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11161A - 낚시용 릴 부품 - Google Patents

낚시용 릴 부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11161A
KR20070011161A KR1020060067386A KR20060067386A KR20070011161A KR 20070011161 A KR20070011161 A KR 20070011161A KR 1020060067386 A KR1020060067386 A KR 1020060067386A KR 20060067386 A KR20060067386 A KR 20060067386A KR 20070011161 A KR20070011161 A KR 200700111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spool
spring
fishing reel
push but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73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37924B1 (ko
Inventor
타이세이 모리세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ublication of KR200700111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11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79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79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2Brake devices for reels
    • A01K89/033Brake devices for reels with a rotary drum, i.e. for reels with a rotating spoo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6Fly reels, i.e. with a stub shaft suppor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A01K89/0111Spool 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Springs (AREA)
  • Fishing Rods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과제] 푸시 버튼의 조작에 의하여 원터치(one touch)로 탈착 가능한 스풀에 있어서, 탈착 구조의 축 방향 길이를 짧게 한다.
[해결 수단] 편 베어링 릴의 스풀(3)은, 선단(先端)에 형성된 환상(環狀) 홈(2b)를 가지는 스풀 축(2)에 대하여 원터치로 탈착 가능한 부품이고, 스풀 본체(5)와, 스프링 부재(30), 덮개 부재(31), 푸시 버튼(32), 및 베어링(21)을 가지는 원터치 탈착 기구(6)를 구비하고 있다. 스풀 본체(5)는, 스풀 축(2)이 관통하는 관통 구멍(17d)과, 스풀 축(2)이 관통하는 단면에 형성된 장착 공간(17e)을 가진다. 스프링 부재(30)는, 환상 홈에 계지되도록 대향하여 배치된 한 쌍의 계지부(30a, 30b)를 가지며, 장착 공간에 장착된 부재이다. 덮개 부재는, 스프링 부재를 빠지지 않도록 방지하기 위하여 장착 공간을 덮도록 스풀 본체에 고정된 부재이다. 푸시 버튼은, 덮개 부재에 축 방향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덮개 부재의 중심으로부터 외방(外方)으로 노출하는 압압(押壓) 조작부(32a)와, 압압 조작부에 축 방향으로 돌출하여 설치되며 계지부의 사이에 선단이 삽입되고 또한 축 방향의 이동에 의하여 한 쌍의 계지부의 간격을 넓히도록 축 부재를 사이에 두고 배치되는 끝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한 쌍의 테이퍼부(32b)를 가지고, 압압 조작부의 압압 조작에 의하여 축 부재의 환상 홈과 스프링 부재의 계합을 해제하기 위한 버튼이다. 베어링은, 한 쌍의 테이퍼부가 각각 통과 가능한 제1 통과 구멍(21d)을 가지고, 스프링 부재를 덮개 부재와의 사이에 배치하는 부재이다.
낚시 용 릴 부품, 덮개 부재, 스풀 본체, 통과 구멍, 베어링

Description

낚시용 릴 부품{FISHING REEL COMPONENT}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편 베어링 릴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편 베어링 릴의 측단면도이다.
도 3은 편 베어링 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요부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5는 스풀의 배면도이다.
도 6은 원터치 탈착 기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스풀을 떼어낸 상태의 도 2에 상당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다른 실시예의 도 2에 상당하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릴 본체
2 : 스풀 축 (축 부재의 일례)
2b : 제1 환상 홈
3, 104 : 스풀 (낚시용 릴 부품의 일례)
5, 107 : 스풀 본체 (부품 본체의 일례)
6, 113 : 원터치 탈착 기구
17d : 관통 구멍 (관통부의 일례)
17e : 장착 공간
21 : 미끄럼 베어링 (스프링 배치 부재의 일례)
21d : 제1 통과 구멍
21e : 제2 통과 구멍
21f, 21g : 제1 및 제2 위치 결정 돌기 
30, 130 : 스프링 부재
30a, 30b : 계지부
30c : 연결부
31, 131 : 덮개 부재
32, 132 : 푸시 버튼
32a : 압압 조작부
32b : 테이퍼부
32c : 가이드부
32d : 빠짐 방지 돌기
32e : 통상부
32f : 바닥부
본 발명은, 릴 부품, 특히, 선단(先端)에 형성된 환상(環狀) 홈을 가지는 낚 시용 릴의 축 부재에 대하여 원터치(one touch)로 탈착(脫着) 가능한 낚시용 릴 부품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스피닝 릴(spinning reel)의 스풀(spool, 낚시용 릴 부품의 일례)에는, 스풀 축 (축 부재의 일례)에 대하여, 푸시 버튼의 압압(押壓) 조작에 의하여 원터치로 탈착 가능한 것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참조). 종래의 원터치 탈착 가능한 스풀은, 선단에 형성된 끝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테이퍼(taper)면과 테이퍼면보다 가장 안쪽에 형성된 환상 홈을 가지는 스풀 축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한편, 편(片) 베어링 릴의 스풀 (낚시용 릴 부품의 일례)에는, 스풀 축 (축 부재의 일례)에 대하여, 레버(lever)의 요동 조작에 의하여 원터치로 탈착 가능한 것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특허 문헌 2 참조).
전자의 종래 기술에서는, 스풀은, 스풀 축이 관통하는 관통부 및 스프로킷(sprocket) 축이 관통하는 단면에 형성된 장착 공간을 가지는 스풀 본체와, 장착 공간에 배치되고 스풀 축의 환상 홈에 계합(係合, 서로 맞물림) 가능한 스프링 부재와, 스프링 부재를 빠지지 않도록 방지하기 위하여 스풀 본체의 전부(前部)에 장착된 덮개 부재와, 스프링 부재를 환상 홈으로부터 이탈하는 이탈 상태로 하기 위한 압압 조작용의 푸시 버튼을 구비하고 있다.
장착 공간은, 관통부와 동심으로 배치된 원형의 공간이다. 스프링 부재는, 탄성 선재(線材)를 꺾어 구부려 형성된 것이고, 환상 홈에 계지(係止, 서로 연결되어 고정됨)되도록 대향하여 배치된 한 쌍의 계지부와, 양 계지부의 일단(一端)을 계지부의 타단(他端)을 돌아 연결하는 C자상(狀)의 연결부를 가지고 있다. 스프링 부재는, 환상 홈에 계지되는 것과 함께, 푸시 버튼을 압압 방향과 역방향으로 압박한다.
푸시 버튼은, 스풀 축의 외주(外周) 측에 장착되고, 환상 홈을 통과 가능하고 장착 공간에 전후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푸시 버튼은, 계지부의 사이에 장착되고 또한 축 방향의 이동에 의하여 한 쌍의 계지부의 간격을 넓히도록 일단에 형성된 한 쌍의 테이퍼부와, 덮개 부재의 중심으로부터 외방(外方)으로 노출하는 압압 조작부를 가지고, 압압 조작부의 압압 조작에 의하여 축 부재의 환상 홈과 스프링 부재의 계합을 해제하기 위한 것이다. 압압 조작부는, 바닥이 있는 통상(筒狀)의 부재이고, 한 쌍의 테이퍼부는, 압압 조작부보다 소경(小徑)이고 스풀 축보다 대경(大徑)인 내경(內徑)을 가지며 압압 조작부의 바닥부로부터 연장되는 통상부의 선단으로부터 끝으로 갈수록 넓어지게 산형(山形)으로 경사지게 절단한 것 같은 형상이다. 한 쌍의 테이퍼부는, 장착 시에는 스풀 축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여 배치된다. 테이퍼부의 선단은, 스프링 부재에 의하여 압박된 상태로 한 쌍의 계지부의 사이에 삽입되어 있다. 덮개 부재는, 스풀 본체에 대하여 예를 들어 돌려 끼움 고정되어 있고, 푸시 버튼도 빠지지 않도록 방지하고 있다.
이 푸시 버튼을 스풀 축을 향하여 압압하는 것에 의하여 테이퍼부에 의하여 스프링 부재의 계지부의 간격을 넓혀 스풀 축과의 계합을 해제하고, 스풀을 탈착 가능한 상태로 한다. 이 상태에서 스풀을 스풀 축으로부터 떼어낼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계지부가 테이퍼부에 의하여 넓혀지면, 계지부는 서로 가까워지는 방 향으로 테이퍼부에 힘을 작용시키므로, 압압 조작부는 압압 방향과 역방향으로 압박된다. 이 때문에, 압압 조작을 중단하면, 푸시 버튼은 역방향으로 이동하고, 한 쌍의 계지부는 계지 가능 상태로 되돌아온다.
스풀을 스풀 축에 장착할 때에는, 스풀 축의 테이퍼면에 의하여 스프링 부재의 계지부가 넓혀지고, 스프링 부재가 환상 홈에 위치하면 계지부가 환상 홈 내에 끼워져 스풀을 스풀 축에 대하여 빠지지 않도록 방지한다.
후자의 종래의 구조에서는, 스풀을 지지하는 베어링의 선단 측에서 스풀 축에 환상 홈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계합 홈에 계합하는 계지 위치와 이반(離反)하는 이반 위치에 요동 가능하게 레버 부재를 스풀 본체에 설치하고, 스풀 외부로 노출하는 손잡이부를 레버 부재에 설치하며, 손잡이부를 손으로 조작하여 레버 부재를 이반 위치로 요동시키고, 스풀을 스풀 축으로부터 떼어내고 있다. 레버 부재는, 판 스프링에 의하여 계지 위치 측으로 압박되어 있다. 이와 같은 후자의 구조는, 레버 부재를 요동시켜 스풀을 떼어내는 조작을 행할 수 있으므로, 스풀 축 방향의 길이는 비교적 짧아지게 된다. 그러나, 요동 조작이 필요하기 때문에, 푸시 버튼에 의한 탈착 조작에 비하여 탈착 조작을 행하기 어렵다.
<특허 문헌 1> 일본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실개평06-068447호
<특허 문헌 2>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0-201600호
전자의 종래 기술과 같은 탈착 조작이 용이한 푸시 버튼에 의하여 스풀을 원터치로 탈착 가능한 기구를, 후자의 편 베어링 릴의 스풀의 탈착 구조에 적용하면, 스풀의 축 방향 길이가 길어진다. 즉, 푸시 버튼을 이용한 탈착 구조에서는, 테이퍼부를 가지고 축 방향으로 긴 푸시 버튼을 한층 더 축 방향으로 이동시키지 않으면 안 되기 때문에, 탈착 구조의 축 방향 길이가 길어진다. 이와 같은 탈착 기구를 베어링의 축 방향 선단 측에 배치하지 않으면 안 되기 때문에, 푸시 버튼이 스풀의 단면으로부터 돌출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푸시 버튼의 조작에 의하여 원터치로 탈착 가능한 낚시용 릴 부품에 있어서, 탈착 구조의 축 방향 길이를 짧게 하는 것에 있다.
발명 1에 관련되는 낚시용 릴 부품은, 선단에 형성된 환상 홈을 가지는 낚시용 릴의 축 부재에 대하여 원터치로 탈착 가능한 부품이고, 부품 본체와, 스프링 부재와, 덮개 부재와, 푸시 버튼과, 스프링 배치 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부품 본체는, 축 부재가 관통하는 관통부와, 축 부재가 관통하는 단면에 형성된 장착 공간을 가지는 것이다. 스프링 부재는, 환상 홈에 계지되도록 대향하여 배치된 한 쌍의 계지부를 가지고, 장착 공간에 장착된 부재이다. 덮개 부재는, 스프링 부재를 빠지지 않도록 방지하기 위하여 장착 공간을 덮도록 부품 본체에 고정된 부재이다. 푸시 버튼은, 덮개 부재에 축 방향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덮개 부재의 중심으로부터 외방으로 노출하는 압압 조작부와, 압압 조작부에 축 방향으로 돌출하여 설치되며 계지부의 사이에 선단이 삽입되고 또한 축 방향의 이동에 의하여 한 쌍의 계지부의 간격을 넓히도록 축 부재를 사이에 두고 배치되는 끝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한 쌍의 테이퍼부를 가지며, 압압 조작부의 압압 조작에 의하여 축 부재의 환상 홈과 스프링 부재의 계합을 해제하기 위한 버튼이다. 스프링 배치 부재는, 한 쌍의 테이퍼부가 각각 통과 가능한 제1 통과 구멍을 가지고, 스프링 부재를 덮개 부재와의 사이에 배치하는 부재이다.
이 낚시용 릴 부품에서는, 예를 들어 베어링으로서 기능하는 스프링 배치 부재가 축 부재에 설치되어 있어도, 푸시 버튼의 한 쌍의 테이퍼부가 스프링 배치 부재의 제1 통과 구멍을 통과하여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스프링 배치 부재와 덮개 부재의 사이에 배치된 스프링 부재의 계지부가 푸시 버튼의 압압 조작에 의하여 테이퍼부에 의하여 벌어져 환상 홈으로부터 떼어내지고, 낚시용 릴 부품을 축 부재로부터 떼어낼 수 있다. 여기에서는, 한 쌍의 테이퍼부가 스프링 배치 부재를 관통할 수 있도록 스프링 배치 부재에 제1 통과 구멍을 형성하였으므로, 스프링 배치 부재의 제1 통과 구멍을 관통하여 테이퍼부를 배치하는 것에 의하여, 스프링 배치 부재와 푸시 버튼을 축 방향으로 겹쳐서 배치할 수 있고, 푸시 버튼에 의한 탈착 구조의 축 방향 길이를 짧게 할 수 있다.
발명 2에 관련되는 낚시용 릴 부품은, 발명 1에 기재된 릴 부품에 있어서, 장착 공간은, 관통부와 동심으로 원형으로 형성되고, 스프링 부재는, 탄성 선재제(線材製)이고, 양 계지부의 일단을 계지부의 타단을 돌아 연결하는 C자상의 연결부를 더 가진다. 이 경우에는, 한 쌍의 계지부가 C자상의 연결부에 의하여 연결되므로 스프링 부재가 대략 원형이 되는 것과 함께, 장착 공간이 관통부와 동심으로 형성된 원형이므로, 계지부가 축 부재의 환상 홈에 계지되는 스프링 부재를 장착 공간에 장착하기 쉬워진다.
발명 3에 관련되는 낚시용 릴 부품은, 발명 1 또는 2에 기재된 릴 부품에 있어서, 스프링 배치 부재는, 부품 본체를 축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베어링이다. 이 경우에는, 베어링에 의하여 부품 본체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여도, 탈착 구조의 축 방향 길이를 짧게 할 수 있다.
발명 4에 관련되는 낚시용 릴 부품은, 발명 1 내지 3 중 어느 한 발명에 기재된 부품에 있어서, 압압 조작부는, 덮개 부재에 축 방향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적어도 일부가 축 부재의 외주 측에 배치되는 통상부와, 통상부의 일단에 일체로 형성되고 덮개 부재의 중심으로부터 외부로 노출하는 바닥부를 가지고, 한 쌍의 테이퍼부는, 통상부의 일부를 노치(notch)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테이퍼부를 푸시 버튼의 통상부에 형성하였으므로, 통상부와 별도로 테이퍼부를 설치하는 구성에 비하여 푸시 버튼의 축 방향 길이가 짧아지고, 푸시 버튼에 의한 탈착 구조의 축 방향 길이를 한층 더 짧게 할 수 있다.
발명 5에 관련되는 낚시용 릴 부품은, 발명 1 내지 4 중 어느 한 발명에 기재된 릴 부품에 있어서, 푸시 버튼은, 한 쌍의 테이퍼부의 사이에 테이퍼부와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한 쌍의 가이드부를 더 가지고, 스프링 배치 부재는, 한 쌍의 가이드부가 각각 통과 가능한 한 쌍의 제2 통과 구멍을 더 가진다. 이 경우에는, 푸시 버튼이 가이드부에서도 덮개 부재에 지지되므로 푸시 버튼의 축 방향의 움직임이 보다 부드럽게 된다.
발명 6에 관련되는 낚시용 릴 부품은, 발명 5에 기재된 릴 부품에 있어서, 스프링 배치 부재는, 부품 본체에 회전 방지된 상태로 장착되고, 제2 통과 구멍은, 한 쌍의 테이퍼부의 선단이 스프링 부재의 계지부의 사이에 배치되도록 가이드부의 둘레 방향 위치를 제한한다. 이 경우에는, 스프링 배치 부재가 부품 본체에 소정의 둘레 방향 위치에서 장착되고, 나아가 가이드부의 둘레 방향 위치가 제2 통과 구멍에 의하여 제한되므로, 가이드부를 제2 통과 구멍에 통과시키면, 한 쌍의 테이퍼부가 일정한 둘레 방향 위치에 배치된다. 이 때문에, 조립 시에 스프링 부재의 계지부의 사이에 테이퍼부를 배치하기 쉬워진다.
발명 7에 관련되는 낚시용 릴 부품은, 발명 1 내지 6 중 어느 한 발명에 기재된 릴 부품에 있어서, 스프링 배치 부재는, 스프링 부재의 둘레 방향 위치를 위치 결정하여 상기 장착 공간에 배치 가능한 복수의 위치 결정 돌기를 가진다. 이 경우에는, 스프링 부재의 둘레 방향 위치가 소정의 위상으로 결정되므로, 조립 시에 스프링 부재의 계지부의 사이에 테이퍼부를 배치하기 쉬워진다. 특히, 테이퍼부를 일정한 둘레 방향 위치에 배치할 수 있도록 규제하면, 스프링 부재를 배치한 후에 푸시 버튼을 배치하는 것만으로 테이퍼부를 계지부의 사이에 배치할 수 있고, 한층 더 조립하기 쉬워진다.
발명 8에 관련되는 낚시용 릴 부품은, 발명 1 내지 7 중 어느 한 발명에 기재된 릴 부품에 있어서, 푸시 버튼은, 통상부의 타단에 형성되고, 덮개 부재로부터 외방으로 푸시 버튼이 빠지지 않도록 하기 위한 빠짐 방지 돌기를 더 가진다. 이 경우에는, 푸시 버튼이 스프링 부재에 의하여 빠지는 방향으로 압박되어도, 푸시 버튼이 덮개 부재로부터 빠지지 않게 된다.
발명 9에 관련되는 낚시용 릴 부품은, 발명 1 내지 8 중 어느 한 발명에 기 재된 릴 부품에 있어서, 축 부재는, 낚시용 릴로서의 편 베어링 릴의 릴 본체에 고정되게 장착된 스풀 축이고, 부품 본체는, 스풀 축에 회전 가능하고 또한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며 외주에 낚싯줄이 감기는 편 베어링 릴의 스풀 본체이다. 이 경우에는, 편 베어링 릴에 푸시 버튼에 의한 탈착 구조를 채용하여도, 탈착 구조의 축 방향 길이가 짧아지므로, 푸시 버튼이 스풀의 단면으로부터 돌출하지 않게 된다.
<실시예>
〔전체의 구성〕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편 베어링 릴을 도시하고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있어서 편 베어링 릴은, 릴 본체(1)와, 릴 본체(1)에 캔틸레버(片持, cantilever) 지지된 스풀 축(2, 축 부재의 일례)과, 스풀 축(2)에 대하여 상대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외주에 낚싯줄이 감기는 스풀(3, 낚시용 릴 부품의 일례)과, 스풀(3)의 한 방향의 회전을 제동하는 드랙(drag) 기구(4)를 구비하고 있다.
〔릴 본체의 구성〕
릴 본체(1)는, 일방(一方) 측 (도 2 좌측)에 원반상(圓盤狀)의 측판(10)을 가지고, 타방(他方) 측은 개방되어 있다. 측판(10)의 외주에는,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하 한 쌍의 보호부(11a, 11b)가 원주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측(上側)의 보호부(11a)에는, 이 편 베어링 릴을 낚싯대에 장착하기 위한 장착부(12)가 설치되어 있다. 측판(10)의 중심부에는,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스풀 축(2)을 고정하기 위한 암나사 구멍(10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암나 사 구멍(10a)의 외주 측의 내측면에는, 암나사 구멍(10a)과 동심으로 통상의 드랙 수납부(10b)가 형성되어 있다. 드랙 수납부(10b)에는, 직경 상에 한 쌍의 슬릿(slit)(10c, 10c)이 형성되어 있다. 드랙 수납부(10b)의 슬릿 형성 부분의 내주면(內周面)에는, 환상의 드랙 계지 홈(10d)이 형성되어 있다.
〔스풀 축의 구성〕
스풀 축(2)은,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 기단부(基端部)가 릴 본체(1)의 측판(10)의 중심부에 형성된 암나사 구멍(10a)에 돌려 끼움 고정되어 있다. 스풀 축(2)의 기단부에는, 측판(10)의 암나사 구멍(10a)에 나사로 감합(嵌合)하는 수나사부(2a)가 형성되어 있다. 이 수나사부(2a)는, 릴 본체(1)의 측판(10)의 중심부로부터 외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또한, 스풀 축(2)의 선단에는, 제1 환상 홈(2b)과, 제1 환상 홈(2b)보다 대경이고 선단이 끝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머리부(2c)가 형성되어 있다. 제1 환상 홈(2b)에 인접하여 스풀 축(2)의 선단부를 지지하는 미끄럼 베어링(21)이 장착되는 베어링 지지부(2d)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베어링 지지부(2d)의 기단 측은, 베어링 지지부(2d)보다 대경으로 형성되고, 거기에는, 제2 환상 홈(2e)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그 기단 측에는 수나사부(2a)에 인접하여 서로 평행한 모따기부(2f)가 형성되어 있다. 이 모따기부(2f)에 스패너(spanner) 등의 공구를 계지하여 스풀 축(2)을 측판(10)에 돌려 끼울 수 있다.
〔스풀의 구성〕
스풀(3)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풀 본체(5, 부품 본체의 일례)와, 스풀 본체(5)를 원터치로 스풀 축(2)으로부터 떼어내기 위한 원터치 탈착 기구(6)를 가지고 있다. 스풀 본체(5)는, 통상의 권사(卷絲) 몸통부(15)와, 권사 몸통부(15)의 일단부에 권사 몸통부(15)와 일체로 형성된 원반상의 내(內) 플랜지(flange)(16a)와, 권사 몸통부(15)의 타단부에 릴 본체(1)의 개방부를 덮도록 일체로 형성된 외(外) 플랜지(16b)와, 권사 몸통부(15)의 내주 측에 배치되는 보스부(17)와, 권사 몸통부(15)와 보스부(17)를 연결하는 원판상(圓板狀)의 연결부(18)를 가지고 있다. 권사 몸통부(15), 내 플랜지(16a), 외 플랜지(16b) 및 연결부(18)에는, 경량화를 도모하는 것과 함께 의장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복수의 원형의 빼기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내 플랜지(16a)는 릴 본체(1)의 측판(10)과 대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외 플랜지(16b)는, 내 플랜지(16a)보다 대경으로 형성되고, 그 외측면에는, 핸들(16c)과, 핸들(16c)과 중심 대칭으로 배치된 밸런스 웨이트(balance weight, 16d)가 장착되어 있다.
보스부(17)는, 스풀 축(2)이 관통 가능한 관통 구멍(17d)을 가지는 통상의 부재이고, 선단 측은 원터치 탈착 기구(6)를 구성하는 덮개 부재(31)로 덮여 있다. 보스부(17)는, 스풀 축(2)이 관통하는 선단면에 관통 구멍(17d)과 동심으로 형성된 원형의 장착 공간(17e)을 가지고 있다. 보스부(17)의 선단부 외주면에는, 수나사부(17a)가 형성되어 있다. 보스부(17)의 관통 구멍(17d)에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직경 상에 배치되고 축 방향의 전체 길이에 걸쳐 형성된 2개의 제1 계지 홈(17b)과, 보스부(17)의 기단부 (도 4 좌단)로부터 축 방향의 도중까지 형성된 4개의 제2 계지 홈(17c)이 형성되어 있다. 이 제1 계지 홈(17b) 및 제2 계지 홈(17c)은, 둘레 방향의 6개의 동등한 간격으로 배치된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제1 및 제2 계지 홈(17b, 17c)은, 후술하는 롤러 클러치(roller clutch, 23)의 외륜(外輪, 25)을 회전 방지하는 것과 함께, 제1 계지 홈(17b)은, 후술하는 미끄럼 베어링(21)을 회전 방지한다. 또한, 축 방향의 도중까지 형성된 제2 계지 홈(17c)은, 롤러 클러치(23)의 축 방향 위치를 위치 결정 가능하다. 스풀(3)은, 보스부(17)의 기단부에 장착된 볼 베어링(22)과, 보스부(17)의 선단부에 장착된 미끄럼 베어링(21)에 의하여 스풀 축(2)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또한, 양 베어링(21, 22)의 사이에는, 롤러 클러치(23)가 장착되어 있다.
〔롤러 클러치의 구성〕
롤러 클러치(23)는, 스풀(3)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고, 드랙 기구(4)가 권사 방출 방향으로만 작동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롤러 클러치(23)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보스부(17)의 내주면에 형성된 제1 및 제2 계지 홈(17b, 17c)에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된 외륜(25)과, 스풀 축(2)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내륜(內輪, 26)과, 양륜(25, 26)의 사이에 양자에 접촉 가능하게 배치된, 예를 들어 6개의 롤러(27)를 가지는 내륜 공회전(idling)형의 원웨이 클러치이다. 롤러(27)는, 도시하지 않는 유지기에 의하여 외륜(25) 내에 장착되어 있다.
외륜(25)은, 양단이 내방(內方)으로 만곡(彎曲)한 금속제의 통상 부재이고, 그 내주면에는, 외방으로 볼록하게 만곡한 캠(cam)면 (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다. 캠면은, 일단 측에서 롤러(27)가 내륜(26)과 외륜(25)의 사이로 들어가고, 타단 측에서 양륜(25, 26)으로부터 떨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외륜(25)의 외주면에는, 캠면이 형성된 위치에 계지 돌기(25b)가 형성되어 있다. 계지 돌기(25b)는, 보스부(17)의 내주면에 형성된 6개의 계지 홈(17b, 17c)에 회전 불가능하게 계지되는 돌기이다. 이 계지 돌기(25b)의 형상은, 보스부(17)의 계지 홈(17b, 17c)에 회전 불가능하게 계지되는 구조이면, 보스부(17)에 면으로 접촉하여도 점으로 접촉하여도 무방하다.
내륜(26)은, 금속제의 통상 부재이고, 외륜(25)보다 길게 측판(10) 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내륜(26)의 돌출단에는, 도 3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축 방향으로 돌출하는 한 쌍의 계지 돌기(26a)가 형성되어 있다. 이 계지 돌기(26a)는, 드랙 기구(4)를 내륜(26)에 회전 불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하여 설치되어 있다. 내륜(26)은, 스풀 축(2)에 끼워진 스냅 링(snap ring, 24)과 릴 본체(1)의 측판(10)의 벽면에 의하여 축 방향의 이동이 규제되어 있다. 또한, 내륜(26)의 선단부에는, 외륜(25)의 축 방향의 이동을 규제하는 단면이 직사각형의 탄성체제의 O링(28)이 장착되는 환상 오목부(26b)가 형성되어 있다. O링(28)의 외경(外徑)은, 외륜(25)에 접촉 가능한 직경이다. 환상 오목부(26b)는, 선단 측 (도 4 우측)의 벽면이 스풀 축(2)과 직교하는 평면이고, 기단 측 (도 4 좌측)의 벽면이 완만한 테이퍼면으로 되어 있다.
롤러 클러치(23)는, 스풀(3)을 떼어낼 때에는, 볼 베어링(22)과 함께 스풀 축(2)에 남아 있다. 또한, 왼쪽 감기와 오른쪽 감기로 롤러 클러치(23)의 역전 금지 방향을 변경할 때에는, O링(28)을 환상 오목부(26b)로부터 떼어내는 것에 의하여, 내륜(26)으로부터 외륜(25) 및 롤러(27)를 일체로 스풀 축(2)으로부터 떼어낼 수 있다. 이 상태에서 도 4의 좌우를 반전하여 외륜(25) 및 롤러(27)를 내륜(26) 에 끼워 넣고, O링(28)을 환상 오목부(26b)에 다시 장착하는 것에 의하여 외륜(25)이 빠지지 않도록 방지되고, 반전 전처럼 역방향의 회전이 금지된다.
〔원터치 탈착 기구의 구성〕
원터치 탈착 기구(6)는, 도 3, 도 4 및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풀 축(2)의 제1 환상 홈(2b)에 계지되는 탄성 선재제의 스프링 부재(30)와, 스프링 부재(30)를 빠지지 않도록 방지하기 위하여 장착 공간(17e)을 덮도록 보스부(17)의 선단에 돌려 끼움 고정된 덮개 부재(31)와, 덮개 부재(31)에 축 방향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푸시 버튼(32)과, 스프링 부재(30)를 덮개 부재(31)와의 사이에 배치하기 위한 스프링 배치 부재로서 기능하는 전술한 미끄럼 베어링(21)을 가지고 있다.
스프링 부재(30)는, 스풀(3)을 스풀 축(2)에 축 방향 이동 불가능하게 장착하기 위한 스프링이다. 또한, 스프링 부재(30)는, 푸시 버튼(32)을 전방(前方, 도 4 우방(右方))으로 압박하는 기능도 가지고 있다. 스프링 부재(30)는, 탄성 선재를 꺾어 구부려 형성된 것이고, 변형하였을 때에 압박력이 생기도록 되어 있다. 스프링 부재(30)는,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환상 홈(2b)에 계지되도록 대향하여 배치된 직선상(直線狀)의 한 쌍의 계지부(30a, 30b)와, 양 계지부(30a, 30b)의 일단으로부터 꺾어 구부려 양 계지부(30a, 30b)의 타단을 돌아 연결하는 C자상의 연결부(30c)를 가지고, 장착 공간(17e)에 장착되어 있다.
덮개 부재(31)는, 중심에 푸시 버튼(32)을 축 방향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관통 구멍(31a)이 형성된 바닥부이 있는 통상 부재이다. 덮개 부재(31)의 통부(31b)의 내주면에는, 보스부(17)의 수나사부(17a)에 나사로 감합하는 암나사부 (31c)가 형성되어 있다. 덮개 부재(31)의 바닥부(31d)의 바닥면 내측과 보스부(17)의 선단면으로부터 이반하여 배치되고, 양자의 사이에는 장착 공간(17e)이 형성되어 있다. 덮개 부재(31)의 바닥부(31d)의 외측면은, 구면상(球面狀)으로 만곡하고 있다.
푸시 버튼(32)은, 스풀(3)을 스풀 축(2)으로부터 떼어낼 때에 사용되는 버튼이다. 푸시 버튼(32)은, 도 4 및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덮개 부재(31)의 중심으로부터 외방으로 노출하는 압압 조작부(32a)와, 압압 조작부(32a)에 축 방향으로 돌출되어 설치되고 스프링 부재(30)의 한 쌍의 계지부(30a, 30b)의 사이에 선단이 삽입되며 또한 축 방향의 이동에 의하여 한 쌍의 계지부(30a, 30b)의 간격을 넓히도록 스풀 축(2)을 사이에 두고 배치되는 끝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한 쌍의 테이퍼부(32b)를 가지고 있다. 테이퍼부(32b)는, 둘레 방향의 양측에 끝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테이퍼면(32g)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푸시 버튼(32)은, 한 쌍의 테이퍼부(32b)의 사이에 테이퍼부(32b)와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한 쌍의 가이드부(32c)를 가지고 있다. 푸시 버튼(32)은, 압압 조작부(32a)의 압압 조작에 의하여 스풀 축(2)의 제1 환상 홈(2b)과 스프링 부재(30)의 계합을 해제하기 위한 것이다.
압압 조작부(32a)는, 덮개 부재(31)의 관통 구멍(31a)에 축 방향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적어도 일부, 구체적으로 선단부 스풀 축(2)의 선단부의 외주 측에 배치되는 통상부(32e)와, 상기 통상부의 일단에 일체 형성되고 덮개 부재(31)의 관통 구멍(31a)으로부터 외부로 노출하는 바닥부(32f)를 가지고 있다. 이 통상부 (32e)의 일부를 노치하여 테이퍼부(32b) 및 가이드부(32c)가 형성되어 있다. 덧붙여, 테이퍼부(32b)의 길이는, 통상부(32e, 가이드부(32c))의 길이보다 조금 짧다. 따라서, 테이퍼부(32b) 및 가이드부(32c)는, 통상부(32e)의 기능, 즉, 덮개 부재(31)에 축 방향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기능도 가지고 있다. 통상부(32e)의 선단부에는, 직경 방향 외방으로 돌출하여 덮개 부재(31)로부터 외방으로 푸시 버튼(32)이 빠지지 않도록 하기 위한 빠짐 방지 돌기(32d)가 형성되어 있다.
스프링 배치 부재로서의 미끄럼 베어링(21)은, 예를 들어, 폴리아세탈(polyacetal) 수지 등의 경질이고 미끄럼이 좋은 합성 수지제의 부시(bush)이다. 미끄럼 베어링(21)은,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외주면에 보스부(17)의 선단면에 접촉하는 테두리부(21a)를 가지는 것과 함께 내주면에 스풀 축(2)의 베어링 지지부(2d)에 접촉하는 접촉면(21b)을 가지고 있다. 테두리부(21a) 배면 측의 직경 상의 2개소(個所)에는, 보스부(17)의 제1 계지 홈(17b)에 계합하는 회전 방지 돌기(21c)가 형성되어 있다. 이 회전 방지 돌기(21c)가 제1 계지 홈(17b)에 계합하는 것에 의하여, 미끄럼 베어링(21)이 스풀(3)에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된다.
미끄럼 베어링(21)에는, 푸시 버튼(32)을 통과 가능하게 하기 위한 한 쌍의 제1 통과 구멍(21d) 및 제2 통과 구멍(21e)이 축 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각각의 통과 구멍(21d, 21e)은, 직경 상에 배치되어 있고, 제1 통과 구멍(21d)은, 빠짐 방지 돌기(32d)를 포함하는 한 쌍의 테이퍼부(32b)가 통과 가능한 구멍이고, 제2 통과 구멍(21e)은, 빠짐 방지 돌기(32d)를 포함하는 한 쌍의 가이드부(32c)가 통과 가능한 구멍이다. 제1 통과 구멍(21d)은, 테이퍼부(32b)가 통과 가능한 원호상(圓弧狀)의 구멍이다. 제2 통과 구멍(21e)은, 가이드부(32c)의 둘레 방향의 양측면에 접근 가능하게 형성된 원호상의 구멍이고, 푸시 버튼(32)의 둘레 방향 위치를 규제하여 회전 방지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제1 통과 구멍(21d)의 내주부 측 및 제2 통과 구멍(21e)의 둘레 방향의 양측에는, 푸시 버튼(32)을 향하여 축 방향으로 돌출하는 제1 및 제2 위치 결정 돌기(21f, 21g)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제1 및 제2 위치 결정 돌기(21f, 21g)는, 스프링 부재(30)의 둘레 방향 위치를 규제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제2 통과 구멍(21e)에 의하여 회전 방지된 푸시 버튼(32)의 테이퍼부(32b)가 계지부(30a, 30b)의 사이에 배치되도록, 제1 및 제2 위치 결정 돌기(21f, 21g)는, 스프링 부재(30)의 둘레 방향 위치를 규제한다.
이와 같은, 제1 위치 결정 돌기(21f)와, 그것과 간격을 두고 배치된 제2 위치 결정 돌기(21g)의 사이에 스프링 부재(30)의 한 쌍의 계지부(30a, 30b)를 배치하는 것에 의하여, 푸시 버튼(32)의 가이드부(32c)를 제2 통과 구멍(21e)에 삽입하는 것만으로, 테이퍼부(32b)가 한 쌍의 계지부(30a, 30b) 사이에 배치되게 된다. 이 때문에, 조립 시에, 스프링 부재(30)와 푸시 버튼(32)의 둘레 방향 위치를 고려하여 끼워 넣을 필요가 없어지고, 원터치 탈착 기구(6)의 조립 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은 구성의 원터치 탈착 기구(6)에서는, 한 쌍의 테이퍼부(32b)가 스프링 배치 부재인 미끄럼 베어링(21)을 관통할 수 있도록 미끄럼 베어링(21)에 제1 통과 구멍(21d)을 형성하였으므로, 제1 통과 구멍(21d)을 관통하여 테이퍼 부(32b)를 배치하는 것에 의하여, 미끄럼 베어링(21)과 푸시 버튼(32)을 축 방향으로 겹쳐서 배치할 수 있고, 푸시 버튼(32)에 의한 원터치 탈착 기구(6)의 축 방향 길이를 짧게 할 수 있다.
나아가, 테이퍼부(32b)를 푸시 버튼(32)의 통상부(32e)에 형성하였으므로, 통상부와 별도로 테이퍼부를 설치하는 구성에 비하여 푸시 버튼(32)의 축 방향 길이가 짧아지고, 푸시 버튼(32)에 의한 원터치 탈착 기구(6)의 축 방향 길이를 한층 더 짧게 할 수 있다.
〔드랙 기구의 구성〕
드랙 기구(4)는, 도 3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내륜에 회전 불가능하게 계지되는 회전 원판(40)과, 릴 본체(1)에 스풀 축(2)을 따르는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또한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되고 회전 원판(40)에 압접(壓接) 가능한, 예를 들어 2매의 제동 원판(41, 42)과, 릴 본체(1)에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제동 원판(41, 42)을 회전 원판(40) 측에 압접하기 위한 압접 기구(43)를 가지고 있다. 또한, 드랙 기구(4)는, 제동 원판(41)과 반대 측에서 회전 원판(40)에 압접 가능한 드랙 링(44)과, 드랙 링(44)에 압접 가능한 귀붙이 링(45)과, 귀붙이 링(45)을 빠지지 않도록 방지하는 스냅 링(46)을 가지고 있다.
회전 원판(40)과 제동 원판(41)의 사이에는, 양자의 상대 회전, 즉 드랙 작동 시에 발음(發音)하는 제1 발음 기구(47)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압접 기구(43)에는, 드랙력을 조정할 때에 발음하는 제2 발음 기구(48)가 설치되어 있다.
회전 원판(40)은,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stainless) 등의 금속제의 부재이 고, 내주부에 내륜(26)의 계지 돌기(26a)에 계지되는 한 쌍의 계지 홈(40a)을 가지고 있다. 또한, 회전 원판(40)의 직경 방향의 중간부에는, 링상의 오목부(40b)가 형성되어 있다. 이 오목부(40b)에는, 제1 발음 기구(47)를 구성하는 링상의 제1 발음 부재(60)가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제동 원판(41)은,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 등의 금속제의 부재이고, 직경 방향의 중간부에는, 둘레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배치된 예를 들어 3개의 환(丸) 구멍(41a)이 형성되어 있다. 제동 원판(42)은, 예를 들어 탄소 섬유에 열경화성 수지를 함침시킨 섬유 강화 수지로 이루어지고, 직경 방향의 중간부에는, 둘레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배치된 예를 들어 3개의 환 구멍(42a)이 형성되어 있다. 양 환 구멍(41a, 42a)은 같은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드랙 링(44)은, 예를 들어 탄소 섬유에 열경화성 수지를 함침시킨 섬유 강화 수지의 부재이다. 귀붙이 링(45)은,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 등의 금속제의 부재이고, 드랙 수납부(10b)에 형성된 슬릿(10c, 10c)에 계합하는 직경 방향으로 돌출하는 귀부를 외주부에 가지는 귀붙이 와셔(washer)이다. 스냅 링(46)은, 드랙 계지 홈(10d)에 장착되는 예를 들어 C형 스냅 링이다. 스냅 링(46)은, 귀붙이 링(45)을 빠지지 않도록 방지하는 것과 함께, 압접 기구(43)에 의하여 압압된 힘을 받기 위하여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드랙 링(44)과, 귀붙이 링(45)을 회전 원판(40)에 대하여 추가하는 것에 의하여 드랙력을 크게 할 수 있다. 따라서, 큰 드랙력이 필요한 대형의 편 베어링 릴에는, 드랙 링(44) 및 귀붙이 링(45)을 드랙 기구(4)에 추가하고, 그 것보다 작은 드랙력으로 충분한 중소형의 편 베어링 릴에서는, 회전 원판(40)과 2매의 제동 원판(41, 42)으로 드랙 기구를 구성하는 것에 의하여, 복수의 형식의 편 베어링 릴의 드랙 기구의 부품의 공통화를 도모할 수 있다.
압접 기구(43)는, 조작 손잡이(51)와, 조작 손잡이(51)에 의하여 압압되는 3매의 접시 스프링(52)과, 접시 스프링에 의하여 압압되는 와셔(53)와, 와셔(53)에 의하여 압압되는, 예를 들어 3개의 압압 핀(54, 도 4에서는 1개만 도시)을 가지고 있다. 덧붙여, 도 4에서는, 스풀 축심(X)의 상측에 드랙 해방 상태를, 하측에 최대 드랙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조작 손잡이(51)는, 테두리붙이 접시상의 손잡이부(51a)와, 손잡이부(51a)의 중심에 일체 형성된 보스부(51b)를 가지고 있다. 손잡이부(51a)의 직경 방향의 중간부 배면에는, 제2 발음 기구(48)의 제2 발음 부재(65)가 나사에 의하여 회전 불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보스부(51b)는, 스풀 축(2)의 선단에 형성된 수나사부(2a)에 나사로 감합하고 있다. 조작 손잡이(51)는, 스풀 축(2)의 기단면에 장착된 빠짐 방지 볼트(55)에 의하여 빠지지 않도록 방지되어 있다.
3매의 접시 스프링(52)은, 보스부(51b)의 외주 측에 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장착되어 있고, 조작 손잡이(51)의 회전에 의하여 신축하여 드랙력을 세세하게 조정하기 위하여 설치되어 있다. 와셔(53)는, 접시 스프링(52)의 압박력을 압압 핀(54)으로 전달하기 위하여 설치되어 있다. 압압 핀(54)은, 선단 측이 소경의 단붙이 핀이고, 측판(10)에 둘레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3개소에 형성된 관통 구멍(10f)에 대경 부분이 축 방향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압압 핀(54)의 선단은, 제 동 원판(41, 42)에 형성된 환 구멍(41a, 42a)에 관통되어 있고, 양 원판(41, 42)을 릴 본체(1)에 대하여 회전 불가능하게 계지하고 있다. 압압 핀(54)의 단차 부분은 제동 원판(42)에 접촉하고 있다. 이것에 의하여 제동 원판(42)은 압압 핀(54)에 의하여 압압된다. 접시 스프링(52)의 스프링력을 조작 손잡이(51)의 회동(回動, 정방향 역방향으로 원운동 함) 조작에 의하여 조정하는 것으로, 제동 원판(41, 42)과 회전 원판(40)과 드랙 링(44)과 귀붙이 링(45)의 마찰력이 변화하여 드랙력을 조정할 수 있다.
제1 발음 기구(47)는, 제1 발음 부재(60)와, 제1 발음 부재(60)로의 충돌을 반복하는 제1 발음 핀(61)과, 제1 발음 핀(61)을 제1 발음 부재(60) 측으로 압압하는 제1 코일 스프링(62)을 가지고 있다. 제1 발음 기구(47)는, 제동 원판(41, 42)과 회전 원판(40)이 상대 회전하는 드랙 작동 시에 발음한다. 제1 발음 부재(60)는, 전술과 같이 회전 원판(40)에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된 링상의 부재이고, 그 제1 발음 핀(61) 측의 측면에는,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다수의 제1 발음 오목부(60a)가 형성되어 있다. 제1 발음 핀(61)은, 측판(10)의 내측면에 형성된 오목부(10e)에 축 방향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제1 발음 핀(61)은 머리부가 구상(球狀)이고 소경이며, 드랙 작동 시에 제1 발음 부재(60)의 제1 발음 오목부(60a)에서 충돌을 반복하여, 섬세한 클릭음을 낸다.
제2 발음 기구(48)는, 제1 발음 기구(47)와 대략 동일한 구성이고, 제2 발음 부재(65)와, 제2 발음 핀(66)과, 제2 코일 스프링(67)을 가지고 있다. 제2 발음 기구(48)는, 조작 손잡이(51)를 회전하면 발음한다. 제2 발음 부재(65)에도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다수의 제2 발음 오목부(65a)가 형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스풀(3)의 권사 몸통부(15)의 외주에는 낚싯줄이 감긴다. 낚싯줄을 감아낼 때에는, 핸들(16c)을 조작하여 스풀(3)을 회전시킨다. 스풀(3)은 스풀 축(2)에 대하여 상대 회전한다. 이때, 롤러 클러치(23)는 차단되므로, 외륜(25)은 자유롭게 회전하고 스풀(3)의 감기 방향의 회전은 허용된다. 이 때문에, 스풀(3)은 부드럽게 회전한다.
스풀(3)로부터 낚싯줄을 방출할 때에는, 스풀(3)은 상기와는 역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때, 롤러 클러치(23)는, 연결되므로, 내륜(26)도 외륜(25)과 함께 회전하려고 한다. 그러나, 내륜(26)은, 회전 원판(40)을 통하여 제동 원판(41, 42), 귀붙이 링(45)에 의하여 제동되어 있으므로, 회전력에 대하여 접시 스프링(52)에 의하여 설정된 저항력 (드랙력)이 작용하고 있다. 이 때문에, 스풀(3)이 필요 이상으로 회전하여 낚싯줄이 과잉으로 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낚싯줄이 꼬이는 것을 피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낚싯줄의 방출 시에는, 회전 원판(40)은 스풀(3)과 함께 회전하고, 제동 원판(41, 42), 귀붙이 링(45)은 그 회전이 금지되어 있으므로, 양 원판(40, 41)이 상대 회전하여 제1 발음 기구(47)가 발음한다.
다음으로, 스풀(3)을 스풀 축(2)로부터 떼어낼 때의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스풀(3)을 스풀 축(2)로부터 떼어낼 때에는, 푸시 버튼(32)의 압압 조작부 (32a)를 스풀 축(2)을 향하여 압압한다. 이것에 의하여, 테이퍼부(32b)가 스프링 부재(30)의 계지부(30a, 30b)의 간격을 넓혀 스풀 축(2)의 제1 환상 홈(2b)과의 계합을 해제하고, 스풀(3)을 탈착 가능한 상태로 한다. 푸시 버튼(32)을 압압한 상태에서 스풀(3)을 선단 측 (도 2 우측)으로 당기기 시작하면, 스풀 축(2)으로부터 스풀(3)을 떼어낼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계지부(30a, 30b)가 테이퍼부(32b)에 의하여 넓혀지면, 한 쌍의 계지부(30a, 30b)는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테이퍼부(32b)에 힘을 작용시키므로, 압압 조작부(32a)는 압압 방향과 역방향 (도 2 우방)으로 압박된다. 이 때문에, 압압 조작을 중단하면, 푸시 버튼(32)은 선단 측으로 이동하고, 한 쌍의 계지부(30a, 30b)는 계지 가능 상태로 되돌아온다. 이때, 원웨이 클러치(23) 및 볼 베어링(22)은, 스풀 축(2) 상에 남는다. 한편, 미끄럼 베어링(21)은 스풀(3)과 함께 스풀 축(2)으로부터 떼어내진다. 이 상태를 도 7에 도시한다.
스풀(3)을 스풀 축(2)에 장착할 때에는, 스풀 축(2)의 끝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머리부(2c)에 의하여 스프링 부재(30)의 계지부(30a, 30b)가 넓혀지고, 스프링 부재(30)가 제1 환상 홈(2b)에 위치하면, 탄성에 의하여 제1 환상 홈(2b) 내에 계지부(30a, 30b)가 끼워져 스풀(3)이 스풀 축(2)에 대하여 빠지지 않도록 방지된다.
스풀 축(2)으로부터 스풀(3)을 떼어내면, 롤러 클러치(23)의 장착 방향을 반대 측에 변경하는 것으로, 권사 방향을 역방향으로 변경할 수 있다. 이 경우, 우선, O링(28)을 내륜(26)의 환상 오목부(26b)로부터 떼어낸다. 이것에 의하여, 외 륜(25) 및 롤러(27)가 일체로 내륜(26)으로부터 떼어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외륜(25) 및 롤러(27)를 내륜(26)으로부터 떼어내어 역전시키고 다시 내륜(26)에 장착한다. 그리고, O링(28)을 장착하여 외륜(25)을 빠지지 않도록 방지하는 이것에 의하여, 간단하게 권사 방향을 역방향으로 변경할 수 있다. 여기에서는, 롤러 클러치(23)의 외륜(25)의 빠짐 방지용의 부재로서 탄성체제의 링 부재를 이용하였으므로, 링 부재의 탈착이 용이하다. 이 때문에, 롤러 클러치(23)의 장착 방향을 간단하게 변경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
(a) 상기 실시예에서는, 낚시용 릴 부품으로서 편 베어링 릴의 스풀을 레인지(range)하였지만, 낚시용 릴 부품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축 부재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이면 어떠한 것이라도 무방하다. 예를 들어, 스풀 축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스피닝 릴의 스풀이나 핸들 축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낚시용 릴의 핸들 손잡이여도 무방하다.
도 8에, 스피닝 릴의 스풀에 본 발명을 적용한 경우의 구성을 도시한다.
스풀(104)은,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로터 (도시하지 않음)의 제1 암부와 제2 암부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며, 스풀 축(108)의 선단에 원터치로 탈착 가능하고 또한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스풀 축(108)은, 선단에 형성된 끝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머리부(108a)와, 머리부(108a)보다 내측 (도 8 우측)에 형성된 환상 홈(108b)을 가지고 있다.
스풀(104)은, 스풀 본체(107)와 원터치 탈착 기구(113)를 가지고 있다. 스 풀 본체(107)는, 낚싯줄이 외주에 감기는 권사 몸통부(104a)와, 권사 몸통부(104a)의 후단부에 일체 성형된 통상의 스커트부(104b)와, 권사 몸통부(104a)의 전부에 권사 몸통부(104a)보다 대경으로 형성된 전(前) 플랜지부(104c)를 가지고 있다. 스풀 본체(107)는, 예를 들어 알루미늄 합금제, 마그네슘 합금제, 스테인리스 합금제 등의 금속이나 폴리아미드계 합성 수지 등의 합성 수지제의 것이다.
스풀 본체(107)의 중심에는, 스풀 축(108)이 관통하는 관통 구멍(107a)이 형성되고, 스풀 축(108)이 관통하는 전단면(前端面)에는, 관통 구멍(107a)과 동심으로 통상의 돌출부(107e)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내부에 원터치 탈착 기구(113)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 공간(107b)이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107e)의 내주면에는, 후술하는 덮개 부재(131)를 장착하기 위한 암나사부(107f)가 형성되어 있다. 관통 구멍(107a)의 후단에는, 직경 방향을 따라 회전 방지 홈(107c)이 형성되어 있다. 회전 방지 홈(107c)에는, 스풀 축(108)에 직경 방향을 따라 형성된 핀 구멍(108c)에 장착된 회전 방지 핀(114)이 계지되어 있다. 이 회전 방지 홈(107c)과 회전 방지 핀(114)의 계합에 의하여 스풀(104)이 스풀 축(108)에 대하여 회전 불가능하게 되어 있다.
원터치 탈착 기구(113)는, 스풀 축(108)의 환상 홈(108b)에 계지되는 탄성 선재제의 스프링 부재(130)와, 스프링 부재(130)를 빠지지 않도록 방지하기 위하여 장착 공간(107b)을 덮도록 돌출부(107e)에 돌려 끼움 고정된 덮개 부재(131)와, 덮개 부재(131)에 축 방향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푸시 버튼(132)과, 스프링 부재(130)를 덮개 부재(131)와의 사이에 배치하기 위한 스프링 배치 부재(121)를 가지 고 있다. 스프링 배치 부재(121)는, 스풀 본체(107)에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원터치 탈착 기구(113)를 구성하는 스프링 부재(130) 및 푸시 버튼(132)은, 상기 실시예와 같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덮개 부재(131)는, 중심에 푸시 버튼(132)을 축 방향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관통 구멍(131a)이 형성된 바닥이 있는 통상의 부재이다. 덮개 부재(131)는, 돌출부(107e)의 내주면에 나사로 감합하는 수나사부(131b)를 가지는 통상부(131c)를 가지고 있다. 덮개 부재(131)의 외주부는, 전 플랜지부(104c)의 전면을 덮도록 형성되어 있다.
스프링 배치 부재(121)는, 스프링 부재(130)를 장착 공간(107b)에 배치하기 위하여 설치되어 있다. 스프링 배치 부재(121)에는, 푸시 버튼(132)의 테이퍼부 및 가이드부가 통과 가능한 제1 및 제2 통과 구멍이 상기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위치 결정 돌기도 상기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원터치 탈착 기구(113)의 축 방향 길이를 짧게 할 수 있다.
(b) 상기 실시예에서는, 통상부에 테이퍼부를 형성하였지만, 통상부와 별도로 테이퍼부를 설치하여도 무방하다. 예를 들어, 통상부의 내주 측에 별도의 통상부를 설치하고, 그 통상부를 노치하여 테이퍼부를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나아가 그 통상부에 가이드부를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이 경우에도, 스프링 배치 부재에 제1 통과 구멍을 설치할 필요가 있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한 쌍의 테이퍼부가 스프링 배치 부재를 관통할 수 있도록 스프링 배치 부재에 제1 통과 구멍을 형성하였으므로, 스프링 배치 부재의 제1 통과 구멍을 관통하여 테이퍼부를 배치하는 것에 의하여, 스프링 배치 부재와 푸시 버튼을 축 방향으로 겹쳐서 배치할 수 있고, 푸시 버튼에 의한 탈착 구조의 축 방향 길이를 짧게 할 수 있다.

Claims (9)

  1. 선단(先端)에 형성된 환상(環狀) 홈을 가지는 낚시용 릴의 축 부재에 대하여 원터치(one touch)로 탈착(脫着) 가능한 낚시용 릴 부품이고,
    상기 축 부재가 관통하는 관통부와, 상기 축 부재가 관통하는 단면에 형성된 장착 공간을 가지는 부품 본체와,
    상기 환상 홈에 계지되도록 대향하여 배치된 한 쌍의 계지부를 가지고, 상기 장착 공간에 장착된 스프링 부재와,
    상기 스프링 부재를 빠지지 않도록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장착 공간을 덮도록 상기 부품 본체에 고정된 덮개 부재와,
    상기 덮개 부재에 축 방향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덮개 부재의 중심으로부터 외방(外方)으로 노출하는 압압(押壓) 조작부와, 상기 압압 조작부에 축 방향으로 돌출하여 설치되며 상기 계지부의 사이에 선단이 삽입되고 또한 축 방향의 이동에 의하여 상기 한 쌍의 계지부의 간격을 넓히도록 상기 축 부재를 사이에 두고 배치되는 끝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한 쌍의 테이퍼(taper)부를 가지고, 상기 압압 조작부의 압압 조작에 의하여 상기 축 부재의 환상 홈과 상기 스프링 부재의 계합을 해제하기 위한 푸시 버튼과,
    상기 한 쌍의 테이퍼부가 각각 통과 가능한 한 쌍의 제1 통과 구멍을 가지고, 상기 스프링 부재를 상기 덮개 부재와의 사이에 배치하는 스프링 배치 부재
    를 구비한 낚시용 릴 부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공간은, 상기 관통부와 동심으로 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 부재는, 탄성 선재제(線材製)이고, 상기 양 계지부의 일단(一端)을 상기 계지부의 타단(他端)을 돌아 연결하는 C자상의 연결부를 더 가지는 낚시용 릴 부품.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배치 부재는, 상기 부품 본체를 상기 축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베어링인 낚시용 릴 부품.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압압 조작부는, 상기 덮개 부재에 축 방향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축 부재의 외주(外周) 측에 배치되는 통상부(筒狀部)와, 상기 통상부의 일단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덮개 부재의 중심으로부터 외부로 노출하는 바닥부를 가지고,
    상기 한 쌍의 테이퍼부는, 상기 통상부의 일부를 노치(notch)하여 형성되어 있는 낚시용 릴 부품.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 버튼은, 상기 한 쌍의 테이퍼부의 사이에 상기 테이퍼부와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한 쌍의 가이드부를 더 가지고,
    상기 스프링 배치 부재는, 상기 한 쌍의 가이드부가 각각 통과 가능한 한 쌍의 제2 통과 구멍을 더 가지는 낚시용 릴 부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배치 부재는, 상기 부품 본체에 회전 방지된 상태로 장착되고,
    상기 제2 통과 구멍은, 상기 한 쌍의 테이퍼부의 선단이 상기 스프링 부재의 계지부의 사이에 배치 되도록 상기 가이드부의 둘레 방향 위치를 제한하는 낚시용 릴 부품.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배치 부재는, 상기 스프링 부재의 둘레 방향 위치를 위치 결정하여 상기 장착 공간에 배치 가능한 복수의 위치 결정 돌기를 가지는 낚시용 릴 부품.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 버튼은, 상기 통상부의 타단에 형성되고, 상기 덮개 부재로부터 외방으로 상기 푸시 버튼이 빠지지 않도록 방지하기 위한 빠짐 방지 돌기를 더 가지는 낚시용 릴 부품.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축 부재는, 상기 낚시용 릴로서의 편 베어링 릴의 릴 본체에 고정되게 장착된 스풀 축이고,
    상기 부품 본체는, 상기 스풀 축에 회전 가능하고 또한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며 외주에 낚싯줄이 감기는 편 베어링 릴의 스풀 본체인 낚시용 릴 부품.
KR1020060067386A 2005-07-20 2006-07-19 낚시용 릴 부품 KR1013379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210536A JP4785448B2 (ja) 2005-07-20 2005-07-20 釣り用リール部品
JPJP-P-2005-00210536 2005-07-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1161A true KR20070011161A (ko) 2007-01-24
KR101337924B1 KR101337924B1 (ko) 2013-12-09

Family

ID=373092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7386A KR101337924B1 (ko) 2005-07-20 2006-07-19 낚시용 릴 부품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7374121B2 (ko)
EP (1) EP1745696B1 (ko)
JP (1) JP4785448B2 (ko)
KR (1) KR101337924B1 (ko)
CN (1) CN1899037B (ko)
AT (1) ATE443443T1 (ko)
DE (1) DE602006009346D1 (ko)
MY (1) MY139022A (ko)
SG (1) SG129362A1 (ko)
TW (1) TWI362243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2955B1 (ko) * 2009-08-18 2009-12-21 (주)리버런 안티 리버스타입의 플라이 릴에서 스풀의 원터치식 탈·장착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232922A1 (en) * 2007-03-20 2008-09-25 Vincent Chang Cargo bracing device
GB0801393D0 (en) * 2008-01-25 2008-03-05 Hardy & Greys Ltd Fishing reel with changeable cartridge spool
DE102009056825B4 (de) * 2009-08-17 2013-05-16 Wolfgang Triller Angelrolle, insbesondere für das Fliegenfischen
KR100969227B1 (ko) * 2009-09-28 2010-07-14 주식회사 코커스 낚시용 릴의 브레이크 시스템
JP5616087B2 (ja) * 2010-03-23 2014-10-29 株式会社シマノ 片軸受リール
CN102434547A (zh) * 2010-09-29 2012-05-02 富泰华工业(深圳)有限公司 固定机构
EP2490240A1 (en) * 2011-02-15 2012-08-22 Delphi Technologies, Inc. Rotary switch with push function
JP5907742B2 (ja) * 2012-01-31 2016-04-26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釣糸巻回用スプールと、このスプールを搭載した魚釣用リール
US8480021B1 (en) * 2012-04-20 2013-07-09 Steven A. Sauk Ice fishing reel
TW201444469A (zh) * 2013-05-28 2014-12-01 Jptc Prec Co Ltd 具前打輪快拆裝置的捲線器
JP6374643B2 (ja) * 2013-07-26 2018-08-15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のスプール
JP6198539B2 (ja) * 2013-09-13 2017-09-20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けリール
JP2015065914A (ja) * 2013-09-30 2015-04-13 株式会社シマノ 釣用リール
JP6376739B2 (ja) * 2013-09-30 2018-08-22 株式会社シマノ 釣用リールのスプールユニット
US9554565B2 (en) * 2013-11-19 2017-01-31 3-Tand, Llc Fly fishing reel
JP6759047B2 (ja) * 2016-10-20 2020-09-23 株式会社シマノ 魚釣り用リール
US20190014764A1 (en) * 2017-07-11 2019-01-17 W.C. Bradley/Zebco Holdings, Inc. Inside cover lock mechanism
JP6968640B2 (ja) * 2017-09-19 2021-11-17 株式会社シマノ 釣り用リールのスプール着脱機構および片軸受リール
JP2022172815A (ja) * 2021-05-07 2022-11-17 株式会社東和電機製作所 スベリ軸受及びスベリ軸受を備えた釣り機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65662A (en) * 1954-09-10 1958-12-23 Urfabriken Ab Means for removably mounting a member on a shaft
US4535953A (en) 1983-12-28 1985-08-20 Kabushiki Kaisha Ohmori Seisakusho Spinning type fishing reel with axially adjustable spool
FR2571930B1 (fr) * 1984-10-24 1987-07-03 Mitchell Sports Bobine debrayable pour moulinet de canne a peche
JPH065742Y2 (ja) * 1988-12-02 1994-02-16 島野工業株式会社 釣用リールのスプール
JPH03126471U (ko) * 1990-03-29 1991-12-19
JP2585217Y2 (ja) * 1992-07-03 1998-11-18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
JPH0668447A (ja) 1992-08-21 1994-03-11 Sony Corp 磁気記録媒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2603123Y2 (ja) 1993-03-09 2000-02-28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
US6089484A (en) * 1997-11-14 2000-07-18 Zebco Division Of Brunswick Corporation Bushing for fishing reels
JP3548010B2 (ja) * 1998-07-16 2004-07-28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KR100264093B1 (ko) * 1998-10-08 2000-09-01 박창호 낚시용릴
JP2000166440A (ja) 1998-12-04 2000-06-20 Daiwa Seiko Inc 魚釣用リール
JP4109779B2 (ja) 1999-01-11 2008-07-02 株式会社シマノ 片軸受リール
JP2001017038A (ja) * 1999-07-01 2001-01-23 Ryobi Ltd 魚釣用リール
TW518205B (en) * 2001-02-23 2003-01-21 Shimano Kk Spool of spinning reel
JP3977730B2 (ja) * 2002-12-03 2007-09-19 株式会社シマノ 釣り用リール部品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2955B1 (ko) * 2009-08-18 2009-12-21 (주)리버런 안티 리버스타입의 플라이 릴에서 스풀의 원터치식 탈·장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TE443443T1 (de) 2009-10-15
CN1899037A (zh) 2007-01-24
US7374121B2 (en) 2008-05-20
JP2007020522A (ja) 2007-02-01
JP4785448B2 (ja) 2011-10-05
EP1745696A1 (en) 2007-01-24
MY139022A (en) 2009-08-28
SG129362A1 (en) 2007-02-26
KR101337924B1 (ko) 2013-12-09
TWI362243B (en) 2012-04-21
US20070029427A1 (en) 2007-02-08
DE602006009346D1 (de) 2009-11-05
TW200715959A (en) 2007-05-01
CN1899037B (zh) 2011-06-08
EP1745696B1 (en) 2009-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7924B1 (ko) 낚시용 릴 부품
JP2007020522A5 (ko)
EP2119349B1 (en) Reverse prevention mechanism for lever drag reel
US7108214B2 (en) Drag control member attachment structure
KR101010970B1 (ko) 양 베어링 릴의 클러치 조작 부재
KR101389000B1 (ko) 양 베어링 릴의 캐스트 컨트롤 기구
KR20110019714A (ko) 스피닝 릴의 스풀 연결 구조
KR20080058185A (ko) 스피닝 릴의 릴 본체
JP3977730B2 (ja) 釣り用リール部品
JPH1198940A (ja) 魚釣用両軸受型リールのスプール制動装置
US6655622B2 (en) Spinning reel spool
JP4451773B2 (ja) 両軸受リールのワンウェイクラッチ
JP4381580B2 (ja) 両軸受リールの逆転防止機構
JP4921188B2 (ja) 片軸受リール
KR100264093B1 (ko) 낚시용릴
JPH0371848B2 (ko)
JP2006180777A5 (ko)
JP4109779B2 (ja) 片軸受リール
KR20060047946A (ko) 낚시용 릴의 스풀의 제동 조작 구조
JP4546293B2 (ja) ドラグ操作部材の取付構造
JP2014212754A (ja) 片軸受リール
JP2001224285A (ja) 釣り用リールの軸部品装着構造
JP2009063051A (ja) ローラクラッチ
JP2003235412A (ja) 釣り用リールのハンドル組立体
JP2000253782A (ja) 片軸受リー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