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90072A - 건설 기계의 엔진 보호 장치 및 보호 방법 - Google Patents

건설 기계의 엔진 보호 장치 및 보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90072A
KR20070090072A KR1020067014870A KR20067014870A KR20070090072A KR 20070090072 A KR20070090072 A KR 20070090072A KR 1020067014870 A KR1020067014870 A KR 1020067014870A KR 20067014870 A KR20067014870 A KR 20067014870A KR 20070090072 A KR20070090072 A KR 200700900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engine
exhaust temperature
construction machine
average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148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65513B1 (ko
Inventor
다까노부 이까리
요시노리 오오와다
요시노리 후루노
신지 아끼노
다이스께 다까기
Original Assignee
히다찌 겐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4339842A external-priority patent/JP4315346B2/ja
Application filed by 히다찌 겐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히다찌 겐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900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00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55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55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2Circuit arrangements for generating control signals
    • F02D41/14Introducing closed-loop corrections
    • F02D41/1438Introducing closed-loop corrections using means for determining characteristics of the combustion gases; Sensors therefor
    • F02D41/1444Introducing closed-loop corrections using means for determining characteristics of the combustion gases; Sensor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mbustion gases
    • F02D41/1446Introducing closed-loop corrections using means for determining characteristics of the combustion gases; Sensor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mbustion gases the characteristics being exhaust temper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5/00Electrical control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D41/00 - F02D43/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2Hydraulic or pneumatic drives
    • E02F9/226Safety arrangements, e.g. hydraulic driven fans, preventing cavitation, leakage, overhea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4Safety devices, e.g. for preventing overloa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6Indicat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22Safety or indicating devices for abnormal conditions
    • F02D41/221Safety or indicating devices for abnormal conditions relating to the failure of actuators or electrically driven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08Controlling each cylinder individual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40Engine management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ombined Control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 Operation Control Of Exca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엔진 회전수에 대응하는 엔진의 각 기통 고유의 배기 온도의 경향을 각각 진단하고, 엔진 각 기통의 이상을 사전에 찰지할 수 있는 건설 기계의 엔진 보호 장치를 제공한다. 건설 기계에 탑재한 엔진의 회전수를 검출하는 회전수 센서(14)와, 엔진의 각 기통의 배기 온도를 각각 검출하는, 예를 들어 16개의 기통 온도 센서(20a 내지 20p)와, 검출한 엔진 회전수와 각 기통의 배기 온도를 경시적 관계를 갖고 기억하는 데이터 기록 장치(26) 및 표시 제어 장치(24)를 구비한다. 데이터 기록 장치(26)는 기억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생성한 트랜드 데이터를, 예를 들어 휴대 단말(29) 등을 거쳐서, 예를 들어 사무소 내의 PC 단말(30)에 출력하고, 표시 제어 장치(24)는 기억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생성한 스냅샷의 재생 표시 신호를 운전실(5) 내의 표시 장치(23)에 출력하도록 되어 있다.
엔진 보호 장치, 회전수 센서, 기통 온도 센서, 데이터 기록 장치, 표시 제어 장치

Description

건설 기계의 엔진 보호 장치 및 보호 방법{DEVICE AND METHOD FOR PROTECTING ENGINE OF CONSTRUCTION MACHINE}
본 발명은 다기통 엔진을 구비한 유압 셔블 등의 건설 기계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엔진 각 기통의 배기 온도의 경향을 진단하는 건설 기계의 엔진 보호 장치 및 보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유압 셔블 등의 건설 기계는, 일반적으로 붐, 아암 및 버킷 등으로 이루어지는 전방 작업기나 선회체를 유압 실린더나 유압 모터 등의 유압 작동기에 의해 동작시키고 있고, 이들 유압 작동기는 엔진에 의해 구동되는 유압 펌프로부터의 토출 압유가 공급되어 작동한다. 엔진은 연소실(기통) 내에 연료를 분무하는 연료 분사 장치와, 이 연료 분사 장치를 제어하는 거버너 기구를 구비하고 있고, 연료 분사량 및 분사 시기 등이 제어되어 엔진 출력을 제어하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건설 기계의 작업 환경(외기 온도, 표고, 일사)이 변화되거나 작업 부하가 커지거나, 혹은 엔진에 어떠한 이상이 발생하면, 엔진의 배기 온도가 상승하는 일이 있다. 이때, 배기 온도가 허용 온도를 넘으면, 엔진 부품(상세하게는, 엔진 기통 및 배기 매니폴드 등)이 손상될 가능성이 있다.
그래서 종래, 예를 들어 배기 매니폴드 등에 설치한 온도 센서에 의해 배기 온도를 검출하고, 이 배기 온도가 배기 매니폴드에서 열피로를 일으키는 제1 설정 온도를 넘은 횟수와, 제1 설정 온도보다 높고, 배기 매니폴드에서 산화에 의한 파괴를 일으키는 제2 설정 온도를 넘은 시간을 집계하여, 제1 설정 온도를 넘은 횟수가 소정의 횟수치를 넘었을 때, 혹은 제2 설정 온도를 넘은 시간이 소정의 설정 시간을 넘었을 때에 경보를 출력하거나, 연료 분사량을 저감시키거나, 분사 시기를 변경하는 것 중 어느 하나를 행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이 종래 기술에서는, 연료 분사량을 저감시키거나 분사 시기를 변경하는 것 중 어느 하나를 행함으로써 배기 온도의 상승을 억제하도록 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평8-319874호 공보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에는 이하와 같은 과제가 존재한다.
예를 들어, 대형 유압 셔블 등에 탑재된 엔진은 12 기통 전후의 다기통 엔진이고, 예를 들어 어떠한 원인으로 엔진 기통이 1개 고장난 경우, 그 고장에 의한 엔진의 출력 부족을 다른 엔진 기통이 다소 보충하는 형태로 작용한다. 그로 인해, 엔진의 기통수가 많을수록 1개의 기통만이 고장났을 때의 엔진 전체의 출력 저하는 거의 없어, 그 고장을 발견하는 것이 지연되고, 다른 엔진 기통이 과부하가 되어 치명적인 고장이 되는 일이 있다.
또한, 대형 유압 셔블은, 예를 들어 광대한 작업 현장에서의 토석 굴삭 작업에 제공되고 있고, 그 생산성 향상으로 인해 일반적으로 연속 운전 가동되고 있다. 이로 인해, 상기와 같은 고장이 발생하면, 유압 셔블에 의한 생산 작업이 중단되므로, 생산 계획의 운용을 변경해야만 한다. 그래서, 엔진에 치명적인 고장이 발생하여 정지하기 전에 엔진 각 기통의 이상(환언하면, 고장 전의 징후)을 찰지할 필요가 있다. 그런데, 엔진 전체뿐만 아니라 각 기통의 특성에는 일반적으로 편차가 있으므로, 예를 들어 배기 온도 등으로부터 엔진 기통이 이상인지 여부를 판정하는 것은 어렵고, 엔진 각 기통의 이상을 각각 사전에 찰지(察知)하는 것은 곤란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엔진 회전수에 대응하는 엔진의 각 기통 고유의 배기 온도의 경향을 각각 진단하고, 엔진 각 기통의 이상을 사전에 찰지할 수 있는 건설 기계의 엔진 보호 장치 및 보호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1)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건설 기계에 탑재한 엔진의 회전수를 검출하는 회전수 검출 수단과, 상기 엔진의 각 기통의 배기 온도를 각각 검출하는 복수의 기통 온도 검출 수단과, 검출한 상기 엔진의 회전수와 상기 각 기통의 배기 온도를 경시적 관계를 갖고 기억하는 기억 수단과, 이 기억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연산한 표시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회전수 검출 수단으로 엔진의 회전수를 검출하고, 복수의 기통 온도 검출 수단으로 엔진 각 기통의 배기 온도를 각각 검출하고, 이들 검출한 엔진 회전수와 각 기통의 배기 온도를 경시적 관계를 갖고 기억 수단으로 기억한다. 그리고, 제어 수단은 기억 수단의 기억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연산한 표시 신호를 출력하여 표시시킨다. 이에 의해, 관리자 또는 조작자가 엔진 회전수에 대응하는 엔진의 각 기통 고유의 배기 온도의 정상 상태를 얻는 동시에, 이 정상 상태와 비교하면서 엔진 각 기통 고유의 배기 온도의 경향을 진단할 수 있으므로, 엔진 각 기통의 이상을 사전에 찰지할 수 있다.
(2) 상기 (1)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기억 데이터로부터 소정의 엔진 회전수에 있어서의 각 기통의 배기 온도를 추출하고, 이 추출 데이터로부터 각 기통의 배기 온도의 평균치 및 표준 편차 중 적어도 한쪽을 소정 시간마다 연산하고, 이 각 기통의 배기 온도의 평균치 및 표준 편차 중 적어도 한쪽의 경시 변화를 나타내는 트랜드 데이터를 생성하여 기억시키는 동시에, 이 트랜드 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 신호를 건설 기계의 외부로 출력하는 트랜드 데이터 처리 수단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트랜드 데이터 처리 수단은 소정의 엔진 회전수에 있어서의 각 기통의 배기 온도의 평균치 및 표준 편차 중 적어도 한쪽의 경시 변화(소정 시간마다의 변화)를 나타내는 트랜드 데이터를 생성하여 기억 수단에 기억시키는 동시에, 이 트랜드 데이터를, 예를 들어 위성 통신 등의 정보 통신을 거쳐서, 예를 들어 건설 기계의 가동 상태 등을 관리하는 사무소 등으로 송신하여 표시시킨다. 이에 의해, 사무소 내의 관리자가 소정의 엔진 회전수에 있어서의 엔진의 각 기통 고유의 배기 온도의 평균치 및 표준 편차 중 적어도 한쪽의 정상 상태를 얻는 동시에, 엔진 각 기통 고유의 배기 온도의 평균치 및 표준 편차 중 적어도 한쪽의 경향을 진단하여 엔진 각 기통의 이상을 사전에 찰지할 수 있다.
(3) 상기 (1) 또는 (2)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건설 기계의 운전실 내에 설치한 표시 장치와, 조작자로부터의 지령에 따라서 소정 시간 내의 상기 기억 데이터를 추출한 스냅샷을 생성하여 기억시키는 동시에, 조작자로부터의 지령에 따라서 상기 스냅샷의 추이를 재생 표시하는 재생 표시 신호를 상기 표시 장치에 출력하는 스냅샷 처리 수단을 갖는 상기 제어 수단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조작자가 스냅샷을 작성하는 것을 의도하여 조작 수단을 조작하면, 스냅샷 처리 수단은 그 지령에 따라서 소정 시간 내의 기억 데이터(엔진 회전수와 각 기통의 배기 온도)를 추출한 스냅샷을 생성하여 기억시킨다. 또한, 조작자가 상기 조작을 정기적으로 반복함으로써 스냅샷 처리 수단은 복수의 스냅샷을 기억 수단에 기억시킨다. 그리고, 조작자가 스냅샷을 재생 표시하는 것을 의도하여 조작 수단을 조작하면, 스냅샷 처리 수단은 그 지령에 따라서 선택한 스냅샷의 재생 표시 신호를 운전실 내의 표시 장치에 출력하고, 표시 장치에 재생 표시시킨다. 이에 의해, 운전실 내의 조작자는 복수의 스냅샷의 추이(연속 변화)를 보고, 엔진 회전수에 따른 엔진의 각 기통의 배기 온도를 비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조작자가 엔진 회전수에 대응하는 엔진의 각 기통 고유의 배기 온도를 이전의 상태와 비교 진단하여, 엔진의 각 기통의 이상을 사전에 찰지할 수 있다.
(4) 상기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소정 시간마다 연산한 상기 각 기통의 배기 온도의 상기 평균치 및 상기 표준 편차 중 적어도 한쪽과, 전체 기통의 배기 온도의 평균치 및 표준 편차의 편차가 소정의 임계치보다 큰지 여부를 판정하고, 상기 편차가 소정의 임계치보다 큰 경우에는 이상 신호를 출력하는 제1 이상 판정 수단을 더 구비한다.
(5) 상기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더 바람직하게는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건설 기계의 엔진 보호 장치에 있어서, 소정 시간마다 연산한 상기 각 기통의 배기 온도의 상기 평균치 및 상기 표준 편차 중 적어도 한쪽과, 전체 기통의 배기 온도의 평균치 및 표준 편차의 편차가 소정의 임계치보다 큰지 여부를 판정하고, 상기 편차가 소정의 임계치보다 큰 경우에는 이상의 종류를 판정하고, 이상 신호를 출력하는 제2 이상 판정 수단을 더 구비한다.
(6)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다기통 엔진을 탑재한 건설 기계의 엔진 보호 방법에 있어서, 회전수 검출 수단으로 검출하는 엔진 회전수와, 복수의 기통 온도 검출 수단으로 검출하는 각 기통의 배기 온도를 경시적 관계를 갖고 기억하는 동시에, 이 기억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연산한 표시 신호를 표시 수단에 출력한다.
(7) 상기 (6)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억 데이터로부터 소정의 엔진 회전수에 있어서의 각 기통의 배기 온도를 추출하고, 이 추출 데이터로부터 각 기통의 배기 온도의 평균치 및 표준 편차 중 적어도 한쪽을 소정 시간마다 연산하고, 상기 각 기통의 배기 온도의 상기 평균치 및 상기 표준 편차 중 적어도 한쪽의 경시 변화를 나타내는 트랜드 데이터를 생성하여 기억하는 동시에, 이 트랜드 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 신호를 건설 기계의 외부로 출력한다.
(8) 상기 (6) 또는 (7)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조작자에 의한 지령에 따라서 소정 시간 내의 상기 기억 데이터를 추출한 스냅샷을 생성하여 기억하는 동시에, 조작자에 의한 지령에 따라서 상기 스냅샷의 추이를 재생 표시하는 재생 표시 신호를 건설 기계의 운전실 내에 설치한 표시 장치에 출력한다.
(9) 상기 (6) 내지 (8)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소정 시간마다 연산한 상기 각 기통의 배기 온도의 상기 평균치 및 상기 표준 편차 중 적어도 한쪽과, 전체 기통의 배기 온도의 평균치 및 표준 편차의 편차가 소정의 임계치보다 큰지 여부를 판정하고, 상기 편차가 소정의 임계치보다 큰 경우에는 이상을 통지한다.
(10) 상기 (6) 내지 (8)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더 바람직하게는 소정 시간마다 연산한 상기 각 기통의 배기 온도의 상기 평균치 및 상기 표준 편차 중 적어도 한쪽과, 전체 기통의 배기 온도의 평균치 및 표준 편차의 편차가 소정의 임계치보다 큰지 여부를 판정하고, 상기 편차가 소정의 임계치보다 큰 경우에는 이상의 종류를 판정하여 이상을 통지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엔진 회전수에 대응하는 엔진의 각 기통 고유의 배기 온도의 경향을 각각 진단하여 엔진 각 기통의 이상을 사전에 찰지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건설 기계의 엔진 보호 장치의 적용 대상이 되는 건설 기계의 일 예로서 대형 유압 셔블의 전체 구조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건설 기계의 엔진 보호 장치의 일 실시 형태를 제어기 네트워크의 주요부 구성과 함께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건설 기계의 엔진 보호 장치의 다른 실시 형태를 제어기 네트워크의 주요부 구성과 함께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건설 기계의 엔진 보호 장치의 다른 실시 형태를 구성하는 엔진 모니터 장치에 있어서의 제어 처리 내용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건설 기계의 엔진 보호 장치의 일 변형예를 구성하는 엔진 모니터 장치에 있어서의 제어 처리 내용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부호의 설명]
14 : 회전수 센서(회전수 검출 수단)
17' : 엔진 모니터 장치(제1 이상 판정 수단)
17" : 엔진 모니터 장치(제2 이상 판정 수단)
20a 내지 20p : 기통 온도 센서(기통 온도 검출 수단)
23 : 표시 장치
24 : 표시 제어 장치(기억 수단, 제어 수단, 스냅샷 처리 수단)
26 : 데이터 기록 장치(기억 수단, 제어 수단, 트랜드 데이터 처리 수단)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적용 대상이 되는 건설 기계의 일 예로서 대형 유압 셔블의 전체 구조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이 도1에 있어서, 부호 1은 대형의 유압 셔블이고, 2는 주행 수단인 무한 궤도 벨트[크롤러(crawler)], 3은 벨트(2)를 좌우 양측에 구비한 주행체, 4는 주행체(3) 상에 선회 가능하게 설치된 선회체, 5는 선회체(4)의 전방부 좌측에 설치된 운전실, 6은 선회체(4)의 전방부 중앙에 부앙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다관절형 전방 작업기(굴삭 작업 장치)이다. 그리고, 좌우 벨트(2)는 좌우 주행용 유압 모터(도 시하지 않음), 선회체(4)는 선회용 유압 모터(도시하지 않음)의 회전 구동에 의해 동작하도록 되어 있다.
부호 7은 선회체(4)에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붐, 8은 붐(7)의 선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아암, 9는 아암(8)의 선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버킷이고, 상기 전방 작업기(6)는 이들 붐(7), 아암(8) 및 버킷(9)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붐(7), 아암(8) 및 버킷(9)은 각각 붐용 유압 실린더(10), 아암용 유압 실린더(11) 및 버킷용 유압 실린더(12)에 의해 동작하도록 되어 있다.
도2는 본 발명의 건설 기계의 엔진 보호 장치의 일 실시 형태를 제어기 네트워크의 주요부 구성과 함께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이 도2에 있어서, 부호 13은 유압 셔블(1)의 각종 가동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제어기 네트워크이고, 14는, 예를 들어 16 기통의 디젤 엔진(도시하지 않음)의 회전수를 검출하는 회전수 센서, 15는 소위 전자 거버너 타입의 연료 분사 장치, 16은 회전수 센서(14) 등으로부터의 검출 신호가 입력되어 연료 분사 장치(15)를 제어하고 엔진 회전수를 제어하는 엔진 제어 장치이다.
부호 17은 시리얼 통신(18)을 거쳐서 엔진 제어 장치(16)에 접속되는 동시에, 엔진에 관한 상태량을 검출하는 각종 센서로부터의 검출 신호가 입력되는 엔진 모니터 장치이다. 19는 엔진의 배기 매니폴드(도시하지 않음)에 설치한 배기 온도 센서, 20a 내지 20p는 엔진 기통(도시하지 않음)의 배기측에 각각 설치한, 예를 들어 16개의 기통 온도 센서(도2에서는 편의상, 20a, 20b, 20c의 3개만 도시)이고, 이들 배기 온도 센서(19) 및 기통 온도 센서(20a 내지 20p)로부터의 검출 신호가 엔진 모니터 장치(17)에 입력되도록 되어 있다.
부호 21은 유압 작동기[상세하게는, 상기 좌우 주행용 유압 모터, 상기 선회용 유압 모터, 상기 붐용 유압 실린더(10), 상기 아암용 유압 실린더(11) 및 상기 버킷용 유압 실린더(12) 등]를 조작 지시하기 위해 조작 레버(21a)를 구비하고, 이 조작 레버(21a)의 조작(변위 방향 및 변위량)에 따른 조작 신호를 생성하는 조작 레버 장치(도2에서는 대표로 1개만 도시), 22는 조작 레버 장치(21)로부터의 조작 신호를 입력하고, 이 조작 신호에 대해 소정의 연산 처리를 행하여 생성한 구동 신호(제어 신호)를 전자기 비례 감압 밸브(도시하지 않음)에 출력하는 전기 레버 제어 유닛이다.
부호 23은 운전실(5) 내에 설치되어 유압 셔블(1)의 각종 가동 정보(후술하는 엔진계, 조작계, 유압계 등에 관한 상태량)나 경보 정보 등을 조작자(오퍼레이터)에게 표시하는 표시 장치(디스플레이), 24는 표시 장치(23)의 표시에 관한 제어를 행하는 표시 제어 장치이다. 또한, 25는 표시 제어 장치(24)에 접속되어 조작자의 입력 조작에 의해 각종 데이터의 설정이나 화면의 절환 등이 이루어지는 키패드이다.
부호 26은 제1 네트워크(27A)를 거쳐서 엔진 모니터 장치(17)에 접속되고, 제2 네트워크(27B)를 거쳐서 표시 제어 장치(24)나 전기 레버 제어 장치(22) 등(예를 들어, 엔진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유압 작동기에 압유를 공급하는 유압 펌프의 유압 제어 등에 관한 유압 제어 장치 등)에 접속된 데이터 기록 장치이다.
이들 표시 제어 장치(24) 및 데이터 기록 장치(26)는 엔진 제어 장치(16) 및 엔진 모니터 장치(17) 등으로부터 유압 셔블(1)의 엔진계에 관한 상태량, 전기 레버 제어 장치(22)로부터 조작계에 관한 상태량 등(예를 들어, 상기 유압 제어 장치로부터 유압계에 관한 상태량 등)이 연속해서(예를 들어, 1초마다) 입력되고, 이들 상태량 데이터를 경시적 관계를 갖고 기억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본 실시 형태의 제1의 큰 특징으로서, 데이터 기록 장치(26)는 기억한 상태량 데이터로부터 소정의 엔진 회전수(예를 들어, 정격 회전수)에 있어서의 각 기통의 배기 온도를 추출하고, 이 추출 데이터로부터 각 기통의 배기 온도의 평균치 및 표준 편차를 소정 시간마다(예를 들어, 30분마다) 연산하고, 이 각 기통의 배기 온도의 평균치 및 표준 편차의 경시 변화(예를 들어, 30분마다의 변화)를 나타내는 트랜드 데이터를 생성하여 기억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생성한 트랜드 데이터는 데이터 기록 장치(26)로부터 시리얼 통신(28)을 거쳐서 휴대 단말(29)로 다운로드되어 이송되거나, 혹은 위성 통신 단말(도시하지 않음)을 거쳐서 송신되고, 예를 들어 유압 셔블(1)의 가동 상태를 관리하는 사무소 등에 설치된 PC 단말(30)로 출력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제2의 큰 특징으로서, 표시 제어 장치(24)는 조작자가 조작하는 키패드(25)로부터의 지령 신호에 따라서 기억한 상태량 데이터로부터 소정 시간(예를 들어, 최대 30분간이고, 조작자가 입력 지정한 시간)에 있어서의 엔진 회전수 및 각 기통의 배기 온도 등을 추출한 스냅샷을 생성하여 기억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표시 제어 장치(24)는 조작자가 조작하는 키패드(23)로부터의 지령 신호에 따라서 상기 스냅샷의 추이(예를 들어, 매초 변화)를 재생 표시하는 재 생 표시 신호를 표시 장치(23)에 출력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에 있어서, 회전수 센서(14)는 특허청구 범위 기재의 건설 기계에 탑재한 엔진의 회전수를 검출하는 회전수 검출 수단을 구성하고, 기통 온도 센서(20a 내지 20p)는 특허청구 범위 기재의 엔진의 각 기통의 배기 온도를 각각 검출하는 복수의 기통 온도 검출 수단을 구성한다.
또한, 데이터 기록 장치(26)는 검출한 엔진 회전수와 각 기통의 배기 온도를 경시적 관계를 갖고 기억하는 기억 수단을 구성하고, 또한 기억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연산한 표시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 수단도 구성하고, 또한 기억 데이터로부터 소정의 엔진 회전수에 있어서의 각 기통의 배기 온도를 추출하고, 이 추출 데이터로부터 각 기통의 배기 온도의 평균치 및 표준 편차 중 적어도 한쪽을 소정 시간마다 연산하고, 이 각 기통의 배기 온도의 평균치 및 표준 편차 중 적어도 한쪽의 경시 변화를 나타내는 트랜드 데이터를 생성하여 기억시키는 동시에, 이 트랜드 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 신호를 건설 기계의 외부로 출력하는 트랜드 데이터 처리 수단도 구성한다.
또한, 표시 제어 장치(24)는 검출한 엔진 회전수와 각 기통의 배기 온도를 경시적 관계를 갖고 기억하는 기억 수단을 구성하고, 또한 기억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연산한 표시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 수단도 구성하고, 또한 조작자로부터의 지령에 따라서 소정 시간 내의 기억 데이터를 추출한 스냅샷을 생성하여 기억시키는 동시에, 조작자로부터의 지령에 따라서 스냅샷의 추이를 재생 표시하는 재생 표시 신호를 표시 장치에 출력하는 스냅샷 처리 수단도 구성한다.
다음에, 본 실시 형태의 동작 및 작용 효과를 설명한다.
예를 들어, 굴삭 작업 등을 행하기 위해 조작자가 유압 셔블(1)의 엔진을 구동시키면, 엔진의 회전수가, 예를 들어 정격 회전수가 되고, 엔진의 각 기통의 배기 온도가 상승한다. 그리고, 회전수 센서(14)가 엔진의 회전수를 검출하고, 기통 온도 센서(20a 내지 20p)가 엔진 각 기통의 배기 온도를 검출하고, 이들 검출 신호가 데이터 기록 장치(26) 및 표시 제어 장치(24)에 입력되어 기억된다.
데이터 기록 장치(26)는 기억한 상태량 데이터로부터, 예를 들어 엔진의 정격 회전수에 있어서의 각 기통의 배기 온도의 평균치 및 표준 편차를, 예를 들어 30분 마다 연산하고, 이 각 기통의 배기 온도의 평균치 및 표준 편차의 30분마다의 변화를 나타내는 트랜드 데이터를 생성하여 기억한다. 그리고, 생성한 트랜드 데이터는 휴대 단말(29) 등을 거쳐서 건설 기계의 가동 상태 등을 관리하는 사무소로 송신되어 그 사무소 내의 PC 단말(30)에 표시된다.
이에 의해, 사무소 내의 관리자가 엔진의 정격 회전수에 있어서의 각 기통 고유의 배기 온도의 정상 상태[예를 들어, 유압 셔블(1)의 누적 가동 시간이 적은 시기의 상태]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때 엔진의 정격 회전수에 있어서의 각 기통의 배기 온도 데이터의 30분마다의 변화가 PC 단말(30)에 표시되므로, 엔진 각 기통 고유의 배기 온도의 경향을 각각 용이하게 진단하여 엔진 각 기통의 이상을 사전에 찰지할 수 있다.
또한, 조작자가 스냅샷을 작성하는 것을 의도하여 키패드(25)를 조작하면, 표시 제어 장치(24)는 키패드(25)로부터의 지령 신호에 따라서 기억한 상태량 데이 터로부터 소정 시간(최대 30분간)에 있어서의 엔진 회전수 및 각 기통의 배기 온도 등을 추출한 스냅샷을 생성하여 기억한다. 또한, 조작자가 스냅샷의 작성 지시를 반복함으로써 표시 제어 장치(24)는 복수의 스냅샷을 작성하여 기억한다. 그리고, 스냅샷을 재생 표시하는 것을 의도하여 조작자가 키패드(25)를 조작하면, 표시 제어 장치(24)는 키패드(25)로부터의 지령 신호에 따라서 선택한 스냅샷의 재생 표시 신호를 운전실(5) 내의 표시 장치(23)에 출력하고, 표시 장치(23)에 재생 표시시킨다.
이에 의해, 운전실(5) 내의 조작자는 복수의 스냅샷의 추이(매초 변화)를 보고 비교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조작자가 엔진의 회전수에 대응하는 각 기통 고유의 배기 온도를 이전의 상태와 비교 진단하여 엔진의 각 기통의 이상을 사전에 찰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관리자 또는 조작자가 엔진 회전수에 대응하는 엔진의 각 기통 고유의 배기 온도의 정상 상태를 얻는 동시에, 엔진 각 기통 고유의 배기 온도의 경향을 진단할 수 있으므로, 엔진 각 기통의 이상을 사전에 찰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를 도3 및 도4에 의해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는 엔진의 각 기통의 이상을 각각 판정하는 수단을 더 구비한 실시 형태이다.
도3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건설 기계의 엔진 보호 장치를 제어기 네트워크의 주요부 구성과 함께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이 도3에 있어서, 상기 일 실시 형태와 동등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적절하게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31a 내지 31p(도3에서는 편의상, 31a, 31b, 31c의 3개만 도시)는 상기 운전실(5) 내에 설치되어, 엔진 기통에 각각 대응하여 이상을 통지하기 위한, 예를 들어 16개의 이상 통지 램프이고, 엔진 모니터 장치(17')는 상기 회전수 센서(14)로부터의 엔진 회전수 및 상기 기통 온도 센서(20a 내지 20p)로부터의 엔진 각 기통의 배기 온도에 대해 후술하는 소정의 연산 처리를 행하고, 생성한 제어 신호(이상 신호)를 이상 통지 램프(31a 내지 31p)에 각각 출력하도록 되어 있다.
도4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엔진 모니터 장치(17')의 제어 처리 내용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 도4에 있어서, 우선 스텝 100에서 엔진이 구동하고 있는지 여부를, 예를 들어 회전수 센서(14)에서 검출한 엔진 회전수에 의해 판단한다. 엔진이 구동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스텝 100의 판정이 만족되지 않아 이 판정이 반복된다. 한편, 엔진이 구동하고 있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스텝 100의 판정이 만족되어 스텝 110으로 옮겨진다. 스텝 110에서는, 예를 들어 회전수 센서(14)의 검출 신호를 기초로 하여 엔진의 구동 시간을 산출하고, 이 구동 시간이 소정 시간(상세하게는, 구동 개시한 엔진이 안정될 때까지의 시간, 예를 들어 1시간 정도)보다 긴지 여부를 판정한다. 엔진의 구동 시간이 소정 시간보다 짧은 경우에는 스텝 110의 판정이 만족되지 않아 스텝 100으로 복귀되어 상기와 동일한 순서를 반복한다. 한편, 엔진의 구동 시간이 소정 시간보다 긴 경우에는 스텝 110의 판정이 만족되어 스텝 120으로 옮겨진다.
스텝 120에서는 회전수 센서(14) 및 기통 배기 온도 센서(20a 내지 20p)로부터의 검출 신호로부터, 예를 들어 엔진 정격 회전수 등에 있어서의 각 기통의 배기 온도를 추출하여 스텝 130으로 진행하고, 소정 시간마다(예를 들어, 30분마다) 각 기통의 배기 온도의 평균치(tav _1 내지 tav _16)를 연산한다. 그 후, 스텝 140으로 진행하여 동일한 소정 시간마다 전체 기통의 배기 온도의 평균치(tav _ all)를 연산한다[또한, 상기 배기 온도 센서(19)로부터의 검출 신호에 의해 연산해도 좋음]. 그리고, 스텝 150으로 진행하여 기통 계산자 i = 1로 초기 설정하고, 스텝 160에서 기통 계산자(i)가 기통수(본 실시 형태에서는 16)보다 큰지 여부를 판정한다. 처음에는 기통 계산자 i = 1로, 기통수인 16보다 작으므로, 스텝 160의 판정이 만족되지 않아 스텝 170으로 옮겨진다.
스텝 170에서는 기통 계산자 i = 1이므로, 제1 기통의 배기 온도의 평균치(tav_1)와 전체 기통의 배기 온도의 평균치(tav _all)의 편차│tav _all - tav _1│가 소정의 임계치(tref)보다 큰지 여부를 판정한다. │tav _ all - tav _1│> tref인 경우에는 스텝 170의 판정이 만족되어 스텝 180으로 옮겨진다. 스텝 180에서는 기통 계산자 i = 1이므로, 제1 기통의 이상 통지 램프(31a)로의 제어 신호를 온 상태로 하고, 이상 통지 램프(31a)를 점등시켜 스텝 190으로 옮겨진다. 또한, 스텝 170에서 │tav _all - tav _1│≤ tref인 경우에는 그 판정이 만족되지 않아 스텝 190으로 옮겨진다. 스텝 190에서는 기통 계산자(i)에 1을 더하고(즉, i = 1 + 1 = 2), 스텝 160으로 옮겨진다.
상술한 스텝 160 내지 190을 기통 계산자가 i = 2, 3, ……, 16이 될 때까지, 즉 제2 내지 제16 기통에 있어서 동일한 순서를 반복한다. 그리고, 스텝 190에서 기통 계산자 i = 16 + 1 = 17이 되어 기통수의 16보다 커지면, 스텝 160의 판정이 만족되어 스텝 100으로 복귀되고, 상기와 동일한 순서를 반복한다.
또한, 엔진 모니터 장치(17')는 상술한 도4와 동일한 제어 순서로, 예를 들어 엔진 정격 회전수 등에 있어서의 각 기통의 배기 온도를 추출하고, 소정 시간마다(예를 들어, 30분마다) 각 기통의 배기 온도의 표준 편차, 전체 기통의 배기 온도의 표준 편차를 연산하고, 또한 각 기통마다 각 기통의 배기 온도의 표준 편차와 전체 기통의 배기 온도의 표준 편차의 편차가 소정의 임계치보다 큰지 여부를 판정하고, 그 편차가 소정의 임계치보다 큰 경우에는 각 기통에 대응하는 이상 통지 램프(31a 내지 31p 중 어느 하나)로의 제어 신호를 온 상태로 하여 대응하는 이상 통지 램프를 점등시키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시하지 않았지만, 엔진 모니터 장치(17')는, 예를 들어 엔진 각 기통의 배기 온도의 평균치 및 표준 편차와, 전체 기통의 배기 온도의 평균치 및 표준 편차의 편차가 소정의 임계치보다 큰지 여부를 판정하고, 이들 편차가 양쪽 모두 큰 경우에 각 기통에 대응하는 이상 통지 램프로의 제어 신호를 온 상태로 하여 대응하는 이상 통지 램프를 점등시켜도 좋다.
또한, 상기에 있어서, 엔진 모니터 장치(17')는 특허청구 범위 기재의 소정 시간마다 연산한 각 기통의 배기 온도의 평균치 및 표준 편차 중 적어도 한쪽과, 전체 기통의 배기 온도의 평균치 및 표준 편차의 편차가 소정의 임계치보다 큰지 여부를 판정하고, 편차가 소정의 임계치보다 큰 경우에는 이상 신호를 출력하는 제1 이상 판정 수단을 구성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엔진 모니터 장치(17')가 엔진 회전수에 대응하는 각 기통 고유의 배기 온도를 비교 진단하여, 엔진 기통의 이상을 검출한 경우에는 대응하는 이상 통지 램프를 점등시키므로, 조작자는 엔진 각 기통의 이상을 사전에 찰지할 수 있다.
또한, 엔진 모니터 장치는 각 기통의 배기 온도를 엔진 부하 상태에 따라서 진단하여 그 이상의 종류를 판정하도록 해도 좋다. 이와 같은 변형예를 도5에 의해 설명한다.
도5는 본 변형예에 의한 엔진 모니터 장치(17")(도시 생략)의 제어 처리 내용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 도5에 있어서, 상기 실시 형태에서 동등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적절하게 설명을 생략한다.
도5에 있어서, 엔진의 구동 시간이 소정 시간보다 긴 경우에는 스텝 100을 경유하고 스텝 110의 판정이 만족되어 스텝 200으로 옮겨진다.
스텝 200에서는 소정 시간(예를 들어, 30초간)에 있어서의 각 기통의 배기 온도의 평균치(tav _1 내지 tav _16)를 연산한다. 그 후, 스텝 210으로 진행하여 동일한 소정 시간에 있어서의 전체 기통의 배기 온도의 평균치(tav _all)를 연산한다[또한, 상기 배기 온도 센서(19)로부터의 검출 신호에 의해 연산해도 좋음]. 그리고, 스텝 220으로 진행하여 기통 계산자 i = 1로 초기 설정하고, 스텝 230에서 기통 계산 자(i)가 기통수(본 실시 형태에서는 16)보다 큰지 여부를 판정한다. 처음에는 기통 계산자 i = 1로, 기통수인 16보다 작으므로, 스텝 230의 판정이 만족되지 않아 스텝 240으로 옮겨진다.
스텝 240에서는 엔진에 소정의 부하가 가해졌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신호선(도시하지 않음) 등을 거쳐서 전기 레버 제어 장치(22)로부터의 검출 신호에 의해 조작 레버(21a) 등이 조작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조작 레버(21a) 등이 조작되고 있는(환언하면, 엔진에 소정의 부하가 가해져 있음) 경우에는 스텝 240의 판정이 만족되어 스텝 250으로 옮겨진다.
스텝 250에서는 기통 계산자 i = 1이므로, 제1 기통의 배기 온도의 평균치(tav_1)와 전체 기통의 배기 온도의 평균치(tav _all)의 편차│tav _all - tav _1│가 소정의 임계치(tref_A)보다 큰지 여부를 판정한다. │tav _all - tav _1│> tref _A인 경우에는 스텝 250의 판정이 만족되어 스텝 260으로 옮겨진다. 스텝 260에서는 기통 계산자 i = 1이므로, 제1 기통의 이상 통지 램프(31a)로의 제어 신호를 온 상태로 하고, 이상 통지 램프(31a)를 점등시켜(연료 분사량 증대 경보) 스텝 270으로 옮겨진다. 또한, 연료 분사량 증대 경보라 함은, 예를 들어 연료 분사 노즐의 선단부가 부족하여 정상적으로 분사할 수 없게 되어 분사량이 증대된 것을 통지하는 것이고, 그 상태에서는 엔진의 피스톤 눌러 붙음 등이 생기는 요인이 된다. 또한, 스텝 250에서 │tav _all - tav _1│≤ tref_A인 경우에는 그 판정이 만족되지 않아 스텝 270으로 옮겨진다.
한편, 스텝 240에서 조작 레버(21a) 등이 조작되고 있지 않은(환언하면, 엔진에 소정의 부하가 가해져 있지 않음) 경우에는 그 판정이 만족되지 않아 스텝 280으로 옮겨진다. 스텝 280에서는 엔진 회전수가 로우 아이들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엔진 회전수가 로우 아이들인 경우에는 스텝 280의 판정이 만족되어 스텝 290으로 옮겨진다. 스텝 290에서는 기통 계산자 i = 1이면, 제1 기통의 배기 온도의 평균치(av_1)와 전체 기통의 배기 온도의 평균치(av_all)의 편차 │tav _all - tav _1│가 소정의 제2 임계치(tref _B)보다 큰지 여부를 판정한다. │tav _all - tav _1│ > tref_B인 경우에는 스텝 290의 판정이 만족되어 스텝 300으로 옮겨진다. 스텝 300에서는 기통 계산자 i = 1이면, 제1 기통의 이상 통지 램프(31a)로의 제어 신호를 온 상태로 하여 이상 통지 램프(31a)를 점멸시키고(밸브 개방압 저하 경보), 또한 밸브 개방압 저하 경보라 함은, 예를 들어 연료 분사 노즐의 니들 밸브(needle valve)를 압박하는 스프링이 마모되어 압력이 저하된 것을 통지하는 것이고, 분사 노즐의 오버 홀의 목표가 된다. 스텝 270으로 옮겨진다. 또한, 스텝 290에서 │tav _ all - tav _1│≤ tref _B인 경우에는 판정이 만족되지 않아 스텝 270으로 옮겨진다.
또한, 스텝 280에서 엔진 회전수가 하이 아이들인 경우에는 그 판정이 만족되지 않아 스텝 310으로 옮겨진다. 스텝 310에서는 기통 계산자 i = 1이면, 제1 기통의 배기 온도의 평균치(av_1)와 전체 기통의 배기 온도의 평균치(av_all)의 편차 │tav_all - tav _1│가 소정의 제3 임계치(tref _C)(단, tref _C < tref _B)보다 큰지 여부를 판정한다. │tav _all - tav _1│ > tref _C인 경우에는 스텝 310의 판정이 만족되어 상술한 스텝 300으로 옮겨진다. 스텝 300에서는 기통 계산자 i = 1이면, 제1 기통의 이상 통지 램프(31a)로의 제어 신호를 온 상태로 하여 이상 통지 램프(31a)를 점멸시키고(밸브 개방압 저하 경보), 스텝 270으로 옮겨진다. 또한, 스텝 310에서 │tav_all - tav _1│≤ tref _C인 경우에는 판정이 만족되지 않아 스텝 270으로 옮겨진다.
스텝 270에서는 기통 계산자(i)에 1을 더하고(즉, i = 1 + 1 = 2), 스텝 230으로 옮겨진다. 그리고, 상술한 스텝 230 내지 스텝 310을 기통 계산자가 i = 2, 3, ……16이 될 때까지, 즉 제2 내지 제16 기통에 있어서 동일한 순서를 반복한다. 그리고, 스텝 270에서 기통 계산자(i = 16 + 1 = 17)가 되어 기통수의 16보다 커지면, 스텝 230의 판정이 만족되어 스텝 100으로 복귀되고, 상기와 동일한 순서를 반복한다.
또한, 엔진 모니터 장치(17")는 상술한 도5와 동일한 제어 순서로, 예를 들어 소정 시간마다(예를 들어, 30초간) 각 기통의 배기 온도의 표준 편차, 전체 기통의 배기 온도의 표준 편차를 연산하고, 또한 각 기통마다 각 기통의 배기 온도의 표준 편차와 전체 기통의 배기 온도의 표준 편차의 편차가 엔진 부하에 대응하는 소정의 임계치보다 큰지 여부를 판정하여, 그 편차가 소정의 임계치보다 큰 경우에는 각 기통에 대응하는 이상 통지 램프(31a 내지 31p 중 어느 하나)로의 제어 신호를 온 상태로 하여 대응하는 이상 통지 램프를 점등 또는 점멸시키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시하지 않지만, 엔진 모니터 장치(17")는, 예를 들어 엔진 각 기통의 배기 온도의 평균치 및 표준 편차와, 전체 기통의 배기 온도의 평균치 및 표준 편차의 편차가 엔진 부하에 대응하는 소정의 임계치보다 큰지 여부를 판정하고, 이들 편차가 양쪽 모두 큰 경우에 각 기통에 대응하는 이상 통지 램프로의 제어 신호를 온 상태로 하여 대응하는 이상 통지 램프를 점등 또는 점멸시켜도 좋다.
또한, 엔진 모니터 장치(17")는 특허 청구의 범위 기재의 소정 시간마다 연산한 각 기통의 배기 온도의 평균치 및 표준 편차 중 적어도 한쪽과, 전체 기통의 배기 온도의 평균치 및 표준 편차의 편차가 소정의 임계치보다 큰지 여부를 판정하고, 편차가 소정의 임계치보다 큰 경우에는 이상의 종류를 판정하고, 이상 신호를 출력하는 제2 이상 판정 수단을 구성한다.
이와 같은 변형예에 있어서는 각 기통의 배기 온도를 엔진 부하 상태에 따라서 진단하고, 연료 분사량 증대 및 밸브 개방압 저하 등의 이상을 판단하여 통지하므로, 조작자는 엔진 각 기통의 이상을 용이하게 간파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다른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엔진 각 기통의 이상을 사전에 찰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른 실시 형태 및 일 변형예에 있어서는, 이상 통지 램프(31a 내지 31p)는 엔진 모니터 장치(17' 또는 17")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의해 점등되는 구성을 예로 들어 설명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예를 들어 상술한 도4 또는 도5에 도시하는 제어 처리가 데이터 기록 장치(24)에서 행해지고, 이 데이터 기록 장치(24)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의해 이상 통지 램프(31a 내지 31p)가 점등되도록 해도 좋다. 이들 경우에도 상기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상 통지 램프(31a 내지 31p) 대신에, 예를 들어 액정 등으로 구성된 표시 장치를 설치하여 문자 표시, 모스 표시 등을 해도 좋다.
또한, 이상에 있어서는, 건설 기계로서 유압 셔블을 예로 들어 설명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건설 기계, 예를 들어 크롤러 크레인, 휠로더 등에 대해서도 적용할 수 있고, 이 경우도 동일한 효과를 얻는다.

Claims (10)

  1. 건설 기계(1)에 탑재한 엔진의 회전수를 검출하는 회전수 검출 수단(14)과, 상기 엔진의 각 기통의 배기 온도를 각각 검출하는 복수의 기통 온도 검출 수단(20a 내지 20p)과, 검출한 상기 엔진의 회전수와 상기 각 기통의 배기 온도를 경시적 관계를 갖고 기억하는 기억 수단(24, 26)과, 이 기억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연산한 표시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 수단(24, 26)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기계의 엔진 보호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26)은 상기 기억 데이터로부터 소정의 엔진 회전수에 있어서의 각 기통의 배기 온도를 추출하고, 이 추출 데이터로부터 각 기통의 배기 온도의 평균치 및 표준 편차 중 적어도 한쪽을 소정 시간마다 연산하고, 이 각 기통의 배기 온도의 평균치 및 표준 편차 중 적어도 한쪽의 경시 변화를 나타내는 트랜드 데이터를 생성하여 기억시키는 동시에, 이 트랜드 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 신호를 건설 기계(1)의 외부로 출력하는 트랜드 데이터 처리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기계의 엔진 보호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건설 기계(1)의 운전실(5) 내에 설치한 표시 장치(23)와, 조작자로부터의 지령에 따라서 소정 시간 내의 상기 기억 데이터를 추출한 스냅샷을 생성하여 기억시키는 동시에, 조작자로부터의 지령에 따라서 상기 스 냅샷의 추이를 재생 표시하는 재생 표시 신호를 상기 표시 장치(23)에 출력하는 스냅샷 처리 수단을 갖는 상기 제어 수단(24)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기계의 엔진 보호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소정 시간마다 연산한 상기 각 기통의 배기 온도의 상기 평균치 및 상기 표준 편차 중 적어도 한쪽과, 전체 기통의 배기 온도의 평균치 및 표준 편차의 편차가 소정의 임계치보다 큰지 여부를 판정하고, 상기 편차가 소정의 임계치보다 큰 경우에는 이상 신호를 출력하는 제1 이상 판정 수단(17')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기계의 엔진 보호 장치.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소정 시간마다 연산한 상기 각 기통의 배기 온도의 상기 평균치 및 상기 표준 편차 중 적어도 한쪽과, 전체 기통의 배기 온도의 평균치 및 표준 편차의 편차가 소정의 임계치보다 큰지 여부를 판정하고, 상기 편차가 소정의 임계치보다 큰 경우에는 이상의 종류를 판정하여 이상 신호를 출력하는 제2 이상 판정 수단(17")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기계의 엔진 보호 장치.
  6. 다기통 엔진을 탑재한 건설 기계의 엔진 보호 방법에 있어서, 회전수 검출 수단(14)으로 검출하는 엔진 회전수와, 복수의 기통 온도 검출 수단(20a 내지 20p)으로 검출하는 각 기통의 배기 온도를 경시적 관계를 갖고 기억하는 동시에, 이 기 억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연산한 표시 신호를 표시 수단(23)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기계의 엔진 보호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 데이터로부터 소정의 엔진 회전수에 있어서의 각 기통의 배기 온도를 추출하고, 이 추출 데이터로부터 각 기통의 배기 온도의 평균치 및 표준 편차 중 적어도 한쪽을 소정 시간마다 연산하고, 상기 각 기통의 배기 온도의 상기 평균치 및 상기 표준 편차 중 적어도 한쪽의 경시 변화를 나타내는 트랜드 데이터를 생성하여 기억하는 동시에, 이 트랜드 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 신호를 건설 기계(1)의 외부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기계의 엔진 보호 방법.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조작자에 의한 지령에 따라서 소정 시간 내의 상기 기억 데이터를 추출한 스냅샷을 생성하여 기억하는 동시에, 조작자에 의한 지령에 따라서 상기 스냅샷의 추이를 재생 표시하는 재생 표시 신호를 건설 기계(1)의 운전실(5) 내에 설치한 표시 장치(23)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기계의 엔진 보호 방법.
  9.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소정 시간마다 연산한 상기 각 기통의 배기 온도의 상기 평균치 및 상기 표준 편차 중 적어도 한쪽과, 전체 기통의 배기 온도의 평균치 및 표준 편차의 편차가 소정의 임계치보다 큰지 여부를 판 정하고, 상기 편차가 소정의 임계치보다 큰 경우에는 이상을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기계의 엔진 보호 방법.
  10.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소정 시간마다 연산한 상기 각 기통의 배기 온도의 상기 평균치 및 상기 표준 편차 중 적어도 한쪽과, 전체 기통의 배기 온도의 평균치 및 표준 편차의 편차가 소정의 임계치보다 큰지 여부를 판정하고, 상기 편차가 소정의 임계치보다 큰 경우에는 이상의 종류를 판정하고, 이상을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기계의 엔진 보호 방법.
KR1020067014870A 2004-11-25 2005-11-07 건설 기계의 엔진 보호 장치 및 보호 방법 KR1010655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339842A JP4315346B2 (ja) 2003-12-26 2004-11-25 建設機械のエンジン診断装置
JPJP-P-2004-00339842 2004-11-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0072A true KR20070090072A (ko) 2007-09-05
KR101065513B1 KR101065513B1 (ko) 2011-09-19

Family

ID=364978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4870A KR101065513B1 (ko) 2004-11-25 2005-11-07 건설 기계의 엔진 보호 장치 및 보호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433777B2 (ko)
EP (1) EP1818529B1 (ko)
KR (1) KR101065513B1 (ko)
AU (1) AU2005308302B2 (ko)
WO (1) WO200605715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47156B2 (en) * 2007-12-14 2010-01-12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 and system for using exhaust temperature anomalies to detect fugitive fueling of a recipro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
DE102008032741B3 (de) * 2008-07-11 2010-02-18 Continental Automotive Gmbh Verfahren und Diagnosegerät zum Erkennen einer Fehlfunktion an einer Einspritzanlage
JP6209024B2 (ja) 2013-08-28 2017-10-04 ヤンマー株式会社 遠隔サーバ
CN110284970B (zh) * 2019-06-29 2020-08-21 潍柴动力股份有限公司 一种异常检测方法及装置
WO2021085608A1 (ja) * 2019-10-31 2021-05-06 住友建機株式会社 ショベル管理システム、ショベル用携帯端末、およびショベル用携帯端末に用いられるプログラム
CN111720228A (zh) * 2020-06-30 2020-09-29 广西玉柴机器股份有限公司 一种发动机各缸排温监控修正方法及系统
US11881093B2 (en) 2020-08-20 2024-01-23 Denso International America, Inc. Systems and methods for identifying smoking in vehicles
US11636870B2 (en) 2020-08-20 2023-04-25 Denso International America, Inc. Smoking cessation systems and methods
US11828210B2 (en) 2020-08-20 2023-11-28 Denso International America, Inc. Diagnostic systems and methods of vehicles using olfaction
US11932080B2 (en) 2020-08-20 2024-03-19 Denso International America, Inc. Diagnostic and recirculation control systems and methods
US11813926B2 (en) 2020-08-20 2023-11-14 Denso International America, Inc. Binding agent and olfaction sensor
US11760169B2 (en) 2020-08-20 2023-09-19 Denso International America, Inc. Particulate control systems and methods for olfaction sensors
US11760170B2 (en) 2020-08-20 2023-09-19 Denso International America, Inc. Olfaction sensor preservation systems and methods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12906A (en) * 1972-06-26 1977-03-22 Nippon Soken, Inc. Overheat preventing system for exhaust gas purifier of vehicles
US4114442A (en) * 1976-09-03 1978-09-19 Avicon Development Group Temperature monitoring system
US4122720A (en) * 1977-04-07 1978-10-31 Alnor Instrument Company Diesel engine exhaust temperature monitor
US4821216A (en) * 1987-04-10 1989-04-11 Howell Instruments, Inc. Multifunction meter for use in an aircraft
US5123397A (en) * 1988-07-29 1992-06-23 North American Philips Corporation Vehicle management computer
DE3914264C1 (ko) * 1989-04-29 1990-09-13 Daimler-Benz Aktiengesellschaft, 7000 Stuttgart, De
JP2545134B2 (ja) * 1989-06-26 1996-10-16 株式会社ゼクセル 監視装置
AT393324B (de) * 1989-12-22 1991-09-25 Avl Verbrennungskraft Messtech Verfahren und einrichtung zur diagnose von brennkraftmaschinen
JPH05321809A (ja) * 1992-05-21 1993-12-07 Yanmar Diesel Engine Co Ltd 希薄燃焼ガス機関の監視装置
JPH0874653A (ja) * 1994-09-06 1996-03-19 Daihatsu Diesel Mfg Co Ltd ディーゼル機関の監視装置
JP3743683B2 (ja) * 1995-05-24 2006-02-08 株式会社小松製作所 内燃機関の保護方法
JP3767875B2 (ja) * 1997-11-13 2006-04-19 株式会社小松製作所 エンジンの異常検出装置および異常検出方法
KR20040029304A (ko) * 2001-08-29 2004-04-06 니이가타 겐도키 가부시키가이샤 엔진, 엔진의 배기온도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JP4094380B2 (ja) * 2001-08-29 2008-06-04 新潟原動機株式会社 エンジン、エンジンの排気温度制御装置及び制御方法、コンピュータをエンジンの排気温度制御手段として機能させるためのプログラム
JP4000952B2 (ja) * 2002-08-13 2007-10-31 いすゞ自動車株式会社 燃料噴射制御装置
US7039518B2 (en) * 2003-04-16 2006-05-02 Avidyne Corporation Computer method and apparatus for aircraft mixture lean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818529A4 (en) 2011-04-13
EP1818529B1 (en) 2013-02-27
US20070171035A1 (en) 2007-07-26
KR101065513B1 (ko) 2011-09-19
AU2005308302B2 (en) 2009-04-23
AU2005308302A1 (en) 2006-06-01
US7433777B2 (en) 2008-10-07
WO2006057153A1 (ja) 2006-06-01
EP1818529A1 (en) 2007-08-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5513B1 (ko) 건설 기계의 엔진 보호 장치 및 보호 방법
KR101059263B1 (ko) 건설 기계의 진단 정보 제공 장치 및 건설 기계의 진단정보 표시 시스템
US7587264B2 (en) Construction machine diagnosis information presenting device, diagnosis information display system, and diagnosis information presenting method
US8532865B2 (en) Apparatus and system for diagnosing devices included in working machine
US6339737B1 (en) Data storage of construction machine and data processor
JP6392101B2 (ja) 建設機械の管理システム
US6718245B2 (en) Electronic control system for construction machinery
JP4315346B2 (ja) 建設機械のエンジン診断装置
JP2005188434A (ja) 建設機械の駆動部保護装置
JP4405159B2 (ja) 建設機械の情報管理装置
JP2005180226A (ja) 建設機械のエンジン給気系異常検出装置及び異常検出方法
JP2005201133A (ja) 建設機械のエンジン状態量検出装置及び検出方法
JP2000241306A (ja) ポンプ故障診断装置
JP7158874B2 (ja) ショベル及びショベルの制御システム
JP2005307792A (ja) 建設機械のエンジンオイル消費量の計測システム、及び建設機械のエンジンメンテナンス時期の予測方法
JP2005188433A (ja) 建設機械のエンジン保護装置
JP3487741B2 (ja) 作業機械の異常/故障診断・予知装置及び方法
JP2002364453A (ja) 作業機械の制御装置
JP2005171940A (ja) 建設機械のエンジンメンテナンス時期予測装置及び予測方法
JPH1185253A (ja) 作業機械の異常/故障診断装置及び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