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43187A - 화상형성기기의 다목적 급지장치 - Google Patents

화상형성기기의 다목적 급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43187A
KR20070043187A KR1020050099176A KR20050099176A KR20070043187A KR 20070043187 A KR20070043187 A KR 20070043187A KR 1020050099176 A KR1020050099176 A KR 1020050099176A KR 20050099176 A KR20050099176 A KR 20050099176A KR 20070043187 A KR20070043187 A KR 200700431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support
protrusions
pair
expansion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91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20723B1 (ko
Inventor
양천승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991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0723B1/ko
Priority to US11/500,347 priority patent/US7434801B2/en
Priority to CN2006101360739A priority patent/CN1952797B/zh
Publication of KR200700431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31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07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07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00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 B65H1/04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adapted to support articles substantially horizontally, e.g. for separation from top of pi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44Simultaneously, alternately, or selectively separating articles from two or more pi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9/00Registering, e.g. orientating, articles; Devices therefor
    • B65H9/06Movable stops or gauges, e.g. rising and falling front stop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5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 G03G15/6502Supplying of sheet copy material; Cassettes therefor
    • G03G15/6511Feeding devices for picking up or separation of copy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5/00Parts for hol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5/10Cassettes, holders, bins, decks, trays, supports or magazines for sheets stacked substantially horizontally
    • B65H2405/11Parts and details thereof
    • B65H2405/111Bottom
    • B65H2405/1116Bottom with means for changing geometry
    • B65H2405/11164Rear portion extensible in parallel to transport dir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5/00Parts for hol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5/10Cassettes, holders, bins, decks, trays, supports or magazines for sheets stacked substantially horizontally
    • B65H2405/12Parts to be handled by us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11/00Dimensions; Position; Numbers; Identification; Occurrences
    • B65H2511/10Size; Dimensions
    • B65H2511/12Wid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11/00Dimensions; Position; Numbers; Identification; Occurrences
    • B65H2511/20Location in space
    • B65H2511/22Dist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화상형성기기의 다목적 급지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다목적 급지장치는, 픽업롤러; 상기 픽업롤러 아래에 위치하며 용지가 적재되는 용지받침부재; 상기 용지받침부재 쪽으로 자유롭게 슬라이딩되도록 장착되어 상기 용지를 지지하는 용지받침 확장부재; 상기 용지받침부재에 장착되어 용지의 선단부를 정렬하는 제1용지정렬부재; 및 상기 용지받침 확장부재에 장착되어 용지의 후단부를 정렬하는 제2용지정렬부재;를 포함한다. 이러한 다목적 급지장치에 의하면 화상형성기기로부터 여러 사이즈의 용지에 화상을 출력할 때 용지가 뒤틀리지 않고 똑바로 급지될 수 있다.
화상형성, 급지장치, LETTER, 픽업롤러, 용지받침

Description

화상형성기기의 다목적 급지장치{Versatile Device of Feeding Print Sheet for Image Forming Apparatus}
도 1은 종래기술의 다목적 급지장치에 대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다목적 급지장치에 용지가 적재된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목적 급지장치에 대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용지받침 확장부재에 대한 평면도,
도 5는 도 3의 제2용지정렬부재에 대한 상세 구조도로서, 도 5a는 좌측 부분에 대한 상세도, 도 5b는 우측 부분에 대한 정면도, 그리고 도 5c는 우측면도,
도 6은 도 3의 제2용지정렬부재가 장착되기 위한 수용부를 구비한 용지받침 확장부재에 대한 부분 상세도,
도 7은 도 3의 제2용지정렬부재의 중앙 부분에 대한 상세도,
도 8은 도 3의 다른 용지받침 확장부재에 대한 중앙 부분에 대한 일부 상세도,
도 9는 도 3의 제2용지정렬부재에 대한 작동 상태도이다.
도 10은 도 3의 다목적 급지장치에 용지가 적재된 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110: 픽업롤러 12, 112: 회전축
21, 121: 용지받침확장부재 22, 122: 용지받침부재
23, 123: 제1용지정렬부재
130: 제2용지정렬부재
131a, 131b, 132a, 132b: 돌기
133: 지지축 133d: 스토퍼
본 발명은 화상형성기기의 급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화상형성기기로부터 여러 사이즈의 인쇄용지에 화상을 출력할 때 인쇄용지가 뒤틀리지 않고 똑바로 급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다목적 급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레이저 프린터, 복사기 등과 같은 화상형성기기는 본체 내부로 인쇄용지(이하, 단지 '용지'라 함)를 공급하는 급지장치를 구비한다. 급지장치는 픽업롤러를 구비하여 용지를 낱장으로 픽킹(picking)한다. 하나의 화상형성장치에는 다양한 종류의 급지장치가 다수개 구비될 수 있다. 그 중에서 다목적 급지장치는, 급지카세트를 열지 않고도 간단하게 적은 매수의 용지에 인쇄를 하거나, 봉투나 소형 용지 등 다양한 폭의 용지 사이즈로 인쇄를 하기 위해 필요하다.
도 1 및 도 2에 그러한 다목적 급지장치가 도시된다. 도면을 참조하면, 다목적 급지장치(1)는 픽업롤러(10); 픽업롤러(10) 아래에 위치하며 용지가 적재되는 용지받침부재(22); 용지받침부재(22) 쪽으로 자유롭게 슬라이딩되도록 장착되어 상 기 용지를 지지하는 용지받침 확장부재(21); 및 용지받침부재(22)에 장착되어 용지를 정렬하는 용지정렬부재(23)를 포함한다. 이러한 다목적 급지장치(1)는 화상형성기기의 측면 커버 프레임(40)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급지장치(1)는 화상형성기기에 신호를 보내면 구동장치(미도시)에 의해 회전축(12)이 회전되고, 이 회전축에 연결된 픽업롤러(10)가 동시에 회전되면서 용지(S)는 도 2의 "A" 방향으로 이동하여 다음 단계인 이송롤러(미도시)로 보내진다. 상기 급지장치(1)에서, LETTER, A4 또는 LEGAL 등과 같이 용지가 길이 방향으로 비교적 큰 사이즈의 용지에 인쇄를 할 경우 용지받침부재(22)만으로는 용지받침 면적이 불충분하기 때문에 용지받침 확장부재(21)를 당겨 길이방향으로 용지(S)의 지지면적을 확보한 상태로 용지(S)를 올려놓는다. 또한 화상출력을 위해 용지(S)가 "A" 방향으로 진행될 때, 폭 방향으로 유동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용지받침부재(22)에 장착된 용지정렬부재(23)를 화살표(B↔C) 방향으로 조절하여 적당한 위치로 조정한다.
그러나 종래의 다목적 급지장치(1)에서는, LETTER, A4 또는 LEGAL 등과 같이 용지(S)가 길이 방향으로 비교적 큰 사이즈의 용지에 인쇄를 할 경우 용지정렬부재(23)가 용지 선단부의 용지받침부재(22)에만 있고, 후단부의 용지받침 확장부재(21)에는 별도의 용지정렬부재가 없다. 이 때문에 용지(S)가 픽업롤러(10)를 통해 이송롤러(미도시)까지 진행하는 과정에 용지 후단부가 화살표(D↔E) 방향으로 유동되어 뒤틀리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와 같이 용지(S)가 뒤틀린 상태로 이송롤러에 진입하게 되면, 용지(S)가 뒤틀린 만큼 화상이 뒤틀리게 되고 심할 경우에는 잼(jam) 발생 원인이 되기도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다목적 급지장치를 개선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화상형성기기로부터 여러 사이즈의 용지에 화상을 출력할 때 용지의 후단부가 뒤틀리지 않고 똑바로 진행하여 급지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인쇄품질을 향상 하기 위한 다목적 급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급지장치는, 픽업롤러; 상기 픽업롤러 아래에 위치하며 용지가 적재되는 용지받침부재; 상기 용지받침부재 쪽으로 자유롭게 슬라이딩되도록 장착되어 상기 용지를 지지하는 용지받침 확장부재; 상기 용지받침부재에 장착되어 용지의 선단부를 정렬하는 제1용지정렬부재; 및 상기 용지받침 확장부재에 장착되어 용지의 후단부를 정렬하는 제2용지정렬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제1용지정렬부재는 상기 픽업롤러에 의해 급지되는 용지의 폭 크기를 정렬하도록 상기 용지의 진행방향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상기 용지받침부재 위에서 슬라이딩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용지정렬부재는 적어도 한 종류 이상의 용지의 폭에 맞춰 그 용지의 후단부를 정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목적 급지장치에서 제2용지정렬부재는, 상기 용지받침 확장부재에 탈착 가능하도록 설치된 지지축; 상기 지지축의 양단 부근에 용지의 폭에 맞도록 설치된 한쌍의 제1돌기; 및 상기 제1돌기와 일정 각도를 두고 다른 용지 폭에 맞도록 설치된 한쌍의 제2돌기;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제2용지정렬부재의 지지축은 일정 각도 회전한 후 멈추도록 하는 스토퍼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한쌍의 제1돌기와 한쌍의 제2돌기는 상기 지지축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한쌍의 제1돌기와 한쌍의 제2돌기는 서로 약 90도의 각도를 두고 형성되는 것이 좋다. 상기 지지축은 상기 돌기들과 함께 원활하게 회전하도록 상기 용지받침 확장부재에 형성된 수용부에 장착되는 것이 좋다.
상기 용지받침 확장부재에는 상기 제2용지정렬부재의 돌기들이 들어갈 수 있는 슬릿(slit)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용지받침부재는 상기 용지받침 확장부재와 접하는 경계면 안쪽에 일정한 공간을 가지도록 그 후단부가 아래로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용지받침 확장부재가 상기 용지받침부재의 아래로 슬라이딩될 때, 상기 제2용지정렬부재의 돌기가 상기 용지받침부재의 선단에 부딪혀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면서 통과될 수 있다.
상기 제2용지정렬부재는 상기 용지받침 확장부재에 탈착 가능하도록 설치된 지지축; 상기 지지축의 양단 부근에 용지의 폭에 맞도록 설치된 한쌍의 제1돌기; 및 상기 제1돌기와 일정 각도를 두고 다른 용지 폭에 맞도록 설치된 한쌍의 제2돌기를 포함하며, 여기에 상기 제2돌기와 일정 각도를 두고 또 다른 용지 폭에 맞도록 설치된 한쌍의 제3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용지받침 확장부재에는 상기 제2용지정렬부재의 돌기들이 들어갈 수 있는 슬릿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목적 급지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목적 급지장치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4는 그 장치의 용지받침 확장부재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급지장치(100)는 용지(S)가 "A" 방향(도 10 참조)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용지(S)가 폭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을 막기 위해, 용지의 선단부를 정렬하기 위한 제1용지정렬부재(123)가 용지받침부재(122)에 장착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급지장치(100)는 용지의 후단부가 화살표 D↔E 방향(도 10 참조)으로 유동되는 것을 막기 위해, 종래기술에 없었던 제2용지정렬부재(130)가 용지받침 확장부재(121)에 장착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다목적 급지장치(100)는 회전축에 연결된 픽업롤러(110); 용지(S)가 적재되는 용지받침부재(122); 용지받침 확장부재(121); 및 용지(S)를 정렬하기 위한 용지정렬부재(123, 130)들을 포함한다.
상기 픽업롤러(110)는 회전축(112)에 결합되어 미도시된 구동원에 의해 회전축(112)과 함께 회동한다.
상기 용지받침부재(122)는 픽업롤러(110)에 의해 용지가 낱장으로 화상형성기기 내에 이송되도록 픽업롤러(110) 아래에 위치하며 용지를 적재한다. 용지받침부재(122)는 일반적으로 장치의 측면 커버 프레임(140)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용지받침 확장부재(121)는 용지받침부재(122) 쪽으로 자유롭게 슬라이딩되도록 측면 커버 프레임(140)에 장착되며, 큰 사이즈를 가지는 용지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용지받침부재(122)는 용지받침 확장부재(121)와 접하는 경계면 안쪽에서 일정한 공간(H, 도 9 참조)을 가지도록 그 후단부(122e)가 아래로 연장된다. 본 명세서에서 선단부라는 용어는 급지장치에 용지가 공급되는 방향의 앞쪽을 말하며, 후단부라는 용어는 그 방향의 반대편을 가르킨다.
본 발명의 다목적 급지장치에서 상기 용지받침부재(122)와 용지확장부재(121)는 각각 별도의 용지정렬부재(123, 130)들을 구비한다.
상기 용지정렬부재들 중 제1용지정렬부재(123)는 용지받침부재(122)에 장착되며 주로 용지(S)의 선단부를 정렬한다. 제1용지정렬부재(123)는 픽업롤러(110)에 의해 급지되는 용지(S)의 폭 크기를 정렬하도록 용지(S)의 진행방향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용지받침부재(122) 위에서 슬라이딩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용지정렬부재들 중 제2용지정렬부재(130)는 종래의 다목적 급지장치에 없던 부재로서, 용지받침 확장부재(121)에 탈착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이러한 제2용지정렬부재(130)는 용지(S)의 후단부 쪽에 설치되어 용지(S)의 후단부를 정렬한다. 제2용지정렬부재(130)는 적어도 한 종류 이상의 용지의 폭에 맞춰 그 용지의 후단부를 정렬하도록 구성된다.
도 5 내지 도 8에 그러한 제2용지정렬부재에 대한 상세한 구조가 도시된다. 도 5a는 제2용지정렬부재(130)의 좌측 부분에 대한 상세도이고, 도 5b는 그 우측부분에 대한 정면도, 그리고 도 5c는 그 우측면도이다. 또한 도 6은 상기 제2용지정렬부재(130)가 장착되기 위한 수용부(121a)를 구비한 용지받침 확장부재(121)에 대한 부분 상세도이고, 도 7은 상기 제2용지정렬부재의 중앙 부분에 대한 상세도이 며, 도 8은 다른 용지받침 확장부재(121)의 중앙 부분에 대한 일부 상세도이다.
상기 제2용지정렬부재(130)는 지지축(133) 및 두쌍의 돌기(131a, 131b, 132a, 132)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축(133)은 원형의 부재로서, 그 양단부에 설치된 지지돌기(133a, 133b)를 구비한다. 지지축(133)은 용지받침 확장부재(121)의 수용부(121a)에 설치된다. 지지축(133)을 강제로 휘게 하여, 수용부(121a)의 지지홈(121c)에 지지돌기(133a, 133b)를 삽입하거나 빼내서 지지축(133)은 용지받침 확장부재(121)로부터 탈착 가능하다. 지지축(133)은 용지받침 확장부재(121)에 장착된 상태에서 회전이 가능하다. 지지축(133)의 중앙 부분에는 비원형의 스토퍼(133d)가 설치될 수 있다. 용지받침 확장부재(121)의 중앙 부분의 수용부(121b)는 스토퍼(133d)가 삽입될 수 있도록 좁게 형성되어 있다. 이 스토퍼(133d)에 의해 지지축(133)의 위치를 항상 일정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일정한 각도를 두고 설치된 지지축의 돌기(131a, 131b, 132a, 132b)들의 위치도 항상 일정한 위치에 놓이도록 할 수 있다.
용지받침 확장부재(121)는 플라스틱과 같은 유연한 재료로 구성되므로, 그 중앙 부분에는 스토퍼(133d)가 회전할 때 스토퍼(133d)의 둥근 모서리들이 용지받침 확장부재(121)의 내벽를 약간 밀게 된다. 따라서 스토퍼(133d)는 제2용지정렬부재(121)가 일정 각도 회전한 후 멈추도록 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스토퍼의 동작을 보다 원활하게 하기 위해서 용지받침 확장부재(121)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 부분에 완충 슬릿(124a, 124b)을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두 쌍의 돌기 중 한쌍의 제1돌기(131a, 131b)는 지지축(133)의 양단 부 근에 용지의 폭에 맞도록 설치된다. 다른 한쌍의 제2돌기(132a, 132b)는 한쌍의 제1돌기(131a, 131b)와 일정 각도를 두고 다른 용지 폭에 맞도록 설치된다. 상기 한쌍의 제1돌기와 한쌍의 제2돌기는 지지축(133)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한쌍의 제1돌기와 한쌍의 제2돌기는 서로 약 90도의 각도를 두고 형성되는 것이다.
도면에서의 돌기(131a, 131b, 132a, 132b)들은 A4와 Letter 용지와 같이, 비교적 큰 사이즈의 용지폭에 맞춰 설치된 것이다. 따라서 A4와 Letter 용지에 대해서만 돌기를 만든 것은 예시일 뿐이며 필요하다면 좀더 작은 사이즈의 용지에도 같은 방법으로 적용이 가능하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두쌍의 돌기(131a, 131b, 132a, 132b)와 함께 다른 사이즈의 용지에 맞춰 한쌍의 다른 돌기들이 더 설치될 수 있다. 예컨대, 지지축(133)에 두 쌍의 돌기(131a, 131b, 132a, 132b)와 약 90도의 각도를 두고 또 다른 용지 폭에 맞도록 한쌍의 제3돌기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용지받침 확장부재(121)에는 제2용지정렬부재의 돌기(131a, 131b, 132a, 132b)들이 들어갈 수 있도록 상기 돌기들에 대응하는 슬릿(126a, 126b, 127a, 127b)이 구비된다. 물론 여러 쌍의 돌기가 형성되는 경우 용지받침 확장부재(121)에는 상기 여러 쌍의 돌기가 들어갈 수 있는 슬릿이 더 구비될 필요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급지장치에 대한 작동 상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9는 상기한 제2용지정렬부재에 대한 작동 상태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다목적 급지장치의 작동 상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목적 급지장치 (100)에서는 용지받침 확장부재(121)가 상기 용지받침부재(122)의 아래로 슬라이딩된다. 이 과정에서 제2용지정렬부재의 돌기(131a, 131b, 132a, 132b)들이 용지받침부재(121)의 후단부(122e)에 부딪혀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면서 통과된다. 이를 위하여, 용지받침부재(122)의 후단부(122e)는 용지받침 확장부재(121)와 접하는 경계면 안쪽에 일정한 공간(H)을 가지도록 아래로 연장되어 있다.
만약, 화상출력을 하지 않고 다목적 급지장치(100)를 화상형성기기의 본체에 닫고자 할 때에는, 용지받침 확장부재(121)를 용지 진행방향 즉, "A" 방향으로 밀어 넣기만 하면 제2용지정렬부재(130)의 한쌍의 제2돌기(132a, 132b)는 용지받침부재(122)의 후단부(122e)에 부딪혀 회전운동을 하면서 자연스럽게 통과된다. 그러면, 한쌍의 제2돌기(132a, 132b)는 도 9b와 같이 슬릿(127a, 127b)에 함몰되며 한쌍의 제1돌기(131a, 131b)가 돌출된다. 반대로, 화상형성을 위하여 다목적 급지장치(100)를 화상형성기기로부터 열고자 할 때에는, 용지받침 확장부재(121)를 용지 진행방향 즉 "A" 방향과 반대로 당기면, 제2용지정렬부재(130)의 한쌍의 제1돌기(131a, 131b)는 용지받침부재(122)의 후단부(122e)에 부딪혀 반대로 회전운동을 하면서 자연스럽게 나오게 된다. 그러면, 한쌍의 제1돌기(132a, 132b)는 도 9a와 같이 슬릿(126a, 126b)에 함몰되며 한쌍의 제2돌기(132a, 132b)가 돌출된다.
용지받침 확장부재(121)가 도 9a와 같이 위치한 상태에서, 본 발명의 급지장치(100)는 A4 용지 또는 LETTER 용지를 이송할 때 제2용지정렬부재(130)의 돌기(131a, 131b, 132a, 132b)들에 의해 용지의 후단부가 정렬될 수 있다. 즉 용지받침부재(122)와 용지받침 확장부재(121)에 A4 용지를 놓았다면, 제2용지정렬부재(130) 를 일정 각도 회전시켜 한쌍의 제1돌기(131a, 131b)가 위로 돌출되도록 설정하여 A4 용지의 폭에 맞춘다. 반면, 용지받침부재(122)와 용지받침 확장부재(121)에 LETTER 용지를 놓았다면, 지지축(133)의 한쌍의 제2돌기(132b)가 위로 돌출되도록 설정하여 LETTER 폭의 용지에 맞추게 된다.
이렇게 특정한 사이즈의 용지를 적재한 상태에서, 화상출력을 위해 중앙제어부(미도시)로부터 인쇄신호를 받게되면 회전축(112)이 회전하게 되고, 이 회전축(112)에 연결된 픽업롤러(110)가 함께 회전한다. 용지(S)는 도 10의 "A" 방향으로 이동하여 다음 단계의 미도시된 이송롤러로 보내진다.
따라서 용지(S)가 픽업롤러(110)에 의해 픽킹(picking)되어 "A" 방향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제2용지정렬부재((130)의 돌기(131a, 131b, 132a, 132b)들에 의해 용지 후단부가 정렬되기 때문에, 용지(S)는 다음 단계인 이송롤러까지 비뚤어지지 않고 똑바로 이송되어진다. 용지(S)가 똑바로 정렬된 상태로 이송롤러에 진입하게 되면, 용지(S)는 더 이상 거의 뒤틀리지 않으므로 용지의 선단이 이송롤러에 진입할 시점에서 용지 후단부가 제2용지정렬부재((130)를 벗어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급지장치는 제1용지정렬부재와 함께 제2용지정렬부재가 추가됨으로써, 화상출력을 할 경우 용지가 좌우로 비뚤어지지 않고 똑바로 이송롤러까지 진입이 되므로, 측면 비틀림(side skew)이나 측면 공차(side margin)를 해소하여 급지 품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 의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5)

  1. 픽업롤러;
    상기 픽업롤러 아래에 위치하며 용지가 적재되는 용지받침부재;
    상기 용지받침부재 쪽으로 자유롭게 슬라이딩되도록 장착되어 상기 용지를 지지하는 용지받침 확장부재;
    상기 용지받침부재에 장착되어 용지의 선단부를 정렬하는 제1용지정렬부재; 및
    상기 용지받침 확장부재에 장착되어 용지의 후단부를 정렬하는 제2용지정렬부재;를 포함하는 다목적 급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용지정렬부재는 상기 픽업롤러에 의해 급지되는 용지의 폭 크기를 정렬하도록 상기 용지의 진행방향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상기 용지받침부재 위에서 슬라이딩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급지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용지정렬부재는 적어도 한 종류 이상의 용지의 폭 에 맞춰 그 용지의 후단부를 정렬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급지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용지정렬부재는,
    상기 용지받침 확장부재에 탈착 가능하도록 설치된 지지축;
    상기 지지축의 양단 부근에 용지의 폭에 맞도록 설치된 한쌍의 제1돌기; 및
    상기 제1돌기와 일정 각도를 두고 다른 용지 폭에 맞도록 설치된 한쌍의 제2돌기;를 포함하는 다목적 급지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제1돌기와 한쌍의 제2돌기는 상기 지지축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급지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제1돌기와 한쌍의 제2돌기는 서로 약 90도의 각도를 두고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급지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축은 상기 돌기들과 함께 원활하게 회전하도록 상기 용지받침 확장부재에 형성된 수용부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급지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용지받침 확장부재에는 상기 제2용지정렬부재의 돌기 들이 들어갈 수 있는 슬릿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급지장치.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축은 일정 각도 회전한 후 멈추도록 하는 스토퍼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다목적 급지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용지받침 확장부재는 상기 스토퍼가 설치되는 근처에 완충 슬릿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급지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지받침부재는, 상기 용지받침 확장부재와 접하는 경계면 안쪽에 일정한 공간을 가지도록 그 후단부가 아래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급지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용지받침 확장부재가 상기 용지받침부재의 아래로 슬라이딩될 때, 상기 제2용지정렬부재의 돌기가 상기 용지받침부재의 선단에 부딪혀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면서 통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급지장치.
  13.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용지정렬부재는,
    상기 용지받침 확장부재에 탈착 가능하도록 설치된 지지축;
    상기 지지축의 양단 부근에 용지의 폭에 맞도록 설치된 한쌍의 제1돌기;
    상기 제1돌기와 일정 각도를 두고 다른 용지 폭에 맞도록 설치된 한쌍의 제2 돌기; 및
    상기 제2돌기와 일정 각도를 두고 또 다른 용지 폭에 맞도록 설치된 한쌍의 제3돌기;를 포함하는 다목적 급지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용지받침 확장부재에는 상기 제2용지정렬부재의 돌기들이 들어갈 수 있는 슬릿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급지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돌기 각각은 서로 약 90도의 각도를 두고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급지장치.
KR1020050099176A 2005-10-20 2005-10-20 화상형성기기의 다목적 급지장치 KR1007207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9176A KR100720723B1 (ko) 2005-10-20 2005-10-20 화상형성기기의 다목적 급지장치
US11/500,347 US7434801B2 (en) 2005-10-20 2006-08-08 Versatile paper feeding device of image forming apparatus
CN2006101360739A CN1952797B (zh) 2005-10-20 2006-10-20 成像设备的通用送纸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9176A KR100720723B1 (ko) 2005-10-20 2005-10-20 화상형성기기의 다목적 급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3187A true KR20070043187A (ko) 2007-04-25
KR100720723B1 KR100720723B1 (ko) 2007-05-22

Family

ID=379846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9176A KR100720723B1 (ko) 2005-10-20 2005-10-20 화상형성기기의 다목적 급지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434801B2 (ko)
KR (1) KR100720723B1 (ko)
CN (1) CN195279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10854A (ja) * 2006-10-31 2008-05-15 Brother Ind Ltd 画像形成装置
JP4957505B2 (ja) * 2007-10-18 2012-06-2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記録媒体および記録装置
JP5817519B2 (ja) * 2011-12-28 2015-11-18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シート搬送装置、及び画像読取装置
JP6800619B2 (ja) * 2016-06-03 2020-12-16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7206720B2 (ja) * 2018-09-12 2023-01-18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シート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CN109703212A (zh) * 2019-02-26 2019-05-03 天津光电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打印机专用手动进纸托盘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44736A (en) 1976-05-27 1977-12-02 Fujimi Koki Rectifying ciruit
JPS6188933A (ja) 1984-10-09 1986-05-07 Takeuchi Press Kogyo Kk 変形缶の製法
JPS61105329A (ja) 1984-10-29 1986-05-2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減速機
JPH0640196Y2 (ja) * 1986-11-20 1994-10-19 シャープ株式会社 整合機能付紙葉収納装置
JP3584085B2 (ja) * 1995-06-09 2004-11-0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プリンタ
KR100202314B1 (ko) * 1996-05-25 1999-06-15 윤종용 프린터의 용지절환장치
JP3526209B2 (ja) * 1998-04-15 2004-05-10 キヤノン株式会社 給紙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KR100547973B1 (ko) 1998-07-27 2006-04-06 엘지전자 주식회사 투사형표시장치용냉매압력조절장치
KR200198334Y1 (ko) * 1998-11-09 2000-10-02 윤종용 프린터의 다목적 피더 장치
JP4218170B2 (ja) 2000-03-01 2009-02-04 船井電機株式会社 プリンター
JP3614752B2 (ja) * 2000-03-23 2005-01-26 シャープ株式会社 シート載置装置
JP2002044325A (ja) 2000-07-31 2002-02-08 Ricoh Co Ltd 筐体構造および画像形成装置
KR100389862B1 (ko) * 2000-08-10 2003-07-04 삼성전자주식회사 인쇄기의 배출 용지 적재장치
JP3973836B2 (ja) * 2000-12-15 2007-09-12 株式会社リコー シート状媒体処理装置、画像形成装置、シート状媒体後処理装置
US7014183B2 (en) * 2001-06-18 2006-03-21 Ricoh Company, Ltd. Sheet-shaped medium treatment apparatus
JP4127988B2 (ja) 2001-09-11 2008-07-30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原稿給紙装置
JP2003267561A (ja) * 2002-03-19 2003-09-25 Fuji Xerox Co Ltd シート供給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シート処理装置
KR100423465B1 (ko) * 2002-04-11 2004-03-18 삼성전자주식회사 사무기기용 용지 가이드 장치
JP4407444B2 (ja) * 2003-10-02 2010-02-0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被記録媒体給送装置、記録装置、液体噴射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952797A (zh) 2007-04-25
US20070090587A1 (en) 2007-04-26
US7434801B2 (en) 2008-10-14
CN1952797B (zh) 2010-06-23
KR100720723B1 (ko) 2007-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0723B1 (ko) 화상형성기기의 다목적 급지장치
JP5111155B2 (ja) 排紙装置
EP2085235A1 (en) Decurling mechanism
JP5131319B2 (ja) 画像記録装置
JP5830970B2 (ja) 画像記録装置
KR100461590B1 (ko) 화상형성기기의 용지이송장치
JP2004051302A (ja) 給紙装置及びこの給紙装置を搭載した印字装置
JP5916911B2 (ja) シート保持装置
JP2008142985A (ja) 被記録媒体搬送装置、記録装置、液体噴射装置
US20220143992A1 (en) Align printing paper using air blower
JP5707306B2 (ja) シート保持装置並びにこれを備えた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H08318650A (ja) プリンタにおける印字開始方法
JP5655906B2 (ja) 画像記録装置
JP5321447B2 (ja) 画像記録装置
JP5916914B2 (ja) シート保持装置
JP6372281B2 (ja) 搬送装置及び画像記録装置
US9156287B2 (en) Medium transport device and recording apparatus with a shared transport path
JP5987301B2 (ja) 記録装置
JP4754365B2 (ja) プリンタ
JP4262114B2 (ja) 印刷装置
JP2005314032A (ja) 排紙収納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5916913B2 (ja) シート保持装置
JP2013129506A (ja) 記録装置
JPH106585A (ja) 水平ドットインパクトプリンタの用紙送り機構
JP2002096961A (ja) 排紙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印刷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