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98666A - 커넥터 연결 구조체, 클램핑 부재, 및 커넥터 연결구조체를 장착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커넥터 연결 구조체, 클램핑 부재, 및 커넥터 연결구조체를 장착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98666A
KR20070098666A KR20070030935A KR20070030935A KR20070098666A KR 20070098666 A KR20070098666 A KR 20070098666A KR 20070030935 A KR20070030935 A KR 20070030935A KR 20070030935 A KR20070030935 A KR 20070030935A KR 20070098666 A KR20070098666 A KR 200700986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frame
side connector
connector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700309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90747B1 (ko
Inventor
도모히코 고바야시
Original Assignee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986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86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07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07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58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 H01R13/5804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comprising a separate cable clamping part
    • H01R13/5812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comprising a separate cable clamping part the cable clamping being achieved by mounting the separate part on the housing of the coupling devic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10Hand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9/00Mounting or connecting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02Mounting of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06Mounting of handles, e.g. to the wing or to the lock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54Electrical circuits
    • E05B81/64Monitoring or sensing, e.g. by using switches or sensors
    • E05B81/76Detection of handle operation; Detection of a user approaching a handle; Electrical switching actions performed by door hand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10Handles
    • E05B85/14Handles pivoted about an axis parallel to the wing
    • E05B85/16Handles pivoted about an axis parallel to the wing a longitudinal grip part being pivoted at one end about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grip pa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58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 H01R13/582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the cable being clamped between assembled parts of the housing
    • H01R13/5829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the cable being clamped between assembled parts of the housing the clamping part being flexibly or hingedly connected to the hou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프레임측 커넥터가 원활하게 변위할 수 있게 하는 데에 있다.
도어 손잡이 장치(S)에는 손잡이 프레임(20)에 피벗 가능하게 힌지 연결된 도어 손잡이(10)에 고정되어, 도어 손잡이(10)가 선회함에 따라 변위할 수 있는 손잡이측 커넥터(30)와, 상기 손잡이 프레임(20)에에 위치하여 손잡이측 커넥터(30)에 연결될 수 있고, 도어 손잡이(10)가 선회함에 따라 손잡이측 커넥터(30)와 함께 연결된 상태로 변위할 수 있는 프레임측 커넥터(40)와, 클램핑 부재(60)가 마련되며, 이 클램핑 부재(60)는 상기 프레임측 커넥터(40)의 단부면을 통해 또는 그 단부면에서 인출된 전선 그룹(80)을 유지하는 전선 유지부(61)와, 이 전선 유지부(61)에 연속하고, 도어 손잡이(10)에 대한 전선 유지부(61)의 상대 위치가 변하지 않게 하도록 도어 손잡이(10)에 부착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손잡이 부착부(62)를 구비한다.
도어 손잡이 장치, 도어 손잡이, 손잡이 프레임, 손잡이측 커넥터, 프레임측 커넥터, 클램핑 부재, 전선 유지부

Description

커넥터 연결 구조체, 클램핑 부재, 및 커넥터 연결 구조체를 장착하는 방법{A CONNECTOR CONNECTING CONSTRUCTION, A CLAMPING MEMBER, AND A METHOD OF A MOUNTING A CONNECTOR CONNECTING CONSTRUCTION}
도 1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연결 구조체의 측면도이며,
도 2는 전선 그룹과 클램핑 부재가 굴곡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이고,
도 3은 클램핑 부재의 배면도이며,
도 4는 클램핑 부재의 평면도이고,
도 5는 클램핑 부재의 측면도이며,
도 6은 제2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연결 구조체의 측면도이고,
도 7은 클램핑 부재의 배면도이며,
도 8은 클램핑 부재의 평면도이고,
도 9는 클램핑 부재의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S : 도어 손잡이 장치
10 : 도어 손잡이
11 : 받침대부
13 : 샤프트
20 : 손잡이 프레임
30 : 손잡이측 커넥터
40 : 프레임측 커넥터
60 : 클램핑 부재
61 : 전선 유지부
62 : 손잡이 부착부
63 : 커넥터 부착부
64 : 힌지부
66 : 경사 안내부(경사 안내 수단)
80 : 전선 그룹
80A : 경사부
85 : 묶음부(묶음 수단)
90 : 도어 글라스
91 : 승강면
본 발명은 도어 손잡이 및 손잡이 프레임에 또는 그 내에 배치되는 커넥터 연결 구조체와, 프레임측 커넥터로부터 인출된 전선을 유지하는 클램핑 부재에 관 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커넥터 연결 구조체를 장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도어를 개폐하는 데에 편리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시스템이 종래에 공지되어 있다. 그러한 시스템에 부합하여 각종 전기 부품들이 도어 손잡이 및 손잡이 프레임 내에 내장된다. 예를 들면,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2005-82091호에 개시된 시스템에서는 손잡이측 커넥터가 도어 손잡이에 장착되며, 프레임측 커넥터는 손잡이 프레임에 유지된다. 도어 손잡이의 단부는 손잡이 프레임에 힌지(hinge) 연결되며, 이러한 힌지 연결 단부를 중심으로 도어 손잡이가 선회하게 된다. 도어 손잡이가 선회함에 따라, 서로 연결된 2개의 커넥터는 협동하여 실질적으로 일체적으로 변위된다.
프레임측 커넥터는 도어 손잡이로부터 분리되어 있는 한편, 차량의 내부에서부터 연장하는 전선 그룹의 단부에 연결되기 때문에, 프레임측 커넥터는 그러한 전선 그룹에 의해 내측으로 당겨져 도어 손잡이를 향해 잘 이동하지 않을 수 있고, 이에 따라 도어 손잡이가 선회할 때에 손잡이측 커넥터의 변위를 탄력적으로 따를 수 없게 되는 경우가 있다. 그 경우, 두 커넥터 양자의 연결면에는 변위 방향으로 응력이 작용하여, 두 커넥터 모두의 단자 피팅(terminal fitting)의 연결 부분 상에 불필요한 응력이 작용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상황을 고려하여 착안된 것으로서, 도어 손잡이가 선회할 때에 프레임측 커넥터가 원활하게 변위할 수 있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독립 청구항의 특징들에 의해 해결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는 종속 청구항의 주제를 이룬다.
본 발명에 따르면, 커넥터 연결 구조체가 제공되며, 이 커넥터 연결 구조체는,
손잡이 프레임에 피벗 가능하게 힌지 연결된 도어 손잡이에 고정되게 되거나 고정되어 있고, 도어 손잡이가 선회, 즉 작동함에 따라 변위할 수 있는 손잡이측 커넥터와,
손잡이 프레임에 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그 내에 위치하게 되거나 위치하고 있어 손잡이측 커넥터에 연결될 수 있고, 도어 손잡이가 선회함에 따라 손잡이측 커넥터와 함께 연결된 상태로 변위할 수 있는 프레임측 커넥터와,
적어도 하나의 클램핑 부재
를 포함하며, 이 클램핑 부재는 프레임측 커넥터의 단부면을 통해 또는 그 단부면에서 혹은 그 근방에서 인출된 전선 그룹을 유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선 유지부와, 이 전선 유지부에 실질적으로 연속하고, 도어 손잡이에 대한 전선 유지부의 상대 위치가 실질적으로 변하지 않게 하도록 도어 손잡이에 부착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손잡이 부착부를 구비한다.
도어 손잡이가 선회, 즉 작동될 때에, 손잡이측 커넥터는 변위되며, 이 손잡이측 커넥터에 연결된 프레임측 커넥터도 함께 변위된다. 이 때, 프레임 커넥터의 단부면을 통해 인출된 전선 그룹은 클램핑 부재의 전선 유지부에 의해 실질적으로 유지되며, 클램핑 부재의 손잡이 부착부는 도어 손잡이에 대한 전선 유지부의 상대 위치가 실질적으로 변하지 않게 하도록 도어 손잡이에 부착 또는 장착된다. 따라서, 도어 손잡이가 선회, 즉 작동될 때에, 어떠한 불필요한 응력도 프레임측 커넥터의 단부면으로부터 전선 유지부상에 작용하지 않는다. 그 결과, 변위 방향으로 두 커넥터의 연결면에 작용하는 응력을 억제할 수 있고, 이에 의해 도어 손잡이의 선회 운동 중에 두 커넥터의 원활한 변위가 보장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 글라스의 승강면(elevating surface)이 도어 손잡이의 실질적으로 반대측의 프레임측 커넥터 쪽에 위치하고 있거나 위치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전선 그룹은 프레임측 커넥터의 단부면에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가면서 도어 글라스의 승강면에 대한 틈새가 넓어지도록 도어 글라스의 승강면에 대해 비스듬하게 배치된 경사부를 포함하며,
전선 유지부는 바람직하게는 경사부의 경사진 자세를 유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경사 안내 수단을 포함한다.
도어 글라스의 승강면은 도어 손잡이의 실질적으로 반대측의 프레임측 커넥터 쪽에 위치하기 때문에, 프레임측 커넥터를 통해 인출된 전선 그룹은 도어 글라스와 간섭할 수 있다. 그러나, 클램핑 부재의 전선 유지부가 경사 안내 수단을 구비하며, 이에 의해 도어 글라스의 승강면에 대해 비스듬하게 또는 경사지게, 즉 승강면에 대해 0°또는 180°이외의 소정 각도로 배치된 경사부의 경사진 자세를 유지하여, 전선 그룹이 프레임측 커넥터의 단부면에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함에 따라 승강면에 대한 틈새가 넓어지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전선 그룹과 도어 글라스 간의 간섭을 피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프레임측 커넥터의 단부면은 도어 글라스의 승강면에 대면하거나, 승강면에 실질적으로 대면하도록 배열되며,
전선 그룹은 프레임측 커넥터의 단부면을 통해 또는 그 단부면에서 혹은 그 근방에서 인출된 후에 굴곡되어 그 굴곡 위치에서부터 경사부가 연장하는 한편 전선 그룹의 중간 부분이 적어도 하나의 묶음 수단에 의해 묶음 위치에서 묶여지며,
전선 그룹을 형성하는 복수개의 전선 중, 굴곡 작용에 의한 굴곡부의 내측에 위치하는 전선은 프레임측 커넥터의 단부면과 묶음 위치 사이가 굴곡부의 외측에 위치하는 전선보다 짧도록 설정된다.
전선 그룹이 굴곡된 상태에서, 굴곡부의 내측에 위치하는 전선은 길이 조절을 위해 외측으로 불룩하게 튀어나온 상태로 굴곡부에서 굴곡되며, 이에 의해 공간적으로 수용되는 데에 어려움이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바에 따르면, 굴곡부의 내측에 위치하는 전선은 프레임측 커넥터의 단부면과 묶음 위치 사이가 굴곡부의 외측에 위치하는 전선보다 길이가 짧도록 설정된다. 따라서, 굴곡부의 내측에 위치하는 전선은 굴곡부에서의 불룩하게 튀어나오는 길이를 짧게 설정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전선 그룹은 굴곡 부분에서 컴팩트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클램핑 부재는 프레임측 커넥터에 부착할 수 있는 커넥터 부착부를 더 포함하며,
전선 유지부는 바람직하게는 커넥터 부착부로부터 연장하는 대체로 스트립 형태를 하며, 및/또는
전선 그룹의 연장 방향은 전선 그룹이 전선 유지부의 플레이트면을 따라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전선 유지부를 커넥터 부착부를 중심으로 선회시킴으로써 정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손잡이 프레임에 피벗 가능하게 힌지 연결된 도어 손잡이에 고정되는 손잡이측 커넥터가 도어 손잡이를 선회시킴에 따라 변위하며, 이에 의해 손잡이측 커넥터에 연결되어 손잡이 프레임 내에 위치하는 프레임측 커넥터가 손잡이측 커넥터와 함께 변위하는 경우에 사용되는 클램핑 부재가 제공되며, 이 클램핑 부재는,
프레임측 커넥터의 단부면을 통해 인출된 전선 그룹을 유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선 유지부와,
전선 유지부에 실질적으로 연속하고, 도어 손잡이에 대한 전선 유지부의 상대 위치가 실질적으로 변하지 않게 하도록 도어 손잡이에 부착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손잡이 부착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 글라스의 승강면이 도어 손잡이의 실질적으로 반대측의 프레임측 커넥터 쪽에 위치하게 되거나 위치한다.
바람직하게는, 전선 그룹은 프레임측 커넥터의 단부면에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가면서 도어 글라스의 승강면에 대한 틈새가 넓어지도록 도어 글라스의 승강면에 대해 비스듬하게 배치된 경사부를 포함하며,
전선 유지부는 바람직하게는 경사부의 경사진 자세를 유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경사 안내 수단을 포함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프레임측 커넥터에 부착할 수 있는 커넥터 부착부가 더 마련되며,
전선 유지부는 바람직하게는 커넥터 부착부로부터 연장하는 대체로 스트립 형태를 하며, 및/또는
전선 그룹의 연장 방향은 전선 그룹이 전선 유지부의 플레이트면을 따라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전선 유지부를 커넥터 부착부를 중심으로 선회시킴으로써 정해진다.
전선 그룹의 연장 방향이 전선 그룹을 전선 유지부의 플레이트면을 따라 배치한 상태에서 전선 유지부를 커넥터 부착부를 중심으로 선회시킴으로써 정해지기 때문에, 전선 그룹은 용이하게 굴곡될 수 있고 안정되게 굴곡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전선 그룹은 전선 유지부 및 커넥터 부착부에 의해 보호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특히 본 발명 또는 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연결 구조체를 장착하는 방법을 제공하며, 이 방법은,
도어 손잡이가 선회함에 따라 손잡이측 커넥터가 변위할 수 있도록, 손잡이 프레임에 피벗 가능하게 힌지 연결된 도어 손잡이에 손잡이측 커넥터를 고정하는 단계와,
도어 손잡이가 선회함에 따라 프레임측 커넥터가 손잡이측 커넥터와 함께 연결된 상태로 변위할 수 있도록, 프레임측 커넥터를 손잡이측 커넥터에 연결할 수 있게 손잡이 프레임에 또는 그 내에 위치시키는 단계와,
프레임측 커넥터의 단부면을 통해 또는 그 단부면에서 인출된 전선 그룹을, 적어도 하나의 클램핑 부재의 적어도 하나의 전선 유지부에 의해 유지하는 단계와,
도어 손잡이에 대한 전선 유지부의 상대 위치가 실질적으로 변하지 않게 하도록, 전선 유지부에 실질적으로 연속한 적어도 하나의 손잡이 부착부를 도어 손잡이에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방법은, 프레임측 커넥터의 단부면에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가면서 도어 글라스의 승강면에 대한 틈새가 넓어지도록 도어 글라스의 승강면에 대해 비스듬하게 전선 그룹의 경사부를 배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전선 유지부는 바람직하게는 경사부의 경사진 자세를 유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경사 안내 수단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법은, 프레임측 커넥터의 단부면을 도어 글라스의 승강면에 대면 또는 실질적으로 대면하도록 배치하는 단계와,
전선 그룹을 프레임측 커넥터의 단부면을 통해 또는 그 단부면에서 인출한 후에 굴곡시켜 그 굴곡 위치에서부터 경사부를 연장시키고, 그 중간 부분을 적어도 하나의 묶음 수단에 의해 묶음 위치에서 묶는 단계
를 더 포함하며, 전선 그룹을 형성하는 복수개의 전선 중, 굴곡 작용에 의한 굴곡부의 내측에 위치하는 전선은 프레임측 커넥터의 단부면과 묶음 위치 사이가 굴곡부의 외측에 위치하는 전선보다 짧도록 설정한다.
본 발명의 전술한 및 기타 목적, 특징 및 이점은 후술하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을 고려할 때에 명백해질 것이다. 실시예들을 개별적으로 설명하지만, 그 실시예들의 개개의 특징은 추가의 실시예로 조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제1 실시예>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를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차량의 도어 손잡이 장치(S)의 커넥터 연결 구조체 및 이에 사용되는 클램핑 부재(60)를 예시한다. 도어 손잡이 장치(S)는 도어 락의 잠금 및 잠금 해제시에 적용되는 소위 스마트 도어 락 시스템을 구성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어 손잡이(10) 및 손잡이 프레임(20)을 포함하며, 도어 손잡이(10)에 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그 내에는 손잡이측 커넥터(30)가 마련되며, 손잡이 프레임(20)에 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그 내에는 프레임측 커넥터(40)가 마련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 손잡이(10)는 도어 패널(15)(도어의 외부 플레이트)의 외면상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돌출하며, 아암 형상의 받침대부(11) 및 이 받침대부(11)의 외측 가장자리로부터 측방향(또는 차량의 후방)으로 연장하는 손잡이 본체부(12)(바람직하게는 대체로 중공 및/또는 평평한 형상)로 이루어진다. 손잡이 본체부(12)의 내면은 도어 패널(15)의 오목면(15A)으로부터 떨어진 곡면(12A)으로 형성되며, 이에 의해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대체로 그립 형상을 한다. 센서와 같은 각종 전기 부품(도시 생략)이 손잡이 본체부(12)에 마련되거나 그 내에 내장된다. 센서 등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손잡이측 커넥터(30)는 받침대부(11)에 인접하여, 그 받침대부(11) 근방의 손잡이 본체부(12)의 소정 위치에 일체형 또는 단일체로 지지되고 있다. 이러한 손잡이측 커넥터(30)는 도어 손잡이(10)와 일체로 이동한다.
받침대부(11)는 손잡이측 커넥터(30)와 함께, 도어 패널(15)의 내측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하도록 도어 패널(15)에 형성된 손잡이 삽입 개구(16)를 통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된다. 도어 패널(15)의 내면에 고정되는 손잡이 프레임(20)은 도어 패널(15)의 내측에 마련되며, 도어 패널(15)의 내측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하는 받침대부(11) 및 손잡이측 커넥터(30)가 손잡이 프레임(20) 안으로 도입되어 있다. 받침대부(11)는 손잡이 프레임(20)의 베어링부(도시 생략)와 맞물려 있거나 맞물릴 수 있는 샤프트(13)를 포함하며, 이에 의해 도어 손잡이(10)가 샤프트(13)를 중심으로 손잡이 프레임(20)에 대해 선회 또는 피벗 운동할 수 있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손잡이 본체부(12)는 도어 패널(15)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차량에 대해 손잡이 본체부(12)의 후방부를 당김으로써 경사 방향(ID)(도 1의 화살표)으로 경사진다.
또, 프레임측 커넥터(40)는 손잡이 프레임(20)에 또는 그 내에 피벗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프레임측 커넥터(40)는, 그 연결면이 도어 손잡이(10)와 실질적으로 대면하여, 두 커넥터(30, 40)가 연결될 때에 손잡이측 커넥터(30)의 배치 위치에 실질적으로 정합하도록 배치된다. 도어 글라스(90)의 승강면(91)은 손잡이 프레임(20)의 내측에서, 즉 손잡이 프레임(20)의 실질적으로 도어 손잡이(10)의 반대측에서 손잡이 프레임(20)의 근방에 배치된다. 도어 글라스(90)의 승강면(91)은 연결 방향(CD)에 있어서 연결된 프레임측 커넥터(40)의 실질적으로 뒤쪽의 소정 위치에 및/또는 프레임측 커넥터(40)의 근처에 배치된다.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단자 피팅(도시 생략)이 프레임측 커넥터(40)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되 며, 하나 이상의 각 단자 피팅은 도어 본체에 고정 또는 장착되어 도어 본체로부터 실질적으로 연장하는 전선 그룹(80)[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복수개의 전선(81)(도시한 예의 경우 2개)]의 단부에 연결된다. 각 단자 피팅은 전선 그룹(80)을 통해 차량 내부의 하나 이상의 전기적 신호 라인에 연결된다.
클램핑 부재(60)는 프레임측 커넥터(40)의 단부면을 통해 인출된 전선 그룹(80)에 맞물린다. 클램핑 부재(60)는 합성 수지재로 일체형으로 또는 단일체로 형성되어, 전선 그룹(80)을 유지하도록 된 전선 유지부(61)와, 이 전선 유지부(61)에 실질적으로 연속하고, 전선 그룹(80)을 전선 유지부(61)에 유지한 상태로 도어 손잡이(10)에 부착될 수 있는 손잡이 부착부(62)를 포함한다. 클램핑 부재(60)는 또한 전선 유지부(61)에 실질적으로 연속하며, 및/또는 프레임측 커넥터(40)에 부착할 수 있는 커넥터 부착부(63)를 포함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선 유지부(61)는 바람직하게는 대체로 밴드 또는 스트립 형상으로 하며, 그 실질적으로 양쪽 플레이트면 중 하나(도 5에 도시한 상면)는 전선 그룹(80)을 위한 배치면(61A)으로서 기능을 한다. 일단부 근방의 전선 유지부(61)의 소정 위치[커넥터 부착부(63) 근방의 위치]에 힌지부(64)가 마련되며, 이 힌지부(64)는 바람직하게는 힌지부(64)의 앞 및/또는 뒤의 전선 유지부(61) 영역보다 얇게 되어 있다. 전선 그룹(80)이 배치면(61A) 상에 배치된 상태에서부터 전선 유지부(61)가 선회 방향(도 2에 도시한 화살표)으로 커넥터 부착부(63)를 중심으로 선회하는 경우, 힌지부(64)는 대체로 아치형으로 탄성적으로 변형되고, 전선 그룹(80)은 프레임측 커넥터(40)의 단부면 근방에서 강제적으로 굴곡 된다.
전선 유지부(61)는 바람직하게는 굴곡되기 전에 커넥터 부착부(63)에 대한 그 연결부에서부터 한 방향으로 연장하며, 연장 방향에 있어서의 그 후방부(바람직하게는 대체로 후방 절반부)에는 힌지부(64)를 포함 및/또는 도어 글라스(90)의 승강면(91)에 대해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치된 베이스 플레이트부(65)가 마련되며, 연장 방향에 있어서의 전방부(바람직하게는 대체로 전방 절반부)에는 선단을 향해 위쪽으로 경사진 경사 안내부(66)가 마련되어 있다. 이 경사 안내부(66)는 베이스 플레이트부(65)보다 약간 높도록 단차부 또는 절곡부를 통해 베이스 플레이트부(65)에 실질적으로 연속하고 있으며, 및/또는 그 횡방향 폭은 베이스 플레이트부(65)보다 좁도록 되어 있다. 전선 유지부(61)에 의해 유지된 전선 그룹(80)은 경사 안내부(66)에 의해 도어 글라스(90)의 승강면(91)에 대한 틈새가 점점 넓어지게 하는 방향으로 연장하게 된다. 이 경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경사부(80A)가 형성된다. 다시 말해, 프레임측 커넥터(40)의 단부면에서부터 도어 글라스(90)의 승강면(91)을 향해 연장한 후에, 전선 그룹(80)은 굴곡 구역(80B)을 거쳐 경사부(80A)를 이룬다. 이 경사부(80A)는 경사 안내부(66)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대체로 일정한 자세로 경사져 유지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넥터 부착부(63)는 연장 방향에 대해 전선 유지부(61)의 후방 단부의 측부 가장자리(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양측 가장자리)에서부터 세워진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한쌍의 측방향(좌측 및/또는 우측) 인출 안내 플레이트(67)(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서로 대향)와, 바람직하게는 이 인출 안내 플레이트(67)의 외면에서 접합되는 하나 이상의 커넥터 부착 본체(68)를 포함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출 안내 플레이트(67)는 바람직하게는 전선 유지부(61)의 굴곡된 힌지부(64)의 형상에 실질적으로 대응하는 아치형 가장자리(67A)를 각각 가짐으로써 측면에서 볼 때에 대체로 1/4원 형상을 가지며, 그러한 아치형 가장자리(67A)는 실질적으로 전선 유지부(61)의 굴곡된 힌지부(64)의 대응하는 측부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된다. 인출 안내 플레이트(67)는 바람직하게는 전선 유지부(61)에 의해 유지된 전선 그룹(80)의 측면(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양쪽 외측)에 위치함으로써 전선 그룹(80)이 폭 방향으로 따라 흐트러져 움직이는 것을 억제한다.
커넥터 부착 본체(68)는 바람직하게는 인출 안내 플레이트(67)보다 두께가 더 두꺼우며, 연장 방향에 대해 인출 안내 플레이트(67)의 후방 단부보다 후방으로 돌출하는 하나 이상의 후방 돌출부와, 이 후방 돌출부로 형성된 커넥터 부착 본체(68)의 상단면 및/또는 대향 표면에서 인출 안내 플레이트(67)의 실질적으로 후방 단부를 따라 연장하여 하나 이상의 개구를 형성하는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한쌍의 방향(좌측 및/또는 우측) 장착 홈(69)을 포함한다. 이 장착 홈(69)은 바람직하게는 전선 유지부(61)의 축선에 대해 실질적으로 가로 대칭을 이루는 레일 홈 형태를 이룬다. 장착 홈(69)에 실질적으로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장착 리브(41)가 프레임측 커넥터(40)의 단부에 마련된다. 실질적으로 커넥터 부착 본체(68)의 대향 표면 사이에 프레임측 커넥터(40)의 단부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끼움으로써, 장착 리브(41)는 장착 홈(69)에 의해 커넥터 부착 본체(68)의 상단면에 형성된 개구 를 통해 장착 홈(69) 안으로 밀어 넣어질 수, 즉 삽입될 수 있다. 이러한 식으로, 클램핑 부재(60)는 프레임측 커넥터(40)에 탈착 가능하게 부착된다.
손잡이 부착부(62)는 연장 방향에 대해 전선 유지부(61)의 중간부(바람직하게는 대체로 중앙부)의, 즉 베이스 플레이트부(65)와 경사 안내부(66) 사이 부분의 측부 가장자리(바람직하게는 양측 가장자리)에서부터 또는 그 근방에서 세워진, 즉 돌출하는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한쌍의 측방향(좌측 및/또는 우측) 보강 플레이트(71)(바람직하게는 서로에 대향함)와, 이 보강 플레이트(71)에서부터 옆으로 돌출한 후에 보강 플레이트(71)의 외면에 대해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위쪽으로 연장하는 하나 이상의 손잡이 부착 본체(72)를 포함한다. 보강 플레이트(71)에 또는 그 상에는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한쌍의 측방향(좌측 및/또는 우측) 대향 벽(75)이 바람직하게는 손잡이 부착 본체(72)의 연장 단부와 동일한 위치까지 실질적으로 연장하며 및/또는 대응 손잡이 부착 본체(72)에 실질적으로 대면하여 하나 이상의 슬릿(74)을 형성하게 마련되어 있다. 대향 벽(75)은 바람직하게는 커넥터 부착 본체(68)보다 더 전선 유지부(61)의 중앙 축선 쪽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 손잡이 부착 본체(72)는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한쌍의 전방 및/또는 후방 부재(72A) 및 비임(72B)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측면에서 보았을 때에 게이트 형상을 하며, 그 내부에 맞물림 구멍(73)이 형성된다. 맞물림 구멍(73)에 실질적으로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맞물림 돌기(14)가 도어 손잡이(10)의 받침대부(11)에 또는 그 상에 마련된다. 손잡이 부착부(62)는, 받침대부(11)의 하나 이상의 프레임 플레이트(11A)를 슬릿(74) 안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하여, 프레임 플레이 트(11A)가 바람직하게는 손잡이 부착 본체(72)와 실질적 대향 벽(75) 사이에 유지하기 위해, 도어 손잡이(10)에 근접하게 놓이게 된다. 손잡이 부착부(62)가 도어 손잡이(10)를 향해 눌려지면, 손잡이 부착 본체(72)는 맞물림 돌기(14)가 맞물림 구멍(73) 안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끼워지도록 맞물림 돌기(14)를 지나 탄성적으로 이동하며, 그 결과 손잡이 부착부(62)가 도어 손잡이(10)에 부착된다. 이러한 부착 상태에서, 프레임 플레이트(11A)의 단부면은 슬릿(74)의 바닥면상에 놓이게 되며, 이에 의해 손잡이 부착부(62)가 더 이상 눌려지는 것이 방지된다.
이어서, 상기 실시예의 조립 공정, 기능 및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손잡이측 커넥터(30)를 도어 손잡이(10) 상에 지지시키고, 이 상태에서 손잡이측 커넥터(30) 및 받침대부(11)를 도어 손잡이(10)의 손잡이 삽입 개구(16)를 통해 손잡이 프레임(20) 안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도입하고, 도어 손잡이(10)를 샤프트(13)를 통해 손잡이 프레임(20)에 힌지 연결시킨다. 전선 그룹(80)의 단부에 연결된 프레임측 커넥터(400)는 손잡이 프레임(20) 내부에 피벗 가능하게 배치하고, 클램핑 부재(60)는 실질적으로 장착 홈(69)을 따라 장착 리브(14)를 미끄럼 이동시킴으로써 프레임측 커넥터(40)에 측방향(도 2에서 우측)으로 부착한다. 전선 그룹(80)은 바람직하게는 그 중간부에서 테이핑하거나 클램핑하거나, 또는 스트립으로 묶음으로써 묶음부(85)(바람직한 묶음 수단에 해당)에 의해 경사 안내부(66)에 묶는다. 그 후,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손잡이측 커넥터(30) 및 프레임측 커넥터(40)를 두 연결면이 접촉하도록 연결시킨다. 2개의 커넥터(30, 40)가 적절히 연결된 경우, 그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된 하나 이상 의 단자 피팅이 확실히 연결된다.
2개의 커넥터(30, 40)의 연결 상태에서, 프레임 커넥터(40)의 단부면을 통해 인출된 전선 그룹(80)은 바람직하게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중간 위치에서 굴곡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전선 유지부(61)를 따라 대체로 직선으로 연장한다. 이 때, 전선 그룹(80) 중에서 굴곡 상태에서 굴곡부의 내측에 위치하는 전선(81A)은 바람직하게는 최단 거리로 프레임측 커넥터(40)의 단부면에서부터 묶음부(85)에 의한 묶음 위치에 이르도록 대체로 직선으로 연장하는 반면, 굴곡부의 외측에 위치하는 전선(81B)은 프레임측 커넥터(40)의 단부면에서부터 묶음 위치까지 내측으로 비스듬하게 연장한다. 다시 말해, 굴곡부의 내측에 위치한 전선(81A)은 바람직하게는 외측에 위치하는 전선(81B)보다는 프레임측 커넥터(40)의 단부면과 묶음 위치 사이가 짧게 되어 있다.
2개의 커넥터(30, 40)를 서로 연결한 후에, 클램핑 부재(60)[전선 유지부(61)]를 선회 방향(TD)(도 2의 화살표 방향)으로 선회시킨다. 이 때, 클램핑 부재(60)와 전선 그룹(80)이 경사 안내부(66)를 매개로 묶음부(85)에 의해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클램핑 부재(60)는 전선 그룹(80)을 유지함으로써 선회될 수 있다. 이어서, 힌지부(64)를 커넥터 부착부(63)에 대해 굴곡시켜, 실질적으로 인출 가이드 플레이트(67)의 아치형 가장자리(67A)를 따라 연장시키며, 이에 의해 손잡이 부착부(62)가 도어 손잡이(10)의 받침대부(11)에 점점 근접하게 된다. 클램핑 부재(60)를 선회시키는 동안, 전선 그룹(80)은 실질적으로 전선 유지부(61)의 배치면(61A)과 실질적으로 접촉하게 되어 그 배치면상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되며, 힌지부(64)가 굴곡됨에 따라 굴곡 구역(80B)이 형성된다. 경사부(80A)의 경사진 자세는 경사 안내부(66)에 의해 정해지고, 각 전선(81)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전선 유지부(61)의 배치면(61A)의 상에서 서로의 위에 배치된다. 전선 그룹(80)은 바람직하게는 힌지부(64)와 경사 안내부(66) 사이에서는 경사 안내부(66)의 단차부 또는 절곡부의 존재로 인해 전선 유지부(61)의 힌지부(64)와 접촉하지 않는다.
손잡이 부착부(62)를 도어 손잡이(10)에 대한 부착 위치까지 선회시키면, 손잡이 부착 본체(72)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맞물림 돌기(14)와 탄성적으로 맞물리며, 이에 의해 클램핑 부재(60)와 도어 손잡이(10)는 일체형, 즉 단일체를 이룬다. 이러한 부착 상태에서, 전선 그룹(80)의 경사부(80A)는 도어 글라스(90)의 승강면(91)에 대한 틈새가 선단으로 가면서 넓어지게 하는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연장하도록 경사 안내부(66)에 의해 지지된다. 굴곡부의 내측에 위치하는 전선(81A)의 굴곡 구역(80B)은 경사부(80A)의 존재로 인해 굴곡부의 외측에 위치한 전선(81B)을 덮는 것처럼 대체로 U자 형상으로 크게 불룩하게 튀어나오지만, 컴팩트한 형상을 갖는다.
이러한 식으로 클램핑 부재(60)를 도어 손잡이(10)에 부착한 후에, 도어 손잡이(10)를 샤프트(13)를 중심으로 경사 방향(ID)(도 1의 화살표 방향)으로 선회 또는 피벗시킨다. 그러면, 손잡이측 커넥터(30)는 도어 손잡이(10)의 회전 방향(ID)으로 변위하고, 이 손잡이측 커넥터(30)에 연결된 프레임측 커넥터(40)도 마찬가지로 손잡이측 커넥터(30)의 변위에 따라 도어 손잡이(10)의 회전 방향(ID)으로 변위한다. 이 때, 프레임측 커넥터(40)의 단부면을 통해 인출된 전선(80)은 클 램핑 부재(60)의 전선 유지부(61)에 의해 유지되어 있고, 클램핑 부재(60)의 손잡이 부착부(62)는 전선 그룹(80)을 전선 유지부(61)에 의해 유지한 상태로 도어 손잡이(10)에 부착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도어 손잡이(10)가 선회하는 경우에도, 전선 부착부(61)의 도어 손잡이(10)에 대한 상대 위치가 고정된다. 따라서, 도어 손잡이(10)가 선회할 때에, 전선 유지부(61)에 의해 유지된 전선 그룹(80)의 부분 상에는 프레임측 커넥터(40)의 단부로부터 어떠한 불필요한 응력도 가해지지 않는다. 그 결과, 변위 방향으로 두 커넥터(30, 40)의 연결면(연결 영역)에 작용하는 응력이 억제되고, 2개의 커넥터(30, 40)는 도어 손잡이(10)의 선회 운동 중에 원활하게 변위하게 된다.
도어 글라스(90)의 승강면(91)이 도어 손잡이(10)의 반대측의 프레임측 커넥터(40) 쪽에 위치하기 때문에, 프레임측 커넥터(40)의 단부면을 통해 인출된 전선 그룹(80)이 도어 글라스(90)와 간섭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전선 그룹(80)은 바람직하게는 프레임측 커넥터(40)의 단부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가면서 도어 글라스(90)의 승강면(91)에 대한 틈새가 넓어지도록 도어 글라스(90)의 승강면(91)에 대해 비스듬하게 배치된 경사부(80A)를 구비하며, 및/또는 경사부(80A)의 경사진 자세가 클램핑 부재(60)의 경사 안내부(66)에 의해 아래에서부터 안정적으로 지지된다. 따라서, 전선 그룹(80)과 도어 글라스(90)의 간섭은 피할 수 있다.
또, 굴곡 작용에 의한 굴곡부의 내측에 위치하는 전선(81A)은 굴곡 구역(80B)에서 굴곡되는 한편, 경사부(80A)의 존재로 인한 길이 조절을 위해 외측으 로 불룩하게 튀어나오게 되며, 그 결과 과도한 굴곡 응력이 초래될 수 있고 공간적으로 수용하기가 곤란해 질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르면, 굴곡부의 내측에 위치하는 전선(81A)은 굴곡부의 외측에 위치하는 전선(81B)보다는 프레임측 커넥터(40)의 단부면과 묶음 위치 사이의 길이가 짧도록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굴곡부의 내측에 위치하는 전선(81A)의 굴곡 구역(80B)에서 불룩하게 튀어나오는 길이를 짧게 할 수 있고, 이에 의해 그러한 위치에서 불필요하게 과도하게 큰 응력이 작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 전선 그룹(80)을 컴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다.
게다가, 전선 그룹(80)의 연장 방향은 전선 그룹(80)이 실질적으로 전선 유지부(61)의 배치면(61A)을 따라 배치된 상태에서 전선 유지부(61)를 커넥터 부착부(63)를 중심으로 선회시킴으로써 정해질 수 있기 때문에, 전선 그룹(80)이 용이하게 굴곡될 수 있고 또 안정되게 굴곡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전선 그룹(80)의 인출 단부는 전선 유지부(61) 및 커넥터 부착부(63)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임으로써 보호될 수 있다.
따라서, 프레임측 커넥터가 원활하게 변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도어 손잡이 장치(S)에는 손잡이 프레임(20)에 피벗 가능하게 힌지 연결되어 도어 손잡이(10)가 선회할 때에 변위할 수 있도록 도어 손잡이(10)에 고정되는 손잡이측 커넥터(30)와, 손잡이 프레임(20)에 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그 내에 위치하여, 손잡이측 커넥터(30)에 연결될 수 있고, 또한 도어 손잡이(10)의 선회, 즉 작동시에 연결된 상태로 손잡이측 커넥터(30)와 함께 변위할 수 있는 프레임측 커넥터(40)와, 적어도 하나의 클램핑 부재(60)가 마련되며, 이 클램핑 부재(60)는 프레임측 커넥터(30)의 단부면을 통해 또는 그 단부면에서 인출된 전선 그룹(80)을 유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선 유지부(61)와, 이 전선 유지부(61)에 실질적으로 연속하고, 도어 손잡이(10)에 대한 전선 유지부(61)의 상대 위치가 변하지 않게 하도록 도어 손잡이(10)에 부착될 수 있는 손잡이 부착부(62)를 포함한다.
<제2 실시예>
이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를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제2 실시예는 클램핑 부재(60A)의 형상에 있어서 제1 실시예와 부분적으로 상이하고, 다른 점에 대해서는 제1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유사하다. 따라서, 제1 실시예와 유사 또는 동일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로 나타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전선 유지부(61B)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어떠한 경사 안내부(66)도 구비하지 않으며 및/또는 굴곡되기 전에 커넥터 부착부(63A)와의 연결 위치로부터 한 방향으로 대체로 직선으로 연장하는 베이스 플레이트부(64)만으로 이루어진다. 제1 실시예와 달리, 제2 실시예에서는 전선 그룹(80)을 경사진 자세로 유지하는 기술적 구성은 없으며, 따라서 굴곡 구역(80B)이 불룩하게 튀어나와 용이하게 수용될 수 없을 가능성은 없다. 손잡이 부착부(62)와의 연결부 전에 위치하는 전선 유지부(61B)의 부분이 제1 실시예보다도 짧게 되어 있고, 핑거(finger) 배치 운동을 안내하도록 실질적으로 폭 방향으로 연장하는 하나 이상의 리브(77)가 전선 그룹(80)을 위한 배치면(61A)의 반대측의 전선 유지부(61B)의 바닥면에 형성되어 전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클램핑 부재(60A)의 근방에 묶음 부(85)에 상응하는 것은 존재하지 않으며, 손잡이 부착부(62)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한 형상을 갖는다.
커넥터 부착부(63A)의 하나 이상의 인출 안내 플레이트(67A)는 전선 그룹(80)의 굴곡 구역(80B)이 불룩하게 튀어나오지 않기 때문에 제1 실시예에서보다 전후 방향으로 길이가 짧으며,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한쌍의 측방향(좌측 및/또는 우측) 드롭 방지부(78)가 인출 안내 플레이트(67A)에서 또는 그 근방에서 실질적으로 내측으로 돌출한다. 이 드롭 방지부(78)는 바람직하게는 대체로 인출 안내 플레이트(67A)의 연장 방향으로 따라 좁고 긴 리브 형태를 하며, 바람직하게는 인출 안내 플레이트(67A)의 내면(실질적으로 대향하는 표면들) 상에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로) 가로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절결부(64B)가 드롭 방지부(78)를 위한 몰드를 제거함으로써 힌지부(64A)의 측부 가장자리(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양 측부 가장자리)에 형성된다.
이 경우, 클램핑 부재(60A)가 선회함에 따라 힌지부(64A)가 굴곡될 때에, 드롭 방지부(78)는 전선 유지부(61B)의 배치면(61A)에, 보다 구체적으로는 힌지부(64A)에 의한 굴곡 작용의 종료 위치[힌지부(64A)의 근방 또는 바로 전의 위치]에서 실질적으로 폭방향으로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힌지부(64A)는 바람직하게는 얇게 하여 강성을 작게 하지만, 힌지부(64A)는 드롭 방지부(78)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굴곡 자세로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기타 실시예>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하였고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다음의 실시예도 청구 범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 내에 포함된다. 다음의 실시예 외에도, 청구 범위에 의해 정해진 본 발명의 범위 및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1) 전술한 실시예들에서는 클램핑 부재가 커넥터 부착부를 구비함으로써 프레임측 커넥터에 부착될 수 있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커넥터 부착부를 갖지 않아 프레임측 커넥터에 맞물리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면, 클램핑 부재는 프레임측 커넥터의 단부면으로부터 떨어진 소정 위치에서 그 단부면 통해 인출된 전선 그룹을 유지하는 전선 유지부와, 이 전선 유지부에 연속하는 손잡이 부착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간단히 말해, 클램핑 부재가 도어 손잡이에 대해 변하지 않는 상대 위치를 갖게 하기에는 손잡이 부착부를 구비함으로써 충분하다.
(2) 제1 실시예에서는 클램핑 부재 외에도 테이핑 등에 의한 묶음부가 마련되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전선 유지부가 묶음부로서 겸용될 수도 있다. 이는 부품 개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3) 전술한 실시예들에서는 전선 그룹이 굴곡부를 통해 도어 글라스의 승강면과 실질적으로 대면하면서 연장하고 있지만, 그러한 굴곡부를 통하지 않고 도어 글라스의 승강면과 대면하게 연장할 수 있다. 이 경우, 2개의 커넥터의 연결면의 대면하는 방향은 도어 글라스의 승강면에 대해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설정될 수 있으며, 및/또는 그들의 연결 방향이 도어 글라스의 승강면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될 수 있다.
(4) 전술한 실시예들에서, 도어 손잡이에는 맞물림 돌기가 마련되며 클램핑 부재에는 돌출 부재 형태의 손잡이 부착 본체가 마련된다. 이와 반대로, 본 발명에 따르면, 도어 손잡이에 손잡이 부착 본체와 동일한 돌출 부재가 마련되고 클램핑 부재에 맞물림 돌기가 마련될 수도 있다.
(5) 전술한 실시예들에서, 장착 홈이 커넥터 부착부에 형성되고 장착 리브가 프레임측 커넥터상에 마련된다. 이와 반대로, 본 발명에 따르면, 커넥터 부착부에 장착 리브가 마련되고 프레임측 커넥터가 장착 홈이 마련될 수 있다.
(6) 전술한 실시예들에서는 손잡이 프레임이 도어 패널과 별개의 부재이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도어 패널과 동일한 부재로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어 손잡이가 선회할 때에, 어떠한 불필요한 응력도 프레임측 커넥터의 단부면으로부터 전선 유지부상에 작용하지 않는다. 그 결과, 변위 방향으로 두 커넥터의 연결면에 작용하는 응력을 억제할 수 있고, 이에 의해 도어 손잡이의 선회 운동 중에 두 커넥터의 원활한 변위가 보장된다.

Claims (10)

  1. 손잡이 프레임(20)에 피벗 가능하게 힌지 연결된 도어 손잡이(10)에 고정되어, 도어 손잡이(10)가 선회함에 따라 변위할 수 있는 손잡이측 커넥터(30)와,
    상기 손잡이 프레임(20)에 또는 그 내에 위치하여 손잡이측 커넥터(30)에 연결될 수 있고, 도어 손잡이(10)가 선회함에 따라 손잡이측 커넥터(30)와 함께 연결된 상태로 변위할 수 있는 프레임측 커넥터(40)와,
    적어도 하나의 클램핑 부재(60)
    를 포함하며, 상기 클램핑 부재(60)는 프레임측 커넥터(40)의 단부면을 통해 또는 그 단부면에서 인출된 전선 그룹(80)을 유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선 유지부(61)와, 이 전선 유지부(61)에 실질적으로 연속하고, 도어 손잡이(10)에 대한 전선 유지부(61)의 상대 위치가 실질적으로 변하지 않게 하도록 도어 손잡이(10)에 부착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손잡이 부착부(62)를 구비하는 것인 커넥터 연결 구조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 그룹(80)은 프레임측 커넥터(40)의 단부면에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가면서 도어 글라스(90)의 승강면(91)(elevating surface)에 대한 틈새가 넓어지도록 도어 글라스(90)의 승강면(91)에 대해 비스듬하게 배치된 경사부(80A)를 포함하며,
    상기 전선 유지부(61)는 바람직하게는 경사부(80A)의 경사진 자세를 유지하 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경사 안내 수단(66)을 포함하는 것인 커넥터 연결 구조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측 커넥터(40)의 단부면은 도어 글라스(90)의 승강면(91)에 대면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전선 그룹(80)은 프레임측 커넥터(40)의 단부면을 통해 또는 그 단부면에서 인출된 후에 굴곡되어 그 굴곡 위치에서부터 경사부(80A)가 연장하는 한편, 전선 그룹(80)의 중간 부분은 적어도 하나의 묶음 수단(85)에 의해 묶음 위치에서 묶여지며,
    상기 전선 그룹(80)을 형성하는 복수개의 전선(81) 중, 굴곡 작용에 의한 굴곡부의 내측에 위치하는 전선(81A)은 상기 프레임측 커넥터(40)의 단부면과 상기 묶음 위치 사이가 굴곡부의 외측에 위치하는 전선(81B)보다 짧도록 설정되는 것인 커넥터 연결 구조체.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 부재(60)는 프레임측 커넥터(40)에 부착할 수 있는 커넥터 부착부(63)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선 유지부(61)는 바람직하게는 커넥터 부착부(63)로부터 연장하는 대체로 스트립 형태를 하며, 및/또는
    상기 전선 그룹(80)의 연장 방향은 전선 그룹(80)이 전선 유지부(61)의 플레이트면을 따라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전선 유지부(61)를 커넥터 부착부(63)를 중심으로 선회시킴으로써 정해지는 것인 커넥터 연결 구조체.
  5. 손잡이 프레임(20)에 피벗 가능하게 힌지 연결된 도어 손잡이(10)에 고정되는 손잡이측 커넥터(30)가 도어 손잡이(10)를 선회시킴에 따라 변위되며, 이에 의해 손잡이측 커넥터(30)에 연결되며 손잡이 프레임(20)에 또는 그 내에 위치하는 프레임측 커넥터(40)가 손잡이측 커넥터(30)와 함께 변위되는 경우에 사용되는 클램핑 부재로서,
    상기 프레임측 커넥터(40)의 단부면을 통해 또는 그 단부면에서 인출된 전선 그룹(80)을 유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선 유지부(61)와,
    상기 전선 유지부(61)에 실질적으로 연속하고, 상기 도어 손잡이(10)에 대한 전선 유지부(61)의 상대 위치가 실질적으로 변하지 않게 하도록 도어 손잡이(10)에 부착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손잡이 부착부(62)
    를 포함하는 클램핑 부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 그룹(80)은 프레임측 커넥터(40)의 단부면에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가면서 도어 글라스(90)의 승강면(91)에 대한 틈새가 넓어지도록 도어 글라스(90)의 승강면(91)에 대해 비스듬하게 배치된 경사부(80A)를 포함하며,
    상기 전선 유지부(61)는 바람직하게는 경사부(80A)의 경사진 자세를 유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경사 안내 수단(66)을 포함하는 것인 클램핑 부재.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측 커넥터(40)에 부착할 수 있는 커넥터 부착부(63)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선 유지부(61)는 바람직하게는 커넥터 부착부(63)로부터 연장하는 대체로 스트립 형태를 하며, 및/또는
    상기 전선 그룹(80)의 연장 방향은 전선 그룹(80)이 전선 유지부(61)의 플레이트면을 따라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전선 유지부(61)를 커넥터 부착부(63)를 중심으로 선회시킴으로써 정해지는 것인 클램핑 부재.
  8. 도어 손잡이(10)가 선회함에 따라 손잡이측 커넥터(30)가 변위할 수 있도록, 손잡이 프레임(20)에 피벗 가능하게 힌지 연결된 도어 손잡이(10)에 손잡이측 커넥터(30)를 고정하는 단계와,
    상기 도어 손잡이(10)가 선회함에 따라 프레임측 커넥터(40)가 손잡이측 커넥터(30)와 함께 연결된 상태로 변위할 수 있도록, 프레임측 커넥터(40)를 손잡이측 커넥터(30)에 연결할 수 있게 손잡이 프레임(20)에 또는 그 내에 위치시키는 단계와,
    상기 프레임측 커넥터(30)의 단부면을 통해 또는 그 단부면에서 인출된 전선 그룹(80)을, 적어도 하나의 클램핑 부재(60)의 적어도 하나의 전선 유지부(61)에 의해 유지하는 단계와,
    상기 도어 손잡이(10)에 대한 전선 유지부(61)의 상대 위치가 실질적으로 변하지 않게 하도록, 전선 유지부(61)에 실질적으로 연속한 적어도 하나의 손잡이 부 착부(62)를 도어 손잡이(10)에 부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커넥터 연결 구조체의 장착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측 커넥터(40)의 단부면에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가면서 도어 글라스(90)의 승강면(91)에 대한 틈새가 넓어지도록 도어 글라스(90)의 승강면(91)에 대해 비스듬하게 전선 그룹(80)의 경사부(80A)를 배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선 유지부(61)는 바람직하게는 경사부(80A)의 경사진 자세를 유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경사 안내 수단(66)을 포함하는 것인 커넥터 연결 구조체의 장착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측 커넥터(40)의 단부면을 도어 글라스(90)의 승강면(91)에 실질적으로 대면하도록 배치하는 단계와,
    전선 그룹(80)을 프레임측 커넥터(40)의 단부면을 통해 또는 그 단부면에서 인출한 후에 굴곡시켜 그 굴곡 위치에서부터 상기 경사부(80A)를 연장시키고, 그 중간 부분을 적어도 하나의 묶음 수단(85)에 의해 묶음 위치에서 묶는 단계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선 그룹(80)을 형성하는 복수개의 전선(81) 중, 굴곡 작용에 의한 굴곡부의 내측에 위치하는 전선(81A)은 상기 프레임측 커넥터(40)의 단부면과 상기 묶음 위치 사이가 굴곡부의 외측에 위치하는 전선(81B)보다 짧도록 설정하는 것인 커넥터 연결 구조체의 장착 방법.
KR20070030935A 2006-03-29 2007-03-29 커넥터 연결 구조체, 클램핑 부재, 및 커넥터 연결구조체를 장착하는 방법 KR1008907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092106 2006-03-29
JP2006092106A JP4656579B2 (ja) 2006-03-29 2006-03-29 コネクタ接続構造及びクランプ部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8666A true KR20070098666A (ko) 2007-10-05
KR100890747B1 KR100890747B1 (ko) 2009-03-26

Family

ID=381376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70030935A KR100890747B1 (ko) 2006-03-29 2007-03-29 커넥터 연결 구조체, 클램핑 부재, 및 커넥터 연결구조체를 장착하는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575269B2 (ko)
EP (1) EP1839958B1 (ko)
JP (1) JP4656579B2 (ko)
KR (1) KR100890747B1 (ko)
CN (1) CN101067354B (ko)
DE (1) DE602007010996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02007008658D1 (de) * 2006-09-13 2010-10-07 Sumitomo Wiring Systems Drahtabdeckung und Verschlusskonstruktion dafür
JP2010216176A (ja) * 2009-03-18 2010-09-30 Aisin Seiki Co Ltd 車両用ドアハンドル装置
EP2441904B8 (en) 2009-06-11 2015-11-25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Electromagnetic coupling device, door handle and vehicle door having electromagnetic coupling device
DE102011050431A1 (de) * 2011-05-17 2012-11-22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Bauteil für ein Fahrzeug
JP2014044890A (ja) * 2012-08-28 2014-03-13 Sumitomo Wiring Syst Ltd オプションコネクタの保持構造
DE102013214947A1 (de) * 2013-07-31 2015-02-05 Robert Bosch Gmbh Endlagenfixierung einer Steckverbindung zur Erhöhung der Vibrationsfestigkeit
JP6399291B2 (ja) * 2014-07-30 2018-10-03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用ドアハンドル装置
US10145151B2 (en) * 2015-04-30 2018-12-04 Huf North America Automotive Parts Manufacturing Corp. Retention mechanism for vehicular door handle assembly
CA3056628C (en) * 2016-05-31 2022-11-01 Alexandre LECOINTRE Tether system for providing power from a vehicle to a garment
DE102018117954A1 (de) * 2018-07-25 2020-01-30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Kraftfahrzeuggriff
FR3110624B1 (fr) * 2020-05-25 2023-10-06 Psa Automobiles Sa Etrier pour poignée d’ouverture d’une porte coulissante de véhicule automobile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183405B (en) * 1985-11-25 1989-10-04 Plastic Seals Limite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clamping devices for electrical conductors and the like
DE3625119A1 (de) * 1986-07-25 1988-01-28 Audi Ag Befestigungselement fuer biegeelastische, laengliche konstruktionselemente
US6033251A (en) * 1998-05-26 2000-03-07 Cook; James E. Extension cord locking device
DE19830635C1 (de) * 1998-07-09 2000-04-06 Eichhoff Gmbh Netzanschlußvorrichtung mit Funkentstörung für elektrische Geräte
IT1308388B1 (it) * 1999-02-23 2001-12-17 Valeo Sicurezza Abitacolo Spa Maniglia per una porta di un veicolo.
DE19947977C1 (de) * 1999-10-05 2001-05-03 Huf Huelsbeck & Fuerst Gmbh Vorrichtung zur Betätigung eines elektronischen Schließsystems und/oder eines in einer Tür, einer Klappe od. dgl. eingebauten Schlosses, insbesondere bei einem Fahrzeug
DE10053687C2 (de) * 2000-10-28 2003-07-10 Bosch Gmbh Robert Zugentlastung für einen Kabelbaum
JP2004162338A (ja) * 2002-11-12 2004-06-10 Aisin Seiki Co Ltd 車両用ドアハンドル装置
JP4096707B2 (ja) * 2002-11-14 2008-06-04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ケーブル配索構造
JP3826881B2 (ja) 2002-11-26 2006-09-27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用ドアハンドル装置
DE10300766A1 (de) * 2003-01-11 2004-07-22 Hella Kg Hueck & Co.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Türschlossvor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sowie eine durch ein derartiges Verfahren hergestellte Türschlossvorrichtung
JP4015568B2 (ja) 2003-01-29 2007-11-28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アウトサイドハンドル装置及びそのコネクタ構造
US7057124B2 (en) 2003-04-22 2006-06-06 Aisin Seiki Kabushiki Kaisha Push switch apparatus
JP4501381B2 (ja) 2003-09-10 2010-07-14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コネクタ保持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575269B2 (en) 2009-08-18
US20070228768A1 (en) 2007-10-04
CN101067354A (zh) 2007-11-07
EP1839958A1 (en) 2007-10-03
KR100890747B1 (ko) 2009-03-26
DE602007010996D1 (de) 2011-01-20
JP4656579B2 (ja) 2011-03-23
EP1839958B1 (en) 2010-12-08
JP2007262832A (ja) 2007-10-11
CN101067354B (zh) 2011-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0747B1 (ko) 커넥터 연결 구조체, 클램핑 부재, 및 커넥터 연결구조체를 장착하는 방법
EP1832791B1 (en) A fixture
US8714624B2 (en) Belt molding for vehicle door
EP1630042B1 (en) Protector
US9669778B2 (en) Clamping member
JP2001354085A (ja) 自動車用スライドドアの給電装置
EP1521024A1 (en) Clamp for slender object such as a cable
US20030156898A1 (en) Mounting device for control cable
US7547059B2 (en) System for passing cables between the body and a door of a motor vehicle, and vehicle comprising said system
JP5239837B2 (ja) パッケージトレイの支持構造
EP1253681A1 (en) Locking structure and wire-harness component
US10897095B2 (en) Terminal cover
US20170028944A1 (en) Cable guide attachment structure
CN108146195B (zh) 车门构造
JP3117119B2 (ja) 固定式プロテクタ
US20100293862A1 (en) Cap Mounting Structure
JP4295704B2 (ja) プロテクタ
JP3690153B2 (ja) 自動車の内装部品の爪嵌合による連結構造
JP4047627B2 (ja) プロテクタ
JP3364106B2 (ja) 自動車用アシストグリップ
JP2004204549A (ja) 駆動ワイヤ及びワイヤ式ウインドレギュレータ
JP2004032946A (ja) 電気接続箱の固定構造
US11964546B2 (en) End cover member for outbelt of door for vehicle and fastening structure for outbelt and glass run of door using the same
JP2002118924A (ja) ワイヤハーネス用プロテクタ
JP4183501B2 (ja) ワイヤ式ウィンドレギュレー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2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