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13977A - 스피닝 릴의 드래그 장치 - Google Patents

스피닝 릴의 드래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13977A
KR20070113977A KR1020070047823A KR20070047823A KR20070113977A KR 20070113977 A KR20070113977 A KR 20070113977A KR 1020070047823 A KR1020070047823 A KR 1020070047823A KR 20070047823 A KR20070047823 A KR 20070047823A KR 20070113977 A KR20070113977 A KR 200701139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g
switching
handle
normal
circumferential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78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94981B1 (ko
Inventor
라작 노르 아즈리 빈 압둘
미앙 친 고
Original Assignee
시마노 컴포넌츠 (말레이지아) 에스디엔. 비에이치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마노 컴포넌츠 (말레이지아) 에스디엔. 비에이치디. filed Critical 시마노 컴포넌츠 (말레이지아) 에스디엔. 비에이치디.
Publication of KR200701139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39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49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49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2Brake devices for reels
    • A01K89/027Brake devices for reels with pick-up, i.e. for reels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A01K89/028Continuously applied
    • A01K89/029Continuously applied between spool shaft and fram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A01K89/0122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with unwinding indicators, e.g. bell or flashing light
    • A01K89/0123Clicking indicators, e.g. flexible pawl and toothed membe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2Brake devices for reels
    • A01K89/027Brake devices for reels with pick-up, i.e. for reels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A01K89/0113Spool locking devices on spool shaf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A01K89/0114Reciprocating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A01K89/0117Anti-reverse mechanism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과제] 전환 가능한 2개의 드래그부를 가지는 스피닝 릴의 드래그 장치에 있어서, 드래그 손잡이의 내부로의 이물의 침입을 가급적으로 억제할 수 있도록 한다.
[해결 수단] 드래그 기구(7)는 제1 드래그부(25)와 제2 드래그부(26)와 전환 기구(27)를 구비하고 있다. 제1 드래그부는 통상부(2d)의 외주면에 전후 이동 불가능하게, 또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제1 드래그 손잡이(30)와, 통상부의 내주면에 나사로 감합하는 제1 압압(押壓) 부재(31)와, 제1 압압 부재에 의하여 압압되는 제1 피압압부(32)를 가지고, 스풀 축(15)을 제동한다. 제2 드래그부는 통상부의 외주면에 전후 이동 불가능하게, 또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제2 드래그 손잡이(35)와, 통상부의 외주면에 나사로 감합하는 제2 압압 부재(36)와, 제2 압압 부재에 의하여 압압되는 제2 피압압부(37)를 가지고, 제1 드래그부보다 전방에서 스풀 축을 제동한다. 전환 기구는 제1 드래그부를 드래그 가능 상태와 드래그 불가능 상태로 전환한다.
스피닝 릴, 드래그 장치, 드래그 손잡이, 드래그 디스크, 스풀

Description

스피닝 릴의 드래그 장치{DRAG DEVICE FOR SPINNING RELL}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채용된 스피닝 릴의 단면도.
도 2는 그 분해 사시 부분도
도 3은 릴 후부의 단면 확대도.
도 4는 전환 부재가 제1 위치에 있을 때의 드래그 기구의 단면도.
도 5는 전환 부재가 제2 위치에 있을 때의 드래그 기구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7 : 드래그 기구(본 발명의 드래그 장치의 일례)
25 : 제1 드래그부
26 : 제2 드래그부
27 : 전환 기구
30 : 제1 드래그 손잡이
31 : 제1 압압 부재
32 : 제1 피압압부
35 : 제2 드래그 손잡이
36 : 제2 압압 부재
37 : 제2 피압압부
40 : 제1 손잡이 부재
41 : 제2 손잡이 부재
42a, 42b : 제1 드래그 와셔
43 : 제2 드래그 와셔
50 : 전환 부재
51 : 제1 계지 부재
52 : 제2 계지 부재
53 전환 레버
55a, 55b : 제3 드래그 와셔
56 : 제4 드래그 와셔
스피닝 릴에는 낚싯줄의 절단을 방지하는 등의 목적으로 스풀의 줄 방출 방향의 회전을 제동하는 드래그 장치가 장착되어 있다. 이와 같은 드래그 장치에 있어서, 릴 본체의 후부에 강약 2개의 드래그부를 가지고, 그것을 전환 가능한 드래그 장치가 종래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종래의 드래그 장치는 릴 본체의 후부에 설치된 제1 드래그부와, 제1 드래그부의 전방(前方)에 배치된 제2 드래그부와, 제1 드래그부를 드래그 가능 상태와 드래그 불가능 상태로 전환하는 전환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제1 드래그부는 채비에 물고기가 걸렸을 때에 낚싯줄이 끊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한 강한 드래그력으로 스풀을 제동하는데 사용한다. 제2 드래그부는 예를 들면, 채비에 정어리 등의 생 미끼를 달아 헤엄치게 할 때에 생 미끼의 헤엄만으로는 낚싯줄이 별로 방출되지 않는 정도의 약한 드래그력으로 스풀을 제동하는데 사용한다.
제1 드래그부는 릴 본체의 후부에 형성된 통상(筒狀)부에 나사로 감합하는, 바닥이 있는 통상의 제1 드래그 손잡이와, 제1 드래그 손잡이에 나사 부재에 의하여 일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압압(押壓, 압박하여 누름) 부재와, 압압 부재에 의하여 압압되는 복수의 제1 피압압부를 가지고 있다. 제2 드래그부는 통상부에 제1 드래그 손잡이의 전방에서 나사로 감합하는 통상의 제2 드래그 손잡이와, 제2 드래그 손잡이에 의하여 압압되는 복수의 제2 피압압부를 가지고 있다.
전환 기구는 스풀 축에 회전 불가능하게, 또한, 제1 위치와 제1 위치보다 전방의 제2 위치로 축방향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전환 부재와, 전환 부재에 계합(係合, 걸어 맞춤)하는 제1 및 제2 계지(係止, 서로 연결되어 고정됨) 부재와, 전환 부재를 제1 위치와 제2 위치로 이동시키는 전환 레버를 가지고 있다. 제1 계지 부재는 외주에 제1 피압압부가 배치되고, 제1 위치에 있을 때, 전환 부재에 회전 불가능하게 계합한다. 제2 계지 부재는 외주에 제2 피압압부가 배치되고, 전환 부재에 상시(常時) 회전 불가능하게 계합한다.
이와 같은 구성의 스피닝 릴에서는 전환 레버에 의하여 전환 부재를 제1 위치로 이동시키면, 제1 드래그부가 동작하여 강한 드래그력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전환 레버에 의하여 전환 레버를 전방의 제2 위치로 이동시키면, 제1 드래그부가 드래그 불가능 상태가 되고, 제2 드래그부만이 동작하여 약한 드래그력을 얻을 수 있다. 제1 드래그부의 드래그력이 제1 드래그 손잡이에 의하여 조정된다. 제1 드래그 손잡이를 예를 들면, 나사가 죄이는 방향으로 돌리면, 제1 드래그 손잡이 및 제1 압압 부재는 전진하여 제1 피압압부를 서서히 강하게 압압하고, 제1 드래그부의 드래그력이 강해진다. 반대로 돌리면, 제1 드래그 손잡이 및 제1 압압 부재가 후퇴하여 드래그력이 약해진다. 마찬가지로, 제2 드래그 손잡이를 예를 들면, 나사가 죄이는 방향으로 돌리면, 제2 드래그 손잡이는 전진하여 제2 피압압부를 서서히 강하게 압압하고, 제2 드래그부의 드래그력이 강해진다. 반대로 돌리면, 제2 드래그 손잡이가 후퇴하여 드래그력이 약해진다.
<특허 문헌 1> 일본국 실용신안공보 실공평8-10284호 공보
상기 종래의 구성에서는 드래그력을 조정하기 위하여 제1 드래그 손잡이 및 제2 드래그 손잡이를 회동 조작하면, 어느 것의 드래그 손잡이와도 통상부의 외주면에 나사로 감합하고 있으므로 전후로 이동한다. 이 때문에, 제1 드래그 손잡이와 그 전방의 제2 드래그 손잡이의 사이 및 제2 드래그 손잡이와 릴 본체의 후부의 사이에 간극이 생기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간극이 생기면, 간극에 먼지나 낚시 미끼의 찌꺼기 등의 이물이 드래그 손잡이의 내부로 침입하여, 제1 및 제2 드래그 손잡이를 돌리기 어렵게 되고, 제1 및 제2 드래그 손잡이를 조작하기 어렵게 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전환 가능한 2개의 드래그부를 가지는 스피닝 릴의 드래그 장치에 있어서, 드래그 손잡이의 내부로의 이물의 침입을 가급적으로 억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발명 1에 관련되는 스피닝 릴의 드래그 장치는, 스피닝 릴의 릴 본체의 후부에 배치된 드래그 장치이며, 제1 드래그부와 제2 드래그부와 전환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제1 드래그부는 릴 본체의 후부에 설치된 통상부의 외주면에, 전후 이동 불가능하게, 또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제1 드래그 손잡이와, 통상부의 내주면에, 제1 드래그 손잡이와 일체 회전 가능하게, 또한, 전후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통상부의 내주면에 나사로 감합하는 제1 압압 부재와, 제1 압압 부재에 의하여 압압되는 제1 피(被)압압부를 가지며, 스풀이 전부(前部)에 장착된 스풀 축을 제동하는 것이다. 제2 드래그부는 제1 드래그 손잡이의 전방에서 통상부의 외주면에, 전후 이동 불가능하게, 또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제2 드래그 손잡이와, 통상부의 제1 드래그 손잡이보다 전방의 외주면에, 제2 드래그 손잡이와 일체 회전 가능하게, 또한, 전후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통상부의 외주면에 나사로 감합하는 제2 압압 부재와, 제2 압압 부재에 의하여 압압되는 제2 피압압부를 가지며, 제1 드래그부보다 전방에서 스풀 축을 제동하는 것이다. 전환 기구는 제1 드래그부를 드래그 가능 상태와 드래그 불가능 상태로 전환하는 기구이다.
본 드래그 장치에서는 제1 드래그부의 드래그력을 조정할 때에는 제1 드래그 손잡이를 어느 한 방향으로 돌린다. 제1 드래그 손잡이를 돌리면, 통상부의 내주면에 나사로 감합하는 제1 압압 부재가 전후 어느 한 쪽으로 이동하여 제1 피압압 부로의 압압력을 변화시켜 드래그력을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제2 드래그부의 드래그력을 조정할 때에는 제2 드래그 손잡이를 어느 한 방향으로 돌린다. 제2 드래그 손잡이를 돌리면, 통상부의 외주면에 나사로 감합하는 제2 압압 부재가 전후 어느 한 쪽으로 이동하여 제2 피압압부로의 압압력을 변화시켜 드래그력을 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및 제2 드래그 손잡이는 모두 전후 이동 불가능하게 통상부에 장착되어 있다. 이 때문에, 어느 것의 드래그 손잡이를 돌려도 드래그 손잡이는 전후 이동하지 않고, 회전할 뿐이다. 따라서, 양 드래그 손잡이의 간극 및 제2 드래그 손잡이와 릴 본체의 간극를 가급적으로 작게 하는 것으로, 양 드래그 손잡이의 내부로의 이물의 침입을 가급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발명 2에 관련되는 스피닝 릴의 드래그 장치는, 발명 1에 기재된 장치에 있어서, 제1 압압 부재는 제1 피압압부를, 전환 기구를 향하여 압압하고, 제2 압압 부재는 제2 피압압부를, 릴 본체를 향하여 압압한다. 이 경우에는 전환 기구를 향하여 제1 압압 부재가 이동하면, 제1 드래그부의 드래그력이 커지고, 릴 본체를 향하여 제2 압압 부재가 이동하면, 제2 드래그부의 드래그력이 커진다. 여기에서는 릴 본체가 아닌, 전환 기구를 향하여 압압하고 있으므로, 릴 본체의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다.
발명 3에 관련되는 스피닝 릴의 드래그 장치는, 발명 1 또는 2에 기재된 장치에 있어서, 제2 드래그부는 제1 드래그부보다 약한 최대 드래그력으로 스풀 축을 제동한다. 이 경우에는 최대 드래그력이 강하고, 빈번하게 조정하는 것이 많은 제1 드래그부가 조작하기 쉬운 후방(後方)에 배치되므로, 낚시를 행하고 있을 때에 드래그력을 간단하게 조정할 수 있다.
발명 4에 관련되는 스피닝 릴의 드래그 장치는, 발명 1 내지 3 중 어느 한 발명에 기재된 장치에 있어서, 전환 기구는 스풀 축에, 제1 위치와 제1 위치보다 전방의 제2 위치로 전후 이동 가능하게, 또한,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된 통상의 전환 부재와, 전환 부재가 제1 위치에 있을 때, 전환 부재에 회전 불가능하게 계합하고, 또한, 통상부에, 전방으로의 이동이 규제된 상태에서 장착된 테두리 붙이 통상의 제1 계지 부재와, 제1 계지 부재의 전방에 배치되고, 전환 부재가 제2 위치에 있을 때, 전환 부재에 회전 불가능하게 계합하고, 또한, 통상부에, 전방으로의 이동이 규제된 상태에서 장착된 통상의 제2 계지 부재와, 릴 본체에, 스풀 축과 어긋나는 축 둘레로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전환 부재를 제1 위치와 제2 위치의 사이에서 전후 이동시키는 전환 레버를 가진다. 이 경우에는 전환 레버에 의하여 전환 부재를 제1 위치와 제2 위치 중 어느 하나로 전후 이동시키는 것만으로, 드래그력을 전환할 수 있다.
발명 5에 관련되는 스피닝 릴의 드래그 장치는, 발명 4에 기재된 장치에 있어서, 제1 피압압부는 제1 계지 부재의 외주면에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제1 드래그 디스크와, 제1 드래그 디스크와 나란히 배열되어, 제1 계지 부재의 외주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통상부에 회전 불가능하게 계지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드래그 디스크를 가지고, 제2 피압압부는 제2 계지 부재의 외주면에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제3 드래그 디스크와, 제3 드래그 디스크와 나란히 배열되어, 제2 계지 부재의 외주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통상부에 회 전 불가능하게 계지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4 드래그 디스크를 가진다. 이 경우에는 각각의 피압압부가 릴 본체(통상부)에 대하여 회전 불가능한 제2 및 제4 드래그 디스크와, 어느 하나의 계지 부재 및 전환 부재를 통하여 스풀 축에 대하여 회전 불가능한 제1 및 제3 드래그 디스크의 각각 두 종류의 드래그 디스크에 의하여 제동하므로, 드래그력이 강해지는 것과 함께, 드래그력을 세밀하게 조정할 수 있다.
발명 6에 관련되는 스피닝 릴의 드래그 장치는, 발명 1 내지 5 중 어느 한 발명에 기재된 장치에 있어서, 제1 드래그 손잡이는 통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또한, 축방향 이동 불가능하게 장착된 테두리 붙이 원통상의 제1 손잡이 부재와, 통상부의 후단부를 막도록 제1 손잡이 부재에 나사 끼움 고정된, 바닥이 있는 통상의 제2 손잡이 부재를 가지고, 제1 압압 부재는 제2 손잡이 부재에 일체 회전 가능하게, 또한, 축방향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제1 드래그 손잡이를 2개의 부재로 분할하였으므로, 통상부에 회전 가능하고, 또한, 축방향 이동 불가능한 부분(제1 손잡이 부재)과 압압 부재를 압압하는 부분(제2 손잡이 부재)을 쉽게 조립할 수 있는 간소한 구성을 실현할 수 있다.
<실시예>
<전체 구성>
도 1에 있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채용한 스피닝 릴은 핸들(1)과 핸들(1)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릴 본체(2)와 로터(3)와 스풀(4)을 구비하고 있다. 로터(3)는 릴 본체(2)의 전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스풀(4)은 낚싯줄을 외주면에 감아내는 것이고, 로터(3)의 전부에 전후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릴 본체(2)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종 기구가 장착되는 릴 보디(2a)와, 릴 보디(2a)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고, 릴 보디(2a)와의 사이에서 각종 기구를 수납하는 기구 수납 공간을 형성할 수 있는 덮개 부재(2b, 도 2 참조)를 가지고 있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릴 보디(2a)는 예를 들면, 알루미늄 합금 등의 금속제 또는 합성 수지제의 부재이다. 릴 보디(2a)의 후부에는 후방(後方)으로 연장되는 통상부(2d)가 형성되어 있다. 통상부(2d)에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내외주(內外周)면을 관통하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계지 홈(2e)이 형성되어 있는 것과 함께, 후술하는 스냅 링(snap ring, 39a ~ 39c)을 장착하기 위한 복수의 환상 홈(2f)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통상부(2d)의 기단부(基端部)에는 1/3 원(圓) 정도의 각도로, 전후 방향으로 적당한 치수로, 원호상(圓弧狀)으로 노치된 노치부(2g)가 형성되어 있다. 노치부(2g)의 둘레 방향의 중앙부에는 내외주를 지름 방향으로 관통하는 계지 구멍(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다. 노치부(2g)의 외주 측에는 노치부(2g)를 커버하는 커버 부재(47)가 장착되어 있다. 나아가, 통상부(2d)의 기단측 외주면에는 수 나사부(2h)가 형성되고, 선단(先端) 측 내주면에는 암 나사부(2i)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릴 보디(2a)에는 덮개 부재(2b) 측에, 만곡하여 형성된 금속판재제의 장착 베이스(2k)가 나사 등의 적당한 고정 수단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다. 장착 베이스(2k)는 상하(上下)에 걸쳐 설치되는 것과 함께, 중앙부가 후방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덮개 부재(2b)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알루미늄 합금 등의 금속제의 부재이다. 덮개 부재(2b)에는 상부에, 전후로 연장되는 T자형의 장대 장착 다리(2c)가 일체 형성되어 있다.
기구 수납 공간 내에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로터(3)를 핸들(1)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시키는 로터 구동 기구(5)와, 스풀(4)을 전후로 이동시켜 낚싯줄을 균일하게 감아내기 위한 오실레이팅 기구(6)와, 스풀(4)을 강약 두 종류의 드래그력으로 제동하는 드래그 기구(본 발명에 관련되는 드래그 장치의 일례, 7)가 설치되어 있다.
로터 구동 기구(5)는 핸들(1)이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된 핸들 축(10)과, 핸들 축(10)과 함께 회전하는 페이스 기어로 이루어지는 마스터 기어(11)와, 마스터 기어(11)에 맞물리는 피니언 기어(12)를 가지고 있다. 마스터 기어(11)는 핸들 축(10)이 일체 회전 가능하게 계합하는 마스터 기어 축(11a)과, 마스터 기어 축(11a)에 설치된 원판상(圓板狀)의 페이스 기어부(11b)를 가지고 있다. 피니언 기어(12)는 전후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고, 내부에 스풀 축(15)이 관통 가능하게 통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피니언 기어(12)의 전부(12a)는 로터(3)의 중심부를 관통하고 있고, 너트(13)에 의하여 로터(3)와 고정되어 있다. 피니언 기어(12)는 그 축방향의 중간부와 후단부가 베어링(14a, 14b)을 통하여 릴 본체(2)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오실레이팅 기구(6)는 선단에 스풀(4)이 연결된 스풀 축(15)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켜 스풀(4)을 같은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기구이다. 스풀 축(15)은 핸들 축(10)과 어긋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오실레이팅 기구(6)는 피니언 기어(12)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나선 축(20)과, 나선 축(20)에 의하여 전후 이동하는 슬라이더(21)를 가지고 있다. 슬라이더(21)는 스풀 축(15)에 회전 가능하게, 또한, 축방향 이동 불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로터(3)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통부(3a)와, 원통부(3a)의 후단에 일체 형성되고, 원통부(3a)와 간격을 두고 전방으로 연장되는 제1 및 제2 로터 암(3b, 3c)을 가지고 있다. 양 로터 암(3b, 3c)의 선단에는 요동 가능하게 베일 암(3d)이 장착되어 있다. 베일 암(3d)은 로터(3)의 회전에 의하여 스풀에 낚싯줄을 안내하여 감기 위하여 설치되어 있다.
로터(3)의 원통부(3a)의 내부에는 로터(3)의 역전을 금지·해제하기 위한 역전 방지 기구(22)가 배치되어 있다. 역전 방지 기구(22)는 롤러형의 원 웨이(one way) 클러치를 가지고 있고, 원 웨이 클러치를 릴 본체의 전부 하면(下面)에 요동 가능하게 장착된 전환 레버(23)에 의하여 작용 상태와 비작용 상태로 전환하는 것에 의하여 로터(3)의 역전을 금지·해제한다.
스풀(4)은 로터(3)의 제1 로터 암(3b)과 제2 로터 암(3c)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스풀 축(15)의 선단에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스풀(4)은 외주에 낚싯줄이 감겨지는 권사 몸통부(4a)와, 권사 몸통부(4a)의 후부에 일체로 형성된 스커트부(4b)와, 권사 몸통부(4a)의 전단에 일체로 형성된 플랜지부(4c)를 가지고 있다. 권사 몸통부(4a)의 전부에는 푸시 버튼(24a)을 가지는 원터치 탈착 기구(24)가 설치되어 있고, 스풀(4)은 원터치 탈착 기구(24)의 푸시 버튼(24a)의 원 푸시 조작에 의하여 스풀 축(15)으로부터 용이하게 떼어낼 수 있다. 덧붙여, 스풀 축(15)은 드래그 기구(7)가 배치된 릴 본체(2)의 통상부(2d)의 내부까지 연장되어 있다. 스풀 축(15)의 후단부에는 드래그 기구(7)를 장착하기 위한 서로 평행한 모따기부(15a)가 형성되어 있다.
<드래그 기구의 구성>
드래그 기구(7)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풀 축(15)을 제동하는 제1 드래그부(25)와, 제1 드래그부(25)보다 전방에서 스풀 축(15)을 제동하는 제2 드래그부(26)와, 제1 드래그부(25)를 드래그 가능 상태와 드래그 불가능 상태로 전환하는 전환 기구(27)를 구비하고 있다. 제2 드래그부(26)는 제1 드래그부(25)보다 약한 최대 드래그력으로 스풀 축(15)을 통하여 스풀(4)을 제동한다.
<제1 드래그부의 구성>
제1 드래그부(25)는 통상부(2d)의 외주면에 전후 이동 불가능하게, 또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바닥이 있는 통상의 제1 드래그 손잡이(30)와, 통상부(2d)의 내주면에 제1 드래그 손잡이(30)와 일체 회전 가능하게, 또한, 전후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통상부(2d)의 내주면에 나사로 감합하는 제1 압압 부재(31)와, 제1 압압 부재(31)에 의하여 압압되는 제1 피압압부(32)를 가지고 있다.
제1 드래그 손잡이(30)는 통상부(2d)에 회전 가능하게, 또한, 축방향 이동 불가능하게 장착된 테두리 붙이 원통상의 제1 손잡이 부재(40)와, 통상부(2d)의 후단부를 막도록 제1 손잡이 부재(40)에 나사 끼움 고정된, 바닥이 있는 통상의 제2 손잡이 부재(41)를 가지고 있다. 제1 손잡이 부재(40)는 회전 가능하게, 또한, 축 방향 이동 불가능하게 통상부(2d)에 연결되는 제1 드래그 손잡이(30)의 기능 부분을 구성하는 부재이다. 제1 손잡이 부재(40)의 테두리부(40a)의 전단부 및 원통부(40b)의 후단부는, 환상 홈(2f)에 장착된 용수철 선재제(線材製)의 C형 스냅 링(39b, 39c) 및 C형 스냅 링(39c)에 의하여 후방으로의 이동이 규제된 와셔(39d)에 의하여 전후 방향의 이동이 규제되어 있다. 원통부(40b)의 외주면에는 제2 손잡이 부재(41)를 고정하기 위한 수 나사부(40c)가 형성되어 있다.
제2 손잡이 부재(41)는 제1 드래그 손잡이(30)의 조작 부분 및 제1 압압 부재(31)와의 연결 부분을 구성하고 있다. 제2 손잡이 부재(41)는 후방을 향하여 서서히 축경(縮徑, 지름이 줄어듦)하는 조작용 외주면을 가지고 있다. 제2 손잡이 부재(41)의 내주면에는 수 나사부(40c)에 나사로 감합하는 암 나사부(41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바닥부(41b)의 중심부 내면에는 제1 압압 부재(31)를 일체 회전 가능하게, 또한, 축방향 이동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슬롯 오목부(41c)가 형성되어 있다.
제2 손잡이 부재(41)와 통상부(2d)의 후단면의 사이에는 제1 드래그 손잡이(30)의 회동 조작에 의하여 발음하는 음출(音出) 핀 방식의 제1 발음 기구(33)가 배치되어 있다. 제1 발음 기구(33)는 제2 손잡이 부재(41)에 진퇴 가능하게 장착된 음출 핀(33a)과, 제1 손잡이 부재(4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통상부(2d)의 후단면에 회전 불가능하게 연결된 음출 링(33b)을 가지고 있다. 음출 링(33b)은 C형 스냅 링(33c)으로 제1 손잡이 부재(40)에 발지(拔止, 빠지는 것을 방지/고정)되어 있다. 음출 핀(33a)은 코일 용수철(33d)에 의하여 음출 링(33b)을 향하여 압박 되어 있다.
제1 압압 부재(31)는 제1 통부(31a)와 제1 통부(31a)보다 대경(大徑)의 제2 통부(31b)를 가지는 단(段)붙이 통상의 부재이다. 제1 통부(31a)의 외주면에는 슬롯 오목부(41c)에 일체 회전 가능하게, 또한, 축방향 이동 가능하게 계합하는 서로 평행한 모따기부(31c, 도 2 참조)가 형성되어 있다. 제2 통부(31b)의 외주면에는 통상부(2d)의 내주면에 형성된 암 나사부(2i)에 나사로 감합하는 수 나사부(31d)가 형성되어 있다. 제1 압압 부재(31)는 제1 드래그 손잡이(30)의 회동에 따라 전후로 이동한다. 제1 압압 부재(31)와 제1 피압압부(32)의 사이에는 압압력(押壓力, 누르는 압력)에 따라 신축하는 코일 용수철(34)이 압축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코일 용수철(34)은 제1 드래그부(25)의 드래그력을 세밀하게 증감하기 위하여 이용된다.
제1 피압압부(32)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후술하는 제1 계지 부재(51)의 외주면에 장착된다. 제1 피압압부(32)는 통상부(2d)의 계지 홈(2e)에 계지되고, 통상부(2d)에 대하여 회전 불가능한 2매의 제1 드래그 와셔(42a, 42b)와, 제1 계지 부재(51)를 통하여 스풀 축(15)에 대하여 회전 불가능한 상태를 취할 수 있는 제2 드래그 와셔(43)와, 양 드래그 와셔(42a, 42b, 43)의 사이 등에 배치되고, 통상부(2d) 및 스풀 축(15) 중 어느 것에도 회전 가능한 5매의 드래그 와셔(44a ~ 44e)를 가지고 있다. 제1 드래그 와셔(42a, 42b)는 외주부에 지름 방향 외방(外方)으로 돌출하고 통상부(2d)의 계지 홈(2e)에 계합하여 회전이 멈추어지는 한 쌍의 귀부(耳部, 42c)를 가지고 있다. 제2 드래그 와셔(43)는 내주면에 제1 계 지 부재(51)에 회전 불가능하게 계합하는 타원형 슬롯(43a)을 가지고 있다. 후측의 제1 드래그 와셔(42b)에 코일 용수철(34)이 접촉하고, 전측의 드래그 와셔(44a)가 제1 계지 부재(51)의 테두리부(51a)에 접촉하고 있다.
<제2 드래그부의 구성>
제2 드래그부(26)는 제1 드래그 손잡이(30)의 전방에서 통상부(2d)의 외주면에 전후 이동 불가능하게, 또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제2 드래그 손잡이(35)와, 통상부(2d)의 제1 드래그 손잡이(30)보다 전방의 외주면에 제2 드래그 손잡이(35)와 일체 회전 가능하게, 또한, 전후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통상부(2d)의 외주면에 나사로 감합하는 제2 압압 부재(36)와, 제2 압압 부재(36)에 의하여 압압되는 제2 피압압부(37)를 가지고 있다.
제2 드래그 손잡이(35)는 후방을 향하여 서서히 축경하는 조작용 외주면을 가지는 대략 통상의 부재이다. 제2 드래그 손잡이(35)의 소경(小徑) 측인 후단부의 외경은 제1 손잡이 부재(40)의 테두리부(40a)의 외경과 대략 같다. 이 때문에, 제1 드래그 손잡이(30)와 제2 드래그 손잡이(35)는 매끄럽게 배열되어 배치되어 있다. 제1 드래그 손잡이(30)와 제2 드래그 손잡이(35)의 축방향의 간극은 0.2mm ~ 1.5mm, 바람직하게는 0.3mm ~ 0.8mm이다. 또한, 제2 드래그 손잡이(35)와 노치부(2g)의 전측벽부(2m)의 간극은 0.2mm ~ 1.5mm, 바람직하게는 0.3mm ~ 0.8mm이다. 제2 드래그 손잡이(35)의 내주면에는 대경부(35a)와, 대경부(35a)의 후방에 배치된 소경부(35b)가 형성되어 있다. 대경부(35a)와 소경부(35b)의 경계 부분의 대경부(35a) 측의 내주면에는 제2 압압 부재(36)를 회동 불가능하게, 또한, 축방향 이 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복수의 내주 돌기(35c)가 지름 방향 내방(內方)으로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내주 돌기(35c)는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대경부(35a)는 통상부(2d)의 노치부(2g)의 외주 측에 배치되고, 소경부(35b)는 통상부(2d)의 외주면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제2 드래그 손잡이(35)는 와셔(38)에 의하여 후방으로의 이동이 규제되어 있다. 와셔(38)는 전측의 환상 홈(2f)에 장착된 C형 스냅 링(39a)에 의하여 후방으로의 이동이 규제되어 있다. 또한, 제2 드래그 손잡이(35)의 전방으로의 이동은 릴 보디(2a)의 통상부(2d)의 노치부(2g)의 전측벽면(2m)에 의하여 규제되어 있다. 이 결과, 제2 드래그 손잡이(35)도 제1 드래그 손잡이(30)와 동일하게 전후 어느 방향으로도 실질적으로 이동 불가능하다. 제2 드래그 손잡이(35)와 통상부(2d)의 기단측의 릴 보디(2a)의 벽면의 사이에는 제2 드래그 손잡이(35)의 회동 조작에 의하여 발음하는 음출 핀 방식의 제2 발음 기구(45)가 배치되어 있다.
제2 압압 부재(36)는 대체로 통상의 부재이고, 그 선단 외주면에는 내주 돌기(35c)에 회전 불가능하게, 또한, 축방향 이동 불가능하게 계합하는 복수의 외주 돌기(36a)가 지름 방향 외방으로 돌출하고,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또한, 내주면에는 통상부(2d)의 수 나사부(2h)에 나사로 감합하는 암 나사부(36b)가 형성되어 있다. 제2 압압 부재(36)는 제2 드래그 손잡이(35)의 회동에 따라 전후로 이동한다. 제2 압압 부재(36)와 제2 피압압부(37)의 사이에서 통상부(2d)의 외주면에는 통상의 스페이서(46)가 장착되어 있다. 스페이서(46)는 제2 압압 부재(36)의 압압력을 제2 피압압부(37)에 전달하기 위한 부재이다.
제2 피압압부(37)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후술하는 제2 계지 부재(52)에 장착되어 있다. 제2 피압압부(37)는 노치부(2g)에 회동 불가능하게 계지되고, 통상부(2d)에 대하여 회전 불가능한 2매의 제3 드래그 와셔(55a, 55b)와, 제2 계지 부재(52)를 통하여 스풀 축(15)에 대하여 회전 불가능한 상태를 취할 수 있는 제4 드래그 와셔(56)와, 양 드래그 와셔(55a, 55b, 56)의 사이 등에 배치되고, 통상부(2d) 및 스풀 축(15) 중 어느 것에도 회전 가능한 3매의 드래그 와셔(57a ~ 57c)를 가지고 있다. 제3 드래그 와셔(55a, 55b)는, 외주부에 지름 방향 외방으로 돌출하고 노치부(2g) 및 그 계지 구멍에 계합하여 회전이 멈추어지는 방사상(放射狀)으로 배치된 복수(예를 들면, 3개)의 귀부(55c)를 가지고 있다. 후측의 제3 드래그 와셔(55b)의 귀부(55c)에 스페이서(46)가 접촉하고, 제2 압압 부재(36)에 의하여 제2 피압압부(37)가 압압된다. 제4 드래그 와셔(56)는 내주면에 제2 계지 부재(52)에 일체 회전 가능하게 계합하는 복수(예를 들면, 4개)의 내측 돌기부(56a)를 가지고 있다. 제4 드래그 와셔(56)의 외주면에는 스풀 축(15)이 회전하여, 드래그 기구(7)가 작동하였을 때에 발음하는 드래그 발음 기구(도시하지 않음)용 음출 돌기(56b)가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전측의 드래그 와셔(57a)는 노치부(2g)의 전측벽면(2m, 도 2)에 접촉 가능하다.
<전환 기구의 구성>
전환 기구(27)는 도 4에 도시하는 제1 위치와, 제1 위치보다 전방의 도 5에 도시하는 제2 위치로 전후 이동 가능하게, 또한, 회전 불가능하게 스풀 축(15)에 장착된 전환 부재(50)와, 전환 부재(50)의 외주 측에 배치된 제1 및 제2 계지 부 재(51, 52)와, 전환 부재(50)를 제1 위치와 제2 위치로 이동시키는 조작을 행하기 위한 전환 레버(53)를 가지고 있다. 또한, 전환 기구(27)는 전환 레버(53)의 요동에 의하여 전환 부재(50)를 전후로 이동시키는 이동 기구(54)와, 전환 부재(50)가 제2 위치에 있을 때, 핸들(1)의 줄 감기 방향의 회전에 의하여 이동 기구(54)를 동작시켜 전환 부재(50)를 제1 위치로 되돌리는 되돌림 기구(58)를 가지고 있다.
전환 부재(5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풀 축(15)의 모따기부(15a)에 계합하고, 스풀 축(15)과 일체 회전 가능하게, 또한, 스풀 축방향으로 제1 위치와 제2 위치의 사이에서 전후 이동 가능한 대체로 통상의 부재이다. 전환 부재(50)는 도 4에 도시하는 제1 위치에 있을 때, 제1 및 제2 계지 부재(51, 52)와 회전 불가능하게 연결하고, 제2 위치에 있을 때, 제2 계지 부재(52)와만 회전 불가능하게 연결한다. 이 결과, 전환 부재(50)가 제2 위치에 있을 때, 제1 계지 부재(51)는 스풀 축(15)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된다. 이것에 의하여, 스풀 축(15)이 회전하여도 제1 계지 부재(51)는 일체 회전하지 않게 되고, 제1 드래그부(25)는 드래그 불가능 상태가 된다. 전환 부재(50)의 내주면에는 모따기부(15a)에 계합하는 평행면을 가지는 긴 구멍(50a)과, 긴 구멍(50a)의 전방에 모따기부(15a)를 넘어 전방으로 이동 가능한 둥근 구멍(50b)이 전후로 나란히 배열되어 형성되어 있다. 이 긴 구멍(50a)에 의하여 전환 부재(50)는 스풀 축(15)과 항상 일체 회전 가능하다. 전환 부재(50)의 외주면에는 이동 기구(54)에 계합하는 대경의 테두리부(50c)와, 테두리부(50c)와 간격을 두고 후방에, 방사상으로 지름 방향으로 돌출하고, 제1 및 제2 계지 부재(51, 52)에 회전 불가능하게 계합 가능한 복수(예를 들면, 4개) 의 회전 멈춤 돌기(50d)가 형성되어 있다.
제1 계지 부재(51)는 전환 부재(50)가 제1 위치에 있을 때, 전환 부재(50)에 회전 불가능하게 계합하고, 또한, 통상부(2d)에 전방으로의 이동이 규제된 상태에서 장착된 부재이다. 제1 계지 부재(51)는 축방향의 중앙부에 테두리부(51a)를 가지는 테두리 붙이 통상의 부재이고, 통상부(2d)의 내부에서 전환 부재(50)의 외주 측에 배치되어 있다. 제1 계지 부재(51)의 내주면에는 전환 부재(50)의 회전 멈춤 돌기(50d)에 계합하는 단면이 십자상인 계지 구멍(51b)과, 계지 구멍(51b)의 후방에 형성된 장착 구멍(51c)이 축방향으로 나란히 배열되어 형성되어 있다. 이 테두리부(51a)의 후방의 외주면에 제1 피압압부(32)가 장착되고, 제1 피압압부(32)의 최전 열(列)에 배치된 드래그 와셔(44a)는 테두리부(51a)의 후면에 접촉하고 테두리부(51a)를 향하여 압압된다. 테두리부(51a)의 전면은 통상부(2d)의 노치부(2g)보다 후방의 내주면에 형성된 벽부(2j)에 와셔 부재(48)를 통하여 접촉하고 있다.
제2 계지 부재(52)는 제1 계지 부재(51)의 전방에 배치되고, 전환 부재(50)가 제2 위치에 있을 때, 전환 부재(50)에 회전 불가능하게 계합하고, 또한, 통상부(2d)에 전방으로의 이동이 규제된 상태에서 장착된 통상의 부재이다. 덧붙여, 본 실시예에서는 제2 계지 부재(52)는 전환 부재(50)가 제1 위치에 있을 때에도 전환 부재(50)에 회전 불가능하게 계합하고 있다. 이것에 의하여, 제1 드래그부(25) 및 제2 드래그부(26) 중 어느 하나에 의하여 드래그가 작동하여 스풀 축(15)이 회전하면, 제4 드래그 와셔(56)가 항상 회전하므로, 드래그가 작동하면 항상 발음시킬 수 있다. 제2 계지 부재(52)의 외주면에는 제2 피압압부(37)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외주면의 전부에는 제4 드래그 와셔(56)의 내측 돌기부(56a)에 계합하는 복수(예를 들면, 4개)의 계지 오목부(52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내주면에는 전환 부재(50)의 회전 멈춤 돌기(50d)에 계합하는 단면이 십자상인 계지 구멍(52b)이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제4 드래그 와셔(56)가 제2 계지 부재(52)를 통하여 스풀 축(15)과 일체 회전 가능하게 된다.
전환 레버(53)는, 도 2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릴 보디(2a)에 스풀 축(15)과 어긋나는 축 회전 방향으로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전환 레버(53)는 스풀 축(15)과 어긋나는 축 회전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릴 보디(2a) 및 덮개 부재(2b)에 장착된 전환 축(60)과, 전환 축(60)의 양단에 일체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레버체(體)(61)를 가지고 있다. 전환 축(60)은 핸들 축(10)과 평행하게 배치된 축부(60a)와, 되돌림 기구(58)를 구성하는 후술하는 되돌림 판(70)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 암(60b)과, 이동 기구(54)를 구성하는 후술하는 이동 부재(65)를 요동시키기 위한 캠(cam) 암(60c)을 가지고 있다. 이들 양 암(60b, 60c)은 축부(60a)로부터 지름 방향으로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전환 축(60)은 일단이 전환 축(60)에 계지되고, 타단이 장착 베이스(2k)에 계지된 도 2에 도시하는 토글(toggle) 용수철(62)에 의하여 도 4에 도시하는 전환 부재(50)의 제1 위치에 대응하는 후(後) 위치와, 도 5에 도시하는 전환 부재(50)의 제2 위치에 대응하는 전(前) 위치의 2개의 위치에 양분되어 압박되어 있다.
레버체(61)는 좌우 한 쌍의 레버 부재(61a, 61b)와, 양 레버 부재(61a, 61b)를 선단 부분에서 연결하는 연결 부재(61c)를 가지고 있다. 이 레버체(61)에 의하 여 전환 축(60)을 후 위치와 전 위치로 회동시키는 것에 의하여 전환 부재(50)를 제1 위치와 제2 위치에 각각 배치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제1 드래그부(25)를 드래그 가능 상태와 드래그 불가능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이동 기구(54)는 릴 보디(2a)의 후부에 제1 위치에 대응하는 제3 위치와, 제2 위치에 대응하는 제4 위치에 요동 가능하게 장착된 이동 부재(65)를 가지고 있다. 이동 부재(65)는 직사각형상의 본체부(65a)와, 본체부(65a)의 네 모퉁이로부터 하방(下方)으로 연장되는 4개의 다리부(65b, 65e)와, 본체부(65a)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작동부(65c)를 가지고 있다. 다리부(65b) 중 후방에 배치된 1개의 다리부(65e)는 다른 다리부(65b)보다 하방으로 연장되고, 릴 보디(2a)에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전후에 배치된 한 쌍의 다리부(65b)는 전환 부재(50)의 테두리부(50c)를 협지하도록 대향하여 배치된 돌기부(65d)를 각각 가지고 있다. 이 돌기부(65d)에서 테두리부(50c)를 사이에 두고 요동하는 것에 의하여 이동 부재(65)는 전환 부재(50)를 제1 위치와 제2 위치로 이동시킨다. 작동부(65c)는 캠 암(60c)에 접촉하고 있고, 캠 암(60c)에 의하여 압압되며, 이동 부재(65)는 제3 위치로부터 제4 위치를 향하여 요동한다. 또한, 이동 부재(65)는 비틀림 코일 용수철(63)에 의하여 제3 위치를 향하여 압박되어 있고, 캠 암(60c)이 도 5에 도시하는 시계 회전 방향으로 요동하면, 비틀림 코일 용수철(63)의 압박력에 의하여 제4 위치로부터 제3 위치를 향하여 요동한다.
되돌림 기구(58)는 마스터 기어(11)의 배면으로 돌출하여 형성된 되돌림 돌기(69)와, 전환 레버(53)의 후 위치로부터 전 위치로의 요동에 의하여 도 4에 도시 하는 이탈 위치로부터 도 5에 도시하는 계지 위치로 이동하는 되돌림 판(70)을 가지고 있다. 되돌림 돌기(69)는 마스터 기어(11)의 페이스 기어부(11b)의 배면 측에서 마스터 기어 축(11a)로부터 지름 방향으로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되돌림 돌기(69)는 회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예를 들면, 4개) 설치되어 있다. 되돌림 판(70)은 되돌림 돌기(69)에 계합하는 계합 위치와 되돌림 돌기(69)로부터 이탈하는 이탈 위치로 이동한다. 되돌림 판(70)은 되돌림 돌기(69)에 접촉 가능한 되돌림 고리(70a)와, 연결 암(60b)의 선단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연결부(70b)와, 되돌림 고리(70a)의 하방에 형성된 위치 규제 개구(70c)를 가지고 있다. 되돌림 고리(70a)는 핸들 축(10)을 향하여 돌출하여 형성되고, 계합 위치에 있을 때, 되돌림 돌기(69)의 상면에 접촉 가능하다. 위치 규제 개구(70c)는 장착 베이스(2k)에 장착된 규제 핀(68)에 계합하여 되돌림 판(70)이 이탈 위치와 계합 위치에 유지되도록 되돌림 판(70)의 위치를 규제하기 위하여 설치되어 있다. 되돌림 판(70)은 토글 용수철(66)에 의하여 이탈 위치와 계합 위치에 양분하여 압박되어 있다. 되돌림 판(70)은 전환 레버(53)가 도 4에 도시하는 후 위치로부터 도 5에 도시하는 전 위치로 조작되면, 도 4에 도시하는 이탈 위치로부터 도 5에 도시하는 계합 위치로 이동한다. 또한, 반대로 전환 레버(53)가 도 5에 도시하는 전 위치로부터 도 4에 도시하는 후 위치로 조작되면, 도 5에 도시하는 계합 위치로부터 도 4에 도시하는 이탈 위치로 이동한다. 나아가, 계합 위치에 있을 때, 핸들(1)이 줄 감기 방향으로 회전하고, 마스터 기어(11)가 도 5의 반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하면, 되돌림 돌기(69)가 되돌림 판(70)의 되돌림 고리(70a)를 압압하고, 토글 용수철(66)에 의 하여 이탈 위치로 요동한다.
<드래그 기구의 동작>
제1 드래그부(25)의 드래그력을 조정할 때에는 제1 드래그 손잡이(30)를 돌린다. 제1 드래그 손잡이(30)을 돌리면, 통상부(2d)의 내주면에 형성된 암 나사부(2i)에 나사로 감합하는 제1 압압 부재(31)가 회전하면서 전후로 이동하고, 코일 용수철(34)을 통하여 제1 피압압부(32)로의 압압력이 변화하고, 제1 드래그부(25)의 드래그력이 변화한다. 구체적으로는 제1 드래그 손잡이(30)를 후방으로부터 볼 때, 시계 회전 방향으로 돌리면, 제1 압압 부재(31)가 전진(도 1 좌방(左方)으로 이동)하고, 드래그력이 강해진다. 또한, 반시계 회전 방향으로 돌리면, 제1 압압 부재(31)가 후퇴하고, 드래그력이 약해진다. 이때, 제2 손잡이 부재(41)가 전후 방향의 이동이 규제되어 있으므로, 제1 드래그 손잡이(30)는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는다.
제2 드래그부(26)의 드래그력을 조정할 때에는 제2 드래그 손잡이(35)를 돌린다. 제2 드래그 손잡이(35)를 돌리면, 통상부(2d)의 외주면에 형성된 수 나사부(2h)에 나사로 감합하는 제2 압압 부재(36)가 회전하면서 전후로 이동하고, 제2 피압압부(37)로의 압압력이 변화하고, 제2 드래그부(26)의 드래그력이 변화한다. 구체적으로는, 제2 드래그 손잡이(35)를 후방으로부터 볼 때, 시계 회전 방향으로 돌리면, 제2 압압 부재(36)가 전진(도 1 좌방으로 이동)하고, 드래그력이 강해진다. 또한, 반시계 회전 방향으로 돌리면, 제2 압압 부재(36)가 후퇴하고, 드래그력이 약해진다. 이때, 제1 드래그 손잡이(30)가 전후 방향의 이동이 규제되어 있 으므로, 제2 드래그 손잡이(35)는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는다.
여기에서는 제1 및 제2 드래그 손잡이(30, 35)는 모두 전후 이동 불가능하게 통상부(2d)에 장착되어 있다. 이 때문에, 어느 것의 드래그 손잡이(30, 35)를 돌려도 드래그 손잡이(30, 35)는 전후 이동하지 않고, 회전할 뿐이다. 따라서, 양 드래그 손잡이(30, 35)의 간극 및 제2 드래그 손잡이(35)와 릴 본체(2)의 간극을 가급적으로 작게 하는 것으로, 드래그 손잡이(30, 35)의 내부로의 이물의 침입을 가급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낚시를 행할 때에는 상기와 같이 2개의 드래그부(25, 26)의 드래그력을 조정한 후, 캐스팅(casting) 등 하여, 생 미끼를 단 채비를 수중으로 투하한다. 그리고 전환 레버(53)를 도 4에 도시하는 후 위치로부터 도 5에 도시하는 전 위치로 요동시킨다. 전환 레버(53)을 전 위치를 향하여 요동시키면, 전환 축(60)이 요동하여 캠 암(60c)에 의하여 이동 부재(65)의 작동부(65c)가 압압되고, 이동 부재(65)가 도 4의 반시계 회전 방향으로, 제3 위치로부터 제4 위치로 요동하고, 전환 부재(50)가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전방으로 이동한다. 이것에 의하여, 제1 계지 부재(51)와 전환 부재(50)의 연결이 해제되고, 제1 드래그부(25)가 드래그 불가능 상태가 된다. 이 때문에, 스풀(4)에 작용하는 드래그력이 제2 드래그부(26)에 의한 드래그력이 된다. 이 제2 드래그부(26)에 의한 드래그력은 상기의 조정으로 생 미끼가 헤엄치고 있는 정도에서는 스풀(4)이 줄 방출 방향으로 회전하지 않고, 채비에 물고기가 걸리면, 방출되는 정도가 약한 드래그력이다. 이 상태에서 물고기의 입질을 기다린다.
물고기가 채비에 걸리면, 스풀(4)이 줄 방출 방향으로 회전하고, 드래그 발음 기구가 발음한다. 그러면, 낚시꾼은 핸들(1)을 줄 감기 방향으로 회전시켜 로터(3)를 회전시키고 낚싯줄을 감아낸다. 그러면, 마스터 기어(11)가 줄 감기 방향(도 5의 반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하고, 되돌림 돌기(69)가 되돌림 판(70a)을 밀어내어 계합 위치로부터 이탈 위치로 되돌림 판(70a)이 되돌아간다. 이 결과, 전환 축(60)이 도 5의 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하여 이동 부재(65)가 제4 위치로부터 제3 위치로 되돌아가고, 전환 부재(50)가 제2 위치로부터 제1 위치로 되돌아간다. 이것에 의하여, 제1 계지 부재(51)와 전환 부재(50)가 회전 불가능하게 연결되어 제1 드래그부(25)가 드래그 가능 상태가 되고, 낚싯줄이 끊어지지 않는 정도로 강하게 드래그력이 스풀(4)에 작용한다. 이것에 의하여, 채비에 걸린 물고기를 감아올리기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은 릴 본체의 후부에 강약 2개의 드래그부를 가지고, 그것을 전환 가능한 스피닝 릴에 있어서, 본 발명에서는 제1 드래그 손잡이(30)와 제2 드래그 손잡이(35)가 함께 전후 이동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어느 것의 드래그 손잡이(30, 35)를 돌려도 드래그 손잡이(30, 35)는 전후 이동하지 않고 회전할 뿐이다. 따라서, 양 드래그 손잡이(30, 35)의 간극 및 제2 드래그 손잡이(35)와 릴 본체(2)의 간극을 가급적으로 작게 하는 것으로, 양 드래그 손잡이(30, 35)의 내부로의 이물의 침입을 가급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
(a) 상기 실시예에서는 제1 드래그부(25)의 최대 드래그력을 제2 드래그 부(26)보다 강하게 하였지만, 반대로도, 같아도 무방하다.
(b) 상기 실시예에서는 제1 위치에 전환 부재(50)가 배치되어 있는 경우도 제2 드래그부(26)를 드래그 가능 상태로 하여 어느 것의 드래그부(25, 26)가 동작하여도 발음하도록 구성하였지만, 제1 위치에 전환 부재(50)가 배치되어 있을 때에 제2 드래그부(26)가 드래그 불가능 상태여도 무방하다. 이 경우, 각각의 드래그부(25, 26)의 동작에 따른 2개의 드래그 발음 기구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1 및 제2 드래그 손잡이는 모두 전후 이동 불가능하게 통상부에 장착되어 있다. 이 때문에, 어느 것의 드래그 손잡이를 돌려도 드래그 손잡이는 전후 이동하지 않고, 회전할 뿐이다. 따라서, 양 손잡이의 간극 및 제2 드래그 손잡이와 릴 본체의 간극를 가급적으로 작게 하는 것으로, 드래그 손잡이의 내부로의 이물의 침입을 가급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Claims (6)

  1. 스피닝 릴의 릴 본체의 후부(後部)에 배치된 스피닝 릴의 드래그 장치이며,
    상기 스풀이 전부(前部)에 장착된 스풀 축을 제동하는 제1 드래그부와,
    상기 제1 드래그부보다 전방(前方)에서 상기 스풀 축을 제동하는 제2 드래그부와,
    상기 제1 드래그부를 드래그 가능 상태와 드래그 불가능 상태로 전환하는 전환 기구를 구비하며,
    상기 제1 드래그부는
    상기 릴 본체의 후부에 설치된 통상(筒狀)부의 외주면에 전후 이동 불가능하게, 또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제1 드래그 손잡이와,
    상기 통상부의 내주면에 상기 제1 드래그 손잡이와 일체 회전 가능하게, 또한, 전후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통상부의 내주면에 나사로 감합하는 제1 압압(押壓) 부재와,
    상기 제1 압압 부재에 의하여 압압되는 제1 피(被)압압부를 가지고,
    상기 제2 드래그부는
    상기 제1 드래그 손잡이의 전방에서 상기 통상부의 외주면에 전후 이동 불가능하게, 또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제2 드래그 손잡이와,
    상기 통상부의 상기 제1 드래그 손잡이보다 전방의 외주면에 상기 제2 드래그 손잡이와 일체 회전 가능하게, 또한, 전후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통상 부의 외주면에 나사로 감합하는 제2 압압 부재와,
    상기 제2 압압 부재에 의하여 압압되는 제2 피압압부를 가지는 스피닝 릴의 드래그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압압 부재는 상기 제1 피압압부를, 상기 전환 기구를 향하여 압압하고,
    상기 제2 압압 부재는 상기 제2 피압압부를, 상기 릴 본체를 향하여 압압하는 스피닝 릴의 드래그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드래그부는 상기 제1 드래그부보다 약한 최대 드래그력으로 상기 스풀 축을 제동하는 스피닝 릴의 드래그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 기구는
    상기 스풀 축에 제1 위치와 상기 제1 위치보다 전방의 제2 위치로 전후 이동 가능하게, 또한,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된 통상의 전환 부재와,
    상기 전환 부재가 제1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전환 부재에 회전 불가능하게 계합(係合)하고, 또한, 상기 통상부에 전방으로의 이동이 규제된 상태에서 장착된 테두리 붙이 통상의 제1 계지(係止) 부재와,
    상기 제1 계지 부재의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전환 부재가 제2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전환 부재에 회전 불가능하게 계합하고, 또한, 상기 통상부에 전방으로의 이동이 규제된 상태에서 장착된 통상의 제2 계지 부재와,
    상기 릴 본체에 상기 스풀 축과 어긋나는 축 둘레로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전환 부재를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2 위치의 사이에서 전후 이동시키는 전환 레버를 가지는 스피닝 릴의 드래그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피압압부는
    상기 제1 계지 부재의 외주면에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제1 드래그 디스크와,
    상기 제1 드래그 디스크와 나란히 배열되어, 상기 제1 계지 부재의 외주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통상부에 회전 불가능하게 계지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드래그 디스크를 가지고,
    상기 제2 피압압부는
    상기 제2 계지 부재의 외주면에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제3 드래그 디스크와,
    상기 제3 드래그 디스크와 나란히 배열되어, 상기 제2 계지 부재의 외주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통상부에 회전 불가능하게 계지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4 드래그 디스크를 가지는 스피닝 릴의 드래그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드래그 손잡이는
    상기 통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또한, 축방향 이동 불가능하게 장착된 테두리 붙이 원통상의 제1 손잡이 부재와,
    상기 통상부의 후단부를 막도록 상기 제1 손잡이 부재에 나사 끼움 고정된, 바닥이 있는 통상의 제2 손잡이 부재를 가지고,
    상기 제1 압압 부재는 상기 제2 손잡이 부재에 일체 회전 가능하게, 또한, 축방향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스피닝 릴의 드래그 장치.
KR1020070047823A 2006-05-26 2007-05-16 스피닝 릴의 드래그 장치 KR10139498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146739 2006-05-26
JP2006146739A JP5184759B2 (ja) 2006-05-26 2006-05-26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ドラグ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3977A true KR20070113977A (ko) 2007-11-29
KR101394981B1 KR101394981B1 (ko) 2014-05-14

Family

ID=383538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7823A KR101394981B1 (ko) 2006-05-26 2007-05-16 스피닝 릴의 드래그 장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7419113B2 (ko)
EP (1) EP1859678B1 (ko)
JP (1) JP5184759B2 (ko)
KR (1) KR101394981B1 (ko)
CN (1) CN101077066A (ko)
AT (1) ATE463161T1 (ko)
DE (1) DE602007005719D1 (ko)
MY (1) MY140006A (ko)
SG (1) SG137759A1 (ko)
TW (1) TWI38374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63928B2 (ja) * 2007-05-21 2012-01-25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のスプール
JP6140956B2 (ja) * 2012-09-18 2017-06-07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
JP6134133B2 (ja) * 2012-12-04 2017-05-24 株式会社シマノ ドラグつまみ、及びこれを用いた釣り用リール
JP6543041B2 (ja) * 2015-02-12 2019-07-10 株式会社シマノ スプール制動装置および魚釣用リール
JP6829654B2 (ja) * 2017-06-05 2021-02-10 株式会社シマノ 釣用リール
US10798927B2 (en) * 2017-10-12 2020-10-13 Pure Fishing, Inc. Live liner drag device
JP7088670B2 (ja) * 2017-12-27 2022-06-21 株式会社シマノ ドラグつまみ、及び釣り用リール
JP7404161B2 (ja) * 2020-06-10 2023-12-25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75222A (ja) * 1983-09-30 1985-04-27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ル
US4725012A (en) * 1986-06-30 1988-02-16 Brunswick Corporation Fishing reel drag with duplex control
US4804150A (en) * 1986-07-30 1989-02-14 Daiwa Seiko, Inc. Apparatus for measuring the drag-force of a fishing reel
US4988057A (en) * 1989-02-10 1991-01-29 Shimano Industrial Company Limited Drag device for a spinning reel
JPH0751903Y2 (ja) * 1989-04-11 1995-11-29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
US5201477A (en) 1989-04-11 1993-04-13 Shimano, Inc. Spinning reel with drag brake mechanism and clutch
JPH0810284Y2 (ja) * 1989-11-02 1996-03-29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
JPH0365481U (ko) * 1989-10-24 1991-06-26
SE500557C2 (sv) * 1993-03-10 1994-07-11 Berne Bringsen Flugfiskerulle
JP2001157534A (ja) * 1999-11-30 2001-06-12 Daiwa Seiko Inc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SG114660A1 (en) * 2003-04-16 2005-09-28 Shimano Kk Sound generating mechanism for a fishing reel
JP2004337067A (ja) * 2003-05-15 2004-12-02 Shimano Inc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リアドラグ発音機構
JP4395341B2 (ja) * 2003-07-30 2010-01-06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リアドラグ操作構造
SG117579A1 (en) 2004-05-20 2005-12-29 Shimano Kk Brake operation structure for fishing reel spoo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812478A (en) 2008-03-16
TWI383744B (zh) 2013-02-01
US20070284466A1 (en) 2007-12-13
CN101077066A (zh) 2007-11-28
MY140006A (en) 2009-11-30
EP1859678A1 (en) 2007-11-28
JP5184759B2 (ja) 2013-04-17
KR101394981B1 (ko) 2014-05-14
DE602007005719D1 (de) 2010-05-20
JP2007312703A (ja) 2007-12-06
US7419113B2 (en) 2008-09-02
SG137759A1 (en) 2007-12-28
ATE463161T1 (de) 2010-04-15
EP1859678B1 (en) 2010-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113977A (ko) 스피닝 릴의 드래그 장치
JP5481101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ドラグ切換装置
JP5350881B2 (ja) 両軸受リールのスプール制動装置
EP1527681B1 (en) Spinning reel sounding mechanism
KR102294432B1 (ko) 양 베어링 릴 및 양 베어링 릴의 클러치 기구
US20110011967A1 (en) Dual-bearing reel lever drag mechanism
JP2010279334A5 (ko)
TW201110874A (en) Dual bearing reel speed-change operation mechanism
KR101721934B1 (ko) 스피닝 릴의 스풀 지지 구조
JP2007312703A5 (ko)
AU4735699A (en) Configuration of an actuation mechanism which controls operation of a sub-drag mechanism in a fishing reel
KR102138734B1 (ko) 양 베어링 릴
JP2014212739A5 (ko)
KR20060048352A (ko) 스피닝 릴의 로터 제동 장치
JP4875587B2 (ja) 魚釣用リール
EP2090162B1 (en) Fishing spinning reel
JP5624069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及びスピニングリールのドラグ切換装置
JP4772979B2 (ja) 両軸受リール
KR20140143080A (ko) 낚시용 스피닝 릴 및 그 로터 제동 장치의 제동 조작 레버
JP2003079294A (ja) スピニングリール
JP5460250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ロータ制動装置
JP2013146245A5 (ko)
KR20030023587A (ko) 스피닝 릴의 릴 본체
JP4015902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動作装置
JP2001299161A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ベール反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