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49536A - 골프 클럽 - Google Patents

골프 클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49536A
KR20070049536A KR1020060018590A KR20060018590A KR20070049536A KR 20070049536 A KR20070049536 A KR 20070049536A KR 1020060018590 A KR1020060018590 A KR 1020060018590A KR 20060018590 A KR20060018590 A KR 20060018590A KR 20070049536 A KR20070049536 A KR 200700495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olf club
shaft
moment
head
ma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85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와따루 반
Original Assignee
브리지스톤 스포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브리지스톤 스포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브리지스톤 스포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495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953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0/00Details or accessories of gol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4Heads
    • A63B53/0466Heads wood-typ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olf Club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타구의 비거리 증대와 헤드의 효과적인 상태를 양립할 수 있는 우드형 골프 클럽을 제공하는 것이다.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의 일단부에 장착된 그립과, 상기 샤프트의 타단부에 장착된 헤드를 구비한 우드형 골프 클럽에 있어서, 상기 골프 클럽의 질량[m(g)]과, 상기 골프 클럽의 상기 그립측의 단부로부터 상기 골프 클럽의 중심 위치까지의 거리[L(cm)]가, m × L2 > 2.280 × 106(g·㎠), 또한 m × L2 > 140 × m × L - (5.95 × m - 417) × 103을 만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골프 클럽, 샤프트, 그립, 골프공, 헤드

Description

골프 클럽 {GOLF CLUB}
도1의 (a)는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한 골프 클럽(A)의 설명도, (b)는 샤프트(1)의 설명도.
도2의 (a)는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의 수치를 나타낸 도면, (b)는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의 평가 결과를 나타낸 도면.
도3은 식 1 및 식 2에 의해 나타내는 1차 모멘트(M) 및 2차 모멘트(I)의 범위를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 골프 클럽
1 : 샤프트
2 : 그립
3 : 헤드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평8-173577호 공보
[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제2005-198816호 공보
[문헌 3] 일본 특허 공개 제2001-46563호 공보
본 발명은 골프 클럽에 관한 것으로, 특히 드라이버, 페어웨이 우드 등의 우드형 골프 클럽에 관한 것이다.
골프 클럽의 성능을 좌우하는 요소로서, 골프 클럽의 1차 모멘트와 2차 모멘트(관성 모멘트)가 있다. 골프 클럽의 질량을 m, 골프 클럽의 그립측의 단부로부터 골프 클럽의 중심(重心) 위치까지의 거리를 L로 두면, 1차 모멘트는 m × L로, 2차 모멘트는 m × L2로 표시된다.
특허 문헌 1 및 2에는 골프 클럽의 1차 모멘트에 착안한 골프 클럽이 개시되어 있고, 1차 모멘트를 작게 하면 골퍼가 헤드 스피드를 향상시키기 쉬워 타구의 비거리를 증대시키는 것을 기대할 수 있는 반면, 골프 클럽이 경량인 것이 되어 스윙시의 클럽의 궤도가 불안정해져 타구의 방향성이 나빠지는 것이 지적되어 있다.
특허 문헌 3에는 골프 클럽의 2차 모멘트를 고려한 골프 클럽이 개시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골프 클럽의 2차 모멘트는 헤드의 효과를 좌우하는 요소인 것이 알려져 있다. 2차 모멘트가 크면 헤드의 효과적인 상태가 좋아져 골프 클럽을 스윙하기 쉬워진다. 또한, 타구의 방향성도 좋아진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평8-173577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제2005-198816호 공보
[특허 문헌 3]
일본 특허 공개 제2001-46563호 공보
그러나, 2차 모멘트를 크게 하면, 일반적으로는 이에 따라서 1차 모멘트도 커진다. 따라서, 헤드 스피드가 저하되어, 타구의 비거리 증대를 방해하는 요인이 된다. 종래의 골프 클럽은 1차 모멘트 또는 2차 모멘트 중 어느 하나에만 착안되어 있어, 우드형 골프 클럽에 요구되는 타구의 비거리 증대와 헤드의 효과적인 상태를 양립하는 것은 곤란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타구의 비거리 증대와 헤드의 효과적인 상태를 양립할 수 있는 우드형 골프 클럽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1차 모멘트를 가능한 한 작게 하면서 2차 모멘트를 가능한 한 크게 함으로써 타구의 비거리 증대와 헤드의 효과적인 상태의 양립을 실현하는 새로운 발상에 근거한 것이다. 여기서, 상술한 바와 같이 1차 모멘트와 2차 모멘트의 증감은 기본적으로 같은 경향에 있고, 또한 골프 클럽이나 그 구성 부품의 길이나 질량에도 실용상 일정한 제약이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의 일단부에 장착된 그립과, 상기 샤프트의 타단부에 장착된 헤드를 구비한 우드형 골프 클럽에 있어서, 상기 골프 클럽의 질량[m(g)]과, 상기 골프 클럽의 상기 그립측의 단부로부터 상기 골프 클럽 의 중심 위치까지의 거리[L(cm)]가, m × L2 > 2.280 × 106(g·㎠), 또한 m × L2 > 140 × m × L - (5.95 × m - 417) × 103을 만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골프 클럽이나 그 구성 부품의 길이나 질량의 실용상의 제약을 만족시킨 범위에서, 1차 모멘트(m × L)가 비교적 작고, 또한 2차 모멘트(m × L2)가 비교적 큰 골프 클럽이 제공된다. 이 결과, 타구의 비거리 증대와 헤드의 효과적인 상태를 양립할 수 있다.
도1의 (a)는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한 우드형 골프 클럽(A)의 설명도이다. 골프 클럽(A)은 샤프트(1)와, 샤프트(1)의 일단부에 장착된 그립(2)과, 샤프트(1)의 타단부에 장착된 헤드(3)를 구비한다. 헤드(3)는 골프공의 타격면이 되는 페이스부(3a)와, 헤드(3)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소울부(3b)를 구비한다.
도면 중, Lw는 골프 클럽(A)의 전체 길이를 나타내고, 골프 클럽(A)의 그립(2)측의 단부와, 샤프트(1)의 축선(La)과 소울부(3b)의 교점 사이의 길이를 나타낸다. 점(P1)은 골프 클럽(A)의 중심 위치를 나타내며, 샤프트(1)가 대략 수평인 상태에서 골프 클럽(A)이 균형잡히는 위치이다. 점(P2)은 골프 클럽(A)의 그립(2)측의 단부로부터 축선(La) 방향으로 14 인치(35.56 ㎝)의 위치를 나타낸다.
여기서, 골프 클럽(A)의 질량(총 질량)을 m(g), 골프 클럽(A)의 그립(2)측의 단부로부터 중심 위치(P1)까지의 거리(이하, 중심 거리라 함)를 L(cm)이라 하면, 골프 클럽(A)의 1차 모멘트[M(g·cm)]와, 2차 모멘트[I(g·㎠)]는 하기 식으로 나타낸다.
M = m × L
I = m × L2
본 실시 형태는 1차 모멘트(M)를 가능한 한 작게 하면서 2차 모멘트(I)를 가능한 크게 함으로써 타구의 비거리 증대와 헤드의 효과적인 상태의 양립을 실현하는 것이다. 여기서, 2차 모멘트(I)는 1차 모멘트(M)에 중심 거리(L)를 승산한 값이므로, 1차 모멘트(M)와 2차 모멘트(I)의 증감은 기본적으로 같은 경향에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골프 클럽이나 그 구성 부품의 길이나 질량에도 실용상 일정한 제약이 있고, 우드형 골프 클럽의 경우, 예를 들어 그립의 질량은 40 내지 55 g 정도, 샤프트는 40 내지 65 g 정도, 헤드는 180 내지 200 g 정도이며, 골프 클럽의 총 질량은 260 내지 340 g 정도이다.
그래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질량(m)과 중심 거리(L)가,
m × L2 > 2.280 × 106(g·㎠) : 식 1, 또한
m × L2 > 140 × m × L - (5.95 × m - 417) × 103 : 식 2
를 만족시키도록 설정된다. 식 1 및 식 2는, 상기한 1차 모멘트(M)와, 2차 모멘트(I)에 의해 나타내면 하기와 같다.
식 1 : I > 2.280 × 106(g·㎠)
식 2 : I > 140 × M - (5.95 × m - 417) × 103
2차 모멘트(I)는, 바람직하게는 하기의 범위로 설정된다.
2.280 × 106(g·㎠) < I ≤ 2.500 × 106(g·㎠)
상기 식 1 및 식 2는, 예를 들어 골프 클럽(A)의 구성 부품인 샤프트(1), 그립(2), 헤드(3)의 질량이나 중심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실현된다. 도3은 식 1 및 식 2에 의해 나타내는 1차 모멘트(M) 및 2차 모멘트(I)의 범위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식 1 및 식 2를 만족시키는 경우, 도3의 선으로 구획되는 영역 중, 화살표로 나타내는 측의 영역에 1차 모멘트(M) 및 2차 모멘트(I)가 설정되게 된다. 화살표로 나타내는 측의 영역은 1차 모멘트(M)는 비교적 작고, 2차 모멘트(I)가 비교적 큰 영역이다. 이 영역은 골프 클럽(A)의 질량(m)에 좌우된다(도3의 m1, m2, m3).
그리고, 본 실시 형태의 골프 클럽(A)은 골프 클럽(A)이나 그 구성 부품의 길이나 질량의 실용상의 제약을 만족시킨 범위에서, 1차 모멘트(M)가 비교적 작고, 또한 2차 모멘트(I)가 비교적 큰 골프 클럽이 되어, 타구의 비거리 증대와 헤드의 효과적인 상태를 양립할 수 있다.
골프 클럽(A)의 질량(m)은 260(g) 이상 300(g)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골프 클럽(A)이 지나치게 가벼우면 골퍼가 스윙 난이함을 느끼는 경우가 있지만, 질량(m)이 이 범위이면 골프 클럽(A)의 스윙 난이함을 해소하면서 상기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골프 클럽(A)의 전체 길이(Lw)를 104.14 ㎝ 이상 127.00 ㎝ 이하(41 인치 이상 50 인치 이하)로 하고, 헤드(3)의 페이스부(3a)의 로프트각을 25도 이하로 할 수도 있다. 골프 클럽의 전체 길이 및 로프트각을 이 수치 범위로 하는 것 은, 타구의 비거리 증대가 중시되는 드라이버나 페어 우드 등의 우드형 골프 클럽에 적합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골프 클럽(A)을 드라이버로 하는 경우에는, 전체 길이(Lw)를 111.76 ㎝ 이상 121.92 ㎝ 이하(44 인치 이상 48 인치 이하), 로프트각을 5도 이상 15도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골프 클럽(A)은 그 클럽 균형이 14 인치법으로 C7 내지 D5인 것이 바람직하다. 14 인치법이라 함은 골프 클럽의 밸런스를 평가하는 주지의 방법이며, 도1의 (a)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점(P2)을 지지점으로 하여 샤프트(1)를 대략 수평으로 유지한 경우의, 골프 클럽(A)의 그립(2)측의 단부의 하중을 환산하여 평가 지표로 하는 것이다. 골프 클럽(A)의 클럽 균형을 상기의 범위로 하면, 일반적인 골프 클럽의 클럽 균형의 범위에서 상기 효과를 얻을 수 있어, 일반적인 골프 클럽과 비교하여 위화감 없이 어드레스 및 스윙을 할 수 있다. 또한, 골프 클럽(A)의 클럽 균형이 14 인치법으로 C8 내지 D2라 하면 더욱 바람직하다.
여기서, 골프 클럽(A)의 1차 모멘트(M)를 보다 작고, 2차 모멘트(I)를 보다 크게 하기 위해서는 중심 거리(L)가 중요해진다. 즉, 중심 거리(L)를 보다 크게 하면 2차 모멘트를 보다 크게 할 수 있다. 중심 거리(L)를 크게 해도 질량(m)을 작게 하면 1차 모멘트(M)는 작아진다.
이로 인해, 예를 들어 그립(2)의 질량을 40(g)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골프 클럽(A)의 그립(2)측을 가볍게 함으로써, 중심 거리(L)를 보다 크게 확보하기 쉬워져, 상기 식 1 및 식 2를 만족시키는 것이 용이화된다. 단, 그립(2)을 지나치게 경량화하면, 그립(2)의 두께가 얇아져 골퍼의 그립감을 손상시킬 우려가 있다. 그래서, 더욱 바람직하게는 그립(2)의 질량이 25(g) 이상 40(g) 이하로 한다. 이 범위이면, 그립(2)의 그립감을 크게 손상시키지 않고 상기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중심 거리(L)를 보다 크게 하기 위해, 샤프트(1)의 수치를 고안할 수도 있다. 도1의 (b)는 샤프트(1)의 설명도이다. 도면 중, Ls는 샤프트(1)의 전체 길이를 나타내고, 또한 점(P3)은 샤프트(1)의 단일 부재의 중심 위치를 나타내고, 샤프트(1)가 대략 수평인 상태에서 샤프트(1)가 균형잡히는 위치이다. L'는 샤프트(1)의 헤드(3)측(칩측)의 단부로부터 중심 위치(P3)까지의 거리이다.
그리고, 예를 들어 샤프트(1)의 질량을 50(g) 이하로 하고, 또한 샤프트(1)의 중심 위치(P3)를 샤프트(1)의 헤드(3)측(칩측)의 단부로부터, 샤프트(1)의 전체 길이(Ls)의 50 %의 길이의 범위, 즉 L' ≤ 0.5 × Ls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골프 클럽(A)의 헤드(3)측을 무겁게 함으로써, 중심 거리(L)를 보다 크게 확보하기 쉬워져 상기 식 1 및 식 2를 만족시키는 것이 용이화된다.
여기서, 샤프트(1)를 경량화하는 것은 골프 클럽(A)의 질량(m)을 보다 작게 하여 1차 모멘트(M)를 작게 할 수 있는 반면, 샤프트(1)가 극도로 경량화되는 것은 샤프트(1)의 강도 부족을 초래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샤프트(1)의 질량은 30(g) 이상 50(g)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샤프트(1)의 중심 위치(P3)가 극도로 헤드(3)측에 위치하면, 샤프트(1)의 강도 부족을 초래하게 된다. 따라서, 샤프트(1)의 중심 위치(P3)가, 샤프트(1)의 헤드(3)측의 단부로부터 샤프트(1)의 전체 길이(Ls)의 0.45 × Ls ≤ L' ≤ 0.49 × Ls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비교예로서 시판된 골프 클럽으로 성능 평가를 행하였다. 도2의 (a)는 본 발명의 실시예(제1 및 제2 실시예) 및 비교예(시판품 A 내지 C)의 수치를 나타낸 도면이며, 모두 드라이버이다. 각 파라미터의 부호(m, M, I 등)는 상술한 부호에 대응하고 있다. 또한, "X"는 상기 식 2의 우변(140 × M - (5.95 × m - 417) × 103)이다. "I - X"는 2차 모멘트(I)로부터 "X"를 뺀 값이며, 이것이 마이너스의 값이면 상기 식 2의 요건을 만족시키지 않게 되고, 이것이 플러스의 값이면 상기 식 2를 만족시키게 된다.
시판품 A는 상기 식 1 및 식 2 모두 만족시키고 있지 않다. 시판품 B 및 C는 상기 식 1은 만족시키고 있지만, 상기 식 2는 만족시키고 있지 않다. 제1 및 제2 실시예는 모두 상기 식 1 및 식 2를 만족시키고 있다. 제1 및 제2 실시예 시판품 A 내지 C는, 주로 타구의 비거리에 영향을 미치는 전체 길이(Lw), 로프트각에 대해서는 큰 차이가 없지만 제2 실시예는 전체 길이(Lw)가 가장 길게 되어 있다.
도2의 (b)는 제1 및 제2 실시예, 시판품 A 내지 C의 성능 평가의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성능 평가는 5명의 시험자가 제1 및 제2 실시예 및 시판품 A 및 B의 골프 클럽에 의해 골프공을 시험 타구하여, 타구의 비거리 및 방향이 좋은 3타를 평가 대상으로 하고, 도2의 (b)에 나타낸 각 파라미터에 대해 평균치를 취하였다. 도2의 (b)에 도시한 각 파라미터 중,「편차량」은 목표로 한 타구의 비구선 방향으로부터 타구의 낙하 지점까지의 좌우의 거리를 나타내고, 타구의 방향성의 지표로 하였다. 관능 평가는 5명의 시험자가 시험 타구 후에 서로의 각 클럽의 상 대적인 스윙 용이함에 대해 의견 교환을 행하여, 5명의 시험 타구자가 정리한 의견이다.
도2의 (b)의 성능 평가의 결과로부터, 제1 및 제2 실시예에서는 모두 시판품 A 내지 C보다도 헤드 스피드가 우수하다. 또한, 제1 및 제2 실시예에서는 모두 시판품 A 내지 C보다도 편차량이 작고, 또한 관능 평가로서 헤드의 효과적인 상태가 상대적으로 좋았다고 되어 있다. 이는, 제1 및 제2 실시예가 상기 식 1 및 식 2를 만족시키고 있으므로, 그 1차 모멘트(M)는 비교적 작은 한편, 2차 모멘트(I)가 비교적 큰 것에 기인하고 있는 것이라 생각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시판품 B 및 C는 상기 식 1을 만족시키고 있고, 그 2차 모멘트(I)가 비교적 크지만 관능 평가에 있어서 제1 및 제2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 대해서도 열화되어 있다. 이는 시판품 B 및 C는, 그 1차 모멘트(M)도 크고, 제1 및 제2 실시예의 1차 모멘트(M)보다도 열화되어 있으므로 시험자가 스윙시에 힘을 가한 것에 비해서는 헤드 스피드가 올라가지 않아 클럽을 스윙하기 어려웠던 것이라 추측된다.
또한, 제2 실시예는 그 전체 길이(Lw)가 가장 길지만 가장 스윙하기 쉽다는 관능 평가가 얻어져 있다. 일반적으로 골프 클럽은 길어질수록 스윙하기 어려워지지만, 제2 실시예가 스윙하기 쉽다고 평가된 것은 그 1차 모멘트(M)는 비교적 작은 한편, 2차 모멘트(I)가 비교적 큰 것에 기인하고 있는 것이라 생각된다.
이상 서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타구의 비거리 증대와 헤드의 효 과적인 상태를 양립할 수 있는 우드형 골프 클럽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6)

  1.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의 일단부에 장착된 그립과, 상기 샤프트의 타단부에 장착된 헤드를 구비한 우드형 골프 클럽에 있어서,
    상기 골프 클럽의 질량[m(g)]과, 상기 골프 클럽의 상기 그립측의 단부로부터 상기 골프 클럽의 중심 위치까지의 거리[L(cm)]가,
    m × L2 > 2.280 × 106(g·㎠), 또한
    m × L2 > 140 × m × L - (5.95 × m - 417) × 103을 만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클럽.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질량(m)이 260(g) 이상 300(g)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클럽.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골프 클럽의 전체 길이가 104.14 ㎝ 이상 127.00 ㎝ 이하(41 인치 이상 50 인치 이하)이며,
    상기 헤드의 페이스의 로프트각이 25도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클럽.
  4. 제1항 내지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골프 클럽의 클럽 균형이 14 인치법으로 C7 내지 D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클럽.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의 질량이 40(g)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클럽.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의 질량이 50(g) 이하이고, 또한
    상기 샤프트의 중심 위치가,
    상기 샤프트의 상기 헤드측의 단부로부터 상기 샤프트의 전체 길이의 50 %의 길이의 범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클럽.
KR1020060018590A 2005-11-08 2006-02-27 골프 클럽 KR2007004953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324017A JP2007130088A (ja) 2005-11-08 2005-11-08 ゴルフクラブ
JPJP-P-2005-00324017 2005-11-0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9536A true KR20070049536A (ko) 2007-05-11

Family

ID=378663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8590A KR20070049536A (ko) 2005-11-08 2006-02-27 골프 클럽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7473184B2 (ko)
EP (1) EP1782863A1 (ko)
JP (1) JP2007130088A (ko)
KR (1) KR20070049536A (ko)
CN (1) CN1962004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67492B2 (ja) * 2009-07-31 2013-12-11 ダンロップスポーツ株式会社 ゴルフクラブの評価方法
US8951142B2 (en) 2010-02-24 2015-02-10 Sri Sports Limited Golf club
US8241139B2 (en) 2010-02-24 2012-08-14 Sri Sports Limited Golf club
JP5848521B2 (ja) * 2011-05-18 2016-01-27 ダンロップスポーツ株式会社 ゴルフクラブ
US8608586B2 (en) * 2011-09-01 2013-12-17 Richard E. Parente Golf putter
JP5890995B2 (ja) * 2011-10-12 2016-03-22 ダンロップスポーツ株式会社 ゴルフクラブ
US11358035B2 (en) * 2020-03-04 2022-06-14 Andrew T. Barber Balance point alignment for golf shafts and golf clubs
JP2022112382A (ja) * 2021-01-21 2022-08-02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ゴルフクラブ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03824A (en) 1970-05-11 1972-11-28 Dunlop Co Ltd Apparatus for comparing moments of inertia of golf clubs
US4058312A (en) 1974-09-05 1977-11-15 The Square Two Golf Corporation Golf club
US4887815A (en) * 1987-10-09 1989-12-19 Hughes James W Low swing weight golf club set
JPH08173577A (ja) 1994-12-22 1996-07-09 Sumitomo Rubber Ind Ltd ゴルフクラブ
JPH10155952A (ja) * 1996-11-29 1998-06-16 Daiwa Seiko Inc ゴルフクラブシャフト
US5879241A (en) * 1997-03-04 1999-03-09 Cook; Eric H. Matched set of golf clubs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JP2001046563A (ja) 1999-08-09 2001-02-20 Yokohama Rubber Co Ltd:The ゴルフクラブ
US6723005B2 (en) * 1999-09-02 2004-04-20 David B. Hueber Golf clubs
JP2001276289A (ja) * 2000-04-03 2001-10-09 Yokohama Rubber Co Ltd:The 長尺ゴルフクラブ
JP2002263222A (ja) * 2001-03-09 2002-09-17 Sumitomo Rubber Ind Ltd ゴルフクラブ
JP2005198816A (ja) * 2004-01-15 2005-07-28 Yokohama Rubber Co Ltd:The ゴルフクラブ
JP2005230054A (ja) 2004-02-17 2005-09-02 Sri Sports Ltd ゴルフクラブ
JP2005304679A (ja) * 2004-04-20 2005-11-04 Hirobumi Inoue クラブ及びクラブセット並びにグリッ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962004A (zh) 2007-05-16
EP1782863A1 (en) 2007-05-09
US20070105641A1 (en) 2007-05-10
US7473184B2 (en) 2009-01-06
US20080234065A1 (en) 2008-09-25
US7568981B2 (en) 2009-08-04
JP2007130088A (ja) 2007-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49535A (ko) 골프 클럽
KR20070049537A (ko) 골프 클럽
US7244188B2 (en) Multi-piece golf club head with improved inertia
KR20070049536A (ko) 골프 클럽
US7500924B2 (en) Golf club head
JP5823122B2 (ja) ゴルフクラブ
US8808107B2 (en) Golf club
JP5181052B2 (ja) ゴルフクラブセット
GB2250685A (en) An iron type golf club head
JP3220764U (ja) 交換可能なソールを具備するゴルフクラブ
JPS6113983A (ja) ゴルフクラブセツト
JP3735223B2 (ja) ゴルフクラブ
JP2001170221A (ja) ゴルフクラブセット
JPH09117534A (ja) ゴルフクラブセット
JP4272754B2 (ja) ドライバーウッドクラブ
JP2001120689A (ja) ゴルフクラブセット
US10272305B2 (en) Golf club set
JP4497267B2 (ja) ゴルフクラブのシリーズ及びセット
JPH1133144A (ja) ゴルフクラブセット
JPH08173577A (ja) ゴルフクラブ
JP2002035173A (ja) ゴルフクラブセット
JP2002233597A (ja) ゴルフクラブ
JP2005304775A (ja) ゴルフクラブセット
JP2003052874A (ja) アプローチ用ゴルフクラブ
JP2001246023A (ja) ゴルフクラブの評価方法およびゴルフクラブ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