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91705B1 - 견 피브로인 나노섬유로 이루어진 부직포 형태의창상피복재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견 피브로인 나노섬유로 이루어진 부직포 형태의창상피복재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1705B1
KR100491705B1 KR10-2002-0044905A KR20020044905A KR100491705B1 KR 100491705 B1 KR100491705 B1 KR 100491705B1 KR 20020044905 A KR20020044905 A KR 20020044905A KR 100491705 B1 KR100491705 B1 KR 1004917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lk fibroin
wound dressing
silk
electrospinning
w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49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11786A (ko
Inventor
박원호
민병무
남영식
김소현
Original Assignee
민병무
박원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민병무, 박원호 filed Critical 민병무
Priority to KR10-2002-00449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91705B1/ko
Publication of KR200400117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17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17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170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22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containing 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15/32Proteins, polypeptides; Degradation products or derivatives thereof, e.g. albumin, collagen, fibrin, gelat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14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27/22Polypeptides or derivatives thereof, e.g. degradation products
    • A61L27/225Fibrin; Fibrinogen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4/0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proteins; Manufacture thereof
    • D01F4/02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proteins; Manufacture thereof from fibro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300/0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 A61L2300/4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characterised by a 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r mode of action
    • A61L2300/404Biocides, antimicrobial agents, antiseptic ag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mat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Abstract

견섬유에서 세리신을 제거하여 얻어진 견 피브로인의 나노섬유가 부직포 형태로 서로 얽혀 있는 구조를 갖는 창상피복재가 제공된다. 상기 창상피복재는 견섬유에서 세리신을 제거하여 얻어진 견 피브로인 용액을 동결건조하고, 건조된 견 피브로인을 전기방사 용매에 용해시킨 후 전기 방사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창상피복재는 밀착성 및 공기투과도가 우수하고, 손상된 피부조직의 세포 재생에 유리하다.

Description

견 피브로인 나노섬유로 이루어진 부직포 형태의 창상피복재 및 그 제조방법{WOUND DRESSING OF SILK FIBROIN NANOFIBERS NONWOVEN AND ITS PREPARATION}
본 발명은 창상피복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견섬유에서 세리신을 제거하여 얻어진 견 피브로인의 나노섬유가 부직포 형태로 서로 얽혀 있는 구조를 갖는 창상피복재, 그리고 견섬유에서 세리신을 제거하여 얻어진 견 피브로인 용액을 동결건조하고, 건조된 견 피브로인을 전기방사 용매에 용해시킨 후 전기 방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창상피복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체는 피부에 창상과 같은 결손부위가 발생할 경우, 상기 결손 부위를 방어하고 자가 치유를 하려는 성질을 가지고 있다. 이런 경우에 결손 부위를 효과적으로 치유하고, 그 치유속도를 높이기 위한 보조제로서, 창상피복재가 사용된다. 이러한 창상피복재가 갖추어야 할 조건으로는 생체적합성이 우수하여 결손부위에 있어서 거부반응이 없어야 하며, 창상부위로부터 삼출하는 체액을 충분히 흡수할 수 있어야 하고, 피복재의 일부가 신생조직에 함몰되어도 분해 생성물이 독성을 나타내지 않아야 하고, 창상면과 피복재가 적절히 밀착되어야 한다. 또한, 결손부위의 추가감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창상치유 보조제 기능을 증진시킬 수 있는 다른 의약품과의 혼합이 용이하여야 하며, 혼합시 반응성이 적어야 한다.
화상으로 인한 열창 및 오랜 병상 생활 또는 불결한 피부관리에서 유발되는 욕창에 대한 치료로서 항생제를 포함하는 창상피복재의 여러 종류가 현재 사용 중에 있으나, 효과적으로 감염을 저지하지는 못하고 있는 형편이다. 그러나, 앞으로 인구의 고령화 추세로 욕창 치료에 필요한 창상피복재의 수요는 급격히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므로, 이에 대한 연구개발 및 상품의 시판이 시급한 실정이다.
천연 견섬유는 뽕을 먹고 자라는 누에고치 등으로부터 뽑아낸 실로 만든 섬유를 말하며, 고인장강도, 고유의 광택, 탁월한 염색성 등으로 인해 4,000년 이전부터 고급 섬유소재로 사용되어 왔다. 상기 견섬유는 두 가닥의 피브로인이 세리신 외막에 싸여있는 구조를 갖고 있다. 이중에서 피브로인(이를 구체적으로 "견 피브로인"이라 칭함)은 생체친화성이 우수하여 주변의 어떤 조직에도 악영향을 미치지 않으므로 막, 분말, 겔, 수용액 등의 여러 형태로 제조되어 식품, 화장품, 의료용품의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또한, 견 피브로인은 피부에 적합하여 분말형태는 표피세포를 증식 또는 활성화에 사용되는 소재로서 유용하며, 나아가 견 피브로인의 미세분말은 충전재, 코팅재, 화장용 소재로서도 활용되고 있다. 이때, 화장품이나 도료에 사용되는 분말은 천연 견 섬유에서 세리신을 제거하고 알카리로 분자량을 떨어뜨린 후 분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이러한 분말의 제조방법은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01-52075호에 공지되어 있으며, 직경 3 마이크로미터 미만의 견 피브로인 분말이 흡습성, 방습성, 투습성에 우수하다고 보고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999-7001234호는 견 피브로인 및 세리신을 적당 비율로 혼합하여 결정화도 10% 미만의 비결정성 필름 형태의 창상피복재 또는 그의 제조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00-51938호는 스폰지 형태의 창상피복재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필름 형태 또는 스폰지 형태의 창상피복재의 경우 견 피브로인이 동결건조에 의해 직접 제조되기 때문에 유연성이 부족하고 밀착력이 떨어져서 피부와 피복재 사이에 공간이 생김으로써, 치료효과가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미국특허 제6,110,590호에는 견 섬유를 전처리 없이 헥사플루오로이소프로판올(hexafluoroisoporpanol)에 용해시킨 후 전기방사하여 견 나노섬유의 부직포를 얻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그러나 상기 방법은 견 섬유에서 세리신을 제거하지 않았기 때문에 생체적합성이 떨어지고, 특히 견을 용해시키는데 수개월의 시간이 소요되며 용매로 사용한 헥사플루오로이소프로판올이 매우 고가이기 때문에 상업성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자는 피부와의 밀착성, 투과성, 항생제 등의 의약품 함침성 및 사용시의 용이성 등을 모두 만족하는 창상피복재를 개발하고자 노력한 결과, 견섬유에서 세리신을 제거하여 얻어진 견 피브로인의 나노섬유가 부직포 형태로 서로 얽혀 있는 구조를 갖는 창상피복재가 상기한 요구조건을 만족할 수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피부와의 밀착성, 투과성, 항생제 등의 의약품 함침성 및 사용시의 용이성 등을 모두 만족하는 창상피복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견섬유에서 세리신을 제거하여 얻어진 견 피브로인의 나노섬유가 부직포 형태로 서로 얽혀 있는 구조를 갖는 창상피복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견섬유에서 세리신을 제거하여 얻어진 견 피브로인 용액을 동결건조하고, 건조된 견 피브로인을 전기방사 용매에 용해시킨 후 전기 방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창상피복재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창상피복재는 견섬유에서 세리신을 제거하여 얻어진 견 피브로인의 나노섬유가 부직포 형태로 서로 얽혀 있는 구조를 갖는다. 본 명세서에서 "나노섬유(또는 초극세섬유)"라 함은 나노입경을 갖는 섬유를 말하며, 전기방사시의 조건을 적절히 조절함으로써 50 - 1000 nm의 입경을 갖는 나노섬유가 용이하게 제조될 수 있다. 피부와의 접촉성, 창상피복재 내의 공극의 비율, 창상피복재의 기계적 강도 등을 고려할 때, 100 - 500 nm의 입경을 갖는 나노섬유가 바람직하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100 - 300 nm이다.
본 발명의 창상피복재는 직경이 나노크기의 초극세사로 구성된 섬유집합체로서, 성질이 유연하며, 미세공간이 많고 단위 중량당 표면적이 큰 특징을 가지고 있어 창상피복재로 전개시 피부와의 밀착성 및 공기투과도가 우수하며 외부로부터의 세균의 침투에 의한 감염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손상된 조직의 세포를 효율적으로 재생시킬 수 있다. 손상된 조직이 피부 각화세포 및 구강 각화세포일 때, 우수한 효과를 보인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 따르면, 견 피브로인 나노섬유로 이루어진 부직포 형태의 창상피복재는 정상적인 사람의 피부 각화세포(NHEK: normal human epithermal keratinocyte) 및 구강 각화세포(NHOK: noraml human oral keratinocyte)의 세포부착능을 측정한 결과, 종래의 스폰지 형태의 창상피복재에 비해 현저히 향상된 세포부착능을 제공하였다(도 4 참조).
본 발명의 창상피복재는 결손부위의 추가감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창상피복재에 통상 사용되는 첨가제를 추가로 사용되는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첨가제의 예로는 가소제, 유연제, 항생제, 항미생물제, 세포, 효소, 항체, 안료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한 창상피복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견섬유에서 세리신을 제거하여 얻어진 견 피브로인 용액을 동결건조하고, 건조된 견 피브로인을 전기방사 용매에 용해시킨 후 전기 방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방법은 또한 견 피브로인 나노섬유의 재결정화을 수행함으로써 물에 대한 용해성을 감소시키고, 섬유의 기계적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재결정화에 사용될 수 있는 용매의 예로는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과 같은 C1 ∼ C3의 알코올 또는 이들의 수용액을 들 수 있다.
누에고치 등으로부터 뽑아낸 천연 견섬유는 두 가닥의 피브로인이 세리신 외막에 싸여있는 구조를 갖고 있으며, 견섬유로부터 세리신을 제거하는 단계를 정련이라고 한다. 이러한 정련 공정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널리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면, 아스퍼질러스 오리제(Asperdillus oryzae) 등의 단백질 분해효소를 사용한 정련 방식, 또는 탄산나트륨, 올레인산나트륨 등의 알칼리성 수용액에서 끓이는 정련방식, 고압반응기(autoclave)를 이용한 고온-고압 정련방식 등을 들 수 있다. 세리신(Sericin)을 제거하지 아니한 채, 추후 공정을 수행할 경우 거품이 다량 발생하고, 따라서, 이후 공정에서 상당히 많은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세리신이 제거된 견 피브로인은 적당한 용매에 용해되어 견 피브로인 용액으로 제조된다. 견 피브로인 용액을 얻는 방법도 널리 공지되어 있으며, 예를 들면, 염화리튬, 브롬화리튬, 요오드화나트륨, 염화아연, 염화칼슘 등과 같은 중성염을 함유하는 에탄올 수용액에 견 피브로인을 부가하여 용해시킨 후, 이 용액을 셀로판막과 같은 투석막을 사용하여 투석시켜 상기 중성염을 완전히 제거함으로써 성취될 수 있다.
상기 견 피브로인 용액은 동결건조에 의해 스폰지 형태로 변화된다. 얻어진 스폰지 형태의 견 피브로인은 전기방사 용매에 용해된 후 전기 방사장치에 적용되어 나노섬유가 부직포 형태로 서로 얽혀 있는 구조를 갖는 창상피복재가 제조된다. 본 명세서에서 "전기방사 용매"라 함은 견 피브로인을 용해시킬 수 있어야 한다는 전제하에 전기 방사에 적용할 수 있는 용매를 말한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 따르면, 포름산 또는 포름산 수용액이 상기한 요구조건을 모두 만족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전기방사에 통상 사용될 수 있는 전기방사장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나노섬유의 직경, 나노섬유의 굵기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선택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고전압(5 ∼ 50kV)을 걸어줄 수 있는 전기방사장치가 널리 사용될 수 있다.
나노섬유(또는 초극세 섬유)의 직경은 견 피브로인 용액의 농도, 사용한 전기방사장치의 종류 및 전기방사시의 조건을 적절히 조절함으로써 50 - 1000 nm, 바람직하게는 100 - 500 nm, 가장 바람직하게는 100 - 300 nm의 범위 내에서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사항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 따르면, 견 피브로인 농도는, 포름산 또는 그 수용액과 같은 전기방사 용매의 중량에 대하여, 5 ∼ 20%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8 ∼ 10%가 보다 바람직하였다. 또한, 주어진 전압은 5 ∼ 35 kV의 범위에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 25 kV이였다. 방사구와 집적판 사이의 거리는 5 ∼ 30 cm가 바람직하였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 ∼ 15 cm이였다. 다만, 상기한 견피브로인 용액의 농도, 전압 및 방사구와 집적판 사이의 거리는 전기방사장치의 종류, 요구되는 물성, 창상피복재의 형상 등을 전체적으로 고려하여 정해져야 한다. 전기 방사된 나노섬유는 서로 얽혀 있는 부직포 형태를 형성하였다(도 2 도 3),
본 발명의 방법은 또한 견 피브로인 나노섬유의 재결정화을 수행함으로써 물에 대한 용해성을 감소시키고, 섬유의 기계적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재결정화에 사용될 수 있는 용매의 예로는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과 같은 C1 ∼ C3의 알코올 또는 이들의 수용액을 들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 범위 및 목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명세서를 참고하여 변형시키거나 개선시킬 수 있을 것이다.
<실시예 1>
뜨거운 물로 미리 세척한 견 섬유를 상기 섬유 중량의 100배에 해당하는 물에 침지하였다. 상기 견 섬유의 양에 대하여, 중량비 0.3%의 올레인산나트륨을 추가 투입하고 95℃에서 120 분간 처리하고 수세한 다음, 다시 0.1%의 올레인산나트륨으로 95℃에서 60 분간 처리하였다. 상기 용액을 탄산나트륨 수용액으로 중화하고 끓는 물로 수차례 수세함으로써, 견섬유의 세리신을 제거하였다. 상기 세리신이 제거된 견 섬유를 염화칼슘, 증류수, 무수에탄올의 몰비가 각각 1:2:8인 혼합용매에 넣고 70℃에서 4 시간 교반하여 용해시켰다. 상기 세리신이 제거된 견 섬유를 셀룰로오스 투석막에 넣어 증류수 조건에서 3 일간 투석하여 염 및 에탄올을 완전히 제거된 순수한 견 피브로인 용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염 및 에탄올이 제거된 견 피브로인 용액을 -80℃에서 순간 동결시키고 -4℃로 유지되는 동결건조기에서 2 일간 동결건조하여 수분이 제거된 스폰지 상태의 견 피브로인을 얻었다. 상기 견 피브로인을 포름산에 녹여 9%의 용액으로 제조하였고, 도 1의 전기방사 장치를 이용하여 방사구 선단부에서 집적판까지의 거리는 5 cm, 전압 15 kV로 고정한 후 전기방사하여 견 피브로인 나노섬유의 섬유집합체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부직포 형태의 초극세 섬유사의 집합체를 메탄올 수용액에 10 분간 침지한 후 결정화시켰으며, 상기 결정화가 완료된 후, 메탄올 및 물을 제거하여 수불용성 섬유집합체를 제조하였다. 섬유 집합체를 구성하는 초극세 섬유의 직경을 분석하기 위하여 형상분석기(image analyzer)(Scope Eye, 한국)를 이용하였다. 도 2는 그 결과를 도시한 것으로서, 150 ∼ 300 nm의 직경에 해당되는 섬유수가 밀집된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에서 제조된 섬유집합체를 주사전자현미경(Hidachi S-2350, 일본)을 이용하여 5,000 배의 배율로 확대하여 관찰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3에 도시하였다. 상기 결과에서 볼 수 있듯이, 섬유집합체는 150 ∼ 300 nm의 균일한 굵기를 갖는 나노섬유가 부직포 형태로 서로 얽혀 있는 구조를 갖고 있었다.
<실시예 2>
견 피브로인을 포름산에 녹여 9%의 용액의 동일한 농도 및 방사구 선단부에서 집적판까지의 거리가 7 cm로 동일하고, 전압을 20 kV로 변경하여 전기방사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상기 수행한 결과, 굵기가 비교적 균일한 (210nm ± 140) 초극세 섬유사의 집합체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견 피브로인을 포름산에 녹여 9%의 용액의 동일한 농도로 제조하고, 방사구 선단부에서 집적판까지의 거리를 7 cm 및 전압을 25 kV로 변경하여 전기방사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수행한 결과, 굵기가 비교적 균일한 (230nm ± 150) 초극세 섬유사의 집합체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1> 창상피복용 견 피브로인 나노섬유 부직포의 세포부착능 측정
실시예에서 제조된 견 피브로인 나노섬유 집합체에 의한 정상적인 사람의 피부(NHEK) 및 구강 각화세포(NHOK)의 세포부착능을 측정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이 실험하였다.
단계 1: 피부 각화세포의 준비
NHEK(normal human epithermal keratinocyte, 이하, "NHEK"라고 함)는 사람 표피(foreskin)조직으로부터 채취하여 조직표본을 1 내지 3 세 사이 연령의 건강한 사람에게서 얻었다. 상기 조직표본은 칼슘 및 마그네슘이 포함되지 않은 행크스 균질염 용액(calcium- and magnesium-free Hanks balanced salt solution, CMF-HBSS; GIBCO)으로 3 회 세척하였다.
표피조직으로부터 상피조직을 분리하기 위하여 상기조직에 콜라겐네이즈(collgenase type II, 1.0mg/ml; sigma Chemical Co.) 및 디스파아제(dispase grade II, 2.4 mg/ml; Boeringer-Mannheim)를 함유한 CMF-HBSS를 첨가하여 95%의 공기와 5%의 이산화탄소 조건하에서 37℃, 90 분동안 배양하였다. NHEK를 상기와 같이 분리된 표피조직으로부터 준비하였으며, 0.15mM 칼슘과 성장인자(growth factor) 블릿카트를 포함한 상피세포 배양액(KGM; Clonetics Corp.)에서 배양하였다. 세포의 밀도가 대략 70%가 되었을 때 NHEK를 60 mm 페트리 디쉬 당 1 × 105 개의 세포수로 분주하였고, 세포밀도가 대략 70%가 될 때까지 배양하였다. 이와 같이 계대배양(subculture)을 실시하였으며 2 회 계대배양한 NHEK를 사용하였다.
단계 2: 구강 각화세포의 준비
NHOK(normal human oral keratinocyte, 이하 "NHOK"라고 함)는 사람의 치은조직으로부터 채취하여 조직표본을 18내지 30세 사이 연령의 건강한 사람에게서 얻은 것을 제외하고는 NHEK와 동일한 방법으로 처리하였다.
단계 3: 세포부착능 측정
메탄올 수용액으로 10분 처리하여 제조되고 직경이 14 mm인 견 피브로인 나노섬유 부직포를 24-웰 배양접시에 넣고, 0.3 ml의 소혈청 알부민(bovine serum albumin) (1 mg/ml), 타입 I 콜라겐(type I collagen) (50 ㎍/ml), 피부로넥틴(fibronectin) (1 ㎍/ml) 또는 라미닌(laminin) (10 ㎍/ml)을 첨가하고 실온에서 12 시간 배양하여 세포외기질 단백질(extracellular protein)을 코팅시켰다. 견 피브로인 나노섬유 부직포만을 시험하는 경우에는 0.3 ml의 인산화된 완충 식염수(phosphate buffered saline, PBS)를 첨가하고 동일하게 처리하였다. 첨가한 세포외기질 단백질(extracellular protein)을 제거하고, 각 웰을 PBS로 1회 조심스럽게 세척하였다. 세포외기질 단백질로 코팅이 안된 활성 사이트(active sites)를 차단시키기 위하여 각 웰당 0.4 ml의 소혈청 알부민(bovine serum albumin) (1 mg/ml)을 첨가하고 37℃에서 30 분간 배양하였다. 소혈청 알부민을 제거하고, PBS로 조심스럽게 세척하였다. 각 웰당 1 × 105 cells (0.5 ml)를 분주하고, 95 %의 공기와 5 %의 이산화탄소 조건하에서 37℃, 60분 동안 배양하였다. 이 때 사용한 배양액은 0.15 mM 칼슘과 성장인자 불릿키트를 포함한 상피세포 배양액(KGM; Clonetics Corp.)에서 배양하였다. 배양액을 제거한 후 PBS로 1 회 조심스럽게 세척하였다. 0.4 ml의 10% 포르말린 용액 (10% formalin in PBS)을 넣고, 실온에서 15 분간 방치시켜 세포를 고정시켰다. PBS로 2 회 세척한 후 10% 포르말린 용액에 용해된 0.4 ml의 1% 톨루이딘 블루(toluidine blue)을 넣고 실온에서 1 시간 방치하였다. 방치 후 톨루이딘 블루를 제거하였고, 바닥의 염료가 빠져 나오도록 견 피브로인 나노섬유 부직포를 증류수로 3 회 세척하였다. 세척할 때 각 회당 흔들어주면서 1시간씩 세척하였다. 견 피브로인 나노섬유 부직포를 새로운 24 웰 배양접시(culture plate)로 옮기고, 0.2 ml의 2% SDS을 첨가하고 15 분간 배양하여 세포를 용해시켰다. 세포 용해액을 6 배 희석시키고, 0.1 ml를 취하여 96 웰 플래트에 옮긴 후, 플래트 리더(Micro plate reader Model 550, Bio-Rad)로 59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도 4는 실시예에서 제조된 견 피브로인 나노섬유 집합체에 의한 정상적인 사람의 피부(NHEK) 및 구강 각화세포(NHOK)의 세포부착능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으로서, 폴리스틸렌에 비하여, 세포외기질 단백질 전처리 여부에 관계없이 견 피브로인 나노섬유 부직포의 세포부착능이 매우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도 4에서, PS는 폴리스틸렌만을 처리한 결과이고, SF only는 견 피브로인 부직포만 처리한 결과이고, BSA는 견 피브로인 부직포 시료에 소혈청 알부민을 첨가한 후 처리한 결과이고, Coll은 견 피브로인 부직포 시료에 타입 I 콜라겐을 첨가한 후 처리한 결과이고, FN은 견 피브로인 부직포 시료에 피부로넥틴를 첨가한 후 처리한 결과이고, LN은 견 피브로인 부직포 시료에 라미닌을 첨가한 후 처리한 결과임).
<실험예 2> 창상피복용 견 피브로인 나노섬유 부직포의 상처치유능 평가
중량이 약 250g 되는 실험용 쥐의 등에 크기가 1cm × 1cm의 정방형의 상처(피부전층 결손)를 두 개씩 만들어서 한쪽에는 전기방사를 수행하기 이전 상태인 동결건조된 견 피브로인 스폰지 시트(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00-51938호 참조)를 붙인 다음, 봉합하여 고정하고 다른 쪽에는 본 발명에 따른 부직포 형태의 견 피브로인 나노섬유 집합체를 동일한 방법으로 고정하였다. 4일이 지난 후에 상처부위를 관찰하였다.
도 5는 본 발명의 견 피브로인 나노섬유 집합체(왼쪽)와 동결건조된 스폰지 시트(오른쪽)에 대하여 4일 후의 상처부위를 비교한 결과를 나타낸 사진으로서, 견 피브로인 나노섬유 부직포(오른쪽)의 경우, 종래의 동결건조된 스폰지 시트(왼쪽)에 비해 상처가 현저히 빠른 속도로 아물었으며, 이러한 결과로부터 동결건조된 스폰지 시트에 비하여 견 피브로인 나노섬유 부직포의 상처 치유능이 현저히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창상피복재는 직경이 나노크기의 초극세사로 이뤄진 섬유집합체로서, 성질이 유연하며, 미세공간이 많고 단위 중량당 표면적이 큰 특징을 가지고 있어 창상피복재로 전개시 피부와의 밀착성 및 공기투과도가 우수하며 외부로부터의 세균의 침투에 의한 감염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손상된 조직의 세포를 효율적으로 재생시킬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도 1은 전기방사에 사용되는 전기방사 장치의 일예를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서 제조된 견 피브로인 초극세 섬유사를 5,000배 확대하여 관찰한 결과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서 제조된 견 피브로인 초극세 섬유사의 직경에 따른 빈도수의 분포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서 제조된 견 피브로인 섬유 집합체에 의한 정상적인 피부 각질세포 및 정상적인 사람의 구강 각질세포의 세포부착능을 측정한 결과이고,
PS: 폴리스틸렌 SF only: 견 피브로인 부직포
BSA: SF시료에 소혈청 알부민 처리 Coll: SF시료에 타입 I 콜라겐 처리
FN: SF시료에 피부로넥틴 처리 LN: SF시료에 라미닌 처리
도 5는 견 피브로인 나노섬유 집합체(왼쪽)와 동결건조된 스폰지 시트(오른쪽)에 대하여 4일 후의 상처부위를 비교한 결과를 나타낸 사진이다.

Claims (8)

  1. 견섬유에서 세리신을 제거하여 얻어진 견 피브로인의 나노섬유가 부직포 형태로 서로 얽혀 있는 구조를 갖는 창상피복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창상피복재가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상피복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가 가소제, 유연제, 항생제, 항미생물제, 세포, 효소, 항체, 안료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상피복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창상피복재가 피부 각화세포 및 구강 각화세포에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상피복재.
  5. 견섬유에서 세리신을 제거하여 얻어진 견 피브로인 용액을 동결건조하고, 건조된 견 피브로인을 전기방사 용매에 용해시킨 후 전기 방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1항의 창상피복재의 제조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방사 용매가 포름산 또는 포름산 수용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조방법이 전기방사 후, 견 피브로인 나노섬유를 재결정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재결정화가 C1 ∼ C3의 알코올 또는 이들의 수용액에서 수행되는 제조방법.
KR10-2002-0044905A 2002-07-30 2002-07-30 견 피브로인 나노섬유로 이루어진 부직포 형태의창상피복재 및 그 제조방법 KR1004917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4905A KR100491705B1 (ko) 2002-07-30 2002-07-30 견 피브로인 나노섬유로 이루어진 부직포 형태의창상피복재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4905A KR100491705B1 (ko) 2002-07-30 2002-07-30 견 피브로인 나노섬유로 이루어진 부직포 형태의창상피복재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1786A KR20040011786A (ko) 2004-02-11
KR100491705B1 true KR100491705B1 (ko) 2005-05-27

Family

ID=373198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4905A KR100491705B1 (ko) 2002-07-30 2002-07-30 견 피브로인 나노섬유로 이루어진 부직포 형태의창상피복재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9170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6263B1 (ko) 2010-02-16 2012-05-15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특이적 결합분자?나노섬유 복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297366B1 (ko) 2011-09-07 2013-08-14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전기방사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전기방사용 실크 조성물의 제조 방법
KR101616705B1 (ko) 2011-05-13 2016-05-02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특이적 결합분자―나노섬유 복합체 및 이를 이용한 세포활성화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71382B2 (en) * 2004-12-22 2011-12-06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Porous nanofiber mesh for three-dimensional cell culture
KR100875189B1 (ko) * 2005-08-26 2008-12-19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전기방사를 이용한 조직 재생용 섬유형 삼차원 다공성 지지체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751547B1 (ko) * 2005-11-21 2007-08-23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조직공학용 지지체 및 그 제조방법, 및 조직공학용지지체를 제조하기 위한 전기방사장치
KR101060910B1 (ko) 2009-05-08 2011-08-30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장) 실크단백질을 이용한 인공고막 및 그 제조방법
US11311641B1 (en) 2020-11-20 2022-04-26 Mehrdad Mark Mofid Scaffold wound dressing
CN115721768A (zh) * 2022-12-01 2023-03-03 国纳之星(上海)纳米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抗炎丝素蛋白膜的制备方法及其产品和应用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03406A (ja) * 1994-10-05 1996-04-23 Kanebo Toide Kk 絹製払拭布
JPH08199456A (ja) * 1995-01-13 1996-08-06 Hideki Kamiya 絹不織布の製造方法
JPH09188972A (ja) * 1996-01-05 1997-07-22 Jiyoumou Nenshi Kk シルク加工不織布及び不織布のシルク加工方法
US6110590A (en) * 1998-04-15 2000-08-29 The University Of Akron Synthetically spun silk nanofibers and a process for making the same
JP2001098450A (ja) * 1999-10-01 2001-04-10 Kansai Tlo Kk 野蚕糸製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03406A (ja) * 1994-10-05 1996-04-23 Kanebo Toide Kk 絹製払拭布
JPH08199456A (ja) * 1995-01-13 1996-08-06 Hideki Kamiya 絹不織布の製造方法
JPH09188972A (ja) * 1996-01-05 1997-07-22 Jiyoumou Nenshi Kk シルク加工不織布及び不織布のシルク加工方法
US6110590A (en) * 1998-04-15 2000-08-29 The University Of Akron Synthetically spun silk nanofibers and a process for making the same
JP2001098450A (ja) * 1999-10-01 2001-04-10 Kansai Tlo Kk 野蚕糸製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6263B1 (ko) 2010-02-16 2012-05-15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특이적 결합분자?나노섬유 복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16705B1 (ko) 2011-05-13 2016-05-02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특이적 결합분자―나노섬유 복합체 및 이를 이용한 세포활성화 방법
KR101297366B1 (ko) 2011-09-07 2013-08-14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전기방사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전기방사용 실크 조성물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1786A (ko) 2004-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0910B1 (ko) 실크단백질을 이용한 인공고막 및 그 제조방법
US20080292667A1 (en) Nonwoven Nanofibrous Membranes of Silk Fibroin for Guided Bone Tissue Regeneration and Their Preparation Method
Powell et al. Engineered human skin fabricated using electrospun collagen–PCL blends: morphogenesis and mechanical properties
US6699287B2 (en) Dermal scaffold using alkaline pre-treated chitosan matrix or alkaline pre-treated chitosan and alkaline pre-treated collagen mixed matrix
WO2014206308A1 (zh) 组织修复支架及其制备方法和用途
US10888638B2 (en) Method for producing a collagen membrane and uses thereof
WO2012091636A2 (ru) Биополимерное волокно, состав формовочного раствора для его получения, способ приготовления формовочного раствора, полотно биомедицинского назначения, способ его модификации, биологическая повязка и способ лечения ран
Xie et al. Adult stem cells seeded on electrospinning silk fibroin nanofiberous scaffold enhance wound repair and regeneration
JP2017533750A (ja) 連結された絹フィブロインマイクロファイバーとナノファイバーからなるハイブリッド構造物の生産方法、そのようにして得られるハイブリッド構造物、および移植可能な医療デバイスとしてのその使用
CN110193098B (zh) 一种多层梯度生物膜及其制备方法
CN108478866A (zh) 组织修复支架、其制备方法和用途
KR100491705B1 (ko) 견 피브로인 나노섬유로 이루어진 부직포 형태의창상피복재 및 그 제조방법
Liu et al. A novel wound dressing composed of nonwoven fabric coated with chitosan and herbal extract membrane for wound healing
CN109481737A (zh) 一种仿生双层敷料及其制备方法
CN107737364A (zh) 一种创伤敷料及其制备方法
Li et al. A native sericin wound dressing spun directly from silkworms enhances wound healing
Wang et al. Coagulation/anticoagulation-regulable and tough extracellular matrix hydrogels
KR101380780B1 (ko) 인공피부조직용 이중층 지지체의 제조방법
KR100545404B1 (ko) 키틴 또는 키토산의 나노섬유(초극세섬유)를 구성성분으로하는 부직포
CN115804867A (zh) 纤维化iii型胶原蛋白纳米膜、制备方法及其在皮肤再生中的应用
CN113209384B (zh) 一种妇科用盆底补片及其制备方法
CN106880874A (zh) 一种人工复合疝气补片及其制备方法
Si et al. Unleashing the healing potential: Exploring next-generation regenerative protein nanoscaffolds for burn wound recovery
KR101186004B1 (ko) 생분해성 실크 나노섬유 막 및 그 제조방법, 이를 이용한 생분해성 지지체
KR100316200B1 (ko) 외과수술용 유착방지제(外科手術用 癒着防止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8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