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61399A - 데이터 표시장치, 데이터 표시 방법, 데이터 표시 프로그램및 그래픽컬 유저 인터페이스 - Google Patents

데이터 표시장치, 데이터 표시 방법, 데이터 표시 프로그램및 그래픽컬 유저 인터페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61399A
KR20070061399A KR1020060123507A KR20060123507A KR20070061399A KR 20070061399 A KR20070061399 A KR 20070061399A KR 1020060123507 A KR1020060123507 A KR 1020060123507A KR 20060123507 A KR20060123507 A KR 20060123507A KR 20070061399 A KR20070061399 A KR 200700613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display
content
displayed
extrac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35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98540B1 (ko
Inventor
타카토시 나카무라
유이치 아베
요이치로 사코
토루 사사키
토시로 테라우치
카쓰야 시라이
미쓰루 타케하라
마사미치 아스카이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613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13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85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85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34Indicating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6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audio data
    • G06F16/64Browsing; Visualisation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6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audio data
    • G06F16/68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2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separate auxiliary tracks of the same or an auxiliary record carrier
    • G11B27/322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separate auxiliary tracks of the same or an auxiliary record carrier used signal is digitally cod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Reverberation, Karaoke And Other Acoustic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데이터를 표시할 때의 인식성을 향상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유저의 줌 다이얼(12)을 통한 줌 변경 조작에 의해 설정된 표시 레벨LV에 따라 선별 임계값THA를 선택하고, 선택 음악 콘텐츠MCS를 중심으로 하여 전체 콘텐츠 열LC0로부터 우선도 평가값PV가 이 선별 임계값THA이상인 선별 음악 콘텐츠MCA를 선별하고, 선택 음악 콘텐츠MCS의 섬네일 화상SG를 중심으로, 선별 음악 콘텐츠MCA에 대응한 섬네일 화상SG과 제외 음악 콘텐츠MCZ의 존재를 나타내는 선별 마크MT를 콘텐츠 표시부(8)에 표시함으로써, 우선도 평가값PV가 높고 유저가 좋아할 가능성이 높은 음악 콘텐츠MC의 섬네일 화상SG만을, 각 음악 콘텐츠MC의 상대적인 순서를 유지한 채, 유저가 용이하게 시인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제시할 수 있다.
줌다이얼, 선별 마크, 섬네일 화상, 선별음악 콘텐츠

Description

데이터 표시장치, 데이터 표시 방법, 데이터 표시 프로그램 및 그래픽컬 유저 인터페이스{DATA DISPLAY APPARATUS, DATA DISPLAY METHOD, DATA DISPLAY PROGRAM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도 1은 오디오 장치의 외관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
도 2는 오디오 장치의 회로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블럭도,
도 3은 오디오 장치의 기능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블럭도,
도 4는 데이터관리 테이블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선도,
도 5는 전곡 표시 모드에 있어서의 프런트 패널의 표시 내용을 나타내는 개략 선도,
도 6은 포커스틀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선도,
도 7은 음악 콘텐츠의 선택 표시의 설명에 제공하는 개략 선도,
도 8은 줌 변경 표시의 설명에 제공하는 개략 선도,
도 9는 줌 아웃 표시후에 있어서의 음악 콘텐츠의 선택 표시의 설명에 제공하는 개략 선도,
도 10은 줌인 표시의 설명에 제공하는 개략 선도,
도 11은 아티스트별 선택 표시의 설명에 제공하는 개략 선도,
도 12는 섬네일 화상과 콘텐츠 아이콘과의 연계 표시 처리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챠트,
도 13은 메타데이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선도,
도 14는 우선도의 데이터구조를 나타내는 개략 선도,
도 15는 전 콘텐츠 열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선도,
도 16은 섬네일 화상 및 선별 마크의 표시의 설명에 제공하는 개략 선도,
도 17은 선택 콘텐츠의 변경의 설명에 제공하는 개략 선도,
도 18은 줌 변경 조작에 의한 표시 갱신 처리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챠트,
도 19는 섬네일 화상표시 갱신 처리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챠트,
도 20은 선택 조작에 의한 표시 갱신 처리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챠트,
도 21은 선택 콘텐츠의 변경의 설명에 제공하는 개략 선도,
도 22는 다른 실시예에 의한 선별 마크의 표시예(1)을 나타내는 개략 선도,
도 23은 다른 실시예에 의한 선별 마크의 표시예(2)를 나타내는 개략 선도,
도 24는 다른 실시예에 의한 섬네일 화상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개략 선도,
도 25는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의 프런트 패널의 구성(1)을 나타내는 개략 선도,
도 26은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의 프런트 패널의 구성(2)를 나타내는 개략 선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오디오 장치 7 : 프런트 패널
8 : 콘텐츠 표시부 9 : 조작 버튼군
11 : 선택 다이얼 12 : 줌 다이얼
20 : 제어부 22 :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22A : 콘텐츠 축적부 22B : 콘텐츠 메타데이터 축적부
26 : 표시부 27 : 조작 입력부
27A : 입력 인터페이스
본 발명은 데이터 표시장치, 데이터 표시 방법, 데이터 표시 프로그램 및 그래픽컬 유저 인터페이스에 관한 것으로, 예를 들면 대량의 음악 데이터 중에서 유저가 소망하는 음악 데이터를 검색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경우에 적용하는데 적합한 것이다.
최근, 음악이나 영상 등에 관한 대량의 디지털 데이터 (즉 콘텐츠)를 대용량의 하드 디스크 등에 격납하거나 또는, 고속 네트워크 등을 통해 외부의 서버 등으로부터 취득하여, 유저에 의해 지정된 콘텐츠를 재생하도록 된 콘텐츠 재생장치가 보급되고 있다.
이러한 콘텐츠 재생장치 중에는, 콘텐츠(미디어)의 종류마다 콘텐츠를 나타내는 섬네일을 일렬씩 표시함으로써, 콘텐츠를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도록 된 것이 제안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참조).
[특허문헌 1]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 2004-356774공보
그러나 음악 콘텐츠를 재생하는 오디오 장치의 경우, 내장하는 하드 디스크에 동일종류의 콘텐츠로 이루어지는 대량의(예를 들면 수천곡에서 수만곡의) 음악 콘텐츠를 격납할 수 있지만, 섬네일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 등에는 화소수 등의 제약에 의해 섬네일의 크기 및 동시 표시수가 제한되어버린다.
즉 이러한 오디오 장치는, 유저에게 음악 콘텐츠를 선택시킬 때, 섬네일의 동시 표시수를 적게 했을 경우에는, 유저에 각 섬네일을 용이하게 인식시킬 수 있지만, 이동이나 스크롤 등의 조작 회수를 증가시키게 되어, 번잡한 조작을 강요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 오디오 장치는, 섬 네일의 동시 표시수를 증가시킨 경우에는, 표시 패널의 제약에 의해 섬네일의 개개의 사이즈를 축소하게 되므로, 유저가 섬네일을 인식하기 어려워져 원하는 콘텐츠를 용이하게 탐색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상의 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복수의 데이터를 표시할 때의 인식성을 향상할 수 있는 데이터 표시장치, 데이터 표시 방법, 데이터 표시 프로그램 및 그래픽컬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안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데이터 표시장치, 데이터 표시 방법 및 데이터 표시 프로그램에 있어서는, 복수의 데이터가 소정 순으로 정렬된 원 데이터열을 기초로 소정의 표시부에 표시해야 할 추출 데이터의 추출 조건을 설정하고, 추출 조건에 따라 원 데이터열을 기초로 추출한 추출 데이터를 소정 순으로 정렬한 추출 데이터열 중 소정범위 내의 이 추출 데이터를 각각 소정의 표시 사이즈로 표시부에 표시하도록 했다.
이에 따라 전체 데이터 중 추출 조건에 적합하여 선별된 추출 데이터만을, 원 데이터열에 있어서의 각 추출 데이터의 상대적인 순서를 유지한 채 소정의 표시 사이즈로 표시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그래픽컬 유저 인터페이스에 있어서는, 표시부에 표시하는 데이터를 입력 수단에 의해 선택하는 선택 조작과, 이 선택 조작에 따른 정보처리장치에 있어서의 인터페이스 동작을 이 표시부에 화상으로서 표시하면서 행하는 그래픽컬 유저 인터페이스이며, 복수의 데이터가 소정 순으로 정렬된 원 데이터열을 기초로 상기 표시부에 표시해야 할 추출 데이터의 추출 조건을 설정하고, 추출 조건에 따라 원 데이터열을 기초로 추출한 추출 데이터를 소정 순으로 정렬한 추출 데이터열 중 소정범위내의 이 추출 데이터를 각각 소정의 표시 사이즈로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도록 했다.
이에 따라 입력 조작에 따라, 전체 데이터 중 추출 조건에 적합하여 선별된 추출 데이터만을, 원 데이터열에 있어서의 각 추출 데이터의 상대적인 순서를 유지한 채 소정의 표시 사이즈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데이터 표시장치에 있어서는, 복수의 데이터가 소정 순으로 정렬된 원 데이터열을 기초로 소정의 표시부에 표시하지 않은 제외 데이터를 선별하기 위한 선별조건을 설정하는 선별조건 설정수단과, 선별조건에 따라 원 데이터열을 기초로 제외 데이터를 선별한 추출 데이터를 소정 순으로 정렬한 추출 데이터열 중, 소정의 주목 데이터를 중심으로 한 소정범위내의 각 데이터를 각각 소정의 표시 사이즈로 표시부에 표시하는 추출 데이터 표시 수단을 설치하도록 했다.
이에 따라 전체 데이터 중 제외 데이터로서 선별되지 않고 남은 추출 데이터만을, 원 데이터열에 있어서의 각 추출 데이터의 상대적인 순서를 유지한 채 소정의 표시 사이즈로 표시할 수 있다.
이하, 도면에 대해서, 본 발명의 한 실시예를 상세한 설명한다.
(1)오디오 장치의 전체 구성
도 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1은 전체로서 본 발명의 오디오 장치를 나타내고, 케이싱(2)의 오른쪽 측면(2A)에 설치된 삽입구(3)로부터 DVD(Digital Versatile Disc)나 CD(Compact Disc)등의 광디스크(4)를 장전하거나, 그 삽입구(3)의 아래쪽에 설치된 꽂는 입구(5)로부터 메모리 스틱(소니 가부시키가이샤의 등록상표)등의 소형 메모리카드(6)를 꽂아넣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오디오 장치(1)는, 정면의 프런트 패널(7)에, 액정 모니터 등으로 이루어지는 콘텐츠 표시부(8), 이 콘텐츠 표시부(8)의 오른쪽에 인접하여 설치된 조작 버튼군 배치부(10), 이 콘텐츠 표시부(8) 및 조작 버튼군 배치부(10)의 아래쪽 오른 쪽에, 음악 콘텐츠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 다이얼(11) 및 이 선택 다이얼(11)과 겹쳐지고, 선택 다이얼(11)보다도 1회전 큰 줌 다이얼(12)이 설치된다.
또한 오디오 장치(1)는, 콘텐츠 표시부(8) 및 조작 버튼군 배치부(10)의 아래쪽에 음악 콘텐츠를 연대순(시계열)으로 제시하기 위한 액정 모니터 등으로 이루어지는 시간축 바 표시부TB1 및 TB2(후술한다)가 설치된다.
이 오디오 장치(1)에서는, 삽입구(3)로부터 장전된 광디스크(4)나, 꽂는 입구(5)로부터 삽입된 소형 메모리카드(6)에 격납되어 있는 음악 콘텐츠를 재생하고, 이 오디오 장치(1)에 접속된 스피커(도시 생략)로부터 출력할 수 있음과 동시에, 광디스크(4)나 소형 메모리카드(6)에 격납되어 있는 음악 콘텐츠를 내장의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에 입력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오디오 장치(1)는, 네트워크 케이블을 통해 인터넷과 접속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인터넷상의 여러가지의 외부 서버로부터 유저가 원하는 음악 콘텐츠를 다운로드하여 내장의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에 저장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조작 버튼군 배치부(10)에는, 선택 다이얼(11)에 의해 선택된 음악 콘텐츠를 재생 또는 일시정지하기 위한 재생 버튼(9A), 음악 콘텐츠를 스킵 조작하기 위한 스킵 버튼(9B), 볼륨 조정 버튼(9C), 녹음 버튼(9D), 타이머 설정 버튼(9E), 유저레이팅 버튼(9F)(후술한다), 각종 모드를 전환하는 메뉴 버튼(9G), 각종 모드 마다 기능이 할당된 임의 버튼 9H∼9K 및 캔슬 버튼(9L)이 조작 버튼군(9)으로서 설치되고 있으며, 오디오 장치(1)에서는 이들 조작 버튼군(9)에 대한 유저 조작에 따른 각종 처리를 실행하도록 되어 있다.
(2)오디오 장치의 회로 구성
(2-1)회로 구성
도 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오디오 장치(1)는 제어부(20)에 의해 전체를 통괄 제어하도록 되어 있다. 제어부(20)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20A)에 의해 버스(21)를 통해 ROM(Read Only Memory)(20B)으로부터 기본 프로그램이나 콘텐츠 표시 프로그램 등의 각종 프로그램을 판독하고, 이것을 RAM(Random Access Memory)(20C)에 전개하여 실행함으로써, 콘텐츠 표시 처리 등의 각종 처리를 실행한다.
실제상, 제어부(20)는, 삽입구(3)(도 1)를 통해 DVD드라이브(23)에 장전된 광디스크(4)(도 1)로부터 음악 데이터를 립핑하여 예를 들면 MP3(MPEG-1 Audio Layer 3)나, ATRAC3(Adaptive Transform Acoustic Coding 3)등의 방식으로 인코드 함으로써 음악 콘텐츠MC를 생성하고, 또 꽂는 입구(5)(도 1)를 통해 메모리카드 드라이브(24)에 삽입된 소형 메모리카드(6)로부터 인코드된 음악 콘텐츠MC를 직접 판독하여, 이들의 음악 콘텐츠MC를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DD)(22)에 격납하도록 되어 있다.
또 제어부(2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5)를 통해 접속된 외부의 콘텐츠 서버(도시 생략)로부터 음악 콘텐츠MC를 취득하고, 이것을 하드디스크 드라이브(22)에 격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제어부(20)는, 인터넷을 통해 접속된 외부의 콘텐츠 서버 등으로부터 이 음악 콘텐츠MC의 재킷 사진으로 이루어지는 섬네일 화상SG와 이 음악 콘텐 츠MC의 곡명, 아티스트명, 발매 년월일 등으로 이루어지는 메타데이터MTD를 취득하고, 또 이 섬네일 화상SG를 전체적으로 축소하며, 또한 수평방향으로 압축한 상태의 콘텐츠 아이콘CA를 생성하고, 이들을 이 음악 콘텐츠MC와 대응시켜 하드디스크 드라이브(22)에 격납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관련하여 하드디스크 드라이브(22)는, 예를 들면 수천곡에서 수만곡이라는 대량의 음악 콘텐츠MC를 격납할 수 있는 기억 용량을 가지고 있다.
표시부(26)의 비디오 콘트롤러(26A)는, 제어부(20)로부터 버스(21)를 통해 공급되는 표시 명령을 취득하고, 이 표시 명령에 따라 음악 콘텐츠MC에 대응한 섬네일 화상SG를 프런트 패널(7)의 콘텐츠 표시부(8)에 복수 표시하도록 함과 동시에, 콘텐츠 아이콘CA를 시간축 바 표시부TB1 및 TB2에 표시하도록 하거나, 또는 이 표시 명령에 따라 그 표시 내용을 갱신하도록 되어 있다.
조작 입력부(27)는, 유저에 의해 선택 다이얼(11)이 오른쪽 방향 또는 왼쪽 방향으로 회전 조작되면(이하, 이 조작을 선택 조작이라고 부른다), 선택 다이얼(11)내부에 설치된 로터리 엔코더(도시 생략)에 의해 그 회전 조작량에 따른 회전 신호SR1을 생성하고, 이것을 입력 인터페이스(27A)로부터 버스(21)를 경유하여 제어부(20)에 송출한다.
이것에 따라 제어부(20)는, 콘텐츠 표시부(8)에 있어서 포커스를 맞추어야 할 섬네일 화상SG를 오른쪽 부근 또는 왼쪽 부근의 섬네일 화상SG로 전환하는 것에 의해 음악 콘텐츠MC의 선택처를 변경하도록 되어 있다(자세한 것은 후술한다).
또 조작 입력부(27)는, 유저에 의해 줌 다이얼(12)이 오른쪽 방향 또는 왼쪽 방향으로 회전 조작되면(이하, 이 조작을 줌 변경 조작이라고 부른다), 줌 다이얼(12)내부에 설치된 로터리 엔코더(도시 생략)에 의해 그 회전 조작량에 따른 회전 신호SR2를 생성하고, 이것을 입력 인터페이스(27A)로부터 버스(21)를 경유하여 제어부(20)에 송출한다.
이것에 따라 제어부(20)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22)에 격납된 음악 콘텐츠MC에 대응하는 모든 섬네일 화상SG 중 콘텐츠 표시부(8)에 표시해야 할 섬네일 화상SG의 선별 기준을 변경하고, 이 콘텐츠 표시부(8)에 표시하는 섬네일 화상SG를 갱신함과 동시에, 시간축 바 표시부TB1 및 TB2에 표시하는 콘텐츠 아이콘CA의 표시 패턴을 갱신하도록 되어 있다(자세한 것은 후술한다).
또한 조작 입력부(27)는, 조작 버튼군(9)에 대한 누름 조작을 행해지면, 그것에 따라 누름 신호SU를 생성하고, 이것을 입력 인터페이스(27A)로부터 버스(21)를 경유하여 제어부(20)에 송출한다. 이 경우, 제어부(20)는, 실제로 눌러진 조작 버튼군(9)(즉 재생 버튼(9A)∼캔슬 버튼(9L))에 따른 재생 처리 등의 각종 처리를 실행하도록 되어 있다.
제어부(20)는, 음악 콘텐츠MC를 재생하지 않은 상태에서 조작 버튼군(9)의 재생 버튼(9A)이 누름 조작되면, 포커스가 맞춰진(즉 선택되어 있다) 섬네일 화상SG와 대응되고 있는 음악 콘텐츠MC를 하드디스크 드라이브(22)로부터 판독하고, 이것을 버스(21)를 통해 오디오 콘트롤러(28)에 송출하도록 되어 있다.
오디오 콘트롤러(28)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22)로부터 판독된 음악 콘텐츠 MC를 버스(21)를 통해 취득하고, 이 음악 콘텐츠MC의 인코드 방식에 대응한 디코드 처리나 D/A(Digital/Analog)변환 처리 등을 함으로써 재생 신호SA를 생성한다. 계속해서 오디오 콘트롤러(28)는, 재생 신호SA를 앰프(29)에 의해 증폭시켜 스피커(30)에 송출함으로써, 이 스피커(30)로부터 이 재생 신호에 근거한 소리를 출력시키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오디오 장치(1)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22)에 격납한 음악 콘텐츠MC의 섬네일 화상SG를 콘텐츠 표시부(8)등에 표시함과 동시에, 조작 입력부(27)에 의한 음악 콘텐츠MC의 선택 조작이나 줌 변경 조작에 따라 이 콘텐츠 표시부(8)등에 표시하는 표시 내용을 갱신하고, 선택된 음악 콘텐츠MC를 재생하도록 되어 있다.
(2-2)오디오 장치의 기능 구성
여기에서, 오디오 장치(1)에 있어서의 섬네일 화상SG의 표시에 관한 기능을 분류한 기능 구성을 도 3에 나타낸다.
하드디스크 드라이브(22)는, 콘텐츠 축적부(22A)에 음악 콘텐츠MC, 그 음악 콘텐츠MC에 대응한 섬네일 화상SG 및 콘텐츠 아이콘CA를 축적함과 동시에, 이 음악 콘텐츠MC에 관한 곡명, 아티스트명, 발매 년월일 및 년간 랭킹의 순위 등의 각종 메타데이터MTD를 콘텐츠 메타데이터 축적부(22B)에 축적하도록 되어 있다.
실제상 하드디스크 드라이브(22)는, 도 4(a)에 나타내는 콘텐츠 데이터 관리 테이블TBL1에 의해, 콘텐츠 축적부(22A)에 축적한 음악 콘텐츠MC, 그 섬네일 화상SG 및 콘텐츠 아이콘CA를 콘텐츠ID에 의해 나타낸 소정의 콘텐츠명으로 이루어지는 파일 단위로 관리하도록 되어 있으며, 또 도 4(b)에 나타내는 콘텐츠 메타데이터 관리 테이블TBL2에 의해, 콘텐츠 메타데이터 축적부(22B)에 축적한 각종 메타데이터MTD를 콘텐츠ID에 의해 나타낸 콘텐츠 메타데이터명으로 이루어지는 파일 단위로 관리하도록 되어 있다.
제어부(20)의 표시조건 설정부(20D)는, 조작 입력부(27)의 선택 다이얼(11)에 의한 선택 조작 또는 줌 다이얼(12)에 의한 줌 변경 조작의 조작 지시를 받으면, 이 조작 지시에 따라 콘텐츠 표시부(8)에 표시해야 할 섬네일 화상SG 및 시간축 바 표시부TB1 및 TB2에 표시해야 할 콘텐츠 아이콘CA의 표시 조건을 설정하고, 이것을 배치부(20E)에 공급한다.
제어부(20)의 배치부(20E)는, 표시조건 설정부(20D)로부터 표시 조건을 취득하면, 콘텐츠 관리부(20F)를 통해 하드디스크 드라이브(22)의 콘텐츠 축적부(22A)로부터 이 표시 조건을 충족시키는 각 음악 콘텐츠MC의 섬네일 화상SG를 취득함과 동시에, 콘텐츠 메타데이터 관리부(20G)를 통해 하드디스크 드라이브(22)의 콘텐츠 메타데이터 축적부(22B)로부터 이 표시 조건을 충족시키는 각 음악 콘텐츠MC의 메타데이터MTD를 취득하도록 되어 있다.
배치부(20E)는, 각 음악 콘텐츠MC의 메타데이터MTD 및 섬네일 화상SG를 기초로, 콘텐츠 표시 배치부(20EA)에 의해 콘텐츠 표시부(8)에 표시해야 할 섬네일 화상SG를 선택하여 배치함과 동시에, 시간축 바 배치부(20EB)에 의해 시간축 바 표시부TB1 및 TB2에 표시하는 콘텐츠 아이콘CA를 배치하는 것에 의해 얻어지는 표시 화상 데이터DD를 표시부(26)에 송출한다.
이것에 따라 표시부(26)는, 표시 화상 데이터DD에 근거하여, 콘텐츠 표시부(8)에 섬네일 화상SG이 배치되고, 시간축 바 표시부TB1 및 또는 TB2에 각각 콘텐츠 아이콘CA가 배치된 표시 화상을 표시하도록 되어 있다.
(3)프런트 패널 구성
본 발명의 오디오 장치(1)에 있어서는, 내장의 하드디스크 드라이브(22)에 수천곡에서 수만곡이라는 대량의 음악 콘텐츠MC를 격납할 수 있는 기억 용량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들 대량의 음악 콘텐츠MC 안에서 곡명이나 아티스트명에 의하지 않고 유저가 원하는 음악 콘텐츠MC를 용이하게 검색할 수 있는 것을 고려한 프런트 패널(7)이 이용되고 있다.
(3-1)전곡 표시 모드
도 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오디오 장치(1)의 프런트 패널(7)에는, 음악 콘텐츠의 재킷 사진 등이 나타난 섬네일 화상SG를 복수매(이 경우, 5매) 표시하는 콘텐츠 표시부(8)와, 하드디스크 드라이브(22)에 격납되어 있는 모든 음악 콘텐츠MC에 각각 대응한 콘텐츠 아이콘CA1∼CAn이 발매 년월일 순으로 나열되는 시간축 바 표시부TB1와, 콘텐츠 검색 조작시에 소정의 규칙에 따라서 우선도가 낮은 음악 콘텐츠MC를 선별했을 때의 이 선별된 음악 콘텐츠MC에 대응하는 콘텐츠 아이콘CA가 발매 년월일 순으로 나열되는 시간축 바 표시부TB2가 설치된다.
여기에서 전곡 표시 모드는, 시간축 바 표시부TB1에 대하여 모든 콘텐츠 아이콘CA1∼CAn이 발매 년월일 순으로 나열되어 표시되고, 시간축 바 표시부TB2에 대해서는 콘텐츠 아이콘CA가 일체 표시되지 않는 상태를 말한다.
콘텐츠 표시부(8)는, 선택 다이얼(11)에 대한 유저의 다이얼 조작에 따라 현재 선택되고 있는 음악 콘텐츠MC에 포커스를 맞춘 것을, 예를 들면 적색의 포커스틀FC1에 의해 음악 콘텐츠MC의 섬네일 화상SG를 둘러싸는 것에 의해 시각적으로 제시하고, 또한 그 포커스틀FC1로부터 상측으로 이끌린 적색의 언더라인UL1위에 발매 년도 및 곡명(이 경우, 「1981년/가을색」)을 표시함과 동시에, 포커스틀FC1로부터 하측으로 이끌린 적색의 언더라인UL2아래에 아티스트명(이 경우「윤주」)을 표시하도록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오디오 장치(1)는, 콘텐츠 표시부(8)의 포커스틀FC1을 통해 선택 다이얼(11)에 의해 현재 선택중인 음악 콘텐츠MC의 내용을, 섬네일 화상SG와 언더라인UL1상의 문자 및 UL2아래의 문자에 의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특히 오디오 장치(1)에서는, 음악 콘텐츠MC를 섬네일 화상SG에 의한 이미지로서 제시할 수 있기 때문에, 그 이미지를 기억하고 있는 유저에 있어서는 곡명이나 아티스트명을 기억하지 않은 경우라도, 그 음악 콘텐츠MC가 검색 대상 인지의 여부를 용이하게 판별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이러한 음악 콘텐츠MC가 있었음을 유저에게 상기시켜, 새롭게 검색 대상에 포함할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시간축 바 표시부TB1은, 전곡 표시 모드에 있어서, 콘텐츠 아이콘CA1∼CAn을 발매 년월일 순의 시계열로 나열하여 모두 표시하도록 되어 있으며, 거 기에 맞추어 콘텐츠 표시부(8)는 콘텐츠 아이콘CA1∼CAn의 발매 년월일에 따른 년도를 나타내는 문자열TX1∼TX3(이 경우, ▽1968, ▽1981, ▽1990)을 이 콘텐츠 표시부(8)의 하부영역에 표시하도록 되어 있다.
또 시간축 바 표시부TB1는, 콘텐츠 표시부(8)에 표시되는 5매의 섬네일 화상SG에 상당하는 5개의 콘텐츠 아이콘CA를 예를 들면 적색의 포커스틀FC2에 의해 둘러싸는 것에 의해, 포커스틀FC2와 콘텐츠 표시부(8)의 문자열TX1∼TX3을 통해, 현재 포커스틀FC1에 의해 선택중인 음악 콘텐츠MC가 시간축상의 어느 부근(어느 년대)에 위치하는 지를 유저에 대하여 시각적으로 제시하도록 되어 있다.
특히, 도 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시간축 바 표시부TB1에서는, 포커스틀FC2에 의해 현재, 콘텐츠 표시부(8)에 표시되어 있는 5매의 섬네일 화상SG에 상당하는 5개의 콘텐츠 아이콘CA를 둘러쌈과 동시에, 그중에서도 현재 포커스틀FC1(도 5)에 의해 선택되고 있는 섬네일 화상SG에 대응하는 콘텐츠 아이콘CA를 적색의 포커스틀FC3에 의해 둘러싸고, 또한 그 콘텐츠 아이콘CA전체를 노란 색으로 칠한 상태로 표시하도록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오디오 장치(1)에서는, 콘텐츠 표시부(8)에 표시하는 5매의 섬네일 화상SG에 의한 이미지와, 시간축 바 표시부TB1의 포커스틀FC2에 의해 표시하는 5개의 콘텐츠 아이콘CA에 의한 이미지를 일치시킬 수 있으므로, 5매의 섬네일 화상SG에 해당하는 음악 콘텐츠MC가 시간축 바 표시부TB1안에서 어느 부근의 년대에 해당하는 지를 순간적으로, 또는 직감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오디오 장치(1)는, 포커스틀FC1에 의해 섬네일 화상SG이 선택되었을 때부터, 이 섬네일 화상SG의 음악 콘텐츠MC를 재생하여, 이 음악 콘텐츠MC의 음성을 유저가 청취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오디오 장치(1)는, 음악 콘텐츠MC의 섬네일 화상SG와, 발매 년월일 등의 년대와, 또한 실제의 음성도 음악 콘텐츠MC를 검색할 때 참고로 할 수 있기 때문에, 곡명 및 아티스트명을 모르는 유저에 대해서도 유저가 원하는 음악 콘텐츠MC를 검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3-2)음악 콘텐츠의 선택 표시
또 도 7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오디오 장치(1)의 제어부(20)는, 유저의 선택 다이얼(11)에 대한 최소회전 단위의 다이얼 조작에 따라 콘텐츠 표시부(8)의 섬네일 화상SG를 1프레임 분만 이동시키도록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오디오 장치(1)의 제어부(20)는, 콘텐츠 표시부(8)의 포커스틀FC1에 의해 선택되는 섬네일 화상SG를 1프레임 분만 이동시킴과 동시에, 그것에 맞추어 포커스틀FC2에 의해 둘러싸이는 5개의 콘텐츠 아이콘CA에 관해서도 1프레임분 이동하여 표시하도록 되어 있다.
이때도 오디오 장치(1)의 제어부(20)는, 포커스틀FC1에 의해 선택된 섬네일 화상SG에 대응하는 음악 콘텐츠MC의 발매 년월일 및 곡명(이 경우 「1980년/ 안녕하세요 여름날」)을 언더라인UL1위에 표시함과 동시에, 아티스트명(이 경우 「야마가미 타쯔히로」)을 언더라인UL2아래에 표시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오디오 장치(1)의 제어부(20)는, 포커스틀FC1에 의해 섬네일 화상SG이 변경되었을 때부터, 그 변경후에 있어서의 섬네일 화상SG의 음악 콘텐츠MC를 재생하여, 이 음악 콘텐츠MC의 음성을 유저가 들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오디오 장치(1)의 제어부(20)는, 포커스틀FC1에 의해 섬네일 화상SG를 변경할 때마다, 그 때 포커스틀FC1로 둘러싸여 있는 섬네일 화상SG에 대응하는 음악 콘텐츠MC의 음성을 출력할 수 있기 때문에, 원하는 음악 콘텐츠MC를 검색할 때의 중요한 요소로서 음악 콘텐츠MC의 음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오디오 장치(1)의 제어부(20)는, 전곡 표시 모드로 선택 다이얼(11)에 의한 다이얼 조작에 따라 콘텐츠 표시부(8)의 섬네일 화상SG를 순차 이동시키지만, 인접하는 2개의 섬네일 화상SG에 대응한 음악 콘텐츠MC의 발매 년월일 이 하루 차이인 경우도 있으면, 1년 차이인 경우도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어느 정도 다이얼 조작하면, 어느 정도 년대가 지나갈 지 혹은 되돌아 갈지를 판단하기 어렵다는 점이 있으며, 그것에 관해서도 이후의 줌 변경 표시를 함으로써 해소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3-3)줌 변경 표시
계속해서, 오디오 장치(1)의 제어부(20)는, 콘텐츠 표시부(8)의 섬네일 화상SG(도 7)가 포커스틀FC1에 의해 선택되고 있는 상태에서, 유저에 의해 줌 다이얼(12)이 소정 회전량만 오른쪽 방향으로 다이얼 조작되었을 경우, 도 8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하드디스크 드라이브(22)의 콘텐츠 메타데이터 축적부(22B)로부터 판독한 메타데이터MTD에 의거하여 년간 랭킹의 순위가 1위인 음악 콘텐츠MC만을 선별하여, 그 선택한 음악 콘텐츠MC에 대응하는 섬네일 화상SG만을 콘텐츠 축적부(22A)로부터 판독하고, 이것들을 전체 섬네일 화상SG중에서 줌 아웃 표시한 선별 결과로서 콘텐츠 표시부(8)에 표시하도록 되어 있다.
이때 동시에 제어부(20)는, 년간 랭킹의 순위가 1위인 음악 콘텐츠MC에 대응하는 콘텐츠 아이콘CA만을 시간축 바 표시부TB1에 남겨서 표시함과 동시에, 이 시간축 바 표시부TB1에 표시하지 않은 다른 콘텐츠 아이콘CA에 대해서는 시간축 바 표시부TB2로 이동하여 표시하도록 되어 있다.
즉 제어부(20)는, 콘텐츠 표시부(8)에 있어서 각 섬네일 화상SG의 왼쪽 상부에 그 음악 콘텐츠MC의 년도를 표시함으로써, 년간 랭킹 순위가 1위인 음악 콘텐츠MC를 각 년도의 대표곡으로서 그 섬네일 화상SG에 의해 나타내고, 그중에서도 포커스틀FC1에 의해 둘러싸인 섬네일 화상SG에 대해서는, 언더라인UL1위에 발매 년도 및 곡명(이 경우, 「1980년/ 안녕하세요 여름날」)을 표시함과 동시에, 언더라인UL2아래에 아티스트명(이 경우「야마가미 타쯔히로」)을 표시한다.
이와 관련하여, 이 경우에는 포커스틀FC1에 의해 둘러싸인 섬네일 화상SG에 대응하는 음악 콘텐츠MC가 년도 대표곡이지만, 줌 변경 조작전의 시점에서 포커스틀FC1에 의해 선택되고 있는 섬네일 화상SG에 대응하는 음악 콘텐츠MC에 대해서는, 년간 랭킹의 순위가 1위 인지 여부에 관계없이, 줌 변경 조작후에 있어서도 그 섬네일 화상SG를 콘텐츠 표시부(8)에 시종 계속해서 표시하도록 되어 있다.
이것은, 유저가 포커스틀FC1에 의해 선택중인 음악 콘텐츠MC에 대해서는, 시종 우선해서 표시하는 것이 오디오 장치(1)의 디폴트로서 설정되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오디오 장치(1)의 제어부(20)는, 선택 다이얼(11)에 대한 선택 조작에 의해 포커스틀FC1로 둘러싸여 있는 선택중인 섬네일 화상SG이 변경되면, 이 경우에는 포커스틀FC1에 의해 둘러싸이는 섬네일 화상SG를 줌 아웃 표시후에 있어서의 오른쪽 부근 혹은 왼쪽 부근의 섬네일 화상SG로 변경하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오디오 장치(1)의 제어부(20)는, 년간 랭킹의 순위가 1위인 음악 콘텐츠MC의 섬네일 화상SG를 콘텐츠 표시부(8)에 표시한 것과 연동하여, 년간 랭킹 순위가 1위인 음악 콘텐츠MC에 대응하는 콘텐츠 아이콘CA만을, 그 시계열을 변경하지 않고 시간축 바 표시부TB1에 남겨 표시하고, 년간 랭킹의 순위가 1위이외의 음악 콘텐츠MC에 대응하는 콘텐츠 아이콘CA에 관해서는 시간축 바 표시부TB1로부터 선별하여, 그 시계열을 변경하지 않고 시간축 바 표시부TB2로 이동하여 표시한다.
이 때문에 오디오 장치(1)의 제어부(20)는, 시간축 바 표시부TB1의 포커스틀FC2에 의해 둘러싸인 5개의 콘텐츠 아이콘CA의 배치 상태와 현재 포커스틀FC3에 의해 선택중인 콘텐츠 아이콘CA를 유저에 대하여 목시 확인시킴으로써, 콘텐츠 표시부(8)에 줌 아웃 표시한 년도 대표곡의 음악 콘텐츠MC가, 시간축 바 표시부TB1의 전체 범위 중에서 어느 부근의 년대에 위치하고 있는지를 인식할 수 있음과 동시에, 년도 대표곡이 아니기 때문에 선별된 음악 콘텐츠MC가 다수존재하는 것을 콘텐츠 아이콘CA간의 공백부분으로 유저에 대하여 시각적 또한 직감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오디오 장치(1)의 제어부(20)는, 시간축 바 표시부TB1 및 시간축 바 표시부TB2에 있어서의 콘텐츠 아이콘CA의 배치 상태를 포커스틀FC2 및 FC4를 통해 유저에게 목시 확인시킴으로써, 줌 변경 조작에 의해 선별된 음악 콘텐츠MC의 년대별 분포나, 이 줌 변경 조작에 의해 선별되지 않고 선별된 음악 콘텐츠MC의 년대별 분포를 유저에 대하여 직감적으로 인식시킬 수 있다.
따라서 오디오 장치(1)에서는, 유저에 의한 줌 다이얼(12)의 다이얼 조작에 의해, 콘텐츠 표시부(8)에 표시해야 할 섬네일 화상SG를 년간 랭킹의 순위가 1위인 음악 콘텐츠MC에 한정하여 줌 아웃 표시할 수 있기 때문에, 유저가 원하는 음악 콘텐츠MC를 검색할 때 년도 대표곡만 뽑아서 단시간에, 또한 용이하게 검색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오디오 장치(1)에서는, 콘텐츠 표시부(8)에 각 년도의 대표곡인 음악 콘텐츠MC에 대응한 섬네일 화상SG만을 표시하고 있기 때문에, 유저에 의한 선택 다이얼(11)의 다이얼 조작에 따라, 포커스틀FC1에 의해 선택중인 섬네일 화상SG를 1프레임만 이동시키면, 반드시 전년도 또는 다음 년도의 음악 콘텐츠MC에 대응한 섬네일 화상SG를 표시하게 되므로, 전곡 표시 모드로 선택 다이얼(11)을 다이얼 조작시킴으로써 년도 대표곡을 검색할 때에 비해, 조작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이때 유저는, 년도 대표곡의 음악 콘텐츠MC에 대응하는 섬네일 화상SG를 목시 확인함으로써, 곡명 및 아티스트명을 모르는 유저가 원하는 음악 콘텐츠MC를 검색할 때, 그 당시의 섬네일 화상SG를 콘텐츠 검색 조작시의 도표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오디오 장치(1)에서는, 줌 아웃 표시의 전후에 있어서 섬네일 화상SG의 크기나 간격을 변경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시각적인 보기 쉬움을 일체 손상시키지 않고 또한 줌 아웃 표시의 전후에 있어서 시각적인 위화감을 일으키지 않고, 유저가 원하는 음악 콘텐츠MC에 대한 검색 작업을 실행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3-4)줌 아웃 표시후에 있어서의 음악 콘텐츠의 선택 표시
또 도 9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오디오 장치(1)의 제어부(20)는, 년간 랭킹 순위가 1위인 음악 콘텐츠MC의 섬네일 화상SG만을 콘텐츠 표시부(8)에 줌 아웃 표시한 상태로부터, 유저의 선택 다이얼(11)에 대한 최소회전 단위의 다이얼 조작에 따라 콘텐츠 표시부(8)의 섬네일 화상SG를 1프레임분 이동시키면, 포커스틀FC1에 의해 둘러싸이는 섬네일 화상SG를 1프레임분 이동시켜 표시한다.
이때 제어부(20)는, 시간축 바 표시부TB1의 포커스틀FC2에 의해 둘러싸이는 5개의 콘텐츠 아이콘CA에 대해서도 1개분 이동시켜 표시함과 동시에, 시간축 바 표시부TB2의 포커스틀FC4에 의해 둘러싸이는 여러개의 콘텐츠 아이콘CA에 관해서도 포커스틀FC2에 맞추어 몇개분 이동시켜 표시하도록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오디오 장치(1)에서는, 콘텐츠 표시부(8)에 줌 아웃 표시된 5매의 섬네일 화상SG에 의한 이미지와, 시간축 바 표시부TB1의 포커스틀FC2에 의해 표시하는 5개의 콘텐츠 아이콘CA에 의한 이미지를 일치시킬 수 있으므로, 5매의 섬네일 화상SG에 상당하는 년도 대표곡의 음악 콘텐츠MC가 시간축 바 표시부TB1중에서 어느 부근의 년대에 상당하는 지를 순간적으로, 또는 직감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때도 오디오 장치(1)의 제어부(20)는, 포커스틀FC1에 의해 선택된 섬네일 화상SG에 대응하는 음악 콘텐츠MC의 발매 년도 및 곡명(이 경우 「1979년/저녁노을」)을 언더라인UL1위에 표시함과 동시에, 아티스트명(이 경우 「미조부치 쯔요시」)을 언더라인UL2아래에 표시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오디오 장치(1)의 제어부(20)는, 포커스틀FC1에 의해 섬네일 화상SG이 변경되었을 때부터, 그 변경후에 있어서의 섬네일 화상SG의 음악 콘텐츠MC를 재생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오디오 장치(1)의 제어부(20)는, 선택 다이얼(11)의 다이얼 조작에 따라 포커스틀FC1에 의해 선택중인 섬네일 화상SG를 변경할 때마다, 그 때 포커스틀FC1로 둘러싸여 있는 섬네일 화상SG에 대응하는 음악 콘텐츠MC의 음성을 출력할 수 있기 때문에, 년도 대표곡 중에서 원하는 음악 콘텐츠MC를 검색할 때에도 이 음악 콘텐츠MC의 음성을 유저에 대하여 청취하도록 할 수 있다.
(3-5)줌인 표시
계속해서, 오디오 장치(1)의 제어부(20)는, 콘텐츠 표시부(8)에 대하여 년도 대표곡의 음악 콘텐츠MC에 대응하는 섬네일 화상SG(도 9)만이 표시되어 있는 상태로부터, 유저에 의해 줌 다이얼(12)이 최소회전 단위의 회전량 분만 왼쪽 방향 으로 다이얼 조작되었을 경우, 도 10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하드디스크 드라이브(22)의 콘텐츠 메타데이터 축적부(22B)로부터 판독한 메타데이터MTD에 근거하여 년간 랭킹의 순위가 1위인 음악 콘텐츠MC에 더해서 2위의 음악 콘텐츠MC에 관해서도 선별하고, 1위 및 2위의 음악 콘텐츠MC에 대응하는 섬네일 화상SG를 콘텐츠 표시부(8)에 표시한다.
따라서, 오디오 장치(1)의 제어부(20)는 각 년도마다의 년간 랭킹의 순위가 1위 및 2위에 상당하는 음악 콘텐츠MC의 섬네일 화상SG를 콘텐츠 표시부(8)에 표시하게 되므로, 전페이지에 있어서의 년간 랭킹의 순위가 1위인 음악 콘텐츠MC만을 줌 아웃 표시했을 때의 상태에서 보면, 1단계만 줌인 표시한 결과로서 유저에게 제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때 동시에 오디오 장치(1)의 제어부(20)는, 년간 랭킹의 순위가 1위 및 2위의 음악 콘텐츠MC에 대응하는 콘텐츠 아이콘CA만을 포커스틀FC2에 의해 시간축 바 표시부TB1에 남겨서 표시함과 동시에, 이 시간축 바 표시부TB1에 표시하지 않고 선별한 다른 콘텐츠 아이콘CA에 관해서는 시간축 바 표시부TB2에 표시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오디오 장치(1)의 제어부(20)는, 콘텐츠 표시부(8)에 대하여 년도 대표곡의 섬네일 화상SG만이 표시되어 있는 상태로부터, 유저에 의해 왼쪽 방향으로 줌 다이얼(12)이 다이얼 조작되었을 때의 회전 조작량에 따라, 년도 대표곡의 섬네일 화상SG만을 표시하고 있는 상태로부터 서서히 줌인 표시해 가, 최종적으로는 전곡 표시 모드(도 5)로 되돌릴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오디오 장치(1)의 제어부(20)는, 년간 랭킹의 순위가 1위인 음악 콘텐츠MC에 대응하는 섬네일 화상SG를 콘텐츠 표시부(8)에 표시한 후, 유저에 의한 줌 다이얼(12)의 왼쪽 방향으로의 다이얼 조작에 따라, 어떤 년도 대표곡과 같은 시기에 히트하고 있었던 다른 음악 콘텐츠MC에 대응하는 섬네일 화상SG에 대해서도 뒤에 줌인 표시할 수 있으므로, 유저의 검색 대상수를 임의로 변경하여 유저가 원하는 음악 콘텐츠MC를 용이하게 검색할 수 있다.
(3-6)아티스트별 선택 표시
그런데 오디오 장치(1)의 제어부(20)는, 콘텐츠 표시부(8)의 포커스틀FC1에 의해 임의의 섬네일 화상SG이 선택되고 있는 상태(예를 들면 도 7, 도 8 및 도 10)로부터, 메뉴 버튼(9G)에 대한 누름 조작에 따라 팝업 표시(도시 생략)된 「아티스트」항목이 선택되면, 전체 음악 콘텐츠MC에 있어서의 메타데이터MTD의 아티스트명을 판독하는 것에 의해, 포커스틀FC1에 의해 현재 선택되고 있는 아티스트의 음악 콘텐츠MC만을 선별하고, 이 선별한 음악 콘텐츠MC의 섬네일 화상SG만을 콘텐츠 축적부(22A)로부터 판독하여 콘텐츠 표시부(8)에 표시한다.
따라서 오디오 장치(1)의 제어부(20)는, 도 1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어느 아티스트가 발매한 복수의 음악 콘텐츠MC에 각각 대응하는 섬네일 화상SG만을 콘텐츠 표시부(8)에 표시하게 되므로, 아티스트명만이라도 특정하고자 하는 유저에 대해서는, 그 안에서 순간적으로 유저가 원하는 음악 콘텐츠MC를 검색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 경우 오디오 장치(1)의 제어부(20)는, 그 아티스트의 음악 콘텐츠MC가 5곡 이상 존재할 경우에는, 선택 다이얼(11)에 대한 유저의 다이얼 조작에 따라 미표시의 섬네일 화상SG를 순차 콘텐츠 표시부(8)에 스크롤 표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때도 제어부(20)는, 콘텐츠 표시부(8)에 표시하고 있는 5매의 섬네일 화상SG에 대응하는 5개의 콘텐츠 아이콘CA가 포함되는 범위를 시간축 바 표시부TB1의 포커스틀FC2에 의해 둘러싸여 제시함으로써, 콘텐츠 표시부(8)에 표시한 섬네일 화상SG에 대응하는 음악 콘텐츠MC의 년대별 분포를 유저에 대하여 직감적으로 인식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이 경우, 그 아티스트 이외의 음악 콘텐츠MC에 대해서는 시간축 바 표시부TB2의 포커스틀FC4에 의해 둘러싸인 콘텐츠 아이콘CA가 해당하게 되므로, 오디오 장치(1)의 제어부(20)는, 어떤 아티스트의 음악 콘텐츠MC와 동시기에 발매되고 있었던 다른 아티스트의 음악 콘텐츠MC를 유저에게 검색하도록 할 때에는, 줌 다이얼(12)을 왼쪽 방향으로 다이얼 조작시켜서 줌인 표시하도록 하면 된다.
(4)연계 표시 처리 순서
다음에 전술한 프런트 패널(7)에 있어서의 콘텐츠 표시부(8)에 표시하는 섬네일 화상SG와, 시간축 바 표시부TB1 및 TB2에 표시하는 콘텐츠 아이콘CA를 연계시킨 상태에서 표시 제어하기 위한 연계 표시 처리 순서를, 다음 도 12에 나타내는 플로챠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오디오 장치(1)의 제어부(20)는, 루틴RT1의 개시 스텝부터 시작하여 다음 스텝SP1로 이동하고, 콘텐츠 표시부(8)에 표시할 가능성이 있는 모든 음악 콘텐츠MC의 섬네일 화상SG를 하드디스크 드라이브(22)의 콘텐츠 축적부(22A)로부터 판독하여 RAM(20C)에 유지하고, 다음 스텝SP2로 이동한다.
스텝SP2에 있어서 제어부(20)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22)의 콘텐츠 축적부(22A)로부터 판독한 섬네일 화상SG의 음악 콘텐츠MC에 대응하는 메타데이터MTD를 콘텐츠 메타데이터 축적부(22B)로부터 판독하여 RAM(20C)에 유지하고, 다음 스텝SP3으로 이동한다.
스텝SP3에 있어서 제어부(20)는, 스텝SP1에서 RAM(20C)에 유지한 섬네일 화상을 소정의 사이즈 및 소정의 간격으로 정렬하고, 그 안의 5매의 섬네일 화상SG를 콘텐츠 표시부(8)에 표시하여, 다음 스텝SP4로 이동한다.
스텝SP4에 있어서 제어부(20)는, 모든 음악 콘텐츠MC에 각각 대응한 콘텐츠 아이콘CA를 하드디스크 드라이브(22)의 콘텐츠 축적부(22A)로부터 판독하여 시간축 바 표시부TB1에 발매 년월일 순의 시계열로 나열하여 배치하고, 다음 스텝SP5로 이동한다.
스텝SP5에 있어서 제어부(20)는, 유저에 의해 줌 다이얼(12)이 줌 변경 조작되었는 지를 판정하여, 부정 결과가 얻어지면, 이것은 줌 다이얼(12)이 아닌 선택 다이얼(11)에 의한 선택 조작이 행해졌음을 나타내고 있으며, 이 경우 다음 스텝SP6으로 이동하는 것에 대해, 긍정 결과가 얻어지면 스텝SP7로 이동한다.
스텝SP6에 있어서 제어부(20)는, 유저에 의한 선택 다이얼(11)의 다이얼 조작에 따라 콘텐츠 표시부(8)의 섬네일 화상SG를 1프레임씩 이동시키는 것에 의 해, 포커스틀FC1에 의해 선택중인 섬네일 화상SG를 변경함과 동시에, 그것에 맞추어 시간축 바 표시부TB1의 포커스틀FC2를 콘텐츠 아이콘CA의 1개분씩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선택 다이얼(11)에 의한 선택 조작에 따른 섬네일 화상SG의 이동 처리와 포커스틀FC2의 이동 처리를 연계시켜, 다음 스텝SP8로 이동한다.
스텝SP7에 있어서 제어부(20)는, 유저에 의한 줌 다이얼(12)의 회전 조작량에 따라 우선도가 낮은 음악 콘텐츠MC로부터 순차 선별해 가고, 그 결과 최종적으로 선별된 음악 콘텐츠MC의 섬네일 화상SG만을 콘텐츠 표시부(8)에 표시함과 동시에, 시간축 바 표시부TB1에 있어서의 포커스틀FC2의 선택 범위나 시간축 바 표시부TB2에 있어서의 포커스틀FC4의 선택 범위를 바꾸어 표시함으로써, 줌 다이얼(12)에 의한 줌 변경 조작에 따른 섬네일 화상SG의 줌 변경 표시 처리와 포커스틀FC2 및 FC4의 선택 범위 변경 처리를 연계시켜, 다음 스텝SP8로 이동한다.
스텝SP8에 있어서 제어부(20)는, 스텝SP6에 있어서의 섬네일 화상SG의 이동 처리 또는 스텝SP7에 있어서의 섬네일 화상SG의 줌 변경 표시 처리가 행해진 후의 포커스틀FC1에 의해 선택중인 섬네일 화상SG에 대응하는 음악 콘텐츠MC를 재생해서 출력한 후, 다시 스텝SP5로 돌아가서 이후의 처리를 반복한다.
이와 같이 오디오 장치(1)의 제어부(20)는, 선택 다이얼(11)이나 줌 다이얼(12)에 대한 유저의 다이얼 조작에 따라 콘텐츠 표시부(8)에 있어서의 섬네일 화상SG의 이동 처리나 줌 변경 표시 처리를 실행함과 동시에, 그것들의 처리에 연 계하여 시간축 바 표시부TB1 및 TB2에 있어서의 포커스틀FC2, FC4의 선택 범위변경 처리를 실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5)선별표시
(5-1)우선도의 산출
그런데 오디오 장치(1)는, 상기한 바와 같이, 줌 변경 표시를 행할 경우, 전체 음악 콘텐츠MC 중 일부의 음악 콘텐츠MC의 섬네일 화상SG만을 콘텐츠 표시부(8)에 표시하기 위해, 이 콘텐츠 표시부(8)에 표시해야 할 섬네일 화상SG를 선별 할 필요가 있다.
거기에서 오디오 장치(1)는, 각 음악 콘텐츠MC에 각각 대응지어 축적하고 있는 메타데이터MTD를 사용하여 우선도 평가값PV(후술한다)를 각각 산출하고, 이 우선도 평가값PV에 의거하여 콘텐츠 표시부(8)에 표시해야 할 섬네일 화상SG를 선별하도록 되어 있다.
실제상 오디오 장치(1)는, 도 1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곡명, 아티스트명 및 발매 년월일이라는 음악 콘텐츠MC의 속성을 나타내는 데이터에 추가하여, 총매상 매수AS, 년간 랭킹Ry, 월간 랭킹Rm 및 주간 랭킹Rw라는 인기 정도를 나타내는 데이터 및 유저에 의해 입력된 9단계 평가에 의한 유저 레이팅UR이라는 기호 정도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메타데이터MTD로 하여 하드디스크 드라이브(22)의 콘텐츠 메타데이터 축적부(22B)에 축적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년간 랭킹은 100위까지의 순위가 나타나고, 월간 랭킹 및 주간 랭킹은 각각 10위까지의 순위가 표시되도록 되어 있다. 또 유저 레이팅UR은, 「-3」부터 「+5」까지의 9단계의 수치에 의해 나타내고, 이 수치가 큰 만큼 유저의 평가가 높은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 오디오 장치(1)는, 다음에 나타낸다(1a)∼(1d)식에 따라, 인기 정도를 나타내는 데이터 및 유저의 기호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기초로, 유저 무게Wu, 년간 랭크 무게Wy, 월간 랭크 무게Wm 및 주간 랭크 무게Ww를 산출한다.
Wu=UR+4 … (1a)
Wy= (년간 랭킹의 총수)-Ry … (1b)
Wm= (월간 랭킹의 총수)-Rm … (1c)
Ww= (주간 랭킹의 총수)-Rw … (1d)
또한 오디오 장치(1)는, 다음에 나타내는 (2)식에 따라 유저 무게Wu, 년간 랭크 무게Wy, 월간 랭크 무게Wm 및 주간 랭크 무게Ww에 소정의 계수Fu, Fy, Fm 및 Fw를 각각 곱해서 총매상 매수AS에 가산함으로써 우선도 평가값PV를 산출한다. 여기에서 우선도 평가값PV는, 0보다도 큰 숫자로 이루어지는 여러가지의 평가값을 취득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PV=Fu×Wu+Fy×Wy+Fm×Wm+Fw×Ww+AS … (2)
여기에서 계수Fu, Fy, Fm 및 Fw는, 다음에 나타내는(3)식과 같은 대소관계를 가지고 있다.
Fu>Fy>Fm>Fw …(3)
이에 따라 우선도 평가값PV는, 총매상 매수AS에 대하여 유저 무게Wu, 년간 랭크 무게Wy, 월간 랭크 무게Wm 및 주간 랭크 무게Ww가 각각 쉬프트되 게 되어, 결과적으로 도 1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데이터구조를 가지게 된다.
실제상, 오디오 장치(1)는, 광디스크(4)나 소형 메모리카드(6)(도 1)로부터 새로운 음악 콘텐츠MC를 취득하여 하드디스크 드라이브(22)의 콘텐츠 축적부(22A)에 격납할 때, 각 음악 콘텐츠MC에 대해서 이 우선도 평가값PV를 산출하고, 이것을 메타데이터MTD의 일부로서 콘텐츠 메타데이터 축적부(22B)에 격납하도록 되어 있다.
(5-2)섬네일 화상의 선별표시
그런데 오디오 장치(1)의 제어부(20)는, 도 1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모든 음악 콘텐츠MC를 콘텐츠A∼콘텐츠Z이라고 했을 때, 이들의 콘텐츠A∼콘텐츠Z을 발매 년월일 순으로 정렬한 상태(이하, 이와 같이 정렬된 전체 음악 콘텐츠MC의 열을 전체 콘텐츠 열 LCO라고 부른다)로 인식하고 있으며, 이 전체 콘텐츠 열LCO로부터 우선도 평가값PV가 낮은 순으로 일부의 음악 콘텐츠MC를 선별하는 것에 의해 유저가 원하는 음악 콘텐츠MC만을 선별하고, 이 선별한 음악 콘텐츠MC에 대응한 섬네일 화상SG를 5매만 콘텐츠 표시부(8)에 표시하도록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오디오 장치(1)의 제어부(20)는, 모든 음악 콘텐츠MC에 대응한 섬네일 화상SG를 전곡 표시 모드(도 5)로 표시하는 「전체 표시 레벨LV1」, 각 주의 주간 랭킹 1위인 음악 콘텐츠MC를 선별하여 그 섬네일 화상SG를 표시하는 「주(周) 표시 레벨LV2」, 매월의 월간 랭킹 1위인 음악 콘텐츠MC를 선별하여 그 섬네일 화상SG를 표시하는「월 표시 레벨LV3」, 각 년의 년간 랭킹 1위인 음악 콘텐츠MC만을 선별하여 그 섬네일 화상SG를 표시하는「년 표시 레벨LV4 」 및 유저 레이팅UR의 수치가 「+5」인 최고평가의 음악 콘텐츠MC만을 선별하여 그 섬네일 화상SG를 표시하는 「최고평가 표시 레벨LV5」이라는 5단계의 표시 레벨을 설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 관련하여, 여기에서는 5단계의 표시 레벨LV를 설정하도록 하고 있지만, 전술한 년간 랭킹의 순위가 1위 및 2위의 음악 콘텐츠MC를 선별하고, 그 섬네일 화상SG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 레벨LV에 대해서는, 설명의 편의상 생략한다.
또한 제어부(20)는, 우선도 평가값PV에 대한 임계값TH로서, 「전체 표시 레벨LV1」∼ 「최고평가 표시 레벨LV5」의 각 표시 레벨에 대응한 5단계의 임계값TH1∼TH5를 설정하고 있다.
실제상, 제어부(20)는, 유저에 의한 줌 다이얼(12)을 통한 줌 변경 조작이 행해진 결과로서 회전 조작량에 따른 회전 신호SR2를 취득하면, 이 회전 신호SR2에 따라 임계값TH1∼TH5중 어느 하나를 선택한다(이하, 이때 선택된 임계값TH을 선별 임계값THA이라고 부른다).
계속해서 제어부(20)는, 모든 음악 콘텐츠MC 중 우선도 평가값PV가 선별 임계값THA미만인 음악 콘텐츠MC(이하, 이것을 제외 음악 콘텐츠MCZ라고 부른다)를 선별하는 것에 의해, 이 우선도 평가값PV가 이 선별 임계값THA이상인 음악 콘텐츠MC(이하, 이것을 선별 음악 콘텐츠MCA라고 부른다)만을 선별하고, 이때 콘텐츠 표시부(8)의 포커스틀FC1에 의해 선택되고 있는 음악 콘텐츠MC(이하, 이것을 선택 음악 콘텐츠MCS라고 부른다)를 중심으로 한 5개의 선별 음악 콘텐츠MCA에 대응한 5매의 섬네일 화상SG를 콘텐츠 표시부(8)에 표시시킴으로써, 줌 변경 조작에 따른 표시 레벨로 전환하여 줌 변경 표시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관련하여 제어부(20)는, 임계값TH1의 값을 「0」으로 설정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전체 표시 레벨LV1」의 경우, 모든 음악 콘텐츠MC에 있어서 우선도 평가값PV가 선별 임계값THA(즉 임계값TH1)보다도 반드시 큰 값을 취할 수 있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모든 음악 콘텐츠MC를 선별 음악 콘텐츠MCA로 하도록 되어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20)는, 전체 콘텐츠 열LCO 중, 콘텐츠J가 포커스틀FC1에 의해 선택 음악 콘텐츠MCS로서 선택되고, 전체 표시 레벨LV1이 설정되고 있을 경우, 도 16(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전체 콘텐츠 열LCO에 있어서의 선택 음악 콘텐츠MCS(즉 콘텐츠J)를 중심으로 한 전후 5개의 콘텐츠H∼L(이하, 이것을 제1레벨 콘텐츠 열LC1(도 15)이라고 부른다)에 각각 대응한 5매의 섬네일 화상SGH∼SGL을 왼쪽부터 오른쪽으로 발매 년월일 순으로 나열한 상태에서(이하, 이 섬네일 화상SGH∼SGL의 열을 제1레벨 화상열LG1이라고 부른다) 콘텐츠 표시부(8)에 표시한다.
또 제어부(20)는, 줌 다이얼(12)에 의해 줌 아웃 표시를 행하기 위한 줌 변경 조작(즉 표시 레벨을 상승시키는 조작)이 이루어지면, 주표시 레벨LV2에 따른 임계값TH2를 선택하고, 도 16(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포커스틀FC1에 의해 선택중인 선택 음악 콘텐츠MCS인 콘텐츠J를 중심으로 하여, 전체 콘텐츠 열LCO로부터 우선도 평가값PV가 임계값TH2이상인 콘텐츠G, I, J, M 및 R을 선별하 여(이하, 이 음악 콘텐츠MC의 열을 제2레벨 콘텐츠 열LC2(도 15)라고 부른다), 각각의 콘텐츠G, I, J, M 및 R에 대응한 섬네일 화상SGG, SGI, SGJ, SGM 및 SGR를 왼쪽부터 오른쪽으로 발매 년월일 순으로 나열한 상태로(이하, 이 섬네일 화상SGG, SGI, SGJ, SGM 및 SGR의 열을 제2레벨 화상열LG2이라고 부른다) 콘텐츠 표시부(8)에 표시한다.
이 결과 콘텐츠 표시부(8)에는, 전체 콘텐츠 열LCO(도 15) 중 우선도 평가값PV가 임계값TH2미만인 제외 음악 콘텐츠MCZ(즉 콘텐츠H, K 및 L등)가 선별되는 것에 의해 남겨진 선별 음악 콘텐츠MCA의 섬네일 화상SGG, SGI, SGJ, SGM 및 SGR만이 나열되게 된다. 또한 이 경우도 각 섬네일 화상SGG, SGI, SGJ, SGM 및 SGR의 각 크기에 대해서는, 전체 표시 레벨LV1의 경우와 거의 동등하게 되고 있다.
또한 제어부(20)는, 도 16(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2레벨 화상열LG2에 있어서 각 섬네일 화상SG끼리가 인접하는 선별 음악 콘텐츠MCA(예를 들면 콘텐츠G 및 콘텐츠I)에 대해서, 전체 콘텐츠 열LCO에 있어서 이 선별 음악 콘텐츠MCA끼리의 사이에 제외 음악 콘텐츠MCZ(예를 들면 콘텐츠H)이 나열되고 있는 경우, 콘텐츠 표시부(8)에 표시하고 있는 복수의 선별 음악 콘텐츠MCA에 대응한 각 섬네일 화상SG 사이에, 이 제외 음악 콘텐츠MCZ가 선별되고 있음을 나타내는 선별 마크MT(MT1, MT2 및 MT3)를 표시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에서 선별 마크MT(MT1, MT2 및 MT3)는, 1∼3개의 세로직선이 가로방향으로 병렬된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제외 음악 콘텐츠MCZ이 1개 존재하는 것을 나타내는 1개의 세로직선으로 이루어지는 선별 마크MT1, 제외 음악 콘텐츠MCZ이 2개 존재하는 것을 나타내는 2개의 세로직선으로 이루어지는 선별 마크MT2 및 제외 음악 콘텐츠MCZ이 3개 이상 존재하는 것을 나타내는 3개의 세로직선으로 이루어지는 선별 마크MT3과 같이, 실제로 선별된 제외 음악 콘텐츠MCZ의 수에 따라 세로직선의 개수가 변화되도록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오디오 장치(1)는, 전체 콘텐츠 열LCO에 있어서의 정렬 순서(즉 발매 년월일 순)를 전제로 한 경우의, 제2레벨 화상열LG2에 있어서 인접하는 각섬네일 화상SG와 각각 대응한 선별 음악 콘텐츠MCA 사이에 제외 음악 콘텐츠MCZ이 존재하는 것 및 이 제외 음악 콘텐츠MCZ의 개수(槪數)를 선별 마크MT에 의해 유저에게 제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 관련하여, 오ㄷ디오 장치(1)의 제어부(20)는, 줌 다이얼(12)에 대한 줌 변경 조작에 있어서의 우회전량이 여러번의 다이얼 조작에 해당할 경우, 예를 들면 전표시 레벨LV1, 주표시 레벨LV2, 월 표시 레벨LV3, 년표시 레벨LV4 및 최고평가 표시 레벨LV5와 같이 순차 표시 레벨LV를 상승시켜 가도록 되어 있다.
또 제어부(20)는, 예를 들면 도 16(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콘텐츠 표시부(8)에 제1레벨 화상열LG1이 표시되고, 포커스틀FC1에 의해 콘텐츠J가 선택된 상태에서, 선택 다이얼(11)에 대한 다이얼 조작(예를 들면 우회전 조작)이 행해진 결과로서 그 회전 조작량에 따른 회전 신호SR1을 취득하면, 도 17(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이 회전 신호SR1에 따라 포커스틀FC1에 의해 선택중인 선택 음악 콘텐츠MCS를 콘텐츠J로부터 콘텐츠K로 전환한다.
이 경우 콘텐츠 표시부(8)에서는, 포커스틀FC1의 위치가 고정되고 있기 때문에, 제1레벨 화상열LG1을 1매씩 왼쪽 부근으로 이동시키고, 우단에 새로운 섬네일 화상SG를 표시하는 스크롤 처리를 행하고, 포커스틀FC1을 콘텐츠K에 대응한 섬네일 화상SGK에 겹치는 것으로, 제1레벨 화상열LG1을 갱신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오디오 장치(1)는, 선택 다이얼(11) 또는 줌 다이얼(12)을 통한 다이얼 조작에 의해 콘텐츠 표시부(8)에 표시하는 섬네일 화상SG를 선택하는 선택 조작과, 이 선택 조작 또는 줌 변경 조작에 따른 오디오 장치(1)에 있어서의 인터페이스 동작을 이 콘텐츠 표시부(8)에 표시 화면으로서 표시하면서 행하게 된다.
여기에서 제어부(20)는, 도 17(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표시 레벨LV가 전체 표시 레벨LV1이며 포커스틀FC1에 의해 콘텐츠K가 선택된 상태에 있어서, 줌 다이얼(12)에 대한 줌 아웃 표시를 위한 다이얼 조작이 행해졌을 경우, 도 17(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포커스틀FC1을 통해 선택 음악 콘텐츠MCS인 콘텐츠K의 섬네일 화상SGK를 중심으로 표시한 후, 주표시 레벨LV2에 따른 임계값TH2를 선택하고, 전체 콘텐츠 열LC0으로부터 우선도 평가값PV가 이 임계값TH2이상인 콘텐츠I, J, M 및 R을 선별한 후 각각에 대응하는 섬네일 화상SGI, SGJ, SGM 및 SGR을 콘텐츠 표시부(8)에 표시한다.
즉 제어부(20)는, 줌 아웃 표시를 행하기 위한 줌 변경 조작이 유저에 의해 행해졌을 때, 우선도 평가값PV가 선별 임계값THA이상이 되는 음악 콘텐츠MC에 대응한 섬네일 화상SG만을 표시하는 것이 아니고, 포커스틀FC1에 의해 현재 선택중인 선택 음악 콘텐츠MCS에 관해서는 우선도 평가값PV의 값에 관계없이 무조건으로 그 섬네일 화상SG(이 경우에는 섬네일 화상SGK)를 계속해서 표시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줌 아웃 표시를 위해, 표시 내용을 갱신했을 때, 유저에 대하여 선택 음악 콘텐츠MCS의 섬네일 화상SG를 놓치지 않을 수 있다.
또 제어부(20)는, 포커스틀FC1에 의해 선택중인 선택 음악 콘텐츠MCS가 각종 조작의 조작 대상으로서 지정되었을 경우, 이 때의 표시 레벨LV에 따른 콘텐츠 열LC(LC0, LC1 또는 LC2)에 있어서, 이 선택 음악 콘텐츠MCS와 그 다음에 위치하는 선별 음악 콘텐츠MCA 사이에 포함되는 모든 제외 음악 콘텐츠MCZ도 조작 대상으로서 지정된 것으로 간주하도록 되어 있다.
실제상, 제어부(20)는, 도 16(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표시 레벨LV가 주표시 레벨LV2이며, 포커스틀FC1에 의해 콘텐츠J가 조작 대상으로서 선택된 상태에 있어서, 예를 들면 음악 콘텐츠MC를 반복 재생하는 리피트 재생 처리의 조작 지시를 접수했을 경우, 제외 음악 콘텐츠MCZ으로서 선별되고 있는 콘텐츠K 및 콘텐츠L에 관해서도 리피트 재생 처리의 조작 대상으로서 지시된 것으로 간주하여, 콘텐츠J, K, L, J, K, L, …의 순으로 리피트 재생을 하도록 되어 있다.
또 오디오 장치(1)의 제어부(20)는, 예를 들면 도 16(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콘텐츠 표시부(8)에 제2레벨 화상열LG2이 표시되고, 콘텐츠J가 포커스틀FC1에 의해 선택된 상태에서, 선택 다이얼(11)에 대한 다이얼 조작(예를 들면 우회전 조작)이 행해진 결과로서 회전 조작량에 따른 회전 신호SR1을 취득하면, 도 17(c)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이 회전 신호SR1에 따라, 선택 음악 콘텐츠MCS를 제2레벨 콘텐츠 열LC2에 있어서 오른쪽 부근에 위치하는 콘텐츠M으로 바꾼다.
이때 오디오 장치(1)의 제어부(20)는, 갱신후의 제2레벨 화상열LG2에 있어서의 각 섬네일 화상SG와 각각 대응하는 선별 음악 콘텐츠MCA 사이에서 제외 음악 콘텐츠MCZ이 선별되었을 경우, 콘텐츠 표시부(8)에 있어서의 이 선별 음악 콘텐츠MCA에 대응한 섬네일 화상SG 사이에 제외 음악 콘텐츠MCZ의 선별 수에 따른 선별 마크MT(MT1, MT2 또는 MT3)를 표시한다.
이와 같이 오디오 장치(1)의 제어부(20)는, 유저에 의한 줌 다이얼(12)에 대한 다이얼 조작에 따라 선별 임계값THA를 선택하고, 선택 음악 콘텐츠MCS에 대응한 섬네일 화상SG를 중심으로 하여, 우선도 평가값PV가, 이 선별 임계값THA이상인 선별 음악 콘텐츠MCA를 전체 콘텐츠 열LCO로부터 선별하고, 이 선별 음악 콘텐츠MCA에 대응한 섬네일 화상SG와 제외 음악 콘텐츠MCZ의 존재를 나타내는 선별 마크MT를 콘텐츠 표시부(8)에 표시하도록 되어 있다.
(6)섬네일 화상표시 처리
다음에 오디오 장치(1)가 콘텐츠 표시부(8)에 섬네일 화상SG를 표시할 때의 섬네일 화상표시 처리에 대해서, 줌 다이얼(12)에 의해 줌 변경 조작되었을 경우와, 선택 다이얼(11)에 의해 선택 조작되었을 경우로 나누어서 설명한다.
(6-1)줌 변경 조작에 의한 표시 갱신 처리
오디오 장치(1)의 제어부(20)는, 전원이 투입됨으로써, 도 18에 나타내는 줌 변경 조작에 의한 표시 갱신 처리 순서RT2를 개시하고, 스텝SP11로 이동한다.
스텝SP11에 있어서 제어부(20)는, 유저에 의해 줌 다이얼(12)을 통한 줌 변경 조작이 행해진 것에 따라 조작 입력부(27)로부터 공급되는 회전 신호SR2를 취득하고, 다음 스텝SP12로 이동한다.
스텝SP12에 있어서 제어부(20)는, 이 시점의 표시 레벨LV(예를 들면 전체 표시 레벨LV1)와 조작 입력부(27)로부터 취득한 회전 신호SR2에 근거하여 새로운 표시 레벨LV(예를 들면 주 표시 레벨LV2)로 전환함과 동시에, 선별 임계값THA로서, 이 새로운 표시 레벨LV에 따른 임계값TH(예를 들면 임계값TH2)를 선택하고, 서브루틴인 섬네일 화상표시 처리 순서SRT1로 이동한다.
제어부(20)는, 섬네일 화상표시 처리 순서SRT1로 이동하면 도 19에 나타내는 플로챠트를 개시하여 스텝SP21로 이동한다. 스텝SP21에 있어서 제어부(20)는, 전체 콘텐츠 열LCO중에서 임의로 선택한 음악 콘텐츠MC(예를 들면 콘텐츠J)에 대응한 섬네일 화상SG(예를 들면 섬네일 화상SGJ)를 콘텐츠 표시부(8)의 거의 중앙위치에 표시시키는 대상으로서 결정함과 동시에, 표시 레벨LV 에 따라 이 중앙위치의 섬네일 화상 근처에 표시해야 할 콘텐츠MC를 탐색할 때의 기점에 이 음악 콘텐츠MC를 설정하고, 다음 스텝SP22로 이동한다.
스텝SP22에 있어서 제어부(20)는, 전체 콘텐츠 열LCO위에서 기점이 되는 음악 콘텐츠MC로부터 선별 음악 콘텐츠MCA를 순차 탐색해 갈 때의 탐색 방향을 「왼쪽」 즉 발매 년월일이 과거가 되는 방향에 설정하고, 다음 스텝SP23으로 이동한다.
스텝SP23에 있어서 제어부(20)는, 기점이 되는 음악 콘텐츠MC에 대응한 섬네일 화상SG의 좌우 양측(즉 오른쪽 및 왼쪽)에 각각 표시하는 섬네일 화상SG의 매수를 카운트하기 위한 변수j를 「0」으로 초기화하여, 다음 스텝SP24로 이동한다.
스텝SP24에 있어서 제어부(20)는, 기점이 되는 음악 콘텐츠MC에 대응한 섬네일 화상SG의 좌우 양측에는 표시하지 않고 선별하는 대상이 되는 제외 음악 콘텐츠MCZ의 수를 나타내는 변수i를 이 경우 「-1」로서 초기화하고, 다음 스텝SP25로 이동한다.
스텝SP25에 있어서 제어부(20)는, 전체 콘텐츠 열LCO중에서 기점이 되는 음악 콘텐츠MC의 탐색 방향측에 인접한 음악 콘텐츠MC에 착안하여, 그 메타데이터MTD를 판독함과 동시에 변수i를 증분한 후, 다음 스텝SP26으로 이동한다. 예를 들면, 제어부(20)는, 콘텐츠J를 기점으로 했을 때 좌측에 인접하는 콘텐츠I에 착안함과 동시에, 변수i를 「0」으로 설정한다.
스텝SP26에 있어서 제어부(20)는, 스텝SP25에서 착안한 음악 콘텐츠MC의 메타데이터MTD에 포함되어 있는 우선도 평가값PV가 표시 레벨LV에 따라 선별 임계값THA이상 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여기에서 긍정 결과가 얻어지면, 이것은 스텝SP25에 있어서 착안한 음악 콘텐츠MC의 우선도 평가값PV가 선별 임계값THA이상이며, 선별 음악 콘텐츠MCA에 상당하는 것임을 나타내고 있으며, 이때 제어부(20)는 다음 스텝SP27로 이동한다.
한편 스텝SP26에 있어서 부정 결과가 얻어지면, 이것은 착안한 음악 콘텐츠MC의 우선도 평가값PV가 선별 임계값THA미만이며 이 음악 콘텐츠MC가 제외 음악 콘텐츠MCZ에 상당하는 것임을 나타내고 있으며, 이때 제어부(20)는, 우선도 평가값PV가 선별 임계값THA이상의 음악 콘텐츠MC를 검출할 때까지, 기점이 되는 음악 콘텐츠MC의 탐색 방향측에 표시해야 할 음악 콘텐츠MC의 탐색을 행하기 위해, 다시 스텝SP25로 되돌아온다.
이때 스텝SP25에 있어서 제어부(20)는, 제외 음악 콘텐츠MCZ에 상당한 음악 콘텐츠MC의 탐색 방향측에 인접한 다음의 음악 콘텐츠MC에 착안함과 동시에 변수i를 증분한다.
스텝SP27에 있어서 제어부(20)는, 스텝SP25에 있어서 착안한 음악 콘텐츠MC가 스텝SP26에서 콘텐츠 표시부(8)에 표시해야 할 선별 음악 콘텐츠MCA에 상당하는 것이라고 판명되었기 때문에, 변수j를 증분하고, 기점이 되는 음악 콘텐츠MC로부터 j개만 탐색 방향측의 위치에, 이 착안한 음악 콘텐츠MC의 섬네일 화상SG를 표시하는 것을 결정하고, 다음 스텝SP28로 이동한다.
스텝SP28에 있어서 제어부(20)는, 변수i가 1이상 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여기에서 긍정 결과가 얻어지면, 이것은 기점이 되는 음악 콘텐츠MC에 대응하는 섬네일 화상SG에 인접하여 표시해야 할 섬네일 화상SG를 탐색할 때까지 적어도 1개 이상의 제외 음악 콘텐츠MCZ를 선별하고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으며, 이때 제어부(20)는 다음 스텝SP29로 이동한다.
여기에서 변수i는, 초기값이 「-1」로 설정되고 있기 때문에, 선별된 제외 음악 콘텐츠MCZ의 수에 상당하게 된다.
스텝SP29에 있어서 제어부(20)는, 콘텐츠 표시부(8)에 있어서 기점이 되는 섬네일 화상SG와, 이 기점이 되는 섬네일 화상SG에 인접한 선별 음악 콘텐츠MCA에 대응한 섬네일 화상SG 사이에, 변수i에 따른 선별 마크MT(즉 선별 마크MT1, MT2 또는 MT3)를 표시하고, 다음 스텝SP30으로 이동한다.
한편 스텝SP28에 있어서 부정 결과가 얻어지면, 이것은 기점이 되는 음악 콘텐츠MC에 인접하는 음악 콘텐츠MC가 선별 음악 콘텐츠MCA임을 검출할 수 있고, 제외 음악 콘텐츠MCZ에 대해서는 일체 선별하지 않음을 나타내고 있으며, 이때 제어부(20)는, 선별 마크MT를 콘텐츠 표시부(8)에 표시시키지 않고 다음 스텝SP30으로 이동한다.
스텝SP30에 있어서 제어부(20)는, 변수j가 2이상 인지의 여부, 즉 기점이 되는 음악 콘텐츠MC에 대응한 섬네일 화상SG로부터 탐색 방향측으로 2개의 네일 화상SG를 표시하는 것을 이미 결정했는 지 여부를 판정한다.
여기에서 부정 결과가 얻어지면, 이것은 현재의 탐색 방향측으로 표시해야 할 2매의 섬네일 화상SG를 아직 결정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현재의 탐색 방향측에 표시해야 할 섬네일 화상을 2매 결정할 때까지는 탐색할 필요가 있음을 나타내고 있으며, 이때 제어부(20)는, 다시 스텝SP24로 되돌아온다.
한편 스텝SP30에 있어서 긍정 결과가 얻어지면, 이것은 현재의 탐색 방향측에 표시해야 할 2매의 섬네일 화상SG를 이미 결정하고 있어, 현재의 탐색 방향측에 더 이상 표시해야 할 섬네일 화상SG를 탐색할 필요가 없음을 나타내고 있으 며, 이때 제어부(20)는 다음 스텝SP31로 이동한다.
스텝SP31에 있어서 제어부(20)는, 이 시점에 있어서의 탐색 방향이 기점의 음악 콘텐츠MC로부터 「오른쪽」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여기에서 부정 결과가 얻어지면, 이것은 이 시점까지 이미 탐색된 탐색 방향이 기점의 음악 콘텐츠MC로부터 「왼쪽」이며, 아직 기점이 되는 섬네일 화상SG의 오른쪽에 표시해야 할 2매의 선별 음악 콘텐츠MCA의 섬네일 화상SG를 결정하고 있지 않음을 나타내고 있으며, 이때 제어부(20)는 다음 스텝SP32로 이동한다.
스텝SP32에 있어서 제어부(20)는, 탐색 방향을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즉 기점이 되는 음악 콘텐츠MC에 대하여 발매 년월일이 미래가 되는 방향으로 전환하여, 기점이 되는 음악 콘텐츠MC에 대응한 섬네일 화상SG의 오른쪽에 표시해야 할 2매의 섬네일 화상SG를 결정하기 위해 다시 스텝SP23으로 되돌아온다.
한편 스텝SP31에 있어서 긍정 결과가 얻어지면, 이것은 기점이 되는 음악 콘텐츠MC에 대응한 섬네일 화상SG의 왼쪽 및 오른쪽의 양측에 각각 2매씩 표시해야 할 섬네일 화상SG를 다 결정했음을 나타내고 있으며, 이때 제어부(20)는 다음 스텝SP33으로 이동한다.
스텝SP33에 있어서 제어부(20)는, 스텝SP31에서 결정한 5매의 섬네일 화상SG를 표시부(26)(도 2)의 비디오 콘트롤러(26A)에 송출함으로써, 5매의 섬네일 화상SG를 콘텐츠 표시부(8)에 표시하도록 하고, 다음 스텝SP34로 이동하여, 이 섬네일 화상표시 처리 순서SRT1를 종료한 후, 원래의 줌 변경 조작에 의한 표시 갱신 처리 순서RT2(도 18)로 복귀하여, 스텝SP11로 되돌아오는 것에 의해 일련의 처리를 반복한다.
이와 관련하여 오디오 장치(1)의 제어부(20)는, 전회 전원이 절단되기 직전에 포커스틀FC1에 의해 선택되고 있었던 선택 음악 콘텐츠MCS(예를 들면 콘텐츠J) 및 그 때의 표시 레벨LV(예를 들면 전체 표시 레벨LV1)를 불휘발성 메모리(도시 생략)에 기억하고 있으며, 전원투입 직후에 이것들을 판독하여 각각 선택 음악 콘텐츠MCS 및 표시 레벨LV의 초기값으로서 사용함으로써, 다시 전원을 투입했을 때 전원절단 전의 콘텐츠 표시부(8)에 표시하고 있었던 섬네일 화상SG의 표시 상태로 되돌릴 수 있도록 되어 있다.
(6-2)선택 조작에 의한 표시 갱신 처리
오디오 장치(1)의 제어부(20)는, 전원이 투입됨으로써, 도 20에 나타내는 선택 조작에 의한 표시 갱신 처리 순서RT3을 개시하고, 스텝SP41로 이동한다. 스텝SP41에 있어서 제어부(20)는, 유저에 의해 선택 다이얼(11)을 통한 선택 조작이 행해진 것에 따라 조작 입력부(27)로부터 공급되는 회전 신호SR1을 취득하고, 다음 스텝SP42로 이동한다.
스텝SP42에 있어서 제어부(20)는, 조작 입력부(27)로부터 취득한 회전 신호SR1에 따라, 이때의 표시 레벨LV에 있어서의 콘텐츠 열LC상에서 포커스틀FC1에 의해 선택되고 있는 선택 음악 콘텐츠MCS의 오른쪽 부근 또는 왼쪽 부근에 나열된 선별 음악 콘텐츠MCA를 새로운 선택 음악 콘텐츠MCS로 하고, 다음 서브루틴인 섬네일 화상표시 처리 순서SRT1로 이동한다.
예를 들면 제어부(20)는, 주표시 레벨LV2로 전환되어 선택 음악 콘텐츠MCS가 콘텐츠J였을 때, 선택 다이얼(11)을 통한 오른쪽 방향으로의 회전 조작이 행해졌을 경우, 이 주표시 레벨LV2에 대응한 제2레벨 콘텐츠 열LC2(도 15)상에서, 선택 음악 콘텐츠MCS를 콘텐츠J로부터 오른쪽 부근에 나열된 콘텐츠M으로 천이시킨다.
섬네일 화상표시 처리 순서SRT1에 있어서 제어부(20)는, 상기한 바와 같이 선택 음악 콘텐츠MCS의 섬네일 화상SG를 중심으로 한 5매의 섬네일 화상SG를 콘텐츠 표시부(8)에 표시시킨 후, 다시 스텝SP41로 되돌아오는 것에 의해 일련의 처리를 반복한다.
(7)동작 및 효과
이상의 구성에 있어서, 오디오 장치(1)의 제어부(20)는, 모든 음악 콘텐츠MC을 발매 년월일 순으로 정렬한 전체 콘텐츠 열LC0을 생성해 둠과 동시에 각 음악 콘텐츠MC에 대해서 우선도 평가값PV를 각각 산출해 두고, 유저의 줌 변경 조작에 의해 설정된 표시 레벨LV에 따라 선별 임계값THA를 선택하고, 포커스틀FC1에 의해 선택중인 선택 음악 콘텐츠MCS를 기점으로서 전체 콘텐츠 열LC0(도 15)로부터 우선도 평가값PV가 이 선별 임계값THA이상인 선별 음악 콘텐츠MCA를 선별하고, 선택 음악 콘텐츠MCS에 대응한 섬네일 화상SG를 중심으로, 선별 음악 콘텐츠MCA에 대응한 섬네일 화상SG와 제외 음악 콘텐츠MCZ의 존재를 나타내는 선별 마크MT를 콘텐츠 표시부(8)에 표시한다.
따라서, 오디오 장치(1)는, 설정된 표시 레벨LV에 한정되지 않고, 섬네일 화상SG의 최대 표시수를 고정하여 각 섬네일 화상SG의 사이즈를 변경하지 않고 콘텐츠 표시부(8)에 표시하기 위해, 각 섬네일 화상SG의 시인성을 저하시키지 않는다.
또 오디오 장치(1)는, 전체 콘텐츠 열LC0로부터 우선도 평가값PV가 선별 임계값THA미만인 제외 음악 콘텐츠MCZ을 선별하고, 남은 선별 음악 콘텐츠MCA에 대응한 섬네일 화상SG를 콘텐츠 표시부(8)에 표시함으로써, 발매 년월일순을 기준으로 한 각 음악 콘텐츠MC의 상대적인 순서를 유지한 채, 우선도 평가값PV가 높고 유저에게 선택될 가능성이 높은 음악 콘텐츠MC에 대응한 섬네일 화상SG만을 줌 아웃 표시할 수 있어, 실제로는 섬네일 화상을 5매만 표시하면서, 유저에 대하여 마치 음악 콘텐츠MC의 표시 범위를 가상적으로 확대한 것처럼 인식시킬 수 있다.
즉 오디오 장치(1)는, 줌 다이얼(12)을 통한 줌 변경 조작에 의해 전체 표시 레벨LV1로부터 표시 레벨LV를 서서히 상승시켜 가 줌 아웃 표시해 갈 경우, 줌 다이얼(12)의 회전 조작량과 표시 레벨LV의 높이를 연동시킬 수 있으므로, 이 줌 다이얼(12)의 회전 조작량에 따라 우선도 평가값PV가 낮은 쪽의 음악 콘텐츠MC로부터 단계적으로 선별해 갈 수 있고, 유저가 직감적으로 조작할 수 있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오디오 장치(1)는, 줌 아웃 표시되어 표시 레벨LV가 높은 상태에서 선택 다이얼(11)에 의한 선택 조작이 행해진 경우, 이때의 표시 레벨LV에 근거한 콘텐츠 열LC에 있어서의 선택 음악 콘텐츠MCS에 인접한 음악 콘텐츠MC를 새 로운 선택 음악 콘텐츠MCS로 하기 위해, 전체 콘텐츠 열LC0(도 15)상에서는 선택 음악 콘텐츠MCS로부터 이 선택 음악 콘텐츠MCS에 가장 가까운 선별 음악 콘텐츠MCA까지, 제외 음악 콘텐츠MCZ를 건너뛰어 이동하게 되어, 줌인 표시되어서 표시 레벨이 낮은 경우와 비교하여, 1회의 선택 조작에 의한 이동량을 확대할 수 있다.
또 오디오 장치(1)는, 포커스틀FC1을 통해 유저에 선택 음악 콘텐츠MCS를 변경시킬 때, 선택 다이얼(11)에 대한 선택 조작과 줌 다이얼(12)에 의한 줌 변경 조작을 병용시킴으로써, 선택 조작인 경우와 비교하여 작업 효율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오디오 장치(1)는, 도 16(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콘텐츠 표시부(8)에 전체 표시 레벨LV1에서 섬네일 화상SG를 표시하여 포커스틀FC1에 의해 선택중인 선택 음악 콘텐츠MCS가 콘텐츠J인 상태로부터 콘텐츠S로 변경할 때, 선택 다이얼(11)에 대한 선택 조작만으로 선택 음악 콘텐츠MCS를 순차 변경할 경우, 콘텐츠J, K, L, …, S와 같이 9회의 선택 조작이 필요하게 된다.
이에 대하여 오디오 장치(1)는, 줌 다이얼(12)에 의한 줌 변경 조작을 사용할 경우, 도 16(a)에 나타낸 전체 표시 레벨LV1로부터 줌 변경 조작(이 경우에는 줌 아웃 표시)에 의해 표시 레벨LV를 높여 도 16(b)에 나타낸 주(週)표시 레벨LV2로 바꾸고, 2회의 선택 조작으로 의해 도 21(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포커스틀FC1을 맞추는 대상을 콘텐츠J로부터 콘텐츠R로 이동시키고, 줌 다이얼(12)에 의한 줌 변경 조작(이 경우에는 줌인 표시)에 의해 표시 레벨LV를 낮추어 도 21(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전체 표시 레벨LV1로 바꾸고, 또한 선택 다이얼(11)에 대한 1회의 선택 조작으로 의해 도 21(c)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포커스틀FC1을 맞추는 대상을 콘텐츠R로부터 목적으로 하는 콘텐츠S로 천이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오디오 장치(1)에서는, 2회의 줌 변경 조작과 3회의 이동 조작의 합계 5회의 조작이면 되고, 조작 회수를 대폭 삭감하여 단시간에 원하는 음악 콘텐츠를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실제상 오디오 장치(1)는, 유저에 의한 줌 다이얼(12)의 다이얼 조작에 따라, 년간 랭킹의 순위, 월간 랭킹의 순위, 주간 랭킹의 순위가 1위인 음악 콘텐츠MC만을 선택하고, 그 선택한 음악 콘텐츠MC에 대응한 섬네일 화상SG만을 시계열순으로 나열하여 콘텐츠 표시부(8)에 표시하기 위해, 콘텐츠 표시부(8)에 표시해야 할 섬네일 화상SG를 년단위, 월 단위, 주단위 등으로 나누어 줌 아웃 표시할 수 있고, 각 표시 레벨LV로 선택 음악 콘텐츠MCS를 변경하는 것과 조합함으로써,예를 들면 수천곡에서 수만곡이라는 방대한 수의 음악 콘텐츠MC 안에서 유저가 원하는 음악 콘텐츠MC를 용이하고, 단시간 안에 검색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오디오 장치(1)는, 콘텐츠 표시부(8)에 있어서 서로 인접하는 섬네일 화상SG 사이에, 전체 콘텐츠 열LC0로부터 선별된 제외 음악 콘텐츠MCZ의 존재를 나타내는 선별 마크MT(도 16(B))을 표시함으로써, 서로 인접하는 섬네일 화상SG가 나타내는 2개의 선별 음악 콘텐츠MCA 사이에 선별된 제외 음악 콘텐츠MCZ이 존재하는 것을 유저에 대하여 시각적으로, 또한 직접적으로 인식시킬 수 있다.
또한 오디오 장치(1)는, 전체 콘텐츠 열LC0로부터 선별된 제외 음악 콘텐츠MCZ의 수에 따라 선별 마크MT를 선별 마크MT1∼MT3과 같이 변화시킴으로써, 이 제외 음악 콘텐츠MCZ의 개수(槪數)도 유저에게 인식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유저에게 원하는 음악 콘텐츠MC를 검색시킬 때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더욱더 단시간 안에 검색 처리를 완료시킬 수 있다.
또 오디오 장치(1)는, 유저에 의해 줌 변경 조작을 이루어져 줌 아웃 표시가 행해졌을 경우, 선택 음악 콘텐츠MCS에 관해서 우선도 평가값PV의 값에 상관없이 포커스틀FC1에 의해 선택중인 섬네일 화상SG를 무조건으로 표시함과 동시에, 우선도 평가값PV가 선별 임계값THA이상이 되는 음악 콘텐츠MC의 섬네일 화상SG를 표시함으로써, 선택 음악 콘텐츠MCS가 줌 변경후의 표시 레벨LV에 적합하지 않은 경우라도, 이 선택 음악 콘텐츠MCS의 섬네일 화상SG를 유저에 게 볼 수 있게 한다.
또한 오디오 장치(1)는, 선택 음악 콘텐츠MCS가 각종 조작의 조작 대상으로서 지정되었을 경우, 이 때의 표시 레벨에 따른 콘텐츠 열LC에 있어서, 이 선택 음악 콘텐츠MCS와 그 다음에 위치하는 선별 음악 콘텐츠MCA 사이에 포함되는 모든 제외 음악 콘텐츠MCZ도 조작 대상으로서 지정된 것으로 간주함으로써 예를 들면 리피트 재생이나 음악 콘텐츠MC의 삭제를 행할 때, 복수의 음악 콘텐츠MC를 일괄하여 지시 대상으로 할 수 있고, 유저에게 음악 콘텐츠MC를 개별적으로 선택하지 않아도 된다.
이상의 구성에 의하면, 오디오 장치(1)의 제어부(20)는, 유저의 줌 다이얼(12)을 통한 줌 변경 조작에 의해 설정된 표시 레벨LV에 따라 선별 임계값THA를 선택하고, 선택 음악 콘텐츠MCS를 기점으로 하여 전체 콘텐츠 열LC0로부터 우선도 평가값PV가 이 선별 임계값THA이상인 선별 음악 콘텐츠MCA를 선별하고, 선택 음악 콘텐츠MCS의 섬네일 화상SG을 중심으로, 선별 음악 콘텐츠MCA에 대응한 섬네일 화상SG와 제외 음악 콘텐츠MCZ의 존재를 나타내는 선별 마크MT를 콘텐츠 표시부(8)에 표시하는 것에 의해, 우선도 평가값PV가 높고 유저가 좋아할 가능성이 높은 음악 콘텐츠MC에 대응한 섬네일 화상SG만을, 각 음악 콘텐츠MC의 상대적인 순서를 유지한 채, 유저가 용이하게 시인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제시할 수 있다.
(8)다른 실시예
또한 상기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도 16(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선별 마크MT를1∼3개의 세로직선이 가로방향으로 병렬된 형상으로서 섬네일 화상SG끼리의 사이에 표시하도록 한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고, 이 선별 마크MT를 다른 여러가지의 형상으로서 각 섬네일 화상SG의 근방에 있어서의 다른 여러가지의 위치에 표시하도록 해도 좋다.
예를 들면 도 22(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각 섬네일 화상SG의 아래쪽에 1∼3개의 가로직선이 세로방향으로 병렬된 것 같은 형상의 선별 마크MT를 표시하여, 제외 음악 콘텐츠MCZ의 수에 따라 그 갯수를 변화시키도록 하거나, 도 22(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각 섬네일 화상SG의 아래쪽에 소정 형상의1∼3개 의 도형(예를 들면 둥근점이나 삼각표시 등)으로 이루어지는 선별 마크MT를 표시하여, 제외 음악 콘텐츠MCZ의 수에 따라 그 개수를 변화시키도록 하거나, 또는 도 22(c)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각 섬네일 화상SG의 안쪽에 다른 섬네일 화상SG를 겹치는 시각효과를 주는 선별 마크MT를 표시하여, 제외 음악 콘텐츠MCZ의 수에 따라 그 겹치는 매수를 변화시키도록 해도 좋다.
또 도 22(d)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각 섬네일 화상SG 사이에 소정 형상의 도형(예를 들면 사각형)으로 이루어지는 선별 마크MT를 표시하여, 제외 음악 콘텐츠MCZ의 수에 따라 그 색이나 밝기 등을 변화시키도록 하거나, 도 22(e)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각 섬네일 화상SG 사이에 1개의 세로직선으로 이루어지는 선별 마크MT를 표시하여, 제외 음악 콘텐츠MCZ의 수에 따라 그 길이를 변화시키도록 하거나, 또는 도 22(f)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소정형상의 도형(예를 들면 원)으로 이루어지는 선별 마크MT를 표시하여, 제외 음악 콘텐츠MCZ의 수에 따라 그 사이즈를 변화시켜도 좋다. 또한, 이 때 이 도형의 크기에 따라 섬네일 화상SG끼리의 간격을 변화시키도록 해도 좋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선별 마크MT를 구성하는 세로직선의 갯수에 의해 제외 음악 콘텐츠MCZ의 개수를 나타내도록 했을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면 도 23(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섬네일 화상SG의 아래쪽에 숫자로 이루어지는 선별 마크MT를 나타내어, 제외 음악 콘텐츠MCZ의 수를 이 숫자에 의해 직접적으로 나타내도록 하거나, 도 23(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세로직선과 이 숫자를 조합하여 선별 마크MT로 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콘텐츠 표시부(8)에 표시하는 섬네일 화상SG의 크기를 갖추도록 한 경우에 대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면 도 21(b)와 대응하는 도 24(a)와 같이, 세로방향의 폭이 축소된 섬네일 화상SGP나 가로방향의 폭이 축소된 섬네일 화상SGR과 같이 각 섬네일 화상SG의 가로 세로 비를 변화시키도록 해도 좋다.
또 이 경우, 도 24(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콘텐츠 표시부(8)에 있어서의 각 섬네일 화상SG의 중심위치를 고정시키는 이외에도, 도 24(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섬네일 화상SG끼리의 간격을 일정 폭으로 구비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포커스틀FC1을 콘텐츠 표시부(8)의 거의 중앙에 고정적으로 표시하도록 한 경우에 대해서 서술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면 해당 포커스틀FC1을 콘텐츠 표시부(8)의 우단 또는 좌단의 섬네일 화상SG의 위치에 표시하도록 해도 되고, 또 이 포커스틀FC1을 고정하지 않고, 선택 다이얼(11)에 대한 선택 조작에 따라 좌우로 이동시키도록 해도 된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2)식에 따라 도 1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데이터구조를 가지는 우선도 평가값PV를 선별 임계값THA와 비교함으로써 선별 음악 콘텐츠MCA를 선별하도록 한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고, 다른 여러가지의 산출 방법에 의해 산출된 평가값을 사용하여 선별 음악 콘텐츠MCA를 선별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콘텐츠 표시부(8)에 제외 음악 콘텐츠MC Z에 따른 선별 마크MT를 표시하도록 한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고, 이 선별 마크MT를 표시하지 않도록 해도 좋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표시 레벨LV로서, 전체 표시 레벨LV1, 주표시 레벨LV2, 월 표시 레벨LV3, 년표시 레벨LV4 및 최고평가 표시 레벨LV5의 5단계로 전환하도록 한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면 4단계 이하나 6단계 이상의 표시 레벨로 전환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전체 표시 레벨LV1, 주표시 레벨LV2, 월 표시 레벨LV3, 년표시 레벨LV4 및 최고평가 표시 레벨LV5이외에도, 예를 들면 각 년도에 있어서의 년간 랭킹1위 및 2위의 음악 콘텐츠MC를 선별하여 그 섬네일 화상SG를 표시하는 표시 레벨LV나, 10년 마다 구분된 각 년대에 있어서의 매상 매수가 1위가 되는 음악 콘텐츠MC를 선별하여 그 섬네일 화상SG를 나열하여 표시하는 표시 레벨LV등, 가지가지인 표시 레벨LV를 준비해 두도록 해도 된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임계값TH1∼TH5를 추출 조건으로서 사용하면서 전체 콘텐츠 열LC0로부터 선별 음악 콘텐츠MCA를 선별하도록 한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면 이 임계값TH1∼TH5를 선별해 조건으로서 사용하면서 전체 콘텐츠 열LC0로부터 제외 음악 콘텐츠MCZ을 선별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선별 마크MT를 제외 음악 콘텐츠MCZ의 수에 따라 변화시키도록 한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면 제외 음악 콘텐츠MCZ의 수에 관계없이, 선별 마크MT를 변화 시키지 않도록 해도 좋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전체 콘텐츠 열LC0(도 15)과 같이 모든 음악 콘텐츠MC을 발매 년월일 순으로 나열하도록 한 경우에 대해서 서술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면 곡명의 알파벳순, 5음순, 그리스 문자순, 총매상 매수순이나 템포순 등의 각종 순서에 따라 모든 음악 콘텐츠MC를 나열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콘텐츠 표시부(8)에 5매의 섬네일 화상SG를 표시하도록 한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고, 이 콘텐츠 표시부(8)의 크기나 형상 등에 따라 4매 이하나 6매 이상의 섬네일 화상SG를 표시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줌 변경 조작이 행해져 표시 레벨LV를 변경할 때 섬네일 화상SG의 크기를 유지하도록 하면 된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콘텐츠 표시부(8)에 섬네일 화상SG을 5매 가로로 나열하여 표시함과 동시에, 시간축 바 표시부TB1 및 TB2에 대해서도 가로로 나열하여 표시하도록 한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면 도 25 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콘텐츠 표시부(8)나 시간축 바 표시부TB1 및 TB2등에 관해서도 모두 세로로 배치하고, 그것에 아울러 섬네일 화상SG를 세로로 나열하여 표시함과 동시에 선별 마크MT를 각 섬네일 화상SG 사이에 표시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프런트 패널(7)에 대하여 시간축 바 표시부TB1 및 TB2(도 5등)를 직선 모양으로 배치하도록 한 경우에 대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면 도 2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중앙 하부에 설치된 선택 다이얼(11) 및 줌 다이얼(12)을 중심으로 하여, 그 주위에 따라 만곡모양으로 시간축 바 표시부TB3 및 TB4를 배치하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 선택 다이얼(11) 및 줌 다이얼(12)에 대한 다이얼 조작의 움직임과, 포커스틀FC2의 움직임이 거의 일치하게 되므로, 유저의 조작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음악 콘텐츠MC를 축적하여 재생하는 오디오 장치(1)에 본 발명을 적용하도록 한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면 동작 화상 데이터나 정지화상 데이터, 텍스트 데이터 등의 여러가지의 콘텐츠 데이터를 축적하여 재생하는 콘텐츠 재생장치에 본 발명을 적용하도록 해도 좋다.
또는, 지도상에 설정된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안내하는 네비게이션 장치에 본 발명을 적용하도록 해도 좋다. 예를 들면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 이르는 안내 경로부근에 존재하는 주유소나 레스토랑 등을 경로순으로 아이콘으로 표시할 경우에, 줌 변경 조작에 의해, 표시하는 아이콘을 선별하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 예를 들면 안내 경로로부터의 거리의 가까운 정도에 따라 우선도 평가값PV의 값을 증가시키도록 하고, 또는 유저가 이용하는 빈도의 높이에 따라 이 우선도 평가값PV의 값을 증가시키면 된다.
또한, PC 등과 같이 데이터를 화일 단위로 관리하고, 복수의 화일을 폴더로 분류하여 이 폴더를 계층화해서 관리하는 정보처리장치에 본 발명을 적용하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 줌 변경 조작에 따라 폴더의 계층을 전환하도록 하고, 전환된 계층에 있어서 각 폴더를 대표하는 1개의 화일을 각각 선별하여 화면위에 정렬하면 된다. 이 경우, 화일을 새롭게 갱신함에 따라 우선도 평가값PV의 값을 증가시키고, 또는 화일의 참조 빈도의 높이에 따라 우선도 평가값PV의 값을 증가시켜, 이 우선도 평가값PV를 사용하여 화면 위에 표시하는 화일을 선별하도록 하면 된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회전식의 다이얼로 이루어지는 선택 다이얼(11)(도 1) 및 줌 다이얼(12)을 통해 유저에게 선택 조작 및 줌 변경 조작을 행하도록 한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면 조작 버튼군(9)의 각 버튼과 동일한 푸시식으로 이루어지는 선택 버튼 및 줌 버튼 을 통해 유저에게 선택 조작 및 줌 변경 조작을 행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하드웨어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오디오 장치(1)에 본 발명을 적용하도록 한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면 PC나 휴대전화기 등의 음악재생 기능 및 표시 기능을 가지는 전자기기에 있어서 오디오 플레이어 프로그램이나 섬네일 화상표시 프로그램 등을 실행함으로써, 그 화면 위에 콘텐츠 표시부(8)와 동등한 기능을 가지는 콘텐츠 표시부를 표시하도록 하고, 이 콘텐츠 표시 부내에 섬네일 화상SG를 선별하여 표시하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 소정의 키 조작이나 마우스에 의한 조작을 선택 조작 및 줌 변경 조작으로서 접수하도록 하면 좋다.
또한 오디오 플레이어 프로그램이나 섬네일 화상표시 프로그램 등의 격납 매체로서는, 제어부(20)의 ROM(20B)이나 하드디스크 드라이브(22)등에 미리 기억시켜 두는 외에, 광디스크(4)나 소형 메모리카드(6)등의 외부기억매체로부터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22)에 인스톨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오디오 플레이어 프로그램이나 섬네일 화상표시 프로그램 등을 USB(Universal Serial Bus)나 Ethernet(등록상표)등의 유선방식의 통신케이블 또는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11a/b/g등의 무선LAN(Local Area Network)을 통해 취득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추출 조건설정 수단으로서의 표시조건 설정부(20D)와, 추출 데이터 표시 수단으로서의 배치부 20E에 의하여 데이터 표시장치로서의 오디오 장치(1)을 구성하는 경우에 대해서 서술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고, 그 외 여러가지의 회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선별조건 설정 수단과, 추출 데이터 표시 수단에 의하여 데이터 표시장치를 구성하도록 해도 좋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은, 여러 가지의 콘텐츠를 재생하는 여러가지의 콘텐츠 재생장치에서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체 데이터 중 추출 조건에 적합하여 선별된 추출 데이터만을, 원 데이터열에 있어서의 각 추출 데이터의 상대적인 순서를 유지한 채 소정의 표시 사이즈로 표시할 수 있고, 이리하여 복수의 데이터를 표시할 때의 인식성을 향상할 수 있는 데이터 표시장치, 데이터 표시 방법, 데이터 표시 프로그램을 실현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입력 조작에 따라, 전체 데이터 중 추출 조건에 적합하여 선별된 추출 데이터만을, 원 데이터열에 있어서의 각 추출 데이터의 상대적인 순서를 유지한 채 소정의 표시 사이즈로 표시할 수 있고, 이리하여 복수의 데이터를 표시할 때의 인식성을 향상할 수 있는 그래픽컬 유저 인터페이스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전체 데이터 중 제외 데이터로서 선별되지 않고 남은 추출 데이터만을, 원 데이터열에 있어서의 각 추출 데이터의 상대적인 순서를 유지한 채 소정의 표시 사이즈로 표시할 수 있고, 이리하여 복수의 데이터를 표시할 때의 인식성을 향상할 수 있는 데이터 표시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Claims (13)

  1. 복수의 데이터가 소정 순으로 정렬된 원 데이터열을 기초로 소정의 표시부에 표시해야 할 추출 데이터의 추출 조건을 설정하는 선별조건 설정수단과,
    상기 추출 조건에 따라 상기 원 데이터열을 기초로 추출한 상기 추출 데이터를 상기 소정 순으로 정렬한 추출 데이터열 중 소정범위내의 이 추출 데이터를 각각 소정의 표시 사이즈로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추출 데이터 표시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표시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에 서로 인접하여 표시된 2개의 상기 추출 데이터가 상기 원 데이터열에 있어서 서로 인접하지 않을 경우, 상기 원 데이터열을 구성하는 데이터 중 상기 2개의 추출 데이터의 사이에 정렬되어 있는 상기 데이터가 선별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는 선별정보를 상기 표시부에 있어서의 상기 2개의 추출 데이터의 근방에 표시하는 선별정보 표시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표시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선별정보 표시수단은,
    상기 원 데이터열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추출 데이터의 사이에 정렬되어 있는 상기 데이터의 수에 따라 다른 선별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표시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선별정보는,
    상기 원 데이터열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추출 데이터의 사이에 정렬되어 있는 상기 데이터의 수를 나타내는 숫자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표시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선별정보 표시수단은,
    상기 선별정보를 상기 표시부에 있어서의 상기 2개의 추출 데이터의 거의 중간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표시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선별정보는,
    상기 표시부가 있어서의 상기 추출 데이터열의 정렬 방향과 대략 수직인 직선모양 도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표시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선별정보는,
    상기 원 데이터열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추출 데이터의 사이에 정렬되어 있는 상기 데이터의 수에 따른 개수의 직선모양 도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표시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회전이 자유롭도록 설치되어 유저에 의한 회전량을 조작 지시로서 받아들이는 회전 조작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선별조건 설정수단은,
    상기 회전 조작 수단의 회전량에 따라 상기 추출 조건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표시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 조건설정 수단은,
    미리 상기 복수의 데이터에 각각 설정된 평가값에 대한 소정의 임계값를 사용하여 상기 추출 조건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표시장치.
  10. 복수의 데이터가 소정 순으로 정렬된 원 데이터열을 기초로 소정의 표시부에 표시해야 할 추출 데이터의 추출 조건을 설정하는 선별조건 설정스텝과,
    상기 추출 조건에 따라 상기 원 데이터열을 기초로 추출한 상기 추출 데이터를 상기 소정 순으로 정렬한 추출 데이터열 중 소정범위내의 이 추출 데이터를 각각 소정의 표시 사이즈로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추출 데이터 표시 스텝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표시 방법.
  11. 정보처리장치에 대하여,
    복수의 데이터가 소정 순으로 정렬된 원 데이터열을 기초로 소정의 표시부에 표시해야 할 추출 데이터의 추출 조건을 설정하는 선별조건 설정스텝과,
    상기 추출 조건에 따라 상기 원 데이터열을 기초로 추출한 상기 추출 데이터를 상기 소정 순으로 정렬한 추출 데이터열 중 소정범위내의 이 추출 데이터를 각각 소정의 표시 사이즈로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추출 데이터 표시 스텝을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표시 프로그램을 격납한 기록매체.
  12. 표시부에 표시하는 데이터를 입력 수단에 의해 선택하는 선택 조작과, 이 선택 조작에 따른 정보처리장치에 있어서의 인터페이스 동작을 상기 표시부에 화상으로서 표시하면서 행하는 그래픽컬 유저 인터페이스로서,
    복수의 상기 데이터가 소정 순으로 정렬된 원 데이터열을 기초로 상기 표시부에 표시해야 할 추출 데이터의 추출 조건을 설정하고,
    상기 추출 조건에 따라 상기 원 데이터열을 기초로 추출한 상기 추출 데이터를 상기 소정 순으로 정렬한 추출 데이터열 중 소정범위내의 이 추출 데이터를 각각 소정의 표시 사이즈로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픽컬 유저 인터페이스.
  13. 복수의 데이터가 소정 순으로 정렬된 원 데이터열을 기초로 소정의 표시부에 표시하지 않은 제외 데이터를 선별하기 위한 선별조건을 설정하는 선별조건 설정수단과,
    상기 선별조건에 따라 상기 원 데이터열을 기초로 상기 제외 데이터를 선별한 추출 데이터를 상기 소정 순으로 정렬한 추출 데이터열 중, 소정의 주목 데이터를 중심으로 한 소정범위내의 각 데이터를 각각 소정의 표시 사이즈로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추출 데이터 표시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표시장치.
KR1020060123507A 2005-12-09 2006-12-07 데이터 표시장치, 데이터 표시 방법, 데이터 표시 프로그램및 그래픽컬 유저 인터페이스 KR10139854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356975 2005-12-09
JP2005356975A JP4894252B2 (ja) 2005-12-09 2005-12-09 データ表示装置、データ表示方法及びデータ表示プログラ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1399A true KR20070061399A (ko) 2007-06-13
KR101398540B1 KR101398540B1 (ko) 2014-05-27

Family

ID=379983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3507A KR101398540B1 (ko) 2005-12-09 2006-12-07 데이터 표시장치, 데이터 표시 방법, 데이터 표시 프로그램및 그래픽컬 유저 인터페이스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7900161B2 (ko)
EP (1) EP1798647A3 (ko)
JP (1) JP4894252B2 (ko)
KR (1) KR101398540B1 (ko)
CN (1) CN100456304C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84747A (ko) * 2009-01-19 2010-07-2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정보 제어 장치 및 방법
WO2012033306A2 (en) * 2010-09-10 2012-03-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software,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data object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69165B1 (fr) 1997-09-26 2002-11-29 Technical Maintenance Corp Systeme sans fil a transmission numerique pour haut-parleurs
FR2781591B1 (fr) 1998-07-22 2000-09-22 Technical Maintenance Corp Systeme de reproduction audiovisuelle
FR2781580B1 (fr) 1998-07-22 2000-09-22 Technical Maintenance Corp Circuit de commande de son pour systeme de reproduction audiovisuelle numerique intelligent
FR2796482B1 (fr) 1999-07-16 2002-09-06 Touchtunes Music Corp Systeme de gestion a distance d'au moins un dispositif de reproduction d'informations audiovisuelles
FR2805377B1 (fr) 2000-02-23 2003-09-12 Touchtunes Music Corp Procede de commande anticipee d'une selection, systeme numerique et juke-box permettant la mise en oeuvre du procede
FR2805060B1 (fr) 2000-02-16 2005-04-08 Touchtunes Music Corp Procede de reception de fichiers lors d'un telechargement
FR2805072B1 (fr) 2000-02-16 2002-04-05 Touchtunes Music Corp Procede d'ajustement du volume sonore d'un enregistrement sonore numerique
FR2808906B1 (fr) 2000-05-10 2005-02-11 Touchtunes Music Corp Dispositif et procede de gestion a distance d'un reseau de systemes de reproduction d'informations audiovisuelles
FR2811175B1 (fr) 2000-06-29 2002-12-27 Touchtunes Music Corp Procede de distribution d'informations audiovisuelles et systeme de distribution d'informations audiovisuelles
FR2811114B1 (fr) 2000-06-29 2002-12-27 Touchtunes Music Corp Dispositif et procede de communication entre un systeme de reproduction d'informations audiovisuelles et d'une machine electronique de divertissement
FR2814085B1 (fr) 2000-09-15 2005-02-11 Touchtunes Music Corp Procede de divertissement base sur les jeux concours a choix multiples
US7822687B2 (en) 2002-09-16 2010-10-26 Francois Brillon Jukebox with customizable avatar
US8103589B2 (en) 2002-09-16 2012-01-24 Touchtunes Music Corporation Digital downloading jukebox system with central and local music servers
US8332895B2 (en) 2002-09-16 2012-12-11 Touchtunes Music Corporation Digital downloading jukebox system with user-tailored music management, communications, and other tools
US10373420B2 (en) 2002-09-16 2019-08-06 Touchtunes Music Corporation Digital downloading jukebox with enhanced communication features
US9646339B2 (en) 2002-09-16 2017-05-09 Touchtunes Music Corporation Digital downloading jukebox system with central and local music servers
US11029823B2 (en) 2002-09-16 2021-06-08 Touchtunes Music Corporation Jukebox with customizable avatar
US8584175B2 (en) 2002-09-16 2013-11-12 Touchtunes Music Corporation Digital downloading jukebox system with user-tailored music management, communications, and other tools
JP4437548B2 (ja) * 2005-12-09 2010-03-24 ソニー株式会社 音楽コンテンツ表示装置、音楽コンテンツ表示方法及び音楽コンテンツ表示プログラム
JP4894252B2 (ja) * 2005-12-09 2012-03-14 ソニー株式会社 データ表示装置、データ表示方法及びデータ表示プログラム
JP4945236B2 (ja) * 2006-12-27 2012-06-06 株式会社東芝 映像コンテンツ表示装置、映像コンテンツ表示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
US9171419B2 (en) 2007-01-17 2015-10-27 Touchtunes Music Corporation Coin operated entertainment system
US8762882B2 (en) 2007-02-05 2014-06-24 Sony Corporatio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for use therein, and computer program
JP5343332B2 (ja) * 2007-07-03 2013-11-13 株式会社ニコン 画像表示プログラム、画像表示装置、および画像表示方法
US20090063981A1 (en) * 2007-09-03 2009-03-05 Canon Kabushiki Kaisha Display contro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JP5188124B2 (ja) * 2007-09-03 2013-04-24 キヤノン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記録媒体
US8332887B2 (en) 2008-01-10 2012-12-11 Touchtunes Music Corporation System and/or methods for distributing advertisements from a central advertisement network to a peripheral device via a local advertisement server
US10290006B2 (en) 2008-08-15 2019-05-14 Touchtunes Music Corporation Digital signage and gaming services to comply with federal and state alcohol and beverage laws and regulations
US7895157B2 (en) * 2007-11-19 2011-02-22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playing back previously published content
US20090177965A1 (en) * 2008-01-04 2009-07-0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utomatic manipulation of conflicting media presentations
US20090222729A1 (en) * 2008-02-29 2009-09-03 Deshpande Sachin G Methods and Systems for Audio-Device Activation
JP2009252250A (ja) * 2008-04-01 2009-10-29 Alpine Electronics Inc コンテンツ再生装置およびコンテンツ再生方法
JP5016541B2 (ja) * 2008-04-01 2012-09-05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TW200945165A (en) * 2008-04-22 2009-11-01 Htc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graphic menu bar and recording medium using the same
US8947460B2 (en) 2008-04-22 2015-02-03 Htc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graphic menu bar and recording medium using the same
TWI361377B (en) * 2008-04-24 2012-04-01 Htc Corp Method for switching user interface, electronic device and recording medium using the same
KR101457404B1 (ko) * 2008-06-13 2014-11-06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액자 및 그의 이미지 표시방법
US8849435B2 (en) 2008-07-09 2014-09-30 Touchtunes Music Corporation Digital downloading jukebox with revenue-enhancing features
JP5215105B2 (ja) * 2008-09-30 2013-06-19 オリンパスメディカ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画像表示方法、および画像表示プログラム
JP5231928B2 (ja) * 2008-10-07 2013-07-10 株式会社ソニー・コンピュータエンタテインメント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
JP5231160B2 (ja) * 2008-10-21 2013-07-10 オリンパスメディカ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画像表示方法、および画像表示プログラム
JP5419417B2 (ja) * 2008-10-29 2014-02-19 京セラ株式会社 携帯端末および表示制御プログラム
US9652117B2 (en) 2009-02-18 2017-05-1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isplaying a representation of data in conditions of limited visual space
US8572513B2 (en) 2009-03-16 2013-10-29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oving a current position in content at a variable scrubbing rate
US10564804B2 (en) 2009-03-18 2020-02-18 Touchtunes Music Corporation Digital jukebox device with improved user interfaces, and associated methods
CN102449658A (zh) 2009-03-18 2012-05-09 踏途音乐公司 娱乐服务器及相关的社交网络系统
US10719149B2 (en) 2009-03-18 2020-07-21 Touchtunes Music Corporation Digital jukebox device with improved user interfaces, and associated methods
US9292166B2 (en) 2009-03-18 2016-03-22 Touchtunes Music Corporation Digital jukebox device with improved karaoke-related user interfaces, and associated methods
JP5362427B2 (ja) * 2009-04-24 2013-12-11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検索結果表示方法及び装置、並びに検索結果表示プログラム
JP5326802B2 (ja) * 2009-05-19 2013-10-30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画像拡大縮小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
JP5423199B2 (ja) * 2009-07-17 2014-02-19 三菱電機株式会社 映像記録再生装置および映像記録再生方法
EP2568775A3 (en) 2010-01-26 2014-06-25 Touchtunes Music Corporation Digital jukebox device with improved user interfaces, and associated methods
JP2011254240A (ja) 2010-06-01 2011-12-15 Sony Corp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5556398B2 (ja) * 2010-06-08 2014-07-23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5429060B2 (ja) * 2010-06-08 2014-02-26 ソニー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表示制御プログラム並びにこの表示制御プログラムが記録された記録媒体
JP5561031B2 (ja) * 2010-08-30 2014-07-30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表示処理装置、スクロール表示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12165240A (ja) 2011-02-08 2012-08-30 Sony Corp 動画像処理装置、動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AU2011202182B1 (en) 2011-05-11 2011-10-13 Frequency Ip Holdings, Llc Creation and presentation of selective digital content feeds
JP5849502B2 (ja) 2011-08-01 2016-01-27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9244584B2 (en) 2011-08-26 2016-01-26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navigating and previewing content items
AU2012308184B2 (en) 2011-09-18 2015-08-06 Touch Tunes Music Corporation Digital jukebox device with karaoke and/or photo booth features, and associated methods
KR101127883B1 (ko) * 2011-09-26 2012-03-21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기술 생명 주기 그래프를 이용한 기술 추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US11151224B2 (en) 2012-01-09 2021-10-19 Touchtunes Music Corporation Systems and/or methods for monitoring audio inputs to jukebox devices
AU343991S (en) * 2012-02-03 2012-08-21 Lg Electronics Inc Television receiver
US20130215144A1 (en) * 2012-02-20 2013-08-22 Sony Corporation Display control device and display control method
JP5778231B2 (ja) * 2012-04-17 2015-09-16 シャープ株式会社 メニュー表示装置、メニュー表示方法、メニュー表示プログラム、メニュー表示装置を備えたテレビジョン受像機、及び、記録媒体
JP5684300B2 (ja) * 2013-02-01 2015-03-11 オリンパスメディカ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画像表示方法、および画像表示プログラム
JP5834042B2 (ja) * 2013-04-12 2015-12-16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診療情報表示制御装置および診療情報表示制御方法並びに診療情報表示制御プログラム
WO2015070070A1 (en) 2013-11-07 2015-05-14 Touchtunes Music Corporation Techniques for generating electronic menu graphical user interface layou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electronic devices
USD753146S1 (en) * 2013-12-30 2016-04-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53149S1 (en) * 2013-12-30 2016-04-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20150205492A1 (en) * 2014-01-20 2015-07-23 John B. Nobil Navigating audio content and selecting portions thereof using circular dial on user interface
JP6270263B2 (ja) * 2014-01-23 2018-01-31 シャープ株式会社 情報管理システムおよび情報処理装置
AU2015236102A1 (en) 2014-03-25 2016-11-03 Touchtunes Music Corporation Digital jukebox device with improved user interfaces, and associated methods
KR20150122510A (ko) * 2014-04-23 2015-1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 표시 장치 및 그것의 제어방법
WO2016036510A1 (en) 2014-09-02 2016-03-10 Apple Inc. Music user interface
JP6343544B2 (ja) 2014-10-17 2018-06-13 矢崎総業株式会社 車両用操作表示装置
US10414274B2 (en) * 2014-11-26 2019-09-17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Channel selection interface for a vehicle
JP2017010481A (ja) * 2015-06-26 2017-01-12 シャープ株式会社 コンテンツ表示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6172251B2 (ja) * 2015-12-04 2017-08-02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11431836B2 (en) 2017-05-02 2022-08-30 Apple Inc. Methods and interfaces for initiating media playback
US10992795B2 (en) 2017-05-16 2021-04-27 Apple Inc. Methods and interfaces for home media control
US10928980B2 (en) 2017-05-12 2021-02-23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playing and managing audio items
CN111343060B (zh) 2017-05-16 2022-02-11 苹果公司 用于家庭媒体控制的方法和界面
US20220279063A1 (en) 2017-05-16 2022-09-01 Apple Inc. Methods and interfaces for home media control
EP3447623B1 (en) 2017-08-22 2020-01-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1010121B2 (en) 2019-05-31 2021-05-18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audio media control
KR20220027295A (ko) 2019-05-31 2022-03-07 애플 인크. 오디오 미디어 제어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JP6854538B2 (ja) * 2019-06-25 2021-04-07 株式会社ユピテル 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7333761B2 (ja) * 2020-01-30 2023-08-25 シャープ株式会社 システム及び画像形成システム
US11392291B2 (en) 2020-09-25 2022-07-19 Apple Inc. Methods and interfaces for media control with dynamic feedback

Family Cites Families (6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57433A (en) 1994-05-19 1997-08-12 Hitachi, Ltd. Method for generating, managing and displaying information retrieval data o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DE69523423T2 (de) * 1994-12-16 2002-06-27 Canon Kk Anzeigeverfahren von hierarchischen Daten und Informationssystem zur Durchführung
JPH0990973A (ja) 1995-09-22 1997-04-04 Nikon Corp 音声処理装置
US5966121A (en) 1995-10-12 1999-10-12 Andersen Consulting Llp Interactive hypervideo editing system and interface
JPH1021261A (ja) 1996-07-05 1998-01-23 Hitachi Ltd マルチメディアデータベース検索方法及びシステム
JP3847915B2 (ja) * 1997-09-10 2006-11-22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方法及び装置
US5898431A (en) * 1996-12-31 1999-04-2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atabase graphical user interface with calendar view
CN1167265C (zh) 1997-06-30 2004-09-15 富士写真胶片株式会社 图像通信系统及其方法
US5953017A (en) * 1997-07-31 1999-09-1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ompressed object display
US6628312B1 (en) * 1997-12-02 2003-09-30 Inxight Software, Inc. Interactive interface for visualizing and manipulating multi-dimensional data
JP4042928B2 (ja) * 1998-04-08 2008-02-06 シャープ株式会社 情報機器および記録媒体
US6538698B1 (en) * 1998-08-28 2003-03-25 Flashpoint Technology, Inc. Method and system for sorting images in an image capture unit to ease browsing access
JP2000122781A (ja) 1998-10-20 2000-04-28 Sony Corp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提供媒体
US6774917B1 (en) 1999-03-11 2004-08-10 Fuji Xerox Co., Ltd. Methods and apparatuses for interactive similarity searching, retrieval, and browsing of video
US6751354B2 (en) 1999-03-11 2004-06-15 Fuji Xerox Co., Ltd Methods and apparatuses for video segmentation, classification, and retrieval using image class statistical models
US6498955B1 (en) * 1999-03-19 2002-12-24 Accenture Llp Member preference control of an environment
DE60027637T2 (de) 1999-05-06 2006-09-28 Seiko Epson Corp. Netzwerkverwaltungssystem
US7039860B1 (en) 1999-10-01 2006-05-02 Netspinner Solutions As Creating web pages category list prior to the list being served to a browser
US6526411B1 (en) * 1999-11-15 2003-02-25 Sean Ward System and method for creating dynamic playlists
US6473751B1 (en) * 1999-12-10 2002-10-29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ethod and apparatus for defining search queries and user profiles and viewing search results
JP2001297090A (ja) * 2000-04-13 2001-10-26 Konica Corp 画像データ検索方法、画像表示方法、データ検索システム、画像編集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憶媒体
KR20040041082A (ko) 2000-07-24 2004-05-13 비브콤 인코포레이티드 멀티미디어 북마크와 비디오의 가상 편집을 위한 시스템및 방법
JP3777087B2 (ja) * 2000-11-14 2006-05-24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ーション デ―タ表示システム、データ表示方法、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および記録媒体
US6629104B1 (en) * 2000-11-22 2003-09-30 Eastman Kodak Company Method for adding personalized metadata to a collection of digital images
JP4354806B2 (ja) * 2001-05-31 2009-10-28 キヤノン株式会社 動画像管理装置及び方法
JP3731525B2 (ja) 2001-11-09 2006-01-05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システム、並びにプログラム
JP4088749B2 (ja) 2001-11-09 2008-05-21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US20030128103A1 (en) * 2002-01-04 2003-07-10 Fitzpatrick Robert C. Multi-position display for vehicle
KR100502710B1 (ko) 2002-05-24 2005-07-20 주식회사 아이큐브 광 디스크 재생 장치
US7558318B2 (en) * 2002-06-11 2009-07-07 Sanyo Electric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images,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 and reproducing images, and television receiver utilizing the same
EP1516287A1 (en) * 2002-06-27 2005-03-23 MJW Corporation Interactive video tour system editor
JP2004135122A (ja) 2002-10-11 2004-04-30 Ricoh Co Ltd 画像データ入出力装置、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US20040098379A1 (en) 2002-11-19 2004-05-20 Dan Huang Multi-indexed relationship media organization system
US7327347B2 (en) * 2002-12-23 2008-02-05 Fuji Xerox Co., Ltd. Image classifying systems and methods
JP4056915B2 (ja) * 2003-03-25 2008-03-05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画像表示方法及びプリント注文受付装置並びにプリント注文受付システム
US20050114374A1 (en) * 2003-04-04 2005-05-26 Juszkiewicz Henry E. User interface for a combination compact disc recorder and player system
JP4228767B2 (ja) * 2003-04-25 2009-02-25 ソニー株式会社 再生装置、再生方法、再生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4240293B2 (ja) 2003-05-27 2009-03-18 株式会社ソニー・コンピュータエンタテインメント マルチメディア再生装置およびマルチメディア再生方法
JP2005031830A (ja) 2003-07-09 2005-02-03 Fuji Photo Film Co Ltd 画像表示方法及び画像表示用プログラム
JP2005062971A (ja) 2003-08-19 2005-03-10 Pioneer Electronic Corp コンテンツ検索システム
JP2007507149A (ja) 2003-09-25 2007-03-22 サムスン エレクトロニクス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イメージ及びビデオデータのディスプレイ装置及びディスプレイ方法と該方法を行うプログラムが記録された記録媒体
US6990637B2 (en) * 2003-10-23 2006-01-24 Microsoft Corporation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3-dimensional view of a data collection based on an attribute of the data
JP4182857B2 (ja) * 2003-10-24 2008-11-19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画像表示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5135519A (ja) * 2003-10-30 2005-05-26 Fujitsu Ten Ltd 音楽再生装置
US20050108643A1 (en) 2003-11-17 2005-05-19 Nokia Corporation Topographic presentation of media files in a media diary application
US20050185225A1 (en) 2003-12-12 2005-08-25 Brawn Dennis E. Methods and apparatus for imaging documents
US7836091B2 (en) 2003-12-19 2010-11-16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access to an embedded thumbnail image
US7437005B2 (en) * 2004-02-17 2008-10-14 Microsoft Corporation Rapid visual sorting of digital files and data
WO2005088475A1 (de) 2004-03-16 2005-09-22 Siemens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r darstellung von fotos und kommunikationsgerät
US20050234896A1 (en) * 2004-04-16 2005-10-20 Nobuyuki Shima Image retrieving apparatus, image retrieving method and image retrieving program
KR100918905B1 (ko) 2004-05-10 2009-09-23 소니 컴퓨터 엔터테인먼트 인코포레이티드 멀티미디어 재생장치 및 메뉴 화면 표시방법
KR101058007B1 (ko) 2004-05-18 2011-08-19 삼성전자주식회사 기록 매체에 저장된 데이터를 삭제하는 방법 및 삭제된데이터를 복원하는 방법
CN101807420B (zh) * 2004-09-08 2012-07-25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用于再现彼此相关的图形数据和应用程序的再现装置、再现方法和程序
US7519923B2 (en) * 2004-10-20 2009-04-1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for generating a tree view of elements in a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EP2081338B1 (en) * 2004-11-02 2013-12-25 Core Wireless Licensing S.a.r.l. Indication of usage restricted content to a recipient terminal
US7383503B2 (en) * 2005-02-23 2008-06-03 Microsoft Corporation Filtering a collection of items
US20070022382A1 (en) 2005-07-22 2007-01-25 Petteri Honkaniemi Digital content management user interface, apparatus and system thereof
US7548958B2 (en) * 2005-08-08 2009-06-16 Rowe International Corporation Quick pick apparatus and method for music selection
US8769408B2 (en) * 2005-10-07 2014-07-01 Apple Inc. Intelligent media navigation
JP4894252B2 (ja) * 2005-12-09 2012-03-14 ソニー株式会社 データ表示装置、データ表示方法及びデータ表示プログラム
JP4437548B2 (ja) 2005-12-09 2010-03-24 ソニー株式会社 音楽コンテンツ表示装置、音楽コンテンツ表示方法及び音楽コンテンツ表示プログラム
US7840899B2 (en) * 2006-06-02 2010-11-23 Microsoft Corporation Strategies for navigating through a list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84747A (ko) * 2009-01-19 2010-07-2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정보 제어 장치 및 방법
WO2012033306A2 (en) * 2010-09-10 2012-03-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software,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data objects
WO2012033306A3 (en) * 2010-09-10 2012-06-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software,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data objec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456304C (zh) 2009-01-28
EP1798647A3 (en) 2009-12-30
KR101398540B1 (ko) 2014-05-27
JP2007164298A (ja) 2007-06-28
US20070220431A1 (en) 2007-09-20
EP1798647A2 (en) 2007-06-20
JP4894252B2 (ja) 2012-03-14
US7900161B2 (en) 2011-03-01
US20100257484A1 (en) 2010-10-07
CN1979495A (zh) 2007-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61399A (ko) 데이터 표시장치, 데이터 표시 방법, 데이터 표시 프로그램및 그래픽컬 유저 인터페이스
KR101289687B1 (ko) 데이터 표시장치, 데이터 표시 방법 및 데이터 표시프로그램
US9939989B2 (en) User interface for displaying and playing multimedia contents,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886740B (zh) 用于从信息源检索信息的方法和装置
US8700635B2 (en) Electronic device, data processing method, data control method, and content data processing system
JP5968337B2 (ja) メディア推薦を提供する方法および装置
US20080066016A1 (en) Media manager with integrated browsers
KR20070077444A (ko) 콘텐츠 재생장치, 콘텐츠 재생방법 및 기록매체
US8458616B2 (en) Data display method and reproduction apparatus
JP2007179400A (ja) コンテンツ情報検索装置及び方法
US20140195522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content transfer system and computer program
JP2010152970A (ja) 階層メニューによるコンテンツの検索装置および検索方法、コンテンツ再生装置
CN101246412B (zh) 显示器件及方法
US20120271830A1 (en) Data processing device
JP4329603B2 (ja) 動画編集装置及び動画編集方法
JP2007213748A (ja) オーディオ処理装置及びオーディオファイル情報提示方法
KR101218906B1 (ko) 셋톱박스를 이용한 영상 장치 및 상기 셋톱박스를 이용한 컨텐츠 선택 재생 방법
JP2005276337A (ja) 再生装置
JP2007299508A (ja) 再生装置、コンテンツ選択方法、記録媒体
JP2011118994A (ja) オーディオ再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