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61533A - 도전성 복합 시트 - Google Patents

도전성 복합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61533A
KR20070061533A KR1020077005346A KR20077005346A KR20070061533A KR 20070061533 A KR20070061533 A KR 20070061533A KR 1020077005346 A KR1020077005346 A KR 1020077005346A KR 20077005346 A KR20077005346 A KR 20077005346A KR 20070061533 A KR20070061533 A KR 200700615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resin
styrene
composite sheet
block copoly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53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97497B1 (ko
Inventor
다케시 미야카와
야스시 히로카와
마사히로 구라모토
Original Assignee
덴끼 가가꾸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덴끼 가가꾸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덴끼 가가꾸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615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15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74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749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32B27/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using fillers, pigments, thixotroping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aromatic vinyl (co)polymers, e.g. styren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5/00Wrappers or flexible covers;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38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40Applications of laminates for particular packaging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4/00Composition or properties of particles which form a particulate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4/10Inorganic particles
    • B32B2264/107Ceramic
    • B32B2264/108Carbon, e.g. graphite p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55/00Specific polymers obtained by polymerisation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ne of index codes B32B2323/00 - B32B2333/00
    • B32B2355/02ABS polymers, i.e.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9/00Containers; Recepta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53/00Packaging equipment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3Hollow or container type article [e.g., tube, vase, etc.]
    • Y10T428/1352Polymer or resin containing [i.e., natural or syntheti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479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variation in thickness
    • Y10T428/24612Composite web or shee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Abstract

세로 방향과 가로 방향의 물성차가 작고, 강성 및 내절 강도가 높고, 또한 트레이나 엠보스 커리어 테이프에 대한 가열 성형이 용이한 도전성 복합 시트를 제공한다.
폴리스티렌계 수지 및 ABS 계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기재층 (A 층), ABS 계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보강층 (B 층) 및 도전성 필러를 함유하는 폴리스티렌계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표피층 (C 층) 을 각각 1 층 이상 갖고, 적어도 한쪽의 표면이 상기 C 층인 복합 시트이다. 또, 표피층 (C 층) 이, 폴리스티렌계 수지 100 질량부에 대하여 카본블랙을 2 ∼ 100 질량부 함유하는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기재층 (A 층) 및 보강층 (B 층) 은, 특정량의 스티렌-부타디엔-부틸렌-스티렌블록 공중합체 수지 등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도전성 복합 시트{CONDUCTIVE COMPOSITE SHEETING}
본 발명은 복합 시트에 관련된 것이고, 이 복합 시트는 정전기를 기피하는 IC 나, IC 를 갖는 각종 부품의 포장용으로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전자 기기나 자동차 등 모든 공업 제품의 중간 제품의 포장 용기에는 시트를 가열 성형하여 얻어지는 진공 성형 트레이, 엠보스 커리어 테이프 등이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정전기를 기피하는 IC 나, IC 를 갖는 각종 부품의 포장 용기용 시트로서, 폴리스티렌계 수지 혹은 ABS 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기재층에, 카본블랙 등의 도전성 필러를 함유하는 폴리스티렌계 수지를 적층한 시트가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 3 참조). 그러나 기재층으로서 폴리스티렌계 수지를 사용하였을 경우에는 강성이 부족하고, 한편 ABS 계 수지를 사용한 경우에는, 이 시트를 진공 성형 등에 의해 각종 용기로 성형할 때에 충분한 부형성이 얻어지지 않으며, 또한 기재층으로서 폴리스티렌계 수지와 ABS 계 수지를 병용하면, 시트의 세로 방향과 가로 방향의 물성차가 커져, 가로 방향의 역학 특성이 현저하게 저하된다는 결점이 있었다.
특허 문헌 1 :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9-76422호
특허 문헌 2 :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9-76425호
특허 문헌 3 :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9-174769호
발명의 개시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여, 강성 및 내절 (耐折) 강도가 높고, 또한 트레이나 엠보스 커리어 테이프에 대한 가열 성형이 용이한 도전성 복합 시트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은,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는 것이고, 하기의 요지를 갖는다.
(1) 폴리스티렌계 수지 및 ABS 계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기재층 (A 층), ABS 계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보강층 (B 층) 및 도전성 필러를 함유하는 폴리스티렌계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표피층 (C 층) 을 각각 1 층 이상 갖고, 적어도 한쪽의 표면이 상기 표피층 (C 층) 인 복합 시트.
(2) 양측의 표면이 상기 표피층 (C 층) 인 청구항 1 에 기재된 복합 시트.
(3) C 층 / B 층 / A 층 / C 층, 또는 C 층 / B 층 / A 층 / B 층 / C 층의 구성을 갖는 상기 (1) 또는 (2) 에 기재된 복합 시트.
(4) 표피층 (C 층) 이, 폴리스티렌계 수지 100 질량부에 대하여 카본블랙을 2 ∼ 100 질량부 함유하는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상기 (1) ∼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복합 시트.
(5) 기재층 (A 층) 이, 추가로, 폴리스티렌계 수지와 ABS 계 수지의 합계량 100 질량부에 대하여, 스티렌-부타디엔-부틸렌-스티렌블록 공중합체 수지, 스티렌-디엔블록 공중합체 수지, 스티렌-디엔블록 공중합체에 수소 첨가한 수지, 및 폴리올레핀에 스티렌을 그래프트 공중합한 수지에서 선택된 적어도 1 종류의 열가소성 수지를 0.1 ∼ 50 질량부 함유하는 상기 (1) ∼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복합 시트.
(6) 보강층 (B 층) 이, 또한, ABS 계 수지의 합계량 100 질량부에 대하여, 스티렌-부타디엔-부틸렌-스티렌블록 공중합체 수지, 스티렌-디엔블록 공중합체 수지, 스티렌-디엔블록 공중합체에 수소 첨가한 수지, 및 폴리올레핀에 스티렌을 그래프트 공중합한 수지에서 선택된 적어도 1 종류의 열가소성 수지를 0.1 ∼ 50 질량부 함유하는 상기 (1) ∼ (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복합 시트.
(7) 상기 (1) ∼ (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복합 시트를 사용한 포장 용기.
(8) 상기 (1) ∼ (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복합 시트를 사용한 포장체.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복합 시트는, 폴리스티렌계 수지 및 ABS 계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기재층 (A 층), ABS 계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보강층 (B 층) 및 도전성 필러를 함유하는 폴리스티렌계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표피층 (C 층) 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세로 방향과 가로 방향의 기계 특성의 차이가 작고, 강성 및 내절 강도가 높고, 또한 포장 용기로서 사용하기 위한 가열 성형이 용이한 복합 시트의 제공이 가능해진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폴리스티렌계 수지란, 일반용의 폴리스티렌계 수지, 내충격성 폴리스티렌계 수지,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수지이다. ABS 계 수지란,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의 3 성분을 주체로 한 공중합체를 주성분으로 하는 수지이고, 예를 들어, 디엔계 고무에 방향족 비닐 단량체, 시안화 비닐 단량체 중 1 종류 이상의 단량체를 블록 혹은 그래프트 중합하여 얻어진 공중합체, 또는 그 공중합체의 블렌드물을 들 수 있다. 여기서 말하는 디엔계 고무란 폴리부타디엔, 폴리이소프렌,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공중합체,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등이다. 방향족 비닐 단량체로는 스티렌, α-메틸스티렌, 각종 알킬 치환 스티렌 등을 들 수 있다. 시안화 비닐 단량체로는 아크릴로니트릴, 메타아크릴로니트릴, 각종 할로겐 치환 아크릴로니트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서술한 공중합체 또는 그 공중합체와의 블렌드물의 구체예로는,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3 원 공중합체나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2 원 공중합체와 폴리부타디엔을 혼련하여, 폴리머-알로이화한 것을 들 수 있다.
스티렌-부타디엔-부틸렌-스티렌블록 공중합체 (이하 SBBS 공중합체라고 한다) 란, 다음의 (1), (2) 및 (3) 의 화학 구조 단위를 갖는 공중합체이다.
Figure 112007018500083-PCT00001
Figure 112007018500083-PCT00002
Figure 112007018500083-PCT00003
또한, 상기 (1), (2) 및 (3) 에 있어서, a ∼ c 는, 단순히 그 화학 구조 단위가 반복하는 것을 나타내기 위한 부호이다. 이들 구조를 갖는 것이면 이 것의 제조 방법에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이러한 수지를 얻는 제조 방법으로는,「신규 스티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SBBS) 의 구조와 성능」(에이슈지 등, 제 9 회 폴리머 재료 포럼, 125 ∼ 126페이지, 2000년), 일본 공개특허공보 소64-38402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소60-220147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소63-5402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소63-4841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소61-33132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소63-5401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소61-28507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소61-57524호 등의 각 공보에 보고되어 있다. SBBS 공중합체는 시판되는 것을 그대로 사용할 수도 있다.
SBBS 공중합체 중의 스티렌 함유량은, 용융 혼련시의 다른 수지 성분과의 분산성 면에서 10 ∼ 80 질량% 가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 70 질량% 이다. 이 분산성이 저하되면, 본 발명에서 얻어지는 복합 시트의 역학 특성의 세로 / 가로의 차가 커진다. 또 이와 동일한 이유에서 멜트 플로우 인덱스 (190℃, 2.16㎏f) 가 1 ∼ 9g / 10min 인 것이 바람직하고, 2 ∼ 6g / 10min 인 것을 더욱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기재층의 성분으로서 사용할 수 있는, 스티렌-디엔블록 공중합체, 또는 스티렌-디엔블록 공중합체에 수소 첨가한 수지의 디엔으로는, 부타디엔 또는 이소프렌이 바람직하다. 또, 스티렌 함유량은 상기의 SBBS 공중합체와 동일한 이유에서, 10 ∼ 80 질량% 가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 70 질량% 이다.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기재층의 성분으로서 사용할 수 있는 폴리올레핀에 스티렌을 그래프트 공중합한 수지의 폴리올레핀은, 에틸렌, 프로필렌의 호모폴리머 또는 코폴리머이고, 특히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또는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복합 시트의 기재층 (A 층) 은, 상기의 폴리스티렌계 수지 및 ABS 계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고, 바람직하게는 폴리스티렌계 수지의 비율이 폴리스티렌계 수지와 ABS 계 수지의 합계량 100 질량부에 대하여 2 ∼ 50 질량부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5 ∼ 30 질량부이다. 폴리스티렌계 수지의 비율이 2 질량부 미만에서는, 얻어진 복합 시트를 2 차 성형할 때의 부형성이 충분하지 않게 될 우려가 있고, 50 질량부를 초과하면, 이 복합 시트의 강성 (인장 탄성률) 이 불충분해질 우려가 있다.
기재층 중에는, 유동성을 손상시키지지 않을 정도로 소량, 바람직하게는 0.1 ∼ 30 질량부, 특히 바람직하게는 0.1 ∼ 10 질량부의 범위에서 카본블랙을 첨가하는 것이 가능하고, 카본블랙의 첨가에 의해 더욱 기계적 강도의 향상이 도모됨과 함께, 시트를 포장 용기에 성형하였을 때에 시트 두께가 얇아져서 성형품의 코너부 등이 비춰지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게 된다. 기재층에 첨가하는 카본블랙에 특별히 제한은 없고, 퍼니스블랙, 채널블랙, 아세틸렌블랙 등 공지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기재층 (A 층) 중에는, 그 외의 수지 성분을 개질제로서 첨가하는 것도 가능하고, 또한 필요에 따라 윤활제, 가소제, 가공 보조제 등의 각종 첨가제를 첨가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상기의 SBBS 공중합체 수지, 스티렌-디엔블록 공중합체 수지, 스티렌-디엔블록 공중합체에 수소 첨가한 수지, 및 폴리올레핀에 스티렌을 그래프트 공중합한 수지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의 열가소성 수지는 바람직하게 첨가할 수 있다. 이들 수지는 단독으로 첨가할 수도 있고, 복수를 동시에 사용할 수도 있다. 이들 열가소성 수지를 첨가함으로써, 충격 강도의 향상이 도모됨과 함께, 후술하는 보강층 (B 층) 과의 접착성이 향상되어 층간 박리의 억제나, 시트 단면으로부터의 보풀이나 가루의 발생이 억제된다. 첨가량은 폴리스티렌계 수지와 ABS 계 수지의 합계량 100 질량부에 대하여, 0.1 ∼ 50 질량부가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 20 질량부이다. 0.1 질량부 미만에서는, 상기의 보강층 (B 층) 과의 접착력 향상의 효과가 불충분해질 우려가 있고, 50 질량부를 초과하면 강성 (인장 탄성률) 이 불충분해질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복합 시트는, ABS 계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보강층 (B 층) 을 1 층 이상 갖는다. 이 보강층의 ABS 계 수지에도, 유동성을 손상시키지 않을 정도로 소량, 구체적으로는 0.1 ∼ 30 질량부의 범위에서, 카본블랙을 첨가할 수 있다. 카본블랙의 첨가에 의해 시트를 포장 용기로 성형하였을 때에, 시트 두께가 얇아져 성형품의 코너부 등이 비춰지는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카본블랙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퍼니스블랙, 채널블랙, 아세틸렌블랙 등 공지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 이 보강층 중에는, 이 다른 수지 성분을 개질제로서 첨가할 수도 있고, 또한 필요에 따라 윤활제, 가소제, 가공 보조제 등의 각각 첨가제를 첨가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SBBS 공중합체 수지, 스티렌-디엔블록 공중합체 수지, 스티렌-디엔블록 공중합체에 수소 첨가한 수지, 및 폴리올레핀에 스티렌을 그래프트 공중합한 수지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의 열가소성 수지는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수지는 단독으로 첨가할 수도 있고, 복수를 동시에 사용할 수도 있다. 이들 열가소성 수지를 첨가함으로써, 충격 강도의 향상이 도모됨과 함께, 기재층 (A 층) 이나 후술하는 표피층 (C 층) 과의 접착성이 향상되고, 층간 박리의 억제나 시트 단면으로부터의 보풀이나 가루의 발생이 억제된다. 그 첨가량은, 기재층의 경우와 동일한 이유에서, 폴리스티렌계 수지와 ABS 계 수지의 합계량 100 질량부에 대하여 0.1 ∼ 50 질량부가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 게는 0.1 ∼ 20 질량부이다.
본 발명의 복합 시트는, 폴리스티렌계 수지 및 카본블랙을 주성분으로 하는 표피층 (C 층) 을 1 층 이상 갖는다. 이 표피층에 사용하는 폴리스티렌계 수지에는 SBBS 공중합체 수지, 스티렌-디엔블록 공중합체 수지, 스티렌-디엔블록 공중합체에 수소 첨가한 수지, 폴리올레핀에 스티렌을 그래프트 공중합한 수지, 에틸렌 혹은 프로필렌을 주성분으로 하는 호모폴리머나 코폴리머로 대표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ABS 계 수지 등의 1 종 이상의 다른 수지 성분을 개질제로서 첨가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윤활제, 가소제, 가공 보조제 등의 각종 첨가제를 첨가할 수 있다.
표피층 (C 층) 에 첨가할 수 있는 올레핀계 수지로는, 폴리에틸렌 수지, 폴리프로필렌 수지, 에틸렌-α-올레핀 수지,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 수지 및 에틸렌-에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의 대표예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표피층에는 포장 용기로서의 도전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금속 화이버, 카본화이버, 카본블랙 등의 도전성 필러를 첨가할 수 있다. 특히 카본블랙을 시트의 압출 성형성이나 분산성 면에서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카본블랙은, 퍼니스블랙, 채널블랙, 아세틸렌블랙 등이고, 바람직하게는 비표면적이 커, 수지에 대한 첨가량이 소량으로 고도의 도전성이 얻어지는 것이다. 예를 들어 S.C.F. (Super Conductive Furnace), E.C.F. (Electric Conductive Furnace), 켓첸블랙 (라이온-AKZO 사 제조 상품명), 아세틸렌블랙 등이 있다. 그 첨가량은, 표면 고유 저항치를 102 ∼ 1010Ω 로 할 수 있는 첨가량이고, 또한 표피층의 조성물의 합계량 100 질량% 에 대하여 카본블랙 1 ∼ 50 질량% 가 바람직하다. 첨가량이 1 질량% 미만에서는 충분한 도전성이 얻어지지 않고, 표면 고유 저항치가 상승하며, 50 질량% 를 초과하면 수지와의 균일 분산성의 악화, 성형 가공성의 현저한 저하, 기계적 강도 등의 특성치가 저하된다.
본 발명의 복합 시트는, 상기의 기재층 (A 층), 보강층 (B 층) 및 표피층 (C 층) 을 각각 1 층 이상 갖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하기와 같은 구성을 들 수 있다.
(1) C 층 / B 층 / A 층
(2) C 층 / A 층 / B 층
(3) C 층 / B 층 / A 층 / B 층
(4) C 층 / B 층 / A 층 / C 층
(5) C 층 / B 층 / A 층 / B 층 / C 층
(6) C 층 / A 층 / B 층 / A 층 / C 층
상기 (1) ∼ (6) 의 구성에 있어서, B 층이 존재함으로써 시트의 세로 방향과 가로 방향의 물성차가 경감되고, 2 차 성형성도 개선된다. 그리고 이들 구성 중, 복합 시트의 양측의 표면이 도전성을 갖는 (4) ∼ (6) 의 구성이, 정전기 대책의 관점에서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5) 의 구성은, 상기의 정전기 대책에 추가하여, 시트의 두께 방향에서 대칭인 구성이고 물성면 및 2 차 성형성 면에 서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복합 시트 전체의 두께는 0.1 ∼ 3.0㎜ 가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15 ∼ 2.0㎜ 이다. 특히 전체의 두께가 0.15 ∼ 0.6㎜ 인 것은 엠보스 커리어 테이프에 2 차 성형하여 사용하는 전자 부품 포장용 시트로서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 전체의 두께가, 0.5㎜ ∼ 2.0㎜ 인 것은, 트레이로서 2 차 성형하여 전자 부품, 기계 부품 등을 수납하는 포장용 시트로서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전체의 두께에 차지하는 (A) 기재층의 두께는, 2% ∼ 50% 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 ∼ 25% 이다. 또 전체의 두께에 차지하는 (C) 표피층의 두께는 (양면에 갖는 경우에는 각각) 1 ∼ 20% 가 바람직하다. 포장되는 부품으로는 특별히 한정은 없다.
본 발명의 복합 시트의 각 층을 구성하는 시트 또는 필름은, 압출 성형, 캘린더 성형 등의 공지된 방법에 따라 제막할 수 있다. 각 층의 시트 또는 필름을 적층하고 상기 (1) ∼ (6) 의 어느 한 층 구성으로 적층함으로써, 본 발명의 복합 시트가 얻어진다. 적층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각 층의 시트 또는 필름을,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열 라미네이트법, 드라이 라미네이트법 및/또는 압출 라미네이트법 등에 의해 순차 적층함으로써 얻어진다. 경제적인 관점에서는, 멀티 매니폴드 다이나 피드블록을 사용한 다층공압출법에 의해 일괄적으로 적층된 복합 시트를 얻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하여 얻어진 복합 시트를 사용하고, 진공 성형, 압출 성형 또는 프레스 성형 등의 공지된 방법으로 성형함으로써, 여러 가지 형상의 전자 부품 포 장 용기를 얻을 수 있다. 이들 용기는, 기계적 강도가 우수하고, 특히 세로 방향과 가로 방향에서의 물성차가 작기 때문에, 특히 미세한 전자 부품을 포장하는 커리어 테이프로서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 1 ∼ 3)
표 1 에 나타내는 비율의 표피층의 원료를 고속 혼합기에 의해 균일 혼합한 후, φ45㎜ 벤트식 2 축 압출기를 사용하여 혼련하고, 스트랜드컷법에 의해 펠릿화하였다. 다음으로 표 1 에 나타내는 비율로 혼합기에 의해 균일 혼합한 기재층의 수지 조성물, 보강층의 수지 조성물과 함께 펠릿화한 표피층 수지 조성물을 φ65㎜ 압출기 (L / D = 28), φ40㎜ 압출기 (L / D = 26) 2 대와 피드블록 및 T 다이를 사용하여 표 1 에 나타낸 각 층의 두께의 비율을 갖는, 두께 0.3㎜ 의 시트상으로 성형하였다. 또한, 표 1 중의 각 층의 성분 비율은 질량% 이다.
(비교예 1 ∼ 2)
표 1 에 나타내는 비율의 원료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각 실시예, 비교예의 평가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평가는 이하의 방법에 따라 실시하였다.
(1) 내절 강도 : JIS-P-8115 (2001년) 에 준거하여 하중 500g, 각도 135 도에서 평가를 실시하였다.
(2) 인장 특성 : JIS-K-7127 (1999년) 에 준거하여 4 호 평가를 실시하였다.
A : 파단 연장 :
B : 항복점 강도 :
C : 파단점 강도 :
D : 인장 탄성률 :
(3) 표면 저항치 : 메가옴메타 Model-800 (ets 사 제조) 을 사용하여 시트폭 방향으로 3 점 측정하고, 그 대수 평균치를 표면 고유 저항치로 하였다.
(4) 듀퐁 충격 강도 : 듀퐁 충격시험기 / 도요정기사 제조를 사용하여, 30 0g, 500g 혹은 1㎏ 의 하중을 낙하시켜 50% 파괴 높이를 구하고, 그 때의 하중으로부터 에너지값을 계산하였다. 계산은 JIS-K-7211 에 준하여 실시하였다.
(5) 성형성 : EDG 사 제조 압공 엠보스 테이프 성형기로 24㎜ 폭의 엠보스 커리어 테이프를 성형하고, 부형성이 양호한 것을 5, 부형성이 불량한 것을 1 로 하여 5 단계 평가를 실시하였다.
(6) 슬릿 단면 평가 : 셰어컷 방식으로 얻어진 시트를 24㎜ 폭으로 슬릿하고, 그 컷면을 실체 현미경으로 관찰하여, 버 (burr) 의 발생 정도가 적은 것을 5, 많은 것을 1 로 하여 5 단계 평가를 실시하였다.
그레이드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 3 비교예 1 비교예 2
배합비 기재층 HI-SQ 16 16 16 16 14
SE-10 80 80 80 80 84
P-2000 5
H-1043 5 5 5
덴카블랙입상 4 4 4 2
보강층 SE-10 100 100 100 - -
표피층 HI-SQ 62 62 62 62 62
DPDJ6169 P-2000 H-1043 15 5 15 5 15 5 15 5 15 5
덴카블랙입상 18 18 18 18 18
층 구성비 표피층 10 10 10 10 10
보강층 35 35 35
기재층 10 10 10 80 80
보강층 35 35 35
표피층 10 10 10 10 10
내절강도 회 파단연장 (%) 항복점 강도 (Mpa) 파단점 강도 (Mpa) 인장 탄성률 (Mpa) 듀퐁 충격 강도(J) 성형성 5단계 평가 슬릿 단면 평가
MD TD MD TD MD TD MD TD MD TD
실시예1 664 254 212 71 45 44 40 33 1970 1970 0.94 5 4
실시예2 985 325 212 114 46 45 40 35 1970 1970 1.41 5 5
실시예3 857 436 488 109 46 45 38 34 1970 1960 1.38 5 5
비교예1 1352 9 146 16 38 34 32 29 1740 1550 0.66 5 2
비교예2 1672 992 231 26 37 33 36 28 1630 1590 1.31 5 3
각 실시예는 모두 강도, 슬릿성 성형성에 있어서 비교예보다 우수하다.
또한,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사용한 수지는 이하와 같다.
ABS 계 수지 : 덴카 ABS SE-10 (덴키화학공업사 상품명)
폴리스티렌계 수지 : 토요스티롤 HI-SQ (토요스티렌사 상품명)
카본블랙 : 덴카블랙입상 (덴키화학공업사 상품명)
스티렌-부타디엔-부틸렌-스티렌블록 공중합체 : 타후테크 P-2000 (아사히카세이사 상품명)
스티렌-디엔블록 공중합체에 수소 첨가한 수지 : 타후테크 H-1043 (아사히카세이사 상품명)
에틸렌-에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 NUC 코폴리머 DPDJ-6169 (닛폰유니카사 상품명)
본 발명에 의한 복합 시트를 가열 성형하여 얻어지는 진공 성형 트레이, 엠보스 커리어 테이프 등은, 전자 기기나 자동차 등의 분야에 있어서의 중간 제품 등의 포장 용기로서 광범위하고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또한, 2004년 9월 7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2004-259136호의 명세서, 특허 청구의 범위, 도면 및 요약서의 전체 내용을 여기에 인용하고, 본 발명의 명세서의 개시로서 도입하는 것이다.

Claims (8)

  1. 폴리스티렌계 수지 및 ABS 계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기재층 (A 층), ABS 계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보강층 (B 층) 및 도전성 필러를 함유하는 폴리스티렌계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표피층 (C 층) 을 각각 1 층 이상 갖고, 적어도 한쪽의 표면이 상기 표피층 (C 층) 인 복합 시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양측의 표면이 상기 표피층 (C 층) 인 복합 시트.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표피층 (C 층) / 보강층 (B 층) / 기재층 (A 층) / 표피층 (C 층), 또는 표피층 (C 층) / 보강층 (B 층) / 기재층 (A 층) / 보강층 (B 층) / 표피층 (C 층) 의 구성을 갖는 복합 시트.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표피층 (C 층) 이, 폴리스티렌계 수지 100 질량부에 대하여 카본블랙을 2 ∼ 100 질량부 함유하는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복합 시트.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기재층 (A 층) 이, 추가로, 폴리스티렌계 수지와 ABS 계 수지의 합계량 100 질량부에 대하여, 스티렌-부타디엔-부틸렌-스티렌블록 공중합체 수지, 스티렌-디엔블록 공중합체 수지, 스티렌-디엔블록 공중합체에 수소 첨가한 수지, 및 폴리올레핀에 스티렌을 그래프트 공중합한 수지에서 선택된 적어도 1 종류의 열가소성 수지를 0.1 ∼ 50 질량부 함유하는 복합 시트.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보강층 (B 층) 이, 추가로, ABS 계 수지의 합계량 100 질량부에 대하여, 스티렌-부타디엔-부틸렌-스티렌블록 공중합체 수지, 스티렌-디엔블록 공중합체 수지, 스티렌-디엔블록 공중합체에 수소 첨가한 수지, 및 폴리올레핀에 스티렌을 그래프트 공중합한 수지에서 선택된 적어도 1 종류의 열가소성 수지를 0.1 ∼ 50 질량부 함유하는 복합 시트.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복합 시트를 사용한 포장 용기.
  8.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복합 시트를 사용한 포장체.
KR1020077005346A 2004-09-07 2005-09-05 도전성 복합 시트 KR1011974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259136 2004-09-07
JP2004259136 2004-09-07
PCT/JP2005/016277 WO2006028064A1 (ja) 2004-09-07 2005-09-05 導電性複合シー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1533A true KR20070061533A (ko) 2007-06-13
KR101197497B1 KR101197497B1 (ko) 2012-11-09

Family

ID=360363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5346A KR101197497B1 (ko) 2004-09-07 2005-09-05 도전성 복합 시트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7794807B2 (ko)
EP (1) EP1787804B1 (ko)
JP (1) JP4939943B2 (ko)
KR (1) KR101197497B1 (ko)
CN (1) CN101014463B (ko)
DE (1) DE602005027583D1 (ko)
MY (1) MY144627A (ko)
SG (1) SG139774A1 (ko)
TW (1) TWI367826B (ko)
WO (1) WO2006028064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8599A (ko) * 2016-11-01 2019-07-04 덴카 주식회사 표면 도전성 적층 시트 및 전자 부품 포장 용기
KR20200025227A (ko) * 2018-08-29 2020-03-10 정성진 전자부품 트레이용 수납필름부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475721B (zh) * 2009-01-13 2012-09-05 浙江三和塑料有限公司 用于smt载带的防静电塑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2482016B (zh) * 2009-06-16 2014-09-17 电气化学工业株式会社 压纹载带及其制备方法
JP2011104901A (ja) * 2009-11-18 2011-06-02 Daicel Pack Systems Ltd 積層シート及び成形体
KR101908141B1 (ko) 2010-03-24 2018-12-10 덴카 주식회사 표면 도전성 적층 시트 및 전자 부품 포장 용기
CN102582188A (zh) * 2012-02-16 2012-07-18 仙居县一远静电科技有限公司 一种防静电abs贴面板
DK3423275T3 (da) 2016-07-20 2019-12-16 Total Res & Technology Feluy Flerlagsplade med forbedret nedbøjningsmodstand til termoformning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428974A (en) * 1972-07-27 1976-03-24 Bp Chem Int Ltd Production of abs dompositions
JPS5232774B2 (ko) * 1974-02-02 1977-08-24
JPS57205145A (en) * 1981-06-11 1982-12-16 Denki Kagaku Kogyo Kk Composite plastic sheet
JPS60220147A (ja) 1984-04-18 1985-11-02 Asahi Chem Ind Co Ltd オレフイン水添触媒および該触媒を用いた重合体の水添方法
JPS6128507A (ja) 1984-07-18 1986-02-08 Asahi Chem Ind Co Ltd オレフイン性不飽和ポリマ−の水添方法
JPS6133132A (ja) 1984-07-25 1986-02-17 Asahi Chem Ind Co Ltd オレフインの水添方法
JPS6157524A (ja) 1984-08-29 1986-03-24 Asahi Chem Ind Co Ltd オレフインの水添法
JPS635402A (ja) 1986-06-25 1988-01-11 Omron Tateisi Electronics Co プログラマブル・コントロ−ラ
JPS634841A (ja) 1986-06-25 1988-01-09 Hitachi Ltd プラズマ処理装置
JPS635401A (ja) 1986-06-26 1988-01-11 Omron Tateisi Electronics Co プログラム温度調節器の比例制御方法
JP2505461B2 (ja) * 1987-05-30 1996-06-12 電気化学工業株式会社 複合プラスチツクシ−ト
JPS6438402A (en) * 1987-08-04 1989-02-08 Asahi Chemical Ind Selectively partially hydrogenated polymer and composition thereof
US6005050A (en) * 1994-11-28 1999-12-21 Idemitsu Petrochemical Co., Ltd. Impact resistant polystyrene composition
US5707699A (en) * 1995-01-26 1998-01-13 Denki Kagaku Kogyo Kabushiki Kaisha Electroconductive resin composition, sheet, molded product and container
JP3209394B2 (ja) 1995-09-19 2001-09-17 電気化学工業株式会社 導電性複合プラスチックシート及び容器
US5747164A (en) * 1995-09-19 1998-05-05 Denki Kagaku Kogyo Kabushiki Kaisha Conductive composite plastic sheet and container
JP3276818B2 (ja) 1995-09-19 2002-04-22 電気化学工業株式会社 導電性複合プラスチックシート及び容器
JP3190241B2 (ja) 1995-12-21 2001-07-23 電気化学工業株式会社 電子部品包装用導電性複合プラスチックシート及び容器
JPH09180544A (ja) * 1995-12-28 1997-07-11 Shin Etsu Polymer Co Ltd 導電性シート及びそれを用いた導電性キャリアテープ
JP3256164B2 (ja) * 1997-06-25 2002-02-12 住友ベークライト株式会社 キャリアテープ用導電シート
JP2002256125A (ja) * 2001-02-28 2002-09-11 Daicel Chem Ind Ltd 導電性樹脂組成物
JP2002284957A (ja) * 2001-03-23 2002-10-03 Denki Kagaku Kogyo Kk ゴム変性スチレン系樹脂組成物及びそのシート状物
JP3983014B2 (ja) * 2001-05-22 2007-09-26 電気化学工業株式会社 スリット性に優れたシート
JP3992456B2 (ja) * 2001-06-07 2007-10-17 電気化学工業株式会社 スリット性に優れた導電性のシート
JP4321986B2 (ja) * 2001-06-22 2009-08-26 電気化学工業株式会社 導電性樹脂組成物
CN1326921C (zh) * 2002-01-07 2007-07-18 电气化学工业株式会社 导电树脂组合物
US7097900B2 (en) * 2002-06-14 2006-08-29 Denki Kagaku Kogyo Kabushiki Kaisha Sheet and electronic component packaging containe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8599A (ko) * 2016-11-01 2019-07-04 덴카 주식회사 표면 도전성 적층 시트 및 전자 부품 포장 용기
KR20200025227A (ko) * 2018-08-29 2020-03-10 정성진 전자부품 트레이용 수납필름부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SG139774A1 (en) 2008-02-29
JP4939943B2 (ja) 2012-05-30
US20070231549A1 (en) 2007-10-04
US7794807B2 (en) 2010-09-14
JPWO2006028064A1 (ja) 2008-05-08
CN101014463B (zh) 2012-02-29
MY144627A (en) 2011-10-14
CN101014463A (zh) 2007-08-08
TW200619022A (en) 2006-06-16
EP1787804A1 (en) 2007-05-23
TWI367826B (en) 2012-07-11
WO2006028064A1 (ja) 2006-03-16
EP1787804B1 (en) 2011-04-20
EP1787804A4 (en) 2009-12-02
KR101197497B1 (ko) 2012-11-09
DE602005027583D1 (de) 2011-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7497B1 (ko) 도전성 복합 시트
JP5154081B2 (ja) 複合シート
KR101419073B1 (ko) 도전성 수지 조성물, 및 그것을 사용한 도전성 시트
US5747164A (en) Conductive composite plastic sheet and container
WO2018084129A1 (ja) 表面導電性積層シート及び電子部品包装容器
JP3209394B2 (ja) 導電性複合プラスチックシート及び容器
JP4713065B2 (ja) 基材層にabs樹脂を用いたシート
KR100928173B1 (ko) 시트
JP3209393B2 (ja) 導電性複合プラスチックシート及び容器
JP3807815B2 (ja) 導電性複合プラスチックシート
JP3276818B2 (ja) 導電性複合プラスチックシート及び容器
JP3324683B2 (ja) 導電性複合プラスチックシート
JP7158388B2 (ja) 導電性樹脂組成物
JP4705318B2 (ja) 基材層にabs樹脂を用いたシート
JP3324682B2 (ja) 導電性複合プラスチックシートの製造法
JP2001334611A (ja) 導電性複合プラスチックシート及び容器
JP3202553B2 (ja) 導電性複合プラスチックシート及び容器
JP4360111B2 (ja) 表面導電性複合プラスチックシート及び電子部品搬送用容器
JPH06305084A (ja) 導電性複合プラスチックシート及び成形品
US20050250897A1 (en) Conductive plastic composition
JP2002264272A (ja) 導電性複合プラスチックシート及び成形品
JP2002301792A (ja) 導電性複合プラスチックシート及び容器
JPH08118494A (ja) 耐熱性プラスチック組成物及びシート
JP2001315265A (ja) 導電性複合プラスチックシート及び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