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11847A -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방법 - Google Patents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11847A
KR20070011847A KR1020050066462A KR20050066462A KR20070011847A KR 20070011847 A KR20070011847 A KR 20070011847A KR 1020050066462 A KR1020050066462 A KR 1020050066462A KR 20050066462 A KR20050066462 A KR 20050066462A KR 20070011847 A KR20070011847 A KR 200700118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ea
image
printed
image data
area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64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96102B1 (ko
Inventor
이현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664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6102B1/ko
Priority to US11/380,990 priority patent/US20070019259A1/en
Priority to CNA2006101061741A priority patent/CN1901601A/zh
Publication of KR200700118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18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61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61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87Composing, repositioning or otherwise geometrically modifying originals
    • H04N1/3872Repositioning or masking
    • H04N1/3873Repositioning or masking defined only by a limited number of coordinate points or parameters, e.g. corners, centre; for trimm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87Composing, repositioning or otherwise geometrically modifying originals
    • H04N1/3872Repositioning or masking
    • H04N1/3873Repositioning or masking defined only by a limited number of coordinate points or parameters, e.g. corners, centre; for trimming
    • H04N1/3875Repositioning or masking defined only by a limited number of coordinate points or parameters, e.g. corners, centre; for trimming combined with enlarging or reduc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87Composing, repositioning or otherwise geometrically modifying originals
    • H04N1/393Enlarging or reduc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94Multifunctional device, i.e. a device capable of all of reading, reproducing, copying, facsimile transception, file transcep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 Record Information Processing For Printing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상형성방법 및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화상형성방법은, 인쇄용지를 나타내는 제1영역박스와 화상데이터에서 인쇄될 영역 또는 상기 영역의 상기 인쇄용지에 대한 위치를 나타내는 제2영역박스를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제1영역박스와 상기 제2영역박스를 이용하여 상기 화상데이터의 인쇄될 영역 및 위치를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선택된 영역에 대하여 화상처리 후 상기 인쇄용지의 선택된 위치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에 의하여, 화상을 다양한 형태로 프린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하고 사용자의 기호를 충족시킬 수 있다.
화상, 형성, 프린트박스, 여백

Description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방법{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METHOD}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인쇄될 화상과 화상의 일부의 선택 및 인쇄될 위치의 결정을 위한 표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인쇄될 화상과 화상의 일부의 선택 및 인쇄될 위치의 결정을 위한 표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인쇄될 화상과 화상의 일부의 선택 및 인쇄될 위치의 결정을 위한 표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입력부의 조작패널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6은 본 실시예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화상형성장치 110: 인터페이스부
120: 조작패널부 121: 입력부
122: 표시부 130: 화상처리부
140: 프린터부 150: 제어부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화상을 다양한 형태로 인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하고 사용자의 기호를 충족시킬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화상형성장치는 컴퓨터시스템, 디지털카메라 등과 같은 화상처리장치 혹은 USB메모리 등과 화상저장장치로부터 그림, 사진 등의 화상을 나타내는 화상데이터를 전송 받아, 화상데이터에 대하여 소정의 화상처리를 수행하고 처리된 화상데이터에 기초하여 용지 등의 기록매체에 화상을 형성함으로써 인쇄를 수행한다. 화상형성장치는 프린터(printer), 복합기(multi-function printer) 등으로 구현된다.
이러한 화상형성장치는 전송 받은 화상데이터에 의해 표현되는 화상의 전부에 대하여 인쇄를 수행하는 경우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화상의 일부에 대하여도 인쇄를 수행할 필요가 있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 종래의 화상형성장치는 표시장치를 구비하여 인쇄될 화상을 사용자에게 표시하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화상을 확대 또는 축소하면서 상하좌우로 이동시켜 표시장치의 한정된 표시영역에 속하는 화상의 일부를 인쇄할 부분으로 설정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화상형성장치에 의하면, 화상을 확대 또는 축소하여 상하좌우로 이동시키기 때문에, 화상 전체를 확인하기가 곤란하여 인쇄할 부분을 설정하 는데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화상형성장치에 의하면, 인쇄할 부분을 설정하기 위하여 화상을 확대시키고 필요한 경우 이를 다시 축소시키기 때문에, 화상을 표시장치에 표시하기 위한 화상처리의 부담이 증가되고, 표시에 있어서 화상처리로 인한 시간 지연이 발생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화상을 표시하는 화상표시수단을 구비하고, 이동 조작 가능한 사각틀을 조작하여 표시된 화상 중에 지정된 영역만을 추출하여 인쇄할 수 있는 인쇄장치 및 인쇄방법(일본공개특허 2004-009335)이 종래 개시되었다. 이러한 인쇄장치 및 인쇄방법에 의하면, 화상 자체가 아니라 영역 선택을 위한 사각틀을 화상에 표시하기 때문에, 화상에 있어서 인쇄할 부분을 선택하는 것이 용이하며, 화상의 확대 또는 축소에 의한 화상처리의 부담이 없고 표시에 있어서 시간 지연이 해소될 수는 있다.
그러나 상기 인쇄장치 및 인쇄방법은 단순히 화상에서 인쇄될 부분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만 있기 때문에, 인쇄될 부분이 소정의 용지에 인쇄되는 경우에 있어서 여백의 설정 등은 전혀 고려되고 있지 않다. 다시 말하면, 상기 인쇄장치 및 인쇄방법에 의하면, 인쇄될 부분이 용지의 어느 위치에 어느 정도의 크기로 인쇄되어야 하는지에 관한 설정을 할 수 없기 때문에, 화상을 다양한 형태로 인쇄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필요에 부응하기에는 부족한 점이 많았다.
나아가, 종래 기술에 의하면, 단순히 하나의 화상에 있어서 그 일부를 선택하여 인쇄하기만 하였을 뿐, 복수의 화상의 일부들을 조합한다든지 하나의 화상의 일부를 반복적으로 배치한다든지 하는 것과 같이, 화상을 다양하게 인쇄하고자 하는 사용 자의 기호를 충족시킬 수 없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화상을 다양한 형태로 인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하고 사용자의 기호를 충족시킬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외부에서 입력된 화상데이터를 인쇄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화상형성방법에 있어서, 인쇄용지를 나타내는 제1영역박스와 상기 화상데이터에서 인쇄될 영역 또는 상기 영역의 상기 인쇄용지에 대한 위치를 나타내는 제2영역박스를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제1영역박스와 상기 제2영역박스를 이용하여 상기 화상데이터의 인쇄될 영역 또는 위치를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선택된 영역에 대하여 화상처리 후 상기 인쇄용지의 선택된 위치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화상형성방법은,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제1영역박스 및 상기 제2영역박스의 크기를 축소 또는 확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상형성방법은,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제1영역박스 및 상기 제2영역박스를 상기 화상데이터에 대하여 이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화상형성방법은,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제1영역박스 및 상기 제2영역박스를 상기 화상데이터에 대하여 회전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축소, 확대, 이동 또는 회전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구 비하는 조작패널(OPE) 또는 터치스크린(touch screen)의 복수의 키를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인쇄될 영역 및 위치를 선택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선택된 영역이 인쇄될 하나의 인쇄용지에서의 복수의 위치를 선택함으로써 다양한 형태로 인쇄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인쇄될 영역 및 위치를 선택하는 단계에서는, 복수의 화상데이터 각각에 대하여 적어도 하나의 인쇄될 영역을 선택함으로써 더욱 다양한 형태로 인쇄할 수 있도록 한다. 이 경우 상기 인쇄될 영역 및 위치를 선택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선택된 각 영역에 대하여 적어도 하나의 인쇄용지에서의 인쇄될 각각의 위치를 선택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인쇄될 영역 또는 위치를 선택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제1영역박스 및 상기 제2영역박스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인쇄될 화상데이터에 기초한 화상을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표시부와; 사용자로부터 상기 화상의 인쇄에 관한 입력을 받는 입력부와; 상기 화상데이터에 화상처리를 수행하는 화상처리부와; 상기 화상처리된 화상데이터에 기초하여 인쇄용지에 인쇄를 수행하는 프린터부와; 상기 인쇄용지를 나타내는 제1영역박스와 상기 화상데이터에서 인쇄될 영역 또는 상기 영역의 상기 인쇄용지에 대한 위치를 나타내는 제2영역박스를 표시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고, 상기 입력부를 통하여 상기 제1영역박스와 상기 제2영역박스를 이용하여 상기 화상데이터의 인쇄될 영역 또는 위치를 선택받아, 상기 선택된 영역에 대하여 화상처리 후 상기 인쇄용지의 선택된 위치에 출력하도록 상기 화상처리 부 및 상기 프린터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제1영역박스 및 상기 제2영역박스의 크기를 축소 또는 확대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제1영역박스 및 상기 제2영역박스를 상기 화상데이터에 대하여 이동시키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제1영역박스 및 상기 제2영역박스를 상기 화상데이터에 대하여 회전시키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입력부는 복수의 키를 구비하는 조작패널(OPE)또는 터치스크린(touch screen)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키를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받아 상기 축소, 확대, 이동 또는 회전시키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선택된 영역이 인쇄될 하나의 인쇄용지에서의 복수의 위치를 선택받음으로써 다양한 형태의 인쇄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로부터 복수의 화상데이터 각각에 대하여 적어도 하나의 인쇄될 영역을 선택받음으로써 더욱 다양한 형태의 인쇄를 가능하게 한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선택된 각 영역에 대하여 적어도 하나의 인쇄용지에서의 인쇄될 각각의 위치를 선택받을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영역박스 및 상기 제2영역박스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화상데이터의 인쇄될 영역 또는 위치를 선택받아 인쇄를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화상형성장치(100)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실시예의 화상형성장치(100)는 컴퓨터시스템, 디지털카메라 등과 같은 화상처리장치(200) 혹은 USB메모리 등과 화상저장장치(300)로부터 그림, 사진 등의 화상을 나타내는 화상데이터를 전송 받아, 화상데이터에 대하여 소정의 화상처리를 수행하고 처리된 화상데이터에 기초하여 용지 등의 기록매체에 화상을 형성함으로써 인쇄를 수행한다. 특히, 본 실시예의 화상형성장치(100)는 사용자로 하여금 화상의 일부를 선택하고 선택된 부분의 용지에 대한 위치를 결정할 수 있도록 소정의 표지를 표시하며, 선택된 부분 및 결정된 위치에 기초하여 화상처리를 수행하여 인쇄한다.
본 실시예의 화상형성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터페이스부(110), 조작패널부(120), 화상처리부(130), 프린터부(140) 및 제어부(150)를 포함한다. 인터페이스부(110)는 화상처리장치(200) 혹은 화상저장장치(300)와 데이터통신을 수행하여 이들로부터 화상데이터를 전송 받는다. 인터페이스부(110)는 화상처리장치(200) 및 화상저장장치(300)와 소정의 프로토콜에 따라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10)는 화상처리장치(200) 및 화상저장장치(300)와의 통신 형태에 따라 네트워크 카드(network card), USB(Universe Serial Bus)커넥터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조작패널부(120)는 인쇄될 화상을 사용자에게 표시하고, 사용자로부터 인쇄에 관한 입력을 받는다. 본 실시예의 조작패널부(120)는 입력부(121) 및 표시부(122)를 포함한다. 표시부(122)는 인터페이스부(110)가 전송 받은 화상데이터를 제어부(150)의 제어에 따라 소정 형태의 영상데이터로 변환하여 대응하는 화상을 사용자에게 표시한다. 또한 표시부(122)는 제어부(150)의 제어에 따라 사용자가 화상의 일부를 선택하고 선택된 부분의 용지에 대한 위치를 결정할 수 있도록 소정의 표지를 표시한다. 또한 표시부(122)는 제어부(150)의 제어에 따라 화상형성장치(100)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메시지, 사용자에게 동작의 선택을 요청하는 메시지 등을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 표시부(122)는 TFT-LCD(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및 TFT-LCD를 구동할 수 있는 구동부(도시 안됨)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입력부(121)는 복수의 키를 구비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받아 입력된 정보를 제어부(150)에 제공한다. 본 실시예의 입력부(121)는 표시부(122)에 사용자가 화상의 일부를 선택하고 선택된 부분의 용지에 대한 위치를 결정할 수 있도록 소정의 표지가 표시된 경우, 사용자로부터 표지를 조정하기 위한 입력을 받는다. 본 실시예의 입력부(121)는 복수의 키를 구비한 조작패널(OPE)로 구현될 수 있다.
화상처리부(130)는 제어부(130)의 제어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부분 및 결정된 위치에 기초하여 인쇄가 수행되도록 화상데이터에 대하여 화상처리를 수행한다. 화상처리부(130)는 이미지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다. 프린터부(140)는 제어부(130)의 제어에 따라 화상처리부(130)에 의해 화상처리된 화상데이터에 기초하여 용지에 인쇄를 수행한다. 프린터부(140)는 잉크젯, 레이저 등의 방식으로 인쇄 를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화상형성장치(100)를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도 2 내지 4를 참조하여 제어부(150)를 설명한다. 도 2 내지 4는 본 실시예에 따라 인쇄될 화상과 화상의 일부의 선택 및 인쇄될 위치의 결정을 위한 표지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의 제어부(150)는 전송 받은 화상데이터에 대응하는 화상(10)의 인쇄될 부분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제1영역박스(20)를 화상(10)에 중첩시켜 표시하도록(도 2(a) 참조) 표시부(122)에 지시한다. 제어부(150)는 입력부(121)를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제1영역박스(20)의 이동, 확대 또는 축소에 대한 입력이 있으면, 이에 대응하여 제1영역박스(20)를 이동, 확대 또는 축소시켜 표시하도록(도 2(c) 및 도 2(d) 참조) 표시부(122)에 지시한다. 제어부(150)는 제1영역박스(20)에 의해 선택된 부분(20)이 용지(50)에 인쇄되도록 화상데이터에 대한 화상처리를 수행하고, 처리된 화상데이터에 대하여 인쇄를 수행하도록(도 2(a') 참조) 화상처리부(130) 및 프린터부(140)에 지시한다.
또한, 제어부(150)는 용지(50)에 대하여 선택된 부분(20)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도록 하는 제2영역박스(30)를 화상(10)에 중첩시켜 표시하도록(도 2(b) 참조) 표시부(122)에 지시한다. 제어부(150)는 입력부(121)를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제2영역박스(30)의 이동, 확대 또는 축소에 대한 입력이 있으면, 이에 대응하여 제2영역박스(30)를 이동, 확대 또는 축소시켜 표시하도록(도 2(c) 및 도 2(d) 참조) 표시부(122)에 지시한다. 제어부(150)는 제1영역박스(20)로 선택된 부분(20)이 제2영역박스(30)와의 관계에서 결정된 용지(50)의 위치에서 인쇄되도록 화상데이터에 대한 화상처리를 수행하고 처리된 화상데이터에 대하여 인쇄를 수행하도록(도 2(b'), 도 2(c') 및 도 2(d') 참조) 화상처리부(130) 및 프린터부(140)에 지시한다.
한편, 입력부(121)는 조작패널이 구비하는 복수의 키의 조합에 따라 제1영역박스(20) 및 제2영역박스(30)의 확대, 축소, 이동을 입력 받을 수 있다. 예컨대, 도 5를 참조하면, 입력부(121)는 상하좌우 키(121a 내지 121d)를 구비하고, 상하좌우 키(121a 내지 121d) 각각은 제2영역박스(30)의 이동으로 설정하고, 인쇄키(121g)를 누른 상태에서 상하좌우 키(121a 내지 121d) 각각은 제1영역박스(20)의 이동으로 설정하고, 메뉴 키(121e)를 누른 상태에서 상하좌우 키(121a 내지 121d) 각각은 제1영역박스(20) 및 제2영역박스(30)의 크기 조정 등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입력부(121)는 크기 조정, 이동 등이 완료되면 선택 키(121f)를 통하여 인쇄될 영역과 위치를 결정 받는다.
제어부(150)는 입력부(121)를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복수의 화상(도 3(a)의 10a 및 도 3(b)의 10b) 각각에 대한 1이상의 부분에 대한 선택(도 3(a)의 20a 및 도 3(b)의 20b 참조) 및 위치결정(도 3(a) 및 3(b)의 30 참조)을 받아, 이들 부분(도 3(a)의 20a 및 도 3(b)의 20b 참조)이 하나의 용지(50)에 인쇄되도록(도 3(c)의 20b 참조) 대응하는 화상데이터에 대한 화상처리 및 인쇄 수행을 화상처리부(130) 및 프린터부(140)에 지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0)는 입력부(121)를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하나의 화상(도 4(a), 4(b) 및 4(c)의 10)에 대하여 소정 부분(도 4(a)의 20a, 도 4(b)의 20b 및 도 4(c)의 20c 참조)의 선택하고 선택된 부분이 제2영역박스(30)에 대하여 복수의 위치에 배치되도록(도 4(a), 4(b) 및 4(c) 참조) 위치결정을 받아, 복수의 위치에 배치된 부분(도 4(a)의 20a, 도 4(b)의 20b 및 도 4(c)의 20c 참조)이 하나의 용지(50)에 인쇄되도록(도 4(d) 참조) 대응하는 화상데이터에 대한 화상처리 및 인쇄 수행을 화상처리부(130) 및 프린터부(140)에 지시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50)는 입력부(121)를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제1영역박스(20) 및 제2영역박스(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회전하도록 조정을 입력 받아, 상기 입력에 따라 제1영역박스(20) 및 제2영역박스(30)를 화상(10)에 대하여 회전시켜 표시하도록 표시부(122)에 지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50)는 선택 및 위치결정된 부분이 적절히 인쇄되도록 화상처리 및 인쇄 수행을 화상처리부(130) 및 프린터부(140)에 지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제어부(150)는 CPU와 같은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컴퓨터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화상형성장치(100)는 플래쉬메모리와 같은 메모리를 구비하여 컴퓨터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컴퓨터프로그램은 제어부(150)의 기능 및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적합하게 프로그래밍된다.
도 6은 본 실시예에 의한 화상형성장치(100)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화상형성장치(100)의 인터페이스부(110)는 화상처리장치(200) 혹은 화상저장장치(300)와 데이터통신을 수행하여 이들로부터 화상데이터를 전송 받는다(S110). 제어부(150)는 인터페이스부(110)에 의해 전송된 화상데이터에 대응하는 화상을 사용자에게 표시하고(S120), 제1영역박스 및 제2영역박스를 화상에 중 첩시켜 표시하도록 표시부(122)를 제어한다(S130). 제어부(150)는 입력부(121)를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조정을 입력 받아, 제1영역박스 및 제2영역박스를 이동, 크기 조정을 행하여 표시하도록 표시부(122)를 제어한다(S140).
제어부(150)는 조정이 완료되고 사용자의 인쇄 명령이 있으면, 선택된 부분 및 결정된 용지의 위치에 인쇄가 수행되도록 화상처리부(130)에 대응하는 화상데이터에 대한 화상처리를 수행시킨다(S150). 제어부(150)는 화상처리부(130)의 화상처리가 완료되면, 화상처리된 화상데이터에 기초하여 용지에 인쇄를 수행하도록 프린터부(140)에 지시한다(S160).
이상,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화상을 다양한 형태로 인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하고 사용자의 기호를 충족시킬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8)

  1. 외부에서 입력된 화상데이터를 인쇄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화상형성방법에 있어서,
    인쇄용지를 나타내는 제1영역박스와 상기 화상데이터에서 인쇄될 영역 또는 상기 영역의 상기 인쇄용지에 대한 위치를 나타내는 제2영역박스를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제1영역박스와 상기 제2영역박스를 이용하여 상기 화상데이터의 인쇄될 영역 또는 위치를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선택된 영역에 대하여 화상처리 후 상기 인쇄용지의 선택된 위치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제1영역박스 및 상기 제2영역박스의 크기를 축소 또는 확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제1영역박스 및 상기 제2영역박스를 상기 화상데이터에 대하여 이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제1영역박스 및 상기 제2영역박스를 상기 화상데 이터에 대하여 회전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방법.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축소, 확대, 이동 또는 회전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구비하는 조작패널(OPE) 또는 터치스크린(touch screen)의 복수의 키를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될 영역 및 위치를 선택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선택된 영역이 인쇄될 하나의 인쇄용지에서의 복수의 위치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될 영역 및 위치를 선택하는 단계에서는, 복수의 화상데이터 각각에 대하여 적어도 하나의 인쇄될 영역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될 영역 및 위치를 선택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선택된 각 영역에 대하여 적어도 하나의 인쇄용지에서의 인쇄될 각각의 위치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 로 하는 화상형성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될 영역 또는 위치를 선택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제1영역박스 및 상기 제2영역박스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방법.
  10.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인쇄될 화상데이터에 기초한 화상을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표시부와;
    사용자로부터 상기 화상의 인쇄에 관한 입력을 받는 입력부와;
    상기 화상데이터에 화상처리를 수행하는 화상처리부와;
    상기 화상처리된 화상데이터에 기초하여 인쇄용지에 인쇄를 수행하는 프린터부와;
    상기 인쇄용지를 나타내는 제1영역박스와 상기 화상데이터에서 인쇄될 영역 또는 상기 영역의 상기 인쇄용지에 대한 위치를 나타내는 제2영역박스를 표시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고, 상기 입력부를 통하여 상기 제1영역박스와 상기 제2영역박스를 이용하여 상기 화상데이터의 인쇄될 영역 또는 위치를 선택받아, 상기 선택된 영역에 대하여 화상처리 후 상기 인쇄용지의 선택된 위치에 출력하도록 상기 화상처리부 및 상기 프린터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제1영역박스 및 상기 제2영역박스의 크기를 축소 또는 확대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제1영역박스 및 상기 제2영역박스를 상기 화상데이터에 대하여 이동시키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제1영역박스 및 상기 제2영역박스를 상기 화상데이터에 대하여 회전시키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4. 제1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복수의 키를 구비하는 조작패널(OPE)또는 터치스크린(touch screen)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키를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받아 상기 축소, 확대, 이동 또는 회전시키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선택된 영역이 인쇄될 하나의 인쇄용지에서의 복수의 위치를 선택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로부터 복수의 화상데이터 각각에 대하여 적어도 하나의 인쇄될 영역을 선택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선택된 각 영역에 대하여 적어도 하나의 인쇄용지에서의 인쇄될 각각의 위치를 선택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8.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영역박스 및 상기 제2영역박스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화상데이터의 인쇄될 영역 또는 위치를 선택받아 인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KR1020050066462A 2005-07-21 2005-07-21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방법 KR1006961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6462A KR100696102B1 (ko) 2005-07-21 2005-07-21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방법
US11/380,990 US20070019259A1 (en) 2005-07-21 2006-05-01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method
CNA2006101061741A CN1901601A (zh) 2005-07-21 2006-07-20 图像形成装置和图像形成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6462A KR100696102B1 (ko) 2005-07-21 2005-07-21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1847A true KR20070011847A (ko) 2007-01-25
KR100696102B1 KR100696102B1 (ko) 2007-03-20

Family

ID=376573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6462A KR100696102B1 (ko) 2005-07-21 2005-07-21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070019259A1 (ko)
KR (1) KR100696102B1 (ko)
CN (1) CN190160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98333B2 (ja) * 2006-09-21 2010-07-07 株式会社沖データ 画像処理装置
JP5028190B2 (ja) * 2007-08-31 2012-09-19 キヤノン株式会社 印刷制御装置、印刷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312277B2 (ja) * 2009-09-29 2013-10-09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US9712696B1 (en) * 2015-12-28 2017-07-18 Kabushiki Kaisha Toshiba System and method of on-screen management of scanned documents
WO2017125939A1 (en) * 2016-01-21 2017-07-27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Scan formatting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56301B2 (ja) * 1989-04-10 1998-05-25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編集方法及び装置
US5195086A (en) * 1990-04-12 1993-03-16 At&T Bell Laboratories Multiple call control method in a multimedia conferencing system
US5805132A (en) * 1991-09-17 1998-09-08 Minolta Co., Ltd. Image editing apparatus capable of setting image processing region on display screen
US5469536A (en) * 1992-02-25 1995-11-21 Imageware Software, Inc. Image editing system including masking capability
JPH07285245A (ja) * 1994-04-20 1995-10-31 Casio Comput Co Ltd ビデオプリンタ
US6738154B1 (en) * 1997-01-21 2004-05-18 Xerox Corporation Locating the position and orientation of multiple objects with a smart platen
EP0860797B1 (en) * 1997-02-19 2005-11-30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editing apparatus and method and medium on which programs are recorded
US6515760B1 (en) * 1998-09-09 2003-02-04 Eastman Kodak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manipulating digital image data
JP2001101341A (ja) 1999-09-30 2001-04-13 Omron Corp 文字認識方法およびその装置ならびに文字認識処理用のプログラムが記録された記録媒体
US6587596B1 (en) * 2000-04-28 2003-07-01 Shutterfly, Inc. System and method of cropping an image
JP2002010056A (ja) * 2000-06-19 2002-01-11 Fuji Photo Film Co Ltd 画像合成装置
JP2002077526A (ja) * 2000-08-23 2002-03-15 Fuji Photo Film Co Ltd 画像形成装置
US6686930B2 (en) * 2000-11-29 2004-02-03 Xerox Corporation Technique for accomplishing copy and paste and scan to fit using a standard TWAIN data source
US6704467B2 (en) * 2000-12-21 2004-03-09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editing with block selection
US7340676B2 (en) * 2000-12-29 2008-03-04 Eastman Kodak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 layout of images in digital albums
US7024658B1 (en) * 2001-09-28 2006-04-04 Adobe Systems Incorporated Extensible help facility for a computer software application
US7164489B2 (en) * 2001-10-19 2007-01-16 Seiko Epson Corporation Rectangular partitioning in printing rotated images
US20030158909A1 (en) * 2002-02-20 2003-08-21 Simpson Shell S. Composite image generation
JP3782368B2 (ja) * 2002-03-29 2006-06-07 株式会社東芝 物体画像切り出し方法及びプログラム並びに物体画像切り出し装置
US6954541B2 (en) * 2002-05-29 2005-10-11 Xerox Corporation Method of detecting changes occurring in image editing using watermarks
JP2004009335A (ja) 2002-06-03 2004-01-15 Seiko Epson Corp 印刷装置および印刷方法
JP2004015286A (ja) * 2002-06-05 2004-01-15 Seiko Epson Corp ディジタルカメラ
JP2004072527A (ja) 2002-08-07 2004-03-04 Seiko Epson Corp 複合機、電子ファイリングシステムおよびスキャナ
JP2004289516A (ja) * 2003-03-24 2004-10-14 Konica Minolta Holdings Inc 画像処理方法、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プログラム及び画像読取装置
JP4579578B2 (ja) * 2003-07-03 2010-11-10 キヤノン株式会社 印刷方法、および印刷制御装置、記憶媒体、プログラム
JP2005064704A (ja) * 2003-08-08 2005-03-10 Ricoh Co Ltd 画像処理装置、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US20050210401A1 (en) * 2004-03-18 2005-09-22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centralized copy/paste functionality
US7430059B2 (en) * 2004-05-24 2008-09-30 Xerox Corporation System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interactively previewing a scanned document
US20060132836A1 (en) * 2004-12-21 2006-06-22 Coyne Christopher R Method and apparatus for re-sizing image data
US20060209214A1 (en) * 2005-03-17 2006-09-21 Xerox Corporation Digital photo album systems and metho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901601A (zh) 2007-01-24
US20070019259A1 (en) 2007-01-25
KR100696102B1 (ko) 2007-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132616A1 (en) Browsing system
JP2010086146A (ja) 入力表示装置、電子機器及び入力表示プログラム
KR100696102B1 (ko)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방법
US20060075362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method, and recording medium on which program is recorded for displaying thumbnail/preview image
JP2006252515A (ja) 設定管理装置、設定管理方法、設定管理プログラム
US20090284765A1 (en) Print control apparatus, printing apparatus, print control method, and program thereof
US20110141519A1 (en) Data processing system, data processing apparatus, data processing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JP2008137382A (ja) プレビュー機能を用いた印刷システム及び方法
JP2005005768A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7168156A (ja) 印刷装置及びその表示方法
JP4731916B2 (ja) 画像表示装置及び表示制御プログラム
JPH11327865A (ja) 対話型処理システム
KR101201227B1 (ko) 화상형성장치 및 멀티 크롭 화상형성방법
JP4140301B2 (ja) ダイレクトプリントシステムおよびダイレクトプリント対応型電子カメラ
JP4279261B2 (ja) 画像表示装置及び表示制御プログラム
JP4145715B2 (ja) 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装置、その表示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
JP4688042B2 (ja) プリンタおよびプリンタの印刷レイアウト設定方法
JP2009078372A (ja) プリンタ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H11327746A (ja) 対話型処理システム
JP2000071547A (ja) 印刷情報設定装置およびその方法
US20080238944A1 (en) Image processing devices and methods of recording a scaled portion of an image on a recording medium
JP4229054B2 (ja) 画像処理装置
JP2019106007A (ja) 表示装置、表示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6192863A (ja) 印刷装置
KR101123707B1 (ko) 화상을 캡처하여 프린팅 할 수 있는 화상형성시스템 및화상형성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