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04921A - 광섬유 클리빙 장치 - Google Patents

광섬유 클리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04921A
KR20070104921A KR1020077019631A KR20077019631A KR20070104921A KR 20070104921 A KR20070104921 A KR 20070104921A KR 1020077019631 A KR1020077019631 A KR 1020077019631A KR 20077019631 A KR20077019631 A KR 20077019631A KR 20070104921 A KR20070104921 A KR 200701049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fiber
grip
cleaving
fiber
cleav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196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59458B1 (ko
Inventor
얀 와트
이베트 조기엔 플라이지어
얀 반덴브로에크
Original Assignee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레이켐 엔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레이켐 엔베 filed Critical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레이켐 엔베
Publication of KR200701049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49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94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94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25Preparing the ends of light guides for coupling, e.g. cutt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255Splicing of light guides, e.g. by fusion or bond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ght Guides In General And Applications Therefor (AREA)
  • Mechanical Coupling Of Light Guides (AREA)
  • Laser Surgery Devices (AREA)
  • Perforating, Stamping-Out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AREA)
  • Glass Compositions (AREA)
  • Manufacture, Treatment Of Glass Fibers (AREA)
  • Optical Couplings Of Light Guides (AREA)
  • Seal Device For Vehicle (AREA)
  • Removal Of Insulation Or Armoring From Wires Or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섬유를 클리빙하기 위한 광섬유 클리빙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클리빙 장치는 광섬유 클리빙 수단, 및 광섬유를 그립하고, 상기 광섬유가 클리빙되는 동안 당김력을 적용하여 상기 광섬유가 인장 하에 놓이도록 배열되는 하나 이상의 그립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그립 부재 또는 그립 부재들(C)은 상기 광섬유가 일단 클리빙되면 상기 광섬유의 클리빙된 부분을 저장기(49) 안으로 배출시키도록 배열되고, 및/또는 그립 부재로부터 넓게 분리된 회전식 이중 모루(47)에 의해 광섬유가 클리빙되는 동안 구부러진다.

Description

광섬유 클리빙 장치 {OPTICAL FIBRE CLEAVING DEVICE}
본 발명은 광섬유를 스플라이싱(splicing)하기 위한 광섬유 스플라이싱 장치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 이동식 공구 형태의 광섬유 스플라이싱 장치에 관한 것이다.
광섬유를 함께 스플라이싱하는 2가지 기본적인 방법이 공지되어 있는데, 그 중 한가지 방법은 기계적 스플라이싱이며 다른 하나는 융합 스플라이싱(fusion splicing)이다. 기계적 스플라이싱은 동력 공구의 사용을 필요로 하지 않는 장점을 가지며, 따라서, 스플라이싱이 필요한 광통신 네트워크의 위치에 따라 예컨대 고객의 건물 또는 외부 환경에서 광통신 네트워크의 본래 위치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상당히 신뢰성있는 기계적 스플라이싱이 실행될 수 있지만, 기계적 스플라이싱은 종종 융합 스플라이싱의 장기간 신뢰성 또는 낮은 정도의 광학적 손실을 제공하지 못 한다. 결국, 많은 상황에서 기계적 스플라이싱에 비해 융합 스플라이싱이 바람직하다.
광섬유의 단부들이 (예컨대, 광섬유의 단부들에 적용된 전하에 의에) 함께 융합되는 융합 스플라이싱은 전동력을 필요로 한다. 배터리 동력식인 휴대 이동식 융합 스플라이싱 공구가 공지되어 있으며, 이 공구는 현장에서 융합 스플라이싱을 생성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그러나, 이러한 휴대용 스플라이싱 공구에 의해 휴대성의 문제가 부분적으로 해소되기는 하지만, 현장에서의 융합 스플라이싱의 생성과 관련된 다른 문제가 존재하는데, 이것은 광섬유의 단부면 사이에 만족스러운 융합 스플라이싱이 형성될 수 있도록 광섬유의 단부면을 준비하는 문제이다. 만족스러운 융합 스플라이싱을 형성하기 위해, 광섬유의 단부를 상당히 높은 품질로 세척하는 것이 필요하며, 이것은 현재의 단부면을 제거하고 새로운 높은 품질의 단부면을 생성시키도록 광섬유를 클리빙(cleaving; 쪼개기)하는 것이 요구된다. 휴대용 광섬유 클리빙 공구가 공지되어 있으나, 이러한 광섬유 클리빙 공구는 형성하고자 하는 높은 품질의 융합 스플라이싱에 대해 충분히 높은 품질의 광섬유 단부면을 생성시키기 위해, 휴대용 클리빙 공구를 위한 안정된 작동 플랫폼이 대체로 필요하다. 이 결과, 광섬유가 일단 클리빙되면, 클리버(cleaver)가 일측면에 놓여져야 하며 클리빙된 광섬유가 스플라이싱 공구로 전달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며 신뢰성 있고 편리한 방법으로 현장에서 진정으로 높은 품질의 융합 스플라이싱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 양상은 광섬유를 클리빙하기 위한 광섬유 클리빙 기구를 제공하는데, 상기한 광섬유 클리빙 기구는, 광섬유 클리빙 수단, 및 광섬유를 그립하고, 상기 광섬유가 클리빙되는 동안 당김력을 적용하여 상기 광섬유가 인장 하에 놓이도록 배열되는 하나 이상의 그립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그립 부재 또는 그립 부재들은 상기 광섬유가 일단 클리빙되면 상기 광섬유의 클리빙된 부분을 배출시키도록 배열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광섬유 스플라이싱 장치와 광섬유 클리빙 장치를 하나의 단일 장치로 조합시킴으로써, 광섬유 클리빙 기구로부터 별도의 스플라이싱 기구(오염 및 손상과 관련된 문제를 가짐)로 클리빙된 광섬유를 운반해야 하는 문제점이 방지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한 단일 장치의 광섬유 스플라이싱 기구는 광섬유 사이에 융합 스플라이싱을 형성하는 융합 스플라이싱 기구이다. 따라서, 유리하게도, 광섬유 스플라이싱 기구는 광섬유 사이에 융합 스플라이싱을 형성시키기 위해 전하를 제공하도록 배열된 전극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한 단일 장치의 광섬유 클리빙 기구는 광섬유 스플라이싱 기구에 의해 다른 광섬유 단부를 스플라이싱하기에 적합한 광섬유 단부를 생성시키기 위해 광섬유를 클리빙하도록 배열된다. 보다 바람직하게, 광섬유 클리빙 기구는 광섬유의 종축선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광섬유의 단부면을 생성시키도록 광섬유를 클리빙하도록 배열된다.
유리하게, 광섬유 클리빙 기구는 광섬유 클리빙 수단, 특히 광섬유를 스코어링(scoring; 균열 내기)하여 광섬유를 통해 균열이 전파되게 하여 광섬유를 클리빙하도록 배열된 스코어링 블레이드와 같은 블레이드를 포함한 광섬유 클리빙 부재를 포함한다. 이러한 스코어링 블레이드는 스코어링 휠(scoring wheel)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스코어링 휠은 예컨대 다이아몬드 휠을 구비할 수 있거나, 대신에, 다이아몬드로 형성된 다른 형태의 스코어링 블레이드가 사용될 수도 있다. 추가로 또는 대안으로, 광섬유 클리빙 기구는 모루(anvil)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 모루는 광섬유가 클리빙되는 동안(예컨대, 광섬유가 스코어링 블레이드에 의해 스코어링되는 동안) 광섬유가 구부러지게 한다. 이러한 광섬유 클리빙 기구는 광섬유가 클리빙되는 동안 광섬유를 그립 및/또는 지지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광섬유 그립 및/또는 지지 부재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광섬유의 클리빙된 부분은 광섬유가 클리빙된 후에 광섬유의 클리빙된 부분에 당김력(pulling force)을 계속해서 적용하는 그립 부재에 의해 배출된다. 이러한 그립 부재 또는 각각의 그립 부재는 광섬유가 클리빙된 후에 광섬유의 클리빙된 부분에 대한 그립을 해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그립 부재 또는 그립 부재 각각은 그립 부재에 의해 그립되는 광섬유의 종축선에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배향되는 축선을 중심으로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그립 부재 또는 그립 부재 각각에 의해 광섬유에 적용되는 당김력은 예컨대 그립 부재에 피봇 토크(pivoting torque)를 적용함으로써 적용된다.
유리하게, 그립 부재는 사이에 광섬유를 끼워서 상기 광섬유를 그립하도록 배열되는 마주하는 한 쌍의 그립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그립 부재들은, 상기 그립 부재들에 의해 그립될 광섬유를 상기 그립 부재들이 그립한 후에 상기 광섬유 클리빙 장치가 작동될 때 까지, 상기 광섬유가 상기 그립 부재들 사이에 위치될 수 있는 개방 위치를 채택하도록 편향된다.
본 발명의 클리빙 기구 또는 스플라이싱 장치는 그립 부재로부터 배출된 광섬유의 클리빙된 부분을 수용하도록 배열되는 폐기물 저장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한 장치는 상기 장치에 의해 클리빙되고 스플라이싱될 광섬유를 체결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개별의 체결 장치를 더 포함한다. 유리하게, 상기 장치는 광섬유를 클리빙 및/또는 스플라이싱하는 동안 광섬유에 체결되는 체결 블럭을 유지하도록 배열되는 하나 이상의 유지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유지 수단은 예컨대, 클리빙 기구와 스플라이싱 기구 사이에서 체결 블록이 이동하게 하거나 이동할 수 있게 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추가로 또는 대안으로, 이 유지 수단은 체결 블럭에 의해 체결되는 광섬유의 단부들 서로에 대해 위치되도록 배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의 실시예에서, 상기한 장치는 예컨대 광섬유들 중 하나 이상을 통해 전송되는 빛에 의해 체결 블럭에 의해 체결되는 광섬유의 단부들의 정렬 및/또는 근접성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광학 모니터링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모니터링 시스템은 당업자에게 널리 공지되어 있다. 상기한 장치는 예컨대 모니터링 시스템에 의해 얻어지는 정렬 및/또는 근접성 정보를 사용하여 유지 수단에 의해 체결 블럭에 의해 체결되는 광섬유의 단부들의 정렬 및/또는 근접성을 제어하는 제어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유리하게, 상기한 장치는 특히 유지 수단은 체결 블럭에 의해 체결되는 광섬유의 단부들을 위치결정하기 위한 압전 기구(또는 다른 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이 클리빙 장치 또는 기구는 이동식 공구, 특히 휴대용 공구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클리빙 기구 및/또는 스플라이싱 기구가 전동식, 보다 바람직하게는 배터리 동력식이다.
아래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일례로서 본 발명의 일부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이동식 스플라이싱 장치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2a는 스플라이싱 장치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b는 도 2a의 상세도이다.
도 3a는 스플라이싱 장치의 제1 실시예의 다른 (부분)도면이다.
도 3b는 도 3a의 상세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이동식 스플라이싱 장치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는 스플라이싱 장치의 제2 실시예의 다른 (부분) 도면이다.
도 5b는 도 5a의 상세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스플라이싱 장치의 제2 실시예의 다른 (부분)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클리빙 기구의 일부분의 부분적으로 단면인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클리빙 기구의 다른 도면이다.
도 9a 및 도 9b는 도 7 및 도 8의 클리빙 기구의 다른 도면이다.
도 10은 도 7 내지 도 9의 클리빙 기구의 일부 부품의 상세도이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이동식 스플라이싱 장치(hand-held portable splicing device; 1)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스플라이싱 장치는 광섬유 스플라이싱 기구(optical fibre splicing mechanism; 3) 및 광섬유 클리빙 기구(optical fibre cleaving mechanism; 5)를 포함한다.
광섬유 클리빙 기구(5)는 도 2 및 도 3에 가장 명확히 도시된다. 이 광섬유 클리빙 기구(5)는 스코어링 휠(scoring wheel; 7) 형태의 스코어링 블레이드(scoring blade)를 포함하는데, 이 스코어링 휠(7)은 휴대 이동식 스플라이싱 장치(1)에 의해 유지되는 광섬유(9)에 접근하여 균열내기(scoring)를 실행할 수 있도록 실질적으로 휠의 평면에서 이동가능하다. 도시된 바와 같이, 광섬유(9)는 그 위에 체결된 체결 블럭(clamping block; 11)을 구비한다. 이 체결 블럭(11)은 제1 부재(13) 및 2개의 제2 부재(15)를 포함하는데, 이들 제2 부재(15)는 제1 부재(13)와 각각의 제2 부재(15) 사이에서 광섬유(9)를 체결하기 위해 (예컨대, 자기 인력 또는 그외 다른 부착 기구에 의해) 제1 부재(13)에 부착가능하다. (광섬유(9)가 체결되어 있는) 체결 블럭(11)은 휴대 이동식 스플라이싱 장치(1) 내의 수용 슬롯(17) 형태의 유지 수단 안으로 삽입되어, 휴대 이동식 스플라이싱 장치(1) 내의 개구(19) 내에 광섬유(9)의 단부 부분이 수용되고 체결된다. 체결 블럭(11) 및 광섬유(9)가 이렇게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열되면, 체결 블럭(11)과 개구(19) 사이로 연장되는 광섬유(9)의 일부분(21)은 스코어링 휠(7)에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배향된다. 그러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섬유 클리빙 기구가 (바람직하게 키패드(23)에 의해 전기적으로) 작동되어, 스코어링 휠(7)이 광섬유(9)에 접근하여 광섬유(9)에 균열(벤 자국)이 생성되게 한다. 광섬유(9)의 클리빙(cleaving)은 클리빙 기구의 모루(도시 안됨)에 의해 완성되는데, 이 모루는 광섬유의 일부분(21)을 편향시켜서, 광섬유의 균열 생성형 표면(scored surface)으로부터 광섬유를 통해 균열이 전파되게 한다. 이러한 클리빙은 광섬유(9)의 새로운 단부면을 생성시키며, 이 단부면은 광섬유의 종축선과 실질적으로 수직이다.
도 1a 및 도 1b를 다시 참조하면, 휴대 이동식 스플라이싱 장치(1)의 광섬유 스플라이싱 기구(3)는 피봇형 스크린(pivoting screen; 25)에 의해 광섬유 클리빙 기구(5)로부터 분할된다. 광섬유(9)가 일단 클리빙되면, 이에 의해 광섬유의 새로운 수직 단부면을 발생시키고, 체결 블럭/섬유 조립체가 광섬유 클리빙 기구(5)로부터 수동으로 제거되고 광섬유 스플라이싱 기구(3) 내에 설치된다.(체결 블럭(11)은 다음의 스플라이싱 작동을 위해 광섬유(9) 상에 체결된 상태로 유지된다.) 광섬유 스플라이싱 기구(3)는 정밀 스테이지(precision stage; 27) 형태(대체로 도시된 바와 같이 홈(groove) 형태)인 유지 수단을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2 광섬유가 일단 클리빙되면, 체결 블럭/섬유 조립체(즉, 여전히 체결 블럭이 체결되어 있는 광섬유)는 광섬유 클리빙 기구(5)로부터 수동으로 제거되며, 또한 광섬유 스플라이싱 기구(3)의 정밀 스테이지(27) 내에 설치되며, 2개의 광섬유의 새로운 단부면이 서로 마주하도록 배향된다.(즉, 제2 광섬유는 제1 광섬유에 대해 정확하게 반대 방향 즉, 180도로 배향된다.
다음에, 정밀 스테이지(27)에 의해, 스플라이싱될 2개의 광섬유(9)가 정렬되어 융합 스플라이싱(fusion splicing)을 위해 정확한 단부-대-단부로 근접하게 된다. 이들 광섬유는 각각의 체결 블럭(11)을 통해 서로에 대해 이동되며, 체결 블럭(11)은 그 자체가 압전 기구(piezoelectric mechanism)에 의해 또는 다른 기구(예컨대 전기 모터)에 의해 정밀 스테이지(27) 상에 이동된다. 2 개의 광섬유의 정확한 정렬 및 근접 위치결정은 모니터링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광 모니터링/제어 시스템에 의해 자동으로 제어될 수 있다. 이러한 모니터링/제어 시스템은 이들 광섬유 중 하나 이상을 따라 및/또는 이들 광섬유 중 하나 이상을 가로질러 전송되는 빛을 이용하며, 광섬유를 가로질러 및/또는 광섬유의 단부면으로부터 검출되는 빛에 근거하여 광섬유의 정확한 위치결정을 모니터링 및/또는 제어한다.
2 개의 광섬유(9)의 단부면들이 융합 스플라이싱을 위해 서로에 대해 일단 정확하게 위치되면, 광섬유 스플라이싱 기구(3)의 전극(도시 안됨)에 의해 스플라이싱이 실행되며, 이 광섬유 스플라이싱 기구(3)는 고 집중화된 상승된 온도에 의해 함께 섬유의 단부면을 융합시키는 전하를 생성시킨다. 융합 과정 동안, 2 개의 광섬유 단부면은 정확하며 무결함의 융합을 보장하기 위해 서로에 대해 가압될 수 있다. 또한, 피봇형 스크린(25)은 평평하게 배향되어, 전하로부터 작업자를 보호하도록 스플라이싱 기구 및 광섬유를 실질적으로 덮는다. 융합 스플라이스가 생성되고 광섬유가 냉각되면, 체결 블럭(11)으로부터 제2 부재(15)가 제거되어, 융합된 광섬유가 휴대 이동식 스플라이싱 장치(1)로부터 제거될 수 있게 된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스플라이싱 장치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를 도시한다. 휴대 이동식 스플라이싱 장치(1)는 광섬유 스플라이싱 기구(3), 광섬유 클리빙 기구(5), 키패드(23), 및 피봇형 스크린(25)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광섬유 스플라이싱 기구(3) 및 광섬유 클리빙 기구(5)가 서로에 대해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열되어, 클리빙되고 스플라이싱될 광섬유들을 유지하는 체결 블럭(11)이 서로에 대해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된다는 점을 제외하고,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와 유사하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광섬유 클리빙 기구(5)는 도 5 및 도 6에 상세히 도시된다. 이러한 광섬유 클리빙 기구(5)는 2 쌍의 광섬유 그립 부재(fibre gripping member) 및 중심 모루(central anvil; 29)를 포함하는데, 이들 광섬유 그립 부재의 각각의 쌍은 스코어링 휠 형태의 광섬유 스코어링 블레이드(7)의 각각의 측면 상에 위치한다. 광섬유 그립 부재의 각각의 쌍은 바람직하게 전기 제어 패널(23)에 의해 전기적으로 이동가능한 이동식 그립 부재(33) 및 고정식 그립 부재(31)를 포함한다. 사용 중에, 이동식 그립 부재(33)는 각각의 고정식 그립 부재(31)로부터 멀어지게 이동되어, 이들 그립 부재 사이에 광섬유를 삽입할 수 있도록 이들 그립 부재 사이에 간극(gap)을 제공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 블럭(11) 내에 체결된 광섬유(9)가 클리빙 기구 내에 위치되어, 체결 블럭의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광섬유의 일부분(21)이 그립 부재 각각의 쌍의 고정식 그립 부재(31)와 이동식 그립 부재(33) 사이에 위치된다. 이때,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이동식 그립 부재(33)는 각각의 고정식 그립 부재(31)를 향해 이동되어, 이들 그립 부재 사이에 광섬유를 체결한다.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때 스코어링 블레이드는 광섬유 내에 균열을 생성시키도록 광섬유에 대항해서 이동된다. 그러면, 중심 모루(29)는 2 쌍의 그립 부재 사이로 광섬유에 대항해서 이동되며, 2 쌍의 그립 부재 사이의 영역 내에서 광섬유를 약간 편향시키도록 광섬유를 가압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루(29)는 광섬유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배향된 중심 홈을 포함하며, 이러한 중심 홈은 광섬유에 인접하게 위치한다. 광섬유는 이들 2 쌍의 그립 부재 사이에서 (즉, 모루 내의 홈의 양 측면 상에서) 스코어에 마주하는 광섬유의 양 측면 상에 광섬유를 편향시키는 모루(29)에 의해 벽겨된다. 이러한 편향은 균열이 스코어로부터 광섬유를 통해 전파되게 하여, 종축선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한 섬유의 새로운 단부면을 생성시킨다. 섬유에 대항해서 이동하는 스코어링 블레이드와 후속하여 모루(29)에 의해 편향되는 광섬유에 대한 대안으로서, 스코어링 블레이드(7)는 실질적으로 고정될 수 있으며, 대신에 스코어링 및 균열 전파는 광섬유 대해 모루를 압축하여 스코어링 블레이드에 대해 광섬유를 압축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광섬유 클리빙 기구의 여러 양상들을 도시한다. 도시된 클리빙 기구는 본 발명의 제1 양상에 따른 스플라이싱 장치의 부품일 수 있거나, 본 발명의 제2 양상에 따른 클리빙 기구일 수 있다.
광섬유 클리빙 기구(5)는 스코어링 블레이드(45)(도 9 참조) 및 한 쌍의 마주하는 그립 부재(35)를 포함한다. 그립 부재(35)는 각각의 피봇 지점(37)을 중심으로 피봇하도록 배열되며, 각각의 피봇축은 그립 부재에 의해 그립되는 광섬유(9)의 종축선에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배향된다. 사실상 그립 부재(35) 각각은 피봇 아암(39), 및 광섬유(9)에 가장 가까운 피봇 아암의 단부와 결합하는 별도의 그립 부재(41)를 포함한다. 클리빙 기구가 사용 중이 아닐 때, 그립 부재(35)의 피봇 아암(39)은 도 7의 화살표(P)로 나타낸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각각의 스프링(43)(도 8 참조)에 의해 편향되어, 2 개의 마주하는 그립 부재(41) 사이에 간극이 제공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섬유의 단부 영역이 반대측 그립 부재(41) 사이에 연장될 때 까지, 클리빙하고자 하는 광섬유가 삽입 실린더(insertion cylinder; 43) 안으로 삽입된다. 클리빙 기구가 (바람직하게 전자식으로) 작동될 때, 피봇식 아암(39)은 적용된 피봇 토크에 의해 도 7의 (피봇에 대한) 화살표(P)로 나타낸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러한 피봇식 아암(39)의 회전에 의해, 각각의 그립 부재를 사용한 각각의 피봇식 아암(39)의 연동으로 인해 그립 부재(41)가 서로 가압된다. 결국, 그립 부재(35)는 광섬유(9)를 그립하고, 도 7의 (인장에 대한) 화살표(T)로 나타낸 방향으로 당김력(pulling force)을 인가하며, 이것은 광섬유를 인장 하에 놓이게 한다. 그러면, 광섬유(9)는 편향 모루(deflecting anvil; 47)와 협력하여 스코어링 블레이드(45)에 의해 클리빙되는 한편, 광섬유는 그립 부재(35)에 의해 인가된 인장 하에서 유지된다. 이후, 광섬유(9)의 클리빙된 부분은 그립 부재(35)에 의해 폐기물 저장기(49) 안으로 배출된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로는 다이아몬드 블레이드인) 스코어링 블레이드(45)가 블레이드 지지부(51)에 의해 지지된다. 도 8,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편향 모루(47)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모루(29)의 홈과 동일한 목적의 기능을 하는 홈(53)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들은 옥스포드 파이버 엘티디.(Oxford Fiber Ltd.)(이하, "옥스포드")의 유럽특허 제0985160호 및 미국특허 제6578747호와 비교하여 이해될 수 있다. 상기한 옥스포드의 특허들은 이격된 한 쌍의 체결 수단 사이에 모루 및 블레이드 수단을 갖는 클리빙 공구에 한정되며, 체결 수단은 사이의 광섬유의 길이를 유지 또는 그립 및 "견인 인장(traction tension)"하는 것으로 기재되어 있다. 이들 옥스포드의 특허들은, 클리빙 블레이드(13)가 광섬유에 균열을 내는 한편, 모루(10)와 체결 수단(5) 사이의 한정된 간격(예컨대, 1mm)에 삽입되는 추가 부재(26)와 모루(10) 또는 고정식 체결 수단(5) 중 하나와 모루(10)의 긴밀하게 인접하는 섬유-편향 코너 사이에서 광섬유가 구부러진다.
상기한 옥스포드의 특허들과 반대로, 본 발명의 클리빙 공구의 구성은 상이한 유리한 메카니즘을 제공하는데, 클리빙 블레이드가 각방향-이동식(이하, "회전식") 섬유-편향 부재, 바람직하게는 회전식 이중 모빌과 연결되는데, 이 회전식 이중 모빌은 광섬유 체결 부재로부터 (바람직하게 1 cm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 2 cm 이상 만큼) 넓게 분리될 수 있다. 이러한 본원의 클리빙 공구 메카니즘은 첨부된 도면의 도 11 내지 도 15로부터 일례를 통해 보다 완전히 이해될 수 있으며, 이들 도면은 도 7 내지 도 10에 이미 도시된 구조물의 특징을 보다 상세히 도시하고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편향 모루(47) 및 이와 연결된 클리빙 블레이드 지지부(51)를 도시하는데, 이러한 편향 모루(47)는 회전식 이중 모루 블럭이다. 별도의 레버-작동식 체결 수단(C)(도 7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된 바와 유사함)은 모루/블레이드 조립체 아래의 양호한 위치에서 광섬유(F)에 견인 인장력을 인가하도록 배열된다.
도 14 및 도 15는 모루의 다른 측면(상술한 레버-작동식 클램프(C)로부터 먼 측면) 상에서 광섬유(F)를 그립하는 다른 체결 부재(60)의 개폐 상태를 각각 나타낸다. 이러한 체결 부재(60)는 모루로부터 클램프(C)의 간격과 유사한 정도로, 또는 보다 큰 정도로 광섬유를 따라 블레이드 및 모루 조립체로부터 멀리 떨어져 이격된다.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회전식 모루 조립체의 작동을 보다 상세히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에 도시된 광섬유(F)는 이 광섬유가 가로 모루(1, 2)를 가로질로 연장되도록 광섬유-측면-위치결정 로드(R)의 안내 홈(G) 내에 위치된다. 이중 모루 블럭은 모루 블럭 내에 형성된 슬롯(slot) 내의 도시된 이동-제어 로드(R')에 의해 부분적으로 제어되며 화살표(A)의 방향으로 회전가능해서, 우측에서 좌측으로(화살표(A')) 각도 방향으로 모루를 이동시키며 좌측에서 우측으로(화살표(A")) 각도 방향으로 모루를 이동시킨다. 도 13은 굽어진 광섬유를 스코어링(균열내기) 및 클리빙(쪼개기)하도록 이러한 각도 방향 이동에 의해 블레이드(62)의 이동이 준비된 모루(1, 2)의 반대-작동식 모서리 둘레로 광섬유(F)가 구부러진 후의 조립체를 도시한다. 클리빙된 후, 모루 블럭은 클리빙하고자 하는 다음 광섬유를 기꺼이 수용하는 시작 위치로 복귀된다.
대안으로서, 모루들 중 어느 하나가 광섬유에 관해 어느 정도 유지되는 한편 다른 하나가 모루들의 반대-작동식 모서리 사이에서 광섬유를 구부러뜨리도록 각도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회전식 이중 모루 블럭을 배열시킬 수 있다.
로드(R)의 가이드 홈(G)은 바람직하게 홈 내부에서 광섬유(F)의 비교적 자유로운 종방향 이동이 가능할 정도의 크기를 갖는 한편, 필요한 종방향 견인은 본 발명의 상기한 원격-위치의 클램프에 의해 광섬유에 적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모루/블레이드 조립체의 부근과 클램프의 이러한 분리는 다음과 같은 장점을 제공하는데 즉, 공구의 제조를 단순화시키며, 도 7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였듯이, 안전한 폐기를 위한 적합한 폐기물 저장기(49) 안으로 각각의 연속하는 광섬유의 벗겨진 단부 부분을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 또는 "발사" 작동을 레버-작동식 클램프(C)가 제공할 수 있게 해 준다는 장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회전식 광섬유 편향 구조물은 물론 상기한 바와 같은 광섬유 클리빙 기구의 임의의 다른 특징들과 결합될 수도 있다.

Claims (17)

  1. 광섬유를 클리빙하기 위한 광섬유 클리빙 장치로서,
    광섬유 클리빙 수단, 및
    광섬유를 그립하고, 상기 광섬유가 클리빙되는 동안 당김력을 적용하여 상기 광섬유가 인장 하에 놓이도록 배열되는 하나 이상의 그립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그립 부재 또는 그립 부재들은 상기 광섬유가 일단 클리빙되면 상기 광섬유의 클리빙된 부분을 배출시키도록 배열되는,
    광섬유 클리빙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섬유의 클리빙된 부분은 상기 광섬유가 클리빙된 후 상기 광섬유의 클리빙된 부분에 상기 당김력을 계속해서 적용하는 상기 그립 부재 또는 그립 부재들에 의해 배출되는,
    광섬유 클리빙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 부재 또는 그립 부재 각각은 상기 광섬유가 클리빙된 후 상기 광 섬유의 클리빙된 부분에 대한 그립을 해제하는,
    광섬유 클리빙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 부재 또는 그립 부재 각각은 상기 그립 부재에 의해 그립되는 광섬유의 종축선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배향된 축선을 중심으로 피봇 운동하도록 배열되는,
    광섬유 클리빙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 부재 또는 그립 부재 각각에 의해 광섬유에 적용되는 상기 당김력은 상기 그립 부재에 피봇 토크를 적용함으로써 적용되는,
    광섬유 클리빙 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 부재들은 사이에 광섬유를 끼워서 상기 광섬유를 그립하도록 배열되는 마주하는 한 쌍의 그립 부재를 포함하는,
    광섬유 클리빙 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 부재들은, 상기 그립 부재들에 의해 그립될 광섬유를 상기 그립 부재들이 그립한 후에 상기 광섬유 클리빙 장치가 작동될 때 까지, 상기 광섬유가 상기 그립 부재들 사이에 위치될 수 있는 개방 위치를 채택하도록 편향되는,
    광섬유 클리빙 장치.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 부재들은, 마주하는 레버의 마주하는 단부가 클리빙하고자 하는 광섬유를 수용할 수 있는 간극을 제공하도록 분리되는 제1 위치로부터, 상기 광섬유를 클리빙하는 동안 상기 간극 내에 위치되는 광섬유를 그립하고 인장력을 적용하도록 상기 마주하는 단부가 (상기 제1 위치에서 보다) 함께 보다 근접하는 제2 위치까지, 광섬유의 종축선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인 피봇 축선을 중심으로 각도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마주하는 레버를 포함하며, 상기 마주하는 레버는 상기 마주하는 단부가 (상기 제2 위치보다) 추가로 이격되는 제3 위치를 향해 상기 제2 위치를 너머서 동일한 정도로 각도 방향으로 추가로 이동가능해서 상기 광섬유의 클리빙된 부분을 배출시키는,
    광섬유 클리빙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광섬유 클리빙 장치의 작동은 상기 레버의 각도 방향 이동을 실행시키는,
    광섬유 클리빙 장치.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 부재 또는 그립 부재들로부터 상기 광섬유의 배출된 클리빙된 부분을 수용하도록 배열되는 폐기물 저장기를 더 포함하는,
    광섬유 클리빙 장치.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섬유 클리빙 수단은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광섬유 클리빙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는 광섬유에 균열을 내도록 배열된 스코어링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광섬유 클리빙 장치.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광섬유를 스플라이싱하기 위한 스플라이싱 장치 내의 광섬유 스플라이싱 기구와 함께 합체되는,
    광섬유 클리빙 장치.
  14. 광섬유를 클리빙하기 위한 광섬유 클리빙 장치로서,
    광섬유 클리빙 수단, 및
    광섬유를 그립하고, 상기 광섬유가 클리빙되는 동안 당김력을 적용하여 상기 광섬유가 인장 하에 놓이도록 배열되는 복수의 그립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광섬유 클리빙 수단은 상기 광섬유가 클리빙되는 동안 상기 광섬유를 구부리기 위한 2 개의 대향 작동식 광섬유 편향면을 갖춘 회전식 광섬유 편향 부재와 결합되는,
    광섬유 클리빙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식 광섬유 편향 부재는 광섬유 클램핑 부재와 넓게 분리되어 있는,
    광섬유 클리빙 장치.
  16. 제 14 항 또는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식 광섬유 편향 부재는 회전식 이중 모루인,
    광섬유 클리빙 장치.
  17. 제 14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광섬유 클리빙 장치와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광섬유 클리빙 장치가 조합되는,
    광섬유 클리빙 장치.
KR1020077019631A 2005-02-02 2006-01-10 광섬유 클리빙 장치 KR1011594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0502091.2 2005-02-02
GBGB0502091.2A GB0502091D0 (en) 2005-02-02 2005-02-02 Optical fibre splicing device
PCT/GB2006/000090 WO2006082355A1 (en) 2005-02-02 2006-01-10 Optical fibre cleaving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4921A true KR20070104921A (ko) 2007-10-29
KR101159458B1 KR101159458B1 (ko) 2012-06-25

Family

ID=343078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19631A KR101159458B1 (ko) 2005-02-02 2006-01-10 광섬유 클리빙 장치

Country Status (23)

Country Link
US (1) US7805045B2 (ko)
EP (2) EP1853953B1 (ko)
JP (1) JP5243044B2 (ko)
KR (1) KR101159458B1 (ko)
CN (2) CN101111789B (ko)
AT (2) ATE459891T1 (ko)
AU (1) AU2006210673B2 (ko)
BR (2) BRPI0606743A2 (ko)
CA (1) CA2596704C (ko)
DE (2) DE602006012707D1 (ko)
DK (2) DK1936413T3 (ko)
ES (2) ES2339904T3 (ko)
GB (1) GB0502091D0 (ko)
IL (1) IL184924A0 (ko)
MX (1) MX2007009288A (ko)
NO (1) NO341080B1 (ko)
NZ (2) NZ561104A (ko)
PL (1) PL1853953T3 (ko)
PT (2) PT1853953E (ko)
RU (2) RU2377617C2 (ko)
UA (2) UA96943C2 (ko)
WO (1) WO2006082355A1 (ko)
ZA (2) ZA20070733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6036330A1 (de) 2006-08-03 2008-02-07 Ccs Technology Inc., Wilmington Vorrichtung zum Spleißen von Lichtwellenleiterabschnitten
DE202008002887U1 (de) * 2008-02-29 2008-04-24 CCS Technology, Inc., Wilmington Vorrichtung zum Trennen mindestens eines Lichtwellenleiters
JP5624604B2 (ja) * 2009-04-17 2014-11-12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プロパティズカンパニー ブレードレス光ファイバ切断工具
US8306382B2 (en) * 2010-02-01 2012-11-06 Corning Cable Systems Llc Methods, cleavers, and packagings for cleaving an optical fiber using an abrasive medium
JP2012053418A (ja) * 2010-09-03 2012-03-15 Tyco Electronics Japan Kk 光ファイバ切断工具
JP2012168260A (ja) * 2011-02-10 2012-09-06 Star Micronics Co Ltd 光ファイバ切断装置
US9377583B2 (en) 2012-02-14 2016-06-28 Thorlabs, Inc. Optical element cleaver and splicer apparatus and methods
EP2872937A2 (en) * 2012-07-12 2015-05-20 Tyco Electronics Raychem BVBA Optical fiber cleaving mechanism and method of use
US11280963B2 (en) 2017-08-29 2022-03-22 CommScope Connectivity Belgium BVBA Optical fiber clamp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925070C2 (de) * 1979-06-21 1982-05-06 Siemens AG, 1000 Berlin und 8000 München Vorrichtung zum Trennen von mehreren in einem Kabel vereinigten Lichtwellenleitern
US4372048A (en) * 1980-01-14 1983-02-08 Thomas & Betts Corporation Optical fiber cleaver with puller
US4474319A (en) * 1982-04-09 1984-10-02 Gte Products Corporation Hand held fiber optic cleaving tool
US4662710A (en) 1982-12-03 1987-05-05 Amp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breaking an optical fiber
US4643520A (en) 1983-03-10 1987-02-17 Allied Corporation Method of terminating fiber optic connector without polishing optical fiber
GB8822619D0 (en) * 1988-09-27 1988-11-02 Amp Holland Method of & apparatus for breaking optical fiber
US5125549A (en) * 1990-01-25 1992-06-30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scoring and breaking an optical fiber
US5108021A (en) * 1990-08-31 1992-04-28 Ensign-Bickford Optics Company Cleaving tool for optical fibers
FR2693804B1 (fr) * 1992-07-17 1994-09-02 Souriau & Cie Procédé et dispositif de clivage d'une fibre optique.
DE29504071U1 (de) * 1994-03-15 1995-07-20 Minnesota Mining & Mfg Vorrichtung zum Trennen optischer Fasern
US5501385A (en) * 1994-12-08 1996-03-26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United States Department Of Energy Large core fiber optic cleaver
WO1996033430A1 (en) * 1995-04-20 1996-10-24 Oxford Fiber Optic Tools Limited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fiber optic cleaving
GB2308361B (en) * 1995-12-19 1999-07-14 Tritec Developments Ltd Improved optical fibre cleaver
JP3475034B2 (ja) * 1997-01-31 2003-12-08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光ファイバ融着接続装置
GB9711133D0 (en) * 1997-05-30 1997-07-23 Murgatroyd I J Device for cleaving angled ends onto optical fibers
JP3813357B2 (ja) * 1998-09-10 2006-08-23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光ファイバ切断器
JP3813369B2 (ja) * 1999-01-05 2006-08-23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光ファイバ切断器
JP4403478B2 (ja) 2000-04-11 2010-01-27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光ファイバカッタ
US6688207B2 (en) * 2001-01-12 2004-02-10 Delaware Diamond Knives, Inc. Dual blade cleaver
JP2003333720A (ja) * 2002-05-13 2003-11-21 Fujikura Ltd 端末処理装置
JP3877005B2 (ja) * 2004-03-15 2007-02-07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光ファイバ切断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TE446526T1 (de) 2009-11-15
US20080310812A1 (en) 2008-12-18
UA93040C2 (ru) 2011-01-10
DE602006009904D1 (de) 2009-12-03
JP5243044B2 (ja) 2013-07-24
RU2482524C2 (ru) 2013-05-20
GB0502091D0 (en) 2005-03-09
KR101159458B1 (ko) 2012-06-25
WO2006082355A1 (en) 2006-08-10
US7805045B2 (en) 2010-09-28
MX2007009288A (es) 2007-09-11
DE602006012707D1 (de) 2010-04-15
IL184924A0 (en) 2007-12-03
ES2339904T3 (es) 2010-05-26
CA2596704A1 (en) 2006-08-10
NO341080B1 (no) 2017-08-21
RU2008101550A (ru) 2009-07-27
BRPI0621971A2 (pt) 2011-07-19
CN101111789B (zh) 2010-05-26
ES2333900T3 (es) 2010-03-02
UA96943C2 (ru) 2011-12-26
DK1853953T3 (da) 2010-02-15
BRPI0606743A2 (pt) 2009-07-07
RU2377617C2 (ru) 2009-12-27
CN101111789A (zh) 2008-01-23
JP2008529097A (ja) 2008-07-31
ATE459891T1 (de) 2010-03-15
NZ585655A (en) 2010-09-30
CN101276021B (zh) 2010-07-21
NZ561104A (en) 2010-09-30
AU2006210673B2 (en) 2010-10-28
ZA200903201B (en) 2010-04-28
AU2006210673A1 (en) 2006-08-10
PL1853953T3 (pl) 2010-03-31
EP1936413B1 (en) 2010-03-03
DK1936413T3 (da) 2010-05-10
PT1853953E (pt) 2009-12-24
PT1936413E (pt) 2010-04-21
EP1853953A1 (en) 2007-11-14
ZA200707330B (en) 2009-08-26
CA2596704C (en) 2014-07-08
NO20074467L (no) 2007-09-03
RU2007129677A (ru) 2009-03-10
EP1853953B1 (en) 2009-10-21
CN101276021A (zh) 2008-10-01
EP1936413A1 (en) 2008-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9458B1 (ko) 광섬유 클리빙 장치
EP2419773B1 (en) Bladeless optical fiber cleaver
US539502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ngle cleaving ribbon fiber
US5382276A (en) Method and apparatuses for cutting a ribbon of an optical fibers obliquely
JP5344624B2 (ja) 光接続器およびこれを用いた光ケーブルの接続方法
JP2003043288A (ja) 多心光ファイバ一括処理方法及び装置
JP4810361B2 (ja) 光ファイバ切断工具および切断方法
US848893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echanically cleaving a stripped end section of an optic fiber core
US20210080651A1 (en) Optical fiber clamp
US8419297B2 (en) Apparatus for mechanically splicing optic fibers
EP1027957B1 (en) An apparatus for performing a polishing operation on a fibre of a fibre optic cable in a cable termination
JPH06214172A (ja) 光ファイバへの光入射方法および光カプラ
EP113042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ligning and splicing of optical fibers
JPH08198636A (ja) 光ファイバの切断器、融着接続装置及び融着接続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