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03448A - 조립식 외관 유닛 - Google Patents

조립식 외관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03448A
KR20070103448A KR1020077018518A KR20077018518A KR20070103448A KR 20070103448 A KR20070103448 A KR 20070103448A KR 1020077018518 A KR1020077018518 A KR 1020077018518A KR 20077018518 A KR20077018518 A KR 20077018518A KR 20070103448 A KR20070103448 A KR 200701034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file
unit
carrier
facade
halv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185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쥴리어스 써너
Original Assignee
쥴리어스 써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쥴리어스 써너 filed Critical 쥴리어스 써너
Publication of KR200701034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344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2Arrangements for cleaning building facad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00Cleaning windows
    • A47L1/02Power-driven machines or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8Curtain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Abstract

본 발명은 대체로 장방향의 플레이트부(16)와, 그의 에지 영역에 장착된 프로파일 요소를 구비하는 조립식 외관 유닛(2)으로서, 상기 플레이트부(16)의 적어도 2개의 대향하는 좁은 측부(17) 상에 있는 상기 프로파일 요소는 서로 쌍으로 끼워맞춰지고 작동 위치에서 볼 때 후측에 대해 대체로 장방형으로 상기 플레이트부의 에지 영역으로부터 돌출하는 캐리어 프로파일 반부(18, 19; 34, 35)로서 설계되고, 상기 프로파일 요소는 와이퍼형 외관 세척 요소(7)용의 구동 수단(29)을 수용하는 추가적인 프로파일 채널(27, 28)을 구비하는 조립식 외관 유닛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조립식 외관 유닛{PREFABRICATED FACADE UNIT}
본 발명은 유리 플레이트, 바람직하게는 박층 유리 플레이트 또는 절연 유리창 등의 대체로 장방형의 플레이트부와, 그의 에지 영역에 장착된 프로파일을 구비한 조립식 외관 유닛에 관한 것이다.
특히, 외벽 유리 공사, 유리 외관용의 절연 유리틀을 구비한 조립식 외관 유닛을 사용하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예컨대, 유럽 특허 공개 공보 EP 599 264 A 참조). 장착시의 공지된 외관 유닛은 선택적으로 목재 기둥과 함께 플레이트부에 고정되는 유지 프로파일에 의해 지지체 프로파일 등의 지지 구조체에 고정된다. 이에 따라, 균일하고 정렬된 외관 유닛을 포함하는 외관을 최종적으로 얻기 위한 장착은 비교적 노동 집약적이고 시간 소모적이며, 또한 광범위한 조정 작업을 필요로 한다.
국제 특허 공개 공보 WO 01/43614 A에는, 자동 세척 장치를 이러한 외관에 제공하는 것이 공지되어 있는바, 이로써 특수한 수직방향 가이드 레일 유닛이 유리면을 상호 연결하는 프로파일, 즉 외관 유닛에 고정 설치되고, 이 수직방향 가이드 레일 유닛은 와이퍼 스트립 유닛과 연결된 캐리어용의 수직방향 가이드 채널을 포함한다. 이 수직방향 가이드 채널은 와이퍼 스트립 유닛용 캐리어가 확실하게 연결되는 연속적인 구동 요소, 즉 치형 벨트를 구비한다. 또한, 외관 유닛 및 외관 세척 장치를 장착하는 것은 비교적 복잡하고 귀찮은 일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건물에 단순하고 신속하며 정교하게 장착할 수 있고, 특히 외관 세척 장치의 설치를 위한 필수 부품도 구비하는 배경기술란에 기재된 유형의 조립식 외관 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건설 현장에서 후속적으로 장착하는 것보다 단순하고 정확한 플랜트를 조립할 때에 외관 유닛의 사전 장비로서 소정의 장착 수단 및 소정의 외관 세척 장치를 수용하는 수단을 갖는 플랜트를 제조할 때에 별도의 외관 유닛을 미리 갖추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청구항 1의 특징을 갖는 조립식 외관 유닛을 제공하며, 종속항은 장점적인 실시예 및 보다 발전된 사항을 요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구성에 의하면, 전술한 목적은 외관 세척 장치의 최종 설치를 위해 필수적인 요소를 단순하고 신속하게 장착할 뿐만 아니라 건물에 조립식 외관 유닛을 극도로 단순, 신속하고 문제없이 장착할 수 있는 장점적인 방식으로 만족된다. 플레이트부, 특히 박층 유리ㅇ플레이트 또는 절연 유리 플레이트를 적어도 2개의 좁은 대향 측부, 바람직하게는 모든 4개의 좁은 측부 상에 캐리어 프로파일 반부를 사전에 갖춤으로써, 건설 현장에서 별개의 외관 유닛을 나란하게 그리고/또는 적층하게 간단히 배치할 수 있으므로, 프로파일 반부는 그 후에 서로 결합되어 수직방향 및/또는 수평방향 캐리어 프로파일을 박스 형태로 완성할 것이다. 또한, 특히 수직방향 프로파일 반부는 와이퍼형 외관 세척 요소를 위한 구동 수단을 수용하는 추가적인 프로파일 채널을 미리 쌍으로 구비한다. 이들 구동 요소는, 국제 특허 공개 공보 WO 01/43614 A에 공지된 바와 같은 연속적인 구동 수단, 예컨대 치형 벨트(체인, 로프 등)로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각각의 외관 세척 요소용의 캐리어부는 원래 공지된 방식으로 추후에 추가적인 프로파일 채널 내에 도입되는 구동 수단과 확고하게 연결된다. 이로써, 본 발명에 따르면, 프로파일 채널 또는 각각의 캐리어 프로파일 반부의 2개의 프로파일 채널 중 하나는 외관 세척 요소를 위한 캐리어부의 통로용의 측방향 개구를 포함한다.
물론, 상하로 이동가능한 외관 세척 요소(와이퍼 스트립)를 포함하는 외관 세척 장치가 제공되는 경우, 작동 또는 장착 위치에서 수직인 프로파일 반부와 같은 구동 수단 프로파일 채널을 갖는 단지 한 쌍의 캐리어 프로파일 반부를 형성할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세척 요소를 포함하는 구성도 고려할 수 있으며, 수평방향 프로파일 반부는 구동 수단용의 프로파일 채널과 함께 형성되어야 할 것이다.
완성된 지지체 프로파일의 영역에 습기, 먼지 등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서로 끼워맞춰지는 캐리어 프로파일 반부가 상호 접합 하에서의 결합을 위한 프로파일 레그를 포함하면 유리하며, 상호 접합을 위해 의도된 각각의 프로파일 레그 중 적어도 하나는 인접한 외관 유닛의 연관된 프로파일 레그에 대한 견고한 접합을 위한 시일을 이송한다. 더욱이, 이러한 시일은 제조 공차를 회피할 수 없는 경우에도 캐리어 프로파일 반부를 견고하게 폐쇄할 수 있으며, 단순한 완충 장치 및 절첩에 의해 조립식 외관 유닛을 건물에 적절하게 고정하는 경우, 보다 상세하게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절첩식 캐리어 프로파일 반부의 추가적인 연결이 필요 없게 된다. 그러나, 플레이트부가 캐리어 프로파일 반부에 의해 형성되는 경우, 플레이트부 상에 강성의 프로파일 프레임 구조를 얻기 위해 예컨대 나사 등에 의해 코너 영역 내에 이러한 프로파일 반부를 각각 연결하는 것이 적당하다.
외관 세척 요소의 매끄럽고 문제없는 이동을 보장하기 위해, 프로파일 채널 또는 각각의 캐리어 프로파일 반부의 2개의 프로파일 채널 중 하나는 구동 수단의 적어도 하나의 롤러 또는 활주 요소를 위한 가이드 채널을 형성하면 유리할 것이다. 이들 롤러 또는 활주 요소는 특히 캐리어부의 영역 내에 제공되어, 바람직하지 못한 일시적인 들뜸 또는 "덜거덕거림" 없이 세척 요소, 즉 와이퍼 스트립이 외관 유닛의 외측면, 특히 유리 플레이트의 외측면 상에 균일한 접합으로 일정하게 안내되도록 캐리어부와 세척 요소의 정확한 선형 운동을 보장한다.
결합하는 별개의 외관 유닛 사이의 전이 영역 위에서도 세척 요소의 매끄러운 운동을 보장하기 위해, 가이드 채널을 구비하는 캐리어 프로파일 반부 중 하나가 바람직하게 합성 물질로 이루어진 (프로파일 채널 내에 삽입되어 작동 위치에 있는 조인트를 인접한 외관 유닛에 도달하는) 중개 부재를 포함하면 유리하다. 이들 중개 부재는 각각 플러그인 부품에 의해 각각의 프로파일 반부 또는 보다 정확하게는 가이드 채널에 인접한 프로파일 채널 내로 돌출하며, 상기 플러그인 부품은 조인트 내의 가이드 채널의 안내면을 연장하는 가이드부와 확고하게 (일체로) 연결된다. 가이드부의 높이 또는 길이는 조인트의 폭과 상응한다. 또한, 중개 부재의 플러그인 부품은 미리 삽입된 하나의 외관 유닛 내에 도달할 수 있고, 장착 시에 반대측 상의 각각의 인접한 외관 유닛 내로 막힐 수도 있다. 중개 부재는 사출 성형 부품의 형태인 합성 물질, 폴리아미드(나일론), ABS 등을 포함하는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인접한 플레이트부(절연 유리 플레이트 등) 사이의 세척 요소(지지체)를 위한 캐리어부의 선택적이고 견고한 안내를 위해, 추가적인 프로파일 채널을 포함하는 2개의 캐리어 프로파일 반부 중 하나가 프로파일 채널(들)의 영역 내에 있는 중앙 레일을 이송하면 특히 유리하며, 이 중앙 레일은 플레이트부의 좁은 측부의 영역 내로 연장한다. 이러한 중앙 레일은 캐리어 부재 또는 세척 요소 지지체를 견고하게 접합할 수 있도록 시일을 구비할 수 있다. 이들 시일은, 예컨대 립 시일의 형태인 프로파일 반부, 상기 시일 상에 제공된 상응하는 시일 반대측에 위치되어, 캐리어 부재 또는 세척 요소 지지체 외측의 영역 내에서 서로에 대해 직접 접합하고 캐리어부를 통과할 때 떨어져서 강제될 수 있다.
인접한 외관 유닛 사이에 있는 가능한 조인트가 장착된 작동 위치에서 바람직하지 못한 충격 지점이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그의 단부 중 하나 상에 있는 중앙 레일이 인접한 외관 유닛의 중앙 레일로 연결하기 위한 조인트 중개 요소를 이송하면 유리하다. 전술된 가이드 중개 부재와 마찬가지로, 이들 조인트 중개 요소는 각각 조립식 외관 유닛에 사전 장착될 수 있으며, 외관 유닛의 장착 시에 필요한 것은 적절한 인접 또는 슬립인(slip-in) 혹은 슬립온(slip-on)에 의한 각각의 인접한 외관 유닛으로의 연결이다. 이러한 사전 장착을 위해, 중앙 레일의 단면이 T자 형상이고 중앙 레일이 바람직하게 개재된 시일을 거쳐 프로파일 채널의 영역 내에 있는 프로파일 홈 내의 횡방향 웨브와 결합하면 중앙 레일의 견지에서 유리하다.
플레이트부의 좁은 측부에 인접한 에지 영역 내에 있는 캐리어 프로파일 반부는 간단한 접착에 의해 플레이트부와 연결될 수 있다. 물론, 프로파일 반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플레이트부, 특히 유리 플레이트의 좁은 측부를 고정하거나 둘러쌀 수 있는 경계를 형성하거나 또는 고정하는 프로파일 섹션을 제공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조립식 외관 유닛을 단순한 완충 장치에 의해 건물에 간단하게 장착하기 위해, 작동 위치에서 수직인 캐리어 프로파일 반부가 건물 고정식 지지체에 조절가능하게 고정하기위한 돌출 연결부를 구비하면 특히 유리하다. 연결부는 후크 형상이 바람직하며, 아래쪽으로 배향된 후크 개구를 갖는 각각의 건물 고정식 지지체 상에서 미끄러진다. 이들 연결부 및 특히 후크 형상의 연결부의 영역에 있어서, 연결부의 중개부 상에 제공되고 장착 위치에 수직인 조정 나사는 건물 고정식 지지체에 대해 외관 유닛의 높이를 정교하게 조절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이들 연결부는 건설 현상에 있는 외관 유닛의 조립은 실지로 서로 단지 미끄러지거나 또는 특히 완충 장치에 의해 건물 고정식 지지체 상에서 미끄러질 수 있도록 제조 플랜트에 사전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요지는 본원의 외관 유닛에 의해 구성된 외관뿐만 아니라 본원의 외관 유닛에 제공된 캐리어 프로파일 반부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해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특히 유리 플레이트로 형성된 (세척될) 외관 유닛을 포함하는 건물 외관의 개략도(수직방향으로 변위가능한 와이퍼 스트립은 외관 유닛의 수직방향 열 각각을 위한 세척 장치로서 제공됨),
도 2는 2개의 외관 유닛 사이의 연결 영역에서의 도 1의 II-II선에 따른 횡단면도,
도 3은 인접한 외관 유닛이 없는 (완충 장치에 의해 건물에 이미 장착된 위칭 있는) 조립식 외관 유닛을 통한 각각의 횡단면도
도 4는 인접한 외관 유닛이 없는, 건물로부터 매달린 작동위치에 있는 외관 유닛을 통한 종단면도,
도 5는 (인접하고 상호 절첩되는 캐리어 프로파일 반부에 의한 수평방향 지지체의 형성을 볼 수 있는) 장착 상태에 있는 2개의 인접한 중첩한 외관 유닛 사이의 수평방향 연결 영역에서의 종단면도,
도 6은 지지체 내의 완충 장치에 의해 건물 상에 외관 유닛을 고정하기 위해 필수적인 구성요소를 나타낸 개략적인 측면도,
도 7 및 도 7A는 서로 중첩하고 인접한 외관 유닛 사이의 중앙 레일의 영역에서 조인트 중개 요소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조인트 위에서 충격없는 방식으로 외관 세척 요소를 이송하기 위한 롤러 또는 활주 블록을 안내하도록, 서로 중첩하고 인접한 외관 유닛 사이의 조인트 내에 있는 프로파일 반부의 가이드 채널 내의 안내면을 여정하는 가이드부를 갖는 조인트 중개 부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9는 가이드 채널의 반대 안내면 상의 적어도 3개의 롤러 그룹을 적용함으로써 전이 부재 없이 인접한 외관 유닛 사이의 조인트를 마찰 없이 통과할 수 있는 복수의 롤러를 구비한, 외관 세척 요소용의 구동 수단의 캐리어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1은 외관 표면(3) 상에 제공되어 세척될 외관 유닛(2)을 갖는 건물(1)의 개략적인 도면이다. 외관 유닛(2)은 예컨대 수직방향 조인트(4)와 수평방향 조인트(5)에 의해 서로 분리되며, 와이퍼 스트립(7)을 구비하는 외관 세척 장치(6)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수직방향 조인트(4)를 거쳐 상하로 변위가능하다. 국제 특허 공개 공보 WO 01/43614 A에서와 마찬가지로, 와이퍼 스트립(7) 각각은 외관 유닛(2)의 수직방향 열을 따라 이중 화살표(8)와 같이 수직방향으로 변위가능하며, 특히 치형 벨트의 형태인 연속적인 구동 수단이 제공되어 도 1에서는 상세하게 도 시하지 않지만 외관 유닛(2)의 수직방향 좁은 측부의 영역에 배치되고, 각각의 구동 구단은 외관 표면(3)의 상하측 상에 각각 제공된 치형 휠(9, 10) 위에 걸치고, 상기 치형 휠(9, 10) 각각은 함께 회전하도록 공통 샤프트 상에 장착되며, 점선으로 도 1에 도시한 공통 구동 샤프트(11) 상에 예컨대 상부 치형 휠(9)이 제공된다. 구동 샤프트(11)는 개략적으로 도시된 고정 배치된 모터(12)에 의해 구동된다.
또한, 도 1은 외관 유닛(2)의 영역 내에 제공된 분사 노즐(15)에 세척 유체를 공급하기 위한 차단 밸브(14)를 구비한 주 공급 라인(13)을 도시한다. 이들 분사 노즐(15)은 외관 표면(3)의 높이를 지나 발생되는 압력 강하를 보상하기 위해 건물(1)의 높이 이상으로 변화되는 노즐 단면 또는 거리를 가질 수 있다. 도 4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분사 노즐(15)은 별개의 외관 유닛(2) 내의 수평방향 영역 내에 수용될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세척제와 함께 보충되는 물이 특히 세척 유체로서 사용된다.
도 2는 플레이트부(16)를 포함하는 2개의 수평방향으로 인접한 외관 유닛(2A, 2B)(각각의 외관 유닛(2)(또는 2A, 2B 등) 사이의 연결 영역을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종래에는 플레이트부(16)는 박층 유리 플레이트(절연 유리)로 이루어지고, 이하 유리 플레이트(16)로 지칭한다. 장착된 작동 위치에서 본 후방, 즉 건물(1)을 대면하는 측 상에 있는 각각의 유리 플레이트(16)는, 수직방향 좁은 측에 인접한 에지 영역에서(도 3 참조), 박스 형상의 폐쇄된 지지체 프로파일(섹션)(20)을 형성하는 수직방향 캐리어 프로파일 반부(18, 19)를 포함한다. 서로 일치하도록 설계된 2개의 프로파일 반부(18, 19)는 한쪽에는 프로파일 레그(21, 22)에 의해 서로 결합하고, 다른 한쪽에는 프로파일 레그(21, 23; 22, 24)에 의해 서로 결합되며, 프로파일 반부(19) 중 하나의 프로파일 홈 내에 있는 개재된 시일(25, 26)을 거쳐 서로 인접한다. 프로파일 반부(18, 19) 사이에는 기계식 및/또는 강제 고정 연결부사 제공되지 않는다.
프로파일 반부(18, 19)는 구동 수단(29)을 수용하기 위한 프로파일 채널(27, 28)과 함께 형성되며,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의 상기 구동 수단(29)은 전방 프로파일 채널(27) 내의 전방 주행부(30) 및 후방 프로파일 채널(28) 내의 후방 주행부(31)를 갖는 연속적인 구동 수단(29)으로서 설계된다. 연속적인 구동 수단(29)은 느슨함이 없이 구동할 수 있도록 치형 벨트(32)의 형태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각의 프로파일(18, 19)은 접착제 부분(33)에 의해 종래 방식으로 후방의 연관된 플레이트부(16)에 고정된다. 소망한다면, 프로파일 반부(18, 19)는 플레이트부(16)를 고정식으로 파지하거나 또는 둘러싸는 프로파일 레그를 포함할 수도 있고, 이 프로파일 레그는 도면에 상세하게 도시하지는 않는다.
각각의 외관 유닛(2 또는 2A, 2B)에 대한 수직방향 프로파일 반부(18, 19) 각각은 수평방향 캐리어 프로파일 반부(34, 35)와 확고하게 연결된다(도 2 내지 도 5 참조). 이러한 연결은, 예컨대 도 2의 각각의 수직방향 프로파일 반부(19)로부터 연관된 수평방향 프로파일 반부(35) 내로 나사 결합되는 나사(36, 37, 38)에 의해 실현된다. 건물(1)에 대면하는 후방에 있는 외관 유닛(2) 각각은 프로파일 요소를 서로 밀어서 다른 외관 유닛으로의 연결을 할 수 있도록 4개의 모든 측으로 개방된 프로파일 요소를 포함하는 장방형 프로파일 프레임을 포함한다. 도 4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수평방향 조인트(5)(도 1 참조)의 영역에서, 수평방향 캐리어 프로파일 반부(34, 35)는 수직방향 프로파일(18,19)과 유사한 방식으로 개재된 시일(44)을 거쳐 프로파일 레그(40, 41, 42, 43)에 의한 장착 시에 서로 삽입된다.
변형례로서, 도 4 및 도 5에 점선으로 나타낸 강화 프로파일(45′)은 각각 외관 유닛(2)의 상부 프로파일 반부(34)에 부착됨으로써 특히 강성의 수평방향 지지 구조체(45)를 보장한다(도 4 참조). 강화 프로파일(45′)의 단면은 T자 형상이고, 수직방향 레그(45″)에서 강화 프로파일(45′)은 건물(1)에 장착시에 조립식 외관 유닛(2) 각각을 들어올리기 위해 크레인 후크를 걸 수 있거나 또는 크레인 로프를 부착할 수 있도록 개구(상세하게 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형성된 조립식 외관 유닛 또는 요소(2)는 (연속적인 구동 수단(29) 없이) 건물(1)에 장착되며, 장착 시에 인접한 외관 유닛(2)의 각각의 프로파일 반부는 위에서 지적된 바와 같이 서로 간단하게 밀어진다. 더욱이, 별개의 외관 유닛은 후크 형상의 연결부(47)를 이용하여 그들의 상부 에지 영역에 의해 건물 고정된 지지체(46)(도 2, 도 4 및 도 5, 특히 도 6 참조) 상에 매달린다. 나사(48)에 의한 후크 형상의 연결부(47)는 그의 상부 에지 상에 각각의 프로파일 반부(18, 19)의 각각의 후방 레그(21, 23)에 나사 결합되며, 보강 레일(49, 50)은 나사(48)와 결합하는 나사산 형성된 구멍을 갖고 프로파일 레그(21, 23)의 양측에 제공된다.
한편, 지지체(46)는 만곡된 상부 플랜지 림(53)을 갖는 U자형 프로파일 레 일(52), 및 나사(54)에 의해 천정부(51) 내에 고정되며, 상기 나사(54)는 장착 시에 높이의 관점에서 천정부(51)에 대해 지지체(46)에 적합할 수 있다. 장착 후에, 공통 바닥 충전부, 코팅부 또는 바닥부(55)는 천정부(51)에 적용된다(도 4 및 도 5 참조). 레일(52)은 천정부(51) 내에 형성된다.
조절 나사(57)용의 안착부를 연결부(47) 상에 형성하기 위해, 지지체(46)는 전방 자유 단부(56) 상에 상측으로 각을 이룬다(특히, 도 6 참조). 조절 나사(57)는 연결부(47)의 중개부(58)를 통과할 수 있다.
외관 유닛(2)을 장착한 후에, 지지부(61), 연관된 연속적인 구동 수단(29) 및 연관된 캐리어부(60)를 따르는 전술한 와이퍼 스트립 유닛(7)은 현재의 외관(3)을 위한 세척 요소로서 외관 유닛(2)의 수직방향 열 마다 장착된다(도 2 참조). 국제 특허 공개 공보 WO01/43614 A호에 공지된 바와 같은 캐리어부(60)는 개재된 치형 벨트(32)와 서로 나사 결합되고 내측 블록부(62)를 거쳐 와이퍼 스트립 유닛(7)을 위한 판상의 각을 이룬 지지부(61)와 연결된 2개의 블록부로 이루어지며, 적어도 하나의 롤러 요소(63)는 상기 연결 영역 내에 회전식으로 장착된다. 이론적으로, 이러한 롤러(63)는 저마찰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활주 요소로 교체될 수도 있다. 롤러 또는 활주 요소(63)는 와이퍼 스트립(7)의 상하 운동 시에 프로파일 채널(27)을 따라 캐리어부(60)의 균일한 운동을 보장하도록 전방 프로파일 채널(27)의 가이드 채널(64) 내에 배치된다.
도 9의 측면도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몇 개의, 예컨대 5개의 롤러(63)는 중첩하게 블록부(62) 상에 저널 결합되며, 롤러(63)의 회전축은 전체의 캐리어(60)의 접합을 가이드 채널(64)의 일측 및 타측에 교호적으로 보장하기 위해 수평방향으로 서로에 대해 약간 편위된다. 몇몇의 롤러(63)가 항상 가이드 채널(64) 내에서 그의 양측부 상에 각각 인접하기 때문에 (도 9에서 점선으로 도시된) 조인트 영역의 매끄러운 통로를 보호할 것이므로, 조인트(5)의 영역에서 경사지는 것을 방지한다.
더욱이, 도 9 및 도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와이퍼 스트립 유닛(7) 각각은 하우징(71) 외부로 돌출하고 외관 유닛(2)의 절연 유리(16)의 외측 유리 표면에 대해 놓이는 와이퍼 스트립(70)을 포함한다. 하우징(71)은 도 2의 참조부호(72)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세척 요소 지지체(61)와 나사 결합된다. 와이퍼 스트립(70)은 선택적으로 수평방향으로 변위가능한 방식으로 하우징(71) 내에 유지되는 별개의 프로파일 홀더(73)(도 9 참조) 내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롤러(74)는 와이퍼 스트립 하우징(71)의 양측부 상에 회전식으로 장착되며, 롤러(74)는 조인트 프로파일 커버(75, 75′) 상에 선택적으로 인접함으로써, 그 후 롤러(74)의 후측 운동시에 와이퍼 스트립 홀더(73)와의 롤러 샤프트(75)(도 9)의 연결부를 거쳐 프로파일 홀더(73)를 하우징(71) 내에 삽입시킬 수 있다. 각종 유형의 조인트 커버는 도 4에서 참조부호(75, 75′, 75″)로 도시되어 있으며, 외관 유닛(2)의 플레이트부(16)가 종래의 방식으로 수평방향 조인트 및 분리 프로파일(77, 78)에 의해 선택적으로 분할될 수 있다는 것은 명백하다. 프로파일 반부(18, 19, 34, 35)의 이전 설명된 프레임 형상의 구성도 역시 균일한 외관 유닛(2)을 제공한다.
도 4에서, 이들 분리 프로파일(77) 중 하나에서, 분사 노즐(15′)도 마찬가 지로 각각의 조인트 커버(75′)의 영역 내에 제공될 수 있다. 종래의 방식으로 분사 노즐(도 1의 15)(도 4의 15′)을 세척제 라인(13)에 연결하는 것은 예컨대 호스 덕트 또는 관을 거쳐 실현될 수 있으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하지는 않는다.
도 2에서, 중앙 레일(80)은 2개의 인접한 외관 유닛(2A, 2B) 사이의 영역에 배치되고 프로파일 반부(18, 19) 상에 제공된 시일(82)과 협동하는 시일(81)을 거쳐 프로파일 반부(18, 19) 사이의 영역 내에 수직방향 조인트(4)의 밀봉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 명백하며, 이 경우 시일(81, 82)은, 외관 유닛(2)의 수직방향 좁은 측부를 따라 그리고 시일(81, 82) 사이에서 지지체(61)가 상하 운동됨에 따라 각각의 와이퍼 스트립 지지체(61)의 밀봉 및 안내를 제공한다. 중앙 레일(80)은, 도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그의 전방부 상에서 내측으로 치형을 갖는 U자형 프로파일(83)에 의해 폐쇄되고 실질적으로 T자형 단면을 가지며, 후방 웨브(84)는 개재된 시일(85)을 거쳐 특수한 프로파일 홈(86) 내에 유지된다. 적절한 방식으로, 이러한 중앙 레일(80)은 장착 전 및 장착 시에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립식 외관 유닛(2)의 수직방향 측면에 사전 고정된다. 도 3에서, 조립식 외관 유닛(2) 자체는 구동 수단(29)과 함께 와이퍼 스트립 유닛(7)(상호관계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 도 3에 도시함)을 이송하지 않는다.
도 7에서, 전방에 부착된 U자형 프로파일(83)은 하부 외관 유닛의 중앙 레일(80)로부터 상측으로 돌출할 수 있고(도 2), 조인트 영역(5) 내의 거리에도 불구하고 수직방향으로 중앙 레일(80, 80')의 정확한 배향을 보장하기 위해, 외관 유닛(2')의 중앙 레일(80')과 연결된다. 이를 위해, 장착된 외관 유닛(2')의 중앙 레일(80')은 편위된 방식으로 하단부로 시작하는 U자형 프로파일(83')을 갖는다. 도 7에서, 내측으로 배치된 웨브 부분(84)이 더욱 명확하다.
도 7에 따른 돌출형 U자 프로파일(83)의 변형례로서, 수직방향 섹션으로 H형인 조인트 중개 요소(87)는 조립식 외관 유닛 중 하나, 예컨대 상부 외관 유닛 상에서 중앙 레일(80')에 사전 고정될 수도 있으며, 장착 시에 하측 개구(88)에 의해 중개 요소(87)는 그 아래에 배치된 외관 유닛의 아래에 있는 중앙 레일(80)의 보다 좁은 부분에 슬립온 및 고정되며, 이 부분은 예컨대 상측부 상에 모떼기 가공되거나 만곡된다.
도 8은 수직으로 중첩된 외관 유닛 사이의 프로파일 반부(18, 19)의 가이드 채널(64) 내의 안내면을 연장하기 위한 조인트 중개 부재(89)를 도시한다. 조인트 중개 부재(89)는 충격없는 방식으로 수평방향 조인트(5) 위의 외관 세척 요소를 따라 이송하기 위한 롤러 요소(63) 또는 활주 부재를 안내한다. 중개 부재(89)의 부착을 위해 돌출 브래킷(90)이 제공되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파일 반부(18)의 각각의 프로파일 채널(27) 내에 간단히 삽입된다. 이에 따라, 조인트 중개 부재(89)는 인접하게 배치된 프로파일 반부(18) 중 적어도 하나 내에 잘 안착되어 미끄럼을 방지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기술된 외관 유닛(2)의 장착 시에 선택적으로 사전 장착된 중앙 레일(80), U자형 프로파일(83) 및/또는 조인트 중개 요소(87) 등과 함께 플레이트부 또는 유리 플레이트(16)에 부착되고 바람직하게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 프로파일 반부(18, 19, 34, 35)와 조립된 후에, 외관 유닛(2)은 차례로 그리고 중 첩하게 외관(3)에 부착되며, 프로파일 반부(35)와 유사한 프로파일 반부의 열은 외관 유닛(2)의 최외측 열이 먼저 부착될 수 있기 위해 외관(3)의 바닥부에 부착될 수 있다. 외관 유닛(2)을 장착한 후에, 캐리어부(60)와 세척 요소 지지체(61)를 갖는 구동 수단(29)은 프로파일 채널(27, 28) 내에 장착된 후에, 와이퍼 스트립 유닛(7)을 고정한다.
물론, 수평방향 조인트(5)는 중첩된 플레이트부(16)와 수직방향 프로파일 반부(18, 19)의 영역 내에 제공될 수 있지만, 장착 시에 서로 고정되는 수평방향 프로파일 반부(34, 35)에는 제공되지 않는다. 이와 관련하여, 외관 유닛(2)이 중첩하여 장착됨에 따라 수직방향 프로파일 반부(18, 19)와 같이 플레이트부(16)를 서로 직접 접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지만, 예컨대 각각의 수평방향 프로파일 반부(18, 19)가 가능한 초과 길이의 경우에 각각의 수평방향 프로파일 반부(34, 35)를 결합하면서 하나의 외관 유닛(2)의 적절한 장착을 방해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가능한 제조 공차뿐만 아니라 미관적인 이유 때문에 조인트(5) 또는 거리를 마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외관 유닛(2)의 높이는 각각의 건물(1)의 층 높이인데, 그 이유는 층 천정부에 내장된 지지체(46) 내에 있는 외관 유닛(2)을 매다는 것이 임의의 다른 현장에서 지지체를 부착하지 않고 가능해질 수 있기 때문이다.

Claims (24)

  1. 대체로 장방향의 플레이트부(16)와, 그의 에지 영역에 장착된 프로파일 요소를 구비하는 조립식 외관 유닛(2)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부(16)의 적어도 2개의 대향하는 좁은 측부(17) 상에 있는 상기 프로파일 요소는 서로 쌍으로 끼워맞춰지고 작동 위치에서 볼 때 후측에 대해 대체로 장방형으로 상기 플레이트부의 에지 영역으로부터 돌출하는 캐리어 프로파일 반부(18, 19; 34, 35)로서 설계되고,
    상기 프로파일 요소는 와이퍼형 외관 세척 요소(7)용의 구동 수단(29)을 수용하는 추가적인 프로파일 채널(27, 28)을 구비하는 조립식 외관 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서로 쌍으로 끼워맞춰지는 상기 캐리어 프로파일 반부(18, 19; 34, 35)는 상기 플레이트부(16)의 4개의 모든 측부 상에 제공되며, 상기 캐리어 프로파일 반부(18, 19) 중 한 쌍만이 구동 수단(29)을 수용하는 프로파일 채널(27, 28)과 함께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외관 유닛.
  3. 제2항에 있어서,
    작동 위치에서 볼 때, 수직방향 측면 상에 제공된 상기 캐리어 프로파일 반부(18, 19)는 상기 프로파일 채널(27, 28)과 함께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외관 유닛.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서로 끼워지는 상기 캐리어 프로파일 반부(18, 19; 34, 35)는 상호 접합한 상태에서 결합용으로 제공된 프로파일 레그(40-43)를 포함하며,
    상호 접합용의 상기 프로파일 레그(23, 24)는 인접한 외관 유닛(2)의 연관된 프로파일 레그(21, 22)에 대한 견고한 접합을 위한 시일(25, 26)을 이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외관 유닛.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2개의 프로파일 채널(27, 28) 각각은 연속적인 구동 수단(29)의 주행부(30, 31)를 수용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외관 유닛.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연속적인 구동 수단(29)은 치형 벨트(3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외관 유닛.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파일 채널, 또는 각각의 상기 캐리어 프로파일 반부(18, 19)의 2개의 프로파일 채널(27, 28) 중 하나(27)는 상기 외관 세척 요소(7)용의 캐리어부(62)를 통과시키는 측방향 개구(6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외관 유닛.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파일 채널, 또는 각각의 상기 캐리어 프로파일 반부(18, 19)의 2개의 프로파일 채널(27, 28) 중 하나는 상기 구동 수단(29)의 적어도 하나의 롤러 또는 활주 요소(63)를 위한 가이드 채널(64)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외관 유닛.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채널을 구비하는 상기 캐리어 프로파일 반부(18, 19) 중 하나는 상기 프로파일 채널(27) 내에 삽입되고 작동 위치에 있는 조인트(5) 내로 인접한 외관 유닛(2)에 도달하는 중개 부재(8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외관 유닛.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중개 부재(89)는 합성 물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외관 유닛.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적인 프로파일 채널을 포함하는 2개의 캐리어 프로파일 반부(18, 19) 중 하나(19)는 상기 프로파일 채널(들)의 영역 내에 있는 중앙 레일(80)을 이송하며, 상기 중앙 레일은 상기 플레이트부(16)의 좁은 측부(17)의 영역 내에서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외관 유닛.
  12. 제11항에 있어서,
    그의 단부 중 하나 상에 있는 상기 중앙 레일(80)은 인접한 외관 유닛의 중앙 레일(80')로의 연결을 위한 조인트 중개 요소(87)를 이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외관 유닛.
  13. 제5항, 제11항 및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그의 2개의 종방향 측부 상에 있는 선반 형상의 중앙 레일(80)은 상기 캐리어부 또는 작동 위치에 있는 인접한 캐리어부와 연결된 세척 요소 지지체(61)에 대한 접합을 위한 시일(81)을 이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외관 유닛.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레일(80)은 T자 단면을 갖고 프로파일 채널(28)의 영역 내에 제공된 프로파일 홈(86) 내의 횡방향 웨브(84)와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외관 유닛.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횡방향 웨브(84)는 개재된 시일(85)을 거쳐 상기 프로파일 홈(86) 내에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외관 유닛.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부(16)의 좁은 측부(17)에 인접한 에지 영역 내에 있는 상기 캐리어 프로파일 반부(18, 19; 34, 35)는 접착제(33)에 의해 상기 좁은 측부(17)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외관 유닛.
  17.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작동 위치에서 수직인 상기 캐리어 프로파일 반부(18, 19)는 건물 고정식 지지체(46)에 조절가능한 고정을 위한 돌출형 연결부(47)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외관 유닛.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47)는 후크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외관 유닛.
  19. 제17항 또는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47)는 상기 건물 고정식 지지체(46)에 대한 상기 외관 유닛(2)의 높이를 정교하게 조절하기 위한 조절 나사(57)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외관 유닛.
  20. 제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부(16)는 유리 플레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외관 유닛.
  21. 제1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부(16)는 박층 유리 플레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외관 유닛.
  22. 제1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부(16)는 박층 유리 플레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외관 유닛.
  23. 제1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외관 유닛용의 캐리어 프로파일 반부(18, 19; 34, 35).
  24. 제1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외관 유닛을 포함하는 외관.
KR1020077018518A 2005-01-12 2006-01-05 조립식 외관 유닛 KR2007010344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T0003605A AT501771B1 (de) 2005-01-12 2005-01-12 Vorgefertigtes fassadenelement
ATA36/2005 2005-01-1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3448A true KR20070103448A (ko) 2007-10-23

Family

ID=357447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18518A KR20070103448A (ko) 2005-01-12 2006-01-05 조립식 외관 유닛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20080141606A1 (ko)
EP (1) EP1836358B1 (ko)
JP (1) JP2008527206A (ko)
KR (1) KR20070103448A (ko)
CN (1) CN101103159A (ko)
AT (2) AT501771B1 (ko)
CA (1) CA2591928A1 (ko)
DE (1) DE502006004297D1 (ko)
RU (1) RU2007130672A (ko)
WO (1) WO2006074492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8915A (ko) * 2008-12-19 2015-01-23 브룬케베리 시스템스 에이비 다층 건물 상에 외장 부재들을 장착시키는 방법
CN106401033A (zh) * 2016-11-22 2017-02-15 华东建筑设计研究院有限公司 能复合控制建筑幕墙的启闭与推送擦窗机进出的工作装置
CN112112331A (zh) * 2020-09-22 2020-12-22 金华职业技术学院 一种能够调节的绿色节能建筑幕墙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0800186L (sv) * 2008-01-25 2009-07-26 Brunkeberg Industriutveckling Ab Ramsystem för uppbärande av fasadelement och metod för uppförande av fasadelement
CN102444229B (zh) * 2011-09-26 2013-08-07 北京城建亚泰建设工程有限公司 空间三向可调柔性幕墙连接件及其施工方法
CA2981769C (en) * 2015-04-13 2023-09-26 Henrik Falk A facade element and a rail for the facade element
CN110905109B (zh) * 2019-12-11 2021-03-26 广东大鹏幕墙科技有限公司 一种易于清洁的高层建筑玻璃幕墙
CN111956118B (zh) * 2020-08-07 2021-11-19 南京蹑波物联网科技有限公司 一种行走机器人
CN112112298B (zh) * 2020-09-26 2022-01-28 南京上柏建筑设计咨询有限公司 一种建筑保温幕墙结构
CN113463802B (zh) * 2021-08-17 2022-04-29 江苏和源兴建设股份有限公司 一种悬挂式玻璃幕墙
CN113818604B (zh) * 2021-09-13 2022-08-26 河南津大幕墙有限公司 一种具有自清洁功能的通风型节能玻璃幕墙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410487A (en) * 1920-04-05 1922-03-21 Mccarty Elonzo Clarence Window
US1766550A (en) * 1929-03-02 1930-06-24 Alma Adele Lindquist Automatic window cleaner
US1803722A (en) * 1929-04-22 1931-05-05 Morris R Moon Automatic window cleaner
US3354494A (en) * 1965-06-25 1967-11-28 Lockheed Aircraft Corp Window wiper mechanism
US3378875A (en) * 1966-05-17 1968-04-23 Eugene E. Kern Window cleaning device
JPS5317819B2 (ko) * 1972-04-12 1978-06-10
US4257138A (en) * 1979-07-23 1981-03-24 Nicholas Clements Automatic device for washing windows
JP2854152B2 (ja) * 1991-03-20 1999-02-03 株式会社竹中工務店 ガラスカーテンウォールの取付け構造
EP0538521B1 (en) * 1991-10-23 1997-10-01 Aston International Limited Cleaning apparatus for roof glazing
US5353466A (en) * 1991-12-04 1994-10-11 Smith Darrel L Rearview mirror wiper
JP2822116B2 (ja) * 1992-10-23 1998-11-11 ワイケイケイアーキテクチュラルプロダクツ株式会社 ユニット式カーテンウオール
DE4336142A1 (de) * 1993-10-22 1995-04-27 Pilz Technologie Gmbh Fassadenkonstruktion sowie Arbeitsaufzug und Verfahren zu ihrer Montage
JPH08117154A (ja) * 1994-10-27 1996-05-14 Katsuaki Tomita ビルディング外壁の自動清掃方法とその装置
US5699576A (en) * 1995-04-07 1997-12-23 Robert S. Tomko Exterior window cleaning apparatus
JP3661139B2 (ja) * 1998-04-28 2005-06-15 Ykk Ap株式会社 ユニット式カーテンウオール
JPH11336233A (ja) * 1998-05-27 1999-12-07 Ykk Architectural Products Inc カーテンウォールユニット、ユニット式カーテンウォール、カーテンウォールユニットの取付装置および取付方法
AT406730B (de) * 1998-09-10 2000-08-25 Thurnher Julius Reinigungsvorrichtung für die flügel von schiebefenstern oder -türen
AT407067B (de) * 1998-12-10 2000-12-27 Thurnher Julius Antriebseinrichtung für einen schiebeflügel
AT411728B (de) * 1999-12-16 2004-05-25 Thurnher Julius Reinigungsvorrichtung für eine fassadenfläche
IT1320562B1 (it) * 2000-07-28 2003-12-10 Salvatore Butindari Unita' di lavaggio automatizzato per finestre.
US6851156B1 (en) * 2002-02-21 2005-02-08 Cheryl Hairaton Window sky scraper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8915A (ko) * 2008-12-19 2015-01-23 브룬케베리 시스템스 에이비 다층 건물 상에 외장 부재들을 장착시키는 방법
CN106401033A (zh) * 2016-11-22 2017-02-15 华东建筑设计研究院有限公司 能复合控制建筑幕墙的启闭与推送擦窗机进出的工作装置
CN112112331A (zh) * 2020-09-22 2020-12-22 金华职业技术学院 一种能够调节的绿色节能建筑幕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6074492A1 (de) 2006-07-20
CA2591928A1 (en) 2006-07-20
RU2007130672A (ru) 2009-02-20
JP2008527206A (ja) 2008-07-24
CN101103159A (zh) 2008-01-09
DE502006004297D1 (de) 2009-09-03
EP1836358B1 (de) 2009-07-22
US20080141606A1 (en) 2008-06-19
ATE437274T1 (de) 2009-08-15
AT501771B1 (de) 2007-03-15
AT501771A1 (de) 2006-11-15
EP1836358A1 (de) 2007-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103448A (ko) 조립식 외관 유닛
ES2199886T3 (es) Dispositivo de limpieza para una superficie de fachada.
US11578485B2 (en) Curtain wall and wall element thereby applied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uch a wall element
US4614069A (en) Prefabricated curtain wall assembly
CA2644220C (en) Profiled rail system
KR101081394B1 (ko) 벽, 도어 또는 창문 부재
US8833843B2 (en) Sunroof unit and vehicle with a sunroof unit
SK19342000A3 (sk) Prípravok na prekrývanie medzier v podlahových krytinách a podobne
CA2645548A1 (en) Railing system
NO156284B (no) Transportoer omfattende lett monterbare bjelkeseksjoner.
GB2303399A (en) Mounting plastic door frames
EP2426309B1 (en) Sectional door
US10611605B2 (en) Elevator car including flatbar covering joint between adjacent wall elements
NL8101131A (nl) Inrichting voor het bevestigen van gevelpanelen aan een achterliggende draagconstructie.
KR102303616B1 (ko) 내진방수용 부착형클립의 코킹구조를 갖는 건축용커트시스템패널 연결조립체
JP4602329B2 (ja) エレベータのレール取付装置
CN1886565B (zh) 幕墙
RU2002104893A (ru) Устройство с элементами скольжения
JP6300563B2 (ja) 防水板
KR20060128792A (ko) 지붕 구조물용 세척장치
US20230122527A1 (en) A panel frame and a method for providing a panel
CA2374475A1 (en) Method and device for positioning and levelling bearings for assembling the floor and for other installation components in vehicles, in particular, in rail vehicles for transporting passengers
CN210216837U (zh) 一种建筑装饰幕墙快速连接装置
PT1020576E (pt) Fachada ou claraboia com uma estrutura de caixilho de perfis de ombreira e de pinazio
KR101351322B1 (ko) 청소기능을 갖는 커튼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