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04898A - 내시경 및 내시경 시스템 - Google Patents

내시경 및 내시경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04898A
KR20070004898A KR1020067022245A KR20067022245A KR20070004898A KR 20070004898 A KR20070004898 A KR 20070004898A KR 1020067022245 A KR1020067022245 A KR 1020067022245A KR 20067022245 A KR20067022245 A KR 20067022245A KR 20070004898 A KR20070004898 A KR 200700048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doscope
illumination
optical system
irradiation range
r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222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47406B1 (ko
Inventor
히로끼 모리야마
Original Assignee
올림푸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올림푸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올림푸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048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48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74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74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64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endoscope body
    • A61B1/00071Insertion part of the endoscope body
    • A61B1/0008Insertion part of the endoscope body characterised by distal tip features
    • A61B1/00096Optical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163Optical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4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combined with photographic or television appliances
    • A61B1/042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combined with photographic or television appliances characterised by a proximal camera, e.g. a CCD camer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6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with illuminating arrang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3/00Telescopes, e.g. binoculars; Periscopes; Instruments for viewing the inside of hollow bodies; Viewfinders; Optical aiming or sighting devices
    • G02B23/24Instruments or systems for viewing the inside of hollow bodies, e.g. fibrescopes
    • G02B23/2407Optical details
    • G02B23/2423Optical details of the distal end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3/00Telescopes, e.g. binoculars; Periscopes; Instruments for viewing the inside of hollow bodies; Viewfinders; Optical aiming or sighting devices
    • G02B23/24Instruments or systems for viewing the inside of hollow bodies, e.g. fibrescopes
    • G02B23/2407Optical details
    • G02B23/2461Illumination

Abstract

통상의 시약각의 내시경 및 광각의 내시경을 사용할 때, 모니터 화면에 나타내는 각각의 촬상면의 밝기의 차이를 경감하고 관찰성이 높은 내시경 시스템을 실현하기 위해, 본 발명의 내시경 시스템은 제1 시야각을 갖는 제1 시야각을 갖는 제1 관찰 광학계와, 제1 조명 광학계를 구비하는 제1 내시경과, 상기 제1 시야각보다도 넓은 제2 시야각을 갖는 제2 조명 광학계를 구비하는 제2 내시경을 구비하는 내시경 시스템이며, 상기 제1 내시경과 상기 제2 내시경의 각각의 삽입부의 선단부로부터 관찰 방향을 향한 임의의 거리에 있어서, 상기 제2 조명 광학계에 의해 조사되는 소정의 조도를 갖는 조명광의 제2 조사 범위를 상기 제1 조명 광학계에 의해 조사되는 상기 소정의 조도를 갖는 제1 조사 범위보다도 넓게 하고 있다.
내시경, 조작부, 삽입부, 광원 장치, 프로세서, 선단부

Description

내시경 및 내시경 시스템 {ENDOSCOPE AND ENDOSCOPE SYSTEM}
본 발명은 내시경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시야각이 다른 2개의 내시경을 포함하는 내시경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내시경은 의료 분야 등에서 널리 이용되고 있다. 내시경은 체강 내에 가늘고 긴 삽입부를 삽입함으로써, 체강 내의 장기 등을 관찰하거나 필요에 따라서 처치구 삽입 관통 채널 내에 삽입한 처치구를 이용하여 각종 처치를 할 수 있다. 삽입부의 선단부에는 만곡부가 설치되어 내시경의 조작부를 조작함으로써, 선단부의 관찰창의 관찰 방향을 변경시킬 수 있다.
종래의 내시경의 시야각은, 예를 들어 140도이며, 의사는 그 시야각의 관찰 화상에 의해 체강 내를 관찰하지만, 체강 내를 관찰 중에 시야 범위 외의 부위를 관찰하고 싶을 때에는, 만곡부를 만곡시킴으로써 시야 범위 외의 부위를 관찰할 수 있다.
한편, 보다 넓은 범위를 관찰할 수 있도록 시야각을 따라 넓게 한 내시경도 제안되어 있다. 이 내시경은 그 넓은 시야각에 의해 촬상 범위가 넓혀지고, 관찰 또는 처치가 필요한 부위를 발견하기 쉽다는 장점이 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참조).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평4-102432호 공보
그러나, 일본 특허 공개 평4-102432호 공보의 제안에 관계되는 광각의 시야각의 내시경에 있어서는, 통상의 시야각의 내시경보다도 넓은 범위를 촬상 가능하기 때문에 소정의 조도 이상의 조명광이 촬상 범위의 주변부에 조사되지 않고, 그 촬상 범위를 나타내는 모니터 화면의 주변부도 어둡게 표시된다. 즉, 통상의 시야각의 내시경의 사용 전후에 광각의 시야각의 내시경을 사용하는 사용자는, 일반적인 내시경과 광각의 내시경이 같은 모니터 화면에 표시하는 각각의 촬상 범위의 중앙부와 주변부의 밝기의 차이에 의한 위화감을 줄 우려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통상의 시야각의 내시경 및 광각의 내시경을 사용할 때, 촬상 범위의 주변부에까지 조명광의 소정의 조도의 배광을 할 수 있고, 모니터 화면에 나타내는 영상의 명암 부분의 차이를 경감하여 관찰성이 높은 내시경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1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내시경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2는 내시경의 선단부의 선단부면의 정면도이다.
도3은 내시경의 선단부를 직사각형 축 방향으로 절단하는 단면도이다.
도4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내시경 시스템의 중심이 된 구성을 도시하는 블럭 구성도이다.
도5는 제1 내시경의 선단부를 조명창과 제1 관찰창의 각각의 창면의 중심을 지나가도록 길이 방향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6은 제2 내시경의 선단부를 조명창과 제2 관찰창의 각각의 창면의 중심을 지나가도록 길이 방향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7은 제1 내시경에 의해 임의의 촬상 거리에 있어서의 평면을 촬상한 촬상 범위가 모니터 화면에 표시되어 있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8은 제2 내시경(1b)에 의해 임의의 촬상 거리에 있어서의 하면을 촬상한 촬상 범위가 모니터 화면에 표시되어 있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9는 제2 내시경(1b)에 의해 임의의 촬상 거리에 있어서의 평면을 촬상한 촬상 범위가 모니터 화면에 표시되어 있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10은 제2 내시경에 의해 임의의 촬상 거리에 있어서의 촬상 범위가 모니터 화면에 표시되어 있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11은 제2 실시 형태의 제2 내시경의 선단부를 조명창과 제2 관찰창의 각각의 창면의 중심을 지나가도록 길이 방향으로 절단하는 단면도이다.
도12는 제2 내시경에 의해 임의의 촬상 거리에 있어서의 평면을 촬상한 촬상 범위가 모니터 화면에 표시되어 있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부호의 설명>
1, 1a, 1b : 내시경
2 : 조작부
3 : 삽입부
3a : 유니버설 코드
4 : 커넥터부
5 : 광원 장치
7 : 모니터
7a : 모니터 화면
8 : 가요관부
9 : 만곡부
10 : 선단부
10a : 선단부 면
10b : 선단부 캡
10c : 외장
11 : 비디오 프로세서
15 : 관찰창
15a : 제1 관찰창
15b : 제2 관찰창
17 : 처치구 채널 개구
18 : 송수 송기 노즐
19 : 전방 송수 개구
21 : 관찰 광학계
21a : 제1 관찰 광학계
21b : 제2 관찰 광학계
22 : 고체 촬상 소자
23 : 회로 기판
24 : 신호 케이블
25 : 처치구 삽입 관통 통
26 : 처치구 채널
30 : 메모리
35 : CDS 회로
36 : 디지털 변환 회로
41 : 분리 처리 회로
42 : 디지털 신호 처리 회로
43 : 문자 정보 중첩 회로
44 : 문자 정보 입력 회로
45 : 디지털/아날로그 신호 변환 회로
46 : 화상 표시 신호 회로
47 : 기준 신호 발생 회로
48 : 타이밍 신호 발생 회로
49 : 표시 화상 절환 입력 회로
50A : 라이트 가이드 번들
53a, 53b : 조명 렌즈
55 : 조명창
100 : 내시경 시스템
A : 제1 촬상 범위
B : 제2 촬상 범위
I1, I2, I3, I4, I5, Ia, Ib, Ic, Id : 조사 범위
L1 : 임의의 촬상 거리
LA1, LA2, LA3, LA4, LA5 : 중심축
LX1 : 제1 경계선
LX2 : 제2 경계선
LX3 : 제3 경계선
LX4 : 제4 경계선
LX5 : 제5 경계선
MA1, MA2 : 광축
P1 : 평면
α, α1, α2 : 시야각
α1, α2 : 경사각
본 발명의 내시경 시스템은 제1 시야각을 갖는 제1 관찰 광학계와, 제1 조명 광학계를 구비하는 제1 내시경과, 상기 제1 시야각보다도 넓은 제2 시야각을 갖는 제2 조명 광학계를 구비하는 제2 내시경을 구비하는 내시경 시스템이며, 상기 제1 내시경과 상기 제2 내시경의 각각의 삽입부의 선단부로부터 관찰 방향을 향한 임의의 거리에 있어서, 상기 제2 조명 광학계에 의해 조사되는 소정의 조도를 갖는 조명광의 제2 조사 범위를 상기 제1 조명 광학계에 의해 조사되는 상기 소정의 조도를 갖는 제1 조사 범위보다도 넓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 실시 형태)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우선, 도1을 기초로 하여,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내시경 시스템(100)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내시경 시스템(100)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내시경(1a) 및 제2 내시경(1b)[이하, 특별히 구별하지 않은 경우에는 내시경(1)이라 기재함]에는 만곡 조작이나 관로계의 제어를 행하는 조작부(2)와, 그 기단부측이 조작부(2)에 접속되어 체강 내에 삽입되는 삽입부(3)와, 조작부(2)로부터 연장되어 선단부에 커넥터부(4)를 갖는 유니버설 코드(3a)를 갖는다. 커넥터부(4)는 외부 기기로서의 광원 장치(5)와 프로세서(11)에 소정의 커넥터를 거쳐서 접속되게 되어 있다. 프로세서(11)는 모니터(7)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제1 내시경(1a)과 제2 내시경(1b)은, 상기 프로세서(11)와 광원 장치(5)에 필요에 따라서 커넥터 등을 이용하여 접속되거나 또는 상기 프로세서(11)와 광원 장치(5)에 커넥터에 의해 각각이지만 항상 접속되고, 도시되어 있지 않은 절환 스위치에 의해 접속 절환을 가능하게 한다.
삽입부(3)는 가요성을 갖는 가요관체 부문(8)과, 그 가요관체 부문(8)의 선단부측에 설치할 수 있던 만곡부(9)와, 그 만곡부(9)의 선단부측에 설치할 수 있던 선단부(10)가 설치되어 있다. 선단부(10)에는 체강 내의 부위를 촬상하기 위한 고체 촬상 소자(22)(도2 참조)가 내장되어 있다.
선단부(10) 내에 설치된 고체 촬상 소자(22)에 의해 촬상된 체강 내의 부위의 화상 신호는 유니버설 코드(3a)를 거쳐서 프로세서(11)로 전송된다. 프로세서(11)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전송된 화상 신호를 처리한 신호를 기초로 하여 접속된 표시 수단인 모니터(7)의 모니터 화면(7a) 상에 촬상된 부위의 관찰 화상을 표시시킨다.
조작부(2)에는 만곡부(9)를 원격적으로 만곡시키기 위한 조작 손잡이(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있다. 그 조작 노브를 조작함으로써, 삽입부(3) 내에 삽입 관통된 조작 와이어(도시하지 않음)에 의한 인장 작용 및 이완 작용이 생기고, 그 결과 만곡부(9)는 4 방향으로 만곡 가능하게 되어 있다.
다음에, 도2 및 도3을 참조하면서, 내시경(1)의 선단부(10)의 구성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2는 내시경(1)의 선단부(10)의 선단부면(10A)의 정면도이며, 도3은 내시경(1)의 선단부(10)를 직사각형 축 방향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단부(10)의 선단부면(10A)에는 관찰용 광학 부재(이하, 관찰창이라 칭함)(15)[제1 내시경(1a)의 관찰창을 제1 관찰창(15a)으로 하고, 제2 내시경(1b)의 관찰창을 제2 관찰창(15b)으로 함]와, 그 관찰창의 주위에 배치된 2개의 조명용 광학 부재(이하, 조명창이라 칭함)(50, 55)[제1 내시경(1a)은 2개의 조명창(50a, 55a)을 갖고, 제2 내시경(1b)은 2개의 조명창(50b, 55b)을 가짐]와, 처치구 채널 개구(17)와, 관찰창(15)에 대해 송수 송기하는 송수 송기 노 즐(18)과, 전방 송수 개구(19)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1 내시경(1a)과 제2 내시경(1b)은 동일한 외부 기기, 여기서는 프로세서(11)와 광원 장치(5)의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접속 가능하다.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시경(1)의 선단부(10)는 선단부 캡(10B)과 원통 형상의 외장(10C)으로 이루어지고, 내부에는 상기 선단부 캡(10B)의 선단부면(10A)에 설치된 관찰창(15)으로부터 선단부(10)의 내부를 향해 복수의 광학 렌즈로 이루어지고, 고정 혹은 가장 광각의 상태에 있어서 시야각(α)의 관찰 광학계(21)[제1 내시경(1a)은 제1 관찰 광학계(21a)의 시야각(α1)을 갖고, 제2 내시경(1b)은 제2 관찰 광학계(21b)의 시야각(α2)을 가짐]가 배치되어 있다. 이 관찰 광학계(21)의 결상 위치에는 고체 촬상 소자(22)가 배치되어 있다. 이 고체 촬상 소자(22)의 후방에는 고체 촬상 소자(22)를 구동 제어하거나 광전 변환 생성된 촬상 신호를 취입하는 회로 기능을 갖는 회로 기판(23)이 접속되어 있다. 이 회로 기판(23)은, 후술하는 CDS 회로(35) 및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회로(36)를 갖고, 신호 케이블(24)이 접속된다. 이 신호 케이블(24)의 기단부는 프로세서(11)에 접속되어 있다.
선단부 캡(10b)의 선단부면(10a)에 설치된 처치구 채널 개구(17)는, 대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 처치구 삽입 관통 통(25)을 거쳐서, 처치구 채널(26)에 연통하고 있다. 또한, 제1 내시경(1a)은, 예를 들어 약 140도의 고정 혹은 가장 광각으로 한 상태에 있어서의 시야각(α1)의 시야 범위를 촬상 가능하다.
제2 내시경(1b)의 선단부(10)의 내부에는, 상술의 제1 내시경(1a)의 시야각(α1)보다도 큰, 예를 들어 약 170도의 고정 혹은 가장 광각으로 한 상태에 있어서 의 시야각(α2)(α1 < α2)을 구비하는 관찰 광학계(21)가 설치된다. 즉, 제2 내시경(1b)은 제1 내시경(1a)보다도 넓은 시야 범위를 촬상 가능하다.
다음에, 제1 내시경(1a) 및 제2 내시경(1b)을 구비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내시경 시스템(100)에 대해 도4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4는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내시경 시스템(100)의 중심이 된 구성을 도시하는 블럭 구성도이다.
이 내시경 시스템(100)은 제1 내시경(1a), 제2 내시경(1b), 프로세서(11), 모니터(7) 및 광원 장치(5)(도1 참조)로부터 되어 있다. 그리고, 제1 내시경(1a)과 제2 내시경(1b)은 동일한 외부 기기, 여기서는 프로세서(11)와 광원 장치(5)의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접속 가능하다. 또한, 제1 내시경(1a)과 제2 내시경(1b)은 피검체의 동일 부위(예를 들어, 대장)에 적용(관찰하기 위해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1 내시경(1a)은, 주로 시야각(예를 들어, 약 140도)(α1)의 복수의 렌즈로 이루어지는 제1 관찰 광학계(21a)와, 이 제1 관찰 광학계(21a)의 결상 위치에 배치되고, 관찰 부위를 촬상하는 제1 고체 촬상 소자(이하, 제1 CCD라 칭함)(22a)와, 이 제1 CCD(22a)에 의해 생성된 촬상 신호의 상관 이중 샘플링 처리를 행하는 CDS 회로(35), 이 CDS 회로(35)에 있어서 처리된 아날로그 촬상 신호를 디지털 촬상 신호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회로(이하, A/D 회로라 칭함)(36)로 이루어져 있다.
제2 내시경(1b)은, 주로 제1 내시경(1a)의 제1 관찰 광학계(21a)보다도 큰 시야각(예를 들어, 약 170도)(α2)(α1 < α2)의 복수의 렌즈로 이루어지는 제2 관찰 광학계(21b)와, 이 제2 관찰 광학계(21b)의 결상 위치에 배치되고, 관찰 부위를 촬상하는 제2 고체 촬상 소자(이하, 제2 CCD라 칭함)(22b)와, 이 제2 CCD(22b)에 의해 생성된 촬상 신호의 상관 이중 샘플링 처리를 행하는 CDS 회로(35), 이 CDS 회로(35)에 있어서 처리된 아날로그 촬상 신호를 디지털 촬상 신호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회로(이하, A/D 회로라 칭함)(36)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제1 관찰 광학계(21a)는 전술의 제1 관찰창(15a)과 같은 중심축 상에 배치되고, 제2 관찰 광학계(21b)는 전술의 제2 관찰창(15b)과 같은 중심축 상에 배치된다. 바꿔 말하면, 제1 관찰 광학계(21a)의 광축은 제1 관찰창(15a)의 중심축 상을 지나가고, 제2 관찰 광학계(21b)의 광축은 제2 관찰창(15b)의 중심축 상을 지나간다. 또한, 제1 관찰 광학계(21a)의 광축은 전술의 조명창(50a, 55a)의 각각 중심축과 평행한 축이며, 제2 관찰 광학계(21b)의 광축은 전술의 조명창(50b, 55b)의 각각의 중심축과 평행한 축이다.
상기 프로세서(11)는 분리 처리 회로(이하, S/P 회로라 칭함)(41), 디지털 신호 처리 회로(이하, DSP 회로라 칭함)(42), 문자 정보 중첩 회로(43), 문자 정보 입력 회로(44), 디지털/아날로그 신호 변환 회로(이하, D/A 회로라 칭함)(45), 화상 표시 신호 회로(46), 기준 신호 발생 회로(이하, SSG라 칭함)(47), 타이밍 신호 발생 회로(이하, T/G 회로라 칭함)(48) 및 표시 화상 절환 입력 회로(49)로 구성된다.
상기 S/P 회로(41)는, 상기 제1 내시경(1a)의 A/D 회로(36)로부터의 디지털 촬상 신호, 또는 상기 제2 내시경(1b)의 A/D 회로(36)로부터의 디지털 촬상 신호의 휘도 신호와 색 신호 등을 분리 처리한다. 상기 DSP(42)는, 상기 S/P 회로(41)에 있어서 분리된 휘도 신호와 색 신호에 대해, 소정의 디지털 신호 처리를 행하는 동시에, 화이트 밸런스 및 γ 보정 등의 보정 처리를 행하고, 디지털 내시경 화상 신호를 생성한다.
문자 정보 중첩 회로(43)는 DSP 회로(42)에 있어서 신호 처리된 디지털 내시경 화상 신호에, 예를 들어 환자의 성명, 연령, 성별, 내시경 관찰 일시 등의 환자 정보를 나타내는 문자 정보 신호를 중첩시킨다. 이 문자 정보 중첩 회로(43)에 있어서, 중첩되는 문자 정보 신호는 문자 정보 입력 회로(44)에 있어서, 키보드(도시되지 않음)로부터 의사에 의해 입력된 환자 정보에 의해 생성된다. 이 문자 정보 중첩 회로(43)에 있어서, 문자 정보가 중첩된 디지털 내시경 화상 신호는 상기 D/A 회로(45)에 있어서, 아날로그 내시경 화상 신호로 변환되어 화상 표시 신호 회로(46)로 출력된다. 또한, 문자 정보 중첩 회로(43)에 있어서, 생성된 문자 정보 신호가 중첩된 디지털 내시경 화상 신호는 프로세서(11)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한 메모리(30)에 기록한다.
상기 화상 표시 신호 회로(46)는, 상기 D/A 회로(36)로부터 공급된 아날로그 내시경 화상 신호를 기초로, 모니터(7)에 관찰 영상과 환자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영상 신호로 변환 생성한다. 이 화상 표시 신호 회로(46)는, 상기 표시 화상 절환 입력 회로(49)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의해, 상기 모니터(7)에 표시시키는 관찰 영상과 환자 정보의 표시 위치 등이 변경 설정된다. 상기 표시 화상 절환 입력 회로(49)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의사가 모니터(7)에 표시시키는 관찰 영상, 환자 정보의 표시 위치 등의 표시 절환 입력 지시가 가능해지고 있다.
상기 SSG 회로(47)는, 상기 S/P 회로(41), DSP 회로(42), 문자 정보 중첩 회로(43), D/A 회로(45) 및 화상 표시 신호 회로(46)의 구동을 제어하는 기준 신호를 생성 출력한다. 상기 T/G 회로(48)는, 상기 SSC 회로(47)로부터의 기준 신호에 의해, 상기 제1 내시경(1a)과 제2 내시경(1b)의 각각의 제1 CCD(22a)와 제2 CCD(22b)의 구동 제어의 타이밍 신호를 생성한다.
다음에, 도5 및 도6을 참조하여, 더 상세하게 제1 내시경(1a)과 제2 내시경(1b)에 대해 설명한다. 도5는 제1 내시경(1a)의 선단부(10)를 조명창(50a, 55a)과 제1 관찰창(15a)의 각각의 창면의 중심을 지나가도록 길이 방향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6은 제2 내시경(1b)의 선단부(10)를 조명창(50b, 55b)과 제2 관찰창(15b)의 각각의 창면의 중심을 지나가도록 길이 방향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1 내시경(1a)의 선단부(10)의 조명창(50a, 55a)은, 각각 조명 렌즈(53a)를 갖는다. 각 조명 렌즈(53a)의 기단부로부터는 광원 장치(5)에 접속되는 라이트 가이드 번들(50A)이 내시경(1)의 내부에 삽입 관통된다. 또한, 조명창(50a, 55b) 및 조명 렌즈(53a)는 조명 광학계를 구성하고, 조명 부재인 라이트 가이드 번들로부터의 조명광이 통과된다.
제1 내시경(1a)의 조명창(50a)의 중심축(조명광의 조사 범위의 중심축)이 제1 관찰창(15a)의 광축인 중심축으로부터 소정의 길이(La)만큼 이격하는 위치에 설치된다. 제1 내시경(1a)의 조명창(55a)은 그 중심축이 제1 관찰창(15a)의 중심축으로부터 소정의 길이(Lb)만큼 이격하는 위치에 설치된다. 또한, 제1 관찰창(15a)의 중심축은 제1 관찰 광학계(21a)의 광축(MA1)과 동축 상에 있다. 또한, 조명 창(50a)의 중심축은 조명광의 조사 범위의 중심축(LA1)과 동축 상에 있고, 조명창(55a)의 중심축은 조명광의 조사 범위의 중심축(LA2)과 동축 상에 있다. 따라서, 바꿔 말하면 중심축(LA1)과, 광축(MA1)은 소정의 길이(La)만큼 이격하고, 중심축(LA2)과 광축(MA1)은 소정의 길이(Lb)만큼 이격한다. 또한, 길이(La)와 길이(Lb)는 같은 길이(La = Lb)라도 좋고, 다른 길이(La ≠ Lb)라도 좋다.
또한, 제1 내시경(1a)에는 이들 조명 렌즈(53a)의 기단부측의 각각의 렌즈면으로부터 삽입부(3) 및 유니버설 코드(3a)를 지나고, 한 다발에 수속되는 라이트 가이드 번들(50A)이 커넥터부(4)까지 삽입 관통되어 있다. 커넥터부(4)까지 삽입 관통하는 라이트 가이드 번들(50A)은, 전술한 커넥터부(4)에 의해 광원 장치(5)와 접속된다. 라이트 가이드 번들(50A)의 2개의 선단부면로부터는 광원 장치(5)로부터 공급되는 조명광이 조사되고, 2개의 조명 렌즈(53a)를 각각 지나는 중심축(LA1, LA2)을 갖는 2개의 조명광이 2개의 조명창(50a, 50b)으로부터 조사된다.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2 내시경(1b)의 선단부(10)의 조명창(50b, 55b)은, 각각 조명 렌즈(53b)를 갖는다. 각 조명 렌즈(53b)의 기단부로부터는 광원 장치(5)에 접속되는 라이트 가이드 번들(50A)이 내시경(1)의 내부에 삽입 관통된다. 또한, 조명창(50b, 55b) 및 조명 렌즈(53a)는 조명 광학계를 구성하고, 조명 부재인 라이트 가이드 번들(50A)로부터의 조명광이 통과된다.
제2 내시경(1b)의 선단부면(10a)의 조명창(55a)의 중심축(LA3)(조명광의 조사 범위의 중심축)이 제2 관찰창(15b)의 광축(MA2)으로부터 소정의 길이(Ld)만큼 이격하는 위치에 설치되고, 조명창(55b)은 그 중심축(LA4)이 제2 관찰창(15b)의 광축(MA2)으로부터 소정의 길이(Le)만큼 이격하는 위치에 설치된다. 또한, 제2 관찰창(15b)의 중심축은 제2 관찰 광학계(21b)의 광축(MA2)과 동축 상에 있고, 또한 조명창(50b)의 중심축은 조명광의 중심축(LA3)과 동축 상에 있고, 조명창(55b)의 중심축은 조명광의 중심축(LA4)과 동축 상에 있다. 바꿔 말하면, 중심축(LA3)과, 광축(MA2)은 소정의 길이(Ld)만큼 이격하고, 중심축(LA4)과, 광축(MA2)은 소정의 길이(Le)만큼 이격한다. 또한, 길이(Ld)와 길이(Le)는, 같은 길이(Ld = Le)라도 좋고, 다른 길이(Ld ≠ Lc)라도 좋다.
또한, 제2 내시경(1b)의 조명창(50b, 55b)이 제2 관찰창(15b)으로부터 각각 이격하는 길이(Ld, Le)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거리는 제1 내시경(1a)의 조명창(50a, 55a)이 제1 관찰창(15a)으로부터 각각 이격하는 길이(La, Lb) 중, 가장 긴 거리보다도 길다. 즉, 제1 내시경(1a)의 길이(La, Lb)가 같은 길이(La = Lb)의 경우 제2 내시경(1b)의 길이(Ld, Le) 중 어느 하나는 제1 내시경(1a)의 길이(La, Lb)보다도 길다(La = Lb < Ld 또는 La = Lb < Le). 제1 내시경(1a)의 길이(La, Lb)가 다른 길이(La ≠ Lb)의 경우 제2 내시경(1b)의 길이(Ld, Le) 중 어느 하나는 제1 내시경(1a)의 길이(La, Lb) 중, 가장 긴 거리보다도 길다(La < Ld, Lb < Ld 또는 La < Le, Lb < Lc).
제1 내시경(1a)과 같이, 라이트 가이드 번들(50A)의 2개의 선단부면으로부터는 광원 장치(5)로부터 공급되는 조명광이 조사되고, 2개의 조명 렌즈(53b)를 각각 지나는 중심축(LA1, LA2)을 갖는 2개의 조명광이 2개의 조명창(50b, 55b)으로부터 조사된다.
또한, 후술하는 도7 내지 도9의 제1 내시경(1a)과 제2 내시경(1b)의 조명 렌즈(53a, 53b) 및 라이트 가이드 번들(50A)은 같은 구성을 갖고 있다. 즉, 제1 내시경(1a)의 2개의 조명 렌즈(53a)로부터 조사되는 조명광의 광속과 제2 내시경(1b)의 2개의 조명 렌즈(53b)로부터 조사되는 조명광의 광속도 동일하다.
또한, 광원 장치(5)에는 모니터 화면(7a)에 표시되는 관찰 화상의 밝기를 검지하고, 미리 설정된 소정의 조명광의 광량을 자동적으로 증가 또는 감소하도록 조광 제어를 하는 도시하지 않은 광량 제어 수단을 갖고 있다.
다음에, 본 실시 형태의 내시경 시스템(100)의 제1 내시경(1a) 및 제2 내시경(1b)의 임의인 촬상 거리(L1)의 위치에 있어서의 평면(P1) 내의 촬상면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임의의 촬상 거리(L1)는 제1 내시경(1a)의 제1 관찰창(15a) 및 제2 내시경(1b)의 제2 관찰창(15b)의 각각의 관찰측의 창면으로부터, 각각의 광축(MA1) 및 광축(MA2)에 직교하는 평면(P1)까지의 임의인 촬상 거리로 한다.
도5에 도시한 제1 내시경(1a)은, 평면(P1)을 촬상한 경우 도5 중의 2개의 방사상의 파선(이하, 방사 파선이라 함)(LR1)으로 나타낸 제1 내시경(1a)의 시야각(α1) 내의 시야 범위인 제1 촬상 범위(A)가 모니터 화면(7a)에 표시된다. 또한,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임의의 촬상 거리(L1)에 있어서의 평면(P1)의 제1 촬상 범위(A)는, 도5 중의 방사 파선(LX1, LX2)으로 나타내는 2개의 조명창(50a, 55a)으로부터의 소정의 조도 이상의 조명광에 의한 조사 범위에 포함된다. 또한, 방사 파선(LX1)은 조명창(50a)으로부터 조사되는 조명광의 소정의 조도의 경계선을 나타 내고, 방사 파선(LX2)은 조명창(55a)으로부터 조사되는 조명광의 소정의 조도의 경계선을 나타내고 있다. 이하, 방사 파선(LX1)은 제1 경계선(LX1)으로 하고, 방사 파선(LX2)은 제2 경계선(LX2)으로 한다.
또한, 도6에 도시한 제2 내시경(1b)은 평면(P1)을 촬상힌 경우 도6 중의 2개의 방사 파선(LR2)으로 나타낸 제2 내시경(1b)의 시야각(α2) 내의 제2 촬상 범위(B)가 모니터 화면(7a)에 표시된다.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임의의 촬상 거리(L1)에 있어서의 평면(P1)의 촬상 범위(B)는, 도6 중의 방사 파선(LX3, LX4)으로 나타내는 2개의 조명창(50b, 55b)으로부터의 소정의 조도 이상의 조명광에 의한 조사 범위에 대략 포함된다. 또한, 방사 파선(LX3)은 조명창(50b)으로부터 조사되는 조명광의 소정의 조도의 경계선을 나타내고, 방사 파선(LX4)은 조명창(55b)으로부터 조사되는 조명광의 소정의 조도의 경계선을 나타내고 있다. 이하, 방사 파선(LX3)은 제3 경계선(LX3)이라 말하고, 방사 파선(LX4)은 제4 경계선(LX4)이라 한다.
또한, 상세하게 도7 내지 도9를 이용하여, 임의의 촬상 거리(L1)에 있어서의 평면(P1)이 제1 내시경(1a)과 제2 내시경(1b)에 의해 촬상되었을 경우 소정의 조도 이상의 조명광에 의해 포함되는 각각의 촬상 범위(A, B), 즉 모니터 화면(7a)에 표시되는 범위에 대해 설명한다. 도7은 제1 내시경(1a)에 의해 임의의 촬상 거리(L1)에 있어서의 평면(P1)을 촬상한 제1 촬상 범위(A)가 모니터 화면(7a)에 표시되어 있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8 및 도9는 제2 내시경(1b)에 의해 임의의 촬상 거리(L1)에 있어서의 평면(P1)을 촬상한 제2 촬상 범위(B)가 모니터 화면(7a)에 표시되어 있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1 내시경(1a)이 사용되고, 임의의 촬상 거리(L1)에 있어서 평면(P1)이 촬상되면,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니터 화면(7a)에 표시되는 제1 촬상 범위(A)가 제1 경계선(LX1)에 둘러싸여진 소정의 조도 이상의 조명광의 조사 범위와 제2 경계선(LX2)에 둘러싸여진 소정의 조도 이상의 조명광의 조사 범위에 의해 포함된다. 상세한 것은 평면(P1)의 면 상에 조명창(50a)으로부터 소정의 조도 이상의 조명광의 배광 범위이며, 중심축(LA1)이 통하는 점(M1)을 갖는 조사 범위(11)와, 조명창(55a)으로부터의 조명광을 소정의 조도 이상의 조명광의 배광 범위이며, 중심축(LA1)이 통과하는 점(M2)을 갖는 조사 범위(I2)에 의해 형성된 전체가 소정의 조도 이상의 제1 조사 범위(Ia)에 제1 촬상 범위(A)가 포함된다. 또한, 조사 범위(I1)와 조사 범위(I2)는 부분적으로 겹치고 있다. 즉, 임의의 촬상 거리(L1)에 있어서의 제1 내시경(1a)의 제1 촬상 범위(A)는, 그 전체 범위에 소정의 조도 이상의 조명광이 조사되고, 모니터 화면(7a)의 화상 전체는 소정의 조도 이상의 밝기를 표시한다.
또한, 도7중의 부호 Ma는 제1 내시경(1a)의 광축(MA1)이 제1 촬상 범위(A)를 통과하는 점(Ma)을 나타내고 있다. 즉, 광축(MA1) 및 2개의 중심축(LA1, LA2)의 각각이 평행한 축이기 때문에 제1 내시경(1a)의 촬상 거리(L1)에 있어서의 평면(P1)의 면내에 있는 제1 촬상 범위(A) 상의 점(Ma) 내지 점(M1)까지 거리는 길이(La)이며, 제1 내시경(1a)의 촬상 거리(L1)에 있어서의 평면(P1)의 면내에 있는 제1 촬상 범위(A) 상의 점(Mb) 내지 점(M1)까지의 거리는 길이(Lb)이다.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내시경(1b)은 제1 내시경(1a)의 시야각(α1)보다도 넓은 시야각(α2)의 제2 관찰 광학계(21b)를 가지므로, 촬상 거리(L1)에 있어서 평면(P1)을 촬상하면, 제1 내시경(1a)의 제1 촬상 범위(A)보다도 넓은 범위의 제2 촬상 범위(B)를 모니터 화면(7a)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내시경(1a)의 광축(MA1)으로부터 2개의 중심축(LA1, LA2)이 각각 이격하는 길이(La, Lb)와 같은 거리에 이격하는 2개의 중심축(LA3, LA4)을 갖는 제2 내시경(1b)의 경우 평면(P1) 상에는 제1 내시경(1a)의 제1 조사 범위(Ia)와 같은 제1 조사 범위(Ia)가 형성된다. 따라서, 제2 내시경(1b)이 제1 내시경(1a)의 제1 촬상 범위(A)보다도 넓은 범위의 제2 촬상 범위(B)를 촬상할 수 있기 때문에 제2 내시경(1b)의 조명광의 소정의 조도 이상의 제2 조사 범위(Ib)에 의한 제2 촬상 범위(B)를 포함하는 비율은 제1 내시경(1a)의 조명광의 소정의 조도 이상의 제1 조사 범위(Ia)에 의한 제1 촬상 범위(A)를 포함하는 비율보다도 적어진다. 바꿔 말하면, 제2 내시경(1b)은 촬상하는 제2 촬상 범위(B)의 주변부에 소정의 조도 이상의 조명광을 조사할 수 없다. 따라서, 제2 내시경(1b)이 표시하는 모니터 화면(7a)은 제1 내시경이 표시하는 모니터 화면(7a)보다도 주변부가 어둡게 표시되어 버린다.
거기서,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내시경(1b)은 임의의 촬상 거리(L1)에 있어서 평면(P1)을 촬상하면, 모니터 화면(7a)에 표시되는 제2 촬상 범위(B)가 제3 경계선(LX3)에 둘러싸여진 소정의 조도 이상의 조명광의 조사 범위와 제4 경계선(LX4)에 둘러싸여진 소정의 조도 이상의 조명광의 조사 범위에 의해 대략 포함할 수 있고, 제1 내시경(1a)의 광축(MA1)으로부터 중심축(LA1, LX2)까지의 거리 중 가장 긴 거리보다도 제2 내시경(1b)의 광축(MA2)으로부터 중심축(LA3, LA4)까지의 어느 하나의 거리를 길게 한다. 상세한 것은 평면(P1)의 면 상에 조명창(50b)으로부터 소정의 조도 이상의 조명광의 배광 범위이며, 중심축(LA3)이 지나는 점(M3)을 갖는 조사 범위(I3)와, 조명창(55b)으로부터의 조명광을 소정의 조도 이상의 조명광의 배광 범위이며, 중심축(LA4)이 지나는 점(M4)을 갖는 조사 범위(I4)에 의해 형성된 전체가 소정의 조도 이상의 제2 조사 범위(Ib)에 제2 촬상 범위(B)가 대략 포함된다. 또한, 조사 범위(I3)와 조사 범위(I4)는 부분적으로 겹치고 있다. 즉, 임의의 촬상 거리(L1)에 있어서의 제2 내시경(1b)의 제2 촬상 범위(B)의 주변부에 소정의 조도 이상의 조명광이 조사되도록, 제2 내시경(1b)은 광축(MA2)으로부터 중심축(LA3, LA4)까지의 거리가 결정되고, 선단부면(10a)에 설치되는 제2 관찰창(15b) 및 2개의 조명창(50b, 55b)이 위치 결정되어 있다.
이상의 결과, 제2 내시경(1b)은 제1 내시경이 표시하는 모니터 화면(7a)과 대략 같은 소정의 밝기가 주변부를 포함하도록 모니터 화면(7a)에 표시 수 있다.
또한, 도9 중의 부호 Mb는 제2 내시경(1b)의 광축(MA2)이 제2 촬상 범위(B)를 통과하는 점(Mb)을 나타내고 있다. 즉, 광축(MA2) 및 2개의 중심축(LA3, LA4)의 각각이 평행한 축이기 때문에 제2 내시경(1b)의 임의인 촬상 거리(L1)에 있어서의 평면(P1)의 면내에 있는 제2 촬상 범위(B) 상의 점(Mb) 내지 점(M3)까지의 거리는 길이(Ld)이며, 제2 내시경(1b)의 임의인 촬상 거리(L1)에 있어서의 평면(P1)의 면내에 있는 제2 촬상 범위(B) 상의 점(Mb) 내지 점(M4)까지의 거리는 길이(Le)이 다.
따라서, 제1 내시경(1a)의 길이(La)와 길이(Lb)에 대한 제2 내시경(1b)의 길이(Ld)와 길이(Le)의 관계는 제1 내시경(1a)의 길이(La, Lb)가 같은 길이(La = Lb)의 경우 제2 내시경(1b)의 길이(Ld, Lc) 중 어느 하나는 제1 내시경(1a)의 길이(La, Lb)보다도 길게(La = Lb < Ld 또는 La = Lb < Le), 길이(La, Lb)가 다른 길이(La ≠ Lb)의 경우 제2 내시경(1b)의 길이(Ld, Lc) 중 어느 하나는 제1 내시경(1a)의 길이(La, Lb) 중, 가장 긴 거리보다도 긴(La < Ld, Lb < Ld 또는 La < Lc, Lb < Le) 관계가 된다.
따라서, 제2 내시경(1b)의 임의인 촬상 거리(L1)의 평면(P1) 상의 제2 조사 범위(Ib)는 제1 내시경(1a)의 임의인 촬상 거리(L1)의 평면(P1) 상의 제1 조사 범위(Ia)보다도 넓은 범위가 된다. 즉, 제2 내시경(1b)은 제1 내시경(1a)보다도 넓은 범위에 임의인 촬상 거리(L1)의 평면(P1) 상에 소정의 조도 이상의 조명광을 조사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내시경 시스템(100)에 따르면, 시야각(α2)을 갖는 제2 관찰 광학계(21b)를 구비하는 제2 내시경(1b) 및 시야각(α1)을 갖는 제1 관찰 광학계(21a)를 구비하는 제1 내시경(1a)이 사용될 때, 제2 내시경(1b)의 제2 촬상 범위(B)의 주변부에 소정의 조도 이상의 조명광이 조사되기 때문에 제1 내시경(1a)에 의한 모니터 화면(7a)에 나타내는 제1 촬상 범위(A)와 제2 내시경(1b)에 의한 모니터 화면(7a)에 나타내는 제2 촬상 범위(B)는 대략 같은 밝기의 화상이 된다.
따라서, 의사는 제1 내시경(1a)을 사용하는 전후로 제2 내시경(1b)을 사용해도, 모니터 화면(7a)에 나타내는 화상의 주변부, 즉 모니터 화면(7a)의 주변부의 밝기의 차이에 의한 위화감을 주지 않는다.
또한,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내시경(1b)의 선단부(10)의 선단부면(10a)에는 복수의 여기서는 3개의 조명창(50b, 55b, 56b)이 설치되어도 좋다. 도10은 제2 내시경(1b)에 의해 임의의 촬상 거리(L1)에 있어서의 제2 촬상 범위(B)가 모니터 화면(7a)에 표시되어 있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도11 중의 제2 내시경(1b) 및 모니터 화면(7a)의 구성, 작용, 효과는 전술의 제2 내시경(1b) 및 모니터 화면(7a)과 동일하기 때문에, 그 설명은 생략한다.
도10의 방사 파선(LX5)은 조명창(55c)으로부터 조사되는 조명광의 소정의 조도의 경계선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방사 파선(LX5)은 제2 경계선(LX5)이라 칭한다.
제2 촬상 범위(B)의 면 상에 조명창(56b)으로부터 소정의 조도 이상의 조명광의 범위이며, 중심축(LA5)이 지나는 점(M5)을 갖는 조사 범위(I5)와, 조사 범위(I3, I4)에 의해 전체가 소정의 조도 이상의 제2 조사 범위(Ic)가 형성된다. 이 제3 조사 범위(1c)의 면내에 제2 촬상 범위(B)의 면이 대략 포함된다. 즉, 임의의 촬상 거리(L1)에 있어서의 제2 내시경(1b)의 제2 촬상 범위(B)의 주변부에 소정의 조도 이상의 조명광이 조사되도록, 제2 내시경(1b)은 광축(MA2)으로부터 중심축(LA3, LA4, LA5)까지의 거리가 결정되고, 선단부면(10a)에 설치되는 제2 관찰창(15b) 및 3개의 조명창(50b, 55b, 56b)이 위치 결정되어 있다.
이상의 결과, 제2 내시경(1b)의 임의인 촬상 거리(L1)의 평면(P1) 상의 제3 조사 범위(Ic)는 제1 내시경(1a)의 임의인 촬상 거리(L1)의 평면(P1) 상의 제1 조사 범위(Ia)보다도 넓은 범위가 된다. 즉, 제2 내시경(1b)은 제1 내시경(1a)보다도 넓은 범위에 임의인 촬상 거리(L1)의 평면(P1) 상에 소정의 조도 이상의 조명광을 조사할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
이하,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내시경 시스템(100)에 대해 도11 및 도12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11은 제2 내시경(1b)의 선단부(10)를 조명창(50b, 55b)과 제2 관찰창(15b)의 각각의 창면의 중심을 지나가도록 길이 방향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12는 제2 내시경(1b)에 의해 임의의 촬상 거리(L1)에 있어서의 평면(P1)을 촬상한 제2 촬상 범위(B)가 모니터 화면(7a)에 표시되어 있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실시 형태의 내시경 시스템(100)의 설명에 있어서는, 제1 실시 형태의 내시경 시스템(100)과 같은 구성 및 작용에 대해, 동일한 부호를 이용하여 그러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11에 있어서, 제2 내시경(1b)은 광축이 제2 촬상 범위(B)의 주변 방향을 향해 설치되는, 여기서는 2개의 조명창(50b, 55b)에 각각 배치되는 2개의 조명용 렌즈(53b)를 갖는다. 상세한 것은, 제2 내시경(1b)은 제2 관찰 광학계(21b)의 광축(MA2)에 대해 소정의 경사각(α1)으로 경사져 있는 중심축(LA3)과, 제2 관찰 광학계(21b)의 광축(MA2)에 대해 소정의 경사각(α2)으로 경사져 있는 중심축(LA4)을 갖는다.
즉, 중심축(LA3)이 통하는 조명창(50b)은 광축(MA2)이 통하는 제2 관찰창(15b)의 창면의 이루는 경사각(α1)의 창면을 갖고, 중심축(LA4)이 통하는 조명창(55b)은 광축(MA2)이 통하는 제2 관찰창(15b)의 창면의 이루는 경사각(α2)의 창면을 갖고 있다.
다음에 도11을 참조하면서, 임의의 촬상 거리(L1)에 있어서의 평면(P1)이 제2 내시경(1b)에 의해 촬상되었을 경우의 소정의 조도 이상의 조명광이 포함하는 제2 촬상 범위(B), 즉 모니터 화면(7a)에 표시되는 범위에 대해 설명한다.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내시경(1b)은 임의의 촬상 거리(L1)에 있어서 평면(P1)을 촬상하면, 모니터 화면(7a)에 표시되는 제2 촬상 범위(B)가 제3 경계선(LX3)에 둘러싸여진 소정의 조도 이상의 조사 범위와 제4 경계선(LX4)에 둘러싸여진 소정의 조도 이상의 조명광의 조사 범위에 의해 대략 포함된다. 또한, 제1 내시경(1a)은 그 광축(MA1)과 2개의 중심축(LA1, LA2)이 각각 평행한 축이기 때문에 제1 촬상 범위(A)의 점(Ma)으로부터 점(M1, M2)까지의 각각의 길이는 광축(MA1)으로부터 중심축(LA1, LA2)까지의 각각의 거리의 길이(La, Lb)와 같다. 따라서, 제1 내시경(1a)의 광축(MA1)으로부터 중심축(LA1, LX2)까지의 2개의 길이(La, Lb) 중 가장 긴 길이보다도 제2 내시경(1b)의 제2 촬상 범위(B) 상의 점(Mb)으로부터 점(M3, M4)까지 어느 하나가 길이(Ld1, Ld2)를 길게 하면, 제2 내시경(1b)의 조사 범위(I3)가 조사 범위(I4)로 이루어지는 제2 조사 범위(Id)의 면적을 제1 내시경의 제1 조사 범위(Ia)의 면적보다도 크게 할 수 있다. 즉, 제1 내시경(1a)의 조사 범 위(I1) 상의 길이(La)와 길이(Lb)에 대한, 제2 내시경(1b)의 제2 조사 범위(Id) 상의 길이(Ld)와 길이(Lc)의 관계는, 제1 내시경(1a)의 길이(La, Lb)가 같은 길이(La = 1b)의 경우 제2 내시경(1b)의 길이(Ld, Le) 중 어느 하나는 제1 내시경(1a)의 길이(La, Lb)보다도 길고(La = Lb < Ld 또는 La = Lb < Le), 길이(La, Lb)가 다른 길이(La ≠ Lb)의 경우 제2 내시경(1b)의 길이(Ld, Le) 중 어느 하나는 제1 내시경(1a)의 길이(La, Lb) 중, 가장 긴 거리보다도 긴(La < Ld, Lb < Ld 또는 La < Lc, Lb < Le) 관계가 된다.
제2 내시경(1b)의 촬상 거리(L1)의 평면(P1) 상의 제2 조사 범위(Id)는 제1 내시경(1a)의 임의인 촬상 거리(L1)의 평면(P1) 상의 제1 조사 범위(Ia)보다도 넓은 범위가 된다. 즉, 제2 내시경(1b)은 제1 내시경(1a)보다도 넓은 범위에 임의인 촬상 거리(L1)의 평면(P1) 상에 소정의 조도 이상의 조명광을 조사할 수 있다. 즉, 제2 내시경(1b)은 제1 내시경이 표시하는 모니터 화면(7a)과 대략 같은 소정의 밝기가 주변부를 대략 포함하도록 모니터 화면(7a)에 표시할 수 있다.
이상의 결과, 본 실시 형태의 내시경 시스템(100)은 제1 실시 형태의 내시경 시스템(100)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 형태 및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2 내시경(1b)은 제1 내시경(1a)의 조명광의 조사 각도보다도 넓은 조사 각도로 조명광을 조사할 수 있는 것이라도 좋다. 이때, 제2 내시경(1b)은 제1 내시경(1a)의 소정의 조도 이상의 조명광의 조사 범위보다도 넓은 조사 범위에 소정의 조도 이상의 조명광을 조사할 수 있는 적어도 1개의 조명 광학계를 갖는다. 또한, 조명 부재로서는 소정의 조도 이 상의 조명광이 임의인 촬상 거리(L1)에 있어서의 조사 범위의 중심축을 갖고, 내시경(1a, 1b)의 선단부에 발광 소자로서의 다이오드를 사용해도 좋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관한 내시경 시스템은, 특히 시야각의 다른 2개의 내시경을 포함하는 내시경 시스템에 유용하다.
본 발명의 내시경 시스템에 따르면, 통상의 시야각의 내시경 및 광각의 내시경을 사용할 때, 모니터 화면에 나타내는 각각의 촬상면의 밝기의 차이를 경감하여 관찰성이 높은 내시경 시스템을 실현할 수 있다.

Claims (7)

  1. 제1 시야각을 갖는 제1 관찰 광학계와, 제1 조명 광학계를 구비하는 제1 내시경과,
    상기 제1 시야각보다도 넓은 제2 시야각을 갖는 제2 관찰 광학계와, 제2 조명 광학계를 구비하는 제2 내시경을 구비하는 내시경 시스템이며,
    상기 제1 내시경과 상기 제2 내시경의 각각의 삽입부의 선단부로부터 관찰 방향을 향한 임의의 촬상 거리에 있어서, 상기 제2 조명 광학계에 의해 조사되는 소정의 조도를 갖는 조명광의 제2 조사 범위를 상기 제1 조명 광학계에 의해 조사되는 상기 소정의 조도를 갖는 제1 조사 범위보다도 넓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시경은 적어도 2개의 조명 광학계와, 상기 적어도 2개의 조명 광학계의 조사 범위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제1 조사 범위를 갖고,
    상기 제2 내시경은 복수의 조명 광학계와, 상기 복수의 조명 광학계로부터의 조사 범위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제2 조사 범위를 갖고,
    상기 제1 관찰 광학계의 광축으로부터, 상기 적어도 2개의 조명 광학계의 상기 조사 범위의 각각의 중심축까지의 거리 중, 가장 먼 중심축까지의 거리보다도 상기 제2 관찰 광학계의 광축으로부터, 상기 복수의 조명 광학계의 상기 조사 범위의 각각의 중심축 중, 가장 먼 중심축까지의 거리를 길게 함으로써, 상기 제2 조사 범위를 상기 제1 조사 범위보다도 넓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조사 범위는 상기 제2 내시경의 조명 광학계의 수를 상기 제1 내시경의 조명 광학계의 수보다도 많게 함으로써, 상기 제1 조사 범위보다도 넓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조사 범위는 상기 각각의 제2 조사 범위의 중심축 중, 적어도 1개의 상기 제2 조사 범위의 중심축과 상기 제2 관찰 광학계의 광축의 이루는 경사각이 상기 제1 조사 범위 중심축과 상기 제1 관찰 광학계의 광축 중 어느 하나가 이루는 경사각보다도 크게 함으로써, 상기 제1 조사 범위보다도 넓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시스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조명 광학계는 적어도 3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시스템.
  6. 소정의 시야각을 갖는 관찰 광학계와, 피검체에 조명광을 조사하기 위한 복수의 조명 광학계를 갖는 내시경이며,
    삽입부의 선단부로부터 관찰 방향을 향한 임의의 촬상 거리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조명 광학계에 의해 조사되는 소정의 조도 이상의 조명광의 조사 범위는, 상기 소정의 시야각보다도 작은 시야각을 갖는 관찰 광학계를 갖는 상기 내시경과 다른 내시경에 설치되는 조명 광학계의 조사 범위에서도 넓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내시경은 상기 다른 내시경과 동일한 외부 기기에 접속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KR1020067022245A 2004-04-27 2005-04-26 내시경 및 내시경 시스템 KR1008474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132072A JP4554267B2 (ja) 2004-04-27 2004-04-27 内視鏡及び内視鏡システム
JPJP-P-2004-00132072 2004-04-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4898A true KR20070004898A (ko) 2007-01-09
KR100847406B1 KR100847406B1 (ko) 2008-07-18

Family

ID=351966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22245A KR100847406B1 (ko) 2004-04-27 2005-04-26 내시경 및 내시경 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002697B2 (ko)
EP (1) EP1743567B1 (ko)
JP (1) JP4554267B2 (ko)
KR (1) KR100847406B1 (ko)
CN (1) CN1946334A (ko)
WO (1) WO200510214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34543A (ja) * 2004-07-26 2006-02-09 Olympus Corp 内視鏡、及びその修理方法
WO2008106679A2 (en) * 2007-03-01 2008-09-04 Campos Jorge A Face tip assembly for an endoscope
JP2009061097A (ja) * 2007-09-06 2009-03-26 Olympus Medical Systems Corp カプセル内視鏡
EP2105779A3 (en) * 2008-03-21 2009-11-18 FUJIFILM Corporation Illumination optical system for endoscope and assembly method thereof
US8636653B2 (en) * 2008-06-09 2014-01-28 Capso Vision, Inc. In vivo camera with multiple sources to illuminate tissue at different distances
DE102009013312A1 (de) * 2009-03-18 2010-09-23 Richard Wolf Gmbh Uretero-Renoskop
JP4777482B2 (ja) * 2009-03-31 2011-09-21 オリンパスメディカ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内視鏡
JP2011147757A (ja) * 2009-09-29 2011-08-04 Fujifilm Corp 医療機器及び内視鏡装置
CN102469930B (zh) * 2009-11-06 2014-09-10 奥林巴斯医疗株式会社 内窥镜系统
TWI539925B (zh) * 2011-01-18 2016-07-01 Medical Intubation Tech Corp An endoscopic image pickup assembly having two or more illumination directions
JP5677378B2 (ja) * 2012-07-25 2015-02-25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内視鏡システム
JP6238690B2 (ja) * 2013-11-13 2017-11-29 オリンパス株式会社 内視鏡システム
EP3092940A4 (en) * 2014-05-07 2017-11-08 Olympus Corporation Endoscope
CN106028901B (zh) * 2014-08-22 2018-01-19 奥林巴斯株式会社 内窥镜装置
JP2018148943A (ja) * 2017-03-09 2018-09-27 ソニー・オリンパスメディカ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医療用内視鏡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89749A (en) * 1977-12-27 1979-07-17 Fuji Photo Optical Co Ltd Lighting optical system of endoscope
JPS5675909U (ko) * 1979-11-15 1981-06-20
JPS5675909A (en) 1979-11-28 1981-06-23 Hitachi Ltd Turning operation controller
JPH0658458B2 (ja) * 1985-07-12 1994-08-03 オリンパス光学工業株式会社 内視鏡装置
JPH04102432A (ja) 1990-08-23 1992-04-03 Olympus Optical Co Ltd 内視鏡
US5614943A (en) * 1991-12-19 1997-03-25 Olympus Optical Co., Ltd. Dissimilar endoscopes usable with a common control unit
US5315383A (en) * 1992-02-27 1994-05-24 Olympus Optical Co., Ltd. Endoscope system
US5879288A (en) * 1992-11-25 1999-03-09 Olympus Optical Co., Ltd. Endoscope system including both reusable-type and cover-type endoscopes
JP2941621B2 (ja) * 1993-11-12 1999-08-25 株式会社フジクラ 広角照明装置
JP3875291B2 (ja) * 1995-10-04 2007-01-31 オリンパス株式会社 電子内視鏡
JPH1099268A (ja) * 1996-09-30 1998-04-21 Fuji Photo Optical Co Ltd 電子内視鏡の光学系装置
US5980454A (en) * 1997-12-01 1999-11-09 Endonetics, Inc. Endoscopic imaging system employing diffractive optical elements
US6251068B1 (en) * 1998-05-18 2001-06-26 Fuji Photo Optical Co., Ltd. Endoscopic observation system
JP3661487B2 (ja) * 1998-05-18 2005-06-15 フジノン株式会社 内視鏡の観察装置
JP2000032442A (ja) * 1998-07-13 2000-01-28 Olympus Optical Co Ltd 内視鏡システム
US6690410B1 (en) * 1999-06-09 2004-02-10 Olympus Optical Co., Ltd. Image processing unit with expandable image signal processing capability and endoscopic imaging system
JP2001166223A (ja) * 1999-12-03 2001-06-22 Olympus Optical Co Ltd 内視鏡
JP4242105B2 (ja) * 2002-03-26 2009-03-18 Hoya株式会社 内視鏡配光レンズ及びその成形金型の製造方法
US7267647B2 (en) * 2003-02-10 2007-09-11 Pentax Corporation Endoscope
JP2005169009A (ja) * 2003-12-15 2005-06-30 Olympus Corp 内視鏡システム、及び内視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554267B2 (ja) 2010-09-29
EP1743567B1 (en) 2015-05-27
EP1743567A4 (en) 2009-07-22
EP1743567A1 (en) 2007-01-17
KR100847406B1 (ko) 2008-07-18
WO2005102146A1 (ja) 2005-11-03
US20070055106A1 (en) 2007-03-08
US8002697B2 (en) 2011-08-23
JP2005312553A (ja) 2005-11-10
CN1946334A (zh) 2007-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7406B1 (ko) 내시경 및 내시경 시스템
KR100852310B1 (ko) 내시경 및 내시경 시스템
KR100796415B1 (ko) 내시경 시스템 및 내시경
US9826893B2 (en) Electronic endoscope system and light source for endoscope
WO2017115442A1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WO2016104386A1 (ja) 調光装置、撮像システム、調光装置の作動方法および調光装置の作動プログラム
US10901199B2 (en) Endoscope system having variable focal length lens that switches between two or more values
JP7224963B2 (ja) 医療用制御装置及び医療用観察システム
WO2016098449A1 (ja) 内視鏡及びこの内視鏡を含む内視鏡システム
JP7251940B2 (ja) 斜視内視鏡
JP6663692B2 (ja) 画像処理装置、内視鏡システム、及び画像処理装置の制御方法
WO2022208629A1 (ja) 蛍光観察装置、光免疫治療システムおよび蛍光内視鏡
JP5317863B2 (ja) 電子内視鏡の照明機構
JP2007160123A (ja) 内視鏡及び内視鏡システム
JP2016137017A (ja) 内視鏡装置
JP6407044B2 (ja) 内視鏡装置
KR100879686B1 (ko) 내시경 시스템, 내시경 장치 및 화상 처리 장치
JP2003210390A (ja) 内視鏡装置
JPH02140712A (ja) 内視鏡システム
JP2003204935A (ja) 内視鏡システム
JPS6323775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6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