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1286A - 복층유리 제조용 간봉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복층유리 제조용 간봉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1286A
KR20160131286A KR1020150063295A KR20150063295A KR20160131286A KR 20160131286 A KR20160131286 A KR 20160131286A KR 1020150063295 A KR1020150063295 A KR 1020150063295A KR 20150063295 A KR20150063295 A KR 20150063295A KR 20160131286 A KR20160131286 A KR 201601312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ly unit
roller
unit
tps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32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흥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씰
Priority to KR10201500632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31286A/ko
Publication of KR201601312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128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E06B3/673Assembling the units
    • E06B3/67326Assembling spacer elements with the panes
    • E06B3/6733Assembling spacer elements with the panes by applying, e.g. extruding, a ribbon of hardenable material on or between the pan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E06B3/663Elements for spacing pa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Glass To Other Materials (AREA)

Abstract

복층유리 제조용 간봉 공급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복층유리 제조용 간봉 공급장치는, 복수의 유리판을 중첩시키되, 각 유리판 사이에 접착 및 방음성능을 갖도록 티피에스 원료를 공급하여 간봉을 부착시키는 것으로, 띠 형태의 간봉이 권취된 릴과, 상기 릴이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장착대와, 상기 릴에서 인출되는 간봉을 직선으로 안내하는 가이드로 구성되는 공급부; 다수의 이송롤러에 의해 간봉을 연속적으로 이송하는 이송부; 상기 이송부의 일측에 연결되며 상기 간봉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접착제 도포부; 상기 이송부를 통해 이송된 간봉을 끌어당기면서 유리판에 부착하고, 일정 간격으로 간봉을 절단하며, 유리판의 외주연 형상에 따라 각도가 설정되는 토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따르면, 띠 형상으로 성형된 간봉을 인출하여 유리판에 부착함으로써 간봉 형성 작업이 신속하게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복층유리 제조용 간봉 공급장치{SEALING MATERIAL SUPPLY APPARATUS FOR DUPLEX TYPE GLASS}
본 발명은 복층유리 제조용 간봉 공급장치에 관련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의 유리층 사이에 합성수지 간봉을 부착하는 복층유리 제조용 간봉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들어 비교적 고가임에도 불구하고 경제력 향상에 따른 생활환경의 고급화 및 그 제조기술의 발전 등에 의해 복층유리의 사용이 점차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즉 대형빌딩은 물론이고 소규모의 상점과 개인주택에 이르기까지 소음에서 벗어나 좀더 안락한 주거환경을 추구하려는 소비자들의 욕구에 따라 복층유리의 수요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복층유리는 두 장 이상의 유리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결합한 것으로, 단층유리와 비교하여 실내에너지의 손실을 최소화할 뿐만 아니라, 외부온도의 저하에도 불구하고 내측 유리의 표면온도는 상대적으로 덜 저하되어 이슬 맺힘 현상이 억제된다. 그리고, 방음성능이 우수하여 실내외 사이의 소음 전달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종래의 복층 유리는 건물의 내측을 향하는 제1유리와, 건물의 외벽을 이루는 제2유리와, 상기 제1유리와 제2유리 상호간을 이격시켜 일정한 공간을 유지하게 하는 간봉을 포함하여 구성되었다.
상기 간봉은 이격된 유리 상호간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대개 알루미늄 소재로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리고, 이와 같이 알루미늄 소재로 구성되는 간봉은 알루미늄 판을 절곡시켜 상기 제1 및 제2유리에 접하는 양 측부의 접합면과, 양 유리 사이의 내부공간을 향하는 내부면과, 양 유리 사이의 외부 공간을 향하는 외부면을 형성하여 구성되었다.
또한, 상기 간봉은 유리의 외곽형상을 따라 알루미늄 소재를 절곡하여 형성하거나, 일정한 형상으로 이루어진 결합부에 의해 직선으로 이루어진 다수의 간봉을 서로 연결하여 구성되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알루미늄 소재로 이루어진 간봉은 열전도율이 높아서 단열효과가 현저히 감소하게 되며, 그에 따라 유리의 내측 면과 외측 면의 온도 차이로 인해 발생되는 결로 현상에 의해 시야가 크게 방해를 받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합성수지를 이용한 간봉이 제안된 바 있으며, 이에 관한 선행기술로는 한국등록특허 제1021851호가 개시되어 있다.
한편 합성수지로 된 간봉은 단열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티피에스(TPS) 물질, 즉 1구성 폴리아이소뷰틸렌(Polyisobutylen)으로서 흡습제를 포함하고 있는 단열 플라스틱 스페이서(Thermo Plastic Spacer)가 적합하다.
이러한 티피에스 간봉을 티피에스 간봉 공급 장치를 이용하여 유리에 도포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는 국내 특허출원 10-2012-76161호 '복층유리 제조용 간봉 공급장치'를 출원한 바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복수의 유리판을 중첩시키되, 각 유리판 사이에 접착 및 방음성능을 갖도록 티피에스 원료를 공급하여 간봉을 형성하도록 하는 복층유리 제조용 간봉 공급장치에 있어서, 티피에스 원료가 충진된 드럼으로부터 티피에스 원료를 흡입하여 이송관을 통해 이송되도록 하는 공급부와; 상기 이송관으로 유입된 티피에스 원료의 응고를 막기 위해 가열수단이 형성된 이송부와; 이송부를 통해 이송된 원료를 최종 토출압력에 적합하도록 가압하는 가압장치와, 상기 토출부로부터 공급된 티피에스 원료를 이송시키는 펌핑장치와, 티피에스 원료가 토출되는 토출헤드로 구성된 토출부를 포함하는 것이었다.
본 발명은 상기 본 발명자의 선행 특허를 개량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액상이 아닌 고체상태의 띠 형태로 성형되어 있는 합성수지 간봉을 유리판에 부착시키는 공정이 연속 실시될 수 있도록 하여 간봉의 경화시간을 단축할 수 있어 작업 능률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하는 복층유리 제조용 간봉 공급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의 유리판을 중첩시키되, 각 유리판 사이에 접착 및 방음성능을 갖도록 티피에스 원료를 공급하여 간봉을 부착시키는 것으로, 띠 형태의 간봉이 권취된 릴과, 상기 릴이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장착대와, 상기 릴에서 인출되는 간봉을 직선으로 안내하는 가이드로 구성되는 공급부; 다수의 이송롤러에 의해 간봉을 연속적으로 이송하는 이송부; 상기 이송부의 일측에 연결되며 상기 간봉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접착제 도포부; 상기 이송부를 통해 이송된 간봉을 끌어당기면서 유리판에 부착하고, 일정 간격으로 간봉을 절단하며, 유리판의 외주연 형상에 따라 각도가 설정되는 토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유리 제조용 간봉 공급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공급부는 지면에 수직되게 형성되는 기대; 상기 기대의 상부 일측에 형성되며 베어링이 결합되어 양측으로 회전축이 형성된 장착대와, 상기 회전축의 양측에 결합되어 회전되며 띠 형태의 간봉이 권취된 릴; 상기 장착대의 일측에 회전되게 형성되는 제1롤러와, 상기 제1롤러와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기대의 상부에 형성되는 제2롤러와, 상기 제1롤러와 제2롤러 사이에 세로방향으로 형성되며 간봉이 외면을 따라 지나가도록 하는 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는 측면에 간봉이 접촉되도록 안내홈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토출부는, 장착대; 상기 장착대에 형성되며 띠 형상의 간봉을 일정한 장력을 유지하면서 끌어당기는 텐션장치; 상기 텐션장치와 연결되며 간봉을 유리판에 밀착하여 부착시키는 헤드; 상기 헤드에 형성되며, 간봉을 절단하는 커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띠 형상으로 성형된 간봉을 인출하여 유리판에 부착함으로써 간봉 형성 작업이 신속하게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층유리 제조용 간봉 공급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층유리 제조용 간봉 공급장치를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층유리 제조용 간봉 공급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층유리 제조용 간봉 공급장치에서 '토출부'에 대한 확대 사시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층유리 제조용 간봉 공급장치에서 '토출부'에 대한 확대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층유리 제조용 간봉 공급장치에서 '공급부'를 나타낸 확대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에서 설명될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함을 밝혀둔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층유리 제조용 간봉 공급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층유리 제조용 간봉 공급장치를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층유리 제조용 간봉 공급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층유리 제조용 간봉 공급장치에서 '토출부'에 대한 확대 사시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층유리 제조용 간봉 공급장치에서 '토출부'에 대한 확대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층유리 제조용 간봉 공급장치에서 '공급부'를 나타낸 확대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유리판(100)을 중첩시키되, 각 유리판(100) 사이에 접착 및 방음성능을 갖도록 간봉(200)을 공급하여 부착시키는 것으로, 띠 형태의 간봉(200)이 권취된 릴(22)과, 상기 릴(22)이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장착대(24)와, 상기 릴(22)에서 인출되는 간봉(200)을 직선으로 안내하는 가이드(26)로 구성되는 공급부(2); 다수의 이송롤러(42)에 의해 간봉(200)을 연속적으로 이송하는 이송부(4); 상기 이송부(4)의 일측에 연결되며 상기 간봉(200)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접착제 도포부(6); 상기 이송부(4)를 통해 이송된 간봉(200)을 끌어당기면서 유리판(100)에 부착하고, 일정 간격으로 간봉(200)을 절단하며, 유리판(100)의 외주연 형상에 따라 각도가 설정되는 토출부(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간봉(200)은 스폰지와 같은 쿠션을 가지며 띠 형상으로 미리 성형된 합성수지재이며, 연료 공급부(2)에 일정량이 미리 저장되고 순차적으로 인출되도록 한다.
상기 공급부(2)는 간봉(200)을 지속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지면에 수직되게 형성되는 기대(21); 상기 기대(21)의 상부 일측에 형성되며 베어링이 결합되어 양측으로 회전축(242)이 형성된 장착대(24); 상기 회전축(242)의 양측에 결합되어 회전되며 띠 형태의 간봉(200)이 권취된 릴(22); 상기 장착대(24)의 일측에 회전되게 형성되는 제1롤러(27)와, 상기 제1롤러(27)와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기대(21)의 상부에 형성되는 제2롤러(28)와, 상기 제1롤러(27)와 제2롤러(28) 사이에 세로방향으로 형성되며 간봉(200)이 외면을 따라 지나가도록 하는 가이드(2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기대(21)는 하단이 지면에 지지되어 수직되게 형성되며, 릴(22)의 하중을 견딜 수 있는 금속 소재가 바람직하고, 기대(21)의 상부는 장착대(24)를 설치할 수 있도록 평평한 판(212)이 형성된다.
장착대(24)는 기대(21)의 상부 판에 형성되는 것으로, 대략 직육면체로 형성되고, 양측으로 돌출되어 회전축(242)이 형성된다.
릴(22)은 장착대(24)의 양측 회전축(242)에 각기 결합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원통형상의 드럼(222)과, 드럼(222)의 양단에 큰 직경으로 형성되는 휠(224)로 구성되는 것으로, 드럼(222)의 외주면에 간봉(200)이 순차적으로 권취되어 수납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26)는 수직으로 설치되며 단변이 직사각형인 파이프로 이루어지는데 장변 양측에 각기 제1롤러(27)와 제2롤러(28)가 거의 근겁되도록 배치된다.
가이드(26)의 양 측면에는 간봉(200)이 접촉되어 삽입된 채 슬라이딩되면서 이동될 수 있도록 안내홈(미도시)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이송부(4)는 간봉(200)을 일정한 장력으로 팽팽하게 유지한 채 이송시키기 위한 것으로, 수직부와 수평부로 구성되는 프레임부재(41)와, 상기 프레임부재(41)에 다수로 형성되어 간봉(200)을 이송하는 이송롤러(42) 및 프레임부재(41)에 결합되어 이송롤러(42)를 감싸도록 설치되는 커버(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다수개의 이송롤러(42)는 공회전될 수 있도록 결합되어 간봉(200)이 이송되는 과정을 안내하는 역할을 하게 되고 간봉(200)의 구겨짐을 방지하여 항상 팽팽하게 당겨진 상태로 이송될 수 있도록 보조해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물론 보다 원활한 이송능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이송롤러(42) 중 일부는 모터에 의해 회전될 수 있도록 하여 자체 회전력으로 길이가 긴 간봉(200)의 이송을 보조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접착제 도포부(6)는 토출부(8)의 헤드(86)의 일측에 연결되는 공급관(62)과, 공급관(62)에 연결되며 접착제가 저장된 탱크(64) 및 가압 펌프(66)로 구성된다.
접착제는 부틸계 합성수지이며, 가압되어 액상으로 공급관(62)을 통해 공급되어 헤드(86) 내의 유로를 통해 이동된 후 노즐을 통해 토출되면서 간봉(200)의 외면에 도포된다.
따라서 간봉(200)을 유리판(100)에 접착시킬 때 견고하게 접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토출부(8)는, 간봉(200)을 유리판(100)에 밀착시켜 일정한 형상으로 부착시키는 작동을 하게 된다. 유리판(100)이 사각형일 경우 일변에서 연속적으로 간봉(200)을 부착시켜 네변에 모두 부착시킬 수 있도록 간봉(200)의 중단이 없이 일직선 형태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토출부(8)는, 장착대(82); 상기 장착대(82)에 형성되며 띠 형상의 간봉(200)을 일정한 장력을 유지하면서 끌어당기는 텐션장치(84); 상기 텐션장치(84)와 연결되며 간봉(200)을 유리판(100)에 밀착하여 부착시키는 헤드(86); 상기 헤드(86)에 형성되며, 간봉(200)을 일정 길이마다 절단하는 커터(87); 상기 헤드(86)를 설정된 각도로 회전시켜 유리판의 외주연을 따라 간봉(200)을 부착하는 회전장치(8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텐션장치(84)는 장착대 일측에 연결된 실린더유닛(844)과, 상기 실린더유닛(844)의 피스톤로드에 연결되는 브라킷(841)과, 상기 브라킷(841)에 결합되며 외주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안내롤(84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복수의 안내롤(842)의 외주면에 간봉(200)이 걸쳐진 상태로 적정한 장력을 유지한 상태에서 헤드(86)로 공급된다.
헤드(86)에는 간봉(200)을 당기도록 인출장치(864)가 구비된다.
인출장치(864)는 헤드(86)의 선단에 형성되는 상부롤러(864-1)와 하부롤러(864-2) 및 하부롤러(864-2)에 연결되는 회전력을 발휘하는 모터(미도시)를 포함하며, 이들 상부롤러(864-1) 및 하부롤러(864-2)는 외접되도록 상,하에 배치되고, 그 사이에 간봉(200)이 통과되면서 끌어당겨져 유리판(100)에 밀착되도록 한다.
커터(87)는 유리판(100)의 각 변에 간봉(200)을 접착시키는 과정에서 간봉을 90도로 꺽기 용이하도록 V자 형태로 컷팅하거나 또는 간봉 접착이 종료된 후 잘라내는 작동을 하게 된다.
커터(87)는 제어부의 신호에 따라 피스톤로드가 인입 또는 인출작동되는 솔레노이드(871)와, 상기 솔레노이드(871)의 피스톤로드에 연결되는 칼날(872)을 포함한다.
커터(87)는 2개가 한쌍으로 형성되며 각 칼날(872)이 V자 형으로 배열되도록 형성된다.
커터(87)의 일측에는 간봉(200)을 유리판(100)에 밀착시키도록 롤러(876)가 형성된다. 롤러(876)의 전면에는 차폐부재(877)가 형성되어 사용하지 않을때는 차폐부재(877)가 롤러(876)의 전면을 막도록 한다.
차폐부재(877)는 실린더(878)에 연결되며 'ㄴ'자 형상의 판재이다.
차폐부재(877)는 실린더(878)의 선회작동에 의해 차폐 및 개방작동이 실행될 수 있으며, 차폐부재(877)의 안쪽에 배치된 상기 롤러(876)를 가리거나 개방시켜준다. 즉 작업을 하지 않을때에는 차폐부재(877)가 롤러(876)를 차폐시키고 아울러 간봉()을 일측으로 밀어 고정상태가 되도록 한다.
한편 회전장치(88)는 헤드(86)의 장착대(24)에 부착된 하우징(882)과, 상기 하우징(882)에 결합된 제2기어(884)와, 상기 제2기어(884)와 치차 결합되는 제1기어(883)를 가지며 상기 하우징(882)의 외부 일측에 장착된 서보모터(88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서보모터(886)는 설정된 각도로 회전됨으로써 헤드(86)를 회전시키게 되며, 설정된 각도는 90°단위가 바람직하다.
한편 토출부(8)를 승강시켜 높이를 설정하는 높이조절장치(9)가 포함된다.
높이조절장치(9)는 수직되게 설치되며 일측에 수직의 랙기어(91)가 장착되고 타측에 가이드(93)가 형성된 승강대(92)와; 승강대(92)의 가이드(93)에 결합되어 상하로 슬라이딩되며 토출부(8)와 연결된 함체(94)와; 상기 함체(94)에 장착되어 함체(94)의 승강 구동을 유발하는 승강구동부(9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승강구동부(95)의 함체(94)에 토출부(8)가 결합되고, 승강구동부(95)의 동작에 의해 승강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승강구동부(95)는 대략 박스형상으로 된 함체(94)에 장착된 구동모터(844)와, 함체(94) 내에 장착되고 상기 구동모터(844)의 축에 결합되어 회전되며 외주면에 치차가 형성되어 상기 승강대(92)의 랙기어(91)와 결합되는 피니언기어(954)를 포함한다.
따라서 구동모터(952)가 구동되어 피니언기어(954)가 회전되면, 이에 치합된 승강대(92)의 랙기어(91)를 따라 상승 또는 하강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토출부(8)의 높이조절이 가능해진다.
토출부(8)의 높이조절이 가능해짐으로써 이동길이가 긴 대형의 유리판에 대한 간봉의 부착작업도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각형 또는 원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된 유리판(100)이 이송컨베이어장치(미도시)를 타고 이동하여 장착대(300)에 거치된다.
이후 공급부(2)의 릴(22)로부터 간봉(200)이 인출되어 가이드(26)를 경유하여 이송부(4)로 공급된다.
간봉(200)이 릴(22)로부터 인출되면서 가이드(26)에 밀착되고 제1롤러(27)와 제2롤러(28)의 안내에 의해 곧게 펴진 상태로 이송된다.
간봉(200)은 가이드(26)에서 인출되어 이송부(4)를 지나가면서 이송부(4)의 다수개의 이송롤러(42)의 외주면에 거치된 채 이송되는 과정에서 신장되면서 반듯하게 펴지게 된다.
이송부(4)를 경유한 간봉(200)은 토출부(8)의 텐션장치(84)로 유입된다.
텐션장치(84)의 안내롤(842) 사이를 간봉(200)이 지나가면서 표면이 균일해지도록 적당한 압력으로 가압되고, 헤드(86)로 인입된다.
간봉(200)은 헤드(86)의 브래킷(862)에 걸어진 후 누름부재(864)까지 이동되어 위치된다.
이후 헤드(86)는 회전장치(88)의 작동에 연동되어 설정된 각도로 회전된다. 예를들어 종방향으로 간봉(200)을 부착시킨 후 헤드(86)가 90도 회전하여 횡방향으로 간봉(200)을 부착시키는 작업이 연속적으로 수행될 수 있는 것이다.
띠 형상의 간봉(200)의 끝단이 유리판(100)의 일단에 도달하면, 누름부재(864)가 일측으로 회전하면서 롤러(866)가 간봉(200)을 누른 상태가 된다.
이후 헤드(86)가 상하좌우로 이동하면서 아울러 간봉(200)이 인출되기 시작하여 직선형태로 유리판(100)에 부착된다. 간봉(200)은 일정한 길이만큼 부착된 후에는 커터(87)에 의해 잘린다.
통상 유리판(100)이 사각형인 점을 감안하면, 토출헤드(86)는 X축 및 Y축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간봉(200)을 부착하게 된다. X축 및 Y축 방향의 이동거리는 유리판(100)의 사이즈를 미리 제어프로그램에 입력함으로써 제어프로그램의 연산에 의해 결정된다.
간봉(200) 부착의 최초 시작위치는 유리판(100)의 좌측 중간지점이며, 이 지점에서부터 하강하기 시작한다.
하강작동, 즉 -Y축 방향으로의 이동은 헤드에 높이조절장치(9)의 승강구동부(95)가 구동되어 함체(94)가 하방으로 이동됨으로써 그에 종속된 토출헤드(86)도 하강하여 -Y축 방향으로의 도포가 실행된다.
이후 토출헤드(86)가 유리판(100)의 하단에 도달하면 회전장치(88)의 구동에 의해 토출헤드(86)가 90°회전되어 수평 방향(X축 방향)에 대한 도포를 준비한다.
이후 이송컨베어베장치의 구동에 의해 유리판(100)이 X축 방향으로 일정 거리로 이동되며, 이렇게 X축 방향 이동 중에 토출헤드(86)로부터 토출된 티피에스 원료가 유리판(100)의 하부에 수평되게 도포된다.
이후 회전장치(88)의 구동에 의해 토출헤드(86)가 90°회전 더 회전되어 수직방향(Y축 방향)에 대한 도포를 준비한다.
이후 높이조절장치(8)의 승강구동부(85)가 구동되어 함체(84)가 상방으로 이동됨으로써 그에 종속된 토출헤드(86)도 상승하여 Y축 방향으로의 도포가 실행된다.
이후 회전장치(88)의 구동에 의해 토출헤드(86)가 90°회전 더 회전되어 수평방향(-Y축 방향)에 대한 도포를 준비한다.
이후 이송컨베어베장치의 구동에 의해 유리판(100)이 -X축 방향으로 일정 거리로 이동되며, 이렇게 -X축 방향 이동 중에 토출헤드(86)로부터 토출된 티피에스 원료가 유리판(100)의 상부에 수평되게 도포된다.
이후 회전장치(88)의 구동에 의해 토출헤드(86)가 90°회전 더 회전되어 수직방향(-Y축 방향)에 대한 도포를 준비한다.
이후 높이조절장치(9)의 승강구동부(95)가 구동되어 함체(84)가 하방으로 이동됨으로써 그에 종속된 토출헤드(86)도 상승하여 -Y축 방향으로의 도포가 실행되어 유리판(100)에 대한 도포 작업이 완료된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2 : 공급부 4 : 이송부
6 : 접착제 도포부 8 : 토출부
21 : 기대 22 : 릴
24 : 장착대 26 : 가이드
27 : 제1롤러 28 : 제2롤러
41 : 프레임부재 42 : 이송롤러
84 : 텐션장치 86 : 헤드
87 : 커터 88 : 회전장치

Claims (12)

  1. 복수의 유리판을 중첩시키되, 각 유리판 사이에 접착 및 방음성능을 갖도록 티피에스 원료를 공급하여 간봉을 부착시키는 것으로,
    띠 형태의 간봉이 권취된 릴과, 상기 릴이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장착대와, 상기 릴에서 인출되는 간봉을 직선으로 안내하는 가이드로 구성되는 공급부;
    다수의 이송롤러에 의해 간봉을 연속적으로 이송하는 이송부;
    상기 이송부의 일측에 연결되며 상기 간봉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접착제 도포부;
    상기 이송부를 통해 이송된 간봉을 끌어당기면서 유리판에 부착하고, 일정 간격으로 간봉을 절단하며, 유리판의 외주연 형상에 따라 각도가 설정되는 토출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유리 제조용 간봉 공급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부는
    지면에 수직되게 형성되는 기대;
    상기 기대의 상부 일측에 형성되며 베어링이 결합되어 양측으로 회전축이 형성된 장착대와, 상기 회전축의 양측에 결합되어 회전되며 띠 형태의 간봉이 권취된 릴;
    상기 장착대의 일측에 회전되게 형성되는 제1롤러와, 상기 제1롤러와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기대의 상부에 형성되는 제2롤러와, 상기 제1롤러와 제2롤러 사이에 세로방향으로 형성되며 간봉이 외면을 따라 지나가도록 하는 가이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유리 제조용 간봉 공급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릴은 장착대의 양측 회전축에 각기 결합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원통형상의 드럼과, 드럼의 양단에 큰 직경으로 형성되는 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유리 제조용 간봉 공급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는
    수직으로 설치되며 단변이 직사각형인 파이프로 이루어지며 양측에 각기 제1롤러와 제2롤러가 근겁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가이드의 양 측면에는 간봉이 접촉되어 삽입된 채 슬라이딩되면서 이동될 수 있도록 안내홈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유리 제조용 간봉 공급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는
    수직부와 수평부로 구성되는 프레임부재와,
    상기 프레임부재에 다수로 형성되어 간봉을 이송하는 이송롤러 및
    프레임부재에 결합되어 이송롤러를 감싸도록 설치되는 커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유리 제조용 간봉 공급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 도포부는 토출부의 헤드의 일측에 연결되는 공급관과, 상기 공급관에 연결되며 접착제가 저장된 탱크를 포함하며,
    접착제는 부틸계 합성수지이며, 액상으로 공급관을 통해 공급되어 간봉의 외면에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유리 제조용 간봉 공급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부는,
    장착대;
    상기 장착대에 형성되며 띠 형상의 간봉을 일정한 장력을 유지하면서 끌어당기는 텐션장치;
    상기 텐션장치와 연결되며 간봉을 유리판에 밀착하여 부착시키는 헤드;
    상기 헤드에 형성되며, 간봉을 일정 길이마다 절단하는 커터;
    상기 헤드를 설정된 각도로 회전시켜 유리판의 외주연을 따라 간봉을 부착하는 회전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유리 제조용 간봉 공급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텐션장치는
    장착대 일측에 연결된 실린더유닛과, 상기 실린더유닛의 피스톤로드에 연결되는 브라킷과, 상기 브라킷에 결합되며 외주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안내롤을 포함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유리 제조용 간봉 공급장치.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는 간봉을 당기는 인출장치가 포함되고,
    상기 인출장치는 헤드의 선단에 형성되는 상부롤러와 하부롤러 및 하부롤러에 연결되는 회전력을 발휘하는 모터를 포함하며,
    상부롤러 및 하부롤러는 외접되도록 상,하에 배치되고, 그 사이에 간봉이 통과되면서 끌어당겨져 유리판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유리 제조용 간봉 공급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커터는,
    제어부의 신호에 따라 전후진되는 로드를 갖는 솔레노이드와, 상기 솔레노이드의 로드에 부착되는 칼날을 포함하여 형성되고,
    커터는 2개가 한쌍으로 형성되며 각 칼날이 V자 형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유리 제조용 간봉 공급장치.
  11.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장치는
    헤드의 장착대에 부착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결합된 제2기어와, 상기 제2기어와 치차 결합되는 제1기어를 가지며 상기 하우징의 외부 일측에 장착된 서보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서보모터는 90°단위로 설정된 각도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유리 제조용 간봉 공급장치.
  12.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부를 승강시켜 높이를 설정하는 높이조절장치가 포함되고,
    상기 높이조절장치는
    수직되게 설치되며 일측에 수직의 랙기어가 장착되고 타측에 가이드가 형성된 승강대;
    상기 승강대의 가이드에 결합되어 상하로 슬라이딩되며 토출부와 연결된 함체;
    상기 함체에 장착되어 함체의 승강 구동을 유발하기 위해, 함체에 장착된 구동모터와, 함체 내에 장착되고 상기 구동모터의 축에 결합되어 회전되며 외주면에 치차가 형성되어 상기 승강대의 랙기어와 결합되는 피니언기어로 구성되는 승강구동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유리 제조용 간봉 공급장치.
KR1020150063295A 2015-05-06 2015-05-06 복층유리 제조용 간봉 공급장치 KR2016013128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3295A KR20160131286A (ko) 2015-05-06 2015-05-06 복층유리 제조용 간봉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3295A KR20160131286A (ko) 2015-05-06 2015-05-06 복층유리 제조용 간봉 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1286A true KR20160131286A (ko) 2016-11-16

Family

ID=575405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3295A KR20160131286A (ko) 2015-05-06 2015-05-06 복층유리 제조용 간봉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31286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5018A (ko) * 2018-02-06 2019-08-14 강흥섭 복층유리의 티피에스 간봉 마감장치
KR102107680B1 (ko) * 2019-09-09 2020-05-28 주식회사 아이지스 폼 스페이서 장치
KR102177512B1 (ko) * 2020-09-03 2020-11-11 주식회사 부광유리 간봉재용 접착제 도포장치
KR20210089892A (ko) 2020-01-09 2021-07-19 주식회사 지원오토 복층유리 제조용 간봉 공급장치
KR20230106009A (ko) * 2022-01-05 2023-07-12 주식회사 지원오토 복층유리 제조시스템의 합착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5018A (ko) * 2018-02-06 2019-08-14 강흥섭 복층유리의 티피에스 간봉 마감장치
KR102107680B1 (ko) * 2019-09-09 2020-05-28 주식회사 아이지스 폼 스페이서 장치
CN112459670A (zh) * 2019-09-09 2021-03-09 伊吉斯有限公司 泡沫间隔装置
US11326390B2 (en) 2019-09-09 2022-05-10 Igis Co., Ltd. Apparatus for application of foam spacer
KR20210089892A (ko) 2020-01-09 2021-07-19 주식회사 지원오토 복층유리 제조용 간봉 공급장치
KR102177512B1 (ko) * 2020-09-03 2020-11-11 주식회사 부광유리 간봉재용 접착제 도포장치
KR20230106009A (ko) * 2022-01-05 2023-07-12 주식회사 지원오토 복층유리 제조시스템의 합착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131286A (ko) 복층유리 제조용 간봉 공급장치
JP4640946B2 (ja) フィルム貼付装置
CN101809486B (zh) 光学显示装置的制造系统及制造方法
US20190099976A1 (en) Laminating machine, laminating method, and manufacturing system for heat-insulating cardboard
CN206614242U (zh) 铝板横向切割生产线
CN110371357B (zh) 一种真空包装覆膜机
CN101795854A (zh) 管状绝热体的制造装置
US9902079B2 (en) Cutting apparatus for tape
CN112318865A (zh) 一种保温节能装饰一体板制造处理方法
US5735997A (en) Device for mounting, laminating and/or enclosing an illustration, and a cassette for such a device
CN111101287A (zh) 一种纺织经编生产设备及其方法
JP5057970B2 (ja) 管状製品を製造するためのマンドレル・アセンブリ
KR100818536B1 (ko) 연속집착형 캐빈 카트리지 필터 제조 장치
KR100511834B1 (ko) 비닐원단 자동 권취 장치
US10745227B1 (en) Packaging apparatus
CN207508042U (zh) 一种薄片卷绕机构
CN209479162U (zh) 一种热贴纸kt板生产系统
CN109130306B (zh) 一种圆筒纸盒生产系统
CN207596148U (zh) 一种薄片送料机器
US494467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toring and dispensing environmentally sensitive materials
CN207508149U (zh) 一种薄片输料设备
CN116640031B (zh) 胶合机
KR20120007584A (ko) 접착제도포장치
CN205662123U (zh) 一种镭射覆膜机系统
CN218806881U (zh) 一种包装装潢用包装品自动覆膜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