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39484A - 소프트한 텍스처, 내마모성 및 심색 효과가 우수한폴리에스테르 입모 포백 - Google Patents

소프트한 텍스처, 내마모성 및 심색 효과가 우수한폴리에스테르 입모 포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39484A
KR20070039484A KR1020067024029A KR20067024029A KR20070039484A KR 20070039484 A KR20070039484 A KR 20070039484A KR 1020067024029 A KR1020067024029 A KR 1020067024029A KR 20067024029 A KR20067024029 A KR 20067024029A KR 20070039484 A KR20070039484 A KR 200700394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le
polyester
flat
fabric
polyester fi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240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미기후미 후쿠나가
히로카즈 하야시
Original Assignee
데이진 화이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데이진 화이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데이진 화이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394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948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21/00Warp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21/02Pile fabrics or articles having similar surface features
    • D04B21/04Pile fabrics or articles having similar surface features characterised by thread material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21/00Warp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21/02Pile fabrics or articles having similar surface 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2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3907Pile or nap type surface or component
    • Y10T428/23957Particular shape or structure of pi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Knitting Of Fabric (AREA)
  • Woven Fabrics (AREA)
  • Vehicle Interior And Exterior Ornaments, Soundproofing, And Insulation (AREA)

Abstract

소프트한 텍스처, 내마모성 및 심색 효과를 겸비한 입모 포백은, 폴리에스테르 섬유 사조로 이루어지고 편직 조직을 갖는 그라운드 조직부와, 상기 그라운드 조직부에 편조되거나 또는 직조된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포함하는 파일부를 갖는 입모 포백으로서, 파일부용 폴리에스테르 섬유가, 2∼6 의 편평률을 갖는 편평한 단면 형상과 0.5∼1.5dtex 의 단섬유 섬도를 갖고, 상기 편평 단면 형상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는 2 쌍 이상의 잘록한 부분 (골짜기부) 이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소프트한 텍스처, 내마모성 및 심색 효과가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입모 포백{PILE-ERECTED POLYESTER FABRIC EXCELLENT IN SOFT TEXTURE, WEARING RESISTANCE, AND DEEP-COLOR EFFECT}
본 발명은, 편평한 폴리에스테르 섬유로 형성된 커트파일층을 가져, 소프트한 텍스처, 내마모성 및 심색 효과 (deep-color effect) 가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입모 포백 (立毛布帛) 에 관한 것이다.
종래 카 시트용, 가정 내장용, 오피스 내장용, 전시장 내장용, 의료(衣料)용 등의 용도에서 입모 포백이 대량으로 사용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 있어서는 이러한 입모 포백에 요구되는 특성도 고도화되어 있어, 각종 입모 포백이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어,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7-102445호 (특허 문헌 1) 에서는, 파일용 원사의 광택 제거제 함유량을 낮게 하고, 또한 섬도를 특정한 범위 내로 함으로써 심색 효과를 향상시킨 입모 포백이 제안되어 있다. 또한, 일본 실용신안공고공보 평7-40541호 (특허 문헌 2) 및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0-158953호 (특허 문헌 3) 에서는, 파일 섬유로서 잘록한 부분이 형성되어 있는 편평 단면사를 사용함으로써 심색성을 향상시킨 입모 포백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입모 포백에서 는 심색 효과는 우수하지만, 소프트한 텍스처라는 면에서 만족할 만하다고는 할 수 없었다.
한편, 소프트한 텍스처를 갖는 포백으로는 극세 섬유를 사용하여 포백을 구성하는 것이 알려져 있는데 (예를 들어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7-70871호 (특허 문헌 4)), 파일 섬유로서 통상의 극세 섬유를 사용하면, 섬유 표면의 면적의 증대에 의해 광의 현저한 난반사가 생겨, 얻어진 염색 포백이 흰 빛을 띠고 깊이감이 없는 색으로 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파일 섬유의 단사 섬도가 작기 때문에, 단사가 끊어지기 쉬워 내마모성이 저하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와 같이, 소프트한 텍스처와 내마모성을 갖고, 심색 효과가 높은 입모 포백은 지금까지 그다지 제안되어 있지 않아, 그 제안이 요망되고 있었다.
[특허 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7-102445호
[특허 문헌 2] 일본 실용신안공고공보 평7-40541호
[특허 문헌 3]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0-158953호
[특허 문헌 4]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7 -70871호
본 발명의 목적은 소프트한 텍스처 및 우수한 내마모성, 그리고 심색 효과를 겸비한 폴리에스테르 입모 포백 및 그 섬유 제품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자는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예의 검토한 결과, 파일 섬유로서 특정한 단사 섬도를 갖는 잘록한 부분이 형성된 편평 단면 폴리에스테르 섬유 사조 (絲條) 를 사용함으로써 원하는 입모 포백이 얻어지는 것을 발견하고, 나아가 예의 검토를 거듭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입모 포백은, 폴리에스테르 섬유 사조에 의해 구성된 편직 조직을 갖는 그라운드 조직부와, 이 그라운드 조직부에 편조되거나 또는 직조된 폴리에스테르 섬유 사조를 포함하는 파일부로 구성되고,
상기 파일부가 상기 그라운드 조직부의 일면 상에 형성되고, 또한 상기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포함하는 커트파일층을 갖고,
상기 파일부를 형성하고 있는 폴리에스테르 섬유가 0.5∼1.5dtex 의 단섬유 섬도 및 편평한 단면 형상을 갖고,
상기 편평한 단면 형상의, 그 최대폭 (B) 의, 이 최대폭 방향과 직각을 이루는 방향에 있어서의 최대 두께 (C1) 에 대한 비 (B/C1) 로 표시되는 편평률이 2∼6 의 범위 내에 있고, 상기 편평 단면 형상에 있어서 상기 최대폭 (B) 을 따라서 서로 대향하는 2 변에서부터 편평 단면의 내측을 향하여, 서로 대향하여 연장되어 있는 2 쌍 이상의 잘록한 부분이 형성되어 있고, 그것에 의해, 소프트한 텍스처, 높은 내마모성 및 심색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입모 포백에 있어서, 상기 파일부용 편평한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단섬유 섬도가 0.6∼1.4dtex 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입모 포백의 상기 파일부용 편평한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편평한 단면 형상에 있어서, 상기 최대 두께값 (C1) 의 최소 두께값 (C2) 에 대한 비 (C1/C2) 가 1.05∼4.00 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입모 포백에 있어서, 상기 파일부용 편평 폴리에스테르 섬유가 그 질량에 대하여, 2.5질량% 이하의 광택 제거제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입모 포백에 있어서, 상기 파일부용 편평 폴리에스테르 섬유 사조가 꼬임이 없는 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입모 포백에 있어서, 상기 커트파일층 중의 상기 편평 폴리에스테르 섬유 파일의 밀도가, 5×104∼20×104dtex/㎠ 의 범위 내에 있고, 또한 하기 식에 의해 정의되는 파일 밀도 커버 팩터가 2×104 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Figure 112006083873515-PCT00001
PDF : 파일 밀도 커버 팩터
PN : 파일층 면적 1㎠ 중에 존재하는 파일 섬유의 수
D : 파일 단섬유의 섬도 (dtex)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입모 포백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파일부를 구성하는 편평 폴리에스테르 섬유 사조에 염색이 실시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자동차 내장용 또는 인테리어용 섬유 제품은, 상기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입모 포백을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해, 소프트한 텍스처, 내마모성 및 심색 효과가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입모 포백 및 그것을 포함하는 자동차 내장용 또는 인테리어용 섬유 제품이 얻어진다.
도 1 은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입모 포백의 단면 설명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입모 포백에 포함되는 파일부용 편평 폴리에스테르 단섬유의 단면 형상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 설명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입모 포백에 포함되는 파일부용 편평 폴리에스테르 단섬유의 단면 형상의 별도예를 나타내는 단면 설명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입모 포백에 포함되는 파일부용 편평 폴리에스테르 단섬유의 단면 형상의 또 다른 별도예를 나타내는 단면 설명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입모 포백의 텍스처 방식 반응에 사용되는 접촉자의 사시 설명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도 1 에 있어서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입모 포백 (1) 은, 폴리에스테르 섬유 사조에 의해 구성된 편직 조직을 갖는 그라운드 조직부 (2) 와, 이 그라운드 조직부 (2) 에 편조되거나 또는 직조된 폴리에스테르 섬유 사조 (3a) 로 형성된 파일부 (3) 로 구성되어 있다. 이 파일부 (3) 는, 상기 그라운드 조직부 (2) 의 일면 상에 형성되고, 또한 상기 폴리에스테르 섬유로 형성된 커트파일층 (3a) 을 갖고 있다.
상기 파일부 (3) 를 형성하고, 또한 상기 커트파일층 (3a) 을 형성하고 있는 폴리에스테르 섬유는, 0.5∼1.5dtex, 바람직하게는 0.6∼1.4dtex 의 단섬유 섬도를 갖고, 또한 편평한 단면 형상을 갖는 것이다.
상기 파일부용 편평 폴리에스테르 단섬유의 단면 형상에 있어서, 그 최대폭 (B) 의, 이 최대폭 (B) 방향과 직각을 이루는 방향에 있어서의 최대 두께 (C1) 에 대한 비 (B/C1) 로 표시되는 편평률이 2∼6 의 범위 내에 있고, 바람직하게는 3∼5 의 범위 내에 있다.
상기 편평 단면 형상에 있어서, 상기 최대폭 (B) 을 따라서 서로 대향하는 2 변에서부터, 편평 단면의 내측을 향하여 서로 대향하여 연장되어 있는 2 쌍 이상, 바람직하게는 3∼5 쌍의 잘록한 부분 (골짜기부 (谷部)) 이 형성되어 있다.
도 2 에 있어서, 파일부용 폴리에스테르 단섬유의 단면 (4) 에 있어서, 그 최대 길이 (B) 를 따라서 서로 대향하는 2 변 (4a 및 4b) 에서부터, 단면 (4) 의 내측을 향하여 서로 대향하여 연장되는 3 쌍의 잘록한 부분 (골짜기부), 즉 5a 와 5b 의 1 쌍, 6a 와 6b 의 1 쌍 및 7a 와 7b 의 1 쌍이 형성되어 있고, 도 2 에 있어서, 각 잘록한 부분 (골짜기부) 의 양측에는 팽출부 (산부 (山部)) 가 형성되어 있다. 대향하여 쌍을 이루지만 잘록부 (5a 와 5b, 6a 와 6b 및 7a 와 7b) 는 각각 단면 (4) 의 폭방향 중심선 (8) 에 관해서 실질적으로 대칭을 이루고 있는데, 반드시 엄밀하게 대칭일 필요는 없다. 각각 쌍을 이루는 잘록부의 간격의 최소값 (C2) 에 대한 단면의 최대폭 (C1) 의 비 (C1/C2) 는 1.05∼4.00 인 것이 바람직하고, 1.10∼2.50 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은 편평 단면 형상을 갖는 폴리에스테르 단섬유는 편평하며, 그 횡방향 중심선의 양측에 대향하는 1 쌍의 편평면에는, 각각의 면에서부터 서로 대향하여 내측을 향해 연장되어 있는 2 쌍 이상의 홈이 편평 단섬유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어 있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입모 포백에 있어서, 그 커트파일층을 형성하는 폴리에스테르 단섬유는 편평 단면 형상을 갖고, 그 1 쌍의 편평면에는, 단섬유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고 또한, 서로 대향하고 있는 2 쌍 이상의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파일부용 편평 폴리에스테르 단섬유의 단면 형상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여 쌍을 이루는 2 개의 골짜기부로 이루어지는 잘록한 부분의 수가 1 개 이상이면, 커트파일을 형성하는 편평 폴리에스테르 단섬유의 도면의 마찰계수가 커져, 내마모성이 불충분해진다. 또한, 편평 폴리에스테르 단섬유의 단면 편평부 (B/C1) 가 2 미만이면, 단섬유의 굽힘 강성이 높아져 원하는 소프트한 텍스처가 얻어지지 않으며, 또, 그것이 6 을 초과하면, 마모 등의 외력의 작용에 의해 편평 형태가 변형되거나 또는 분할되어, 외관 품위가 손상된다.
또한, 커트파일을 형성하는 편평 폴리에스테르 단섬유의 비 (C1/C2) 는 잘록한 부분 (골짜기부) 의 깊이에 관계된 파라미터로서, 이 비 (C1/C2) 의 값이 1.02 미만이면 (즉 잘록한 부분의 깊이가 지나치게 작으면) 얻어지는 편평 폴리에스테르 단섬유의 마찰계수가 커져 그 내마모성이 불충분해진다. 또한, 비 (C1/C2) 의 값이 4.00 을 초과하면 (즉 잘록한 부분의 깊이가 지나치게 커지면), 잘록한 부분에 의한 내마모성 향상 효과가 포화되어, 도리어 방사 공정이 불안정해져서, 단섬유에 그 잘록한 부분을 따라서 균열이 발생하거나, 또는 단섬유의 형상, 성능의 균일성이 저하된다.
도 3 에 나타내고 있는 단섬유의 편평한 단면 형상에 있어서, 잘록한 부분 (골짜기) (5a, 5b, 6a, 6b, 7a, 7b) 의 깊이가 비교적 얕고, 잘록부 (골짜기) 양측의 산부는 비교적 완만한 곡선을 이루고 있다. 이러한 단면 형상을 갖는 편평 폴리에스테르 섬유에는, 부드럽고, 또한 광택이 강하다는 특징을 갖는다.
도 4 에 나타내고 있는 단섬유의 편평한 단면 형상에 있어서, 3 쌍의 잘록부 (골짜기부) 와, 각각의 양측에 산부가 형성되어 있지만, 잘록부 (6a 및 7a) 사이의 산부 및 잘록부 (6b 와 7b) 사이의 산부의 폭 및 높이는, 기타 산부의 폭 및 높이와 비교하여 작게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파일부용 편평 폴리에스테르 단섬유는, 0.5∼1.5dtex, 바람직하게는 0.6∼1.4dtex 의 단섬유 섬도를 갖는다. 이 단섬유 섬도가 1.5dtex 보다 굵어지면 얻어지는 커트파일층의 유연도가 불충분해진다. 또한, 이 단섬유 섬도가 0.5dtex 미만이면, 얻어지는 커트파일층의 소프트한 텍스처는 충분하지만, 커트파일 섬유의 기계적 강도가 불충분해져서, 커트파일층의 내마모성이 불충분해진다.
본 발명의 입모 포백에 사용되는 파일부용 편평 폴리에스테르 섬유에는, 광택 제거제가 섬유질량에 대하여 2.5질량% 이하의 함유량으로 함유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0∼1.5질량% 의 함유량으로 함유되어 있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광택 제거제의 함유량이 2.5질량% 보다 커지면, 얻어지는 편평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심색 효과가 불충분해지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편평 폴리에스테르 섬유에 사용되는 광택 제거제는 통상의 폴리에스테르 섬유용 광택 제거제로부터 선택할 수 있으며, TiO2, SiO2, BaSO4 등과 같이 높은 굴절률을 갖고, 또한 0.1∼1㎛ 정도의 평균 입경을 갖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TiO2 함유 광택 제거제를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커트파일층용 폴리에스테르 섬유 사조는 꼬임이 없는 것이 바람직하다. 꼬임이 가해져 있으면, 단섬유의 굽힘 강성이 높아져, 원하는 소프트한 텍스처가 얻어지지 않는 경우가 있다. 또한, 커트파일층용 폴리에스테르 섬유에는 권축이 부여되어 있어도 되고, 권축이 부여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권축을 부여하는 방법으로는, 통상의 가연 (假撚) 권축 가공, 공기 제트 권축법, 압축 권축법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 권축을 부여하는 경우, 권축률로는 1%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10%) 인 것이 바람직하다.
커트파일층의 폴리에스테르 파일의 높이에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0.5∼1.5㎜ 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파일 높이가 0.5㎜ 보다 작으면, 소프트한 텍스처가 손상될 우려가 있다. 또한, 그것이 1.5㎜ 보다 크면, 파일 섬유가 도복(倒伏)하여, 커트파일층의 소프트한 텍스처를 저하시키는 경우가 있다.
또한, 커트파일층의 상기 폴리에스테르 섬유 파일의 밀도는 5×104∼20×104dtex/㎠ 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6×104∼12×104dtex/㎠ 이고, 또한 파일 밀도 커버 팩터가 2×104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6×104∼2.5×105 ) 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파일 밀도, 파일 밀도 커버 팩터는 심색성에 영향을 주어, 파일 밀도가 높을수록 심색 효과가 향상되지만, 파일 밀도가 1.2×105dtex/㎠ 보다 크면, 소프트한 텍스처가 손상될 우려가 있다. 또한 파일 밀도 커버 팩터가 2×104 미만이면, 파일 섬유가 도복할 우려가 있다.
또, 파일 밀도는, 1㎠ 당의 단섬유 갯수를 세고 거기에 단사 섬도를 곱하여 산출해도 되고,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입모 포백이 경편물인 경우, 코스수 (개/㎝)×웰수 (개/㎝)×파일용 사조의 총 섬도 (dtex)×2 로 산출해도 된다. 단, 총 섬도란, 파일용 사조의 단섬유 섬도 (dtex) 와 1 사조 내의 단섬유수와의 곱이다. 또한, 파일 밀도 커버 팩터는, 직접 1㎠ 당 단섬유의 갯수를 세고, 거기에 단사 섬도의 평방근의 역수를 곱해도 되지만,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입모 포백이 경편물인 경우, 코스수 (개/㎝)×웰수 (개/㎝)×파일용 사조의 단섬유 섬도 (dtex) 의 평방근의 역수×1 사조 내의 단섬유수×2 로 산출해도 된다. 단, 총 섬도란, 파일용 사조의 단섬유 섬도 (dtex) ×1 사조 내의 단섬유수이다.
즉, 파일 밀도 커버 팩터는 하기 식에 의해 산출할 수 있다.
Figure 112006083873515-PCT00002
단, PDF : 파일 밀도 커버 팩터
PN : 파일층 면적 1㎠ 중에 분포하고 있는 파일 섬유의 수
D : 파일 단섬유의 섬도 (dtex)
본 발명에 있어서, 파일부용 편평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형성하는 폴리에스테 르 수지로는, 디카르복실산 성분과 디글리콜 성분으로 제조되는 통상의 폴리에스테르를 사용할 수 있다. 디카르복실산 성분으로는, 주로 테레프탈산이 이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디글리콜 성분으로는 주로 에틸렌글리콜, 트리메틸렌글리콜 및 테트라메틸렌글리콜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의 알킬렌글리콜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폴리에스테르 수지에는, 상기 디카르복실산 성분 및 글리콜 성분 이외에 제 3 성분을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제 3 성분으로는, 양이온 염료 가염성 음이온 성분, 예를 들어, 나트륨술포이소프탈산 ; 테레프탈산 이외의 디카르복실산, 예를 들어 이소프탈산, 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아디프산, 세바스산 ; 및 알킬렌글리콜 이외의 글리콜 화합물, 예를 들어 디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비스페놀 A, 비스페놀술폰 중 1 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 상기한 광택 제거제 이외에, 미세 구멍 형성제 (유기 술폰산 금속염), 착색 방지제, 열 안정제, 난연제 (삼산화2안티몬), 형광 증백제, 착색 안료, 대전 방지제 (술폰산 금속염), 흡습제 (폴리옥시알킬렌글리콜), 항균제, 그 밖의 무기 입자 중 1 종 이상을 함유시켜도 된다.
또, 본 발명의 입모 포백에 있어서, 커트파일층은 상기 폴리에스테르 커트파일 섬유만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커트파일층에 30중량% 미만이라면, 다른 커트파일 섬유가 포함되어 있어도 지장은 없다.
본 발명의 입모 포백에 있어서, 그라운드 조직부는 폴리에스테르 섬유 사조로 이루어지는 편직 조직을 갖는 것이다. 그라운드 조직용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형성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로는 상기 서술한 것이면 되고, 광택 제거제의 함유 량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그라운드 조직용 폴리에스테르 섬유 사조의 단사 섬유 섬도 및 총 섬도는 포백의 텍스처를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단사 섬유 섬도 0.5∼5.0dtex, 총 섬도 30∼300dtex 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단사 섬유의 단면 형상에는 제한은 없고, 통상의 원형 단면 이외에 삼각, 편평, 잘록부가 형성된 편평, 십자형, 6 각 모양, 혹은 중공형의 단면 형상이어도 된다. 또한, 이러한 폴리에스테르 섬유 사조는, 가연 권축 가공사나 2 종 이상의 구성 사조를 공기 혼섬 가공이나 복합 가연 가공시킨 복합사, 또 심부에 탄성사, 초부에 비탄성사가 위치하는 커버링사여도 된다.
본 발명의 입모 포백에 있어서 편직 조직에 제한은 없고, 예를 들어 경파일 직물, 위파일 직물, 싱커 파일 편물, 러셀 파일 편물, 트리코트 파일 편물 등의 루프 파일을 커트한 파일 포백이나, 모켓트 (이중직) 방직기에 의한 파일 직물을 센터 커트한 파일 포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입모 포백은, 예를 들어 하기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우선, 예를 들어, 일본 공개특허공보 소56-107044호 제5페이지 도 2C 등과 같은 토출 구멍을 갖는 구금(口金)을 사용하여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방사함으로써, 2 개 이상의 잘록부를 갖는 단면 편평률 2∼6 의 편평 단면을 갖고, 또한 그 단사 섬도가 1.5dtex 이하인 파일부용 폴리에스테르 섬유용 사조를 제조한다. 한편, 통상의 구금을 사용하여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방사함으로써, 그라운드 조직부용 폴리에스테르 섬유 사조를 제조한다. 이어서, 양 사조를 사용하여 파일 포백을 제조한다.
그 때, 편물 조직을 갖는 파일부를 형성하는 것은, 그라운드 조직을 제편하고, 그 위에 연장되는 싱커 파일, 폴 트리코트 파일, 더블 러셀 파일 등의 루프 파일을 커트함으로써 루프 파일 조직을 형성하고, 이 루프 파일을 커트함으로써 커트파일층을 형성한다. 폴 트리코트 파일은, 트리코트 편조직의 파일이 짜여진 부분을, 기모기를 사용하여 루프 파일에 형성함으로써 얻어진다.
한편, 직물 조직을 갖는 파일부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경파일 직물 또는 위파일 직물을 제직하여 그 루프 파일을 커트하거나, 또는 모켓트 직물을 제직하여 그 파일사를 센터 커트함으로써 커트파일층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입모 포백은, 통상, 프리셋트 건열 처리된 후, 통상적인 염색 가공, 최종 건열 처리된다. 그 때, 프리셋트 건열 처리의 온도로는 150∼200℃, 염색 가공의 온도로는 130∼135℃, 최종 건열 처리의 온도로는 140∼160℃ 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의 입모 포백의 그라운드 조직부에 있어서, 커트파일층과 반대측 면에는 공지된 백 코팅층이나 파일층 등의 다른 층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는, 통상적인 방법의 에칭에 의한 모양 내기, 엠보싱 가공, 알칼리 감량 가공, 착색 프린트, 발수 가공, 자외선 차폐제, 항균제, 소취제, 방충제, 축광제, 재귀 반사제, 음이온 발생제 등의 기능을 부여하는 각종 가공을 부가 적용해도 된다.
이렇게 해서 얻어진 본 발명의 입모 포백에 있어서, 커트파일층 폴리에스테르 섬유가 편평 단면을 가지고 있고, 또한 그 단사 섬도가 1.5dtex 이하로 작기 때 문에, 굽힘 강성이 작아 소프트한 텍스처가 얻어진다. 또한, 이 편평 단면은 잘록한 부분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다른 물체와 접촉하였을 때에 접촉 면적이 작아지기 때문에, 마찰 저항이 작아 우수한 내마모성이 얻어진다. 동시에, 이러한 잘록한 부분의 요철 효과에 의해 심색성이 얻어진다.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에 의해서 한정되는 것은 전혀 아니다. 또, 실시예 중의 각 물성은 하기 방법에 의해 측정한 것이다.
(1) 텍스처
카토텍 (주) 제조의 KES-F4 표면 특성 시험에 의해, 피시험포를 20㎝×20㎝ 의 크기로 자르고, 0.5㎜ 직경의 피아노선 10 개가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부러진 접촉자의 저면에 98mN (10gf) 의 하중으로 시료를 압착하여, 시료를 이동 속도 0.1㎝/sec, 측정 장력 196mN (20gf)/㎝ 에 있어서 경사 방향 및 위사 방향의 표면 마찰계수 (μ) 를 각각 측정하였다. 또 n 수는 5 로 하여 그 평균값을 구하였다.
(2) 내마모성 1
JIS L 1096-1990 6.32 4 D 법 (마틴데일법 (Martindale method)) 에 의해, 2 만회 회전시킨 후, 변퇴색용 그레이 스케일로 마모 변퇴색을 평가하였다. 또 n 수는 5 로 하여 그 평균값을 구하였다.
(3) 내마모성 2
JIS L 0894 학진 시험기법으로, 피시험포를 20㎝×3㎝ 의 크기로 자르고, 9.8N (1.0kgf) 의 하중을 가하여 1 만회 회전시킨 후, 마모 파일 탈락성을 평가하였다. 또 n 수는 5 로 하여 그 평균값을 구하였다.
(4) 표면 외관
파일 섬유의 도복 상태를 육안으로 관찰하여, ○: 도복이 없이 양호하다, △: 보통이다, ×: 도복이 있고 불량하다, 의 3 단계 평가를 실시하였다.
(5) 심색 효과
맥베스 컬러 아이 (Macbeth color-Eye) 모델 M-2020 (미국, 코르모겐사 제조) 을 사용하여, 광원 D65, 10 도 시야에서 피시험포의 L 값을 측정하였다. 또 n 수는 5 로 하여 그 평균값을 구하였다.
실시예 1
광택 제거제 (산화티탄) 를 함유하지 않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를, 방사 구금에 천공되며, 또한 도 1 에 나타내고 있는 필라멘트 단면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72 개의 용융 방사 구멍 (길이 중심선의 양측으로, 한 쪽에 4 개의 원호상 팽출부와 그 사이에 형성된 3 개의 잘록한 부분을 갖는다) 을 통해서 방사 온도 300℃ 에서 압출하고, 통상의 방법에 의해 연신함으로써, 얀 카운트(yarn count)가 88dtex/72 필라멘트 (단사 섬도 1.2dtex) 인 연신 멀티필라멘트 사조를 제작하여, 파일사용 사조로 하였다. 이 파일사용 사조는 도 2 에 나타낸 단면 형상을 갖는 필라멘트 (단섬유) 로 이루어지고, 그 단면 형상의 단면 편평률 (B/C1) 은 3.2 이고, 편평 단면에 있어서, 그 폭의 최대값 (C1) 의, 최소값 (C2) 에 대한 비 (C1/C2) 가 1.2 였다.
한편, 통상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를 통상의 둥근 단면 형상의 용융 방사 구멍을 통해서 방사 및 연신함으로써, 얀 카운트가 84dtex/36 필라멘트인 연신 멀티필라멘트 사조를 제작하여, 중간용 사조로 하였다. 또한, 통상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를 통상의 둥근 단면 형상의 용융 방사 구멍을 통해서 방사 및 연신한 후, 통상의 가연 권축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얀 카운트가 84dtex/36 필라멘트인 가연 멀티필라멘트 사조를 제작하여 그라운드사용 사조로 하였다.
이어서, 칼마이어사 제조의 트리코트 경편기를 사용하고, 상기 파일사용 사조를 실패의 진동 표시: 1034, 상기 중간용 사조를 실패의 진동 표시: 1023, 그라운드사용 사조를 실패의 진동 표시: 1012 로, 코스수: 86코스/2.54㎝, 웰수: 28웰/2.54㎝ 인 편지를 편성하였다. 그리고, 얻어진 루프 파일 포백을 염색 공정으로 보내어, 하기 조성의 염료 조성물
(염색욕) :
Teratop Blue HLB (상표, 치바가이기사 제조): 0.4% (포백 질량에
대하여)
Irgasol DAM (상표, 치바가이기사 제조): 1g/리터
아세트산: 0.5g/리터
에 의해, 액류 염색기 (히사카 제작소 제조) 를 사용하여 130℃ 45 분간 염색을 실시하였다. 염색 후의 포백을 쇼트 루프 드라이어 (히라노 테크시드사 제조) 에 넣고, 건조시켰다. 기모제 처리를 패팅기 (히라노 테크시드사 제조) 에 의해 실시하고, 건조 셋터에 넣어, 확포 상태에 있어서 온도: 170℃, 시간: 1 분간의 프리셋트 건열 처리를 실시한 후, 침포 기모기 (닛키 (주) 사 제조) 로 루프 파일의 선단 부분을 기모하여 커트한 후, 샤링기 (닛키 (주) 사 제조) 에 의해 루프 파일의 선단 부분을 전모 (剪毛) 하여, 커트 파일 (파일 높이 1㎜) 을 형성하였다. 얻어진 커트 파일 포백을 건조 셋터 (히라노 테크시드사 제조) 에 넣고 여기에 160℃×1 분의 최종 건열 처리를 실시하여, 코스수: 79코스/2.54㎝, 웰수: 43웰/2.54㎝ 의 입모 포백을 얻었다.
얻어진 입모 포백에 있어서, 파일 밀도가 9.27×104dtex/㎠, 파일 밀도 커버 팩터가 6.86×104, 폴리에스테르 커트 파일 섬유의 단사 섬도가 1.2dtex, 심색성이 L 값으로 4.92, 내마모성 1 (마틴데일법) 으로 3∼4 급, 내마모성 2 (학진 시험기법) 으로 3 급, 경사 방향의 표면 마찰계수 (μ) 가 0.32, 위사 방향의 표면 마찰계수 (μ) 가 0.297, 표면 외관이 양호하며, 소프트한 텍스처, 높은 내마모성, 높은 심색성을 겸비하는 것이었다.
비교예 1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입모 포백을 제조하였다. 단, 파일사용 사조를, 통상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를 통상의 둥근 단면 형상의 용융 방사 구멍을 통해서 방사 및 연신함으로써 제조한, 얀 카운트가 56dtex/144 필라멘트인 연신 멀티필라멘트 사조를 사용하여, 코스수: 90코스/2.54㎝, 웰수: 28웰/2.54㎝ 인 편지를 편성하였다. 코스수: 79코스/2.54㎝, 웰수: 43웰/2.54㎝ 의 입모 포백을 얻었다.
얻어진 입모 포백에 있어서, 파일 밀도가 5.61×104dtex/㎠, 파일 밀도 커버 팩터가 2.31×105, 폴리에스테르 커트 파일 섬유의 단사 섬도가 0.39dtex, 심색성이 L 값으로 6.64, 내마모성 1 (마틴데일법) 으로 3 급, 내마모성 2 (학진 시험기법) 으로 2 급, 경사 방향의 표면 마찰 (μ) 이 0.313, 위사 방향의 표면 마찰 (μ) 이 0.325, 표면 외관이 ○ 이고, 내마모성 및 심색 효과가 떨어지는 것이었다.
비교예 2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입모 포백을 제조하였다. 단, 파일사용 사조로서, 통상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를, 통상의 편평 단면 형상의 용융 방사구멍을 통해서, 방사, 연신함으로써 제조된, 얀 카운트가 88dtex/72 필라멘트이고 잘록한 부분이 없는 편평 사조를 사용하여, 코스수: 90코스/2.54㎝, 웰수: 28웰/2.54㎝ 인 편지를 편성하였다. 코스수: 79코스/2.54㎝, 웰수: 43웰/2.54㎝ 의 입모 포백을 얻었다.
얻어진 입모 포백에 있어서, 파일 밀도가 9.26×104dtex/㎠, 파일 밀도 커버 팩터가 6.86×104, 폴리에스테르 커트 파일 섬유의 단사 섬도가 1.2dtex, 심색성이 L 값으로 5.64, 내마모성 1 (마틴데일법) 으로 3 급, 내마모성 2 (학진 시험기법) 으로 2 급, 경사 방향의 표면 마찰 (μ) 이 0.313, 위사 방향의 표면 마찰 (μ) 이 0.325, 표면 외관이 ○ 이고, 내마모성 및 심색 효과가 떨어지는 것이었다.
본 발명의 입모 포백은, 소프트한 텍스처, 내마모성, 심색성을 겸비하고 있기 때문에, 카 시트나 천장 부재 등의 차량 내장용, 의자 커버, 카페트 등의 가정 및 오피스 내장용, 전시장 내장용, 의료용 등의 섬유 제품으로서 사용할 수 있어, 그 공업적 가치는 매우 크다.

Claims (8)

  1. 폴리에스테르 섬유 사조에 의해 구성된 편직 조직을 갖는 그라운드 조직부와, 상기 그라운드 조직부에 편조되거나 또는 직조된 폴리에스테르 섬유 사조를 포함하는 파일부로 구성되고,
    상기 파일부가 상기 그라운드 조직부의 일면 상에 형성되고, 또한 상기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포함하는 커트파일층을 갖고,
    상기 파일부를 형성하고 있는 폴리에스테르 섬유가 0.5∼1.5dtex 의 단섬유 섬도 및 편평한 단면 형상을 갖고,
    상기 편평한 단면 형상의, 그 최대폭 (B) 의, 이 최대폭 방향과 직각을 이루는 방향에 있어서의 최대 두께 (C1) 에 대한 비 (B/C1) 로 표시되는 편평률이 2∼6 의 범위 내에 있고, 상기 편평 단면 형상에 있어서 상기 최대폭 (B) 을 따라서 서로 대향하는 2 변에서부터 편평 단면의 내측을 향하여, 서로 대향하여 연장되어 있는 2 쌍 이상의 잘록한 부분이 형성되어 있고, 그것에 의해, 소프트한 텍스처, 높은 내마모성 및 심색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 입모 포백.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부용 편평한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단섬유 섬도가 0.6∼1.4dtex 의 범위 내에 있는 폴리에스테르 입모 포백.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부용 편평한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편평한 단면 형상에 있어서, 상기 최대 두께값 (C1) 의 최소 두께값 (C2) 에 대한 비 (C1/C2) 가 1.05∼4.00 의 범위 내에 있는 폴리에스테르 입모 포백.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부용 편평 폴리에스테르 섬유가 그 질량에 대하여, 2.5질량% 이하의 광택 제거제를 함유하는 폴리에스테르 입모 포백.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부용 편평 폴리에스테르 섬유 사조가 꼬임이 없는 것인 폴리에스테르 입모 포백.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트파일층 중의 상기 편평 폴리에스테르 섬유 파일의 밀도가, 5×104∼20×104dtex/㎠ 의 범위 내에 있고, 또한 하기 식에 의해 정의되는 파일 밀도 커버 팩터가 2×104 의 범위 내에 있는 폴리에스테르 입모 포백. :
    Figure 112006083873515-PCT00003
    PDF : 파일 밀도 커버 팩터
    PN : 파일층 면적 1㎠ 중에 분포하고 있는 파일 섬유의 수
    D : 파일 단섬유의 섬도 (dtex)
  7. 제 1 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파일부를 구성하는 편평 폴리에스테르 섬유 사조에 염색이 실시되어 있는 폴리에스테르 입모 포백.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폴리에스테르 입모 포백을 포함하는, 자동차 내장용 또는 인테리어용 섬유 제품.
KR1020067024029A 2004-08-06 2005-08-04 소프트한 텍스처, 내마모성 및 심색 효과가 우수한폴리에스테르 입모 포백 KR2007003948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230543A JP2006045731A (ja) 2004-08-06 2004-08-06 ソフトな風合いと耐摩耗性を有する深色性立毛布帛および繊維製品
JPJP-P-2004-00230543 2004-08-0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9484A true KR20070039484A (ko) 2007-04-12

Family

ID=357872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24029A KR20070039484A (ko) 2004-08-06 2005-08-04 소프트한 텍스처, 내마모성 및 심색 효과가 우수한폴리에스테르 입모 포백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80020173A1 (ko)
JP (1) JP2006045731A (ko)
KR (1) KR20070039484A (ko)
CN (1) CN1965118A (ko)
TW (1) TW200609400A (ko)
WO (1) WO200601402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200525065A (en) * 2003-12-16 2005-08-01 Teijin Fibers Ltd Plush fabric and method for production thereof
JP4782472B2 (ja) * 2005-05-24 2011-09-28 帝人ファイバー株式会社 立毛布帛および繊維製品
JP2008045233A (ja) * 2006-08-14 2008-02-28 Teijin Fibers Ltd 紫外線カット性とソフトな風合いを有する編物および衣料
JP2008050722A (ja) * 2006-08-25 2008-03-06 Teijin Fibers Ltd 立毛布帛およびカーシート部材
JP2009019311A (ja) * 2007-07-13 2009-01-29 Teijin Fibers Ltd フリース立毛布帛用偏平繊維とその製造方法
KR101439069B1 (ko) 2010-07-29 2014-09-05 아사히 가세이 셍이 가부시키가이샤 내마모성 폴리에스테르 섬유 및 직편물
CN102555936B (zh) * 2012-01-20 2014-01-15 宏达高科控股股份有限公司 一种经编起绒汽车内饰材料的生产方法
PL2938308T3 (pl) * 2012-12-28 2019-08-30 Essity Hygiene And Health Aktiebolag Wyrób chłonny mający tkaninę oddzielającą jako człon regulujący przepływ płynu
CN104884018B (zh) * 2012-12-28 2018-07-10 Sca卫生用品公司 具有作为流体流动控制构件的间隔织物的吸收性物品
US11001946B2 (en) * 2018-08-10 2021-05-11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Knitted durable fabrics for use on vehicle seats
CN111005135A (zh) * 2018-10-05 2020-04-14 尤尼吉可贸易有限公司 单绒头针织物及鞋内装件
CN110468490A (zh) * 2019-08-21 2019-11-19 宁波大千纺织品有限公司 一种静电割绒立体图案绒面织物的制备方法
CN110820149B (zh) * 2019-10-23 2021-03-12 北京东土复兴服饰有限公司 一种丝绒衫的制造工艺
CN114921892B (zh) * 2022-05-17 2024-03-26 无锡市亿润纺织有限公司 一种粉扑面料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31073A (en) * 1979-08-20 1981-03-28 Teijin Ltd Production of artificial leather
JPH01156544A (ja) * 1987-12-15 1989-06-20 Asahi Chem Ind Co Ltd パイル布帛
JPH0351349A (ja) * 1989-07-19 1991-03-05 Toray Ind Inc カーシート用立毛パイル布帛
JP3475619B2 (ja) * 1995-12-20 2003-12-08 東レ株式会社 杢調パイル布帛
JP3664284B2 (ja) * 1996-11-18 2005-06-22 株式会社クラレ 立毛布帛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6045731A (ja) 2006-02-16
WO2006014020A1 (ja) 2006-02-09
CN1965118A (zh) 2007-05-16
TW200609400A (en) 2006-03-16
US20080020173A1 (en) 2008-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39484A (ko) 소프트한 텍스처, 내마모성 및 심색 효과가 우수한폴리에스테르 입모 포백
KR100386006B1 (ko) 안감 및 그 제조방법
US20070215231A1 (en) Pile Fabric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JP3895227B2 (ja) 衣料関連商品
JP4410029B2 (ja) 繊維製品
JP4155853B2 (ja) 織編物
JP4782472B2 (ja) 立毛布帛および繊維製品
JP3989883B2 (ja) 凹凸模様付き多色パイル布帛
JP2010100977A (ja) 立毛パイル布帛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5320654A (ja) 新規外観パイル布帛およびカーシート
JP2006316370A (ja) 黒ずみが抑制された立毛布帛および繊維製品
JP2007154363A (ja) 撥水性立毛布帛およびその製造方法および繊維製品
JP2000170061A (ja) 防風性編地
JP2008050722A (ja) 立毛布帛およびカーシート部材
JPS61152849A (ja) 内装用パイル布帛
JP4740573B2 (ja) 織物
JP2019081735A (ja) 布帛型毛髪用化粧料
KR200281055Y1 (ko) 고흡수성 크리너
JPS6312737A (ja) 内装用パイル布帛
JP2007262591A (ja) カットパイル布帛
JPH0740541Y2 (ja) 内装用パイル布帛
JP3900323B2 (ja) 意匠性パイル布帛
JP4520342B2 (ja) 経編物および該経編物を用いた薄起毛調経編物の製造方法
JP2007162169A (ja) 防風保温性二重織物および衣料
JP5368824B2 (ja) 複合糸及びこれを用いた織編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