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06378A - 이동체 구동 장치 - Google Patents

이동체 구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06378A
KR20070106378A KR1020060125326A KR20060125326A KR20070106378A KR 20070106378 A KR20070106378 A KR 20070106378A KR 1020060125326 A KR1020060125326 A KR 1020060125326A KR 20060125326 A KR20060125326 A KR 20060125326A KR 20070106378 A KR20070106378 A KR 200701063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motor
rack
output shaft
pin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53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89528B1 (ko
Inventor
히로시 하리에
Original Assignee
후지 덴키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 덴키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 덴키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1063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63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95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95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3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 E05F15/635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operated by push-pull mechanisms, e.g. flexible or rigid rack-and-pinion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6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slidable; foldabl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7/00Special devices for shifting a plurality of wings operated simultaneously
    • E05F17/004Special devices for shifting a plurality of wings operated simultaneously for wings which abut when closed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3Mo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71Toothed gearing
    • E05Y2201/716Pin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71Toothed gearing
    • E05Y2201/722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10Electronic control
    • E05Y2400/32Position control, detection or monitoring
    • E05Y2400/334Position control, detection or monitoring by using pulse genera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1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for railway cars or mass transit veh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1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과제
콤팩트 설계를 가능하게 함과 함께, 부착 후의 조정 작업을 간략화한다.
해결 수단
도어 구동 장치(10)는, 모터(30)와, 이 모터(30)로부터 돌출된 출력축(34)에 일체적으로 고정된 피니언(31)과, 이 피니언(31)을 끼우고 대향하여 맞물리고, 거의 평행하면서 역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좌우 래크(19, 20)를 구비하고 있다.
이동체 구동 장치

Description

이동체 구동 장치{MOVABLE BODY DRIVING APPARATUS}
도 1은 제 1의 실시의 형태의 도어 구동 장치의 정면도.
도 2는 도 1의 Ⅱ-Ⅱ선에 따른 단면도.
도 3은 도 1의 Ⅲ-Ⅲ선에 따른 단면도.
도 4는 제 2의 실시의 형태의 도어 구동 장치의 정면도.
도 5는 도 4의 V방향 화살표로 본 도면.
도 6은 제 3의 실시의 형태의 도어 구동 장치의 단면 측면도.
도 7은 제 4의 실시의 형태의 도어 구동 장치의 단면 측면도.
도 8은 종래의 도어 구동 장치의 정면도.
도 9는 종래의 도어 구동 장치의 정면도.
도 10은 도 9의 X-X선에 따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도어 구동 장치 11 : 우 도어
12 : 좌 도어 13a : 현수 금구
13b : 현수 금구 14a : 현수 금구
14b : 현수 금구 17 : 연결 금구
18 : 연결 금구 19 : 좌 래크
20 : 우 래크 21 : 좌 슬라이더
22 : 우 슬라이더 23 : 좌 도어 레일
24 : 우 도어 레일 30 : 모터
30' : 모터 31 : 피니언
32 : 회전자 34 : 출력축
35 : 실드판 36 : 축받이
37 : 축받이 38 : 모터 프레임
46 : 인코더 56 : 래크·피니언 케이스
58 : 좌 래크용 슬라이더 59 : 우 래크용 슬라이더
60 : 좌 가이드 레일 61 : 우 가이드 레일
62 : 축받이 지지부 63 : 축받이 지지부
70 : 차체
기술 분야
본 발명은, 차량용 도어 등을 자동 개폐하기 위한 이동체(移動體) 구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
이런 종류의 이동체 구동 장치를, 예를 들면 도어 구동 장치에 적용한 종래 기술로서, 리니어 모터를 이용한 것이 공지되어 있다. 그리고, 특허 문헌 1에는, 1개의 리니어 모터를 이용하여 좌우 도어를 개폐하는 도어 개폐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도 8은, 이 도어 개폐 장치와 근사한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이 도 8에서, 좌(左) 도어(111)에는, 현수 금구(113a, 113b)와 도어 구동판(115)을 통하여 리니어 모터(101)의 가동자(101a)가 연결되어 있다.
또한, 우(右) 도어(112)에는, 현수 금구(114a, 114b)와 연결 금구(116)를 통하여 상(上) 래크(117)가 고정되고, 이 상 래크(117)에 피니언(118)을 통하여 하(下) 래크(119)가 맞물려 있다. 또한, 이 하 래크(119)는, 연결봉(120)에 연결되고, 연결봉(120)은 상술한 도어 구동판(115)을 통하여 리니어 모터(101)의 가동자(101a)에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리니어 모터(101)의 구동에 의해, 그 가동자(l01a)가 도면의 좌우 방향으로 활주하면, 좌우 도어(111, 112)는 서로 역방향으로 활주하고, 좌우 도어(111, 112)의 개폐가 행하여진다.
또한, 도 9 및 도 10에는, 2개의 리니어 모터(101, 101')를 이용하여 좌우 도어(111, 112)를 개폐 구동하는 종래예가 도시되어 있다. 동 도 9 및 도 10에서, 좌 도어(111)에는, 문 현수 금구(113)와 로크 홀 브래킷(121)을 통하여 리니어 모터(101)의 가동자(101a)가 연결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우 도어(112)에도, 문 현수 금구(113')와 로크 홀 브래킷(121')을 통하여 리니어 모터(101')의 가동자(101a')가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리니어 모터(101, 101')의 구동에 의해, 그 가동자(101a, 101a')가 도면의 좌우 방향으로 역방향으로 활주하면, 좌우 도어(111, 112)는 각각 도어 레일(122, 122')(도 10 참조)에 가이드되면서 개폐된다.
특허 문헌 1 : 일본 특개2000-142392호 공보(제 6페이지, 도 1)
그러나,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한 종래 기술에서는, 어느 것이나 구동원으로 리니어 모터를 이용하고 있지만, 리니어 모터는 그 구성상, 도어 스트로크 길이(600㎜ 내지 900㎜의 스트로크가 일반적이다)에 가동자의 길이를 가산한 것이 모터 케이스(실린더 케이스)의 길이가 되기 때문에, 회전형의 모터보다도 질량이 커지고, 점유 면적도 커진다.
이 때문에, 특히 차량용의 도어 개폐 장치에 적용한 경우에는 콤팩트 설계를 도모하는 데 큰 장애로 되어 있다. 또한, 예를 들면 리니어 모터로서 영구자석 가동 코일형의 것을 이용한 경우, 사용하는 희토류 영구자석의 사용량이 많기 때문에 장치 전체의 가격이 증대한다는 과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점은 콤팩트 설계를 가능하게 함과 함께 부착 후의 조정 작업을 간략화할 수 있는 이동체 구동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청구항 제 1항에 관한 발명은, 회전 액추에이터와, 해당 회전 액추에이터로부터 돌출된 출력축에 일체적으로 고정된 회전 전달체 와, 해당 회전 전달체를 끼우고 대향하여 맞물리고, 거의 평행하면서 역방향으로 이동 자유로운 한 쌍의 직선 전달체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제 2항에 관한 발명은, 청구항 제 1항에 기재된 이동체 구동 장치에 있어서, 상기 출력축을 축받이하는 제 1 및 제 2의 축받이 부재를 구비하고, 해당 제 1 및 제 2의 축받이 부재 사이에 상기 회전 전달체를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제 3항에 관한 발명은, 청구항 제 1항 또는 제 2항에 기재된 이동체 구동 장치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직선 전달체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부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제 4항에 관한 발명은, 청구항 제 3항에 기재된 이동체 구동 장치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직선 전달체 및 상기 가이드 부재를 지지하는 지지 케이스를 가지며, 해당 지지 케이스는 상기 회전 액추에이터의 본체 프레임에 일체적으로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제 5항에 관한 발명은, 청구항 제 1항 내지 제 4항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이동체 구동 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전 액추에이터는 상기 출력축의 적어도 회전수 및 회전 방향을 검출 가능한 센서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도 1 내지 도 7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를 설명한다.
(제 1의 실시의 형태)
먼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의 실시 형태의 도어 구동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을 제 1의 실시 형태의 도어 구동 장치에 적용한 경우의 전체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Ⅱ-Ⅱ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Ⅲ-Ⅲ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하,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의 도어 구동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의 도어 구동 장치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 한 쌍의 도어(11, 12), 현수 금구(13a, 13b, 14a, 14b), 좌우 슬라이더(21, 22), 좌우 도어 레일(23, 24), 연결 금구(17, 18), 회전 액추에이터로서의 모터(30), 회전 전달체로서 피니언(31) 및 직선 전달체로서의 좌우 래크(19, 20)를 구비하고 있다.
좌 도어(11)에는, 이것을 매다는 현수 금구(13a, 13b), 이 현수 금구(13a, 13b)에 고정된 좌 슬라이더(21), 이 좌 슬라이더(21)에 고정된 연결 금구(17), 이 연결 금구(17)에 고정된 직선 전달체로서의 좌 래크(19)가 부착되어 있다. 또한, 좌 슬라이더(21)는 좌 도어 레일(23)을 따라 슬라이드가 자유롭게 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우 도어(12)에는, 이것을 매다는 현수 금구(14a, 14b), 이 현수 금구(14a, 14b)에 고정된 우 슬라이더(22), 이 우 슬라이더(22)에 고정된 연결 금구(18), 이 연결 금구(18)에 고정된 직선 전달체로서의 우 래크(20)가 부착되어 있다. 또한, 우 슬라이더(22)는 우 도어 레일(24)을 따라 슬라이드가 자유롭게 되어 있다.
좌 래크(19)와 우 래크(20)는, 모터(30)로부터 돌출된 출력축(34)(도 3 참조)에 고정된 회전 전달체로서의 피니언(31)에 맞물려 있다.
또한, 모터(30)의 구동에 의해 피니언(31)이 회전하면, 이것에 맞물려 있는 좌우 래크(19, 20)가 좌우의 도어 레일(23, 24)과 거의 평행하게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모터(30)의 구동에 의해 피니언(31)이 회전하면, 이것에 맞물려 있는 좌우 래크(19, 20)가 좌우의 도어 레일(23, 24)과 거의 평행하게 이동하고, 좌우의 도어(11, 12)는 현수 금구(13a, 13b, 14a, 14b)에 고정된 좌우 슬라이더(21, 22)에 의해 좌우의 도어 레일(23, 24)에 따라 원활하게 슬라이드가 자유롭게 되어 있다
도 3은, 도 1의 Ⅲ-Ⅲ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모터(30)는, 본 실시 형태에서는 편평형(扁平型) 전동기, 예를 들면 영구자석 동기 전동기를 이용하고 있고, 그 외주 측이 실드판(35) 및 본체 프레임으로서의 모터 프레임(38)으로 덮여 있다. 이 모터 프레임(38)의 내측 벽에는, 고정자 코일(39)이 감긴(卷回) 고정자 철심(40)이 절연성의 수지(41)에 의해 몰드되어 있다.
그리고, 이 고정자 철심(40)에, 소정 간격을 두고 바닥이 있는 원통형상의 회전자(32)가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고정자 코일(39)에는 급전선(給電線)(43)이 접속되어 있다. 회전자(32)에는, 실드판(35)으로부터 도면의 좌방(左方)으로 돌출하도록, 출력축(34)이 일체적으로 고정되어 있다.
또한, 실드판(35)에는, 지지 케이스로서의 래크·피니언 케이스(56)가 일체적으로 고정되어 있다. 또한, 이들 실드판(35)과 래크·피니언 케이스(56)에는 축받이 지지부(62, 63)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의 축받이 지지부(62, 63)에 는, 제 1 및 제 2의 축받이 부재로서의 축받이(36, 37)가 마련되어 있고, 이 축받이(36, 37) 사이에 피니언(31)이 배치되어 있다.
즉, 2개의 축받이(36, 37)에 끼워지도록 피니언(31)이 배치되고, 이 피니언(31)이 출력축(34)에 알맞는 고정 수단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이 피니언(31)에는, 거의 평행하면서 역방향으로 이동 자유로운 좌우 래크(19, 20)가, 해당 피니언(31)을 끼우도록 대향하여 맞물려 있다. 이들 좌우 래크(19, 20)에는, 좌우 래크용 슬라이더(58, 59)이 각각 부착되어 있다. 이 좌우 래크용 슬라이더(58, 59)은, 각각 가이드 부재로서의 좌우 가이드 레일(60, 61)에 따라 가이드되면서 활주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좌우 래크(19, 20)와 좌우 가이드 레일(60, 61)은, 래크·피니언 케이스(56)에 지지되어 있다. 이 때문에, 래크·피니언 케이스(56)는, 좌우 래크(19, 20)의 이동 범위를 커버하도록, 그 이동 방향에 따라 가늘고 길게 신장되어 있다.
한편, 회전자(32)로부터, 출력축(34)과 거의 중심이 같은 형상으로 그 돌출측과 반대측(도면의 우방)에 부착축(42)이 돌출되어 있다. 이 부착축(42)에는, 축받이(44)를 통하여 인코더(46)의 하우징(48)이 부착되어 있다. 이 하우징(48)은, 나사(52)에 의해 지지 금구(51)를 통하여 모터 프레임(38)의 중앙 개구부에 부착되어 있다. 또한, 이 하우징(48)을 덮도록, 인코더 커버(50)가 모터 프레임(38)에 나사(53)에 의해 부착되어 있다.
이 인코더(46)는, 본 실시 형태에서는, 광전식(光電式)의 로터리 인코더이고, 슬릿(도시 생략)이 형성된 회전원판(54)이 부착축(42)에 고정되어 있다. 그리 고, 이 회전원판(54)을 끼우고 발광·수광 소자(도시 생략)가 대향 배치되어 있고, 발광 소자로부터 출사된 광을 회전원판(54)으로 차단함으로써, 부착축(42)의 회전수나 회전 방향, 및 필요에 따라 회전 속도 등을 검출하고 있다. 그리고, 부호 55는 급전선 및 신호선이다.
다음에, 본 실시 형태의 작용에 관해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좌우의 도어(11, 12)를 닫은 상태로부터, 도시하지 않은 스위치를 온 조작함에 의해 모터(30)가 구동되고, 그 회전자(32)가 도면의 화살표(A) 방향으로 회전하였다고 한다. 그러면, 피니언(31)에 맞물려 있는 좌 래크(19)가 화살표(B) 방향으로 이동한다. 좌 래크(19)가 이동하면, 이것에 고정된 연결 금구(17)와 현수 금구(13a, 13b)를 통하여 좌 도어(11)가 같은 방향(화살표(B)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경우, 연결 금구(17)에 고정된 좌 슬라이더(21)가, 좌 도어 레일(23)에 안내되면서 같은 방향(화살표(B) 방향)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좌 도어(11)는 스무스하게 이동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모터(30)의 회전자(32)가 도면의 화살표(A) 방향으로 회전하면, 피니언(31)에 맞물려 있는 우 래크(20)가 화살표(C) 방향으로 이동한다. 우 래크(20)가 이동하면, 이것에 고정된 연결 금구(18)와 현수 금구(14a, 14b)를 통하여 우 도어(12)가 같은 방향(화살표(C)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경우, 연결 금구(18)에 고정된 우 슬라이더(22)가 우 도어 레일(24)에 안내되면서 같은 방향(화살표(C) 방향)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우 도어(12)는 스무스 하게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이 때의 모터(30)의 출력축(34)의 회전수와 회전 방향(필요에 따라 회전 속도(速度)도)은, 인코더(46)에 의해 검출되고, 좌우의 도어(11, 12)의 위치와 이동 방향이 검출된다. 따라서, 이 인코더(46)로부터의 출력 신호에 의해, 모터(30)를 제어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도어 구동 장치(10)의 구동원으로서 회전형의 모터(30)를 이용함으로써, 리니어 모터를 이용한 경우에 비교하고, 구동부의 점유 면적을 작게 할 수 있고, 콤팩트 설계가 가능해진다. 이로 인해, 도어 구동 장치(10)를 좁은 스페이스에도 간단하게 마련할 수 있다.
또한, 종래에는, 리니어 모터와 방향 변환 장치(피니언)를 분리한 구성이었기 때문에, 리니어 모터 등의 부착시에 조정 작업이 필요하였지만,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모터(30)로부터 돌출된 출력축(34)에 피니언(31)을 고정하고, 이 피니언(31)에 좌우의 래크(19, 20)를 맞물리는 구성으로 하였기 때문에, 모터(30)와 방향 변환 장치가 유닛화 되어 있기 때문에 조정 작업을 간략화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모터(30)의 출력축(34)에 고정된 피니언(31)을, 축방향의 양측에서 끼우도록, 모터(30)의 출력축(34)을 축받이하는 축받이(36, 37)를 마련하였기 때문에, 모터(30) 분해시에는, 이 축받이(36, 37)를 벗기는 일 없이, 실드판(35)에 대해 모터 프레임(38)을 벗길 수 있다. 이로써, 고정자 철심(40) 등을 분해할 수 있고, 모터(30)를 마련한 상태라 하여도, 모터 프레임(38)을 벗기는 것만으로, 용이하게 모터(30)의 내부 점검 및 부품 교환을 행할 수 있 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도어 구동 장치(10)는, 전차(電車)나 자동차 등의 각종 차량의 자동 개폐 도어 등에 적용할 수 있는 외에, 공장이나 맨션 등의 각종 건물의 자동 개폐 도어에도 적용할 수 있다.
(제 2의 실시의 형태)
다음은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의 실시 형태의 도어 구동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의 실시 형태의 도어 구동 장치의 전체 정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V방향 화살표로 본 도면이다. 또한, 제 1의 실시의 형태와 동일 또는 상당하는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서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도어 구동 장치(10)는, 2개의 모터(30, 30')를 이용하여 좌우 도어(11, 12)를 개폐하는 구성으로 한 것이다.
도 4 및 도 5에서, 좌 모터(30) 및 우 모터(30')의 출력축에는 각각 피니언(31, 31')이 고정되어 있고, 이 피니언(31, 31')에 각각 좌우 래크(19, 20)가 맞물려 있다. 이들 좌우 래크(19, 20)는, 각각 래크·피니언 케이스(56, 56')에 부착된 좌우 가이드 레일(60, 61)에 따라 이동한다.
또한, 제 1의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좌우 래크(19, 20)와 좌우 가이드 레일(60, 61)은, 각각 래크·피니언 케이스(56, 56')에 지지되고, 이들의 래크·피니언 케이스(56, 56')는 각각 모터 프레임에 일체적으로 고정되어 있다.
이로써, 예를 들면 좌 모터(30)가 구동되면, 피니언(31)에 맞물려 있는 좌 래크(19)가 이동하고, 이 좌 래크(19)에 연결된 현수 금구(13a, 13b)를 통하여 좌 도어(11)가 개폐 구동된다. 이 경우, 좌 래크(19)는 좌 가이드 레일(60)에 따라 스무스하게 이동하기 때문에, 좌 도어(11)도 스무스하게 이동한다.
마찬가지로, 우 모터(30')가 구동되면, 피니언(31')에 맞물려 있는 우 래크(20)가 이동하고, 이 우 래크(20)에 연결된 현수 금구(14a, 14b)를 통하여 우 도어(12)가 개폐 구동된다. 이 경우도, 우 래크(20)는 우 가이드 레일(61)에 따라 스무스하게 이동하기 때문에, 우 도어(12)도 스무스하게 이동한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2개의 모터(30, 30')를 갖고 있기 때문에, 도어 연결 구조가 간략화됨과 함께, 좌우 도어(11, 12)를 개별적으로 개폐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필요에 따라 좌우 도어(11, 12)의 한쪽 도어를 닫은 채, 다른 쪽의 도어만을 개폐 제어할 수도 있다.
(제 3의 실시의 형태)
다음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3의 실시 형태의 도어 구동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은, 본 실시의 형태의 도어 구동 장치(10)를 차체에 적용한 경우의 단면 측면도이다. 또한, 제 1의 실시의 형태와 동일 또는 상당하는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서 설명한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차체(70)에 마련된 도어(11)의 상방 공간에 모터(30)를 횡(橫) 위치(출력축(34)이 횡 방향)로 배치하고, 이 모터(30)의 구동력으로 도어(11)를 개폐 자유롭게 한 것이다.
즉, 도어(11)는, 문 현수 금구(13)와 연결 금구(17)를 통하여, 래크·피니언 케이스(56)에 수용된 래크(19)에 접속되어 있다. 이 래크(19)는, 모터(30)의 출력 축(34)에 고정된 피니언(31)에 맞물리고, 래크용 슬라이더(58)에 따라 활주 자유롭게 되어 있다. 또한, 모터(30)의 출력축(34)에는 인코더(46)가 부착되어 있다.
또한, 연결 금구(17)에는, 슬라이더(21)가 고정되어 있고, 이 슬라이더(21)는 도어 레일(23)에 활주 자유롭게 가이드되어 있다. 또한, 제 1의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래크(19)와 래크용 슬라이드 레일(58)은, 래크·피니언 케이스(56)에 지지되고, 이 래크·피니언 케이스(56)는 모터 프레임에 일체적으로 고정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하나의 도어(11)를 개폐하는 구성으로 하여 설명하고 있지만, 이것으로 한하지 않고, 한 쌍의 도어를 개폐하는 경우에 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이 구성에 의해, 예를 들면 도어(11)가 닫힌 상태로부터 모터(30)가 구동되면, 그 구동력은, 출력축(34)에 고정된 피니언(31)을 통하여 래크(19)에 전달되고, 또한 이 래크(19)로부터 연결 금구(17) 및 문 현수 금구(13)를 통하여 도어(11)에 전달되어, 도어(11)가 열린다. 도어(11)가 열린 상태로부터 닫는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이 경우, 슬라이더(21)는 도어 레일(23)에 가이드됨으로써 도어(11)는 스무스하게 개폐된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모터(30)를 횡 위치로 배치하였기 때문에, 차체(70)의 도어(11)의 상방에, 횡방향보다도 종방향으로 비교적 넓은 공간이 있는 경우에, 도어 구동 장치(10)를 콤팩트하게 부착할 수 있다.
(제 4의 실시의 형태)
다음은 도 7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4의 실시 형태의 도어 구동 장치에 대 해 설명한다. 도 7은, 본 실시의 형태의 도어 구동 장치를 차체에 적용한 경우의 단면 측면도이다. 또한, 제 1의 실시의 형태와 동일 또는 상당하는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서 설명한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차체(70)에 마련된 도어(11)의 상방 공간에 모터(30)를 종 위치(출력축(34)이 상하방향)로 배치하고, 이 모터(30)의 구동력으로 도어(11)를 개폐 자유롭게 한 것이다.
즉, 도어(11)는, 문 현수 금구(13)와 연결 금구(17)를 통하여, 래크·피니언 케이스(56)에 수용된 래크(19)에 접속되어 있다. 이 래크(19)는, 모터(30)의 출력축(34)에 고정된 피니언(31)에 맞물리고, 래크용 슬라이더(58)에 따라 활주 자유롭게 되어 있다. 또한, 모터(30)의 출력축(34)에는 인코더(46)가 부착되어 있다.
또한, 연결 금구(17)에는, 슬라이더(21)가 고정되어 있고, 이 슬라이더(21)는 도어 레일(23)에 활주 자유롭게 가이드되어 있다. 또한, 제 1의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래크(19)와 래크용 슬라이드 레일(58)은, 래크·피니언 케이스(56)에 지지되고, 이 래크·피니언 케이스(56)는 모터 프레임에 일체적으로 고정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1개의 도어(11)를 개폐하는 구성으로 하여 설명하고 있지만, 이것으로 한하지 않고, 한 쌍의 도어를 개폐하는 경우에 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이 구성에 의해, 예를 들면 도어(11)가 닫힌 상태로부터 모터(30)가 구동되면, 그 구동력은, 출력축(34)에 고정된 피니언(31)을 통하여 래크(19)에 전달되고, 또한 이 래크(19)로부터 연결 금구(17) 및 문 현수 금구(13)를 통하여 도어(11)에 전달되고, 도어(11)가 열린다. 도어(11)가 열린 상태로부터 닫는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이 경우, 슬라이더(21)는 도어 레일(23)에 가이드됨으로써, 도어(11)는 스무스하게 개폐된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모터(30)를 종 위치로 배치하였기 때문에, 차체(70)의 도어(11)의 상방에, 종방향보다도 횡방향으로 비교적 넓은 공간이 있는 경우에, 도어 구동 장치(10)를 콤팩트하게 부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회전 액추에이터로부터 돌출된 출력축에 회전 전달체를 고정하고, 이 회전 전달체에 한 쌍의 직선 전달체를 맞물림으로써, 좁은 스페이스에도 부착 가능한 이동체 구동 장치의 콤팩트 설계를 도모할 수 있음과 함께, 그 부착 후의 조정 작업을 간략화할 수 있다.

Claims (5)

  1. 회전 액추에이터와,
    해당 회전 액추에이터로부터 돌출된 출력축에 일체적으로 고정된 회전 전달체와,
    해당 회전 전달체를 끼우고 대향하여 맞물리고, 거의 평행하면서 역방향으로 이동 자유로운 한 쌍의 직선 전달체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체 구동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축을 축받이하는 제 1 및 제 2의 축받이 부재를 구비하고, 해당 제 1 및 제 2의 축받이 부재 사이에 상기 회전 전달체를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체 구동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직선 전달체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부재들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체 구동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직선 전달체 및 상기 가이드 부재들을 지지하는 지지 케이스를 가지며,
    해당 지지 케이스는, 상기 회전 액추에이터의 본체 프레임에 일체적으로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체 구동 장치.
  5. 제 1항 내지 제 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액추에이터는,
    상기 출력축의 적어도 회전수 및 회전 방향을 검출 가능한 센서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체 구동 장치.
KR1020060125326A 2006-04-28 2006-12-11 이동체 구동 장치 KR1012895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124998A JP2007297796A (ja) 2006-04-28 2006-04-28 移動体駆動装置
JPJP-P-2006-00124998 2006-04-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6378A true KR20070106378A (ko) 2007-11-01
KR101289528B1 KR101289528B1 (ko) 2013-07-24

Family

ID=386469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5326A KR101289528B1 (ko) 2006-04-28 2006-12-11 이동체 구동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971391B2 (ko)
JP (1) JP2007297796A (ko)
KR (1) KR10128952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4283B1 (ko) * 2008-01-28 2008-08-26 박명식 전자파 차폐룸용 차폐도어
KR20160037869A (ko) * 2009-02-23 2016-04-06 후지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이동체 구동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87162B2 (ja) * 2007-01-19 2012-02-29 東海旅客鉄道株式会社 車両用ドア開閉装置およびその組み付け方法
DE102007038840A1 (de) * 2007-08-16 2009-02-19 Dorma Gmbh + Co. Kg Linearantrieb für Schiebetüren oder dergleichen
JP5206094B2 (ja) * 2008-04-25 2013-06-12 富士電機株式会社 移動体駆動装置
CN102395740B (zh) * 2009-03-24 2014-12-10 韩国产业银行 电动门锁闭装置及包括该装置的电动门
WO2010114326A2 (ko) * 2009-04-02 2010-10-07 (주)보체스 전기식 도어 잠금장치
JP5204135B2 (ja) * 2010-02-02 2013-06-05 ナブテスコ株式会社 鉄道車両用扉開閉装置
TWI447290B (zh) * 2011-03-09 2014-08-01 Nabtesco Corp Attachment of the opening and closing device
CN102418450B (zh) * 2011-11-24 2014-09-17 中山市福瑞卫浴设备有限公司 三联动门
JP6179127B2 (ja) * 2013-02-28 2017-08-16 富士電機株式会社 移動体駆動装置
US9874050B2 (en) * 2013-09-23 2018-01-23 Knorr-Bremse Gesellschaft Mit Beschrankter Haftung Sliding door module/pivoting sliding door module having floating mounting of a rack of a rack-and-pinion drive
JP6322422B2 (ja) * 2014-01-14 2018-05-09 Thk株式会社 アクチュエータ
MX2015006017A (es) * 2015-04-24 2016-10-24 Bode Gmbh & Co Kg Gebr Dispositivo de accionamiento de hoja de puerta con hoja de puerta telescopica.
CN105696913B (zh) * 2016-01-22 2017-03-08 南京康尼机电股份有限公司 双开塞拉门系统
US10501977B2 (en) * 2016-06-09 2019-12-10 Magna Mirrors Of America, Inc. Dual slider window assembly
CN107630623A (zh) * 2017-08-31 2018-01-26 广西驰胜农业科技有限公司 一种与空调配合使用的窗
CA3131940A1 (en) * 2019-04-15 2020-10-22 ASSA ABLOY Accessories and Door Controls Group, Inc. Door operator system with adaptor and back plate
JP7371539B2 (ja) * 2020-03-12 2023-10-31 富士電機株式会社 戸閉装置および戸閉装置の取付方法
US11339601B2 (en) * 2020-07-27 2022-05-24 Rivian Ip Holdings, Llc Power pocket sliding door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3328A (en) * 1913-03-17 1913-06-03 Alvah S Christopher Gate.
US1494948A (en) * 1922-04-08 1924-05-20 Herman C Bujack Window-operating mechanism
US1917415A (en) * 1929-02-27 1933-07-11 Woodruff Carl Elevator door
US2791420A (en) * 1955-01-24 1957-05-07 John R Provost Power window operator
US2957211A (en) * 1958-09-22 1960-10-25 Paul J Howard Window construction
US3199858A (en) * 1962-09-11 1965-08-10 Joseph P Koblensky Power window operator
JPS5352642U (ko) * 1976-10-07 1978-05-06
JPS60121088U (ja) * 1984-01-26 1985-08-15 筒井 肇 仏壇の中扉の開閉装置
JP2598783B2 (ja) * 1986-07-01 1997-04-09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ステツピングモータ
FI78767C (fi) * 1987-07-09 1989-09-11 Waertsilae Oy Ab Foerfarande och arrangemang foer optimering av funktionen hos en doerrstaengare.
US5483769A (en) * 1993-12-07 1996-01-16 Mark Iv Transportation Products Corporation Door drive equipment for mass transit vehicle
US5659160A (en) * 1995-06-23 1997-08-19 Otis Elevator Company Linear belt door operator
US5644869A (en) * 1995-12-20 1997-07-08 Itt Automotive Electrical Systems, Inc. Power drive for a movable closure with ball nut drive screw
US6075304A (en) * 1997-04-30 2000-06-13 Alon Co., Ltd Stator with molded encasement for small motors and manufacturing process therefor
US5831358A (en) * 1997-09-30 1998-11-03 General Electric Company Rotor end cap
US6119402A (en) * 1998-07-09 2000-09-19 Lear Automotive Dearborn, Inc. Power sliding rear window
JP3781158B2 (ja) 1998-11-05 2006-05-31 富士電機システムズ株式会社 車両用引戸開閉装置
JP2000344449A (ja) * 1999-06-02 2000-12-12 Teijin Seiki Co Ltd エレベータ用駆動装置
KR100321683B1 (ko) * 1999-06-08 2002-01-23 석삼용 턴디쉬 틸팅 드라이브 장치
JP2001039642A (ja) * 1999-08-03 2001-02-13 Teijin Seiki Co Ltd エレベータ装置
IT1317492B1 (it) * 2000-05-08 2003-07-09 Sematic Italia Spa Gruppo di movimentazione per porte a profilo non rettilineo.
KR100905151B1 (ko) * 2001-02-22 2009-06-29 쉬니베르거 홀딩 아게 롤링 요소를 위해 확동 안내되는 케이지를 갖는 선형운동 가이드
JP4254212B2 (ja) * 2002-11-27 2009-04-15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用開閉体の開閉制御システム
JP4049111B2 (ja) 2003-08-21 2008-02-20 富士電機システムズ株式会社 車両用ドア駆動制御装置
JP4277656B2 (ja) 2003-11-14 2009-06-10 富士電機システムズ株式会社 ドア駆動制御装置
KR200424925Y1 (ko) * 2006-04-21 2006-08-29 (주)에스피앤디 기어를 이용한 자동 슬라이딩 도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4283B1 (ko) * 2008-01-28 2008-08-26 박명식 전자파 차폐룸용 차폐도어
KR20160037869A (ko) * 2009-02-23 2016-04-06 후지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이동체 구동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971391B2 (en) 2011-07-05
JP2007297796A (ja) 2007-11-15
KR101289528B1 (ko) 2013-07-24
US20070251150A1 (en) 2007-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9528B1 (ko) 이동체 구동 장치
JP5206094B2 (ja) 移動体駆動装置
CN102066808B (zh) 线性致动器
EP2527579B1 (en) Linear actuator particularly for sliding doors and for sliding doors and windows in general
GB2367803A (en) Chuck with jaw member position detecting means.
DE69003365T2 (de) Linearmotor mit bewegbarem Magnet für automatische Tür.
CN116892332A (zh) 车辆用门支承装置
EP1752606B1 (en) Drive unit for objects to be wound on to and off a tube
CA2842510A1 (en) Moving body drive apparatus
CN202782221U (zh) 一种多印章执行机构以及具有该机构的用印机
KR101709440B1 (ko) 이동체 구동 장치
CN101622146B (zh) 驱动装置
EP2873794A1 (en) Sliding door assembly provided with a linear motor
KR970062788A (ko) 렌즈셔터타입 카메라
KR100576229B1 (ko) 원형 엘리베이터 도어의 구동장치
JP2003276598A (ja) 鉄道車両用ドアの開閉装置
CN113484968A (zh) 透镜驱动装置、摄像装置及电子设备
CN108566036B (zh) 双余度机电作动器
US20190054808A1 (en) Linear motor actuated moonroofs
CN214160365U (zh) 一种固化装置
CN209891943U (zh) 一种双体横移传动机构
CN210508895U (zh) 一种可净化空气的自动化窗户
KR101245681B1 (ko) 충격방지장치
EP3059370A1 (en) Apparatus for operating gates, doors and the like
KR20170112772A (ko) 방음 방풍 기능을 갖는 슬림형 자동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