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35960A - 다기통 엔진 - Google Patents

다기통 엔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35960A
KR20070035960A KR1020060088493A KR20060088493A KR20070035960A KR 20070035960 A KR20070035960 A KR 20070035960A KR 1020060088493 A KR1020060088493 A KR 1020060088493A KR 20060088493 A KR20060088493 A KR 20060088493A KR 20070035960 A KR20070035960 A KR 200700359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engine
common rail
engine cooling
eg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84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06451B1 (ko
Inventor
키요시 하타우라
마나부 미야자키
토시노리 오카지마
오사무 타키이
미츠루 카미야마
무츠미 무라타
히로시 미쿠모
야스시 나카무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7660380&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70035960(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filed Critical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ublication of KR200700359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59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64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64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FCYLINDERS, PISTONS OR CASINGS, FOR COMBUSTION ENGINES; ARRANGEMENTS OF SEALINGS IN COMBUSTION ENGINES
    • F02F1/00Cylinders; Cylinder heads 
    • F02F1/24Cylinder hea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55/00Fuel-injec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uel conduits or their venting means; Arrangements of conduits between fuel tank and pump F02M37/00
    • F02M55/02Conduits between injection pumps and injectors, e.g. conduits between pump and common-rail or conduits between common-rail and injectors
    • F02M55/025Common r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77/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6/00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exhaust gases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e.g. by exhaust gas recirculation [EGR] systems
    • F02M26/13Arrangement or layout of EGR passages, e.g. in relation to specific engine parts or for incorporation of accessories
    • F02M26/22Arrangement or layout of EGR passages, e.g. in relation to specific engine parts or for incorporation of accessories with coolers in the recirculation passage
    • F02M26/29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coolers, e.g. pipes, plates, ribs, insulation or materials
    • F02M26/31Air-cooled heat exchan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9/00Arrangements of fuel-injection apparatus with respect to engines; Pump drives adapted to such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53/00Fuel-injec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having heating, cooling or thermally-insul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1/00Air cooling
    • F01P1/06Arrangements for cooling other engine or machine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2060/00Cooling circuits using auxiliaries
    • F01P2060/10Fuel manifol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xhaust-Gas Circulating Devices (AREA)
  • Lubrication Details And Ventilation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 Fuel-Injection Apparatus (AREA)
  • Cylinder Crankcase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크랭크 샤프트 길이가 전후방향이고 이 전후방향에 수직한 실린더 헤드(1)의 폭방향이 측면방향인 다기통 실린더 엔진에 있어서, 상기 다기통 실린더 엔진은 흡기 분배통로벽(2)이 부착되는 일측면을 갖고 배기가스 집중통로벽(3)이 부착되는 타측면을 갖는 실린더 헤드(1)를 포함하며, 상기 실린더 헤드(1) 주변에 커먼 레일(10)이 배치된다. 이러한 다기통 실린더 엔진에 있어서, 상기 커먼 레일(10)은 흡기 분배통로벽(2)의 바로 측면에 배치되고, 이에 의해 실린더 헤드(1)와 커먼 레일(10) 사이에 흡기 분배통로벽(2)이 위치된다. 바람직하게는, 흡기 입구파이프(11)는 흡기 분배통로벽(2)의 상부에 직립하도록 형성되고 커먼 레일(10) 바로 위에 위치되는 흡기 플랜지부(12)를 구비한다.
다기통, 엔진, 커먼 레일, EGR 밸브

Description

다기통 엔진{MULTI-CYLINDER ENGIN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엔진의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엔진의 우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엔진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엔진의 좌측면도.
본 발명은 다기통 엔진(multi-cylinder engine)에 관한 것이고, 특히 커먼 레일(common rail)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다기통 엔진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다기통 엔진으로서는, 본 발명과 마찬가지로 크랭크 샤프트(crank shaft) 길이(span)를 전후방향으로 취하고 그 전후방향에 수직한 실린더 헤드(cylinder head)의 폭방향을 측면방향으로 취한다는 가정 아래에, 커먼 레일이 실린더 헤드 주변에 배치되어 있는 상태에서 일측면 쪽에 흡기 분배통로벽(intake-air distributing passage wall)이 부착되어 있고 타측면 쪽에 배기가스 집중통로벽(exhaust-gas converging passage wall)이 부착되어 있는 실린더 헤드를 포함하는 것이 있다.
그러나, 종래의 다기통 엔진에서는, 일본특허 공개 제2001-227407호(도 1 및 도 3 참조)에 나타난 바와 같이 커먼 레일이 실린더 헤드로부터 충분히 격리되지 않아 그에 수반하는 문제를 야기한다.
종래기술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문제점) 커먼 레일이 쉽게 손상된다.
커먼 레일은 실린더 헤드로부터 충분히 격리되지 않아서 엔진의 연소열이 커먼 레일로 바로 전달된다. 그래서 커먼 레일은 과열에 의해 쉽게 손상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다기통 엔진, 특히 커먼 레일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다기통 엔진을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제1 형태에 따른 발명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랭크 샤프트 길이를 전후방향으로 규정하고 이 전후방향에 수직한 실린더 헤드(1)의 폭방향을 측면방향으로 특정한다. 다음에, 다기통 엔진은, 커먼 레일(10)이 실린더 헤드 (10) 주변에 배치되어 있는 상태에서 일측면 쪽에 흡기 분배통로벽(2)이 부착되어 있고 타측면 쪽에 배기가스 집중통로벽(3)이 부착되어 있는 실린더 헤드(1)를 포함함에 있어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먼 레일(10)이 흡기 분배통로벽(2)의 바로 측면에 배치되고, 이에 의해 실린더 헤드(1)와 커먼 레일(10) 사이에 흡기 분배통로벽(2)이 위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첨부한 도면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엔진을 도시한 것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수냉각 수직(water-cooled vertical straight) 다기통 디젤 엔진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개요는 다음과 같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린더 헤드(1)는 실린더 블록(cylinder block, 5)의 상부(upper portion)에 조립되며 헤드 커버(head cover, 22)가 조립되는 상부를 갖는다. 실린더 블록(5)은 오일팬(oil pan, 23)이 조립되는 하부(lower portion)를 갖고 기어 케이스(gear case, 24)가 조립되는 전면부를 갖는다. 또한, 실린더 블록(5)은 플라이휠 하우징(flywheel housing, 25)이 조립되는 후면부(rear portion)를 갖는다.
기어 케이스(24) 위의 실린더 블록(5)에는 냉각수 펌프(cooling water pump, 17)가 부착되어 있다. 냉각수 펌프(17)는 엔진 냉각팬(cooling fan, 6)이 부착되는 입력 샤프트을 갖는다. 냉각수 펌프(17) 및 엔진 냉각팬(6)은 벨트전송장치(도시하지 않음)를 통하여 크랭크 샤프트에 의해 구동된다. 라디에이터(도시하지 않음)는 엔진 냉각팬(6)의 앞에 배치된다. 엔진 냉각팬(6)이 회전될 때, 냉각공기는 라디에이터의 전면부로부터 그 냉각팬쪽으로 흡입되어 엔진 냉각공기가 되는 냉각 배기가스로서 배출된다
이 엔진은 EGR 장치와 커먼 레일형의 연료주입장치를 갖추고 있다. EGR 장치는 배기가스의 일부를 흡입공기로 감소시킨다. 커먼 레일형의 연료주입장치는 연료공급펌프(16)에 의해 압력이 증대된 연료를 그 커먼 레일(10) 안에 축적한다. 인젝터(injector)는 연료의 양을 조절하여 실린더 마다 연료 주입시에 주입되도록 하기 위해 전자제어를 통하여 개폐되는 전자기 밸브를 갖는다.
EGR 장치는 다음과 같이 고안되어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랭크 샤프트 길이는 전후방향이고 이 전후방향에 수직한 실린더 헤드(1)의 폭방향은 측면방향이다. 실린더 헤드(1)는 흡기 분배통로벽(2)이 부착되는 좌측면을 갖고 배기가스 집중통로벽(3)이 부착되는 우측면을 갖는다. EGR 냉각기(4)는 배기가스 집중통로와 흡기 분배통로 사이에 개재된다. 흡기 분배통로벽(2)은 흡기 매니폴드(mainifold)이며 배기가스 집중통로벽(3)은 배기가스 매니폴드이다.
도 1 내지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EGR 냉각기(4)는 실린더 블록(5)의 전후방향에 측면으로 걸쳐져 있고 배기가스 집중통로벽(3)은 이 EGR 냉각기(4)의 바로 위에 위치된다. EGR 냉각기(4) 바로 위의 위치는 EGR 냉각기(4) 위의 위치로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린더 중앙축(26)에 평행한 방향으로 보았을 때 EGR 냉각기(4)를 겹치는 위치를 말한다. 또한, 실린더 중앙축(26)에 평행한 방향으로 본 경우, EGR 냉각기(4)는 배기가스 집중통로벽(3)의 측면으로 돌출하지 않도록 배치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엔진 냉각팬(6)이 존재하는 일측은 전면으로서 규정되며 그 반대측은 후면으로서 정해진다. EGR 냉각기(4)로부터 안내되는 EGR 가스 유도파이프(7)는 엔진 냉각팬(6)에 의해 생성된 엔진 냉각공기가 EGR 가스 유도파이프(7)를 향하여 불어댈 수 있도록 엔진 냉각팬(6)의 후방에 배치된다. EGR 냉각기(4)로부터 안내되는 냉각수 유도파이프(9)는 엔진 냉각팬(6)에 의해 생성된 엔진 냉각공기를 냉각수 유도파이프(9)를 향하여 불어넣을 수 있도록 엔진 냉각팬(6)의 후방에 배치되어 있다. EGR 가스 유도파이프(7)와 냉각수 유도파이프(9)의 어느 한쪽은 엔진 냉각팬(6)의 바로 후방에 배치되어 있다.
엔진 냉각팬(6)의 바로 후방의 위치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엔진 냉각팬의 후방에 있는 위치로서, 크랭크 샤프트의 중앙축(27)에 평행한 방향으로 보았을 때 엔진 냉각팬을 겹치는 위치를 말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냉각수 유도파이프(9)는 냉각수 펌프(17)의 흡입측과 연통하도록 이루어진 유도단부(lead-out end)를 갖는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EGR 냉각기(28)로부터 안내되는 냉각수 유도파이프(28)는 실린더 블록(5) 내의 실린더 자켓(cylinder jacket, 도시하지 않음)과 연통하도록 이루어진 유도단부를 갖는다.
커먼 레일형의 연료주입장치는 다음과 같이 고안되어 있다.
도 1 및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커먼 레일(10)은 흡기 분배통로벽(2)의 바로 측면에 배치되고, 이에 의해 실린더 헤드(1)와 커먼 레일(10) 사이에 흡기 분배통로벽(2)가 위치된다. 흡기 분배통로벽(2)의 바로 측면의 위치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린더 헤드(1)에 대향하는 위치로서, 실린더 중앙축(26)과 크랭크 샤프트의의 중앙축(27)에 수직한 방향으로 보았을 때 흡기 분배통로벽(2)을 겹치는 위치를 말한다. 흡기 입구파이프는 흡기 분배통로벽(2)의 상부에 직립하도록 형성되고 흡기 플랜지부(12)를 구비한다. 이 흡기 플랜지부(12)는 커먼 레일(10)의 바로 위에 위치된다. 커먼 레일(10) 바로 위의 위치는 커먼 레일 위에 있는 위치로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린더 중앙축(26)에 평행한 방향으로 보았을 때 커 먼 레일(10)을 겹치는 위치를 말한다. 흡기 연결파이프(30)는 흡기 히터(heater, 29)를 통하여 흡기 플랜지부(12)에 부착되어 있다. 이 흡기 연결파이프(30)에 연결된 것은 과급기(31)로부터 안내되는 흡기 파이프(도시하지 않음)의 유도단부이다.
도 1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EGR 가스 입구파이프(13)는 흡기 분배통로벽(2)의 상부에 직립하도록 형성된다. 가스 플랜지부(14)는 EGR 가스 입구파이프(13) 위에 설치되며 커먼 레일(10) 바로 위에 위치된다. EGR 가스 입구파이프(13)에 부착된 것은 EGR 가스 연결파이프(32)이다. 이 EGR 가스 연결파이프(32)는 가스 플랜지부(14)가 부착되는 상단부(upper end portion)를 갖는다.
도 1,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스 플랜지부(14)는 엔진 냉각팬(6)의 후방에 위치된다. EGR 밸브 케이스(8)는 엔진 냉각팬(6)에 의해 생성된 엔진 냉각공기를 가스 플랜지부(14)를 향하여 불어넣을 수 있도록 이 가스 플랜지부(14)에 부착되어 있다. 가스 플랜지부(14)는 엔진 냉각공기를 가스 플랜지부(14)의 상면에 의해 안내하여 커먼 레일(10)을 향하여 불어넣도록 후방 아래쪽으로 기울어지는 하면을 갖는다. EGR 밸브 케이스(8)는 가스 플랜지부(14)에 부착되고 밸브 액츄에이터(15)는 EGR 밸브 케이스(8)에 부착되어 있다. 밸브 액츄에이터(15)는 연료공급펌프(16) 바로 위에 위치된다. 연료공급펌프(16) 바로 위의 위치는 연료공급펌프(16) 위에 있는 위치로서, 실린더 중앙축(26)에 평행한 방향으로 보았을 때 연료공급펌프(16)를 겹치는 위치를 말한다.
도 1, 도 3 및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냉각수 펌프(17)는 엔진의 전면부 에 부착되고 그 앞의 커먼 레일(10)의 바로 전면에 위치되는 입구파이프부(18)를 갖는다. 입구파이프부(18)는 라디에이터로부터 안내되는 냉각수 복귀파이프(도시하지 않음)의 유도단부에 연결되어 있다. 그 앞의 커먼 레일(10)의 바로 전면의 위치는 커먼 레일(10)의 전면에 있는 위치로서, 크랭크 샤프트의 중앙축(27)에 평행한 방향으로 보았을 때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먼 레일(10)을 겹치는 위치를 말한다.
도 1,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료필터(19)는 실린더 헤드(1)의 바로 측면에 배치되고 커먼 레일(10)의 바로 후방에 위치된다. 실린더 블록(5)은 오일필터(21)를 부착하기 위한 자리(20)를 구비하는 측벽을 갖는다. 오일필터(21)는 커먼 레일(10) 바로 아래에 위치되는 오일필터 부착자리(20)에 부착되어 있다. 커먼 레일(10)의 바로 후방의 위치는 커먼 레일(10)의 후방에 있는 위치로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랭크 샤프트의 중앙축(27)에 평행한 방향으로 보았을 때 커먼 레일(10)을 겹치는 위치를 말한다. 커먼 레일(10) 바로 아래의 위치는 커먼 레일(10) 아래에 있는 위치로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린더 중앙축(26)에 평행한 방향으로 보았을 때 커먼 레일(10)을 겹치는 위치를 말한다.
(제1 형태의 발명)
<효과> 커먼 레일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먼 레일(10)은 흡기 분배통로벽(2)의 바로 측면에 배치되고, 이에 의해 실린더 헤드(1)와 커먼 레일(10) 사이에 흡기 분 배통로벽(2)이 위치되어 있다. 그래서, 상기 흡기 분배통로벽(2)은 실린더 헤드(1)로부터 커먼 레일(10)을 격리하고 그 결과, 엔진의 연소열을 커먼 레일(10)로 거의 전달하지 않는다. 이는 커먼 레일(10)의 과열을 방지하며, 그에 따라 커먼 레일(10)이 과열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제2 형태의 발명)
<효과> 커먼 레일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형태에 따른 발명의 효과에 더하여 다음의 효과를 제공한다.
도 1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기 입구파이프(11)는 흡기 분배통로벽(2)의 상부에 직립하도록 형성되고 흡기 플랜지부(flange portion, 12)를 구비하고 있다. 이 흡기 플랜지부(12)는 상기 커먼 레일(10)의 바로 위에 위치되어 있다. 결과적으로, 엔진을 제작하거나 유지보수를 행할 때에, 부품, 도구 또는 그 유사물들이 엔진의 상부 영역으로 떨어지더라도, 흡기 플랜지부(12)는 이들이 위에서부터 바로 커먼 레일(10)에 부딪히기 전에 그 유사물들을 받을 수 있다. 이에 의해 커먼 레일(10)은 그 유사물들이 위에서부터 바로 부딪힘으로써 손상되는 것을 막을 수 있게 된다.
(제3 형태의 발명)
제1 형태 또는 제2 형태에 따른 발명의 효과에 더하여 다음의 효과를 제공한다.
<효과> 커먼 레일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EGR-가스 입구파이프(13)는 흡기 분배통 로벽(2)의 상부에 직립하도록 형성되고 상부에 가스 플랜지부(14)를 구비하고 있다. 이 가스 플랜지부(14)는 커먼 레일(10)의 바로 위에 위치되어 있다. 결과적으로, 엔진을 제작하거나 유지보수를 행할 때에, 부품, 도구 또는 그 유사물들이 엔진의 상부 영역으로 떨어지더라도, 가스 플랜지부(14)는 이들이 위에서부터 바로 커먼 레일(10)에 부딪히기 전에 그 유사물들을 받을 수 있다. 이에 의해 커먼 레일(10)은 그 유사물들이 위에서부터 바로 부딪힘으로써 손상되는 것을 막을 수 있게 된다.
(제4 형태의 발명)
제3 형태에 따른 발명의 효과에 더하여 다음의 효과를 제공한다.
<효과> EGR 밸브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스 플랜지부(14)는 엔진 냉각팬(cooling fan, 6)의 후방에 위치되어 있고 EGR 밸브 케이스(8)는 가스 플랜지부(14)에 부착되어 있으므로, 엔진 냉각팬(6)에 의해 생성된 엔진 냉각공기는 가스 플랜지부(14)를 향하여 분다. 따라서, EGR 가스의 열은 EGR 밸브 케이스(8)로부터 가스 플랜지부(14)를 통하여 엔진 냉각공기쪽으로 확산되어 EGR 가스의 온도를 낮추게 된다. 이는 EGR 밸브의 과열을 방지하며, 그 결과 EGR 밸브가 과열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효과> NOx를 상당히 줄일 수 있다.
EGR 가스의 열은 EGR 밸브 케이스(8)로부터 가스 플랜지부(14)를 통하여 엔진 냉각공기쪽으로 확산되어 EGR 가스의 온도를 내린다. 이에 의해 NOx를 상당히 줄일 수 있다.
<효과>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도 1,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스 플랜지부(14)는 커먼 레일(10)의 바로 위에 위치되어 있고 EGR 밸브 케이스(8)는 가스 플랜지부(14)에 부착되어 있다. 따라서, 커먼 레일(10)과 EGR 밸브 케이스(8)에 대한 유지보수를 엔진의 같은 측면쪽에서 모두 함께 행할 수 있다.
(제5 형태의 발명)
제4 형태에 따른 발명의 효과에 더하여 다음의 효과를 제공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스 플랜지부(14)는 후방 아래쪽으로 기울어지는 하면을 갖고, 이에 의해 엔진 냉각공기를 가스 플랜지부(14)를 향하여 효율적으로 불어댈 수 있고, 그 결과 EGR 밸브의 과열을 방지할 수 있다. 그래서 EGR 밸브가 과열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능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효과> NOx를 줄일 수 있는 능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스 플랜지부(14)는 후방 아래쪽으로 기울어지는 하면을 갖고, 이에 의해 엔진 냉각공기를 가스 플랜지부(14)를 향하여 효율적으로 불어댈 수 있고, 그 결과 EGR 가스의 온도를 낮출 수 있다. 그래서 NOx를 줄일 수 있는 능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효과> 커먼 레일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엔진 냉각공기는 커먼 레일(10)을 향하여 불어대기 위하여 가스 플랜지부(14)의 하면에 의해 안내된다. 이는 커먼 레일(10)의 과열을 방지하여 커먼 레일(10)이 과열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는 가능성을 수반한다.
(제6 형태의 발명)
제3 내지 제4 형태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발명의 효과에 더하여 다음의 효과를 제공한다.
<효과> 연료공급펌프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스 플랜지부(14)에 부착된 것은 EGR 밸브 케이스(8)이고, 이 EGR 밸브 케이스(8)에는 밸브 액츄에이터(actuator, 15)가 부착되어 있다. 이 밸브 액츄에이터(15)는 연료공급펌프의 바로 위에 위치되어 있다. 그러므로, 엔진을 제작하거나 유지보수를 행할 때에, 부품, 도구 또는 그 유사물들이 떨어지더라도, 밸브 액츄에이터(15)는 이들이 연료공급펌프(16)에 부딪히기 전에 그 유사물들을 받을 수 있다. 그래서, 연료공급펌프(16)는 그 유사물들이 위에서부터 바로 부딪힘으로써 손상되는 것을 막을 수 있게 된다.
<효과>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도 1, 도 3 및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가스 플랜지부(14)는 커먼 레일(10)의 바로 위에 위치되어 있다. 가스 플랜지부(14)에 부착된 것은 EGR 밸브 케이스(8)이고, 이 EGR 밸브 케이스(8)에는 밸브 액츄에이터(15)가 부착되어 있다. 또한, 밸브 액츄에이터(15)는 연료공급펌프(16)의 바로 위에 배치되어 있다. 그래서, 커먼 레일(10), EGR 밸브 케이스(8), 밸브 액츄에이터(15) 및 연료공급펌 프(16)에 대한 유지보수를 엔진의 같은 측면쪽에서 모두 함께 행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제7 형태의 발명)
제1 내지 제6 형태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발명의 효과에 더하여 다음의 효과를 제공한다.
<효과> 커먼 레일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냉각수 펌프(17)는 엔진의 전면부(front portion)에 부착되어 있고 그 앞쪽의 커먼 레일(10)의 정면에 바로 위치되는 입구 파이프부(18)를 갖는다. 결과적으로, 엔진을 제작하거나 유지보수를 행할 때에, 부품, 도구 또는 그 유사물들이 그 앞쪽의 커먼 레일(10)의 직(直)전면부로부터 접근하더라도, 냉각수 펌프(17)의 입구 파이프부(18)는 그 앞쪽의 커먼 레일(10)의 직전면부로부터 커먼 레일(10)에 부딪히기 전에 그 유사물들을 받을 수 있다. 그래서, 커먼 레일(10)은 그 유사물들이 그 앞쪽의 커먼 레일(10)의 전면부로부터 바로 부딪힘으로써 손상되는 것을 막을 수 있게 된다.
(제8 형태의 발명)
제1 내지 제7 형태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발명의 효과에 더하여 다음의 효과를 제공한다.
<효과> 커먼 레일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연료필터(19)는 실린더 헤드(1)의 바로 측면에 배치되어 있고 커먼 레일(10)의 후방에 바로 위치되어 있다. 그래서, 엔진 을 제작하거나 유지보수를 행할 때에, 부품, 도구 또는 그 유사물들이 그 앞쪽의 커먼 레일(10)의 후방으로부터 바로 접근하더라도, 연료필터(19)는 이들이 커먼 레일(10)의 후방으로부터 바로 커먼 레일(10)에 부딪히기 전에 그 유사물들을 받을 수 있다. 그러므로, 커먼 레일(10)은 그 유사물들이 커먼 레일(10)의 후방으로부터 바로 부딪힘으로써 손상되는 것을 막을 수 있게 된다.
<효과>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연료필터(19)는 커먼 레일(10)의 후방에 바로 배치되어 있다. 그래서, 커먼 레일(10)과 연료필터(19)에 대한 유지보수를 엔진의 같은 측면쪽에서 모두 함께 행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제9 형태의 발명)
제1 내지 제8 형태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발명의 효과에 더하여 다음의 효과를 제공한다.
<효과> 커먼 레일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 도 3 및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 블록(cylinder block, 5)은 오일필터(oil filter, 21)를 부착하기 위한 자리(seat, 20)를 구비하는 측벽을 갖는다. 오일필터(21)는 커먼 레일(10)의 바로 아래에 위치되는 오일필터 부착자리(20)에 부착되어 있다. 그래서, 엔진을 제작하거나 유지보수를 행할 때에, 부품, 도구 또는 그 유사물들이 아래에서부터 바로 커먼 레일(10)에 접근하더라도, 오일필터 부착자리(20)는 이들이 커먼 레일(10)의 아래에서부터 바로 커먼 레 일(10)에 부딪히기 전에 그 유사물들을 받을 수 있다. 그러므로, 커먼 레일(10)은 그 유사물들이 커먼 레일(10)의 아래에서부터 바로 부딪힘으로써 손상되는 것을 막을 수 있게 된다.
<효과>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오일필터 부착자리(20)가 커먼 레일(10)의 바로 아래에 위치되므로, 커먼 레일(10)과 오일필터(21)에 대한 유지보수를 엔진의 같은 측면쪽에서 모두 함께 행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제10 형태의 발명)
제1 내지 제9 형태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발명의 효과에 더하여 다음의 효과를 제공한다.
<효과> EGR 냉각기를 소형화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EGR 냉각기(4) 바깥으로 안내되는 EGR 가스 유도파이프(7)는 엔진 냉각팬(6)에 의해 생성된 엔진 냉각공기를 EGR 가스 유도파이프(7)를 향하여 불어넣을 수 있도록 엔진 냉각팬(6)의 후방에 배치되어 있다. 그러므로, EGR 가스 유도파이프(7)에 의해 공기 냉각되는 EGR 가스에 비례하여 EGR 냉각기(4)의 냉각부하(cooling load)를 완화시킬 수 있다. 이는 EGR 냉각기(4)를 소형화할 수 있는 가능성을 불러 일으킨다.
(제11 형태의 발명)
제10 형태에 따른 발명의 효과에 더하여 다음의 효과를 제공한다.
<효과> EGR 밸브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EGR 밸브 케이스(8)은 EGR 가스 유도파이프(7)의 하류측에 배치되어 있다. 그래서, EGR 가스는 EGR 냉각기(4)에 의해 냉각되고 EGR 가스 유도파이프(7)에 의해 공기 냉각되고, 그 다음에 EGR 밸브 케이스(8)에 도달한다. 이는 EGR 밸브의 과열을 방지하고, 그 결과 EGR 밸브가 과열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2 형태의 발명)
제10 또는 제11 형태에 따른 발명의 효과에 더하여 다음의 효과를 제공한다.
<효과> 라디에이터를 소형화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EGR 냉각기(4)로부터 안내되는 냉각수 유도파이프(9)는 엔진 냉각팬(6)에 의해 생성된 엔진 냉각공기를 냉각수 유도파이프(9)를 향하여 불어넣을 수 있도록 엔진 냉각팬(6)의 후방에 배치되어 있다. 그러므로, EGR 냉각기(4)로부터 흐르며 냉각수 유도파이프(9)에 의해 공기 냉각되는 냉각수에 비례하여 라디에이터(도시하지 않음)의 냉각부하를 줄일 수 있다. 이는 라디에이터를 소형화할 수 있는 가능성을 불러 일으킨다.

Claims (12)

  1. 크랭크 샤프트 길이가 전후방향이고 이 전후방향에 수직한 실린더 헤드(1)의 폭방향이 측면방향인 다기통 실린더 엔진에 있어서,
    상기 다기통 실린더 엔진은 흡기 분배통로벽(2)이 부착되는 일측면을 갖고 배기가스 집중통로벽(3)이 부착되는 타측면을 갖는 실린더 헤드(1)를 포함하며, 상기 실린더 헤드(1) 주변에 커먼 레일(10)이 배치되며,
    상기 커먼 레일(10)은 흡기 분배통로벽(2)의 바로 측면에 배치되고, 이에 의해 실린더 헤드(1)와 커먼 레일(10) 사이에 흡기 분배통로벽(2)이 위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통 실린더 엔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기 분배통로벽(2)의 상부에는 흡기 입구파이프(11)가 직립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흡기 입구파이프(11)는 흡기 플랜지부(12)를 구비하며,
    상기 흡기 플랜지부(12)는 커먼 레일(10) 바로 위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통 실린더 엔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흡기 분배통로벽(2)의 상부에는 EGR 가스 입구파이프(13)가 직립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EGR 가스 입구파이프(13) 위에는 가스 플랜지부(14)가 구비되며,
    상기 가스 플랜지부(14)는 커먼 레일(10) 바로 위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통 실린더 엔진.
  4. 제3항에 있어서,
    엔진 냉각팬(6)이 존재하는 일측면은 전면으로서 규정되고 그 타측면은 후면으로 정해지며,
    상기 가스 플랜지부(14)는 엔진 냉각팬(6)의 후방에 위치되고 상기 가스플랜지부(14)에는 엔진 냉각팬(6)에 의해 생성된 엔진 냉각공기를 가스 플랜지부(14)를 향하여 불어넣을 수 있도록 EGR 밸브 케이스(8)가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통 실린더 엔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플랜지부(14)는 엔진 냉각공기를 가스 플랜지부(14)의 하면에 의해 안내하여 커먼 레일(10)을 향하여 불어넣도록 후방 아래쪽으로 기울어진 하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통 실린더 엔진.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플랜지부(14)에는 EGR 밸브 케이스(8)가 부착되어 있고 상기 EGR 밸브 케이스(8)에는 밸브 액츄에이터(15)가 부착되어 있으며, 이 밸브 액츄에이터(15)는 연료공급펌프(16) 바로 위에 위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통 실린더 엔진.
  7. 제1항에 있어서,
    엔진 냉각팬(6)이 존재하는 일측면은 전면으로서 규정되고 그 타측면은 후면으로 정해지며,
    상기 엔진의 전면부에는 냉각수 펌프(17)가 부착되어 있고 이 냉각수 펌프(17)는 그 앞의 커먼 레일(10)의 바로 전면에 위치된 입구 파이프부(18)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통 실린더 엔진.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 헤드(1)의 바로 측면에는 연료필터(19)가 배치되며 이 연료필터(19)는 커먼 레일(10)의 바로 후방에 위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통 실린더 엔진.
  9. 제1항에 있어서,
    실린더 블록(5)은 오일필터(21)를 부착하기 위한 자리(20)를 구비한 측벽을 갖고, 이 오일필터 부착자리(20)에 오일필터(21)가 부착되며 상기 오일필터 부착자리(20)는 커먼 레일(10) 바로 아래에 위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통 실린더 엔진.
  10. 제1항에 있어서,
    EGR 냉각기(4)는 배기가스 집중통로와 흡기 분배통로 사이에 개재되고,
    엔진 냉각팬(6)이 존재하는 일측면은 전면으로서 규정되고 그 타측면은 후면으로서 정해지며,
    EGR 냉각기(4)로부터 안내되는 EGR 가스 유도관(7)은 엔진 냉각팬(6)에 의해 생성된 엔진 냉각공기를 EGR 유도파이프(7)를 향하여 불어넣을 수 있도록 엔진 냉각팬(6)의 후방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통 실린더 엔진.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EGR 가스 유도파이프(7)의 하류측에는 EGR 밸브 케이스(8)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통 실린더 엔진.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 냉각팬(6)이 존재하는 일측면은 전면으로서 규정되고 그 타측면은 후면으로서 정해지며,
    EGR 냉각기(4)로부터 안내되는 냉각수 유도파이프(9)는 엔진 냉각팬(6)에 의해 생성된 엔진 냉각공기를 냉각수 유도파이프(9)를 향하여 불어넣을 수 있도록 엔진 냉각팬(6)의 후방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통 실린더 엔진.
KR1020060088493A 2005-09-28 2006-09-13 입형 직렬 다기통 엔진 KR1013064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281755A JP4439452B2 (ja) 2005-09-28 2005-09-28 立形直列多気筒エンジン
JPJP-P-2005-00281755 2005-09-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5960A true KR20070035960A (ko) 2007-04-02
KR101306451B1 KR101306451B1 (ko) 2013-09-09

Family

ID=376603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8493A KR101306451B1 (ko) 2005-09-28 2006-09-13 입형 직렬 다기통 엔진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469681B2 (ko)
EP (1) EP1770273B2 (ko)
JP (1) JP4439452B2 (ko)
KR (1) KR101306451B1 (ko)
CN (1) CN1940282B (ko)
DE (1) DE602006018097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51852B2 (ja) * 2005-09-28 2010-09-29 株式会社クボタ 多気筒エンジン
KR101000617B1 (ko) 2008-11-27 2010-12-10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상용 디젤엔진 차량의 연료필터 장착구조
JP5362369B2 (ja) 2009-01-13 2013-12-11 ヤンマー株式会社 エンジン装置
JP2010190051A (ja) * 2009-02-16 2010-09-02 Toyota Motor Corp エキゾーストマニホールド
JP5399145B2 (ja) * 2009-06-30 2014-01-29 ヤンマー株式会社 エンジン
JP5281994B2 (ja) 2009-09-15 2013-09-04 株式会社クボタ 多気筒ディーゼルエンジン
JP2014025359A (ja) * 2012-07-24 2014-02-06 Ihi Shibaura Machinery Corp ディーゼルエンジン
FR2995653B1 (fr) * 2012-09-14 2015-07-17 Valeo Sys Controle Moteur Sas Vanne de circulation d'un fluide, en particulier gaz d'echappement recircule
JP1526384S (ko) * 2014-09-29 2015-06-15
CN113217166B (zh) * 2016-04-08 2023-04-14 洋马动力科技有限公司 发动机装置
CN106014719A (zh) * 2016-08-04 2016-10-12 广西玉柴机器股份有限公司 发动机进气管
JP7260466B2 (ja) * 2019-12-31 2023-04-18 株式会社クボタ 産業用エンジンの排気マニホルド及び産業用エンジン
EP3845755A1 (en) 2019-12-31 2021-07-07 Kubota Corporation Engine exhaust manifold
US11578647B2 (en) 2020-03-11 2023-02-14 Arctic Cat Inc. Engine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70602A (en) * 1982-08-23 1986-02-18 General Motors Corporation Fuel rail
US4601275A (en) * 1982-08-23 1986-07-22 General Motors Corporation Fuel rail
JPS59200061A (ja) * 1983-04-25 1984-11-13 Honda Motor Co Ltd 燃料噴射装置
US4702202A (en) * 1986-08-26 1987-10-27 Brunswick Corporation Low profile internally packaged fuel injection system for two cycle engine
US4966120A (en) * 1987-07-29 1990-10-30 Aisan Kogyo Kabushiki Kaisha Fuel injection system assembly
US5009212A (en) * 1990-01-17 1991-04-23 Mccord Winn Textron Inc. Port fuel injection and induction system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5074269A (en) * 1991-04-29 1991-12-24 Chrysler Corporation Anti-rotation fuel injector clip
US5309885A (en) * 1992-02-13 1994-05-10 Outboard Marine Corporation Marine propulsion device including a fuel injected, four-cycle internal combustion engine
FR2697293B1 (fr) * 1992-10-26 1994-11-10 Solex Dispositif d'alimentation à tubulure intégrée.
US5465699A (en) * 1993-06-01 1995-11-14 Volkswagen Ag Intake pipe arrangement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having individual arc-shaped cylinder intake pipes
JP3663704B2 (ja) * 1995-11-15 2005-06-22 いすゞ自動車株式会社 過給機を備えた内燃機関の排気ガス再循環装置
JP3721626B2 (ja) * 1996-01-25 2005-11-30 株式会社デンソー 内燃機関の吸気ダクトおよび吸気装置
JPH11230004A (ja) * 1998-02-13 1999-08-24 Isuzu Motors Ltd V型エンジンにおけるコモンレール式燃料噴射装置
US6520154B2 (en) * 1998-02-20 2003-02-18 Delphi Technologies, Inc. Side feed fuel injector and integrated fuel rail/intake manifold
SE9900049D0 (sv) * 1999-01-12 1999-01-12 Volvo Ab Anordning vid förbränningsmotorer
JP2001227407A (ja) 2000-02-21 2001-08-24 Nissan Motor Co Ltd 内燃機関のコモンレール取付構造
JP2003065183A (ja) * 2001-08-22 2003-03-05 Sanshin Ind Co Ltd 船外機における燃料供給装置
JP3876140B2 (ja) * 2001-09-18 2007-01-31 株式会社クボタ 多気筒エンジン
JP3898935B2 (ja) * 2001-10-25 2007-03-28 ヤマハマリン株式会社 船外機用4サイクルエンジン
US6758192B2 (en) * 2002-06-18 2004-07-06 Siemens Vdo Automotive Inc. Vehicle non-metallic intake manifold having an integrated metallic fuel rail
JP2004324515A (ja) 2003-04-24 2004-11-18 Komatsu Ltd 燃料噴射装置
JP2005171981A (ja) * 2003-11-18 2005-06-30 Kubota Corp コモンレール式ディーゼルエンジンと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70068492A1 (en) 2007-03-29
JP4439452B2 (ja) 2010-03-24
EP1770273A3 (en) 2008-07-23
KR101306451B1 (ko) 2013-09-09
DE602006018097D1 (de) 2010-12-23
EP1770273B2 (en) 2014-07-02
CN1940282B (zh) 2011-06-08
JP2007092598A (ja) 2007-04-12
EP1770273B1 (en) 2010-11-10
US7469681B2 (en) 2008-12-30
CN1940282A (zh) 2007-04-04
EP1770273A2 (en) 2007-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5449B1 (ko) 다기통 엔진
KR101306451B1 (ko) 입형 직렬 다기통 엔진
KR101155706B1 (ko) 종형 다기통 디젤 엔진
US7625257B1 (en) Exhaust gas recirculation cooling system for an engine of an outboard motor
US8534239B2 (en) Multi-cylinder diesel engine
EP3730774B1 (en) Engine
JP2008202445A (ja) 車両用エンジン
US10323614B2 (en) Supercharged engine
US7832384B2 (en) Exhaust-gas recirculation in an air-cooled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2008045491A (ja) エンジン
US7975678B2 (en) Exhaust- gas recirculation control responsive to a load signal at an in line injection pump
JP2007085302A (ja) 多気筒エンジン
JP7330339B2 (ja) エンジン
JP7136944B2 (ja) エンジン
JP2011064073A (ja) 多気筒ディーゼルエンジン
JP4062070B2 (ja) 船外機
JP6344404B2 (ja) エンジンの吸気冷却装置
JP2001200762A (ja) エンジンのegr装置
JP2011069256A (ja) 内燃機関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