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9440B1 - 이동체 구동 장치 - Google Patents

이동체 구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9440B1
KR101709440B1 KR1020160035055A KR20160035055A KR101709440B1 KR 101709440 B1 KR101709440 B1 KR 101709440B1 KR 1020160035055 A KR1020160035055 A KR 1020160035055A KR 20160035055 A KR20160035055 A KR 20160035055A KR 101709440 B1 KR101709440 B1 KR 1017094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ck
pinion
door
upper rack
lower r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50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37869A (ko
Inventor
아츠시 키타바타
Original Assignee
후지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378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78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94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94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3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 E05F15/635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operated by push-pull mechanisms, e.g. flexible or rigid rack-and-pinion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19/00Door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rail vehicles
    • B61D19/003Door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rail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movements of the door
    • B61D19/005Door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rail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movements of the door slid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3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 E05F15/655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w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9/00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 F16H19/02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 F16H19/04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comprising a rack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4Rails;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71Toothed gearing
    • E05Y2201/716Pin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1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for railway cars or mass transit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18Mechanical movements
    • Y10T74/18056Rotary to or from reciprocating or oscill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Abstract

과제
장치의 전장을 짧게 고정할 수 있는 이동체 구동 장치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이동체 구동 장치(20)는, 래크·피니언 수용 케이스(21)와, 이 상하에서 길이 방향으로 이동 자유롭게 배치된 상래크(22) 및 하래크(23)와, 순역의 회전이 자유로운 모터(3)와, 모터(3)의 회전축에 고정되고 구동 피니언(25)과, 구동 피니언(25)에 구동되어 직선이동하는 상래크(22) 또는 하래크(23)에 계합하여 회전 구동되고, 이 회전 동작에 의해 하래크(23) 또는 상래크(22)를 딴것과는 역방향으로 직선이동시키는 종동 피니언(27)을 구비하고 있다. 상 또는 하래크(22 또는 23)의 어느 한쪽에 연결 금구(7) 및 도어 행거(8)를 통하여 탑 레일 슬라이딩 도어의 도어(1)가 연결된다. 모터(3)의 순역의 회전에 의해, 구동 피니언(25)은 자신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래크를 상래크(22)로부터 하래크(23)(또는 하래크(23)로부터 상래크(22))로 바꾸면서 전달함으로써 도어(1)를 개폐한다.

Description

이동체 구동 장치{MOVABLE BODY DRIVING DEVICE}
본 발명은, 열차 등의 차량의 도어를 자동 개폐하기 위한 이동체 구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동체 구동 장치를, 예를 들면 차량의 도어를 개폐하는 구동 장치에 적용한 기술로서는, 리니어 모터를 이용한 것이 공지이다. 이와 같은 차량용 리니어 모터가 가동 코일형의 구동 장치인 경우, 그 구성상, 도어 스트로크의 길이(600㎜로부터 900㎜의 사이가 일반적이다.)에 가동자(加動子)의 길이를 가산한 것이 고정자의 길가 된다.
그런데, 리니어 모터는, 장치가 대형화하는 것에 더하여 영구자석으로서 사용하는 희토류 영구자석의 사용량이 많기 때문, 가격이 고가가 된다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소형화가 가능하고, 가격도 염가가 되는 설계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회전수와 회전 방향을 제어하기 위한 인코더를 부착한 모터와, 이 모터에 회전 구동되는 피니언과, 이 피니언에 직선이동 구동되는 상하의 래크에 의한 이동체 구동 장치가 종래 기술로서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1 참조).
이 이동체 구동 장치의 구성에는, 모터가 정역(正逆)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회전하면, 모터 축에 고정된 피니언이 정역 어느 하나나의 방향으로 회전함에 의해, 상(上)래크와 하래크는 서로 좌우 역방향으로 이동한다.
상래크에는, 상래크용 연결 금구 및 도어 행거(door hanger)를 통하여 좌우 어느 한쪽의 도어가 부착되고, 하래크에는, 하래크용 연결 금구 및 도어 행거를 통하여 좌우 어느 다른쪽의 도어가 부착되어 있다. 상래크와 하래크가 서로 좌우 역방향으로 이동함에 의해, 좌우의 도어가 개폐한다.
이 이동체 구동 장치의 중앙에는 피니언이 1개만 배치되어 있지만, 도어의 개폐 구동 방법으로서는, 좌우 어느 하나의 도어에는, 상하 어느 하나의 래크와 중앙의 피니언이 배타적으로 한 쌍이 되어 구동에 대응하고 있다.
도 2의 (a), (b)는, 그와 같은 래크와 피니언이 배타적으로 한 쌍이 되어 동작하는 종래의 이동체 구동 장치의 구조와 동작 상태를 알기 쉽게 나타내기 위해, 개폐하는 도어를 1장으로 한 경우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의 (a)는 도어(1)가 폐쇄위치(2)에 있을 때의 상태를 도시하고, 도 2의 (b)는 도어(1)가 개방위치에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2의 (a),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모터(3)의 출력축의 일단에 고정된 피니언(4)는, 이 피니언(4)에 계합하는 래크(5)와 함께, 래크·피니언 수용 케이스(6) 중에 수용되어 있다.
래크(5)에는, 연결 금구(7) 및 2개의 도어 행거(8)를 통하여 도어(1)가 연결되어 있다. 도어(1)의 양단부측에 각각 연결된 도어 행거(8)에는, 도어 레일(9)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레일 홈(11)에 부드럽게 감입(嵌入)하여 도어(1)의 개폐 이동을 안내하는 2개의 안내 롤러(12)가 부착되어 있다.
이들 2개의 안내 롤러(12)의 중앙에는, 2개의 안내 롤러(12)의 레일 홈(11)에 대한 계합의 여유에 의해 도어(1)의 개폐시에 생기는 덜컹거림을 억제하기 위해 1개의 조정 롤러(13)가 배치되어 있다.
폐쇄위치에 있는 도어(1)의 우단부에 연결되어 있는 도어 행거(8)의 2개의 안내 롤러(12)와 1개의 조정 롤러(13)의 레일 홈(11)으로부터의 탈락을 방지하기 위해, 래크·피니언 수용 케이스(6)의 우단부는, 폐쇄위치에 있는 도어(1)의 우단부(14)와 같은 위치의 점까지 연재되어 있다. 또한, 도어(1)의 우단부(14)에는 도어 폐쇄시의 사고 방지를 위해, 고무질(質)의 부재 등으로 형성되어 있는 완충 부재(15)가 부착되어 있다.
여기서, 도 2의 (a), (b)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피니언(4)의 위치가, 즉 피니언(4)을 출력축의 일단에 고정되어 있는 모터(3)의 위치가, 장치 전체를 부착하는 주위의 관계로, 도어(1)가 폐쇄위치에 있는 때의 좌단부(16)로부터 거리(A)의 위치로 결정되어 버리는 경우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도어(1)에 연결되어 있는 래크(5)의 좌단부는, 항상 도어(1)의 좌단부(16)보다도 왼쪽에 거리(A)+거리(d)의 위치에 있게 된다, 거리(d)는, 도어(1)가 도 2의 (a)의 폐쇄위치에 있을 때에 피니언(4)이 래크(5)와 안정되게 맞물릴 수 있도록, 피니언(4)의 중심 위치로부터 왼쪽에 마련된 여유 부분의 길이이다.
이 구성에 있어서, 도 2의 (a)에 도시하는 폐쇄위치로부터 피니언(4)이 도면의 시계회전 방향으로 회전하면, 래크(5)가 왼쪽으로 이동하고, 래크(5)에 연결 금구(7) 및 2개의 도어 행거(8)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는 도어(1)가 도 2의 (b)에 도시하는 개방위치로 이동하여, 도어(1)가 개방된다.
이 때, 래크(5)의 좌단부는, 상술한 바와 같이 도어(1)의 좌단부(16)보다도 왼쪽에 거리(A)+거리(d)의 위치에 온다. 따라서 래크·피니언 수용 케이스(6)의 길이로서는, 도 2의 (a)의 폐쇄위치에 있는 도어(1)의 우단부(14)에 대응하는 우단부로부터, 도 2의 (b)의 개방위치에 있는 도어(1)의 좌단부부터 거리(A)와 거리(d)에 또한 여유 부분의 길이(e)를 더한 A+d+e의 위치가 되는 좌단부까지의 길이가 된다.
이와 같이, 종래의 차량용 도어 구동 장치에서의 래크와 피니언 기구는, 그 구성상, 피니언을 중심으로 한 위치로부터 각각 좌우에 도어의 개폐 이동 거리분(통상 600㎜로부터 900㎜의 사이가 일반적이다)의 길이가 필요하다.
즉, 종래의 래크와 피니언의 구조는, 래크와 피니언이 배타적으로 한 쌍이기 때문에, 피니언의 위치에 의해, 래크·피니언 수용 케이스(6)의 전장(全長), 즉 장치 전체의 전장가 정하여져 버린다. 환언하면, 피닌의 위치에 의해 장치의 전장이 좌우된다.
특허문헌 1 : 일본 특개2007-297796호 공보
그런데, 상술한 종래의 차량용의 도어 구동 장치에 있어서, 피니언에 직접 모터를 부착하는 도어 구동 장치의 경우는, 모터의 위치가 피니언의 위치가 된다. 차량에의 모터의 부착 위치에는 제약이 있기 때문에, 모터의 부착 위치에 따라서는, 피니언의 위치로 정해지는 장치의 전장이 길어지는 경우가 있다. 그러면 차체에 따라서는 장치의 부착이 곤란해진다는 과제가 발생한다.
이와 같은 과제의 발생을 회피하기 위해, 피니언의 배치 위치를 이동하려고 하면, 다른 면에서 더욱 차체의 의장 공간을 점유하여 과제의 해결로는 되지 않는다는 과제가 있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장치의 전장을 짧게 고정할 수 있는 이동체 구동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이동체 구동 장치는, 래크·피니언 수용 케이스로 이루어지는 수용부와, 이 수용부의 상하에서 수용부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자유롭게 배치된 상하의 래크로 이루어지는 제 1 및 제 2의 직선이동체와, 순역(順逆)의 회전이 자유로운 모터로 이루어지는 회전 액추에이터와, 이 회전 액추에이터의 출력축에 고정되고 제 1 또는 제 2의 직선이동체를 직선이동시키는 구동 피니언으로 이루어지는 제 1의 회전 전달체와, 이 제 1의 회전 전달체에 의해 구동되어 직선이동하는 제 1 또는 제 2의 직선이동체에 계합하여 회전 구동되고, 이 회전 동작을 통하여 제 2 또는 제 1의 직선이동체를 다른 것과는 역방향으로 직선이동시키는 종동 피니언으로 이루어지는 제 2의 회전 전달체를 구비하고, 상기 모터의 순역의 회전에 의해, 상기 구동 피니언, 상기 상 또는 하래크를 통하여, 상 또는 하래크의 어느 한쪽에 연결 금구 및 도어 행거를 통하여 연결된 탑 레일 슬라이딩 도어(top railed sliding door)를 개폐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은, 장치의 전장을 짧게 고정할 수 있는 이동체 구동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는 효과를 이룬다.
도 1의 (a), (b)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관한 이동체 구동 장치의 하나의 모터로 1장의 도어를 구동하는 경우의 전체 구성 및 그 동작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2의 (a), (b)는 종래의 래크와 피니언이 배타적으로 한 쌍이 되어 동작하는 이동체 구동 장치의 구조와 동작 상태를 알기 쉽게 나타내기 위해 개폐하는 도어를 1장으로 한 경우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관해,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1의 (a), (b)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관한 이동체 구동 장치의 하나의 모터로 1장의 도어를 구동하는 경우의 전체 구성 및 그 동작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또한, 도 1의 (a)는, 도어(1)가 폐쇄위치에 있을 때의 상태를 도시하고, 도 1의 (b)는, 도어(1)가 개방위치에 있을 때의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1의 (a), (b)에는 도 2의 (a), (b)와 동일 구성 부분에는 도 2의 (a), (b)와 동일한 번호를 부여하여 나타내고, 잉여의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실시예 1에 관한 구성 부분에만 도 2의 (a), (b)와는 다른 번호를 부여하여 나타내고, 이들 다른 번호를 부여한 구성 부분을 주체로, 그 구성 및 작용에 관해 이하에 설명한다.
도 1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관한 이동체 구동 장치(20)는, 수용부로서의 래크·피니언 수용 케이스(21)와, 그 상하에서, 각각 래크·피니언 수용 케이스(21)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자유롭게 배치된 제 1의 직선이동체로서의 상래크(22)와, 제 2의 직선이동체로서의 하래크(23)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또한, 상래크(22)와 하래크(23)의 이동 경로에 끼여지는 제 1의 위치(24)에, 제 1의 회전 전달체로서의 구동 피니언(25)이 배치되어 있다. 이 구동 피니언(25)은, 그 중심(제 1의 위치(24))과 도어(1)의 폐쇄시의 좌단부(16)와의 거리가, 도 2에 도시한 피니언(4)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거리(A)가 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 구동 피니언(25)은, 회전 액추에이터로서의 모터(3)의 회전축(출력축)의 일단에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구동 피니언(25)은, 도 1의 (a)에 도시하는 도어(1)의 폐쇄시에는, 상래크(22)의 개략 중앙부에 맞물리고, 모터(3)의 순방향(도면 시계회전 방향)의 회전에 의해, 상래크(22)를 도면의 오른쪽 방향으로 직선이동하도록 구동하도록 대기하고 있다.
또한, 구동 피니언(25)은, 도 1의 (b)에 도시하는 도어(1)의 개방시에는, 하래크(23)의 개략 중앙부에 맞물리고, 모터(3)의 역방향(도면의 반시계회전 방향)의 회전에 의해, 하래크(23)를 도면의 오른쪽 방향으로 직선이동하도록 구동하기 위해 대기하고 있다.
또한, 상래크(22)와 하래크(23)의 이동 경로에 끼여지는 제 2의 위치(26)에, 제 2의 회전 전달체로서의 종동 피니언(27)이 배치되어 있다. 이 종동 피니언(27)이 배치된 위치(제 2의 위치(26))는, 종동 피니언(27)이 항상 상래크(22)와 하래크(23)의 양쪽에 맞물리는 위치라면 어디라도 좋다.
도 1의 (a), (b)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상래크(22)와 하래크(23)는 가급적 최단(最短)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종동 피니언(27)은, 도어(1)의 폐쇄시에는, 상래크(22)의 우단부와 하래크(23)의 좌단부에서 맞물리고, 도어(1)의 개방시에는, 상래크(22)의 좌단부와 하래크(23)의 우단부에서 맞물리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종동 피니언(27)은, 상래크(22) 또는 하래크(23)의 직선이동의 동작에 종동하여 회전 구동되고, 그 회전 동작을 하래크(23) 또는 상래크(22)에 전달함에 의해, 하래크(23) 또는 상래크(22)를, 다른 것과는 역방향으로 직선이동시킨다.
하래크(23)에는, 연결 금구(7)가 나사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그 연결 금구(7)는 도어 행거(8)와 상하 좌우에 소정의 놀이를 갖고서 결합되어 있다. 도어 행거(8)에는 도어(1)가 연결되어 있다.
도어 행거(8)의 안내 롤러(12)의 하부는, 도어 레일(28)의 레일 홈(11)에 감입하고 있다. 이로써, 도어(1)는, 한편으로는 도어 행거(8), 안내 롤러(12), 및 레일 홈(11)을 통하여 도어 레일(28)에 현가(懸架)하여 활주 가능하게 지지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도어 행거(8) 및 연결 금구(7)를 통하여 하래크(23)에 연결되어 있다.
상술한 도 1의 (a), (b)에 도시하는 본 예의 이동체 구동 장치(20)에 있어서, 도 1의 (a)의 도어(1)의 폐쇄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모터(3)가 순방향으로 회전하면, 즉 구동 피니언(25)이 도면의 시계회전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래크(22)가 오른쪽 방향으로 이동을 시작하고, 종동 피니언(27)을 시계회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종동 피니언(27)은, 상래크(22) 및 하래크(23)의 양쪽에 맞물려 있기 때문에, 상래크(22)에 의해 구동되는 종동 피니언(27)의 시계회전 방향의 회전은, 하래크(23)에 전달되고, 하래크(23)는 도면의 왼쪽(다른 래크 즉 상래크(22)의 이동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이동을 시작한다.
그리고, 이 동작이 진행하여 가면, 구동 피니언(25)에 그때까지 맞물려있지 않았던 하래크(23)가 구동 피니언(25)에 맞물리기 시작하고, 반대로, 구동 피니언(25)에 그때까지 맞물려 있던 상래크(22)가 구동 피니언(25)로부터 벗어난다.
이와 같이, 구동 피니언(25)은, 자신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래크를, 상래크(22)로부터 하래크(23)로 바꾸면서 전달함으로써, 도 1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도어(1)를 열 수 있다.
또한, 도 1의 (b)의 도어(1)의 개방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모터(3)가 역방향으로 회전하면, 즉 구동 피니언(25)이 도면의 반시계회전 방향으로 회전하면, 하래크(23)가 오른쪽 방향으로 이동을 시작하고, 종동 피니언(27)을 반시계회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 종동 피니언(27)의 하래크(23)에 의해 구동되는 반시계회전 방향의 회전은, 상래크(22)에 전달되고, 상래크(22)는 도면의 왼쪽(다른 래크 즉 하래크(23)의 이동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이동을 시작한다.
그리고, 이 동작이 진행하여 가면, 구동 피니언(25)에 그때까지 맞물리지 않았던 상래크(22)가 구동 피니언(25)에 맞물리기 시작하고, 반대로, 구동 피니언(25)에 그때까지 맞물려 있던 하래크(23)가 구동 피니언(25)로부터 벗어난다.
이와 같이, 구동 피니언(25)은, 자신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래크를, 하래크(23)로부터 상래크(22)로 바꾸면서 전달함으로써, 도 1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도어(1)를 닫을 수 있다.
이 때, 하래크(23)의 좌단부는, 도어(1)의 좌단부(16)보다도 왼쪽으로 거리(B)의 위치에 온다. 따라서 래크·피니언 수용 케이스(21)의 길이로서는, 도 1의 (a)의 폐쇄위치에 있는 도어(1)의 우단부(14)에 대응하는 우단부로부터, 도 1의 (b)의 개방위치에 있는 도어(1)의 좌단부(16)로부터 거리(B)에 또한 여유 부분의 길이(e)를 더한 B+e의 위치가 되는 좌단부까지의 길이가 된다.
이 도 1의 (b)와 앞서 도시한 종래의 도 2의 (b)를 비교하여 보면, 「B+e」<<「A+d+e」인 것은 분명하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래크·피니언 수용 케이스(21)의 길이를 종래보다 극히 짧게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구동 피니언으로부터의 동력을 상래크로부터 하래크(또는 하래크로부터 상래크)로 직접 주고받음으로써, 이동체 구동 장치(20)의 전장을 짧게 설정하고, 이 설정을 변경하는 일 없이 고정할 수 있다.
또한, 구동 피니언을 배치하는 위치는, 도 1의 (a)에 도시하는 거리(A)의 범위 내라면 어디서나 좋기 때문에, 모터의 부착 위치에 자유도가 생기고, 이로써, 차량에 의해 이동체 구동 장치(20)를 부착할 수 없게 된다는 사태를 회피할 수 있다.
[실시예 2]
상술한 실시예 1에서는, 도어(1)를 하래크(23)에 연결하였지만, 래크에의 도어(1)의 연결 방법은, 이것으로 한하는 것이 아니다. 특히 도시하지 않지만, 상래크에 연결하도록 하여도 좋다.
그 경우는, 도 1의 (a)에 도시하는 구동 피니언(25)과 상하의 래크(22 및 23)의 위치 관계일 때가 도어(1)의 개방 상태가 되고, 도 1의 (b)에 도시하는 구동 피니언(25)과 상하의 래크(22 및 23)의 위치 관계일 때가 도어(1)의 폐쇄 상태가 된다.
또한, 이 경우도, 모터(3)의 회전과, 구동 피니언(25)의 회전, 상래크(22) 및 하래크(23)의 이동, 종동 피니언(23)의 회전에 관한 여러 동작은, 실시예 1의 경우와 마찬가지이다.
본 발명은, 래크와 피니언을 이용한 구동 장치로서 예를 들면 탑 레일 슬라이딩 도어 등을 개폐하는 이동체 구동 장치에 이용할 수 있다.
1 : 도어 2 : 폐쇄위치
3 : 모터 4 : 피니언
5 : 래크 6 : 래크·피니언 수용 케이스
7 : 연결 금구 8 : 도어 행거
9 : 도어 레일 11 : 레일 홈
12 : 안내 롤러 13 : 조정 롤러
14 : 도어 우단부 15 : 완충 부재
16 : 도어 좌단부 20 : 이동체 구동 장치
21 : 래크·피니언 수용 케이스 22 : 상래크
23 : 하래크 24 : 제 1의 위치
25 : 구동 피니언 26 : 제 2의 위치
27 : 종동 피니언 28 : 도어 레일

Claims (1)

  1. 래크·피니언 수용 케이스의 상하에서, 각각 상기 래크·피니언 수용 케이스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자유롭게 배치된 이동체로서의 위의 래크 및 아래의 래크와,
    상기 위의 래크 및 상기 아래의 래크의 이동 경로 사이에 있는 제 1의 위치에서, 상기 위의 래크 및 상기 아래의 래크를 직선이동하도록 구동하는 구동 피니언과,
    상기 구동 피니언을 출력축의 일단에 일체적으로 고정한 순역의 회전이 자유로운 모터와,
    상기 위의 래크 및 상기 아래의 래크의 이동 경로 사이에 있는 제 2의 위치에서, 상기 위의 래크 또는 상기 아래의 래크의 동작을 회전 동작을 통하여 상기 아래의 래크 또는 상기 위의 래크의 직선이동의 동작으로 변환하는 종동 피니언을 구비하고,
    상기 모터의 순역의 회전에 의해, 상기 종동 피니언, 상기 위 또는 아래의 래크를 통하여, 상기 위 또는 아래의 래크의 어느 일방에 연결된 탑 레일 슬라이딩 도어(top-railed sliding door)를 개폐하는 이동체 구동 장치로서,
    상기 제2의 위치는, 항상 상기 위의 래크와 아래의 래크의 양방에 맞물리는 위치에 설정되고,
    상기 제1의 위치는, 개방 상태의 상기 탑 레일 슬라이딩 도어의 폭 중앙부로부터 상기 제2의 위치까지 사이의 임의의 위치에 설정되며,
    상기 탑 레일 슬라이딩 도어의 폐쇄시는, 상기 종동 피니언이 상기 위의 래크의 한쪽 단과 상기 아래의 래크의 한쪽 단에서 맞물리고(engage),
    상기 탑 레일 슬라이딩 도어의 개방시는, 상기 종동 피니언이 상기 위의 래크의 다른 쪽 단과 상기 아래의 래크의 다른 쪽 단에서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체 구동 장치.
KR1020160035055A 2009-02-23 2016-03-24 이동체 구동 장치 KR10170944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039005A JP5407408B2 (ja) 2009-02-23 2009-02-23 移動体駆動装置
JPJP-P-2009-039005 2009-02-23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5084A Division KR20100096002A (ko) 2009-02-23 2010-01-20 이동체 구동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7869A KR20160037869A (ko) 2016-04-06
KR101709440B1 true KR101709440B1 (ko) 2017-02-22

Family

ID=4262966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5084A KR20100096002A (ko) 2009-02-23 2010-01-20 이동체 구동 장치
KR1020160035055A KR101709440B1 (ko) 2009-02-23 2016-03-24 이동체 구동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5084A KR20100096002A (ko) 2009-02-23 2010-01-20 이동체 구동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822575B2 (ko)
JP (1) JP5407408B2 (ko)
KR (2) KR20100096002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79127B2 (ja) * 2013-02-28 2017-08-16 富士電機株式会社 移動体駆動装置
KR102090114B1 (ko) * 2019-08-30 2020-05-29 주식회사 와이제이티 가스스프링을 이용한 반자동식 슬라이딩도어장치
JP7371539B2 (ja) * 2020-03-12 2023-10-31 富士電機株式会社 戸閉装置および戸閉装置の取付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5365B1 (ko) 2007-02-22 2008-02-20 (주) 이엔이씨 난간형 이중 슬라이딩 자동도어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3723A (en) * 1909-11-27 1912-04-16 Reliance Ball Bearing Door Hanger Company Operating mechanism for sliding doors.
US1917415A (en) * 1929-02-27 1933-07-11 Woodruff Carl Elevator door
US1776163A (en) * 1929-04-11 1930-09-16 Charles V Mayer Door mounting for slidable doors
JPS5967474U (ja) * 1982-10-29 1984-05-07 株式会社ナブコ 自動扉
JPH0414581A (ja) * 1990-05-01 1992-01-20 Asahi Seiko Kk 引き戸式扉の自動開閉装置
DE4211464A1 (de) * 1992-04-06 1993-10-07 Schueco Int Kg Antrieb eines Riegelstangenbeschlages eines Fensters oder einer Tür
JPH09151668A (ja) 1995-11-22 1997-06-10 Tsuchikawa Zenji 三連式引き戸装置
JPH11280336A (ja) * 1998-03-30 1999-10-12 Infunikkusu:Kk 引戸式ドアの自動開閉装置
IT1317492B1 (it) * 2000-05-08 2003-07-09 Sematic Italia Spa Gruppo di movimentazione per porte a profilo non rettilineo.
JP2007297796A (ja) 2006-04-28 2007-11-15 Fuji Electric Systems Co Ltd 移動体駆動装置
KR100805364B1 (ko) 2007-02-22 2008-02-21 (주) 이엔이씨 난간형 슬라이딩 자동도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5365B1 (ko) 2007-02-22 2008-02-20 (주) 이엔이씨 난간형 이중 슬라이딩 자동도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822575B2 (en) 2017-11-21
JP2010196254A (ja) 2010-09-09
JP5407408B2 (ja) 2014-02-05
US20100212229A1 (en) 2010-08-26
KR20160037869A (ko) 2016-04-06
KR20100096002A (ko) 2010-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9440B1 (ko) 이동체 구동 장치
KR101289528B1 (ko) 이동체 구동 장치
US9340215B2 (en) Door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US10589758B2 (en) Plug door opening-closing device
RU2008106472A (ru) Приводной механизм для подвижной части мебели
EP2977176A1 (en) Linkage mechanism between uniaxial die opening and closing and bottom die positioning
CA2842510C (en) Moving body drive apparatus
US20160129768A1 (en) Bi-directional element drive system
EP2366859A1 (en) A wing opening/closing actuator system
WO2007105057A3 (en) Industrial door
JP3917594B2 (ja) 車両用自動開閉装置
EP1091074A2 (en) Window systems for automotive vehicle
KR101514823B1 (ko) 가스스프링 장치
US3950893A (en) Control apparatus for hermetically closing an opening in a wall
KR20070014593A (ko) 슬라이딩 휴대폰의 슬라이드 개폐 구동 장치
WO2008050993A1 (en) Apparatus for opening/closing window having safety device
CN101978454A (zh) 用于电磁低压开关设备的磁室和电磁低压开关设备
RU71311U1 (ru) Стрелочный электропривод
EP1276950A1 (en) Coreless motor door closure system
KR100372693B1 (ko) 차량용 윈도우 글라스 개폐 장치
KR20060062517A (ko) 버스의 폴딩도어 개폐장치
CN116657527A (zh) 平移机构、平移门及通道闸机
JP2019156274A (ja) 可動式ホーム柵
TR201702820U (tr) Otomati̇k kayar kapilar i̇çi̇n hareket si̇stemi̇
JP2005113553A (ja) 車両用自動開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