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35943A - 반도체 메모리 장치 - Google Patents

반도체 메모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35943A
KR20070035943A KR1020060049114A KR20060049114A KR20070035943A KR 20070035943 A KR20070035943 A KR 20070035943A KR 1020060049114 A KR1020060049114 A KR 1020060049114A KR 20060049114 A KR20060049114 A KR 20060049114A KR 20070035943 A KR20070035943 A KR 200700359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ut
clock
logical
enable signal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91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08052B1 (ko
Inventor
최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to US11/523,704 priority Critical patent/US7430143B2/en
Priority to JP2006263629A priority patent/JP5011485B2/ja
Priority to TW095136089A priority patent/TWI323461B/zh
Priority to CN2006101412292A priority patent/CN1945733B/zh
Publication of KR200700359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59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80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8052B1/ko
Priority to US12/181,761 priority patent/US7843745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8/00Arrangements for selecting an address in a digital stor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0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 G11C7/1051Data output circuits, e.g. read-out amplifiers, data output buffers, data output registers, data output level conversion circui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2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 G11C11/34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 G11C11/4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 G11C11/40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forming cells needing refreshing or charge regeneration, i.e. dynamic cells
    • G11C11/4063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 G11C11/407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for memory cells of the field-effect typ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0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 G11C7/1051Data output circuits, e.g. read-out amplifiers, data output buffers, data output registers, data output level conversion circuits
    • G11C7/1057Data output buffers, e.g. comprising level conversion circuits, circuits for adapting load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0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 G11C7/1051Data output circuits, e.g. read-out amplifiers, data output buffers, data output registers, data output level conversion circuits
    • G11C7/1066Output synchroniza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22Read-write [R-W] timing or clocking circuits; Read-write [R-W] control signal generators or management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22Read-write [R-W] timing or clocking circuits; Read-write [R-W] control signal generators or management 
    • G11C7/222Clock generating, synchronizing or distributing circuits within memory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Dram (AREA)
  • Static Random-Access Memory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메모리 장치의 다양한 동작모드에서 지연고정회로를 적절하게 제어할 수 있는 제어회로를 구비한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외부로 부터 시스템 클럭을 입력받아 내부클럭으로 출력하는 클럭버퍼; 데이터의 출력타이밍이 상기 시스템 클럭에 동기될 수 있도록, 상기 내부클럭의 지연을 제어하기 위한 지연고정회로부; 상기 지연고정된 내부클럭에 동기시켜 데이터를 출력시키기 위한 데이터 출려버퍼; 및 상기 클럭버퍼의 온/오프를 제어하기 위한 인에이블 신호를 출력하되, 동일한 논리 레벨의 입력신호들에 대응하여, 이전 동작의 상태에 따라 상기 인에이블 신호의 서로 다른 논리레벨을 얻기 위하여 래치를 포함하는 클럭버퍼 제어부를 구비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제공한다.
반도체, 지연고정회로, 클럭버퍼, 동작모드, 파워다운모드.

Description

반도체 메모리 장치{SEMICODUCTOR MEMORY DEVICE}
도1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를 나타내는 블럭도.
도2a와 도2b는 도1에 도시된 반도체 장치의 동작모드를 나타내는 테이블도.
도3는 도1에 도시된 클럭버퍼 제어부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회로도.
도4a와 도4b는 도3의 클럭버퍼 제어부의 동작을 나타내는 파형도.
도5는 도1에 도시된 클럭버퍼 제어부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회로도.
도6a와 도6b는 도3의 클럭버퍼 제어부의 동작을 나타내는 파형도.
도7은 도1의 반도체 장치의 SREM 모드를 나타내는 파형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0 : 클럭버퍼 제어부
110A,110B,110C : 클럭버퍼 120 : 디바이더
130 : 위상비교기 140 : 딜레이 제어부
150 : 더미 딜레이라인 160 : 레플리카 모델
170A, 170B : 딜레이 라인 180A,180B : 클럭신호 전달라인
190 : 출력버퍼
본 발명은 반도체 집적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지연고정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회로에 관한 것이다.
복수의 반도체 장치들로 구성된 시스템에서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것이다. 데이터 처리 장치, 예를 들면 중앙처리장치(CPU)등에서 데이터를 요구하게 되면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데이터 요구 장치로부터 입력된 어드레스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출력하거나, 그 어드레스에 대응하는 위치에 데이터 요구 장치로 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반도체 장치들로 구성된 시스템의 동작속도가 빨라지고, 반도체 집적회로에 관한 기술이 발달하면서,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보다 빠른 속도로 데이터를 출력하거나 저장하도록 요구되어 왔다. 고속으로 데이터를 입출력시키기 위해서, 시스템 클럭을 입력받은 다음, 입력받는 시스템 클럭에 동기되어 데이터를 입/출력시킬 수 있는 동기식 메모리 장치가 개발되었다. 동기식 메모리 장치로도 요구되는 데이터 입출력속도를 만족시키기가 충분하지 않아서, 시스템 클럭의 라이징 에지와 폴링에지에 각각 데이터가 입/출력되는 DDR(Double Data Rate) 동기식 메모리 장치가 개발되었다.
DDR 동기식 메모리 장치는 시스템 클럭의 라이징 에지와 폴링에지에 각각 데이터를 입출력시켜야 하기 때문에 시스템 클럭의 한 주기 안에서 2개의 데이터를 처리해야 한다. 즉, DDR 동시기 메모리 장치는 클럭신호의 라이징 에지 및 폴링에지에 각각 데이터를 출력하거나 입력받아 저장해야만 하는 것이다. 특히 DDR 메모리 장치가 데이터를 출력하는 타이밍은 시스템 클럭의 라이징 에지 또는 폴링에지에 정확하게 동기시켜 출력시켜야 한다. 따라서 DDR 메모리 장치의 출력버퍼는 입력된 시스템 클럭의 라이징 에지와 폴링에지에 동기시켜 데이터를 출력시키게 된다.
그러나, 메모리 장치에 입력된 시스템 클럭은 내부의 입력버퍼, 클럭신호 전송라인등에 의해 필연적으로 지연시간을 가지고 출력버퍼에 도달하게 된다. 따라서 이미 지연시간을 가지고 전달된 시스템 클럭에 동기시켜 데이터를 출력하더라도,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출력데이터를 전달받는 외부의 장치는 시스템 클럭의 라이징 에지와 폴링 에지와는 맞지 않는 타이밍에서 데이터를 전달받게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클럭신호의 지연을 고정시키는 회로를 구비하고 있다. 지연고정회로는 시스템 클럭이 메모리 장치에 입력되어 출력버퍼로 전달될 때까지 메모리 장치의 내부 회로에 의해 지연되는 값을 보상하기 위한 회로이다. 지연고정회로는 시스템 클럭이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클럭 입력버퍼 및 클럭신호 전송라인등에 의해 지연되는 시간을 찾아내고, 찾아낸 값에 대응하여 시스템 클럭을 지연시켜 출력버퍼로 출력한다. 즉, 지연고정회로에 의해서 메모리 장치에 입력된 시스템 클럭은 지연값이 일정한 상태로 유지한 채로 출력버퍼로 전달되는 것이다. 이 때의 클럭을 지연고정된 클럭이라고 한다. 출력버퍼는 지연고정된 클럭에 동기시켜 데이터를 출력하고, 외부에서는 시스템 클럭에 정확하게 동 기되어 데이터가 출력되는 것으로 판단하게 되는 것이다.
실재동작은 데이터가 출력되어야 하는 시점보다 한 주기 앞 선 시점에서 지연고정회로에서 출력되는 지연고정클럭이 출력버퍼에 전달되고, 전달된 지연고정클럭에 동기시켜 데이터를 출력하게 된다. 따라서 시스템 클럭이 메모리 장치의 내부회로에 의해 지연되는 만큼보다 더 빠르게 데이터를 출력시키는 것이 되는 것이다. 이렇게 함으로서, 메모리 장치의 외부에서는 메모리 장치에 입력된 시스템 클럭의 라이징 에지와 폴링에지에 각각 정확하게 동기되어 데이터가 출력되는 것처럼 보이는 것이다. 결국 지연고정회로는 데이터를 얼마만큼 더 빨리 출력시켜야 메모리 장치의 내부에서 시스템 클럭의 지연값을 보상할 수 있는지 찾아내는 것이다.
한편, DDR 메모리 장치에 구비되는 지연고정회로는 시스템 클럭의 천이 타이밍과 내부회로에 의해 지연되는 값을 계속 비교해야 하기 때문에 지연고정이 될 때까지는 계속해서 동작해야 하는 회로다. 따라서 지연고정회로는 다른 회로들보다 많은 전류를 소모하게 된다.
DDR 메모리 장치는 소비전류를 줄이기 위해 지연고정회로를 계속 동작시키는 것이 아니라, 파워다운모드등 실질적으로 메모리 장치가 동작하지 않는 중에서는 지연고정회로를 동작하지 않게 제어한다.
DDR 메모리 장치의 성능이 계속 개선되면서, 다양한 동작모드가 필요하게 되었다. 예를 들면, 파워다운 모드도 프리차지 파워다운모드, 액티브 파워다운모드등의 동작모드가 생기게 된 것이다. 따라서 DDR 메모리장치에는 각각의 동작모드에 적절히 대응하는 제어회로가 필요하게 되었다. 지연고정회로에 대한 동작제어도 각 각의 제어상황에 맞도록 적절하게 지연고정회로를 동작시킬 것인지 동작시키지 않을 것인지에 대한 동작을 뒷받침할 수 있는 제어회로가 필요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메모리 장치의 다양한 동작모드에서 지연고정회로를 적절하게 제어할 수 있는 제어회로를 구비한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외부로 부터 시스템 클럭을 입력받아 내부클럭으로 출력하는 클럭버퍼; 데이터의 출력타이밍이 상기 시스템 클럭에 동기될 수 있도록, 상기 내부클럭의 지연을 제어하기 위한 지연고정회로부; 상기 지연고정된 내부클럭에 동기시켜 데이터를 출력시키기 위한 데이터 출려버퍼; 및 상기 클럭버퍼의 온/오프를 제어하기 위한 인에이블 신호를 출력하되, 동일한 논리 레벨의 입력신호들에 대응하여, 이전 동작의 상태에 따라 상기 인에이블 신호의 서로 다른 논리레벨을 얻기 위하여 래치를 포함하는 클럭버퍼 제어부를 구비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빠른 프리차지 파워다운 모드와 셀프 리프레쉬 에뮬레이션 모드를 갖는 반도체 메모리장치에 있어서, 외부로 부터 시스템 클럭을 입력받아 내부클럭으로 출력하는 클럭버퍼; 데이터의 출력타이밍이 상기 시스템 클럭에 동기될 수 있도록, 상기 내부클럭의 지연을 제어하기 위한 지연고정회로부; 및 상기 빠른 프리차지 파워다운 모드와 상기 셀프 리프레쉬 에뮬레이션 모드에 의한 파워 다운 모드에서 각각 동일한 논리 레벨을 가지는 제어신호들을 인가받되, 상기 빠른 프리차지 파워다운 모드시에는 상기 클럭버퍼를 온시키고 상기 셀프 리프레쉬 에뮬레이션 모드의 파워 다운 모드시에는 상기 클럭버퍼를 오프시키는 인에이블신호를 생성하기 위하여 래치를 포함하는 클럭버퍼 제어부를 구비하는 반도체 메모리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커맨드 디코더 및 모드레지스터; 클럭버퍼를 구비하는 지연고정회로; 및 상기 클럭버퍼의 온/오프를 제어하여 상기 지연고정회로에서 출력되는 지연고정된 클럭신호의 업데이트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인에이블 신호를 출력하는 클럭버퍼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클럭버퍼 제어부는 상기 커맨드디코더 및 상기 모드레지스터로부터 동일 논리 레벨의 입력신호들을 인가받더라도 이전의 메모리 동작에 따라 서로 다른 파워다운모드에서 서로 다른 논리 레벨의 상기 인에이블신호를 제공하기 위하여 래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1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클럭버 퍼(110A, 110B, 110C)와, 디바이더(120)와, 위상비교기(130)와, 딜레이제어부(140)와, 더미 딜레이라인(150)과, 레플리카 모델(160)과, 딜레이라인(170A,170B)와, 출력버퍼(190)와, 클럭버퍼(110A, 110B, 110C)를 제어하기 위한 클럭버퍼 제어부(200)를 구비한다. 지연고정회로는 다양한 회로를 구비할 수 있는데, 여기서는 디바이더(120)와, 위상비교기(130)와, 딜레이제어부(140)와, 더미 딜레이라인(150)과, 레플리카 모델(160)과, 딜레이라인(170A,170B)등의 회로가 지연고정회로의 회로를 이루게 된다. 또한, 딜레이라인(170A,170B)과 출력버퍼(190)의 사이에는 클럭신호 전송라인(180A,180B)가 배치된다.
복수의 클럭버퍼(110A, 110B, 110C)는 외부에서 입력되는 시스템 클럭(CLK)을 입력받아 복수의 내부 클럭(RCLK,RCLK,DCLK)을 각각 출력하는 장치이다. 클럭버퍼(110A,110B)는 각각 시스템 클럭(CLK)과 그 반전된 시스템 클럭(CLKB)의 입력을 위한 버퍼이다. 클럭버퍼(110C)는 시스템 클럭을 입력받기 위한 클럭버퍼이며, 지연고정회로의 지연고정동작을 위해 별도로 배치되는 버퍼이다.
디바이더(120)는 내부클럭(DCLK)을 소정값으로 분주한 기준클럭(RC)을 더미 딜레이라인(150)로 출력한다. 디바이더(120)는 내부클럭(DCLK)의 주파수를 1/N(N은 양수, 보통 8 내지 4의 값을 가진다.)로 분주하게 된다. 여기서 디바이더(120)가 내부클럭(DCLK)을 분주하여 출려하는 이유는 지연고정동작의 횟수를 최대한 줄이기 위해서이다. 지연고정회로의 지연고정동작은 디바이더(120)에서 출력된 분주된 기준클럭(RC)의 천이시점마다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분주된 클럭을 이용해서 지연고정동작을 수행하게 되면, 내부클럭(DCLK)을 사용하여 지연고정동작을 수행할 때 보다, 지연고정동작에 소모되는 전류가 줄어들게 되는 것이다.
위상비교기(130)는 디바이더(120)에서 출력되는 기준클럭(RC)와 피드백 클럭(FC)의 위상을 비교한다.
딜레이 제어부(140)는 위상비교기(130)에서 제공되는 기준클럭(RC)와 피드백 클럭(FC)의 위상을 비교결과에 응답하여 더미 딜레이라인(150)과 딜레이라인(170A,170B)에서 지연되는 값이 조절되도록 제어한다.
더미 딜레이라인(150)은 딜레이 제어부(140)의 제어에 대응하는 지연값만큼 디바이더의 출력인 기준클럭(RC)을 지연시켜 딜레이된 클럭(DC)을 레프리카 모델(160)로 출력한다.
레플리카 모델(160)은 시스템 클럭(CLK)이 입력되어 출력버퍼로 전달될 때까지의 지연값을 모델링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클럭버퍼(110A,110B)에 의한 지연시간과 전송라인(180A,180B)에 의해 시스템 클럭의 전달이 지연되는 정도를 모델링하게 된다. 레플리카 모델(160)은 모델링에 의해 정해진 지연값 만큼 더미 딜레이 라인(150)에서 출력되는 딜레이된 클럭(DC)을 지연시켜 피드백 클럭(FC)로 출력하게 된다. 레플리카 모델(160)에서 모델링하는 지연값은 그 정확성에 따라서 지연고정회로에서 지연고정된 클럭의 정확성이 결정되는 중요한 값이다. 따라서 레플리카 모델(160)은 모델링하는 회로와 똑같은 회로를 구비하거나, 모델링할 대상 회로를 일정 비율로 줄인 회로를 구비하게 된다.
딜레이 라인(170A,170B)는 각각 내부클럭(RCLK,FCLK)를 입력받아 딜레이제어부(140)의 제어에 대응하는 지연값만큼 지연시켜 출력한다. 여기서 출력된 신호는 전송라인(180A,180B)을 통해 출력버퍼(190)으로 출력된다.
위상비교기(130)는 입력되는 두 신호(RC,FC)의 위상을 비교하여 어느 신호가 위상이 앞선 신호인지를 딜레이 제어부(140)로 출력한다. 딜레이 제어부(140)는 위상비교기(130)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응다하여 딜레이 라인(170A,170B)과 더미 딜레이 라인(150)의 지연값을 조정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딜레이 라인(170A,170B)과 더미 딜레이 라인(150)의 지연값을 증가시키던지 감소시키던지 하게 된다.
위상비교기(130)는 입력되는 두 신호(RC,FC)의 위상이 같게 되면, 딜레이 제어부(140)는 딜레이 라인(170A,170B)과 더미 딜레이 라인(150)의 지연값을 변화시키지 않고 고정되도록 한다.
출력버퍼(190)는 전송라인(180A,180B)에 의해 전달된 내부클럭(RCLK,FCLK)에 응답하여 메모리 코어영역으로 부터 전달된 데이터(DATA_BUS)를 외부로 출력하게 된다.
한편, 클럭버퍼 제어부(200)는 제어신호(SAPD,RASIDLE,CKEB,REFLAGB)를 입력받아 클럭버퍼(110A,110B,110C)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인에이블 신호(CB_ENB)를 출력한다. 클럭버퍼(110A,110B,110C)는 인에이블 신호(CB_ENB)가 활성화되면 시스템 클럭(CLK,CLKB)을 입력받아 내부클럭(RCLK,FCLK,DCLK)을 출력하게 된다.
클럭버퍼(110A,110B,110C)에서 내부클럭(RCLK,FCLK,DCLK)을 출력하지 않으면, 지연고정동작을 진행되지 않는다. 따라서 클럭버퍼 제어부(200)은 메모리 장치가 동작하지 않을 때는 불필요한 전류소모를 막기 위해서 인에이블 신호(CB_ENB)를 비활성화시키고, 메모리 장치가 동작하는 동안만 인에이블 신호(CB_ENB)를 활성화 시켜 출력하게 된다.
보다 효과적으로 데이터를 입/출력시키기 위해, DDR 메모리 장치는 특정한 스펙으로 동작하도록 제조되는데, 그 단계별로 DDR,DDR2,DDR3으로 나누어진다.
도2a는 DDR2 스펙을 지원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동작모드 테이블이며, 도2b는 DDR3 스펙을 지원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동작모드 테이블이다.
여기서 제어신호(SAPD)는 슬로우 파워다운모드에서는 로직 하이레벨, 액티브 파워다운모드에서는 로직 로우레벨을 유지하는 신호이다. 클럭인에이블 신호(CKEB)는 메모리 장치가 동작중에는 시스템 클럭을 메모리 장치의 내부로 전달하고, 메모리 장치가 동작중이 아닐때에는 시스템 클럭을 메모리 장치의 내부로 전달을 막는 신호이다. 제어신호(REFLAGB)는 메모리 장치가 리프레쉬동작중일 때에는 로직 로우레벨로 인에이블되는 신호이다. 제어신호(RASIDLE)는 아이들(idle)모드에서 로직 하이레벨을 유지하고, 액티브모드(Active)에서 로직 로우레벨을 유지하는 신호이다.
먼저, DDR2 스펙을 지원하는 메모리 장치는 프리차지 파워다운 모드(Precharge power donw) 즉, DD2P 상황에서는 모드 레지스터 세트(MRS)에서 출력되는 신호인 제어신호(SAPD)의 로직 하이레벨 또는 로직 로우레벨에 상관없이 지연고정 동작의 업데이트가 되지 않는다. 즉, 인에이블 신호(CB_ENB)는 로직 하이레벨이 되어야 하는 것이다.
여기서 프리차지 파워다운 모드인 IDD2P는
----------------------------------------------------------------------
또한 IDD2P 동작모드는 2가지가 있는 데, 슬로우 프리차지 파워다운 모드(slow precharge power down)인 IDD2PS는 -------------------------------이고, 패스트 프리차지 파워다운 모드(fast precharge power down)인 IDD2PF는 ---------------------------------------이다.
한편, DDR3 스펙을 지원하는 메모리 장치는 IDD2P 상황에서는 제어신호(SAPD)가 하이레벨일 때는 슬로우 프리차지 파워다운 모드(slow precharge power down mode)로서 지연고정회로의 업데이트가 되지 않고, 제어신호(SAPD)라 로우레벨일 때는 패스트 프리차지 파워다운 모드(fast precharge power down mode)로서 지연고정회로의 업데이트가 된다. 지연고정 동작의 업데이트가 된다는 것은 계속 지연고정동작을 진행되는 것이가, 지연고정 동작의 업데이트가 되지 않는다는 것은 지연고정동작을 진행하지 않는것을 나타낸다. 즉, 업데이트가 된다는 것은 위상비교기가 계속해서 동작을 하여 지연고정되어야 할 클럭을 계속 추적한다는 것을 말하고, 업데이트가 되지 않는다는 것은 이전 지연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고, 유지된 정보에 의한 클럭이 출력되는 것을 말한다. 파워다운 모드을 탈출한 직후에 업데이트가 되지 않는다면 이전 지연고정된 클럭이 바로 출력버퍼로 제공된다.
또한 DDR2 스펙을 지원하는 메모리 장치는 액티브 파워 다운모드인 IDD3P 상황일 때는 제어신호(SAPD)가 하이레벨(슬로우 프리차지 파워다운 모드인 경우) 또는 로우레벨(패스트 프리차지 파워다운 모드인 경우)에 따라 지연고정회로의 업데이트 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반면에 DRR3 스펙을 지원하는 메모리 장치에서는 제어신호(SAPD)가 하이레벨 또는 로우레벨에 상관없이, 즉 슬로우 프리차지 파워다운 모드 또는 패스트 프리차지 파워다운 모드에 상관없이 액티브 파워상황에서는 지연고정동작의 업데이트가 되어야 한다. 즉 인에이블 신호(CB_ENB)는 로직 로우레벨이 되어야 하는 것이다.
여기서 액티브 파워 다운모드인 IDD3P 상황은
---------------------------------------------------------- 이다.
또한, DDR2 스펙을 지원하는 메모리 장치와 DDR3 스펙을 지원하는 메모리 장치는 모두 셀프 리프레쉬 에뮬레이션 모드(Self Refresh emulation mode,SREM)를 지원해야 한다. 이 때 DDR3 스펙을 지원하는 메모리 장치는 제어신호(SAPD)가 로우레벨일 때 IDD2PF 동작모드와 셀프 리프레쉬 에뮬레이션 모드(SREM) 동작 진행후 액티브 파워다운 모드로 진입하는 제어신호의 조합이 같다. 하지만 인에이블 신호(CB_ENB)는 IDD2PF(fast) 상황일 때는 로우레벨을 유지하여 지연고정동작의 업데이트가 일어나도록 해야 한다. 셀프 리프레쉬 에뮬레이션 모드(SREM) 동작 진행후 액티브 파워다운모드로 진입하는 상황일 때는 제어신호(CB_ENB)가 로직 하이레벨이 되어 지연고정동작의 업데이트가 일어나지 않도록 해야 한다. 지연고정동작의 업데이트가 일어나지 않아야 지연고정회로에 의한 전류소모를 줄일 수 있는 것이다.
도3는 도1에 도시된 클럭버퍼 제어부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회로도이다.
도3에 도시된 도2a에 동작모드에 대한 테이블대로 동작시키기 위한 클럭버퍼 제어부의 내부 회로도이다.
도3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제어신호(SAPD,REFLAGB)와 클럭인에이블 신호(CKEB)를 입력받는 낸드게이트(ND1)와, 제어신호(REFLAGB,RASIDLE)와 클럭인에이 블 신호(CKEB)를 입력받는 낸드게이트(ND2)와 낸드게이트(ND1,ND2)의 출력을 입력받아 인에이블 신호(CB_ENB)를 출력하기 위한 낸드게이트(ND3)를 구비한다.
또한, 도4a와 도4b는 도3의 클럭버퍼 제어부의 동작을 나타내는 파형도이다.
도4a에는 제어신호(SAPD)가 하이레벨인 경우, 클럭인에이블신호(CKEB)와 제어신호(RASIDLE,REFLAGB)의 상태에 따라 클럭버퍼 제어부(200)에서 출력되는 인에이블 신호(CB_ENB)의 인에이블 여부에 대한 파형이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4b에는 제어신호(SAPD)가 로우레벨인 경우, 클럭인에이블신호(CKEB)와 제어신호(RASIDLE,REFLAGB)의 상태에 따라 클럭버퍼 제어부(200)에서 출력되는 인에이블 신호(CB_ENB)의 인에이블 여부에 대한 파형이 도시되어 있다.
도5는 도1에 도시된 클럭버퍼 제어부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회로도이다.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실시예에 따른 클럭버퍼 제어부(200)는 클럭버퍼(110A,110B,110C)의 온/오프를 제어하기 위한 인에이블 신호(CB_ENB)를 출력하되, 동일한 논리 레벨의 제어신호(CKEB, REFLAGB)들에 대응하여, 이전 동작의 상태에 따라 인에이블 신호(CB_ENB)의 서로 다른 논리레벨을 얻기 위하여 래치(221)를 구비한다.
클럭버퍼 제어부(200)는 클럭인에이블 신호(CKE)를 입력받아 내부 인에이블 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제1 로직회로부(210)와, 클럭인에이블 신호(CKE)와 리프레쉬 구간동안 활성화상태를 유지하는 리프레쉬 제어신호(REFLAGB)를 입력받아, 구비된 래치(221)를 이용하여 동작모드의 대응하는 레벨을 가지는 동작모드 선택신호(Q)를 출력하기 위한 제2 로직회로부(220)와, 인에이블 신호에 활성화상태에 응답하여 동 작모드 선택신호(Q)를 인에이블 신호(CB_ENB)로 출력하기 위한 제3 로직회로부(230)를 구비한다.
제1 로직회로부(210)는 클럭인에이블 신호(CKEB)와 아이들 모드(IDLE)에서 활성화되는 아이들모드 제어신호(RASIDLE)와 셀프 리프레쉬 에뮬레이션 모드(SREM)에 활성화되는 셀프 제어신호(SAPD)의 로직 논리곱을 수행하기 위한 제1 논리곱부를 구비한다. 제1 논리곱부는 클럭인에이블 신호(CKEB)와 아이들모드 제어신호(RASIDLE)와 셀프 제어신호(SAPD)를 입력받는 낸드 게이트(NA4)를 구비한다.
제2 로직회로부(220)는 클럭인에이블 신호(CLEB)와 리프레쉬 제어신호(REFLAGB)의 로직 논리곱을 수행하기 위한 제2 논리곱부(221)와, 클럭인에이블 신호(CKEB)와 반전된 리프레쉬 제어신호(REFLAGB)의 로직 논리곱을 수행하기 위한 제3 논리곱부(221)와, 반전된 클럭인에이블 신호(CKEB)와 리프레쉬 제어신호(REFLAGB)의 로직 논리곱을 수행하기 위한 제4 논리곱부(223)와, 제2 논리곱부(221)의 출력과 제3 논리곱부(223)의 출력을 각각 일측으로 입력받으며, 각각의 출력이 서로의 타측 입력으로 입력되어 래치(LA)를 이루는 제5 및 제6 논리곱부(224,225)와, 제2 논리곱부(221)의 출력과 제4 논리곱부(224)의 출력의 로직 논리곱 수행을 위한 제7 논리곱부(226)를 구비한다.
제2 논리곱부(221)는 리프레쉬 제어신호(REFLAGB)와 클럭인에이블 신호(CKEB)를 입력받는 낸드게이트(ND5)와, 낸드게이트(ND2)의 출력을 반전하여 제7 논리곱부(226)로 출력하기 위한 인버터(I1)를 구비한다.
제3 논리곱부(222)는 리프레쉬 제어신호(REFLAGB)를 반전하여 전달하기 위한 인버터(I2)와, 클럭인에이블 신호(CKEB)와 인버터(I2)의 출력을 입력받는 낸드게이트(ND6)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제4 논리곱부(223)는 클럭인에이블 신호(CKEB)를 반전하여 전달하기 위한 인버터(I3)와, 리프레쉬 제어신호(REFLAGB)와 인버터(I3)의 출력을 입력받는 낸드게이트(ND7)를 구비한다.
제5 논리곱부(224)는 제6 논리곱부(225)의 출력과 낸드게이트(ND6)의 출력을 입력받는 낸드게이트(ND8)를 구비한다.
제6 논리곱부(225)는 제5 논리곱부(224)의 출력과 낸드게이트(ND7)의 출력을 입력받는 낸드게이트(ND9)를 구비한다.
제7 논리곱부(226)는 인버터(I1)의 출력과 낸드게이트(ND4)의 출력을 입력받아 동작모드 선택신호(Q)를 출력하는 낸드게이트(ND4)를 구비한다.
제3 로직회로부(230)는 제1 로직회로부(210)의 출력신호와 제2 로직회로부(220)의 출력신호의 로직 논리곱을 수행하기 위한 제8 논리곱부를 구비한다. 제8 논리곱부는 제1 로직회로부(210)의 출력신호와 제2 로직회로부(220)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인에이블 신호(CB_ENB)를 출력하는 낸드 게이트(ND11)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전술한 바와 같은 클럭버퍼 제어부를 구비하여, DDR3 스펙을 지원하기 위해 슬로우 프리차지 파워다운모드(IDD2PS)모드, 패스트 프리차지 파워다운모드(IDD2PF), 셀프 리프레쉬 에뮬레이션 모드(SREM), 액티브 파워다운 모드(IDD3P)를 지원하게 된다. 즉, 클럭버퍼 제어 부(200)이 이 4가지 동작모드에서 각각의 동작모드에 따라 클럭버퍼를 적절하게 제어하는 것이다.
도6a와 도6b는 도3의 클럭버퍼 제어부의 동작을 나타내는 파형도이다. 도7은 도1의 반도체 장치의 셀프 리프레쉬 에뮬레이션 모드(SREM)를 나타내는 파형도이다.
이하에서는 도5, 도6a,도6b 및 도7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살펴본다.
첫번째로, 슬로우 프리차지 파워다운 모드인 IDD2PS 인 경우 모드레지스터 세트에 저장된 코드에 의한 제어신호(SAPD) 신호는 하이레벨로 셋팅되고, 클럭인에이블 신호(CKE)는 로우레벨이고, 제어신호(RASIDLE) 신호는 프리차지 파워다운모드이므로 하이레벨, 제어신호(REFLAGB)는 리프레쉬 동작인 진행중이 아니므로 하이레벨이다. 이 신호들 조합으로서 클럭버퍼 제어부(200)의 출력신호인 인에이블 신호(CB_ENB)는 하이레벨로 디스에이블된 상태로 출력된다. 따라서 클럭버퍼(110A,110B.110C)에서 내부클럭이 출력되지 않아서 지연고정회로의 지연고정동작은 수행되지 않는다.
한편, 패스트 프리차지 파워다운 모드인 IDD2PF 인 경우는 제어신호(SAPD)신호가 로우레벨로 셋팅되고 나머지 신호는 동일할 하기 때문에, 클럭버퍼 제어부(200)의 출력신호인 인에이블 신호(CB_ENB)는 로우레벨로 인에이블된 상태로 출력된다. 따라서 클럭버퍼(110A,110B.110C)에서 내부클럭이 출력되어서 지연고정회로의 지연고정동작이 수행된다.
두번째로, 액티브 파워다운 모드인 IDDP3P인 경우에는 제어신호(RASIDLE)는 액티브사황에서는 로우레벨을 유지하고, 제어신호(REFLAGB)는 하이레벨을 유지하고, 제어신호(SAPD) 신호는 하이레벨 또는 로우레벨에 상관없이 인에이블 신호(CB_ENB)는 로우레벨이 되어 지연고정루프의 지연고정동작은 수행된다.
세번째로, 셀프 리프레쉬 에뮬레이션 모드인 경우에 대해 살펴보자. 먼저 셀프 리프레쉬 에뮬레이션 모드에 대해 설명한다. 이 모드는 도7에 잘 도시되어 있다. 이 모드는 DDR2 스펙이나 DDR3 스펙을 구현하기 위해 것이다. 이 모든 사용자들(USER)이 셀프 리프레쉬 동작모드를 사용하는 것 대신에 메모리 장치에 대한 억세스가 불필요한 경우에 파워다운 모드로 메모리 장치를 동작모드를 변화시킨 다음, 리프레쉬가 필요한 시점에서만 클럭인에이블 신호(CKE)를 하이레벨로 활성화시키고, 오토리프레쉬 명령을 이용한 리프레쉬를 수행하도록 하는 동작 모드를 말한다. 이 경우 외부의 칩셋등 메모리 장치로 명령어를 제공하는 장치에서 tREFi(7.8us)마다 오토 리프레쉬 명령을 인가할 수 있어, 외부 장치의 리프레쉬 제어 동작이 간편해지는 장점이 있다.
또한 로우 파워 모드로 부터의 리커버리(recovery) 타임, 즉 리드명령어를 인가하고 다음 리드명령어를 인가할 수 있는 타이밍을 약 6tck정도의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다. 참고로 셀프 리프레쉬를 사용하게 되면 셀프리프레쉬 모드를 탈출한 후 약 200tck 정도의 리커버리 타임이 필요하다.
이러한 장점을 지닌 셀프 리프레쉬 에뮬레이션 모드는 로 파워 다운모드(low power down mode)에 머물수 있는 타이밍 제약이 별로 없다.. 즉 파워다운모드에 머 무르는 최소한의 시간이 매우 작게 된다. 따라서 셀프 리프레쉬 에뮬레이션 모드로 일정한 시간이 지난 후에 그 모드를 탈출 한 후에 곧바로 리드 명령을 수행하였을 때에는 지연고정회로의 지연고정된 정보가 이전값과 달르게 된다. 이는 지연고정된 값을 찾을 시간이 충분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로 인해 tAC 스펙에 벗어난 상태로 메모리 장치가 동작할 수 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셀프 리프레쉬 에뮬레이션 모드로 동작로 할 때에는 메모리 장치의 내부에 지연고정된 정보를 주기적으로 업데이트할 필요가 있다.
이 때의 동작을 살펴보면, 클럭인에이블신호를 하이레벨에서 로우레벨로 파워 다운모드로 진입시킨다. 이 때 오토 리프레쉬 명령을 인가하면, 제어신호(RASIDLE)는 내부적으로 오토리프레쉬가 끝날 때까지 로우레벨로 있게 되고, 제어신호(REFLAGB)도 로우레벨이 되면서 인에이블 신호(CB_ENB)는 로우레벨이 되어 지연고정회로의 지여고정동작은 수행된다. 즉, tREFi(7.8us)마다 지연고정회로의 업데이트 동작을 하게 된다. 이 때 지연고정회로의 지연고정정보 업데이터 시간은 메모리 장치의 내부 오토 리프레쉬 시간보다 길게 하는 것이 필요하므로 제어신호(REFLAGB)는 지연고정회로가 충분히 지연고정동작을 수행하고 업데이트 할 시간을 벌어줄 수 있도록 한다. 즉,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T 만큼 제어신호(REFLAGB)는 제어신호(RASIDLE) 보다 더 오랫동안 로우레벨인 상태로 있게 된다.
이 때 DDR3 스펙의 동작모드를 살펴보면(도2 참조), IDD2PF와 SREM 동작시의 파워다운모드 신호가 동일하게 된다. 즉, 제어신호(SAPD)는 로우레벨, 제어신호(REFLAGB)는 하이레벨, 클럭인에이블 신호(CKE)는 로우레벨로이고, 제어신 호(RASIDLE)는 하이레벨로서 동일하다. 하지만, 인에이블신호(CB_ENB)는 IDD2PF인 경우 에는 로우레벨이 되어서 지연고정회로의 지연고정동작은 진행되어야 하며, 셀프리프레쉬 에뮬레이션 모드에서는 인에이블신호(CB_ENB)는 하이레벨이 되어서 지연고정회로의 지연고정동작은 진행되지 않아야 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도5의 낸드게이트로 구성된 래치(LA)회로가 삽입되었다. IDD2PF인 경우에는 래치(LA)의 출력값이 로우레벨인 상태에서 동작모드 선택신호(Q)의 레벨은 하이레벨이 되어 인에이블 신호(CB_ENB)이 로우레벨이 된다. 따라서 지연고정회로의 지연고정동작은 진행된다.
반면에, 셀프 리프레쉬 에뮬레이션 모드에는 제어신호(REFLAGB) 신호가 로우레벨이 되므로 래치의 출력신호는 이전값인 하이레벨을 기억하고 있어, 동작모드 선택신호(Q)는 로우레벨이 되고, 그로 인해 인에이블 신호(CN_ENB)를 하이레벨로 출력시킨다. 따라서 지연고정회로의 지연고정동작은 진행이 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지연고정회로에 의한 소모되는 전류를 줄일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해서 슬로우 프리차지 파워 다운 모드(IDD2PS)와 패스트 프리차 지 파워다운 모드(IDD2PF)와, 액티브 파워다운 모드(IDD3P)에 따른 지연고정회로의 지연고정동작을 수행하도록 적절히 제어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패스트 프리차지 파워다운모드와 셀프 리프레쉬 에뮬레이션 모드에서의 파워다운 모드 진행시의 제어신호가 동일한 경우라도 각각의 상황에 맞게 지연고정회로의 지연고정동작을 적적하게 제어할 수 있게 되었다. 즉, 전자는 지연공정동작을 수행하고 후자는 지연고 동작을 하지 않게 제어할 수 있게 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해 고속으로 동작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가 각 동작모드에 적합하도록 지연고정동작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므로 불필요한 전류는 절약하면서, 필요할 때에 지연고정동작을 수행하여 데이터의 입/출력을 신뢰성 있게 할 수 있게 되었다.

Claims (24)

  1. 외부로 부터 시스템 클럭을 입력받아 내부클럭으로 출력하는 클럭버퍼;
    데이터의 출력타이밍이 상기 시스템 클럭에 동기될 수 있도록, 상기 내부클럭의 지연을 제어하기 위한 지연고정회로부;
    상기 지연고정된 내부클럭에 동기시켜 데이터를 출력시키기 위한 데이터 출려버퍼; 및
    상기 클럭버퍼의 온/오프를 제어하기 위한 인에이블 신호를 출력하되, 동일한 논리 레벨의 제어신호들에 응답하여, 이전 동작의 상태에 따라 상기 인에이블 신호의 서로 다른 논리레벨을 얻기 위하여 래치를 포함하는 클럭버퍼 제어부
    를 구비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럭버퍼 제어부는
    클럭인에이블 신호를 입력받아 내부 인에이블 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제1 로직회로부;
    상기 클럭인에이블 신호와 리프레쉬 구간동안 활성화상태를 유지하는 리프레쉬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구비된 상기 래치를 이용하여 동작모드의 대응하는 레벨을 가지는 동작모드 선택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제2 로직회로부; 및
    상기 인에이블 신호에 활성화상태에 응답하여 상기 동작모드 선택신호를 상기 인에이블 신호로 출력하기 위한 제3 로직회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로직회로부는
    상기 클럭인에이블 신호와 아이들 모드에서 활성화되는 아이들모드 제어신호와 셀프 리프레쉬 에뮬레이션 모드에 활성화되는 셀프 제어신호의 로직 논리곱을 수행하기 위한 제1 논리곱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논리곱 수단은
    상기 클럭인에이블 신호와 상기 아이들모드 제어신호와 상기 셀프 제어신호를 입력받는 낸드 게이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로직회로부는
    상기 클럭인에이블 신호와 상기 리프레쉬 제어신호의 로직 논리곱을 수행하기 위한 제2 논리곱 수단
    상기 클럭인에이블 신호와 반전된 상기 리프레쉬 제어신호의 로직 논리곱을 수행하기 위한 제3 논리곱 수단;
    반전된 상기 클럭인에이블 신호와 상기 리프레쉬 제어신호의 로직 논리곱을 수행하기 위한 제4 논리곱 수단;
    상기 제2 논리곱 수단의 출력과 상기 제3 논리곱 수단의 출력을 각각 일측으로 입력받으며, 각각의 출력이 서로의 타측 입력으로 입력되어 상기 래치를 이루는 제5 및 제6 논리곱 수단; 및
    상기 제2 논리곱 수단의 출력과 상기 제4 논리곱 수단의 출력의 로직 논리곱 수행을 위한 제7 논리곱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논리곱 수단은
    상기 리프레쉬 제어신호와 상기 클럭인에이블 신호를 입력받는 제1 낸드게이트; 및
    상기 제1 낸드게이트의 출력을 반전하여 상기 제7 논리곱 수단으로 출력하기 위한 제1 인버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논리곱 수단은
    상기 리프레쉬 제어신호를 반전하여 전달하기 위한 제2 인버터;
    상기 클럭인에이블 신호와 상기 제1 인버터의 출력을 입력받는 제2 낸드게이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논리곱 수단은
    상기 클럭인에이블 신호를 반전하여 전달하기 위한 제3 인버터;
    상기 리프레쉬 제어신호와 상기 제2 인버터의 출력을 입력받는 제3 낸드게이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5 논리곱 수단은
    상기 제6 논리곱 수단의 출력과 상기 제2 낸드게이트의 출력을 입력받는 제4 낸드게이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6 논리곱 수단은
    상기 제5 논리곱 수단의 출력과 상기 제3 낸드게이트의 출력을 입력받는 제5 낸드게이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7 논리곱 수단은
    상기 제1 인버터의 출력과 상기 제4 낸드게이트의 출력을 입력받아 상기 동작모드 선택신호를 출력하는 제6 낸드게이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12.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로직회로부는
    상기 제1 로직회로부의 출력신호와 상기 제2 로직회로부의 출력신호의 로직 논리곱을 수행하기 위한 제8 논리곱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8 논리곱 수단은
    상기 제1 로직회로부의 출력신호와 상기 제2 로직회로부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인에이블 신호를 출력하는 낸드 게이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14. 빠른 프리차지 파워다운 모드와 셀프 리프레쉬 에뮬레이션 모드를 갖는 반도체 메모리장치에 있어서,
    외부로 부터 시스템 클럭을 입력받아 내부클럭으로 출력하는 클럭버퍼;
    데이터의 출력타이밍이 상기 시스템 클럭에 동기될 수 있도록, 상기 내부클럭의 지연을 제어하기 위한 지연고정회로부; 및
    상기 빠른 프리차지 파워다운 모드와 상기 셀프 리프레쉬 에뮬레이션 모드에 의한 파워 다운 모드에서 각각 동일한 논리 레벨을 가지는 제어신호들을 인가받되, 상기 빠른 프리차지 파워다운 모드시에는 상기 클럭버퍼를 온시키고 상기 셀프 리프레쉬 에뮬레이션 모드의 파워 다운 모드시에는 상기 클럭버퍼를 오프시키는 인에이블신호를 생성하기 위하여 래치를 포함하는 클럭버퍼 제어부
    를 구비하는 반도체 메모리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들은 커맨드디코더 및 모드레지스트로부터의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장치.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클럭버퍼 제어부는
    클럭인에이블 신호를 입력받아 내부 인에이블 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제1 로직회로부;
    상기 클럭인에이블 신호와 리프레쉬 구간동안 활성화상태를 유지하는 리프레쉬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구비된 상기 래치를 이용하여 동작모드의 대응하는 레벨을 가지는 동작모드 선택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제2 로직회로부; 및
    상기 인에이블 신호에 활성화상태에 응답하여 상기 동작모드 선택신호를 상기 인에이블 신호로 출력하기 위한 제3 로직회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로직회로부는
    상기 클럭인에이블 신호와 아이들 모드에서 활성화되는 아이들모드 제어신호와 셀프 리프레쉬 에뮬레이션 모드에 활성화되는 셀프 제어신호의 로직 논리곱을 수행하기 위한 제1 논리곱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로직회로부는
    상기 클럭인에이블 신호와 상기 리프레쉬 제어신호의 로직 논리곱을 수행하기 위한 제2 논리곱 수단
    상기 클럭인에이블 신호와 반전된 상기 리프레쉬 제어신호의 로직 논리곱을 수행하기 위한 제3 논리곱 수단;
    반전된 상기 클럭인에이블 신호와 상기 리프레쉬 제어신호의 로직 논리곱을 수행하기 위한 제4 논리곱 수단;
    상기 제2 논리곱 수단의 출력과 상기 제3 논리곱 수단의 출력을 각각 일측으로 입력받으며, 각각의 출력이 서로의 타측 입력으로 입력되어 상기 래치를 이루는 제5 및 제6 논리곱 수단; 및
    상기 제2 논리곱 수단의 출력과 상기 제4 논리곱 수단의 출력의 로직 논리곱 수행을 위한 제7 논리곱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로직회로부는
    상기 제1 로직회로부의 출력신호와 상기 제2 로직회로부의 출력신호의 로직 논리곱을 수행하기 위한 제8 논리곱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20. 커맨드 디코더 및 모드레지스터;
    클럭버퍼를 구비하는 지연고정회로; 및
    상기 클럭버퍼의 온/오프를 제어하여 상기 지연고정회로에서 출력되는 지연고정된 클럭신호의 업데이트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인에이블 신호를 출력하는 클럭버퍼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클럭버퍼 제어부는 상기 커맨드디코더 및 상기 모드레지스터로부터 동일 논리 레벨의 입력신호들을 인가받더라도 이전의 메모리 동작에 따라 서로 다른 파워다운모드에서 서로 다른 논리 레벨의 상기 인에이블신호를 제공하기 위하여 래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장치.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클럭버퍼 제어부는
    클럭인에이블 신호를 입력받아 내부 인에이블 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제1 로직회로부;
    상기 클럭인에이블 신호와 리프레쉬 구간동안 활성화상태를 유지하는 리프레쉬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구비된 상기 래치를 이용하여 동작모드의 대응하는 레벨을 가지는 동작모드 선택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제2 로직회로부; 및
    상기 인에이블 신호에 활성화상태에 응답하여 상기 동작모드 선택신호를 상기 인에이블 신호로 출력하기 위한 제3 로직회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로직회로부는
    상기 클럭인에이블 신호와 아이들 모드에서 활성화되는 아이들모드 제어신호와 셀프 리프레쉬 에뮬레이션 모드에 활성화되는 셀프 제어신호의 로직 논리곱을 수행하기 위한 제1 논리곱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로직회로부는
    상기 클럭인에이블 신호와 상기 리프레쉬 제어신호의 로직 논리곱을 수행하기 위한 제2 논리곱 수단
    상기 클럭인에이블 신호와 반전된 상기 리프레쉬 제어신호의 로직 논리곱을 수행하기 위한 제3 논리곱 수단;
    반전된 상기 클럭인에이블 신호와 상기 리프레쉬 제어신호의 로직 논리곱을 수행하기 위한 제4 논리곱 수단;
    상기 제2 논리곱 수단의 출력과 상기 제3 논리곱 수단의 출력을 각각 일측으로 입력받으며, 각각의 출력이 서로의 타측 입력으로 입력되어 상기 래치를 이루는 제5 및 제6 논리곱 수단; 및
    상기 제2 논리곱 수단의 출력과 상기 제4 논리곱 수단의 출력의 로직 논리곱 수행을 위한 제7 논리곱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로직회로부는
    상기 제1 로직회로부의 출력신호와 상기 제2 로직회로부의 출력신호의 로직 논리곱을 수행하기 위한 제8 논리곱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KR1020060049114A 2005-09-28 2006-05-31 반도체 메모리 장치 KR1008080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523,704 US7430143B2 (en) 2005-09-28 2006-09-20 Delay locked operation i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JP2006263629A JP5011485B2 (ja) 2005-09-28 2006-09-27 半導体メモリ装置
TW095136089A TWI323461B (en) 2005-09-28 2006-09-28 Semiconductor memory device having delay locked operation
CN2006101412292A CN1945733B (zh) 2005-09-28 2006-09-28 半导体存储器件
US12/181,761 US7843745B2 (en) 2005-09-28 2008-07-29 Delay locked operation i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0864 2005-09-28
KR20050090864 2005-09-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5943A true KR20070035943A (ko) 2007-04-02
KR100808052B1 KR100808052B1 (ko) 2008-03-07

Family

ID=380450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9114A KR100808052B1 (ko) 2005-09-28 2006-05-31 반도체 메모리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7430143B2 (ko)
JP (1) JP5011485B2 (ko)
KR (1) KR100808052B1 (ko)
CN (1) CN1945733B (ko)
TW (1) TWI323461B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4399B1 (ko) * 2007-01-10 2008-06-04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KR100881401B1 (ko) * 2007-11-02 2009-02-02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클럭 동기화 회로 및 클럭 동기화 방법
KR100940849B1 (ko) * 2008-08-08 2010-02-09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집적 회로 및 그 제어 방법
KR20130083767A (ko) * 2012-01-13 2013-07-23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메모리 시스템
KR20130110977A (ko) * 2012-03-30 2013-10-10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반도체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KR20180025811A (ko) * 2016-09-01 2018-03-09 윈본드 일렉트로닉스 코포레이션 반도체 기억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75141B2 (ja) * 2005-09-29 2011-09-21 株式会社ハイニックスセミコンダクター 遅延固定ループ回路
KR100668861B1 (ko) * 2005-10-06 2007-01-16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Dll 회로
KR100784907B1 (ko) * 2006-06-30 2007-12-11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Dll 회로 및 그 제어 방법
KR101018706B1 (ko) * 2007-03-29 2011-03-04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그 구동방법
US7729191B2 (en) 2007-09-06 2010-06-01 Micron Technology, Inc. Memory device command decoding system and memory device and processor-based system using same
JP2010219751A (ja) * 2009-03-16 2010-09-30 Elpida Memory Inc 半導体装置
TWI416302B (zh) * 2009-11-20 2013-11-21 Ind Tech Res Inst 具電源模式感知之時脈樹及其合成方法
CN102467958B (zh) * 2010-11-18 2015-03-04 北京兆易创新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动态存储器的刷新频率装置及其方法
JP2013131277A (ja) * 2011-12-22 2013-07-04 Elpida Memory Inc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US8934317B2 (en) 2012-01-13 2015-01-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Semiconductor memory devices having internal clock signals and memory systems including such memory devices
US9443602B2 (en) * 2013-08-23 2016-09-13 Kabushiki Kaisha Toshiba Storage device and data latch timing adjustment method
KR102476357B1 (ko) * 2015-08-06 2022-12-09 삼성전자주식회사 클럭 관리 유닛과 이를 적용하는 집적 회로 및 시스템 온 칩 및 그 동작 방법
US10381055B2 (en) * 2015-12-26 2019-08-13 Intel Corporation Flexible DLL (delay locked loop) calibration
US9858217B1 (en) * 2016-06-29 2018-01-02 Qualcomm Incorporated Within-die special oscillator for tracking SRAM memory performance with global process variation, voltage and temperature
US10110210B2 (en) * 2016-12-16 2018-10-23 Intel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strobe centering for source synchronous links
US10090026B2 (en) 2017-02-28 2018-10-02 Micron Technology, Inc. Apparatuses and methods for providing internal memory commands and control signals in semiconductor memories
US10210918B2 (en) * 2017-02-28 2019-02-19 Micron Technology, Inc. Apparatuse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a phase relationship between an input clock signal and a multiphase clock signal
US10269397B2 (en) * 2017-08-31 2019-04-23 Micron Technology, Inc. Apparatuses and methods for providing active and inactive clock signals
US11658668B2 (en) 2018-06-14 2023-05-23 SK Hynix Inc. Semiconductor device
KR102608910B1 (ko) * 2018-06-14 2023-12-04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반도체장치
US11004499B1 (en) * 2020-05-08 2021-05-11 Winbond Electronics Corp. Latency control circuit and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92386B2 (ja) * 1994-11-22 2004-11-24 株式会社ルネサステクノロジ 同期型半導体記憶装置
KR200148881Y1 (ko) 1996-10-31 1999-06-15 전주범 위성 방송 수신기의 도어 개폐장치
JP3982934B2 (ja) * 1998-01-21 2007-09-26 富士通株式会社 入力回路および該入力回路を有する半導体集積回路
JP4178225B2 (ja) * 1998-06-30 2008-11-12 富士通マイクロ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集積回路装置
US6275086B1 (en) * 1998-11-19 2001-08-14 Fujitsu Limited Clock signal generator for an integrated circuit
KR100328673B1 (ko) * 1999-11-30 2002-03-20 윤종용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이 장치의 데이터 리드 방법
KR100318431B1 (ko) 1999-12-24 2001-12-24 박종섭 양방향 오실레이터와 카운터를 이용한 지연고정루프
KR100374641B1 (ko) * 2000-11-24 2003-03-04 삼성전자주식회사 스탠바이 모드에서 지연동기 루프회로의 전력소모를감소시키기 위한 제어회로를 구비하는 반도체 메모리장치및 이의 파우워 다운 제어방법
JP4071933B2 (ja) * 2000-12-27 2008-04-02 富士通株式会社 半導体集積回路と信号取り込み方法
KR100422572B1 (ko) * 2001-06-30 2004-03-12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레지스터 제어 지연고정루프 및 그를 구비한 반도체 소자
JP2003297083A (ja) * 2002-03-29 2003-10-17 Mitsubishi Electric Corp 半導体記憶装置
US6650594B1 (en) * 2002-07-12 2003-11-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Device and method for selecting power down exit
KR100484252B1 (ko) 2002-11-27 2005-04-22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지연 고정 루프 회로
US6839301B2 (en) * 2003-04-28 2005-01-04 Micron Technolog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stability and lock time for synchronous circuits
KR20040100249A (ko) * 2003-05-22 2004-12-02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동기식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지연고정루프
KR100528788B1 (ko) * 2003-06-27 2005-11-15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지연 고정 루프 및 그 구동 방법
JP2005025903A (ja) * 2003-07-01 2005-01-27 Nec Micro Systems Ltd 半導体記憶装置
US7343502B2 (en) 2004-07-26 2008-03-11 Inte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dynamic DLL powerdown and memory self-refresh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4399B1 (ko) * 2007-01-10 2008-06-04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US7848163B2 (en) 2007-01-10 2010-12-07 Hynix Semiconductor Inc.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KR100881401B1 (ko) * 2007-11-02 2009-02-02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클럭 동기화 회로 및 클럭 동기화 방법
US7701266B2 (en) 2007-11-02 2010-04-20 Hynix Semiconductor Inc. Clock synchronization circuit and clock synchronization method
KR100940849B1 (ko) * 2008-08-08 2010-02-09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집적 회로 및 그 제어 방법
US7808290B2 (en) 2008-08-08 2010-10-05 Hynix Semiconductor Inc.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20130083767A (ko) * 2012-01-13 2013-07-23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메모리 시스템
KR20130110977A (ko) * 2012-03-30 2013-10-10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반도체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KR101878903B1 (ko) * 2012-03-30 2018-07-16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반도체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KR20180025811A (ko) * 2016-09-01 2018-03-09 윈본드 일렉트로닉스 코포레이션 반도체 기억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70070731A1 (en) 2007-03-29
JP2007095279A (ja) 2007-04-12
KR100808052B1 (ko) 2008-03-07
US7843745B2 (en) 2010-11-30
JP5011485B2 (ja) 2012-08-29
CN1945733B (zh) 2012-05-02
US7430143B2 (en) 2008-09-30
CN1945733A (zh) 2007-04-11
US20090040838A1 (en) 2009-02-12
TW200739581A (en) 2007-10-16
TWI323461B (en) 2010-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08052B1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
US7649390B2 (en) Delay locked loop for high speed semiconductor memory device
KR100422572B1 (ko) 레지스터 제어 지연고정루프 및 그를 구비한 반도체 소자
US6693472B2 (en) Method and circuit for adjusting the timing of output data based on an operational mode of output drivers
KR101018706B1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그 구동방법
US8400868B2 (en) Circuit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clock synchronizing circuit for low power refresh operation
KR100815185B1 (ko) 동기식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지연고정루프 및 그 구동방법
US7463081B2 (en) Internal voltage generator and internal clock generator including the same, and internal voltage generating method thereof
KR100413758B1 (ko) 지연 동기 루프를 구비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US8406080B2 (en) Data output control circuit of a double data rate (DDR) synchronous semiconductor memory device responsive to a delay locked loop (DLL) clock and method thereof
US7994833B2 (en) Delay locked loop for high speed semiconductor memory device
US6954094B2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having partially controlled delay locked loop
KR20030009129A (ko) 반도체 기억 장치
KR101092995B1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와 그의 구동 방법
KR100550633B1 (ko) 반도체 기억 소자의 지연 고정 루프 및 그의 제어 방법
KR20040100249A (ko) 동기식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지연고정루프
KR100834399B1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KR100856062B1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20040102641A (ko) 가속화 모드를 구비한 레지스터 제어 지연고정루프
KR20100076766A (ko) 지연고정루프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2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