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82035A - 표시신호 제어장치, 및 표시신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표시신호 제어장치, 및 표시신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82035A
KR20070082035A KR1020070014738A KR20070014738A KR20070082035A KR 20070082035 A KR20070082035 A KR 20070082035A KR 1020070014738 A KR1020070014738 A KR 1020070014738A KR 20070014738 A KR20070014738 A KR 20070014738A KR 20070082035 A KR20070082035 A KR 200700820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video data
display unit
generating
se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47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48597B1 (ko
Inventor
카즈미 수가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820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20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85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85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1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 H04N7/0117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involving conversion of the spatial resolution of the incoming video signal
    • H04N7/0122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involving conversion of the spatial resolution of the incoming video signal the input and the output signals having different aspect ratio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4Dis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demultiplexing audio and video streams, extraction of additional data from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Disassembling of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4345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e.g. extracting service information from an MPEG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3/0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 H04N3/1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 H04N3/16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by deflecting electron beam in cathode-ray tube, e.g. scanning corr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04N5/45Picture in picture, e.g. displaying simultaneously another television channel in a region of the scree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4Maintain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43Preventing or counteracting the effects of ageing
    • G09G2320/046Dealing with screen burn-in prevention or compensation of the effect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14Picture signal circuitry for video frequency region
    • H04N5/147Scene change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청자에게 표시 위치의 이동에 의한 위화감을 주는 일없이 방송 프로그램을 표시한다. EPG 및 GUI 화상을 표시할 때 표시장치의 번인을 방지한다. 채널을 시청하고 있을 때, 다음 프로그램의 방송 시작과 CM 영상의 삽입 등의 이벤트의 타이밍을 SI 및 메타데이터 등의 프로그램 속성정보로부터 취득한다. 다음 프로그램이나 광고의 삽입 시간 등의 정보를 속성정보로부터 검출하고, 해당 시간에서 표시부의 표시 영역에 표시되는 영상 데이터를 변경한다. 영상 데이터의 변경은, 유효 영상 데이터 영역으로부터 표시 영역에 적용하는 영상 데이터의 영역을 설정할 때에, 해당 영역의 좌표정보를 변경함으로써 실행된다.
표시신호제어, 방송 프로그램, 영상 데이터

Description

표시신호 제어장치, 및 표시신호 제어방법{DISPLAY SIGNAL CONTROL APPARATUS, AND DISPLAY SIGNAL CONTROL METHOD}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장치의 개략적인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디코더부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의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프로그램의 속성 정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의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프로그램 정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위치의 이동을 나타내는 개념도다.
도 6a 및 6b는,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위치의 이동을 나타내는 개념도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및 제3 실시 예에 따른 개략적인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다.
도 11a 내지 11d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위치의 이동을 나타내는 개념도다.
도 12a 및 도 12b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위치의 이동을 나타내는 블록도다.
도 13a 내지 도 13d는 종래기술을 나타내는 개념도다.
본 발명은, 출력되는 영상신호들에 의한 표시장치의 번-인을 회피하는 방법을 구비한 표시신호 제어장치, 표시신호 제어방법, 관련 프로그램 및 기억매체에 관한 것이다.
소위 브라운관이라고도 부르는 CRT(Cathod-ray tube) 디스플레이, 또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등의 표시장치가, 장시간 동일한 화상을 계속해서 나타내면, 밝게 표시된 부분에서만 형광체 열화가 발생한다. 그 결과, 이 부분만 발광량이 감소하고, 소위 번-인이 발생한다. 표시장치가 장기간에 걸쳐 동일한 화상을 표시한 후에는, 시청자는 휘도 레벨의 불균일의 형태로 이 번인(burn-in)을 관측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도 13a를 참조.
16:9의 애스펙트 비를 가진 표시장치에, 4:3의 애스펙트 비를 가진 방송 프로그램의 영상 신호를, 4:3의 애스펙트 비를 유지하면서 표시하면, 표시장치의 화상 표시 영역과 화상 비표시 영역 간의 경계에서 번인이 발생한다. 또, 16:9의 애 스펙트 비를 가진 방송 프로그램(풀 화상 표시 상태로서 알려져 있다)이라도, 채널 로고나 야구 게임의 스코어보드 등과 같은 일정한 캐릭터 등의 화상이 장시간 방송될 경우, 로고나 캐릭터의 패턴들이 표시 위치에 번인되기 쉽다. 예를 들면, 도 13c 참조.
또한, 표시장치가,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이하 EPG(Electronic Program Guide)이라고 함)나 각종 설정 및 조정용의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이하 GUI(Graphic User Interface)라고 함) 등의 화상을 장시간에 걸쳐 표시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이 EPG 및 GUI가 콘트라스트가 높은 정지 화상이기 때문에, 번인이 종종 발생한다.
방송 프로그램의 표시 중에 표시장치의 번인을 방지하기 위해서, 방송 프로그램의 표시 위치를 고정시키지 않고, 이동시키는 방법이 있다.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평 2-268579호에는, 화상의 표시위치를 일정한 시간마다 이동시키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평 5-167874호에는, 특정 영역에 있어서의 화상의 연속 표시 시간이 규정된 양의 시간을 초과했을 경우에, 화상의 표시 위치를 이동시키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 2004-328520호에는, 텔레비젼 방송의 수신 채널(방송국)을 바꿀 때마다 방송 프로그램의 표시 위치를 이동시키는 방법뿐만 아니라, 영상신호의 이전 프레임과 현 프레임 간의 차이가 클 경우에, 화상 표시 위치를 이동시키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상기의 EPG 및 GUI 화상의 번인을 방지하는 방법으로서, 일본국 공개 특허공보 특개평 7-170465호에는, GUI 화상을 일정 시간 동안 표시했을 경우, 표시장치의 GUI 화상의 휘도를 저하시키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평 10-63224호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표시장치의 GUI 화상의 표시 위치 및 표시 휘도 레벨을 필드마다 랜덤하게 이동시키는 방법도 있다. 또,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 2003-195852호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아이콘 화상을 표시할 때마다 아이콘 화상의 표시 위치를 이동시키는 방법도 있다.
그렇지만,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평 2-268579호 및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평 5-167874호에 개시되어 있는 기술에서는, 표시장치의 번인을 방지할 수 있지만, 방송 프로그램의 표시 위치가 이동하기 때문에, 그 이동이 시청자에게 지각될 때, 시청자에게 위화감을 준다.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 2004-328520호 등의 문헌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방송 채널을 전환할 때마다 방송 프로그램의 방송 채널 표시 위치를 이동시키는 기술에서는, 방송 채널을 바꾸지 않는 한 방송 프로그램의 표시 위치를 이동시키지 않는다. 따라서, 같은 채널의 방송 프로그램을 장시간 시청하는 경우에는, 표시장치의 번인의 위험이 있다. 또한,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 2004-328520호에 개시되어 있는 것처럼, 이전 프레임과 현 프레임 간의 차이가 클 경우에, 표시 화면의 전환, 즉 화면 변화와 같은 이벤트를 검출해서 방송 프로그램의 표시위치를 이동시킴으로써, 표시장치의 번인을 방지할 수 있다. 그렇지만, 1개의 방송 프로그램 중에도 화면 변화가 많이 발생한다. 그 때문에, 화면 변화가 있을 때, 방송 프로그램의 표시 위치의 이동이, 시청자에 의해 지각될 것이고, 예를 들면, 도 13a 내지 도 13b와, 도 13c 내지 13d에 나타낸 종류의 표시장치에 있어서 이동이 있는 경우다.
도 13b는, 도 1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시장치에 있어서 화상을 표시영역의 중앙에서 좌측으로 이동시켰을 경우를 극단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또한,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 2004-328520호에는 사이드 패널이나 레터 박스(letter box)를 표시할 때의 영상 표시 영역과 영상 비표시 영역 간의 경계부에 있어서의 표시장치의 번인을 방지하기 위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풀 화상 표시 상태에서는, 표시 위치의 이동이 발생하지 않는다. 다시 말해, 풀 화상 표시 상태에 있어서 채널 로고 및 캐릭터의 표시에 의해 생기는 표시장치의 번인을 대처할 수 없다.
다른 한편, EPG 혹은 GUI 화상에 의한 표시장치의 번인을 방지하기 위한 종래기술은,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평 7-170465호 및 특개평 10-63224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EPG 혹은 GUI 화상에 의한 표시장치의 번인을 방지할 수 있다. 그렇지만,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평 7-170465호에 기재된 기술에서는, EPG 혹은 GUI 화상의 휘도가 갑자기 저하해, 시청자에게 위화감을 준다.
또한,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평 10-63224호에 기재된 기술에서는, 1필드의 단위로 표시 위치의 이동 또는 휘도의 변화를 시청자가 지각하는데, 이것은 상기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평 2-268579호, 특개평 5-167874호 및 특개 2004-328520호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위화감을 일으킨다. 또한, 상기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 3-195852호에 개시되어 있는 기술에 있어서, 해당 문헌의 아이콘 화상을 EPG 혹은 GUI 화상이라고 가정했을 경우, 이들 화상의 표시 위치를 이동시키기 위 해서는, 한번 화상의 표시를 오프해서 다시 표시할 필요가 있다. 그 때문에, 표시 위치의 이동의 빈도가 낮고, 표시장치의 번인의 저감 효과가 충분하지 않다. 화상의 표시 위치를 빈번히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단시간 내에 화상을 반복해서 온 및 오프해야 하므로, 유저에 있어서는 대단히 사용하기 나쁜 장치가 되어 버릴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어떤 시청 상태에서도 시청자에게 위화감을 주는 일없이 표시장치의 번인을 방지하거나 줄일 수 있는 표시신호 제어장치, 표시신호 제어방법, 프로그램, 및 기억매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예의 표시신호 제어장치는, 방송 프로그램을 표시부에 표시하는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표시신호 제어장치로서,
상기 표시부에 표시가능한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생성 수단과,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속성정보를 취득하는 취득 수단과,
상기 생성 수단에 의해 생성된 영상 데이터의 유효 영상 데이터 영역 내에서, 상기 표시부에 방송 프로그램을 표시하는 영상 데이터 영역을 설정하는 설정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설정 수단은, 상기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방송 프로그램의 속성 정보에 따라 상기 영상 데이터 영역을 변경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예의 표시신호 제어장치는, 방송 프로그램을 표시부에 표시하는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표시신호 제어장치로서,
상기 표시부에 표시가능한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생성 수단과,
유저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상기 표시부에 그래픽 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 수단과,
상기 생성 수단에 의해 생성된 영상 데이터의 유효 영상 데이터 영역 내에서,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영상 데이터 영역을 설정하는 설정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설정수단은, 상기 표시 수단에 그래픽 데이터가 표시된 경우에, 상기 영상 데이터 영역을 변경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표시신호 제어장치는, 방송 프로그램을 표시부에 표시하는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표시신호 제어장치로서,
유저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그래픽 데이터를 생성하는 생성 수단과,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그래픽 데이터를 조작하기 위한 입력으로서 지시를 접수하는 접수수단과,
상기 생성 수단에 의해 생성된 그래픽 데이터의 표시 위치를 설정하는 설정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접수 수단이 입력으로서 지시를 접수했을 때, 상기 설정 수단은, 상기 생성 수단에 의해 생성된 입력으로서의 지시에 대응하는 그래픽 데이터의 표시 위치를, 상기 입력으로서의 지시를 접수하기 전에 표시된 그래픽 데이터의 표시 위치와 다른 위치로 설정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예의 표시신호 제어방법은, 방송 프로그램을 표시부에 표시하는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표시신호 제어방법으로서,
상기 표시부에 표시가능한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생성 스텝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방송 프로그램의 속성정보를 취득하는 취득 스텝과,
상기 생성 스텝에 의해 생성된 영상 데이터의 유효 영상 데이터 영역 내에서,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영상 데이터 영역을 설정하는 설정 스텝을 포함하고,
상기 설정 스텝은, 상기 취득 스텝에서 취득한 방송 프로그램의 속성 정보에 따라 상기 영상 데이터 영역을 변경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텔레비젼 수신장치나 텔레비젼 표시장치의 일반적인 사용중에, 시청자가 어떤 변화를 지각하는 일없이, 번인을 방지하거나 줄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이하에 설명한 실시 예로부터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텔레비젼 방송 신호의 수신장치에 관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1 실시 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텔레비젼 방송 신호의 수신장치의 개략적인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다. 본 수신장치는 수신장치의 외부에 존재하는 안테나(10)로부터 입력으로서 방송파를 수신한다. 본 수신장치에는 튜너부(11), 디코더부(영상 데이터 생성수단;12), 표시 위치 제어부(13), 프로그램 변화 검출부(14) 및 제어부(15)가 구비되어 있다. 또, 본 수신장치에는, 선택 표시부(16)와 음성 출력부(17)도 일체적으로 설치되지만, 표시부(16) 및 음성 출력부(17)는, 독립적인 표시장치 또는 음성출력장치로서 설정되는 경우도 있다.
안테나(10)가 수신한 텔레비젼 방송신호는, 튜너부(11)에 입력된다. 튜너부(11)는, 제어부(15)의 제어에 의해, 수신해야 할 방송 채널의 정보(주파수, TS_ID)를 취득한다. 취득한 방송 채널 정보에 근거해, 수신 주파수 또는 수신 채널을 전환함으로써, 원하는 방송 채널의 TS(transport stream) 신호를 디코더부(12)에 출력한다.
디코더부(12)에 의해 비디오 및 오디오 신호가 복호화되는 디코딩 처리를 도 2의 블록도를 참조해 설명한다.
튜너부(11)에 의해 입력된 TS 신호는, 복조부(101)에 의해 복조되고, 에러 정정부(102)에 의해 에러 정정된다. 디멀티플렉서부(103)는, 비디오, 오디오, PSI(Program Specific Information)등이 다중화되어 있는 TS 신호를 디멀티플렉스 한다. 디멀티플렉스된 비디오 및 오디오 신호는, 복호화부(104)에 의해 각각 복호화된다. 또한, 도 3에 있어서의 PID(패킷 ID)로 지정된 각종 PSI 섹션은, 이 디멀티플렉서부(103)에 의해 필터링된다. 그리고, 방송 프로그램에 관한 정보를 얻기 위해 필요한 SI(Service Information) 등이 취득되고, 프로그램 변화 검출부(14) 및 제어부(15)에 출력된다.
다시 도 1로 되돌아가서, 프로그램 변화 검출부(14)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프로그램 변화 검출부(14)에서는, 다음 방송 프로그램으로의 전환과 커머셜 메세지(이하 "CM(commercial message)"이라고 함)로의 전환 등의 프로그램 내용의 변경 또는 변화를 소정의 취득 정보를 사용해서 검출한다. 이 프로그램 내용에 대한 변화는, 시청자가 방송 프로그램의 표시 위치의 변화를 지각할 수 없는 타이밍에서 행해진다.
다음 방송 프로그램으로의 전환이 있는지를 검출하는 것은, 프로그램 방송 시간을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은 EIT를 취득하는 것으로 특정하고, TDT의 시간 데이터와 함께 관리함으로써 가능해진다. 이 방법을 통해서 다음 프로그램의 시작 시간을 정확히 검출할 수 있다.
여기에서는 EIT 등의 SI에 대해서 설명한다. SI는, SDT(Service Description Table), EIT(Event Information Table), BAT(Bouquet Association Table), 및 TDT(Time Data Table)의 4개의 테이블로 이루어진다. 이들 중, EIT는 방송 프로그램에 고유한 정보를, 도 4에 상세히 나타낸 것처럼 포함하고 있다.
EIT의 기술자(descriptor)는, 다음과 같다.
1. 짧은 이벤트 기술자(프로그램명 및 프로그램 내용의 간단한 설명을 나타낸다),
2. 확장된 이벤트 기술자(프로그램 내용의 상세한 설명을 항목마다 나타낸다),
3. 컴포넌트 기술자(프로그램의 각 컴포넌트에 대한 정보, 예를 들면, 영상 품질, 애스펙트비, 및 스테레오나 모노럴 음성 등을 나타낸다),
4. 콘텐트 기술자(프로그램의 쟝르 및 속성을 나타낸다).
또, 음성 다중 모드로의 전환을 검출함으로써 CM의 타이밍을 검출하는 방법이 있다. 또한, 별도의 방법으로서는, 일본국 특허공보 6-66738호에 개시되어 있는 방법 등의 무음 구간 및 화면 변화를 이용하는 CM 구간 검출 방법 등이 있다.
본 실시 예에 있어서의 CM 타이밍의 검출 방법은, 상술한 공공연히 알려진 검출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어떠한 검출 방법을 사용해도 된다. 물론, CM의 시작과 종료시간이 SI에 규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프로그램의 방송 시간의 검출과 비슷한 방법으로, 프로그램 중의 CM의 방송 시간을 검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프로그램 및 CM을 검출하는 방법은 SI의 EIT를 사용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XML 등의 마크업(markup) 언어로 기록된 메타데이터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정규 방송뿐만 아니라, 서버형 방송 및 IP 방송 등의 차세대 방송 환경에서도, 프로그램 등의 콘텐츠를, 해당 콘텐츠의 내용 및 제어 속성을 규정한 메타데이터를 사용해서 제어할 것이다. 메타데이터를 이용하여, 방송 시간 및 내용을 규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시 말해, 메타데이터 및 SI는 프로그램 콘텐츠의 속성 정보를 포함하고, 이 속성정보를 취득함으로써, 본 발명은 프로그램 변화를 검출할 수 있다.
표시 위치 제어부(13)는, 제어부(15)의 제어 하에 표시부(16)에 표시된 영상 데이터를 유효 영상 데이터 영역 내에서 이동시키는 처리를 수행한다. 즉, 유효 영상 데이터 영역 내에서 영상 데이터로 설정되는 영역을 변경하는 처리를 수행하는 것이다. 이 표시 위치 제어부(13)에 의해 실행된 프로그램 표시 위치의 이동 처리의 예를 설명하기 위해서 도 5a∼5c에 나타낸 개념도를 사용한다.
보통, 텔레비젼 방송 신호가 오버스캔(overscan)되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다. 방송국으로부터 송신되는 영상 데이터는, 유효 영상 데이터 영역과, 수직방향 및 수평방향으로 움직이는 블랭킹(blanking) 영역을 갖는다. 여기에서는, 프로그램 비디오가 표시되는 영역을 유효 영상 데이터 영역이라고 하고, 영상 데이터 영역 이외의 영역을 블랭킹 영역이라고 한다. 표시장치는, 표시 영역에 블랭킹 영역이 표시되지 않도록, 복조된 영상 신호의 유효 영상 데이터 영역의 90-95%를 추출한다. 이 예를 도 5a∼5c에 나타낸다. 도 5a는, 유효 영상 데이터 영역이 수평 1920 화소 및 수직 1080 화소일 때, 영상 데이터를 90%에서 오버스캔하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도 5b에서는, 수평 1920 화소와 수직 1080 화소의 영상 데이터가 각각 1920×0.9(=1728) 화소와 1080×0.9(=972) 화소로 트리밍(추출)된다. 다시 말해, 수평 및 수직의 90%의 사이즈를 달성하기 위해 영상 데이터의 추출이 수행된다. 이 트리밍된 영상 데이터는 표시부(16)의 해상도에 따라 스케일링 처리된다. 예를 들 면, 표시부(16)의 해상도가 수평 1920 화소 및 수직 1080 화소이면, 도 5c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화상은 수평 및 수직 방향 모두로 10/9배 확대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표시장치의 표시 영역에는, 수신한 유효 영상 데이터 영역의 90%가 풀 사이즈로 표시되게 된다. 종래, 이 추출 처리는, 항상 일정한 추출 위치(화소 좌표)에서 행해졌다. 오버스캔 시에, 발생하는 추출의 축척의 양은, 수신장치의 제조자에 의해 결정되어 있다. 그 때문에, 추출되는 영상 영역의 화소 좌표는, 이 축적 양에 따라 자동으로 결정된다. 일반적으로는, 결정된 좌표값은 레지스터에 저장되고, 추출부(도면에 나타내지 않음)는, 이들 좌표값을 사용해서 추출을 수행한다. 본 실시 예에서는, 표시 위치 제어부(13)가 추출 처리부 및 스케일링 처리부를 갖는다.
본 발명에서는, 도 5a에 참조번호 51 및 52로서 나타낸 바와 같이, 오버스캔 시의 추출의 위치를 변경하는 처리를 수행한다. 즉, 해당 처리는, 유효 영상 데이터 영역 내에서 표시부(16)의 표시 영역에 표시된 영상 데이터 영역을, 프로그램 변경시나 CM으로의 이동 시에 연속적으로 이동시킨다.
방송 프로그램의 표시 위치의 이동을, 시청자가 지각할 가능성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주어진 이동 시에 이동량을 작게 하는 것이 적합하다. 또한, 어떤 방향에 있어서의 화상의 에지의 번인에 대응하기 위해서도, 수평 및 수직방향 모두로 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때문에, 예를 들면 도 6a 및 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오버스캔 시에 추출을 수행할 때 사용된 기준점을 지그재그 패턴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a 및 도 6b는 4×4 화소 영역에 있어서의 추출에 사용된 기준 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있어서, 각 화살표는 한 번의 이동을 나타내고 있다. 도 6a에 나타낸 것과 같이 이동시킨 후에, 도 6b에 나타낸 것과 같이 이동시킴으로써, 전체 4×4 화소 영역 위에서 이동시킬 수 있다. 물론, 상기 도면에 나타낸 이동 패턴은, 한 예이며, 이동시키는 순서나 방향은, 시청자에 의해 지각되지 않는 요구조건을 만족시켜야 한다. 또한, 이동 영역(도 6a 및 도 6b의 경우에는 4×4 화소 영역)은 추출 축척에 의해 결정된 영상 사이즈가 영상 신호에 의해 송신되는 영상 영역의 영역 외측을 포함하지 않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실시 예를 이하에 설명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의 영상 데이터 추출은, 단일 추출 기준 위치(좌표값)를 사용하는 것을 수반한다. 대조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미리 정해진 복수의 추출 기준위치(화소 좌표값)를 사용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면, 미리 정해진 복수의 추출 기준위치(화소 좌표값)를, 이동시키는 순서에 따라 테이블(도면에 나타내지 않음)에 저장할 수 있다. 여기에서는, 테이블의 구성은 설정되지 않는다. 프로그램 변화 검출부(14)가 프로그램의 변화를 검출하면, 제어부(15)는 다음 추출 기준위치에 따라 화상을 추출한다. 이 목적을 위해, 표시 위치 제어부(13)에 의한 화상의 추출에 사용된 화소 좌표값인 레지스터의 값을, 다음 추출 기준위치의 좌표값으로 바꿔 쓴다. 표시 위치 제어부(13)는 바꿔 쓸 수 있는 좌표값을 사용해서 화상 추출을 행한다. 화상의 추출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표시부(16)에 나타낸 영상은 추출 위치의 변경 전후에서 변화하게 된다.
예를 들면, 영상 데이터의 소정의 위치에 항상 존재하고 있는 채널 로고에 대해서는, 같은 위치에서 항상 추출을 행할 때, 표시부(16)의 표시 영역에 있어서의 소정의 화소 위치에 항상 로고가 표시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표시부(16)의 표시 영역에 표시하기 위해 사용된 영상 데이터는, 프로그램의 속성정보에 따라 유효 영상 데이터 영역 내에 있어서의 추출 위치가 변경되기 때문에, 추출 위치의 변경 전후에 변화된다. 즉, 프로그램의 속성정보에 따라 유효 영상 데이터 영역 내의 표시 영역을 설정하게 된다. 따라서, 표시부(16)의 표시 영역의 절대위치로부터, 로고의 표시위치가 이동한다. 이 처리를 통해서, 이 표시 위치에 로고나 캐릭터가 계속해서 표시될 때, 표시부(16)에 발생하는 번인을 줄이거나 회피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표시부(16)는, 전술한 바와 같이, 표시 위치 제어부(13)가 출력한 방송 프로그램의 영상 신호를 표시해서 시청자에게 그것을 시청하게 하는, CRT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등의 표시 디바이스다. 표시부(16)는, 수신장치와는 별도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음성 출력부(17)는, 증폭기나 스피커를 포함하고, 영상 신호와 함께 방송되는 음성신호를 음성으로서 출력한다. 음성 출력부(17)는 표시부(16)와 마찬가지로, 수신장치와는 별도로 설치될 수 있다.
제어부(15)는, 채널을 선국하기 위한 튜너부(11)뿐만 아니라, 디코더부(12)를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5)는 SI를 취득하고, 표시 위치 제어부(13)와 프로그램 변화 검출부(14)를 제어한다. 도 7의 흐름도는 표시 위치의 이동을 시청자가 지각하는 일없이 표시위치의 이동을 실행시킬 수 있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될 것이다.
제어부(15)는, 상기한 바와 같이, 튜너부(11) 및 디코더부(12)를 제어해 원하는 채널을 선국한다. 또한, 제어부(15)는, 텔레비젼 방송 프로그램을 표시부(16)에 표시한다(스텝 S71). 그러나, 이 처리 중에도, 스텝 S72에 나타낸 바와 같이, SI를 디코더부(12)의 디멀티플렉서부(103)로부터 취득하고, 항상 방송 프로그램의 변화를 검출한다. 스텝 S73에서 프로그램 변화 검출부(14)가 방송 프로그램의 변화를 검출했을 경우, 이 처리는 스텝 S74로 진행된다. 방송 프로그램의 변화는, 전술한 바와 같이, 다음 프로그램으로의 전환이나, 메인 프로그램에서 CM으로의 전환과 그 반대로의 전환을 나타낸다.
스텝 S74에서는, 제어부(15)가 표시 위치 제어부(13)를 제어하고, 방송 프로그램의 표시 위치를 이동시킨다. 이 표시 위치의 이동 처리는, 영상 데이터 영역의 위치 설정을 변경하는 것에 의하여 달성된다. 그러나, 스텝 S73에서, 방송 프로그램의 변화가 검출되지 않으면, 이 처리는 스텝 S71로 돌아오고, 정규 프로그램 시청 중에, 검출 동작이 계속된다. 물론, 스텝 S74에서 표시 위치의 이동이 발생한 후에도, 프로그램의 시청이 계속되는 한은, 본 흐름도가 계속해서 실행된다.
이상,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서 설명한 텔레비젼 방송신호의 수신장치에 의하면, SI(프로그램 배열 정보) 및 EIT(Event Information Table)에 규정된 프로그램 정보로부터, 다음 프로그램으로의 전환 또는 CM으로의 전환 등의 변화를 검출한다. 검출한 타이밍에 따라 프로그램 표시 위치를 이동시킨다. 보통, 다음 프로그램이나 CM으로의 전환 시에는, 야구 방송의 스코어보드가 없어지거나, 프로그램 촬영 시의 애스펙트비가 변경되어, 영상 비표시 영역이 추가 또는 제거된다. 이와 같 이, 표시 정보 자체는 전에 것과 다른 화상으로 변화된다. 따라서, 이 타이밍과 일치하도록 방송 프로그램의 표시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수동으로 채널을 조작하거나 시청자에게 표시된 화상의 변화에 의한 위화감을 주는 일없이 번인을 회피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설명한 본 실시 예는, 유효 영상 데이터 영역으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트리밍(추출)하고, 트리밍된 데이터를 확대해서 표시부(16)의 표시 영역에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그렇지만, 반드시 영상 데이터를 트리밍할 필요는 없다. 유효 영상 데이터 영역의 표시용 데이터 영역을 설정하고, 해당 표시용 데이터 영역의 영역 사이즈를 표시부(16)의 표시 영역 사이즈에 적합하도록 스케일링함으로써, 본 실시 예와 동일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유효 영상 데이터 영역(도 5a)의 화상 데이터의 9O%를 이용한 표시 화면에 대해서 풀 사이즈(100%)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터를 생성할 필요가 있을 때, 이 사이즈의 10/9배인 영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다음에, 본래의 90%의 영역이 표시 영역과 일치하도록 영상 데이터를 오버스캔한다.
<제2 실시 예>
다음에,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했지만, 우선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와 제2 실시 예 간의 차이점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서는, CM으로의 전환 등의 방송 프로그램의 콘텐츠의 변화가 있는 시간과 일치하도록 프로그램 표시 위치를 이동시킴으로써, 시청자가 프로그램 표시 위치의 이동을 지각하는 일없이 프 로그램 표시 위치의 이동을 달성했다. 그렇지만,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의하면, EPG이나 조정용의 GUI 화상을 표시하는 타이밍과 일치하도록 방송 프로그램의 표시 위치의 이동시간을 조절함으로써 시청자가 방송 프로그램의 표시 위치를 지각하는 일없이 방송 프로그램의 표시 위치를 이동시킨다. 상기에서 요약한 것과 같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대해서는 도면을 참조하면서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텔레비젼 방송신호의 수신장치의 구성 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8의 블럭도는, 안테나(30), 튜너부(31), 디코더부(32), 표시 위치 제어부(33), 합성부(34), 리모트 컨트롤 수신부(35), 그래픽 생성부(36), 및 제어부(37)를 구비한다. 또한, 표시부(38) 및 음성 출력부(39)를 추가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와 같이, 이들 선택 구성요소들을 반드시 추가할 필요는 없다.
여기에서 안테나(30), 튜너부(31), 디코더부(32), 표시 위치 제어부(33), 표시부(38) 및 음성 출력부(39)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있어서 대응하는 구성요소들과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합성부(34)는, 그래픽 생성부(36)에 의해 출력된 그래픽 데이터를, 표시 위치 제어부(33)에 의해 출력된 시청 중의 프로그램 데이터와 합성한 후에 표시부(38)에 출력한다. 그래픽 데이터를 임의의 투과율로 투과시켜서 프로그램 데이터를 합성하는 방법과, 프로그램 데이터를 완전히 차단함으로써 그래픽 데이터만을 표시부(38)에 표시시키는 방법을 포함하는 복수의 가능한 합성방법이 존재한다. 화상을 합성하기 위해서는 주어진 어떠한 방법이든 채용할 수 있다. 또한, 그래픽 데 이터의 표시 영역에 관해서도, 그래픽 데이터를 표시 영역의 일부에 표시하는 방법과, 표시 영역 전체에 그래픽 데이터를 표시하는 방법이 있다. 어떤 표시 방법이든 이용해서 본 발명을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방송 프로그램의 표시 위치의 변경을 시청자가 지각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표시 영역 전체에 그래픽 데이터를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리모트 컨트롤 수신부(35)는, EPG나 조정용 GUI 화상을 표시 및 제어하기 위해 사용된 시청자의 리모트 컨트롤(도시 생략)로부터의 적외선 펄스 신호를 수신하는 접수부이다. 수신한 신호는 후술하는 제어부(37)에 출력된다. 제어부(37)는 리모트 컨트롤 코드를 해석한다. 그래픽 생성부(36)는, 시청자의 리모트 컨트롤 조작을 제어부(37)가 해석한 결과에 근거해, EPG나 조정용 GUI 화상 등의 그래픽 데이터를 생성해서 합성부(34)에 출력한다.
다음에, 제어부(37)에 대해서, 도 8 및 도 9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어부(37)는, 채널을 선국하기 위한 튜너부(31)뿐만 아니라, 디코더부(32)를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37)는 SI를 취득하고, 표시 위치 제어부(33)와 그래픽 생성부(36)를 제어하며, 리모트 컨트롤 수신부(35)로부터의 리모트 컨트롤 펄스신호를 해석한다.
따라서, 제어부(37)는, 상기한 바와 같이 튜너부(31) 및 디코더부(32)를 제어해서 원하는 채널을 선국한다. 또한, 제어부(37)는, 텔레비젼 방송 프로그램을 표시부(38)에 표시한다(스텝 S91). 그러나, 이 처리 중에도, SI를 디코더부(32)의 디멀티플렉서부(103)로부터 취득하고, EPG의 그래픽 데이터의 생성에 취득한 SI를 반영시킨다. 다음에, 스텝 S92에서, 시청자로부터 EPG 및 조정용 GUI 화상을 표시하라는 요구가 있었을 경우, 이 처리는 스텝 S93으로 이동하고, 그래픽 생성부(36)에서, EPG 및 조정용 GUI 화상 등의 그래픽 데이터를 생성한 후, 출력한다. 다음에, 스텝 S94에서, 제어부(37)는 표시 위치 제어부(33)를 제어하고,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서 전술한 방법을 이용해 프로그램 표시 위치를 이동시킨다. 다음에, 시청자로부터 프로그램 표시 요구가 있는 경우에는, EPG 및 조정용 GUI 화상의 표시를 정지하고, 정규 프로그램의 표시를 재개한다. 스텝 S92에서, 시청자로부터 EPG나 조정용 GUI 화상을 표시하라는 요구가 없으면, 정규 프로그램의 시청중에 표시 요구가 검출될 때까지 이 처리를 계속한다.
여기에서, 스텝 S93~스텝 S95 중에서, 프로그램 표시 위치의 이동, 즉, 화상의 추출 위치의 변경은 스텝 S95에서 정규 프로그램을 표시하기 전에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시청자가 표시 영역에 표시된 화상을 이동시켰다는 것을 지각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EPG 및 GUI 화상을 표시한 후, 정규 프로그램 표시로의 전환 전에 화상의 추출 위치를 변경해야 한다. 따라서, 제어부(37)에 의해, EPG 및 GUI 화상이 표시 영역에 표시된 시점에서 프로그램 화상으로 되돌아가는 시점까지 표시 위치 제어부를 동작시키게 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있어서의 텔레비젼 방송신호의 수신장치에 의하면, 프로그램 시청중에 EPG나 각종 조정용의 GUI 화상을 표시하는 처리를 이용해서 프로그램 표시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다. 그 때문에, 프로그램의 전환을 기다리지 않더라도, 시청자에게 프로그램 표시 위치의 이동에 의한 위화감을 주지 않고 번인을 회피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물론,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 예를 모두 실현함으로써, 더 빈번히 방송 프로그램의 표시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번인을 방지하는 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다.
<제3 실시 예>
이하,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우선, 제3 실시 예와 제1 및 제2 실시 예와의 차이점에 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 예에 있어서는, 프로그램의 방송 중에 로고나 양 사이드의 영상 비표시 영역과의 경계에 발생하는 번인을 회피하기 위해서, 시청자에게 지각되는 일없이 방송 프로그램의 표시 위치를 이동시킨다.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는, 그래픽 데이터 자체에 의해 발생하는 번인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그러한 그래픽 데이터는 EPG 및 조정용의 GUI 화상을 포함한다. 그 때문에, 그래픽 데이터의 변화의 타이밍에 따라 그래픽 데이터의 표시 위치를 이동시킨다.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텔레비젼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수신장치에 대해서는, 상기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서 설명한 도 8의 블록도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여기에서, 제어부(37) 이외에, 모든 구성요소들은,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 예와 같기 때문에 그들의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의 제어부(37)는, 채널을 선국하기 위한 튜너부(31)뿐만 아니라, 디코더부(32)를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37)는 SI를 취득하고, 그래픽 생성부(36)를 제어하며, 리모트 컨트롤 수신부(35)로부터의 리모트 컨트롤 펄스 신호를 해석한다. 이들은, 기본적으로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와 같다.
EPG 및 조정용 GUI 화상 등의 그래픽 데이터의 표시 위치의 이동을 시청자가 지각하는 일없이 이 표시위치의 이동의 제어에 대해서, 도 10의 흐름도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제어부(37)는, 상술한 바와 같이, 튜너부(31) 및 디코더부(32)를 제어해서 원하는 채널을 선국한다. 또한, 제어부(37)는, 텔레비젼 방송 프로그램을 표시부(38)에 표시한다(스텝 S101). 그러나, 이 처리 중에도, SI를 디코더부(32)의 디멀티플렉서부(103)로부터 취득하고, EPG의 그래픽 데이터의 생성에 이 취득한 SI를 반영시킨다. 다음에, 스텝 S102에서, 시청자로부터 EPG 및 조정용 GUI 화상을 표시하라는 요구가 있는 경우에는, 이 처리는 스텝 S103으로 이동하고, 그래픽 생성부(36)에서 EPG 및 조정용 GUI 화상 등의 그래픽 데이터를 생성한 후, 출력한다. 그래픽 데이터를 표시한 후에, 시청자는 이 표시를 열람하고, 필요에 따라 다른 화면으로 천이하기 위한 조작을 행한다.
스텝 S104에서는, 상기 조작의 결과에 근거해 표시된 화상의 변경이 필요한지 아닌지를 검출한다. 스텝 S104에서 표시된 화상의 변경이 필요하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이 처리는 스텝 S105로 이동하고, 그래픽 생성부(36)를 제어해서 EPG 및 조정용 GUI 화상을 변경하는 동시에, 해당 화상의 표시 위치를 이동시키는 처리를 실행한다. 표시 위치의 이동 처리의 상세한 것은 후술한다. 또한, 스텝 S102에서, 시청자로부터 EPG나 조정용 GUI 화상의 표시 요구가 없으면, 이 처리는 종료한다. 또한, 스텝 S106에서는, EPG나 조정용 GUI 화상의 표시를 종료하라는 지시가 입력되었는지 아닌지를 검출한다. 그러한 지시가 입력된 경우에는, 이 처리는 스텝 S107로 이동한다. 스텝 S107에서는, 그래픽 데이터의 표시를 정지하고, 정규 프로그램 시청을 재개한다. 스텝 S106에서, 그래픽 데이터의 표시를 종료하라는 지시가 입력될 때까지는, 이 처리는 스텝 S104로 되돌아오고, 표시 화상이 변경되었는지 아닌지에 관한 검출을 실행한다.
종래에는, EPG 및 조정용 GUI 화상의 표시 영역이, 동일한 특정 표시 영역으로 설정되어 있었다. 즉, 이 그래픽 데이터의 표시 영역은, 특정한 좌표위치에 미리 정해져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그래픽 데이터를 표시하는 좌표위치를 복수 설정함으로써 화상의 변화가 있을 때, 그래픽 데이터의 표시 위치를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그래픽 데이터의 표시 위치를 이동시키는 처리는, 표시된 그래픽 데이터로부터 다른 그래픽 데이터로의 전환 등의 변화 시에, 별도의 그래픽 데이터의 표시 좌표로 이전의 그래픽 데이터의 표시 좌표를 변경하는 스텝으로 구성된다.
이하에 상기 EPG나 조정후의 GUI 화상의 표시 위치를 이동시키는데 사용되는 방법의 구체적인 예를 도 11a-11d, 도 12a 및 도 12b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우선, 표시 위치의 이동 방법의 구체적인 예에 있어서 EPG의 경우를 고려한다.
도 11a-11d는 EPG의 표시 위치의 이동 방법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11a는 최초의 표시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간주한다. 참조번호 131은 표시부(38)의 표시 영역 범위를 나타낸다. 참조번호 132는 EPG 화면의 시간 표시 영역을 나타낸다. 참 조번호 133은 EPG 화면의 채널 정보 표시 영역을 나타낸다. 또한, 참조번호 134는 EPG 화면 자체를 나타낸다.
시청자가 장래에 시청할 프로그램에 관한 정보를 보기 위해서, 수직방향(시간축 방향)으로 EPG 화상을 스크롤시키는 지시를 입력한 경우의 예를 상정한다. 이 경우, 종래에는 도 11a의 시간 표시 영역 및 프로그램 정보 영역이 변경된 화상이 생성되어, 표시된다. 그렇지만,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의 경우에는, 예를 들면 도 1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경된 화상을 표시할 때, EPG 화면의 표시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도 11b에서는, EPG 화면의 표시 위치가, 도 11a에서 도 11b로의 변화와 같이 수직방향으로 이동되는데, 이것은 시청자에 의한 EPG의 조작이 화면에 표시된 정보(프로그램 정보)를 가상적으로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조작인 것에 관계하고 있다. 도 11a 및 도 11b의 표시를 스무스하게 전환함으로써, 시청자는 도 11a 및 도 11b의 프로그램 정보 표시 영역에 표시된 정보만이 변화된다는 것을 지각한다. 또한, 이 표시 영역에 표시되는 정보는 수직방향으로 있기 때문에, 표시 화상 전체의 수직 이동을 지각하기 어렵다.
본 실시 예는 표시 화면의 내용 변화와 표시 화면 자체의 표시 위치를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시청자가 어떤 이동을 지각하는 것을 어렵게 하기 위해서 인간의 지각 특성 및 심리적인 특성을 이용하고 있다. 당연히, 수행되는 표시 화상의 이동량은 표시장치의 번인을 방지하는 효과를 갖는 최소한의 이동량과 같다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본 실시 예에 있어서, 전술한 제1 실시 예와 같이, 1화소만의 이동량은, 표시장치의 번인을 방지하는데 충분하다.
예를 들면, 시청자가 다음 채널(채널 105 이후)의 프로그램 정보를 보기 위해서, 수평방향(채널 축 방향)으로 스크롤시켰을 경우, 도 11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평방향으로 EPG 화상의 표시 위치를 이동시킨다. 이 이동은 전술한 수직방향으로의 이동과 같은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화상내용이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표시 화상 전체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켜서 표시한다.
또한, 도 11d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각선 방향으로 EPG 화상의 표시 위치를 이동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수직 및 수평 방향으로 임의로 스크롤할 때, 도 6a 및 도 6b를 사용하여 제1 및 제2 실시 예에서 설명한 것처럼, 지그재그 패턴으로 표시 위치를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표시부(38)의 표시 영역의 일부 영역만이 상술한 EPG 화면을 표시하는 것으로 상정하고 있다. 이 경우, 표시 화면이 변경될 때마다, 표시 화면의 표시 위치를 이동시키는 것으로 번인의 방지를 달성한다. 그렇지만, EPG 화면 등의 그래픽 데이터를 표시 영역 전체에 표시하는 경우에는, 제1 실시 예와 같이, 표시 영역보다 큰 화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그리고, 생성한 화상 데이터의 추출 위치를 변경하는 처리를 행함으로써, 표시 위치를 실질적으로 이동시키는 것과 동일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다음에, 조정용 GUI 화상의 표시 위치의 이동 방법의 구체적인 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2a 및 도 12b는 조정용 GUI 화상의 표시 위치의 이동 방법의 예를 나타낸다. 지금, 도 12a에 나타낸 바와 같은 조정용 GUI 화상의 조정 메뉴 화면을 표시하고 있다고 가정한다. 여기에서, 시청자가 브라이트니스(brightness) 조정을 선택했을 경우, 통상은 도 12b에 나타낸 브라이트니스 조정 화면으로 표시가 전환된다. 이것은, 화면을 조정 메뉴 화면에서 브라이트니스 조정 화면으로 변경하는 처리를 수반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서는, GUI 화상의 표시 위치를 이동시켜 표시한다. 이 이동 방향은 도 6a 및 6b을 이용한 제1 및 제2 실시 예에서 설명한 것처럼, 지그재그 패턴으로 있거나 다른 방식으로 있을 수 있다.
상술한 도 11a-11d, 도 12a, 및 도 12b에 나타낸 그래픽 데이터의 이동량은, 이해를 쉽게 하기 위해서 도면에서는 크게 되어 있다. 그렇지만, 실제로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서 설명한 것처럼, 이동량이 약 1화소인 경우(변화가 대각선 방향인 경우에는 수직 및 수평 방향 모드에 있어서 1화소)에는, 시청자가 변화를 지각하는 것이 어렵다.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텔레비젼 방송신호의 수신장치에 의하면, EPG 및 조정용 GUI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그래픽 데이터의 표시 내용을 변경할 때에, 그래픽 데이터 자체의 표시 위치를 이동시킨다. 그 때문에, 시청자에게 표시 위치의 이동에 의한 위화감을 주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충분히 번인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3가지의 실시 예에 대해서 설명했다. 이들 3가지의 실시 예 중 1개만 실현해도, 번인을 줄이거나 방지할 수 있다. 물론, 실시 예를 모두 실현한 경우에는, 그래픽 데이터의 표시에 기인하여 생기는 번인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므로, 제품으로 본 발명을 실현하는 경우에는, 3가지의 모든 실시 예를 실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각 실시 예는, 텔레비젼 방송을 예로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인터넷 방송이나, 비디오 온 디맨드(video-on-demand) 영상신호를 수신하는 수신장치에도 적용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실시 예의 기능을 실현하는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의 프로그램 코드를 기억한 기억매체를 시스템 또는 장치에 공급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목적은, 그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또는 CPU 또는 MPU)가 기억매체에 기억된 프로그램 코드를 판독해서 그 프로그램 코드를 실행하는 경우에도 달성된다. 이 경우, 기억매체로부터 판독한 프로그램 코드 자체는, 상술한 실시 예의 기능을 실행하고, 프로그램 코드가 기억된 기억매체가 본 발명으로서 기능을 한다고 얘기할 수 있다.
프로그램 코드를 공급하기 위한 기억매체로서는, 플렉시블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CD-ROM, CD-R, 자기 테이프, 비휘발성 반도체 메모리 카드 또는 ROM 등의 매체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술한 실시 예의 기능은 컴퓨터에 의해 판독된 프로그램 코드를 실행함으로써 실현될 수도 있다.
상술한 실시 예의 기능은, 컴퓨터상에 가동하고 있는 OS(Operating System)이 프로그램 코드의 지시의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하는 경우에 실현될 수 있다.
또한, 기억매체로부터 판독된 컴퓨터 프로그램이 컴퓨터 또는 컴퓨터에 삽입된 기능 확장 보드에 접속된 확장 유닛의 메모리에 기록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다음에, 프로그램 코드의 지시의 일부 또는 전부는 기능 확장 유닛의 CPU 또는 기능 확장 보드에 의해 수행되고, 이 처리를 통해서, 상술한 실시 예의 기능이 실현 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예시한 실시 예를 참조해서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이 예시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이하의 청구항들의 범위는 그러한 모든 변형과 균등 구조 및 기능을 포함하도록 가장 넓게 해석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어떤 시청 상태에 있어도 시청자에 위화감을 주는 일없이 표시장치의 번인을 방지하거나 줄일 수 있다.

Claims (14)

  1. 방송 프로그램을 표시부에 표시하는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표시신호 제어장치로서,
    상기 표시부에 표시 가능한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생성 수단과,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속성 정보를 취득하는 취득 수단과,
    상기 생성 수단에 의해 생성된 상기 영상 데이터의 유효 영상 데이터 영역 내에서 상기 표시부에 상기 방송 프로그램을 표시하는 영상 데이터 영역을 설정하는 설정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설정 수단은, 상기 취득 수단이 취득한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속성정보에 따라 상기 영상 데이터 영역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신호 제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속성정보는,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방송 개시 시각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설정 수단은, 상기 방송 개시 시각에서 상기 영상 데이터 영역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신호 제어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데이터 영역은 복수의 좌표값에 의해 미리 복수 설정되어 있고,
    상기 설정 수단은, 상기 복수의 좌표값 중 하나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신호 제어장치.
  4. 방송 프로그램을 표시부에 표시하는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표시신호 제어장치로서,
    상기 표시부에 표시 가능한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생성 수단과,
    유저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상기 표시부에 그래픽 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 수단과,
    상기 생성 수단에 의해 생성된 상기 영상 데이터의 유효 영상 데이터 영역 내에서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영상 데이터 영역을 설정하는 설정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설정수단은, 상기 표시 수단에 상기 그래픽 데이터가 표시되는 경우에는, 상기 영상 데이터 영역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신호 제어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데이터 영역은 복수의 좌표값에 의해 미리 복수 설정되어 있고,
    상기 설정 수단은 상기 복수의 좌표값 중 하나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신호 제어장치.
  6. 방송 프로그램을 표시부에 표시하는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표시신호 제어장치로서,
    유저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그래픽 데이터를 생성하는 생성 수단과,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상기 그래픽 데이터를 조작하기 위한 입력으로서 지시를 접수하는 접수 수단과,
    상기 생성 수단에 의해 생성된 상기 그래픽 데이터의 표시 위치를 설정하는 설정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접수 수단이 입력으로서 지시를 접수했을 때, 상기 설정 수단은, 상기 생성 수단에 의해 생성된 입력으로서의 상기 지시에 대응하는 상기 그래픽 데이터의 표시 위치를, 상기 입력으로서의 지시를 접수하기 전에 표시된 그래픽 데이터의 표시 위치와 다른 위치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신호 제어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픽 데이터의 표시 위치는 복수의 좌표값에 의해 미리 복수 설정되어 있고,
    상기 설정 수단은, 상기 복수의 좌표값 중 하나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신호 제어장치.
  8. 방송 프로그램을 표시부에 표시하는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표시신호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표시부에 표시 가능한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생성 스텝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속성정보를 취득하는 취득 스텝과,
    상기 생성 스텝에서 생성된 상기 영상 데이터의 유효 영상 데이터 영역 내에서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영상 데이터 영역을 설정하는 설정 스텝을 포함하고,
    상기 설정 스텝은, 상기 취득 스텝에서 취득한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속성정보에 따라, 상기 영상 데이터 영역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신호 제어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속성정보는,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방송 개시 시각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설정 스텝은, 상기 방송 개시 시각에서 상기 영상 데이터 영역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신호 제어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데이터 영역은 복수의 좌표값에 의해 미리 복수 설정되어 있고,
    상기 설정 스텝은, 상기 복수의 좌표값 중 하나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신호 제어방법.
  11. 방송 프로그램을 표시부에 표시하는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표시신호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표시부에 표시 가능한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생성 스텝과,
    유저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상기 표시부에 그래픽 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 스텝과,
    상기 생성 스텝에서 생성된 상기 영상 데이터의 유효 영상 데이터 영역 내에서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영상 데이터 영역을 설정하는 설정 스텝을 포함하고,
    상기 설정 스텝은, 상기 표시 스텝에 의해 상기 그래픽 데이터가 상기 표시 부에 표시된 경우에는, 상기 영상 데이터 영역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신호 제어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데이터 영역은 복수의 좌표값에 의해 미리 복수 설정되어 있고,
    상기 설정 스텝은, 상기 복수의 좌표값 중 하나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신호 제어방법.
  13. 방송 프로그램을 표시부에 표시하는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표시신호 제어방법으로서,
    유저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그래픽 데이터를 생성하는 생성 스텝과,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상기 그래픽 데이터를 조작하기 위한 입력으로서 지시를 접수하는 접수 스텝과,
    상기 생성 스텝에서 생성된 상기 그래픽 데이터의 표시 위치를 설정하는 설정 스텝을 포함하고,
    상기 접수 스텝이 입력으로서 지시를 접수했을 때, 상기 설정 스텝은, 상기 생성 스텝에서 생성된 상기 입력으로서의 지시에 대응하는 상기 그래픽 데이터의 표시 위치를, 상기 입력으로서의 지시를 접수하기 전에 표시된 그래픽 데이터의 표시 위치와 다른 위치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신호 제어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픽 데이터의 표시 위치는 복수의 좌표값에 의해 미리 복수 설정되어 있고,
    상기 설정 스텝은, 상기 복수의 좌표값 중 하나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신호 제어방법.
KR1020070014738A 2006-02-14 2007-02-13 표시신호 제어장치, 및 표시신호 제어방법 KR1008485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037249A JP2007221269A (ja) 2006-02-14 2006-02-14 表示信号制御装置、表示信号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JPJP-P-2006-00037249 2006-02-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2035A true KR20070082035A (ko) 2007-08-20
KR100848597B1 KR100848597B1 (ko) 2008-07-28

Family

ID=380597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4738A KR100848597B1 (ko) 2006-02-14 2007-02-13 표시신호 제어장치, 및 표시신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045004B2 (ko)
EP (1) EP1819154A3 (ko)
JP (1) JP2007221269A (ko)
KR (1) KR100848597B1 (ko)
CN (1) CN100551000C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2779A (ko) * 2014-12-29 2016-07-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200030711A (ko) * 2018-09-12 2020-03-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잔상 보상부 및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WO2009028160A1 (ja) * 2007-08-24 2010-11-2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受信装置および受信方法
CN101626276A (zh) * 2008-07-10 2010-01-13 华为技术有限公司 广告替换方法、装置及系统
JP4951079B2 (ja) * 2010-03-11 2012-06-13 株式会社東芝 立体表示装置、映像処理装置
JP5663407B2 (ja) * 2010-06-03 2015-02-04 日本放送協会 放送サービスの送信装置
JP5608916B2 (ja) * 2012-07-19 2014-10-22 株式会社東芝 テレビジョン受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CN103078696B (zh) * 2012-12-30 2015-07-08 惠州华阳通用电子有限公司 电台搜索方法、电台搜索装置与车载信息娱乐系统
US9654693B2 (en) 2014-10-29 2017-05-16 Gvbb Holdings S.A.R.L. Degradation control of display pixels for a high definition display
CN105050053A (zh) * 2015-06-29 2015-11-11 深圳市元征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位置信息的建立群组方法及服务器
KR102529270B1 (ko) * 2016-07-08 2023-05-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영상 표시 방법
JP6965051B2 (ja) * 2017-07-21 2021-11-10 Tvs Regza株式会社 電子機器及び表示方法
CN108280336A (zh) * 2018-01-19 2018-07-13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指纹解锁方法及指纹解锁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98661A (en) * 1979-02-01 1980-04-15 American Optical Corporation Cathode ray tube burn-in prevention apparatus
JP2567446B2 (ja) 1987-03-18 1996-12-25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超電導薄膜の作製方法
JPH02268579A (ja) 1989-04-10 1990-11-02 Toshiba Corp 画像表示位置制御装置
JPH03195852A (ja) 1989-12-25 1991-08-27 Mitsubishi Electric Corp 空気調和システム制御装置
JPH05167874A (ja) 1991-12-18 1993-07-02 Mitsubishi Electric Corp Crt画面における画像表示制御方法
JP3195852B2 (ja) 1992-04-27 2001-08-06 三菱電機株式会社 炭素スス分子及び有機金属錯体の励起状態を用いたガスまたは液体の分解方法及び装置
JP3196123B2 (ja) 1992-08-22 2001-08-06 東洋濾紙株式会社 電気泳動用セルロ−スアセテ−ト支持体
JPH07170465A (ja) 1993-12-13 1995-07-04 Sony Corp 画像表示装置
JPH07199889A (ja) * 1993-12-29 1995-08-04 Casio Comput Co Ltd 表示制御装置
JPH08221043A (ja) * 1995-02-15 1996-08-30 Sony Corp 受像管焼き付き防止方法及び受像装置
JP3505851B2 (ja) * 1995-05-19 2004-03-15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画像表示装置
KR0169306B1 (ko) 1995-12-27 1999-03-20 배순훈 다화면 텔레비전의 방송프로그램종료시 부화면 위치 자동이동장치
JPH10161580A (ja) * 1996-12-05 1998-06-19 Sony Corp Crt表示装置及びその焼き付き防止方法
MY116734A (en) * 1997-04-17 2004-03-3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Image display device
JPH1115422A (ja) * 1997-06-20 1999-01-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Crt焼き付き防止装置
JP2000227775A (ja) * 1999-02-08 2000-08-15 Nec Corp 表示装置の焼付防止方法及び表示装置の焼付防止装置
US20010035874A1 (en) * 2000-04-27 2001-11-01 Pelco Method for prolonging CRT screen life by reduced phosphor burning
US6486900B1 (en) * 2000-06-28 2002-11-26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System and method for a video display screen saver
JP3693938B2 (ja) * 2000-11-07 2005-09-14 信佳 酒谷 情報配信システム、広告配信システム、情報配信プログラム、サーバ、情報配信サーバ、広告情報配信方法、およびセーバページ表示方法
GB0106395D0 (en) * 2001-03-15 2001-05-02 Pace Micro Tech Plc Television system
US20030071769A1 (en) * 2001-10-16 2003-04-17 Dan Sulliva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venting plasma display screen burn-in
JP2003195852A (ja) * 2001-12-28 2003-07-09 Canon Inc 画像処理装置
JP3995505B2 (ja) * 2002-03-25 2007-10-24 三洋電機株式会社 表示方法および表示装置
JP4236422B2 (ja) * 2002-07-12 2009-03-11 日立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株式会社 表示装置
CN1679028A (zh) * 2002-08-29 2005-10-05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内容处理装置与内容显示装置
US7158169B1 (en) * 2003-03-07 2007-01-02 Music Choice Method and system for displaying content while reducing burn-in of a display
US7802288B2 (en) * 2003-03-14 2010-09-21 Starz Entertainment, Llc Video aspect ratio manipulation
US20040257305A1 (en) * 2003-03-28 2004-12-23 Jin-Wen Liao Plasma display with changeable modules
JP3819870B2 (ja) 2003-04-25 2006-09-13 三洋電機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
JP4449334B2 (ja) * 2003-05-01 2010-04-14 ソニー株式会社 ディスプレイ装置、ディスプレイ装置の駆動方法
CN1784897A (zh) * 2003-05-14 2006-06-07 日本先锋公司 信息输出设备和信息输出方法、信息记录设备和信息记录方法、信息输出程序和信息记录程序、以及信息记录介质
KR100617178B1 (ko) * 2003-06-13 2006-08-30 엘지전자 주식회사 텔레비전 시스템의 화면 크기 변환 장치 및 방법
KR101083100B1 (ko) * 2003-07-18 2011-11-16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디지털 비디오 스트림 내의 컨텐트 아이템 검출
JP2005064998A (ja) * 2003-08-18 2005-03-10 Toshiba Corp 放送受信装置および放送受信方法
KR100556384B1 (ko) 2003-10-06 2006-03-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기기의 잔상 방지 장치 및 방법
KR100642359B1 (ko) * 2003-12-30 2006-11-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기기 및 화면잔상 방지방법
US20050157171A1 (en) * 2004-01-15 2005-07-21 Bowser Todd S. Reducing burn-in associated with mismatched video image/display aspect ratios
JP4617085B2 (ja) * 2004-02-16 2011-01-19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および画像表示方法
JP4565856B2 (ja) * 2004-02-18 2010-10-20 三洋電機株式会社 ディジタル放送受信装置
US7397497B2 (en) * 2004-03-01 2008-07-08 Pioneer Plasma Display Corporation Display device capable of reducing burn-in on display panel
US20050212726A1 (en) * 2004-03-16 2005-09-29 Pioneer Plasma Display Corporation Method, display apparatus and burn-in reduction device for reducing burn-in on display device
JP2006013913A (ja) * 2004-06-25 2006-01-12 Funai Electric Co Ltd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US7307668B2 (en) * 2004-06-30 2007-12-11 Lenovo (Singapore) Pte. Ltd. Shifting letterbox video to prolong display life
JP2006033187A (ja) * 2004-07-13 2006-02-02 Sanyo Electric Co Ltd 映像表示機器
JP2006041588A (ja) * 2004-07-22 2006-02-0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Epgを利用したスクリーンセーバー機能
US7178111B2 (en) * 2004-08-03 2007-02-13 Microsoft Corporation Multi-planar three-dimensional user interface
JP3888380B2 (ja) * 2005-04-27 2007-02-28 ソニー株式会社 送信装置と受信装置
US7945866B2 (en) * 2005-05-25 2011-05-17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displaying video content with aging
US7414795B2 (en) * 2006-05-15 2008-08-19 Eastman Kodak Company Method for driving display with reduced aging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2779A (ko) * 2014-12-29 2016-07-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210098888A (ko) * 2014-12-29 2021-08-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220078540A (ko) * 2014-12-29 2022-06-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US11615769B2 (en) 2014-12-29 2023-03-28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with image shift
KR20230046283A (ko) * 2014-12-29 2023-04-0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US11847996B2 (en) 2014-12-29 2023-12-19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with image shift
KR20200030711A (ko) * 2018-09-12 2020-03-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잔상 보상부 및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819154A3 (en) 2013-06-12
CN101026705A (zh) 2007-08-29
US8045004B2 (en) 2011-10-25
US20070192821A1 (en) 2007-08-16
CN100551000C (zh) 2009-10-14
JP2007221269A (ja) 2007-08-30
KR100848597B1 (ko) 2008-07-28
EP1819154A2 (en) 2007-08-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8597B1 (ko) 표시신호 제어장치, 및 표시신호 제어방법
US8072544B2 (en) Video output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8164690B2 (en) Image display device for expanding and displaying part of an image
JP4176387B2 (ja) ビデオ情報の表示を制御する方法及びテレビ信号処理装置
CN108777775B (zh) 用于根据定制格式显示视频流的方法
US8259232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image display method
US8730405B2 (en) Display apparatus, remote controller, display control method, and control method
JP5013832B2 (ja) 映像制御装置及びその方法
JP2007013725A (ja) 映像表示装置及び映像表示方法
US742801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djusting screen
US7417689B2 (en) Apparatus for generating on-screen display in digital TV
US20100097523A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0860964B1 (ko) 멀티미디어 컨텐츠 재생 장치 및 방법
KR20050019614A (ko) 자막 위치 제어 장치 및 방법
US8520008B2 (en) Picture display device
JP2008211652A (ja) テレビ放送受信装置及びその消費電力低減方法
KR100301024B1 (ko) 디지털 텔레비전수상기에서 원화면의 부분별 확대장치
KR100329273B1 (ko) 티브이 화면 출력 방법 및 그 장치
JP2008122507A (ja) 画面表示処理装置、映像表示装置、osd表示方法
JP2006100949A (ja) 番組表映像信号生成装置,番組表映像制御装置,テレビジョン受像機
KR101315415B1 (ko) 영상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06304156A (ja) 選局方法、選局装置および表示装置
JP2005295262A (ja) 番組受信システム及び番組受信装置
KR101074592B1 (ko) 영상표시기기의 자막 처리장치 및 방법
JP2006081106A (ja) マルチ画面制御装置,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5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