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6111B1 - 엘리베이터 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6111B1
KR101356111B1 KR1020120075091A KR20120075091A KR101356111B1 KR 101356111 B1 KR101356111 B1 KR 101356111B1 KR 1020120075091 A KR1020120075091 A KR 1020120075091A KR 20120075091 A KR20120075091 A KR 20120075091A KR 101356111 B1 KR101356111 B1 KR 1013561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car
elevator car
door
doorw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50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7672A (ko
Inventor
정희섭
Original Assignee
정희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희섭 filed Critical 정희섭
Priority to KR10201200750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6111B1/ko
Publication of KR201400076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76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61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61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9/16Mobile or transportable lifts specially adapted to be shifted from one part of a building or other structure to another part or to another building or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2Cages, i.e. cars
    • B66B11/0226Constructional features, e.g. walls assembly, decorative panels, comfort equipment, thermal or sound insu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doors or g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ypes And Forms Of Lifts (AREA)
  • Elevator Door Apparatuses (AREA)

Abstract

엘리베이터 장치는 사람이나 화물을 운반하기 위한 엘리베이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사람이나 화물의 출입이 가능한 출입구를 구비하는 엘리베이터-카; 상기 엘리베이터-카의 출입구를 열고 닫을 수 있도록 구비되는 엘리베이터-도어; 및 상기 엘리베이터-카의 운행이 이루어지는 동일 승강로에 구비되는 서로 다른 층에서의 엘리베이터 승강장이 동일 수직 선상이 아닌 서로 다른 수직 선상에 위치할 때 상기 서로 다른 층에서의 엘리베이터 승강장 각각에서 상기 엘리베이터-카의 출입구를 열고 닫을 수 있게 상기 엘리베이터-도어와 함께 상기 엘리베이터-카를 회전시키도록 구비되는 회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장치{Elevator Device}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고층 건물에서 사람이나 화물을 운반하기 위한 엘리베이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층 건물에는 편리하게 층간을 이동할 수 있도록 엘리베이터 장치가 설치된다. 그리고 엘리베이터 장치는 사람이나 화물을 운반하기 위한 출입구를 갖는 엘리베이터-카 및 엘리베이터-카의 출입구를 열고 닫을 수 있도록 구비되는 엘리베이터-도어를 포함한다. 이에, 엘리베이터 장치는 건물에 구비되는 엘리베이터 승강장에서 사람이나 화물을 엘리베이터-카에 탑재하여 층간으로 이동할 수 있는 것이다. 언급한 엘리베이터 장치에 대한 일 예는 대한민국 특허출원 2010-0093406호 등에 개시되어 있다.
언급한 엘리베이터 장치의 경우에는 엘리베이터 승강장이 엘리베이터-카의 운행이 이루어지는 동일 승강로에 위치하도록 구비된다. 즉, 서로 다른 층에서의 엘리베이터 승강장이 동일 수직 선상에 위치하도록 구비되고, 그리고 언급한 엘리베이터-카는 동일 수직 선상에 위치하는 엘리베이터 승강장에서 사람이나 화물을 탑재하도록 구비되는 것이다.
따라서 종래의 엘리베이터 장치는 엘리베이터-카의 운행이 이루어지는 동일 승강로 상에 서로 다른 층에서의 엘리베이터 승강장이 다른 수직 선상에 위치할 경우에는 그 적용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엘리베이터-카의 운행이 이루어지는 동일 승강로에 구비되는 서로 다른 층에서의 엘리베이터 승강장이 서로 다른 수직 선상에 위치하여도 그 적용이 가능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언급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장치는 사람이나 화물을 운반하기 위한 엘리베이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사람이나 화물의 출입이 가능한 출입구를 구비하는 엘리베이터-카; 상기 엘리베이터-카의 출입구를 열고 닫을 수 있도록 구비되는 엘리베이터-도어; 및 상기 엘리베이터-카의 운행이 이루어지는 동일 승강로에 구비되는 서로 다른 층에서의 엘리베이터 승강장이 동일 수직 선상이 아닌 서로 다른 수직 선상에 위치할 때 상기 서로 다른 층에서의 엘리베이터 승강장 각각에서 상기 엘리베이터-카의 출입구를 열고 닫을 수 있게 상기 엘리베이터-도어와 함께 상기 엘리베이터-카를 회전시키도록 구비되는 회전부를 포함한다.
언급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장치에서, 상기 엘리베이터-카는 일측에 상기 출입구를 갖는 원통형 구조로 구비되고, 상기 엘리베이터-도어는 상기 원통형 구조를 갖는 엘리베이터-카의 출입구 외측면을 둘러싸도록 구비되거나 또는 또는 상기 원형통 구조를 갖는 엘리베이터-카의 내측면을 둘러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
언급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장치에서, 상기 회전부는 상기 엘리베이터-카가 회전하는 경로를 안내하는 안내부; 상기 엘리베이터-카와 상기 안내부를 연결시키는 연결부; 및 상기 엘리베이터-카가 상기 안내부를 따라 회전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언급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장치에서, 상기 서로 다른 층에서의 엘리베이터 승강장이 둘 이상으로 구비될 때 상기 엘리베이터-카의 출입구 및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 각각도 둘 이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언급한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장치에 따르면, 엘리베이터-도어와 함께 엘리베이터-카를 회전시키도록 구비되는 회전부를 포함함으로써 엘리베이터의 운행시 엘리베이터-카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에, 엘리베이터-카의 운행이 이루어지는 동일 승강로에 구비되는 서로 다른 층에서의 엘리베이터 승강장이 동일 수직 선상이 아닌 서로 다른 수직 선상에 위치하여도 서로 다른 층에서의 엘리베이터 승강장 각각에서 엘리베이터-카의 출입구를 열고 닫을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서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고층 건물에 설치할 경우 공간 활용 측면에서 보다 유리할 수 있다. 이는, 서로 다른 층에서의 엘리베이터 승강장 각각을 원하는 방향에 위치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고층 건물로 이루어지는 화물 시스템에 적용할 경우에도 서로 다른 층에서의 엘리베이터 승강장 각각을 원하는 방향에 위치시킬 수 있기 때문에 물류의 이동에 따른 동선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까지도 기대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사시도들이다.
도 3은 도 1 및 도 2의 엘리베이터 장치에 구비되는 엘리베이터-도어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 및 도 2의 엘리베이터 장치에 구비되는 회전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도 1 및 도 2의 엘리베이터 장치가 구비되는 고층 건물에서의 엘리베이터 승강장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평면도들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장치가 구비되는 고층 건물에서의 엘리베이터 승강장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평면도들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실시예를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 부호를 유사한 구성 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실시예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사시도들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도 1 및 도 2 각각은 후술하는 엘리베이터-도어(13)에 의해 엘리베이터-카(11)의 출입구(12)가 열려있는 상태 및 닫혀있는 상태 각각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의 엘리베이터 장치(100)는 엘리베이터-카(11), 엘리베이터-도어(13) 및 회전부(15)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에서의 엘리베이터 장치(100)는 전동기축의 회전력을 도르래에 전달하는 권상기, 엘리베이터-카(11) 및 균형추의 궤도를 안내하는 카-가이드 레일, 엘리베이터의 과속을 방지하기 위한 부재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서는 언급한 엘리베이터-카(11), 엘리베이터-도어(13) 및 회전부(15)를 제외한 다른 부재는 일반적인 엘리베이터 장치(100)에서와 동일한 부재이기 때문에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엘리베이터-카(11)는 사람이나 화물의 출입이 가능한 출입구(12)를 구비한다. 이에, 고층 건물에서의 엘리베이터 승강장에서 출입구(12)를 통하여 사람이나 화물의 출입이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엘리베이터-카(11)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회전이 이루어져야하기 때문에 원통형의 구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본 발명에서의 엘리베이터-카(11)는 일측에 출입구(12)를 갖는 원통형 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
엘리베이터-도어(13)는 엘리베이터-카(11)의 출입구(12)를 열고 닫을 수 있도록 구비된다. 이에, 고층 건물에서 엘리베이터 장치(100)를 운행할 때 엘리베이터 승강장에서 사람이나 화물을 탑재할 때에는 출입구(12)가 열려있는 상태를 유지하고, 고층 건물 사이를 승강할 때에는 출입구(12)가 닫혀있는 상태를 유지한다. 여기서, 언급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카(11)가 출입구(12)를 갖는 원통형 구조로 구비될 경우 엘리베이터-도어(13)는 원통형 구조를 갖는 엘리베이터-카(11)의 출입구(12) 외측면을 둘러싸도록 구비되거나 또는 원형통 구조를 갖는 엘리베이터-카(11)의 내측면을 둘러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엘리베이터-도어(13)는 엘리베이터-카(11)의 출입구(12) 외측면 또는 내측면을 둘러싸는 원호 구조를 갖도록 구비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언급한 엘리베이터-도어(13)는 엘리베이터-카(11)를 기준으로 외부 또는 내부에 선택적으로 설치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3은 도 1 및 도 2의 엘리베이터 장치에 구비되는 엘리베이터-도어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엘리베이터-도어(13)를 열고 닫을 수 있는 부재들을 나타내는 것으로써, 구동부(33), 구동부(33)와 연동하는 구동 기어(31) 및 구동 기어(31)와 엘리베이터-도어(13)를 연결하는 연결부(35)를 구비한다. 이에, 구동부(33)의 구동력에 의해 구동 기어(31)가 움직임에 따라 엘리베이터-도어(13)가 엘리베이터-카(11)의 출입구(12)를 열고 닫을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언급한 구동부(33)의 예로서는 모터 등을 들 수 있다. 그리고 후술하는 회전부(15)에 의해 엘리베이터-카(11)가 회전할 때 엘리베이터-도어(13)도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언급한 구동 기어(31)는 엘리베이터-카(11)에 고정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언급한 구동부(33)는 엘리베이터-카(11)의 출입구(12)를 열고 닫을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엘리베이터-도어(13)가 움직이도록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회전부(15)는 엘리베이터-도어와 함께 엘리베이터-카(11)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비된다.
도 4는 도 1 및 도 2의 엘리베이터 장치에 구비되는 회전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언급한 회전부(15)는 엘리베이터-카(11)의 회전하는 경로를 안내하는 안내부(41), 엘리베이터-카(11)와 안내부(41)를 연결시키는 연결부(43) 및 엘리베이터-카(11)가 안내부(41)를 따라 회전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45)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구동부(45)는 구동 기어(45a) 및 구동 모터(45b)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언급한 회전부(15)는 구동부(45)의 구동력에 의해 안내부(41)를 따라 회전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언급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도어(13)가 엘리베이터-카(11)에 고정되도록 구비될 경우 엘리베이터-도어(13)와 함께 엘리베이터-카(11)가 회전할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엘리베이터-카(11)가 원통형 구조를 가질 경우 안내부(41)는 원통형 구조의 둘레를 따라 레일 구조를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구동부(45)의 경우 구동 기어(45a)가 엘리베이터-카(11)에 고정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외에도, 언급한 회전부(15)는 엘리베이터-카(11)가 원통형 구조를 갖도록 구비될 경우 엘리베이터-카(11)가 안내부(41)를 따라 360˚ 회전할 수 있도록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회전부(15)가 엘리베이터-카(11)의 아래쪽에 위치하도록 구비될 경우 엘리베이터-도어(13)를 열고 닫을 수 있는 부재를 엘리베이터-카(11)의 위쪽에 위치하도록 구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와 반대로 회전부(15)가 엘리베이터-카(11)의 위쪽에 위치하도록 구비될 경우 엘리베이터-도어(13)를 열고 닫을 수 있는 부재를 엘리베이터-카(11)의 아래쪽에 위치하도록 구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회전부(15)의 회전 경로와 엘리베이터-도어(13)를 열고 닫을 수 있는 부재의 회전 경로를 서로 독립적으로 확보하기 위함이다.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장치(100)는 엘리베이터-도어(13)와 함께 엘리베이터-카(11)를 회전시키도록 구비되는 회전부(15)를 포함함으로써 엘리베이터 장치(100)의 운행시 엘리베이터-카(11)를 회전시킬 수 있기 때문에 엘리베이터-카(11)의 운행이 이루어지는 동일 승강로에 구비되는 서로 다른 층에서의 엘리베이터 승강장이 동일 수직 선상이 아닌 서로 다른 수직 선상에 위치하여도 서로 다른 층에서의 엘리베이터 승강장 각각에서 엘리베이터-카(11)의 출입구(12)를 열고 닫을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은 도 1 및 도 2의 엘리베이터 장치가 구비되는 고층 건물에서의 엘리베이터 승강장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평면도들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도 5는 고층 건물 중 상대적으로 아래층에 위치하는 엘리베이터 승강장을 나타내고, 도 6은 도 5의 위층에 위치하는 엘리베이터 승강장을 나타내고, 도 7은 도 6의 위층에 위치하는 엘리베이터 승강장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즉, 도 5는 고층 건물 중 5층에 위치하는 엘리베이터 승강장을 나타내고, 도 6은 6층에 위치하는 엘리베이터 승강장을 나타내고, 도 7은 7층에 위치하는 엘리베이터 승강장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여기서, 언급한 도 5에서와 같이 5층에는 Ⅰ 방향으로 엘리베이터-카(11)의 출입구(12)가 열리고 닫히도록 엘리베이터 승강장이 위치하고, 언급한 도 6에서와 같이 6층에는 Ⅱ 방향으로 엘리베이터-카(11)의 출입구(12)가 열리고 닫히도록 엘리베이터 승강장이 위치하고, 언급한 도 7에서와 같이 7층에는 Ⅲ 방향으로 엘리베이터-카(11)의 출입구(12)가 열리고 닫히도록 엘리베이터 승강장이 위치할 수 있다. 즉, 도 5 내지 도 7에서의 엘리베이터 승강장은 엘리베이터-카(11)의 운행이 이루어지는 동일 승강로에 위치함에도 불구하고 동일 수직 선상이 아닌 서로 다른 수직 선상에서 엘리베이터-카(11)의 출입구(12)가 열리고 닫히도록 위치하는 것이다.
그러나 언급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 승강장이 동일 수직 선상이 아닌 서로 다른 수직 선상에 위치하여도 본 발명에서의 엘리베이터 장치(100)를 사용하여 엘리베이터-카(11)의 운행시 엘리베이터-도어(13)와 함께 엘리베이터-카(11)를 회전시킬 경우 서로 다른 수직 선상에 위치하는 엘리베이터 승강장 각각에서 엘리베이터-카(11)의 출입구(12)를 열고 닫을 수 있다. 즉, 도 5에서와 같이 5층에서는 Ⅰ 방향의 엘리베이터 승강장과 대응되게 엘리베이터-카(11)의 출입구(12)가 위치하도록 엘리베이터-카(11)를 회전시키고, 도 6에서와 같이 6층에서는 Ⅱ 방향의 엘리베이터 승강장과 대응되게 엘리베이터-카(11)의 출입구(12)가 위치하도록 엘리베이터-카(11)를 회전시키고, 도 7에서와 같이 7층에서는 Ⅲ 방향의 엘리베이터 승강장과 대응되게 엘리베이터-카(11)의 출입구(12)가 위치하도록 엘리베이터-카(11)를 회전시키는 것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의 엘리베이터 장치(100)에 따르면 엘리베이터-카(11)의 운행시 엘리베이터-카(11)를 회전시킬 수 있음으로써 엘리베이터-카(11)의 운행이 이루어지는 동일 승강로에 구비되는 서로 다른 층에서의 엘리베이터 승강장이 서로 다른 수직 선상에 위치하여도 서로 다른 층에서의 엘리베이터 승강장 각각에서 엘리베이터-카(11)의 출입구(12)를 열고 닫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의 엘리베이터 장치(100)를 적용할 경우 서로 다른 층에서의 엘리베이터 승강장 각각을 원하는 방향에 위치시킬 수 있기 때문에 고층 건물의 공간 활용도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엘리베이터 장치(100)를 고층 건물로 이루어지는 화물 시스템에 적용할 경우에도 서로 다른 층에서의 엘리베이터 승강장 각각을 원하는 방향에 위치시킬 수 있기 때문에 물류의 이동에 따른 동선을 최소화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의 엘리베이터 장치(100)는 엘리베이터-카(11)의 출입구(12)를 두 군데 이상으로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엘리베이터-카(11)의 출입구(12)가 두 군데 이상으로 구비될 경우 엘리베이터-도어(13)도 두 군데 이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즉, 두 군데 이상으로 구비되는 엘리베이터-카(11)의 출입구(12) 각각을 열고 닫을 수 있도록 엘리베이터-도어(13)도 두 군데 이상으로 구비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엘리베이터-카(11)의 출입구(12)가 두 군데로 구비될 경우 엘리베이터-도어(13)도 두 군데의 엘리베이터-카(11)의 출입구(12) 각각을 열고 닫을 수 있게 두 군데로 구비되고, 엘리베이터-카(11)의 출입구(12)가 세 군데로 구비될 경우 엘리베이터-도어(13)도 세 군데의 엘리베이터-카(11)의 출입구(12) 각각을 열고 닫을 수 있게 세 군데로 구비된다.
언급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카(11)의 출입구(12) 및 엘리베이터-도어(13) 각각을 둘 이상으로 구비함으로써 엘리베이터 장치(100)가 설치되는 고층 건물에서 엘리베이터 승강장도 둘 이상으로 구비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장치(100)의 엘리베이터-카(11)의 운행이 이루어지는 동일 승강로에 구비되는 엘리베이터 승강장을 둘 이상으로 구비할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도 5에서의 5층의 엘리베이터 승강장을 두 군데로 구비할 수 있고, 도 6에서의 6층의 엘리베이터 승강장을 세 군데로 구비할 수 있고, 도 7에서의 7층의 엘리베이터 승강장을 두 군데로 구비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장치(100)는 서로 다른 층에서의 엘리베이터 승강장이 둘 이상으로 구비될 때 엘리베이터-카(11)의 출입구(12) 및 엘리베이터 도어 각각도 둘 이상으로 구비된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장치가 구비되는 고층 건물에서의 엘리베이터 승강장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평면도들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도 8 및 도 9 각각은 언급한 고층 건물에서 8층 및 9층 각각의 엘리베이터 승강장으로 이해할 수 있다.
여기서, 언급한 도 8에서와 같이 8층에는 Ⅰ 방향 및 Ⅱ 방향으로 엘리베이터-카(11)의 출입구(12)가 열리고 닫히도록 엘리베이터 승강장이 두 군데로 위치하고, 언급한 도 9에서와 같이 9층에는 Ⅰ 방향 및 Ⅲ 방향으로 엘리베이터-카(11)의 출입구(12)가 열리고 닫히도록 엘리베이터 승강장이 두 군데로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도 8에서와 같이 8층에서는 Ⅰ 방향 및 Ⅱ 방향의 엘리베이터 승강장과 대응되게 엘리베이터-카(11)의 출입구(12)가 위치하도록 엘리베이터-카(11)를 회전시키고, 도 9에서와 같이 8층에서는 Ⅰ 방향 및 Ⅲ 방향의 엘리베이터 승강장과 대응되게 엘리베이터-카(11)의 출입구(12)가 위치하도록 엘리베이터-카(11)를 회전시키는 것이다.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의 엘리베이터 장치(100)에 따르면 서로 다른 층에서의 엘리베이터 승강장이 둘 이상으로 구비될 경우에도 엘리베이터-카(11)의 출입구(12) 및 엘리베이터-도어(13)를 둘 이상으로 구비함과 아울러 회전부(15)를 사용하여 엘리베이터-카(11)를 회전시킴으로써 언급한 둘 이상의 엘리베이터 승강장 모두에서 엘리베이터-카(11)의 출입구(12)를 열고 닫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의 엘리베이터 장치(100)를 적용할 경우 서로 다른 층에서의 엘리베이터 승강장 각각을 원하는 방향에 위치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원하는 개수로 구비할 수 있기 때문에 고층 건물의 공간 활용도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엘리베이터 장치(100)를 고층 건물로 이루어지는 화물 시스템에 적용할 경우에도 서로 다른 층에서의 엘리베이터 승강장 각각을 원하는 방향 및 개수로 구비시킬 수 있기 때문에 물류의 이동에 따른 동선을 최소화할 수 있다.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장치는 고층 건물에서의 공간 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에 보다 다양한 구조를 갖는 고층 건물의 설계가 가능하고, 아울러 물류 시스템의 적용시 동선을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에 물류 시스템의 관리에 따른 효율성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1 : 엘리베이터-카 12 : 출입구
13 : 엘리베이터-도어 15 : 회전부
31 : 구동 기어 33, 45 : 구동부
35, 43 : 연결부 41 : 안내부
100 : 엘리베이터 장치

Claims (4)

  1. 사람이나 화물을 운반하기 위한 엘리베이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사람이나 화물의 출입이 가능한 출입구를 구비하는 엘리베이터-카;
    상기 엘리베이터-카의 출입구를 열고 닫을 수 있도록 구비되는 엘리베이터-도어; 및
    상기 엘리베이터-카의 운행이 이루어지는 동일 승강로에 구비되는 서로 다른 층에서의 엘리베이터 승강장이 동일 수직 선상이 아닌 서로 다른 수직 선상에 위치할 때 상기 서로 다른 층에서의 엘리베이터 승강장 각각에서 상기 엘리베이터-카의 출입구를 열고 닫을 수 있게 상기 엘리베이터-도어와 함께 상기 엘리베이터-카를 회전시키도록 구비되는 회전부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카는 일측에 상기 출입구를 갖는 원통형 구조로 구비되고, 상기 엘리베이터-도어는 상기 엘리베이터-카의 출입구 외측면을 둘러싸도록 구비되거나 또는 상기 엘리베이터-카의 내측면을 둘러싸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상기 엘리베이터-카가 회전하는 경로를 안내하는 안내부; 상기 엘리베이터-카와 상기 안내부를 연결시키는 연결부; 및 상기 엘리베이터-카가 상기 안내부를 따라 회전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로 다른 층에서의 엘리베이터 승강장이 둘 이상으로 구비될 때 상기 엘리베이터-카의 출입구 및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 각각도 둘 이상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KR1020120075091A 2012-07-10 2012-07-10 엘리베이터 장치 KR1013561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5091A KR101356111B1 (ko) 2012-07-10 2012-07-10 엘리베이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5091A KR101356111B1 (ko) 2012-07-10 2012-07-10 엘리베이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7672A KR20140007672A (ko) 2014-01-20
KR101356111B1 true KR101356111B1 (ko) 2014-01-28

Family

ID=501419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5091A KR101356111B1 (ko) 2012-07-10 2012-07-10 엘리베이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611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35144A (en) 1990-08-07 1993-08-10 Kajima Corporation Linear motor driven elevator
KR20040015812A (ko) * 2002-05-29 2004-02-19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원형 엘리베이터 도어의 구동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35144A (en) 1990-08-07 1993-08-10 Kajima Corporation Linear motor driven elevator
KR20040015812A (ko) * 2002-05-29 2004-02-19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원형 엘리베이터 도어의 구동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7672A (ko) 2014-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50190B2 (ja) エレベータのかごドア装置
JP2593288B2 (ja) トラクションシーブエレベータ
JPWO2015008386A1 (ja) エレベータのかごドアロック装置
CN101445201B (zh) 方便出入的垂直升降电梯及其运行控制方法
CN110304528B (zh) 电梯轿厢天花板进入系统
JP2015037995A (ja) エレベータの係合装置
WO2002102701A1 (en) Machine house-less elevator
KR100567364B1 (ko) 엘리베이터 장치
JP2014012581A (ja) エレベータ装置
KR101356111B1 (ko) 엘리베이터 장치
WO2001053184A1 (fr) Systeme d'ascenseur
JP6367131B2 (ja) ドアユニット及びエレベータ
JP2013122145A (ja) エレベータのドアロック機構
US20070045053A1 (en) Elevator apparatus
KR102293442B1 (ko) 엘리베이터 도어 장치
JP6570764B2 (ja) エレベータのかご上手摺装置
JP2009221014A (ja) エレベータ装置
WO2002046084A1 (fr) Dispositif de porte pour ascenseur
WO2012035599A1 (ja) エレベータ装置
JP7315070B1 (ja) エレベータかご及びエレベータ
KR200207427Y1 (ko) 엘리베이터 장치
JP4420187B2 (ja) 免震建築物用エレベータ装置
JP7234296B2 (ja) ガイド装置及びエレベータ装置
US20210371241A1 (en) Elevator safety monitoring system, elevator system, elevator drive unit, and method for operating an elevator
JPH08119564A (ja) エレベー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