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64333A - 경장 영양제 - Google Patents

경장 영양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64333A
KR20070064333A KR1020077007139A KR20077007139A KR20070064333A KR 20070064333 A KR20070064333 A KR 20070064333A KR 1020077007139 A KR1020077007139 A KR 1020077007139A KR 20077007139 A KR20077007139 A KR 20077007139A KR 20070064333 A KR20070064333 A KR 200700643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mi
carrageenan
enteral
solidifying agent
nutri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71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시오 도야마
가네히사 무라오
Original Assignee
메이지 데어리즈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메이지 데어리즈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메이지 데어리즈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700643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4333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40Complete food formulations for specific consumer groups or specific purposes, e.g. infant formul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36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e.g. gums, starch, alginate, dextrin, hyaluronic acid, chitosan, inulin, agar or pect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42Proteins; Polypeptides;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Derivatives thereof, e.g. albumin, gelatin or ze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2Nutrients, e.g. vitamins, minera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Abstract

본 발명은, 위루 영양 공급법 (gastrostomic feeding)과 같은 경관 영양 공급법 (tube feeding)에서, 체내에서 액화시키지 않고 단기간 내에 용이하게 투여할 수 있어 건강 관리사의 부담을 가볍게할 수 있도록 경장 영양 보조제 (enteric nutritional supplement) 또는 농밀화 유동식 (thickened liquid food)을 고형화시킬 수 있는 새로운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 결과, 나트륨 이오타-카라기난, 나트륨 카파-카라기난, 나트륨 람다-카라기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주성분으로 함유하는 호료 (starch adhesive)를 사용함으로써, 상기 호료를 가열 용해하지 않고 40 ℃ 이하의 온도에서 상기와 같은 영양 보조제 또는 농밀화 유동식을 신속하게 농밀화 또는 고형화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더욱이, 시린지로부터의 투여시, 상기 제품은 이수 (water liberation)가 거의 없음을 확인하였다. 즉, 호료 (반-고형화제)로서 전술한 바와 같은 카라기난을 사용하여,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된 반-고형화 경장 영양 보조제를 제조할 수 있다.

Description

경장 영양 보조제 {ENTERIC NUTRITIONAL SUPPLEMENT}
본 발명은 경장 영양제의 반-고형화 (semi-solidification)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위루 영양 공급법 (gastrostomic feeding)과 같은 경관 영양 공급법 (tube feeding) (경관 영양 주입법 (tube feeding infusion))에서 관을 통해 환자에게 투여되어 사용되는 경장 영양제 또는 강화 유동식 (enriched liquid food)을 고형화 또는 농밀화하기 위해 사용되는 기술에 관한 것이며, 특히, 환자에게 투여된 경장 영양제 또는 강화 유동식이 환자의 위로부터 식도로 역류하는 위식도 역류를 방지하는 기술에 이용되는 호료 (starch adhesive) (반-고형화제)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입으로 음식을 섭취할 수 없는 환자에 대해서는, 영양관 (feeding tube)을 통해 환자의 위 또는 장에 영양제를 주입하는 방법인 경관 영양 공급법 (경관 영양 주입법이라고도 칭함)이 실시된다. 상기 경관 영양 공급법에 의해 환자에게 투여되는 영양제가 경장 영양제로 정의된다. 이러한 경관 영양 공급법은 관을 통해 환자에게 경장 영양제를 투여하는 방법이고, 이는 경비관 (또는 비관) 영양 공급법, 경위장 (또는 장) 영양 공급법 및 경장 (또는 장) 영양 공급법을 포함한다.
경장 영양제와 관련하여, 경장 영양제를 코나 피부를 통해 환자에게 투여하 는 통상적인 기술로서, 유동식을 경장 영양제로서 투여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JP-A-2000-152975).
그러나, 유동식을 경장 영양제로서, 예를 들면, 위루 영양 공급법으로 위에 주입하는 경우, 유동식이 위 및 식도로부터 역류하여, 구토, 역류성 식도염 또는 흡인성 폐렴이 종종 발생한다. 따라서, 위루 영양 공급법에서는, 위식도 역류를 방지하는 방법으로서 한천 (agar)을 이용해 경장 영양제를 고형화하는 경관 영양 주입법을 실시한다 (Rinsyou Kango, 29(5):664-670, 2003). 더욱 구체적으로는, 온도가 80 ℃ 이상인 뜨거운 물에 한천을 용해하고, 거기에 체온으로 가열한 경장 영양제를 첨가하고, 균일하게 혼합한다. 이어서, 생성 혼합물을 시린지로 흡인하고, 이를 냉장고에서 냉각하여 고형화하고, 투여 전에 실온에 되돌린 후, 시린지로부터 이를 밀어 내어 투여한다.
발명의 개시
전술한 바와 같이 경장 영양제에 한천을 첨가하여 경장 영양제를 고형화한다는 아이디어는 참신하고 뛰어난 것이다. 그러나, 가열 처리한 후에 냉각 처리가 필수적이어서, 그 제조가 건강 관리사 (care-giver)에게 부담이 되고, 또한 시간도 걸리므로, 더 나은 개량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당업계에서의 전술한 요청에 응하기 위해 이루어졌고, 건강 관리사의 부담을 가볍게 하고, 단 기간 내에 간단하고 용이하게 투여할 수 있는 새로운 고형화 경장 영양제 (또는 고형화 강화 유동식)를 개발하는 것이 목적이다.
그에 따라 본 발명자는 각 방면에서 연구하였고, 그 결과, 고형화에 사용하는 고형화제의 중요성에 주목하였다. 이 때, 목적된 반-고형화 경장 영양제를 제조할 수 있는 고형화제 (이는 반-고형화 경장 영양제 (그 정의는 아래에 기술한다)를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것이어서, 일부의 경우에는 반-고형화제 또는 호료로도 지칭됨)를 위해 각종 겔화제, 증점제 및 호료로부터 집중적으로 선별하였다.
본 발명자는 각종 겔화제 및 증점제를 이용한 경장 영양제 또는 강화 유동식의 고형화에 관해 연구하였고, 그 결과, 나트륨 이오타-카라기난, 나트륨 카파-카라기난, 나트륨 람다-카라기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주성분으로 함유하는 호료를 사용함으로써, 호료를 가열 용해하지 않고 45 내지 40 ℃ 이하의 온도에서 상기와 같은 영양제 또는 강화 유동식을 신속하게 농밀화 또는 고형화할 수 있는 것을 발견하였다. 더욱이, 시린지로부터 상기 고형화 제품을 투여하는 경우, 이는 누관 (fistula)으로부터의 누출 원인이 될 수 있는 이수 (water liberation)가 거의 없는 투여 방법이라는 것을 확인하였고, 이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즉, 본 발명의 기본적 기술 사상은 경관 영양 공급법에서 인체 내로 주입되는 경장 영양제인 반-고형화 경장 영양제이며, 이는, 경장 영양제가 그의 체내 주입 전후에 유동성을 가지고 체내에 보유되는 상태에서는 체온에서 액상화되지 않도록, 나트륨 카라기난을 반-고형화제로서 사용하여 반고형물로 제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예를 들면 아래에 기술되는 바와 같은 반-고형화 경장 영양제가 제공될 수 있다:
환자의 체외에서 환자의 복벽과 위벽 또는 장벽 사이에 형성된 누관에 삽입되는 영양관에 연결된 용기로부터, 상기 용기의 가압에 의해 상기 영양관을 거쳐 환자의 위 또는 장의 내부에 투여되는 경장 영양제인 반-고형화 경장 영양제. 나트륨 카라기난을 반-고형화제로서 액상 영양제에 첨가하여, 상기 반-고형화 경장 영양제를 반-고형물 (이는 형태가 변하지 않고 자연 상태로 유지되는 형태 유지성이 있다는 점에서, 외부로부터 상기 경장 영양제에 자연스럽게 작용하는 중력 및 대기압에 대항해 자신의 초기의 형태를 유지하려는 특성 면에서, 그리고 액체 또는 유체보다 더 높은 농도로 영양 성분을 함유할 수 있다는 점에서 고형물과 공통이고, 강제 외력에 의해 형태가 고형물보다 용이하게 변한하는 점에서 액체 또는 유체와 공통됨)로서 제형한다. 상기 형태 유지성은 환자의 체내에 상기 경장 영양제를 투여하기 전과 후에 연속적으로 유지되며, 상기 경장 영양제가 환자의 위 또는 장 내부에 보유되는 상태에서는, 상기 경장 영양제가 그 환자의 체온에서 액화되지 않도록 하는 방식으로 상기 형태 유지성이 또한 유지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예를 들면 아래 기술되는 바와 같은 반-고형화 경장 영양제를 제조하기 위한 반-고형화제가 제공될 수 있다:
경관 영양 주입법에서 체내에 투여되는 경장 영양제를 반-고형화하기 위해 혼합해서 사용한다는 표시가 부착된, 경장 영양제를 반-고형화하기 위한 반-고형화제로서, 나트륨 카라기난을 함유하고, 경장 영양제가 그의 체내 주입 전후에 유동성을 가지고 체내에 보유되는 상태에서는 체온에서 액화하지 않도록 하는 방식으로 상기 경장 영양제를 반-고형화물로 전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고형화제.
또한, 본 발명에서, "반-고형화 경장 영양제"란 경장 영양제가 그의 체내 주입 전후에 유동성을 가지고 체내에 보유되는 상태에서는 체온에서 액화되지 않도록 하는 방식으로 반고형화 상태를 나타내는 경장 영양제를 지칭하고, 상세하고 구체적인 구현예는 아래에 기술되는 바와 같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나트륨 카라기난을 반-고형화제 (호료)로서 사용함으로써,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호료인 한천과 같이 추가적인 특수 처리, 예컨대 가열-용해 처리를 필요로 하지 않고 경장 영양제 또는 강화 유동식을 반-고형화하는데 최초로 성공하였고, 통상적인 한천을 이용한 경우에 비해 작업을 상당이 간략화할 수 있다. 더욱이, 호료의 첨가량을 통해, 투여되는 경장 영양제 또는 강화 유동식의 물리적 성질을 또한 조정할 수 있고, 상이한 물리적 특성을 갖는 경장 영양제 또는 강화 유동식을 각각의 환자에게 용이하게 투여할 수 있는 뛰어난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은 각종 경관 영양 공급법에서 널리 이용될 수 있고, 더욱이는, 경피적 내시경 위조루술 (percutaneous endoscopic gastrostomy (PEG)을 이용한 투여법에도 이를 이용할 수 있다.
더욱이, 반-고형화제에 단백질, 탄수화물 및 지질과 같은 영양 성분을 포함시킴으로써, 이를 경장 영양제에 첨가하는 경우, 경장 영양제를 반-고형화할 뿐만 아니라 필요 영양소를 강화할 수 있게 된다. 더욱이, 경장 영양제로서 필요한 영양 성분을 함유한 반-고형화제를 이용함으로써, 물을 첨가하기만 해도 반고형 경장 영양제를 얻을 수 있고, 더욱이는 첨가하는 물의 온도 및 양을 통해 반고형 상태의 물리적 특성을 조정할 수 있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본 발명에서 반-고형화제 (호료)로서 카라기난을 사용하나, 냉수 (45 ℃ 이하, 바람직하게는 40 ℃ 이하)에 가용성이고 경장 영양제 (강화 유동식)를 반-고형화할 수 있는 한, 임의의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카라기난은 홍조류 중 돌가사리목의 가시우무과, 솔리에리아과 및 돌가사리과에 속하는 해초로부터 추출되는 다당류이다. 상기 카라기난은 일반적으로는 가열하지 않으면 용해되지 않고, 그의 가열 용액을 냉각하면 겔화되는 특성을 가져, 한천 등과 그다지 차이가 나지 않는다. 그러나, 카라기난에 대해 더욱 조사한 결과, 본 발명자는, 카라기난 내의 칼륨, 칼슘 및 마그네슘 이온의 총 양을 5.0 중량% 이하로 조절함으로써, 냉수와의 수화성이 향상된다는 것에 주목하였다. 그러기 위해서는, 상기 카라기난을 나트륨 카라기난으로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면 이온 교환 수지를 사용한 이온 교환을 통해 칼륨, 칼슘 및 마그네슘 이온을 감소시켜, 카라기난이 이들을 소량으로 갖게 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카라기난의 주요부를 나트륨 카파-카라기난, 나트륨 이오타-카라기난 및 나트륨 람다-카라기난,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서 제조하여, 상기 카라기난을 단기간에 냉수에 수화시킬 수 있다.
특히, 카파-카라기난 또는 이오타-카라기난은 본래 응고력 (solidification ability)을 갖는다. 따라서, 이를 나트륨 카라기난으로서 냉수에 용해한 후, 여기에 양이온 또는 우유 단백질을 추가로 첨가하여, 임의의 응고도 (solidification degree)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사용하는 반고화제 (호료)는 기본적으로 나트륨 카라기난으로 이루어지고, 더욱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나트륨 람다-카라기난을 주 성분으로 함유하고 나트륨 이오타-카라기난 및 나트륨 카파-카라기난을 혼합한 혼합물이고, 상기 혼합물은 (0 내지 45 ℃,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40 ℃,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35 ℃, 일반적으로는 실온인) 냉수에 가용성이며, 양이온 및 우유 단백질과 반응하여 겔을 형성한다.
경장 영양제 (강화 유동식)는, 내부 직경이 1 내지 2 mm 인 좁은 관을 통과하는 유동성이 있고 소량으로 높은 칼로리를 제공하도록 (즉, 1 ㎖ 당 1 kca1 내지 2 kcal) 단백질 (우유 또는 대두), 지질, 탄수화물 및 미네랄과 같은 영양소를 고농도로 함유한 액체이다. 시판되는 제품 또한 적절하게 이용할 수 있다.
경장 영양제에 사용되는 칼륨, 칼슘 및 단백질 공급원은 상품에 따라 다른 경우가 많고, 그 첨가량, 이온화 정도 및 액체에서의 분산 상태 또한 다른 것으로 생각된다. 예를 들면, Ensure (Abbott 사제 경장 영양제: 상품명)에 사용되는 칼슘 공급원은 3염기성 칼슘 포스페이트이며, 불용성이고, 유동식 내에서 이온화되지 않는다. 한 편, 우유 단백질 유래의 칼슘을 주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은 이온화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기본적으로는, 상기 경장 영양제 (및/또는 강화 유동식)를 반-고형화제로서 나트륨 (이하, Na-형이라고도 칭함) 카라기난으로 처리하여 반-고형화 경장 영양제를 생성하고, 상기 반-고형화제는 경장 영양제에 이를 직접 첨가하여 사용할 수 있거나, 반-고형화제를 물에 녹이고, 이를 경장 영양제와 혼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 기본적으로는, 반-고형화제로서 나트륨 카라기난을 사용하나, 광범위하게 이용되는 경장 영양제 (강화 유동식)에 적합한 호료 (반-고형화제)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람다-카라기난, 카파-카라기난 및 이오타-카라기난이 각각 적정 비율로 그 안에서 공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이오타-카라기난, 람다-카라기난 및 카파-카라기난 각각은 단일 물질로서 존재하지 않고, 이 중 3 세가지 유형 또는 2 가지 유형이 그 안에서 공존한다. 따라서, 상기 비율을 적절하게 하기 위해, Na-형 람다-카라기난 (약 50 % 의 람다-카라기난과 약 50 % 의 카파-카라기난)과 Na-형 이오타-카라기난 (거의 100 % 의 이오타-카라기난) 2 종류의 혼합 비율을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2 종류의 카라기난 중에, Na-형 람다-카라기난은 냉수에의 용해도가 높고, 나트륨 카라기난을 분말화된 고형화제로서 유동식에 직접 첨가함으로써 이를 사용하는 경우, 그안에 Na-형 람다-카르기난이 30 % 이상으로 포함되는 것이 필요하다. 용해도를 더 높이기 위해서는, 그의 함량은 바람직하게는 50 % 이상이다. 한편, 분말화된 고형화제를 물에 용해한 후 여기에 경장 영양제를 첨가하는 방법에서는, Na-형 이오타-카라기난을 주성분으로 포함함으로써, 이를 각종 경장 영양제에 적용할 수 있다. 이오타-카라기난과 카파-카라기난 모두가 칼륨 이온 및 칼슘 이온과의 반응성을 가지나, 전자는 칼슘 이온 더욱 강하게 반응하고 후자는 칼륨 이온과 더욱 강하게 반응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다양한 제조업자에 의해 제조된 다양한 경장 영양제 (강화 유동식)를 이용해 겔 형성 능력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Na-형 이오타-카라기난 대 Na-형 람다-카라기난의 비율을 10 : 0 내지 0 : 10, 바람직하게는, 10 : 0 내지 5 : 5,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 0 내지 7 : 3 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호료에는, 상기 Na-형 카라기난 이외에, 물리적 특성을 강화하거나 분산성을 개선하기 위해 냉수에 가용성인 α화 (pregelatinized) 전분 또는 덱스트린이 첨가될 수 있다. 또한, 카라기난과 반응하여 겔을 형성하는 로커스트 빈 (locust bean) 검 또는 타라 검을 첨가함으로써, 완전히 상이한 겔 형성 능력을 또한 부가할 수 있다. 그러나, 모든 물질이 냉수에 가용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잔탄 검 또는 구아 검을 병용할 수 있다. 이러한 겔화제에 관하여, 하나 이상의 유형을 Na-형 카라기난과 함께 사용할 수 있다.
위에서 열거한 호료를 분말 형태로 사용하는 것 이외에, 경장 영양제 (강화 유동식)의 수중 분산력 또는 용해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호료를 과립 또는 액상으로 제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이용되는 호료 (반-고형화제)는, 투여되는 액체량 (즉, 경장 영양제 + 물) 200 ㎖ 에 대해, 분말화된 효로로서 0.1 내지 15 g,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0 g, 더욱 바람직하게는 1 내지 6 g 의 함량으로 첨가되어 사용될 수 있으나, 상기 첨가 범위에 구애되지 않고, 경장 영양제의 유형 또는 반고형물의 목적된 겔화도에 따라 첨가 범위를 적절히 결정할 수 있다. Na-형 카라기난 이외의 호료도 또한 상기 범위의 첨가량으로 또는 상기 범위를 참고로 첨가하여 사용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호료로서의 이용 외에, 반-고형화제로서의 나트륨 카라기난에 더해 단백질과 같은 영양 성분을 포함시킴으로써, 경장 영양제를 반고형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필요한 영양소를 강화할 수 있다. 더욱이, 경장 영양제로서 필요한 영양소를 포함시킴으로써, 여기에 물을 첨가하는 것만으로 반고형 경장 영양제를 얻을 수 있고, 또한, 첨가하는 물의 온도 또는 양에 의해 반고형 상태의 물리적 특성을 조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반-고형화제 내에 함유되는 영양소는 단백질, 지질, 탄수화물, 식이 섬유, 비타민 및 미네랄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요소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이는 단백질을 반드시 함유하고, 상기 단백질 공급원은 바람직하게는 카세인을 함유한다.
이하, 본 발명은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더욱 상세히 기술되나,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Ensure 에 Na-형 카라기난을 첨가하는 경우
본 실시예는 물과 Ensure (상품명)를 1 : 1 의 비율로 혼합한 계에서 실행되었다. 먼저, 호료 (Na-형 카라기난) 3 g 을 l00 ㎖ 의 물에 첨가하고, 완전히 용해시켰다. 여기에 1OO ㎖ 의 Ensure 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스파튤라 (spatula)로 균일하게 교반한 후, 1OO ㎖ 의 시린지로 흡인하고, 이를 실온에서 1O 분간 유지하였다. 그 후, 고형화된 Ensure 를 시린지로부터 밀어내고, 하기 표 1 에서와 같이 그의 특성을 경시적으로 측정하였다.
"경도"와 이수를 평가 항목으로 선택하였고, "경도"에 대하여는, 시린지로부 터 밀어낸 반-고형물을 직경 40 mm, 높이 15 mm 의 용기에 모으고, 속도 1 mm/S 그리고 틈새 (clearance) 5 mm 의 조건 하에서 직경 20 mm 인 플런저 (plunger) 를 사용하여, Yamaden Co., Ltd. 사제 RHEONER 를 사용한 1축 압축 측정으로 그의 압축 응력을 측정하였다. 또한, 이수 상태는 육안 관찰 및 스트레이너 (strainer)로부터 적하되는 수성 액체의 양을 통해 확인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1 에 제시된 바와 같았다.
이와 같은 다양한 사용 조건 하에서도, 본 발명의 제품의 물리적 특성은 안정적이었다. 특히, 상기 제품을 냉각한 후 상온으로 되돌리는 처리를 한 경우 그의 물리적 특성이 안정하므로, 의료 또는 간호 분야에서 상기 제품의 사용 방법을 고려했을 때 매우 유용하다. 하기 표 3 에서 명확하듯이, 냉각 종료 직후 (냉각 개시 후 60 분)의 제품과 냉각 후 상온으로 되돌린 (냉각 후 → 실온) 제품 사이의 물리적 특성 변화가 작다는 사실은 선행 기술로부터는 도달할 수 없었던 본 발명 제품의 독특한 효과였다.
제조 직후 실온에서 방치 후 30 분 냉각 개시 후 60 분 냉각 → 실온
경도 (N/m2) 807.9 614.5 673.8 683.2
이수 없음 없음 없음 없음
실시예 2: Na-형 카라기난에 전분을 첨가하는 경우
호료의 내용물 및 첨가량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 를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식으로 실행하였다. 호료는 Na-형 카라기난과α화 전분을 1:1 의 비율로 혼합하여 수득한 혼합물이었고, 이를 7 g 첨가하였다. 결과는 하기 표 2 에 제시된 바와 같았다.
제조 직후 실온에서 방치 후 30 분 냉각 개시 후 60 분 냉각 → 실온
경도 (N/m2) 948.3 1086 1167 577.1
이수 없음 없음 없음 없음
비교예 1: 한천으로의 제조예
물과 Ensure 를 실시예와 동일한 방식으로 1 : 1 의 비율로 혼합한 계에서 비교예 1 을 실행하였다. 그러나, 반-고형화제 (호료)로서 한천을 사용하였다.
우선, 물 1OO ㎖ 에 한천 1 g 을 첨가하고 완전히 용해시켰다. 거기에, 약 40 ℃ 로 가열된 Ensure 100 ㎖ 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스파튤라로 균일하게 교반한 후, 이를 100 ㎖ 의 시린지로 흡인하고, 상기 시린지를 냉장고에 30 분간 유지하여 완전하게 고형화하였다.
냉각 종료 직후의 제품 및 냉각 후 상온으로 되돌린 제품 각각을 시린지로부터 밀어내 그의 특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3 에 제시된 바와 같았다.
냉각 개시 후 60 분 냉각 → 실온
경도 (N/m2) 555.3 499.1
이수* 30% 45%
* 이수 (%) = 유리된 물의 중량/총 중량 × 100
실시예 1 및 2 와 비교예 1 에 나타난 결과로부터 명확하듯이, 실시예 1 및 2 에서는 모두 제조 직후에 충분한 경도를 달성할 수 있었다. 더욱이, 제품을 잠시 동안 상온에서 방치하거나 냉장고에서 냉각한 경우에도 이수가 전혀 관찰되지 않았고 상태가 양호하였다.
한 편, 한천 (Kanten cook: Ina Food Industry Co., Ltd.)을 사용한 비교예에서는, 소량으로 일정 정도의 경도를 달성할 수 있었으나, 이수가 현저하였고, 특히 제품을 냉장 후에 상온에 방치한 경우 더욱 현저하였다.
또한, 카라기난 이외에 하기 3 종의 고형화제 (겔화제, 호료)에 대해 전술한 바와 동일한 방법으로 시험을 실시하였다:
(I) 잔탄 검 + 냉수-가용성 로커스트 빈 검
(Ro) 냉수-가용성 카라기난 + 냉수-가용성 로커스트 빈 검
(Ha) 액상 펙틴.
결과는 하기와 같았다.
(A) 분말화된 겔화제를 유동식에 직접 첨가하는 경우:
(I) 와 (Ro)의 경우는 용해도가 매우 낮고, 제조에 60 분 이상이 걸리기 때문에 사용할 수 없었고;
(Ha) 의 경우는 분말 형태인 경우에 전혀 용해되지 않았음.
(B) 분말화된 겔화제를 물에 녹인 후 유동식에 첨가하는 경우:
(I) 와 (Ro)는 물에 용해되는 시점에 겔화되어 유동식과 균일하게 혼합하기가 어려웠고, 또한, 이를 균일하게 혼합하는 경우에도 충분한 경도를 얻을 수 없었음.
이에 반해, 본원에 이용되는 Na-형의 카라기난은, 그의 분말을 유동식에 직접 첨가하거나 물에 용해한 후 사용하는 경우에도, 유동식 중의 단백질, 칼륨 이온 및 칼슘 이온과 반응하여 겔화되기 때문에,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가 없었고, 상기 Na-형 카라기난이 최선의 겔화제임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3: Na-형 카라기난에 단백질, 지질 및 탄수화물을 첨가하는 경우
반-고형화제로서 Na-형 카라기난에 단백질, 지질 및 탄수화물을 혼입하는 경우에, 물리적 특성의 조정예를 제시한다.
본 실시예에 사용된 원료 조성 (온도에 따른 물리적 특성을 확인하기 위한 조성, 및 첨가된 물 함량에 따른 물리적 특성을 확인하기 위한 조성)을 표 4 및 표 5 에 각각 나타내었다.
온도에 따른 물리적 특성을 확인하기 위한 조성
원료 중량(g) 조성
카세인산 칼슘 탈지 우유 분말화된 오일 Na-형 람다-카라기난 덱스트린 용해수(water for dissolution) 2.2 5.9 3.5 0.4 15.1 72.9
총 중량(g) 100.0
칼로리(kcal) 100
첨가된 물 함량에 따른 물리적 특성을 확인하기 위한 조성
원료 중량(g) 조성
카세인산 칼슘 탈지 우유 분말화된 오일 Na-형 람다-카라기난 덱스트린 2.2 5.9 6.0 0.4 38.9
총 중량(g) 53.4
칼로리(kcal) 200
(1) 원료를 25 ℃, 50 ℃ 또는 80 ℃ 의 용해수에 녹인 후, 혼합물을 12 ± 2 ℃ 까지 냉장한 후의 물리적 특성을 확인하였다. 결과는 표 6 에 제시된 바와 같다.
용해 온도에 따른 물리적 특성의 변화
용해수 온도 25℃ 50℃ 80℃
경도(×103 N/m2) 1.5 2.8 3.8
부착성(×102 J/m3) 1.1 3.1 3.3
상기 결과로부터 명확하듯이, 용해수의 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경도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2) 영양소를 포함한 반-고형화제 53 g 을 2, 3 및 4 배 부피의 25 ℃ 용해수에 녹인 후, 상기 혼합물을 12 ± 2 ℃ 까지 냉장하였고, 이어서, 그의 물리적 특성을 확인하였다. 결과는 표 7 에 제시된 바와 같았다.
첨가된 물 함량에 따른 물리적 특성의 변화
첨가된 용해수 함량(g) 106.8 160.2 213.6
경도(×103 N/m2) 1.8 0.6 0.2
부착성(×102 J/m3) 2.8 0.6 0.4
상기 결과를 통해 명확하듯이, 용해수 함량이 증가할수록 경도가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나트륨 카라기난을 주원료로 함유하는 호료 (반-고형화제)를 처음으로 사용하여, 호료의 가열 용해 처리를 필요로 하지 않고 (이는 종래 방법의 주요 결점 중 하나임), 더욱이는 이를 냉수에 용해함으로써, 겔화가 신속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이를 시린지로부터 투여하는 경우 이수가 없다. 따라서, 긴급을 요하고 준비 시간이 없는 의료 분야에서, 단기간에 간편하고 정확하게 경장 영양제를 체내에 주입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경장 영양제에 나트륨 카라기난을 주성분으로 함유하는 호료를 첨가 및 사용함으로써, 경장 영양제가 그의 체내 주입 전후에 유동성을 가지고 체내에 보유되는 상태에서는 체온에서 액상화하지 않는 특수한 성질을 갖는 고형물을 형성하는데 최초로 성공하였다. 더욱이, 이러한 특수 고형물은, 예를 들면, 위로부터 식도로 역류하지 않거나 또는 누관으로부터 영양제를 누출시키지 않고, 더욱이는, 그의 투여 속도가 빠르지 않고 적절하기 때문에 설사의 발병을 예방하는 뛰어난 특징을 갖는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고형물은 특수한 성질과 뛰어난 특징을 갖는 매우 독특한 물질이기 때문에, 이를 단순한 겔화물 또는 고형물과 명확히 구별하기 위해 "반-고형물"로도 나타낸다. 따라서, 이러한 반-고형물을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호료 (또는 겔화제, 고형화제 또는 증점제: 나트륨 카라기난) 또한 독특한 물질이기 때문에, 이를 단순한 호료와 명확히 구별하기 위해 본 명세서에서는 "반-고형화제"로도 나타낸다. 그러나, 이러한 물질의 상세한 정의는 전술한 바와 같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르면, 유동식과 같이 점도가 낮거나 없는 액상물에 본 발명에 따른 반-고형화제를 첨가하여 상기 액상물의 점도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어, 작업의 신속성 및 조작의 용이성 요구되는 의료나 간호 분야에 매우 유용하다.

Claims (13)

  1. 경관 영양 주입법 (tube feeding infusion)에서 인체 내로 주입되는 경장 영양제 (enteral nutrient)인 반-고형화 (semi-solidified) 경장 영양제로서, 상기 경장 영양제가 그의 체내 주입 전후에 유동성을 가지고 체내에 보유되는 상태에서는 체온에서 액상화되지 않도록, 나트륨 카라기난을 반-고형화제로서 사용하여 반고형물로 제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고형화 경장 영양제.
  2. 제 1 항에 있어서, 반-고형화제가 나트륨 이오타-카라기난, 나트륨 카파-카라기난 및 나트륨 람다-카라기난에서 선택되는 카라기난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장 영양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반-고형화제가 45 ℃ 이하의 물로 수화되는 카라기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장 영양제.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반-고형화제가 단백질을 추가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장 영양제.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백질이 카세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장 영양제.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반-고형화제가 지질, 탄수화물, 식이 섬유, 비타민 및 미네랄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요소를 추가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장 영양제.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반-고형화제를 경장 영양제에 그 자체로 첨가하거나 이를 물에 용해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장 영양제.
  8. 제 4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반-고형화제를 물에 첨가하여 사용하는 경우에, 상기 반-고형화제가 첨가되는 물의 온도 또는 함량을 통해 반-고형 상태의 물리적 특성을 조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장 영양제.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반-고형화제가 덱스트린, 전분, 잔탄 검, 구아 검, 로커스트 빈 (locust bean) 검 및 타라 검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요소를 추가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장 영양제.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경관 영양 주입법이 비위 영양 공급법 (nasogastric feeding), 경위장 영양 공급법 (transgastric feeding) 및 경장 영양 공급법 (enteric feeding)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방법인 것을 특징 으로 하는 경장 영양제.
  11. 경관 영양 주입법에서 체내에 투여되는 경장 영양제를 반-고형화하기 위해 혼합해서 사용한다는 표시가 부착된, 경장 영양제를 반-고형화하기 위한 반-고형화제로서, 나트륨 카라기난을 함유하고, 경장 영양제가 그의 체내 주입 전후에 유동성을 가지고 체내에 보유되는 상태에서는 체온에서 액화하지 않도록 하는 방식으로 경장 영양제를 반-고형화물로 전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고형화제.
  12. 제 11 항에 있어서, 반-고형화제가 45 ℃ 이하의 물에 수화되는 카라기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고형화제.
  13.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액상, 분말 및 과립 중 하나 이상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고형화제.
KR1020077007139A 2004-10-12 2005-10-11 경장 영양제 KR2007006433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298139 2004-10-12
JP2004298139 2004-10-1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4333A true KR20070064333A (ko) 2007-06-20

Family

ID=361484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7139A KR20070064333A (ko) 2004-10-12 2005-10-11 경장 영양제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070292457A1 (ko)
EP (1) EP1800663B1 (ko)
JP (1) JP5285856B2 (ko)
KR (1) KR20070064333A (ko)
CN (1) CN101039656B (ko)
AU (1) AU2005292777B2 (ko)
CA (1) CA2581605C (ko)
HK (1) HK1105357A1 (ko)
WO (1) WO200604117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2192A (ko) 2017-07-31 2020-03-25 가부시끼가이샤후지킨 가스 공급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80194B2 (ja) * 2006-02-20 2013-09-04 株式会社明治 ゲル状の経腸栄養剤及びその調製方法
US8409651B2 (en) * 2007-12-05 2013-04-02 N. V. Nutricia High energy liquid enteral nutritional composition
US8293285B2 (en) * 2008-03-14 2012-10-23 Cp Kelco U.S., Inc. Carrageenan modified by ion-exchange process
JP5314973B2 (ja) * 2008-09-12 2013-10-16 三栄源エフ・エフ・アイ株式会社 胃瘻患者に用いられる経腸栄養剤用の半固形化剤及び半固形化経腸栄養剤
JP2011050278A (ja) * 2009-08-31 2011-03-17 Kaneka Corp 胃から食道への逆流を防止した流動食
US9192573B2 (en) 2009-12-18 2015-11-24 Kaneka Corporation Treatment method using liquid food composition
EP3461473B1 (en) 2009-12-18 2021-09-22 Kaneka Corporation Liquid food composition being semisolidified in the acidic region
JP6134156B2 (ja) * 2012-02-22 2017-05-24 キユーピー株式会社 下痢防止用組成物
CN107183470A (zh) * 2017-07-08 2017-09-22 广州富诺营养科技有限公司 一种瓜尔豆胶速凝固体饮料的制备工艺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60220A (en) * 1967-10-30 1971-02-02 James Gerow Bangert Dried emulsions
US4623539A (en) * 1983-02-04 1986-11-18 Tunc Deger C Nutrient barrier polysaccharide compositions and method of use
JPS61139361A (ja) * 1984-12-10 1986-06-26 Nisshin Oil Mills Ltd:The 固形ドレツシング様食品
US4670268A (en) * 1985-01-29 1987-06-02 Abbott Laboratories Enteral nutritional hypoallergenic formula
JPS62224260A (ja) * 1986-03-27 1987-10-02 Asahi Chem Ind Co Ltd 経管栄養剤
EP0480305A1 (en) * 1990-10-11 1992-04-15 Abbott Laboratories Liquid nutritional products containing iota-carrageenan
JPH06181718A (ja) * 1992-12-21 1994-07-05 Otsuka Pharmaceut Co Ltd 経腸栄養剤
JPH07255398A (ja) * 1994-03-16 1995-10-09 Snow Brand Milk Prod Co Ltd 保存安定性及び嗜好性の高い経口経腸栄養組成物
US5700513A (en) * 1996-01-19 1997-12-23 Abbott Laboratories Liquid nutritional product containing improved stabilizer composition
JP3524359B2 (ja) * 1997-12-26 2004-05-10 伊那食品工業株式会社 咀嚼・嚥下困難者用の摂食補助用糊料
JP3633942B2 (ja) * 1998-09-09 2005-03-30 キユーピー株式会社 嘔吐予防食品
JP3959192B2 (ja) * 1998-12-03 2007-08-15 株式会社大塚製薬工場 経管栄養食品
US6241996B1 (en) * 1999-04-09 2001-06-05 Novartis Nutrition Ag Liquid soy nutritional products
US6355609B1 (en) * 1999-04-14 2002-03-12 Nestec S.A. Methods for stabilizing liquid nutritional products and products so stabilized
US20030134851A1 (en) * 2001-10-09 2003-07-17 Baxter Jeffrey H.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providing glutamine
WO2003035112A1 (fr) * 2001-10-22 2003-05-01 Jiro Kanie Nutriant enteral et procede de production de celui-ci
JP3724740B2 (ja) * 2002-06-20 2005-12-07 日清キョーリン製薬株式会社 コエンザイムq10を含有する経管経腸栄養剤
JP2004217531A (ja) * 2003-01-09 2004-08-05 Fushimi Pharm Co Ltd 経管栄養剤、経管栄養剤セットおよび経管栄養剤の投与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2192A (ko) 2017-07-31 2020-03-25 가부시끼가이샤후지킨 가스 공급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05292777B2 (en) 2011-04-21
CN101039656B (zh) 2012-10-10
CN101039656A (zh) 2007-09-19
WO2006041173A1 (ja) 2006-04-20
HK1105357A1 (zh) 2008-02-15
JPWO2006041173A1 (ja) 2008-05-22
EP1800663A4 (en) 2012-12-05
CA2581605C (en) 2014-12-30
EP1800663B1 (en) 2016-01-20
EP1800663A1 (en) 2007-06-27
US20070292457A1 (en) 2007-12-20
AU2005292777A1 (en) 2006-04-20
JP5285856B2 (ja) 2013-09-11
CA2581605A1 (en) 2006-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64333A (ko) 경장 영양제
KR101067266B1 (ko) 영양 조성물
WO2008032432A1 (fr) Nutriment entérique de type gel
JP5940118B2 (ja) 乳化食品組成物
JP2008237186A (ja) ゲル状流動食
JP5586731B2 (ja) ゲル状の経腸栄養剤
JP2006182767A (ja) ゲル化栄養剤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14030605A1 (ja) 栄養組成物
JP4787517B2 (ja) 栄養剤用ゲル化剤
JP5026347B2 (ja) 酸性濃厚流動食用ゲル化剤及びゲル状酸性濃厚流動食の製造方法
JP6289377B2 (ja) 濃厚流動食
JP6134156B2 (ja) 下痢防止用組成物
JP2006273804A (ja) 粘度調整剤及びその用途
JP2010077068A (ja) ゲル状経管栄養食品
JP5314973B2 (ja) 胃瘻患者に用いられる経腸栄養剤用の半固形化剤及び半固形化経腸栄養剤
JP2007153739A (ja) 胃瘻用経腸栄養剤の製造方法
JP2007137792A (ja) 胃瘻用経腸栄養剤
JP2007289163A (ja) ゲル状栄養食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SUBM Surrender of laid-open application reques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