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87881A - 진공 복층유리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진공 복층유리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87881A
KR20070087881A KR1020060004224A KR20060004224A KR20070087881A KR 20070087881 A KR20070087881 A KR 20070087881A KR 1020060004224 A KR1020060004224 A KR 1020060004224A KR 20060004224 A KR20060004224 A KR 20060004224A KR 20070087881 A KR20070087881 A KR 200700878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weight ratio
powder
zirconium
mol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42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58498B1 (ko
Inventor
하호
Original Assignee
하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호 filed Critical 하호
Priority to KR10200600042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8498B1/ko
Publication of KR200700878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78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84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84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5/00Machines or apparatus for other treatment of fruits or vegetables for human purposes; Machines or apparatus for topping or skinning flower bulbs
    • A23N15/04Devices for topping fruit or vegetabl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5/00Machines or apparatus for other treatment of fruits or vegetables for human purposes; Machines or apparatus for topping or skinning flower bulbs
    • A23N2015/008Sorting of fruit and vegetabl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Joining Of Glass To Othe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층 유리 내측에 존재하는 공기나 다른 가스를 제거토록 한 진공복층유리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복층 유리는 그 내부에 공기나 다른 가스가 차 있기 때문에 이로 인한 열전달 및 소음전달이 일어나 그 효과가 우수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2장의 유리를, 파이프(Pipe) 형태의 간격유지봉(間隔維持棒)과 마이크로 스페이서(Micro-spacer)를 사용하여 일정한 간격으로 띄운 다음, 가장자리를 밀봉시켜 제조한 복층유리(Pair Glass) 내부를 진공펌프로 1차 진공 처리한 후, 남아있는 잔류 가스(공기)와 수분을 게터(Getter)를 사용하여 화학적으로(화학반응에 의해) 흡수, 제거시켜, 고진공 상태로 만들고, 이 고진공 상태를 장기간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진공 복층유리에 관한 것이다.
특히 상기 게터는 2장의 유리로 형성된 공간 내부의 가스와 수분을 화학적으로 잘 흡수, 제거시키는 특성과, 한번 흡수된 가스와 수분이 게터로부터 다시 방출되지 않도록 하여 진공 복층유리에 전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2장의 유리 사이 중간에 일정한 간격으로 여러 개의 마이크로 스페이서를 위치시켜(끼워져 놓인 형태) 내부 진공으로 인하여 유리가 서로 달라붙거나, 파손될 수 있는 가능성을 없앴고, 특히, 가급적 투명에 가까운 재질로 마이크로 스페이서를 고안하여 보는 시야가 최대한 방해되지 않도록 하였다.
간격유지봉(間隔維持棒), 마이크로 스페이서(Micro-spacer), 진공 복층유리(vacuum pair glass) 프리트 글라스(Frit glass) 접합제, 실리콘(Silicon) 접합제

Description

진공 복층유리 및 이의 제조방법{vacuum pair glass}
도1은 본 발명에 해당하는 진공 복층유리의 일 실시예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에 해당하는 진공 복층유리의 또 다른 실시예 사시도
도3은 도1에 있어 접합제가 충진되지 아니한 상태의 사시도.
도4는 도1에 있어 접합제가 충진되지 아니한 상태의 분해 사시도
도5는 도2에 있어 접합제가 충진되지 아니한 상태의 분해 사시도
도6은 본 발명 진공 복층유리에 있어 실리콘 접합제가 충진되기 전 상태의 부분 종 단면도.
도7은 본 발명 진공 복층유리에 있어 실리콘 접합제가 충진된 상태의 부분 종 단면도.
도8은 본 발명 진공 복층유리에 있어 프리트 글라스 접합제가 충진된 상태에서 간격유지봉의 단부를 잘라내는 모습을 표현한 부분 종 단면도.
도9는 도8에서 간격유지봉의 단부를 잘라낸 후의 부분 종 단면도.
도10은 본 발명인 진공 복층유리의 횡 단면도.
도11은 본 발명 진공 복층유리로서 실리콘 접합제가 충진된 상태에서 배기관이 꽂혀있는 상태를 나타낸 횡 단면도 및 부분 확대도.
도12는 본 발명 구성품인 간격유지봉의 일 실시예 사시도.
도13은 본 발명 구성품인 간격유지봉의 타 실시예 사시도.
도14는 본 발명 구성품인 간격유지봉의 타 실시예 사시도.
도15는 본 발명 구성품인 간격유지봉의 타 실시예 사시도.
* 도면부호의 간단한 설명
1 : 진공 복층유리(vacuum pair glass)
10 : 하판유리 11 : 상판유리
12 : 간격유지봉 12': 간격유지봉
12": 간격유지봉 단부 13 : 배출구멍
14 : 접합제 14': 실리콘(Silicon) 접합제
14": 프리트 글라스((Frit glass) 접합제
15 : 게터(Geter) 16 : 마이크로 스페이서(Micro-spacer)
17 : 배기관 18 : 토치(torch)
기존의 유리창에는 낱장 유리가 많이 사용되었는데, 근래에 와서 유리 2장, 3장을 일정한 간격으로 띄워 만든 복층 유리를 많이 사용하고 있다.
이와 같은 복층유리는 유리 2장(혹은 3장)을 일정한 간격으로 띄워 제조하였기 때문에, 낱장 유리보다는 보온, 보냉 효과가 좋지만, 그 내부에 공기나 다른 가스가 차 있기 때문에 이로 인한 열전달이 일어나 아직도 많은 에너지가 낭비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이러한 열전달은 유리 자체의 내측 면과 외측 면의 온도 차이를 발생시키고, 이로 인하여 발생되는 결로(結露)현상에 의하여 보는 시야가 크게 방해를 받는 단점이 있다.
한편 복층 유리 내부에 존재하는 공기나 다른 가스는 소음 전달도 일으키게 되어 차음효과도 떨어지는 단점도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고자 종래에도 게터 등을 이용하여 진공 복층유리를 제작하였으나, 게터의 효과가 떨어지고, 제작 방법 및 구성이 복잡하여 경제적으로 실용성이 없었다.
본 발명은 2장의 유리를, 파이프(Pipe) 형태의 간격유지봉(間隔維持棒)과 마이크로 스페이서(Micro-spacer)를 사용하여 일정한 간격으로 띄운 다음, 가장자리를 접합제로 충진 밀봉시켜 제조한 복층유리(Pair Glass) 내부를 진공펌프로 1차 진공 처리한 후, 남아있는 잔류 가스(공기)와 수분을 게터(Getter)를 사용하여 화학적으로(화학반응에 의해) 흡수, 제거시켜, 고진공 상태로 만들고, 이 고진공 상태를 장기간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진공 복층유리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상기 게터는 2장의 유리로 형성된 공간 내부의 가스와 수분을 화학적으로 잘 흡수, 제거시키는 특성과, 한번 흡수된 가스와 수분이 게터로부터 다시 방출되지 않도록 하여 진공 복층유리에 전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한편 간격유지봉의 경우는 그 길이 및 직경의 크기, 단면적의 형태가 어느 하나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유리의 크기 및 형태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2장의 유리 사이 중간에 일정한 간격으로 여러 개의 마이크로 스페이서를 위치시켜(끼워져 놓인 형태) 내부 진공으로 인하여 유리가 서로 달라붙거나, 파손될 수 있는 가능성을 없앴다.
한편, 상기 마이크로 스페이서는 유리가 작은 경우에는 굳이 사용할 필요가 없는 것이며, 그 재질 또한 가급적 투명에 가까운 PC(Polycarbonate), SAN(Styrene Monomer와 Acrylonitrile의 공중합체), 투명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Monomer 3종의 Monomer로 구성된 3원 공중합체로 구성된 수지), PET(Poly Ethylene Terephthalate) 및 유리 재질이나 아주 작은 금속 재질로 고안하여 보는 시야가 최대한 방해되지 않도록 하였다.
또한, 사용되는 유리는 일반유리, 강화유리, 내열유리 등 종류에 관계없이 모두 사용 가능하도록 하여, 용도에 따라 선택 적용할 수 있도록 하였는 바, 이와 같이 제조된 진공 복층유리는 내부가 수분이 없는 진공 상태이기 때문에, 차음 효과는 물론, 단열 효과가 뛰어나 기존 복층 유리에 비해 에너지 낭비를 상당히 절감시킬 수 있고, 유리 자체의 내측과 외측의 온도 차를 거의 없게 하여, 결로현상으로 인해 시야가 방해되는 기존 복층 유리들의 단점을 없앤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경우, 2장(혹은 3장)의 유리를 접합하는 접합제의 종류(프리트 글라스(Frit glass), 실리콘(Silicon))에 따라 그 제조 방법이 달라지는 바, 이에 대한 것은 발명의 구성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바이다.
본 발명의 진공 복층유리는, 2장의 유리(10)(11) 사이가 일정한 간격으로 띄워지도록 다수개의 배기구멍(13)이 형성된 파이프(Pipe) 형태의 간격유지봉(12)이 상,하유리(10)(11) 가장자리에서 약간 안쪽으로 들어온 상태로 끼워지며, 상기 간격유지봉(12)이 위치한 바깥쪽 가장자리는 접합제(14)로 밀봉되며, 상기 2장의 유리(10)(11) 사이 내부는 진공펌프로 1차 진공 처리되며, 남아있는 잔류 가스(공기)와 수분은 상기 간격유지봉(12) 내측에 내장된 게터(15)에 의하여 화학적으로(화학반응에 의해) 흡수, 제거되어 그 내부가 진공 상태로 이루어진 진공 복층유리(1)이다.
이와같은 구성을 갖는 진공 복층유리(1)는 상,하유리를 접합시키는 접합제의 종류(실리콘, 프리트 글라스(Frit glass))에 따라 그 제조방법이 2가지로 분리된다.
* 실리콘 접합제를 사용하여 진공 복층유리를 제조하는 방법
① 하판유리(10) 위에 게터(15)가 충진되고 다수개의 배출구멍(13)이 형성된 파이프 형태의 간격유지봉(12)을 하판유리(10) 면 가장자리 끝 부분에서 수mm 정도(1~30mm) 안쪽으로 위치시킨다.
② 하판유리(10) 위에 다수개의 마이크로 스페이서(16)를 가로, 세로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위치시킨다.
③ 간격유지봉(12)과 마이크로 스페이서(16)가 올려진 하판유리(10) 위에 상판유리(11)를 올려놓는다.
④ 상기 간격유지봉(12)이 위치한 바깥 쪽 즉, 상,하 유리(10)(11)의 끝 부분과 간격유지봉(12)과의 사이에 생긴 틈을 실리콘 접합제(14')를 채워 밀봉시킨다.
⑤ 상기 상,하 유리(10)(11) 가장자리 중 어느 한쪽에 주사 바늘과 같은 가는 파이프를 찔러 넣어 배기관(17)을 형성 한 후, 이 관을 통해 진공 펌프를 이용하여 내부를 진공 상태로 만든 다음, 배기관(17)을 빼내 제거한다.
⑥ 상온 혹은 실리콘 접합제(14')가 타지 않는 온도 이하에서 실리콘 접합제를 건조시켜 진공 복층유리(1)를 완성시킨다.
유리가 3장인 3중 진공 복층 유리의 경우에도 같은 방법으로 제조한다.
상기에 있어 파이프 형태의 간격유지봉(12)은 하판유리(10)와 상판유리(11) 사이의 간격을 띄워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내측에 게터(15)가 내장되어 있는 간격유지봉(12)에는 복층유리 사이에 생긴 내부의 공기나 가스를 원활히 배기시킬 수 있도록 직경 0.5∼2mm 정도의 배출구멍(13)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배출구멍(13)이 유리 내부 안쪽을 향하도록 간격유지봉(12)을 위치시킨다.
한편 상기 간격유지봉(12)의 길이는 유리의 크기에 따라 달라지며, 그 직경은 대략 0.5∼30mm 정도이며, 단면은 원, 반원, 사각, 육각 등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다.
한편 복층유리의 가로, 세로 길이가 30㎝이하로 작은 경우에는 마이크로 스페이서를 상,하유리(10)(11) 사이에 내재시킬 필요는 없지만, 상기 진공 복층유리에서 내부 진공도가 10-3torr 이상이고, 유리가 큰 경우에는 별도의 마이크로 스페 이서(16)를 내재시킴으로서, 내부 진공으로 인하여 유리가 휘어져 서로 달라붙거나 파손될 수 있는 가능성을 전혀 없도록 하였다.
상기 마이크로 스페이서(16)는 직경 0.1∼30mm, 높이 0.5∼30mm의 사각, 다각, 원형, 반달 모양의 기둥형태로 이루어지며, 재질은 가급적 투명에 가까운 PC(Polycarbonate), SAN(Styrene Monomer와 Acrylonitrile의 공중합체), 투명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Monomer 3종의 Monomer로 구성된 3원 공중합체로 구성된 수지), PET(Poly Ethylene Terephthalate) 및 유리 재질이나 아주 작은 금속 재질로 고안하여 보는 시야가 최대한 방해되지 않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간격유지봉(12)이 위치한 바깥 쪽 즉, 상,하유리(10)(11)의 끝 부분과 간격유지봉(12)과의 사이에 생긴 틈은 연질의 실리콘 접합제(14')를 채워 밀봉시킴으로서, 복층유리 내부로 공기나 가스가 들어가는 것을 봉쇄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상,하유리(10)(11) 가장자리 중 어느 한쪽에 주사 바늘과 같은 가는 파이프를 찔러 넣어 배기관(17)을 형성 한 후, 이 관을 통해 진공 펌프를 이용하여 복층유리 내부를 진공 상태로 만든 다음, 배기관(17)은 이를 빼내 제거한다.
상기에 있어, 배기관(17)이 꽂혔던 구멍은 내부가 진공 상태이기 때문에 배기관이 제거됨과 동시에 자동적으로 메워지게 된다.
다음으로 상온 혹은 실리콘 접합제(14')가 타지 않는 온도 이하에서 실리콘 접합제를 건조시키면 진공 복층유리(1)는 완성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에 있어, 간격유지봉(12) 내측에는 게터(15)가 내장되어 있다. 상 기 게터(15)는 시간을 두고 계속해서 복층유리의 내부가 진공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즉 복층유리가 제조되는 처음 시점에는 복층유리 사이에 남아있는 공기나 잔류가스를 제거하지만, 복층유리가 완성된 후에도 계속해서 발생되는 공기나 가스를 흡수 제거토록 함으로서 수년 내지 수십년 동안 계속 고진공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특히 상기 게터(15)는 가스와 수분을 잘 흡수할 수 있도록 제조하여, 진공 복층유리에 전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는 바, 게터는 그 구성물질에 따라 크게 11가지 형태로 구성될 수가 있다. 즉,
① Zr(Zirconium):Fe(Iron)가 (45~80):(55~20)의 무게 비(wt%)로 된 합금 분말이나 이 분말이 일정한 형태로 성형된 것
② Ti(Titanium):Fe(Iron)가 (45~80):(55~20)의 무게 비(wt%)로 된 합금 분말이나 이 분말이 일정한 형태로 성형된 것
③ Zr(Zirconium) 혹은 Ti(Titanium) 분말이나 이 분말이 일정한 형태로 성형된 것
④ 무게 비(wt%)로 [1]:[2]:[3]=(20~40):(20~40):(60~20)로 혼합된 것
⑤ Zr(Zirconium):Mn(Manganese)이 (40~75):(60~25)의 무게 비(wt%)로 된 금속간 화합물 또는 합금 분말이나 이 분말이 일정한 형태로 성형된 것
⑥ Zr(Zirconium):Mn(Manganese)이 (40~75):(60~25)의 무게 비(wt%)로 된 금속간 화합물 또는 합금 분말이나 이 분말이 일정한 형태로 성형된 것과 Zr(Zirconium):Fe(Iron)가 (45~80):(55~20)의 무게 비(wt%)로 된 합금 분말이나 이 분말이 일정한 형태로 성형된 것이 무게 비(wt%)로 (5~35):(95~65)로 혼합된 것
⑦ Zr(Zirconium):Fe(Iron)가 (45~80):(55~20)의 무게 비(wt%)로 된 합금 분말이나 이 분말이 일정한 형태로 성형된 것과 산화코발트(cobalt oxide)가 무게 비(wt%)로 (98~85):(2~15)로 혼합된 것
⑧ 산화코발트와, Zr(Zirconium):Fe(Iron)가 (45~80):(55~20)의 무게 비(wt%)로 된 합금 분말이나 이 분말이 일정한 형태로 성형된 것과, Zr(Zirconium):Mn(Manganese)이 (40~75):(60~25)의 무게 비(wt%)로 된 금속간 화합물 또는 합금 분말이나 이 분말이 일정한 형태로 성형된 것이 무게 비(wt%)로 (2~15):(93~50):(5~35)로 혼합된 것
⑨ Zr(Zirconium)과 Ti(Titanium)과 V(Vanadium)과 Fe(Iron)이 (20~52):(25~10):(55~20):(0~18)의 무게 비(wt%)로 된 금속간 화합물 또는 합금으로 된 분말이나 이 분말이 일정한 형태로 성형된 것
⑩ ①~⑨ 중 어느 한가지와 흡습제인 Molecular sieve, Al2O3, MgO, CaO, BaO 중 일부 또는 전체가 (5~20):(95~80)의 무게 비(wt%)로 같이 사용된 것 중의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
⑪ Zr(Zirconium) 혹은 Ti(Titanium) 분말을 일정한 형태로 성형한 Molecular sieve, Al2O3, MgO, CaO, BaO에 (0.1~20):(95~80)의 무게 비(wt%)로 코팅한 것 으로 구성할 수 있다.
* 프리트 글라스 접합제를 사용하여 진공 복층유리를 제조하는 방법
① 하판유리(10) 위에 다수개의 배출구멍(13)이 형성된 파이프 형태의 간격유지봉(12)을 하판유리(10) 면 가장자리 끝 부분에서 수mm 정도(1~30mm) 안쪽으로 위치시킨 후, 하판유리(10) 위에 마이크로 스페이서(16)를 가로, 세로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위치시키되, 가장자리에 위치한 간격유지봉(12') 중 하나는 길게 하여 배기관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유리 끝 밖으로 나오게 한다.
② 간격유지봉과 마이크로 스페이서가 올려진 하판유리(10) 위에 상판유리(11)를 올려놓는다.
③ 상기 간격유지봉(12)이 위치한 바깥 쪽 즉, 상,하유리(10)(11)의 끝 부분과 간격유지봉(12)과의 사이에 생긴 틈을 프리트 글라스(Frit glass) 접합제(14")를 채워 밀봉시킨다.
④ 상기 충진된 프리트 글라스 접합제(14")를 400~850℃로 약 10~1시간 정도 열처리하여 프리트 글라스를 경화시켜 상판유리(11)와 하판유리(10)를 합착시킨다.
⑤ 프리트 글라스를 경화시키는 열처리가 끝난 후, 배기관 역할을 하는 간격유지봉(12') 파이프 안쪽으로 게터(15)를 밀어 넣은 다음, 진공 펌프를 이용하여 내부를 진공 처리한다.
⑥ 간격유지봉(12')의 길게 나온 유리 재질의 단부(12")를 토치(18)) 불꽃 등의 열원으로 가열하여 절단과 동시에 밀봉이 되게 하여 진공 복층유리(1)를 제조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프리트 글라스 방법의 경우는, 접합제(14")가 딱딱하게 고화되 는 것이므로, 실리콘 접합 방법과 같이 주사 바늘이나 가는 파이프를 찔러 넣어 배기관을 형성시킬 수 없기 때문에, 미리 간격유지봉(12') 한 쪽을 유리 면 끝보다 길게 빼내어 배기관 역할을 할 수 있게 한 후, 프리트 글라스로 밀봉을 시키고, 이 파이프 형태의 간격유지봉(12')을 통해 안으로 게터(15)를 넣은 다음, 이를 통해 진공 펌프로 진공 처리를 한다.
진공 펌프로 진공 처리가 끝난 후에는, 길게 빼내어진 간격유지봉 단부(12")를 유리(10)(11) 면 끝 부분에 맞춰 토치(18) 불꽃 등의 열원으로 가열하여 절단과 동시에 밀봉이 되게 하여 진공 복층유리를 제조한다.
따라서 프리트 글라스로 접합하는 경우에는, 간격유지봉(12')의 재질로서 유리만 사용하게 된다.
유리가 3장인 3중 진공 복층 유리의 경우에도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다.
본 발명 진공 복층유리는 내부가 진공 상태이기 때문에 이로 인한 단열 효과가 뛰어나 주택, 상가 등의 건물과 자동차, 유리 하우스 외에도 보온, 보냉을 요하는 모든 산업 분야에서 여러 용도로 적용을 시키면 에너지를 대폭적으로 절감시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기존 유리와는 달리 차음효과가 뛰어나고, 결로현상이 발생되지 않아 시야가 방해를 받지 않기 때문에 여러 산업 분야에서 그 특성에 맞게 널리 사용될 수 있다.

Claims (13)

  1. 2장의 상,하유리(10)(11) 사이가 일정한 간격으로 띄워지도록 다수개의 배기구멍(13)이 형성된 파이프(Pipe) 형태의 간격유지봉(12)이 유리 가장자리에서 약간 안쪽으로 들어온 상태로 끼워지며, 상기 간격유지봉(12)이 위치한 바깥쪽 가장자리는 접합제(14)로 밀봉되며, 상기 2장의 유리(10)(11) 사이 내부는 진공펌프로 1차 진공 처리되며, 남아있는 잔류 가스(공기)와 수분은 상기 간격유지봉(12) 내측에 내장된 게터(15)에 의하여 화학적으로(화학반응에 의해) 흡수, 제거되어 그 내부가 진공 상태로 이루어진 진공 복층유리(1).
  2. 하판유리(10) 위에, 게터(15)가 충진되고 다수개의 배출구멍(13)이 형성된 파이프 형태의 간격유지봉(12)을 유리 면 가장자리 끝 부분에서 수mm 정도(1~30mm) 안쪽으로 위치시키는 단계;
    간격유지봉(12)(12')이 올려진 하판유리(10) 위에 상판유리(11)를 올려놓는 단계;
    상기 간격유지봉(12)이 위치한 바깥쪽 즉, 상,하유리(10)(11)의 끝 부분과 간격유지봉(12)과의 사이에 생긴 틈을 실리콘 접합제(14')를 채워 밀봉시키는 단계;
    상기 상,하유리 가장자리 중 어느 한쪽에 주사 바늘과 같이 가는 파이프를 찔러 넣어 배기관(17)을 형성한 후, 이 관을 통해 진공 펌프를 이용하여 내부를 진 공 상태로 만든 다음, 배기관(17)을 제거하는 단계;
    상온 혹은 실리콘 접합제(14')가 타지 않는 온도 이하에서 실리콘 접합제를 건조시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복층 유리의 제조방법.
  3. 하판유리(10) 위에 다수개의 배출구멍(13)이 형성된 파이프 형태의 간격유지봉(12)을 유리 면 가장자리 끝 부분에서 수mm 정도(1~30mm) 안쪽으로 위치시킨 후, 가장자리에 위치한 간격유지봉(12') 중 하나는 길게 하여 배기관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유리 끝 밖으로 나오게 하는 단계;
    간격유지봉(12)(12')이 올려진 하판유리(10) 위에 상판유리(11)를 올려놓는 단계;
    상기 간격유지봉(12)(12')이 위치한 바깥 쪽 즉, 상,하 유리의 끝 부분과 간격유지봉과의 사이에 생긴 틈을 프리트 글라스 접합제(14")를 채워 밀봉시키는 단계;
    상기 충진된 프리트 글라스 접합제(14")를 400~850℃로 약 10~1시간 정도 열처리하여 프리트 글라스 접합제(14")를 경화시켜 상판유리와 하판유리를 합착시키는 단계;
    프리트 글라스를 경화시키는 열처리가 끝난 후, 배기관 역할을 하는 간격유지봉(12') 파이프 안쪽으로 게터(15)를 밀어 넣은 다음, 진공 펌프를 이용하여 내부를 진공 처리하는 단계
    길게 튀어 나온 간격유지봉(12)의 유리 재질 단부(12")를 torch(18) 불꽃 등 의 열원으로 가열하여 절단과 동시에 밀봉이 되게 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복층유리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간격유지봉(12)의 재질은 플라스틱, 금속 유리재질 중의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복층유리
  5. 제1항에 있어서, 접합제(14)는 실리콘, 프리트 글라스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복층유리
  6. 제1항에 있어서, 2장의 상,하유리(10)(11) 사이에 마이크로 스페이서(16)가 끼워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복층유리.
  7. 제6항에 있어서, 마이크로 스페이서(16)는 그 재질이 투명한 수지, 유리, 작은 금속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복층유리
  8. 제1항에 있어서, 게터(15)는
    ① Zr(Zirconium):Fe(Iron)가 (45~80):(55~20)의 무게 비(wt%)로 된 합금 분말이나 이 분말이 일정한 형태로 성형된 것,
    ② Ti(Titanium):Fe(Iron)가 (45~80):(55~20)의 무게 비(wt%)로 된 합금 분말이나 이 분말이 일정한 형태로 성형된 것
    ③ Zr(Zirconium) 혹은 Ti(Titanium) 분말이나 이 분말이 일정한 형태로 성형된 것
    ④ 무게 비(wt%)로 [1]:[2]:[3]=(20~40):(20~40):(60~20)로 혼합된 것
    ⑤ Zr(Zirconium):Mn(Manganese)이 (40~75):(60~25)의 무게 비(wt%)로 된 금속간 화합물 또는 합금 분말이나 이 분말이 일정한 형태로 성형된 것
    ⑥ Zr(Zirconium):Mn(Manganese)이 (40~75):(60~25)의 무게 비(wt%)로 된 금속간 화합물 또는 합금 분말이나 이 분말이 일정한 형태로 성형된 것과 Zr(Zirconium):Fe(Iron)가 (45~80):(55~20)의 무게 비(wt%)로 된 합금 분말이나 이 분말이 일정한 형태로 성형된 것이 무게 비(wt%)로 (5~35):(95~65)로 혼합된 것
    ⑦ Zr(Zirconium):Fe(Iron)가 (45~80):(55~20)의 무게 비(wt%)로 된 합금 분말이나 이 분말이 일정한 형태로 성형된 것과 산화코발트(cobalt oxide)가 무게 비(wt%)로 (98~85):(2~15)로 혼합된 것
    ⑧ 산화코발트와, Zr(Zirconium):Fe(Iron)가 (45~80):(55~20)의 무게 비(wt%)로 된 합금 분말이나 이 분말이 일정한 형태로 성형된 것과, Zr(Zirconium):Mn(Manganese)이 (40~75):(60~25)의 무게 비(wt%)로 된 금속간 화합물 또는 합금 분말이나 이 분말이 일정한 형태로 성형된 것이 무게 비(wt%)로 (2~15):(93~50):(5~35)로 혼합된 것
    ⑨ Zr(Zirconium)과 Ti(Titanium)과 V(Vanadium)과 Fe(Iron)이 (20~52):(25~10):(55~20):(0~18)의 무게 비(wt%)로 된 금속간 화합물 또는 합금으로 된 분말이나 이 분말이 일정한 형태로 성형된 것,
    ⑩ ①~⑨ 중 어느 한가지와 흡습제인 Molecular sieve, Al2O3, MgO, CaO, BaO 중 일부 또는 전체가 (5~20):(95~80)의 무게 비(wt%)로 같이 성형된 것
    ⑪ Zr(Zirconium) 혹은 Ti(Titanium) 분말을 일정한 형태로 성형한 Molecular sieve, Al2O3, MgO, CaO, BaO에 (0.1~20):(95~80)의 무게 비(wt%)로 코팅한 것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복층유리.
  9.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간격유지봉(12)의 재질은 플라스틱, 금속 유리재질 중의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복층유리의 제조방법
  10. 제3항에 있어서, 간격유지봉(12')의 재질은 유리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복층유리의 제조방법
  11.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2장의 상,하유리 사이에 마이크로 스페이서가 끼워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복층유리의 제조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마이크로 스페이서는 그 재질이 투명한 수지, 유리, 작은 금속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복층유리의 제조방법
  13.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게터
    ① Zr(Zirconium):Fe(Iron)가 (45~80):(55~20)의 무게 비(wt%)로 된 합금 분 말이나 이 분말이 일정한 형태로 성형된 것,
    ② Ti(Titanium):Fe(Iron)가 (45~80):(55~20)의 무게 비(wt%)로 된 합금 분말이나 이 분말이 일정한 형태로 성형된 것
    ③ Zr(Zirconium) 혹은 Ti(Titanium) 분말이나 이 분말이 일정한 형태로 성형된 것
    ④ 무게 비(wt%)로 [1]:[2]:[3]=(20~40):(20~40):(60~20)로 혼합된 것
    ⑤ Zr(Zirconium):Mn(Manganese)이 (40~75):(60~25)의 무게 비(wt%)로 된 금속간 화합물 또는 합금 분말이나 이 분말이 일정한 형태로 성형된 것
    ⑥ Zr(Zirconium):Mn(Manganese)이 (40~75):(60~25)의 무게 비(wt%)로 된 금속간 화합물 또는 합금 분말이나 이 분말이 일정한 형태로 성형된 것과 Zr(Zirconium):Fe(Iron)가 (45~80):(55~20)의 무게 비(wt%)로 된 합금 분말이나 이 분말이 일정한 형태로 성형된 것이 무게 비(wt%)로 (5~35):(95~65)로 혼합된 것
    ⑦ Zr(Zirconium):Fe(Iron)가 (45~80):(55~20)의 무게 비(wt%)로 된 합금 분말이나 이 분말이 일정한 형태로 성형된 것과 산화코발트(cobalt oxide)가 무게 비(wt%)로 (98~85):(2~15)로 혼합된 것
    ⑧ 산화코발트와, Zr(Zirconium):Fe(Iron)가 (45~80):(55~20)의 무게 비(wt%)로 된 합금 분말이나 이 분말이 일정한 형태로 성형된 것과, Zr(Zirconium):Mn(Manganese)이 (40~75):(60~25)의 무게 비(wt%)로 된 금속간 화합물 또는 합금 분말이나 이 분말이 일정한 형태로 성형된 것이 무게 비(wt%)로 (2~15):(93~50):(5~35)로 혼합된 것
    ⑨ Zr(Zirconium)과 Ti(Titanium)과 V(Vanadium)과 Fe(Iron)이 (20~52):(25~10):(55~20):(0~18)의 무게 비(wt%)로 된 금속간 화합물 또는 합금으로 된 분말이나 이 분말이 일정한 형태로 성형된 것,
    ⑩ ①~⑨ 중 어느 한가지와 흡습제인 Molecular sieve, Al2O3, MgO, CaO, BaO 중 일부 또는 전체가 (5~20):(95~80)의 무게 비(wt%)로 같이 성형된 것
    ⑪ Zr(Zirconium) 혹은 Ti(Titanium) 분말을 일정한 형태로 성형한 Molecular sieve, Al2O3, MgO, CaO, BaO에 (0.1~20):(95~80)의 무게 비(wt%)로 코팅한 것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복층유리의 제조방법.
KR1020060004224A 2006-01-16 2006-01-16 진공 복층유리의 제조방법 KR1007584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4224A KR100758498B1 (ko) 2006-01-16 2006-01-16 진공 복층유리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4224A KR100758498B1 (ko) 2006-01-16 2006-01-16 진공 복층유리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7881A true KR20070087881A (ko) 2007-08-29
KR100758498B1 KR100758498B1 (ko) 2007-09-12

Family

ID=386136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4224A KR100758498B1 (ko) 2006-01-16 2006-01-16 진공 복층유리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8498B1 (ko)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9529B1 (ko) * 2007-10-04 2008-08-01 하양호 진공복층유리 제조방법
WO2009048210A1 (en) * 2007-10-10 2009-04-16 Epion Co., Ltd Vacuum glazing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042724B1 (ko) * 2009-12-17 2011-06-20 (주)알가 진공유리패널의 엣지 실링장치 및 이를 사용한 진공유리패널 제조방법
WO2011115400A3 (ko) * 2010-03-17 2012-01-12 주식회사 세종소재 일체형 하판 유리 및 그를 포함하는 진공 복층 유리의 제조 방법
KR20130016694A (ko) * 2011-08-08 2013-02-18 이경은 샤시용 진공유리 제조방법
KR101255476B1 (ko) * 2011-07-14 2013-04-16 이경은 샤시용 진공유리 제조방법
KR101402552B1 (ko) * 2012-09-18 2014-06-02 주식회사 에피온 진공유리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CN103930269A (zh) * 2011-11-16 2014-07-16 乐金华奥斯有限公司 具有吸收用填料的真空玻璃面板及其制备方法
KR20160075226A (ko) 2014-12-19 2016-06-29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복층유리 진공장치
WO2016195316A1 (ko) * 2015-06-02 2016-12-08 주식회사 에피온 진공유리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KR20180128665A (ko) * 2017-05-24 2018-12-04 하호 다층진공유리
KR20180128659A (ko) * 2017-05-24 2018-12-04 하호 진공다층 유리
KR101959167B1 (ko) * 2018-06-29 2019-03-15 김진방 이중 진공유리 제조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되는 이중 진공유리
KR20200015156A (ko) * 2018-08-03 2020-02-12 김진방 선루프용 이중 진공유리 및 그의 제조방법
US11913277B2 (en) 2018-07-31 2024-02-27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Method for manufacturing glass panel uni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3658A (ko) 2015-04-16 2016-10-26 최융재 속이 빈 구(Empty Sphere)를 이용한 진공 복층유리의 제조 방법
KR102636502B1 (ko) 2022-01-05 2024-02-14 주식회사 지원오토 복층유리 제조시스템의 합착장치
KR102619968B1 (ko) 2022-01-05 2024-01-02 주식회사 지원오토 복층유리 제조시스템의 합착장치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16009B2 (ja) 1996-09-12 2007-05-16 日本板硝子株式会社 断熱複層ガラス
KR100202332B1 (ko) 1997-02-27 1999-06-15 최수현 진공창의 밀봉방법 및 그 제품
JPH11209149A (ja) 1998-01-23 1999-08-03 Asahi Glass Co Ltd 真空複層ガラス
KR200226401Y1 (ko) 1998-06-11 2001-06-15 정환권 복층유리용 간격유지구
JP2005139055A (ja) 2003-11-10 2005-06-02 Nippon Sheet Glass Co Ltd ガラスパネルの製造方法及びその製造方法により製造されたガラスパネル
KR200402893Y1 (ko) 2005-08-08 2005-12-08 홍기봉 장식용 복층유리

Cited B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9529B1 (ko) * 2007-10-04 2008-08-01 하양호 진공복층유리 제조방법
WO2009048210A1 (en) * 2007-10-10 2009-04-16 Epion Co., Ltd Vacuum glazing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0905101B1 (ko) * 2007-10-10 2009-06-30 주식회사 에피온 진공창호유리 및 그 제조방법
KR101042724B1 (ko) * 2009-12-17 2011-06-20 (주)알가 진공유리패널의 엣지 실링장치 및 이를 사용한 진공유리패널 제조방법
WO2011115400A3 (ko) * 2010-03-17 2012-01-12 주식회사 세종소재 일체형 하판 유리 및 그를 포함하는 진공 복층 유리의 제조 방법
CN102844282A (zh) * 2010-03-17 2012-12-26 株式会社世种素材 一体型下板玻璃及包含该一体型下板玻璃的真空多层玻璃的制造方法
KR101255476B1 (ko) * 2011-07-14 2013-04-16 이경은 샤시용 진공유리 제조방법
KR20130016694A (ko) * 2011-08-08 2013-02-18 이경은 샤시용 진공유리 제조방법
CN103930269A (zh) * 2011-11-16 2014-07-16 乐金华奥斯有限公司 具有吸收用填料的真空玻璃面板及其制备方法
KR101402552B1 (ko) * 2012-09-18 2014-06-02 주식회사 에피온 진공유리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KR20160075226A (ko) 2014-12-19 2016-06-29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복층유리 진공장치
WO2016195316A1 (ko) * 2015-06-02 2016-12-08 주식회사 에피온 진공유리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KR20180128665A (ko) * 2017-05-24 2018-12-04 하호 다층진공유리
KR20180128659A (ko) * 2017-05-24 2018-12-04 하호 진공다층 유리
KR101959167B1 (ko) * 2018-06-29 2019-03-15 김진방 이중 진공유리 제조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되는 이중 진공유리
WO2020005039A1 (ko) * 2018-06-29 2020-01-02 김진방 이중 진공유리 제조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되는 이중 진공유리
CN111386253A (zh) * 2018-06-29 2020-07-07 米雷克斯株式会社 双层真空玻璃制造方法及据此制造的双层真空玻璃
US11193323B2 (en) 2018-06-29 2021-12-07 Mirex Co., Ltd. Method of manufacturing double vacuum glass and double vacuum glass manufactured by the same
US11913277B2 (en) 2018-07-31 2024-02-27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Method for manufacturing glass panel unit
KR20200015156A (ko) * 2018-08-03 2020-02-12 김진방 선루프용 이중 진공유리 및 그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58498B1 (ko) 2007-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87881A (ko) 진공 복층유리의 제조방법
JP6479172B2 (ja) 絶縁グレージングユニットに用いられるスペーサ、当該スペーサを有する絶縁グレージングユニット、当該スペーサの製造方法及び使用
KR101766175B1 (ko) 단열 창유리 유닛용 스페이서
RU2733258C1 (ru) Вакуумное стекло и способ е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CN105074113B (zh) 具有真空绝缘玻璃(vig)单元和含有真空绝缘结构的窗
KR100905101B1 (ko) 진공창호유리 및 그 제조방법
WO2017169253A1 (ja) ガラスパネルユニット及びガラス窓
JP5438849B2 (ja) 一体型下板硝子及びそれを含む真空多層硝子の製造方法
CN201933017U (zh) 一种低辐射钢化真空玻璃
JP2008063158A (ja) ガラスパネル
KR101496848B1 (ko) 진공 단열재
JP5613023B2 (ja) 複層ガラス
CN102898007B (zh) 无尾封接真空节能降噪玻璃
CN103397836B (zh) 一种安防节能中空玻璃
CN206955904U (zh) 一种节能耐火中空玻璃
KR102022918B1 (ko) 진공다층 유리
CN204738693U (zh) 一种建筑隔音保温玻璃
JPH1121149A (ja) 低圧複層ガラスパネルおよびその作製方法
CN104499899A (zh) 一种双层多功能中空玻璃
JP2002080247A (ja) 低圧複層ガラス
CN204691596U (zh) 一种建筑节能隔音保温玻璃
CN202039465U (zh) 防火无机真空保温板
JP2001064042A (ja) 低圧複層ガラス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0103651A (ja) 低圧複層ガラス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203716779U (zh) 一种隔热保温采光充气玻璃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31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