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9968B1 - 복층유리 제조시스템의 합착장치 - Google Patents

복층유리 제조시스템의 합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9968B1
KR102619968B1 KR1020220001732A KR20220001732A KR102619968B1 KR 102619968 B1 KR102619968 B1 KR 102619968B1 KR 1020220001732 A KR1020220001732 A KR 1020220001732A KR 20220001732 A KR20220001732 A KR 20220001732A KR 102619968 B1 KR102619968 B1 KR 1026199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plate
cementation
double
tp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17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06009A (ko
Inventor
박철순
김재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원오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원오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원오토
Priority to KR10202200017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9968B1/ko
Publication of KR202301060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60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99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99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E06B3/673Assembling the units
    • E06B3/67304Preparing rigid spacer members before assemb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27/00Joining pieces of glass to pieces of other inorganic material; Joining glass to glass other than by fusing
    • C03C27/06Joining glass to glass by processes other than fusing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E06B3/6612Evacuated glazing unit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E06B3/663Elements for spacing panes
    • E06B3/66304Discrete spacing elements, e.g. for evacuated glazing unit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E06B3/677Evacuating or filling the gap between the panes ; Equilibration of inside and outside pressure; Preventing condensation in the gap between the panes; Cleaning the gap between the panes
    • E06B3/6775Evacuating or filling the gap during assemb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5/34Inse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Joining Of Glass To Other Materials (AREA)
  • Glass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송되는 제1 유리 및 제2 유리가 전도되지 않게 일정 각도만큼 경사진 상태로 지지하는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하부 쪽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유리 및 제2 유리를 수평 이송시키는 컨베이어가 설치된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지지 플레이트에 대하여 전후진 이동하되, 이송되는 상기 제1 유리 및 제2 유리들을 합착시키는 합착이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합착이송부는, 각 모서리 부위가 복수의 볼 스크류에 의해 상기 본체부에 대하여 결합되고, 상기 볼 스크류의 정역회전에 따른 나사결합에 의해 전후진되는 합착 플레이트를 포함하되, 상기 합착 플레이트는, 평행한 상태로 전후진되는 메인 플레이트와, 상기 메인 플레이트의 일측 모서리 측에 대각선 방향의 분리선에 의해 객체로 형성되고, 힌지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서브 플레이트로 구성된다.

Description

복층유리 제조시스템의 합착장치{Concrescence apparatus in system for manufacturing of insulating glass}
본 발명은 복층유리를 합착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대적으로 가로 및 세로의 크기가 큰 중형 이상의 복층유리를 인-라인 방식으로 제조하는 제조시스템에서, 간봉을 사이에 두고 서로 다른 유리들을 합착시키는 복층유리 제조시스템의 합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비교적 고가임에도 불구하고 경제적 향상에 따른 생활환경의 고급화 및 제조기술의 발전 등에 의해 복층유리의 사용이 점차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즉, 대형빌딩은 물론이고 소규모의 상점과 개인주택에 이르기까지 소음에서 벗어나 좀더 안락한 주거환경을 추구하려는 소비자들의 욕구에 따라 복층유리의 수요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복층유리는 두 장 이상의 유리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결합한 것으로, 단층유리와 비교하여 실내에너지의 손실을 최소화할 뿐만 아니라, 외부온도의 저하에도 불구하고 내측 유리의 표면온도는 상대적으로 덜 저하되어 이슬 맺힘 현상이 억제된다. 그리고, 방음성능이 우수하여 실내외 사이의 소음 전달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종래의 복층유리는 건물의 내측을 향하는 제1 유리와, 건물의 외벽을 이루는 제2 유리 및 제1 유리와 제2 유리를 일정 간격만큼 이격시켜 일정한 공간을 유지하게 하는 간봉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간봉은 이격된 유리 상호 간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알루미늄 소재로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이와 같이 알루미늄 소재로 이루어진 간봉은 열전도률이 높아서 단열효과가 현저히 감소하게 되고, 이에 따라 유리의 내측 면과 외측 면의 온도 차이로 인해 발생되는 결로 현상에 의해 시야가 크게 방해를 받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합성수지를 이용한 간봉이 제안된바 있으며, 이에 관한 선행기술로는 한국등록특허 제1021851호가 개시되어 있다.
합성수지로 된 간봉은 단열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티피에스(TPS)물질, 폴리아이소뷰틸렌(Polyisobutylen)으로서 흡습제를 포함하고 있는 단열 플라스틱 스페이서(Thermo Plastic Spacer)가 적합하다.
이와 같이 티피에스 간봉이 개재되는 복층유리의 경우, 일 면에 티피에스 간봉이 도포된 어느 하나의 유리와, 다른 하나의 유리를 합착할 때, 미리 설계된 복층유리의 간격보다 큰 너비로서 티피에스 간봉을 도포하게 된다.
즉, 복층유리를 이루는 제1 유리와 제2 유리의 각 내면 사이 간격이 12mm를 이루도록 제작하는 경우, 티피에스 간봉의 너비는 대략 13~14mm로 도포하게 되는데, 그 이유는 제1 유리와 제2 유리가 티피에스 간봉을 사이에 두고 합착될 때, 미처 고화되지 못한 티피에스 간봉이 합착에 따른 압력에 의해 그 너비가 수축되는 것을 감안하기 위함이다.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이 티피에스 간봉을 사이에 두고 제1 유리와 제2 유리가 합착되면서 미처 고화되지 못한 티피에스 간봉을 압축시킨 상태에서, 티피에스 간봉이 고화됨에 따라 복층유리의 제작이 완료된 경우, 제1 유리와 제2 유리 및 고화된 티피에스 간봉 사이 공간에 존재하는 공기 또한 압축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따라서, 복층유리를 이루는 제1 유리와 제2 유리 및 티피에스 간봉 사이의 공간에 내재된 압축된 공기는 제1 유리 및 제2 유리를 계속해서 팽창시키게 되는바, 티피에스 간봉과의 사이에 틈새가 발생될 우려가 있는 등, 기밀성의 손실에 따라 제품의 신뢰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압축된 공기의 팽창에 따라 기밀성이 손실되는 경우, 티피에스 간봉 사이의 공간에 내재된 가스 또한 외부로 누설됨에 따라 방음, 방풍, 단열 등의 기능성이 떨어져서 역시 제품의 신뢰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특허등록 제10-0758498호(2007.09.06.)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들에 착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복층유리를 인-라인 방식으로 제조하는 복층유리 제조시스템에서, 일 면에 티피에스 간봉이 도포된 어느 하나의 유리와 다른 하나의 유리를 합착할 때, 티피에스 간봉 내부의 공간에 존재하는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합착된 복층유리 내부 공간에 압축된 공기가 존재하지 않도록 하는 복층유리 제조시스템의 합착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즉, 티피에스 간봉을 사이에 두고 어느 하나의 유리와 다른 하나의 유리를 합착할 때, 티피에스 간봉 내부에 존재하는 공기 중 일부를 외부로 배출시킴으로써, 어느 하나의 유리와 다른 하나의 유리가 티피에스 간봉을 압축시키면서 합착된 이후에, 어느 하나의 유리와 다른 하나의 유리 및 티피에스 간봉 사이의 공간에 압축된 공기가 존재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어느 하나의 유리와 다른 하나의 유리의 팽창됨을 예방하여 기밀성 손실 발생에 따른 제품의 신뢰도 저하를 예방할 수 있는 복층유리 제조시스템의 합착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복층유리 제조시스템의 합착장치는, 일 면에 티피에스 간봉이 도포되지 않은 제1 유리와 일 면에 티피에스 간봉이 도포된 제2 유리를 합착하여 복층유리로 제조하는 합착장치에 있어서, 이송되는 제1 유리 및 제2 유리가 전도되지 않게 일정 각도만큼 경사진 상태로 지지하는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하부 쪽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유리 및 제2 유리를 수평 이송시키는 컨베이어가 설치된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지지 플레이트에 대하여 전후진 이동하되, 이송되는 상기 제1 유리 및 제2 유리들을 합착시키는 합착이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합착이송부는, 각 모서리 부위가 복수의 볼 스크류에 의해 상기 본체부에 대하여 결합되고, 상기 볼 스크류의 정역회전에 따른 나사결합에 의해 전후진되는 합착 플레이트를 포함하되, 상기 합착 플레이트는, 평행한 상태로 전후진되는 메인 플레이트와, 상기 메인 플레이트의 일측 모서리 측에 대각선 방향의 분리선에 의해 객체로 형성되고, 힌지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서브 플레이트로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서브 플레이트는 제어신호에 의해 전후진 작동되는 액츄에이터와 연결되게 설치되고, 상기 액츄에이터의 작동에 따라 상기 메인 플레이트에 대하여 설정 각도만큼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플레이트 및 상기 서브 플레이트의 전면에는 상기 제1 유리를 흡착하기 위한 흡반들이 설치되되, 상기 서브 플레이트에 설치되는 흡반은, 상기 메인 플레이트에 설치되는 흡반에 비하여 밀도가 높게 배치되어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합착 플레이트의 흡반이 상기 제1 유리를 흡착하고, 상기 지지 플레이트에 제2 유리가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합착이송부가 전진하여 상기 제1 유리와 제2 유리를 합착시키는 경우, 상기 액츄에이터가 설정 시간 동안 상기 서브 플레이트를 당겼다가 원 상태로 복원시키도록 작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복층유리 제조시스템의 합착장치에 의하면, 복층유리를 인-라인 방식으로 제조하는 복층유리 제조시스템에서, 일 면에 티피에스 간봉이 도포된 어느 하나의 유리와 다른 하나의 유리가 합착될 때, 티피에스 간봉 내부의 공간에 존재하는 공기가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합착된 복층유리 내부 공간에 압축된 공기가 존재하지 않게 되는 효과가 제공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복층유리 제조시스템의 합착장치에 의하면, 티피에스 간봉을 사이에 두고 어느 하나의 유리와 다른 하나의 유리가 합착될 때, 티피에스 간봉 내부에 존재하는 공기 중 일부가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어느 하나의 유리와 다른 하나의 유리가 티피에스 간봉을 압축시키면서 합착된 이후에, 어느 하나의 유리와 다른 하나의 유리 및 티피에스 간봉 사이의 공간에 압축된 공기가 존재하지 않게 됨으로써, 어느 하나의 유리와 다른 하나의 유리의 팽창됨이 예방되어 기밀성 손실 발생에 따른 제품의 신뢰도 저하가 예방되는 효과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복층유리 제조시스템의 인-라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복층유리 제조시스템의 인-라인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복층유리 제조시스템에 제공되는 합착장치의 사시도.
도 4는 도 3에서 합착 플레이트의 정면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정면도.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합착장치에 의해 복층유리가 합착되는 상태를 순차적으로 도시한 측면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따라서, 몇몇 실시 예에서, 잘 알려진 공정 단계들, 잘 알려진 구조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의미로 사용한다. 그리고,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사시도, 단면도, 측면도 및/또는 개략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도시된 각 도면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고려하여 다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된 것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복층유리 제조시스템의 합착장치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복층유리 제조시스템의 인-라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복층유리 제조시스템의 인-라인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합착장치(60)가 적용되는 복층유리 제조시스템은, 외측유리 또는 내측유리를 이룰 수 있는 설정 두께의 유리(3,2)들이 설정된 순차에 의해 공급되도록 하는 유리 공급부(1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유리 공급부(10)는 유리(3,2)들이 설정된 크기로 절단된 상태로 공급될 수 있다.
또한, 복층유리 제조시스템은 유리 공급부(10)로부터 순차적으로 공급되는 유리들을 세척 후 건조시키는 세척 및 건조부(20)와, 적어도 하나의 이송부(30)와, 이송되는 유리의 일 면에 티피에스 간봉을 도포하는 티피에스 간봉 도포부(40)와, 티피에스 간봉이 도포되지 않은 어느 하나의 유리(이하, 제1 유리라 함)와 일 면에 티피에스 간봉이 도포된 다른 하나의 유리(이하, 제2 유리라 함)을 합착하는 합착부(60)(이하, 합착장치라 함)를 더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복층유리 제조시스템은, 합착이 완료된 복층유리를 이송받아 설정각도로 회전시키는 얼라인부(70) 및 얼라인부(70)로부터 공급되는 복층유리의 테두리 부위에 실링재를 도포하는 실링부(80)를 더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세척 및 건조부(20)는, 유리 공급부(10)로부터 순차적으로 공급되는 유리들에 세척수를 분사하여 세척시킨 후, 열풍에 의해 건조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와 같이 세척 및 건조부(20)에 의해 그 표면에 세척되어 건조된 유리들은 이송부(30)에 의해 티피에스 간봉 도포부(40)로 이송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 때, 이송부(30)의 프레임 하부에는 유리들을 이송시키기 위하여 컨베이어 벨트가 설치되고, 이 컨베이어 벨트에는 이송되는 유리를 프레임으로부터 이격시키기 위하여 공기를 불어주는 복수의 메인 송풍구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송부(30)의 프레임에도 이송되는 유리를 프레임으로부터 이격시키기 위하여 공기를 불어주는 복수의 보조 송풍구가 형성될 수 있다.
티피에스 간봉 도포부(40)는, 이송되는 유리들 중, 맨 처음 이송되는 유리즉, 제1 유리(3)는 바이패스 시켜서 검사부(50) 및 합착장치(60)로 이송시키고, 나중에 이송되는 유리 즉 제2 유리(2)의 일 면에 티피에스 간봉(4)을 도포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데, 이의 작동관계는 후에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검사부(50)는 이송되는 유리(3,2)들의 전,후면에 이물질이 묻어 있는지를 작업자가 육안검사하거나 또는 카메라의 촬영에 의해 검사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특히, 티피에스 간봉(4)이 도포된 상태로 이송되는 제2 유리(2)의 경우, 티피에스 간봉(4)의 도포 과정에서 그 일 면에 티피에스의 전여물이 묻는 등과 같이 이물질의 유무를 검사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합착장치(6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유리 즉, 일 면에 티피에스 간봉이 도포되지 않은 제1 유리(3)와, 티피에스 간봉 도포부(40)에서 일 면에 티피에스 간봉(4)이 도포된 제2 유리(2)를 합착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합착장치(60)의 구성 및 작동관계는 후에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얼라인부(70)는, 합착장치(60)에 의해 합착된 복층유리를 이송받아 수직을 기준으로 2-3도 내외의 각도로 경사지게 얼라인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유리 공급부(10), 세척 및 건조부(20), 이송부(30), 티피에스 간봉 도포부(40), 검사부(50), 합착장치(60)의 경우, 유리들이 인-라인 방식으로 이송될 때, 이송과정에서 전도가 발생되지 않도록 수직을 기준으로 대략 10도 내외로 경사진 상태로 이송이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합착장치(60)에서 합착된 복층유리의 경우에도 대략 10도 내외로 경사진 상태로 이송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 상태에서 실링부(80)로 공급되면, 경사진 복층유리의 테두리에 실링재를 도포하기가 곤란하게 되는바, 합착장치(60)에서 합착되어 이송되는 복층유리는 수직에 가까운 각도로 얼라인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얼라인부(70)에서는 복층유리를 얼라인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와 같이, 얼라인부(70)에 의해 수직을 기준으로 2-3도 내외의 각도로 경사지게 얼라인된 복층유리는 실링부(80)로 공급되어 그 테두리에 실링재가 도포되는 과정을 통해 복층유리의 제조가 완성되게 된다.
여기서, 실링부(8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간격으로 제1 실링파트(82) 및 제2 실링파트(84)로 구분되고, 복층유리가 제1 실링파트(82) 및 제2 실링파트(84)를 미리 왕복하면서 그 테두리에 실링재가 도포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복층유리 제조시스템에 제공되는 합착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서 합착 플레이트의 정면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정면도이며,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합착장치에 의해 복층유리가 합착되는 상태를 순차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합착장치(60)는, 이송되는 유리(3,2)들이 전도되지 않게 일정 각도만큼 경사진 상태로 지지하는 지지 플레이트(610)와, 이 지지 플레이트(610)의 하부 쪽에 배치되어 제어신호에 의해 유리(3,2)들을 수평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컨베이어(도면부호 미부여)가 설치된 본체부와, 이 본체부의 지지 플레이트(610)에 대하여 전후진 마주보는 방향으로 전후진 이동하되, 이송되는 유리(3,2)들을 합착하기 위한 합착 플레이트(620)가 설치된 합착이송부(도면부호 미부여)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합착이송부의 각 모서리 부위는 복수의 볼 스크류(도면부호 미부여)에 의해 본체부에 대하여 결합됨으로써, 합착이송부는 본체부에 대하여 제어신호에 의해 전후진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 때,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합착장치(60)는 가로 및 세로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큰 중형 크기 이상의 유리(3,2)들을 합착시키는 것으로서, 이에 따라 합착 플레이트(620)의 면적도 상대적으로 큰 것이 제공되는바, 합착이송부의 하부에는 가이드 레일(640)이 설치되고, 합착이송부는 가이드 레일(640)을 따라 지지 플레이트(610)에 대하여 등간격으로 전후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참고로, 각 볼 스크류는 본체부의 지지 플레이트(610) 상부 쪽과 컨베이어의 하부 쪽을 통과하도록 설치됨으로써, 지지 플레이트(610)에 의해 일 면이 지지된 상태로 컨베이어에 의해 수평 이동되는 유리(3,2)들에게 간섭을 발생시키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본체부의 내부에는 각 볼 스크류를 정역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모터들이 설치되고, 각 볼 스크류들의 단부는 베어링부재에 의해 고정 플레이트(도면부호 미부여)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합착이송부는 본체부의 지지 플레이트(610)와 합착이송부의 고정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고, 볼 스크류들의 정역회전에 따른 나사결합에 의해 고정 플레이트와 연동하여 전후진이 이루어지되, 고정 플레이트와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고, 전면에 복수의 흡반(624,628)이 설치된 합착 플레이트(620)를 더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합착 플레이트(620)는 고정 플레이트와 연동하여 평행한 상태로 전후진이 이루어지는 메인 플레이트(622)와, 이 메인 플레이트(622)의 일측 모서리 측에 대각선 방향의 분리선에 의해 객체로 형성되되 경첩(630) 등의 힌지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서브 플레이트(626)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서브 플레이트(626)은 메인 플레이트(622)의 일측 모서리 측에 대각선 방향의 분리선에 의해 별도로 형성됨에 따라 대략 삼각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합착장치(60)는, 서브 플레이트(626)에 별도로 연결되게 설치되되, 제어신호에 의해 전후진되는 액츄에이터(650)를 더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때, 메인 플레이트(622)와 서브 플레이트(626)의 전면에는 각각 흡반(624,628)이 형성되되, 서브 플레이트(626)에 형성되는 흡반(628)은 메인 플레이트(622)에 형성되는 흡반(624)에 비하여 더욱 촘촘하게 배치되어 밀도가 높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합착장치(60)의 작동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유리 공급부(10), 세척 및 건조부(20), 이송부(30), 티피에스 간봉 도포부(40) 및 검사부(50)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되, 티피에스 간봉 도포부(40)에 의해 티피에스 간봉이 도포되지 않은 제1 유리(3)가 합착장치(60)로 공급이 이루어지게 되면, 제1 유리(3)는 합착장치(60)의 지지 플레이트(620)에 지지된 상태에서 정지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이 상태에서, 제어부는 각 볼 스크류들에 회전 신호를 인가하게 되고, 볼 스크류들의 회전에 의해 합착이송부를 이루는 합착 플레이트(620)는 전진하게 된다.
합착 플레이트(620)가 전진하여 합착 플레이트(620)의 전면에 형성된 흡반(624,628)이 제1 유리(3)를 흡착하게 되면, 제어부는 각 볼 스크류들에 역회전 신호를 인가하게 되고, 볼 스크류들의 역회전에 의해 합착이송부를 이루는 합착 플레이트(62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진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합착 플레이트(620)가 제1 유리(3)를 흡착한 후 지지 플레이트(620)와 이격된 상태에서, 티피에스 간봉 도포부(40)에 의해 티피에스 간봉(4)이 도포된 제2 유리(2)가 합착장치(60)로 공급이 이루어지게 되면, 제2 유리(2)는 합착장치(60)의 지지 플레이트(610)에 지지된 상태에서 정지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이 상태에서, 제어부는 각 볼 스크류들에 회전 신호를 인가하게 되고, 볼 스크류들의 회전에 의해 합착이송부를 이루는 합착 플레이트(62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진하게 되며, 이에 따라 제1 유리(3)와 제2 유리(2)를 합착시키게 된다.
이 때, 제1 유리(3)를 흡착한 합착 플레이트(620)가 전진하여 지지 플레이트(610)에 의해 지지된 제2 유리(G2) 즉, 일 면에 티피에스 간봉(4)이 도포된 제2 유리(3)와 합착이 이루어지는 시점에서는 액츄에이터(650)가 제어됨에 따라 후진하면서, 서브 플레이트(626)를 후방으로 당기게 된다.
따라서, 서브 플레이트(626)는 경첩(630) 등의 힌지를 기점으로 하여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선을 기준으로 메인 플레이트(622)에 대하여 경사지게 회전된 상태를 이루게 되며, 이에 제1 유리(3)와 제2 유리(2)가 합착될 때, 제1 유리(3)와 제2 유리(2) 및 티피에스 간봉(4) 사이의 공간에 존재하는 공기는 서브 플레이트(626)가 설치되는 부위를 통해 외부로 빠져나가게 된다.
즉, 제1 유리(3)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가로 및 세로 크기가 설정 크기 이상을 이루는 중형 이상의 유리가 제공되므로, 소정의 휘도를 갖게 됨으로써, 일부 끝단을 잡고 일정 각도만큼 휘게 잡아당기더라도 손상 또는 파손이 발생되지 않는바, 서브 플레이트(626)가 메인 플레이트(622)에 대하여 경사지게 회전되더라도 서브 플레이트(626)의 흡반(628)에 흡착된 제1 유리(3)의 모서리 부위는 살짝 휜 상태에서 손상 또는 파손이 발생되지 않게 된다.
이후에, 도 7 및 도 8에서와 같이, 액츄에이터(650)가 제어신호에 의해 신장되어 제1 유리(3)와 제2 유리(2)가 평행을 이루도록 합착이 이루어지게 되면, 제1 유리(3)와 제2 유리(2) 및 티피에스 간봉(4) 사이의 공간에는 압축된 공기가 존재하지 않게 됨으로써, 제1 유리(3)와 제2 유리(2)의 팽창됨이 예방되어 기밀성 손실 발생에 따른 제품의 신뢰도 저하가 예방될 수 있다.
이 때,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서브 플레이트(626)에 형성되는 흡반(628)은 메인 플레이트(622)에 형성되는 흡반(624)에 비해 밀도가 높게 배치됨에 따라 일정 각도로 잡아당겨서 휘게 되는 제1 유리(3)의 일측 모서리 부위는 보다 안정적으로 휨이 발생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2 : 제2 유리 3 : 제1 유리
60 : 합착장치 610 : 지지 플레이트
620 : 합착 플레이트 622 : 메인 플레이트
624,628 : 흡반 626 : 서브 플레이트
630 : 경첩 650 : 액츄에이터

Claims (4)

  1. 일 면에 티피에스 간봉이 도포되지 않은 제1 유리와 일 면에 티피에스 간봉이 도포된 제2 유리를 합착하여 복층유리로 제조하는 합착장치에 있어서,
    이송되는 제1 유리 및 제2 유리가 전도되지 않게 일정 각도만큼 경사진 상태로 지지하는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하부 쪽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유리 및 제2 유리를 수평 이송시키는 컨베이어가 설치된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지지 플레이트에 대하여 전후진 이동하되, 이송되는 상기 제1 유리 및 제2 유리들을 합착시키는 합착이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합착이송부는,
    각 모서리 부위가 복수의 볼 스크류에 의해 상기 본체부에 대하여 결합되고, 상기 볼 스크류의 정역회전에 따른 나사결합에 의해 전후진되는 합착 플레이트를 포함하되,
    상기 합착 플레이트는,
    평행한 상태로 전후진되는 메인 플레이트와,
    상기 메인 플레이트의 일측 모서리 측에 대각선 방향의 분리선에 의해 객체로 형성되고, 힌지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서브 플레이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유리 제조시스템의 합착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플레이트는 제어신호에 의해 전후진 작동되는 액츄에이터와 연결되게 설치되고, 상기 액츄에이터의 작동에 따라 상기 메인 플레이트에 대하여 설정 각도만큼 회전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유리 제조시스템의 합착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플레이트 및 상기 서브 플레이트의 전면에는 상기 제1 유리를 흡착하기 위한 흡반들이 설치되되,
    상기 서브 플레이트에 설치되는 흡반은, 상기 메인 플레이트에 설치되는 흡반에 비하여 밀도가 높게 배치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유리 제조시스템의 합착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합착 플레이트의 흡반이 상기 제1 유리를 흡착하고, 상기 지지 플레이트에 제2 유리가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합착이송부가 전진하여 상기 제1 유리와 제2 유리를 합착시키는 경우,
    상기 액츄에이터가 설정 시간 동안 상기 서브 플레이트를 당겼다가 원 상태로 복원시키도록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유리 제조시스템의 합착장치.
KR1020220001732A 2022-01-05 2022-01-05 복층유리 제조시스템의 합착장치 KR1026199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1732A KR102619968B1 (ko) 2022-01-05 2022-01-05 복층유리 제조시스템의 합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1732A KR102619968B1 (ko) 2022-01-05 2022-01-05 복층유리 제조시스템의 합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6009A KR20230106009A (ko) 2023-07-12
KR102619968B1 true KR102619968B1 (ko) 2024-01-02

Family

ID=871636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1732A KR102619968B1 (ko) 2022-01-05 2022-01-05 복층유리 제조시스템의 합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9968B1 (ko)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4013A (ko) * 2002-03-15 2003-09-19 문형윤 이중 판유리 제조 장치
KR100758498B1 (ko) 2006-01-16 2007-09-12 하호 진공 복층유리의 제조방법
KR101117392B1 (ko) * 2009-10-14 2012-03-08 문형윤 복층유리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
KR101620565B1 (ko) * 2014-08-13 2016-05-12 내일엔지니어링(주) 복층유리 가스주입장치
KR20160131286A (ko) * 2015-05-06 2016-11-16 주식회사 케이씰 복층유리 제조용 간봉 공급장치
KR102324664B1 (ko) * 2017-08-01 2021-11-10 주식회사 이강테크 듀얼 프레스를 이용한 복층유리 제조장치
KR20190064292A (ko) * 2017-11-30 2019-06-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유리와, 진공유리의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2480161B1 (ko) * 2019-12-30 2022-12-22 주식회사 이강테크 복층유리의 티피에스 토출수단을 구비한 스페이서 코너 성형장치
KR102343844B1 (ko) * 2020-01-09 2021-12-27 주식회사 지원오토 복층유리 제조용 간봉 공급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6009A (ko) 2023-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008649B (zh) 用于隔热玻璃单元的自动膜拾取和放置方法
KR102619968B1 (ko) 복층유리 제조시스템의 합착장치
CN103498622A (zh) 中空玻璃内悬膜绷膜方法及绷膜框组件
JP2003002703A (ja) 断熱性の構造および/または採光要素の製造方法ならびにこれを実施するための装置
US20090304440A1 (en) Aluminum window structure
US10822864B2 (en) Compliant hermetic seal system for flat glass panel assembly
KR102636502B1 (ko) 복층유리 제조시스템의 합착장치
KR20190013324A (ko) 듀얼 프레스를 이용한 고속 복층유리 제조장치
US20100031591A1 (en) Composite spacer bar for reducing heat transfer from a warm side to a cold side along an edge of an insulated glazing unit
KR20220114705A (ko) 복층유리의 제조시스템 및 제조방법
KR102502282B1 (ko) 복층유리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CN107687311A (zh) 填封式中空玻璃间隔条
KR20190011424A (ko) 복층 유리판 자동 밀봉 장치
KR20220114706A (ko) 복층유리 제조시스템의 유리 검사장치
KR101620565B1 (ko) 복층유리 가스주입장치
TWM605813U (zh) 自動接膜設備
KR101823456B1 (ko) 크린룸용 벽체 패널
RU2818174C1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борки изоляционных стеклянных панелей, а также изоляционная стеклянная панель, полученная таким образом
KR101500683B1 (ko) 3중 복층 유리 제조방법
RU2818173C1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борки изоляционных стеклянных панелей, а также изоляционная стеклянная панель, полученная таким образом
EP1367190A2 (fr) Système acoustique de raccord élastique et absorbant pour la construction de cloisons, parements et plafonds suspendus
US20210071467A1 (en) Foam spacer applicator
CN212723596U (zh) 一种液晶和触摸屏全覆盖贴合结构
CN212295505U (zh) 一种多功能的线条
KR101022005B1 (ko) 이종 간봉을 이용한 3중 복층 유리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