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48071B1 - 서류철구 - Google Patents

서류철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48071B1
KR100248071B1 KR1019980000606A KR19980000606A KR100248071B1 KR 100248071 B1 KR100248071 B1 KR 100248071B1 KR 1019980000606 A KR1019980000606 A KR 1019980000606A KR 19980000606 A KR19980000606 A KR 19980000606A KR 100248071 B1 KR100248071 B1 KR 1002480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cument
bands
band
connection
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06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23044A (ko
Inventor
미키오 네즈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ublication of KR199900230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30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80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807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13/00Filing appliances with means for engaging perforations or slots
    • B42F13/02Filing appliances with means for engaging perforations or slots with flexible or resilient means
    • B42F13/06Filing appliances with means for engaging perforations or slots with flexible or resilient means with strips or ba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3/00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involving perforations; Means therefor; Sheet details therefor

Landscapes

  • Sheet Holder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과제] 부품수를 줄일 수 있음과 아울러 조작성을 개선할 수 있는 서류철구(書類綴具)를 제공한다.
[해결수단] 양 밴드(50,60)의 각각의 길이를 합한 전체 길이를 베이스(41)의 길이보다 길게 설정하여 양 밴드(50,60)가 서류(30)의 두께방향으로 서로 겹쳐지도록 한다. 양 밴드(50,60)의 서로 겹쳐지는 면에는 서로 끼워맞춰지는 요철부{예, 볼록부(80,90)}의 어느 일측을 각 밴드(50,6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각각에 형성한다.

Description

서류철구(書類綴具)
본 발명은 서류철구(書類綴具)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부품수를 줄일 수 있음과 아울러 조작성을 개선할 수 있는 서류철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서류철구는, 일본국 특허공개 평7-237382호 공보 및 국내 실용신안공보 89-2947호에서 알려진바와 같이 예를 들면 파일커버에 고정된 1쌍의 접철용 다리부를 서류의 펀치구멍에 끼우고, 이어서 레일부재의 구멍에 끼운 후, 레일부재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부착된 슬라이더로 접철용 다리부를 구부린 상태로 유지시키는 것이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서류철구에는 레일부재가 필요하고, 또한 레일부재에는 2개의 슬라이더가 슬라이드가능하게 부착되기 때문에, 부품수가 많아 생산원가가 상승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종래의 서류철구는 서류를 철할 때에 각 슬라이더를 각각 슬라이드시켜야 하기 때문에, 조작이 번잡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이 때, 접철용 다리부를 슬라이더로 누르면서 구부려야 하기 때문에, 조작함에 있어서 비교적 힘을 필요로 하므로 조작성이 나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상기한 종래 국내 실용신안공보 89-2947호에서 알려진 서류철구의 구조에 의하면, 밴드가 슬라이드방향으로만 로크되므로 밴드 상호간이 약간 그 틈새가 벌어지는 경우 로크가 정상 작동되지 않아 지철상태가 풀리거나 오동작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여기서, 청구항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이 가지는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은, 부품수를 줄일 수 있음과 아울러 조작성이 양호한 서류철구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 서류누름판을 사용함으로써 서류를 안정하게 누룰수 있도록 하고, 서류누름판의 슬라이드를 방지함과 아울러, 서류누름판의 로크위치를 서류의 두께 변화에 따라서 조정할 수 있도록 하며, 2개의 연결케이스를 사용함으로써 체결이 간편하고 또한 조작성이 양호하다.
그리고, 연결케이스의 로크위치를 서류의 두께 변화에 따라서 조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제1도는 서류철구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제2도는 밴드를 서류의 펀치구멍에 끼우기 이전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제3도는 밴드를 서류의 펀치구멍에 끼운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제4도는 밴드의 연결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제5도는 서류철구의 분해사시도.
제6도는 밴드와 서류누름판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제7도는 밴드와 서류누름판의 로크상태를 나타낸 일부사시도.
제8도는 제1도의 종단면도.
제9도~제14도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를 나타낸 것으로,
제9도는 서류철구의 분해사시도.
제10도는 밴드를 서류의 펀치구멍에 끼우기 이전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제11도는 밴드를 서류의 펀치구멍에 끼운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제12도는 밴드와 연결케이스의 로크상태를 나타낸 일부사시도.
제13도는 양 연결케이스의 연결해제상태를 나타낸 일부사시도.
제14도는 양 연결케이스의 연결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철구 20 : 파일커버
30 : 서류 31 : 펀치구멍
40 : 철구본체 41 : 베이스
50,60 : 밴드 51,61 : 보강리브
52 : 로크구멍 53 : 가이드돌기
70 : 서류누름판 71 : 삽입홈
72 : 개방홈 73 : 로크편
74 : 가이드홈 80,90 : 볼록부
81,91 : 기둥부 82,92 : 머리부
100,110 : 밴드 101,111 : 로크구멍
102,112 : 가이드돌기 120,130 : 연결케이스
121,131 : 삽입홈 122,132 : 로크편
123,133 : 가이드홈 124 : 연결구멍
125 : 절결부 134 : 탄성편
135 : 연결돌기 136 : 조작돌기
본 발명은 상기한 각각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특징점을 도면에 나타낸 발명의 실시형태를 이용하여 이하 설명한다.
또한, 괄호내의 도면부호는 발명의 실시형태에서 사용한 도면부호를 나타내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양 밴드(50,60)는 그 각각의 길이를 합한 전체 길이를 베이스(41)의 길이보다 길게 설정하고,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 밴드(50,60)가 서류(30)의 두께방향으로 서로 겹쳐지도록 하고 있다.
또한, 양 밴드(50,60)의 서로 겹쳐지는 면에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서로 끼워맞춰지는 요철부{예, 볼록부(80,90)}의 어느 일측을 각 밴드(50,6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각각에 형성하고 있다.
양 밴드(50,60)중에서 서류(30)에 면하는 일측 밴드{예, 좌측 밴드(50)}에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서류누름판(70)이 끼워져 있다.
그리고, 서류누름판(70)에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삽입홈(71)과 개방홈(72)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삽입홈(71)은 일측 밴드{예, 좌측 밴드(50)}가 끼워지는 것이다.
상기 개방홈(72)은 상기 삽입홈(71)내에 끼워진 일측 밴드{예, 좌측 밴드(50)}에 형성된 요철부{예, 볼록부(80,90)}의 어느 일측{예, 볼록부(80)}을 노정시키는 것이다.
한편, 일측 밴드{예, 좌측 밴드(50)}와 서류누름판(70)간에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로크수단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 로크수단은, 삽입홈(71)내에 일측 밴드{예, 좌측 밴드(50)}를 고정하여 서류누름판(70)이 일측 밴드{예, 좌측 밴드(50)}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하는 것을 저지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로크수단으로서는, 도 5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측 밴드{예, 좌측 밴드(50)}에 로크구멍(52)을 형성하고 있다.
이것에 대하여, 서류누름판(70)에는, 도 6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로크 구멍(52)에 끼워지는 로크편(73)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로크수단은 일측 밴드{예, 좌측 밴드(50)}의 로크구멍(52)과 서류누름판(70)의 로크편(73)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반대로 일측 밴드{예, 좌측 밴드(50}에 로크편을 형성하고 서류누름판(70)에 로크구멍을 형성하여도 된다.
즉, 로크수단에는 일측 밴드{예, 좌측 밴드(50)}의 길이방향을 따르는 복수의 로크위치를 가지고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일측 밴드{예, 좌측 밴드(50)}에,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일측 밴드{예, 좌측 밴드(5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복수의 로크구멍(52)을 소정 간격으로 형성하고 있다.
도 9-4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즉, 양 밴드(100,110)의 각각의 길이를 합한 전체 길이를 베이스(41)의 길이보다 짧게 설정하고 있다.
그리고, 각 밴드(100,110)에는, 도 9 및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연결케이스(120,130)가 각각 끼워져 있고, 각 연결케이스(120,130)에는, 도 9 및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밴드(100,110)가 각각 끼워지는 삽입홈(121,131)을 형성하고 있다.
또, 각 연결케이스(120,130)와 각 밴드(100,110)간에는,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로크수단을 각각 형성하고 있다.
상기 로크수단은, 각 연결케이스(120,130)의 삽입홈(121,131)내에 각 밴드(100,110)를 고정하여 각 연결케이스(120,130)가 각 밴드(100,110)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하는 것을 저지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로크수단으로서는, 도 8 및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밴드(100,110)에 로크구멍(101,111)을 각각 형성하고 있다.
이것에 대하여, 각 연결케이스(120,130)에는, 도 9 및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로크구멍(52)에 끼워지는 로크편(122,132)을 각각 형성하고 있다.
또한, 로크수단은 각 밴드(100,110)의 로크구멍(101,111)과 각 연결케이스(120,130)의 로크편(122,132)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반대로, 각 밴드(100,110)에 로크편을 형성하고, 각 연결케이스(120,130)에 로크구멍을 형성하여도 된다.
양 연결케이스(120,130)간에는, 도 13 및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양연결케이스(120,130)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수단을 형성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연결수단으로서는, 도 13 및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측 연결케이스(120)에 연결구멍(124)을 형성하고 타측 연결케이스(130)에 연결돌기(135)를 형성하고 있다.
한편, 각 로크수단에는 각 밴드(100,110)의 길이방향을 따르는 복수의 로크위치를 가지고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각 밴드(100,110)에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밴드(100,11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복수의 로크구멍(101,111)을 소정 간격으로 형성하고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도 8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1은 서류철구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도 4는 서류철구의 사용수순을 각각 나타낸 것으로, 도 2는 밴드를 서류의 펀치구멍에 끼우기 이전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밴드를 서류의 펀치구멍에 끼운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밴드의 연결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서류철구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6은 밴드와 서류누름판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7은 밴드와 서류누름판의 로크상태를 나타낸 일부사시도이고, 도 8은 도 1의 종단면도이다.
[서류철구]
도면에 있어서의 도면부호 10은 철구(綴具)를 나타낸다. 이 철구(10)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파일커버(20)에 고정되며, 서류(30)에 형성된 2개의 펀치구멍(31,31)에 끼워서 서류(30)를 파일커버(20)내에 철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철구(10)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철구본체(40)와, 이 철구본체(40)의 1쌍의 밴드(50,60)의 일측에 끼워져서 서류(30)를 누르는데 사용되는 서류누름판(70)을 구비하고 있다.
[철구본체(40)]
철구본체(40)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파일커버(20)에 고정되는 베이스(41)와, 이 베이스(41)의 좌우 양단부에 연이어 형성되어 서류(30)에 형성된 2개의 펀치구멍(31,31)에 끼워지는 좌우 1쌍의 밴드(50,60)를 구비한다.
상기 철구본체(40)는 적당한 정도의 탄성과 강성을 가지는 NYLON6등의 열가소성수지에 의해서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그리고, 베이스(41)의 길이는 서류(30)에 형성된 2개의 펀치구멍(31,31)의 간격과 같게 설정되어 있다.
이것에 대하여, 좌우 밴드(50,60)의 각각의 길이를 합한 전체 길이는 상기 베이스(41)의 길이보다 길게 설정되며,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우 밴드(50,60)가 서류(30)의 두께방향으로 서로 겹쳐지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좌우 밴드(50,60)의 각 길이를 같게 설정하였으나,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좌우 밴드(50,60)의 각 길이를 다르게 설정하여도 된다.
[좌우 밴드(50,60)]
좌우 밴드(50,60)의 서로 겹쳐지는 면에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서로 끼워맞춰지는 요철부가 좌우 밴드(50,6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각각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요철부로서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우 밴드(50,60)의 서로 겹쳐지는 면에 단면 버섯형상의 볼록부(80,90)가 상하 역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도 1에서 하측에 위치하는 좌측 밴드(50)에는 단면 버섯형상의 볼록부(80)가 상측을 향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 볼록부(80)는 대략 수직으로 연장되는 기둥부(81)와, 이 기둥부(81)의 상단에 위치하여 반구형으로 돌출된 머리부(82)를 가진다.
그리고, 서로 인접하는 머리부(82)간의 간격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하 역방향의 머리부(92)의 직경 이하로 설정되어 있다.
이것에 대하여, 도 1에서 상측에 위치하는 우측 밴드(60)에는 단면 버섯형상의 볼록부(90)가 하측을 향하여 형성되어 있으며, 이 볼록부(90)는 상기 볼록부(80)와 상하로 대칭된 형상을 이루고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볼록부(80,90)를 상하로 대칭된 형상으로 하였으나,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비대칭으로 하여도 되고, 서로 맞물리는 형상이면 된다.
상기한 단면 버섯형상의 상하 볼록부(80,90)를 서로 겹치면,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볼록부(90)의 머리부(92)가 수지의 탄성을 이용하여 서로 인접하는 상기 볼록부(80)의 기둥부(81)간의 간격내로 끼워진다. 이와 같이 상기 볼록부(90)의 머리부(92)가 서로 인접하는 상기 볼록부(80)의 기둥부(81)간의 간격내에 끼워지면, 상하 머리부(82,92)의 돌출된 면이 서로 맞닿아서 걸어맞춰짐으로써, 머리부(92)가 인접하는 기둥부(81)간의 간격내에서 빠지지 않게 된다.
따라서, 좌우 밴드(50,60)가, 도 1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하로 겹쳐진 상태로 연결된다.
한편, 상하 볼록부(80,90)의 양단에는, 도 5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밴드(50,6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보강리브(51,6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좌측 밴드(50)의 보강리브(51)의 간격은, 도 5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우측 밴드(60)의 보강리브(61)의 간격보다 넓게 설정되며, 양 보강리브(51,61)가 엇갈리게 끼워맞춰지도록 하고 있다.
[서류누름판(70)]
서류누름판(70)은, 도 6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장척의 채널형상을 이루며, 양 선단부를 내측으로 단면 L자형으로 구부려서 그 내부로 좌측 밴드(50)가 끼워져 통과하도록 삽입홈(71)을 형성하고 있다. 또, 서류누름판(70)의 내측으로 구부린 양 선단부는 서로 떨어져서 대향되며, 이 대향된 간격내로 좌측 밴드(50)의 볼록부(80)가 노정(露呈)하는 개방홈(72)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 서류누름판(70)은 적당한 정도의 탄성을 가지는 ABS등의 열가소성수지에 의해서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로크수단]
한편, 좌측 밴드(50)와 서류누름판(70)간에는 로크수단이 형성되어 있다.
즉, 좌측 밴드(50)에는, 도 5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표·이면을 관통한 장방형의 로크구멍(52)이 길이방향을 따라서 소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대하여, 서류누름판(70)에는, 도 6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삽입홈(71)의 바닥부의 단부에서 설편(舌片)형상으로 연장된 로크편(73)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 4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측 밴드(50)를 서류(30)의 표면을 따라서 구부릴 때에, 로크구멍(52)의 하나에 서류누름판(70)의 로크편(73)이 끼워진다.
따라서, 서류누름판(70)이 좌측 밴드(5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슬라이드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
반대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측 밴드(50)를 직선적으로 피면, 로크구멍(52)에서 서류누름판(70)의 로크편(73)이 빠지게 되므로, 서류누름판(70)의 슬라이드가 가능하게 된다.
[가이드수단]
또, 좌측 밴드(50)와 서류누름판(70)간에는 가이드수단이 형성되어 있다.
즉, 좌측 밴드(50)에는, 도 1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이면에서 돌출된 가이드돌기(53)가 형성되어 있다. 이 가이드돌기(53)는 단면 직각삼각형을 이루며, 그 경사면이 자유단부측을 향하고 있다.
이것에 대하여, 서류누름판(70)에는, 도 1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삽입홈(71)의 바닥부에 위치하여, 표·이면을 관통한 가이드홈(74)이 길이방향을 따라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측 밴드(50)를 서류누름판(70)의 삽입홈(71)에 끼워넣으면, 좌측 밴드(50)의 가이드돌기(53)가 서류누름판(70)의 가이드홈(74)에 끼워진다. 그리고, 좌측 밴드(50)의 가이드돌기(53)가 서류누름판(70)의 가이드홈(74)을 따라서 슬라이드함으로써, 서류누름판(70)을 좌측 밴드(50)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킬 수 있다. 그리고, 서류누름판(70)이 좌측 밴드(50)의 자유단부에서 이탈하려고 할 때에는, 좌측 밴드(50)의 가이드돌기(53)의 수직면이 서류누름판(70)의 가이드홈(74)의 단부에 맞닿음으로써, 서류누름판(70)이 좌측 밴드(50)에서 이탈되는 것을 저지하고 있다.
[제 2 실시형태]
도 9∼도 1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서류철구의 분해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 및 도 11은 서류철구의 사용수순을 각각 나타낸 것으로, 도 10은 밴드를 서류의 펀치구멍에 끼우기 이전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1은 밴드를 서류의 펀치구멍에 끼운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는 밴드와 연결케이스의 로크상태를 나타낸 일부사시도이다.
도 13 및 도 14는 양 연결케이스의 연결상태를 설명하는 것으로, 도 13은 양 연결케이스의 연결해제상태를 나타낸 일부사시도이고, 도 14는 양 연결케이스의 연결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제 2 실시형태의 특징은, 도 9∼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우 밴드(100,110)에 각 연결케이스(120,130)를 각각 끼우고, 이 양 연결케이스(120,130)에 의해서 좌우 밴드(100,110)를 서로 연결하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좌우 밴드(100,110)에는 제 1 실시형태에서 나타낸 요철부로서의 볼록부(80,90)가 불필요하게 된다.
또, 좌우 밴드(100,110)의 각각의 길이를 합한 전체 길이를 베이스(41)의 길이 보다 짧게 설정하고, 연결케이스(120,130)에 의해서 좌우 밴드(100,110)를 서로 연결하고 있다.
[연결케이스(120,130)]
연결케이스(120,130)는, 도 9 및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통(角筒)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그 내부로 좌우 밴드(100,110)가 각각 끼워져 통과하도록 삽입홈(121,13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좌우 연결케이스(120,130)는 적당한 정도의 탄성과 강성을 가지는 POM등의 열가소성수지에 의해서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상기 좌우 연결케이스(120,130)와 좌우 밴드(100,110)간에는, 제 1 실시형태에서 도 1∼도 8에 의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로크수단 및 가이드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즉, 로크수단으로서는, 도 9 및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우 밴드(100,110)에 복수의 로크구멍(101,111)이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대하여, 좌우 연결케이스(120,130)에는,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로크편(122,132)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우 밴드(100,110)를 서류(30)의 표면을 따라서 구부릴 때에, 로크구멍(101,111)의 하나에 각 연결케이스(120,130)의 로크편(122,132)이 끼워진다.
따라서, 각 연결케이스(120,130)가 각 밴드(100,11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슬라이드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
반대로,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좌우 밴드(100,110)를 직선적으로 피면, 로크구멍(101,111)에서 각 연결케이스(120,130)의 로크편(122,132)이 빠지게 되므로, 각 연결케이스(120,130)의 슬라이드가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서류(30)의 두께 변화에 따라서 각 연결케이스(120,130)를 슬라이드시킬 수 있다.
또, 가이드수단으로서는, 도 9 및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우 밴드(100,110)의 표면에 가이드돌기(102,112)가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대하여, 좌우 연결케이스(120,130)에는, 도 9 및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이드홈(123,133)이 형성되어 있다.
[연결수단]
한편, 좌우 연결케이스(120,130)의 각 선단부에는, 도 13 및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서로 연결하기 위한 연결수단이 형성되어 있다.
즉, 우측 밴드(110)가 끼워지는 우측 연결케이스(130)에는, 도 13 및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설편형상으로 연장된 탄성편(13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탄성편(134)에는 그 자유단부측에 위치한 연결돌기(135)와, 기단부측에 위치한 조작돌기(136)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결돌기(135)는 단면 직각삼각형을 이루며, 그 경사면이 자유단부측을 향하고 있다.
이것에 대하여, 좌측 밴드(100)에 끼워지는 좌측 연결케이스(120)에는, 도 13 및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결돌기(135)가 끼워지는 연결구멍(124)과, 조작돌기(136)가 끼워져서 돌출되는 절결부(125)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우측 연결케이스(130)의 탄성편(134)을 좌측 연결케이스(120)의 삽입홈(121)의 개방면에 끼우면, 수지의 탄성에 의해서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결돌기(135)가 연결구멍(124)에, 조작돌기(136)가 절결부(125)에 각각 끼워짐으로써 좌우 연결케이스(120,130)가 서로 걸어맞춰진 상태로 연결된다.
이 때, 조작돌기(136)는,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절결부(125)에서 상측으로 돌출된다.
그리고, 좌우 연결케이스(120,130)의 연결상태를 해제하기 위해서는 절결부(125)에서 상측으로 돌출된 조작돌기(136)를 누르면 된다.
따라서, 좌우 연결케이스(120,130)의 연결상태가 해제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하였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부품수를 줄일 수 있음과 아울러 조작성이 양호한 서류철구를 제공할 수 있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상기한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의 효과에 부가하여, 서류누름판을 사용함으로써 서류를 안정하게 누룰 수 있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상기한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의 효과에 부가하여, 서류누름판의 슬라이드를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상기한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의 효과에 부가하여, 서류누름판의 로크위치를 서류의 두께 변화에 따라서 조정할 수 있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2개의 연결케이스를 사용함으로써 체결이 간편하고 또한 조작성이 양호한 서류철구를 제공할 수 있다.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상기한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의 효과에 부가하여, 연결케이스의 로크위치를 서류의 두께 변화에 따라서 조정할 수 있다.

Claims (1)

  1. 베이스(41)와, 상기 베이스(41)의 양 단부에서 각각 연장되어 서류(30)의 펀치구멍(31)에 각각 끼워지는 1쌍의 밴드(50)(60)와, 이 양 밴드(50)(60)중에서 상기 서류(30)에 면하는 일측 밴드(50)에 끼워지는 서류누름판(70)으로 된 것에 있어서, 상기 양 밴드(50)(60)의 각각의 길이를 합한 전체 길이를 상기 베이스(41)의 길이보다 길게 설정하여, 상기 양 밴드(50)(60)가 상기 서류의 두께방향으로 서로 겹쳐지도록 하고, 상기 양 밴드(50)(60)의 서로 겹쳐지는 면에는 각각 밴드(50)(60)에서 부터 대략 수직으로 연장되는 기둥부(81)(91)의 단부에 반구형으로 돌출된 머리부(82)(92)가 대칭 또는 비대칭으로 돌출성형되어 밴드가 상호 결합상태를 갖도록 하는 볼록부(80)(90)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서류철구.
KR1019980000606A 1997-08-07 1998-01-12 서류철구 KR1002480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12366 1997-08-07
JP21236697A JP3981440B2 (ja) 1997-08-07 1997-08-07 書類の綴り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3044A KR19990023044A (ko) 1999-03-25
KR100248071B1 true KR100248071B1 (ko) 2000-03-15

Family

ID=166213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0606A KR100248071B1 (ko) 1997-08-07 1998-01-12 서류철구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3981440B2 (ko)
KR (1) KR100248071B1 (ko)
TW (1) TW34154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04524B2 (ja) * 2006-06-13 2012-03-28 コクヨ株式会社 綴じ具及びファイル
CN110481189A (zh) * 2019-09-29 2019-11-22 赵月春 档案、凭证装订互锁夹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02947A (ko) * 1986-08-22 1988-05-12 가와사끼 데루오 대전방지 열 가소성 수지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02947A (ko) * 1986-08-22 1988-05-12 가와사끼 데루오 대전방지 열 가소성 수지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1148672A (ja) 1999-02-23
TW341547B (en) 1998-10-01
KR19990023044A (ko) 1999-03-25
JP3981440B2 (ja) 2007-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70004028Y1 (ko) 버클
KR900007522Y1 (ko) 버클 조립체
US7111368B2 (en) Buckle
KR20070014032A (ko) 끈 고정구
JPH0431683B2 (ko)
KR20020082146A (ko) 정지장치가 부착된 슬라이드 파스너용 슬라이더
US6308825B1 (en) Plastic chain and pin retainer
JPS6251118A (ja) 電気ユニツト取付用保持装置
US10588383B2 (en) Buckle
US6332249B1 (en) Slider for slide fastener with locking mechanism
EP0311042B1 (en) Buckle assembly
KR100248071B1 (ko) 서류철구
JPH06859Y2 (ja) 電気機器の取付装置
US4945614A (en) Buckle assembly
US4622727A (en) Buckle for a safety belt
US20030056342A1 (en) Slide fastener
WO2020115894A1 (ja) バックル用のプラグ及びバックル
US4929117A (en) Mechanism for detacheably fitting a male fixing member and a female engaging member
GB2290105A (en) Cord clamp
JP3130203B2 (ja) バックル
CN111772302B (zh) 拉链头组合结构
JP3040202U (ja) 引出しのスライドレール
CN218267025U (zh) 一种便于组装的绳索扣
GB2289711A (en) Cord grip
CN115513723B (zh) 一种储能连接器锁紧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33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