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1322B1 - 청소기능을 갖는 커튼월 - Google Patents

청소기능을 갖는 커튼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1322B1
KR101351322B1 KR1020070135829A KR20070135829A KR101351322B1 KR 101351322 B1 KR101351322 B1 KR 101351322B1 KR 1020070135829 A KR1020070135829 A KR 1020070135829A KR 20070135829 A KR20070135829 A KR 20070135829A KR 101351322 B1 KR101351322 B1 KR 1013513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d
wall
frame
rail
gla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58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67984A (ko
Inventor
유영동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0701358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1322B1/ko
Publication of KR200900679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79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13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13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00Cleaning windows
    • A47L1/02Power-driven machines or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1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leaning tool
    • B08B1/14Wipes; Absorbent members, e.g. swabs or sponges
    • B08B1/143Wip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2Arrangements for cleaning building faca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oad-Bearing And Curtain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청소기능을 갖는 커튼월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튼월은 건축물의 벽체에 설치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어 벽체를 구성하는 유리와; 상기 프레임을 따라 이동하면서 벽체를 구성하는 유리의 청소가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세척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세척장치는 상기 프레임의 가로 또는 세로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게 결합되는 이송레일과; 상기 이송레일에 결합되어 이송레일의 길이방향으로 왕복 이동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이송대차와; 상기 벽체를 구성하는 유리의 세로 또는 가로의 넓이에 상응하는 길이로 구성되며, 상기 이송대차에 하나 이상의 단부가 결합되어 상기 이송대차의 이동에 의해 상기 유리를 청소하는 와이퍼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은 작업자가 건축물의 외부에 매달리지 않고서도 건축물의 벽체를 구성하는 커튼월의 외부 청소가 와이퍼 구조를 통해서 자동 또는 수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기존의 커튼월의 구조를 유지하면서 커튼월의 청소를 위한 기능이 적용이 가능하다.
커튼월, 청소, 와이퍼, 레일, 이송부

Description

청소기능을 갖는 커튼월{CURTAIN WALL HAVING CLEANING FUNCTION}
본 발명은 청소기능을 갖는 커튼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튼월은 벽체를 유리(유리창)로 구성하여 외부의 환경(경치)에 대한 시야의 확보와 건축물의 외부 경관을 아름답게 형성하기 위하여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저층은 물론 고층의 건축물에도 이용되고 있는 커튼월은 외부의 청소(세척)을 위해서는 작업자가 직접 건축물의 외부에 매달리어 수작업으로 커튼월의 세척을 하여야만 하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청소 작업으로 인하여 작업자가 건축물의 외부에 매달리는 경우, 건축물에 대한 미관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커튼월의 외부를 청결하게 하기 위한 지속적인 유지관리 등의 지출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만 하는 부담이 발생하고 있다.
또한, 초고층 건축물의 경우는 건축물의 외부에 작업자가 매달리어 청소를 하는 경우, 작업자의 안전에 대한 위험도를 고려하여야만 하는 문제가 있을 뿐 아니라
외부의 용역인원에 매달리어 청소를 하는 경우, 오피스텔 등과 같이 거주 공간이 함께 구성되는 경우는 물론 사무실의 공간에 대한 사생활의 침해 또는 업무 공간에 대한 심리적인 불편함 등과 같은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커튼월이 설치된 공간을 이용하고 있는 사용자들의 불편함이 발생하지 않으면서도 커튼월의 청소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외부의 청소가 요구되는 종래의 커튼월에 대하여 발생하는 요구 또는 문제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인식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작업자가 건축물의 외부에 매달리지 않고 커튼월의 외부 청소를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목적은 건축물의 벽체를 구성하는 커튼월의 외부 청소가 와이퍼 구조를 통해서 자동 또는 수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목적은 기존의 커튼월의 구조를 유지하면서 커튼월의 청소를 위한 기능이 적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들 중 적어도 하나의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 형태와 관련된 청소기능을 갖는 커튼월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와이퍼가 이동수단에 의해 프레임에 결합된 유리의 가로 또는 세로 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유리면의 오염된 영역을 청소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기초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청소기능을 갖는 커튼월은 건축물의 벽체에 설치되는 프레임과; 프레임에 결합되어 벽체를 구성하는 유리와; 프레임을 따라 이동하면서 벽체를 구성하는 유리의 청소가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세척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세척장치는 프레임의 가로 또는 세로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게 결합되는 이송레일과; 이송레일에 결합되어 이송레일의 길이방향으로 왕복 이동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이송대차와; 벽체를 구성하는 유리의 가로 또는 세로의 넓이에 상응하는 길이로 구성되며, 이송대차에 하나 이상의 단부가 결합되어 이송대차의 이동에 의해 유리를 청소하는 와이퍼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이송대차는 이송레일에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본체와; 본체에 구비되며, 본체가 슬라이딩 구동이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휠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이송대차는 이송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리니어 베어링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다른 한편, 이송대차는 이송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동력 제공부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동력 제공부는 이송레일의 양단에 구비되는 롤러와; 어느 일 롤러에 결합되어 롤러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동력 발생부와; 롤러에 권취되고, 어느 일 영역이 이송대차에 결합되어 동력 발생부에 의해 제공되는 회전력을 직선방향의 동력으로 전환하여 이송대차에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동력 전달부는 와이어 또는 체인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다른 한편, 와이어 또는 체인은 이송레일의 내부에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이송레일은 이송대차가 일 측 또는 양측으로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이송레일은 이송대차의 일부 영역이 삽입되도록 구성되며, 삽입된 이송대차의 일부 영역이 이탈되지 않도록 이탈 방지턱이 구비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작업자가 건축물의 외부에 매달리지 않고 커튼월의 외부 청소를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건축물의 벽체를 구성하는 커튼월의 외부 청소가 와이퍼 구조를 통해서 자동 또는 수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의 커튼월의 구조를 유지하면서 커튼월의 청소를 위한 기능이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의 블록 단위의 벽체 또는 한 개의 층 단위 또는 건축물 전체 영역에 대한 커튼월의 청소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청소기능을 갖는 커튼월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가장 적합한 실시예들을 기초로 하여 설명될 것이며,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과 같이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예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래 설명된 실시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있어서, 각 실시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 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들은 기본적으로 와이퍼가 이동수단에 의해 프레임에 결합된 유리의 가로 또는 세로 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유리면의 오염된 영역을 청소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기초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튼월(10)의 보다 구체적인 구성에 관한 일 예를 설명하면,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건축물의 벽체에 설치되는 프레임(110)과 상기 프레임(110)에 고정되는 유리(120), 그리고, 상기 유리(120)의 청소를 위한 세척장치(2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세척장치(200)는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프레임(110)에 결합되는 이송레일(210)과 상기 이송레일(210)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와이퍼(240)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와이퍼(240)는 이송대차(220)가 구비되어 상기 이송레일(210)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와이퍼(240)는 유리(120)의 가로 방향 또는 세로 방향의 폭과 상응하는 길이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와이퍼(240)는 상기 유리(120)와 접하는 영역이 연질로 구성되고, 다른 영역은 상기 연질의 영역이 유리(120)의 면을 가압하는 상태로 슬라이딩 되어 유리(120)에 묻은 이물질을 세척할 수 있도록 경질로 구성될 수도 있다.
다른 일 예로, 상기 와이퍼(240)는 단부의 구성이 상기 프레임(110)에 구비되는 이송레일(210)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리니어 베어링 등과 같은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다시 말해서, 와이퍼(240)의 단부 구조 자체가 리니어 베어링 등과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져 상기 이송레일(210)에 결합되고, 상기 이송레일(210)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이송레일(210)은 상기 와이퍼(240)의 단부에 구성되는 리니어 베어링과 상응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상기 와이퍼(240)의 슬라이딩 구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은 알려져 있는 일반적인 슬라이딩 구동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와이퍼(240)가 이동하여 유리(120)의 면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상기 와이퍼(240)는 이송대차(220)와 같은 이송수단에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이송대차(220)는 상기 프레임(110)에 결합되는 이송레일(210)에 결합되어 상기 이송레일(210)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우선, 상기 이송대차(220)는 도 3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와이퍼(240)의 어느 일 영역이 고정되는 결합부(221a)가 구비되는 바디(221)와 상기 바디(221)에 결합되는 휠(22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다른 한편으로, 상기 휠(222) 대신에 상기 이송대차(220)의 바디(221)의 어느 일 영역이 리니어 베어링과 같이 슬라이딩 가능한 영역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이송대차(220)의 결합부(211a)는 와이퍼(240)의 어느 일 영역과 결합되어 상기 이송대차(220)의 이동시 상기 와이퍼(240)가 함께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이송대차(220)의 결합부(211a)는 와이퍼(240)와 결합이 용접과 같은 방식에 의해 결합될 수도 있고, 또는 다른 체결수단에 의해 결합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이송대차(220)는 도 3b에 도시된 것과 같이, 동력 제공부가 구비되어 상기 이송레일(210)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동력 제공부의 구성에 관한 일 예를 설명하면, 도르래와 같은 구성을 이루어 상기 이송대차(220)가 견인되어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은 상기 이송레일(210)의 길이 방향의 양단부에 롤러(231a,231b)를 구비하고, 상기 롤러(231a,231b)에 와이어 또는 체인 등과 같은 동력 전달부(224)를 구성하고, 상기 동력 전달부(224)의 어느 일 위치에 상기 이송대차(220)를 고정(결합)하여 상기 동력 전달부(224)가 상기 롤러(231a,231b)를 따라 이동할 때, 이송대차(220)가 함께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이송대차(220)는 그 바디(221) 자체에 상기 동력 전달부(224)가 결합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고, 또는 바디(221)에 별도의 고정부(223)를 구비하여 상기 동력 전달부(224)가 결합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사용자는 상기 동력 전달부(224)의 어느 일 영역(위치)를 당겨 상기 이송대차(220)가 이송레일(210)을 따라 이동하도록 작동할 수도 있다.
다른 한편, 상기 롤러(231a,231b) 중 어느 적어도 어느 하나의 위치에 모터 등과 같은 동력 발생부(232)를 구비하여 스위치의 작동에 의해 상기 동력 발생부(232)의 동력이 상기 동력 전단부(224)를 통해 이송대차(220)에 제공되어 이송대차(220)가 이송레일(210)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동력 발생부(232)는 제어부 등과 같은 시스템에 연결되어 상기 커튼월(10)에 구 비되는 유리(120)의 청소가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이러한 제어는 하나의 프레임 단위의 유리 또는 단위 블록을 구성하는 영역에 대한 청소가 수행 가능하게 제어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고, 또는 건축물의 각층 또는 복수의 층이나 건축물 전체 영역에 대한 전체 커튼월(10)의 청소가 수행 가능하게 제어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이송대차(220)가 결합되어 이동하게 되는 이송레일(210)은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프레임(110)과 상응하는 외관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프레임(110)의 가로 또는 세로위치에 결합되며, 상기 프레임(110)과 상응하는 폭과 길이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이송레일(210)은 상기 프레임(110)에 결합부재(215)를 통해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 경우, 결합부재(215)는 나사, 볼트 또는 리벳 등과 같은 일반적인 체결수단에 의해 결합이 이루어지거나, 또는 용접 등과 같은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나사 또는 볼트 등과 같은 체결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결합부재(215)에 의해 상기 이송레일(210)이 프레임(110)에 결합하는 경우, 상기 나사 또는 볼트의 머리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이송레일(210)은 결합부(211)의 영역에 홈(211a)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홈(211a)이 형성된 결합부(211)에는 나사 또는 볼트 등의 결합부재(215)의 체결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구멍(211b)이 더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홈(211a)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홈(211a)에는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캡(214)이 끼워질 수도 있다. 상기 캡(214)은 도시된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이송레일(210)에 형성되는 홈(211a) 의 형태에 따라 이에 상응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예는 결합부재(215)가 볼트로 구성되어 이송레일(210)이 프레임(110)에 결합되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 상기 프레임(110)에는 볼트의 단부가 결합되는 체결부(111)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프레임(110)은 류이(120)와의 접촉면의 일부 영역이 누수 등의 방지를 위하여 밀봉부재(112a)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밀봉부재(112a)는 종래의 커튼월을 구성하는 구조의 일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상기 프레임(110)과 유리(120) 사이의 영역에 밀봉부재(112a)가 배치되는 것과 같이, 상기 프레임(110)에 결합되는 이송레일(210)은 유리(120)와 접하는 일 단부 영역에 밀봉부재(112b)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밀봉부재(112b)의 역할은 프레임(110)과 유리(120) 사이의 영역에 배치되는 밀봉부재(112a)의 역할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른 한편, 상기 이송레일(210)의 일 단부에 유리(120) 또는 프레임(110)이 배치되지 않는 경우, 상기 이송레일(210)의 고정을 위하여 스페이서(113)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스페이서(113)는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프레임(110)과 이송레일(210) 사이의 공간을 매워 상기 이송레일(210)이 프레임(110)에 고정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프레임(110)에 결합되는 이송레일(210)은 일 단부 영역에 가이드부(212)가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부(212)는 상기 와이퍼(240) 자체에 슬라이딩 수단이 구비된 경우, 상기 슬라이딩 수단이 활주하는 공간(영역)으로 구성될 수 있 고, 이와 달리 상기 와이퍼(240)가 이송대차(220)에 결합되는 경우 상기 이송대차(220)의 휠(222) 또는 리니어 베어링 등과 같은 요소가 활주하는 공간(영역)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부(212)의 형태는 어느 하나의 구조에 한정되지 않고, 슬라이딩(활주)이 가능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이송대차(222) 등이 슬라이딩 영역이 휠(222) 또는 리니어 베이링 등과 같이 이루어져 상기 가이드부(212)와 맞물리어 슬라이딩 되는 경우, 서로의 맞물림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가이드부(212)에는 이탈 방지턱(212a)이 더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이송대차(220)가 와이어 또는 체인 등과 같은 동력 전달부(233)에 의해 이동력을 제공받는 경우, 상기 동력 전달부(233)가 상기 이송레일(210)의 내부에 수용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수용부(213)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이송레일(210)은 상기 가이드부(212)가 상기 결합부(211)를 기준으로 양측으로 대칭을 이루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이송대차(220)는 상기 양측으로 배치되는 가이드부(212) 모두에 구비되어 각각의 와이퍼(240)가 분리된 구조로 결합될 수도 있다.
이와 달리, 도시된 것과 같이, 와이퍼(240)는 하나의 단일 구조로 이루어져 두 영역의 유리(120)에 대하여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이송대차(220)는 상기 이송레일(210)의 어느 일 가이드부(212)에만 장착되거나, 또는 양 측 가이드부(212) 모두에 장착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 하나의 와이퍼(240)가 하나의 단일 영역의 유리(120)에 대하여 배치되도록 구성되거나, 또는 하나의 와이퍼(240)가 둘 이상 영역의 유리(120)에 대하여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건축물 전체에 구비되는 각각의 와이퍼(240)에 대한 작동은 시스템의 구성에 의해 동시에 이루어지거나, 또는 각각 개별적으로 또는 단위 영역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본원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능을 갖는 커튼월은 상기 설명된 각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능을 갖는 커튼월의 외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튼월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a는 도 2에 도시된 이송대차의 구조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이송대차의 외부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이송레일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커튼월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10 ... 커튼월 110 ... 프레임
112a,112b ... 밀봉부재 113 ... 스페이서
120 ... 유리 200 ... 세척장치
210 ... 이송레일 211 ... 결합부
212 ... 가이드부 213 ... 수용부
214 ... 캡 220 ... 이송대차
221 ... 바디 222 ... 휠
223 ... 고정부 224 ... 동력 전달부
231a,231b ... 롤러 232 ... 동력 발생부

Claims (9)

  1. 삭제
  2. 건축물의 벽체에 설치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어 벽체를 구성하는 유리와;
    상기 프레임을 따라 이동하면서 벽체를 구성하는 유리의 청소가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세척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세척장치는
    상기 프레임의 가로 또는 세로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게 결합되는 이송레일과;
    상기 이송레일에 결합되어 이송레일의 길이방향으로 왕복 이동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이송대차와;
    상기 벽체를 구성하는 유리의 세로 또는 가로의 넓이에 상응하는 길이로 구성되며, 상기 이송대차에 하나 이상의 단부가 결합되어 상기 이송대차의 이동에 의해 상기 유리를 청소하는 와이퍼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이송대차는 상기 이송레일에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구비되며, 상기 본체가 슬라이딩 구동이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휠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청소기능을 갖는 커튼월.
  3. 건축물의 벽체에 설치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어 벽체를 구성하는 유리와;
    상기 프레임을 따라 이동하면서 벽체를 구성하는 유리의 청소가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세척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세척장치는
    상기 프레임의 가로 또는 세로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게 결합되는 이송레일과;
    상기 이송레일에 결합되어 이송레일의 길이방향으로 왕복 이동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이송대차와;
    상기 벽체를 구성하는 유리의 세로 또는 가로의 넓이에 상응하는 길이로 구성되며, 상기 이송대차에 하나 이상의 단부가 결합되어 상기 이송대차의 이동에 의해 상기 유리를 청소하는 와이퍼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이송대차는 이송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리니어 베어링 구조로 이루어지는 청소 기능을 갖는 커튼월.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대차는 상기 이송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동력 제공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기능을 갖는 커튼월.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 제공부는
    이송레일의 양단에 구비되는 롤러와;
    상기 롤러에 결합되어 롤러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동력 발생부와;
    상기 롤러에 권취되고, 어느 일 영역이 이송대차에 결합되어 상기 동력 발생부에 의해 제공되는 회전력을 직선방향의 동력으로 전환하여 이송대차에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기능을 갖는 커튼월.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 전달부는 와이어 또는 체인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기능을 갖는 커튼월.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또는 체인은 이송레일의 내부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기능을 갖는 커튼월.
  8. 건축물의 벽체에 설치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어 벽체를 구성하는 유리와;
    상기 프레임을 따라 이동하면서 벽체를 구성하는 유리의 청소가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세척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세척장치는
    상기 프레임의 가로 또는 세로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게 결합되는 이송레일과;
    상기 이송레일에 결합되어 이송레일의 길이방향으로 왕복 이동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이송대차와;
    상기 벽체를 구성하는 유리의 세로 또는 가로의 넓이에 상응하는 길이로 구성되며, 상기 이송대차에 하나 이상의 단부가 결합되어 상기 이송대차의 이동에 의해 상기 유리를 청소하는 와이퍼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이송레일은 상기 이송대차가 일 측 또는 양측으로 배치되도록 구성되는 청소 기능을 갖는 커튼월.
  9. 건축물의 벽체에 설치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어 벽체를 구성하는 유리와;
    상기 프레임을 따라 이동하면서 벽체를 구성하는 유리의 청소가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세척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세척장치는
    상기 프레임의 가로 또는 세로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게 결합되는 이송레일과;
    상기 이송레일에 결합되어 이송레일의 길이방향으로 왕복 이동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이송대차와;
    상기 벽체를 구성하는 유리의 세로 또는 가로의 넓이에 상응하는 길이로 구성되며, 상기 이송대차에 하나 이상의 단부가 결합되어 상기 이송대차의 이동에 의해 상기 유리를 청소하는 와이퍼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이송레일은 이송대차의 일부 영역이 삽입되도록 구성되며, 삽입된 이송대차의 일부 영역이 이탈되지 않도록 이탈 방지턱이 구비되는 청소 기능을 갖는 커튼월.
KR1020070135829A 2007-12-21 2007-12-21 청소기능을 갖는 커튼월 KR1013513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5829A KR101351322B1 (ko) 2007-12-21 2007-12-21 청소기능을 갖는 커튼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5829A KR101351322B1 (ko) 2007-12-21 2007-12-21 청소기능을 갖는 커튼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7984A KR20090067984A (ko) 2009-06-25
KR101351322B1 true KR101351322B1 (ko) 2014-01-15

Family

ID=409956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5829A KR101351322B1 (ko) 2007-12-21 2007-12-21 청소기능을 갖는 커튼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132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172997B (zh) * 2014-09-16 2016-08-31 罗永增 一种便于擦洗水平遮阳玻璃幕墙的方法及装置
KR102637716B1 (ko) * 2023-09-14 2024-02-19 정윤태 레일형 창문 클리너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62873A (ja) * 1997-03-27 1998-10-06 Kiyouji Takahashi 高層ビルの外壁清掃装置
KR20030053069A (ko) * 2001-12-22 2003-06-28 삼성에버랜드 주식회사 빌딩의 외벽 및 창문용 클리닝장치
KR200342671Y1 (ko) 2003-09-29 2004-02-18 채종근 세척식 창문
KR20060087970A (ko) * 2005-01-31 2006-08-03 (주) 유성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의 발코니창문 자동세척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62873A (ja) * 1997-03-27 1998-10-06 Kiyouji Takahashi 高層ビルの外壁清掃装置
KR20030053069A (ko) * 2001-12-22 2003-06-28 삼성에버랜드 주식회사 빌딩의 외벽 및 창문용 클리닝장치
KR200342671Y1 (ko) 2003-09-29 2004-02-18 채종근 세척식 창문
KR20060087970A (ko) * 2005-01-31 2006-08-03 (주) 유성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의 발코니창문 자동세척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7984A (ko) 2009-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241503B (zh) 带式输送机组件
CN103958984B (zh) 用于连续表面的自动清洗装置
JP3795397B2 (ja) 建物の表面洗浄装置
KR101351322B1 (ko) 청소기능을 갖는 커튼월
KR101108011B1 (ko) 유리창 청소장치
CN210033114U (zh) 一种滑移式铝合金门窗
KR20060122513A (ko) 빌딩 외벽면 유리창 청소기.
KR101730161B1 (ko) 방충망 일체형 조립식 난간 구조를 가진 창호
ITTO20100790A1 (it) Porta o finestra scorrevole
KR100912609B1 (ko) 전동식 차양 시스템
KR20060128792A (ko) 지붕 구조물용 세척장치
CN101574698B (zh) 玻璃清洁器
KR20010095877A (ko) 유리창 청소장치
KR20080097958A (ko) 계단 청소기
KR101263999B1 (ko) 자가 주행 가능한 다기능 커튼월시스템
KR20190116591A (ko) 가변형 프레임 구조를 적용한 지능형 외부유리창 청소로봇
KR101079557B1 (ko) 우수한 기밀성을 갖는 클린룸용 전동식 슬라이딩 도어
PT1112194E (pt) Acoplamento de longarina para cobertura de lona encerada de carrocarias de veiculos
KR101079556B1 (ko) 우수한 기밀성을 갖는 클린룸용 반자동식 슬라이딩 도어
CN210178196U (zh) 一种地铁站推拉门装置
CN107350199B (zh) 预制墙板冲洗系统
KR100536908B1 (ko) 건축물의 외벽청소장치
ES2898327T3 (es) Aparato de servicio para una escalera mecánica o una escalera motorizada y método
KR20200128249A (ko) 클램프를 활용하여 탈부착이 용이한 지능형 외부유리창 청소로봇
JP6096539B2 (ja) 可動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