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63520A - 화상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화상 형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63520A
KR20070063520A KR1020077006858A KR20077006858A KR20070063520A KR 20070063520 A KR20070063520 A KR 20070063520A KR 1020077006858 A KR1020077006858 A KR 1020077006858A KR 20077006858 A KR20077006858 A KR 20077006858A KR 20070063520 A KR20070063520 A KR 200700635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recording head
paper
conveyance belt
image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68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88763B1 (ko
Inventor
신지 이모토
세이이치 코구레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Publication of KR200700635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35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87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87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02Plat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007Conveyor belts or like feed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Landscapes

  • Ink Jet (AREA)
  • Feeding Of Articles By Means Other Than Belts Or Rollers (AREA)
  • Handling Of Sheets (AREA)

Abstract

기록액 방울을 기록 매체에 분사하여 화상을 형성하는 기록 헤드; 및 정전기력에 의해 기록 매체를 흡착하는 운반 벨트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가 제공된다. 이 화상 형성 장치에서, 정전기력에 의해 상기 운반 벨트에 흡착된 기록 매체는 상기 기록 헤드 맞은편의 상기 운반 벨트의 경사면과 상기 기록 헤드의 하류 쪽에 하향 경사진 상기 운반 벨트의 경사면에 의해 형성된 각도에서 상기 운반 벨트로부터 분리되지 않는다.

Description

화상 형성 장치{IMAGE FORMING DEVICE}
본 발명은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며, 더 구체적으로는 기록 매체를 운반하도록 구성된 운반 벨트를 갖는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잉크젯 기록 장치는 화상 형성 장치로서 예컨대 프린터, 팩시밀리, 복사기 또는 프린터, 팩시밀리 및 복사기의 기능을 갖는 다기능 처리 장치가 있다. 전술한 잉크젯 기록 장치에서, 기록 매체가 운반되는 동안, 기록액 방울을 분사하도록 구성된 액체 제트 헤드를 구비한 기록 헤드(화상 형성부)에 의해 기록액 방울(이하 “방울”이라 함)이 기록 매체에 흡착되어 기록 또는 인쇄와 같은 화상 형성이 수행된다. 이하, 기록 매체를 용지 또는 이동 소재라 한다. 하지만, 용지 또는 이동 소재에 대한 재료의 제한은 없다.
한편, 화상이 잉크젯 기록 방식으로 형성되는 경우, 잉크는 용지에 흡착되므로, 화상이 용지에 형성되는 때에, 잉크에 함유된 습기가 용지를 늘리게 된다. 이 현상을 주름 형성(cockling)이라 한다.
주름 형성은 용지 물결침을 일으켜 기록 헤드의 노즐과 용지면 사이의 거리 가 용지면의 위치에 따라 달라지게 한다. 주름 형성은 대부분의 경우 용지가 기록 헤드의 노즐면과 접촉하게 되는 정도로 악화될 수 있다.
그 결과, 기록 헤드의 노즐면뿐만 아니라 용지 자체도 오염되어 화질이 저할 될 수 있다. 또한, 주름 형성에 의하면, 용지에 잉크 방울이 흡착되는 부분이 이동할 수도 있다.
종래기술에 따른 잉크젯 기록 장치의 경우, 용지 공급은 인쇄 영역의 각각의 단부에 하나의 군이 배치된 2개 군의 롤러를 사용하여 수행된다. 하지만, 이 구조로는 인쇄용지가 2개 군의 롤러 양쪽에 견고하게 접촉하지 않으면 높은 공급 정밀도를 얻기가 어렵다.
하지만, 최근 더 큰 화상 형성 영역이 요구되고 있고, 인쇄 영역을 증가시키기 위해, 인쇄용지를 공급하는 단지 1개 군의 롤러를 구비한 잉크젯 화상 기록 장치가 제안되고 있다.
하지만, 그와 같은 장치로는 높은 공급 정밀도를 얻기가 훨씬 더 어렵다. 특히, 인쇄용지가 한 쪽에서만 롤러와 접촉하면, 인쇄용지는 때때로 롤러로부터 뜨게 되어, 인쇄용지를 운반하는 힘을 얻지 못하게 될 수 있다. 그 결과, 공급 정밀도가 낮아지고 화질이 저하된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잉크젯 기록 장치가 제안되며, 인쇄용지의 평탄도를 유지하기 위해, 대전된 무단 벨트를 제공하여 대전에 의한 정전기력으로 용지를 벨트에 고정하고 벨트를 이 상태로 회전시켜 용지를 운반한다. 이렇게 하면, 용지가 벨트에서 뜨는 것을 방지하고 우수한 평탄도를 얻을 수 있다.
한편, 인쇄용지가 정전기력에 의해 공급 벨트에 고정된 상태로 공급되는 잉크젯 기록 장치에서, 용지의 평탄도는 벨트의 평탄도에 직접 관계된다.
또한, 전술한 종래기술의 잉크젯 기록 장치에서, 운반 벨트는 2 이상의 롤러에 의해 긴장되고(장력을 받고) 롤러들 사이의 벨트의 일부는 인쇄 영역, 즉, 잉크젯 헤드에 의해 인쇄되는 영역에 해당한다. 벨트의 이 부분은 쉽게 구겨지고, 벨트가 회전할 때 벨트 표면에 직각 방향으로 진동하여, 벨트의 평탄도를 저하시킨다.
따라서, 인쇄용지의 평탄도가 통상 벨트의 평탄도에 직접 관련되므로, 기록 헤드와 인쇄용지 사이의 거리가 바뀌어 화질을 저하시킨다.
일본특허공개공보 제2004-175494호는 기록 헤드 맞은편 영역에서 운반 벨트의 평탄면의 평탄도를 확보할 수 있는 화상 형성 장치를 제시하고 있다. 이 화상 형성 장치에서, 용지를 운반하는 운반 벨트는 운반 롤러와 장력 롤러 사이에서 장력을 받고, 운반 벨트를 안내하는 안내 부재가 인쇄 헤드의 인쇄 영역에 해당하는 운반 벨트의 일부의 배면 쪽에 장착된다. 또, 안내 부재는 롤러들 사이의 접선에 대해 기록 헤드 쪽으로 돌출하도록 장착된다.
하지만, 일본특허공개공보 제2004-175494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배면 쪽으로부터 안내하도록 구성된 안내 부재에 의해 운반 벨트의 평탄면 상태가 형성되고 용지가 정전 흡착된 상태로 운반되는 경우에, 용지는 안내 부재에 의해 형성된 평탄면의 바로 하류에서 운반 벨트로부터 분리된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이 문제의 원인을 조사하였으며, 안내 부재의 상면이 기록 헤드 맞은편 영역에서 운반 벨트의 평탄도를 확보하기 위한 롤러들 사이의 접선에 대해 기록 헤드 쪽으로 돌출하도록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안내 부재 위로 지나가는 운반 벨트가 롤러 쪽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지지되는 것을 발견하였다. 그 결과, 용지가 쉽게 스스로 떨어지는 것과 이 문제가 관련되었음을 알게 되었다.
특히, 용지가 정전기력에 의해 운반 벨트에 흡착되는 경우, 용지의 헤드 단부가 운반 벨트로부터 분리된다면, 정전기력은 더 이상 작용하지 않고 용지는 즉각 분리될 수 있다. 또한, 굳은 민인쇄(set-solid printing)가 적용되는 때와 같이 비교적 다량의 습기를 포함하는 용지에서, 용지의 제2 면이 양면 인쇄되는 때에는 습기가 충분히 건조되지 않으므로, 용지와 운반 벨트 사이의 인력은 낮아져 스스로 떨어짐이 쉽게 생길 수 있다.
또한, 잉크가 운반 벨트에 의해 흡착된 용지에 흡착될 때, 용지는 습기 덕분에 팽창하여 운반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용지 물결침이 생길 수 있다. 용지가 안내 부재의 하류 쪽에서 운반 벨트로부터 분리되면, 용지 물결침은 뒤쪽으로 안내 부재 부분에 도달하여 기록 헤드와 용지 사이에 마모가 생겨 화상에 손상을 주게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전술한 문제를 하나 이상 해결한 신규하고 유용한 화상 형성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기록 매체가 운반 벨트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분리에 의한 기록 헤드와의 마모를 방지하여 고화질을 안정적으로 형성할 수 있는 화상 형성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하는 화상 형성 장치는 기록액 방울을 기록 매체에 분사하여 화상을 형성하는 기록 헤드; 및 정전기력에 의해 기록 매체를 흡착하는 운반 벨트를 포함한다. 이 화상 형성 장치에서, 정전기력에 의해 운반 벨트에 흡착된 기록 매체는 기록 헤드 맞은편의 운반 벨트의 경사면과 기록 헤드의 하류 쪽에 하향 경사진 운반 벨트의 경사면에 의해 형성된 각도에서 운반 벨트로부터 분리되지 않는다.
전술한 화상 형성 장치에 따르면, 기록 매체가 기록 헤드의 하류 쪽에서 스스로 떨어져 운반 벨트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그에 따라 고품질 화상을 안정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하는 화상 형성 장치는 기록액 방울을 기록 매체에 분사하여 화상을 형성하는 기록 헤드; 및 정전기력에 의해 기록 매체를 흡착하는 운반 벨트를 포함한다. 이 화상 형성 장치에서, 운반 벨트는 기록 헤드 맞은편의 평탄면과 기록 헤드의 하류 쪽에 하향 경사진 경사면을 갖고, 경사면의 길이는 기록 매체의 물결침이 평탄면에 도달하지 않도록 정해진다.
전술한 화상 형성 장치에 따르면, 용지가 운반 벨트의 경사면에서 분리되더라도, 용지 물결침은 평탄면에 도달하자 않아 기록 헤드와의 마모가 방지된다. 따라서, 고품질 화상을 안정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하는 화상 형성 장치는 기록액 방울을 기록 매체에 분사하여 화상을 형성하는 기록 헤드; 및 정전기력에 의해 기록 매체를 흡착하는 운반 벨트를 포함한다. 이 화상 형성 장치에서, 운반 벨트는 기록 헤드 맞은편의 평탄면과 기록 헤드의 하류 쪽에 하향 경사진 경사면을 갖고, 기록 매체를 운반 벨트의 평탄면보다 낮은 위치로 압박하도록 톱니가 제공된다.
전술한 화상 형성 장치에 따르면, 기록 매체가 기록 헤드의 하류 쪽에서 운반 벨트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여 고품질 화상을 안정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징 및 장점을 더 잘 이해할 수 있도록 아래의 상세한 설명을 첨부 도면과 연계하여 기술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기구부의 측면 절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화상 형성 장치의 주요부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화상 형성 장치의 주요부의 확대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한 화상 형성 장치의 운반 벨트의 일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한 화상 형성 장치의 운반 벨트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한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부의 개략적인 구조를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한 화상 형성 장치의 정전기 대전에 관련된 부분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8은 운반 벨트의 정전기 대전을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도 9는 운반 벨트와 접촉하는 용지를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도 10은 운반 벨트 유닛 부분의 확대 측면도이다.
도 11은 인쇄 모드와 운반 벨트에 의한 용지 흡착을 측정한 결과 사이의 관계를 설명하는 표이다.
도 12는 도 10의 각도(θ1)와 단면 인쇄 모드에서 운반 벨트로부터의 용지 분리를 측정한 결과 사이의 관계를 설명하는 표이다.
도 13은 도 10이 각도(θ1)와 양면 인쇄 모드에서 운반 벨트로부터의 용지 분리를 측정한 결과 사이의 관계를 설명하는 표이다.
도 14는 도 10의 길이(a)와 단면 인쇄 모드에 존재하는 헤드 마모를 측정한 결과 사이의 관계를 설명하는 표이다.
도 15는 도 10의 길이(a)와 양면 인쇄 모드에 존재하는 헤드 마모를 측정한 결과 사이의 관계를 설명하는 표이다.
도 16은 톱니(spur)의 배치 위치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주요부의 확대 측면도이다.
도 17은 톱니의 배치 위치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주요부의 확대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1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비롯한 본 발명을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를 도 1 내지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들 도면에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기구부의 측면 절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한 화상 형성 장치의 주요부의 평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한 화상 형성 장치의 주요부의 확대 측면도이다.
도 1과 2를 참조하면, 화상 형성 장치는 X1-X2 측면의 측판들(도 1과 2에는 도시되지 않음) 사이에 연장된 안내 부재로서 제공된 안내 봉(1)과 스테이(stay, 2)를 포함한다. 화상 형성 장치는 캐리지(3)가 주 스캔 방향 또는 X1-X2 방향으로 활주할 수 있도록 안내 봉(1)과 스테이(2)로 캐리지(3)를 잡는다.
주 스캔 모터(4)는 캐리지(3)가 구동 풀리(6a)와 공전 풀리(6b) 사이에 제공된 타이밍 벨트(5)를 경유해 도 2에 화살표로 나타낸 주 스캔 방향으로 이동하여 스캔하도록 캐리지(3)를 구동한다. 안내 부싱(베어링)(3a)은 캐리지(3)와 안내 봉(1) 사이에 제공된다.
캐리지(3)는 각각의 색의 잉크 방울을 방출하는 노랑(Y), 시안(C: cyan), 마젠타(M: magenta) 및 검정(Bk)의 4 개의 헤드로 구성된 기록 헤드(7)를 포함한다. 기록 헤드(7)는 기록 헤드(7)의 잉크 방출구들이 주 스캔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되고 잉크가 잉크 방출구에서 하향 방출되도록 부착된다.
기록 헤드를 형성하는 잉크젯 헤드는 잉크(기록액)를 분사하도록 구성된 에너지 발생부로서, 압전 소자와 같은 압전 액추에이터, 발열 저항기와 같은 전열 전환 소자를 사용하여 액체의 막 비등에 기인한 상변화를 이용하는 열 액추에이터, 온도 변화에 따른 금속 상변화를 이용하는 형상 기억 합금 액추에이터, 또는 정전기력을 사용하는 정전 액추에이터를 구비할 수 있다.
기록 헤드(7)는 서로 다른 색을 분사하는 복수의 노즐 열을 갖는 단일 또는 복수의 액체 방울 분사 헤드(들)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카트리지(3)는 각각의 색 잉크를 기록 헤드(7)에 공급하기 위한 4색의 부 탱크(8)를 포함한다. 색 잉크는 각각의 주 탱크(도 1과 2에 도시하지 않은 잉크 카트리지)로부터 잉크 공급관(9)을 통해 해당 부 탱크(8)로 공급된다.
잉크 방울을 분사하는 기록 헤드(7) 이외에, 잉크의 고정 능력이 개선될 수 있도록, 기록액(잉크)과 반응하는 고정 처리액(고정 잉크)을 분사하도록 구성된 기록 헤드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화상 형성 장치는 급지 트레이(10)의 용지 적재부(압력판)(11)에 적재된 용지(12)를 공급하도록 구성된 급지부를 포함한다.
급지부는 용지 적재부(11)로부터 용지(12)를 낱장으로 분리/공급하는 반달 모양 롤러(급지 롤러)(13) 및 급지 롤러(13) 반대편에 제공되어 높은 마찰 계수의 재료로 형성된 분리 패드(14)를 포함한다. 분리 패드(14)는 급지 롤러(13) 쪽으로 편향(바이어스)되어 있다.
화상 형성 장치는 또한 기록 헤드(7) 아래의 급지부로부터 공급된 낱장의 기 록 매체(용지)(12)를 운반하도록 구성된 운반부를 더 포함한다. 운반부는 운반 벨트(21), 카운터 롤러(22), 운반 가이드(23), 가장자리 압박 롤러(edge pressure roller)(25) 및 정전기 대전 롤러(26)를 포함한다.
운반 벨트(21)는 용지(12)를 운반 벨트(21)에 정전 흡착시켜 용지(12)를 운반한다. 용지(12)는 급지부로부터 가이드(15)를 통해 공급되어 운반 벨트(21)와 카운터 롤러(22) 사이에 잡혀 운반된다.
운반 가이드(23)는 거의 90도 상방의 직각 방향으로 공급되는 용지(12)의 운반 방향을 변경하여 용지(12)가 운반 벨트(21)를 타고 운반되도록 한다. 가장자리 압박 롤러(25)는 받침 부재(holding member, 24)에 의해 운반 벨트(21) 쪽으로 편향되어 있다. 정전기 대전 롤러(26)는 운반 벨트(21)의 표면을 대전시키는 대전부를 형성한다.
거의 직각 방향으로 상향 안내되는 용지(12)의 방향이 약 90 각도로 변경되도록 호 모양의 운반 경로가 운반 가이드(23)와 운반 롤러(벨트 구동 롤러)(22)에 제공된 운반 벨트(21) 사이에 형성된다. 따라서, 운반 벨트(21) 맞은편의 운반 경로 면은 운반 벨트(21)의 곡률 반경보다 큰 곡률 반경을 갖는 호 모양을 하게 된다.
운반 벨트(21)는 무단 벨트이며, 단부를 갖는 벨트의 양단을 연결하여 형성할 수 있다. 운반 벨트(21)는 운반 롤러(27)와 장력 롤러(28) 사이에서 긴장되어(장력을 받고) 있다. 부 스캔 모터(31)는 운반 벨트(21)가 도 2의 벨트 운반 방향 즉 부 스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타이밍 벨트(32)와 타이밍 롤러(33)에 의해 운반 롤러(27)를 회전시킨다.
안내 부재(29)가 기록 헤드(7)의 화상 형성 영역에 해당하는 운반 벨트(21)의 배면 쪽에 제공된다.
운반 벨트(21)는 도 4에 도시한 것과 같이 단층 구조를 갖는 무단 벨트일 수 있다. 운반 벨트(21)는 도 5에 도시한 것과 같이 다층 구조를 갖는 무단 벨트일 수 있다.
단층 구조를 갖는 운반 벨트(21)의 경우, 운반 벨트(21)는 용지(12) 또는 정전기 대전 롤러(26)와 접촉하기 때문에 그 전체가 절연체로 형성된다.
다층 구조를 갖는 운반 벨트(21)의 경우, 용지(12) 또는 정전기 대전 롤러(26)와 접촉하는 운반 벨트(21)의 일부에 절연층(21A)이 형성되고 용지(12) 또는 정전기 대전 롤러(26)와 접촉하는 않는 운반 벨트(21)의 일부에는 전도성 층(21B)이 형성되면 바람직하다.
단층 구조를 갖는 운반 벨트(21) 또는 다층 구조를 갖는 운반 벨트(21)를 형성하는 절연층은 PET, PEI, PVDF, PC, ETFE 또는 PTFE와 같은 수지나 전도성 제어 재료를 포함하지 않는 엘라스토머일 수 있다.
절연층은 1012[Ωcm] 이상의 부피 저항을 갖는 절연층이면 바람직하다. 더 바람직하게는, 절연층은 1015[Ωcm]의 부피 저항을 갖는다.
다층 구조를 갖는 운반 벨트(21)의 전도성 층(21B)은 동일한 수지 또는 탄소를 포함하는 엘라스토머로 제조되고, 전도성 층(21B)의 부피 저항이 105[Ωcm] 내지 107[Ωcm]이면 바람직하다.
정전기 대전 롤러(26)는 다층 벨트의 경우 운반 벨트(21)의 표면층이 되는 절연층(21A)과 접촉하고 운반 벨트(21)의 회전에 따라 회전한다. 정전기 대전 롤러(26)는 샤프트의 양단에 가해지는 힘을 받는다.
정전기 대전 롤러(26)는 106[Ωcm] 내지 109[Ωcm]의 부피 저항을 갖는 전도성 부재로 형성된다. 예컨대 +/-2kV의 교류(AC) 바이어스를 정전기 대전 롤러(26)에 가하도록 구성된 교류 바이어스 공급부(114)가 정전기 대전 롤러(26)에 연결된다. 정전기 대전 롤러(26)에 가해진 교류 바이어스는 사인파 또는 델타파와 같은 다양한 파형을 가질 수 있다. 하지만, 교류 바이어스는 구형파이면 바람직하다.
도 3에 도시한 것과 같이, 운반 벨트(21)의 평탄면의 평탄도가 높은 정도로 확보될 수 있도록, 안내 부재(29)의 상면은 롤러(27)와 롤러(28) 사이의 접선에 대해 기록 헤드(7) 쪽으로 돌출한 상태로 장착된다.
또한, 도 2에 도시한 것과 같이, 운반 벨트(27)의 샤프트에는 슬릿 디스크(34)가 제공된다. 슬릿 디스크(34)의 슬릿들을 검출하는 센서(35)와 슬릿 디스크(34)가 부호기(36)를 구성한다.
도 1에 도시한 것과 같이, 슬릿을 갖는 부호기 측정계(encoder scale, 42)가 캐리지(3)의 정면에 제공된다. 부호기 측정계(42)의 슬릿을 검출하는 투과 방식 광센서인 부호기 센서(43)가 캐리지(3)의 정면에 제공된다. 부호기 측정계(42)와 부호기 센서(43)는 캐리지(3)의 주 스캔 방향을 검출하는 부호기를 구성한다.
기록 헤드에 의해 기록된 용지(12)를 배출하는 배지부에는 분리 클로(separation claw, 51), 배지 롤러(52, 53) 및 배지 트레이(54)가 있다. 분리 클로(51)는 운반 벨트(21)로부터 용지(12)를 분리한다.
급지 롤러(53)는 별 모양 단면을 갖는 톱니(spur) 롤러이다. 배출된 용지(12)는 급지 트레이(54)에 적재된다. 아래에 상세히 설명하겠지만, 운반 벨트(21)에 의해 급지부로 운반된 인쇄된 용지(12)를 누르는 톱니(spur, 55)가 장력 롤러(28) 맞은편에 제공된다.
양면 급지 유닛(61)이 후미에 분리 가능하게 제공된다. 양면 급지 유닛(61)은 운반 벨트(21)의 역회전에 의해 복귀하는 용지(12)를 받아 뒤집은 다음 이를 카운터 롤러(22)와 운반 벨트(21) 사이로 다시 공급한다.
또한, 급지 트레이(10), 용지가 적재되는 압판(용지 적재부)(71), 급지 롤러(73) 및 분리 패드(72)와 함께, 화상 형성 장치의 바닥부에 확장 트레이(70)가 부착될 수 있다.
급지할 때, 급지 롤러(73)와 분리 패드(72)는 용지(12)를 낱장으로 분리 및 공급하고 운반 롤러(75, 76)는 용지를 장치 본체부의 하부로부터 카운터 롤러(22)와 운반 벨트(21) 사이의 공간으로 보낸다.
용지(12)의 급지 경로, 구체적으로는, 급지 롤러(13)의 주 스캔 방향 측면에 표면 저항 측정기(80)가 제공되어, 공급된 용지(12)의 표면 저항을 측정한다.
전술한 구조를 갖는 화상 형성 장치에서, 용지(12)는 배지부로부터 하나씩 분리 및 공급된다. 용지(12)는 하나씩 배지부로부터 분리 및 공급된다. 거의 직 각 방향으로 상부로 공급된 용지(12)는 가이드(15)에 의해 안내되어 운반 벨트(21)와 카운터 롤러(22)에 의해 집혀 운반된다.
또한, 용지(12)의 선단은 운반 가이드(23)에 의해 안내된다. 용지(12)는 선단 압박 롤러(25)에 의해 운반 벨트(21)에 압박되어 용지(12)의 운반 방향이 거의 90도 바뀐다.
이때, 양 및 음 출력이 교대로 반복해서 대전 롤러(26)에 가해진다. 다시 말하면, 양 및 음 전하가 회전 방향, 즉 부 수캔 방향으로 운반 벨트(21)에 가해져 지정된 폭의 띠들을 형성하도록 교류 전압이 가해진다.
용지(12)가 양 및 음의 띠들로 교대로 대전된 운반 벨트(21)에 공급되면, 용지(12)는 정전기력에 의해 운반 벨트(21)에 흡착된다. 용지(12)는 운반 벨트(21)의 회전 운동에 의해 부 스캔 방향으로 운반된다.
캐리지(3)가 주 스캔 방향으로 이동하는 동안 화상 신호에 따른 기록 헤드(7) 구동에 의해 낱줄의 잉크 방울들이 정지한 용지(12)에 분사되어 기록 작업을 한다.
용지(12)가 지정된 길이만큼 운반된 후에, 다음 줄에 대한 기록 작업이 수행된다. 기록 종료 신호 또는 용지(12)의 말단이 기록 영역에 도달했음을 지시하는 신호가 수신되면, 기록 작업이 종료하고 용지(12)는 배지 트레이(54)로 배출된다.
양면 인쇄의 경우, 제1 면에 대한 기록이 완료되면, 운반 벨트(21)가 역회전되어 기록이 완료된 용지를 양면 급지 유닛(61)으로 보낸다. 용지(12)는 제2 면이 인쇄면이 되도록 뒤집어 져 카운터 롤러(22)와 운반 벨트(21) 사이로 다시 공급된 다.
타이밍 제어가 수행되어 용지(12)는 뒷면(제2 면) 인쇄를 위해 운반 벨트(21)를 타고 운반된 다음 배지 트레이(54)로 배출된다.
이어, 이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부를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도 6은 도 1에 도시한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부의 개략적인 구조를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제어부(100)는 중앙처리장치(CPU, 101), 롬(ROM, 102), 램(RAM, 103), 비휘발성 메모리(104) 및 주문형반도체(ASIC, 105)를 포함한다.
중앙처리장치(101)는 화상 형성 장치 전체를 제어한다. 중앙처리장치(101)가 실행하는 프로그램과 다른 고정 데이터는 롬(102)에 저장된다. 화상 데이터 등은 램(103)에 일시적으로 저장된다. 비휘발성 메모리(104)는 재기록 가능하므로 장치의 전력이 차단된 경우에도 데이터가 저장된다. 주문형반도체(105)는 화상 데이터의 다양한 신호 처리, 데이터 배치를 바꾸기 위한 화상 처리 및 장치 전체 제어를 위한 입/출력 신호의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100)는 인터페이스(I/F, 106), 헤드 구동부(107, 108), 주 스캔 모터 구동부(111), 부 스캔 모터 구동부(113), 환경 센서(118), 입출력부(I/O, 116) 등을 더 포함한다.
인터페이스(106)는 개인용 컴퓨터(PC)와 같은 데이터 처리 장치인 호스트(90)와 데이터 또는 신호를 송수신한다. 헤드 구동 제어부(107, 108)는 기록 헤드(7)의 구동 제어를 수행한다. 주 스캔 모터 구동부(111)는 주 스캔 모터(4)를 구동한다. 부 스캔 모터 구동부(113)는 부 스캔 모터(31)를 구동한다.
환경 센서(118)는 부호기(36)에 의해 환경 온도와 습도를 검출한다. 입출력부(116)는 기록 매체 또는 부호기(44)의 표면 저항을 검출하는 표면 저항 측정기(80) 등의 다양한 종류의 센서로부터 오는 검출 신호를 입력한다.
조작판(117)이 제어부(100)에 연결된다. 조작판(117)은 장치에 필요한 정보를 입력하고 표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또한, 제어부(100)는 대전 롤러(26)에 교류 바이어스를 가하도록 구성된 교류 바이어스 공급부(고전력 공급부)(114)의 출력의 온/오프를 제어한다.
제어부(100)는 인터페이스(106)에 의해 케이블 또는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호스트(90)로부터 화상 데이터를 비롯한 인쇄 데이터를 수신한다. 따라서, 호스트(90)는 개인용 컴퓨터와 같은 데이터 처리 장치, 화상 스캐너와 같은 화상 판독 장치, 디지털 카메라와 같은 촬영 장치 등에 해당한다. 제어부(100)로 인쇄 데이터가 출력되는 것은 호스트(90)에서 인쇄 드라이버(91)에 의해 수행된다.
중앙처리장치(101)는 인터페이스(106)에 포함된 수신 버퍼에서 인쇄 데이터를 판독 및 분석하고 주문형반도체(105)를 사용하여 데이터의 배치를 변경하여 화상 데이터를 헤드 구동 제어부(107)로 전송한다.
이 예에서는 호스트(90)의 프린터 드라이버(91)에 의해 화상 데이터를 비트맵 데이터로 전개하는 것에 의해 화상 출력용 인쇄 데이터로부터 전환된 비트맵 데이터가 화상 형성 장치로 전송되지만, 예컨대 램에 저장한 폰트 데이터에 의해 화상 출력용 인쇄 데이터의 비트맵 데이터 전환이 수행될 수 있다.
기록 헤드(7)의 낱 줄에 해당하는 화상 데이터(도트 패턴 데이터)를 수신하면, 헤드 구동 제어부(107)는 낱 줄의 도트 패턴 데이터를 클록 신호와 동기시켜, 지정된 타이밍에 직렬 데이터를 헤드 드라이버(108)에 보내고 래치 신호(latch signal)를 헤드 드라이버(108)에 보낸다.
헤드 구동 제어부(107)는 구동 파형(구동 신호)의 패턴 데이터를 저장하는 롬(롬(102)일 수 있음)을 포함한다. 또, 증폭기를 포함하는 구동 파형 발생 회로 및 이 롬이 판독한 구동 파형 데이터의 디지털/아날로그(D/A) 변환을 수행하는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를 포함하는 파형 발생 회로를 포함한다.
헤드 드라이버(108)는 시프트 레지스터(shift register), 래치 회로, 레벨 변환 회로(레벨 시프터), 아날로그 스위치 어레이(스위치 수단) 등을 포함한다.
시프트 레지스터는 헤드 구동 제어부(107)로부터의 클록 신호와 직렬 화상 데이터를 입력한다. 래치 회로는 헤드 구동 제어부(107)로부터 오는 래치 신호에 의해 시프트 레지스터의 레지스터 값(register value)을 래치 처리한다. 레벨 변환 회로는 래치 회로의 출력 값의 레벨을 변경시킨다. 레벨 시프터는 아날로그 스위치 어레이의 온/오프를 제어한다.
헤드 드라이버(108)는 구동 파형에 포함된 지정된 구동 파형이 기록 헤드(14)의 액추에이터부에 선택적으로 인가되어 기록 헤드(14)가 구동되도록 아날로그 스위치 어레이의 온/오프를 제어한다.
주 스캔 모터 구동부(111)는 중앙처리장치(101)에서 받은 목적 값과 부호기(44)의 검출 펄스를 샘플 처리하여 얻은 속도 검출 값을 기초로 제어 값을 계산 하여 내부 모터 드라이버에 의해 주 스캔 모터(4)를 구동한다.
마찬가지로, 부 스캔 모터 구동부(113)는 중앙처리장치(101)에서 받은 목적 갑과 부호기(36)의 검출 펄스를 샘플 처리하여 얻은 속도 검출 값을 기초로 제어 값을 계산하여 내부 모터 드라이버에 의해 부 스캔 모터(31)를 구동한다.
화상 형성 장치의 운반 벨트(21)의 정전기 대전 제어는 도 7 등을 참조로 설명한다. 여기서, 도 7은 도 1에 도시한 화상 형성 장치의 정전기 대전에 관련된 부분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운반 벨트(21)를 구동하는 운반 롤러(27)의 단부에 제공된 부호기(36)가 회전량을 검출한다. 검출한 회전량에 대응하여, 제어부(100)의 부 스캔 모터 구동부(113)가 부 스캔 모터(31)를 구동 제어하고, 고전압(교류 바이어스)을 대전 롤러(26)에 가하는 교류 바이어스 공급부(고전력 공급부)의 출력이 제어된다.
양 및 음 전하가 지정된 대전 사이클 길이로 운반 벨트(21)에 가해질 수 있도록, 교류 바이어스 공급부(114)는 대전 롤러(26)에 가해지는 양 및 음 전압의 사이클(인가 시간)을 제어하고 동시에 제어부(100)는 운반 벨트(21)의 구동을 제어한다. 여기서, “대전 사이클 길이”는 도 7에 도시한 것과 같이 양 및 음 전압의 일 사이클 당 운반 방향의 폭(길이)을 말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인쇄가 시작되면, 운반 벨트(21)가 도 1의 시계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부 스캔 모터(31)가 운반 롤러(27)를 회전시킨다. 이와 동시에, 양 및 음의 구형파가 교류 바이어스 공급부(114)로부터 대전 롤러(26)로 가해진다.
그 결과, 대전 롤러(26)가 운반 벨트(21)의 절연층(21A)과 접촉하게 되므로, 도 7에 도시한 것과 같이, 띠 모양의 양 대전 영역(201)과 음 대전 영역(202)이 함께 형성되도록, 양 및 음 전하가 운반 벨트(21)의 절연층(21A)에 운반 벨트(21)의 운반 방향으로 인가된다. 그 결과, 도 8에 도시한 것과 같이, 운반 벨트(21)에 불균일한 전기장이 발생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양 및 음의 전하가 가해지는 운반 벨트(21)의 절연층(21A)은 1012[Ωcm] 이상의 부피 저항을 가지면 좋다. 더 바람직하게는, 절연층은 1015[Ωcm]의 부피 저항을 갖는다. 여기서, 절연층(21A)에 가해진 양 및 음 전하가 경계부에서 이동하지 않도록 하여 양 및 음 전하를 고정시킬 수 있다.
각각의 용지(12)는 급지 롤러(13)와 분리 패드(14)에 의해 분리된다. 용지(12)는 절연층(21A)의 양 및 음 전하의 형성에 따라 불균일한 전기장이 발생하는 운반 벨트(21)로 운반된다. 불균일한 전기장을 통해 운반되는 용지(12)는 전기장의 방향을 따라 즉각 극성을 갖게 된다.
도 9에 도시한 것과 같이, 불균일한 전기장 덕분에 운반 벨트의 인력을 일으키는 전하가 조밀하다. 반대쪽에 나타난, 운반 벨트(21)에 척력을 일으키는 전하는 조밀하지 않다.
용지(12)는 전하의 차이에 따라 운반 벨트(21)에 즉각 흡착된다. 또한, 용지(12)가 제한된 저항을 가지므로, 용지의 흡착면과 반대쪽에 진성 전하가 유도된다.
용지의 흡착면 쪽에 유도된 양 및 음의 진성 전하 및 운반 벨트(21)에 가해진 전하는 서로 당김으로써 안정된 인력이 생길 수 있게 한다.
또한, 용지(12)는 1017[Ω] 내지 1013[Ω]의 제한된 표면 저항을 갖는다. 따라서, 용지(12)의 흡착면 쪽과 반대쪽에 유도된 진성 전하는 이동할 수 있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인접한 양 및 음 전하가 서로 당김으로써 중성화되고 전하의 수가 감소한다.
그 결과, 운반 벨트(21)의 전하는 용지의 흡착면 쪽에 유도된 진성 전하와 균형을 맞추게 되어 전기장이 차단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용지(12)의 흡착면 반대쪽에 유도된 진성 전하는 중성화되어 전기장이 차단된다. 다시 말하면, 기록 헤드(7)를 향한 전기장이 감소된다.
또한, 운반 벨트(21)의 표면에 가해진 전기장과 운반 벨트(21)의 전하와 비조밀 관계를 갖는 전하가 용지(12)의 표면에서 감소되므로, 운반 벨트(21)에 대한 용지(12)의 인력은 시간이 갈수록 증가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운반 벨트(12)에 의해 흡착된 용지(12)는 기록 헤드(7) 아래로 운반되고, 캐리지(3)는 주 스캔 방향으로 왕복하며, 이와 동시에 기록 헤드(7)에서 잉크 방울이 분사되어, 기록 헤드(7)의 왕복 이동에 의해 용지(12)에 화상이 형성된다.
기록 헤드(7)의 왕복 운동에 의해 화상이 용지(12)에 형성된 다음, 운반 벨트(21)에 의해 용지(12)를 다음 인쇄 위치로 보내고 기록 헤드(7)의 왕복 운동에 의해 다시 화상을 형성한다. 분리 클로(51)에 의해 용지(12)를 운반 벨트(21)로부터 분리하여 배지 트레이(54)에 배출한다.
이어, 도 10을 참조하여 운반 유닛을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서, 도 10은 운반 벨트 유닛 부분의 확대 측면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운반 유닛은 운반 벨트(21), 운반 안내판(29) 및 대전 롤러(26)를 포함한다.
운반 벨트(21)는 운반 롤러(벨트 구동 롤러)(27)와 장력 롤러(28) 사이에서 장력을 받고 있다.
운반 안내판(29)은 운반 벨트(21) 내부에 있는 기록 헤드(7) 맞은편의 인쇄 영역에 제공된다. 운반 안내판(29)은 안내부 또는 안내 수단으로서 안내 벨트(21)를 안쪽으로부터 안내한다.
대전 롤러(26)는 운반을 위해 운반 벨트(21)에 흡착하도록 용지(21)를 정전 대전시키기 위해 운반 벨트(21)를 대전시키는 대전부 또는 대전 수단이다. 더 구체적으로, 이 예에서, 대전 롤러(26)는 운반 벨트(21)의 표면층인 절연층(21A)을 대전시킨다.
운반 안내판(20)의 영역에서 운반 벨트(21)의 평탄면(221A)의 평탄도가 확보되도록, 운반 안내판(29)은 롤러(27)와 롤러(28) 사이의 접선에 대해 기록 헤드(7) 쪽으로 돌출한 상태로 장착된다. 경사면(221B)은 운반 안내판(29)으로부터 분리된 영역에서 장력 롤러(28) 쪽으로 하향 경사져 있다.
따라서, 운반 벨트(21)의 평탄면의 평탄도가 기록 헤드(7) 맞은편의 인쇄 영 역에 확보되도록 운반 안내판(29)이 제공되는 때에, 경사면(221b)은 운반 안내판(29)으로부터 분리된 영역에서 장력 롤러(28) 쪽으로 하향 경사지게 된다. 그 결과, 운반 벨트(12)에 정전 흡착된 용지(12)는 운반 벨트(12)로부터 분리되고 정전 인력이 영(0)이 된다. 따라서, 용지(12)는 기록 헤드(7)의 일부로부터 즉각 분리된다.
이 때문에, 본 예에서, 장력 롤러(28)와 정전기력에 의해 운반 벨트(210에 흡착된 기록 매체(12)의 운반 안내판(29) 사이의 관계로서, 기록 매체(12)가 기록 헤드(7) 맞은편의 운반 벨트(21)의 평탄면과 기록 헤드(7)의 하류 쪽에서 하향 경사진 경사면(221B)에 의해 형성된 각도(θ1)로 운반 벨트(21)로부터 분리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이 각도(θ1)를 상세히 검토하였다.
먼저, 전술한 바와 같이, 용지(12)가 운반 벨트(12)에 흡착되도록 교류 전하를 가해 보았다. 단면 인쇄의 경우와 양면 인쇄의 경우의 제2 면의 인력을 측정하였다. 도 11에 도시한 것과 같이, 단면 인쇄의 경우 10N의 인력이 측정되었고, 양면 인쇄의 경우 제1 면에 있는 잉크 습기 덕분에 5N의 인력이 측정되었다.
이 때문에, 각도(θ1)를 변경하여 단면 인쇄와 양면 인쇄를 수행하여 용지가 운반 벨트(21)로부터 분리되지 않는 각도를 구한다. 그 결과는 도 12(단면 인쇄)와 도 13(양면 인쇄)에 제시된다.
단면 인쇄에 관한 도 12의 결과에 따르면, 기록 헤드(7) 맞은편의 운반 벨트(21)의 평탄면과 기록 헤드(7)의 하류 쪽에서 하향 경사진 경사면(221B)에 의해 형성된 각도(θ1)가 5도보다 크다면, 용지(12)는 운반 벨트(21)로부터 분리된다.
한편, 양면 인쇄에 관한 도 13의 결과에 따르면,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면이 인쇄되는 때에, 제1 면에 있는 잉크의 습기 덕분에 인력이 감소한다. 따라서, 기록 헤드(7) 맞은편의 운반 벨트(21)의 평탄면과 기록 헤드(7)의 하류 쪽에서 하향 경사진 경사면(221B)의 각도(θ1)가 3도보다 크다면, 용지(12)는 운반 벨트(21)로부터 분리된다.
따라서, 단면 인쇄만이 수행되는 경우, 즉, 화상 형성 장치가 양면(표면) 유닛을 구비하고 있지 않을 때, 각도(θ1)가 5도를 초과하지 않도록 운반 안내판(29)과 장력 롤러(28) 사이의 위치 관계를 설정하면 좋다.
그 결과, 고화질이 안정적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 용지(12)는 운반 벨트(21)의 경사면(221B)에서 분리되는 것이 방지된 상태로 배지부로 운반될 수 있다.
또한, 양면 인쇄가 수행되는 양면 유닛을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의 경우, 각도(θ1)가 3도를 초과하지 않도록 운반 안내판(29)과 장력 롤러(28) 사이의 위치 관계가 설정되면 좋다. 그 결과, 고화질이 안정적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 용지(12)는 운반 벨트(21)의 경사면(221B)에서 분리되는 것이 방지되면서 배지부로 운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운반 벨트(21)의 경사면(221B)에서 용지(12)를 분리하는 것은 각도(θ1) 뿐만 아니라 도 10에 도시한 경사면(221B)의 평탄면(221A)의 연장 방향의 길이(a)에도 관련된다는 것을 실험을 통해 발견하였다.
이 때문에, 길이(a)를 변경하면서 단면 및 양면 인쇄를 수행하여 용지(12)가 운반 벨트(21)로부터 분리되지 않는 길이를 구한다. 이 결과는 도 14(단면 인쇄)와 도 15(양면 인쇄)에 제시된다.
도 14의 결과에 따르면, 단면 인쇄의 경우, 기록 헤드(7) 맞은편의 운반 벨트(21)의 평탄면과 기록 헤드(7)의 하류 쪽에서 하향 경사진 경사면(221B)에 의해 형성된 각도(θ1)가 5도보다 크다면, 용지(12)는 운반 벨트(21)로부터 분리된다.
한편, 도 15에 도시한 결과에 따르면, 양면 인쇄의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면이 인쇄될 때, 인력이 제1 면에 있는 잉크의 습기 덕분에 감소한다. 따라서, 기록 헤드(7) 맞은편의 운반 벨트(21)의 평탄면과 기록 헤드(7)의 하류 쪽에서 하향 경사진 경사면(221B)에 의해 형성된 각도(θ1)가 3도보다 크다면, 용지(12)는 운반 벨트(21)로부터 분리된다.
따라서, 단면 인쇄만이 수행되는 경우, 즉, 양면(표면) 인쇄 장치를 구비하지 않은 화상 형성 장치의 경우, 각도(θ1)가 5도를 초과하지 않도록 운반 안내판(29)과 장력 롤러(28) 사이의 위치 관계가 설정되면 좋다. 그 결과, 운반 벨트(21)의 경사면(221B)에서 용지(12) 분리가 방지된다.
전술한 각도(θ1)는 기록 헤드(7) 맞은편의 운반 벨트(21)의 제1 면(221A)과 기록 헤드(7)의 상류 쪽에서 하향 경사진 경사면(221C)에 의해 형성된 각도(θ2)보다 작으면 좋다(θ1<θ2). 이 경우, 용지(12)는 경사면(221C) 쪽에서 압박 롤러에 의해 압박될 수 있다. 하지만 경사면(221C) 쪽에 소정의 각도가 있다하더라도, 용지(12)를 운반 벨트(21)로 강하게 압박할 수 있다.
이어서, 잉크 방울이 용지(12)에 흡착되는 때에, 용지(12)는 습기 덕분에 팽 창하여 용지 이송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용지 물결침이 발생한다. 용지 물결침이 기록 헤드(7)에 도달한다면, 화질은 기록 헤드(7)와 용지(12)의 마모 덕분에 손상될 수 있다.
이 때문에, 도 10에 도시한 운반 안내판(29)의 평탄면의 하류 쪽에서 운반 벨트(21)에 형성되는 표면의 길이(a)를 변경하여, 지정된 양의 잉크(이 경우에 잉크 표준량의 최대량)가 인쇄되는 용지에 의한 기록 헤드의 마모와 길이(a) 사이의 관계가 측정한다. 이 결과가 도 14와 도 15에 제시된다.
이들 결과를 통해, 용지의 습기에 기인한 팽창과 용지의 흡착 면적 사이의 관계가 발견되었다. 이 예에서, 단면 인쇄의 경우, 인력은 10N이고(도 10 참조), 습기에 따른 용지 팽창에 기인한 기록 헤드(7)와 용지 사이의 마모가 발생하지 않은 길이(a)는 10mm 이상이다.
이 길이를 설정하면, 단면 인쇄만을 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경우, 기록 매체의 용지 물결침이 운반 안내판(29)의 평탄면에 도달하지 않게 되어 고화질을 안정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양면 인쇄의 경우, 인력은 제1 면에 있는 잉크 습기 덕분에 5N이고, 기록 헤드(7)와 용지 사이에 마모가 발생하지 않는 길이(a)는 12mm 이상이 된다.
이 길이를 설정하면, 양면 인쇄를 수행할 수 있는 화상 인쇄 장치의 경우, 기록 매체의 용지 물결침이 운반 안내판(29)의 평탄면에 도달하지 않게 되어 고화질을 안정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길이(a)의 최대치는 100mm 이하이면 좋다.
이어, 용지가 운반 벨트로부터 분리되지 않는 다른 실시예를 도 16을 참조하 여 설명한다. 여기서, 도 16은 운반 벨트 유닛의 주요부의 확대 측면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기록 헤드(7) 맞은편의 운반 벨트(21)의 평탄면(221A)과 기록 헤드(7)의 하류 쪽에 하향 경사진 운반 벨트(21)의 경사면(221B)이 형성되는 때에, 운반되는 용지를 운반 벨트의 평탄면(221A)의 연장선(302)보다 낮은 위치로 누르도록 톱니(55)가 제공된다.
운반되는 용지를 운반 벨트의 평탄면(221A)의 연장선(302)보다 낮은 위치로 누르도록 구성된 톱니(55)를 제공함으로써, 운반 벨트(21)에 의해 운반되는 용지(12)가 운반 벨트(21)의 평탄면(221A)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톱니(55)는 운반 벨트(21)의 경사면(221B) 맞은편의 위치에 제공된다. 따라서, 용지(12)가 운반 벨트(21)의 경사면(221B)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경우, 톱니(55)를 운반 벨트(21)의 용지 운반 방향의 하류 쪽에 걸려 있는 장력 롤러(28) 맞은편에 제공함으로써, 용지를 확실히 압박해 용지 분리를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이어, 도 17을 참조하여 운반 벨트로부터 용지 분리가 방지되는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여기서, 도 17은 운반 벨트 유닛의 주요부의 확대 측면도이다.
본 예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운반되는 용지를 운반 벨트(21)의 평탄면(221A)의 연장선(302)보다 낮은 위치로 압박하도록 톱니(55)가 제공된다. 그 결과, 용지(12)가 운반 벨트(21)의 경사면(221B)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톱니(55)는 운반 벨트(21)의 경사면(221B)의 연장선(303)보다 낮은 위 치에 제공된다. 이 구조에 의해, 용지(12)가 운반 벨트(21)의 경사면(221B)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운반 벨트(21)의 경사면(221B)으로부터 톱니(55)를 분리하여, 운반 벨트(21)의 경사면(221B)과 톱니(55)의 접촉에 의해 운반 벨트(21)에 구멍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전술한 실시예가 제공하는 화상 형성 장치는 기록액 방울을 기록 매체에 분사하여 화상을 형성하는 기록 헤드; 및 정전기력에 의해 기록 매체를 흡착하는 운반 벨트를 포함하며, 정전기력에 의해 운반 벨트에 흡착된 기록 매체는 기록 헤드 맞은편의 운반 벨트의 경사면과 상기 기록 헤드의 하류 쪽에 하향 경사진 운반 벨트의 경사면에 의해 형성된 각도에서 운반 벨트로부터 분리되지 않는다.
운반 벨트의 평탄면과 운반 벨트의 경사면에 의해 형성된 각도는 5도 미만일 수 있다. 운반 벨트의 평탄면과 운반 벨트의 경사면에 의해 형성된 각도는 3도 미만일 수 있다.
운반 벨트에는 양 및 음의 전하가 교대로 가해질 수 있다.
기록 헤드 맞은편의 운반 벨트의 평탄면과 기록 헤드의 하류 쪽에 하향 경사진 운반 벨트의 경사면에 의해 형성된 각도는 기록 헤드 맞은편의 운반 벨트의 평탄면과 기록 헤드의 상류 쪽에 하향 경사진 운반 벨트의 경사면에 의해 형성된 각도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술한 실시예가 제공하는 화상 형성 장치는 기록액 방울을 기록 매체에 분사하여 화상을 형성하는 기록 헤드; 및 정전기력에 의해 기록 매체를 흡착하는 운반 벨트를 포함하며, 운반 벨트는 기록 헤드 맞은편의 평탄면과 기록 헤드의 하류 쪽에 하향 경사진 경사면을 갖고, 경사면의 길이는 기록 매체의 물결침이 평탄면에 도달하지 않도록 정해진다.
운반 벨트의 경사면의 길이는 10mm 이상 100mm 이하일 수 있다. 또, 운반 벨트의 경사면의 길이는 12mm 이상 100mm 이하일 수 있다.
운반 벨트에는 양 및 음의 전하가 교대로 가해질 수 있다.
기록 헤드 맞은편의 운반 벨트의 평탄면과 기록 헤드의 하류 쪽에 하향 경사진 운반 벨트의 경사면에 의해 형성된 각도는 기록 헤드 맞은편의 운반 벨트의 평탄면과 기록 헤드의 상류 쪽에 하향 경사진 운반 벨트의 경사면에 의해 형성된 각도보다 작을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전술한 실시예가 제공하는 화상 형성 장치는 기록액 방울을 기록 매체에 분사하여 화상을 형성하는 기록 헤드; 및 정전기력에 의해 기록 매체를 흡착하는 운반 벨트를 포함하며, 운반 벨트는 기록 헤드 맞은편의 평탄면과 기록 헤드의 하류 쪽에 하향 경사진 경사면을 갖고, 기록 매체를 운반 벨트의 평탄면보다 낮은 위치로 압박하도록 톱니가 제공된다.
톱니는 운반 벨트의 경사면 맞은편 위치에 제공될 수 있다. 톱니는 운반 벨트의 경사면의 연장선보다 낮은 위치에 제공될 수 있다. 톱니는 운반 벨트의 기록 매체 운반 방향의 하류 쪽에서 운반 벨트가 감긴 롤러 맞은편 위치에 제공될 수 있다. 톱니는 운반 방향으로 운반 벨트의 기록 매체의 하류 쪽에서 운반 벨트가 감 긴 롤러 맞은편 위치에 제공될 수 있다.
운반 벨트에는 양 및 음의 전하가 교대로 가해질 수 있다.
기록 헤드 맞은편의 운반 벨트의 평탄면과 기록 헤드의 하류 쪽에 하향 경사진 운반 벨트의 경사면에 의해 형성된 각도는 기록 헤드 맞은편의 운반 벨트의 평탄면과 기록 헤드의 상류 쪽에 하향 경사진 운반 벨트의 경사면에 의해 형성된 각도보다 작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형 및 수정할 수 있다.
본 특허 출원은 2005년 7월 26일에 출원한 일본특허출원 제2005-216253호의 우선권을 향유하며 그 전체 내용은 본 명세서에 참조 병합된다.

Claims (17)

  1. 기록액 방울을 기록 매체에 분사하여 화상을 형성하는 기록 헤드; 및
    정전기력에 의해 기록 매체를 흡착하는 운반 벨트를 포함하며,
    정전기력에 의해 상기 운반 벨트에 흡착된 기록 매체는 상기 기록 헤드 맞은편의 상기 운반 벨트의 경사면과 상기 기록 헤드의 하류 쪽에 하향 경사진 상기 운반 벨트의 경사면에 의해 형성된 각도에서 상기 운반 벨트로부터 분리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운반 벨트의 평탄면과 상기 운반 벨트의 경사면에 의해 형성된 각도는 5도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운반 벨트의 평탄면과 상기 운반 벨트의 경사면에 의해 형성된 각도는 3도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운반 벨트에는 양 및 음의 전하가 교대로 가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헤드 맞은편의 상기 운반 벨트의 평탄면과 상기 기록 헤드의 하류 쪽에 하향 경사진 상기 운반 벨트의 경사면에 의해 형성된 각도는 상기 기록 헤드 맞은편의 상기 운반 벨트의 평탄면과 상기 기록 헤드의 상류 쪽에 하향 경사진 상기 운반 벨트의 경사면에 의해 형성된 각도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6. 기록액 방울을 기록 매체에 분사하여 화상을 형성하는 기록 헤드; 및
    정전기력에 의해 기록 매체를 흡착하는 운반 벨트를 포함하며,
    상기 운반 벨트는 상기 기록 헤드 맞은편의 평탄면과 상기 기록 헤드의 하류 쪽에 하향 경사진 경사면을 갖고,
    상기 경사면의 길이는 상기 기록 매체의 물결침이 상기 평탄면에 도달하지 않도록 정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운반 벨트의 경사면의 길이는 10mm 이상 100m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운반 벨트의 경사면의 길이는 12mm 이상 100m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운반 벨트에는 양 및 음의 전하가 교대로 가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헤드 맞은편의 상기 운반 벨트의 평탄면과 상기 기록 헤드의 하류 쪽에 하향 경사진 상기 운반 벨트의 경사면에 의해 형성된 각도는 상기 기록 헤드 맞은편의 상기 운반 벨트의 평탄면과 상기 기록 헤드의 상류 쪽에 하향 경사진 상기 운반 벨트의 경사면에 의해 형성된 각도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1. 기록액 방울을 기록 매체에 분사하여 화상을 형성하는 기록 헤드; 및
    정전기력에 의해 기록 매체를 흡착하는 운반 벨트를 포함하며,
    상기 운반 벨트는 상기 기록 헤드 맞은편의 평탄면과 상기 기록 헤드의 하류 쪽에 하향 경사진 경사면을 갖고,
    기록 매체를 상기 운반 벨트의 평탄면보다 낮은 위치로 압박하도록 톱니가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톱니는 상기 운반 벨트의 경사면 맞은편 위치에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톱니는 상기 운반 벨트의 경사면의 연장선보다 낮은 위치에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톱니는 상기 운반 벨트의 기록 매체 운반 방향의 하류 쪽에서 상기 운반 벨트가 감긴 롤러 맞은편 위치에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톱니는 운반 방향으로 상기 운반 벨트의 기록 매체의 하류 쪽에서 상기 운반 벨트가 감긴 롤러 맞은편 위치에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운반 벨트에는 양 및 음의 전하가 교대로 가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헤드 맞은편의 상기 운반 벨트의 평탄면과 상기 기록 헤드의 하류 쪽에 하향 경사진 상기 운반 벨트의 경사면에 의해 형성된 각도는 상기 기록 헤드 맞은편의 상기 운반 벨트의 평탄면과 상기 기록 헤드의 상류 쪽에 하향 경사진 상기 운반 벨트의 경사면에 의해 형성된 각도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KR1020077006858A 2005-07-26 2006-06-12 화상 형성 장치 KR1008887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216253 2005-07-26
JP2005216253A JP4822757B2 (ja) 2005-07-26 2005-07-26 画像形成装置
PCT/JP2006/312199 WO2007013236A1 (en) 2005-07-26 2006-06-12 Image forming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3520A true KR20070063520A (ko) 2007-06-19
KR100888763B1 KR100888763B1 (ko) 2009-03-17

Family

ID=376831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6858A KR100888763B1 (ko) 2005-07-26 2006-06-12 화상 형성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891805B2 (ko)
EP (1) EP1907306B1 (ko)
JP (1) JP4822757B2 (ko)
KR (1) KR100888763B1 (ko)
CN (1) CN100581957C (ko)
WO (1) WO200701323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29835B2 (ja) * 2007-03-28 2009-09-09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記録装置
JP4866298B2 (ja) * 2007-06-07 2012-02-01 株式会社リコー 用紙搬送装置
JP4921280B2 (ja) * 2007-08-10 2012-04-25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5211596B2 (ja) * 2007-09-13 2013-06-12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5347527B2 (ja) * 2008-05-23 2013-11-20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泡塗布装置
JP5256902B2 (ja) * 2008-07-22 2013-08-07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5200802B2 (ja) * 2008-09-17 2013-06-05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廃液管理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録媒体
JP2010111488A (ja) 2008-11-07 2010-05-20 Ricoh Co Ltd シート状媒体搬送装置及びそれを有する画像形成装置
US8384851B2 (en) * 2010-01-11 2013-02-2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Reflective display system with enhanced color gamut
JP5589457B2 (ja) * 2010-03-13 2014-09-17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5083353B2 (ja) * 2010-03-29 2012-11-28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記録装置
JP5464492B2 (ja) 2010-06-16 2014-04-09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及び処理液付与装置
JP6098253B2 (ja) 2013-03-14 2017-03-22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6476604B2 (ja) 2013-09-12 2019-03-06 株式会社リコー 用紙搬送装置、画像形成装置
JP6303647B2 (ja) * 2014-03-14 2018-04-04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CN108973356B (zh) * 2017-05-31 2020-02-21 精工爱普生株式会社 记录装置
JP7115174B2 (ja) 2018-09-19 2022-08-09 株式会社リコー 液体を吐出する装置
JP2021014317A (ja) * 2019-07-10 2021-02-12 株式会社ピーエムティー ベルト搬送制御装置
JP2022158083A (ja) 2021-04-01 2022-10-14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EP4342679A1 (en) * 2022-09-20 2024-03-27 Ricoh Company, Ltd. Conveyance device, drying device, image forming apparatus, and liquid discharge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61138A (ja) * 1987-12-10 1989-10-1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紙材搬送ベルトおよび紙材搬送装置
KR930000181B1 (ko) * 1989-02-02 1993-01-11 도쿄덴기 가부시기가이샤 인자기
JP2812532B2 (ja) * 1990-04-25 1998-10-22 株式会社リコー 感光体ベルトによるシート搬送装置
JP3889188B2 (ja) 1998-09-11 2007-03-07 株式会社リコー 自動原稿搬送装置
JP2002103598A (ja) * 2000-07-26 2002-04-09 Olympus Optical Co Ltd プリンタ
US6508540B1 (en) * 2000-10-20 2003-01-21 Xerox Corporation Fringe field electrode array for simultaneous paper tacking and field assist
JP3804928B2 (ja) * 2001-03-09 2006-08-02 株式会社リコー 液体噴射記録装置
JP2004217332A (ja) * 2003-01-10 2004-08-05 Ricoh Co Ltd シート搬送装置およ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2004175494A (ja) 2002-11-26 2004-06-24 Ricoh Co Ltd 画像記録装置
WO2004048239A1 (en) 2002-11-26 2004-06-10 Ricoh Company, Ltd. Stably operable image-forming apparatus with improved paper conveying and ejecting mechanism
WO2004048240A1 (en) 2002-11-26 2004-06-10 Ricoh Company, Ltd. Inkjet recording device
JP4305906B2 (ja) * 2003-11-13 2009-07-29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4919601B2 (ja) * 2004-05-06 2012-04-18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581957C (zh) 2010-01-20
JP4822757B2 (ja) 2011-11-24
EP1907306B1 (en) 2013-07-31
EP1907306A1 (en) 2008-04-09
US20080043083A1 (en) 2008-02-21
US7891805B2 (en) 2011-02-22
EP1907306A4 (en) 2009-07-15
CN101039857A (zh) 2007-09-19
JP2007030316A (ja) 2007-02-08
WO2007013236A1 (en) 2007-02-01
KR100888763B1 (ko) 2009-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8763B1 (ko) 화상 형성 장치
US8043016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KR100718317B1 (ko) 화상 형성 장치
JP4551289B2 (ja) 画像形成装置
KR100637912B1 (ko) 용지 이송장치, 화상 형성장치 및 용지 이송방법
KR20050083988A (ko) 개선된 용지 운반 및 방출 기구를 갖는 안정적으로 동작가능한 화상형성장치
JP4566880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4351837A (ja) 画像形成装置
JP4688187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4276425A (ja) 画像形成装置
JP4566882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6240792A (ja) 画像形成装置
JP2004237693A (ja) 画像形成装置
JP4439015B2 (ja) 用紙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4249579A (ja) 画像形成装置
JP2006224397A (ja) 画像形成装置
JP2010189195A (ja) 用紙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8303036A (ja) 用紙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6232429A (ja) 画像形成装置
JP2004224448A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7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