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76229B1 - 원형 엘리베이터 도어의 구동장치 - Google Patents

원형 엘리베이터 도어의 구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76229B1
KR100576229B1 KR1020047000638A KR20047000638A KR100576229B1 KR 100576229 B1 KR100576229 B1 KR 100576229B1 KR 1020047000638 A KR1020047000638 A KR 1020047000638A KR 20047000638 A KR20047000638 A KR 20047000638A KR 100576229 B1 KR100576229 B1 KR 1005762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circular
drive
center
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006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15812A (ko
Inventor
다이키 모리쿠라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158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58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62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62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06Door or gate operation of sliding doors
    • B66B13/08Door or gate operation of sliding doors guided for horizontal mov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3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 E05F15/64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operated by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e.g. belts, chains or cab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3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 E05F15/649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operated by swinging arm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4R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26Form, shape
    • E05Y2800/266Form, shape curved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04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for elevators

Landscapes

  • Elevator Door Apparatuses (AREA)

Abstract

원통형 엘리베이터에 설치된 원형 도어패널(2)의 구동장치로, 소정의 회전동작에 의해 원형 도어패널(2)을 개폐시키는 구동링크(18)와, 구동링크(18)를 회전시키는 도어모터(5), 주동풀리(10), 종동풀리(11), 벨트(12) 및 벨트잡이(19, 20)로 되는 구동수단과, 구동링크(18)의 회전중심(B)을 소정의 궤적으로 이동시키는 가이드(13) 및 롤러(17)로 된 이동수단을 구비한다.
엘리베이터, 도어패널, 구동링크, 도어모터, 벨트

Description

원형 엘리베이터 도어의 구동장치{DRIVE DEVICE FOR CIRCULAR ELEVATOR DOOR}
본 발명은 원형 엘리베이터의 도어의 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의 카 도어의 패널은 평면으로 구성되고, 카 도어는 좌우로 직선적으로 이동해서 개폐한다. 그러나, 근래에는 건물의 내부 디자인이 다양화하고 있고, 이에 따라 카를 원통형으로 한 원통형 엘리베이터가 사용되고 있다. 이 원통형 엘리베이터에서는 카의 형상과 적합하도록 카 도어가 원통형의 카의 일부가 되도록 구성되고, 승강하는 방향과 수직인 면의 카 도어의 단면 형상은 원호상이 된다. 그리고, 원호상의 궤적을 따라 좌우로 개폐하는 원형 엘리베이터 도어가 카 도어로 사용된다. 이와 같은 원통형 엘리베이터의 한 예가 일본국 실개소 52-56862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다.
도 4는 원형 엘리베이터 도어의 개폐 구동장치의 기본 구성의 한 예를 표시하는 모식도이다. 원형 엘리베이터 도어는 원형 도어패널, 도어 상부를 매다는 행거, 도어레일, 도어 하부를 가이드하는 문지방 등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원형 도 어패널은 카 천정에 설치한 구동장치와, 구동장치에 연동하는 링크장치에 의해 개폐구동된다.
도 4에 따라 원형 엘리베이터 도어의 구동장치의 구체적인 구성을 설명한다. 원통형의 카(101)의 외측에 원형 도어패널(102)이 설치되고, 원형 도어패널(102)은 도어레일에 의해 카(101)의 바깥둘레면을 따라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좌우의 원형 도어패널(102)의 각각에 구동링크(104)가 대칭으로 설치되어 있다. 구동링크(104)는 원형 도어패널(102)의 구동용 링크기구이고, 그 일단이 원형 도어패널(102)의 회전중심이며, 카(101)의 중심인 지점 C와 연결되고, 타단이 소링크 (103)를 통해서 원형 도어패널(102) 상부와 연결되어 있다.
이 2개의 구동링크(104)로 형성된 부채꼴의 공간에는 도어모터(105)와 감속풀리(106)가 배치되어 있다. 도어모터(105)와 감속풀리(106)는 카(101)상에 고정되어 있고, 감속풀리(106)의 바깥둘레부와 구동링크(104)의 중간부가 각각 연결로드 (107)로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원형 엘리베이터 도어의 구동장치에서는 도어모터(105)가 회전하면 감속풀리(106)가 회전하고, 연결로드(107)에 의해 지점 C를 중심에 회동된 구동링크(104)가 좌우의 원형 도어패널(102)을 동시에 개폐한다.
그러나, 종래의 원형 엘리베이터 도어의 개폐 구동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우선, 원통형의 카(101)의 중심과 구동링크(104)의 회전중심(지점 C)을 일치시키고 있으므로 카(101)의 크기에 따라 구동링크(104)의 길이를 변경할 필요가 있 다. 이 때문에 카(101)의 사이즈가 다를 때마다 구동링크(104), 소링크(103), 도어모터(105), 감속풀리(106), 연결로드(107) 등의 각 구성부품을 다시 설계할 필요가 있다. 이로 인해 설계를 다시 하기 위한 시간이 낭비되고, 제조코스트가 증대한다는 문제가 생겼었다.
또, 도어모터(105)나 감속풀리(106)의 크기는 소정의 구동력을 얻기 위해 일정이상의 크기가 필요하고, 소형화에는 한계가 있다. 그러나, 종래의 구동장치에서는 원통형의 카(101)의 중심과 구동링크(104)의 회전중심을 일치시킨다는 구조상의 제약으로부터 2개의 구동링크(104)에 의해 형성되는 부채꼴의 공간이외의 영역에 각 구성부품을 배치하는 것은 곤란하다. 따라서, 카(101)가 작은 경우에는 도어모터(105)나 감속풀리(106) 등의 구동용 기기를 배치하는 것이 곤란했었다.
또, 원통형의 카(101)의 중심과 구동링크(104)의 회전중심을 일치시키면, 도 4에 표시한 바와 같이 구동장치의 각 구성부품이 점유하는 평면적인 스페이스가 카(101)의 점유하는 평면적인 스페이스의 반정도의 크기가 되어버린다. 이 때문에 카(101)의 사이즈가 커지면, 구동링크(104), 도어모터(105), 감속풀리(106), 연결로드(107) 등의 각 구성부품이 대형화하고, 구동장치 자체가 큰 유닛이 되어버린다. 이에 따라 장치의 중량 업이나 코스트 업이라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었다.
또, 원통형의 카(101)의 중심과 구동링크(4)의 회전중심을 일치시킨 경우, 쌍방의 중심을 높은 정밀도로 일치시키지 않으면 원형 도어패널(102)의 개폐동작을 원활하게 실시할 수가 없다. 이 때문에 조립시 또는 거치시에 쌍방의 중심을 맞추는 작업이 곤란했었다. 그리고, 조립ㆍ거치시의 작업성이 현저히 저하하고, 코스트 의 인상을 야기하고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러 종류의 카 사이즈에 적용되는 동시에, 스페이스 절약형이고 소형의 카에도 설치할 수 있고, 또 조립ㆍ거치 작업성이 우수한 원형 엘리베이터 도어의 구동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은 원통형 엘리베이터에 설치된 원형 엘리베이터 도어의 구동장치로, 소정의 회전동작에 의해 원형 엘리베이터 도어를 개폐시키는 구동링크와, 구동링크를 회전시키는 구동수단과, 구동링크의 회전중심을 소정의 궤적으로 이동시키는 이동수단을 구비한 것이다. 구동링크의 회전중심을 이동시키기 위해 회전중심을 원통형 엘리베이터의 중심에 배치할 필요가 없어진다. 이 때문에 엘리베이터의 카의 사이즈에 제약을 받지 않고, 카의 평면영역의 일부에만 한정해서 구동장치를 설치할 수가 있다. 따라서, 구동장치를 여러 종류의 카 사이즈에 적응시킬 수가 있고, 또, 구동장치의 스페이스 절약화를 달성시킬 수 있다. 또, 회전중심을 원통형 엘리베이터 중심에 배치하기 위한 중심을 맞추는 작업이 필요없게 되고, 조립ㆍ거치시의 작업성을 대폭적으로 향상시킬 수가 있다. 구동링크를 회전시키는 구동수단, 회전중심을 이동시키는 이동수단으로는 모터 등의 구동원 그 자체라도 되고, 구동원의 동작을 전달하는 링크기구, 벨트기구, 기어, 풀리 등을 포함하는 것도 된다. 또, 이동수단을 회전중심의 궤적을 규정하는 가이드부재로 하고, 구동수단의 동작에 의해 회전중심을 이동시켜도 된다.
또, 본 발명은 상술한 개량된 원통형 엘리베이터의 구동장치에 있어서, 이동수단은 구동링크의 회전중심이 이동하는 궤적을 따라 설치된 가이드부재와, 구동링크의 회전중심에 설치된 접동부재를 갖고, 구동수단은 구동링크를 회전시키는 동시에, 접동부재를 상기 가이드부재를 따라 이동시키는 것이다. 가이드부재를 따라 접동부재를 이동시킴으로서, 구동링크의 회전중심을 소정의 궤적으로 확실하게 이동시킬 수가 있다. 또, 구동수단에 의해 구동링크를 회전시켜 동시에 회전중심을 이동시키므로 장치구성을 간소화할 수가 있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은 상술한 개량된 원통형 엘리베이터의 구동장치에 있어서, 가이드부재를 원통형 엘리베이터의 중심보다도 원형 엘리베이터 도어에 근접한 위치에 설치한 것이다. 가이드부재를 원형 엘리베이터 도어에 근접시킴으로서 구동장치를 원형 엘리베이터 도어 근방만의 영역에 구성할 수가 있고, 스페이스 절약화를 달성하는 동시에 소형의 카에도 적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 본 발명은 상술한 개량된 원형 엘리베이터 도어의 구동장치에 있어서, 원형 엘리베이터 도어가 좌우 대칭으로 개폐하도록 2개 설치되고, 이동수단은 2개의 원형 엘리베이터 도어에 대응하는 각각의 구동링크의 회전중심을 각각의 원형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동하는 방향으로 좌우 대칭으로 이동시키는 것이다. 좌우 대칭으로 개폐하는 2개의 원형 엘리베이터 도어를 구비한 경우에도 각각의 원형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동하는 방향으로 구동링크의 회전중심을 좌우 대칭으로 이동시키므로 구동장치를 여러 종류의 카 사이즈에 적용시킬 수가 있고, 또, 스페이스 절약화를 달성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상술한 개량된 원형 엘리베이터 도어의 구동장치에 있어서, 구동수단은 구동원에 접속된 주동축과, 종동축과, 주동축 및 종동축에 걸려서 주동축의 회전에 따라 이동하는 벨트와, 벨트의 왕로측 및 복로측의 소정위치에 각각 장착된 벨트잡이부재를 갖고, 2개의 원형 엘리베이터 도어에 각각 대응하는 구동링크가 왕로측 및 복로측의 벨트잡이부재에 각각 접속되고, 벨트의 이동에 의해 각각의 상기 구동링크의 회전중심을 원형 엘리베이터 도어가 이동하는 방향으로 좌우 대칭으로 이동시키는 것이다. 구동링크를 왕로측 및 복로측의 벨트잡이부재에 각각 접속함으로서, 벨트의 이동에 의해 각각의 구동링크의 회전중심을 원형 엘리베이터 도어가 이동하는 방향으로 좌우 대칭으로 이동시킬 수가 있다.
또, 본 발명은 상술한 개량된 원형 엘리베이터 도어의 구동장치에 있어서, 2개의 원형 엘리베이터 도어에 대응하는 각각의 구동링크의 회전중심에 일단이 접속된 링크부재와, 2개의 원형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동궤적의 대칭축에 설치된 슬라이더 레일과, 상기 슬라이더 레일에 따라 이동하고, 각각의 링크부재의 타단이 접속된 슬라이더를 다시 구비한 것이다. 원형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동궤적의 대칭축을 따라 슬라이더를 이동시켜 슬라이더와 구동링크의 회전중심을 링크부재에 의해 접속함으로서, 쌍방의 구동링크의 회전중심을 좌우 대칭으로 이동시킬 수가 있다. 이로 인해 2개의 원형 엘리베이터 도어를 정밀도가 좋게 대칭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관한 원형 엘리베이터 도어의 구동장치에 있어서, 원형 도어패널의 전폐(全閉)시를 표시하는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관한 원형 엘리베이터 도어의 구동장치를 표시하는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관한 원형 엘리베이터 도어의 구동장치에 있어서, 원형 도어패널의 전개(全開)시를 표시하는 평면도,
도 4는 종래의 원형 엘리베이터 도어의 구동장치를 표시하는 평면도.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도 1,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관한 원형 엘리베이터 도어의 구동장치를 표시하는 모식도이다. 여기서, 도 1은 원형 도어패널(2)의 전폐시를, 도 3은 원형 도어패널의 전개시를 표시하는 평면도이다. 또, 도 2는 도 1의 슬라이더 레일(14)의 길이방향의 카(1) 외측으로부터 구동장치를 본 측면도이다.
우선, 도 1 및 도 2에 따라 원형 엘리베이터 도어의 구동장치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표시한 바와 같이 원통형의 카(1)의 외측에 원형 도어패널 (2)이 설치되어 있다. 원형 도어패널(2)은 도어레일(8)에 매달린 도어행거(9)에 의해 매달고, 도어레일(8)에 따라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원형 도어패널(2) 보다도 카(1)의 중심측에는 도어모터(5), 도어모터(5)의 출력축에 부착된 주동풀리(10), 종동풀리(11)가 설치되고, 주동풀리(10) 및 종동풀리(11)에는 벨트(12)가 걸려있다.
벨트(12)에 따라 가이드(13)가 설치되고, 가이드(13)를 따라 접동해서 이동하는 롤러(17)가 설치되어 있다. 또, 2개의 원형 도어패널(2)의 이동궤적의 대칭축에 따라 슬라이더 레일(14)이 설치되고, 슬라이더 레일(14)은 슬라이더(15)에 삽통되어 있다. 이로 인해 슬라이더(15)가 슬라이더 레일(14)에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슬라이더(15)와 롤러(17)는 링크(16)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즉, 링크(16)의 일단은 슬라이더(15)에 대해 회동할 수 있도록 핀 결합되어 있고, 타단은 롤러(17)에 핀 결합되어 있다.
또, 롤러(17)와 도어행거(9)는 링크(18)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링크(18)의 일단은 롤러(17)에 핀 결합되고, 타단은 도어행거(9)와 핀 결합되어 있다.
벨트(12)에는 벨트잡이(19) 및 벨트잡이(20)가 장착되어 있다. 도 2에 표시한 바와 같이 벨트잡이(19)는 벨트(12)의 상측에 장착되어 있고, 벨트잡이(20)는 벨트(12)의 하측에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벨트(12)가 일정한 방향으로 이동하면, 벨트잡이(19)와 벨트잡이(20)는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벨트잡이 (19),(20)는 벨트(12)에 고정된 벨트잡이부 본체(19a),(20a)와, 링크부(19b),(20b)로 구성되어 있고, 벨트잡이부 본체(19a),(20a)와 링크부(19b),(20b)의 일단과는 각각 핀 결합되어 있다. 또, 링크부(19b),(20b)의 타단과 2개의 링크(18)의 중앙부 근방이 핀 결합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와 같이 원형 엘리베이터 도어의 구동장치에 의한 원형 도어패널 (2)의 개폐동작을 도 1 및 도 3에 따라 설명한다.
도 1에 표시하는 전폐상태에서, 제어장치로부터의 개폐신호를 받게 되면 도어모터(5)가 회전해서 주동풀리(10)를 회전시킨다. 이로써, 주동풀리(10)와 종동풀리(11)의 사이에 걸쳐진 벨트(12)가 도 1의 화살표 A의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러면, 벨트(12)에 장착된 좌우의 벨트잡이부(19a),(20a)가 각각 화살표 A의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로써, 벨트잡이부(19a),(20a)에 일단을 핀 결합한 링크부(19b),(20b)가 카(1) 외측을 향해 이동하고, 좌우의 링크(18)를 카(1) 외측으로 열도록 이동시킨다. 링크(18)는 그 회전중심 B가 위치하는 롤러(17)를 가이드(13)에 따라 카(1)의 외측으로 이동시키면서 회전중심 B를 중심으로 해서 도어 개방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리고, 링크(18)의 회전력은 핀 결합된 도어행거(9)에 전달되고, 도 3에 표시한 바와 같이 도어패널(2)이 도어레일(8)을 따라 원호를 그리면서 도어 개방 방향으로 이동한다.
롤러(17)가 가이드(13)를 따라 외측으로 이동하면, 링크(16)가 슬라이더(15)를 카(1)의 중심을 향해 이동시킨다. 2개의 롤러(17)는 각각 링크(18)에 의해 슬라이더(15)와 연결되어 있으므로 쌍방의 롤러(17)의 슬라이더 레일(14)로부터의 거리는 같아진다. 따라서, 좌우의 원형 도어패널(2)의 열리는 량을 동일하게 할 수가 있다.
원형 도어패널(2)이 도어레일(8)에 따라 이동하고, 도 3의 전개상태에 달한 시점에서 제어장치로부터의 지령에 의해 도어모터(5)의 회전을 정지시킨다.
도 3의 전개상태에서 원형 도어패널(2)을 닫을 경우에는 도어모터(5)를 상기한 경우와 역회전시켜 벨트(12)를 화살표 A와는 역의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로 써, 상기와 역의 동작에 의해 원형 도어패널(2)이 닫혀진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이 실시의 형태에 의하면, 링크(18)의 회전중심 A를 원형 도어패널(2)의 근방에서 이동시키도록 하였으므로 구동장치 전체를 원형 도어패널(2)의 근방 영역만에 배치할 수가 있다. 그리고, 구동링크(18)의 회전중심을 원통형의 카(1) 중심에 배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카(1)의 사이즈에 의해 구동장치의 구성부품의 크기, 형상, 배치 등이 제약을 받는 일이 없다. 따라서, 카(1)의 사이즈가 변화한 경우라도 공통의 구동장치로 대응할 수가 있고, 원형 엘리베이터 도어의 설계의 자유도를 대폭적으로 높일 수가 있다.
또, 구동장치를 카(1)의 천정 입구측 전부에 구성하였으므로 스페이스 팩터를 양호하게 할 수가 있고, 소형의 엘리베이터라도 스페이스적으로는 여유를 가지고 구동장치를 배치할 수가 있다.
또, 좌우의 구동링크(4)의 회전중심 B는 서로 독립하여 있으므로 좌우의 구동기구의 정밀도가 상위한 경우라도 중심 B의 위치를 개별적으로 조정함으로서 조립ㆍ거치를 용이하게 할 수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관한 원형 엘리베이터 도어의 구동장치는 설계변경하지 않고 여러 종류의 카 사이즈에 적용이 되고, 또, 스페이스 절약으로 소형의 카에도 설치 가능하며, 또 조립ㆍ거치 작업성도 우수하고, 여러 종류의 원통형 엘리베이터에 유용하다.

Claims (3)

  1. 원통형 엘리베이터에 설치된 원형 엘리베이터 도어의 구동장치에 있어서,
    소정의 회전동작에 의해 원형 엘리베이터 도어를 개폐시키는 구동링크;
    상기 구동링크를 회전시키는 구동수단; 및
    상기 구동링크의 회전중심을 소정의 궤적으로 이동시키는 이동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이동수단은, 상기 구동링크의 회전중심이 이동하는 궤적을 따라 설치된 가이드부재, 및 상기 구동링크의 회전중심에 설치된 접동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구동링크를 상기 원형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동 방향과 평행한 면 내에서 회전시키며, 상기 접동부재를 상기 가이드부재를 따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엘리베이터 도어의 구동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를 상기 원통형 엘리베이터의 중심보다도 상기 원형 엘리베이터 도어에 근접하는 위치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엘리베이터 도어의 구동장치.
KR1020047000638A 2002-05-29 2002-05-29 원형 엘리베이터 도어의 구동장치 KR1005762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2/005213 WO2003099697A1 (fr) 2002-05-29 2002-05-29 Dispositif d'entrainement pour porte d'elevateur circulai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5812A KR20040015812A (ko) 2004-02-19
KR100576229B1 true KR100576229B1 (ko) 2006-05-03

Family

ID=295610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0638A KR100576229B1 (ko) 2002-05-29 2002-05-29 원형 엘리베이터 도어의 구동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1508546B1 (ko)
JP (1) JPWO2003099697A1 (ko)
KR (1) KR100576229B1 (ko)
CN (1) CN1292974C (ko)
WO (1) WO200309969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95324B2 (ja) * 2006-10-25 2014-01-2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ドア開閉装置
EP2177467A1 (en) 2008-10-14 2010-04-21 BC Lift A/S Rotating Elevator
KR101356111B1 (ko) * 2012-07-10 2014-01-28 정희섭 엘리베이터 장치
CN103086239B (zh) * 2012-11-19 2014-12-10 江南嘉捷电梯股份有限公司 轿厢折角开门结构
CN109422182B (zh) * 2017-08-31 2022-02-11 富士达株式会社 电梯的轿厢用门装置
CN109132812A (zh) * 2018-08-31 2019-01-04 周晓锋 一种圆弧形电梯门机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6924Y2 (ko) * 1976-12-23 1980-04-19
JPH027168Y2 (ko) * 1981-05-23 1990-02-21
JPH0743107Y2 (ja) * 1988-09-29 1995-10-04 株式会社東芝 エレベータの円形ドア駆動装置
DE19606209C2 (de) * 1996-02-21 2001-08-09 Hein Gmbh Christian Antriebsvorrichtung für eine Aufzugstür
US6032762A (en) * 1998-08-05 2000-03-07 Vertisys International, Inc. Door operator for elevators having curved doo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03099697A1 (ja) 2005-09-22
CN1535242A (zh) 2004-10-06
KR20040015812A (ko) 2004-02-19
EP1508546A4 (en) 2010-05-05
EP1508546B1 (en) 2012-05-09
CN1292974C (zh) 2007-01-03
WO2003099697A1 (fr) 2003-12-04
EP1508546A1 (en) 2005-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9805B1 (ko) 공구 매거진 구동과 연계된 atc 도어의 개폐장치
US20030089042A1 (en) Coreless motor door closure system
KR100576229B1 (ko) 원형 엘리베이터 도어의 구동장치
JP4425705B2 (ja) 可動式ホーム柵装置
EP2752351B1 (en) Vehicle door device
EP1331346B1 (en)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for vehicle
KR101660270B1 (ko) 체인에 의해 동시 작동되는 게이트 개폐 장치
JP2000177580A (ja) プラットホームドア装置
USH1362H (en) Drive mechanism for elevator door
JP2000176784A (ja) 工作機械におけるスプラッシュカバーの開閉装置
US9822575B2 (en) Movable body driving device
CN106288281B (zh) 空调器风口组件及具有其的空调器
CN114061136A (zh) 用于导风板的运动机构、空调器
CN216977142U (zh) 用于导风板的运动组件、驱动盒
JPH0743107Y2 (ja) エレベータの円形ドア駆動装置
JPWO2017056126A1 (ja) 開閉機構の駆動力の切替装置
CA2405712C (en) Coreless motor door closure system
KR100502218B1 (ko) 철도차량용 도어의 개폐장치
CN215967428U (zh) 一种进料天窗装置及其加工设备
CN210104625U (zh) 一种摆门式闸机机芯及闸机
KR970007123B1 (ko) 공작물 반송장치
CZ20032402A3 (cs) Zařízení pro přemístění přestavovaného prvku vůči rámu
JPS6046294B2 (ja) ロ−ラチエン駆動装置における位置検出装置
KR20040063781A (ko) 철도차량용 도어의 개폐 장치
KR100830569B1 (ko) 휴대 정보 단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