는 작동부에 용접이나 나사에 의하여 체결된다. 따라서 조립시 링크레버를 작동부에 체결하는 것이 상당한 시간과 노력이 요구되었다.
또한, 링크레버는 일단이 고정프레임에 체결된다. 이때, 링크레버는 고정프레임에 용접이나 나사에 의하여 체결된다. 따라서 조립시 링크레버를 고정프레임에 체결하는 것은 상당한 시간과 노력이 요구되었다.
본 발명은 엑추에이터와 고정프레임를 견고하게 고정시키고 조립이 간편한 엑추에이터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구동력을 생성하고 상기 구동력을 전달하도록 일측으로 돌출되는 작동부를 구비하는 엑추에이터와, 상기 작동부의 일단이 체결되는 링크레버와, 상기 링크레버의 타단에 체결되며, 상기 엑추에이와 체결되어 고정시키는 고정프레임을 포함하는 엑추에이터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엑추에이터 어셈블리는 링크레버를 엑추에이터의 작동부와 고정프레임를 직결시킨다. 또한, 링크레버에는 체결부가 형성되어 링크레버를 작동부와 고정프레임에 용이하게 체결할 수 있다. 따라서 엑추에이터 어셈블리는 조립이 간편하고 조립비용이 절감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엑추에이터 어셈블리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링크레버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체결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결합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엑추에이터 어셈블리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링크레버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체결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6에 도시된 결합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엑추에이터 어셈블리(100)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엑추에이터 어셈블리(100)는 구동력을 생성하는 엑추에이터(130)를 포함한다. 엑추에이터(130)는 구동력을 생성하는 구동모터(미표기)를 포함한다.
엑추에이터(130)는 상기 구동모터가 내측에 배치되는 하우징(미표기)을 포함한다. 엑추에이터(130)는 상기 구동모터와 연동하여 외부로 구동력을 전달하는 작동부(131)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은 작동부(131)가 삽입되어 체결되는 삽입홀(미표기)이 형성된다. 작동부(131)는 상기 구동모터와 연동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배치된다. 또한, 작동부(131)의 일측은 상기 삽입홀에 삽입되어 상기 하우징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한편, 엑추에이터 어셈블리(100)는 작동부(131)의 일단이 체결되는 링크레버(120)를 포함한다. 링크레버(120)는 길이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된 일단 및 타단이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링크레버(120)는 일단에 로드(R)가 체결된다. 로드(R)는 링크레버(120)의 회전에 의하여 연동한다.
엑추에이터 어셈블리(100)는 링크레버(120)의 타단에 체결되는 고정프레임(110)을 포함한다. 고정프레임(110)은 일측이 엑추에이터(130)와 체결되어 엑추에이터(130)를 고정시킨다. 고정프레임(110)은 차체에 체결되어 고정된다. 또한, 고정프레임(110)은 엑추에이터(130)가 일측에 삽입되어 체결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링크레버(120)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체결부(121)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결합부(122)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링크레버(120)는 일단 및 타단이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링크레버(120)의 일단 및 타단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링크레버(120)는 일단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체결부(121)를 포함한다.
체결부(121)의 일면에는 작동부(131)가 체결되도록 작동부체결홀(121a)이 형성된다. 이때, 작동부(131)의 일단은 다각형으로 형성된다. 또한, 작동부(131)의 일단은 삼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작동부(131)의 일단은 작동부체결홀(121a)에 삽입되어 체결된다. 이때, 작동부체결홀(121a)은 작동부(131) 일단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작동부(131)의 일단이 다각형으로 형성되는 경우, 작동부체결홀(121a)은 다각형으로 형성된다. 또한, 작동부(131)의 일단이 삼각형으로 형성되는 경우, 작동부체결홀(121a)은 삼각형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작동부(131)가 회전할 때, 작동부(131)가 작동부체결홀(121a)을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작동부(131)가 회전할 때, 링크레버(120)는 작동부(131)로부터 힘이 가해져 작동부(131)와 동시에 회전한다.
링크레버(120)는 타단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결합부(122)를 포함한다. 결합부(122)는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돌기(122a)를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결합돌기(122a)는 결합부(122)의 내측면으로 인입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결합돌기(122a)의 일단은 결합부(122)의 외주면에 일체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결합돌기(122a)의 타단은 결합부(122)의 외주면과 분리되도록 형성된다.
한편, 적어도 하나의 결합돌기(122a)의 타단은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결합돌기(122a)는 소정정도 탄성력을 갖도록 형성된다.
적어도 하나의 결합돌기(122a)는 복수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결합돌기들(122a)은 결합부(122)의 외주면에 서로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한편, 다시 도 1을 참고하면, 고정프레임(110)은 일측에 형성되는 링크레버체결부(111)를 구비한다. 링크레버체결부(111)는 링크레버(120)의 타단이 삽입되도록 링크레버삽입홀(111a)을 포함한다. 또한, 링크레버체결부(111)는 링크레버삽입홀(111a)의 내주면에 일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링크레버고정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링크레버고정부는 복수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링크레버고정부들은 서로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링크레버삽입홀(111a)의 내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복수개의 링크레버고정부들은 결합부(122)가 삽입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엑추에이터 어셈블리(100)의 조립과정을 살펴보면, 조립자는 작동부(131)에 체결부(121)를 삽입한다. 조립자는 결합부(122)를 고정프레임(110)에 체결한다.
결합부(122)는 링크레버체결부(111)에 체결된다. 결합부(122)는 링크레버삽입홀(111a)에 삽입된다. 이때, 복수개의 결합돌기들(122a)은 링크레버삽입홀(111a)에 삽입되면서 돌출된 부분에 의해 결합부(122)의 내측으로 밀리게 된다. 복수개의 결합돌기들(122a)은 링크레버삽입홀(111a)을 통과한 후 다시 원상태로 복귀된다.
복수개의 결합돌기들(122a)은 링크레버삽입홀(111a)을 통과한 후 상기 복수개의 링크레버고정부들에 돌출된 부분이 안착한다. 이때, 각 결합돌기(122a)는 상기 각 링크레버고정부에 안착하여 고정될 수 있다.
조립자는 상기의 과정이 완료되면, 엑추에이터(130)를 고정프레임(110)에 나사 결합 등으로 체결하여 고정한다. 따라서 조립자는 링크레버(120)를 고정프레임(110) 및 엑추에이터(130)에 간편하고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엑추에이터 어셈블리(200)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를 참고하면, 엑추에이터 어셈블리(200)는 구동력을 생상하는 엑추에이터(230)를 포함한다. 엑추에이터(230)는 상기 구동력을 외부로 전달하는 작동부(231)를 구비한다.
엑추에이터 어셈블리(200)는 작동부(231)의 일단에 체결되는 링크레버(220)를 포함한다. 또한, 엑추에이터 어셈블리(200)는 링크레버(220)의 타단에 체결되는 고정프레임(210)을 포함한다.
엑추에이터(230), 작동부(231) 및 링크레버(220)는 상기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 또는 유사하게 형성된다. 이하에서는 엑추에이터(230), 작동부(231) 및 링크레버(220)의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링크레버(220)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체결부(221)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6에 도시된 결합부(222)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을 참고하면, 링크레버(220)는 일단 및 타단이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링크레버(220)의 일단 및 타단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링크레버(220)는 일단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체결부(221)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체결부(221)는 전술한 실시예에서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체결부(121)에 대응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체결부(221)에는 작동부체결홀(221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의 작동부체결홀(221a)은 전술한 실시예에서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작동부체결홀(121a)와 동일 또는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링크레버(220)는 타단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결합부(222)를 포함한다. 결합부(222)는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돌기(미표기)를 포함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결합돌기는 결합부(222)의 외주면에 일체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결합돌기는 복수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결합돌기들은 결합부(222)의 외주면에 서로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복수개의 결합돌기들은 결합부(222)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 1 결합돌기(222a)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결합돌기들은 제 1 결합돌기(222a)와 상이한 방향으로 결합부(222)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 2 결합돌기(222b)를 포함한다.
한편, 다시 도 5를 참고하면, 고정프레임(210)는 일측에 형성되는 링크레버체결부(211)를 구비한다. 링크레버체결부(211)는 링크레버(220)의 타단이 삽입되도록 링크레버삽입홀(211a)을 포함한다. 링크레버삽입홀(211a)은 결합부(222), 제 1 결합돌기(222a) 및 제 2 결합돌기(222b)와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한편, 엑추에이터 어셈블리(200)의 조립과정을 살펴보면, 조립자는 작동부(231)에 체결부(221)를 삽입한다. 조립자는 결합부(222)를 고정프레임(210)에 체결한다.
결합부(222)는 링크레버체결부(211)에 체결된다. 제 1 결합돌기(222a) 및 제 2 결합돌기(222b)는 링크레버삽입홀(211a)에 삽입된다. 이때, 조립자는 제 1 결합돌기(222a) 및 제 2 결합돌기(222b)를 삽입한 후 결합부(222)를 회전시킨다.
결합부(222)를 회전시키면, 제 1 결합돌기(222a) 및 제 2 결합돌기(222b)가 삽입되는 링크레버삽입홀(211a)의 일부분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놓이게 된다. 따라서 링크레버(220)가 회전할 때, 제 1 결합돌기(222a) 및 제 2 결합돌기(222b)가 링크레버삽입홀(211a)을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조립자는 상기의 과정이 완료되면, 엑추에이터(230)를 고정프레임(210)에 나사 결합 등으로 체결하여 고정한다. 따라서 조립자는 링크레버(220)를 고정프레임(210) 및 엑추에이터(230)에 간편하고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다.
100,200 : 엑추에이터 어셈블리
110,210 : 고정프레임
120,220 : 링크레버
130,230 : 엑추에이터

Claims (12)

  1. 구동력을 생성하고 상기 구동력을 전달하도록 일측으로 돌출되는 작동부를 구비하는 엑추에이터와,
    상기 작동부의 일단이 체결되는 링크레버와,
    상기 링크레버의 타단에 체결되며, 상기 엑추에이터와 체결되어 고정시키는 고정프레임을 포함하는 엑추에이터 어셈블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의 단면은 다각형으로 형성되는 엑추에이터 어셈블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의 단면은 삼각형으로 형성되는 엑추에이터 어셈블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링크레버의 일단 및 타단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엑추에이터 어셈블리.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링크레버는,
    일단에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체결부와,
    타단에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엑추에이터 어셈블리.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돌기를 포함하는 엑추에이터 어셈블리.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결합돌기는 복수개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결합돌기들은 외주면에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되는 엑추에이터 어셈블리.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결합돌기는 외력이 가해지면 상기 결합부의 내측으로 인입되도록 형성되는 엑추에이터 어셈블리.
  9.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작동부가 삽입되도록 작동부체결홀을 구비하는 엑추에이터 어셈블리.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프레임은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링크레버의 타단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링크레버체결부를 구비하는 엑추에이터 어셈블리.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링크레버체결부에는 상기 링크레버의 타단이 삽입되는 링크레버삽입홀이 형성되는 엑추에이터 어셈블리.
  12. 삭제
KR1020100040383A 2010-04-30 2010-04-30 엑추에이터 어셈블리 KR1012446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0383A KR101244643B1 (ko) 2010-04-30 2010-04-30 엑추에이터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0383A KR101244643B1 (ko) 2010-04-30 2010-04-30 엑추에이터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0993A KR20110120993A (ko) 2011-11-07
KR101244643B1 true KR101244643B1 (ko) 2013-03-18

Family

ID=453919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0383A KR101244643B1 (ko) 2010-04-30 2010-04-30 엑추에이터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464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45752A (ja) 1999-06-08 2000-12-12 Denso Corp ドアロック操作装置
JP2007327238A (ja) 2006-06-07 2007-12-20 Mitsui Mining & Smelting Co Ltd ドア開閉装置
JP2008063913A (ja) 2006-09-11 2008-03-21 Mitsui Mining & Smelting Co Ltd アクチュエータユニット
US20080203737A1 (en) 2005-03-23 2008-08-28 Kris Tomaszewski Global Side Door Latch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45752A (ja) 1999-06-08 2000-12-12 Denso Corp ドアロック操作装置
US20080203737A1 (en) 2005-03-23 2008-08-28 Kris Tomaszewski Global Side Door Latch
JP2007327238A (ja) 2006-06-07 2007-12-20 Mitsui Mining & Smelting Co Ltd ドア開閉装置
JP2008063913A (ja) 2006-09-11 2008-03-21 Mitsui Mining & Smelting Co Ltd アクチュエータユニッ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0993A (ko) 2011-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32207B2 (ja) アクチュエータ
KR101560980B1 (ko)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동력전달 장치
JP2015105710A (ja) ボールねじおよび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WO2013027486A1 (ja) 車両用ドアのアウトハンドル装置
JP5787080B2 (ja)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2010047172A (ja) 送り装置
CN106969109B (zh) 一种拆装方便的致动器
KR101244643B1 (ko) 엑추에이터 어셈블리
JP6252012B2 (ja) 車両用アウトサイドミラー装置
CN109964052A (zh) 调节螺栓
JP4507214B2 (ja) ドア用ハンドルの取り付け構造体
EP1972849B1 (en) Bulb socket
JP2018071732A (ja) スクリューグロメット取付構造
CN215806103U (zh) 线性电动驱动器和电子设备
KR101770899B1 (ko) 댐핑 커플러 및 이를 구비한 감속기
JP2010274702A (ja) パーキング装置構造
KR101596080B1 (ko) 자동차의 전동식 조향장치
JP2008074362A (ja) 自動車用ボディパネルと取付部品との取付構造、及びロッカパネルとロッカプロテクタとの取付構造
KR101367426B1 (ko) 수동변속기의 셀렉트바 연결구조
KR102042650B1 (ko) 차량용 램프의 조립 구조
JP2016092902A (ja) 駆動装置
WO2015098542A1 (ja) シフトレバー装置
KR101067740B1 (ko) 스텝 모터 액츄에이터
KR101144000B1 (ko) 클러치
KR100967533B1 (ko) 공기조화용 컨트롤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