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1911Y1 - 약물 경피 침투장치 - Google Patents

약물 경피 침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1911Y1
KR200211911Y1 KR2020000019467U KR20000019467U KR200211911Y1 KR 200211911 Y1 KR200211911 Y1 KR 200211911Y1 KR 2020000019467 U KR2020000019467 U KR 2020000019467U KR 20000019467 U KR20000019467 U KR 20000019467U KR 200211911 Y1 KR200211911 Y1 KR 20021191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g
circuit board
frequency oscillator
printed circuit
current frequ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946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참
이양희
Original Assignee
허참
이양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참, 이양희 filed Critical 허참
Priority to KR202000001946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191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191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1911Y1/ko

Links

Landscapes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약물 경피 침투장치는, 전류 주파발진기(30)와, 상기 전류 주파발진기(30)의 하부에 설치된 인쇄회로기판(37)과, 밀착포(40)를 구비한 약물 경피 침투장치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37)의 일측에 일정간격을 두고 각각 설치된 음극단자(38) 및 양극단자(39)와, 상기 인쇄회로기판(37)의 일측에 상기 양극단자(39)와 접촉되게 부착된 약물 흡수용 패드(60)와, 상기 전류 주파발진기(30)의 일측에 교체가능케 결합되어 상기 약물 흡수용 패드(60)에 약물을 주기적으로 공급하는 약물 보관용기(80)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되어 있으므로, 환자에게 거부감을 주지 않게 될 뿐만 아니라 감염의 염려가 없고, 통증을 주지 않게 되어 사용이 편리하며, 또한 기존 약물 흡수용 패드(습포제형, 패취제형, 카타플라스마형, 플라스타제형, 파프제형등)에 적용할 경우 약물의 침투효과를 증가시켜 주어 치료효과를 높이게 됨은 물론, 치료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약물 경피 침투장치{A PERMEATION APPARATUS FOR SKIN OF MEDICATION}
본 고안은 전류 주파발진기에 약물 보관용기와 약물 흡수용 패드(예컨대, 주사용 약물을 흡수할 수 있는 부재)를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약물 경피 침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주사기를 사용하지 않고 교체가능한 약물보관용기에서 주기적으로 흘러내리는 약물이 약물 흡수용 패드에 흡수되면서 환부내부로 침투되도록 한 약물 경피 침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습포제는, 직물제로 되어 그 일면에 접착성을 갖는 약제가 도포되어 있고, 약제를 보호함과 동시에 사용시 분리될 수 있는 비닐제의 박리지(薄利紙)가 습포지에 부착되어 있으며, 이 습포지 및 박리지는 유연한 재질로써 피부에 탄력적으로 부착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습포제의 사용시는 박리지를 떼어낸 상태에서 습포제를 환부에 부착하고 일정 시간동안 부착상태를 유지하면서 약제의 지속적인 침투성과 약리작용에 의해 통증을 치료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습포제는 단순히 그에 도포된 약품의 약리적인 작용에 의해서만 통증을 치료하므로 치료효과가 떨어질 뿐만 아니라, 점차 약제의 침투성이 저하되므로 일정시간이 경과되면 새로운 습포제로 교환하여 치료를 계속해야만 하며, 습포제의 부착시간이 필요이상으로 길어지면 약효가 소멸된 상태에서 피부의 모공을 폐색시켜 환부의 가려움증을 유발할 뿐만 아니라, 습포제의 약제지속시간을 확인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환부의 통증치료효과를 높이기 위한 병원의 한 물리치료요법으로서 습포방식이 아닌, 환부에 직접 약품을 바른 상태에서 별도의 저주파발생장치를 약품 도포면에 접촉시키는 경우가 있으나, 이 경우는 고가의 장치를 이용함에 따라 치료비가 상승되는 것은 물론, 환자로 하여금 경제적인 부담을 안겨주며, 환자 스스로 자가적인 치료요법을 행할 수 없어 불편한 단점이 있었다.
한편, 습포제와 유사한 치료기능을 갖는 것으로써 액상의 약제가 내장된 스프레이 건 타입의 약제 분무기가 있으며, 이 경우는 분무기의 버튼을 눌러 용기 내부의 약제를 통증부위에 분사하여 치료를 행하는 것이나, 사용이 불편하고 약제의 지속시간이 습포제보다는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습포제 등은 대다수의 근육과 관절통증환자들이 널리 애용하고 있는 점을 감안하여 그 치료를 보다 간편히 행함과 동시에 짧은 시간에 치료효과를 극대화시킬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그래서, 종래는 이런 문제점의 해결방안으로 본 출원인에 의해 특허출원되어 등록된 등록번호 제245836호로 저주파 발생용 습포제가 제안되어 왔었다.
즉, 저주파 발생용 습포제(1)는, 도1 내지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의 짝으로 분리되면서 약제가 포함된 습포지(5a)(5b)를 구비하고, 이 습포지(5a)(5b)의 일면에 밀착포(4)를 부착하되, 이 습포지(5a)(5b) 및 밀착포(4)의 사이에 도체판(8a)(8b)을 개재한다.
또, 상기 도체판(8a)(8b)은 상기 습포지(5a)(5b)에 대응하도록 상호 분리되면서 상기 습포지(5a)(5b)의 상면에 접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조작버튼(12)과 양극 및 음극 단자(7a)(7b)를 갖고 내부에 배터리(도시안됨)를 포함하는 저주파 발생기(6)를 구비하여 그 양극 및 음극 단자(7a)(7b)를 도체판(8a)(8b)에 각기 연결하되, 상기 저주파 발생기(6)는 분리된 양측 습포지(5a)(5b)의 사이에 결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습포지(5a)(5b)의 사이에 저주파 발생기(6)가 형합(形合)되도록 습포지(5a)(5b)에 소정의 형태로 자리를 만들고, 상기 저주파 발생기(6)의 양측 양극 및 음극 단자(7a)(7b)가 결합되도록 도체판(8a)(8b)에 단자홈(9a)(9b)을 형성하며, 상기 단자홈(9a)(9b)으로부터의 변위,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양극 및 음극 단자(7a)(7b)의 하면에는 습포지(5a)(5b)에 각기 결합될 수 있는 걸림돌기(1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습포지(5a)(5b)의 약제면에 비닐제의 박리지(10)를 부착하여 약제면을 보호함과 동시에 사용시 분리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밀착포(4)에는 저주파 발생기(6)의 조작버튼(12)과 업/다운버튼(13)이 노출되도록 버튼공(2a)(2b)을 형성한다.
상기 밀착포(4)는 적어도 상기 습포지(5a)(5b)보다 큰 둘레 길이를 갖도록 하고, 그 둘레부 일면에 환부에 접합되는 접착층을 형성하면서 접착층을 보호하도록 박리지(3a)(3b)를 부착하여 습포제(1)를 구성한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저주파 발생용 습포제(1)는, 밀착포(4)와 습포지(5a)(5b)의 사이에 도체판(8a)(8b)이 개재되고, 이 도체판(8a)(8b)의 일측에 저주파 발생기(6)가 일체로 고정되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습포지(5a)(5b)보다 상대적으로 고가부품(高價部品)인 저주파 발생기(6)를 별도로 분리하여 재사용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도체판(8a)(8b)의 사용으로 인하여 습포제(1)의 제조원가가 높음은 물론, 시중에서 판매되는 기존 습포제에 저주파 발생기(6)를 부착하여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었다.
또, 종래의 습포제(1)는 약제가 흡수된 상태에서 판매되기 때문에 약효가 떨어질때 매번 습포제(1)를 교체하여야 하는 번거로움과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주사기를 사용하지 않고 별도의 약물보관용기에서 흘러내리는 약물이 약물 흡수용 패드로 흡수된 후 전류 주파발진기의 전류(직류, 주파직류)작용에 의해 인체의 환부 내부로 침투될 수 있기 때문에 환자에게 거부감을 주지 않게 될 뿐만 아니라 감염의 염려가 없고, 통증을 주지 않게 되어 사용이 편리하며, 치료효과를 높이게 됨은 물론, 치료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한 약물 경피 침투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본 고안의 약물 경피 침투장치는, 전류 주파발진기와, 상기 전류 주파발진기의 하부에 설치된 인쇄회로기판과, 밀착포를 구비한 약물 경피 침투장치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일측에 일정간격을 두고 각각 설치된 음극단자 및 양극단자와,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일측에 상기 양극단자와 접촉되게 부착된 약물 흡수용 패드와, 상기 전류 주파발진기의 일측에 교체가능케 결합되어 상기 약물 흡수용 패드에 약물을 주기적으로 공급하는 약물 보관용기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1은 종래의 저주파 발생 습포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2는 종래의 저주파 발생 습포제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
도3은 종래의 저주파 발생 습포제를 도시한 요부 단면도,
도4는 본 고안의 약물 경피 침투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5는 본 고안의 약물 경피 침투장치를 도시한 결합 측단면도,
도6은 도5의 A부분에 대한 확대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0 : 전류 주파발진기 31 : 몸체
31a : 수납공간 31b : 도어
37 : 인쇄회로기판 37a : 관통홀
38 : 음극단자 39 : 양극단자
39a : 관통홀 40 : 밀착포
60 : 약물 흡수용 패드 80 : 약물 보관용기
81 : 개구홀 82 : 밸브
이하,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관하여 첨부 도면 도4 내지 도6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의 약물 경피 침투장치는, 전류(예컨대, 저주파 또는 고주파등)를 발생하는 전류 주파발진기(30)와, 상기 전류 주파발진기(30)의 상면 가장자리에 사용시 부착되면서 환부(B)에 동시 부착되는 밀착포(40)와, 상기 밀착포(40)의 하면에 비사용시 부착되는 제1박리지(50)와, 상기 전류 주파발진기(30)의 하면 중앙에 부착되어 전류가 도통되는 약물 흡수용 패드(60)와, 상기 약물 흡수용 패드(60)의 상면 및 하면에 비사용시 부착되는 제2 및 제3박리지(70)(71)와, 상기 전류 주파발진기(30)의 일측에 교체가능케 결합되어 전류 주파발진기(30)의 하부에 부착된 상기 약물 흡수용 패드(60)에 약물을 주기적으로 공급하는 약물 보관용기(80)로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전류 주파발진기(30)는, 평면에서 볼때 원형상으로 이루어진 몸체(31)로서, 이 몸체(31)의 상면에 서로 일정간격을 두고 온/오프 버튼(32), 업/다운 버튼(33) 및 신호모드부(34)가 각각 설치되어 있고, 상기 몸체(31)의 내부에는 배터리(35) 및 콘트롤 소자(36)등이 내장되어 있다.
또, 상기 몸체(31)의 하면에는 평면에서 원형상을 이룸과 동시에 몸체(31)보다 동심을 이루면서 몸체(31)보다 큰 직경을 가진 인쇄회로기판(37)이 일체로 부착되어 있고, 상기 인쇄회로기판(37)의 가장자리 둘레에는 환부(B)에 직접 접촉되도록 평면에서 볼때 링형상으로 이룸과 동시에 단면상태가 디긋자형상을 가지는 음극단자(38)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인쇄회로기판(37)의 하면 중앙에는 상기 약물 흡수용 패드(60)와 접촉되도록 하면에서 볼때 원판형상을 이루는 양극단자(39)가 설치되어 있다.
이때, 상기 몸체(31)의 중앙에 상기 약물 보관용기(80)가 수직방향으로 삽입 또는 분리되도록 상부가 개구된 수납공간(31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납공간(31a)의 상부에는 수납공간(31a)의 개구를 개폐하도록 일측이 예를 들어 경첩등에 의해 힌지되어 여닫이방식으로 회동되는 도어(31b)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배터리(35)는 상기 몸체(31)내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구성하거나 또는 몸체(31)로부터 교환가능토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인쇄회로기판(37)의 하면 소정둘레에는 상기 음극단자(38)와 양극단자(39)가 서로 접촉되지 않도록 링형상의 구획돌기(37a)가 일체로 돌설되어 있다.
상기 음극단자(38)는 인체에 거부감을 주지 않는 연성재질의 도전성 도체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음극단자(38)와 양극단자(39)는 설계변경에 따라 서로의 극성을 바뀌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인쇄회로기판(37)과 양극단자(39)의 중앙에는 상기 몸체(31)에 형성된 수납공간(31a)과 통로가 연결되도록 관통홀(37a)(39a)이 형성되어 있고, 이들 관통홀(37a)(39a)은 상기 약물 보관용기(80)에 설치된 후술하는 밸브의 수직부 외경보다 큰 내경으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밀착포(40)와 제1박리지(50)는 평면에서 볼때 서로 동일한 직경을 가진 링형상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밀착포(40)의 하면에 대하여 안쪽 둘레는 상기 전류 주파발진기(30)의 인쇄회로기판(37)의 상면에 부착되고, 상기 밀착포(40)의 하면에 대하여 바깥 둘레는 환부(B)에 부착되어 진다.
상기 약물 흡수용 패드(60)와 제1 및 제2박리지(70)(71)는 평면에서 볼때 서로 동일한 직경으로 원형상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약물 흡수용 패드(60)는 상기 양극단자(39)보다는 큰 외주면을 이룸과 동시에 상기 음극단자(38)의 내주면보다 작은 외주면을 이루도록 제조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37)의 하면에 부착되어 진다.
상기 약물 보관용기(80)는 그 하부 중앙에 개구홀(81)이 형성되고, 상기 개구홀(81)에는 수평부가 약물 보관용기(80)의 내부에 수용됨과 동시에 수직부가 개구홀(81)을 통해 외부로 일정거리 돌출되도록 티(T)자형상의 밸브(82)가 상하유동가능케 설치되며, 상기 밸브(82)의 수평부 하면은 약물 보관용기(80)의 비사용시 상기 개구홀(81)의 상면과 약한 힘에 의해서도 쉽게 밀봉상태가 파열되도록 예를 들어 접착제등에 의해 부착되어 있다.
또, 상기 약물 보관용기(80)는 밀폐형 캡슐타입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이 캡슐타입은 상기 수납공간(31a)내에 삽입되기전 일부분의 밀봉상태가 파열되어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음은,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한다.
도5와 같이 전류 주파발진기(30)의 몸체(31)에 형성된 수납공간(31a)에 약물 보관용기(80)를 조립하기 위해서는, 먼저 약물 흡수용 패드(60)의 상면에 각각 부착된 제2박리지(70)를 떼어낸 후, 약물 흡수용 패드(60)의 상면에 도포된 접착성을 이용하여 상기 인쇄회로기판(37)의 하면에 부착한 후, 몸체(31)에 설치된 도어(31b)를 열어 수납공간(31a)을 개방시킨 다음, 그 수납공간(31a)에 별도로 제조된 약물 보관용기(80)를 삽입시킨다.
이때, 약물 보관용기(80)에 형성된 개구홀(81)이 하부를 향하도록 해서 수납공간(31a)내에 삽입시킨 후 도어(31b)를 닫게 되면, 이 도어(31b)의 닫힘력에 의해 약물 보관용기(80)가 눌려지면서 수납공간(31a)의 내부로부터 유동됨이 없이 고정되고, 약물 보관용기(80)의 하부측 개구홀(81)을 통해 외부로 돌출된 밸브(82)의 수직부는 인쇄회로기판(37)의 관통홀(37a)과 양극단자(39)의 관통홀(39a)을 통해 약물 흡수용 패드(60)의 상면에 부딪칠때 상부로 이동되면서 밸브(82)의 상단에 형성된 수평부를 소정높이로 밀어주게 된다.
이에 따라, 약물 보관용기(80)의 개구홀(81)은 상기 밸브(82)의 수평부가 소정높이로 들리는 상승작용에 의해 입구가 개방되면서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약물 보관용기(80)내의 약물이 개구홀(81), 쇄회로기판(37)의 관통홀(37a), 양극단자(39)의 관통홀(39a)의 수순을 거쳐 약물 흡수용 패드(60)의 상면으로 공급됨과 동시에 약물 흡수용 패드(60)의 전면적에 수초의 시간을 두고 골고루 흡수된다.
한편, 전류 주파발진기(30)를 밀착포(40)에 의해 인체의 환부(B)에 부착하기 위해서는, 먼저 약물 흡수용 패드(60)의 하면에 각각 부착된 제3박리지(71)를 떼어낸 후, 약물 흡수용 패드(60)의 하면을 환부(B)에 부착한다.
그리고, 밀착포(40)의 하면에 부착된 제1박리지(50)를 떼어낸 후, 밀착포(40)의 하면에 도포된 접착성을 이용하여 밀착포(40)의 하면 안쪽 둘레가 인쇄회로기판(37)의 상면에 부착되게 함과 동시에 밀착포(40)의 하면 바깥쪽 둘레는 환부(B)에 부착한다.
이때, 전류 주파발진기(30)의 몸체(31)는 상기 밀착포(40)의 중앙에 뚫린 구멍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지만, 몸체(31)의 하면에 설치된 인쇄회로기판(37)은 상기 밀착포(40)의 하면에 의해 환부(B)쪽으로 밀착됨으로써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쇄회로기판(37)의 가장자리측에 부착된 음극단자(38)의 하면이 환부(B)에 직접 접촉되어 전류가 도통할 수 있는 상태에 놓이게 되고, 인쇄회로기판(37)의 하면 중앙에 부착된 약물 흡수용 패드(60)는 환부(B)에 집접 접촉되면서 인쇄회로기판(37)과 약물 흡수용 패드(60)와의 사이에 설치된 양극단자(39)로부터 발생되는 전류가 환부(B)로 흐를 수 있는 상태를 유지시켜 준다.
이러한 상태에서 전류 주파발진기(30)의 몸체(31)에 설치된 온/오프 버튼(32)을 눌러 온(ON) 동작시킨 후, 업/다운 버튼(33)을 눌러 진동모드를 선택하면, 상기 몸체(31)내에 내장된 콘트롤 소자(36)들의 프로그램 작용에 의해 주파가 진동하게 되고, 이 진동모드는 적어도 5단계이상으로 변환될 수 있도록 프로그램적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업/다운 버튼(33)을 누를때 마다 원하는 진동모드의 구간을 선택하여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전류 주파발진기(30)의 동작에 따라의 전류가 발생되면, 이 전류는 피부의 피하조직으로 침투하게 되면서 약물 흡수용 패드(60)에서 흡수되어 있는 약물을로 분리되는 양극의 전류 작용으로 신속, 균일하게 싣어 나르는 역할을 행한다.
그리고, 상기 작동은 일정시간(10분)은 주파진동 작용하고, 어프되면 60분정도는 주파진동없이 지속적으로 직류 전류만을 도통시켜 약성분을 침투시키는 시간으로 하고 다시 10분은 주파 진동하는 작용을 자동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즉, 인쇄회로기판(37)의 가장자리측 음극단자(38)는 환부(B)에 접촉되고, 인쇄회로기판(37)의 하면 중앙측 양극단자(39)는 약물 흡수용 패드(60)에 접촉되어 직류 전류가 흐르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온/오프 버튼(32)을 눌러 전류 주파발진기(30)를 온 동작시키면 양극단자(39)에서 약물 흡수용 패드(60)를 통해 환부(B)로 전달되는 예를 들어 양극 저주파 성분과 음극단자(38)에서 환부(B)로 전달되는 예를 들어 음극 저주파 성분이 서로 도통되면서의 직류 전류에 의한 저주파의 주파작용이 활성화되기 시작한다.
이 처럼 약물 흡수용 패드(60)의 자체로부터의 약물 침투와 전류에 의한 약제성분의 침투를 동시에 행함으로써 약리작용을 활발하게 할 뿐만 아니라 전류의 주파 진동 자극으로 환부(B)의 통증을 신속히 완화시키고 근육을 풀어줌에 따라 혈행에 도움을 주어 보다 빠른 쾌유를 기대할 수 있다.
이 현상은 지속적인 전류의 사용으로 환부(B)를 통해서 인체의 안으로 약물의 이온(ION)을 전달하는 방법으로서, 그 원리는 이온들이 기전력(ELECTRMOTIVE FORCE)의 영양하에 반대로 전하된 전극을 향해 이동하는 현상을 기초에 두고 있다.
따라서, 약물 또는 약물이 함유되어 있는 약물 흡수용 패드(60)를 양극단자(39)에 접촉시키고, 인체의 환부(B)에 음극단자(38)를 접촉시키면 약물 흡수용 패드(60)에 함유되어 있던 약물의 이온들이 환부(B)를 통하여 음극단자(38)쪽으로 이동할려는 작용이 발생함으로써 약물 이온을 환부(B)의 모세 혈관을 통해 침투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주사기를 사용하지 않고 약물을 인체의 환부(B) 내부로 침투시킬 수 있기 때문에 환자에게 거부감을 주지 않게 될 뿐만 아니라 감염의 염려가 없으며, 통증을 주지 않게 되어 사용이 편리하다.
한편, 전류 주파발진기(30)에 내장된 배터리(35)는 일체형일 경우 여러장의 약물 흡수용 패드(60)를 일정시간마다 교환하여 사용할 수 있을 정도의 용량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배터리(35)가 모두 소진될때까지는 약물 흡수용 패드(60)를 교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즉, 약물 흡수용 패드(60)의 약제성분이 소멸되면 밀착포(40), 약물 흡수용 패드(60) 및 전류 주파발진기(30)를 환부(B)로부터 분리한 후, 약제성분이 소멸된 약물 흡수용 패드(60)를 분리시켜 폐기한다.
그런후, 전류 주파발진기(30)에 새로운 약물 흡수용 패드(60)나 약물 보관용기(80)를 상술한 순서와 마찬가지로 교체해서 사용할 수 있으며, 전류 주파발진기(30)내에 내장된 배터리(35)를 교체가능토록 할 경우 전류 주파발진기(30)의 재사용이 가능케 되는 것이다.
따라서, 전류 주파발진기(30)로부터 약물 흡수용 패드(60)와 약물 보관용기(80)를 교체가능케하여 소모성제품으로 사용하고, 전류 주파발진기(30)는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어 반영구적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약물 경피 침투장치는, 전류 주파발진기로부터 약물 보관용기와 약물 흡수용 패드를 교체가능케 사용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하나의 전류 주파발진기로 여러장의 약물 흡수용 패드와 약물 보관용기를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어 경제성이 있는 것이다.
또, 전류 주파발진기의 작용에 의해 약물 흡수용 패드에 함유된 약물을 환부의 깊숙히 침투시킬 수 있기 때문에 주사기를 사용할때 발생되는 환자의 거부감을 없앨 수 있고, 감염 및 통증의 염려가 없어 사용이 편리할 뿐만 아니라, 치료효과를 높일 수 있음과 동시에 치료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것이다.

Claims (5)

  1. 전류 주파발진기(30)와, 상기 전류 주파발진기(30)의 하부에 설치된 인쇄회로기판(37)과, 밀착포(40)를 구비한 약물 경피 침투장치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37)의 일측에 일정간격을 두고 각각 설치된 음극단자(38) 및 양극단자(39)와,
    상기 인쇄회로기판(37)의 일측에 상기 양극단자(39)와 접촉되게 부착된 약물 흡수용 패드(60)와,
    상기 전류 주파발진기(30)의 일측에 교체가능케 결합되어 상기 약물 흡수용 패드(60)에 약물을 주기적으로 공급하는 약물 보관용기(80)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경피 침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주파발진기(30)의 일측에는, 상기 약물 보관용기(80)가 수직방향으로 삽입 또는 분리되도록 상부가 개구된 수납공간(31a)과, 상기 수납공간(31a)의 상부에 설치되어 수납공간(31a)의 개구를 개폐하는 도어(31b)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경피 침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물 보관용기(80)는, 그 하부 중앙에 형성된 개구홀(81)과, 상기 개구홀(81)에 상하유동가능케 설치되어 개구홀(81)을 개폐하는 밸브(82)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경피 침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물 보관용기(80)는 캡슐타입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경피 침투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37)과 양극단자(39)의 일측에는 상기 수납공간(31a)과 통로가 연결되도록 관통홀(37a)(39a)이 각각 형성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경피 침투장치.
KR2020000019467U 2000-07-07 2000-07-07 약물 경피 침투장치 KR20021191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9467U KR200211911Y1 (ko) 2000-07-07 2000-07-07 약물 경피 침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9467U KR200211911Y1 (ko) 2000-07-07 2000-07-07 약물 경피 침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1911Y1 true KR200211911Y1 (ko) 2001-02-01

Family

ID=730567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9467U KR200211911Y1 (ko) 2000-07-07 2000-07-07 약물 경피 침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191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0132B1 (ko) 2009-12-16 2012-05-02 정우협 저주파 치료기용 도자 커버패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0132B1 (ko) 2009-12-16 2012-05-02 정우협 저주파 치료기용 도자 커버패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555577B (en) Hydrogel and scrim assembly for use with electro-acupuncture device with stimulation electrodes
US5879322A (en) Self-contained transdermal drug delivery device
US5087242A (en) Hydratable bioelectrode
JP2807800B2 (ja) 経皮質薬剤投与アプリケータ
US5961484A (en) Method for removal of medical device, especially a transducer patch
US20070250018A1 (en) Transdermal Drug Administration System with Microneedles
US5087241A (en) Iontophoresis electrode with reservoir and injection site
JPH03114476A (ja) 溶液抑止システムを備えたイオン浸透療法電極
AU2002312502A1 (en) Hydrogel and scrim assembly for use with electro-acupuncture device with stimulation electrodes
JPH08238325A (ja) 薬剤経皮投与器
US6526303B1 (en) Disposable defibrillation and external pacing electrode
KR100245835B1 (ko) 습포제
KR100245836B1 (ko) 저주파 발생습포제
KR200211911Y1 (ko) 약물 경피 침투장치
KR200211912Y1 (ko) 약물 경피 침투장치
KR200199097Y1 (ko) 습포제용 저주파 발생기
KR200195492Y1 (ko) 저주파 발생 습포제
KR200373902Y1 (ko) 저주파 발생 습포제
KR20070079760A (ko) 저주파 발생 습포제
KR200413956Y1 (ko) 저주파 발생 습포제
KR20010100745A (ko) 습포제용 저주파 발생기
US7979118B2 (en) Low frequency generation poultice
CA2201378A1 (en) Iontophoretic drug delivery system, including disposable patch and reusable, removable controller
KR200375960Y1 (ko) 저주파 발생 습포제
JP3001101U (ja) イオン浸透装置用対向電極およびその対向電極を使用したイオン浸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1116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