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14032A - 끈 고정구 - Google Patents

끈 고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14032A
KR20070014032A KR1020060069417A KR20060069417A KR20070014032A KR 20070014032 A KR20070014032 A KR 20070014032A KR 1020060069417 A KR1020060069417 A KR 1020060069417A KR 20060069417 A KR20060069417 A KR 20060069417A KR 20070014032 A KR20070014032 A KR 200700140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string
socket
opening
pr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94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13768B1 (ko
Inventor
요시노부 다까하시
Original Assignee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140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40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37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37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02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frictionally engaging surface of straps
    • A44B11/06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frictionally engaging surface of straps with clamp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1/00Means for fastening cables or ropes to one another or to other objects; Caps or sleeves for fixing on cables or ropes
    • F16G11/10Quick-acting fastenings; Clamps holding in one direction only
    • F16G11/101Quick-acting fastenings; Clamps holding in one direction only deforming the cable by moving a part of the fastener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5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 A44B11/26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with push-button fasten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1/00Means for fastening cables or ropes to one another or to other objects; Caps or sleeves for fixing on cables or rop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39Cord and rope holders
    • Y10T24/3969Sliding part or wed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39Cord and rope holders
    • Y10T24/3969Sliding part or wedge
    • Y10T24/3973Rope clamped between cone and sock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ckles (AREA)
  • Ropes Or Cables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대략 통 형상의 소켓(10)과, 그 내측에 삽입 결합되는 플러그(20)를 구비하는 것이다. 소켓은 끈용 개구(11)와, 플러그용 개구(12)와, 끈용 개구 및 플러그용 개구에 연통된 수용부(13)와, 수용부 내에 수용된 끈 단부(1A)를 계지하는 복수의 계지부(14)와, 확대 개방부(17)를 갖는다. 플러그(20)에는 플러그가 소켓에 거의 삽입되었을 때(적어도 대략 절반 이상 삽입되었을 때)에 확대 개방부에 접촉되고, 각 계지부를 향해 확대 개방 가능하여 끈 단부를 계지부에 압박하는 복수개의 압박 다리부(24)가 설치되어 있다.
소켓, 끈용 개구, 플러그용 개구, 계지부, 확대 개방부, 압박 다리부

Description

끈 고정구{STRING HOLDER}
도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소켓 및 플러그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2는 상기 실시 형태의 소켓의 종단면도.
도3은 상기 실시 형태의 플러그의 측면도.
도4는 상기 실시 형태의 플러그에 끈 단부를 임시 고정한 상태의 측면도.
도5는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소켓에 플러그를 조립한 상태의 종단면도.
도6은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플러그가 소켓에 삽입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7은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플러그가 소켓에 결합되기 직전을 도시하는 도면.
도8은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플러그가 소켓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9는 도8의 IX-IX선 단면도.
도10은 본 발명의 변형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12는 상기 다른 것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플러그를 소켓에 대해 삽입하는 도중의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13은 상기 다른 것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플러그를 소켓에 대해 완전히 삽입한 조립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14는 상기 다른 것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조립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A : 끈 단부
2 : 끈 고정구
3 : 본체
10 : 소켓
10A, 10B : 직선벽
10C, 10D : 원호벽
11 : 끈용 개구
12 : 플러그용 개구
13 : 수용부
14 : 계지부
15 : 경사벽
17 : 확대 개방부
20 : 플러그
21 : 기부
22 : 압박부
23 : 제1 슬릿
24 : 압박 다리부
26 : 물림 돌기
27 : 규제 돌기
31 : 제2 슬릿
32 : 분할벽
33 : 절결부
34 : 결합 갈고리
35 : 끼움 지지편
36 : 임시 고정부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평9-289906호 공보
[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제2002-17411호 공보
본 발명은 끈 단부에 장착되는 끈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 끈은 다양한 용도로 이용된다. 예를 들어, 구두나 가방 혹은 의복이나 장신구에 있어서의 개구부 등의 밀봉 및 치수 등의 조정에는 끈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또한, 물품의 연결이나 화물의 고정 등에 실질적으로 다양한 상황에 있어서 끈이 이용되고 있다.
또한, 여기에서 말하는 끈이라 함은, 결속 등이 가능한 소위 끈형체를 총칭하는 것이며, 일반적인 끈, 와이어, 케이블 등의 다른 것, 테이프, 벨트까지를 포함하는 것이다.
이러한 끈으로는 일반적으로 단부 처리가 행해진다. 즉, 단순히 절단한 것만의 상태에서는 단면의 외관 혹은 감촉이 떨어지는 것 외에, 뜬(編) 소재로는 풀어짐이 생기는 것이 있다. 단부 처리로서는, 단순한 것은 매듭을 만드는 것을 들 수 있다. 또한, 조작성이나 장식성을 높이기 위해 전용의 끈 고정구를 장착하는 것을 이루어질 수 있다.
끈 고정구로서는 끈에 매듭을 짓는 시간을 해소할 수 있게 끈의 단부(끈의 단부로부터 소정 길이의 영역)를 감싸도록 한 것이 개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대략 통 형상의 본체에 끈의 단부를 삽입하고, 반대측으로부터 삽입된 로크구의 돌기 부분이 끈의 단부에 맞물리도록 하여 끈에 고정되는 것이 있다[예를 들어, 문헌 1 : 일본 특허 공개 평9-289906호 공보(제4 페이지, 도1, 도6) 참조].
또한, 수형 요소와 암형 요소를 구비하고, 끈에 대해 돌기 부분이 물려 들어가는 방향을 끈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하고, 또한 끈의 선단부를 굴곡시켜 길이 치수를 억제한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문헌 2 : 일본 특허 공개 제2002-17411호 공보(제3 내지 제4 페이지, 도1 내지 도3) 참조].
전술한 문헌 1 및 문헌 2에서는, 소켓(본체나 암형 요소) 내에 테이퍼 구멍을 마련하고, 이 테이퍼 구멍과 플러그(로크구나 수형 요소)의 돌기 사이에 끈을 고정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소켓에 플러그를 삽입해 가면 소켓의 테이퍼 구멍에 의해 삽입 시의 부하가 점차로 커지기 때문에, 소켓에 플러그를 삽입하여 끈을 고정하기 어렵다는 결점이 있다. 즉, 조립성이 떨어진다는 결점이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끈의 표면이 니트 소재로 피복된 것에서는, 코(編目)에 돌기 부분이 걸려 양호한 물림성이 얻어지지만, 최근 코어재로서 고무 등의 탄성 중합체계를 이용한 끈에서는, 전술한 돌기 부분이 물려 들어가도록 해도 코어재가 용이하게 변형하게 되어 버려 충분한 물림성이 얻어지지 않는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평9-289906호 공보(제4 페이지, 도1, 도6) 참조
[특허 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제2002-17411호 공보(제3 내지 제4 페이지, 도1 내지 도3) 참조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조립성이 우수하고, 게다가 끈에 대한 고정 부착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끈 고정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끈 고정구는 복수의 끈 단부를 수용 가능한 본체를 갖는 끈 고정구이며, 상기 본체는 대략 통 형상의 소켓과, 상기 소켓 내에 삽입되는 플러그를 갖고, 상기 소켓은 상기 끈 단부가 삽입되는 끈용 개구와, 상기 플러그가 삽입되는 플러그용 개구와, 상기 끈용 개구 및 상기 플러그용 개구에 연통되고, 또한 상기 끈용 개구로부터 삽입된 상기 끈 단부를 소정 길이에 걸쳐 수용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 내에 수용된 상기 끈 단부를 계지하는 복수의 계지부를 갖고, 상기 소켓 및 플러그 중 어느 한쪽에는 상기 각 계지부를 향해 확대 개방 가능하여 상기 끈 단부를 상기 계지부에 압박하는 복수개의 압박 다리부가 마련되고, 상기 소켓 및 플러그 중 다른 쪽에는 상기 압박 다리부에 접촉되고, 상기 플러그가 삽입되는 데 수반하여 상기 압박 다리부를 상기 각 계지부를 향해 확대 개방시키는 확대 개방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끈 단부를 소켓의 끈용 개구로부터 삽입하여 수용부 내에 수용하는 동시에, 소켓의 플러그용 개구로부터 플러그를 삽입한다. 플러그가 소켓에 삽입되고, 소켓 및 플러그 중 어느 한쪽에 마련된 압박 다리부에 다른 쪽에 마련된 확대 개방부가 접촉하기까지는 압박 다리부가 확대 개방되지 않으므로, 삽입 부하가 증대되는 일이 없다. 따라서, 압박 다리부에 확대 개방부가 접촉되기까지는 삽입 부하가 증대하는 일이 없으므로, 플러그를 소켓에 순조롭게 삽입할 수 있다. 따라서, 조립성이 우수하다.
즉, 플러그의 소켓 내로의 삽입에 의해 확대 개방부가 압박 다리부에 접촉한 후, 또한 플러그를 삽입하면 확대 개방부가 압박 다리부를 소켓에 마련된 각 계지부를 향해 확대 개방시키기 때문에, 수용부 내에 수용된 끈 단부가 계지부에 압박된다. 이때, 플러그가 소켓에 삽입되고, 소켓에 대한 플러그의 자세도 안정되어 있기 때문에, 확대 개방부에 의한 압박 다리부의 확대 개방 동작도 안정되게 행할 수 있다. 그 결과, 수용부 내에 수용된 끈 단부가 압박 다리부와 계지부에서 끼움 지지된 상태로 구속되기 때문에, 끈에 대한 고정 부착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끈 고정구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는 상기 소켓의 상기 플러그용 개구를 막는 기부와, 이 기부로부터 일체로 연장 설치되어 상기 소켓의 상기 수용부 내에 삽입되는 압박부를 갖고, 상기 압박부에는 상기 압박 다리부가 형성되고, 상기 소켓에는 상기 확대 개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플러그는 소켓의 플러그용 개구를 막는 기부와, 이 기부로부터 일체로 연장 설치된 압박부를 갖고 있으므로, 소켓의 플러그용 개구를 기부에 의해 막을 수 있다. 따라서, 외관적으로도 양호하게 할 수 있는 동시에, 먼지 등이 소켓 내에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플러그측에 계지부를 향해 확대 개방 가능한 복수개의 압박 다리부가 소켓측에 확대 개방부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조가 용이하다. 예를 들어 소켓측에 확대 개방 가능한 복수개의 압박 다리부를 형성하고자 하면, 통 형상의 소켓 내부에 확대 개방 가능한 복수개의 압박 다리부를 형성해야만 하기 때문에, 제조가 번거롭지만 상기 구성이면 제조가 용이하다. 특히, 이들을 수지의 사출 성형으로 성형하고자 한 경우에, 금형의 가공이 매우 복잡하게 되기 때문에, 공정수가 가해진다는 과제도 있다.
본 발명의 끈 고정구에 있어서, 상기 압박 다리부는 상기 압박부의 선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확대 개방부는 상기 소켓의 상기 끈용 개구 근방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소켓의 끈용 개구 근방이라 함은 통 형상의 소켓 중심보다 끈용 개구측을 가리킨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플러그가 소켓에 거의 삽입된 상태로 되었을 때에, 확대 개방부가 압박 다리부에 접촉하지만, 그것까지는 확대 개방부가 압박 다리부에 접촉하지 않으므로, 플러그의 삽입에 큰 부하가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조립성이 우수하다. 즉, 플러그가 소켓에 거의 삽입된 상태가 되면, 확대 개방부가 압박 다리부에 접촉하여 압박 다리부를 확대 개방시킨다. 즉, 플러그가 소켓에 거의 삽입된 상태에서는 소켓에 대해 플러그의 자세도 가장 안정되어 있으므로, 압박 다리부의 확대 개방 동작도 안정되게 행할 수 있다. 그로 인해, 압박 다리부와 계지부에 의해 끈 단부를 확실하게 끼움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끈 단부는 압박 다리부가 확대 개방 동작되기까지는 고정되지 않고, 또한 확대 개방 동작 개시로부터 끈 단부가 소켓에 고정되기까지의 플러그의 동작 거리도 짧으므로, 끈 단부의 위치도 어긋나는 일 없이 안정되게 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끈 고정구에 있어서, 상기 확대 개방부는 상기 소켓에 대한 상기 플러그의 삽입 방향에 대해 역방향을 향함으로써 끝이 가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플러그를 소켓에 대해 삽입하고, 확대 개방부가 압박 다리부에 접촉할 때, 확대 개방부가 플러그 삽입 방향에 대해 역방향을 향함으로써 끝이 가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압박 다리부를 확대 개방시키기 쉽다.
본 발명의 끈 고정구에 있어서, 상기 확대 개방부는 상기 복수의 계지부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확대 개방부가 복수의 계지부 사이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압박 다리부가 끈 단부를 계지부의 중앙으로부터 압박하여, 강한 끼움 지 지력에 의해 끈 단부를 끼움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끈 고정구에 있어서, 상기 계지부는 상기 소켓의 중심을 향함으로써 확대 개방하는 V홈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끈 단부가 압박 다리부에 의해 계지부로 압박되었을 때, 계지부가 V홈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끈 단부의 방출 저항이 커 고정 부착 효과가 높다.
본 발명의 끈 고정구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는 상기 끈 단부를 임시 고정하는 임시 고정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끈 단부를 소켓의 끈용 개구로부터 삽입하고, 수용부를 통과시켜 플러그용 개구로부터 돌출시킨 후, 플러그의 임시 고정부에 임시 고정시킨다. 이 상태에 있어서, 끈 단부를 되돌리면서 플러그를 소켓의 플러그용 개구에 삽입하면, 끈 단부를 소정의 자세로 소켓의 수용부 내에 수용할 수 있다. 그 후에 압박 다리부에 의해 끈 단부가 계지부에 압박되므로, 확실한 고정 부착을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끈 고정구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의 압박부에는 선단부에 상기 압박 다리부를 형성하는 제1 슬릿이 상기 플러그의 삽입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근본부에 상기 제1 슬릿과 대략 직교하는 제2의 슬릿이 형성되고, 이 제2슬릿에 의해 분할된 분할벽의 한쪽의 상기 근본부측에는 절결부가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분할벽에는 상기 제2 슬릿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끼움 지지편이 돌출 형성되고, 이 대향하는 끼움 지지편에 의해 상기 임시 고정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플러그의 압박부의 선단부에 압박 다리부를 형성하는 제1 슬릿이 플러그의 삽입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압박 다리부를 제1 슬릿에 의해 서로 개방하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시킬 수 있고, 압박 다리부에 의한 끈 단부의 끼움 지지를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임시 고정부인 끼움 지지편이 형성된 분할벽의 한쪽에는 절결부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끈 단부의 굵기에 변동이 있어도, 분할벽의 탄성 변형에 의해 끈 단부를 확실하게 끼움 지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을 기초로 하여 설명한다.
도1은 본 실시 형태의 끈 고정구(2)를 구성하는 소켓(10) 및 플러그(20)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2는 소켓(10)의 종단면도, 도3은 플러그(20)의 측면도, 도4는 플러그(20)에 끈 단부(1A)를 임시 고정한 상태의 측면도, 도5는 소켓(10) 및 플러그(20)의 조립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6은 플러그(20)가 소켓(10)에 삽입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7은 플러그(20)가 소켓(10)에 완전히 삽입되기 직전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8은 플러그(20)가 소켓(10)에 완전히 삽입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9는 플러그(20)가 소켓(10)에 완전히 삽입된 상태에 있어서 끈 단부가 계지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도8의 IX-IX선 단면도)이다.
<구조 설명>
본 실시 형태의 끈 고정구(2)는,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U자형으로 굴곡시 킨 끈(1)의 2개의 끈 단부(1A)를 수용 가능한 본체(3)를 갖는다.
끈(1)은, 예를 들어 지퍼의 슬라이더의 구멍에 삽입 관통되어 2개로 굴곡되고, 각 끈 단부(1A)가 끈 고정구(2)에 삽입된 상태에서 사용(슬라이더를 조작할 때에 손잡이로서 이용)된다. 또한, 끈(1)의 단면 형상(예를 들어, 둥근 끈이나 평끈 등)이나 재질 등에 대해서는 상관없지만, 예를 들어 고무줄과 같은 직경 축소율이 큰 것에 대해서는 보다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체(3)는, 대략 편평 타원통형의 소켓(10)과, 이 소켓(10) 내에 삽입 결합되는 플러그(20)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소켓(10) 및 플러그(20)는, 예를 들어 합성 수지의 사출 성형품으로 구성된다.
소켓(10)은, 도1, 도2 및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간극을 이격하여 대향하는 직선벽(10A, 10B) 및 그 양단부에 형성된 원호벽(10C, 10D)을 갖는 대략 편평 타원통형체로 형성되어 있다. 통형체의 일단부에는 끈 단부(1A)가 삽입되는 끈용 개구(11)가, 타단부에는 플러그(20)가 삽입되는 플러그용 개구(12)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중간부에는 끈용 개구(11) 및 플러그용 개구(12)에 연통되고, 또한 끈용 개구(11)로부터 삽입된 끈 단부(1A)를 소정 길이에 걸쳐 수용하는 수용부(13)가 형성되어 있다.
수용부(13)는 플러그(20)의 삽입 방향에 대한 직교 방향의 단면 형상이 플러그용 개구(12)와 대략 동일 형상이고, 또한 플러그(20)의 삽입 방향을 따라 대략 동일 형상(대략 편평 타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세하게 서술하면, 원호벽(10C, 10D) 사이의 치수는 플러그(20)의 삽입 방향에 있어서 대략 동일 치수이지만, 직선벽(10A, 10B) 사이의 치수는 플러그(20)의 삽입 방향을 향함으로써 점차 좁아지는 테이퍼 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수용부(13)의 끈용 개구(11)측에는 수용부(13) 내에 수용된 2개의 끈 단부(1A)를 계지하는 2개의 계지부(14)가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이를 2개의 계지부(14)의 중간이며 2개의 끈 단부(1A) 사이에 끼워져 있는 위치에 확대 개방부(17)가 형성되어 있다.
각 계지부(14)는 끈용 개구(11)측의 원호벽(10C, 10D)에 V홈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원호벽(10C, 10D)으로부터 수용부(13)의 중심을 향함으로써 대향하는 직선벽(10A, 10B) 중앙에 도달하는 경사벽(15)이 형성되고, 이 경사벽(15) 사이에 계지부(14)인 V홈이 형성되어 있다. 경사벽(15)의 V홈 개구 돌기에는 미소 V홈(16)이 복수 형성되고, 끈 단부(1A)의 방출 저항이 커지도록(물림이 보다 높아짐) 구성되어 있다.
확대 개방부(17)는 2개의 계지부(14)의 중간에 있어서, 직선벽(10A, 10B)의 내면에 중심을 향해 돌출 형성된 볼록부로 구성되어 있다. 볼록부는 플러그(20)가 소켓(10)에 삽입하는 방향[플러그 삽입 방향, 후술하는 압박 다리부(24)가 수용부(13) 내로 삽입되어 오는 방향]에 대해 역방향으로 향함으로써 끝이 가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수용부(13)의 플러그용 개구(12)측에는 플러그(20)가 소켓(10) 내의 소정 위치까지 삽입되었을 때, 구체적으로는 후술하는 플러그(20)의 압박부(22)가 소켓(10) 내에 삽입되었을 때, 플러그(20)와 결합하는 결합 홈(18)이 형성되어 있다. 결합 홈(18)은 플러그용 개구(12)측의 직선벽(10A, 10B) 내면 중앙 위치에 일정 폭, 소정 깊이로 형성되어 있다. 결합 홈(18)의 안쪽 단부는 끈용 개구(11)를 향함으로써 수용부(13) 중심에 경사지는 테이퍼벽으로 형성되어 있다.
플러그(20)는 도1, 도3, 도4 및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켓(10)의 플러그용 개구(12)를 막는 기부(21)와, 이 기부(21)로부터 일체로 연장 설치되어 소켓(10)의 수용부(13) 내에 삽입되는 압박부(22)를 갖는다.
기부(21)는 소켓(10)의 플러그용 개구(12)에 끼워 맞추는 윤곽 형상, 즉 두께가 대략 동일하고, 플러그 삽입 방향으로부터 본 형상이 대략 편평 타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압박부(22)에는 선단부측에 각 계지부(14)를 향하여 확대 개방 가능하여 끈 단부(1A)를 계지부(14)에 압박하는 한 쌍의 압박 다리부(24)가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근본측에 끈 단부(1A)를 임시 고정하는 탄성 변형 가능한 끼움 지지편(35)을 가진 임시 고정부(36)가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압박부(22)의 중간 위치로부터 선단부에 걸쳐 2개의 압박 다리부(24)를 분할 형성하는 제1 슬릿(23)이 플러그(20)의 삽입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압박부(22)의 중간 위치로부터 근본부에 걸쳐 제1 슬릿(23)과 대략 직교하는 제2 슬릿(31)이 형성되어 있다.
압박 다리부(24)의 선단부면은 플러그(20)의 삽입 방향을 향함으로써 외측으로 경사지는 경사면(25), 즉 2개의 압박 다리부(24)의 선단부 형상이 점차 넓어지는 테이퍼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테이퍼면은 플러그(20)가 소켓(10)에 대략 절반 이상 삽입되었을 때, 본 실시 형태의 경우 플러그(20)가 소켓(10)에 거의 삽입 되었을 때[플러그(20)의 압박부(22)가 소켓(10) 내에 삽입되었을 때]에, 확대 개방부(17)에 접촉된다. 이 상태로부터, 플러그(20)가 더 삽입되면, 그 플러그(20)의 삽입에 수반하여 압박 다리부(24)가 각 계지부(14)를 향해 확대 개방되게 되어 있다. 또한, 압박 다리부(24)의 제1 슬릿(23)과의 대향면과는 반대측면에는 끈 단부 물림 돌기가 되는 2개의 물림 돌기(26)와, 이 선단부측 물림 돌기(26)를 끼운 양측에 어긋남 규제 돌기(27)가 설치되어 있다. 물림 돌기(26)는 원뿔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그 꼭지각이 원뿔형상의 바닥면부보다도 압박부(22)의 근본이 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2 슬릿(31)에 의해 분할된 분할벽(32)의 한쪽에, 기부(21)와의 사이에 절결부(33)가 형성되어 있다. 양쪽 분할벽(32)에는 소켓(10)의 결합 홈(18)에 끼워 맞추는 결합 갈고리(34)가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제2 슬릿(31)을 끼워 대향하는 한 쌍의 끼움 지지편(35)이 돌출 형성되어 있다. 이 대향하는 끼움 지지편(35) 사이에는 임시 고정부(36)가 형성되어 있다. 결합 갈고리(34)는, 양쪽 분할벽(32)의 외면으로부터 기부(21)를 향함으로써 점차 외측으로 경사진 후, 중심을 향해 직각으로 성형된 단면 직각 삼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끼움 지지편(35)의 내면은 중간으로부터 선단부를 향함으로써 점차 외측으로 경사지는 테이퍼면에 형성되고, 이에 의해 끈 단부(1A)의 끼움 지지편(35) 사이로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고 있다.
<조립 방법의 설명>
우선,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끈(1)의 2개의 끈 단부(1A)를 소켓(10)의 끈용 개구(11)로부터 삽입하고, 수용부(13)를 통과하여 플러그용 개구(12)로부터 인 출하고, 플러그(20)의 임시 고정부(36)에 임시 고정한다. 구체적으로는, 끈 단부(1A)를 플러그(20)의 끼움 지지편(35) 사이에 삽입한다. 이때, 끈 단부(1A)의 크기가 끼움 지지편(35) 사이의 간격보다 굵은 경우라도, 양쪽 분할벽(32) 중 한쪽의 끼움 지지편(35)이 마련된 분할벽(32)이 외측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기 때문에[절결부(33)에 의해 한쪽의 분할벽(32)이 외측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기 때문에], 한 쌍의 끼움 지지편(35)에 의해 끈 단부(1A)를 계지함으로써 임시 고정할 수 있다.
다음에,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손가락으로 기부(21)를 소켓(10)의 방향으로 압박하면서, 끈(1)을 소켓(10)으로부터 인출해 가면, 플러그(20)가 소켓(10) 내에 삽입됨에 따라, 플러그(20)의 2개의 압박 다리부(24)가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되어 간다. 즉, 2개의 끈 단부(1A)가 소켓(10)의 계지부(14)에 접촉하면서 소켓(10)으로부터 방출되기 때문에, 계지부(14)로부터의 반력이 발생한다. 그러면, 그 반력이 끈 단부(1A)를 통해 2개의 압박 다리부(24)에 작용하기 때문에, 이렇게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된다. 이 상태가, 플러그(20)가 소켓(10)에 완전하게 삽입되기 직전까지 유지된다. 따라서, 플러그(20)가 소켓(10)에 삽입되어 가도, 플러그(20)가 소켓(10)에 완전히 삽입되기 전까지는 2개의 압박 다리부(24)가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되므로, 플러그(20)의 삽입 시에 큰 부하가 발생하는 일이 없다. 그로 인해, 플러그(20)를 소켓(10)에 순조롭게 삽입할 수 있다.
즉, 플러그(20)가 소켓(10)에 삽입되고, 플러그(20)가 소켓(10)에 완전히 삽 입되기 직전이 되면, 플러그(20)의 압박 다리부(24)가 소켓(10)의 확대 개방부(17)에 접촉한다.
이 상태로부터, 플러그(20)가 소켓(10)에 더 삽입되고, 플러그(20)가 소켓(10)에 완전히 삽입되면,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러그(20)의 압박 다리부(24)가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되고, 소켓(10)의 각 계지부(14)를 향해 확대 개방된다. 그러면, 수용부(13) 내에 수용된 끈 단부(1A)가 압박 다리부(24)에 의해 계지부(14)에 대해 압박된다. 그 결과, 수용부(13) 내에 수용된 끈 단부(1A)가 계지부(14)와 압박 다리부(24)에 끼움 지지되기 때문에, 끈 단부(1A)가 계지부(14)와 압박 다리부(24)로 끼움 지지된 상태에서 구속된다.
이때, 끈 단부(1A)는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압박 다리부(24) 및 물림 돌기(26)에 의해 압박되어 계지부(14)의 V홈 내에 끼움 지지되고, 또한 V홈의 내주 모서리의 V홈(16) 내에도 물려 들어간 상태이므로, 방출 방향에 대해 큰 저항력이 부여된다. 게다가, 확대 개방부(17)가 계지부(14)의 중간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압박 다리부(24)가 끈 단부(1A)를 계지부(14)의 바로 옆(대략 중앙)으로부터 압박하기 때문에, 강한 끼움 지지력에 의해 끈 단부(1A)를 끼움 지지할 수 있다. 거기에 가하여, 플러그(20)의 물림 돌기(26)가 끈 단부(1A)에 맞물린 상태가 되어 있기 때문에, 확실한 고정을 행할 수 있다.
<실시 형태의 효과>
(1) 플러그(20)가 소켓(10)에 완전히 삽입되기 직전까지는 플러그(20)의 압박 다리부(24)가 소켓(10)의 확대 개방부(17)에 접촉하는 일은 없으므로, 플러 그(20)를 소켓(10)에 순조롭게 삽입할 수 있다. 따라서, 플러그(20)가 소켓(10)에 완전히 삽입되기 직전까지는 플러그(20)를 소켓(10)에 순조롭게 삽입할 수 있기 때문에, 조립성이 우수하다.
(2) 플러그(20)가 소켓(10)에 완전히 삽입되기 직전이 되면, 확대 개방부(17)가 압박 다리부(24)에 접촉하고, 압박 다리부(24)를 계지부(14)를 향해 확대 개방시키기 때문에, 수용부(13) 내에 수용된 끈 단부(1A)가 압박 다리부(24)에 의해 계지부(14)에 대해 압박된다. 즉, 수용부(13) 내에 수용된 끈 단부(1A)가 계지부(14)와 압박 다리부(24)에 끼움 지지되기 때문에, 끈 단부(1A)가 구속된다. 따라서, 끈(1)이 직경 축소율의 큰 탄성 중합체 소재 등이라도, 끈 단부(1A)를 계지부(14) 내에 있어서 확실하게 구속할 수 있어 빠지는 등의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고정 부착 성능을 향상되게 할 수 있다.
(3) 플러그(20)는 소켓(10)의 플러그용 개구(12)를 막는 기부(21)와, 이 기부(21)로부터 일체로 연장 설치되어 소켓(10)의 수용부(13) 내에 삽입되는 압박부(22)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소켓(10)의 플러그용 개구(12)를 플러그(20)의 기부(21)에서 막을 수 있다. 따라서, 외관적으로도 양호하게 할 수 있는 동시에, 먼지 등이 소켓(10) 내에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4) 압박부(22)에는 계지부(14)를 향해 확대 개방 가능한 복수개의 압박 다리부(24)가 소켓(10)측에는 확대 개방부(17)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조가 용이하다. 예를 들어, 소켓(10)측에 확대 개방 가능한 복수개의 압박 다리부를 형성하고자 하면, 그 통 형상의 소켓(10)의 내부에 확대 개방 가능한 복수개의 압박 다리 부를 형성해야만 하기 때문에, 제조가 번거롭다. 이에 대해 본 실시 형태의 구성이면 제조가 용이하고, 특히 이들을 수지의 사출 성형으로 성형하고자 한 경우, 금형의 가공도 비교적 용이(역구성에 비해 용이)할 수 있다.
(5) 압박부(22)의 선단부에 압박 다리부(24)가 형성되고, 소켓(10)의 끈용 개구(11) 근방에 확대 개방부(17)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플러그(20)가 소켓(10)에 거의 삽입된 상태로 되었을 때에, 확대 개방부(17)가 압박 다리부(24)에 접촉하므로, 압박 다리부(24)를 안정되게 확대 개방할 수 있다. 즉, 플러그(20)가 소켓(10)에 거의 삽입된 상태에서는 소켓(10)에 대해 플러그(20)의 자세도 안정되어 있으므로, 압박 다리부(24)를 안정되게 확대 개방할 수 있다.
(6) 확대 개방부(17)는 플러그(20)가 소켓(10)에 삽입하는 방향에 대해 역방향으로 향함으로써 끝이 가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플러그(20)를 소켓(10)에 대해 삽입하고, 확대 개방부(17)가 압박 다리부(24)에 접촉할 때, 압박 다리부(24)를 확대 개방시키기 쉽다.
(7) 확대 개방부(17)는 2개의 계지부(14) 사이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압박 다리부(24)가 끈 단부(1A)를 계지부(14)의 바로 옆(대략 중앙)으로부터 압박하기 때문에, 강한 끼움 지지력에 의해 끈 단부(1A)를 끼움 지지할 수 있다. 게다가, 플러그(20)의 물림 돌기(26)가 끈 단부(1A)에 맞물린 상태가 되어 있기 때문에, 확실한 고정을 행할 수 있다.
(8) 플러그(20)는 끈 단부(1A)를 임시 고정하는 임시 고정부(36)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끈 단부(1A)를 소켓(10)의 끈용 개구(11)로부터 삽입하고, 수용 부(13)를 통과시켜 플러그용 개구(12)로부터 돌출시킨 후, 플러그(20)의 임시 고정부(36)에 임시 고정시킨다. 이 상태에 있어서, 끈 단부(1A)를 되돌리면서 플러그(20)를 소켓(10)의 플러그용 개구(12)에 삽입하면, 끈 단부(1A)를 소정의 자세에서 소켓(10)의 수용부(13) 내에 수용할 수 있다. 그 후에 압박 다리부(24)에 의해 끈 단부(1A)가 계지부(14)에 압박되므로, 확실한 고정 부착을 기대할 수 있다.
(9) 플러그(20)의 압박부(22)의 선단부에 압박 다리부(24)를 구성하는 제1 슬릿(23)이 플러그(20)의 삽입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압박 다리부(24)를 제1 슬릿(23)에 의해 서로 개방하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시킬 수 있고, 압박 다리부(24)에 의한 끈 단부(1A)의 끼움 지지를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임시 고정부(36)인 끼움 지지편(35)이 형성된 양쪽 분할벽(32)의 한쪽에는 절결부(33)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끈 단부(1A)의 굵기에 변동이 있어도 양쪽 분할벽(32)의 탄성 변형에 의해, 끈 단부(1A)를 확실하게 끼움 지지할 수 있다.
<변형예>
본 발명은 전술의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에서의 변형 및 개량 등은 본 발명에 포함된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플러그(20)에, 각 계지부(14)를 향해 확대 개방 가능하고 끈 단부(1A)를 계지부(14)에 압박하는 복수개의 압박 다리부(24)가 마련되고, 소켓(10)에 플러그(20)가 소켓(10)에 완전히 삽입되기 직전에 압박 다리부(24)에 접촉되는 확대 개방부(17)가 설치되어 있었지만, 이들은 역으로서도 좋다.
즉, 소켓(10)에 복수개의 압박 다리부(24)가 마련되고, 플러그(20)에 확대 개방부(17)가 마련된 구성으로도 좋다. 예를 들어, 소켓(10)의 내부에 복수개의 압박 다리부(24)를 서로 접근 가능하면서 이격 가능하게 설치하는 동시에, 플러그(20)에 복수개의 압박 다리부(24)를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격시키는 확대 개방부(17)를 설치해도,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플러그(20)가 소켓(10)에 완전히 삽입되기 직전에, 플러그(20)의 압박 다리부(24)가 소켓(10)의 확대 개방부(17)에 접촉하고, 그 후에 플러그(20)가 더 삽입되는 데 수반하여, 압박 다리부(24)가 확대 개방부(17)에 의해 확대 개방되는 구성이었지만, 적어도 플러그(20)가 소켓(10)에 대해 대략 절반 이상 삽입되었을 때에, 플러그(20)의 압박 다리부(24)가 소켓(10)의 확대 개방부(17)에 접촉하고, 그 후에 플러그(20)가 더 삽입되는 데 수반하여, 압박 다리부(24)가 확대 개방부(17)에 의해 확대 개방되는 구성이라도 좋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소켓(10)의 직선벽(10A, 10B)의 내면에 볼록부를 형성하고, 이를 확대 개방부(17)로 하였지만, 반드시 볼록부가 아니라도 좋다. 예를 들어,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켓(10)의 직선벽(10A, 10B) 사이에 걸치는 구획벽(41)을 형성하고, 이 구획벽(41)을 확대 개방부로서도 좋다. 요는, 압박 다리부(24)를 계지부(14)를 향해 확대 개방할 수 있는 구조이면, 다른 구조라도 좋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2개의 끈 단부(1A)를 단부 처리하는 끈 고정구(2)를 대상으로 하여 설명하였지만, 3개 이상의 끈 단부(끈은 1개라도, 복수개라도 좋음)를 단부 처리하는 끈 고정구라도 좋다. 이 경우, 소켓(10)에 설치하는 계지부(14)의 수나 압박 다리부(24)의 수에 대해서도 끈 단부(1A)의 수에 대응한 수를 설치할 필요가 있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소켓(10)에 결합 홈(18)을 마련하는 동시에, 플러그(20)에 결합 갈고리(34)를 설치하고, 플러그(20)를 소켓(10) 내에 삽입하였을 때, 결합 갈고리(34)가 결합 홈(18)에 결합하여 플러그(20)가 소켓(10)으로부터 떨어지지 않도록 구성하였지만, 결합 홈(18)이나 결합 갈고리(34)에 대해서는 반드시 필요로 하지 않는다. 끈 단부(1A)를 계지부(14)와 압박 다리부(24)로 끼움 지지한 상태가 되면, 그 끼움 지지력에 의해 소켓(10), 플러그(20) 및 끈 단부(1A)가 일체화되기 때문에, 결합 홈(18)이나 결합 갈고리(34)는 반드시 필요로 하지 않는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플러그(20)의 압박부(22)에 제2 슬릿(31)을 설치하였지만, 제2 슬릿(31)을 설치하지 않아도 좋다. 즉, 끼움 지지편(35) 자체의 탄성을 이용하여 끈 단부(1A)를 고정할 수 있다. 또한, 플러그(20)에 임시 고정부(36)를 설치하였지만, 임시 고정부(36)는 특별히 없어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 혹은 계속되는 변형예에 있어서는, 각각 소켓(10)측에 확대 개방부(17, 41)를 설치하고, 플러그(20)측에 압박 다리부(24) 및 계지부(14)를 설치하였지만, 이러한 배치는 역으로 해도 좋다.
도11 내지 도14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끈 고정구(2)로서의 기본 구성[소켓(10), 플러그(20) 등]은 전술한 도1의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이다. 이로 인해, 공통의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적용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11에 있어서, 소켓(10)은 한쪽에 끈용 개구(11)를 2개 구비하고, 2개의 끈(1)의 단부[끈 단부(1A)]가 삽입 가능하다. 소켓(10)에는 끈용 개구(11)와 반대측에 하나의 플러그용 개구(12)가 형성되고, 여기에 삽입되는 플러그(20)에 의해 2개의 끈 단부(1A)가 맞물려 지지되도록 되어 있다.
소켓(10)의 내부에는, 도12 내지 도14에도 도시한 바와 같이 2개의 끈용 개구(11)의 경계 부분으로부터 수용부(13) 내에 연장되는 한 쌍의 탄성 변형이 가능한 압박 다리부(44)가 형성되어 있다. 압박 다리부(44)의 선단부에는 물림 돌기(46)가 형성되고, 소켓(10)의 내벽 부분에는 계지부(45)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계지부(45) 및 물림 돌기(46)는 서로 대향 배치되고, 각각이 끈 단부(1A)를 끼움 지지 가능하다(도14 참조).
플러그(20)는 소켓(10)의 플러그용 개구(12)를 덮는 판형의 기부(21)와, 이 기부(21)로부터 연장되는 압박부(22)를 갖는다. 압박부(22)의 선단부에는 소켓(10) 내에 삽입할 때의 선단부측이 끝이 가늘어지는 형상을 이루는 사각뿔형의 확대 개방부(47)가 형성되어 있다. 이로 인해, 플러그(20)를 플러그용 개구(12)로부터 소켓(10) 내에 삽입함으로써(도12 참조), 선단부의 확대 개방부(47)를 한 쌍의 압박 다리부(44) 사이의 슬릿(43) 내에 벌려서 넣고, 이러한 압박 다리부(44)를 서로 격리하는 방향으로 변형시키고(도13 참조), 계지부(45)와 물림 돌기(46) 사이에 끈 단부(1A)를 끼움 지지하여, 이를 고정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압박부(22)의 선단부의 확대 개방부(47)와 압박 다리부(44) 사이의 슬릿(43)에 의해, 플러그(20)를 소켓(10)에 삽입할 때 플러그(20)의 방향이 가이드된다. 또한, 압박부(22)의 기단부 부분에는 삼각뿔형의 가이드부(48)가 형성되고, 소켓(10)의 내측에는 플러그용 개구(12)의 변 모서리에 단차형의 피가이드부(49)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가이드부(48) 및 피가이드부(49)는 플러그(20)를 소켓(10)에 삽입하였을 때에 서로 결합하고, 플러그(20)를 소켓(10)에 대해 소정의 위치로 가이드할 수 있다. 이들에 의해, 플러그(20)와 소켓(10)은 플러그(20)를 소켓(10)에 삽입하는 조작에 있어서 적절하게 가이드되고, 도13에 도시한 상태에 도달할 수 있다.
확대 개방부(47)의 도중에는 결합 갈고리(34)가 형성되고, 소켓(10)의 내벽에는 결합 홈(18)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에 의해, 플러그(20)를 소켓(10)에 삽입하였을 때에는, 이들의 결합 갈고리(34)와 결합 홈(18)이 서로 결합하고, 도13에 도시한 끈 고정구(2)로서 조립할 수 있던 상태로 유지되게 되어 있다.
이러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2개의 끈 단부(1A)[한 자루의 끈(1)의 양단부라도 2개의 끈(1)의 각 단부라도 좋음]를 정렬하고, 각각을 소켓(10)의 끈용 개구(11)에 삽입하고, 각 끈 단부(1A)가 플러그용 개구(12)에 도달할 때까지 송입한다(도12 참조). 다음에 플러그용 개구(12)에 플러그(20)를 마주 대하고, 압박부(22)를 플러그용 개구(12) 내에 삽입한다. 이 삽입에 의해 압박부(22)는 소켓(10) 내로 진입하고, 쇠퇴 형상을 이루는 선단부의 확대 개방부(47)가 슬릿(43) 내에 벌려서 넣고, 2개의 끈 단부(1A)의 경계 부분에 있는 한 쌍의 압박 다리부(44)를 서로 격리하는 방향으로 변형시키고, 이 변형에 의해 계지부(45)와 물림 돌기(46)가 각 끈 단부(1A)를 끼움 지지한다(도13 참조).
그리고, 압박부(22)가 소켓(10) 내에 소정의 깊이까지 진입하면, 결합 갈고리(34)와 결합 홈(18)이 서로 결합하고, 소켓(10), 플러그(20) 및 끈(1)은 도13에 도시한 상태로 유지된다.
이러한 도11 내지 도14의 실시 형태에 의해서도, 본 발명의 독자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세부의 형상, 재질, 구조 등은 각 부의 기능을 유지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다. 각 부를 일체로 형성하는가, 별개의 부재로 형성하여 접합하는가 등도 실시에 있어서 적절하게 선택하면 좋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지퍼의 슬라이더 조작용 끈의 끈 고정구에 적용한 예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끈의 단부 처리용의 정지구로서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조립성이 우수하고, 게다가 끈에 대한 고정 부착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끈 고정구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8)

  1. 복수의 끈 단부(1A)를 수용 가능한 본체(3)를 갖는 끈 고정구(2)이며,
    상기 본체(3)는 대략 통 형상의 소켓(10)과, 상기 소켓(10) 내에 삽입되는 플러그(20)를 갖고,
    상기 소켓(10)은 상기 끈 단부(1A)가 삽입되는 끈용 개구(11)와, 상기 플러그(20)가 삽입되는 플러그용 개구(12)와, 상기 끈용 개구(11) 및 상기 플러그용 개구(12)에 연통되고, 또한 상기 끈용 개구(11)로부터 삽입된 상기 끈 단부(1A)를 소정 길이에 걸쳐 수용하는 수용부(13)와, 상기 수용부(13) 내에 수용된 상기 끈 단부(1A)를 계지하는 복수의 계지부(14)를 갖고,
    상기 소켓(10) 및 플러그(20) 중 어느 한쪽에는, 상기 각 계지부(14)를 향해 확대 개방 가능하여 상기 끈 단부(1A)를 상기 계지부(14, 45)로 압박하는 복수개의 압박 다리부(24)가 마련되고,
    상기 소켓(10) 및 플러그(20) 중 다른 쪽에는 상기 압박 다리부(24, 44)에 접촉되고, 상기 플러그(20)가 삽입되는 데 수반하여 상기 압박 다리부(24, 44)를 상기 각 계지부(14, 45)를 향해 확대 개방시키는 확대 개방부(17, 41, 47)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끈 고정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20)는 상기 소켓(10)의 상기 플러그용 개구(12)를 막는 기부(21)와, 이 기부(21)로부터 일체로 연장 설치되어 상기 소 켓(10)의 상기 수용부(13) 내에 삽입되는 압박부(22)를 갖고,
    상기 압박부(22)에는 상기 압박 다리부(24)가 형성되고, 상기 소켓(10)에는 상기 확대 개방부(17, 41)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끈 고정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압박 다리부(24)는 상기 압박부(22)의 선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확대 개방부(17, 41)는 상기 소켓(10)의 상기 끈용 개구(11) 근방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끈 고정구.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확대 개방부(17, 41)는 상기 소켓(10)에 대한 상기 플러그(20)의 삽입 방향에 대해 역방향을 향함으로써 끝이 가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끈 고정구.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확대 개방부(17, 41)는 상기 복수의 계지부(14)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끈 고정구.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계지부(14)는 상기 소켓(10)의 중심을 향함으로써 확대 개방하는 V홈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끈 고정구.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20)는 상기 끈 단부(1A)를 임시 고정하는 임시 고정부(36)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끈 고정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20)의 압박부(22)에는 선단부에 상기 압박 다리부(24)를 형성하는 제1 슬릿(23)이 상기 플러그(20)의 삽입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근본부에 상기 제1 슬릿(23)과 대략 직교하는 제2 슬릿(31)이 형성되고, 이 제2 슬릿(31)에 의해 분할된 분할벽(32)의 한쪽의 상기 근본부측에는 절결부(33)가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분할벽(32)에는 상기 제2 슬릿(31)을 끼워 대향하는 끼움 지지편(35)이 돌출 형성되고, 이 대향하는 끼움 지지편(35)에 의해 상기 임시 고정부(36)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끈 고정구.
KR1020060069417A 2005-07-26 2006-07-25 끈 고정구 KR1007137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215709 2005-07-26
JP2005215709A JP4528687B2 (ja) 2005-07-26 2005-07-26 紐止め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4032A true KR20070014032A (ko) 2007-01-31
KR100713768B1 KR100713768B1 (ko) 2007-05-04

Family

ID=376701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9417A KR100713768B1 (ko) 2005-07-26 2006-07-25 끈 고정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574779B2 (ko)
JP (1) JP4528687B2 (ko)
KR (1) KR100713768B1 (ko)
CN (1) CN100484429C (ko)
DE (1) DE102006034367B4 (ko)
TW (1) TWI299981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8951Y1 (ko) * 2010-02-19 2012-03-21 박대심 볼로타이
US9131750B2 (en) 2009-11-30 2015-09-15 Ykk Corporation Cord fasten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18004A (ja) * 2007-07-11 2009-01-29 Maazen Products:Kk 紐係止具
JP2009018003A (ja) * 2007-07-11 2009-01-29 Maazen Products:Kk 紐係止具
US20100050394A1 (en) * 2008-09-02 2010-03-04 Fried Brian A Releasable Pull Tie
WO2010102131A1 (en) 2009-03-04 2010-09-10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Tensioning device and methods for use
CN201518804U (zh) * 2009-09-11 2010-07-07 哈拉尔德柏哲公司 一种用于纺织带两端连接的锁扣
WO2011084283A2 (en) * 2009-12-17 2011-07-14 Borgwarner Inc. Turbocharger
JP5539475B2 (ja) * 2011-12-26 2014-07-02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機器
US20140215774A1 (en) * 2013-02-01 2014-08-07 Precision Dynamics Corporation Fabric band closure
JP3190565U (ja) * 2014-02-25 2014-05-15 Ykk株式会社 フック付紐クリップ
US9204700B1 (en) * 2014-07-31 2015-12-08 Shih-Ling Hsu Hair styling device and creation method thereof
US10039347B2 (en) * 2016-01-20 2018-08-07 Nike, Inc. Fastening mechanism for use with a lacing element
US9814281B2 (en) * 2016-02-12 2017-11-14 Bell Sports, Inc. Combination shoelace and hook and loop fasteners shoe tightening system with replaceable shoelaces
JP6482496B2 (ja) 2016-05-19 2019-03-13 株式会社ニフコ 紐の端末カバー
US11026472B2 (en) * 2016-07-22 2021-06-08 Nike, Inc. Dynamic lacing system
CN106438843A (zh) * 2016-11-30 2017-02-22 南京海獭软件有限责任公司 一种钢丝绳对接接续装置
JP7083697B2 (ja) * 2018-05-15 2022-06-13 Ykk株式会社 コードストッパー
DE202019005973U1 (de) 2018-09-06 2023-09-26 Nike Innovate C.V. Dynamisches Schnürsystem mit Rückmeldungsmechanismus
US20200248781A1 (en) * 2019-02-01 2020-08-06 Craig W. Patterson Cinching device
US10982731B2 (en) * 2019-09-06 2021-04-20 Innovative Product Solutions, LLC Bungee loop retention assemblies
US20210267338A1 (en) * 2020-02-28 2021-09-02 Kiyawmi Thioub Concealing implament for functional feature of bounded stand(s)
TWI805481B (zh) * 2022-09-12 2023-06-11 台灣扣具工業股份有限公司 繩尾扣具及其公扣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73806A (en) * 1948-12-23 1951-11-06 Adeline E E Paterson Unidirectional restraining device for a fastening cord
US3897161A (en) * 1974-01-16 1975-07-29 Illinois Tool Works Rope lock device
US3965544A (en) * 1975-06-11 1976-06-29 Boden Ogden W Locking device with combined wedging and spring action
US4102019A (en) * 1977-03-07 1978-07-25 Boden Ogden W Locking assemblies which maintain bow loops in cords
US4156574A (en) * 1978-02-06 1979-05-29 Boden Ogden W Cord lock with self locking spring feelers
US4455717A (en) * 1982-09-22 1984-06-26 Gray Robert C Rope clamping device
JPH0329635Y2 (ko) * 1984-11-08 1991-06-24
JPH026812Y2 (ko) * 1986-03-03 1990-02-19
JPS63281959A (ja) * 1987-05-07 1988-11-18 Yonemushi Takeishi 硬貨収納袋等の封印具
JPH073320U (ja) * 1993-05-07 1995-01-20 ワイケイケイ株式会社 バックル
JPH0739406A (ja) 1993-07-30 1995-02-10 Ykk Kk 紐締具
JP3412659B2 (ja) * 1995-06-22 2003-06-03 ワイケイケイ株式会社 長尺物連結具
JPH09289906A (ja) 1996-04-26 1997-11-11 Nifco Inc 端部保持具
JPH1014620A (ja) 1996-07-01 1998-01-20 Airisu:Kk 紐止め具
US5903959A (en) * 1997-11-24 1999-05-18 Leonardi; David P. Fastener for retaining shoe laces and drawstrings
JP4305693B2 (ja) * 1999-04-26 2009-07-29 株式会社ニフコ 紐留め用バックル
JP4473984B2 (ja) * 1999-08-26 2010-06-02 株式会社ニフコ 紐端末カバー
US6311374B1 (en) * 2000-03-03 2001-11-06 Joseph Anscher High security buckle assembly
US6415482B1 (en) 2000-06-23 2002-07-09 Illinois Tool Works Inc. Attachment for zipper cord
US6457214B1 (en) * 2000-10-13 2002-10-01 Robert O. Boden Tamper-resistant cord lock apparatus
JP3884692B2 (ja) * 2002-10-11 2007-02-21 Ykk株式会社 紐固定具
JP4040451B2 (ja) * 2002-12-24 2008-01-30 株式会社ニフコ 紐状ないしは帯状物の端部カバー
JP2005211302A (ja) 2004-01-29 2005-08-11 Ykk Corp 紐止め具
JP4496099B2 (ja) * 2005-01-28 2010-07-07 Ykk株式会社 紐止め具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31750B2 (en) 2009-11-30 2015-09-15 Ykk Corporation Cord fastener
KR200458951Y1 (ko) * 2010-02-19 2012-03-21 박대심 볼로타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903095A (zh) 2007-01-31
TW200716010A (en) 2007-05-01
US7574779B2 (en) 2009-08-18
KR100713768B1 (ko) 2007-05-04
JP2007029343A (ja) 2007-02-08
US20070022575A1 (en) 2007-02-01
TWI299981B (en) 2008-08-21
CN100484429C (zh) 2009-05-06
JP4528687B2 (ja) 2010-08-18
DE102006034367A1 (de) 2007-02-08
DE102006034367B4 (de) 2013-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3768B1 (ko) 끈 고정구
EP3453913B1 (en) Cord lock
US7979966B2 (en) Buckle
JP2727454B2 (ja) 板の結合クリップ
US9032767B2 (en) Lockable buckle
US4672725A (en) Snap buckle
US9113680B2 (en) Buckle
US7100252B2 (en) Dual locking buckle
US9103363B2 (en) Two-piece clip assembly
US6460232B2 (en) Buckle
KR100314594B1 (ko) 버클
US10588383B2 (en) Buckle
US7954212B2 (en) Sheet attaching instrument
CN110482004B (zh) 绳带紧固器
US20100284761A1 (en) Press Type Fastener
EP1388301B1 (en) Buckle
WO2011064885A1 (ja) 紐止め具
KR100500214B1 (ko) 지퍼견인구의코드파스너
JP3130203B2 (ja) バックル
CN218267025U (zh) 一种便于组装的绳索扣
JP2014030999A (ja) 紐係止具
KR100248071B1 (ko) 서류철구
JP2009039286A (ja) バックル
CN117858642A (zh) 绳止动器
WO2017145195A1 (ja) 紐留め具およ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8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