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24092A - 전기방사를 이용한 조직 재생용 섬유형 삼차원 다공성지지체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전기방사를 이용한 조직 재생용 섬유형 삼차원 다공성지지체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24092A
KR20070024092A KR1020050078640A KR20050078640A KR20070024092A KR 20070024092 A KR20070024092 A KR 20070024092A KR 1020050078640 A KR1020050078640 A KR 1020050078640A KR 20050078640 A KR20050078640 A KR 20050078640A KR 20070024092 A KR20070024092 A KR 200700240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brous
poly
tissue regeneration
polymer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86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75189B1 (ko
Inventor
이승진
한솔
심인경
Original Assignee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500786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5189B1/ko
Priority to EP06798560A priority patent/EP1917048A4/en
Priority to CA2621206A priority patent/CA2621206C/en
Priority to PCT/KR2006/003390 priority patent/WO2007024125A1/en
Priority to CNA2006800350386A priority patent/CN101272814A/zh
Priority to JP2008527856A priority patent/JP2009507530A/ja
Priority to US12/064,801 priority patent/US20080233162A1/en
Publication of KR200700240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40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51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5189B1/ko
Priority to US14/047,948 priority patent/US20210308335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14Macromolecular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40Composite materials, i.e. containing one material dispersed in a matrix of the same or different material
    • A61L27/44Composite materials, i.e. containing one material dispersed in a matrix of the same or different material having a macromolecular matrix
    • A61L27/48Composite materials, i.e. containing one material dispersed in a matrix of the same or different material having a macromolecular matrix with macromolecular fill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14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27/20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40Composite materials, i.e. containing one material dispersed in a matrix of the same or different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50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e.g. injectable or lubricating compositions, shape-memory materials, surface modified materials
    • A61L27/56Porous materials, e.g. foams or spon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0007Electro-spinning
    • D01D5/0015Electro-spinning characterised by the initial state of the material
    • D01D5/003Electro-spinning characterised by the initial state of the material the material being a polymer solution or disper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5/00Nanobiotechnology or nanomedicine, e.g. protein engineering or drug delivery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방사를 이용한 조직 재생용 섬유형 삼차원 다공성 지지체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직 재생용 섬유형 다공성 지지체는 생체 모방형 구조를 재료의 손실 없이 효율적이며, 기술적인 측면에서도 간단한 전기방사장치를 이용하여 제조함으로써, 본 발명의 조직 재생용 섬유형 다공성 지지체는 나노섬유와 마이크로 섬유 사이의 크기를 갖고, 일정 형태와 강도가 있기 때문에 생체조직이 삼차원적으로 재생되도록 함과 동시에 공극률을 향상시켜 세포와 관계되는 표면적을 크게하여 세포의 부착, 성장 및 재생할 수 있는 지지체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나노 섬유, 마이크로 섬유, 조직재생, 섬유형 삼차원 지지체, 전기방사

Description

전기방사를 이용한 조직 재생용 섬유형 삼차원 다공성 지지체 및 그의 제조방법{Fibrous 3-Dimensional scaffold via electrospinning for tissue regeneration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도 1은 전기 방사기를 이용한 방사절차를 나타낸 그림이다.
도 2는 이중 전기장 거리 20cm, 전압 10V, 방출속도 0.060ml/min, 주사바늘 내부직경 1.2mm인 방사조건으로 제조하여 만든 섬유의 시차현미경 사진(500 배)이다.
도 3은 이중 전기장 거리 20cm, 전압 10V, 방출속도 0.060ml/min, 주사바늘 내부직경 1.2mm인 방사조건으로 제조하여 만든 섬유의 시차현미경 사진(3500배)이다.
도 4는 이중 전기장 거리 10cm, 전압 10V, 방출속도 0.060ml/min, 주사바늘 내부직경 1.2mm인 방사조건으로 제조하여 만든 다공성 섬유형 지지체의 표면의 시차현미경 사진(2000배)이다.
도 5는 저분자 스캐폴드(scaffold)에 조골세포(osteoblast)를 7일간 배양한 후, 이를 시차주사현미경으로 찍은 사진이다.
A: X 2000, B: X 500
본 발명은 전기방사를 이용한 조직 재생용 섬유형 삼차원 지지체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조직 재생은 인체 내 기관이나 조직이 기능을 잃거나 유실시에 세포, 약물 지지체 등을 제공하여 효과적으로 조직을 재생하는 것으로, 이때, 조직 재생용 지지체는 임플란트 부위에서 물리적으로 안정하고, 재생 효능을 조절할 수 있는 생리활성을 가져야 하며, 또한 새로운 조직을 형성한 후에는 생체 내에서 분해되어야 하고, 분해산물이 독성을 갖지 않아야 한다.
이러한 조직 재생용 지지체로 종래에는 일정한 강도와 형태를 갖는 고분자를 이용한 다공성 지지체가 제조되었으며, 이러한 고분자를 이용한 스폰지 타입이나 섬유형 매트릭스 또는 젤타입의 세포배양 지지체가 제조 및 이용되고 있다.
이 중 섬유형 매트릭스 지지체는 열린 공극을 갖고 있으며 공극의 크기가 커서 세포가 잘 부착하여 증식하는 구조를 갖는다. 그러나 상기 섬유형 매트릭스 지지체는 현재 많이 사용되지 않는데, 이는 지지체가 천연고분자로 이루어진 경우 수상에서 강도가 매우 약하여 붕해되거나 수축되어 형태를 유지하지 못하고 합성 고분자를 사용하더라도 섬유형태만으로는 일정 공간을 확보하기 어려워서 주로 삼차 원 구조보다는 막 형태의 2차원 구조로 형성되는 문제점이 있다. 참고로, 조직을 재생함에 있어 3차원 구조는 세포의 활성과 재생능에 매우 중요한 구조이다. 또한, 이러한 지지체만으로는 약물을 봉입하여 조절 방출하거나 생리 활성을 갖는 천연 고분자들을 모두 적용시키는 데는 한계가 있다.
종래 재생 조직용 지지체의 제조방법은 스폰지 타입의 지지체를 제조하는 방법이 일반적인 것으로서, 입자 침출법(particle leaching), 유화동결건조법(emulsion freeze-drying), 고압기체 팽창법(high pressure gas expansion) 및 상분리법(phase separation)등이 이용되고 있다.
입자침출법은 생분해성 고분자의 유기용매 용액에 녹지 않는, 소금 등의 입자를 혼합하여 주물을 제조한 후에 용매를 제거하고 물로 소금 입자를 용출 제거하는 방법으로, 염 입자의 크기와 혼합 비율을 조절함으로써 다양한 공극의 크기와 공극률을 갖는 다공성 구조를 얻을 수 있지만, 잔존하는 소금염이나 거친 형상에 의하여 세포가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다(Mikos et al., Biomaterials, 14: 323-330, 1993; Mikos et al., Polymer, 35: 1068-1077, 1994).
또한, 유화동결 건조법은 고분자의 유기용매 용액/물의 유액을 동결건조하여 유기용매와 물을 제거하는 방법이고, 고압기체 팽창법은 유기용매를 사용하지 않고 생분해성 고분자를 주형에 넣어 압력을 가해 펠렛을 만들고 적당한 온도에서 고압의 탄산가스를 생분해성 고분자에 주입한 후 서서히 압력을 낮추어서 매트릭스내의 탄산 가스가 방출시켜 공극을 형성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상기 방법들은 열린 구조를 갖는 공극(open cellular pores)을 만들기 어려운 한계를 가지고 있다(Wang et al., Polymer, 36: 837-842, 1995; Mooney et al., Biomaterials, 17: 1417-1422, 1996).
최근에는 고분자의 유기용매 용액에 승화성 물질 또는 용해도가 다른 용매를 추가하고 승화 또는 온도 변화에 따는 용액의 상분리에 의하여 다공성 지지체를 제조하는 상분리법을 이용하고 있으나, 이것도 공극의 크기가 너무 작아 세포의 배양이 어려운 문제점을 갖고 있다.(Lo et al., Tissue Eng. 1: 15-28, 1995; Lo et al., J. Biomed. Master. Res. 30: 475-484, 1996; hugens et al., J. Biomed. Master. Res., 30: 449-461, 1996).
이상의 방법들은 세포의 점착과 분화를 유도할 수 있는 삼차원적 고분자 지지체를 제조하기 위한 것들이나, 아직까지 생체 분해성 고분자로 삼차원 조직재생용 지지체를 만드는 방법에는 많은 문제점들이 남아있다.
현재 전기 방사법에 의한 고분자 지지체를 제조하고 있으나, 막(membrane) 형태의 이차원적 구조로 섬유가 제조되어 평면 위에 세포가 부착하여 삼차원 구조를 갖는 이식재로 사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Yang et al., J. Biomater.Sci. Polymer Edn., 5:1483-1479, 2004; Yang et al., Biomaterials, 26: 2603-2610, 2005).
한편, 생체내 세포외 기질(extracellular matrix)은 글리코스아미노글리칸과 같은 기본 물질과 콜라겐 나노섬유의 네트워크 구조를 유지하고 이 사이에 세포가 부착 증식하여 조직을 형성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종래의 조직재생용 고분자 지지체가 갖는 문제점을 해결 하고자 예의 노력한 결과, 상기 세포외기질의 형태를 모방한 구조를 착안하여 상기 세포의 기질과 구조적 유사성을 가지며, 동시에 일정 형태와 강도를 가져 생체조직이 삼차원적으로 재생되도록 하는 나노섬유와 마이크로 섬유 사이의 크기를 갖는 섬유형 삼차원 고분자 지지체를 국내 최초로 제조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섬유직경이 나노와 마이크로 사이의 사이즈를 가져서 세포가 부착할 수 있는 넓은 표면적을 가지며, 삼차원 구조를 형성하는 조직 재생용 삼차원 고분자 지지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기방사에 의하여 삼차원 구조 네트워크 형태로 형성되는 고분자 및/또는 저분자 섬유를 포함하는 조직 재생용 섬유형 삼차원 다공성 지지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전기방사를 이용한 상기 조직 재생용 섬유형 삼차원 다공성 지지체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나노와 마이크로 사이의 직경을 가진 고분자 섬유가 삼차원 구조 의 네트워크 형태로 이루어진 조직 재생용 섬유형 삼차원 다공성 지지체를 제공한다.
도 2,3,4는 본 발명의 다공성 섬유지지체의 일례를 나타낸 것으로, 직경이 3~12㎛ 범위내의 크기를 갖는다. 이는 나노섬유(1-500nm)와 마이크로섬유(30-50㎛) 사이의 직경이므로, 최대한 가는 섬유 직경을 가져 세포와 관계하는 표면적을 크게 하여 세포가 잘 부착하고 증식되는 구조를 제공하는 동시에 일정 형태와 강도를 나타내어 조직이 삼차원적으로 재생되도록 하여 조직 재생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섬유형 다공성 지지체는 폴리락트산(PLA), 폴리글리콜산(PGA), 폴리(D,L-락트산-co-글리콜산)(poly(D,L-lactide-co-glycolide); PLGA), 폴리(카프로락톤), 디올/디애시드계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폴리에스테르-아미드/폴리에스테르-우레탄 등의 대표적인 생분해성 지방족 폴리에스테르와 폴리(발레로락톤), 폴리(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 및 폴리(하이드록시 발러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합성 고분자로 이루어진 생분해성 고분자를 포함하여, 키토산, 키틴, 알긴산, 콜라겐, 젤라틴 및 히알루론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천연 고분자로 이루어진 생분해성 고분자를 포함한다.
상기 합성 고분자는 분자량이 10만 내지 35만 kD의 폴리락트산(PLA)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합성 고분자 폴리락트산은 폴리엘락트산(PLLA)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천연고분자 및 합성 고분자 중 하나를 선택하여 단독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천연고분자와 합성고분자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공성 섬유형 지지체는, 나노와 마이크로 사이의 직경을 가지는 ,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5㎛의 직경으로 지지체가 적용 부위의 압력하에서 일정한 형태와 공간을 유지하여 조직의 삼차원적 재생을 돕는 동시에 세포와 관계하는 표면적을 크게 하여 인체의 혈관 내피세포, 피부 조직 세포 도는 골세포와 같은 세포의 부착과 성장에 유용하다. 또한, 전기방사방식으로 고분자 재료나 약물등의 손실이 없이 간편하게 제조함으로써 기존의 그 어느 방식보다 효율성을 높인 것이라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섬유형 다공성 지지체는 고분자뿐만 아니라 저분자 형태의 합성 저분자도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공성 섬유형 고분자 지지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i) 고분자 및/또는 저분자를 단독 또는 혼합하여 유기용매에 용해시켜 방사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ii) 상기 고분자 용액을 전기 방사기를 이용하여 방사함과 동시에 상기 유기용매를 휘발시켜 고분자 섬유를 삼차원 구조의 네트워크 형태로 형성하는 단계.
마지막으로 상기 방법으로 제조한 나노와 마이크로 사이의 직경을 가진 섬유를 결손부위에 맞게 성형하여 다공성 섬유형 지지체를 제조한다.
상기 단계 (i)의 방사액 제조시 천연고분자와 합성고분자를 단독 또는 혼합하여 유기용매에 용해시키고, 추가로 약물을 용해시켜 방사액을 제조하는 것을 포 함한다. 단계 (i)에서는 폴리엘락트산(PLLA)을 유기용매에 용해시킨다.
본 발명에서 상기 합성고분자를 용해시키는 유기용매로는 낮은 비등점을 갖는 휘발성 유기용매이기만하면 어느 것이라도 사용이 가능하며 바람직하게는 클로로포름, 디클로로메탄, 디메칠포름아미드, 디옥산, 아세톤, 테트라하이드로퓨란, 트리플루오르에탄, 1,1,1,3,3,3,-헥사플루오르이소프로필프로판올을 사용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디클로로메탄을 사용하나 이에 반드시 제한되지 않고 상황에 따라 적절히 유기용매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기방사 방식으로 고분자 용액을 방사 시 컬렉터 상에 점적될 때, 용매가 전부 휘발되고 정전기적 반발력이 작용하면서 섬유와 섬유 사이가 붙지 않고, 각각 분리된 형태로 집적되는 것을 전제로 한다. 여기서 가장 중요한 요인은 방사될 때 컬렉터 상에 점적되기 전에 용매 전부가 휘발되는 것이며 이를 위해서는 용매의 비등점이 낮아야 하고, 적절한 용액의 점도가 확보되어야 한다. 용매는 비등점 0 내지 40℃, 점도 25 내지 35 cps인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적절한 온도와 습도의 유지 또한 중요한 부분임이 강조된다.
섬유형 삼차원 고분자 지지체에 사용되는 저분자 및 고분자는 5~20 중량%의 유기용매에 용해시켜 방사액을 제조한다.
본 발명은 전기방사를 이용한 다공성 삼차원 지지체의 제조방법은 방사에 영향을 미치는 온도 및 습도, 용액의 점도, 용매의 휘발성이 각 상호간에 최적의 조건을 갖추었을 때 나노와 마이크로 사이의 섬유가 서로 붙지 않고 각각 분리된 형태로 집적되어 그 자체만으로도 간단히 삼차원 지지체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단계 (ii)에서는 상기 방사액을 전기방사기를 이용하여 섬유를 제조한다.
전기 방사기를 이용한 방사절차는 하기에 기술하였다(도 1 참조).
전압 발생장치에서 일정전류를 흘려서 노즐과 컬렉터 사이에 전기장을 형성시킨다. 방사액 저장소에 충전된 고분자 용액을 전기장의 힘과, 실린지 펌프 (syringe pump)에서 건 압력에 의하여 컬렉터에 방사한다. 이때 방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전압, 흐름속도, 노즐과 컬렉터 사이의 전기장의 거리, 온도, 습도 등이 있다. 이 때, 방사액의 농도가 섬유 직경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며, 본 단계에서는 전기방사기의 조건을 최적으로 조절하여 섬유를 제조한다.
상기 전기방사기의 조건은 방사거리 10~20cm이며, 전압 10~20kV, 방출속도 0.050~0.150ml/min가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전기 방사기는 Chungpa EMT사(한국)에서 제조한 DH High Voltage Generator(모델명 : CPS-40KO3VIT)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조직 재생용 섬유형 삼차원 다공성 지지체를 포함하는 세포의 부착, 성장 및 재생용 이식재를 제공한다. 이때 세포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연골세포, 인체의 혈관 내피세포, 피부 조직 세포, 또는 골세포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 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고분자 PLLA 섬유의 제조
PLLA 고분자를 디클로로메탄 용액 10㎖에 용해시켜 5~10%의 농도를 갖는 방사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방사액은 전기방사법을 이용하여 섬유를 제조하였다(도 1 참조).
전기 방사기는 Chungpa EMT사(한국)에서 제조한 DH High Voltage Generator(모델명: CPS-40KO3VIT)를 사용하였고, 전기 방사의 자세한 방법은 하기와 같이 첨부된 도 1과 함께 기술하였다.
상기의 농도를 갖는 고분자 PLLA 용액(방사액)을 방사액 저장소에 충전하였다. 상기 방사액 저장소는 10㎖ 유리주사기를 사용하였으며, 내부직경이 0.5~1.2mm 범위에 있는 주사바늘을 사용하였다. 방사시 방사액의 방출 속도는 0.060ml/min으로 조절하였다. 전압은 10~20kV로 조절하였으며, 전기장의 거리를 10~20cm로 조절하였다. 원하는 섬유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컬렉터 상에 섬유가 집적되기 전에 용매가 전부 휘발되어야 하므로 적절한 온도와 습도의 유지가 매우 중요하다. 이때 최적의 온도 범위는 15~25℃이며, 습도는 10~40% 범위 내가 적합하다.
여기서 얻은 고분자 PLLA 섬유는 3-10㎛의 두께를 가짐을 확인하였다.
도 2와 3은 이중 전기장 거리 20cm, 전압 10V, 방출속도 0.060ml/min, 주사바늘 내부직경 1.2mm인 방사조건으로 제조하여 만든 섬유의 시차현미경 사진(500배,3500배)을 나타낸 것이다.
<실시예 2> 저분자 PLLA 섬유의 제조
PLLA 저분자를 디클로로메탄 용액 10㎖에 용해시켜 14~20%의 농도를 갖는 방사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방사액은 전기방사법을 이용하여 섬유를 제조하였다(도 1 참조).
전기 방사기는 Chungpa EMT사(한국)에서 제조한 DH High Voltage Generator(모델명: CPS-40KO3VIT)를 사용하였고, 전기 방사의 자세한 방법은 하기와 같이 첨부된 도 1과 함께 기술하였다.
상기의 농도를 갖는 저분자 PLLA 용액(방사액)을 방사액 저장소에 충전하였다. 상기 방사액 저장소는 10㎖ 유리주사기를 사용하였으며, 내부직경이 0.5~1.2mm 범위에 있는 주사바늘을 사용하였다. 방사 시 방사액의 방출 속도는 0.060ml/min으로 조절하였다. 전압은 10~20kV로 조절하였으며, 전기장의 거리를 10~20cm로 조절하였다. 원하는 섬유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컬렉터 상에 섬유가 집적되기 전에 용매가 전부 휘발되어야 하므로 적절한 온도와 습도의 유지가 매우 중요하다. 이때 최적의 온도 범위는 15~25℃이며, 습도는 10~40% 범위 내가 적합하다.
여기서 얻은 저분자 PLLA 섬유는 5~10㎛의 두께를 가짐을 확인하였다.
도 2는 이중 전기장 거리 10cm, 전압 10V, 방출속도 0.060ml/min, 주사바늘 내부직경 1.2mm인 방사조건으로 제조하여 만든 다공성 섬유형 지지체의 표면의 시차현미경 사진(2000배)이다.
<실시예 3> 디클로로메탄과 1,1,1,3,3,3-헥사플루오르이소프로필프로판올을 이용한 방사액의 제조
PLLA 고분자 및 저분자를 디클로로메탄에 전체 용매의 2%에 해당하는 1,1,1,3,3,3-헥사플루오르이소프로필프로판올을 첨가한 디클로로메탄에 용해시켜 위에서 기술한 고분자 및 저분자의 농도를 갖는 방사액을 제조하고 전기방사법을 이용하여 섬유를 제조하였다. 그 결과, 제조된 섬유는 방사되는 형태가 안정된 형태를 띄었으며, 넓은 온도 및 습도의 범위에서 방사되고(온도 30℃ 습도 50%에서도 방사가 가능) 수득된 고분자는 섬유의 직경이 1~10㎛임을 확인하였다. 1,1,1,3,3,3,-헥사플루오르이소프로필프로판올이 첨가되어 섬유가 더욱 가늘어지고, 방사가 안정화되는 효과도 있었으나, 섬유와 섬유의 정전기력이 더욱 커지고, 차폐막화 되는 양상도 나타내었다.
<실시예 4> 디클로로메탄과 아세톤을 이용한 방사액의 제조
PLLA 고분자 및 저분자를 디클로로메탄에 전체 용매의 10%에 해당하는 아세톤을 첨가한 디클로로메탄에 용해시켜 위에서 기술한 고분자 및 저분자의 농도를 같는 방사액을 제조하고 전기방사법을 이용하여 섬유를 제조하였다. 그 결과, 제조된 섬유는 넓은 범위의 온도 및 습도에서도 방사가 안정화되었으나(온도 30℃ 습도 50%에서도 방사가 가능) 섬유 직경의 변화는 없었다. 아세톤을 첨가함으로써 디클로로메탄 한 가지만 사용했을때와 같은 형태의 섬유를 수득할 수 있으면서도 방사를 안정화시켜, 방사시 민감한 요인을 보완하여 효율성을 높일 수 있음을 확인 하였다.
<실시예 5> 골아세포 부착 실험
본 발명의 다공성 지지체의 부착력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상기 실시예 1과 2에서 제조된 섬유형 지지체를 70% 에탄올로 소독한 후 계대 배양한 골아세포(MC3TC)를 상기 지지체에 정적 배양(static culture)하고 시차주사 현미경으로 부착된 세포의 상태를 관찰하였다.
부착되지 않은 세포를 제거하고 0.1M 인산완충 생리식염수(PBS pH 7.4)에 25(w/w)%의 글루타르알데히드를 희석한 2.5% 글루타르알데히드 용액으로 4-20분간 사전 고정하였다. 사전 고정 후 에탄올로 물을 완전히 제거하고 동결건조 후 시료를 금으로 코팅하여 시차주사 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그 결과.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섬유가 7일 뒤에도 일정한 형태로 강도를 유지하고 골아세포가 섬유 위, 섬유 사이사이에서 밀집되어 부착되어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공성 지지체는 세포 친화력을 갖고 세포가 단단히 부착될 수 있으므로, 지지체 재료로 매우 적합함을 확인하였다(도 5 및 6).
본 발명의 조직 재생용 섬유형 다공성 지지체는 생체 모방형 구조를 재료의 손실없이 효율적이며, 기술적인 측면에서도 간단한 전기방사장치를 이용하여 국내 최초로 제조함으로써, 본 발명의 조직 재생용 섬유형 다공성 지지체는 나노섬유와 마이크로 섬유 사이의 크기를 갖고, 일정 형태와 강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생체조직이 삼차원적으로 재생되도록 함과 동시에 공극률을 향상시켜 세포와 관계되는 표면적을 크게하여 세포의 부착, 성장 및 재생할 수 있는 지지체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5)

  1. 전기방사에 의하여 삼차원 구조의 네트워크 형태로 형성되는 고분자 및/또는 저분자 섬유를 포함하는 조직재생용 섬유형 삼차원 다공성 지지체.
  2. 제 1항에 있어서, 고분자는 폴리락트산(PLA), 폴리글리콜산(PGA), 폴리(D,L-락트산-co-글리콜산)(poly(D,L-lactide-co-glycolide); PLGA), 폴리(카프로락톤), 디올/디애시드계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폴리에스테르-아미드/폴리에스테르-우레탄 등의 대표적인 생분해성 지방족 폴리에스테르와 폴리(발레로락톤), 폴리(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 및 폴리(하이드록시 발러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합성 고분자 또는 키토산, 키틴, 알긴산, 콜라겐, 젤라틴 및 히알루론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천연 고분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직 재생용 섬유형 삼차원 다공성 지지체.
  3. 제 2항에 있어서, 폴리락트산(PLA)은 저분자 및/또는 고분자 폴리엘락트산(PLL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직 재생용 섬유형 삼차원 다공성 지지체.
  4. 제 1항에 있어서, 섬유직경이 1 내지 1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직 재생용 섬유형 삼차원 다공성 지지체.
  5. 전기방사를 이용한 제 1항의 조직 재생용 섬유형 삼차원 다공성 지지체 제조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전기방사를 이용한 조직 재생용 섬유형 삼차원 다공성 지지체 제조 방법:
    (i) 고분자 및/또는 저분자를 단독 또는 혼합하여 유기용매에 용해시켜 방사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ii) 상기 고분자 용액을 전기 방사기를 이용하여 방사함과 동시에 상기 유기용매를 휘발시켜 고분자 섬유를 삼차원 구조의 네트워크 형태로 형성하는 단계.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형성된 섬유를 결손 부위에 알맞게 성형하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직 재생용 섬유형 삼차원 다공성 지지체 제조 방법.
  8. 제 5항에 있어서, 저분자 및/또는 저분자는 폴리엘락트산(PLL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직 재생용 섬유형 삼차원 다공성 지지체 제조 방법.
  9. 제 5항에 있어서, 유기용매는 클로로포름, 디클로로메탄, 디메칠포름아미드, 디옥산, 아세톤, 테트라하이드로퓨란, 트리플루오르에탄, 1,1,1,3,3,3,-헥사플루오르이소프로필프로판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직 재생용 섬유형 삼차원 다공성 지지체 제조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유기용매는 디클로로메탄 및 1,1,1,3,3,3,-헥사플루오르이소프로필프로판올 또는 디클로로메탄 및 아세톤의 혼합용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잭 재생용 섬유형 삼차원 다공성 지지체 제조방법.
  11. 제 5항에 있어서, 유기용매는 비등점 0 내지 40℃, 점도 25 내지 35 cps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직 재생용 섬유형 삼차원 다공성 지지체 제조 방법.
  12. 제 5항에 있어서, 저분자 및 고분자는 5 ~ 20 중량%의 유기용매에 용해시켜 방사액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직 재생용 섬유형 삼차원 다공성 지지체 제조 방법.
  13. 제 5항에 있어서, 제 ii단계는 온도범위 15~25℃, 습도범위 10~40%인 환경에서 방사거리 10~20cm이며, 전압 10~20kV, 방출속도 0.050~0.150ml/min, 주사기 내부직경 0.5~1.2mm인 조건으로 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직 재생용 섬유형 삼차원 다공성 지지체 제조 방법.
  14. 제 1항의 조직 재생용 섬유형 삼차원 다공성 지지체를 포함하는 세포의 부착, 성장 및 재생용 이식재.
  15. 제 14항에 있어서, 세포는 연골세포, 인체의 혈관 내피세포, 피부 조직 세포, 또는 골세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의 부착, 성장 및 재생용 이식재.
KR1020050078640A 2005-08-26 2005-08-26 전기방사를 이용한 조직 재생용 섬유형 삼차원 다공성 지지체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8751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8640A KR100875189B1 (ko) 2005-08-26 2005-08-26 전기방사를 이용한 조직 재생용 섬유형 삼차원 다공성 지지체 및 그의 제조방법
EP06798560A EP1917048A4 (en) 2005-08-26 2006-08-28 THREE-DIMENSIONAL FIBER SCAFFOLDING VIA ELECTROSPINNING FOR WIPER-GENERATIO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CA2621206A CA2621206C (en) 2005-08-26 2006-08-28 Fibrous 3-dimensional scaffold via electrospinning for tissue regeneration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PCT/KR2006/003390 WO2007024125A1 (en) 2005-08-26 2006-08-28 Fibrous 3-dimensional scaffold via electrospinning for tissue regeneration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CNA2006800350386A CN101272814A (zh) 2005-08-26 2006-08-28 通过电纺丝的组织再生用纤维状3-维支架及其制备方法
JP2008527856A JP2009507530A (ja) 2005-08-26 2006-08-28 電界紡糸を使用した組織再生用繊維型三次元多孔性支持体及びその製造方法
US12/064,801 US20080233162A1 (en) 2005-08-26 2006-08-28 Fibrous 3-Dimensional Scaffold Via Electrospinning For Tissue Regeneration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US14/047,948 US20210308335A1 (en) 2005-08-26 2013-10-07 Fibrous 3-Dimensional Scaffold Via Electrospinning For Tissue Regeneration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8640A KR100875189B1 (ko) 2005-08-26 2005-08-26 전기방사를 이용한 조직 재생용 섬유형 삼차원 다공성 지지체 및 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4092A true KR20070024092A (ko) 2007-03-02
KR100875189B1 KR100875189B1 (ko) 2008-12-19

Family

ID=377718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8640A KR100875189B1 (ko) 2005-08-26 2005-08-26 전기방사를 이용한 조직 재생용 섬유형 삼차원 다공성 지지체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080233162A1 (ko)
EP (1) EP1917048A4 (ko)
JP (1) JP2009507530A (ko)
KR (1) KR100875189B1 (ko)
CN (1) CN101272814A (ko)
CA (1) CA2621206C (ko)
WO (1) WO2007024125A1 (ko)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3366B1 (ko) * 2007-12-28 2010-04-20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조직재생용 나노섬유 지지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40025221A (ko) * 2012-08-22 2014-03-04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점진적인 무기물 농도를 갖는 이중층 구조의 조직 재생용 지지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380780B1 (ko) * 2012-02-09 2014-04-02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인공피부조직용 이중층 지지체의 제조방법
KR101449645B1 (ko) * 2014-04-08 2014-10-14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두께 조절이 가능한 다공성 전기방사 섬유,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4차원 조직재생용 지지체
KR101495595B1 (ko) * 2013-06-10 2015-03-03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삼차원 하이브리드 인공 지지체 제조장치
KR101527469B1 (ko) * 2013-11-04 2015-06-11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다양한 삼차원 구조를 갖는 다공성 섬유 마이크로 구조체의 제조방법
KR20150081576A (ko) * 2014-01-06 2015-07-15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나노-마이크로 하이브리드 인공 지지체
KR101540845B1 (ko) * 2012-06-08 2015-07-31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섬유형 다공성 삼차원 지지체를 포함하는 조직 재생용 패치
WO2016010377A1 (ko) * 2014-07-16 2016-01-21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생체모사 3차원 세포배양용 지지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WO2016024720A1 (ko) * 2014-08-13 2016-02-18 박종철 이동식 또는 휴대용 전기방사장치
CN106390208A (zh) * 2016-10-09 2017-02-15 华南理工大学 一种含多级孔结构的三维立体支架材料及制备与应用
CN114225106A (zh) * 2021-12-23 2022-03-25 广东工业大学 一种多孔纳米纤维生物膜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20220109653A (ko) * 2021-01-29 2022-08-05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인공도관 및 이의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77760B2 (ja) * 2005-12-01 2011-09-21 株式会社Snt 網目状構造体を含む複合構造体
US20070155273A1 (en) * 2005-12-16 2007-07-05 Cornell Research Foundation, Inc. Non-woven fabric for biomedical application based on poly(ester-amide)s
JP5314298B2 (ja) * 2007-03-15 2013-10-16 太陽化学株式会社 電界紡糸組成物
US8691274B2 (en) 2008-02-14 2014-04-08 Wake Forest University Health Sciences Inkjet printing of tissues and cells
US8524796B2 (en) 2008-08-13 2013-09-03 Dow Global Technologies Llc Active polymer compositions
GB2466073A (en) 2008-12-12 2010-06-16 Univ Manchester Tissue repair scaffold
KR101106244B1 (ko) 2009-05-01 2012-01-18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3차원 나노 구조물 형성을 위한 전기 방사 장치 및 방법
CN101695585B (zh) * 2009-10-27 2013-02-20 吉林大学 一种降解可控的组织工程角膜纤维支架及制备方法
CN101891292B (zh) * 2010-07-27 2011-06-29 北京师范大学 一种快速吸附去除水中微量多环芳烃的方法
KR101226629B1 (ko) 2010-12-08 2013-01-28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섬유형 다공성 삼차원 지지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손상된 조직 재생용 패치
KR101328645B1 (ko) 2011-02-28 2013-11-14 주식회사 원바이오젠 생분해성 고분자를 이용한 나노/마이크로 하이브리드 섬유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EP2508212A1 (en) 2011-04-05 2012-10-10 Universitätsklinikum Freiburg Biocompatible and biodegradable gradient layer system for regenerative medicine and for tissue support
CN103572508B (zh) * 2012-07-26 2016-06-08 中国科学院理化技术研究所 乳液电纺法制备可生物降解聚合物纳米纤维膜
CN102908668B (zh) * 2012-11-09 2016-12-21 无锡中科光远生物材料有限公司 诱导生长型可吸收补片的制备方法
CN102949751A (zh) * 2012-11-28 2013-03-06 川北医学院第二临床医学院 组织工程胶原—透明质酸—硫酸软骨素静电纺丝支架制备方法
GB201315074D0 (en) * 2013-08-23 2013-10-02 Univ Singapore 3-Dimensional Bioscaffolds
CN103603138B (zh) * 2013-11-15 2016-06-01 无锡中科光远生物材料有限公司 一种用于角膜组织移植的plga纤维膜的制备方法
CZ2013913A3 (cs) 2013-11-21 2015-06-03 Contipro Biotech S.R.O. Objemný nanovlákenný materiál na bázi kyseliny hyaluronové, jejích solí nebo jejich derivátů, způsob jeho přípravy, způsob jeho modifikace, modifikovaný nanovlákenný materiál, nanovlákenný útvar a jejich použití
US10500305B2 (en) 2014-04-10 2019-12-10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Device and method for a nanofiber wrap to minimize inflamation and scarring
KR101492771B1 (ko) 2014-06-27 2015-02-12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골유도 재생용 차폐막 및 이의 제조 방법
US10420861B2 (en) 2014-06-27 2019-09-24 St1 Co., Ltd. Nanofiber mats, method of manufacturing the nanofiber mats, and applications to cell culture and nanofibrous membrane for guided bone regeneration
WO2016042211A1 (en) 2014-09-17 2016-03-24 University Of Helsinki Implantable materials and uses thereof
US11629321B2 (en) 2016-05-31 2023-04-18 Amolifescience Co., Ltd. Scaffold for cell culture or tissue engineering
ES2584405A1 (es) * 2016-06-08 2016-09-27 Universitat Politècnica De València Compuesto no tejido bioelastómero
CN109196152B (zh) * 2016-06-13 2021-10-22 阿莫绿色技术有限公司 细胞培养支架用纱线及包含其的织物
CN105944145A (zh) * 2016-06-16 2016-09-21 浙江理工大学 具有促进成骨细胞方向性生长和迁移的支架制备方法
CN107137764A (zh) * 2017-05-11 2017-09-08 芜湖扬展新材料科技服务有限公司 一种多巴结构修饰聚乳酸组织修复材料的制备方法
CN107469143A (zh) * 2017-08-28 2017-12-15 昆明医科大学第附属医院 一种促进骨细胞生长的纳米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7773785A (zh) * 2017-10-31 2018-03-09 无锡中科光远生物材料有限公司 一种用于修复骨缺损的细胞层/纤维膜复合膜片的制备方法
CN108042854A (zh) * 2017-12-16 2018-05-18 诺迈尔(苏州)医学科技有限公司 用于牙种植手术的明胶纤维引导组织再生膜的生产工艺
IL279785B1 (en) * 2018-07-09 2024-04-01 Nat Inst Materials Science Non-woven fabric, method for its production, and compound for electrospinning
CN111793898A (zh) * 2019-04-09 2020-10-20 中国科学院大连化学物理研究所 一种纳米纤维素膜及其制备方法
JP7276608B2 (ja) * 2020-06-02 2023-05-18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ナノファイバーを有して成る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11793900A (zh) * 2020-06-15 2020-10-20 中国人民解放军陆军特色医学中心 一种壳聚糖/聚己内酯复合纳米纤维膜材料及其应用
CN112144176A (zh) * 2020-09-01 2020-12-29 郑州大学 一种通过酶促降解pcl/plla聚合物生产多孔三维材料的方法
CN113373543A (zh) * 2021-07-20 2021-09-10 广州医科大学附属第五医院 一种调控串珠状纳米纤维中串珠形貌的方法
CN113790958A (zh) * 2021-09-01 2021-12-14 沈阳恒生医用科技有限公司 一种高分子仿生组织及其应用
CN115282334A (zh) * 2022-01-10 2022-11-04 上海市第六人民医院 一种压电式氨基酸生物支架及其制备方法
CN114438782B (zh) * 2022-03-24 2023-05-02 新疆师范大学 一种快速抗菌/抗氧化活性的聚乳酸/单宁酸/铁/半胱氨酸骨诱导复合纤维膜的制备方法
CN114870075B (zh) * 2022-05-16 2023-06-30 东南大学 一种用于原位增强组织再生的膜及其制备方法
CN115094529A (zh) * 2022-07-11 2022-09-23 吉林大学第一医院 一种多孔取向性plga静电纺丝纤维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9018893A1 (en) * 1997-10-10 1999-04-22 Drexel University Hybrid nanofibril matrices for use as tissue engineering devices
KR100336700B1 (ko) * 1999-05-12 2002-05-13 오석송 치주질환치료용 생체분해성 유도조직재생막 및 그 제조방법
US6753454B1 (en) * 1999-10-08 2004-06-22 The University Of Akron Electrospun fibers and an apparatus therefor
US7041868B2 (en) * 2000-12-29 2006-05-09 Kimberly-Clark Worldwide, Inc. Bioabsorbable wound dressing
KR20020063020A (ko) * 2001-01-26 2002-08-01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미세 섬유상 고분자웹의 제조 방법
AU2003219916A1 (en) * 2002-02-22 2003-09-09 University Of Washington Bioengineered tissue substitutes
KR100491705B1 (ko) * 2002-07-30 2005-05-27 민병무 견 피브로인 나노섬유로 이루어진 부직포 형태의창상피복재 및 그 제조방법
KR100458946B1 (ko) * 2002-08-16 2004-12-03 (주)삼신크리에이션 나노섬유 제조를 위한 전기방사장치 및 이를 위한방사노즐팩
TW200427889A (en) * 2003-03-31 2004-12-16 Teijin Ltd Non-woven fabric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KR100621569B1 (ko) * 2003-10-28 2006-09-13 이승진 조직 재생을 유도하기 위한 생체 모방형태의 나노섬유와마이크로 섬유의 복합지지체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571478B1 (ko) * 2003-10-28 2006-04-17 이승진 생분해성 고분자로 이루어진 섬유형 다공성 지지체 및그의 제조방법
US7704740B2 (en) * 2003-11-05 2010-04-27 Michigan State University Nanofibrillar structure and applications including cell and tissue culture
JP4526851B2 (ja) * 2004-03-31 2010-08-18 明彦 谷岡 多糖類のナノスケールの繊維および成形体
WO2006028244A1 (ja) * 2004-09-07 2006-03-16 Teijin Limited 生体吸収性多孔体
KR100762928B1 (ko) * 2004-10-29 2007-10-04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견 피브로인 나노섬유로 이루어진 부직포 형태의 골조직유도 재생용 차폐막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3366B1 (ko) * 2007-12-28 2010-04-20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조직재생용 나노섬유 지지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380780B1 (ko) * 2012-02-09 2014-04-02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인공피부조직용 이중층 지지체의 제조방법
KR101540845B1 (ko) * 2012-06-08 2015-07-31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섬유형 다공성 삼차원 지지체를 포함하는 조직 재생용 패치
KR20140025221A (ko) * 2012-08-22 2014-03-04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점진적인 무기물 농도를 갖는 이중층 구조의 조직 재생용 지지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495595B1 (ko) * 2013-06-10 2015-03-03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삼차원 하이브리드 인공 지지체 제조장치
KR101527469B1 (ko) * 2013-11-04 2015-06-11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다양한 삼차원 구조를 갖는 다공성 섬유 마이크로 구조체의 제조방법
KR20150081576A (ko) * 2014-01-06 2015-07-15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나노-마이크로 하이브리드 인공 지지체
KR101449645B1 (ko) * 2014-04-08 2014-10-14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두께 조절이 가능한 다공성 전기방사 섬유,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4차원 조직재생용 지지체
WO2016010377A1 (ko) * 2014-07-16 2016-01-21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생체모사 3차원 세포배양용 지지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US10227560B2 (en) 2014-07-16 2019-03-12 Pusan National University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Foundation Biomimetic support for three-dimensional cell culturing,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and use thereof
US11162068B2 (en) 2014-07-16 2021-11-02 Pusan National University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Foundation Biomimetic support for three-dimensional cell culturing,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and use thereof
WO2016024720A1 (ko) * 2014-08-13 2016-02-18 박종철 이동식 또는 휴대용 전기방사장치
CN106390208A (zh) * 2016-10-09 2017-02-15 华南理工大学 一种含多级孔结构的三维立体支架材料及制备与应用
KR20220109653A (ko) * 2021-01-29 2022-08-05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인공도관 및 이의 제조 방법
CN114225106A (zh) * 2021-12-23 2022-03-25 广东工业大学 一种多孔纳米纤维生物膜及其制备方法和应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621206A1 (en) 2007-03-01
WO2007024125A1 (en) 2007-03-01
KR100875189B1 (ko) 2008-12-19
WO2007024125A9 (en) 2012-04-05
US20080233162A1 (en) 2008-09-25
CN101272814A (zh) 2008-09-24
EP1917048A4 (en) 2012-07-18
CA2621206C (en) 2011-11-22
EP1917048A1 (en) 2008-05-07
JP2009507530A (ja) 2009-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5189B1 (ko) 전기방사를 이용한 조직 재생용 섬유형 삼차원 다공성 지지체 및 그의 제조방법
Wu et al. Resorbable polymer electrospun nanofibers: History, shapes and application for tissue engineering
Hoque et al. Gelatin based scaffolds for tissue engineering-a review
Liu et al. Electrospinning of nanofibers for tissue engineering applications
Venugopal et al. Interaction of cells and nanofiber scaffolds in tissue engineering
Braghirolli et al. Electrospinning for regenerative medicine: a review of the main topics
Martins et al. Electrospinning: processing technique for tissue engineering scaffolding
Ayres et al. Nanotechnology in the design of soft tissue scaffolds: innovations in structure and function
Ekaputra et al. Combining electrospun scaffolds with electrosprayed hydrogels leads to three-dimensional cellularization of hybrid constructs
Jin et al. Electrospun fibers and tissue engineering
Chen et al. A three-dimensional dual-layer nano/microfibrous structure of electrospun chitosan/poly (d, l-lactide) membrane for the improvement of cytocompatibility
Kai et al. Electrospun synthetic and natural nanofibers for regenerative medicine and stem cells
KR101186093B1 (ko) 조직재생용 3차원 나노섬유 지지체 및 그 제조방법
US20080112998A1 (en) Innovative bottom-up cell assembly approach to three-dimensional tissue formation using nano-or micro-fibers
KR100621569B1 (ko) 조직 재생을 유도하기 위한 생체 모방형태의 나노섬유와마이크로 섬유의 복합지지체 및 그의 제조방법
JP2004321484A (ja) 医療用高分子ナノ・マイクロファイバー
Chen et al. Fabrication of nanofibrous scaffolds for tissue engineering applications
Reddy et al. Biomimetic approaches for tissue engineering
Purushothaman et al. Development of highly porous, Electrostatic force assisted nanofiber fabrication for biological applications
Hiremath et al. Melt blown polymeric nanofibers for medical applications-an overview
de Lima et al. Electrospinning of hydrogels for biomedical applications
Del Bakhshayesh et al. High efficiency biomimetic electrospun fibers for use in regenerative medicine and drug delivery: A review
Singh et al. Chitin, chitosan, and silk fibroin electrospun nanofibrous scaffolds: a prospective approach for regenerative medicine
KR20150007808A (ko) 나노섬유 및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인공피부 및 충전제용 복합지지체, 및 이의 제조방법
Xu et al. Electrostatic self-assemble modified electrospun poly-L-lactic acid/poly-vinylpyrrolidone composite polymer and its potential applications in small-diameter artificial blood vesse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