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2918B1 - 진공다층 유리 - Google Patents

진공다층 유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2918B1
KR102022918B1 KR1020170064033A KR20170064033A KR102022918B1 KR 102022918 B1 KR102022918 B1 KR 102022918B1 KR 1020170064033 A KR1020170064033 A KR 1020170064033A KR 20170064033 A KR20170064033 A KR 20170064033A KR 102022918 B1 KR102022918 B1 KR 1020229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rs
glass
spacer
plate glass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40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28659A (ko
Inventor
하호
Original Assignee
하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호 filed Critical 하호
Priority to KR10201700640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2918B1/ko
Publication of KR201801286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86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29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29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27/00Joining pieces of glass to pieces of other inorganic material; Joining glass to glass other than by fusing
    • C03C27/06Joining glass to glass by processes other than fu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5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 B32B17/10779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containing polyes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8/00Enamels; Glazes; Fusion seal compositions being frit compositions having non-frit additions
    • C03C8/24Fusion seal compositions being frit compositions having non-frit additions, i.e. for use as seals between dissimilar materials, e.g. glass and metal; Glass sold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3/00Material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3/10Materials in mouldable or extrudable form for sealing or packing joints or covers
    • C09K3/1006Materials in mouldable or extrudable form for sealing or packing joint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nature of one of its constitu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E06B3/663Elements for spacing panes
    • E06B3/66304Discrete spacing elements, e.g. for evacuated glazing unit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E06B3/67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characterised by additional arrangements or devices for heat or sound insulation or for controlled passage of light
    • E06B3/6715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characterised by additional arrangements or devices for heat or sound insulation or for controlled passage of light specially adapted for increased thermal insulation or for controlled passage of light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200/00Chemical nature of materials in mouldable or extrudable form for sealing or packing joints or covers
    • C09K2200/06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e.g. prepolymers
    • C09K2200/0645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e.g. pre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K2200/0647Polyepox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200/00Chemical nature of materials in mouldable or extrudable form for sealing or packing joints or covers
    • C09K2200/06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e.g. prepolymers
    • C09K2200/068Containing also other elements than carbon, oxygen or nitrogen in the polymer main chain
    • C09K2200/0685Containing silic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24Structural elements or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rmal insulation
    • Y02A30/249Glazing, e.g. vacuum glaz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80/00Architectural or constructional elements improving the thermal performance of buildings
    • Y02B80/22Glazing, e.g. vaccum glazing

Abstract

하판 유리;
상기 하판 유리의 4변의 외곽부에 간격유지를 위한 4개의 제1 내지 제4스페이셔;
상기 제1 내지 제4스페이셔가 결합하는 일부분에 배기홀을 갖도록 상기 제1 내지 제4스페이셔 중의 하나를 이격하여 배치할 수 있도록 짧게 구성하여 공기를 배출하여 진공할 수 있는 상기 배기홀을 구성하고,
제5스페이셔를 상기 배기홀을 갖는 부위에 이웃하여 일정한 간격을 두고 이격배치하되,
상기 제5스페이셔를 상기 배기홀과 반대방향의 타단에 공간부를 구성하고,
상기 제5스페이셔와 평행으로 이격 배치되어있는 상기 제1 내지 제4스페이셔가운데 선택된 하나의 스페이셔와의 사이 공간에 상기 게터를 삽입하고,
상기 하판 유리의 상기 외곽부를 제외한 중간 부분에 간격유지를 위한 제6 스페이셔를 배치하며,
상기 제1 내지 제4스페이셔의 외부에 실링재를 배치 구성하며,
상기 하판유리의 상부에 상판유리를 배치하고, 상기 배기홀에 배기파이프를 삽입하여 상기 상판유리와 상기 하판유리 사이에 있는 공기를 배기하여 진공공간을 만든 후에 상기 실링재의 외곽부위에 접합제로 2차 밀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다층 유리.

Description

진공다층 유리{The vaccum multi glass}
본 발명은 주상복합, 아파트 또는 오피스텔 등과 같은 건물에 소음을 차단하고 시야성이 좋고 에너지를 절감하기 위하여 시공 장착된 유리창에 관한 기술분야에 관련한 것이다.
종래에는 유리창에 낱장 유리가 많이 사용되었는데, 근래에 와서 유리 2장을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시켜 만든 다층 유리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다층유리는 유리 사이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하여 제조하기 때문에 낱장 유리보다는 보온, 보냉 효과는 좋지만, 그 내부에 공기나 다른 가스가 공간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이로 인해 열전달이 일어나 여전히 에너지가 낭비되고 있는 실정이다.
뿐만아니라, 이러한 열전달은 유리 자체의 내측 면과 외측 면의 온도 차를 발생시키고, 이 온도 차로 인해 결로현상이 일어나게 되어, 보는 사람의 시야를 크게 방해하는 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다층 유리 내부에는 공기나 다른 가스가 채워져 있어 이 공기나 가스가 소음을 전달시키는 역할을 하여 현재 사용되고 있는 다층유리로는 소음 전달을 차단하는 차음효과가 없다.
최근에는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고자 진공다층 유리에 많은 관심을 갖고 연구를 활발히 진행하고 있지만, 아직도 실용화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고, 그 대체 일환으로 에너지 낭비를 줄이려는 목적으로 2장의 복층유리에 유리 한 장을 더 이격 부착하여 제조한다.
즉, 3장의 유리를 일정한 간격을 이격시켜 만든 3중 다층유리(삼중유리)가 일부 사용되고 있을 뿐이다.
1.대한민국특허청 득허등록번호 10-0828201(2008.05.14) 2.대한민국특허청 득허등록번호 10-1035185(2011.05.17)
본 발명은 에너지 낭비를 크게 줄일 수 있고, 차음효과가 뛰어나며, 결로현상이 거의 없어 창문을 통하여 바라보는 시야가 방해를 받지 않게 된다.
본 발명의 진공다층유리 제조방법은 진공도가 장기간(건축물 보존기간) 안전하게 유지되는 제품을 생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층유리는 가격 대비 성능이 뛰어나다.
본 발명에서는 이미 진공다층유리에 적합하도록 개발한 게터 (진공 다층유리의 제조방법’:특허 등록번호 10-0758498)를 적용시켜 진공도가 장기간 유지되게 하였다.
또한 기존 특허에서 적용한 배기관을 없애고 간격유지봉의 길이를 조절하고, 상기 간격유지봉을 덧대어 배기 파이프를 삽입할 수 있는 홀(Hole)을 만들어 배기 파이프를 구성하여 진공 배기를 할 수 있게 하였다.
상기 간격유지봉과 Sealing 재를 덧대어 긴 공간(게터 방)이 만들어지게 하여 이 공간에 게터를 넣을 수 있게 하였다.
그리고 기존 특허에서 간격유지봉을 프리트 글라스(Frit Glass)로 접합시켜 진공을 유지시킨 것과는 달리, 본 발명에서 간격유지봉은 2장의 유리를 일정한 간격으로 유지토록 하는 역할만 하게 하고, 별도로 Sealing 재를 사용하여 진공을 유지토록 하여 생산성을 늘리고, 불량률을 줄여 제조공정비용을 대폭적으로 절감시키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은 하기와 같다.
하판 유리;
상기 하판 유리의 4변의 외곽부에 간격유지를 위한 4개의 제1내지 제4스페이셔;
상기 제1 내지 제4스페이셔가 결합하는 일부분에 배기홀을 갖도록 상기 제1 내지 제4스페이셔 중의 하나를 이격하여 배치할 수 있도록 짧게 구성하여 공기를 배출하여 진공할 수 있는 상기 배기홀을 구성하고,
제5스페이셔를 상기 배기홀을 갖는 부위에 이웃하여 일정한 간격을 두고 이격배치하되,
상기 제5스페이셔를 상기 배기홀과 반대방향의 타단에 공간부를 구성하고,
상기 제5스페이셔와 평행으로 이격 배치되어있는 상기 제1 내지 제4스페이셔가운데 선택된 하나의 스페이셔와의 사이 공간에 상기 게터를 삽입하고,
상기 하판 유리의 상기 외곽부를 제외한 중간 부분에 간격유지를 위한 제6 스페이셔를 배치하며,
상기 제1 내지 제4스페이셔의 외부에 실링재를 배치 구성하며,
상기 하판유리의 상부에 상판유리를 배치하고, 상기 배기홀에 배기파이프를 삽입하여 상기 상판유리와 상기 하판유리 사이에 있는 공기를 배기하여 진공공간을 만든 후에 상기 실링재의 외곽부위에 접합제로 2차밀봉하여 진공다층 유리를 구성하여 상기과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6스페이셔는 복수개인 것으로 구성하는 것이 진공시에 유리가 굴곡이 발생하지 않는다.
여기서 상기 실링재는 고무,실리콘,바이톤 중에 선택된 하나로 구성하는 것이 좋다.
여기서 상기 진공다층 유리 외부면에 PET 필름과 같은 고분자 필름을 부착시키는 것으로 구성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1내지 제6스페이셔는 직경이 0.5~30㎜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1 내지 제6스페이셔의 형상은 다각형, 원기둥, 반원기둥, 파이프(Pipe)형태 가운데 선택된 하나의 형상으로 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제1 내지 제6스페이셔의 재질은 금속, 유리, 베이크라이트(Bakelite) 고무, 플라스틱 가운데 선택된 하나의 재질로 구성하는 것이 좋다.
여기서 상기 제1내지 제4스페이셔는 유리의 가장자리로부터 2~20mm 내부에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제1 내지 제5스페이셔의 직경은 0.5~30㎜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제5스페이셔는 상기 홀과 반대편에 0.1~5mm를 이격시켜 구성한 다.
여기서 상기 실링재의 외곽에는 접합제로 제2차 밀봉을 한다.
여기서 상기 접합제는 실리콘 또는 에폭시 등으로 구성한다.
제2실시예의 구성으로는 하기와 같다.
하판유리;
상기 하판유리의 4변의 외곽부에 간격유지를 위한 4개의 제1 내지 제4스페이셔;
상기 제1 내지 제4스페이셔 중에 선택된 하나의 스페이셔에 공기를 배출할 수 있도록 배기홀을 미리 구성하고,
제5스페이셔를 상기 배기홀과 수평방향으로 배치하되,
상기 제5스페이셔를 상기 배기홀과 반대방향의 일단에 공간부를 구성하고,
상기 제5스페이셔와 평행으로 이격 배치되어있는 상기 제1 내지 제4스페이셔가운데 선택된 하나의 스페이셔와의 사이 공간에 상기 게터를 삽입하고,
상기 하판유리의 상기 외곽부를 제외한 중간 부분에 간격유지를 위한 제6스페이셔를 배치하며,
상기 제1 내지 제4스페이셔의 외부에 실링재를 배치 구성하며,
상기 하판유리의 상부에 상판유리를 배치하고, 상기 배기홀에 배기파이프를 삽입하여 상기 상판유리와 상기 하판유리 사이에 있는 공기를 배기하여 진공공간을 만든 후에 상기 실링재의 외곽부위에 접합제로 2차밀봉하는 진공다층 유리를 구성한다.
제3실시예로는 하기와 같다.
하판유리;
상기 하판유리의 4변의 외곽부에 간격유지를 위한 4개의 제1 내지 제4스페이셔;
상기 제1 내지 제4스페이셔가 결합하는 일부분에 제5스페이셔를 삽입하도록 상기 제1 내지 제4스페이셔 중의 선택된 하나의 스페이셔를 짧게 구성하되,
상기 제5스페이셔는 관통형상의 것으로 상기 제5스페이셔의 일단의 개방부를공기를 배출하여 진공할 수 있는 배기홀로 구성하고,
상기 제5스페이셔의 관통형상의 내부에 게터를 삽입하고,
상기 제5스페이셔를 상기 배기홀과 반대방향의 타단에 공간부를 구성하도록 상기 제1 내지 제4 스페이셔 가운데 선택된 하나의 스페이셔와 이격하여 배치하고,
상기 하판유리의 상기 외곽부를 제외한 중간 부분에 간격유지를 위한 제6스페이셔를 구성하며,
상기 하판유리의 상부에 상판유리를 배치하고, 상기 배기홀에 배기파이프를 삽입하여 상기 상판유리와 상기 하판유리 사이에 있는 공기를 배기하여 진공공간을 만든 후에 상기 실링재의 외곽부위에 접합제로 2차 밀봉하는 진공다층 유리를 구성한다.
제4실시예로는 하기와 같다.
하판유리;
상기 하판유리의 4변의 외곽부에 간격유지를 위한 4개의 제1 내지 제4스페이셔;
상기 제1 내지 제4스페이셔가 결합하는 일부분에 배기공간을 갖도록 상기 제1 내지 제4스페이셔 중의 선택된 하나의 스페이셔를 이격하여 배치할 수 있도록 짧게 구성하여 공기를 배출하여 진공할 수 있는 공간부를 배기홀로 구성하고,
상기 짧게 구성한 스페이셔와 평행하게 실링재를 이격하여 배치하되,
나머지 세변에는 상기 실링재를 접촉시켜 배치하고,
상기 짧게 구성한 스페이셔와 상기 실링재 사이에 게터를 삽입하고,
상기 하판유리의 상기 외곽부를 제외한 중간 부분에 간격유지를 위한 제6스페이셔를 구성하며,
상기 하판유리의 상부에 상판유리를 배치하고, 상기 공간부 배기홀에 배기파이프를 삽입하여 상기 상판유리와 상기 하판유리 사이에 있는 공기를 배기하여 진공공간을 만든 후에 상기 실링재의 외곽부위에 접합제로 2차밀봉하는 진공다층 유리 구성을 가진다.
제5실시예로는 하기와 같다.
하판유리;
상기 하판유리의 4변의 외곽부에 간격유지를 위한 4개의 제1 내지 제4스페이셔;
상기 제1 내지 제4스페이셔가 결합하는 일부분에 배기공간을 갖도록 상기 제1 내지 제4스페이셔 중의 선택된 하나의 스페이셔를 이격하여 배치할 수 있도록 짧게 구성하여 공기를 배출하여 진공할 수 있는 공간부를 구성하고,
상기 짧게 구성한 스페이셔와 평행하게 실링재를 이격하여 배치하되,
나머지 세 변에는 상기 실링재를 접촉시켜 배치하고,
상기 짧게 구성한 스페이셔와 상기 실링재 사이에 게터를 삽입하고,
상기 실링재의 외부에 제7 내지 제10스페이셔를 부가하여 배치구성하되,
상기 제7 내지 제10스페이셔 중에 게터와 평행하게 위치하는 선택된 하나의 스페이셔를 배기파이프 삽입을 위한 배기홀을 만들기 위하여 두 조각의 형태로 구성하며,
상기 하판유리의 상기 외곽부를 제외한 중간 부분에 간격유지를 위한 제6스페이셔를 구성하며,
상기 하판유리의 상부에 상판유리를 배치하고, 상기 배기홀과 상기 공간부에 배기파이프를 삽입하여 상기 상판유리와 상기 하판유리 사이에 있는 공기를 배기하여 진공공간을 만든 후에 상기 실링재의 외곽부위에 접합제로 2차밀봉하는 진공다층 유리를 구성한다.
제6실시예로는 하기와 같다.
하판유리;
상기 하판유리의 4변의 외곽부에 간격유지를 위한 4개의 제1 내지 제4스페이셔;
상기 제1 내지 제4스페이셔가 결합하는 일부분에 배기공간을 갖도록 상기 제1 내지 제4스페이셔 중의 선택된 하나의 스페이셔를 이격하여 배치할 수 있도록 짧게 구성하여 공기를 배출하여 진공할 수 있는 공간부를 구성하고,
상기 짧게 구성한 스페이셔와 평행하게 실링재를 이격하여 배치하되,
나머지 세 변에는 상기 실링재를 접촉시켜 배치하고,
상기 짧게 구성한 스페이셔와 상기 실링재 사이에 게터를 삽입하고,
상기 실링재의 외부에 제7 내지 제10스페이셔를 부가하여 배치구성하되,
상기 제7 내지 제10스페이셔 중에 게터와 평행하게 위치하는 선택된 하나의 스페이셔를 배기파이프를 삽입하기 위하여 배기홀을 구성하며,
상기 하판유리의 상기 외곽부를 제외한 중간 부분에 간격유지를 위한 제6스페이셔를 구성하며,
상기 하판유리의 상부에 상판유리를 배치하고, 상기 배기홀에 배기파이프를 삽입하여 상기 상판유리와 상기 하판유리 사이에 있는 공기를 배기하여 진공공간을 만든 후에 상기 실링재의 외곽부위에 접합제로 2차 밀봉하는 진공다층 유리를 구성한다.
제7실시예로는 하기와 같다.
하판유리;
상기 하판유리의 4변의 외곽부에 간격유지와 밀봉을 위한 실링재;
게터방의 공간을 위하여 상기 4변의 실링재의 한변에 이격하여 덧대어 별도의 실링재를 구성하되 공기를 배출하여 진공할 수 있는 공간부를 구성하고,
상기 덧댄 실링재 사이의 가늘고 긴 공간에 상기 게터를 삽입하고,
상기 하판유리의 상기 외곽부를 제외한 중간 부분에 간격유지를 위한 제6스페이셔를 구성하며,
상기 하판유리의 상부에 상판유리를 배치하고, 상기 실링재에 배기파이프를 삽입하여 상기 상판유리와 상기 하판유리 사이에 있는 공기를 배기하여 진공공간을 만든 후에 상기 실링재의 외곽부위에 접합제로 2차 밀봉하는 진공다층 유리 구성을 가진다.
제8실시예로는 하기와 같다.
제1항 및 제13항 내지 제17항중 어느 한항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으로 다층의 진공다층 유리의 구성을 가진다.
본 발명의 진공 다층유리에 대한 첫번째 효과는, 생산성이 증대되고 불량 발생이 적어, 제조원가를 낮출 수 있다.
두번째 효과는 2장의 유리를 사용하여 만든 기존 다층유리나, 3장의 유리를 사용하여 만든 기존의 3중 다층유리와 비교하여 에너지 절감 성능이 뛰어나다.
세번째로는 가격 경쟁력이 있어 기존 사용되고 있는 다층유리 시장을 대량으로 대체 적용이 가능하다.
네번째로는 건물의 냉/난방 에너지가 대폭적으로 절감되어 국가적으로도 에너지 사용량을 크게 줄일 수 있고, 온실가스 배출량을 크게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섯번째로는 본 발명의 진공 다층유리는 내부가 진공이어서 차음효과가 뛰어나 소음으로 인한 불편함이 없다.
여섯번째로는 본 발명의 진공다층 유리는 결로현상이 발생되지 않아 주위가 젖어 생기는 곰팡이 발생이 발생하지 않는다.
일곱번째로는 유리를 통해 외부를 바라보는 시야가 방해받지 않아 생활에 편의수준을 크게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제1도 내지 제4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보이는 도이다.
제5도 내지 제8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보이는 도이다.
제9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보이는 도이다.
제10도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를 보이는 도이다.
제11도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를 보이는 도이다.
제12도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를 보이는 도이다.
제13도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를 보이는 도이다.
제14도는 본 발명의 제8실시예를 보이는 도이다.
제15도는 본 발명의 제9실시예를 보이는 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에 따라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하는 용어에 대하여 하기와 같이 정의하기로 한다.
제1스페이셔 내지 제4스페이셔:
유리 2장(하판, 상판)이 일정한 간격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2장의 유리 4변 가장자리 끝에서 1~30mm 안쪽으로 위치하게 2장의 유리 사이에 사각기둥, 원기둥 또는 파이프(Pipe) 형태를 눕혀 끼워진 형태로 부착하는 유리나 금속재질의 봉이나, 바(bar)나, 파이프를 의미한다.
제6스페이서(Micro-spacer):
진공 배기 후, 2장(하판, 상판)의 유리가 서로 달라붙지 않게 하기 위해 유리 2장 사이, 유리면 중앙 부위에 일정한 간격으로 세워 끼워진 형태로 부착한, 직경 혹은 두께가 0.1~30㎜, 높이는 스페이셔의 두께나 직경과 같은 0.5~30㎜의 원기둥, 사각기둥, 다각형 기둥, 구(球) 형태의 작은 기둥들을 의미한다.
배기홀(Hole):
유리 4변에 적용된 스페이셔들 중 한 변의 스페이셔(배기 간격유지봉)를, 원래의 길이보다 짧게 하거나, 스페이셔의 한 부위에 홀(Hole)을 만들어, 진공 배기 시, 배기 파이프(주사 바늘과 같은 가는 파이프)를 꽂을 수 있게 만든 홀을 의미한다.
배기 파이프:
진공 배기를 위해 배기홀(Hole)을 통해 꽂는 주사 바늘과 같은 가는 관을 의미한다.
게터 방:
스페이셔, 유리관, Sealing 재를 하나 안쪽에 덧대어 게터를 넣을 수 있게 길게 만든 공간을 의미한다.
이하는 도1 내지 도4를 중심으로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하판유리(100);
상기 하판 유리의 4변의 외곽부에 간격유지를 위한 4개의 제1 내지 제4스페이셔(310,320,330,340);
상기 제1 내지 제4스페이셔가 결합하는 일부분에 배기홀(341)을 갖도록 상기 제1 내지 제4스페이셔 중의 하나를 이격하여 배치할 수 있도록 짧게 구성하여 공기를 배출하여 진공할 수 있는 상기 배기홀(341)을 구성하고,
제5스페이셔(350)를 상기 배기홀(341)을 갖는 부위에 이웃하여 일정한 간격을 두고 이격배치하되,
상기 제5스페이셔(350)는 상기 배기홀(341)과 반대방향의 타단에 공간부(342)를 구성하고,
상기 제5스페이셔와 평행으로 이격 배치되어있는 제1 내지 제4스페이셔 가운데 선택된 하나의 스페이셔와의 사이 공간에 게터방을 만들고 상기 게터(500)를 이에 삽입하고,
상기 하판유리의 상기 외곽부를 제외한 중간 부분에 간격유지를 위한 제6스페이셔(361~366)를 배치하며,
상기 제1 내지 제4스페이셔의 외부에 실링재(410,420,430,440)를 배치 구성하며,
상기 하판유리의 상부에 상판유리(200)를 배치하고, 상기 배기홀(341)에 배기파이프(600)를 삽입하여 상기 상판유리(200)와 상기 하판유리(100) 사이에 있는 공기를 배기하여 진공공간을 만든 후에 상기 실링재의 외곽부위에 접합제(710,720,730,740)로 2차밀봉하 여 진공다층 유리를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제6스페이셔(361~366)는 복수개인 6개로 구성되어있다. 유리의 크기에 따라서 또한 유리의 두께에 따라서 스페이셔의 갯수를 다양하게 조정할 수 있다.
상기 실링재(410,420,430,440)는 고무, 실리콘, 바이톤 중에 선택된 하나로 구성한다.
상기 제1 내지 제6스페이셔(361~366)는 직경이 0.5~3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내지 제6스페이셔(361~366)의 형상은 다각형, 원기둥, 반원기둥, 파이프(Pipe) 형태 가운데 선택된 하나의 형상인 것으로 구성한다.
상기 제1 내지 제6스페이셔(361~366)의 재질은 금속, 유리, 베이크라이트(Bakelite) 고무, 플라스틱 가운데 선택된 하나의 재질로 구성한다.
상기 제1 내지 제4스페이셔(310,320,330,340)는 유리의 가장자리로부터 2~20mm 내부에 구성한다.
상기 제1 내지 제5스페이셔(310,320,330,340,350)의 직경은 0.5~30㎜로 구성한다.
상기 제5스페이셔(350)는 상기 홀과 반대편에 0.1~5mm를 이격시켜 공간부(342)를 구성한다.
상기 실링재의 외곽에는 접합제(710,720,730,740)로 제2차 밀봉을 하되
상기 접합제는 실리콘 또는 에폭시로 구성한다.
상기에서 기술한 내용은 이하의 실시예에서 그대로 적용하는 것이다.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상기의 제1실시예의 경우에 적용한 것이 그대로 적용되는 것이다.
사각형의 유리가 일반적이어서 사각형을 전제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기술하지 않은 삼각형 원형 또는 다각형의 유리를 제조하는 구성에 있어서도 여전히 사각형의 유리에서 사용하는 것을 그대로 적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5 내지 도8에 의하여 제2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하판 유리(100);
상기 하판 유리의 4변의 외곽부에 간격유지를 위한 4개의 제1 내지 제4스페이셔(310,320,330,340);
상기 제1 내지 제4스페이셔(310,320,330,340) 중에 선택된 하나의 스페이셔(340)에 공기를 배출할 수 있도록 배기홀(343)을 미리구성하고,
제5스페이셔(350)를 상기 배기홀(343)과 수평방향으로 배치하되,
상기 제5스페이셔(350)를 상기 배기홀(343)과 반대방향의 일단에 공간부(343)를 구성하고,
상기 제5스페이셔(350)와 평행으로 이격 배치되어있는 상기 제1 내지 제4스페이셔(310,320,330,340) 가운데 선택된 하나의 제4스페이셔(340)와의 사이 공간인 게터방에 게터(500)를 삽입하고,
상기 하판유리의 상기 외곽부를 제외한 중간 부분에 간격유지를 위한 제6스페이셔를 배치하며,
상기 제1 내지 제4스페이셔(310,320,330,340)의 외부에 실링재(410,420,430,440)를 배치 구성하며,
상기 하판유리(100)의 상부에 상판유리(200)를 배치하고, 상기 배기홀(343)에 배기파이프(600)를 삽입하여 상기 상판유리(200)와 상기 하판유리(100) 사이에 있는 공기를 배기하여 진공공간을 만든 후에 상기 실링재의 외곽부위에 접합제(710,720,730,740)로 2차 밀봉하여 진공다층 유리를 구성한다.
이하에서는 도9에 의하여 제3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하판유리(100);
상기 하판유리의 4변의 외곽부에 간격유지를 위한 4개의 제1 내지 제4스페이셔(310,320,330,340);
상기 제1 내지 제4스페이셔(310,320,330,340)가 결합하는 일부분에 제5스페이셔를 삽입하도록 상기 제1 내지 제4스페이셔(310,320,330,340) 중의 선택된 하나의 스페이셔(310)를 짧게 구성하되,
상기 제5스페이셔(351)는 관통형상의 것으로 상기 제5스페이셔의 일단의 개방부를 공기를 배출하여 진공할 수 있는 배기홀(352)로 구성하고,
상기 제5스페이셔의 관통형상의 내부에 게터(500)를 삽입하고,
상기 제5스페이셔를 상기 배기홀(352)과 반대방향의 타단에 공간부(353)를 구성하도록 상기 제1 내지 제4 스페이셔(310,320,330,340) 가운데 선택된 하나의 스페이셔(330)와 이격하여 배치하고,
상기 하판유리(100)의 상기 외곽부를 제외한 중간 부분에 간격유지를 위한 제6스페이셔(361~366)를 구성하며,
상기 제1 내지 제4스페이셔(310,320,330,340)의 외부에 실링재(410,420,430,440)를 배치 구성하며,
상기 하판유리의 상부에 상판유리(200)를 배치하고, 상기 배기홀(352)에 배기파이프(600)를 삽입하여 상기 상판유리와 상기 하판유리 사이에 있는 공기를 배기하여 진공공간을 만든 후에 상기 실링재의 외곽부위에 접합제(710,720,730,740)로 2차 밀봉하여 진공다층 유리를 구성한다.
이하에서는 도10에 의하여 제4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하판유리(100);
상기 하판유리의 4변의 외곽부에 간격유지를 위한 4개의 제1 내지 제4스페이셔(310,320,330,340);
상기 제1 내지 제4스페이셔(310,320,330,340)가 결합하는 일부분에 배기공간을 갖도록 상기 제1 내지 제4스페이셔(310,320,330,340) 중의 선택된 하나의 스페이셔(340)를 이격하여 배치할 수 있도록 짧게 구성하여 공기를 배출하여 진공할 수 있는 공간부 배기홀(354)로 구성하고,
상기 짧게 구성한 스페이셔(340)와 평행하게 실링재(440)를 이격하여 배치하되,
나머지 세변에는 상기 실링재(410,420,430)를 접촉시켜 배치하고,
상기 짧게 구성한 스페이셔(340)와 상기 실링재(440) 사이에 게터(500)를 삽입하고,
상기 하판유리(100)의 상기 외곽부를 제외한 중간 부분에 간격유지를 위한 제6스페이셔(361,362,363,364,365,366)를 구성하며,
상기 하판유리의 상부에 상판유리를 배치하고, 상기 공간부 배기홀에 배기파이프를 삽입하여 상기 상판유리와 상기 하판유리 사이에 있는 공기를 배기하여 진공공간을 만든 후에 상기 실링재의 외곽부위에 접합제(710,720,730,740)로 2차밀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다층 유리.
이하에서는 도11에 의하여 제5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하판유리(100);
상기 하판유리의 4변의 외곽부에 간격유지를 위한 4개의 제1 내지 제4스페이셔(310,320,330,340);
상기 제1 내지 제4스페이셔(310,320,330,340)가 결합하는 일부분에 배기공간을 갖도록 상기 제1 내지 제4스페이셔(310,320,330,340) 중의 선택된 하나의 스페이셔(340)를 이격하여 배치할 수 있도록 짧게 구성하여 공기를 배출하여 진공할 수 있는 공간부(342)를 구성하고,
상기 짧게 구성한 스페이셔(340)와 평행하게 실링재(440)를 이격하여 배치하되,
나머지 세 변에는 상기 실링재(410,420,430)를 접촉시켜 배치하고,
상기 짧게 구성한 스페이셔(340)와 상기 실링재(440) 사이에 게터(500)를 삽입하고,
상기 실링재들(410,420,430,440)의 외부에 제7 내지 제10스페이셔(810,820,830,840)를 부가하여 배치구성하되,
상기 제7 내지 제10스페이셔(810,820,830,840) 중에 게터와 평행하게 위치하는 선택된 하나의 스페이셔(840)를 배기파이프 삽입을 위한 배기홀(843)을 만들기 위하여 두 조각의 형태로 구성하며,
상기 하판유리(100)의 상기 외곽부를 제외한 중간 부분에 간격유지를 위한 제6스페이셔(361~366)를 구성하며,
상기 하판유리의 상부에 상판유리(200)를 배치하고, 상기 배기홀(843)과 상기 공간부(342)에 배기파이프(600)를 삽입하여 상기 상판유리와 상기 하판유리 사이에 있는 공기를 배기하여 진공공간을 만든 후에 상기 실링재의 외곽부위에 접합제(710,720,730,740)로 2차밀봉하여 진공다층 유리를 구성한다.
이하에서는 도12에 의하여 제6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하판유리(100);
상기 하판유리의 4변의 외곽부에 간격유지를 위한 4개의 제1 내지 제4스페이셔(310,320,330,340);
상기 제1 내지 제4스페이셔(310,320,330,340)가 결합하는 일부분에 배기공간을 갖도록 상기 제1 내지 제4스페이셔(310,320,330,340) 중의 선택된 하나의 스페이셔(340)를 이격하여 배치할 수 있도록 짧게 구성하여 공기를 배출하여 진공할 수 있는 공간부(342)를 구성하고,
상기 짧게 구성한 스페이셔(340)와 평행하게 실링재(440)를 이격하여 배치하되,
나머지 세변에는 상기 실링재(410,420,430)를 접촉시켜 배치하고,
상기 짧게 구성한 스페이셔(340)와 상기 실링재(440) 사이에 게터(500)를 삽입하고,
상기 실링재들(410,420,430)의 외부에 제7 내지 제10스페이셔(810,820,830,840)를 부가하여 배치구성하되,
상기 제7 내지 제10스페이셔(810,820,830,840) 중에 게터와 평행하게 위치하는 선택된 하나의 스페이셔(340)를 배기파이프(600)를 삽입하기 위하여 배기홀(844)을 구성하며,
상기 하판유리의 상기 외곽부를 제외한 중간 부분에 간격유지를 위한 제6스페이셔(361~366)를 구성하며,
상기 하판유리의 상부에 상판유리(200)를 배치하고, 상기 배기홀(844)에 배기파이프(600)를 삽입하여 상기 상판유리와 상기 하판유리 사이에 있는 공기를 배기하여 진공공간을 만든 후에 상기 실링재들의 외곽부위에 접합제(710,720,730,740)로 2차밀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다층 유리.
이하에서는 도13에 의하여 제7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하판유리(100);
상기 하판유리의 4변의 외곽부에 간격유지와 밀봉을 위한 실링재(410,420,430,440);
게터방의 공간을 위하여 상기 4변의 실링재(410,420,430,440)의 한변에 이격하여 덧대어 별도의 실링재(450)를 구성하되 공기를 배출하여 진공할 수 있는 공간부(343)를 구성하고,
상기 덧댄 실링재(450) 사이의 가늘고 긴 공간에 상기 게터(500)를 삽입하고,
상기 하판유리의 상기 외곽부를 제외한 중간 부분에 간격유지를 위한 제6스페이셔(361~366)를 구성하며,
상기 하판유리의 상부에 상판유리(200)를 배치하고, 상기 실링재(440)에 배기파이프를 삽입하여 상기 상판유리(200)와 상기 하판유리 사이에 있는 공기를 배기하여 진공공간을 만든 후에 상기 실링재의 외곽부위에 접합제(710,720,730,740)로 2차 밀봉하여 진공다층 유리를 구성한다.
이하에서는 도14에 의하여 제8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앞에서 설명한 진공다층 유리를 구성하는 동일한 구성으로 다층의 진공다층유리(1000,1100)를 구성하여 진공다층 유리를 구성한다.
이하에서는 도15에 의하여 제9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진공다층 유리 외부면에 PET 필름과 같은 고분자 필름층(900)을 부착시켜 진공다층 유리를 구성함으로 유리가 파손시 파편들이 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더 안전한 진공다층 유리를 제조할 수 있는 것이다.
글라스를 가열할 때에 봉합 프리트 글라스 부위에 밀봉을 위하여 해당 글라스 부위만 밀봉온도인 T2까지 가열하면 Thermal shock로 유리가 깨지는 현상이 발생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합체된 유리를 로 안에 넣고 챔버(Chamber) 온도를 T2온도보다 낮은 T1까지 올리고, 봉합 프리트 글라스 부위는 별도로 T2까지 올려 밀봉시키는 것이다.
여기서 배기 홀 마개(유리도막)는 녹은 봉합 프리트 글라스가 안으로 흘러들어가지 못하도록 배기 홀을 막는 역할을 하게 하는 것이고, 녹은 봉합 프리트 글라스는 배기 홀 마개-간격유지봉-상판유리-하판유리 사이 틈새를 메워 밀봉을 시키는 역할을 하게 하는 것이다.
(여기서 T1, T2의 온도는 프리트 글라스 종류가 다양하기 때문에, 사용하는 프리트 글라스의 종류에 따라 융점 온도가 차이가 있어 종류에 따라 온도가 달라진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0:하판유리 200:상판유리
310,311:제1스페이셔 320:제2스페이셔
330:제3스페이셔 340:제4스페이셔
341,343,352,843,844:배기홀 342,353:공간부 354:공간부배기홀 350:제5스페이셔 351:관통형상의 스페이셔 361~366:제6스페이셔 410,420,430,440:실링재 450:별도의 실링재 500:게터 600:배기파이프 710,720,730,740:접합제
810,820,830,840:제7 내지 제10 스페이셔 900:고분자 필름층
1000,1100:다층유리

Claims (19)

  1. 하판 유리;
    상기 하판 유리의 4 변의 외곽부에 간격유지를 위한 4개의 제 1내지 제4스페이셔;
    상기 제1 내지 제4스페이셔가 결합하는 일부분에 배기홀을 갖도록 상기 제1 내지 제4스페이셔 중의 하나를 이격하여 배치할 수 있도록 짧게 구성하여 공기를 배출하여 진공할 수 있는 상기 배기홀을 구성하고,
    제5스페이셔를 상기 배기홀을 갖는 부위에 이웃하여 일정한 간격을 두고 이격배치하되,
    상기 제5스페이셔를 상기 배기홀과 반대방향의 타단에 공간부를 구성하고,
    상기 제5스페이셔와 평행으로 이격 배치되어있는 상기 제1 내지 제4스페이셔가운데 선택된 하나의 스페이셔와의 사이 공간에 게터를 삽입하고,
    상기 하판 유리의 상기 외곽부를 제외한 중간 부분에 간격유지를 위한 제6 스페이셔를 배치하며,
    상기 제1 내지 제4스페이셔의 외부에 실링재를 배치 구성하며,
    상기 하판유리의 상부에 상판유리를 배치하고, 상기 배기홀에 배기파이프를 삽입하여 상기 상판유리와 상기 하판유리 사이에 있는 공기를 배기하여 진공공간을 만든 후에 상기 실링재의 외곽부위에 접합제로 2차 밀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다층 유리.
  2. 하판유리;
    상기 하판유리의 4변의 외곽부에 간격유지를 위한 4개의 제1 내지 제4스페이셔;
    상기 제1 내지 제4스페이셔 중에 선택된 하나의 스페이셔에 공기를 배출할 수 있도록 배기홀을 미리구성하고,
    제5스페이셔를 상기 배기홀과 수평방향으로 배치하되,
    상기 제5스페이셔를 상기 배기홀과 반대방향의 일단에 공간부를 구성하고,
    상기 제5스페이셔와 평행으로 이격 배치되어있는 상기 제1 내지 제4스페이셔가운데 선택된 하나의 스페이셔와의 사이 공간에 게터를 삽입하고,
    상기 하판유리의 상기 외곽부를 제외한 중간 부분에 간격유지를 위한 제6스페이셔를 배치하며,
    상기 제1 내지 제4스페이셔의 외부에 실링재를 배치 구성하며,
    상기 하판유리의 상부에 상판유리를 배치하고, 상기 배기홀에 배기파이프를 삽입하여 상기 상판유리와 상기 하판유리 사이에 있는 공기를 배기하여 진공공간을 만든 후에 상기 실링재의 외곽부위에 접합제로 2차 밀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다층 유리.
  3. 하판유리;
    상기 하판유리의 4변의 외곽부에 간격유지를 위한 4개의 제1 내지 제4스페이셔;
    상기 제1 내지 제4스페이셔가 결합하는 일부분에 제5스페이셔를 삽입하도록 상기 제1 내지 제4스페이셔 중의 선택된 하나의 스페이셔를 짧게 구성하되,
    상기 제5스페이셔는 관통형상의 것으로 상기 제5스페이셔의 일단의 개방부를공기를 배출하여 진공할 수 있는 배기홀로 구성하고,
    상기 제5스페이셔의 관통형상의 내부에 게터를 삽입하고,
    상기 제5스페이셔를 상기 배기홀과 반대방향의 타단에 공간부를 구성하도록 상기 제1 내지 제4 스페이셔 가운데 선택된 하나의 스페이셔와 이격하여 배치하고,
    상기 하판유리의 상기 외곽부를 제외한 중간 부분에 간격유지를 위한 제6스페이셔를 구성하며,
    상기 제1 내지 제4스페이셔의 외부에 실링재를 배치 구성하며,
    상기 하판유리의 상부에 상판유리를 배치하고, 상기 배기홀에 배기파이프를 삽입하여 상기 상판유리와 상기 하판유리 사이에 있는 공기를 배기하여 진공공간을 만든 후에 상기 실링재의 외곽부위에 접합제로 2차 밀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다층 유리.
  4. 하판유리;
    상기 하판유리의 4변의 외곽부에 간격유지를 위한 4개의 제1 내지 제4스페이셔;
    상기 제1 내지 제4스페이셔가 결합하는 일부분에 배기공간을 갖도록 상기 제1 내지 제4스페이셔 중의 선택된 하나의 스페이셔를 이격하여 배치할 수 있도록 짧게 구성하여 공기를 배출하여 진공할 수 있는 공간부 배기홀로 구성하고,
    상기 짧게 구성한 스페이셔와 평행하게 실링재를 이격하여 배치하되,
    나머지 세 변에는 상기 실링재를 접촉시켜 배치하고,
    상기 짧게 구성한 스페이셔와 상기 실링재 사이에 게터를 삽입하고,
    상기 하판유리의 상기 외곽부를 제외한 중간 부분에 간격유지를 위한 제6스페이셔를 구성하며,
    상기 하판유리의 상부에 상판유리를 배치하고, 상기 공간부 배기홀에 배기파이프를 삽입하여 상기 상판유리와 상기 하판유리 사이에 있는 공기를 배기하여 진공공간을 만든 후에 상기 실링재의 외곽부위에 접합제로 2차 밀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다층 유리.
  5. 하판유리;
    상기 하판유리의 4변의 외곽부에 간격유지를 위한 4개의 제1 내지 제4스페이셔;
    상기 제1 내지 제4스페이셔가 결합하는 일부분에 배기공간을 갖도록 상기 제1 내지 제4스페이셔 중의 선택된 하나의 스페이셔를 이격하여 배치할 수 있도록 짧게 구성하여 공기를 배출하여 진공할 수 있는 공간부를 구성하고,
    상기 짧게 구성한 스페이셔와 평행하게 실링재를 이격하여 배치하되,
    나머지 세 변에는 상기 실링재를 접촉시켜 배치하고,
    상기 짧게 구성한 스페이셔와 상기 실링재 사이에 게터를 삽입하고,
    상기 실링재들의 외부에 제7내지 제10스페이셔를 부가하여 배치구성하되,
    상기 제7내지 제10스페이셔 중에 게터와 평행하게 위치하는 선택된 하나의 스페이셔를 배기파이프 삽입을 위한 배기홀을 만들기 위하여 두 조각의 형태로 구성하며,
    상기 하판유리의 상기 외곽부를 제외한 중간 부분에 간격유지를 위한 제6스페이셔를 구성하며,
    상기 하판유리의 상부에 상판유리를 배치하고, 상기 배기홀과 상기 공간부에 배기파이프를 삽입하여 상기 상판유리와 상기 하판유리 사이에 있는 공기를 배기하여 진공공간을 만든 후에 상기 실링재의 외곽부위에 접합제로 2차 밀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다층 유리.
  6. 하판유리;
    상기 하판유리의 4변의 외곽부에 간격유지를 위한 4개의 제1 내지 제4스페이셔;
    상기 제1 내지 제4스페이셔가 결합하는 일부분에 배기공간을 갖도록 상기 제1 내지 제4스페이셔 중의 선택된 하나의 스페이셔를 이격하여 배치할 수 있도록 짧게 구성하여 공기를 배출하여 진공할 수 있는 공간부를 구성하고,
    상기 짧게 구성한 스페이셔와 평행하게 실링재를 이격하여 배치하되,
    나머지 세변에는 상기 실링재를 접촉시켜 배치하고,
    상기 짧게 구성한 스페이셔와 상기 실링재 사이에 게터를 삽입하고,
    상기 실링재들의 외부에 제7 내지 제10스페이셔를 부가하여 배치구성하되,
    상기 제7 내지 제10스페이셔 중에 게터와 평행하게 위치하는 선택된 하나의 스페이셔를 배기파이프를 삽입하기 위하여 배기홀을 구성하며,
    상기 하판유리의 상기 외곽부를 제외한 중간 부분에 간격유지를 위한 제6 스페이셔를 구성하며,
    상기 하판유리의 상부에 상판유리를 배치하고, 상기 배기홀에 배기파이프를 삽입하여 상기 상판유리와 상기 하판유리 사이에 있는 공기를 배기하여 진공공간을 만든후에 상기 실링재들의 외곽부위에 접합제로 2차 밀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다층 유리.
  7. 하판유리;
    상기 하판유리의 4변의 외곽부에 간격유지와 밀봉을 위한 실링재;
    게터방의 공간을 위하여 상기 4변의 실링재의 한변에 이격하여 덧대어 별도의 실링재를 구성하되 공기를 배출하여 진공할 수 있는 공간부를 구성하고,
    상기 덧댄 실링재 사이의 가늘고 긴 공간에 상기 게터를 삽입하고,
    상기 하판유리의 상기 외곽부를 제외한 중간 부분에 간격유지를 위한 제6스페이셔를 구성하며,
    상기 하판유리의 상부에 상판유리를 배치하고, 상기 실링재에 배기파이프를 삽입하여 상기 상판유리와 상기 하판유리 사이에 있는 공기를 배기하여 진공공간을 만든 후에 상기 실링재들의 외곽부위에 접합제로 2차 밀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다층 유리.
  8. 제1항 내지 7항 중 어느 한 항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으로 다층의 진공다층 유리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다층 유리.
  9.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다층 유리 외부면에 고분자 필름을 부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다층 유리.
  10. 제3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6스페이셔는 복수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다층 유리.
  11.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재는 고무, 실리콘, 바이톤 중에 선택된 하나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다층 유리.
  12.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내지 제4스페이셔와 상기 제5스페이셔는 직경이 0.5~3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다층 유리.
  13.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셔들의 형상은 다각형, 원기둥, 반원기둥, 파이프(Pipe) 형태 가운데 선택된 하나의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다층 유리.
  14.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셔들의 재질은 금속, 유리, 베이크라이트(Bakelite), 고무, 플라스틱 가운데 선택된 하나의 재질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다층 유리.
  15.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4스페이셔는 유리의 가장자리로부터 2~20mm 내부에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다층 유리.
  16.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4스페이셔의 직경은 0.5~30㎜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다층 유리.
  1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5스페이셔는 상기 배기홀과 반대편에 0.1~5mm를 이격시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다층 유리.
  18. 삭제
  19.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제는 실리콘 또는 에폭시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다층 유리.
KR1020170064033A 2017-05-24 2017-05-24 진공다층 유리 KR1020229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4033A KR102022918B1 (ko) 2017-05-24 2017-05-24 진공다층 유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4033A KR102022918B1 (ko) 2017-05-24 2017-05-24 진공다층 유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8659A KR20180128659A (ko) 2018-12-04
KR102022918B1 true KR102022918B1 (ko) 2019-09-19

Family

ID=646692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4033A KR102022918B1 (ko) 2017-05-24 2017-05-24 진공다층 유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291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02435B2 (en) 2019-01-14 2023-10-31 Vkr Holding A/S Frame solution providing reduced deflection restriction at corner parts of VIG unit
KR20220127966A (ko) * 2021-03-12 2022-09-20 김관호 폴리카보네이트 2중 진공 3중 유리 및 2중진공 3중 유리의 제조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8201B1 (ko) 2007-01-30 2008-05-14 주식회사 자산유리 삼중 복층유리
KR100849529B1 (ko) 2007-10-04 2008-08-01 하양호 진공복층유리 제조방법
KR101077484B1 (ko) 2010-03-17 2011-10-28 하호 일체형 하판 유리 및 그를 포함하는 진공 복층 유리의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8498B1 (ko) * 2006-01-16 2007-09-12 하호 진공 복층유리의 제조방법
KR101035185B1 (ko) 2010-11-04 2011-05-17 장성덕 단열 및 결로 방지용 삼중 복층유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8201B1 (ko) 2007-01-30 2008-05-14 주식회사 자산유리 삼중 복층유리
KR100849529B1 (ko) 2007-10-04 2008-08-01 하양호 진공복층유리 제조방법
KR101077484B1 (ko) 2010-03-17 2011-10-28 하호 일체형 하판 유리 및 그를 포함하는 진공 복층 유리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8659A (ko) 2018-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03583B2 (en) Vacuum IG window unit with fiber inclusive edge seal
CN105074113B (zh) 具有真空绝缘玻璃(vig)单元和含有真空绝缘结构的窗
WO2001075260A1 (en) Vacuum ig unit with seal for pump-out aperture
CN102701575A (zh) 凸面真空玻璃、平板真空玻璃及其制备方法
KR102022918B1 (ko) 진공다층 유리
WO2008113249A1 (fr) Verre de sécurité sous vide porteur à pression équilibrée et en suspension
KR101081390B1 (ko) 진공 유리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되는 진공유리
CN101973716B (zh) 真空玻璃生产方法及一种真空玻璃
KR20140120140A (ko) 마감 부재용 프릿 성형체
KR20090036709A (ko) 진공창호유리 및 그 제조방법
CN104496159A (zh) 一种真空玻璃的封边方法及真空玻璃产品
US20150125634A1 (en) Glass vacuum insulating panels and methods
CN103796966B (zh) 包含排列间隔不同的填充物的真空玻璃及其制造方法
WO2001036774A1 (en) Vacuum ig window unit with fiber spacers
CN201933017U (zh) 一种低辐射钢化真空玻璃
KR100990858B1 (ko) 진공창호유리 및 그 제조방법
JP6425174B2 (ja) 真空ガラスパネルの製造方法
KR100925216B1 (ko) 진공 복층유리
KR20160123658A (ko) 속이 빈 구(Empty Sphere)를 이용한 진공 복층유리의 제조 방법
KR101581996B1 (ko) 분리 영역을 형성하는 실링재를 포함하는 진공유리 및 이를 이용하여 복수의 진공유리를 제조하는 방법
CN102951801A (zh) 玻璃焊接的凸面真空玻璃及其制备方法
KR100202332B1 (ko) 진공창의 밀봉방법 및 그 제품
KR101969810B1 (ko) 다층진공유리
TW201412550A (zh) 真空玻璃
KR101082020B1 (ko) 진공창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