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9863B1 - 습포제용 저주파 발진기 - Google Patents

습포제용 저주파 발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9863B1
KR100839863B1 KR1020070029602A KR20070029602A KR100839863B1 KR 100839863 B1 KR100839863 B1 KR 100839863B1 KR 1020070029602 A KR1020070029602 A KR 1020070029602A KR 20070029602 A KR20070029602 A KR 20070029602A KR 100839863 B1 KR100839863 B1 KR 1008398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w frequency
push pin
frequency oscillator
holes
poult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96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염현직
Original Assignee
염현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염현직 filed Critical 염현직
Priority to KR10200700296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9863B1/ko
Priority to PCT/KR2008/001675 priority patent/WO2008117979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98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98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25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iontophoresis, i.e. transfer of media in ionic state by an electromotoric force into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08Use-related aspects
    • A61N1/0428Specially adapted for iontophoresis, e.g. AC, DC or including drug reservoirs
    • A61N1/0432Anode and cathod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61N1/36021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for treatment of pain

Abstract

본 발명의 습포제용 저주파 발진기는, 밀착포(52), 습포지(54), 박리지(56)로 이루어진 습포제(50)에 저주파를 발생시켜 전달하는 저주파 발진기(70)에 있어서, 상기 저주파 발진기(70)내에 설치된 음극 및 양극 접속단자(70e)(70f)와 동일한 간격으로 일치되면서 연통되도록 저주파 발진기(70)의 하면에 형성된 좌측 및 우측 통과홀(70g)(70h)과, 상기 습포제(50)의 임의의 위치에 택(Tack)방식으로 꽂아서 습포지(54)에 음극 및 양극 저주파가 흐르도록 상기 좌측 및 우측 통과홀(70g)(70h)을 통해 음극 및 양극 접속단자(70e)(70f)에 각각 탈부착되는 좌측 푸시핀(80a) 및 우측 푸시핀(80b)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사용의 편리성을 높임과 동시에 제조코스트를 낮추고, 포장의 부피와 제품의 파손위험을 줄이며, 저주파 발진기(70)와 습포지(54)를 보다 안정적으로 결합시키고, 사용자의 피부를 보호하면서 습포지(54)의 약제 성분과 저주파 물리치료를 통증이 심한 환부(B)의 중심에 집중시킬 수 있는 것임.
습포제, 저주파 발진기, 클램프, 푸시핀

Description

습포제용 저주파 발진기{A LOW FREQUENCY GENERATOR OF POULTICE}
도 1은 종래의 저주파 발생 습포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스냅단추의 고정상태를 도시한 확대 단면도,
도 3은 종래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습포제용 저주파 발진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클램프수단이 설치된 저주파 발진기의 저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푸시핀을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저주파 발진기의 클램프수단과 푸시핀이 분리된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저주파 발진기의 클램프수단과 푸시핀이 밀착포와 습포지를 사이에 두고 결합된 사용 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50 : 습포제 52 : 밀착포
54 : 습포지 56 : 박리지
70 : 저주파 발진기 70a : 몸체
70b : 온/오프 버튼 70c : 업/다운 버튼
70d : 신호부 70e : 음극 접속단자
70f : 양극 접속단자 70g : 좌측 통과홀
70h : 우측 통과홀 80a : 좌측 푸시핀
80b : 우측 푸시핀 82 : 쐐기부
84 : 평탄부 86 : 부도체
88 : 도체 90 : 클램프수단
92 : 슬라이드판 92a : 좌측 관통홀
92b : 우측 관통홀 92c : 누름버튼
94 : 스프링
본 발명은 습포제(패취제형, 카타플라스마형, 플라스타제형, 파프제형등 포함)용 저주파 발진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타박상, 근육통, 관절염 또는 신경통 발생부위의 피부에 습포제를 부착하여서 저주파 작용에 의해 피하조직에 대한 약제의 침투 효율을 증가시켜 통증을 신속히 치료함과 동시에 물리적인 주파작용으로 치료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한 습포제용 저주파 발진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습포제(패취제형, 카타플라스마형, 플라스타제형, 파프제형등 포함)는, 직물제로 되어 그 일면에 접착성을 갖는 약제가 도포되어 있고, 약제를 보호함과 동시에 사용시 분리될 수 있는 비닐제의 박리지(薄利紙)가 습포지에 부착되어 있으며, 이 습포지는 유연한 재질로써 피부에 탄력적으로 부착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습포제의 사용자는 습포제의 박리지를 떼어낸 상태에서 습포제를 환부에 부착하고 일정 시간동안 부착상태를 유지하면서 약제의 지속적인 침투성과 약리작용에 의해 통증을 치료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습포제는 물리적인 치료가 없이 단순히 그에 도포된 약품의 약리적인 작용에 의해서만 통증을 치료하므로 치료효과가 떨어질 뿐만 아니라, 약제의 침투 속도가 느리고, 시간이 흐를수록 약제의 침투성이 저하되므로 일정시간이 경과되면 새로운 습포제로 교환하여 치료를 계속해야만 하며, 습포제의 부착시간이 길어지고, 일정시간 이상 습포제를 피부에 부착하면 피부의 모공을 폐색시키므로 가려움증, 홍반 등의 알러지를 유발하여 사용상의 불편함이 많을 뿐만 아니라, 습포제의 약제지속시간을 확인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환부의 통증에 대한 치료의 일환으로, 별도의 저주파 발생장치 등을 이용한 물리 치료 요법이 있으나, 이 경우는 고가의 장치를 이용함에 따라 치료비가 상승되는 것은 물론, 환자로 하여금 경제적인 부담을 안겨주며, 환자 스스로 자가적인 치료요법을 행할 수 없어 불편한 단점이 있었다.
한편, 습포제와 유사한 치료기능을 갖는 것으로써 액상의 약제가 내장된 스프레이 건 타입의 약제 분무기가 있으며, 이 경우는 분무기의 버튼을 눌러 용기 내부의 약제를 통증부위에 분사하여 치료를 행하는 것이나, 사용이 불편하고 약제의 지속시간이 습포제보다는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습포제(패취제형, 카타플라스마형, 플라스타제형 및 파프제형 포함) 등은 대다수의 근육 관절통증환자들이 널리 애용하고 있는 점을 감안하여 그 치료 를 보다 간편히 행함과 동시에 짧은 시간에 치료효과를 극대화시킬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그래서, 종래는 이런 문제점의 해결방안으로 실용신안등록 제0375960호(등록일자: 2005.2.3)의 저주파 발생 습포제가 제안되어 왔었다.
즉, 종래의 저주파 발생 습포제(150)는, 도 1 내지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약제가 포함되며 일정간격을 두고 서로 마주하는 좌측 및 우측 습포지(152a)(152b)와, 상기 좌측 및 우측 습포지(152a)(152b)의 평면적보다 더 넓게 형성되어 좌측 및 우측 습포지(152a)(152b)의 비약제면(상면)과 밀착되는 밀착포(154)와, 상기 좌측 및 우측 습포지(152a)(152b)의 약제면(하면)과 밀착포(154)의 가장자리측 접착면에 부착되어 약제면과 접착면을 동시 보호하다가 사용시 분리되는 비닐제의 박리지(156)와, 상기 좌측 습포지(152a)를 사이에 두고 상부 및 하부에 밀착되는 상기 밀착포(154)와 박리지(156)를 리벳팅에 의해 동시 고정하면서 밀착포(154)의 상면으로 일부분이 돌설되어 음극 저주파가 좌측 습포지(152a)로 흐르도록 하는 도전성 좌측 스냅단추(160a)와, 상기 우측 습포지(152b)를 사이에 두고 상부 및 하부에 밀착되는 상기 밀착포(154)와 박리지(156)를 리벳팅에 의해 동시 고정하면서 밀착포(154)의 상면으로 일부분이 돌설되어 양극 저주파가 우측 습포지(152b)로 흐르도록 하는 도전성 우측 스냅단추(160b)와, 상기 좌측 및 우측 스냅단추(160a)(160b)와 각각 착탈가능케 배치되면서 음극 저주파와 양극 저주파가 각각 흐르도록 좌우 한쌍의 스냅홀(158e)을 가진 저주파 발진기(158)로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밀착포(154)는 상기 좌측 및 우측 습포지(152a)(152b)의 평면적보 다 더 넓게 각각 형성되어 그 중앙이 좌측 및 우측 습포지(152a)(152b)의 비약제면(상면)과 각각 밀착되고 그 가장자리가 사용자의 환부(B)와 각각 밀착되도록 좌측 및 우측으로 분할 구성되어 있다.
상기 박리지(156)는 상기 좌측 및 우측 습포지(152a)(152b)의 평면적보다 더 넓게 각각 형성되어 그 중앙이 좌측 및 우측 습포지(152a)(152b)의 약제면(하면)과 각각 밀착되고 그 가장자리가 밀착포(154)의 가장자리 하면과 각각 밀착되도록 좌측 및 우측 분할 구성되어 있다.
또, 상기 박리지(156)의 일측에는 상기 좌측 및 우측 스냅단추(160a)(160b)에 의해 밀착포(154), 좌측 및 우측 습포지(152a)(152b), 박리지(156)가 동시 리벳팅되어 고정된 상태에서 박리지(156)를 분리시킬 때 좌측 및 우측 스냅단추(160a)(160b)로부터 용이하게 절취되도록 열십자모양의 절개선(156a)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저주파 발진기(158)는, 그 몸체(158a)의 상면에 서로 일정간격을 두고 온/오프 버튼(158b), 업/다운 버튼(158c) 및 신호부(158d)가 각각 설치되어 있고, 상기 몸체(158a)의 내부에는 도시하지 않은 배터리 및 전자부품들이 내장되어 있으며, 상기 몸체(158a)의 하면에는 상기 좌측 및 우측 스냅단추(160a)(160b)가 용이하게 착탈되며 또한 좌측 및 우측 스냅단추(160a)(160b)가 접속될 때 음극 저주파와 양극 저주파가 각각 흐르도록 몸체(158a)내의 전자부품(미도시)들과 전기적으로 접속된 좌우 한쌍의 스냅홀(158e)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좌측 및 우측 스냅단추(160a)(160b)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 이, 상기 저주파 발진기(158)측 좌우 한쌍의 스냅홀(158e)에 각각 착탈가능케 결합되도록 상기 밀착포(154)의 상면 일측에 밀착되는 제1 도전체(160c)와, 일측단이 박리지(156), 좌측 습포지(152a) 또는 우측 습포지(152b), 밀착포(154)의 수순으로 관통됨과 동시에 상기 제1도전체(160c)의 내부로 압입되어 결합되는 제2 도전체(160d)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저주파 발생 습포제(150)는, 좌측 및 우측 습포지(152a)(152b)가 좌우 대칭되게 각각 분할 제조되고, 이들 좌측 및 우측 습포지(152a)(152b)에 대응하도록 밀착포(154)와 박리지(156)도 분할 제조되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습포지(152a)(152b), 밀착포(154) 및 박리지(156)를 좌측 및 우측으로 각각 나누어서 제조하여야 하는 공정추가로 인하여 제조코스트가 상승됨은 물론, 저주파 발진기(158)와 습포지(152a)(152b)가 저주파 발진기(158)의 중앙부분에 접합되어, 움직임이나 저주파 발진기(158)의 가장자리에 가해지는 작은 충격에도 저주파 발진기(158)가 습포지(152a)(152b)로부터 쉽게 분리 및 탈락되는 등의 소비자의 신뢰도가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제2 도전체(160d)가 사용자의 환부(B)에 직접 접촉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저주파 발진기(158)로부터 발생된 저주파 전류가 피부에 자극을 주고 상기 저주파 발진기(158)의 진동모드를 높일 경우 피부에 화상등의 상처를 입힐 수 있는 문제점도 있었다.
또한, 좌측 및 우측 습포지(152a)(152b)와 밀착포(154)는 제조단계에서 그 중앙 안쪽에 좌측 및 우측 스냅단추(160a)(160b)에 의해 한쌍씩 각각 리벳팅 고정 되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리필가능한 여러장의 습포지(152a)(152b)를 포장할 때 스냅단추(160a)(160b)에 의해 포장지의 부피가 커짐은 물론, 스냅단추(160a)(160b)를 여러장의 습포지(152a)(152b)에 각각 고정하여야 하므로 스냅단추(160a)(160b), 제2 도전체(160d) 등의 부품비용과 그들의 조립비용으로 제조코스트를 상승시키고, 돌출된 스냅단추(160a)(160b)로 말미암아 제품의 보관, 유통 중 포장지 및 습포제(150)의 파손을 유발하거나 스냅단추(160a)(160b) 및 제2 도전체(160d)가 손상을 입어, 제품의 사용이 불가능해진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또한, 습포지(152a)(152b)의 중심에 스냅단추(160a)(160b)가 고정되어 있고, 제2 도전체(160d)가 넓게 위치되어 있기 때문에 통증이 심한 환부(B)의 중심에 습포지(152a)(152b)의 중앙부분을 부착하는 일반적인 부착 방식으로 부착할 경우 스냅단추(160a)(160b) 및 제2 도전체(160d)가 차지하는 면적으로 인하여 환부를 가리게 되거나 한쪽으로 치우치게 부착하므로써 습포지(152a)(152b)에서 발산되는 약제 성분을 환부에 집중시킬 수 없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또한, 저주파 발진기(158)는 습포제(예컨대, 습포지, 밀착포, 박리지가 합지된 것)에 스냅단추(160a)(160b)와 제2 도전체(160d)를 조립한 습포제에만 사용할 수 있으므로, 시중에서 판매되는 습포제(예컨대, 습포지, 밀착포, 박리지가 합지된 것)에 부착하여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의 편리성을 높임과 동시에 제조코스트를 낮추고, 포장의 부피와 제품의 파손위험을 줄이며, 저주파 발진기와 습포지를 보다 안정적으로 결합시키고, 사용자의 피부를 보호하면서 습포지의 약제 성분과 저주파 물리치료를 통증이 심한 환부 중심에 집중시킬 수 있는 습포제용 저주파 발진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습포제를 별도의 부속품(스냅단추 등)을 부가하여 특수하게 제조할 필요가 없이 시중에서 널리 판매되는 모든 습포제에 저주파 발진기를 부착하여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습포제용 저주파 발진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본 발명에 의한 습포제용 저주파 발진기는, 밀착포, 습포지, 박리지로 이루어진 습포제에 저주파를 발생시켜 전달하는 저주파 발진기에 있어서, 상기 저주파 발진기내에 설치된 음극 및 양극 접속단자와 동일한 간격으로 일치되면서 연통되도록 저주파 발진기의 하면에 형성된 좌측 및 우측 통과홀과, 상기 습포제의 임의의 위치에 택(Tack)방식으로 꽂아서 습포지에 음극 및 양극 저주파가 흐르도록 상기 좌측 및 우측 통과홀을 통해 음극 및 양극 접속단자에 각각 탈부착되는 좌측 푸시핀 및 우측 푸시핀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좌측 푸시핀 및 우측 푸시핀은, 상부로 갈수록 뾰족한 쐐기부가 형성됨과 동시에 하부 양측으로 직각되게 뻗은 평탄부가 형성된 역 티(T)자 형상의 부도체와, 상기 부도체에서 평탄부의 하면과 측면을 제외한 나머지 표면과 결합되는 도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저주파 발진기의 내부에는 상기 좌측 푸시핀 및 우측 푸시핀이 저주파 발진기내의 음극 및 양극 접속단자에 각각 접속될 때 일정압력으로 좌측 푸시핀 및 우측 푸시핀을 조여주거나 풀어지도록 단속하는 클램프수단을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클램프수단은, 상기 저주파 발진기의 음극 및 양극 접속단자와 좌측 및 우측 통과홀의 사이에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되게 설치되어 좌측 및 우측 통과홀을 개방 또는 패쇄하도록 좌측 및 우측 관통홀이 형성됨과 동시에 몸체의 외부에서 누를 수 있도록 누름버튼이 형성된 슬라이드판과, 상기 좌측 및 우측 통과홀과 관통홀의 통로가 어긋나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도록 상기 몸체의 내측벽과 슬라이드판의 끝단 사이에 매개되어 슬라이드판에 탄발력을 가하는 스프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하여 첨부 도면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습포제용 저주파 발진기(7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밀착포(52), 습포제(54), 박리지(56)의 수순으로 적층된 습포제(50)의 임의의 위치에 택(Tack)방식으로 꽂아서 습포지(54)에 음극 및 양극 저주파가 흐르도록 각각 탈부착되는 좌측 푸시핀(80a) 및 우측 푸시핀(80b)이 설치되어 진다.
즉, 상기 저주파 발진기(70)는,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몸체(70a)의 상면에 서로 일정간격을 두고 온/오프 버튼(70b), 업/다운 버튼(70c) 및 신호부(70d)가 각각 설치되어 있고, 상기 몸체(70a)의 내부에는 온(ON) 동작시 음 극 저주파와 양극 저주파가 각각 흐르도록 도시하지 않은 배터리 및 전자부품과 전기적으로 접속된 음극 및 양극 접속단자(70e)(70f)가 내장되어 있으며, 상기 몸체(70a)의 하면에는 상기 좌측 푸시핀(80a) 및 우측 푸시핀(80b)이 통과되어 상기 음극 및 양극 접속단자(70e)(70f)에 각각 접속되도록 좌측 및 우측 통과홀(70g)(70h)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좌측 푸시핀(80a) 및 우측 푸시핀(80b)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로 갈수록 뾰족한 쐐기부(82)가 형성됨과 동시에 하부 양측으로 직각되게 뻗은 평탄부(84)가 형성된 역 티(T)자 형상의 부도체(86)(不導體)와, 상기 부도체(86)에서 평탄부(84)의 하면과 측면을 제외한 나머지 표면과 결합되는 도체(88)(導體)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저주파 발진기(70)에는 상기 좌측 푸시핀(80a) 및 우측 푸시핀(80b)이 저주파 발진기(70)내의 음극 및 양극 접속단자(70e)(70f)에 각각 접속될 때 일정압력으로 좌측 푸시핀(80a) 및 우측 푸시핀(80b)을 조여주거나 풀어지도록 단속하는 클램프수단(90)이 설치되어 진다.
즉, 상기 클램프수단(90)은, 상기 저주파 발진기(70)의 몸체(70a) 내부에 대하여 상기 음극 및 양극 접속단자(70e)(70f)와 좌측 및 우측 통과홀(70g)(70h)의 사이에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되게 설치되어 상기 좌측 및 우측 통과홀(70g)(70h)을 개방 또는 패쇄하도록 좌측 및 우측 관통홀(92a)(92b)이 형성됨과 동시에 몸체(70a)의 외부에서 누를 수 있도록 누름버튼(92c)이 형성된 슬라이드판(92)과, 상기 좌측 및 우측 통과홀(70g)(70h)과 관통홀(92a)(92b)의 통로가 어긋나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도록 상기 몸체(70a)의 내측벽과 슬라이드판(92)의 끝단 사이에 매개되어 슬라이드판(92)에 탄발력을 가하는 스프링(94)으로 구성되어 있다.
다음은,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한다.
저주파 발진기(70)는 그 내부의 음극 및 양극 접속단자(70e)(70f)에 각각 탈부착이 가능한 좌측 푸시핀(80a) 및 우측 푸시핀(80b)에 의해서 시중에 판매되는 습포제(50)와 부착가능하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
즉, 도 7과 같이 저주파 발진기(70), 습포제(50), 좌측 푸시핀(80a) 및 우측 푸시핀(80b)의 수순으로 상하 위치되도록 한 다음, 습포제(50)의 하부에서 상부로 좌측 푸시핀(80a) 및 우측 푸시핀(80b)의 상단에 각각 형성된 쐐기부(82)가 습포제(50)를 관통할 수 있도록 위치하면서 좌측 푸시핀(80a)과 우측 푸시핀(80b)의 거리가 상기 저주파 발진기(70)의 몸체(70a)의 하면에 형성된 좌측 통과홀(70g)과 우측 통과홀(70h)의 거리와 일치되도록 하여 습포제(50)의 임의의 위치에 꽂아 준다.
이때, 좌측 푸시핀(80a) 및 우측 푸시핀(80b)은 그 상단측 쐐기부(82)가 상부로 갈수록 뾰족한 형상이기 때문에 밀착포(52), 습포제(54), 박리지(56)로 이루어진 습포제(50)의 두께면을 쉽게 관통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저주파 발진기(70)의 측면에 돌출된 누름버튼(92c)을 누른 후, 좌측 푸시핀(80a) 및 우측 푸시핀(80b)의 쐐기부(82)를 저주파 발진기(70)의 하면에 형성된 좌측 및 우측 통과홀(70g)(70h)에 각각 대응되게 일치시켜 삽입시키면, 이들 좌측 푸시핀(80a) 및 우측 푸시핀(80b)은 도 8과 같이 좌측 및 우측 통과홀(70g)(70h)과 슬라이드판(92)의 좌측 및 우측 관통홀(92a)(92b)을 지나 저주파 발진기(70) 내에 설치된 음극 및 양극 접속단자(70e)(70f)에 자동으로 각각 접속된다.
즉, 슬라이드판(92)은 저주파 발진기(70)의 몸체(70a) 내에 설치된 음극 및 양극 접속단자(70e)(70f)와 몸체(70a)의 하면에 형성된 좌측 및 우측 통과홀(70g)(70h)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누름버튼(92c)의 누름작용에 의해 좌측으로 슬라이딩된 후, 누름력을 해제시 몸체(70a)의 내측벽과 슬라이드판(92)의 끝단 사이에 매개된 스프링(94)의 탄발력에 의해서 우측으로 다시 복귀되도록 슬라이딩하게 된다.
그리고, 좌측 푸시핀(80a) 및 우측 푸시핀(80b)은 상기 좌측 및 우측 통과홀(70g)(70h)과 관통홀(92a)(92b)을 통과하여 저주파 발진기(70) 내의 음극 및 양극 접속단자(70e)(70f)에 각각 삽입 접속될 때 슬라이드판(92)이 스프링(94)의 탄발력에 의해 우측으로 이동할려는 힘(수평으로 미는 힘)에 의해서 좌측 및 우측 통과홀(70g)(70h)과 음극 및 양극 접속단자(70e)(70f)에 긴밀하게 압착됨으로써 좌측 푸시핀(80a) 및 우측 푸시핀(80b)을 저주파 발진기(70)로부터 일정한 힘(강제적인 힘)으로 분리하지 아니하는 한 쉽게 분리 및 이탈되지 않게 된다.
또한, 좌측 푸시핀(80a) 및 우측 푸시핀(80b)은 도 6과 같이 그 쐐기부(82)에서 평탄부(84)의 상면까지만 도체(88)가 결합된 부도체(86)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도 8과 같이 습포제(54)와 밀착포(52)를 관통하여 저주파 발진기(70)의 음극 및 양극 접속단자(70e)(70f)에 각각 접속한 후 전류를 흐르게 할 경우, 평탄부(84) 의 하면측에 형성된 부도체(86)와 맞닿는 사용자의 환부(B)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게 되고, 평탄부(84)의 상면측과 결합된 도체(88)와 맞닿는 습포지(54)를 통해 사용자의 환부(B)로 간접적인 저주파 전류가 흐르게 되어 사용자의 피부를 보호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도 8과 같이 저주파 발진기(70)에 좌측 푸시핀(80a) 및 우측 푸시핀(80b)을 매개로 박리지(56)가 벗겨진 습포제(50)를 결합하여 사용자의 환부(B)에 부착한 후, 저주파 발진기(70)의 온/오프 버튼(70b)을 눌러 온(ON) 동작시킴과 동시에 업/다운 버튼(70c)을 눌러 진동모드를 선택하면, 이 동작에 따라 음극 저주파와 양극 저주파가 발생되고, 이러한 음극 저주파와 양극 저주파는 저주파 발진기(70)의 음극 및 양극 접속단자(70e)(70f)에 각각 접속된 좌측 푸시핀(80a) 및 우측 푸시핀(80b)을 통해 습포지(54)로 흐름과 동시에 피부의 피하조직으로 침투함으로써 습포지(54)로부터 발산되는 약제성분이 신속하게 환부(B) 깊숙히 침투되도록 돕게 된다.
즉, 음극 접속단자(70e)에서 좌측 푸시핀(80a)을 거쳐 습포지(54)의 좌측을 통해 환부(B)로 전달되는 음극 저주파 성분과 양극 접속단자(70f)에서 우측 푸시핀(80b)을 거쳐 습포지(54)의 우측을 통해 환부(B)로 전달되는 양극 저주파 성분이 서로 도통되면서 저주파의 약리작용이 활성화되고, 이로 인해 습포지(54)의 약제성분이 환부(B)로 깊숙히 침투되기 시작한다.
이와 같이 습포지(54)의 자체로부터의 약제침투와 저주파발생에 따른 직류전류에 의한 약제성분의 침투를 동시에 병행함으로써 약리작용이 활발할 뿐만 아니라 저주파 진동을 통한 물리치료 작용으로 환부(B)의 통증을 신속히 완화시켜 보다 빠른 쾌유를 기대할 수 있다.
한편, 저주파 발진기(70)에 내장된 배터리는 여러장의 습포지(54)를 일정시간마다 교환하여 사용할 수 있을 정도의 용량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습포지(54)의 약제성분이 일정시간 사용 후 소멸되면, 상술한 역동작으로 저주파 발진기(70)로부터 좌측 푸시핀(80a) 및 우측 푸시핀(80b)을 분리하여 습포제(50)를 폐기할 수 있으며, 또한 새로운 습포제(50)를 재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저주파 발진기(70)는 밀착포(52), 밀착포(52), 박리지(56)로 이루어진 습포제(50)를 좌우로 분할하거나 별도의 부속품(스냅단추 등)을 부가하여 특수하게 제조할 필요가 없이 시중에서 널리 판매되는 모든 습포제에 부착하여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제조코스트를 낮출 수 있고, 소비자가 저주파 발진기(70)를 습포제(50)에 쉽게 결합 또는 분리할 수 있는 등의 편리성을 높일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저주파 발진기(70)는 비사용시 전원을 오프(OFF)하면, 그 몸체(70a)의 하면에 형성된 좌측 및 우측 통과홀(70g)(70h)을 통해 좌측 푸시핀(80a) 및 우측 푸시핀(80b)을 각각 삽입시켜 음극 및 양극 접속단자(70e)(70f)에 결합하더라도 전원이 차단되었으므로 전류가 음극 및 양극 접속단자(70e)(70f)를 통해 외부로 흐르지 않기 때문에 제품유통 및 휴대가 용이하다.
또한, 저주파 발진기(70)는 좌측 푸시핀(80a) 및 우측 푸시핀(80b)을 매개로 습포제(50)의 중앙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가장자리측에, 원하는 위치에 결합할 수 있기 때문에 습포지(54)를 통증이 심한 환부(B)의 중심에 부착할 경우 습포지(54)에서 발산되는 약제 성분과 저주파 발진기(70)에서 발산되는 저주파 성분을 집중시켜 약리작용을 더욱 가속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움직임이 심한 관절부위를 피하여 저주파 발진기(70)를 임의의 위치에 부착할 수 있으므로 습포제(50)와 저주파 발진기(70)의 결합후에도 관절의 움직임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좌측 푸시핀(80a) 및 우측 푸시핀(80b)는 저주파 발진기(70)의 음극 및 양극 접속단자(70e)(70f)에 접속되는 쐐기부(82)와 습포지(54)에 접촉되는 평탄부(84)가 도체(88)이고, 사용자의 환부(B)에 접촉되는 부분이 부도체(86)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저주파 발진기(70)로부터 발생된 전류가 환부(B)에 직접 흐르는 것을 방지하여 사용자의 피부를 보호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습포제용 저주파 발진기는, 습포제의 임의의 위치에 택(Tack)방식으로 꽂아서 일측단이 접촉되는 좌측 및 우측 푸시핀을 저주파 발진기의 음극 및 양극 접속단자에 접속 또는 분리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사용의 편리성을 높임과 동시에 제조코스트를 낮추고, 포장의 부피와 제품의 파손위험을 줄이며, 저주파 발진기와 습포지를 보다 안정적으로 결합시키고, 사용자의 피부를 보호하면서 습포지의 약제 성분과 저주파 물리치료를 통증이 심한 환부 중심에 집중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습포제를 별도의 부속품(스냅단추 등)을 부가하여 특수하게 제조할 필 요가 없이 시중에서 널리 판매되는 모든 습포제에 저주파 발진기를 부착하여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저주파 발진기를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로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고,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이 가해진 기술사상 역시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Claims (4)

  1. 밀착포(52), 습포지(54), 박리지(56)로 이루어진 습포제(50)에 저주파를 발생시켜 전달하는 저주파 발진기(70)에 있어서,
    상기 저주파 발진기(70)내에 설치된 음극 및 양극 접속단자(70e)(70f)와 동일한 간격으로 일치되면서 연통되도록 저주파 발진기(70)의 하면에 형성된 좌측 및 우측 통과홀(70g)(70h)과,
    상기 습포제(50)의 일측에 택(Tack)방식으로 꽂아서 습포지(54)에 음극 및 양극 저주파가 흐르도록 상기 좌측 및 우측 통과홀(70g)(70h)을 통해 음극 및 양극 접속단자(70e)(70f)에 각각 탈부착되는 좌측 푸시핀(80a) 및 우측 푸시핀(80b)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습포제용 저주파 발진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좌측 푸시핀(80a) 및 우측 푸시핀(80b)은, 상부로 갈수록 뾰족한 쐐기부(82)가 형성됨과 동시에 하부 양측으로 직각되게 뻗은 평탄부(84)가 형성된 역 티(T)자 형상의 부도체(86)와, 상기 부도체(86)에서 평탄부(84)의 하면과 측면을 제외한 나머지 표면과 결합되는 도체(88)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포제용 저주파 발진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저주파 발진기(70)의 내부에는 상기 좌측 푸시핀(80a) 및 우측 푸시핀(80b)이 저주파 발진기(70)내의 음극 및 양극 접속단자(70e)(70f)에 각각 접속될 때 일정압력으로 좌측 푸시핀(80a) 및 우측 푸시핀(80b)을 조여주거나 풀어지도록 단속하는 클램프수단(90)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포제용 저주파 발진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수단(90)은, 상기 저주파 발진기(70)의 음극 및 양극 접속단자(70e)(70f)와 좌측 및 우측 통과홀(70g)(70h)의 사이에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되게 설치되어 좌측 및 우측 통과홀(70g)(70h)을 개방 또는 패쇄하도록 좌측 및 우측 관통홀(92a)(92b)이 형성됨과 동시에 몸체(70a)의 외부에서 누를 수 있도록 누름버튼(92c)이 형성된 슬라이드판(92)과, 상기 좌측 및 우측 통과홀(70g)(70h)과 관통홀(92a)(92b)의 통로가 어긋나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도록 상기 몸체(70a)의 내측벽과 슬라이드판(92)의 끝단 사이에 매개되어 슬라이드판(92)에 탄발력을 가하는 스프링(94)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포제용 저주파 발진기.
KR1020070029602A 2007-03-27 2007-03-27 습포제용 저주파 발진기 KR1008398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9602A KR100839863B1 (ko) 2007-03-27 2007-03-27 습포제용 저주파 발진기
PCT/KR2008/001675 WO2008117979A1 (en) 2007-03-27 2008-03-26 Low frequency generator of poult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9602A KR100839863B1 (ko) 2007-03-27 2007-03-27 습포제용 저주파 발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39863B1 true KR100839863B1 (ko) 2008-06-19

Family

ID=397719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9602A KR100839863B1 (ko) 2007-03-27 2007-03-27 습포제용 저주파 발진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839863B1 (ko)
WO (1) WO2008117979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32963A (en) 1980-03-24 1981-10-17 Tokyo Electric Co Ltd Conductor for low-frequency treating appliance
US5578065A (en) 1991-12-06 1996-11-26 Hisamitsu Pharmaceutical Co., Inc. Low-frequency therapeutic device having a flexible adhesive sheet electrode
JP2001170190A (ja) 1999-10-29 2001-06-26 Compex Sa 電気刺激パルスに対する筋反応を測定するための電気筋神経刺激装置
KR200413956Y1 (ko) 2006-02-03 2006-04-14 주식회사메디펄스 저주파 발생 습포제
US20060095001A1 (en) 2004-10-29 2006-05-04 Transcutaneous Technologies Inc. Electrode and iontophoresis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62460A (en) * 1998-03-10 2000-12-19 Lee; Yang-Hee Poultice
WO2001074445A1 (en) * 2000-04-04 2001-10-11 Cham Huh Low frequency generating poultic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32963A (en) 1980-03-24 1981-10-17 Tokyo Electric Co Ltd Conductor for low-frequency treating appliance
US5578065A (en) 1991-12-06 1996-11-26 Hisamitsu Pharmaceutical Co., Inc. Low-frequency therapeutic device having a flexible adhesive sheet electrode
JP2001170190A (ja) 1999-10-29 2001-06-26 Compex Sa 電気刺激パルスに対する筋反応を測定するための電気筋神経刺激装置
US20060095001A1 (en) 2004-10-29 2006-05-04 Transcutaneous Technologies Inc. Electrode and iontophoresis device
KR200413956Y1 (ko) 2006-02-03 2006-04-14 주식회사메디펄스 저주파 발생 습포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8117979A1 (en) 2008-10-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555577B (en) Hydrogel and scrim assembly for use with electro-acupuncture device with stimulation electrodes
AU690012B2 (en) Electrotransport device having reusable controller power saver
WO2007134288A2 (en) Electrode-battery assembly for tens device
US20080051692A1 (en) Applicator cartridge for an electrokinetic delivery system for self administration of medicaments
RU2148392C1 (ru) Пластырь
KR20080080492A (ko) 약제의 자기 투여를 위한 동전기식 전달시스템의애플리케이터 카트리지
KR100245836B1 (ko) 저주파 발생습포제
WO2007018171A1 (ja) イオントフォレーシス装置
KR100839863B1 (ko) 습포제용 저주파 발진기
JP5878984B2 (ja) 振動刺激パッド
KR101070474B1 (ko) 저주파 자극 약용패드
AU7119096A (en) Iontophoretic drug delivery system, including reusable device
KR100839862B1 (ko) 저주파 발생 습포제
KR200413956Y1 (ko) 저주파 발생 습포제
JP2011092543A (ja) イオントフォレシスを利用したイオン性薬剤透過装置
KR20080011360A (ko) 진동 자극 패드 및 그 제어방법
KR20180056113A (ko) 휴대형 자기 경혈 자극기
KR200375948Y1 (ko) 습포제용 저주파 발생기
KR20070079760A (ko) 저주파 발생 습포제
KR200375960Y1 (ko) 저주파 발생 습포제
KR200199097Y1 (ko) 습포제용 저주파 발생기
US6162460A (en) Poultice
KR200373902Y1 (ko) 저주파 발생 습포제
KR20150118601A (ko) 블랙다이몬드가 포함된 저주파 파스
JP2002035142A (ja) 経皮用低周波発振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61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