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45836B1 - 저주파 발생습포제 - Google Patents

저주파 발생습포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45836B1
KR100245836B1 KR1019970001804A KR19970001804A KR100245836B1 KR 100245836 B1 KR100245836 B1 KR 100245836B1 KR 1019970001804 A KR1019970001804 A KR 1019970001804A KR 19970001804 A KR19970001804 A KR 19970001804A KR 100245836 B1 KR100245836 B1 KR 1002458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ultice
paper
low
low frequency
w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018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66346A (ko
Inventor
이양희
Original Assignee
이양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양희 filed Critical 이양희
Priority to KR10199700018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45836B1/ko
Publication of KR199800663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63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58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58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2/00Magnetotherapy
    • A61N2/02Magnetotherapy using magnetic fields produced by coils, including single turn loops or electromagn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2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 A61K9/702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61N1/36021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for treatment of pa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2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 A61F2007/0261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medicated

Abstract

본 발명은 저주파 발생 습포제에 관한 것으로, 상호 분리되고 약제가 포함된 습포지(5)(5')와, 그 이면 및 배면에 밀착포(4)와 박리지(10)를 부착하고, 습포지(5)(5') 및 밀착포(4) 사이에 도체판(8)(8')을 개재하며, 양측 습포지(5)(5') 사이에 단자(7)(7')와 조작버튼(12) 및 배터리를 갖는 저주파 발진기(6)를 결합하면서 그 단자(7)(7')를 도체판(8)(8')에 각기 연결하여 습포제(1)를 구성한 것인 바, 박리지(10)를 분리하여 습포지(5)(5')를 환부에 부착한 상태에서 조작버튼(12)을 누름과 동시에 단자(7)(7')로부터 도체판(8)(8')에 저주파가 인가되어 환부에 대한 약리작용이 원활하게 행하여지는 것은 물론, 약제의 침투가 신속히 이루어져 근육통, 관절염, 신경통 또는 타박상의 치료효과를 크게 높이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저주파 발생 습포제
본 발명은 저주파 발생 습포제(poultice)에 관한 것으로, 특히 타박상, 근육통, 관절염 또는 신경통 발생부위의 피부에 습포제를 부착함에 있어, 저주파 작용에 의해 피하조직에 대한 약제의 침투 효율을 증가시켜 통증을 신속히 치료함과 동시에 치료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된 저주파 발생 습포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습포제는, 직물제로 되어 그 일면에 점착성(adhesion)을 갖는 약제가 도포되어 있고, 약제를 보호함과 동시에 사용시 분리될 수 있는 비닐제의 박리지(薄利紙)가 습포제에 부착되어 있으며, 이 습포제 및 박리지는 유연한 재질로써 피부에 탄력적으로 부착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습포제의 사용시는 박리지를 떼어낸 상태에서 습포제를 환부에 부착하고 일정 시간동안 부착상태를 유지하면서 약제의 지속적인 침투성과 약리작용에 의해 통증을 치료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습포제는 단순히 그에 도포된 약품의 약리적인 작용에 의해서만 통증을 치료하므로 치료효과가 떨어질 뿐만 아니라, 점차 약제의 침투성이 저하되므로 일정시간이 경과되면 새로운 습포제로 교환하여 치료를 계속해야만하며, 습포제의 부착시간이 필요이상으로 길어지면 약효가 소멸된 상태에서 피부의 모공을 폐색시켜 환부의 가려움증을 유발할 뿐만 아니라, 습포제의 약효지속시간을 확인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환부의 통증치료효과를 높이기 위한 병원의 한 물리치료요법으로서 습포방식이 아닌, 환부에 직접 약품을 바른 상태에서 별도의 저주파발생장치를 약품 도포면에 접촉시키는 경우가 있으나, 이 경우 고가의 장치를 이용함에 따라 치료비가 상승되는 것은 물론 환자로 하여금 경제적인 부담을 안겨주며, 환자 스스로 자가적인 치료요법을 행할 수 없어 불편한 단점이 있었다.
한편 습포제와 유사한 치료기능을 갖는 것으로써 액상의 약제가 내장된 스프레이 건 타입의 약제 분무기가 있으며, 이 경우는 분무기의 버튼을 눌러 용기 내부의 약제를 통증부위에 부사하여 치료를 행하는 것이나, 사용이 불편하고 약제의 지속시간이 습포제보다는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아울러 습포제 등은 대다수의 근육통증환자들이 널리 애용하고 있는 점을 감안하여 그 치료를 보다 간편히 행함과 동시에 치료효과를 극대화시킬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타박상, 근육통, 관절염 또는 신경통 환자의 습포제 사용시 피하조직에 대한 약제의 침투 효율을 증가시켜 통증을 신속히 치료함과 동시에 치료효과를 크게 높일 수 있는 저주파 발생 습포제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마이크로형 저주파 발진기를 구비하여 그 저주파를 습포제의 약제층과 환부의 피하조직을 통과시킴으로써 약리작용이 활발하게 진행되도록 함과 동시에 약제가 환부에 균일하고 신속히 침투되도록 한다.
즉, 약제가 함유되고 점착성을 갖는 습포제를 다수의 짝수개로 분리하고, 습포제의 이면과 배면에 밀착포와 박리지를 부착하면서 밀착포 및 습포제 사이에 복수의 도체판을 개재, 결합한다.
또한 분리된 습포지 사이에 단자와 조작버튼 및 배터리를 갖는 저주파 발진기를 은폐, 결합하되, 단자를 각 도체판에 연결하여, 박리지를 분리하여 습포제를 환부에 부착한 상태에서 조작버튼을 누름과 동시에 단자 및 도체판을 통해 저주파 펄스가 인가되도록 구성된 특징을 갖는다.
제1도는 본 발명 습포제의 분해 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 습포제의 결합 사시도.
제3도는 본 발명 습포제의 단면도.
제4도는 제3도의 요부 확대도.
제5도는 본 발명 습포제의 사용전 상태도.
제6도는 본 발명 습포제의 사용 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습포제 2 : 버튼공
3, 3', 10 : 박리지 4 : 밀착포
5, 5' : 습포지 6 : 저주파 발진기
7, 7' : 단자 8, 8' : 도체판
9. 9' : 단자홈 11 : 걸림돌기
12 : 조작버튼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약제가 도포된 습포지에 저주파 발생수단을 구비하되, 습포지를 다수의 짝으로 분리하고, 각 습포지에 도체판을 접합하면서 저주파 발생수단의 플러스극과 마이너스극을 각 도체판에 연결시켜, 저주파 발진시 습포지의 약제가 통전되면서 약제성분을 실은 저주파가 피부조직에 침투되도록 구성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1, 2와 같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 습포제의 분해 사시도, 도2는 본 발명 습포제의 결합 사시도이고, 도3은 본 발명 습포제의 단면도이며, 도4는 도3의 요부 확대도를 나타낸 것으로, 다수의 짝으로 분리되면서 약제가 포함된 습포지(5)(5')를 구비하고, 습포지(5)(5')의 일면에 밀착포(4)를 부착하되, 습포지(5)(5') 및 밀착포(4)의 사이에 도체판(8)(8')을 개재한다.
도체판(8)(8')은 습포지(5)(5')에 대응하도록 상호 분리되면서 밀착포(4) 또는 습포지(5)(5')에 접합,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조작버튼(12)과 양, 음극 단자(7)(7')를 갖고 내부에 배터리를 포함하는 저주파 발진기(6)를 구비하여 그 단자(7)(7')를 도체판(8)(8')에 각기 연결하되, 저주파 발진기(6)는 분리된 양측 습포지(5)(5') 사이에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습포지(5)(5') 사이에 저주파 발진기(6)가 형합(形合)되도록 습포지(5)(5')에 소정의 형태로 자리를 만들고, 저주파 발진기(6)의 양측 단자(7)(7')가 결합되도록 도체판(8)(8')에 단자홈(9)(9')을 형성하며, 단자홈(9)(9')으로부터의 변위,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단자(7)(7')에 습포지(5)(5')에 각기 결합되는 걸림돌기(11)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습포지(5)(5')의 약제면에 비닐제의 박리지(10)를 부착하여 약제면을 보호함과 아울러 사용시 분리될 수 있도록 하며, 밀착포(4)에는 저주파 발진기(6)의 조작버튼(12)이 노출되도록 버튼공(2)을 형성한다.
상기 밀착포(4)는 적어도 습포지(5)(5')보다 큰 둘레 길이를 갖도록 하고, 그 둘레부 일면에 환부에 접합되는 접착층을 형성하면서 접착층을 보호하도록 박리지(3)(3')를 부착하여 습포제(1)를 구성한 것이다.
한편 저주파 발진기(6)의 배터리는 습포지(5)(5')의 약제 효능이 지속되는 시간까지만 전원을 공급하여 환자로 하여금 습포제(1)의 교환시간을 인식시키도록 하거나 습포제(1)의 사용후 폐기될 수 있는 일회성으로 할 수 있다.
미설명부호 B는 환부(患部)이다.
따라서 본 발명 저주파 발생 습포제는 도5와 같이, 박리지(3)(3')(10)를 떼어내고 습포지(5)(5')를 환부(B)에 가볍게 밀착시키면서 밀착포(4)의 겉면과 둘레면을 눌러주면 습포지(5)(5')가 약제에 포함된 점착성에 의해 환부에 부착되며, 또한 밀착포(4)의 둘레면에 형성된 접착층이 환부에 접합되어 습포제(1)의 부착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도6과 같이 밀착포(4)의 표면에 노출된 조작버튼(12)을 눌러 ON시키면, 이와 동시에 저주파 발진기(6)로부터 발생되는 저주파가 양측 단자(7)(7')를 통해 도체판(8)(8')에 인가되고, 도체판(8)(8')에 전달된 저주파는 양측 습포지(5)(5')를 통해 피하조직으로 침투되면서 그와 동시에 발산되는 약제 성분을 신속하고 보다 깊이있게 아울러 균일하게 실어 나르는 역할을 행한다.
즉, 저주파에 의한 약리작용은 습포지(5)(5')를 각기 통과하는 양극의 저주파 성분과 음극의 저주파 성분이 환부를 통해 만나면서 활성화되기 시작한다.
이처럼 습포지(5)(5') 자체로부터의 약제침투와 저주파에 의한 약제성분의 침투를 동시에 행함으로써 약리작용을 활발하게 할 뿐만 아니라 환부의 통증을 신속히 완화시키며 보다 빠른 쾌유를 기대할 수 있다.
한편 저주파 발진기(6)에 내장된 배터리의 전류가 소모되면 습포제(1)의 약제성분이 소멸된 것으로 인식하여 습포제를 환부에서 분리하며, 통증을 지속적으로 치료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새로운 습포제로 교환하여 부착한다.
저주파 발진기(6)는 알람이나 램프를 갖는 회로로 구성하여 배터리의 전류가 소멸되는 시점에서 습포제(1)의 약제성분이 소멸되었음을 환자에게 보다 정확히 인식시킬 수 있으며, 또는 저주파 발진기의 수명을 반영구적인 것으로써 습포제만을 교환하는 방식도 이용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 저주파 발생 습포제는, 습포제(1)를 약제가 포함된 습포지(5)(5')로 양분하고, 각 습포지(5)(5')에 도체판(8)(8')을 결합하며, 저주파 발진기(6)의 양측 단자(7)(7')를 도체판(8)(8')에 연결하여, 습포제의 사용시 습포지 자체로부터의 약제침투와 저주파에 의한 신속한 약제침투로 약리작용을 활성화시키는 것은 물론, 타박상, 근육통, 관절염 또는 신경통 등 다양한 근육통증질환을 신속히 치료하며, 또한 저렴한 비용으로 치료효과를 크게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원활한 약리작용으로 습포제의 부착사용에 따른 가려움증 예방과, 습포제의 부착시간을 간편하게 인식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6)

  1. 일면에 약제가 도포되고, 그 약제면을 보호함과 동시에 사용할 때 분리될 수 있도록 박리지가 접합된 습포제에 있어서, 약리작용하는 상기 습포지를 다수의 짝으로 분리하고, 각 습포지의 약제면과 도통하도록 밀착부 사이에 부착된 도체판과, 도체판에 각기 연결된 단자, 동작신호를 인가하는 조작버튼,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갖고 저주파를 환부에 인가시키는 저주파 발진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주파 발생 습포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습포제는, 약제가 포함된 습포지와, 상기 습포지에 대향하고 도체판이 개재되도록 습포지의 일면에 부착된 밀착포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주파 발생 습포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저주파 발진수단은 양분된 습포지 사이에 위치되고, 도체판의 단자홈에 결합되도록 단자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주파 발생 습포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버튼이 노출되도록 밀착포에 버튼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주파 발생 습포제.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습포지에 결합되도록 단자에 걸림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주파 발생 습포제.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포의 둘레면에 환부에 접합되는 접착층과 그 접착층을 보호하는 박리지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주파 발생 습포제.
KR1019970001804A 1997-01-22 1997-01-22 저주파 발생습포제 KR1002458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1804A KR100245836B1 (ko) 1997-01-22 1997-01-22 저주파 발생습포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1804A KR100245836B1 (ko) 1997-01-22 1997-01-22 저주파 발생습포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6346A KR19980066346A (ko) 1998-10-15
KR100245836B1 true KR100245836B1 (ko) 2000-05-01

Family

ID=194953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01804A KR100245836B1 (ko) 1997-01-22 1997-01-22 저주파 발생습포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45836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0745A (ko) * 2000-08-02 2001-11-14 허참 습포제용 저주파 발생기
US7979118B2 (en) 2007-03-20 2011-07-12 Hyunjik Yum Low frequency generation poultice
KR101070474B1 (ko) 2008-09-30 2011-10-05 이지훈 저주파 자극 약용패드
KR101233287B1 (ko) 2011-07-22 2013-02-14 포텍마이크로시스템(주) 물리치료기
KR101233286B1 (ko) 2011-07-22 2013-02-14 포텍마이크로시스템(주) 물리치료기
KR101297276B1 (ko) * 2012-08-13 2013-08-14 포텍마이크로시스템(주) 패치형 전자기 치료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333433B1 (ko) * 2011-11-28 2013-11-26 (재)예수병원유지재단 전기 자극 파스
KR101497020B1 (ko) * 2013-07-24 2015-03-04 포텍마이크로시스템(주) 패치형 전자파 치료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31116A2 (ko) * 2009-09-14 2011-03-17 Kim Hee Gu 약재 성분의 방출이 조절되는 생약패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976548B1 (ko) 2008-09-12 2010-08-17 김희구 약재 성분의 방출이 조절되는 생약패드 및 이의 제조방법
US10980752B2 (en) 2009-09-14 2021-04-20 Bm Biotechnology Co., Ltd. Device for herbal medicine in which release of medicinal ingredient can be controlled,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0745A (ko) * 2000-08-02 2001-11-14 허참 습포제용 저주파 발생기
US7979118B2 (en) 2007-03-20 2011-07-12 Hyunjik Yum Low frequency generation poultice
KR101070474B1 (ko) 2008-09-30 2011-10-05 이지훈 저주파 자극 약용패드
KR101233287B1 (ko) 2011-07-22 2013-02-14 포텍마이크로시스템(주) 물리치료기
KR101233286B1 (ko) 2011-07-22 2013-02-14 포텍마이크로시스템(주) 물리치료기
KR101333433B1 (ko) * 2011-11-28 2013-11-26 (재)예수병원유지재단 전기 자극 파스
KR101297276B1 (ko) * 2012-08-13 2013-08-14 포텍마이크로시스템(주) 패치형 전자기 치료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497020B1 (ko) * 2013-07-24 2015-03-04 포텍마이크로시스템(주) 패치형 전자파 치료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6346A (ko) 1998-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2312502B2 (en) Hydrogel and scrim assembly for use with electro-acupuncture device with stimulation electrodes
US5879322A (en) Self-contained transdermal drug delivery device
US20020019652A1 (en) Two part tens bandage
KR200403033Y1 (ko) 피부팩용 휴대형 피부미용기기
KR100245836B1 (ko) 저주파 발생습포제
US5795321A (en) Iontophoretic drug delivery system, including removable controller
AU2002312502A1 (en) Hydrogel and scrim assembly for use with electro-acupuncture device with stimulation electrodes
KR100245835B1 (ko) 습포제
US20080051692A1 (en) Applicator cartridge for an electrokinetic delivery system for self administration of medicaments
CA2624133A1 (en) An applicator cartridge for an electrokinetic delivery system for self administration of medicaments
US6162460A (en) Poultice
KR200211912Y1 (ko) 약물 경피 침투장치
CA2201378A1 (en) Iontophoretic drug delivery system, including disposable patch and reusable, removable controller
KR200199097Y1 (ko) 습포제용 저주파 발생기
KR200375948Y1 (ko) 습포제용 저주파 발생기
KR20150118601A (ko) 블랙다이몬드가 포함된 저주파 파스
KR200211911Y1 (ko) 약물 경피 침투장치
US7979118B2 (en) Low frequency generation poultice
KR200245074Y1 (ko) 약물투여용안대
KR20070079760A (ko) 저주파 발생 습포제
KR20010100745A (ko) 습포제용 저주파 발생기
JP2001286570A (ja) 低周波発生湿布剤
KR100839863B1 (ko) 습포제용 저주파 발진기
KR20000015145U (ko) 약물투여용 마스크
CA2561340A1 (en) Electrically assisted delivery system for administration of ionized active ag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20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