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18601A - 블랙다이몬드가 포함된 저주파 파스 - Google Patents

블랙다이몬드가 포함된 저주파 파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18601A
KR20150118601A KR1020140043992A KR20140043992A KR20150118601A KR 20150118601 A KR20150118601 A KR 20150118601A KR 1020140043992 A KR1020140043992 A KR 1020140043992A KR 20140043992 A KR20140043992 A KR 20140043992A KR 20150118601 A KR20150118601 A KR 201501186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w frequency
holes
pair
poultice
sn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39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병춘
이덕희
유영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진성메디
임병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진성메디, 임병춘 filed Critical 주식회사진성메디
Priority to KR10201400439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18601A/ko
Publication of KR201501186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86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61N1/36021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for treatment of pa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0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drug release technique; Application systems commanded by energy
    • A61K9/0009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drug release technique; Application systems commanded by energy involving or responsive to electricity, magnetism or acoustic waves; Galenical aspects of sonophoresis, iontophoresis, electroporation or electroosm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 A61K9/702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08Use-related aspects
    • A61N1/0452Specially adapted for transcutaneous muscle stimulation [T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72Structure-related aspects
    • A61N1/0492Patch electr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27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enhancing the absorption properties of tissue, e.g. by electropor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Dermatology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발명에 의한 저주파 발생 습포제는, 좌측 및 우측 습포지와, 좌측 및 우측 습포지를 감싸면서 환부에 접합되는 밀착포와, 좌측 및 우측 습포지의 약제면과 밀착포의 접착면을 보호하도록 부착되는 박리지와, 저주파를 발생하는 저주파 발진기를 구비한 저주파 발생 습포제에 있어서, 좌측 습포지와 우측 습포지가 일정간격을 두고 서로 마주하는 단부측 중앙에 각각 형성된 관통홀과, 밀착포의 중앙에 관통홀과 대응하도록 형성된 좌우 한쌍의 관통홀과, 저주파 발진기의 하면에 좌우 한쌍의 관통홀과 대응하도록 배치되면서 음극 저주파와 양극 저주파가 각각 흐르도록 설치된 좌우 한쌍의 스냅홀과, 좌측 습포지와 우측 습포지의 하면 일측에 각각 밀착됨과 동시에 관통홀을 통해 좌우 한쌍의 스냅홀에 착탈가능케 결합되는 좌우 한쌍의 스냅단추를 매개로 음극 저주파와 양극 저주파가 각각 흐르도록 설치되는 음극 도체판 및 양극 도체판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되어 있으므로, 밀착포와 결합된 여러장의 습포지를 하나의 저주파 발진기와 스냅방식에 의해 용이하게 교환되어 사용될 수 있게 하여 사용상의 편리성을 부여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블랙다이몬드가 포함된 저주파 파스{LOW FREQUENCY POULTICE}
본 발명은 저주파 발생 습포제(패취제형, 카타플라스마형, 플라스타제형, 파프제형등 포함)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타박상, 근육통, 관절염 또는 신경통 발생부위의 피부에 습포제를 부착하여서 저주파 작용에 의해 피하조직에 대한약제의 침투 효율을 증가시켜 통증을 신속히 치료함과 동시에 치료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한 블랙다이몬드가 포함된 저주파 발생 습포제에 관한것이다.
일반적으로 습포제(패취제형, 카타플라스마형, 플라스타제형, 파프제형등 포함)는, 직물제로 되어 그 일면에 접착성을 갖는 약제가 도포되어 있고, 약제를 보호함과 동시에 사용시 분리될 수 있는 비닐제의 박리지(薄利紙)가 습포지에 부착되어 있으며, 이 습포지 및 박리시는 유연한 재질로써 피부에 탄력적으로 부착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습포제의 사용시는 박리지를 떼어낸 상태에서 습포제를 환부에 부착하고 일정 시간동안 부착상태를 유지하면서 약제의 지속적인 침투성과 약리작용에 의해 통증을 치료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습포제는 물리적인 치료가 없이 단순히 그에 도포된 약품의 약리적인 작용에 의해서만 통증을 치료하므로 치료효과가 떨어질 뿐만 아니라, 시간이 흐를수록 약제의 침투성이 저하되므로 일정시간이 경과되면 새로운 습포제로 교환하여 치료를 계속해야만 하며, 습포제의 부착시간이 필요이상으로 길어지고, 약효가 소멸된 습포지를 부착하여 놓게 되면 피부의 모공을 폐색시켜 환부의 가려움증을 유발하여 사용상의 불편함이 많을 뿐만 아니라, 습포제의 약제지속시간을 확인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환부의 통증치료효과를 높이기 위한 병원의 한 물리치료요법으로서 습포방식이 아닌, 환부에 직접 약품을 바른 상태에서 별도의 저주파발생장치를 약품 도포된 환부에 접촉시키는 경우가 있으나, 이 경우는 고가의 장치를 이용함에 따라 치료비가 상승되는 것은 물론, 환자로 하여금 경제적인 부담을 안겨주며, 환자 스스로 자가적인 치료요법을 행할 수 없어 불편한 단점이 있었다.
한편, 습포제와 유사한 치료기능을 갖는 것으로써 액상의 약제가 내장된 스프레이 건 타입의 약제 분무기가 있으며, 이 경우는 분무기의 버튼을 눌러 용기 내부의 약제를 통증부위에 분사하여 치료를 행하는 것이나, 사용이 불편하고 약제의 지속시간이 습포제보다는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습포제(패취제형, 카타플라스마형, 플라스타제형 및 파프제형 포함) 등은 대다수의 근육 관절통증환자들이 널리 애용하고 있는 점을 감안하여 그 치료를 보다 간편히 행함과 동시에 치료효과를 극대화시킬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그래서, 종래는 이런 문제점의 해결방안으로 본 출원인에 의해 특허출원되어 등록된 등록번호 제195492호(등록일자 :2000.6.29)의 저주파 발생 습포제가 제안되어 왔었다.
즉, 저주파 발생 습포제(50)는, 도 1 내지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약제가 포함되며 그 중앙에 관통홀(52a)이 형성된 습포지(52)와, 상기 습포지(52)의 약제면(하면)에 부착되어 약제면을 보호함과 동시에 사용시 분리되며 관통홀(54a)이 형성된 비닐제의 박리지(54)와, 상기 습포지(52)보다 큰 둘레 길이를 가지고 습포지(52)의 비약제면(상면)에 착탈가능케 밀착되면서 그 둘레 끝단이 사용자의 환부에 접합되는 밀착포(56)와, 상기 밀착포(56)의 하면 중앙에 일체로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습포지(52)와 박리지(54)에 각각 형성된 관통홀(52a)(54a)에 결합 또는 분리되며 또한 온 동작시 여러 진동모드로 변환되면서 저주파를 발생하는 저주파 발진기(58)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관통홀(52a)(54a)의 내주면 일측에는 상기 저주파 발진기(58)로 습포지(52)와 박리지(54)가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관통홀(52a)(54a)의 크기를 확대 및 축소시킬 수 있는 절결선(52b)(54b)이 서로 대향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밀착포(56)는 종류가 다른 제품에서는 사용하지 않고, 습포지(52) 자체의 접착성으로 환부에 부착할 수 있게 된다.
또, 상기 밀착포(56)는, 그 중앙 소정위치에 상기 저주파 발진기(58)의 후술하는 온/오프 버튼(ON/OFF BUTTON), 업/다운 버튼(UP/DOWN BUTTON) 및 신호부(알람이나 또는 램프)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버튼공(56a)(56b) 및 램프공(56c)이 형성되어 있고, 그 하면 좌우 양단에는 사용자의 환부에 접합되는 접착층이 형성되면서 그 접착층을 보호하도록 박리지(60a)(60b)가 부착되어 있다.
상기 저주파 발진기(58)는, 그 몸체(58a)의 상면에 서로 일정간격을 두고 온/오프 버튼(58b), 업/다운 버튼(58c) 및 신호부(58d)가 각각 설치되어 있고, 상기 몸체(58a)의 내부에는 도시하지 않은 배터리 및 전자부품들이 내장되어 있다.
또한, 상기 온/오프 버튼(58b) 및 업/다운 버튼(58c)은 하나의 버튼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몸체(58a)의 하부에는 몸체(58a)의 둘레보다 큰 둘레를 가지며 얇은 박판형상을 갖는 회로기판(58e)이 돌출되어 있고, 상기 인쇄회로기판(58e)의 상면 가장자리에는 상기 습포제(50)를 사용시 습포지(52)의 약제면과 직접 접촉되는 음극 단자(58f)가 실장되어 있으며, 상기 인쇄회로기판(58e)의 하면 중앙에는 사용자의 환부(피부)와 직접 접촉되는 양극단자(58g)가 실장되어 있다.
이때, 상기 인쇄회로기판(58e)의 둘레는 상기 관통홀(52a)(54a)의 내경보다 크게 이루어져 있고, 상기 관통홀(52a)(54a)은 인쇄회로기판(58e)을 통과할때 그 일측에 형성된 절결선(52b)(54b)에 의해 크기가 확대 및 축소되도록 되어 삽입이 용이하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에 의한 저주파 발생 습포제(50)는, 밀착포(56)와 저주파 발진기(58)를 일체로 고정하여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양산하고, 박리지(54)가 부착된 습포지(52)를 여러장 구비하여 약제성분이 떨어질때마다 교환이 가능하도록 양산되기 때문에 소비자가 새로운 습포지(52)를 밀착포(56)에 부착할 때 조그만 오차가 발생되더라도 밀착포(56)에 이미 고정된 저주파 발진기(58)와 습포지(52)의 관통홀(52a)이 일치되지 않아 밀착포(56)와 습포지(52)를 여러번 붙였다 뗐다 하여야 하는 번거로움과 불편함이 있었으며, 또한 여러장의 습포지(52)를 한 장의 밀착포(56)에 붙였다 뗐다 하거나 또는 밀착포(56)를 환부에 여러번 붙였다 뗐다 할 때 수분 등의 이물질에 의해 밀착포(56)의 밀착력(접착력)이 현저히 상실되어 재기능을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밀착포와 결합된 여러장의 습포지를 하나의 저주파 발진기와 스냅방식에 의해 용이하게 교환되어 사용될 수 있게 하여 사용상의 편리성을 부여할 수 있는 블랙다이몬드가 포함된 저주파 파스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본 발명에 의한 저주파 발생 습포제는, 약제가 함유된 좌측 및 우측 습포지와, 상기 좌측 및 우측 습포지를 감싸면서 환부에 접합되는 밀착포와, 상기 좌측 및 우측 습포지의 약제면과 밀착포의 접착면을 보호하도록 부착되는 박리지와, 저주파를 발생하는 저주파 발진기를 구비한 저주파 발생 습포제에 있어서, 상기 좌측 습포지와 우측 습포지가 일정간격을 두고 서로 마주하는 단부측 중앙에 각각 형성된 관통홀과, 상기 밀착포의 중앙에 상기 관통홀과 대응하도록 형성된 좌우 한쌍의 관통홀과, 상기 저주파 발진기의 하면에 상기 좌우 한쌍의 관통홀과 대응하도록 배치되면서 음극 저주파와 양극 저주파가 각각 흐르도록 설치된 좌우 한쌍의 스냅홀과, 상기 좌측 습포지와 우측 습포지의 하면 일측에 각각 밀착됨과 동시에 상기 관통홀을 통해 상기 좌우 한쌍의 스냅홀에 착탈가능케 결합되는 좌우 한쌍의 스냅단추를 매개로 음극 저주파와 양극 저주파가 각각 흐르도록 설치되는 음극 도체판 및 양극 도체판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음극 도체판과 양극 도체판은 상기 좌측 습포지와 우측 습포지가 떨어진 거리만큼 이격되도록 비도체판에 의해 동시 지지되는 도전성 필름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박리지의 중앙에는 상기 좌측 및 우측 습포지와 음극 및 양극 도체판과의 사이에 개재된 박리지가 용이하게 분리되도록 열십자모양으로 절결선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및 제2실시예에 의한 저주파 발생 습포제는, 하나의 저주파 발진기를 이용하여 여러장의 습포지를 교체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밀착포, 습포지 및 도전성 필름체를 스낸방식에 의해 저주파 발진기와 결합 또는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습포지의 교환시 번거로움과 불편함을 없애고 사용상의 편리성을 부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에 의한 저주파 발생 습포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3a는 도 2의 사용전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3b는 도 2의 사용후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저주파 발생 습포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4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6a는 도 5의 사용전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6b는 도 5의 사용후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저주파 발생 습포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로 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1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관하여 첨부 도면 도 4 내지 도 6b를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저주파 발생 습포제(15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약제가 포함되며 서로 일정간격을 두고 서로 마주하는 단부측 중앙에 관통홀(152c)이 각각 형성된 좌측 및 우측 습포지(152a)(152b)와, 상기 좌측 및 우측 습포지(152a)(152b)의 평면적보다 더 넓게 제단되어 좌측 및 우측 습포지(152a)(152b)의 비약제면(상면)과 밀착되고 그 둘레 끝단측 나머지 접착면이 사용시 사용자의 환부에 접합되며 또한 좌측 및 우측 습포지(152a)(152b)에 각각 형성된 관통홀(152c)과 대응하도록 좌우 한쌍의 관통홀(154a)이 형성된 밀착포(154)와, 상기 좌측 및 우측 습포지(152a)(152b)의 약제면(하면)과 밀착포(154)의 둘레 끝단측 접착면에 동시 부착되어 약제면 및 접착면을 보호하다가 사용시 분리되는 비닐제의 박리지(156)와, 상기 밀착포(154)의 상부에 위치되어 온 동작시 여러 진동모드로 변환되면서 저주파를 발생하며 또한 하면에 상기 좌우 한쌍의 관통홀(154a)과 대응하도록 배치되면서 음극 저주파와 양극 저주파가 각각 흐르도록 좌우 한쌍의 스냅홀(158e)을 가진 저주파 발진기(158)와, 상기 좌측 습포지(152a)와 우측 습포지(152b)의 하면 일측에 각각 밀착됨과 동시에 상기 관통홀(152c)(154a)을 통해 상기 좌우 한쌍의 스냅홀(158e)에 착탈가능케 결합되는 좌우 한쌍의 스냅단추(164)를 매개로 음극 저주파와 양극 저주파가 각각 흐르도록 설치되는 음극 도체판(162a) 및 양극 도체판(162b)을 가진 도전성 필름체(160)로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밀착포(154)는 종류가 다른 제품에서는 사용하지 않고, 좌측 및 우측 습포지(152a)(152b) 자체의 접착성으로 환부에 부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저주파 발진기(158)는, 그 몸체(158a)의 상면에 서로 일정간격을 두고 온/오프 버튼(158b), 업/다운 버튼(158c) 및 신호부(158d)가 각각 설치되어 있고, 상기 몸체(158a)의 내부에는 도시하지 않은 배터리 및 전자부품들이 내장되어 있다.
이때, 상기 온/오프 버튼(158b) 및 업/다운 버튼(158c)은 하나의 버튼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좌우 한쌍의 스냅홀(158e)은 상기 도전성 필름체(160)의 음극 도체판(162a)과 양극 도체판(162b)에 각각 설치된 스냅단추(164)가 용이하게 착탈되고 결합시 음극 저주파와 양극 저주파가 각각 흐르도록 상기 몸체(158a)내의 전자부품(미도시)들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한편, 상기 도전성 필름체(160)는 상기 좌측 습포지(152a)와 우측 습포지(152b)의 하면 일측에 각각 밀착되는 음극 도체판(162a) 및 양극 도체판(162b)과, 상기 음극 도체판(162a)과 양극 도체판(162b)의 상면 일측에 각각 수직으로 돌출 고정되는 좌우 한쌍의 스냅단추(164)와, 상기 음극 도체판(162a)과 양극 도체판(162b)이 일정거리 이격되게 동시 지지되도록 그 하면에 일체로 고정되는 비도체판(166)으로 구성되어 있다.
다음은,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실시예에 의한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한다.
습포제(150)를 사용할려면, 먼저 도 6a와 같이 밀착포(154)와 좌측 및 우측 습포지(152a)(152b)로부터 박리지(156)를 떼어내면, 좌측 및 우측 습포지(152a)(152b)의 전체 하면, 밀착포(154)의 가장자리측 하면, 도전성 필름체(160)측 비도체판(166)의 하면이 외부로 노출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좌측 및 우측 습포지(152a)(152b)의 하면을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환부(B)에 부착시킴과 동시에 밀착포(154)의 하면 가장자리측을 눌러준다.
이때, 좌측 및 우측 습포지(152a)(152b)는 그 하부측 약제면에 도포된 접착성분에 의해 환부(B)에 긴밀하게 부착되면서 좌측 및 우측 습포지(152a)(152b)의 하면 안쪽에 부착된 비도체판(166)이 환부(B)에 동시 밀착되도록 고정시켜 주게 되고, 밀착포(154)는 그 가장자리측 하면에 도포된 접착층에 의해 환부(B)에 부착됨으로써 비도체판(166)을 포함한 도전성 필름체(160)의 전체와 좌측 및 우측 습포지(152a)(152b)가 환부(B)로부터 유동되지 않도록 견고히 유지시켜 주게 된다.
그런 후, 도 6b의 상태에서 밀착포(154)의 상부에 설치된 저주파 발진기(158)의 온/오프 버튼(158b)을 눌러 온(ON) 동작시킨 후, 업/다운 버튼(158c)을 눌러 진동모드를 선택한다.
이때, 진동모드는 적어도 5단계이상으로 변환될 수 있도록 회로적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업/다운 버튼(158c)을 누를때 마다 원하는 진동모드의 구간을 선택하여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저주파 발진기(158)의 동작에 따라 저주파가 발생되면, 이 저주파는 도전성 필름체(160)의 음극 도체판(162a)과 양극 도체판(162b)에 각각 연결된 좌측 습포지(152a)와 우측 습포지(152b)를 통해 피부의 피하조직으로 침투하게 되면서 좌측 및 우측 습포지(152a)(152b)에서 발산되는 약제성분을 신속하고 균일하게 환부 깊숙히 싣어 나르는 역할을 행한다.
즉, 저주파 발진기(158)의 하면에 형성된 좌우 한쌍의 스냅홀(158e)은 좌측 및 우측 습포지(152a)(152b)의 하면에 각각 밀착된 음극 및 양극 도체판(162a)(162b)과 스냅단추(164)를 매개로 각각 결합(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좌측 및 우측 습포지(152a)(152b)를 환부(B)에 접촉시킨 후, 상기 온/오프 버튼(158b)을 눌러 저주파 발진기(158)를 온 동작시키면 음극 도체판(162a)에서 좌측 습포지(152a)를 통해 환부(B)로 전달되는 음극 저주파 성분과 양극 도체판(162b)에서 우측 습포지(152b)를 통해 환부(B)로 전달되는 양극 저주파 성분이 서로 도통되면서 저주파의 약리작용이 활성화되고, 이로 인해 좌측 및 우측 습포지(152a)(152b)의 약제성분이 환부(B)로 깊숙히 침투되기 시작한다.
이 처럼 좌측 및 우측 습포지(152a)(152b) 자체로부터의 약제침투와 저주파 발생에 따른 직류전류에 의한 약제성분의 침투를 동시에 병행함으로써 약리작용을 활발하게 할 뿐만 아니라 저주파 진동(물리치료)작용으로 환부(B)의 통증을 신속히 완화시켜 보다 빠른 쾌유를 기대할 수 있다.
한편, 저주파 발진기(158)에 내장된 배터리는 여러장의 습포지(152)를 일정시간마다 교환하여 사용할 수 있을 정도의 용량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습포지(152)의 약제성분이 일정시간 사용후 소멸되면 저주파 발생 습포제(150)에 있어서 저주파발진기(158)를 제외한 나머지 밀착포(154), 좌측 및 우측 습포지(152a)(152b), 도전성 필름체(160)를 환부(B)로부터 분리시켜 폐기한다.
그리고, 제약회사에서 제품양산시 하나의 세트로 출시되는 새로운 밀착포(154), 좌측 및 우측 습포지(152a)(152b), 도전성 필름체(160), 박리지(156)를 저주파 발진기(158)와 다시 결합하여 사용한다.
즉, 저주파 발생 습포제(150)는 포장될 때 하나의 저주파 발진기(158)에 여러장의 좌측 및 우측 습포지(152a)(152b)를 수납하며, 이들 여러장의 좌측 및 우측 습포지(152a)(152b)는 밀착포(154), 도전성 필름체(160), 박리지(156)와 하나의 세트로 각각 결합되어 수납되기 때문에 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다.
(제2실시예)
상기 설명에서 박리지(156)가 좌측 및 우측 습포지(152a)(152b)의 하면에 부착될 때 도전성 필름체(160)를 사이에 개재하여 부착되도록 구성한 습포제(150)에 관하여 일례를 들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예를 들면 제2실시예로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박리지(156)가 좌측 및 우측 습포지(152a)(152b)와 음극 및 양극 도체판(162a)(162b)과의 사이에 개재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즉, 상기 박리지(156)는 상기 좌측 및 우측 습포지(152a)(152b)의 하면에 먼저 부착된 상태에서 그 하부에 도전성 필름체(160)가 위치되도록 함과 동시에 음극 도체판(162a)과 양극 도체판(162b)의 상부로 돌출된 좌우 한쌍의 스냅단추(164)가 박리지(156)를 관통하여 좌측 및 우측 습포지(152a)(152b)에 각각 형성된 관통홀(152c)속으로 삽입되도록 그 평면 중앙에 열십자모양으로 절결선(156a)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열십자모양의 절결선(156a)은 박리지(156)가 좌측 및 우측 습포지(152a)(152b)와 음극 및 양극 도체판(162a)(162b)과의 사이에 개재된 상태에서 박리지(156)를 분리시킬 때 용이하게 절결되도록 안내해 준다.
상기와 같은 블랙다이몬드가 포함된 저주파 파스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작동 방식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 실시예들은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152a,152b : 좌측 및 우측 습포지 152c : 관통홀
154 : 밀착포 154a : 관통홀
156 : 박리지 156a : 절결선
158 : 저주파 발진기 158e : 스냅홀
160 : 도전성 필름체 162a : 음극 도체판
162b : 양극 도체판 164 : 스냅단추
166 : 비도체판

Claims (3)

  1. 블랙다이몬드 약제가 함유된 좌측 및 우측 습포지(152a)(152b)와, 상기 좌측 및 우측 습포지(152a)(152b)를 감싸면서 환부에 접합되는 밀착포(154)와, 상기 좌측 및 우측 습포지(152a)(152b)의 약제면과 밀착포(154)의 접착면을 보호하도록 부착되는 박리지(156)와, 저주파를 발생하는 저주파 발진기(158)를 구비한 저주파 발생 습포제(150)에 있어서,
    상기 좌측 습포지(152a)와 우측 습포지(152b)가 일정간격을 두고 서로 마주하는 단부측 중앙에 각각 형성된 관통홀(152c)과,
    상기 밀착포(154)의 중앙에 상기 관통홀(152c)과 대응하도록 형성된 좌우 한쌍의 관통홀(154a)과, 상기 저주파 발진기(158)의 하면에 상기 좌우 한쌍의 관통홀(154a)과 대응하도록 배치되면서 음극 저주파와 양극 저주파가 각각 흐르도록 설치된 좌우 한쌍의 스냅홀(158e)과,
    상기 좌측 습포지(152a)와 우측 습포지(152b)의 하면 일측에 각각 밀착됨과 동시에 상기 관통홀(152c)(154a)을 통해 상기 좌우 한쌍의 스냅홀(158e)에 착탈가능케 결합되는 좌우 한쌍의 스냅단추(164)를 매개로 음극 저주파와 양극 저주파가 각각 흐르도록 설치되는 음극 도체판(162a) 및 양극 도체판(162b)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저주파 발생 습포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음극 도체판(162a)과 양극 도체판(162b)은 상기 좌측 습포지(152a)와 우측 습포지(152b)가 떨어진 거리만큼 이격되도록 비도체판(166)에 의해 동시 지지되는 도전성 필름체(16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주파 발생 습포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박리지(156)의 중앙에는 상기 좌측 및 우측 습포지(152a)(152b)와 음극 및 양극 도체판(162a)(162b)과의 사이에 개재된 박리지(156)가 용이하게 분리되도록 열십자모양으로 절결선(156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주파 발생 습포제.
KR1020140043992A 2014-04-14 2014-04-14 블랙다이몬드가 포함된 저주파 파스 KR2015011860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3992A KR20150118601A (ko) 2014-04-14 2014-04-14 블랙다이몬드가 포함된 저주파 파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3992A KR20150118601A (ko) 2014-04-14 2014-04-14 블랙다이몬드가 포함된 저주파 파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8601A true KR20150118601A (ko) 2015-10-23

Family

ID=544270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3992A KR20150118601A (ko) 2014-04-14 2014-04-14 블랙다이몬드가 포함된 저주파 파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1860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3934A (ko) * 2017-12-19 2019-06-27 미래메디엔텍 주식회사 파스 및 이를 이용한 저주파 치료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3934A (ko) * 2017-12-19 2019-06-27 미래메디엔텍 주식회사 파스 및 이를 이용한 저주파 치료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555577B (en) Hydrogel and scrim assembly for use with electro-acupuncture device with stimulation electrodes
US4619252A (en) Therapeutic method and therapeutic means using a sheetlike battery
KR100245835B1 (ko) 습포제
US20080051692A1 (en) Applicator cartridge for an electrokinetic delivery system for self administration of medicaments
KR20080080492A (ko) 약제의 자기 투여를 위한 동전기식 전달시스템의애플리케이터 카트리지
KR100245836B1 (ko) 저주파 발생습포제
KR20150118601A (ko) 블랙다이몬드가 포함된 저주파 파스
JP5878984B2 (ja) 振動刺激パッド
KR200413956Y1 (ko) 저주파 발생 습포제
KR20070079760A (ko) 저주파 발생 습포제
KR200373902Y1 (ko) 저주파 발생 습포제
KR200375960Y1 (ko) 저주파 발생 습포제
KR200195492Y1 (ko) 저주파 발생 습포제
KR200211912Y1 (ko) 약물 경피 침투장치
KR200375948Y1 (ko) 습포제용 저주파 발생기
US6162460A (en) Poultice
KR100839862B1 (ko) 저주파 발생 습포제
TW473396B (en) Low frequency generating poultice
KR200199097Y1 (ko) 습포제용 저주파 발생기
KR100839863B1 (ko) 습포제용 저주파 발진기
KR20010096456A (ko) 저주파 발생 습포제
US20230218890A1 (en) Flexible transcutaneous nerve stimulation device
KR200211911Y1 (ko) 약물 경피 침투장치
KR20010100745A (ko) 습포제용 저주파 발생기
JPH0323251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