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48913A - 드럼세탁기용 회전 드럼의 제조방법과 이를 위한 프레스장치 - Google Patents

드럼세탁기용 회전 드럼의 제조방법과 이를 위한 프레스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48913A
KR20070048913A KR1020050105992A KR20050105992A KR20070048913A KR 20070048913 A KR20070048913 A KR 20070048913A KR 1020050105992 A KR1020050105992 A KR 1020050105992A KR 20050105992 A KR20050105992 A KR 20050105992A KR 20070048913 A KR20070048913 A KR 200700489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machine
drum
bending
mold
manufact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59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의수
김형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059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48913A/ko
Priority to EP06010406A priority patent/EP1783259A1/en
Priority to US11/439,347 priority patent/US20070107194A1/en
Priority to CNA2006100877803A priority patent/CN1962113A/zh
Publication of KR200700489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891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1/00Making hollow objects
    • B21D51/16Making hollow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the objec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04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5/00Combined processes according to or processes combined with methods covered by groups B21D1/00 - B21D31/00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826Assembling or joining
    • Y10T29/49908Joining by deform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 Rolls And Other Rotary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전 드럼의 접합부 강도를 향상시켜 회전 드럼이 고속으로 회전할 때에도 접합부가 변형되지 않도록 한 드럼세탁기용 회전 드럼의 제조방법과 이를 위한 프레스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회전 드럼의 제조방법은 원통형 가공물에서 원주 방향의 일단부를 U자형으로 구부려서 제1접철부와 제1벤딩부를 형성하고, 상기 가공물에서 원주 방향의 타단부를 상기 일단부와는 반대 방향의 U자형으로 구부려서 제2접철부와 제2벤딩부를 형성하는 벤딩 공정;과 상기 제1접철부와 제2접철부가 서로 맞물리도록 결합하여 연결부를 형성하는 오버랩 공정;과 상기 연결부를 압착하여 접합부를 형성하는 프레스 압착 공정;을 포함한다. 이 때 프레스 압착 공정은 상기 연결부의 전후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복수의 제1돌출부와 제2돌출부가 각각 형성된 상측 금형과 하측 금형을 구비하여, 상기 상측 금형과 하측 금형이 서로 접했을 때 상기 제1돌출부의 하단과 상기 하측 금형 사이 또는/ 및 상기 제2돌출부의 상단과 상기 상측 금형 사이에는 일정한 공간이 존재하도록 구성된 프레스 금형을 통해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드럼세탁기용 회전 드럼의 제조방법과 이를 위한 프레스 장치{METHOD FOR MANUFACTURING DRUM FOR DRUM WASHING MACHINE AND PRESS THEREFO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드럼세탁기용 회전 드럼의 제조 방법를 통해 제조된 회전 드럼을 보인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드럼세탁기용 회전 드럼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 공정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드럼세탁기용 회전 드럼의 제조방법에서 원통부의 제조 공정 중 벤딩 공정과 오버랩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드럼세탁기용 회전 드럼의 제조방법에서 원통부의 제조 공정 중 프레스 압착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회전 드럼의 인장 강도를 시험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 회전 드럼 10 : 원통부
16 : 프레스 압착 공정 20 : 전면부
30 : 후면부 43 : 제1벤딩부
46 : 제2벤딩부 47 : 연결부
50 : 상측 금형 51 : 제1돌출부
60 : 하측 금형 61 : 제2돌출부
52a, 62a : 경사면
본 발명은 드럼세탁기용 회전 드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회전 드럼의 접합부 강도를 향상시켜 회전 드럼이 고속으로 회전할 때에도 접합부가 변형되지 않도록 한 드럼세탁기용 회전 드럼의 제조방법과 이를 위한 프레스 장치에 관한 것이다.
세탁기는 전력을 이용하여 의류를 세탁하는 기계로서, 일반적으로 본체의 내부에 세탁조를 수직으로 설치한 수직축 세탁기와 세탁조를 수평으로 설치한 드럼 세탁기로 구분될 수 있다. 이 중 드럼 세탁기는 수평으로 배치된 세탁조, 즉 회전 드럼이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으로 교번적으로 회전함에 따라 세탁물을 세탁수와 함께 회전 드럼의 내주면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운동시킴으로써 세탁물을 세탁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드럼세탁기용 회전 드럼은 그 둘레면을 형성하는 원통부와, 이 원통부의 전단과 후단에 결합되어 회전 드럼의 전면과 후면을 각각 형성하는 전면부 및 후면부를 가진다. 이 중 원통부는 편평한 판재를 롤포밍(roll forming)을 통 해 원통형으로 만든 후 판재의 원주 방향 양 끝단을 서로 접합시켜 성형한다.
원통부를 성형하는 과정에서 판재의 양 끝단을 접합시키는 방법으로는 시밍(seaming)에 의한 기계적 프레스 접합이나 용접에 의한 접합이 있다. 이 중 용접에 의한 접합은 통상적으로 연결부의 강도를 고강도로 유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많은 시간 물에 노출되어 있는 회전 드럼의 사용환경을 고려할 때 용접부에 결함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고, 또 용접부에 녹이 생길 경우에는 세탁 중인 의류에 녹물이 스며들게 되어 의류를 손상시키게 된다. 뿐만 아니라 용접은 그 공정의 특성상 제품의 생산 효율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다.
기계적 프레스 접합은 용접을 이용할 때와 같은 문제를 유발하지는 않으며, 접합부의 피로 강도 특성이 용접의 경우보다 우수한 장점이 있다. 또한 기계적 프레스 접합에서는 금형 이외에 접합을 위한 별도의 자재가 소비되지 않아 용접을 통해 접합할 때보다 제품의 생산 원가가 절감되는 이점이 있다.
기계적 프레스 접합을 이용하는 경우, 종래에는 판재의 원주 방향 양단을 벤딩한 후 서로 맞물리도록 하여 이음매 부분을 형성하고, 이 이음매 부분을 전체적으로 평면 압착하여 서로 겹쳐진 판재 간의 접촉 면적을 넓힘으로써 접합부의 강도가 유지되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기계적 프레스 접합 방법에서는 이음매 부분을 평면 압착할 때 벤딩부가 날카롭게 꺾이면서 벤딩부에 소성 변형에 의한 피로가 누적되고, 이로 인해 접합부의 전체적인 접합 강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근래에는 고속 탈수에 적합한 회전 드럼을 개발하기 위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는데, 이러한 고속탈수용 회전 드럼에서는 고속 회전으로 인한 강한 인장력이 접합부에 작용하므로 접합부가 충분한 접합 강도를 유지하지 않으면 접합부가 변형되거나 터지게 된다. 따라서 접합 강도가 낮은 종래의 기계적 프레스 접합 방법을 고속탈수용 회전 드럼에 적용하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다. 그러나 기계적 프레스 접합은 용접에 비해 많은 장점을 가지므로 접합 강도의 문제를 해결한다면 고속탈수용 회전 드럼에서도 유용하게 쓰일 수 있는 기술이라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기계적 프레스 접합 기술을 사용하여 고속 회전에 적합한 회전 드럼을 제조할 수 있는 드럼세탁기용 회전 드럼의 제조방법과 이를 위한 프레스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드럼세탁기용 회전 드럼의 제조방법은 원통형 가공물의 원주방향의 양 끝단을 접합하여 드럼세탁기용 회전 드럼의 원통부를 성형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드럼세탁기용 회전 드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가공물에서 원주 방향의 일단부를 U자형으로 구부려서 제1접철부와 제1벤딩부를 형성하고, 상기 가공물에서 원주 방향의 타단부를 상기 일단부와는 반대 방향의 U자형으로 구부려서 제2접철부와 제2벤딩부를 형성하는 벤딩 공정;과 상기 제 1접철부와 제2접철부가 서로 맞물리도록 하여 연결부를 형성하는 오버랩 공정;과 상기 제1벤딩부 및 제2벤딩부의 원형(原形)이 유지되면서 상기 제1접철부 및 제2접철부는 서로 밀착될 수 있도록 상기 연결부를 압착하는 프레스 압착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제1벤딩부 및 제2벤딩부가 프레스 압착 공정 중에 원형을 유지하도록 하면 제1벤딩부와 제2벤딩부에 소성 변형에 의한 피로가 쌓이지 않아 전체적으로 회전 드럼의 접합 강도가 향상된다.
상기 프레스 압착 공정은 상기 연결부의 전후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복수의 제1돌출부와 제2돌출부가 각각 형성된 상측 금형과 하측 금형을 구비하여, 상기 상측 금형과 하측 금형이 서로 접했을 때 상기 제1돌출부의 하단과 상기 하측 금형 사이 또는/ 및 상기 제2돌출부의 상단과 상기 상측 금형 사이에는 일정한 공간이 존재하도록 구성된 프레스 금형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벤딩부와 제2벤딩부의 곡률 반경은 대략 0.5mm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제1접철부와 제2접철부의 길이는 3~6mm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금형에서 상기 제1돌출부와 제2돌출부의 높이(h)는 2.5~3mm인 것이 바람직하고, 제1돌출부와 제2돌출부의 두께(t)는 1.2mm인 것이 바람직하다.
힌편 상기 제1돌출부의 하단은 좌측 또는 우측 방향을 따라 하향 경사지는 경사면을 가질 수 있고, 상기 제2돌출부의 상단은 상기 제1돌출부의 경사면과 같은 방향으로 경사지는 경사면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드럼세탁기용 회전 드럼의 제조방법은 원통형 가공물의 원주방향의 양 끝단을 접합하여 드럼세탁기용 회전 드럼의 원통부를 성형하는 공정 을 포함하는 드럼세탁기용 회전 드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가공물에서 원주 방향의 일단부를 U자형으로 구부려서 제1접철부와 제1벤딩부를 형성하고, 상기 가공물에서 원주 방향의 타단부를 상기 일단부와는 반대 방향의 U자형으로 구부려서 제2접철부와 제2벤딩부를 형성하는 벤딩 공정;과 상기 제1접철부와 제2접철부가 서로 맞물리도록 하여 연결부를 형성하는 오버랩 공정;과 상기 연결부의 상하부에 배치된 상측 금형과 하측 금형을 통해 상기 연결부를 파형으로 압착하는 프레스 압착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스 압착 공정에서 상기 연결부가 최대로 압착되었을 때 상기 파형의 연결부에서 최고점은 상기 상측 금형에 닿지 않도록 하고 최저점은 상기 하측 금형에 닿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프레스 장치는 상측 금형과 하측 금형을 구비하고, 상기 상측 금형과 하측 금형 사이에 놓인 원통형 가공물의 연결부를 가압하여 드럼세탁기용 회전 드럼의 원통부를 성형하기 위한 프레스 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측 금형은 그 하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연결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 배치되는 제1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하측 금형은 그 상방으로 돌출되어 압착 공정 시 상기 복수의 제1돌출부 사이사이로 진입하며 상기 연결부를 파형으로 변형시키는 복수의 제2돌출부를 구비하며, 상기 상측 금형과 하측 금형이 서로 접했을 때 상기 제1돌출부의 하단과 상기 하측 금형 사이 또는/ 및 상기 제2돌출부의 상단과 상기 상측 금형 사이에는 일정한 공간이 존재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드럼세탁기용 회전 드럼의 제조 방법를 통해 제조된 회전 드럼을 보인 측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드럼세탁기용 회전 드럼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 공정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조 방법을 통해 제조된 회전 드럼(1)은 원통부(10)와, 이 원통부(10)의 전단과 후단에 각각 결합되는 전면부(20) 및 후면부(30)를 구비한다. 이러한 원통부(10), 전면부(20) 및 후면부(30)는 각각 별도의 단품으로 성형된 후 시밍 공정을 통해 서로 접합된다. 도 1의 도면 부호 '2'와 '3 '은 원통부(10)에 전면부(20) 및 후면부(30)가 접합된 시밍부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를 참조하여 전면부와 후면부의 제조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면부(20)는 펀치와 다이를 이용해 판재를 원형으로 떼어 내는 블랭킹 공정(21)과, 판재에 굴곡면을 성형하기 위한 드로잉 공정(22)과, 판재에서 불필요한 부분을 절단하는 트리밍 공정(23)과, 나중에 원통부(10)과 시밍 결합될 수 있도록 판재의 외측 둘레를 절곡시키는 벤딩 공정(24)과, 판재에 여러 구멍을 형성하는 피어싱 공정(25) 및 세탁물이 투입되는 투입구 둘레를 둥글게 굽히는 컬링 공정(26)을 통해 성형된다. 또 후면부(30)는 전면부(20)의 제조 공정과 유사한 공정, 즉 블랭킹 공정(31), 드로잉 공정(32), 트리밍 공정(33), 피어싱 공정(34), 벤딩 공정(35)을 통해 성형된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드럼세탁기용 회전 드럼의 제조방법에서 원통부의 제조 공정 중 벤딩 공정과 오버랩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드럼세탁기용 회전 드럼의 제조방법에서 원통부의 제조 과정 중 프레스 압착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7를 참조하여 원통부(10)의 제조 공정을 설명한다.
판재를 직사각형 형상으로 떼어 내는 블랭킹 공정(11)과, 판재에 세탁수의 탈수를 위한 탈수구를 형성하는 피어싱 공정(12)과, 직사각형의 편평한 판재를 롤러 사이로 통과시켜 판재가 원통형이 되도록 하는 롤포밍 공정(13)을 마치면 원주 방향의 양 끝단이 서로 결합되지 않은 원통형의 가공물(40)이 완성된다. 이러한 상태의 가공물(40)은 벤딩 공정(14), 오버랩 공정(15) 및 프레스 압착 공정(16)을 통해 회전 드럼(1)의 원통부(10)로 완성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벤딩 공정(14)에서는 상기 가공물(40)에서 원주 방향의 일단부(41)를 U자형으로 구부려서 제1접철부(42)와 제1벤딩부(43)를 형성하고, 또 원주 방향의 타단부(44)를 일단부(41)와는 반대 방향의 U자 형으로 구부려서 제2접철부(45)와 제2벤딩부(46)를 형성한다. 이 때 제1접철부(42)와 제2접철부(45)의 길이는 대략 3~6mm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에서는 원주 방향의 일단부(41)가 상측으로 구부러지고, 원주 방향의 타단부(44)가 하측으로 구부러지는 경우를 나타내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제1벤딩부(43)와 제2벤딩부(46)가 날카롭게 꺾임에 따라 제1벤딩부(43)와 제2벤딩부(46)에 피로가 누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U자 벤딩을 채택하였다. 여기서 제1벤딩부(43)와 제2벤딩부(46)의 곡률 반경(R)은 0.5mm정도가 적당하다. 곡률 반경(R)이 너무 작으면 V자 벤딩에 가까워져 벤딩부(43, 46)에 피로가 누적되어 좋지 않고, 반대로 곡률 반경(R)이 너무 크면 프레스 압착 공 정(16)에서 벤딩부(43, 46)가 금형에 닿아 압착되므로 역시 소성 변형에 의한 피로가 누적되어 좋지 않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벤딩 공정(14) 후에는 제1접철부(42)와 제2접철부(45)를 서로 맞물리도록 겹쳐서 연결부(47)를 형성하는 오버랩 공정(15)이 이루어지는데, 오버랩 공정(15)은 단순히 원통형 가공물(40)의 양 끝단을 임시적으로 겹쳐 놓는 공정이다. 오버랩 공정(15) 다음에는 연결부(47)를 단단히 압착하여 접합부(48, 도 1참조)를 형성하는 프레스 압착 공정(16)이 이루어진다. 연결부(47)와 접합부(48)는 기본적으로 같은 부분을 지칭하는 것이지만, 접합부(48)는 프레스 압착 공정(16)을 마친 후의 상태를 나타낸다는 점에서 연결부(47)와 구별된다.
프레스 압착 공정을 통해 서로 분리된 두 소재를 접합할 때 그 접합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압착되는 소재에 적절한 성형 압력을 가함으로써 두 소재가 접하게 되는 면적을 넓히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드럼세탁기에서는 회전 드럼이 고속으로 회전함에 따라 강한 인장력이 작용하여 제1벤딩부(43)와 제2벤딩부(46)에 집중 하중이 발생하고, 이에 의해 제1벤딩부(43) 또는 제2벤딩부(46)가 펴지면서 접합이 풀리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므로 프레스 압착 과정에서 가능한 제1벤딩부(43)와 제2벤딩부(46)에 피로가 쌓이지 않도록 하고, 또 소성 변형으로 인한 잔류응력이 적게 생기도록 제1벤딩부(43)와 제2벤딩부(46)를 보호하는 것이 더욱 중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제1벤딩부(43)와 제2벤딩부(46)에 압착으로 인한 피로가 가능한 쌓이지 않도록 설계된 프레스 금형을 이용하여 프레스 압착 공정(16)을 행한다. 도 5는 상측 금형과 하측 금형 사이에서 연결부가 압착되는 모습을 연결부의 길이 방향(도 1에서 X방향)을 따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6은 압착이 완료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7은 제1돌출부와 제2돌출부 사이에서 연결부가 압착되는 모습을 회전 드럼의 원주 방향을 따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에서는 제1돌출부와 제2돌출부가 같은 평면 상에 있는 것으로 보이나, 실제로는 제2돌출부는 제1돌출부의 전방이나 후방에 있게 된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의 프레스 압착 공정(16)에 사용되는 프레스 금형은 연결부(47)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복수의 제1돌출부(51)와 제2돌출부(61)가 각각 형성된 상측 금형(50)과 하측 금형(60)으로 이루어진다. 제1돌출부(51)는 상측 금형(50)의 하방으로 돌출되고, 제2돌출부(61)는 하측 금형(60)의 상방으로 돌출된다. 또 제2돌출부(61)는 압착 공정 시 제1돌출부(51)의 사이사이로 진입하며 상측 금형(50)과 하측 금형(60) 사이에 놓인 가공물(40)의 연결부(47)를 파형으로 변형시킨다.
특히 본 발명에서의 프레스 금형은 상측 금형(50)과 하측 금형(60) 사이에 아무런 가공물을 놓지 않고 상측 금형(50)과 하측 금형(60)이 접하도록 했을 때, 제1돌출부(51)의 하단(52)과 하측 금형(60) 사이 및 제2돌출부(61)의 상단(62)과 상측 금형(50) 사이에는 일정한 공간(70)이 존재하도록 구성된다. 이렇게 구성되면, 제1접철부(42)와 제2접철부(45)가 파형으로 압착되는 과정에서 연결부(47)의 최고점(P) 및 최저점(Q)이 각각 상측 금형(50)과 하측 금형(60)에 닿지 않게 되므로 제1벤딩부(43)와 제2벤딩부(46)는 가능한 원형을 유지하게 된다. 즉 이와 같이 공간(70)이 존재하도록 하는 것은 압착 과정에서 상측 금형(50)과 하측 금형(60)이 완전히 맞닿으면서 제1벤딩부(43)와 제2벤딩부(46)가 날카롭게 소성 변형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돌출부의 하단(52)과 하측 금형(60) 사이 및 제2돌출부의 상단(62)과 상측 금형(50) 사이에 모두 공간(70)이 존재하는 경우를 나타내었으나, 제1돌출부의 하단과 하측 금형 사이에서만 공간이 존재하도록 하거나 제2돌출부의 상단과 상측 금형 사이에서만 공간이 존재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그러나 위와 같이 상측 금형(50)과 하측 금형(60) 사이에 공간(70)이 존재하면,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상대적으로 연결부(47)에 작용하는 성형 압력이 작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점을 보완하기 위해 제1돌출부(51), 제2돌출부(61)의 높이(h)와 두께(t)는 각각 2.5~3mm, 1.2mm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돌출부(51)의 하단과 제2돌출부(61)의 상단은 우측 방향을 따라 하향 경사지는 경사면(52a, 62a)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회전 드럼의 회전 시 하중이 집중되는 제1벤딩부(43)와 제2벤딩부(46)가 연결부(47)의 다른 부분에 비해 더 큰 압력에 의해 압착 성형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면 돌출부와 금형 사이의 공간(70)을 통해 제1벤딩부(43)와 제2벤딩부(46)를 보호하여 이 부분에 누적되는 피로를 최소화하면서도 제1벤딩부(43)와 제2벤딩부(46)에 적절한 성형압력을 가하는 결과가 되어 연결부(47)의 접합 강도가 향상되게 된다. 이 때 제1돌출부의 하단(52)과 제2돌출부의 상단(62)이 좌측 방향을 따라 하향 경사지게 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회전 드럼의 인장 강도를 시험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통해 제조된 회전 드럼은 그 접합 강도가 평균 760kgf 정도가 된다. 고속탈수 시 필요한 접합 강도가 450kgf 인 점을 고려할 때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회전 드럼은 고속탈수용 회전 드럼에 적합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기계적 프레스 접합기술을 통해 고속 회전에 적합한 드럼 세탁기용 회전 드럼을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회전 드럼이 고속으로 회전할 때 연결부가 변형되거나 터지는 것을 방지하여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고, 또 용접을 통해 원통부를 접합할 때보다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5)

  1. 원통형 가공물의 원주방향의 양 끝단을 접합하여 드럼세탁기용 회전 드럼의 원통부를 성형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드럼세탁기용 회전 드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가공물에서 원주 방향의 일단부를 U자형으로 구부려서 제1접철부와 제1벤딩부를 형성하고, 상기 가공물에서 원주 방향의 타단부를 상기 일단부와는 반대 방향의 U자형으로 구부려서 제2접철부와 제2벤딩부를 형성하는 벤딩 공정;과 상기 제1접철부와 제2접철부가 서로 맞물리도록 하여 연결부를 형성하는 오버랩 공정;과 상기 제1벤딩부 및 제2벤딩부의 원형(原形)이 유지되면서 상기 제1접철부 및 제2접철부가 서로 밀착될 수 있도록 상기 연결부를 압착하여 접합부를 형성하는 프레스 압착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세탁기용 회전 드럼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스 압착 공정은 상기 연결부의 전후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복수의 제1돌출부와 제2돌출부가 각각 형성된 상측 금형과 하측 금형을 구비하여, 상기 상측 금형과 하측 금형이 서로 접했을 때 상기 제1돌출부의 하단과 상기 하측 금형 사이 또는/ 및 상기 제2돌출부의 상단과 상기 상측 금형 사이에는 일정한 공간이 존재하도록 구성된 프레스 금형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세탁기용 회전 드럼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벤딩부와 제2벤딩부의 곡률 반경은 0.5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세탁기용 회전 드럼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접철부와 제2접철부의 길이는 3~6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세탁기용 회전 드럼의 제조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돌출부와 제2돌출부의 높이(h)는 2.5~3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세탁기용 회전 드럼의 제조방법.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돌출부의 하단은 좌측 또는 우측 방향을 따라 하향 경사지는 경사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세탁기용 회전 드럼의 제조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돌출부의 상단은 상기 제1돌출부의 경사면과 같은 방향으로 경사지는 경사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세탁기용 회전 드럼의 제조방법.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돌출부와 제2돌출부의 두께(t)는 1.2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세탁기용 회전 드럼의 제조방법.
  9. 원통형 가공물의 원주방향의 양 끝단을 접합하여 드럼세탁기용 회전 드럼의 원통부를 성형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드럼세탁기용 회전 드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가공물에서 원주 방향의 일단부를 U자형으로 구부려서 제1접철부와 제1벤딩부를 형성하고, 상기 가공물에서 원주 방향의 타단부를 상기 일단부와는 반대 방향의 U자형으로 구부려서 제2접철부와 제2벤딩부를 형성하는 벤딩 공정;과 상기 제1접철부와 제2접철부가 서로 맞물리도록 하여 연결부를 형성하는 오버랩 공정;과 상기 연결부의 상하부에 배치된 상측 금형과 하측 금형을 통해 상기 연결부를 파형으로 압착하는 프레스 압착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스 압착 공정에서 상기 연결부가 최대로 압착되었을 때 상기 파형의 연결부에서 최고점은 상기 상측 금형에 닿지 않도록 하고 최저점은 상기 하측 금형에 닿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세탁기용 회전 드럼의 제조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금형은 그 하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연결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 배치되는 제1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하측 금형은 그 상방으로 돌출되어 압착 공정 시 상기 복수의 제1돌출부 사이사이로 진입하는 복수의 제2돌출부를 구 비하며, 상기 상측 금형과 하측 금형이 서로 접했을 때 상기 제1돌출부의 하단과 상기 하측 금형 사이 또는/ 및 상기 제2돌출부의 상단과 상기 상측 금형 사이에는 일정한 공간이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세탁기용 회전 드럼의 제조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돌출부의 하단은 좌측 또는 우측 방향을 따라 하향 경사지는 경사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드럼세탁기용 회전 드럼의 제조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돌출부의 상단은 상기 제1돌출부의 경사면과 같은 방향으로 경사지는 경사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세탁기용 회전 드럼의 제조방법.
  13. 상측 금형과 하측 금형을 구비하고, 상기 상측 금형과 하측 금형 사이에 놓인 원통형 가공물의 연결부를 가압하여 드럼세탁기용 회전 드럼의 원통부를 성형하기 위한 프레스 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측 금형은 그 하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연결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 배치되는 제1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하측 금형은 그 상방으로 돌출되어 압착 공정 시 상기 복수의 제1돌출부 사이사이로 진입하며 상기 연결부를 파형으로 변형시키는 복수의 제2돌출부를 구비하며,
    상기 상측 금형과 하측 금형이 서로 접했을 때 상기 제1돌출부의 하단과 상 기 하측 금형 사이 또는/ 및 상기 제2돌출부의 상단과 상기 상측 금형 사이에는 일정한 공간이 존재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돌출부의 하단은 좌측 또는 우측 방향을 따라 하향 경사지는 경사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돌출부의 상단은 상기 제1돌출부의 경사면과 같은 방향으로 경사지는 경사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장치.
KR1020050105992A 2005-11-07 2005-11-07 드럼세탁기용 회전 드럼의 제조방법과 이를 위한 프레스장치 KR20070048913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5992A KR20070048913A (ko) 2005-11-07 2005-11-07 드럼세탁기용 회전 드럼의 제조방법과 이를 위한 프레스장치
EP06010406A EP1783259A1 (en) 2005-11-07 2006-05-19 Method for manufacturing a rotary drum for drum washing machines and pressing device used therefor
US11/439,347 US20070107194A1 (en) 2005-11-07 2006-05-24 Method for manufacturing rotary drum for drum washing machine and pressing device therefor
CNA2006100877803A CN1962113A (zh) 2005-11-07 2006-06-06 制造用于滚筒洗衣机的旋转滚筒的方法和为此使用的压制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5992A KR20070048913A (ko) 2005-11-07 2005-11-07 드럼세탁기용 회전 드럼의 제조방법과 이를 위한 프레스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8913A true KR20070048913A (ko) 2007-05-10

Family

ID=377625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5992A KR20070048913A (ko) 2005-11-07 2005-11-07 드럼세탁기용 회전 드럼의 제조방법과 이를 위한 프레스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70107194A1 (ko)
EP (1) EP1783259A1 (ko)
KR (1) KR20070048913A (ko)
CN (1) CN1962113A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7861B1 (ko) * 2007-04-03 2013-09-12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의 하우징 및 드럼 제조 방법
KR101953039B1 (ko) 2017-12-14 2019-02-27 웰메이트(주) 일괄처리방식 금속 원통 제조장치 및 방법
EP3690109A1 (en) 2019-02-01 2020-08-05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ing apparatus
EP3690108A1 (en) 2019-02-01 2020-08-05 LG Electronics Inc. -1- Laundry treating apparatus
EP3690105A1 (en) 2019-02-01 2020-08-05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ing apparatus
EP3690110A1 (en) 2019-02-01 2020-08-05 LG Electronics Inc. -1- Laundry treating apparatus
EP3875663A1 (en) 2020-03-06 2021-09-08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ing apparatus
EP3875662A1 (en) 2020-03-06 2021-09-08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ing apparatus
EP3875664A1 (en) 2020-03-06 2021-09-08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ing apparatus
US11268229B2 (en) 2019-02-01 2022-03-08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ing apparatus
EP4350066A2 (en) 2019-02-01 2024-04-10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ing apparatu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TO20090997A1 (it) * 2009-12-17 2011-06-18 Indesit Co Spa Metodo di fabbricazione di un tamburo per una macchina per il trattamento di panni, tamburo per una macchina per il trattamento di panni e macchina comprendente tale tamburo
DE102014206637A1 (de) * 2014-04-07 2015-10-08 BSH Hausgeräte GmbH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Trommelbodens für eine Wäschetrommel eines Haushaltsgeräts, Wäschetrommel und Haushaltsgerät
CN110014098A (zh) * 2019-04-30 2019-07-16 青岛万沅金属制品有限公司 洗衣机滚筒加工工艺
CN111001725B (zh) * 2019-12-31 2021-04-09 长丰吾道智能光电科技有限公司 内筒壁成型机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99946B (de) * 1957-05-03 1961-02-16 Hoover Ltd Schleudertrommel
DE3914475A1 (de) * 1989-05-02 1990-11-08 Bosch Siemens Hausgeraete Waschmaschinen-trommel
DE9202791U1 (ko) * 1992-03-03 1992-10-29 Licentia Patent-Verwaltungs-Gmbh, 6000 Frankfurt, De
DE4445731A1 (de) * 1994-12-21 1996-06-27 Foron Waschgeraete Gmbh Trommel für eine Waschmaschine
KR100207085B1 (ko) * 1996-05-30 1999-07-15 윤종용 세탁기의 회전조
DE19821366C5 (de) * 1998-05-13 2017-01-19 Electrolux Rothenburg Gmbh Factory And Development Waschmaschinen-Trommel
WO2005049909A1 (en) * 2003-11-20 2005-06-02 Arcelik Anonim Sirketi A drum with stiffening corrugations along the seam
KR100657465B1 (ko) * 2004-05-15 2006-12-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드럼 제작 방법

Cited B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7861B1 (ko) * 2007-04-03 2013-09-12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의 하우징 및 드럼 제조 방법
KR101953039B1 (ko) 2017-12-14 2019-02-27 웰메이트(주) 일괄처리방식 금속 원통 제조장치 및 방법
US11414802B2 (en) 2019-02-01 2022-08-16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ing apparatus
EP3690109A1 (en) 2019-02-01 2020-08-05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ing apparatus
EP3690105A1 (en) 2019-02-01 2020-08-05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ing apparatus
EP3690110A1 (en) 2019-02-01 2020-08-05 LG Electronics Inc. -1- Laundry treating apparatus
EP3831998A1 (en) 2019-02-01 2021-06-09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ing apparatus
EP4350066A2 (en) 2019-02-01 2024-04-10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ing apparatus
US11519120B2 (en) 2019-02-01 2022-12-06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ing apparatus
EP3690108A1 (en) 2019-02-01 2020-08-05 LG Electronics Inc. -1- Laundry treating apparatus
US11268229B2 (en) 2019-02-01 2022-03-08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ing apparatus
US11286606B2 (en) 2019-02-01 2022-03-29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ing apparatus
EP3875664A1 (en) 2020-03-06 2021-09-08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ing apparatus
EP3875662A1 (en) 2020-03-06 2021-09-08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ing apparatus
US11566364B2 (en) 2020-03-06 2023-01-31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ing apparatus
US11674254B2 (en) 2020-03-06 2023-06-13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ing apparatus
EP3875663A1 (en) 2020-03-06 2021-09-08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783259A1 (en) 2007-05-09
CN1962113A (zh) 2007-05-16
US20070107194A1 (en) 2007-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48913A (ko) 드럼세탁기용 회전 드럼의 제조방법과 이를 위한 프레스장치
KR101569596B1 (ko) 전선과 단자의 접속구조 및 그 제조방법
CN103415958B (zh) 压接端子
JPS6277130A (ja) 薄板の結合方法および装置
CN109286084A (zh) 带端子电线、端子压接装置以及带端子电线的制造方法
US6052887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joining sheet metal layers
JP3529606B2 (ja) 金属製ドラムの製造方法
KR101652637B1 (ko) 중공형 봉상물과 플레이트형 링크 브라켓트의 결합 방법
CN110014098A (zh) 洗衣机滚筒加工工艺
US11374372B2 (en) Device and method for crimping connection elements, and crimping connection
CN101994231A (zh) 免焊式结构的工业洗衣机洗衣内筒及其制作方法
WO2011064201A1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n expanded basket for washing machine or washer-drier or drier
JP2011090804A (ja) 端子金具付き電線および端子金具付き電線の製造方法
JP2001286943A (ja) チューブハイドロフォーミングの端部成形方法
JP4281463B2 (ja) 液圧成形方法および液圧成形装置
CN217258343U (zh) 一种气雾罐卷边压紧装置
WO2007129781A1 (en) Processing method for link of automobile door-lock
KR101167258B1 (ko) 스트레이트부를 갖는 성형 벨로우즈
CN217804929U (zh) 车辆用顶盖横梁连接板、车身构件及车辆
CN201975872U (zh) 采用扁铜线汽车发电机定子矽钢片组合体
JPH10324164A (ja) 金属製の容器、ならびに金属製の容器を製造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JP2521222Y2 (ja) ヒートパイプの端末形状
JP2546438B2 (ja) 袋形ヘミング構造の製造方法
JP2010100190A (ja) 車両用バンパー装置
JPH0235196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