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85605A - 압축기의 머플러 설치 구조 - Google Patents

압축기의 머플러 설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85605A
KR20070085605A KR1020077012373A KR20077012373A KR20070085605A KR 20070085605 A KR20070085605 A KR 20070085605A KR 1020077012373 A KR1020077012373 A KR 1020077012373A KR 20077012373 A KR20077012373 A KR 20077012373A KR 20070085605 A KR20070085605 A KR 200700856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ffler
end plate
plate member
circumferential surface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123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58773B1 (ko
Inventor
고오끼 모리모또
히로끼 가미이시다
Original Assignee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856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56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87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87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0027Pulsation and noise damping means
    • F04B39/0055Pulsation and noise damping means with a special shape of fluid passage, e.g. bends, throttles, diameter changes, pipes
    • F04B39/0072Pulsation and noise damping means with a special shape of fluid passage, e.g. bends, throttles, diameter changes, pipes characterised by assembly or moun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0027Pulsation and noise damping means
    • F04B39/0055Pulsation and noise damping means with a special shape of fluid passage, e.g. bends, throttles, diameter changes, pipes
    • F04B39/0061Pulsation and noise damping means with a special shape of fluid passage, e.g. bends, throttles, diameter changes, pipes using muffler volum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8/0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18/3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F04C18/02, F04C18/08, F04C18/22, F04C18/24, F04C18/48,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 F04C18/32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F04C18/02, F04C18/08, F04C18/22, F04C18/24, F04C18/48,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having both the movement defined in group F04C18/02 and relative reciprocation between the co-operating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18/00 - F04C28/00
    • F04C29/06Silenc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18/00 - F04C28/00
    • F04C29/06Silencing
    • F04C29/065Noise dampening volumes, e.g. muffler cha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18/00 - F04C28/00
    • F04C29/06Silencing
    • F04C29/068Silencing the silencing means being arranged inside the pump hou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3/00Combinations of two or more pumps, each being of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type,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Pumping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Multi-stage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23/008Hermetic pump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181/00Acoustics
    • Y10S181/403Refrigerator compresssor muffl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pplications Or Details Of Rotary Compressors (AREA)
  • Compresso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압축기의 머플러 설치 구조는, 실린더 본체의 개구 단부에 설치되는 단부판 부재(50)와, 이 단부판 부재(50)에 설치되는 컵형 머플러(40)와, 상기 머플러(40)를 상기 단부판 부재(50)에 고정하는 고정 부재(35)를 구비한다. 상기 고정 부재(35)의 근방에 있어서, 상기 머플러(40)의 주위벽(41)의 내주면(41a)과 상기 단부판 부재(50)의 본체부(51)의 외주면(51b)은 헐거운 끼워 맞춤이다. 한편, 상기 고정 부재(35)로부터 이격된 부분에 있어서, 상기 머플러(40)의 주위벽(41)의 내주면(41a)과 상기 단부판 부재(50)의 본체부(51)의 외주면(51b)은 억지 끼워 맞춤이다.
머플러, 고정 부재, 단부판 부재, 실린더실, 흡입관

Description

압축기의 머플러 설치 구조{MUFFLER INSTALLATION STRUCTURE FOR COMPRESSOR}
본 발명은, 예를 들어 공기 조화기 등에 사용되는 로터리 압축기 등의 압축기의 머플러 설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압축기의 머플러 설치 구조는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린더 본체(121)의 개구 단부에 설치되는 단부판 부재(150)와, 이 단부판 부재(150)에 설치되는 컵형 머플러(140)와, 상기 머플러(140)를 상기 단부판 부재(150)에 고정하는 고정 부재(135)를 구비한다(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평6-2689호 공보 참조).
상기 머플러(140)는 상기 단부판 부재(150)의 본체부(151)의 외주면(151b)에 끼워 넣어지는 주위벽(141)을 갖고 있다. 상기 단부판 부재(150)에 상기 머플러(140)를 설치하기 전의 상태에서, 상기 단부판 부재(150)의 상기 본체부(151)의 외주면(151b)의 형상은, 축 방향으로부터 보아 대략 진원이며, 상기 머플러(140)의 상기 주위벽(141)의 내주면(141a)의 형상은 축 방향으로부터 보아 대략 진원이다.
그리고, 상기 실린더 본체(121)의 실린더실(122)의 압축 가스는 상기 단부판 부재(150)의 상기 본체부(151)의 토출 구멍(151a)을 통해 상기 머플러(140)의 내측으로 유입하고, 상기 머플러(140)의 중앙의 구멍부(142a)와, 상기 단부판 부 재(150)의 보스부(152)와의 사이의 간극(S)으로부터 상기 머플러(140)의 외측으로 유출한다.
여기서, 상기 머플러(140)와 상기 단부판 부재(150)와의 밀봉성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만약, 상기 머플러(140)와 상기 단부판 부재(150)와의 밀봉성을 확보할 수 없으면, 이하의 (a), (b), (c)의 문제점이 있다.
(a) 상기 머플러와 상기 단부판 부재와의 접촉 부위로부터 가스가 누설되어 압축기의 내부에 있는 윤활유가 뿜어 오른다.
(b) 상기 머플러와 상기 단부판 부재와의 접촉 부위로부터 가스의 맥동이 누설되어, 노이즈가 발생하여 소음(消音) 효과가 저감된다.
(c) 상기 머플러와 상기 단부판 부재와의 접촉이 불충분해져, 상기 머플러 자체의 고유 진동이 여기되기 쉬워져 노이즈가 발생한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압축기의 머플러 설치 구조에서는, 상기 단부판 부재(150)의 상기 본체부(151)의 외주면(151b)의 형상은 축 방향으로부터 보아 대략 진원이고, 상기 머플러(140)의 상기 주위벽(141)의 내주면(141a)의 형상은 축 방향으로부터 보아 대략 진원이므로, 상기 머플러(140)와 상기 단부판 부재(150)의 밀봉성을 확보하기 위해, 상기 머플러(140)의 상기 주위벽(141)의 내주면(141a)의 대략 진원의 직경을 상기 단부판 부재(150)의 상기 본체부(151)의 외주면(151b)의 대략 진원의 직경에 가깝게 할 필요가 있고, 이하의 (d), (e)의 문제점이 있다.
(d) 상기 머플러의 탄성 변형에 의한 상기 단부판 부재에의 압축 하중이 커져, 상기 머플러와 상기 단부판 부재와의 조립이 곤란해진다.
(e) 상기 머플러의 탄성 변형에 의한 상기 단부판 부재에의 압축 하중이 커져, 상기 단부판 부재에 왜곡이 발생하여 상기 머플러와 상기 단부판 부재와의 조립 정밀도가 저하된다.
이와 같이, 상기 종래의 압축기의 머플러 설치 구조에서는, 밀봉성의 향상, 소음 효과의 향상, 조립의 용이화 및 조립 정밀도의 향상을 동시에 충족시킬 수 없다.
그래서, 본 발명의 과제는, 밀봉성의 향상, 소음 효과의 향상, 조립의 용이화 및 조립 정밀도의 향상을 동시에 충족시킬 수 있는 압축기의 머플러 설치 구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압축기의 머플러 설치 구조는,
실린더 본체의 개구 단부에 설치되는 단부판 부재와,
이 단부판 부재에 설치되는 컵형 머플러와,
상기 머플러를 상기 단부판 부재에 고정하는 고정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머플러는 상기 단부판 부재의 본체부의 외주면에 끼워 넣어지는 주위벽을 갖고,
상기 고정 부재의 근방에 있어서, 상기 머플러의 상기 주위벽의 내주면과 상기 단부판 부재의 상기 본체부의 외주면은 헐거운 끼워 맞춤인 한편,
상기 고정 부재로부터 이격된 부분에 있어서, 상기 머플러의 상기 주위벽의 내주면과 상기 단부판 부재의 상기 본체부의 외주면은 억지 끼워 맞춤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압축기의 머플러 설치 구조에 따르면, 상기 고정 부재의 근방에 있어서, 상기 머플러의 상기 주위벽의 내주면과 상기 단부판 부재의 상기 본체부의 외주면은 헐거운 끼워 맞춤인 한편, 상기 고정 부재로부터 이격된 부분에 있어서, 상기 머플러의 상기 주위벽의 내주면과 상기 단부판 부재의 상기 본체부의 외주면은 억지 끼워 맞춤이므로, 상기 고정 부재의 근방에서는 상기 고정 부재에 의해 상기 머플러와 상기 단부판 부재와의 밀봉성을 확보할 수 있는 한편, 상기 고정 부재로부터 이격된 부분에서는 상기 머플러의 상기 주위벽의 내주면과 상기 단부판 부재의 상기 본체부의 외주면을 확실하게 접촉시켜 상기 머플러와 상기 단부판 부재와의 밀봉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머플러와 상기 단부판 부재와의 접촉 상태가 안정되어 있으므로, 이하의 (A), (B), (C)의 효과가 있다.
(A) 상기 머플러와 상기 단부판 부재와의 접촉 부위로부터의 가스 누설을 억제하여, 압축기의 내부에 있는 윤활유의 뿜어 올림을 방지한다.
(B) 상기 머플러와 상기 단부판 부재와의 접촉 부위로부터의 가스의 맥동의 누설을 억제하여, 노이즈를 방지하여 소음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C) 상기 머플러와 상기 단부판 부재를 확실하게 접촉할 수 있어, 상기 머플러 자체의 고유 진동의 여기를 방지하여 노이즈를 방지한다.
또한, 상기 머플러의 상기 주위벽의 내주면과 상기 단부판 부재의 상기 본체부의 외주면은 헐거운 끼워 맞춤 및 억지 끼워 맞춤을 이용하고 있으므로, 이하의(D), (E)의 효과가 있다.
(D) 상기 머플러의 탄성 변형에 의한 상기 단부판 부재에의 압축 하중이 작아져, 상기 머플러와 상기 단부판 부재의 조립이 용이해진다.
(E) 상기 머플러의 탄성 변형에 의한 상기 단부판 부재에의 압축 하중이 작아져, 상기 단부판 부재의 왜곡을 억제하여 상기 머플러와 상기 단부판 부재와의 조립 정밀도가 향상된다.
따라서, 밀봉성의 향상, 소음 효과의 향상, 조립의 용이화 및 조립 정밀도의 향상을 동시에 충족시킬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형태의 압축기의 머플러 설치 구조에서는, 상기 머플러는 상기 고정 부재에 의해 상기 단부판 부재의 상기 본체부의 단부면에 접촉되어 고정되어 있다.
이 실시 형태의 압축기의 머플러 설치 구조에 따르면, 상기 머플러는 상기 고정 부재에 의해 상기 단부판 부재의 상기 본체부의 단부면에 접촉되어 고정되어 있으므로, 상기 고정 부재의 근방에 있어서 상기 머플러는 상기 단부판 부재의 상기 본체부의 단부면과의 접촉에 의해 밀봉성을 확보하고 있어, 가스 누설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형태의 압축기의 머플러 설치 구조에서는, 상기 머플러의 상기 주위벽은 상기 고정 부재에 의해 상기 단부판 부재의 상기 본체부의 외주면에 접촉되어 고정되어 있다.
이 실시 형태의 압축기의 머플러 설치 구조에 따르면, 상기 머플러의 상기 주위벽은 상기 고정 부재에 의해 상기 단부판 부재의 상기 본체부의 외주면에 접촉되어 고정되어 있으므로, 상기 머플러를 단순한 컵형으로 할 수 있어 상기 머플러를 간단히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형태의 압축기 머플러 설치 구조에서는,
상기 단부판 부재에 상기 머플러를 설치하기 전의 상태에서,
상기 단부판 부재의 상기 본체부의 외주면의 형상은 축 방향으로부터 보아 대략 진원이고,
상기 머플러의 상기 주위벽의 내주면의 형상은 축 방향으로부터 보아 대략 타원이고,
상기 머플러의 상기 주위벽의 내주면의 대략 타원의 긴 직경은 상기 단부판 부재의 상기 본체부의 외주면의 대략 진원의 직경보다 크고,
상기 머플러의 상기 주위벽의 내주면의 대략 타원의 짧은 직경은 상기 단부판 부재의 상기 본체부의 외주면의 대략 진원의 직경보다 작다.
이 실시 형태의 압축기의 머플러 설치 구조에 따르면, 상기 단부판 부재의 상기 본체부의 외주면의 형상은 축 방향으로부터 보아 대략 진원이고, 상기 머플러의 상기 주위벽의 내주면의 형상은 축 방향으로부터 보아 대략 타원이므로, 상기 머플러의 상기 주위벽의 내주면의 대략 타원의 긴 직경 방향이 헐거운 끼워 맞춤을 구성하고, 상기 머플러의 상기 주위벽의 내주면의 대략 타원의 짧은 직경 방향이 억지 끼워 맞춤을 구성한다. 이와 같이, 간단한 형상의 상기 단부판 부재 및 상기 머플러에 의해 상기 단부판 부재와 상기 머플러의 헐거운 끼워 맞춤 및 억지 끼워 맞춤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형태의 압축기의 머플러 설치 구조에서는,
상기 단부판 부재에 상기 머플러를 설치하기 전의 상태에서,
상기 단부판 부재의 상기 본체부의 외주면의 형상은 축 방향으로부터 보아 대략 타원이고,
상기 머플러의 상기 주위벽의 내주면의 형상은 축 방향으로부터 보아 대략 진원이고,
상기 단부판 부재의 상기 본체부의 외주면의 대략 타원의 긴 직경은 상기 머플러의 상기 주위벽의 내주면의 대략 진원의 직경보다 크고,
상기 단부판 부재의 상기 본체부의 외주면의 대략 타원의 짧은 직경은 상기 머플러의 상기 주위벽의 내주면의 대략 진원의 직경보다 작다.
본 실시 형태의 압축기의 머플러 설치 구조에 따르면, 상기 단부판 부재의 상기 본체부의 외주면의 형상은 축 방향으로부터 보아 대략 타원이고, 상기 머플러의 상기 주위벽의 내주면의 형상은 축 방향으로부터 보아 대략 진원이므로, 상기 단부판 부재의 상기 본체부의 외주면의 대략 타원의 짧은 직경 방향이 헐거운 끼워 맞춤을 구성하고, 상기 단부판 부재의 상기 본체부의 외주면의 대략 타원의 긴 직경 방향이 억지 끼워 맞춤을 구성한다. 이와 같이, 간단한 형상의 상기 단부판 부재 및 상기 머플러에 의해 상기 단부판 부재와 상기 머플러의 헐거운 끼워 맞춤 및 억지 끼워 맞춤을 실현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압축기의 머플러 설치 구조의 일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2는 압축기의 주요부의 평면도이다.
도3A는 머플러 설치 구조의 평면도이다.
도3B는 단부판 부재에 머플러를 설치하기 전의 상태의 단부판 부재와 머플러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간략 평면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압축기의 머플러 설치 구조의 다른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주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압축기의 머플러 설치 구조의 다른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간략 평면도이다.
도6은 종래의 압축기의 머플러 설치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도시의 실시 형태에 의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
도1은 본 발명의 압축기의 머플러 설치 구조의 일 실시 형태인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이 압축기는 소위 고압 돔형의 로터리 압축기이며, 케이싱(1) 내에 압축부(2)를 하부에, 모터(3)를 상부에 배치하고 있다. 이 모터(3)의 회전자(6)에 의해 구동축(12)을 통해 상기 압축부(2)를 구동하도록 하고 있다.
상기 압축부(2)는 도시하지 않은 어큐뮬레이터(accumulator)로부터 흡입관(11)을 통해 냉매 가스를 흡입한다. 이 냉매 가스는 이 압축기와 함께, 냉동 시 스템의 일례로서의 공기 조화기를 구성하는 도시하지 않은 응축기, 팽창 기구, 증발기를 제어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상기 압축기는 압축한 고온 고압의 토출 가스를 상기 압축부(2)로부터 토출하여 케이싱(1)의 내부에 충족시키는 동시에, 상기 모터(3)의 고정자(5)와 회전자(6) 사이의 간극을 지나 상기 모터(3)를 냉각한 후, 토출관(13)으로부터 외부에 토출하도록 하고 있다. 상기 케이싱(1) 내의 고압 영역의 하부에 윤활유(9)를 모으고 있다.
도1과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압축부(2)는 실린더실(22)을 형성하는 실린더 본체(21)와, 이 실린더 본체(21)의 상하의 개구 단부의 각각에 설치되어 상기 실린더실(22)에 덮개를 덮는 상측 단부판 부재(50) 및 하측 단부판 부재(24)를 구비한다.
상기 구동축(12)은 상기 상측의 단부판 부재(50) 및 상기 하측의 단부판 부재(24)를 관통하여 상기 실린더실(22)의 내부에 진입하고 있다.
상기 실린더실(22)에는, 상기 구동축(12)에 설치된 크랭크 핀(26)에 끼워 맞춘 롤러(27)를 공전 가능하게 배치하고, 이 롤러(27)의 공전 운동에 의해 압축 작용을 행하도록 하고 있다.
이 롤러(27)에 일체로 설치한 블레이드(28)로 상기 실린더실(22) 내부를 구획하고 있다. 즉,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블레이드(28)의 우측 실(室)은 상기 흡입관(11)이 상기 실린더실(22)의 내면에 개방되어 흡입실(22a)을 형성하고 있다. 한편, 상기 블레이드(28)의 좌측 실은 도1에 도시하는 토출 구멍(51a)이 상 기 실린더실(22)의 내면에 개방되어 토출실(22b)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 블레이드(28)의 양면에는 반원 형상의 부쉬(25, 25)가 밀착하여 밀봉을 행하고 있다. 상기 블레이드(28)와 상기 부쉬(25, 25)와의 사이에는 상기 윤활유(9)에 의해 윤활을 행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크랭크 핀(26)이 상기 구동축(12)과 함께 편심 회전하여, 상기 크랭크핀(26)에 끼워 맞추어진 상기 롤러(27)가 이 롤러(27)의 외주면을 상기 실린더실(22)의 내주면에 접촉하여 공전한다.
상기 롤러(27)가 상기 실린더실(22) 내에서 공전하는 데 수반하여, 상기 블레이드(28)는 이 블레이드(28)의 양 측면이 상기 부쉬(25, 25)에 의해 보유 지지되어 진퇴 이동한다. 그러면, 상기 흡입관(11)으로부터 저압의 냉매를 상기 흡입실(22a)에 흡입하고, 상기 토출실(22b)에서 압축하여 고압으로 한 후, 상기 토출 구멍(51a)으로부터 고압의 냉매를 토출한다.
도1과 도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상측 단부판 부재(50)[이하, 단순히 단부판 부재(50)라 함]는 원판 형상의 본체부(51)와, 이 본체부(51) 중앙에 상방으로 설치된 보스부(52)를 갖는다.
상기 본체부(51) 및 상기 보스부(52)는 상기 구동축(12)에 삽입 관통되어 있다. 상기 본체부(51)에는 상기 실린더실(22)에 연통하는 상기 토출 구멍(51a)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본체부(51)의 축 방향에서 상기 실린더 본체(21)와 반대측 단부면(51c)에는 판 형상의 토출 밸브(31)와 판 형상의 밸브 압박 부재(32)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토출판(31)의 일단부측은, 상기 실린더실(22) 내의 냉매(압축 가스)의 압력에 따라서 탄성 변형하여 상기 토출 구멍(51a)을 개폐한다. 상기 밸브 압박 부재(32)는 상기 단부판 부재(50)와 함께 움직여 상기 토출판(31)의 타단부측을 사이에 끼운다. 상기 밸브 압박 부재(32)는 상기 토출판(31)의 일단부가 필요 이상으로 변형(요동)하지 않도록 상기 토출판(31)의 움직임을 억제하고 있다.
상기 단부판 부재(50)에는 상기 본체부(51)의 상기 단부면(51c)을 덮도록 컵형 머플러(40)가 설치되어 있다. 이 머플러(40)는 상기 본체부(51)의 상기 단부면(51c)과 대략 평행한 상부 벽(42)과, 이 상부 벽(42)의 주위에 하방으로 설치된 주위벽(41)을 갖는다.
상기 머플러(40)의 상기 상부 벽(42)의 중앙에는 구멍부(42a)가 마련되고, 이 구멍부(42a)에 상기 단부판 부재(50)의 상기 보스부(52)가 삽입 관통되어 있다. 상기 구멍부(42a)의 내주면과 상기 보스부(52)의 외주면 사이에는 간극(S)이 마련되어 있다. 이 간극(S)은 상기 구동축(12)의 축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 토출 구멍(51a)과 대칭인 위치에 있다.
상기 머플러(40)의 상기 주위벽(41)은 상기 단부판 부재(50)의 상기 본체부(51)의 외주면(51b)에 끼워 넣어져 있다. 상기 머플러(40)는 (볼트 등의)고정 부재(35)에 의해 상기 단부판 부재(50)의 상기 본체부(51)의 상기 단부면(51c)에 접촉되어 고정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서술하면, 상기 머플러(40)의 상기 상부 벽(42)에는 상기 머플러(40)의 개구측으로 오목해져 있는 오목부(42b)를 갖는다. 이 오목부(42b)는 상 기 주위벽(41)의 근방에서 상기 구동축(12)의 축에 대해 대칭된 위치에 2개 설치되어 있다. 즉, 상기 상부 벽(42)은 축 방향으로부터 보아 표주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 부재(35)는 상기 오목부(42b)에 배치되고, 상기 고정 부재(35)의 체결에 의해 상기 오목부(42b)는 상기 단부판 부재(50)의 상기 본체부(51)의 상기 단부면(51c)에 밀접한다.
그리고, 상기 실린더실(22)의 압축 가스는 상기 단부판 부재(50)의 상기 본체부(51)의 상기 토출 구멍(51a)을 통해 상기 머플러(40)의 내측으로 유입하고, 상기 머플러(40)와 상기 단부판 부재(50)와의 사이의 상기 간극(S)으로부터 상기 머플러(40)의 외측으로 유출한다.
상기 고정 부재(35)의 근방에 있어서, 상기 머플러(40)의 상기 주위벽(41)의 내주면(41a)과, 상기 단부판 부재(50)의 상기 본체부(51)의 외주면(51b)은 헐거운 끼워 맞춤이다. 한편, 상기 고정 부재(35)로부터 이격된 부분에 있어서, 상기 머플러(40)의 상기 주위벽(41)의 내주면(41a)과, 상기 단부판 부재(50)의 상기 본체부(51)의 외주면(51b)은 억지 끼워 맞춤이다.
구체적으로 서술하면, 상기 단부판 부재(50)에 상기 머플러(40)를 설치하기 전의 상태에서, 상기 단부판 부재(50)의 상기 본체부(51)의 외주면(51b)의 형상은 축 방향으로부터 보아 대략 진원이다. 한편, 도3A의 가상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머플러(40)의 상기 주위벽(41)의 내주면(41a)의 형상은 축 방향으로부터 보아 대략 진원이다.
즉, 도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머플러(40)의 상기 주위벽(41)의 내주면(41a)의 대략 타원의 긴 직경(Ld1)은 상기 단부판 부재(50)의 상기 본체부(51)의 외주면(51b)의 대략 진원의 직경(D1)보다 크다. 한편, 상기 머플러(40)의 상기 주위벽(41)의 내주면(41a)의 대략 타원의 짧은 직경(Sd1)은 상기 단부판 부재(50)의 상기 본체부(51)의 외주면(51b)의 대략 진원의 직경(D1)보다 작다.
상기 구성의 압축기의 머플러 설치 구조에 따르면, 상기 고정 부재(35)의 근방에 있어서 상기 머플러(40)의 상기 주위벽(41)의 내주면(41a)과 상기 단부판 부재(50)의 상기 본체부(51)의 외주면(51b)은 헐거운 끼워 맞춤인 한편, 상기 고정 부재(35)로부터 이격된 부분에 있어서, 상기 머플러(40)의 상기 주위벽(41)의 내주면(41a)과 상기 단부판 부재(50)의 상기 본체부(51)의 외주면(51b)은 억지 끼워 맞춤이므로, 상기 고정 부재(35)의 근방에서는 상기 고정 부재(35)에 의해 상기 머플러(40)와 상기 단부판 부재(50)와의 밀봉성을 확보할 수 있는 한편, 상기 고정 부재(35)로부터 이격된 부분에서는, 상기 머플러(40)의 상기 주위벽(41)의 내주면(41a)과 상기 단부판 부재(50)의 상기 본체부(51)의 외주면(51b)을 확실하게 접촉시켜 상기 머플러(40)와 상기 단부판 부재(50)와의 밀봉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머플러(40)와 상기 단부판 부재(50)와의 접촉 상태가 안정되어 있으므로, 이하의 (A), (B), (C)의 효과가 있다.
(A) 상기 머플러(40)와 상기 단부판 부재(50)와의 접촉 부위로부터의 가스 누설을 억제하여 압축기의 내부에 있는 상기 윤활유(9)의 뿜어 올림을 방지한다.
(B) 상기 머플러(40)와 상기 단부판 부재(50)와의 접촉 부위로부터의 가스의 맥동의 누설을 억제하여, 노이즈를 방지하여 소음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C) 상기 머플러(40)와 상기 단부판 부재(50)를 확실하게 접촉할 수 있어, 상기 머플러(40) 자체의 고유 진동의 여기를 방지하여 소음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머플러(40)의 상기 주위벽(41)의 내주면(41a)과 상기 단부판 부재(50)의 상기 본체부(51)의 외주면(51b)은 헐거운 끼워 맞춤, 및 억지 끼워 맞춤을 이용하고 있으므로, 이하의 (D), (E)의 효과가 있다.
(D) 상기 머플러(40)의 탄성 변형에 의한 상기 단부판 부재(50)에의 압축 하중이 작아져, 상기 머플러(40)와 상기 단부판 부재(50)와의 조립이 용이해진다.
(E) 상기 머플러(40)의 탄성 변형에 의한 상기 단부판 부재(50)에의 압축 하중이 작아져, 상기 단부판 부재(50)의 왜곡을 억제하여 상기 머플러(40)와 상기 단부판 부재(50)와의 조립 정밀도가 향상된다.
따라서, 밀봉성의 향상, 소음 효과의 향상, 조립의 용이화 및 조립 정밀도의 향상을 동시에 충족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머플러(40)는 상기 고정 부재(35)에 의해 상기 단부판 부재(50)의 상기 본체부(51)의 상기 단부면(51c)에 접촉되어 고정되어 있으므로, 상기 고정 부재(35)의 근방에 있어서 상기 머플러(40)는 상기 단부판 부재(50)의 상기 본체부(51)의 상기 단부면(51c)과의 접촉에 의해 밀봉성을 확보하고 있어, 가스 누설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부판 부재(50)의 상기 본체부(51)의 외주면(51b)의 형상은 축 방향으로부터 보아 대략 진원이고, 상기 머플러(40)의 상기 주위벽(41)의 내주면(41a)의 형상은 축 방향으로부터 보아 대략 타원이므로, 상기 머플러(40)의 상기 주위벽(41)의 내주면(41a)의 대략 타원의 긴 직경(Ld1) 방향이 헐거운 끼워 맞춤을 구성하고, 상기 머플러(40)의 상기 주위벽(41)의 내주면(41a)의 대략 타원의 짧은 직경(Sd1) 방향이 억지 끼워 맞춤을 구성한다. 이와 같이, 간단한 형상의 상기 단부판 부재(50) 및 상기 머플러(40)에 의해 상기 단부판 부재(50)와 상기 머플러(40)의 헐거운 끼워 맞춤 및 억지 끼워 맞춤을 실현할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
도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1에 도시하는 상기 제1 실시 형태와 상위한 점을 설명한다.
도4의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머플러(40)의 상기 주위벽(41)은 상기 고정 부재(35)에 의해 상기 단부판 부재(50)의 상기 본체부(51)의 외주면(51b)에 접촉되어 고정되어 있다. 즉, 상기 머플러(40)의 상기 주위벽(41)의 내주면(41a)과, 상기 단부판 부재(50)의 상기 본체부(51)의 외주면(51b)이 상기 고정 부재(35)의 체결에 의해 밀접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머플러(40)의 상기 주위벽(41)은 상기 고정 부재(35)에 의해 상기 단부판 부재(50)의 상기 본체부(51)의 외주면(51b)에 접촉되어 고정되어 있으므로, 상기 머플러(40)를 단순한 컵형으로 할 수 있어, 상기 머플러(40)를 간단하게 형성할 수 있다.
(제3 실시 형태)
도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3B에 도시하는 상기 제1 실시 형태와 상위한 점을 설명한다.
도5의 제3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단부판 부재(50)에 상기 머플러(40)를 설치하기 전의 상태에서, 상기 단부판 부재(50)의 상기 본체부(51)의 외주면(51b)의 형상은 축 방향으로부터 보아 대략 타원이고, 상기 머플러(40)의 상기 주위벽(4l)의 내주면(41a)의 형상은 축 방향으로부터 보아 대략 진원이다.
즉, 상기 단부판 부재(50)의 상기 본체부(51)의 외주면(51b)의 대략 타원의 긴 직경(Ld2)은 상기 머플러(40)의 상기 주위벽(41)의 내주면(41a)의 대략 진원의 직경(D2)보다 크고, 상기 단부판 부재(50)의 상기 본체부(51)의 외주면(51b)의 대략 타원의 짧은 직경(Sd2)은 상기 머플러(40)의 상기 주위벽(41)의 내주면(41a)의 대략 진원의 직경(D2)보다 작다.
그리고, 상기 단부판 부재(50)의 상기 본체부(51)의 외주면(51b)의 대략 타원의 짧은 직경(Sd2) 방향이 헐거운 끼워 맞춤을 구성하고, 상기 단부판 부재(50)의 상기 본체부(51)의 외주면(51b)의 대략 타원의 긴 직경(Ld2) 방향이 억지 끼워 맞춤을 구성한다. 즉, 상기 단부판 부재(50)의 상기 본체부(51)의 외주면(51b)의 대략 타원의 짧은 직경(Sd2) 방향을 따라 상기 고정 부재(35)가 배치된다.
이와 같이, 간단한 형상의 상기 단부판 부재(50) 및 상기 머플러(40)에 의해 상기 단부판 부재(50)와 상기 머플러(40)의 헐거운 끼워 맞춤 및 억지 끼워 맞춤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고정 부재(35)의 수량을 증감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의 머플러 설치 구조를 스윙 압축기 이외의 용적형 압축기 등에 이용해도 좋다. 또한, 상기 머플러(40)의 상기간극(S)의 위치나 형상 등은 상술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상기 보스부(52)의 외주면의 전체 둘레에 걸쳐서 상기 간극을 마련해도 좋다.

Claims (5)

  1. 실린더 본체(2l)의 개구 단부에 설치되는 단부판 부재(50)와,
    이 단부판 부재(50)에 설치되는 컵형 머플러(40)와,
    상기 머플러(40)를 상기 단부판 부재(50)에 고정하는 고정 부재(35)를 구비하고,
    상기 머플러(40)는 상기 단부판 부재(50)의 본체부(51)의 외주면(51b)에 끼워 넣어지는 주위벽(41)을 갖고,
    상기 고정 부재(35)의 근방에 있어서, 상기 머플러(40)의 상기 주위벽(41)의 내주면(41a)과, 상기 단부판 부재(50)의 상기 본체부(51)의 외주면(51b)은 헐거운 끼워 맞춤인 한편,
    상기 고정 부재(35)로부터 이격된 부분에 있어서, 상기 머플러(40)의 상기 주위벽(41)의 내주면(41a)과, 상기 단부판 부재(50)의 상기 본체부(51)의 외주면(51b)은 억지 끼워 맞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의 머플러 설치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머플러(40)는 상기 고정 부재(35)에 의해 상기 단부판 부재(50)의 상기 본체부(51)의 단부면(51c)에 접촉되어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의 머플러 설치 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머플러(40)의 상기 주위벽(41)은, 상기 고정 부재(35) 에 의해 상기 단부판 부재(50)의 상기 본체부(51)의 외주면(51b)에 접촉되어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의 머플러 설치 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판 부재(50)에 상기 머플러(40)를 설치하기 전의 상태에서,
    상기 단부판 부재(50)의 상기 본체부(51)의 외주면(51b)의 형상은 축 방향으로부터 보아 대략 진원이고,
    상기 머플러(40)의 상기 주위벽(41)의 내주면(41a)의 형상은 축 방향으로부터 보아 대략 타원이고,
    상기 머플러(40)의 상기 주위벽(41)의 내주면(41a)의 대략 타원의 긴 직경(Ld1)은 상기 단부판 부재(50)의 상기 본체부(51)의 외주면(51b)의 대략 진원의 직경(D1)보다 크고,
    상기 머플러(40)의 상기 주위벽(41)의 내주면(41a)의 대략 타원의 짧은 직경(Sd1)은 상기 단부판 부재(50)의 상기 본체부(51)의 외주면(51b)의 대략 진원의 직경(D1)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의 머플러 설치 구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판 부재(50)에 상기 머플러(40)를 설치하기 전의 상태에서,
    상기 단부판 부재(50)의 상기 본체부(51)의 외주면(51b)의 형상은 축 방향으 로부터 보아 대략 타원이고,
    상기 머플러(40)의 상기 주위벽(41)의 내주면(41a)의 형상은 축 방향으로부터 보아 대략 진원이고,
    상기 단부판 부재(50)의 상기 본체부(51)의 외주면(51b)의 대략 타원의 긴 직경(Ld2)은 상기 머플러(40)의 상기 주위벽(41)의 내주면(41a)의 대략 진원의 직경(D2)보다 크고,
    상기 단부판 부재(50)의 상기 본체부(51)의 외주면(51b)의 대략 타원의 짧은 직경(Sd2)은 상기 머플러(40)의 상기 주위벽(41)의 내주면(41a)의 대략 진원의 직경(D2)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의 머플러 설치 구조.
KR1020077012373A 2004-11-04 2005-11-02 압축기의 머플러 설치 구조 KR1008587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320486A JP3941809B2 (ja) 2004-11-04 2004-11-04 圧縮機のマフラー取付構造
JPJP-P-2004-00320486 2004-11-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5605A true KR20070085605A (ko) 2007-08-27
KR100858773B1 KR100858773B1 (ko) 2008-09-16

Family

ID=363192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12373A KR100858773B1 (ko) 2004-11-04 2005-11-02 압축기의 머플러 설치 구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7857602B2 (ko)
EP (1) EP1808602B1 (ko)
JP (1) JP3941809B2 (ko)
KR (1) KR100858773B1 (ko)
CN (1) CN100501157C (ko)
AU (1) AU2005301706A1 (ko)
ES (1) ES2429874T3 (ko)
WO (1) WO200604921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25677B2 (ja) * 2007-01-24 2009-09-02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ロータリー圧縮機
BR112012031191A2 (pt) * 2010-06-09 2016-11-01 Arcelik As compressor hermético
CN104989620A (zh) * 2015-06-09 2015-10-21 安庆卡尔特压缩机有限公司 一种改进型压缩机
CN108468644A (zh) * 2018-05-30 2018-08-31 广东美芝制冷设备有限公司 压缩机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00085U (ko) * 1978-12-29 1980-07-11
JPS5663888U (ko) * 1979-10-22 1981-05-29
US4418533A (en) * 1980-07-14 1983-12-06 Mechanical Technology Incorporated Free-piston stirling engine inertial cancellation system
JPS5827583U (ja) * 1981-08-18 1983-02-22 三菱電機株式会社 回転式電動圧縮機
JPS5879089U (ja) * 1981-11-25 1983-05-28 三洋電機株式会社 回転式圧縮機
JPS59165889A (ja) * 1983-03-10 1984-09-19 Toshiba Corp 密閉形回転式圧縮機
JPS59175689U (ja) * 1983-05-11 1984-11-24 三洋電機株式会社 回転圧縮機
JPS62135694A (ja) * 1985-12-09 1987-06-18 Mitsubishi Electric Corp 回転式圧縮機の冷媒吐出マフラ−装置
JPS62210284A (ja) * 1986-03-12 1987-09-1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密閉型回転式圧縮機
JPH0286991A (ja) * 1988-09-22 1990-03-27 Mitsubishi Electric Corp 密閉型回転圧縮機
JPH0351197U (ko) * 1989-09-26 1991-05-17
JPH05223085A (ja) * 1992-02-07 1993-08-31 Daikin Ind Ltd 密閉形圧縮機
JPH062689A (ja) 1992-06-22 1994-01-11 Mitsubishi Heavy Ind Ltd 圧縮機の吐出マフラ
JPH06221284A (ja) * 1993-01-29 1994-08-09 Toshiba Corp 流体圧縮機
FR2768861B1 (fr) * 1997-09-19 1999-12-03 Smoby Boitier a piles pour jouet, et jouet equipe d'un tel boitier
KR100283653B1 (ko) * 1999-01-14 2001-02-15 윤종용 밀폐형 회전 압축기의 토출 머플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044321A (zh) 2007-09-26
KR100858773B1 (ko) 2008-09-16
EP1808602A1 (en) 2007-07-18
EP1808602B1 (en) 2013-09-18
JP3941809B2 (ja) 2007-07-04
US20070292284A1 (en) 2007-12-20
WO2006049219A1 (ja) 2006-05-11
JP2006132382A (ja) 2006-05-25
AU2005301706A1 (en) 2006-05-11
ES2429874T3 (es) 2013-11-18
US7857602B2 (en) 2010-12-28
EP1808602A4 (en) 2011-06-15
CN100501157C (zh) 2009-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0687B1 (ko) 압축기
AU2007230458B2 (en) Compressor
KR100858773B1 (ko) 압축기의 머플러 설치 구조
JP6048044B2 (ja) 回転式圧縮機
JP2008163874A (ja) ロータリー圧縮機
JP6727300B2 (ja) ロータリー圧縮機
JP3669025B2 (ja) 密閉型電動圧縮機
JP3783720B2 (ja) 圧縮機
JP2018184880A (ja) 電動圧縮機
JP2019035391A (ja) 圧縮機
KR100763945B1 (ko) 압축기
JP3940808B2 (ja) 圧縮機
JP2007146852A (ja) 圧縮機
US10612548B2 (en) Refrigerant path holes in a rotary compressor
JP2006161705A (ja) 密閉型圧縮機
KR100305864B1 (ko) 로터리 압축기의 변형 방지구조
KR101134228B1 (ko) 로타리압축기의 소음기 장착구조
JP2006291731A (ja) ベーンロータリ圧縮機
JP2020084822A (ja) ロータリー圧縮機
JP2018013102A (ja) 圧縮機
KR20010011427A (ko) 압축기용 실린더의 압축가스 토출 구조
JP2002070744A (ja) 冷媒圧縮機
KR20060011169A (ko) 로타리압축기의 압축기구부 지지구조
JPH11336685A (ja) 回転式圧縮機
JP2009257149A (ja) 吸入流路変更アダプタ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2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