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0683B1 - 3중 복층 유리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3중 복층 유리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0683B1
KR101500683B1 KR1020120115553A KR20120115553A KR101500683B1 KR 101500683 B1 KR101500683 B1 KR 101500683B1 KR 1020120115553 A KR1020120115553 A KR 1020120115553A KR 20120115553 A KR20120115553 A KR 20120115553A KR 101500683 B1 KR101500683 B1 KR 1015006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tps
conveyor belt
moved
trip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55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49376A (ko
Inventor
박성호
정도영
나경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씨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씨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씨씨
Priority to KR10201201155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0683B1/ko
Publication of KR201400493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93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06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06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3/00Severing cooled glass
    • C03B33/02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5Manufacturing
    • E05Y2800/465Pressing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3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Glass To Othe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판유리를 제 1 내지 제 3 유리의 크기에 맞게 절단하는 판유리 가공단계; 절단된 후 컨베이어 벨트에 의해 이동되는 제 1 유리의 일면에 흡습제를 포함하고 있는 열가소성 수지의 TPS 물질을 바(bar) 형태로 도포하여 제 1 TPS간봉을 형성하는 제 1 TPS간봉 형성단계; 컨베이어 벨트에 의해 이동되는 제 1 유리를 포획하여 컨베이어 벨트 후면으로 후진시켜 일시 고정시키는 제 1 유리 포획단계; 절단된 후 컨베이어 벨트에 의해 이동되는 제 3 유리의 일면에 흡습제를 포함하고 있는 열가소성 수지의 TPS 물질을 바 형태로 도포하여 제 2 TPS간봉을 형성하는 제 2 TPS간봉 형성단계; 컨베이어 벨트에 의해 이동되는 제 3 유리를 컨베이어 벨트 후면으로 후진시켜 일시 고정된 제 1 유리의 전면에 위치시키고 일시 고정된 제 1 유리와 제 3 유리를 동시에 후진시켜 일시 고정시키는 제 3 유리 포획단계; 및 절단된 후 컨베이어 벨트에 의해 이동되는 제 2 유리를 제 2 TPS간봉의 일면에 위치시키고 제 1 TPS간봉이 형성된 제 1 유리, 제 2 TPS간봉이 형성된 제 3 유리 및 제 2 유리를 동시에 압착하는 복층 유리 압착단계를 포함하는 3중 복층 유리 제조방법을 개시한다.

Description

3중 복층 유리 제조방법{METHOD FOR MANUFACTURING TRIPLE MULTI-LAYER GLASS}
본 발명은 3중 복층 유리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리부재가 3중으로 적층된 복층 유리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현대 건물은 약 30%이상의 창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보다 미려한 외관과 점점 더 복잡한 건축물의 외관에 맞추어 다양한 글레이징 형태를 요구하고 있다. 따라서 건물 냉난방 에너지 감소를 위한 창호 및 글레이징 재료에 단열성능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요구에 필요한 글레이징 즉, 복층 유리를 구성하는 유리, 간봉, 실란트 등의 구성 재료들의 다양한 고 에너지 성능이 중요해지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유리의 경우 실내로 유입 또는 실외로 방출되는 적외선 에너지를 효과적으로 차단하여 주는 로이유리의 사용이 늘고 있으며, 다양한 건물의 형태 및 창호 시공방법에 맞는 복층용 글레이징 실란트가 선택되고 있다. 건물의 시공기술 발달 및 에너지 절약형 창호의 개발과 보급이 늘면서 건물 수명이 길어지고 있으며, 성능뿐 아니라 내구성에 대한 중요성과 관심이 늘고 있으며, 이에 복층 유리의 중공층을 구성해 주는 스페이서 또한 다양한 재료와 기능이 필요해지고 있다.
또한, 최근의 창호에 요구되는 열관류율 1.0 W/㎡K 이하의 고 에너지 성능을 만족하기 위한 고성능의 로이유리 적용 외에도 3중 복층 구조 및 단열 가스를 주입하여 열관류율 성능을 만족할 수 있는 글레이징 및 이를 적용할 수 있는 창호에 대한 수요가 늘고 있는 현실이다.
일반적으로 복층 유리를 구성하는 스페이서는 알루미늄 재질을 사용하여 두 장의 유리 사이의 간격을 견고히 유지시키는 성능을 발휘하는 구조가 통용되었으나, 이러한 알루미늄 재질은 열전도율이 현저히 높으므로 이를 다층 유리에 적용하게 되면 겨울철 등과 같이 실내외의 온도가 현저하게 차이 나는 경우, 물방울이 맺히게 되는 결로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결로현상이 발생하면 다층유리를 제조하기 위해 유리와 간봉 사이에 도포된 접착제의 접착력이 저하되는 동시에 다층유리의 내외측 유리를 고정하는 프레임의 기능을 저하시켜 다층유리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또한, 유리와 유리 사이의 공간에 충진된 가스가 외부로 누출되어 단열성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최근 금속 재질 보다 열전도율이 낮은 플라스틱 재질 및 복합 수지 형태의 스페이서를 적용하는 글레이징의 사용이 늘고 있으며, 미리 형성된 단단한 구조의 플라스틱 재질 및 복합 수지형태의 간봉 사용시 유리와 부착되는 간봉의 양측면에 도포하여 습기 및 가스의 누기를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실란트인 부틸의 형성 공정이 중요해지지만, 대량 생산의 경우 정확한 부틸 도포량 및 도포폭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간봉 형성 단계에서 부틸 도포의 형태를 일정하게 관리하여야 하며 부틸 끊김이 발생시에는 후속의 추가 보완작업을 통해 보수하거나 미쳐 발견하지 못한 불량의 3중 복층 유리가 건물에 시공된 경우에는 계절변화에 따라 공기층의 수축 팽창으로 외기의 습기가 내부로 침투하여 제품의 성능을 유지하기 힘들어지는 등의 내구성의 저하로 인한 불량을 유발하기도 한다.
기본적으로 고 단열성능의 창호 구성을 위한 글레이징 구조로는 한 장 이상의 고성능 로이유리를 포함한 2중 유리로 구성된 복층유리를 사용하고, Ar 및 고가의 Kr 단열가스를 주입해야만 이러한 성능에 근접할 수 있으며, 1.0 W/㎡K 이하의 성능을 발휘하는 데는 부족하다. 이에 3중 복층 구조 및 한 장 이상의 로이유리 및 단열간봉의 사용과 더불어 단열가스 주입 등의 단열 요소를 모두 사용하여야 만족할 수 있는 형편이다.
로이유리의 종류에는 하드로이유리와 소프트로이유리로 크게 나눌 수 있으며, 소프트로이유리가 하드로이유리에 비하여 방사율이 낮아 단열성능이 뛰어나며 이러한 성능 측면에서 최근 강화되고 있는 단열법규에 부합되고 더불어 다양한 색상의 구현으로 소비자가 원하는 색상의 복층유리 제품 공급이 가능한 장점이 있어 소프트로이유리를 사용한 복층유리의 수요가 늘고 있는 현실이다. 단, 소프트로이유리는 제조공법상 하드로이유리에 비해 수분에 약한 Ag막을 포함하고 긁힘에 약한 특징이 있어 제조시 주의가 요구된다. 또한, 복층유리의 외부 환경적인 부하는 시공 후 건물의 수명기간 동안 수십 년에 걸쳐 유리에 가해지며 계절변화 및 주야간 일교차로 인한 복층유리 내부 가스의 체적변화에 의한 가장자리 봉합부의 피로 누적 및 장기간의 자외선 조사로 인한 실링재의 파괴 또는 간봉의 변형으로 인해 실링 파괴가 발생할 우려가 있으며, 이로 인한 복층 내부의 결로 발생 및 로이 코팅면의 산화 등의 문제점이 우려된다.
이에, 고 단열성능의 소프트로이유리를 사용하고 낮은 열전도율의 단열가스를 주입하여 높은 단열성능을 발휘함과 동시에 늘어나는 건물의 수명에 부합되는 내구성을 지니는 3중 복층 단열 글레이징의 필요성이 대두된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제2008-828202호 및 제2011-1021851호에 따르면, 3중 복층 유리의 제조 방법의 압착하는 단계에 있어서, 제 1 유리가 이송되어 프레스에 파지되는 단계와, 제 3 유리부재의 전면에 간봉이 형성된 상태로 프레스로 이송되어 제 1 유리의 후면에 압착되는 단계, 및 제 2 유리의 전면에 간봉이 형성된 상태로 프레스로 이송되어 제 3 유리의 후면에 압착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때 제 1 유리와 제 3 유리가 1차 압착되어 대기되고 압착된 채로 프레스부에 파지되어 있다가 제 1 유리가 2차 압착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각각의 압착 단계는 프레스의 전면부에 대기중이 유리를 파지하는 시간이 제 1 유리, 제 1 및 제 3 유리와 압착에 필요한 시간이 1차 압착, 2차 압착으로 각각 2회씩 총 4회 필요하게 되며, 1차 압착후 2차 압착의 경우 1차 압착된 제 1 TPS간봉이 재 압착되는 과정을 겪어야 하므로 TPS간봉의 두께 변위를 잘 고려해야 원하는 두께의 3중 복층 유리를 제조할 수 있다는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3중 복층 유리를 구성하는 제 1 내지 제 3 유리를 동시에 압착하여 압착공정을 단순화하고, TPS간봉의 두께 변위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3중 복층 유리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3중 복층 유리 제조시 소프트로이유리를 적용하여 단열성능을 향상시키고, 단열가스 주입 시 가스의 누출을 최소화하여 내구성을 높일 수 있는 3중 복층 유리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판유리를 제 1 내지 제 3 유리의 크기에 맞게 절단하고, 절단된 판유리 표면의 이물질을 세척한 후, 세척시에 잔류하는 물기를 제거하도록 건조시키는 판유리 가공단계; 절단된 후 컨베이어 벨트에 의해 이동되는 상기 제 1 유리의 일면에 흡습제를 포함하고 있는 열가소성 수지의 TPS 물질을 접착력 있는 점성을 가진 상태에서 도포하여 제 1 TPS간봉을 형성하는 제 1 TPS간봉 형성단계; 상기 제 1 유리에 상기 제 1 TPS간봉을 형성한 후 상기 컨베이어 벨트에 의해 이동되는 상기 제 1 유리를 포획하여 상기 컨베이어 벨트 후면으로 후진시켜 일시 고정시키는 제 1 유리 포획단계; 절단된 후 상기 컨베이어 벨트에 의해 이동되는 상기 제 3 유리의 일면에 흡습제를 포함하고 있는 열가소성 수지의 TPS 물질을 접착력 있는 점성을 가진 상태에서 도포하여 제 2 TPS간봉을 형성하는 제 2 TPS간봉 형성단계; 상기 제 3 유리에 상기 제 2 TPS간봉을 형성한 후 상기 컨베이어 벨트에 의해 이동되는 상기 제 3 유리를 상기 컨베이어 벨트 후면으로 후진시켜 일시 고정된 상기 제 1 유리의 전면에 위치시키고 일시 고정된 상기 제 1 유리와 상기 제 3 유리를 동시에 후진시켜 일시 고정시키는 제 3 유리 포획단계; 및 절단된 후 상기 컨베이어 벨트에 의해 이동되는 상기 제 2 유리를 상기 제 2 TPS간봉의 일면에 위치시키고 상기 제 1 TPS간봉이 형성된 상기 제 1 유리, 상기 제 2 TPS간봉이 형성된 상기 제 3 유리, 및 상기 제 2 유리를 동시에 압착하여, 압착된 제 1 TPS간봉 및 압착된 제 2 TPS간봉이 동일한 두께를 가지도록 하는 복층 유리 압착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중 복층 유리 제조방법을 개시한다.
또한, 상기 판유리 가공단계에서, 상기 제 1 내지 제 3 유리 중 적어도 하나는 소프트로이유리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중 복층 유리 제조방법을 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판유리 가공단계 후, 상기 제 1 내지 제 3 유리 중 소프트로이유리의 코팅된 가장자리의 코팅막을 제거하는 코팅막 제거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중 복층 유리 제조방법을 개시한다.
또한, 상기 복층 유리 압착단계에서, 상기 제 1 내지 제 3 유리와 상기 제 1 및 제 2 TPS간봉에 의해 구성되는 밀폐된 공간의 내부로 단열가스를 주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중 복층 유리 제조방법을 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복층 유리 압착단계 후, 상기 제 1 TPS간봉과 상기 제 2 TPS간봉의 외주면에 실란트를 각각 주입하는 실란트 주입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중 복층 유리 제조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3중 복층 유리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1) 본 발명은 TPS간봉을 적용한 3중 복층 유리의 제조시 제 1 내지 제 3 유리를 동시에 압착하여 압착공정을 단순화하고, 종래의 1,2차 압착을 개별적으로 진행함에 따른 1차 압착된 제 1 TPS간봉의 재 압착에 따른 두께 변위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어 일정한 두께의 품질을 얻을 수 있고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2) 본 발명은 열가소성 수지인 TPS간봉을 사용함으로써 종래의 간봉이 간봉 조립 후 흡습제 주입 및 부틸 도포 및 간봉 부착 후 압착하는 공정의 단순화가 가능함에 따라 여러 공정을 거치며 발생 위험이 증가하는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3) 본 발명은 3중 복층 유리를 구성하는 제 1 내지 제 3 유리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리를 소프트로이유리로 적용함으로써 단열 성능이 우수하다.
(4) 본 발명은 간봉 자체의 성분이 종래의 실란트와 같은 수분의 침투를 차단하는 기능을 발휘함으로써 수분 침투를 확실하고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완성된 복층 유리를 구성하는 내측면을 향한 소프트로이유리의 산화를 방지할 수 있고, 단열가스 주입 시 가스의 누출을 초소화하는 구조의 열가소성 수지의 TPS간봉을 사용함에 따라 내구성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3중 복층 유리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른 3중 복층 유리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3중 복층 유리의 제조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3중 복층 유리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른 3중 복층 유리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3중 복층 유리의 제조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3중 복층 유리 제조방법은 판유리 가공단계(S10), 코팅막 제거단계(S20), 제 1 TPS간봉 형성단계(S30), 제 1 유리 포획단계(S40), 제 2 TPS간봉 형성단계(S50), 제 3 유리 포획단계(S60), 복층유리 압착단계(S70) 및 실란트 주입단계(S80)를 포함한다.
이때, 3중 복층 유리(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의 내측에 위치하는 제 1 유리(110), 건물의 외벽을 이루는 제 2 유리(120), 제 1 유리(110)와 제 2 유리(120)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 3 유리(130), 제 1 유리(110)와 제 3 유리(130) 사이의 제 1 공간을 유지시키는 제 1 TPS간봉(210), 및 제 2 유리(120)와 제 3 유리(130)의 사이의 제 2 공간을 유지시키는 제 2 TPS간봉(2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 1 내지 제 3 유리(110, 120, 130)는 판유리를 동일한 크기로 절단하여 형성되며, 태양광의 파장 중 냉난방과 관련된 파장의 영역을 갖는 적외선의 대부분을 반사시킬 수 있어 적외선의 반사율에서 일반유리와 큰 차이가 있는 저방사유리(Low-Emissivity)인 로이(Low-E)유리로 구성된다. 로이유리의 종류에는 하드로이유리(Hard Low-E)와 소프트로이유리(Soft Low-E)로 크게 나눌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제 1 내지 제 3 유리(110, 120, 130)는 하드로이유리에 비하여 방사율이 낮아 단열성능이 뛰어난 소프트로이유리를 사용한다. 따라서, 제 1 내지 제 3 유리(110, 120, 130) 중 적어도 하나의 유리를 소프트로이유리로 구성함에 따라 최대 3면의 소프트로이 코팅면을 적용하여 겨울에는 건물 내부에서 난방 기구에 의해 발생된 적외선을 건물 내부로 다시 반사하고, 여름에는 건물 외부에서 가해지는 태양열에 의해 발생된 복사열을 건물 외부로 다시 반사하여 최대의 단열효과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 1 내지 제 3 유리 중 소프트로이유리의 코팅된 가장자리의 코팅막을 제거한다.
제 1 TPS간봉(210)은 제 1 유리(110)의 일면에 흡습제를 포함하고 있는 열가소성 수지의 TPS물질을 바(bar) 형태로 도포하여 형성한다.
제 2 TPS간봉(220)은 제 3 유리(130)의 일면에 흡습제를 포함하고 있는 열가소성 수지의 TPS물질을 바(bar) 형태로 도포하여 형성한다. 이때, 제 2 TPS간봉(220)은 제 1 TPS간봉(210)이 부착되는 위치와 동일한 위치, 즉 동일 직선상에 위치하도록 부착시켜, 외부의 충격이나 바람에 의한 풍압 등에 대응하여 제 1 TPS간봉(210)과 제 2 TPS간봉(220)에 의해 발생되는 지지력이 분산되지 않고 보다 강화된 효과를 구현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TPS간봉(210)과 제 2 TPS간봉(220)은 단열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TPS물질, 즉 폴리아이소뷰틸렌(Polyisobutylen)으로서 흡습제를 포함하고 있는 단열 플라스틱 스페이서(Thermo Plastic Spacer)로 구성된다. 또한, 제 1 TPS간봉(210)과 제 2 TPS간봉(220)은 일정하게 배합 형성되어 특정 형태로 고형화되어 있지 않은 TPS물질이 TPS공급장치(미도시)를 통하여 공급되면서 유리면에 직접 접착된다. 이때, TPS공급장치를 통해 공급되는 TPS물질이 고형화되어 있지 않다는 것은 점성이 있는 물체가 완전하게 굳어진 형태가 아니라 점성이 있는 입자들이 배출되는 형태에 따라 다양한 형상을 취할 수 있는 형상으로 뭉쳐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3중 복층 유리(100)는 제 1 TPS간봉(210)이 형성된 제 1 유리(110), 제 2 TPS간봉(220)이 형성된 제 3 유리(130), 및 제 2 유리(120)를 압착기(미도시)로 가압하여 제 1 TPS간봉(210)과 제 2 TPS간봉(220)의 두께가 원하는 두께로 압착될 때까지 제 1 내지 제 3 유리(110, 120, 130)를 동시에 압착하여 형성된다. 이에 따라, 3중 복층 유리(100)의 제조시 제 1 내지 제 3 유리(110, 120, 130)를 동시에 압착하여 압착공정을 단순화하고, 종래의 1,2차 압착을 개별적으로 진행함에 따른 1차 압착된 제 1 TPS간봉(210)의 재 압착에 따른 TPS간봉 두께 변위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어 일정한 두께의 품질을 얻을 수 있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 1 내지 제 3 유리(110, 120, 130)와 제 1 및 제 2 TPS간봉(210, 220)에 의해 형성되는 밀폐된 공간의 내부에 압착기(미도시)에서 단열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아르곤 가스(Ar) 또는 크립톤 가스(Kr) 등의 단열가스가 복층 유리 압착과 동시에 자동 주입되어 충전된다.
또한, 제 1 TPS간봉(210)과 제 2 TPS간봉(220)의 외주면에 치오콜 또는 실리콘 재질의 실란트가 주입되어 제 1 TPS간봉(210)과 제 2 TPS간봉(220)의 외주면과 제 1 내지 제 3 유리(110, 120, 130)의 최외곽에 이르는 공간을 실링하는 실링부가 구비된다. 이와 같이 실란트가 공급되어 제 1 TPS간봉(210)의 외주면에 형성된 제 1 실링부에는 제 1 실란트(310)가 형성되고, 제 2 TPS 간봉(220)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제 2 실링부에는 제 2 실란트(320)가 형성된다. 이 처럼 제 1 TPS간봉(210)과 제 2 TPS간봉(220)의 외주면을 덮으면서 제 1 유리(110)와 제 3 유리(130) 및 제 2 유리(120)와 제 3 유리(130) 사이에 제 1 실란트(310)와 제 2 실란트(320)가 각각 채워짐으로써, 제 1 내지 제 3 유리(110, 120, 130) 사이의 결합력을 보다 견고히 할 수 있게 됨과 아울러 제 1 TPS간봉(210)과 제 2 TPS간봉(220)이 외부의 수분이나 이물질에 직접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3중 복층 유리 제조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판유리 가공단계(S10)는 제 1 내지 제 3 유리(110, 120, 130)의 판유리를 동일한 크기로 절단하는 절단과정(S11)과, 견고한 접착과 완벽한 시야의 확보를 위해 절단된 판유리 표면의 이물질을 세착하는 세척과정(S12)과, 세척시에 잔류하는 물기를 제거하도록 충분히 건조시키는 건조과정(S1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코팅막 제거단계(S20)는 제 1 내지 제 3 유리(110, 120, 130)의 절단에 이어서 제 1 내지 제 3 유리(110, 120, 130) 중 소프트로이유리의 코팅된 가장자리의 코팅막을 제거한다.
상기 제 1 TPS간봉 형성단계(S30)는 절단된 후 컨베이어 벨트(미도시)를 통하여 제 1 유리(110)가 공급되는 제 1 유리 공급과정(S31)과, 제 1 유리(110)의 일면에서 제 1 TPS간봉(210)이 형성될 위치를 자동으로 인지하는 제 1 위치 인지과정(S32)과, 흡습제를 포함하고 있는 열가소성 수지의 TPS물질을 제 1 유리(110)의 일면에 바(bar) 형태로 도포하여 제 1 TPS간봉(210)을 형성하는 제 1 TPS물질 도포과정(S3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제 1 위치 인지과정(S32)은 TPS공급장치를 제 1 유리(110)의 일면에 가까이 이동시킨 후 감지센서(미도시)에 의해 제 1 유리(110)의 최외곽에서 3~10mm 안쪽으로 들어간 지점을 인지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제 1 TPS물질 도포과정(S33)은 제 1 유리(100)의 둘레를 따라 제 1 TPS간봉(210)을 형성하기 위하여 제 1 TPS간봉(210)이 형성될 위치가 TPS공급장치의 배출구에 순차적으로 놓일 수 있게 제 1 유리(110)를 좌우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TPS공급장치는 설치된 장소에서의 좌우 이동이 쉽지 않은 반면에 제 1 유리(110)는 컨베이어 벨트에 놓인 상태로 공급되어 좌우 이동이 용이하므로 TPS공급장치의 배출구는 상하 이동하면서 TPS물질을 배출하고, 제 1 유리(110)는 좌우로 이동하면서 TPS물질이 도포되는 위치를 변경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 1 유리(110)의 일면에 형성되는 제 1 TPS간봉(210)은 밀폐된 루프를 형성하게 되므로, TPS공급장치의 배출구는 상하 이동뿐만 아니라 회전이 가능하게 구성됨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TPS공급장치를 통하여 공급되는 TPS물질은 입자들 상호간에 접착력을 갖고 있어 TPS공급장치에서 배출되는 일정한 바(bar) 형상의 간봉 형태를 계속 유지하게 되며, 이와 같이 접착력 있는 제 1 TPS간봉(210)의 가장 외곽부분에 있는 입자들이 제 1 유리(110)의 일면에 직접 부착되어 제 1 TPS간봉(210)의 형성과 유리면에의 부착이 동시에 진행되어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TPS물질은 입자들 상호간에 접착력을 갖지만 형태가 고형화되어 있지 않으므로, 유리면의 외곽 형상을 따라 TPS공급장치의 배출구를 이동시킴으로써 직선뿐만 아니라 절곡된 모양과 곡선 등 다양한 모양의 간봉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 1 유리 포획단계(S40)는 제 1 유리(110)에 제 1 TPS간봉(210)을 형성한 후 컨베이어 벨트에 의해 세워져 이동되는 제 1 유리(110)를 포획하여 컨베이어 벨트 후면으로 이탈시키도록 구성된다. 이때, 제 1 유리(110)는 제 1 TPS간봉(210)이 형성되는 위치에서 TPS공급장치에 의해 컨베이어 벨트로부터 이탈되어 일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제 2 TPS간봉 형성단계(S50)는 제 1 TPS간봉(210)을 형성하는 것과 유사하게 진행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 2 TPS간봉 형성단계(S50)는 절단된 후 컨베이어 벨트를 통하여 제 3 유리(130)가 공급되는 제 3 유리 공급과정(S51)과, 제 3 유리(130)의 일면에서 제 2 TPS간봉(220)이 형성될 위치를 자동으로 인지하는 제 2 위치 인지과정(S52)과, 흡습제를 포함하고 있는 열가소성 수지의 TPS물질을 제 3 유리(130)의 일면에 바(bar) 형태로 도포하여 제 2 TPS간봉(220)을 형성하는 제 2 TPS물질 도포과정(S5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제 2 위치 인지과정(S52)은 TPS공급장치를 제 3 유리(130)의 일면에 가까이 이동시킨 후 감지센서에 의해 제 3 유리(130)의 최외곽에서 3~10mm 안쪽으로 들어간 지점을 인지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제 2 TPS물질 도포과정(S53)은 제 3 유리(130)의 둘레를 따라 제 2 TPS간봉(220)을 형성하기 위하여 제 2 TPS간봉(220)이 형성될 위치가 TPS공급장치의 배출구에 순차적으로 놓일 수 있게 제 3 유리(130)를 좌우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 3 유리 포획단계(S60)는 제 3 유리(130)에 제 2 TPS간봉(220)을 형성한 후 컨베이어 벨트에 의해 세워져 이동되는 제 3 유리(130)를 컨베이어 벨트 후면으로 후진시켜 일시 고정된 제 1 유리(110)의 전면에 위치시키고 일시 고정된 제 1 유리(110)와 제 3 유리(130)를 동시에 후진시켜 일시 고정시킨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열가소성 수지의 TPS간봉을 사용함에 따라 종래의 간봉이 간봉 조립 후 흡습제 주입 및 부틸 도포 및 간봉 부착 후 압착하는 단계를 거칠 필요가 없이 TPS간봉을 준비된 유리의 외주면을 따라 도포하고 다른 유리와 함께 압착하는 공정의 단순화가 가능함에 따라 여러 공정을 거쳐서 발생 위험이 증가하는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간봉 자체의 성분이 종래의 실란트와 같은 수분의 침투를 차단하는 기능을 발휘함으로써 수분 침투를 확실하고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완성된 복층 유리를 구성하는 내측면을 향한 소프트로이유리의 산화를 방지할 수 있고, 단열가스 주입 시 가스의 누출을 차단할 수 있는 실링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복층 유리 압착단계(S70)는 절단된 후 컨베이어 벨트에 의해 세워져 이동되는 제 2 유리(120)를 제 2 TPS간봉(220)의 일면에 위치시키고 제 1 TPS간봉(210)이 형성된 제 1 유리(110), 제 2 TPS간봉(220)이 형성된 제 3 유리(130), 및 제 2 유리(120)를 압착기로 이송시킨 후 압착을 통해 제 1 TPS간봉(210)과 제 2 TPS간봉(220)의 두께가 원하는 두께로 압착될 때까지 제 1 내지 제 3 유리(110, 120, 130)를 동시에 압착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3중 복층 유리(100)의 제조시 제 1 내지 제 3 유리(110, 120, 130)를 동시에 압착하여 압착공정을 단순화하고, 종래의 1,2차 압착을 개별적으로 진행함에 따른 1차 압착된 제 1 TPS간봉(210)의 재 압착에 따른 두께 변위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어 일정한 두께의 품질을 얻을 수 있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층 유리 압착단계(S70)에 있어서, 제 1 내지 제 3 유리(110, 120, 130)를 가압하는 압착기에서 단열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단열가스로 아르곤 가스(Ar) 또는 크립톤 가스(Kr)를 제 1 및 제 2 TPS간봉(210, 220)에 의해 형성되는 밀폐된 공간의 내부로 복층 유리 압착과 동시에 자동 주입하는 단열가스 주입과정을 더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3중 복층 유리(100)의 제조시 단열효과가 우수한 단열가스를 복층 유리 압착과 동시에 제 1 내지 제 2 공간에 주입하고 단열성이 뛰어난 소프트로이유리를 적용함으로써 고품질의 3중 단열복층 유리를 제작할 수 있다.
상기 실란트 주입단계(S80)는 복층 유리 압착단계(S70) 이후, 제 1 TPS간봉(210)과 제 2 TPS간봉(220)의 외주면에 치오콜 또는 실리콘 재질의 실란트를 주입하여 제 1 TPS간봉(210)과 제 2 TPS간봉(220)의 외주면과 제 1 내지 제 3 유리(110, 120, 130)의 최외곽에 이르는 공간을 실링한다. 즉, 실란트 주입단계(S80)는 제 1 TPS간봉(210)과 제 2 TPS간봉(220)이 제 1 내지 제 3 유리(110, 120, 130)의 최외곽 부분에서 안쪽으로 약간 들어간 자리, 대략 3~10mm 정도 안쪽 부분에 부착되므로, 제 1 TPS간봉(210)과 제 2 TPS간봉(220)의 외주면과 제 1 내지 제 3 유리(110, 120, 130)의 최외곽에 이르는 공간에 간봉의 이동과 수분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실링부로서 치오콜 또는 실리콘을 주입한다. 이러한 실란트 주입단계(S80)는 실란트 공급장치의 배출구를 제 1 내지 제 3 유리(110, 120, 130)의 외곽면에 접촉시키는 과정(S81)과, 제 1 내지 제 3 유리(110, 120, 130)의 외곽면을 따라 실란트 공급장치의 배출구를 이동시키며 실란트를 공급하는 과정(S82)과, 제 1 내지 제 3 유리(110, 120, 130)의 모서리를 인식하여 흐름 방지수단을 유리에 밀착시키고 보다 많은 실란트를 공급하는 모서리 처리과정(S8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실란트가 공급되어 제 1 TPS간봉(210)의 외주면에 형성된 제 1 실링부에는 제 1 실란트(310)가 형성되고, 제 2 TPS간봉(220)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제 2 실링부에는 제 2 실란트(320)가 형성된다. 이 처럼 제 1 TPS간봉(210)과 제 2 TPS간봉(220)의 외주면을 덮으면서 제 1 유리(110)와 제 3 유리(130) 및 제 2 유리(120)와 제 3 유리(130) 사이에 제 1 실란트(310)와 제 2 실란트(320)가 각각 채워짐으로써, 제 1 내지 제 3 유리(110, 120, 130) 사이의 결합력을 보다 견고히 할 수 있게 됨과 아울러 제 1 TPS간봉(210)과 제 2 TPS간봉(220)이 외부의 수분이나 이물질에 직접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결정되며, 특허 청구범위에 사용된 괄호는 선택적 한정을 위해 기재된 것이 아니라, 명확한 구성요소를 위해 사용되었으며, 괄호 내의 기재도 필수적 구성요소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3중 복층 유리
110 : 제 1 유리
120 : 제 2 유리
130 : 제 3 유리
210 : 제 1 TPS간봉
220 : 제 2 TPS간봉
310 : 제 1 실란트
320 : 제 2 실란트

Claims (5)

  1. 판유리를 제 1 내지 제 3 유리의 크기에 맞게 절단하고, 절단된 판유리 표면의 이물질을 세척한 후, 세척시에 잔류하는 물기를 제거하도록 건조시키는 판유리 가공단계;
    절단된 후 컨베이어 벨트에 의해 이동되는 상기 제 1 유리의 일면에 흡습제를 포함하고 있는 열가소성 수지의 TPS 물질을 접착력 있는 점성을 가진 상태에서 도포하여 제 1 TPS간봉을 형성하는 제 1 TPS간봉 형성단계;
    상기 제 1 유리에 상기 제 1 TPS간봉을 형성한 후 상기 컨베이어 벨트에 의해 이동되는 상기 제 1 유리를 포획하여 상기 컨베이어 벨트 후면으로 후진시켜 일시 고정시키는 제 1 유리 포획단계;
    절단된 후 상기 컨베이어 벨트에 의해 이동되는 상기 제 3 유리의 일면에 흡습제를 포함하고 있는 열가소성 수지의 TPS 물질을 접착력 있는 점성을 가진 상태에서 도포하여 제 2 TPS간봉을 형성하는 제 2 TPS간봉 형성단계;
    상기 제 3 유리에 상기 제 2 TPS간봉을 형성한 후 상기 컨베이어 벨트에 의해 이동되는 상기 제 3 유리를 상기 컨베이어 벨트 후면으로 후진시켜 일시 고정된 상기 제 1 유리의 전면에 위치시키고 일시 고정된 상기 제 1 유리와 상기 제 3 유리를 동시에 후진시켜 일시 고정시키는 제 3 유리 포획단계; 및
    절단된 후 상기 컨베이어 벨트에 의해 이동되는 상기 제 2 유리를 상기 제 2 TPS간봉의 일면에 위치시키고 상기 제 1 TPS간봉이 형성된 상기 제 1 유리, 상기 제 2 TPS간봉이 형성된 상기 제 3 유리, 및 상기 제 2 유리를 동시에 압착하여, 압착된 제 1 TPS간봉 및 압착된 제 2 TPS간봉이 동일한 두께를 가지도록 하는 복층 유리 압착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중 복층 유리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유리 가공단계에서, 상기 제 1 내지 제 3 유리 중 적어도 하나는 소프트로이유리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중 복층 유리 제조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3중 복층 유리 제조방법은,
    상기 판유리 가공단계 후, 상기 제 1 내지 제 3 유리 중 소프트로이유리의 코팅된 가장자리의 코팅막을 제거하는 코팅막 제거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중 복층 유리 제조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층 유리 압착단계에서, 상기 제 1 내지 제 3 유리와 상기 제 1 및 제 2 TPS간봉에 의해 형성되는 밀폐된 공간의 내부로 단열가스를 주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중 복층 유리 제조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3중 복층 유리 제조방법은,
    상기 복층 유리 압착단계 후, 상기 제 1 TPS간봉과 상기 제 2 TPS간봉의 외주면에 실란트를 각각 주입하는 실란트 주입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중 복층 유리 제조방법.
KR1020120115553A 2012-10-17 2012-10-17 3중 복층 유리 제조방법 KR1015006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5553A KR101500683B1 (ko) 2012-10-17 2012-10-17 3중 복층 유리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5553A KR101500683B1 (ko) 2012-10-17 2012-10-17 3중 복층 유리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9376A KR20140049376A (ko) 2014-04-25
KR101500683B1 true KR101500683B1 (ko) 2015-03-09

Family

ID=506549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5553A KR101500683B1 (ko) 2012-10-17 2012-10-17 3중 복층 유리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068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0517B1 (ko) * 2016-06-09 2016-09-29 (주)동해공영 합성수지판이 내입된 단열방범유리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8201B1 (ko) * 2007-01-30 2008-05-14 주식회사 자산유리 삼중 복층유리
KR101037409B1 (ko) * 2009-12-31 2011-05-30 김백두 유리 사이의 간격 다양화가 용이한 3중 복층 유리
WO2011095732A2 (fr) * 2010-02-08 2011-08-11 Saint-Gobain Glass France Procede de fabrication d'un triple vitrage rempli de gaz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8201B1 (ko) * 2007-01-30 2008-05-14 주식회사 자산유리 삼중 복층유리
KR101037409B1 (ko) * 2009-12-31 2011-05-30 김백두 유리 사이의 간격 다양화가 용이한 3중 복층 유리
WO2011095732A2 (fr) * 2010-02-08 2011-08-11 Saint-Gobain Glass France Procede de fabrication d'un triple vitrage rempli de gaz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9376A (ko) 2014-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5101B1 (ko) 진공창호유리 및 그 제조방법
KR20140064450A (ko) 단열 복층유리 및 그 제조방법
KR101040151B1 (ko) 이중 간봉구조를 이용한 3중 복층 유리
KR101021851B1 (ko) 유리 사이의 간격 다양화가 용이한 3중 복층 유리 제조방법
KR101037409B1 (ko) 유리 사이의 간격 다양화가 용이한 3중 복층 유리
CN109790738A (zh) 生产多层玻璃单元的方法和设备
CN106593220A (zh) 一种既有玻璃窗改造而成的节能降噪玻璃窗及其改造方法
CN202645325U (zh) 一种多层复合玻璃
KR101500683B1 (ko) 3중 복층 유리 제조방법
CN201581769U (zh) 一种间隔装置
KR101500682B1 (ko) 3중 복층 유리
KR101021855B1 (ko) 이종 물질로 이루어진 간봉을 이용한 3중 복층 유리 제조방법
KR20140064449A (ko) 3중 복층 유리 및 그 제조방법
CN206360585U (zh) 中空玻璃
CN113003952A (zh) 一种中空玻璃及其制作方法
CN205153887U (zh) 一种多层中空玻璃
KR101022005B1 (ko) 이종 간봉을 이용한 3중 복층 유리 제조방법
KR101003464B1 (ko) 이종 물질로 이루어진 간봉을 이용한 3중 복층 유리
CN111925133A (zh) 一种节能型高强度中空玻璃生产方法
KR100984092B1 (ko) 이중 간봉구조가 구비된 3중 복층 유리 제조방법
CN106437436A (zh) 中空玻璃及其制造方法
KR101566513B1 (ko) 단열재와 패턴 필름을 갖는 유리 창호 시스템의 제조방법
KR101003466B1 (ko) 3중 복층 유리 제조방법
KR101021849B1 (ko) 이중 간봉구조가 구비된 3중 복층 유리
CN202175623U (zh) 塑料膜板内密封、腔外边框支撑式中空玻璃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