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66346A - 저주파 발생습포제 - Google Patents

저주파 발생습포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66346A
KR19980066346A KR1019970001804A KR19970001804A KR19980066346A KR 19980066346 A KR19980066346 A KR 19980066346A KR 1019970001804 A KR1019970001804 A KR 1019970001804A KR 19970001804 A KR19970001804 A KR 19970001804A KR 19980066346 A KR19980066346 A KR 199800663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ultice
low frequency
frequency generator
high frequency
p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018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45836B1 (ko
Inventor
이양희
Original Assignee
이양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양희 filed Critical 이양희
Priority to KR10199700018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45836B1/ko
Publication of KR199800663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63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58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583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2/00Magnetotherapy
    • A61N2/02Magnetotherapy using magnetic fields produced by coils, including single turn loops or electromagn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2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 A61K9/702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61N1/36021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for treatment of pa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2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 A61F2007/0261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medicat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Biophysic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타박상이나 근육통 및 관절통이나 신경통 부위의 피부에 부착하여 사용하는 습포제(일명 파스)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밀착포와 비닐커버지 사이에 위치하는 습포제를 양분하여 상면에 도체층을 형성하고, 상기 양 도체층을 저주파 발생기의 단자에 연결하여 습포제의 사용시 신체의 통증 부위에 부착한 후 저주파 발생기의 버튼을 눌러주면 상기 저주파 발생기에서 발생하는 저주파가 도체층을 통해 습포제를 통과하여 통증부위의 피부 깊숙히 침투하므로서 습포제에 함유되는 약품의 약리 작용이 고주파의 작용에 의해 피부 깊숙히 전달되도록 하여 통증 부위의 치료효능을 높일 수 있도록 한 저주파 발생 습포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저주파 발생 습포제
본 발명은 타박상아니 근육통 및 관절통이나 신경통 부위의 피부에 부착하여 사용하는 습포제(일명 파스)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습포제를 구성하는 밀착포와 비닐커버지 사이에 위치하는 습포지를 양분하여 상면에 도체층을 형성하고, 상기 양도체층을 저주파 발생기를 연결하여 습포제의 사용시 신체의 통증 부위에 부착한 후 저주파 발생기의 버튼을 눌러주면 상기 저주파 발생기에서 발생하는 저주파가 도체층을 통해 습포지를 통과하여 통증부위의 피부 깊숙히 침투하므로서 습포제에 함유되는 약품의 작용이 피부 깊숙히 전달되도록 하여 통증 부위의 치료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한 저주파 발생 습포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타박상이나 근육통 및 관절통이나 신경통 부위에는 물파스를 바르거나 상기 치료약이 함유되는 습포제(일명 파스)를 부착하여 치료하게 된다.
이와 같은 목적으로 이용되는 종래의 습포제는 통증 부위에 습포제를 부착할 수 있는 부착포와 상기 습포제를 보호하는 비닐커비지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종래의 습포제는 단순히 통증 부위의 피부에 부착포를 이용하여 부착하여 상기 습포제에 함유되는 약품의 작용으로 통증부위를 치료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습포제는 단순히 습포제에 함유되는 약품의 작용에 의해서만 통증 부위의 치료가 이루어져 치료효과를 높일수가 없으므로 병원등에서는 치료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통증 부위에 약품을 바른 후 저주파 치료기를 상기 통증 부위에 밀착시켜 저주파를 발생시켜 주므로서 치료효과를 높일 수 있게 하고 있다.
이와 같은 방법은 고가의 저주파 치료기를 사용하게 되므로 치료비를 높이고 일반 수요자가 쉽게 치료 받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어 지금까지 단순히 약품이 함유되는 습포제를 사용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보완하고자 밀착포와 비닐커버지 사이에 위치하는 습포지를 양분하여 상면에 도체층을 형성하고, 상기 양 도체층을 저주파 발생기의 양측 단자에 연결하여 습포제의 사용시 신체의 통증 부위에 부착한 후 저주파 발생기의 버튼을 눌러주면 상기 저주파 발생기에서 발생하는 저주파가 도체층을 통해 습포지를 통과하여 통증 부위의 피부 깊숙히 침투하므로서 습포지의 약품 작용을 피부 깊숙히 전달하여 고가의 저주파 치료기를 이용하지 않고 습포제 자체에서 발생하는 저주파를 이용하여 치료효과를 높일 수 있게 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습포제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습포제 결합상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전체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요부 확대 단면도.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의 사용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습포제, 2 : 버튼공, 3, 3' : 접착 분리지, 4 : 밀착포, 5, 5' : 습포지, 6 : 고주파 발생기, 7, 7' : 단자, 8, 8' : 도체층, 9, 9' : 단자홈, 10 : 투명 비닐지, 11 : 걸림돌기, 12 : 버튼
본 발명의 구성을 보면 도 1과 도 2 및 도 3과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습포제(1)를 구성함에 있어서, 버튼공(2)을 갖으며 피부에 부착할 수 있도록 양단에 접착 분리지(3)(3')가 형성된 밀착포(4)와, 상기 밀착포(4)하면에 부착되고 약품 성분이 함유되어 구성되는 습포지(5)(5')와, 상기 양측 습포지(5)(5')의 중심 위치에 설치되어 버튼(12)조작에 의해 고주파를 발생시켜주는 고주파 발생기(6)와, 상기 고주파 발생기(6)의 양측단자(7)(7')에 연결되며 습포지(5)(5')상면에 형성되는 도체층(8)(8')과, 상기 도체층(8)(8')에 고주파 발생기(6)의 단자(7)(7')가 연결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단자홈(9)(9')과, 상기 습포지(5)(5')의 보호를 위하여 저면에 투명 비닐지(10)부착 형성하여 구성된 것이다.
상기 고주파 발생기(6)의 양측단자(7)(7')의 저면에는 습포지(5)(5')와의 부착 상태를 견고하게 할 수 있도록 걸림돌기(11)등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주파 발생기(6)의 주심에 위치하는 조작버튼(12)은 통증 부위에 습포지(5)(5')를 부착한 후 눌러 고주파 발생기(6)를 동작시킬 수 있게 상면 밀착포(4)의 버튼공(2)외측으로 노출되도록 설치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고주파 발생기(6)는 일정시간 동안만 즉, 습포지(5)(5')에 함유된 약품 효능이 상실되는 시간까지만 동작할 수 있는 정도의 용량을 갖는 수은전지가 수장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한번 사용한 후에는 폐기할 수 있는 일회용으로 구성된다.
미설명 부호(B)는 신체의 통증부위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면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먼저 밀착포(4)양단에 부착되어 있는 접착분리지(3)(3')와, 습포지(5)(5')의 저면에 부착되어 있는 투명 비닐지(10)을 떼어 낸후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습포지(5)(5')를 신체의 통증 부위(B)의 피부표면에 대고 밀착포(4)를 이용하여 부착한다.
이후 상기 밀착포(4)상면으로 노출되어 있는 조작버튼(12)을 눌러주게 되면 상기 고주파 발생기(6)에서 고주파가 발생하게 되고 이때 발생한 고주파는 양측 단자(7)(7')와 연결되는 도체층(8)(8')을 통하여 발산되면서 습포지(5)(5')를 통과하여 통증부위(B)의 피부 깊숙히 침투하게 된다.
상기 작용에 의해 습포지(5)(5')를 통과하는 고주파가 습포지에 함유되는 약품 작용과 함께 피부 깊숙히 침투하게 되어 습포지의 약리 작용 효능을 높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습포지(5)(5')는 일정시간이 지난 후에는 즉, 습포지(5)(5')에 함유되는 약품의 약리작용이 상실되는 시간까지 사용한 수 데어 폐기하게 되며, 이 시간동안에는 계속하여 고주파가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습포제를 구성하는 밀착포와 비닐커버지 사이에 위치하는 습포지를 양분하여 상면에 도체층을 형성하고, 상기 양 도체층을 저주파 발생기의 양측 단자와 연결하여 습포지를 신체의 통증 부위에 부착한 후 저주파 발생기의 버튼을 눌러주면 상기 저주파 발생기에서 발생하는 저주파가 도체층을 통해 습포지를 통과하여 통증 부위의 피부 깊숙히 침투하므로서 습포지의 약리 작용을 피부 깊숙히 전달하여 습포제 자체에서 발생하는 저주파를 이용하여 치료효능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얻고자 한 것이다.

Claims (1)

  1. 버튼공을 갖으며 피부에 부착할 수 있도록 양단에 접착 분리지가 형성된 밀착포와,
    상기 밀착포 하면에 부착되고 약품 성분이 함유되어 구성되는 습포제 와,
    상기 양 습포제의 중심 위치에 설치되어 버튼 조작에 의해 고주파를 발생시켜주는 고주파 발생기 와,
    상기 고주파 발생기의 단자에 연결되어 고주파 펄스를 전달할 수 있도록 습포제 상면에 형성되는 도체층 과,
    상기 도체층에 고주파 발생기의 단자를 연결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단자홈 과,
    상기 습포제의 보호를 위하여 저면에 부착되는 투명 비닐지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 저주파 발생 습포제.
KR1019970001804A 1997-01-22 1997-01-22 저주파 발생습포제 KR1002458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1804A KR100245836B1 (ko) 1997-01-22 1997-01-22 저주파 발생습포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1804A KR100245836B1 (ko) 1997-01-22 1997-01-22 저주파 발생습포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6346A true KR19980066346A (ko) 1998-10-15
KR100245836B1 KR100245836B1 (ko) 2000-05-01

Family

ID=194953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01804A KR100245836B1 (ko) 1997-01-22 1997-01-22 저주파 발생습포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4583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6548B1 (ko) * 2008-09-12 2010-08-17 김희구 약재 성분의 방출이 조절되는 생약패드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1031116A3 (ko) * 2009-09-14 2011-09-01 Kim Hee Gu 약재 성분의 방출이 조절되는 생약패드 및 이의 제조방법
US10980752B2 (en) 2009-09-14 2021-04-20 Bm Biotechnology Co., Ltd. Device for herbal medicine in which release of medicinal ingredient can be controlled,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0745A (ko) * 2000-08-02 2001-11-14 허참 습포제용 저주파 발생기
KR100839862B1 (ko) 2007-03-20 2008-06-19 염현직 저주파 발생 습포제
KR101070474B1 (ko) 2008-09-30 2011-10-05 이지훈 저주파 자극 약용패드
KR101233286B1 (ko) 2011-07-22 2013-02-14 포텍마이크로시스템(주) 물리치료기
KR101233287B1 (ko) 2011-07-22 2013-02-14 포텍마이크로시스템(주) 물리치료기
KR101333433B1 (ko) * 2011-11-28 2013-11-26 (재)예수병원유지재단 전기 자극 파스
KR101297276B1 (ko) * 2012-08-13 2013-08-14 포텍마이크로시스템(주) 패치형 전자기 치료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497020B1 (ko) * 2013-07-24 2015-03-04 포텍마이크로시스템(주) 패치형 전자파 치료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6548B1 (ko) * 2008-09-12 2010-08-17 김희구 약재 성분의 방출이 조절되는 생약패드 및 이의 제조방법
US9987220B2 (en) 2008-09-12 2018-06-05 Bm Biotechnology Co., Ltd. Pad for herbal medicine in which release of medicinal ingredient can be controlled,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WO2011031116A3 (ko) * 2009-09-14 2011-09-01 Kim Hee Gu 약재 성분의 방출이 조절되는 생약패드 및 이의 제조방법
US10980752B2 (en) 2009-09-14 2021-04-20 Bm Biotechnology Co., Ltd. Device for herbal medicine in which release of medicinal ingredient can be controlled,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45836B1 (ko) 2000-05-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555577B (en) Hydrogel and scrim assembly for use with electro-acupuncture device with stimulation electrodes
US4196737A (en) Transcutaneous electrode construction
US4619252A (en) Therapeutic method and therapeutic means using a sheetlike battery
US20020019652A1 (en) Two part tens bandage
KR19980066346A (ko) 저주파 발생습포제
CN104436451B (zh) 一种配套治疗仪用的人体贴片
CA2413806A1 (en) Electrokinetic delivery device
AU2002312502A1 (en) Hydrogel and scrim assembly for use with electro-acupuncture device with stimulation electrodes
KR100245835B1 (ko) 습포제
JPH1024108A (ja) 顔面被覆マスク
JP5878984B2 (ja) 振動刺激パッド
KR101070474B1 (ko) 저주파 자극 약용패드
KR200211912Y1 (ko) 약물 경피 침투장치
US7979118B2 (en) Low frequency generation poultice
TWM568147U (zh) Electrode patch
JP2818050B2 (ja) イオントフォレーゼ用インターフェース
KR200199097Y1 (ko) 습포제용 저주파 발생기
KR200195492Y1 (ko) 저주파 발생 습포제
KR200375948Y1 (ko) 습포제용 저주파 발생기
KR20150118601A (ko) 블랙다이몬드가 포함된 저주파 파스
KR200373902Y1 (ko) 저주파 발생 습포제
KR100839863B1 (ko) 습포제용 저주파 발진기
KR20070079760A (ko) 저주파 발생 습포제
KR102005026B1 (ko) 파스 및 이를 이용한 저주파 치료기
KR20010100745A (ko) 습포제용 저주파 발생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20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