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20882A - 차량용 스태빌라이저 바 - Google Patents

차량용 스태빌라이저 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20882A
KR20070020882A KR1020050075239A KR20050075239A KR20070020882A KR 20070020882 A KR20070020882 A KR 20070020882A KR 1020050075239 A KR1020050075239 A KR 1020050075239A KR 20050075239 A KR20050075239 A KR 20050075239A KR 20070020882 A KR20070020882 A KR 200700208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bar
torsion bar
elastic body
stabilizer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52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04614B1 (ko
Inventor
이후광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752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4614B1/ko
Publication of KR200700208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08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46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46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1/00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 B60G21/02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 B60G21/04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 B60G21/05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between wheels on the same axle but on different sides of the vehicle, i.e. the left and right wheel suspensions being interconnected
    • B60G21/055Stabiliser b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pring, damper or actuator
    • B60G2202/10Type of spring
    • B60G2202/13Torsion spring
    • B60G2202/136Twist-beam type arrang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1Elastic mounts, e.g. bush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40Constructional features of dampers and/or springs
    • B60G2206/42Springs
    • B60G2206/427Stabiliser bars or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70Materials used in suspensions
    • B60G2206/73Rubber; Elastom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단이 좌/우륜에 각각 연결되고 비교적 큰 비틀림 강성을 갖는 비틀림 바와, 상기 비틀림 바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어 상기 비틀림 바보다 낮은 비틀림 강성을 갖는 탄성체로 구성되어, 차량이 일반 포장도로를 주행할 경우 탄성체의 낮은 강성이 작용하여 승차감을 향상시키고 급선회 및 비포장 도로 주행 시 등 차량 좌우륜의 위상차가 크게 발생되면 비틀림 바의 강한 비틀림 강성으로 차체의 쏠림을 제어하여 주행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어, 그 구조를 단순화하여 제조비용을 줄이면서 주행 조건에 따라 비틀림 강성을 제어할 수 있는 차량용 스태빌라이저 바를 제공한다.
차량, 스태빌라이저, 스태빌라이저 바, 현가장치

Description

차량용 스태빌라이저 바 { STABILIZER BAR OF VEHICLE }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스태빌라이저 바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태빌라이저 바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태빌라이저 바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태빌라이저 바의 일부 절개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태빌라이저 바의 일부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비틀림 바 20 : 탄성체
22 : 지지바 24 : 공간부
26 : 탄성체 장착부 30 : 원호바
32 : 원봉부
본 발명은 차량용 스태빌라이저 바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포장도로를 주행할 때에는 낮은 비틀림 강성을 발생시켜 승차감을 향상시키고 급선회 또는 비포장 도로 등을 주행할 때에는 강한 비틀림 강성을 발생시켜 차체의 쏠림을 제어하여 주행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용 스테이빌라이저 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태빌라이저 바는 차량의 거동을 제어하는 주요 부품으로 좌우륜의 위상차 발생시 비틀림 강성을 발생시켜 차량의 기울어짐을 제어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스태빌라이저 바의 사시도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스태빌라이저 바는 차체에 횡방향으로 배치되어 비틀림 강성을 발생시키도록 일정 직경을 갖는 비틀림 바(102)와, 상기 비틀림 바(102)의 양쪽 끝부분에서 직각으로 절곡되어 좌/우륜에 각각 연결되는 연결부(104)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비틀림 바(102)의 양단은 차체측에 지지 브레킷(106)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 기술에 따른 스태빌라이저 바는 차량이 선회할 때 또는 비포장 도로 등 요철이 심한 도로를 주행할 때 좌/우륜의 위상차가 발생되면 비틀림 바(102)에서 비틀림 강성을 발생시켜 차량이 기울어짐을 제어하여 차량이 평형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스태빌라이저 바는 그 직경이 커지면 비틀림 강성이 커지게 되어 선회시 또는 비포장 도로 운전시 차량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스태빌라이저 바의 직경을 갖게 하여 비틀림 강성을 낮게 하면 승차감을 향상시킨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 따른 스태빌라이저 바는 직경을 크게 하면 차량의 안정 성은 향상시키지만 승차감을 저하시키게 되고, 직경을 작게 하면 승차감은 향상시키지만 차량 안정성을 저하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승차감을 향상시키면서 선회 및 비포장 도로 운전시 차량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스태빌라이저 바에 액추에이터 등을 설치하여 스태빌라이저 바의 비틀림 강성을 제어하여 필요에 따라 비틀림 강성을 제어하는 시스템이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경우 복잡한 기계장비를 필요로 하여 제조비용이 증가되고, 고장 가능성이 상승하여 품질관리에 문제점이 발생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비틀림 강성을 발생시키는 비틀림 바와 상기 비틀림 바 보다 강성이 약한 탄성체로 구성되어 차량이 일반 포장도로를 주행할 경우 탄성체의 낮은 강성이 작용하여 승차감을 향상시키고 급선회 및 비포장 도로 주행 시 등 차량 좌우륜의 위상차가 크게 발생되면 비틀림 바의 강한 비틀림 강성으로 차체의 쏠림을 제어하여 주행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어, 그 구조를 단순화하여 제조비용을 줄이면서 주행 조건에 따라 비틀림 강성을 제어할 수 있는 차량용 스태빌라이저 바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태빌라이저 바는 양단이 좌/우륜에 각각 연결되고 비교적 큰 비틀림 강성을 갖는 비틀림 바와, 상기 비틀림 바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어 상기 비틀림 바보다 낮은 비틀림 강성을 갖는 탄성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비틀림 바는 그 양쪽 끝부분이 각각 직각으로 절곡되어 좌/우륜에 연결되는 연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비틀림 바의 양측은 각각 차체측에 고정되는 지지 브래킷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탄성체가 장착되는 탄성체 장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탄성체는 상기 탄성체 장착부의 공간부에 압입되는 고무재질로 형성되고, 그 단면이 원호형태를 갖는 고무 바가 둘레방향으로 등 간격으로 두고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태빌라이저 바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태빌라이저 바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태빌라이저 바의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일부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태빌라이저 바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스태빌라이저 바는 강한 비틀림 강성을 갖도록 일정 직경을 갖는 비틀림 바(10)와, 상기 비틀림 바(10)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어 상기 비틀림 바(10)보다 낮은 강성을 갖는 탄성체(20)로 구성된다.
상기 비틀림 바(10)의 양쪽 끝부분은 각각 직각으로 절곡되어 좌/우륜에 연결되는 연결부(12)가 형성되고, 상기 비틀림 바(10)의 양측은 각각 차체측에 고정되는 지지 브래킷(14)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비틀림 바(14)에는 상기 탄성체(20)가 장착되는 탄성체 장착부(26)가 형성된다. 즉, 상기 탄성체 장착부(26)는 비틀림 바(10)의 원주방향으로 등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지지바(22)와, 상기 지지바(22) 사이에 일정 공간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탄성체(20)가 장착되는 공간부(24)로 구성된다.
상기 탄성체(20)는 상기 탄성체 장착부(26)의 공간부(24)에 압입되는 고무재질로 형성된다. 즉, 탄성체(20)는 그 단면이 원호 형태를 갖고 상기 지지바(22) 사이의 공간부에 압입되는 다수의 원호바(30)와, 상기 원호바(30)의 하단이 각각 일체로 연결되고 상기 원호바들(30)을 지지하도록 원봉형태로 형성되는 원형바(32)로 구성된다. 이러한 탄성체(20)는 상기 공간부(24)에 횡방향으로 압입되어 고정된다.
이와 같은 상기 스태빌라이저 바는 횡방향으로 큰 힘을 받지 않으며 다른 링크류의 연결 포인트가 볼 조인트 및 부시 등으로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횡방향으로 압입된 탄성체(20)가 이탈되지 않는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스태빌라이저 바의 작용을 다음에서 설명한다.
차량이 일반적인 포장도로를 주행할 경우 좌/우륜의 변위가 낮기 때문에 강성이 낮은 고무재질의 탄성체(20)의 비틀림 탄성력이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차량의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차량이 급선회 및 비포장도로를 주행할 경우 차량의 좌/우륜의 위상차가 크게 발생되면 탄성체(20)는 압착되어 더 이상 변형되지 않고 비틀림 바(10)의 강한 비틀림 탄성력이 작용된다. 따라서, 차체의 쏠림을 제어하여 주행 안정성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스태빌라이저 바는 강한 비틀림 강성을 갖는 비틀림 바에 상기 비틀림 바보다 약한 비틀림 강성을 갖는 탄성체를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하여 차량이 일반 포장도로를 주행할 때에는 탄성체의 비교적 약한 비틀림 강성이 작용하여 차량의 승차감을 향상시키고, 차량이 급선회 및 비포장도로 등을 주행할 경우에는 비틀림 바의 강한 비틀림 강성이 작용하여 차량의 쏠림을 방지하여 주행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액추에이터 등을 이용하는 고가의 장비를 적용할 필요가 없어 비용이 저렴하고 차량의 경량화할 수 있으며, 품질관리 및 안정성이 뛰어난 이점이 있다.

Claims (5)

  1. 양단이 좌/우륜에 각각 연결되고 비교적 큰 비틀림 강성을 갖는 비틀림 바와;
    상기 비틀림 바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어 상기 비틀림 바보다 낮은 비틀림 강성을 갖는 탄성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태빌라이저 바.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틀림 바는 그 양쪽 끝부분이 각각 직각으로 절곡되어 좌/우륜에 연결되는 연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비틀림 바의 양측은 각각 차체측에 고정되는 지지 브래킷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탄성체가 장착되는 탄성체 장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태빌라이저 바.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 장착부는 상기 비틀림 바의 원주방향으로 등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지지바와, 상기 지지바 사이에 일정 공간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탄성체가 장착되는 공간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태빌라이저 바.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는 상기 탄성체 장착부의 공간부에 압입되는 고무재질로 형성되고, 그 단면이 원호형태를 갖는 고무 바가 둘레방향으로 등 간간격으로 두고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태빌라이저 바.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는 상기 공간부에 횡방향으로 압입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차량용 스태빌라이저 바.
KR1020050075239A 2005-08-17 2005-08-17 차량용 스태빌라이저 바 KR1011046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5239A KR101104614B1 (ko) 2005-08-17 2005-08-17 차량용 스태빌라이저 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5239A KR101104614B1 (ko) 2005-08-17 2005-08-17 차량용 스태빌라이저 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0882A true KR20070020882A (ko) 2007-02-22
KR101104614B1 KR101104614B1 (ko) 2012-01-12

Family

ID=436531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5239A KR101104614B1 (ko) 2005-08-17 2005-08-17 차량용 스태빌라이저 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461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82100A (zh) * 2021-08-25 2021-11-23 岚图汽车科技有限公司 稳定杆及车辆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5411A (ko) * 1997-10-31 1999-05-15 양재신 자동차의 탄성 스태빌라이저 바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82100A (zh) * 2021-08-25 2021-11-23 岚图汽车科技有限公司 稳定杆及车辆
CN113682100B (zh) * 2021-08-25 2024-01-09 岚图汽车科技有限公司 稳定杆及车辆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04614B1 (ko) 2012-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4614B1 (ko) 차량용 스태빌라이저 바
KR20110065461A (ko) 이중 안전장치를 갖춘 대형 차량용 스웨이 바
KR100872627B1 (ko) 차량의 가변 스테빌라이저
KR100882667B1 (ko) 승차감과 롤 거동 안정성 향상 타입 차량 현가 장치
JP5056366B2 (ja) サスペンション装置
KR100605065B1 (ko) 앰뷸런스 후륜의 스태빌라이저
KR100811933B1 (ko) 커플드토션빔액슬 현가장치
KR100957161B1 (ko) 차량용 세미 트레일링 아암형 현가장치
KR100521211B1 (ko) 현가장치용 스테빌라이져 바의 롤 강성 제어장치
KR20070032138A (ko) 자동차의 스테빌라이저 바
KR100831495B1 (ko) 자동차용 스테빌라이져바의 구조
KR100506654B1 (ko) 차축식 현가장치
KR20080054815A (ko) 차량의 스트러트형 현가장치
JP2006175913A (ja) 車両用懸架装置
KR100962190B1 (ko) 스테빌라이저 바용 클램핑 장치
KR101103342B1 (ko) 스테빌라이져바용 부쉬
US6942231B2 (en) Single passive anti-roll compensator
JP4998300B2 (ja) サスペンション装置
KR100457196B1 (ko) 어퍼암 보강구조
KR100471753B1 (ko) 토션빔 타입 현가장치
JP2005282590A (ja) 車両用サスペンション
KR20060055648A (ko) 이중 스테빌라이저 바를 갖는 차량용 현가장치
KR100452284B1 (ko) 차축식 현가장치
KR20060008408A (ko) 차량용 서스펜션
KR20050077057A (ko) 캠버 조정이 가능한 차량의 로어암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