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84592A - 전극 및 이온토포레시스 장치 - Google Patents

전극 및 이온토포레시스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84592A
KR20070084592A KR1020077011950A KR20077011950A KR20070084592A KR 20070084592 A KR20070084592 A KR 20070084592A KR 1020077011950 A KR1020077011950 A KR 1020077011950A KR 20077011950 A KR20077011950 A KR 20077011950A KR 20070084592 A KR20070084592 A KR 200700845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ive sheet
electrode
conductive
terminal member
carbon fi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119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끼히꼬 마쯔무라
다께히꼬 마쯔무라
미즈오 나까야마
히데로 아끼야마
Original Assignee
트랜스큐 테크놀로지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트랜스큐 테크놀로지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트랜스큐 테크놀로지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845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45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20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continuous direct currents
    • A61N1/30Apparatus for iontophoresis, i.e. transfer of media in ionic state by an electromotoric force into the body, or cataphore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08Use-related aspects
    • A61N1/0428Specially adapted for iontophoresis, e.g. AC, DC or including drug reservoi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72Structure-related aspects
    • A61N1/048Electrodes characterised by a specific connection between lead and electrod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72Structure-related aspects
    • A61N1/0492Patch electr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08Use-related aspects
    • A61N1/0428Specially adapted for iontophoresis, e.g. AC, DC or including drug reservoirs
    • A61N1/0432Anode and cathode
    • A61N1/0436Material of the electrod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08Use-related aspects
    • A61N1/0428Specially adapted for iontophoresis, e.g. AC, DC or including drug reservoirs
    • A61N1/0444Membra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08Use-related aspects
    • A61N1/0428Specially adapted for iontophoresis, e.g. AC, DC or including drug reservoirs
    • A61N1/0448Drug reservoi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이온토포레시스 장치 등의 생체에의 통전이 행해지는 장치에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는 전극이 개시된다. 해당 전극은 비금속 재료로 이루어지는 도전성의 단자 부재와, 상기 단자 부재에 부착된 비금속 재료로 이루어지는 도전 시트를 갖고, 상기 도전 시트가 상기 단자 부재보다 낮은 고유 저항을 갖는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도전 시트가 탄소 섬유 또는 탄소 섬유지로 구성되거나, 탄소 섬유 또는 탄소 섬유지 및 이것에 함침된 고분자 엘라스토머로 구성된다. 상기 단자 부재는 고분자 매트릭스와, 해당 고분자 매트릭스 중에 분산하는 비금속 도전 충전제로 구성할 수 있다.
전극, 이온토포레시스 장치, 도전 시트, 고분자 매트릭스, 비금속 도전 충전제

Description

전극 및 이온토포레시스 장치 {ELECTRODE AND IONTOPHORESIS APPARATUS}
본 발명은 이온토포레시스 장치나 저주파 치료기 등의 생체에의 통전이 행해지는 기기에 사용되는 전극에 관한 것이고, 보다 상세하게는 면 저항이 낮으며 금속 이온의 생체에의 이행에 관한 대책이 실시된 전극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면 저항이 낮으며 금속 이온의 생체에의 이행에 관한 대책이 실시된 전극을 구비하는 이온토포레시스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온토포레시스 장치나 저주파 치료기 등의 기기는 약제의 투여를 행하거나 마사지 등의 효과를 얻기 위해서 피부를 통해서 생체(인체 등)에의 통전을 행하도록 되어 있다.
이들 기기에서 생체에의 통전에 사용되는 전극("도자(導子)"라고도 함)은 대부분의 경우, 장치 본체로부터의 통전을 받기 위한 금속 재료로 형성된 단자 부재와 해당 단자 부재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일정한 면적(예를 들면, 10 내지 50 mmφ, 또는 10 내지 50 mm 각 정도)을 갖는 도전 시트를 구비하고 있고, 대부분의 경우 상기 도전 시트와 생체의 피부 사이에 배치된, 피부와의 밀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한(또는 생체에 투여하기 위한 약제를 유지하기 위한) 추가적인 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이들 전극에서는 전극의 생체에의 밀착성을 높이며 절곡 등에 의한 파손을 방지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상기 도전 시트에는 카본 분말을 혼입시킨 도전성 수지나 도전성 실리콘 고무, 또는 금속 박막 등의 유연성이 높은 시트재가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도전성 수지나 도전성 실리콘 고무의 유연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카본의 혼입량을 일정 비율 이하로 억제하는 것이 필요하고, 그 경우에는 도전 시트의 저항값이 커지는 문제가 있다.
즉, 이 종류의 전극에서의 도전 시트는 약제의 투여 효율을 높이거나 적절한 마사지 효과를 얻기 위해서 어느 일정한 면적을 갖도록 되어 있고, 통전은 그 면적의 전체로부터 행해지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도전 시트의 저항값이 커지면 도전 시트 상에서의 단자 부재로부터 떨어진 부위로부터의 전류 밀도는 작아지고 통전은 오로지 단자 부재의 근방의 약간의 면적에서부터 행해지게 된다.
한편, 금속 박막으로 이루어지는 도전 시트는 대부분의 경우 저저항이고 박막화에 의해서 충분한 유연성을 용이하게 얻을 수 있지만 생체에의 통전을 행하는 사이에 도전 시트의 금속 성분이 이온화하고 이것이 생체 내에 이행하여 건강에 피해를 줄 가능성이 있다.
이와 관련해서, 은 박막으로 이루어지는 도전 시트의 경우에는 건강 피해의 염려가 작다고 하지만, 실제로는 은 박막에 불가피하게 포함되는 불순물 금속이 이온화하고 이것이 생체에 이행하는 문제가 있어 건강 피해의 염려를 완전히 해소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2-233584호 공보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감안하여, 생체에의 통전에 사용되는 전극이며, 저항값이 낮고 따라서 통전시에 도전 시트의 전체로부터 보다 균일한 전류 밀도로 통전을 행할 수 있으며 금속 이온의 생체에의 이행의 문제가 해결된 전극, 및 이 전극을 사용하는 이온토포레시스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발명의 구성 및 작용>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한 것이고,
비금속 재료로 이루어지는 도전성의 단자 부재 및 상기 단자 부재에 부착된 비금속 재료로 이루어지는 도전 시트를 갖는 전극이며,
상기 도전 시트가 상기 단자 부재보다 낮은 고유 저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이다.
즉, 본 발명에서는 이온토포레시스 장치나 저주파 치료기 등의 기기로부터의 통전을 받기 위한 단자 부재 및 생체에의 통전을 행하기 위한 도전 시트가 모두 금속을 포함하지 않는 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통전 중에서의 금속 이온의 생체에의 이행의 문제를 해소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도전 시트와 단자 부재가 함께 비금속 재료로 구성되는 별개의 부재로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도전 시트로는 생체에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고, 어느 정도의 유연성을 갖고 있는 한 고유 저항이 낮은 재료를 넓게 비금속 재료로부터 선택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한편 단자 부재에 대해서는 단자로서의 강도나 내구성, 내약품성을 갖고 있는 한 어느 정도 고유 저항이 높은 재료여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등, 재료 선택의 폭이 넓어지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경우, 도전 시트는 1 내지 30 Ω/□, 특히 1 내지 10 Ω/□의 표면 저항값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에 따라 도전 시트의 전체면으로부터 실질적으로 균일한 전류 밀도에서의 통전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생체에의 적용에 알맞은 충분한 유연성을 가지며 상기한 표면 저항값을 실현할 수 있는 구체적인 구성으로서, 본 발명의 도전 시트는 탄소 섬유 또는 탄소 섬유지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탄소 섬유로는, 도전 시트의 전체면으로부터 실질적으로 균일한 전류 밀도에서의 통전을 행할 수 있을 정도의 충분히 높은 도전성을 갖고 있는 한 천연 섬유계 탄소 섬유, 폴리아크릴로니트릴계 탄소 섬유, 피치계 탄소 섬유, 레이온계 탄소 섬유 등 모든 종류의 탄소 섬유를 사용할 수 있고, 탄소 섬유지로는 임의의 탄소 섬유를 초지 기술을 이용하여 매트상, 또는 페이퍼상으로 성형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도전 시트는 탄소 섬유 또는 탄소 섬유지, 및 상기 탄소 섬유 또는 상기 탄소 섬유지에 함침된 고분자 엘라스토머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이에 따라 탄소 섬유 또는 탄소 섬유지의 탈락에 의한 전극의 품질 저하를 방지하고 제조 공정 등에서의 전극의 취급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여기서 사용되는 고분자 엘라스토머로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이나 실리콘 고무 등의 유연성이 높고 생체에 대하여 유독성의 물질을 포함하지 않는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피부와 도전 시트의 접촉 저항, 또는 도전 시트와 피부 사이에 배치되는 도전성 매체와 도전 시트의 접촉 저항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고분자 엘라스토머에 비금속 도전 충전제를 분산시키는 등에 의해 도전성이 높여진 고분자 엘라스토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 발명에서의 단자 부재는 고분자 매트릭스 및 해당 고분자 매트릭스중에 분산하는 비금속 도전 충전제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고분자 매트릭스로는 생체에의 안전성으로부터 실리콘 고무나 실리콘 수지가 특히 바람직하게 사용되지만, 접속 단자로서의 역할을 할 만한 충분한 기계적인 강도나 내구성 등의 특성을 단자 부재에 부여할 수 있는 한, 천연 고무나 합성 고무 등의 다른 고무 재료, 또는 열경화성 수지나 열가소성 수지 등의 다른 천연 또는 합성 수지 재료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고분자 매트릭스에 혼입되는 비금속 충전제로는 카본을 특히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그래파이트나 흑연, 카본 블랙, 또는 유리상 탄소의 미세 분말이나 탄소 섬유를 재단한 단섬유 등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고분자 매트릭스에 대한 카본의 혼입량은 단자 부재에 요구되는 강도와 도전성과의 균형에 의해 결정할 수 있지만, 후술하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서도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단자 부재는 비교적 그 단면이 굵고 길이가 짧은 형태로 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반드시 높은 도전성을 갖는 조성으로 할 필요는 없고, 예를 들면 고분자 매트릭스로서 실리콘 고무를 사용하고 카본으로서 카본 블랙을 사용한 경우에는 실리콘 고무 100 중량부에 대하여 카본 블랙 20 내지 60 중량부를 배합한 조성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극에서는 단자 부재를 구성하는 고분자 매트릭스의 일부, 또는 고분자 매트릭스의 일부와 카본의 일부를 탄소 섬유 또는 탄소 섬유지에 함침시킨 상태로 고화시킴으로써 단자 부재를 도전 시트에 부착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경우에는 단자 부재의 부착을 위한 부재를 도전 시트의 전면측(생체측)에 설치하는 것이 불필요해지기 때문에 도전 시트의 전면에 돌기부를 설치한 경우에 발생하는 피부와 전극의 밀착성 저하의 문제를 회피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단자 부재의 도전 시트에의 부착을 일체 성형에 의해 행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에 따라 전극의 제조 비용의 감소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단자 부재는 이온토포레시스 장치나 저주파 치료기 등의 전원에 접속되는 커넥터의 암형(雌型)(또는, 수형(雄型)) 감합부에 감합하는 수형(또는, 암형) 감합부를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에 따라 접속 조작의 편리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전극은 보다 낮은 전압으로 보다 높은 약제의 투여 효율을 얻기 위해서 보다 넓은 면적으로부터의 균일한 전류 밀도에서의 통전이 요망되고 또한 금속 이온의 생체에의 이행의 회피가 필요해지고 있는 이온토포레시스 장치에 특히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적어도 이온토포레시스 장치가 구비하는 작용측 전극 구조체 및 비작용측 전극 구조체 중 어느 하나에 상기 본 발명의 전극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음이온으로 해리되는 약제를 투여하는 이온토포레시스 장치의 경우이면, 적어도 비작용측 전극 구조체에서 상기 본 발명의 전극을 사용하고 양이온으로 해리되는 약제를 투여하는 이온토포레시스 장치의 경우이면, 적어도 작용측 전극 구조체에서 상기 본 발명의 전극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이온토포레시스 장치는
전원, 작용측 전극 구조체, 비작용측 전극 구조체를 구비하고,
해당 작용측 전극 구조체가
상기 전원의 제1 도전형의 단자에 접속되는 제1 전극,
상기 제1 전극의 전면에 배치된 제1 도전성 매체층,
상기 제1 도전성 매체층의 전면에 배치된 상기 제1 도전형과는 반대의 도전형인 제2 도전형의 이온을 선택하는 제1 이온 교환막,
상기 제1 이온 교환막의 전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도전형의 이온으로 해리한 약제를 포함하는 약제 용액을 유지하는 약제층, 및
상기 약제층의 전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도전형의 이온을 선택하는 제2 이온 교환막을 구비하고,
상기 비작용측 전극 구조체가
상기 전원의 상기 제2 도전형의 단자에 접속되는 제2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의 전면에 배치된 제2 도전성 매체층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제2 전극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비금속 재료로 이루어지는 도전성의 단자 부재와, 상기 단자 부재에 부착된 비금속 재료로 이루어지는 도전 시트를 갖는 전극이며, 상기 도전 시트가 상기 단자 부재보다 낮은 고유 저항을 갖는 전극으로 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고, 이에 따라 생체로부터의 약제 이온과 반대 도전형을 갖는 이온의 작용측 전극에의 이행을 억제하는 것에 의한 약제 이온의 생체 내에의 효율적인 투여, 작용측 전극 구조체의 도전 시트 근방에서 발생하는 H+ 이온, OH- 이온 등이 약제층에 이행하여 pH가 변화되는 것에 의한 생체 피부에의 악영향의 방지 등의 효과를 가질 뿐만 아니라, 금속 이온이 생체에 이행할 염려를 수반하지 않고 도전 시트의 면적 전체로부터 균일한 전류 밀도로 약제 이온을 효율적으로 생체에 투여할 수 있는 이온토포레시스 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온토포레시스 장치에서의 비작용측 전극 구조체를, 추가로
상기 제2 도전성 매체층의 전면에 배치된, 상기 제2 도전형의 이온을 선택하는 제3 이온 교환막을 구비하게 하고, 또는
상기 제2 도전성 매체층의 전면에 배치된, 상기 제1 도전형의 이온을 선택하는 제4 이온 교환막,
상기 제4 이온 교환막의 전면에 배치된 제3 도전성 매체층, 및
상기 제3 도전성 매체층의 전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도전형의 이온을 선택하는 제5 이온 교환막을 구비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 경우에는 비작용측 전극 구조체의 도전성 매체층에서의 전기 분해에 의해 발생하는 산소 가스, 염소 가스 등에 의한 통전 저항의 증대 내지 염소 가스 등의 유해 가스에 의한 생체에의 악영향이나, 비작용측 전극 구조체의 도전 시트의 근방에서 발생하는 H+ 이온, OH- 이온에 의한 pH 변화로부터 오는 생체 피부에의 손상 등의 문제를 경감시키고 장시간 안정적인 통전 상태에서의 안전한 약제의 투여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 발명에서 제1 또는 제2 도전형은 양 또는 음을 의미하고, 제1 또는 제2 도전형의 이온을 선택하는 이온 교환막은 양이온 또는 음이온을 선택적으로 통과시키는 이온 교환막, 즉 양이온 교환막 또는 음이온 교환막을 의미한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도면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전극 (10a)의 평면도이고 도 1(b), (c)는 해당 전극 (10a)의 단면도이다.
도 1(a),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극 (10a)는 수형 감합부 (11a), 본체부 (11b) 및 접합부 (11c)를 구비하는 도전성 실리콘 고무에 의해 형성된 단자 부재 (11)과, 견포, 목면 등의 직포를 고온 처리에 의해 탄화시킨 탄소 섬유로 이루어지는 도전 시트 (12)를 구비하고 있다.
이 단자 부재 (11)은 도전 시트 (12) 상에 배치한 금형 중에서 실리콘 고무 100 중량부에 카본 블랙 50 중량부, 및 황계 가황제 5 중량부를 배합한 화합물을 140 내지 160 ℃에서 가황시킨 것이고, 상기 화합물 중 실리콘 고무 및 카본 블랙이 가황 처리 중에 도전 시트 (12)를 구성하는 탄소 섬유 중에 함침시킨 상태에서 고화함으로써 도전 시트 (12)에 일체화되어 있다.
또한, 전극 (10a)는 도전 시트 (12)의 상면의 보호를 위해, 또는 전극 (10a)를 후술하는 바와 같이 도전성 매체 등의 액체와 조합하여 사용한 경우에, 그 액체가 도전 시트 (12) 상측에 삼출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도 1(c)에 도시한 바와 같은 커버 (13)을 설치할 수 있다.
도 2(a) 내지 (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전극 (10b) 내지 (10d)의 단면도이다.
도 2(a) 내지 (c)의 전극 (10b) 내지 (10d)는 전극 (10a) 와 마찬가지의 소재로 형성된 단자 부재 (11), 도전 시트 (12)를 구비하고 있지만 도 1에 도시한 전극 (10a)와는 단자 부재 (11)에의 도전 시트 (12)의 부착의 양태에서 상이하다.
즉, 도 2(a)의 전극 (10b)에서는 단자 부재 (11)의 아래쪽에 계지부 (11d), (11e)가 형성되어 있고 도전 시트 (12)는 그 중앙에 설치된 작은 구멍에 계지부 (11e)를 삽입 관통시킴으로써 단자 부재 (11)에 부착되어 있고 도 2(b)의 전극 (10c)에서는 추가로 계지부 (11e)의 폭을 좁혀 끝이 가늘어지는 형상으로 함으로써 도전 시트 (12)의 작은 구멍에의 삽입 관통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 2(c)의 전극 (10d)에서는 단자 부재 (11)의 본체부 (11b) 내에 축 구멍이 형성되고 단자 부재 (11)과 마찬가지의 도전성 실리콘 고무로 이루어지는 스토퍼 (14)의 축 (14a)를 상기 축 구멍에 매립함으로써 도전 시트 (12)가 스토퍼 (14)의 계지부 (14b)에 끼워져 있다.
상기한 각 전극 (10a) 내지 (10d)에서는 이온토포레시스 장치나 저주파 치료기 등의 기기로부터의 배선이 수형 감합부 (11a)에 접속되고, 생체에의 전류가 수형 감합부 (11a)→본체부 (11b)→접합부 (11c)→도전 시트 (12)를 거쳐 도전 시트 (12)의 아래쪽으로 위치하는 생체 피부로 유도된다.
이 경우, 본체부 (11b)의 치수는, 예를 들면 1 내지 3 mmφ 직경× 0.5 내지 2 mm 길이 등과 같이 대직경으로 짧게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단자 부재 (11)을 구성하는 재료가 반드시 높은 도전성을 갖지 않는 경우에도 단자 부재 (11)의 형상, 치수의 설정에 의해 도전 시트 (12)에의 통전에 지장이 생기지 않도록 하는 것은 용이하고, 따라서 단자 부재 (11)에 대해서는 강도나 내구성, 내약품성 등의 특성을 우선한 재료 설계를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탄소 섬유로 이루어지는 도전 시트는, 예를 들면 1 내지 10 Ω/□(4프로브법, JIS K7194) 등의 매우 낮은 표면 저항을 갖기 때문에, 접합부 (11c)에서 유도된 전류는 도전 시트의 면적 전체로부터 균일하게 생체 피부에 유도된다.
또한, 전극 (10a) 내지 (10d)의 도전 시트 (12)에는 상기한 탄소 섬유 대신에 탄소 섬유를 초지 기술을 이용하여 매트상 또는 페이퍼상으로 성형한 탄소 섬유지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고 탄소 섬유 또는 탄소 섬유지에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이나 실리콘 고무 등으로 이루어지는 고분자 엘라스토머를 함침시킨 것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 경우에도 도전 시트의 표면 저항을 1 내지 10 Ω/□ 등의 매우 낮은 값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각 전극 (10a) 내지 (10d)에는 금속 소재가 사용되지 않기 때문에, 이온화한 금속이 생체에 이행할 염려는 일어나지 않는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극의 사용 목적에 따라서는 도전 시트 (12)와 생체 피부 사이에 도전성 매체를 함침시킨 박막 부재를 개재시킨 상태에서, 또는 도전 시트 (12)를 도전성 매체에 침지한 상태에서 생체에의 통전이 행해지는 경우가 있지만, 상기 각 전극 (10a) 내지 (10d)에서는 이 도전성 매체의 일부가 도전 시트 (12)의 탄소 섬유에 침투하고, 도전 시트 (12)와 박막 부재, 또는 도전 시트와 도전성 매체와의 도통 상태가 보다 양호한 것이 된다.
또한, 이온토포레시스 장치나 저주파 치료기 등의 기기로부터의 통전은 수형 감합부 (11a)에 암형 감합부를 갖는 금속제의 커넥터를 접속하여 행해지는 경우가 있지만, 본 발명의 전극 (10a) 내지 (10d)에서는 이러한 금속제의 부재와 접촉할 가능성이 있는 수형 감합부 (11a)와 도전 시트 (12) 사이가 본체부 (11b)에 의해 거리를 두고 있기 때문에, 또는 도전 시트 (12) 상에 커버 (13)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추가로 커버 (13)에 의해 보호되어 있기 때문에, 이러한 금속제 부재의 전기 분해에 의한 금속 이온의 생성이나 이러한 금속 이온의 도전 시트 (12), 또는 도전성 매체 중에의 이행이 방지된다.
이상과 같이, 전극 (10a) 내지 (10d)는 모두 생체에의 통전에 사용되는 전극으로서 바람직한 특성을 갖고 있지만, 이 중에서도 전극 (10a)는 전극 (10b) 내지 (10d)에서의 계지부 (11e), (14b)와 같이 도전 시트 (12)의 측에 볼록상의 돌기를 갖지 않는 구성이고 생체 피부와 전극의 밀착 상태를 보다 양호하게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전극은 도 3(a), (b)의 (10e), (10f)에 예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은 구성에 추가로, 단자 부재 (11)에 금속의 보강 부재 (15)를 부착하는 것도 가능하고 이에 따라 단자 부재 (11)의 강도나 내구성을 향상시키거나, 전극에의 통전을 커넥터를 통해 행하는 경우에서의 단자 부재 (11)과 커넥터의 접촉을 양호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전극을 사용한 이온토포레시스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이온토포레시스 장치 (20a)는 큰 구성 요소(부재)로서 작용측 전극 구조체 (21), 비작용측 전극 구조체 (22), 전원 (23)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참조 부호 27은 생체의 피부(또는 점막)를 나타내고 있다.
작용측 전극 구조체 (21)은 전원 (23)의 제1 도전형의 단자에 코드 (24a), 암형 커넥터 (25a)를 통해 접속된 전극 (30), 해당 전극 (30)과 전기적인 접속을 유지하도록 배치된 제1 도전성 매체층 (33), 해당 제1 도전성 매체층 (33)의 전면에 배치된 제1 도전형과 반대의 도전형(이하, "제2 도전형"이라 함)의 이온을 선택하는 이온 교환막 (34), 해당 이온 교환막 (34)의 전면에 배치된 약제층 (35), 해당 약제층 (35)의 전면에 배치된 제1 도전형의 이온을 선택하는 이온 교환막 (36)을 갖고 있고 그 전체가 커버 내지 용기 (26a)에 수용되어 있다.
또한, 비작용측 전극 구조체 (22)는 전원 (23)의 제2 도전형의 단자에 코드 (24b), 암형 커넥터 (25b)를 통해 접속된 전극 (40), 해당 전극 (40)과 전기적인 접속을 유지하도록 배치된 제2 도전성 매체층 (43), 해당 제2 도전성 매체층 (43)의 전면에 배치된 제1 도전형의 이온을 선택하는 이온 교환막 (44), 해당 이온 교환막 (44)의 전면에 배치된 제3 도전성 매체층 (45), 해당 제3 도전성 매체층 (45)의 전면에 배치된 제2 도전형의 이온을 선택하는 이온 교환막 (46)을 갖고 있고 그 전체가 커버 내지 용기 (26b)에 수용되어 있다.
여기서 전극 (30), (40)은 도 1 내지 3에 도시한 전극 (10a) 내지 (10f)와 마찬가지로 수형 감합부 (11a), 본체부 (11b) 및 접합부 (11c)를 구비하는 도전성 실리콘 고무에 의해 형성된 단자 부재 (11)과, 견포, 목면 등의 직포를 고온 처리에 의해 탄화시킨 탄소 섬유로 이루어지는 도전 시트 (12)를 구비하고 있다.
이 경우, 단자 부재 (11) 및 도전 시트 (12)의 형상, 치수는 전극 (30), (40)의 강도나 취급성, 약제의 투여 효율 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결정할 수 있지만, 일례로서 단자 부재 (11)은 실리콘 고무 100 중량부에 대하여 카본 블랙 20 내지 60 중량부를 배합한 조성을 이용하고, 수형 감합부 (11a)를 2.3 mmφ 정도의 곡면상의 형상으로, 본체부 (11b)를 2.0 mmφ, 길이 10 mm 정도의 원주상으로, 접합부를 4.0 mmφ 정도, 두께 0.5 mm 정도의 원반상으로 형성하고, 도전 시트 (12)는 견포, 목면 등의 직포를 고온 처리에 의해 탄화시킨 탄소 섬유로 이루어지는 30 mmφ(두께 0.5 mm 정도)의 원형의 시트로 할 수 있다.
도전성 매체층 (33), (43), (45)에는 전극 (30), (40)의 도전 시트 (12)와의 도통을 양호한 것으로 하기 위해서 인산 완충 식염수, 생리 식염수 등의 도전성 매체가 사용된다.
또한, 도전 시트 (12)와의 접촉부 근방에서 발생하는 도전성 매체의 전해 반응에 의한 가스의 발생이나 pH의 변화를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한 도전성 매체에 물의 전해 반응(양극에서의 산화 및 음극에서의 환원)보다도 산화 또는 환원되기 쉬운 화합물을 첨가하는 것이 가능하고 생체 안전성, 경제성(저가 및 입수의 용이성)의 관점에서는, 예를 들면 황산제1철, 황산제2철 등의 무기 화합물, 아스코르브산(비타민 C)이나 아스코르브산나트륨 등의 의약제, 락트산 등의 피부면에 존재하는 산성 화합물, 또는 옥살산, 말산, 숙신산, 푸마르산 등의 유기산 및/또는 그의 염 등의 사용이 바람직하고, 이들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첨가할 수 있다.
또한, 이들 도전성 매체층 (33), (43), (45)는 상기한 바와 같은 도전성 매체를 액체 상태로 유지하는 것일 수도 있고, 또는 취급성의 향상 등을 위해 고분자 재료 등으로 형성된 흡수성의 박막체 등에 상기한 바와 같은 도전성 매체를 함침시켜 유지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흡수성의 박막체로서 사용할 수 있는 재료로는, 예를 들면 아크릴히드로겔막, 세그먼트화 폴리우레탄계 겔막, 겔상 고체 전해질 형성용의 이온 도전성 다공질 시트(예를 들면, 일본 특허 공개 (소)11-273452에 개시된 아크릴로니트릴이 50 몰% 이상(바람직하게는 70 내지 98 몰%), 공극률이 20 내지 80 %인 아크릴니트릴 공중합체를 베이스로 하는 다공질 중합체)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이것에 함침시키는 상기 도전성 매체의 함침율(건조시의 중량을 D, 함침 후의 중량을 W로 했을 때의 100×(W-D)/D[%])로는 30 내지 40 %의 함침율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약제층 (35)에는 약효 성분이 작용측 전극 구조체 (21)이 접속되는 단자와 동일한 도전형인 제1 도전형의 약제 이온으로 이온 해리하는 약제의 용액이 유지된다.
이 약제층 (35)도 도전성 매체층 (33), (43), (45)와 마찬가지로 약제 용액을 액체 상태로 유지할 수도 있고, 또는 취급성의 향상 등을 위해 고분자 재료 등으로 형성된 흡수성의 박막체, 예를 들면 아크릴히드로겔막 등에 약제 용액을 함침시켜서 유지할 수도 있다.
또한, 제1 또는 제2 도전형의 이온을 선택하는 이온 교환막 (34), (36), (44), (46)으로는 (주)도꾸야마제 네오셉타(NEOSEPTA, CM-1, CM-2, CMX, CMS, CMB) 등의 양이온 교환막, 또는 (주)도꾸야마제 네오셉타(NEOSEPTA, AM-1, AM-3, AMX, AHA, ACH, ACS) 등의 음이온 교환막을 사용할 수 있고, 특히 다공질 필름의 공극부의 일부 또는 전부에 양이온 교환 기능을 갖는 이온 교환 수지가 충전된 양이온 교환막, 또는 음이온 교환 기능을 갖는 이온 교환 수지가 충전된 음이온 교환막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온 교환 수지로는 퍼플루오로카본 골격에 이온 교환기가 도입된 불소계의 것, 또는 불소화되어 있지 않은 수지를 골격으로 하는 탄화수소계의 것을 사용할 수 있지만, 제조 공정이 간편하다는 점에서 탄화수소계의 이온 교환 수지가 바람직하며, 이온 교환 수지의 충전율은 다공질 필름의 공극률과도 관계되지만 일반적으로는 5 내지 95 질량%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90 질량%, 특히 20 내지 60 질량%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이온 교환 수지가 갖는 이온 교환기로는 수용액 중에서 음 또는 양의 전하를 갖는 기를 발생시키는 관능기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이러한 이온 교환기가 될 수 있는 관능기를 구체적으로 예시하면, 양이온 교환기로는 술폰산기, 카르복실산기, 포스폰산기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이들 산기는 유리산으로서 또는 염의 형태로 존재할 수도 있다. 염의 경우 반대 양이온으로는 나트륨 이온, 칼륨 이온 등의 알칼리 금속 양이온이나 암모늄 이온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양이온 교환기 중에서 일반적으로 강산성기인 술폰산기가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음이온 교환기로는 1 내지 3급 아미노기, 4급 암모늄기, 피리딜기, 이미다졸기, 4급 피리디늄기, 4급 이미다졸륨기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음이온 교환기에서의 반대 음이온으로는 염소 이온 등의 할로겐 이온이나 히드록시 이온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음이온 교환기 중에서 일반적으로 강염기성기인 4급 암모늄기나 4급 피리디늄기가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또한, 상기 다공질 필름은 표리를 연통하는 세공을 다수개 갖는 필름 또는 시트상의 것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사용되지만, 높은 강도와 유연성을 양립시키기 위해서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다공질 필름을 구성하는 열가소성 수지로는 에틸렌, 프로필렌, 1-부텐, 1-펜텐, 1-헥센, 3-메틸-1-부텐, 4-메틸-1-펜텐, 5-메틸-1-헵텐 등의 α-올레핀의 단독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 등의 폴리올레핀 수지; 폴리염화비닐, 염화비닐-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염화비닐-염화비닐리덴 공중합체, 염화비닐-올레핀 공중합체 등의 염화비닐계 수지;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폴리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 폴리불화비닐리덴,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공중합체,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퍼플루오로알킬비닐에테르 공중합체,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에틸렌 공중합체 등의 불소계 수지; 나일론 6, 나일론 66 등의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이미드 수지 등을 포함하는 것이 제한없이 사용되지만, 기계적 강도, 유연성, 화학적 안정성, 내약품성이 우수하고 이온 교환 수지와의 융합이 양호하기 때문에 폴리올레핀 수지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올레핀 수지로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이 특히 바람직하고, 폴리에틸렌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는 다공질 필름의 성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얇고 강도가 우수하며 전기 저항도 낮은 이온 교환막으로 하기 쉽다는 점에서 구멍의 평균 공경이 바람직하게는 0.005 내지 5.0 ㎛,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2.0 ㎛, 가장 바람직하게는 0.02 내지 0.2 ㎛이다. 또한, 상기 평균 공경은 버블포인트법(JIS K3832-1990)에 준거하여 측정되는 평균 유공경을 의미한다. 마찬가지로 다공질 필름의 공극률은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95 %,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90 %, 가장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60 %이다. 또한, 다공질 필름의 두께는 이온 교환막이 후술하는 바와 같은 두께가 되도록,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40 ㎛,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20 ㎛, 가장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55 ㎛이다. 통상, 이러한 다공질 필름을 사용한 음이온 교환막, 양이온 교환막은 다공질 필름의 두께 +0 내지 20 ㎛ 정도의 두께가 된다.
상기 이온토포레시스 장치 (20a)에서는 전원 (23)으로부터 인가되는 전압에 의해 제1 도전형의 이온으로 해리한 약제층 (35) 중 약제 이온이 이온 교환막 (36) 및 피부 (27)을 통해 생체 내에 투여된다.
이 경우, 이온 교환막 (34), (36), (44), (46)의 작용에 의해 약제 이온과 반대 도전형의 이온이 생체측으로부터 약제층 (35)측에 이행하는 것이 방지되고 전극 (30), (40)에서 발생한 H+나 OH-의 피부 (27)측에의 이동이 억제되고 피부 (27) 상에서의 pH 변화를 억제하면서 효율적인 약제 이온의 투여를 장시간 안정적으로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이온토포레시스 장치 (20a)에서는 전극 (30), (40)의 도전 시트 (12)가 저저항의 탄소 섬유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도전성 매체층 (33)/이온 교환막 (34)/약제층 (35)/이온 교환막 (36), 또는 도전성 매체층 (43)/이온 교환막 (44)/도전성 매체층 (45)/이온 교환막 (46)을 통한 통전은 도전 시트 (12)의 전체로부터 매우 균일한 전류 밀도로 행해지게 된다.
따라서, 전기 저항이 높은 도전성 실리콘 고무 등으로 형성된 도전 시트를 사용했었기 때문에 단자 부재의 근방이 좁은 면적에 전류 밀도가 집중된 상태에서의 통전이 행해지고 있던 종래의 이온토포레시스 장치와 비교하여, 본 발명의 이온토포레시스 장치에서는 약제의 생체에의 투여 효율을 더욱 상승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은 등의 금속의 박막으로 이루어지는 도전 시트를 사용하고 있던 종래의 이온토포레시스 장치와 달리, 본 발명의 이온토포레시스 장치에서는 작용측 전극 구조체 (21), 비작용측 전극 구조체 (22)의 내부에 금속 소재를 사용할 필요성이 해소되고, 따라서 전기 분해 등에 의해 발생하는 금속 이온의 생체에의 이행이 방지된다.
또한, 도전성 매체층 (33), (43)이 도전성 매체를 액체 상체로 유지하는 경우에는, 또는 도전성 매체를 고분자 재료 등으로 형성된 흡수성의 박막체에 함침하여 유지하는 경우에도, 그 함침량에 의해서는 도전성 매체의 일부가 전극 (30), (40)의 도전 시트 (12)를 구성하는 탄소 섬유에 침투한 상태가 되고 도전 시트 (12)와 도전성 매체층 (33), (43)과의 도통 상태가 한층 양호하게 유지된다.
한편, 도전 시트 (12)와 암형 커넥터 (25a), (25b) 사이는 적어도 본체부 (11b)에 의해 거리를 두고 있기 때문에, 암형 커넥터 (25a), (25b)가 금속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도, 또한 도전 시트 (12)에 도전성 매체층 (33), (43)의 도전성 매체가 침투한 상태가 되는 경우에도 암형 커넥터 (25a), (25b)의 금속 성분이 이온화하여 도전 시트 (12)에 이행하고, 또는 추가로 생체로 이행할 염려는 없다.
도 5, 도 6은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이온토포레시스 장치 (20b), (20c)의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이 이온토포레시스 장치 (20b)는 그의 비작용측 전극 구조체 (22)가 이온 교환막 (44) 및 제3 도전성 매체층 (45)를 갖지 않고, 이온토포레시스 장치 (20c)는 그의 비작용측 전극 구조체 (22)가 이온 교환막 (44) 및 제3 도전성 매체층 (45), 이온 교환막 (46)을 갖지 않는다는 점을 제외하고 도 4에 도시한 이온토포레시스 장치 (20a)와 동일한 구성을 갖고 있고, 비작용측 전극 구조체 (22)의 피부 (27)과의 접촉면에서의 pH 변화의 억제 성능에서 이온토포레시스 장치 (20a)에 미치지 않는 점은 있지만, 그 밖의 점에서는 이온토포레시스 장치 (20a)와 동등한 성능을 발휘하고 특히 이온토포레시스 장치 (20a)와 마찬가지로, 도전 시트 (12)의 전체면으로부터의 균등한 전류 밀도에서의 통전이 행해지는 것에 의한 약제의 투여 효율의 향상, 금속 이온의 생체에의 주입의 염려의 해소, 도전 시트 (12)와 도전성 매체층 (33), (43)과의 양호한 도통 상태의 유지 등의 효과를 발휘한다.
도 7은 저주파 치료기 (50)에서의 본 발명의 전극의 사용 양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주파 치료기 (50)은 저주파 치료기 본체 (51)과, 해당 저주파 치료기 본체 (51)로부터 코드 (52, 52) 및 암형 커넥터 (53, 53)을 통해 통전을 받는 1조의 전극 (54, 54)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전극 (54)는 도 1 내지 3에 도시한 전극 (10a) 내지 (10f)와 마찬가지로, 수형 감합부 (11a), 본체부 (11b) 및 접합부 (11c)를 구비하는 도전성 실리콘 고무에 의해 형성된 단자 부재 (11)과, 견포, 목면 등의 직포를 고온 처리에 의해 탄화시킨 탄소 섬유로 이루어지는 도전 시트 (12)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도전 시트 (12)의 아래쪽에는 염화칼륨 수용액 등의 도전성 매체를 함침시킨 폴리히드록시메타크릴레이트 등의 겔체로 이루어지는 도전성 점착층 (55)가 배치되어 있고, 피부에의 통전은 해당 도전성 점착층 (55)를 통해 행해지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면 중 (56)은 도전 시트 (12)의 상면을 보호하기 위한 커버이다.
이 전극 (54, 54)에서는 저항값이 낮은 탄소 섬유로 형성된 도전 시트 (12)가 사용되어 있기 때문에 도전 시트 (12)의 전체면으로부터 매우 균일한 전류 밀도로 통전을 행할 수 있고, 따라서 좁은 범위에 전류가 집중됨으로써 불쾌감을 제공하지 않고 생체에 대하여 마사지 등의 작용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이 저주파 치료기 (50)에서는 전극 (54), 도전성 점착층 (55) 등에 금속제의 부재를 사용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통전 중에 금속 이온이 생체에 이행할 염려를 갖지 않는다.
또한, 암형 커넥터 (53)에는 통상 금속제의 부재가 사용되지만, 이 저주파 치료기 (50)에서는 암형 커넥터 (53)과 도전 시트 (12) 사이에 적어도 본체부 (11b)가 개재되기 때문에 암형 커넥터 (53)의 금속 성분이 이온화하여 도전성 점착제 (55)에 추가로 생체로 이행하는 것은 방지된다.
이상, 본 발명을 몇가지 실시 형태에 기초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의 범위의 기재 내에서 여러 가지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단자 부재에 사용하는 고분자 매트릭스에는 실리콘 고무 이외에 부틸 고무, 할로겐화 부틸 고무, 에틸렌프로필렌고무 등 각종 고무 재료, 폴리에틸렌, 폴리스티렌, 폴리염화비닐, 폴리에스테르, 폴리카르보네이트 등의 열가소성 수지, 페놀 수지, 에폭시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실리콘 수지 등의 열경화성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단자 부재에 사용하는 카본에는 그래파이트나 흑연, 카본 블랙, 또는 유리상 탄소의 미세 분말이나 탄소 섬유를 재단한 단섬유 등의 각종 탄소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고분자 매트릭스에 대한 카본의 배합 비율은 사용하는 고분자·매트릭스 및 카본의 종류에 따라서, 필요한 기계적 특성, 전기적 특성, 또는 내구성 등을 감안하여 적당히 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도전 시트에 사용하는 탄소 섬유는 도전 시트의 전체면으로부터 실질적으로 균일한 전류 밀도에서의 통전을 행할 수 있을 정도의 충분히 높은 도전성을 갖고 있는 한, 폴리아크릴로니트릴계 탄소 섬유, 피치계 탄소 섬유, 레이온계 탄소 섬유 등 모든 종류의 탄소 섬유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도전 시트에는 탄소 섬유를 초지 기술을 이용하여 매트상, 또는 페이퍼상으로 성형한 탄소 섬유지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전 시트의 탄력성이나 취급성을 개선하기 위해서 탄소 섬유, 또는 탄소 섬유지에 실리콘 고무나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등의 중합체를 함침시키고, 이것을 도전 시트로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한 실시 형태에서는 원형의 도전 시트를 사용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했지만, 도전 시트의 형상은 방형이나 다각형상 등, 임의의 형상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극에서의 단자 부재의 도전 시트에의 부착은 단자 부재와 도전 시트가 사용상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을 정도로 적절히 고정되고 이 둘 사이에서의 필요한 도통이 확보되는 방법이면 상기한 실시 형태에 기재한 방법에 한정되지 않으며 임의의 방법에 의해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한 실시 형태에서는 단자 부재가 도전 시트의 중앙 부근에 부착되고 있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했지만, 단자 부재는 도전 시트의 단부를 포함하는 임의의 위치에 부착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실시 형태에서는 전극의 단자 부재에 수형 감합부가 설치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전극의 단자 부재는 수형 감합부 대신에 암형의 감합부가 설치된 것도 가능하고 이온토포레시스 장치나 저주파 치료기 등의 기기에의 접속은 해당 암형 감합부에 감합하는 수형 감합부를 갖는 커넥터를 개재시켜 행해지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한 실시 형태에서는 본 발명의 전극이 이온토포레시스 장치 또는 저주파 치료기에 사용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전극은 심전계나 안면 미용기 등, 생체에의 통전이 행하여지는 다른 임의의 기기의 전극으로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전극의 평면도이고, (b), (c)는 동일한 전극의 단면도이다.
도 2의 (a) 내지 (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전극의 단면도이다.
도 3의 (a), (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전극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이온토포레시스 장치이며, 본 발명의 전극을 사용한 이온토포레시스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이온토포레시스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이온토포레시스 장치의 구성을 나 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7은 저주파 치료기에서의 본 발명의 전극의 사용 양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Claims (16)

  1. 비금속 재료로 이루어지는 도전성의 단자 부재 및 상기 단자 부재에 부착된 비금속 재료로 이루어지는 도전 시트를 갖는 전극이며,
    상기 도전 시트가 상기 단자 부재보다 낮은 고유 저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 시트의 표면 저항값이 1 내지 30 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 시트의 표면 저항값이 1 내지 10 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 시트가 탄소 섬유 또는 탄소 섬유지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 시트가 탄소 섬유 또는 탄소 섬유지, 및 상기 탄소 섬유 또는 상기 탄소 섬유지에 함침된 고분자 엘라스토머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부재가 고분자 매트릭스 및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 중에 분산하는 비금속 도전 충전제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비금속 충전제가 카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부재가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의 일부를 상기 탄소 섬유 또는 상기 탄소 섬유지에 함침시킨 상태에서 고화시킴으로써 상기 도전 시트에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 시트가 일체 성형에 의해 상기 단자 부재에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가 실리콘 고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부재가 전원에 접속되는 커넥터에 감합하는 감합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부재에 금속제의 보강 부재가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13. 전원, 작용측 전극 구조체, 비작용측 전극 구조체를 구비하는 이온토포레시스 장치이며, 적어도 상기 작용측 전극 구조체 및 상기 비작용측 전극 구조체 중 어느 하나가 비금속 재료로 이루어지는 도전성의 단자 부재 및 상기 단자 부재에 부착된 비금속 재료로 이루어지는 도전 시트를 갖는 전극이며, 상기 도전 시트가 상기 단자 부재보다 낮은 고유 저항을 갖는 전극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토포레시스 장치.
  14. 전원, 작용측 전극 구조체, 비작용측 전극 구조체를 구비하는 이온토포레시스 장치이며,
    상기 작용측 전극 구조체가
    상기 전원의 제1 도전형의 단자에 접속되는 제1 전극,
    상기 제1 전극의 전면에 배치된 제1 도전성 매체층,
    상기 제1 도전성 매체층의 전면에 배치된 상기 제1 도전형과는 반대의 도전형인 제2 도전형의 이온을 선택하는 제1 이온 교환막,
    상기 제1 이온 교환막의 전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도전형의 이온으로 해리된 약제를 포함하는 약제 용액을 유지하는 약제층, 및
    상기 약제층의 전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도전형의 이온을 선택하는 제2 이 온 교환막을 구비하고,
    상기 비작용측 전극 구조체가
    상기 전원의 상기 제2 도전형의 단자에 접속되는 제2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의 전면에 배치된 제2 도전성 매체층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제2 전극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비금속 재료로 이루어지는 도전성의 단자 부재 및 상기 단자 부재에 부착된 비금속 재료로 이루어지는 도전 시트를 갖는 전극이며, 상기 도전 시트가 상기 단자 부재보다 낮은 고유 저항을 갖는 전극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토포레시스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비작용측 전극 구조체가, 추가로
    상기 제2 도전성 매체층의 전면에 배치된, 상기 제2 도전형의 이온을 선택하는 제3 이온 교환막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토포레시스 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비작용측 전극 구조체가, 추가로
    상기 제2 도전성 매체층의 전면에 배치된, 상기 제1 도전형의 이온을 선택하는 제4 이온 교환막,
    상기 제4 이온 교환막의 전면에 배치된 제3 도전성 매체층, 및
    상기 제3 도전성 매체층의 전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도전형의 이온을 선택하는 제5 이온 교환막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토포레시스 장치.
KR1020077011950A 2004-10-29 2005-10-28 전극 및 이온토포레시스 장치 KR2007008459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317317 2004-10-29
JP2004317317 2004-10-29
US11/171,953 US20060095001A1 (en) 2004-10-29 2005-06-30 Electrode and iontophoresis device
US11/171,953 2005-06-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4592A true KR20070084592A (ko) 2007-08-24

Family

ID=362630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11950A KR20070084592A (ko) 2004-10-29 2005-10-28 전극 및 이온토포레시스 장치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20060095001A1 (ko)
EP (1) EP1808197A4 (ko)
JP (1) JPWO2006046703A1 (ko)
KR (1) KR20070084592A (ko)
CN (1) CN101048192A (ko)
AU (1) AU2005297817A1 (ko)
BR (1) BRPI0518072A (ko)
CA (1) CA2585355A1 (ko)
RU (1) RU2387466C2 (ko)
SG (1) SG142331A1 (ko)
WO (1) WO200604670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5373B4 (de) * 2002-02-09 2007-07-19 Aloys Wobben Brandschutz
WO2006055729A1 (en) * 2004-11-16 2006-05-26 Transcutaneous Technologies Inc. Iontophoretic device and method for administering immune response-enhancing agents and compositions
JP4728631B2 (ja) * 2004-11-30 2011-07-20 Tti・エルビュー株式会社 イオントフォレーシス装置
US7590444B2 (en) * 2004-12-09 2009-09-15 Tti Ellebeau, Inc. Iontophoresis device
JP4731931B2 (ja) * 2005-02-03 2011-07-27 Tti・エルビュー株式会社 イオントフォレーシス装置
JP4793806B2 (ja) * 2005-03-22 2011-10-12 Tti・エルビュー株式会社 イオントフォレーシス装置
JP2006334164A (ja) * 2005-06-02 2006-12-14 Transcutaneous Technologies Inc イオントフォレーシス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07000342A (ja) * 2005-06-23 2007-01-11 Transcutaneous Technologies Inc 複数薬剤の投与量および投与時期を制御するイオントフォレーシス装置
US8386030B2 (en) 2005-08-08 2013-02-26 Tti Ellebeau, Inc. Iontophoresis device
US8295922B2 (en) 2005-08-08 2012-10-23 Tti Ellebeau, Inc. Iontophoresis device
US20070088332A1 (en) * 2005-08-22 2007-04-19 Transcutaneous Technologies Inc. Iontophoresis device
US20090254018A1 (en) * 2005-08-24 2009-10-08 Mizuo Nakayama Electrode assembly for freezing-type iontophoresis device
US20070048362A1 (en) * 2005-08-29 2007-03-01 Transcutaneous Technologies Inc. General purpose electrolyte solution composition for iontophoresis
US20100030128A1 (en) * 2005-09-06 2010-02-04 Kazuma Mitsuguchi Iontophoresis device
US20070112294A1 (en) * 2005-09-14 2007-05-17 Transcutaneous Technologies Inc. Iontophoresis device
KR20080047600A (ko) 2005-09-15 2008-05-29 티티아이 엘뷰 가부시키가이샤 로드형 이온토포레시스 장치
WO2007038028A1 (en) * 2005-09-28 2007-04-05 Tti Ellebeau, Inc. Iontophoresis apparatus and method to deliver active agents to biological interfaces
WO2007037324A1 (ja) * 2005-09-28 2007-04-05 Transcu Ltd. 乾燥型イオントフォレーシス用電極構造体
JP2009509677A (ja) * 2005-09-30 2009-03-12 Tti・エルビュー株式会社 小胞封入活性物質のイオントフォレーシス送達
US20070083185A1 (en) * 2005-09-30 2007-04-12 Darrick Carter Iontophoretic device and method of delivery of active agents to biological interface
EP1928542A1 (en) * 2005-09-30 2008-06-11 Tti Ellebeau, Inc. Method and system to detect malfunctions in an iontophoresis device that delivers active agents to biological interfaces
US20090187134A1 (en) * 2005-09-30 2009-07-23 Hidero Akiyama Iontophoresis Device Controlling Amounts of a Sleep-Inducing Agent and a Stimulant to be Administered and Time at Which the Drugs are Administered
CA2664589A1 (en) * 2005-09-30 2007-04-12 Tti Ellebeau, Inc. Iontophoretic device and method of delivery of active agents to biological interface
US20070232983A1 (en) * 2005-09-30 2007-10-04 Smith Gregory A Handheld apparatus to deliver active agents to biological interfaces
US20070078445A1 (en) * 2005-09-30 2007-04-05 Curt Malloy Synchroniz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iontophoresis device to deliver active agents to biological interfaces
EP1941929A1 (en) * 2005-09-30 2008-07-09 Tti Ellebeau, Inc. Electrode structure for iontophoresis comprising shape memory separator, and iontophoresis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WO2007079189A2 (en) * 2005-12-30 2007-07-12 Tti Ellebeau, Inc. System and method for remote based control of an iontophoresis device
CN101495105A (zh) * 2006-07-05 2009-07-29 Tti优而美株式会社 具有自组装树枝状聚合物的输送装置及其使用方法
US20080077076A1 (en) * 2006-08-29 2008-03-27 Transcutaneous Technologies Inc. Iontophoresis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on with a usb (universal serial bus) power source
EP2061553A2 (en) 2006-09-05 2009-05-27 Tti Ellebeau, Inc. Impedance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evaluating iontophoretic properties of compounds
BRPI0716452A2 (pt) * 2006-09-05 2014-03-04 Tti Ellebeau Inc Sistemas não destrutivos, dispositivos, e métodos para avaliar dispositivos de distribuição de medicamentos de iontoforese
US20080193514A1 (en) * 2006-11-02 2008-08-14 Transcu Ltd. Compostions and methods for iontophoresis delivery of active ingredients through hair follicles
JP5383497B2 (ja) 2006-12-01 2014-01-08 Tti・エルビュー株式会社 装置、例として経皮送達装置に給電し且つ/又は当該装置を制御するシステム及び装置
WO2008087884A1 (ja) * 2007-01-16 2008-07-24 Tti Ellebeau, Inc. 薬物投与量の予測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
EP2123259A1 (en) * 2007-01-16 2009-11-25 Hokkaido University Liposome preparation for iontophoresis having antioxidant component encapsulated therein
KR100839863B1 (ko) 2007-03-27 2008-06-19 염현직 습포제용 저주파 발진기
NZ582049A (en) * 2007-05-18 2012-12-21 Tti Ellebeau Inc Transdermal delivery devices assuring an improved release of an active principle through a biological interface
JP2010187707A (ja) * 2007-06-12 2010-09-02 Hokkaido Univ インスリンを封入したイオントフォレーシス用リポソーム製剤
US20100125238A1 (en) * 2008-11-14 2010-05-20 Therawire, Inc. Iontophoretic Therapeutic Agent Delivery System
AT507855A1 (de) * 2009-01-20 2010-08-15 Lang Leonh Bioelektrode
AU2010217957B2 (en) 2009-02-26 2015-08-13 Liquidia Technologies, Inc. Interventional drug delivery system and associated methods
US9808196B2 (en) 2010-11-17 2017-11-07 Smart Solutions Technologies, S.L. Sensors
CA2818005C (en) * 2010-11-17 2017-08-22 Smart Solutions Technologies, S.L. Sensor for acquiring physiological signals
FR3000897B1 (fr) * 2013-01-14 2016-10-28 Feeligreen Dispositif autoregule d'electrostimulation et/ou iontophorese
WO2014142624A1 (ja) * 2013-03-15 2014-09-18 株式会社ライフリング タッチパネル操作用シール
TWI566803B (zh) * 2014-08-26 2017-01-21 H & H-T Co Ltd Infrared ray source generating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EP3393350B1 (en) 2015-12-22 2023-08-1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Sensor for electrode and processes for production
EP3393349B1 (en) 2015-12-22 2020-08-19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Process for producing an eyelet for a biomedical electrode
CN108472846B (zh) 2015-12-22 2020-12-15 3M创新有限公司 用于生物电极的一体式传感器和用于生产的方法
DK179927B1 (en) * 2017-12-18 2019-10-09 Innocon Medical Aps SYSTEM FOR ELECTRICAL STIMULATION OF NERVES

Family Cites Families (1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76727A (en) * 1959-12-24 1963-02-05 Libbey Owens Ford Glass Co Article having electrically conductive coating and process of making
US3998215A (en) * 1968-12-18 1976-12-21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Bio-medical electrode conductive gel pads
US3645884A (en) * 1969-07-10 1972-02-29 Edwin R Gilliland Electrolytic ion exchange apparatus
US3891786A (en) * 1973-10-05 1975-06-24 Herculite Protective Fab Electrically conductive sheeting
DE2626294C3 (de) * 1976-06-11 1980-01-10 Siemens Ag, 1000 Berlin Und 8000 Muenchen Implantierbare Dosiereinrichtung
US4208696A (en) * 1977-09-06 1980-06-17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Electrically conductive web
US4250878A (en) * 1978-11-22 1981-02-17 Motion Control, Inc. Non-invasive chemical species delivery apparatus and method
US4369104A (en) * 1979-10-22 1983-01-18 Hitco Continuous filament graphite composite electrodes
JPS5810066A (ja) * 1981-07-10 1983-01-20 株式会社アドバンス イオントフオレ−ゼ用プラスタ−構造体
CA1203286A (en) * 1982-06-16 1986-04-15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Bioelectrode
JPS59502026A (ja) * 1982-11-17 1984-12-06 シエブロン リサ−チ コンパニ− 電気活性ポリマ−
US4640689A (en) * 1983-08-18 1987-02-03 Drug Delivery Systems Inc. Transdermal drug applicator and electrodes therefor
US5605536A (en) * 1983-08-18 1997-02-25 Drug Delivery Systems Inc. Transdermal drug applicator and electrodes therefor
US4727881A (en) * 1983-11-14 1988-03-01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Biomedical electrode
US4744787A (en) * 1984-10-29 1988-05-17 Medtronic, Inc. Iontophoresis apparatus and methods of producing same
US5135477A (en) * 1984-10-29 1992-08-04 Medtronic, Inc. Iontophoretic drug delivery
US4747819A (en) * 1984-10-29 1988-05-31 Medtronic, Inc. Iontophoretic drug delivery
US4585652A (en) * 1984-11-19 1986-04-29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Minnesota Electrochemical controlled release drug delivery system
US4722726A (en) * 1986-02-12 1988-02-02 Key Pharmaceutical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iontophoretic drug delivery
US4915685A (en) * 1986-03-19 1990-04-10 Petelenz Tomasz J Methods and apparatus for iontophoresis application of medicaments at a controlled ph through ion exchange
US4725263A (en) * 1986-07-31 1988-02-16 Medtronic, Inc. Programmable constant current source transdermal drug delivery system
US4731049A (en) * 1987-01-30 1988-03-15 Ionics, Incorporated Cell for electrically controlled transdermal drug delivery
US5080646A (en) * 1988-10-03 1992-01-14 Alza Corporation Membrane for electrotransport transdermal drug delivery
US5205297A (en) * 1988-03-25 1993-04-27 Lectec Corporation Multipurpose medical stimulation electrode
US4927408A (en) * 1988-10-03 1990-05-22 Alza Corporation Electrotransport transdermal system
US5496266A (en) * 1990-04-30 1996-03-05 Alza Corporation Device and method of iontophoretic drug delivery
CA2001444C (en) * 1988-10-28 2000-07-25 Darrel F. Untereker Iontophoresis electrode
US5006108A (en) * 1988-11-16 1991-04-09 Noven Pharmaceuticals, Inc. Apparatus for iontophoretic drug delivery
GB8928748D0 (en) * 1989-12-20 1990-02-28 Ici Plc Solid state electrochromic devices
US5084008A (en) * 1989-12-22 1992-01-28 Medtronic, Inc. Iontophoresis electrode
US5084006A (en) * 1990-03-30 1992-01-28 Alza Corporation Iontopheretic delivery device
ES2072134T3 (es) * 1990-10-29 1995-07-01 Alza Corp Electrodo iontoforetico para suministrar farmacos y metodo para su hidratacion.
US5224927A (en) * 1990-11-01 1993-07-06 Robert Tapper Iontophoretic treatment system
US5218973A (en) * 1991-03-22 1993-06-15 Staodyn, Inc. Disposable wound treatment electrode
US5405317A (en) * 1991-05-03 1995-04-11 Alza Corporation Iontophoretic delivery device
US5203768A (en) * 1991-07-24 1993-04-20 Alza Corporation Transdermal delivery device
US5310404A (en) * 1992-06-01 1994-05-10 Alza Corporation Iontophoretic delivery device and method of hydrating same
CA2134351C (en) * 1992-06-02 2003-01-28 Ronald P. Haak Iontophoretic drug delivery apparatus
US5380271A (en) * 1992-09-24 1995-01-10 Alza Corporation Electrotransport agent delivery device and method
US5322520A (en) * 1992-11-12 1994-06-21 Implemed, Inc. Iontophoretic structure for medical devices
US5776594A (en) * 1992-12-04 1998-07-07 Photran Corporation Transparent electrodes for liquid cells and liquid crystal displays
EP0600470A3 (en) * 1992-12-04 1995-01-04 Asahi Glass Co Ltd Bipolar membrane.
JP3587537B2 (ja) * 1992-12-09 2004-11-10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半導体装置
US5298017A (en) * 1992-12-29 1994-03-29 Alza Corporation Layered electrotransport drug delivery system
DE69316774T2 (de) * 1992-12-31 1998-09-17 Alza Corp Elektrophorese-system mit biegsamen mitteln
US5380272A (en) * 1993-01-28 1995-01-10 Scientific Innovations Ltd. Transcutaneous drug delivery applicator
US5406945A (en) * 1993-05-24 1995-04-18 Ndm Acquisition Corp. Biomedical electrode having a secured one-piece conductive terminal
AU676340B2 (en) * 1993-05-25 1997-03-06 Wyeth Holdings Corporation Adjuvants for vaccines against respiratory syncytial virus
US20050159698A1 (en) * 1993-09-30 2005-07-21 Vyteris, Inc. Iontophoretic drug delivery device and reservoir and method of making same
US6377847B1 (en) * 1993-09-30 2002-04-23 Vyteris, Inc. Iontophoretic drug delivery device and reservoir and method of making same
AU2286995A (en) * 1994-04-08 1995-10-30 Alza Corporation Electrotransport system with ion exchange competitive ion capture
US5871460A (en) * 1994-04-08 1999-02-16 Alza Corporation Electrotransport system with ion exchange material providing enhanced drug delivery
US5503632A (en) * 1994-04-08 1996-04-02 Alza Corporation Electrotransport device having improved cathodic electrode assembly
AU3496895A (en) * 1994-08-22 1996-03-14 Iomed, Inc. Iontophoretic delivery device with integral hydrating means
EP0739644A4 (en) * 1994-09-30 1998-12-09 Advance Kk INTERFACE FOR A TRANSDERMAL IONTOPHORETIC DEVICE AND CORRECT MEDICINE
WO1996031251A1 (de) * 1995-04-07 1996-10-10 Novartis Ag Iontophoretisches transdermales system zum verabreichen von mindestens zwei substanzen
US6425892B2 (en) * 1995-06-05 2002-07-30 Alza Corporation Device for transdermal electrotransport delivery of fentanyl and sufentanil
US6167301A (en) * 1995-08-29 2000-12-26 Flower; Ronald J. Iontophoretic drug delivery device having high-efficiency DC-to-DC energy conversion circuit
US6094594A (en) * 1996-08-14 2000-07-25 Tapper; Robert Hair removal system
US5738647A (en) * 1996-09-27 1998-04-14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User activated iontophoretic device and method for activating same
US6350259B1 (en) * 1996-09-30 2002-02-26 Vyteris, Inc. Selected drug delivery profiles using competing ions
US6047208A (en) * 1997-08-27 2000-04-04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Iontophoretic controller
JP3998765B2 (ja) * 1997-09-04 2007-10-31 シャープ株式会社 多結晶半導体層の製造方法及び半導体装置の評価方法
AU2346599A (en) * 1998-01-28 1999-08-16 Alza Corporation Electrotransport electrode assembly having lower initial resistance
US6505069B2 (en) * 1998-01-28 2003-01-07 Alza Corporation Electrochemically reactive cathodes for an electrotransport device
EP0970719A3 (en) * 1998-07-08 2000-08-23 Nitto Denko Corporation Electrode structure
EP1109594B1 (en) * 1998-08-31 2004-10-27 Johnson &amp; Johnson Consumer Companies, Inc. Electrotransport device comprising blades
JP3620703B2 (ja) * 1998-09-18 2005-02-16 キヤノン株式会社 二次電池用負極電極材、電極構造体、二次電池、及びこれらの製造方法
US6858018B1 (en) * 1998-09-28 2005-02-22 Vyteris, Inc. Iontophoretic devices
JP2000229129A (ja) * 1999-02-12 2000-08-22 R & R Ventures Kk イオントフォレーゼによるイオン性薬剤の投与法
US6477410B1 (en) * 2000-05-31 2002-11-05 Biophoretic Therapeutic Systems, Llc Electrokinetic delivery of medicaments
WO2000062856A1 (en) * 1999-04-16 2000-10-26 Johnson & Johnson Consumer Companies, Inc. Drug delivery device comprising a dual chamber reservoir
EP1171195B1 (en) * 1999-04-16 2005-03-16 Johnson &amp; Johnson Consumer Companies, Inc. Electrotransport delivery system comprising internal sensors
US6385488B1 (en) * 1999-05-20 2002-05-07 Vyteris, Inc. Circuits for increasing the reliability of an iontophoretic system
PT1189660E (pt) * 1999-06-08 2006-09-29 Altea Therapeutics Corp Equipamento para a formacao de microporos em membranas biologicas utilizando dispositivos de interface para o tecido de pelicula fina e processo para o mesmo
US6377848B1 (en) * 1999-08-25 2002-04-23 Vyteris, Inc. Devices activating an iontophoretic delivery device
JP4414517B2 (ja) * 1999-09-01 2010-02-10 久光製薬株式会社 イオントフォレーシス用デバイス構造体
WO2002013784A2 (en) * 2000-08-14 2002-02-21 Pharmacia Corporation Drug delivery system with bilayer electrodes
US6553255B1 (en) * 2000-10-27 2003-04-22 Aciont Inc. Use of background electrolytes to minimize flux variability during iontophoresis
JP4989843B2 (ja) * 2001-07-20 2012-08-01 マクマスター ユニヴァーシティ 非対称性ゲル充填微多孔質膜
US20030065285A1 (en) * 2001-07-23 2003-04-03 Higuchi William I. Method and apparatus for increasing flux during reverse iontophoresis
DE10140666C2 (de) * 2001-08-24 2003-08-21 Univ Braunschweig Tec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leitfähigen strukturierten Polymerfilms und Verwendung des Verfahrens
IL161529A0 (en) * 2001-10-31 2004-09-27 R & R Ventures Inc Iontophoresis device
WO2003061758A1 (fr) * 2002-01-24 2003-07-31 Hisamitsu Pharmaceutical Co., Inc. Structure d'electrode
US6708050B2 (en) * 2002-03-28 2004-03-1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Wireless electrode having activatable power cell
US20060009730A2 (en) * 2002-07-29 2006-01-12 Eemso, Inc. Iontophoretic Transdermal Delivery of One or More Therapeutic Agents
DE602004019889D1 (de) * 2003-03-31 2009-04-23 Alza Corp Elektrotransportvorrichtung mit einem behältergehäuse mit einem biegsamen leitfähigen element
US8734421B2 (en) * 2003-06-30 2014-05-27 Johnson & Johnson Consumer Companies, Inc. Methods of treating pores on the skin with electricity
US20060036209A1 (en) * 2003-11-13 2006-02-16 Janardhanan Subramony System and method for transdermal delivery
US20060083962A1 (en) * 2004-10-20 2006-04-20 Nissan Motor Co., Ltd. Proton-conductive composite electrolyte membrane and producing method thereof
JP2006116086A (ja) * 2004-10-21 2006-05-11 Tokuyama Corp イオントフォレーシス装置用作用極構造体及びイオントフォレーシス装置
JP2006346368A (ja) * 2005-06-20 2006-12-28 Transcutaneous Technologies Inc イオントフォレーシス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7000342A (ja) * 2005-06-23 2007-01-11 Transcutaneous Technologies Inc 複数薬剤の投与量および投与時期を制御するイオントフォレーシス装置
US20070027426A1 (en) * 2005-06-24 2007-02-01 Transcutaneous Technologies Inc. Iontophoresis device to deliver active agents to biological interfaces
US8386030B2 (en) * 2005-08-08 2013-02-26 Tti Ellebeau, Inc. Iontophoresis device
US8295922B2 (en) * 2005-08-08 2012-10-23 Tti Ellebeau, Inc. Iontophoresis device
US20070060860A1 (en) * 2005-08-18 2007-03-15 Transcutaneous Technologies Inc. Iontophoresis device
US20070088332A1 (en) * 2005-08-22 2007-04-19 Transcutaneous Technologies Inc. Iontophoresis device
US20070048362A1 (en) * 2005-08-29 2007-03-01 Transcutaneous Technologies Inc. General purpose electrolyte solution composition for iontophoresis
KR20080047600A (ko) * 2005-09-15 2008-05-29 티티아이 엘뷰 가부시키가이샤 로드형 이온토포레시스 장치
US20070071807A1 (en) * 2005-09-28 2007-03-29 Hidero Akiyama Capsule-type drug-releasing device and capsule-type drug-releasing device system
WO2007038028A1 (en) * 2005-09-28 2007-04-05 Tti Ellebeau, Inc. Iontophoresis apparatus and method to deliver active agents to biological interfaces
WO2007041322A2 (en) * 2005-09-30 2007-04-12 Tti Ellebeau, Inc. Iontophoretic delivery of active agents conjugated to nanoparticles
WO2007041526A2 (en) * 2005-09-30 2007-04-12 Transcutaneous Technologies Inc. Iontophoresis apparatus and method to deliver antibiotics to biological interfaces
WO2007040938A1 (en) * 2005-09-30 2007-04-12 Tti Ellebeau, Inc. Functionalized microneedles transdermal drug delivery systems, devices, and methods
US20070083186A1 (en) * 2005-09-30 2007-04-12 Darrick Carter Transdermal drug delivery systems, devices, and methods employing novel pharmaceutical vehicles
JP2009509677A (ja) * 2005-09-30 2009-03-12 Tti・エルビュー株式会社 小胞封入活性物質のイオントフォレーシス送達
BRPI0616771A2 (pt) * 2005-09-30 2011-06-28 Tti Ellebeau Inc dispositivo de iontoforese para liberar múltiplos agentes ativos para interfaces biológicas
EP1928542A1 (en) * 2005-09-30 2008-06-11 Tti Ellebeau, Inc. Method and system to detect malfunctions in an iontophoresis device that delivers active agents to biological interfaces
WO2007079116A1 (en) * 2005-12-28 2007-07-12 Tti Ellebeau, Inc. Electroosmotic pump apparatus and method to deliver active agents to biological interfaces
WO2007079190A2 (en) * 2005-12-29 2007-07-12 Tti Ellebeau, Inc. Device and method for enhancing immune response by electrical stimul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808197A1 (en) 2007-07-18
SG142331A1 (en) 2008-05-28
CA2585355A1 (en) 2006-05-04
BRPI0518072A (pt) 2008-11-04
WO2006046703A1 (ja) 2006-05-04
RU2007119711A (ru) 2008-12-10
RU2387466C2 (ru) 2010-04-27
EP1808197A4 (en) 2008-04-23
JPWO2006046703A1 (ja) 2008-05-22
AU2005297817A1 (en) 2006-05-04
US20060095001A1 (en) 2006-05-04
CN101048192A (zh) 2007-10-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84592A (ko) 전극 및 이온토포레시스 장치
US7590444B2 (en) Iontophoresis device
US7437189B2 (en) Iontophoresis device
JP2006212194A (ja) イオントフォレーシス装置
KR20080003814A (ko) 외용제, 외용제의 도포방법, 이온토포레시스장치, 및경피패치
JPWO2007023907A1 (ja) 冷凍型イオントフォレーシス用電極構造体
KR20070090166A (ko) 이온토포레시스 장치
EP1820533B1 (en) Ion-tophoretic apparatus
KR20080033429A (ko) 이온토포레시스 장치
JP2007037639A (ja) 電極及びイオントフォレーシス装置
JP2007068969A (ja) イオントフォレーシス装置
US20090299265A1 (en) Electrode Assembly for Iontophoresis Having Shape-Memory Separator and Iontophoresis Device Using the Same
KR20090008200A (ko) 이온토포레시스 장치 및 그 제조방법
JP4719563B2 (ja) イオントフォレーシス装置
EP1944058A1 (en) Iontophoresis apparatus sticking to mucosa
JP2007244700A (ja) イオントフォレーシス装置
JP2008167995A (ja) 印刷電極部材およびイオントフォレーシス装置
JP2008086538A (ja) イオントフォレーシス装置、イオン交換膜積層体及び両極性イオン交換膜
JP2008086631A (ja) 液晶スイッチングセパレータを有するイオントフォレーシス用電極構造体およびそれを用いたイオントフォレーシス装置
JP2007054288A (ja) イオントフォレーシス用組成物および電極構造体
JP2007075501A (ja) 吸収促進型イオントフォレーシス装置
JP2007229003A (ja) イオントフォレーシス装置
JP2007202759A (ja) 浸透圧の作用を軽減したイオントフォレーシス用電極構造体
WO2006101146A1 (ja) イオントフォレーシス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