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28665A - 다층진공유리 - Google Patents
다층진공유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128665A KR20180128665A KR1020170064052A KR20170064052A KR20180128665A KR 20180128665 A KR20180128665 A KR 20180128665A KR 1020170064052 A KR1020170064052 A KR 1020170064052A KR 20170064052 A KR20170064052 A KR 20170064052A KR 20180128665 A KR20180128665 A KR 2018012866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pacer
- glass
- plate glass
- spacers
- exhaust hol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27/00—Joining pieces of glass to pieces of other inorganic material; Joining glass to glass other than by fusing
- C03C27/06—Joining glass to glass by processes other than fus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009—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number, the constitution or treatment of glass sheets
- B32B17/1003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number, the constitution or treatment of glass sheets comprising two outer glass shee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5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 B32B17/10779—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containing polyester
-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8/00—Enamels; Glazes; Fusion seal compositions being frit compositions having non-frit additions
- C03C8/24—Fusion seal compositions being frit compositions having non-frit additions, i.e. for use as seals between dissimilar materials, e.g. glass and metal; Glass solders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E06B3/6612—Evacuated glazing units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E06B3/663—Elements for spacing panes
- E06B3/66304—Discrete spacing elements, e.g. for evacuated glazing unit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24—Structural elements or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rmal insulation
- Y02A30/249—Glazing, e.g. vacuum glazing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80/00—Architectural or constructional elements improving the thermal performance of buildings
- Y02B80/22—Glazing, e.g. vaccum glaz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Glass To Other Materials (AREA)
Abstract
하판유리;
상기 하판유리의 외곽부에 상판유리와의 간격유지를 위하여 구성한 제1스페이셔 내지 제4스페이셔;
제5스페이셔는 상기 제1스페이셔 내지 제4스페이셔 가운데 게터방을 구성하기 위하여 선택된 하나의 스페이셔와 평행으로 구성하여 부착시키고,
상기 개터방에 게터를 삽입하되,
상기 하판유리의 중앙부위에는 진공 시에 복수의 유리가 서로 부착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제6스페이셔를 구성하고,
상기 제1스페이셔 내지 제6스페이셔는 상기 하판유리와 프리트글라스로 부착시키되,
상기 제5스페이셔는 직각으로 두개의 스페이셔와 교차로 접촉하되 상기 두개의 스페이셔 중의 하나는 접촉하여 배치되고 다른 하나는 이격되어 배치되되,
상기 선택된 하나의 스페이셔는 반대편의 대응되는 스페이셔 보다 일부방향으로 길게 구성하고,
상기 선택된 하나의 스페이셔의 일부방향으로 길게 구성한 스페이셔와 직각방향으로 교차하는 스페이셔는 반대편의 대응하는 스페이셔보다 길이를 짧게 구성하고,
상기 직각방향으로 교차하는 스페이셔의 상부에는 스페이셔도막을 부착시키고,
상판유리를 부착시킨 후에 배기홀의 입구에 배기홀 마개와 프리트 글라스를 구성하고 진공펌프로 상기 상판유리와 상기 하판유리 사이에 존재하는 공기를 배기시킨 후에 프리트 글라스(Frit glass)를 가열에 의해 배기 홀을 봉합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진공유리에 관한 것이다.
상기 하판유리의 외곽부에 상판유리와의 간격유지를 위하여 구성한 제1스페이셔 내지 제4스페이셔;
제5스페이셔는 상기 제1스페이셔 내지 제4스페이셔 가운데 게터방을 구성하기 위하여 선택된 하나의 스페이셔와 평행으로 구성하여 부착시키고,
상기 개터방에 게터를 삽입하되,
상기 하판유리의 중앙부위에는 진공 시에 복수의 유리가 서로 부착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제6스페이셔를 구성하고,
상기 제1스페이셔 내지 제6스페이셔는 상기 하판유리와 프리트글라스로 부착시키되,
상기 제5스페이셔는 직각으로 두개의 스페이셔와 교차로 접촉하되 상기 두개의 스페이셔 중의 하나는 접촉하여 배치되고 다른 하나는 이격되어 배치되되,
상기 선택된 하나의 스페이셔는 반대편의 대응되는 스페이셔 보다 일부방향으로 길게 구성하고,
상기 선택된 하나의 스페이셔의 일부방향으로 길게 구성한 스페이셔와 직각방향으로 교차하는 스페이셔는 반대편의 대응하는 스페이셔보다 길이를 짧게 구성하고,
상기 직각방향으로 교차하는 스페이셔의 상부에는 스페이셔도막을 부착시키고,
상판유리를 부착시킨 후에 배기홀의 입구에 배기홀 마개와 프리트 글라스를 구성하고 진공펌프로 상기 상판유리와 상기 하판유리 사이에 존재하는 공기를 배기시킨 후에 프리트 글라스(Frit glass)를 가열에 의해 배기 홀을 봉합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진공유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다층 진공유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유리부재가 다층으로 적층되는 진공유리에 관한 것이다.
종전에 유리창에는 낱장 유리가 많이 사용되었는데, 근래에 와서 유리 2장을 일정한 간격으로 띄워 만든 복층 유리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복층 유리는 유리 사이를 일정한 간격으로 띄워서 제조하여, 낱장 유리보다는 보온, 보냉 효과는 좋지만, 그 내부에 공기나 다른 가스가 차 있기 때문에 이로 인해 열전달이 일어나 아직도 많은 에너지가 낭비되고 있는 실정이다.
뿐만 아니라, 이러한 열전달은 유리 자체의 내측면과 외측면의 온도차를 발생시키고, 이 온도차로 인해 결로현상이 일어나게 되어, 보는 시야를 크게 방해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복층 유리 내부에는 공기나 다른 가스가 채워져 있어 이 공기나 가스가 소음을 전달시키는 역할을 하여 현재 사용되고 있는 복층유리로는 소음 전달을 차단하는 차음효과가 없다.
최근에는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고자 진공복층 유리에 많은 관심을 갖고 연구를 활발히 진행하고 있지만, 아직도 범용으로 실용화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고, 그 대체 일환으로 에너지 낭비만 좀 더 줄이려는 목적으로 2장의 복층유리에 유리 한 장을 더 띄워 부착하여 제조한 즉, 3장의 유리를 일정한 간격으로 띄워 만든 3중 복층유리(삼중유리)가 일부 사용되고 있을 뿐이다.
에너지 낭비를 크게 줄일 수 있고, 차음효과가 뛰어나고, 결로현상이 거의 없어 보는 시야가 방해를 받지 않는 진공 복층유리를 범용으로 상용화시키기 위해서는 원하는 진공도가 장기간(건축물 보존기간) 안전하게 유지되는 제품을 생산할 수 있는 기술적인 개발이 완료되어야 하고, 또 가격이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복층유리와 비교하여 가성비가 높아야 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이미 진공 복층유리에 적합하도록 개발한 게터[대한민국 특허‘진공 복층유리의 제조방법’(특허 등록번호: 100758498)]를 적용시켜 진공도가 장기간 유지되게 하였다. 또한 배기관을 없애고 간격유지봉의 길이를 조절하고, 간격유지봉을 덧대어 배기 홀과 게터를 넣을 수 있는 게터방을 을 만들어 이 배기 홀을 통해서 게터를 넣고, 진공 배기를 할 수 있게 하였다.
이와 같이 하면, 진공로 챔버 내에서 여러 장을 한번에 진공 배기시켜 진공 복층유리를 제조할 수 있어 생산성을 높일 수 있고, 또 진공 배기 후, 배기홀을 배기홀마개와 봉합 프리트 글라스로 쉽게 봉합시킬 수 있어 불량률을 대폭적으로 절감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생산성이 높아지고, 불량률이 낮아지면 제조원가가 크게 내려가 가격 또한 경쟁력이 있어 진공복층유리를 범용으로 충분히 상용화시킬 수 있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하기와 같이 구성한다.
제1실시예로는 하기와 같다.
하판유리;
상기 하판유리의 외곽부에 상판유리와의 간격유지를 위하여 구성한 제1스페이셔 내지 제4스페이셔;
제5스페이셔는 상기 제1스페이셔 내지 제4스페이셔 가운데 게터방을 구성하기 위하여 선택된 하나의 스페이셔와 평행으로 구성하여 부착시키고,
상기 개터방에 게터를 삽입하되,
상기 하판유리의 중앙부위에는 진공 시에 복수의 유리가 서로 부착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제6스페이셔를 구성하고,
상기 제1스페이셔 내지 제6스페이셔는 상기 하판유리와 프리트글라스로 부착시키되,
상기 제5스페이셔는 직각으로 두개의 스페이셔와 교차로 접촉하되 상기 두개의 스페이셔 중의 하나는 접촉하여 배치되고 다른 하나는 이격되어 배치되되,
상기 선택된 하나의 스페이셔는 반대편의 대응되는 스페이셔보다 일부방향으로 길게 구성하고,
상기 선택된 하나의 스페이셔의 일부방향으로 길게 구성한 스페이셔와 직각방향으로 교차하는 스페이셔는 반대편의 대응하는 스페이셔보다 길이를 짧게 구성하고,
상기 직각방향으로 교차하는 스페이셔의 상부에는 스페이셔도막을 부착시키고,
상판유리를 부착시킨 후에 배기홀의 입구에 배기홀마개와 프리트글라스를 구성하고 진공펌프로 상기 상판유리와 상기 하판유리 사이에 존재하는 공기를 배기시킨 후에 가열에 의해 배기홀을 봉합하도록 구성하여 다층진공유리를 구성한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2실시예로는 하기와 같다.
하판유리;
상기 하판유리의 외곽부에 상판유리와의 간격유지를 위하여 구성한 제1스페이셔 내지 제4스페이셔;
제5스페이셔는 상기 제1스페이셔 내지 제4스페이셔 가운데 게터방을 구성하기 위하여 상기 제1 내지 제4스페이셔 가운데 선택된 스페이셔와 평행으로 구성하여 부착시키고,
상기 개터방에 게터를 삽입하되,
상기 선택된 하나의 스페이셔의 배기홀 입구 외부에 짧은 스페이셔도막을 부착시키고,
상기 하판유리의 중앙부위에는 진공 시에 복수의 유리가 서로 부착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제6스페이셔를 구성하고,
상기 제1스페이셔 내지 제6스페이셔는 상기 하판유리와 프리트글라스로 부착시키되,
상기 제5스페이셔는 직각으로 두개의 스페이셔와 교차로 접촉하되 상기 두개의 스페이셔 중의 하나는 접촉하여 배치되고 다른 하나는 이격되어 배치되되,
상기 선택된 하나의 스페이셔는 반대편의 대응되는 스페이셔와 동일하게 구성하고,
상기 선택된 하나의 스페이셔와 직각방향으로 교차하는 두개의 스페이셔의 길이는 상기 배기홀이 구성된 쪽의 스페이셔의 길이를 짧게 구성하고,
상기 짧게 구성한 스페이셔의 상부에는 스페이셔도막을 부착시키고,
상판유리를 부착시킨 후에 배기홀의 입구에 배기홀마개와 프리트글라스를 구성하고 진공펌프로 상기 상판유리와 상기 하판유리 사이에 존재하는 공기를 배기시킨 후에 프리트글라스(Frit glass)를 가열에 의해 배기홀을 봉합하도록 구성하여 다층진공유리를 구성하여 과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5스페이셔는 이격되어 배치되는 간격이 0.1~5mm인 것으로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제5스페이셔와 접촉하는 스페이셔는 반대편의 대응하는 스페이셔보다 길이를 짧게 구성하되 0.5~30mm짧게 구성하는 것이 좋다.
여기서 상기 선택된 하나의 스페이셔와 상기 제5스페이셔의 간격은 0.5~30mm로 구성하여 게터방을 구성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배기홀마개를 덮기 전에 추가적으로 게터를 더 구성하여 진공도를 더욱 높이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배기홀을 봉합 프리트 글라스를 녹여 상기 배기홀이 봉합된 후에 상기 하판유리 및 상기 상판유리의 외곽부 전체를 프리트 글라스로 추가적으로 밀봉하여 진공도를 오랫동안 유지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상판유리와 상기 하판유리의 외부에 PET필름과 같은 고분자 필름을 부착시켜 유리의 파손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유리가 파손되어도 조각난 유리가 분산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과 같이 진공 복층유리를 생산하면, 생산성이 증대되고 불량 발생이 적어, 제조원가를 낮출 수 있다.
2장의 유리를 사용하여 만든 기존 복층유리나, 3장의 유리를 사용하여 만든 3중 복층유리와 비교하여 에너지 절감 성능을 감안하면, 가격 경쟁력이 충분히 있어 기존 사용되고 있는 복층유리 시장을 대량으로 대체 적용이 가능하다.
이로 인해 건물의 냉/난방 에너지가 대폭적으로 절감되어 국가적으로도 에너지 사용량을 크게 줄일 수 있고, 온실가스 배출량 또한, 크게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진공 복층유리는 내부가 진공이기 때문에 차음 효과가 뛰어나 소음으로 인한 불편함이 없고, 결로현상이 발생되지 않아 주위가 젖어 생기는 곰팡이 발생이 거의 없을 뿐 아니라, 보는 시야가 방해를 받지 않아 생활에 편의를 크게 제공해 주는 효과가 있다.
제1 내지 제6도는 제1실시예에 관한 도이다.
도4는 게터를 넣고 홀마개와 봉합프리트 글라스를 올려놓고 진공을 위해 배기하는 것을 보이는 도이다.
도5는 진공배기후 가열하여 봉합프리트 글라스를 녹여 봉합시킨 것을 의미한다.
도6은 제조된 진공복층 유리 가장자리 4변 전체 둘레를 프리트 글라스로 다시 한번 추가 밀봉하는 것을 보이는 도이다.
제7 내지 12도는 제2실시예에 관한 도이다.
도10은 게터를 넣고 홀마개와 봉합프리트 글라스를 올려놓고 진공을 위해 배기하는 것을 보이는 도이다.
도11은 진공배기후 가열하여 봉합프리트 글라스를 녹여 봉합시킨 것을 의미한다.
도12는 제조된 진공복층 유리 가장자리 4변 전체 둘레를 프리트 글라스로 다시 한번 추가 밀봉하는 것을 보이는 도이다.
제13도는 본 발명을 이용하여 제조한 복층유리를 보이는 도이다.
제14도는 진공다층유리의 외부에 PET필름과 같은 고분자 필름을 부착한 것을 보이는 도이다.
도4는 게터를 넣고 홀마개와 봉합프리트 글라스를 올려놓고 진공을 위해 배기하는 것을 보이는 도이다.
도5는 진공배기후 가열하여 봉합프리트 글라스를 녹여 봉합시킨 것을 의미한다.
도6은 제조된 진공복층 유리 가장자리 4변 전체 둘레를 프리트 글라스로 다시 한번 추가 밀봉하는 것을 보이는 도이다.
제7 내지 12도는 제2실시예에 관한 도이다.
도10은 게터를 넣고 홀마개와 봉합프리트 글라스를 올려놓고 진공을 위해 배기하는 것을 보이는 도이다.
도11은 진공배기후 가열하여 봉합프리트 글라스를 녹여 봉합시킨 것을 의미한다.
도12는 제조된 진공복층 유리 가장자리 4변 전체 둘레를 프리트 글라스로 다시 한번 추가 밀봉하는 것을 보이는 도이다.
제13도는 본 발명을 이용하여 제조한 복층유리를 보이는 도이다.
제14도는 진공다층유리의 외부에 PET필름과 같은 고분자 필름을 부착한 것을 보이는 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에 따라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1 내지 도6은 제1실시예에 관한 것으로 하기와 같이 설명한다.
먼저 도1에 대하여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하판유리(100);
상기 하판유리(100)의 외곽부에 상판유리(200)와의 간격유지를 위하여 구성한 제1스페이셔 내지 제4스페이셔(310,320,330,340)를 구성한다.
제5스페이셔(350)는 상기 제1스페이셔 내지 제4스페이셔(310,320,330,340) 가운데 게터방을 구성하기 위하여 선택된 하나의 스페이셔(340)와 평행으로 구성하여 부착시키고,
상기 게터방에 게터(400)를 삽입하되,
상기 하판유리(100)의 중앙부위에는 진공시에 복수의 유리가 서로 부착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제6스페이셔(361~366)를 구성한다.
본 발명에서 진공 복층유리를 제조할 때, 배기홀(312)을 만들되 하판유리(100) 4변 중 3변은 가장자리 끝에서 1~30㎜ 정도 안쪽으로 위치하도록 제1스페이셔 내지 제4스페이셔(310,320,330,340)를 간격유지봉의 형태로 구성한다.
즉, 두께 0.5~30㎜ 사각기둥 형태의 유리나, 직경 0.5~30㎜ 원기둥 또는 파이프(Pipe) 형태의 유리(간격유지봉) 4개를 눕혀서 죽(Paste) 형태의 프리트 글라스(Frit glass)로 부착시킨다. 나머지 한 변(배기홀이 있는 변)은 간격유지봉을 가장자리 끝에서 3~30㎜ 정도 안쪽으로 위치하게 부착시킨다.
이때 배기홀(312)이 있는 변의 스페이셔(310)인 간격유지봉은 원래의 길이보다 0.5~30㎜ 짧게 부착하여 배기홀(312)과 동시에 게터(400)를 넣을 수 있는 홀을 만든다.
그리고 이 짧게 부착한 제1스페이셔(310)인 간격유지봉과 직각을 이루는 변의 제4스페이셔(340)의 간격유지봉은 원래의 길이보다 좀 길게 부착한다. 또 이 길게 부착한 제4스페이셔(340)인 간격유지봉 안쪽에 0.5~30㎜를 띄워 제5스페이셔(350)를 하나 덧대서, 상기 제4스페이셔와 상기 제5스페이셔의 간격이 0.5~30㎜의 사이를 두고 평행하게 위치하게끔 한다.
간격이 있는 공간에 게터(400)를 넣을 수 있는 게터방을 길게 만든다.
이때 안쪽에 덧댄 제5스페이셔(350)는 그 길이를 원래의 길이보다 0.1~5㎜ 정도 짧게 하여 게터가 내부 가스(공기)를 흡수 제거할 수 있는 공간부(313)인 통로 역할을 하게 한다.
상기 제1스페이셔 내지 제6스페이셔(310,320,330,340,350,361~366)는 상기 하판유리(100)와 프리트글라스로 부착시키되,
상기 제5스페이셔(350)는 직각으로 두개의 스페이셔와 교차로 배치하되 상기 두개의 스페이셔 중의 하나는 접촉하여 배치되고 다른 하나는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이다.
상기 선택된 하나의 스페이셔(340)는 반대편의 대응되는 스페이셔(320)보다 일부방향으로 길게 구성한다.
상기 선택된 하나의 스페이셔(340)의 일부방향으로 길게 구성한 스페이셔(340)와 직각방향으로 교차하는 스페이셔(310)는 반대편의 대응하는 스페이셔(330)보다 길이를 짧게 구성한다.
상기 직각방향으로 교차하는 스페이셔의 상부에는 제1스페이셔도막(311)을 부착시키고,
상판유리(200)를 부착시킨 후에 배기홀(312)의 입구에 배기홀마개(500)와 제1봉합프리트글라스(600)를 구성하고 진공펌프로 상기 상판유리(200)와 상기 하판유리(100) 사이에 존재하는 공기를 배기시킨 후에 프리트글라스(Frit glass)를 가열에 의해 배기홀(312)을 봉합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배기홀(312)이 있는 스페이셔인 간격유지봉 위에 원래의 스페이셔보다 짧은 길이의 제1스페이셔도막(311)을 부착시켜 배기홀마개(500)와 프리트 글라스(Frit glass)를 미리 고화(固化)시켜 만든 제1봉합프리트글라스(600)를 올려놓을 수 있게 한다.
도4는 게터를 넣고 홀마개와 봉합프리트 글라스를 올려놓고 진공을 위해 배기하는 것을 보이는 도이다.
도5는 진공배기후 가열하여 봉합프리트 글라스를 녹여 봉합시킨 것을 의미한다.
도6은 제조된 진공복층 유리 가장자리 4변 전체 둘레를 프리트 글라스로 다시 한번 추가 밀봉하는 것을 보이는 도이다.
다음은 제7도 내지 14도는 제2실시예에 관한 것으로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제1실시예와 상이한 것은 제2스페이셔도막(345)을 제4스페이셔(340)의 일방에 부착하는 것이다.
다른 것은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
하판유리(100);
상기 하판유리(100)의 외곽부에 상판유리(200)와의 간격유지를 위하여 구성한 제1스페이셔 내지 제4스페이셔(310,320,330,340);를 구성한다.
제5스페이셔(350)는 상기 제1스페이셔 내지 제4스페이셔(310,320,330,340) 가운데 게터방을 구성하기 위하여 상기 제1스페이셔 내지 제4스페이셔(310,320,330,340) 가운데 선택된 스페이셔(340)와 평행으로 구성하여 부착시킨다.
상기 게터방에 제1게터(400)를 삽입하되,
상기 선택된 하나의 스페이셔(340)의 배기홀(312) 입구 외부에 짧은 제2스페이셔도막(345)을 부착시키고,
상기 하판유리(100)의 중앙부위에는 진공시에 복수의 유리가 서로 부착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제6스페이셔(361~366)를 구성한다.
상기 제1스페이셔 내지 제6스페이셔(310,320,330,340,350,361~366)는 상기 하판유리(100)와 프리트글라스로 부착시키되,
상기 제5스페이셔(350)는 직각으로 두개의 스페이셔와 교차로 배치하되 상기 두개의 스페이셔 중의 하나는 접촉하여 배치되고 다른 하나는 이격되어 배치되되,
상기 선택된 하나의 스페이셔(340)는 반대편의 대응되는 스페이셔(320)와 동일하게 구성한다.
상기 선택된 하나의 스페이셔(340)와 직각방향으로 교차하는 두개의 스페이셔의 길이는 상기 배기홀(312)이 구성된 쪽의 스페이셔(310)의 길이를 짧게 구성한다.
상기 짧게 구성한 스페이셔(310)의 상부에는 제1스페이셔도막(311)을 부착시키고,
상판유리(200)를 부착시킨 후에 배기홀(312)의 입구에 배기홀마개(500)와 프리트글라스를 구성하고 진공펌프로 상기 상판유리(200)와 상기 하판유리(100) 사이에 존재하는 공기를 배기시킨 후에 제1봉합프리트글라스(600)를 가열에 의해 배기홀(312)을 봉합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5스페이셔(350)는 이격되어 배치되는 간격의 공간부(313)는 0.1~5mm인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5스페이셔(350)와 접촉하는 제1스페이셔(310)는 반대편의 대응하는 제3스페이셔(330)보다 길이를 짧게 구성하되 0.5~30mm짧게 구성한다.
상기 선택된 하나의 제4스페이셔(340)와 상기 제5스페이셔(350)의 간격은 0.5~30mm로 구성한다.
상기 배기홀마개(500)를 덮기 전에 추가적으로 제2게터(410)를 더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기홀(312)은 제1봉합프리트글라스(600)를 녹여 상기 배기홀(312)이 봉합된 후에 상기 하판유리(100) 및 상기 상판유리(200)의 외곽부 전체를 제2봉합프리트글라스(700)로 추가적으로 밀봉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판유리(200)와 상기 하판유리(100)의 외부에 PET필름(800)과 같은 고분자 필름을 부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10은 게터를 넣고 홀마개와 봉합프리트 글라스를 올려놓고 진공을 위해 배기하는 것을 보이는 도이다.
도11은 진공배기후 가열하여 봉합프리트 글라스를 녹여 봉합시킨 것을 의미한다.
도12는 제조된 진공복층 유리 가장자리 4변 전체 둘레를 프리트 글라스로 다시 한번 추가 밀봉하는 것을 보이는 도이다.
2개의 스페이셔(340,350)의 간격이 0.5~30㎜의 사이를 두고 평행하게 위치하게끔 하여, 이 사이 공간에 게터를 넣을 수 있는 게터방을 길게 만든다.
이때 안쪽에 구성한 제5스페이셔(350)는 그 길이를 원래의 길이보다 0.1~5㎜ 정도 짧게 하여 게터가 내부 가스(공기)를 흡수 제거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배기홀(312)이 있는 제1스페이셔(310)의 외부와 제4스페이셔(340)의 외부에 원래의 스페이셔보다 짧은 길이의 제1 및 제2스페이셔도막(311,345)을 각각 부착하여 배기홀마개(500)와 제1봉합프리트글라스(600)를 위치시킬 수 있게 한다.
배기홀마개(500)는 배기홀(312)과 같은 모양이지만 크기는 전체적으로 약간 작은 유리 도막으로, 배기홀(312)을 막아 제1봉합프리트글라스(600)가 녹아 안으로 공기가 들어가지 못하게 하는 것이다.
제1봉합프리트글라스(600)는 배기홀마개(500)와 마찬가지로 배기홀과 같은 모양이지만 크기는 전체적으로 약간 작은 미리 고화(固化)시킨 프리트글라스로, 배기홀마개(500) 위에서 진공펌프 배기 후, 가열에 의해 녹아 배기홀(312)을 봉합하도록 하는 것이다.
유리면 중앙 부위에는 유리재질[원기둥, 사각기둥, 다각형 기둥, 구(球) 형태]의 마이크로 스페이서(Micro-spacer)(직경 혹은 두께;0.1~30㎜, 높이; 스페이셔의 두께나 직경과 같은 0.5~30㎜)로서 제6스페이셔로 호칭한다. 제6스페이셔를 일정한 간격으로 세워 제1 내지 제4스페이셔(310,320,330,340)와 같이 프리트 글라스로 부착하여 진공 배기후에도 2장의 유리가 서로 달라붙지 않게 한다.
제1 및 제2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프리트글라스로 부착된 하판유리(100)를 200~850℃로 가열하여 프리트글라스로 하판유리와 제1 내지 제5스페이셔 그리고 마이크로 스페이서인 제6스페이셔 등이 고화(固化)되어 접합되게 한다.
이 위에 상판유리(200)를 올려놓고 다시 200~850℃로 가열하여 프리트글라스로 고화(固化) 접합시켜 상판과 하판 2장의 유리가 제1 내지 제5스페이셔(310,320,330,340,350)와 마이크로 스페이서인 제6스페이셔(361~366)에 의해 0.5~30㎜의 간격을 유지하고 접합되게 한다.
이렇게 만들어진 복층유리를 배기홀(312)이 위로 향하게 세워놓고 이 배기홀(312)을 통해 만들고자 하는 진공유리의 크기에 따라 그에 맞게 게터를 넣는다.
게터 소재는 본원출원인이 발명자로 있는 대한민국 특허 ‘진공 복층유리의 제조방법’(특허 제100758498호)과 ‘일체형 하판 유리 및 그를 포함하는 진공 복층유리의 제조방법’(특허 제10-1077484호)에서 기술한 것과 같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특허에서 기술된 게터 소재(분말형태)를 금속 Container[직경이나 두께가 0.4~29㎜, 길이 1~150㎜인 원형이나 다각형 모형의 금속 파이프(Pipe)나 한쪽이 막힌 컵(Cup) 형태]에 압입(壓入) 충진시킨 형태로 만들거나, 금속 Container를 사용하지 않고 게터 소재 분말 자체를 두께나 직경이 0.4~29㎜이고, 길이가 1~150㎜인 원형이나 다각형 모형으로 성형하여 배기 홀을 통해 넣는다.
여기서 게터는 진공펌프 배기 후, 진공펌프가 배기하지 못하고 2장의 유리 사이의 공간에 남아있는 잔류가스(공기)를 화학반응에 의해 흡수 제거시켜 더 고진공 상태로 만들고, 그 고진공 상태를 장기간 유지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게터가 넣어진 복층유리 여러 개를 진공로 챔버(Chamber) 안에 배기홀(312)이 위로 향하게 넣고, 이 배기홀(312)들 위에 배기홀마개(500)를 올려놓은 다음, 그 위에 미리 고화(固化)시킨 봉합프리트글라스를 올려놓는다.(도4, 도 10)
그리고 진공로 챔버를 진공펌프로 배기시켜 진공화시킨 후, 챔버를 200~850℃로 가열하여 봉합프리트글라스가 녹아 배기홀(312)이 봉합되게 함과 동시에 게터가 활성화(게터가 가스와 반응하여 가스를 지배적으로 흡수 제거할 수 있는 상태)되게 하여 2장의 유리 사이의 공간을 게터에 의해 진공펌프가 배기시킨 진공도보다 더 고진공 상태가 되게 하고, 그 고진공 상태가 장기간 유지되는 진공복층유리를 만드는 것이다.(도 5, 도 11)
또 이와 같이 제조된 진공복층 유리 가장자리 전체 둘레를 제2봉합프리트글라스(700)로 다시 한 번 추가 밀봉시키면, 더욱 안정된 진공복층유리를 제조할 수 있다.[도 6, 도 12]
상기에서 서술한 방법을 여러 장의 유리를 사용하여 똑같이 적용시키면 다층의 진공복층유리도 제조할 수 있다.[도 13]
최종적으로 본 발명에서 제조한 진공복층유리 외부면 양쪽에 PET(Polyethylene-terephthalate)필름(Film)(800)과 같은 고분자 필름을 붙이면 유리 파손시, 파편들이 튀는 것을 막을 수 있어 한층 더 안전한 제품을 제조할 수 있다.[도 14]
글라스를 가열할 때에 봉합 프리트 글라스 부위에 밀봉을 위하여 해당 글라스 부위만 밀봉온도인 T2까지 가열하면 Thermal shock로 유리가 깨지는 현상이 발생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합체된 유리를 로 안에 넣고 챔버(Chamber) 온도를 T2온도보다 낮은 T1까지 올리고, 봉합 프리트 글라스 부위는 별도로 T2까지 올려 밀봉시키는 것이다.
여기서 배기 홀 마개(유리도막)는 녹은 봉합 프리트 글라스가 안으로 흘러들어가지 못하도록 배기 홀을 막는 역할을 하게 하는 것이고, 녹은 봉합 프리트 글라스는 배기 홀 마개-간격유지봉-상판유리-하판유리 사이 틈새를 메워 밀봉을 시키는 역할을 하게 하는 것이다.
(여기서 T1, T2의 온도는 프리트 글라스 종류가 다양하기 때문에, 사용하는 프리트 글라스의 종류에 따라 융점 온도가 차이가 있어 종류에 따라 온도가 달라진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0:하판유리 200:상판유리
310,320,330,340,350:제1스페이셔 내지 제5스페이셔
311:제1스페이셔도막 312:배기홀 313:공간부 345:제2스페이셔도막
361~366:제6스페이셔 400:제1게터 410:제2게터 500:배기홀마개 600:제1봉합프리트글라스 700:제2봉합프리트글라스 800:PET필름
310,320,330,340,350:제1스페이셔 내지 제5스페이셔
311:제1스페이셔도막 312:배기홀 313:공간부 345:제2스페이셔도막
361~366:제6스페이셔 400:제1게터 410:제2게터 500:배기홀마개 600:제1봉합프리트글라스 700:제2봉합프리트글라스 800:PET필름
Claims (8)
- 하판유리;
상기 하판유리의 외곽부에 상판유리와의 간격유지를 위하여 구성한 제1스페이셔 내지 제4스페이셔;
제5스페이셔는 상기 제1스페이셔 내지 제4스페이셔 가운데 게터방을 구성하기 위하여 선택된 하나의 스페이셔와 평행으로 구성하여 부착시키고,
상기 개터방에 게터를 삽입하되,
상기 하판유리의 중앙부위에는 진공 시에 복수의 유리가 서로 부착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제6스페이셔를 구성하고,
상기 제1스페이셔 내지 제6스페이셔는 상기 하판유리와 프리트글라스로 부착시키되,
상기 제5스페이셔는 직각으로 두개의 스페이셔와 교차로 접촉하되 상기 두개의 스페이셔 중의 하나는 접촉하여 배치되고 다른 하나는 이격되어 배치되되,
상기 선택된 하나의 스페이셔는 반대편의 대응되는 스페이셔 보다 일부방향으로 길게 구성하고,
상기 선택된 하나의 스페이셔의 일부방향으로 길게 구성한 스페이셔와 직각방향으로 교차하는 스페이셔는 반대편의 대응하는 스페이셔보다 길이를 짧게 구성하고,
상기 직각방향으로 교차하는 스페이셔의 상부에는 스페이셔도막을 부착시키고,
상판유리를 부착시킨 후에 배기홀의 입구에 배기홀 마개와 프리트 글라스를 구성하고 진공펌프로 상기 상판유리와 상기 하판유리 사이에 존재하는 공기를 배기시킨 후에 프리트 글라스(Frit glass)를 가열에 의해 배기 홀을 봉합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진공유리.
- 하판유리;
상기 하판유리의 외곽부에 상판유리와의 간격유지를 위하여 구성한 제1스페이셔 내지 제4스페이셔;
제5스페이셔는 상기 제1스페이셔 내지 제4스페이셔 가운데 게터방을 구성하기 위하여 상기 제1 내지 제4스페이셔 가운데 선택된 스페이셔와 평행으로 구성하여 부착시키고,
상기 개터방에 게터를 삽입하되,
상기 선택된 하나의 스페이셔의 배기홀 입구 외부에 짧은 스페이셔도막을 부착시키고,
상기 하판유리의 중앙부위에는 진공 시에 복수의 유리가 서로 부착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제6스페이셔를 구성하고,
상기 제1스페이셔 내지 제6스페이셔는 상기 하판유리와 프리트글라스로 부착시키되,
상기 제5스페이셔는 직각으로 두개의 스페이셔와 교차로 접촉하되 상기 두개의 스페이셔 중의 하나는 접촉하여 배치되고 다른 하나는 이격되어 배치되되,
상기 선택된 하나의 스페이셔는 반대편의 대응되는 스페이셔와 동일하게 구성하고,
상기 선택된 하나의 스페이셔와 직각방향으로 교차하는 두개의 스페이셔의 길이는 상기 배기홀이 구성된 쪽의 스페이셔의 길이를 짧게 구성하고,
상기 짧게 구성한 스페이셔의 상부에는 스페이셔 도막을 부착시키고,
상판유리를 부착시킨 후에 배기홀의 입구에 배기홀 마개와 프리트 글라스를 구성하고 진공펌프로 상기 상판유리와 상기 하판유리 사이에 존재하는 공기를 배기시킨 후에 프리트 글라스(Frit glass)를 가열에 의해 배기 홀을 봉합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진공유리.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5스페이셔는 이격되어 배치되는 간격이 0.1~5mm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진공유리.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5스페이셔와 접촉하는 스페이셔는 반대편의 대응하는 스페이셔보다 길이를 짧게 구성하되 0.5~30mm짧게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진공유리.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하나의 스페이셔와 상기 제5스페이셔의 간격은 0.5~30mm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진공유리.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홀 마개를 덮기 전에 추가적으로 개터를 더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진공유리.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홀을 봉합 프리트 글라스를 녹여 상기배기홀이 봉합된 후에 상기 하판유리 및 상기 상판유리의 외곽부 전체를 프리트 글라스로 추가적으로 밀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진공유리.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유리와 상기 하판유리의 외부에 PET필름과 같은 고분자 필름을 부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진공유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64052A KR101969810B1 (ko) | 2017-05-24 | 2017-05-24 | 다층진공유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64052A KR101969810B1 (ko) | 2017-05-24 | 2017-05-24 | 다층진공유리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128665A true KR20180128665A (ko) | 2018-12-04 |
KR101969810B1 KR101969810B1 (ko) | 2019-04-17 |
Family
ID=646690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64052A KR101969810B1 (ko) | 2017-05-24 | 2017-05-24 | 다층진공유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69810B1 (ko)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70087881A (ko) * | 2006-01-16 | 2007-08-29 | 하호 | 진공 복층유리의 제조방법 |
KR100828201B1 (ko) | 2007-01-30 | 2008-05-14 | 주식회사 자산유리 | 삼중 복층유리 |
KR100849529B1 (ko) * | 2007-10-04 | 2008-08-01 | 하양호 | 진공복층유리 제조방법 |
KR101035185B1 (ko) | 2010-11-04 | 2011-05-17 | 장성덕 | 단열 및 결로 방지용 삼중 복층유리 |
KR101077484B1 (ko) * | 2010-03-17 | 2011-10-28 | 하호 | 일체형 하판 유리 및 그를 포함하는 진공 복층 유리의 제조 방법 |
KR20140037451A (ko) * | 2012-09-18 | 2014-03-27 | 주식회사 한화건설 | 진공유리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
-
2017
- 2017-05-24 KR KR1020170064052A patent/KR101969810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70087881A (ko) * | 2006-01-16 | 2007-08-29 | 하호 | 진공 복층유리의 제조방법 |
KR100828201B1 (ko) | 2007-01-30 | 2008-05-14 | 주식회사 자산유리 | 삼중 복층유리 |
KR100849529B1 (ko) * | 2007-10-04 | 2008-08-01 | 하양호 | 진공복층유리 제조방법 |
KR101077484B1 (ko) * | 2010-03-17 | 2011-10-28 | 하호 | 일체형 하판 유리 및 그를 포함하는 진공 복층 유리의 제조 방법 |
KR101035185B1 (ko) | 2010-11-04 | 2011-05-17 | 장성덕 | 단열 및 결로 방지용 삼중 복층유리 |
KR20140037451A (ko) * | 2012-09-18 | 2014-03-27 | 주식회사 한화건설 | 진공유리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969810B1 (ko) | 2019-04-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6471917B2 (ja) | 複層ガラスの製造方法 | |
US10661534B2 (en) | Multiple pane | |
JP7064498B2 (ja) | 真空ガラスおよびその作製方法 | |
US8940084B2 (en) | Gas adsorbing device and vacuum insulation panel provided with same | |
JP5325344B2 (ja) | ガラスパネルの排気口の形成方法及びこれを用いて製造したガラスパネル製品 | |
JPH05501896A (ja) | 断熱ガラスパネル及びその構築方法 | |
CN107406295A (zh) | 玻璃面板单元的制造方法和玻璃窗的制造方法 | |
TWI596072B (zh) | Method for manufacturing glass flat plate uni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glass window | |
JPWO2017056422A1 (ja) | ガラスパネルユニットおよびガラス窓 | |
US6212852B1 (en) | Evacuated glazing containing a thermally insulating vacuum | |
KR101969810B1 (ko) | 다층진공유리 | |
KR20180128659A (ko) | 진공다층 유리 | |
WO2017193230A1 (zh) | 一种真空玻璃及其加工方法 | |
KR20130112336A (ko) | 진공 단열부재 및 그 제조방법 | |
TW200417526A (en) | Glass panel | |
US8985095B2 (en) | Roof-mounted water heater | |
KR102144676B1 (ko) | 진공단열패널용 금속폴리머 복합필름 및 그 제조방법, 이를 이용한 진공단열패널 | |
CN203866205U (zh) | 一种中空玻璃 | |
JP6425175B2 (ja) | 真空ガラス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 | |
WO2016065665A1 (zh) | 节能板材及其制造方法 | |
JPH078395A (ja) | 金属製真空二重容器とその製造方法 | |
JP2019535623A (ja) | ポリマースペーサマトリクスを有する真空断熱ガラスおよびその製造方法 | |
WO2016074200A1 (zh) | 通孔节能板材及其制作方法 | |
CN106698976A (zh) | 低压真空节能玻璃及其制备方法 | |
JP2012217941A (ja) | 気体吸着デバイスとその作製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